정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4-01)

정보처리기능사
(2007-04-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 계산기 일반

1. flip-flop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R-S
  2. J-K
  3. D
  4. R
(정답률: 80%)
  • 정답은 "R"입니다. R은 flip-flop의 종류 중 하나가 아니며, R은 Reset(초기화)을 나타내는 신호를 나타내는 약어입니다. 따라서 R은 flip-flop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보기의 도형과 관련 있는 사항은?

  1. OR 게이트
  2. 버퍼(buffer)
  3. NAND 게이트
  4. 인버터(Inverter)
(정답률: 75%)
  • 주어진 도형은 인버터의 도형입니다. 인버터는 입력 신호를 반대로 출력하는 게이트로, 입력이 0이면 출력은 1이 되고, 입력이 1이면 출력은 0이 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도형이 인버터의 도형이므로 정답은 "인버터(Inver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드모르간(De Morgan)의 정리에 의해 를 바르게 변환시킨 것은?

(정답률: 75%)
  • 드모르간의 정리에 의해 NOT(A AND B)는 NOT(A) OR NOT(B)로 변환됩니다. 따라서, 는 NOT(NOT(A) OR NOT(B))로 변환됩니다. 이를 다시 드모르간의 정리에 적용하면 NOT(NOT(A)) AND NOT(NOT(B))로 변환됩니다. NOT(NOT(A))는 A이므로, 최종적으로 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논리적 연산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AND
  2. OR
  3. Rotate
  4. ADD
(정답률: 69%)
  • ADD는 논리적 연산이 아닌 산술적 연산이기 때문입니다. AND, OR, Rotate는 논리적 연산으로, 두 개 이상의 입력 값을 비교하여 참 또는 거짓을 반환하는 반면, ADD는 입력 값을 더하여 결과 값을 반환하는 산술적 연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블록화 레코드에서 블록화 인수는?

  1. 1
  2. 2
  3. 3
  4. 4
(정답률: 86%)
  • 블록화 인수는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값으로, 레코드를 몇 개의 블록으로 나눌 것인지를 결정합니다. 이 블록화 레코드에서는 레코드의 크기가 1200바이트이고, 블록의 크기가 400바이트이므로 블록화 인수는 3입니다. 1200바이트를 3으로 나누면 400바이트가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로더(loader)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할당(allocation)
  2. 링킹(linking)
  3. 재배치(relocation)
  4. 스케줄링(scheduling)
(정답률: 69%)
  • 로더(loader)는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적재(load)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프로그램의 할당(allocation), 링킹(linking), 재배치(relocation)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로더는 프로그램의 실행 시간을 관리하는 스케줄링(scheduling)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스케줄링은 CPU나 입출력 장치 등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할당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로더의 기능이 아닌 것은 스케줄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2진수 1100101을 8진수로 변환하면?

  1. 101(8)
  2. 105(8)
  3. 142(8)
  4. 145(8)
(정답률: 66%)
  • 2진수 1100101을 3자리씩 끊어서 각각을 8진수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10 010 1

    이를 각각 10진수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6 2 1

    따라서 8진수로 변환한 값은 621(8)이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이 값이 없으므로, 다시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621(8) = 1 x 8^0 + 2 x 8^1 + 6 x 8^2 = 145(10)

    즉, 2진수 1100101을 8진수로 변환한 값은 145(8)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명령어의 주소(address) 부를 연산 주소(address)로 이용하는 주소지정방식은?

  1. 상대 address 방식
  2. 절대 address 방식
  3. 간접 address 방식
  4. 직접 address 방식
(정답률: 53%)
  • 명령어에서 직접적으로 주소를 지정하여 메모리에 접근하는 방식이 직접 address 방식입니다. 다른 방식들은 간접적으로 주소를 지정하거나 상대적인 주소를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명령어 형식(instruction format)에서 첫 번째 바이트에 기억되는 것은?

  1. operand
  2. length
  3. question mark
  4. op code
(정답률: 82%)
  • 명령어 형식에서 첫 번째 바이트는 명령어의 종류를 나타내는 "op code"가 기억됩니다. 이는 컴퓨터가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op code가 명령어 형식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원격지에 설치된 입/출력 장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변복조장치
  2. 스캐너
  3. 단말장치
  4. X-Y 플로터
(정답률: 62%)
  • 원격지에 설치된 입/출력 장치를 단말장치라고 합니다. 이는 컴퓨터와 사용자 또는 다른 기기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입력장치로는 키보드, 마우스 등이 있고, 출력장치로는 모니터, 프린터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단말장치는 컴퓨터와 사용자 또는 다른 기기 간의 소통을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입/출력장치와 중앙처리장치의 속도 차이로 인한 단점을 해결하는 장치는?

  1. 채널장치
  2. 제어장치
  3. 터미널장치
  4. 콘솔장치
(정답률: 79%)
  • 채널장치는 입/출력장치와 중앙처리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입/출력장치와 직접 통신하여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는 장치입니다. 이를 통해 입/출력장치와 중앙처리장치의 속도 차이로 인한 단점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즉, 채널장치는 입/출력장치와 중앙처리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기억장치 고유의 번지로서 1, 2, 3 …과 같이 16진수로 약속하여 순서대로 결정해 놓은 번지. 즉, 기억장치 중 기억장소를 직접 숫자로 지정하는 주소로서 기계어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곳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상대주소
  2. 절대주소
  3. 완전주소
  4. 약식주소
(정답률: 82%)
  • 기억장치에서 기계어 정보가 저장되는 곳을 지정하는 주소를 절대주소라고 합니다. 이는 기억장치 내에서 고유한 번지로서 16진수로 약속되어 있어서 직접적으로 기억장소를 지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상대주소나 완전주소, 약식주소와는 달리 기억장치 내에서 명확하게 기억장소를 지정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과 같은 논리식으로 구성되는 회로는?

  1. 반가산기(Half Adder)
  2. 전가산기(Full Adder)
  3. 부호기(Encoder)
  4. 전감산기(Full Subtracter)
(정답률: 78%)
  • 이 회로는 두 개의 입력(A, B)을 받아서 각각의 비트를 더한 결과(Sum)와 자리올림(Carry)을 출력하는 회로입니다. 하지만 입력이 1+1인 경우 자리올림이 발생하지 않아서 덧셈 결과가 올바르게 출력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회로는 반가산기(Half Adder)입니다. 전가산기(Full Adder)는 입력이 1+1인 경우 자리올림을 고려하여 덧셈 결과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부호기(Encoder)는 입력된 비트를 특정한 부호로 변환하는 회로이며, 전감산기(Full Subtracter)는 뺄셈을 수행하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실행될 명령어를 가지고 있는 것?

  1. 명령 Register
  2. Index Register
  3. 누산기(Accumulator)
  4. Memory Register
(정답률: 74%)
  • "명령 Register"은 CPU가 실행할 명령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기 때문에 실행될 명령어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레지스터들은 데이터나 주소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지만, 명령 Register는 CPU가 실행할 명령어를 저장하고 이를 해석하여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실행될 명령어를 가지고 있는 것은 "명령 Regis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누산기(Accumulato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산술연산 또는 논리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장치이다.
  2. 연산명령의 순서를 기억하는 장치이다.
  3. 연산부호를 해독하는 해독장치이다.
  4. 연산명령이 주어지면 연산준비를 하는 장치이다.
(정답률: 77%)
  • 누산기는 산술연산 또는 논리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컴퓨터에서 연산을 수행할 때 중간 결과를 저장하고 다음 연산에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입니다. 따라서 누산기는 연산 결과를 저장하는 임시 저장소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의 출력 C는 얼마인가?(단, A=1, B=1 이다)

  1. 0
  2. 1
  3. 10
  4. 11
(정답률: 70%)
  • 논리회로에서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므로, A와 B가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된다. 따라서, A와 B가 모두 1이므로 AND 게이트의 출력은 1이 된다. 이 출력값이 OR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므로, OR 게이트의 출력은 항상 1이 된다. 따라서, C의 값은 1이 된다.
    정답: 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2진수 1011을 그레이코드(gray code)로 변환한 것은?

  1. 0111
  2. 1110
  3. 0100
  4. 1010
(정답률: 66%)
  • 2진수 1011을 그레이코드로 변환하려면, 첫 번째 비트는 그대로 두고, 두 번째 비트부터는 이전 비트와 XOR 연산을 해주면 됩니다.

    따라서, 1011의 그레이코드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1. 첫 번째 비트는 그대로 둡니다. -> 1
    2. 두 번째 비트부터는 이전 비트와 XOR 연산을 합니다.
    - 1 ⊕ 0 = 1
    - 0 ⊕ 1 = 1
    - 1 ⊕ 1 = 0
    -> 1110

    따라서, 정답은 "11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주소지정 방식 중 기억장치에 접근할 피연산자가 없는 것으로 산술에 필요한 명령어는 스택 구조 형태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것은?

  1. 0-주소 형식
  2. 1-주소 형식
  3. 2-주소 형식
  4. 3-주소 형식
(정답률: 79%)
  • 0-주소 형식은 스택 구조 형태에서 처리하기 적합한 방식이다. 이는 기억장치에 접근할 피연산자가 없기 때문에 스택에 저장된 값을 가져와 연산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택 구조를 이용하여 산술 연산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0-주소 형식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연산에 사용되는 데이터 및 연산의 중간 결과를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주된 이유는?

  1. 비용 절약을 위하여
  2. 연산 속도의 향상을 위하여
  3. 기억 장소의 절약을 위하여
  4. 연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정답률: 71%)
  • 레지스터는 CPU 내부에 위치하며, 매우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산에 사용되는 데이터 및 연산의 중간 결과를 레지스터에 저장하면, 기억 장소에 접근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연산 속도가 향상됩니다. 이는 컴퓨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하나의 레지스터에 기억된 자료를 모두 다른 레지스터로 옮길 때 사용하는 논리연산은?

  1. rotate
  2. shift
  3. move
  4. complement
(정답률: 69%)
  • "move"는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을 다른 레지스터로 복사하는 논리연산이기 때문입니다. "rotate"는 비트를 회전시키는 논리연산, "shift"는 비트를 이동시키는 논리연산, "complement"는 비트를 반전시키는 논리연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패키지 활용

21. SQL의 데이터 조작문(DML)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UPDATE
  2. DROP
  3. INSERT
  4. SELECT
(정답률: 67%)
  • DROP은 데이터를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베이스나 테이블을 삭제하는 데이터 정의 언어(DDL)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DML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내용을 실행하는 SQL 문장으로 옳은 것은?

  1. DELETE FROM Purchase WHEN ITEM = “사과”
  2. DELETE FROM Purchase WHERE ITEM = “사과”
  3. KILL FROM Purchase WHERE ITEM = “사과”
  4. DELETE ITEM = “사과” FROM Purchase
(정답률: 77%)
  • 정답은 "DELETE FROM Purchase WHERE ITEM = “사과”"입니다.

    이유는 Purchase 테이블에서 ITEM이 "사과"인 행을 삭제하라는 의미입니다. "DELETE"는 테이블에서 행을 삭제하는 명령어이며, "FROM"은 어느 테이블에서 삭제할지를 지정하는 키워드입니다. "WHERE"는 삭제할 행을 선택하는 조건을 지정하는 키워드이며, 이 경우에는 ITEM이 "사과"인 행을 선택하도록 지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관계 데이터 모델에서 하나의 애트리뷰트가 취할 수 있는 같은 타입의 원자 값들의 집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도메인
  2. 속성
  3. 스키마
  4. 튜플
(정답률: 72%)
  • 도메인은 애트리뷰트가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를 정의하는 개념입니다. 즉, 하나의 애트리뷰트가 취할 수 있는 같은 타입의 원자 값들의 집합을 도메인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도메인"이 정답입니다. 속성은 애트리뷰트를 뜻하며,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는 개념입니다. 튜플은 릴레이션에서 하나의 레코드를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프리젠테이션에서 화면 전체를 전환하는 단위는?

  1. 슬라이드(slide)
  2. 시나리오(scenario)
  3. 개체(object)
  4. 리스트(list)
(정답률: 83%)
  • 프리젠테이션에서 화면 전체를 전환하는 단위는 슬라이드입니다. 슬라이드는 하나의 페이지와 같은 역할을 하며, 각각의 슬라이드는 다른 내용이나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슬라이드는 프리젠테이션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 각각의 슬라이드는 프리젠테이션의 흐름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하여 처리할 수 있는 업무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성적관리
  2. 신제품 소개
  3. 가계예산관리
  4. 퇴직금 투자분석
(정답률: 82%)
  • 신제품 소개는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하여 처리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주로 마케팅 및 광고 활동에 해당하며, 이미지나 동영상 등의 매체를 활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스프레드시트는 주로 데이터를 정리하고 분석하는 데에 사용되며, 신제품 소개와 같은 업무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제품명과 단가로 이루어진 제품 테이블에서 단가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검색하고자 한다. ( ) 안에 알맞은 SQL명령으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① ORDER TO ② DESC
  2. ① ORDER BY ② DESC
  3. ① ORDER ② DOWN
  4. ① ORDER ② DESC
(정답률: 82%)
  • 정답: ① ORDER BY ② DESC

    설명: ORDER BY는 정렬을 수행하는 SQL 구문이며, DESC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라는 옵션입니다. 따라서 "단가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검색하고자 한다"는 요구사항에 따라 ORDER BY와 DESC를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를 순서대로 기술한 것은?

  1. 개념적 설계 → 물리적 설계 → 논리적 설계
  2. 개념적 설계 → 논리적 설계 → 물리적 설계
  3. 논리적 설계 → 개념적 설계 → 물리적 설계
  4. 논리적 설계 → 물리적 설계 → 개념적 설계
(정답률: 83%)
  •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는 개념적 설계, 논리적 설계, 물리적 설계 순서로 진행됩니다.

    개념적 설계는 사용자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념적 모델을 만드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업무 프로세스, 업무 규칙, 데이터 구조 등을 파악하여 개념적 모델을 만들고 이를 ERD(Entity-Relationship Diagram)로 표현합니다.

    논리적 설계는 개념적 모델을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ERD를 바탕으로 테이블, 속성, 관계 등을 정의하고 이를 정규화하여 데이터 중복성을 최소화합니다.

    물리적 설계는 논리적 모델을 바탕으로 실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데이터베이스의 성능, 보안, 가용성 등을 고려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인덱스, 뷰, 프로시저 등을 정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은 SQL의 갱신문이다 ( ) 안의 내용으로 적당한 것은?

  1. SET
  2. IN
  3. FROM
  4. INTO
(정답률: 59%)
  • SQL에서 갱신문은 "UPDATE"로 시작하며, "SET"은 갱신할 열과 값을 지정하는 구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SET"입니다. "IN"은 서브쿼리에서 사용되는 구문이고, "FROM"과 "INTO"는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삽입하는 구문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스프레드시트에서 입력의 기본 단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함수
  2. 테이블
  3. 슬라이드
(정답률: 84%)
  • 스프레드시트에서 입력의 기본 단위는 "셀"이라고 합니다. 이는 스프레드시트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고 편집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이며, 행과 열로 구성된 격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 셀은 고유한 주소를 가지고 있어서 데이터를 참조하거나 계산할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스프레드시트의 기능 중 조건에 맞는 내용만 선별하여 추출하는 기능에 해당하는 것은?

  1. 차트
  2. 정렬
  3. 필터
  4. 매크로
(정답률: 81%)
  • 필터는 스프레드시트에서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추출하여 보여주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선별하여 추출하는 기능이 필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PC 운영 체제

31. 도스(MS-DOS)에서 Ctrl+Alt+Del 키를 눌러 재부팅하였다. 이러한 재부팅 방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콜드부팅(Cold Booting)
  2. 웜부팅(Warm Booting)
  3. 하드부팅(Hard Booting)
  4. 핫부팅(Hot Booting)
(정답률: 71%)
  • Ctrl+Alt+Del 키를 눌러 재부팅하는 방법은 웜부팅(Warm Booting)이라고 합니다. 이는 운영체제를 종료하지 않고 시스템을 재시작하는 것으로, 메모리는 초기화되지 않고 프로그램들은 종료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시스템이 빠르게 재시작되며, 이전에 실행 중이던 프로그램들도 다시 시작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윈도98”에서 파일의 삭제시 휴지통에 넣지 않고 바로 삭제하는 단축키는?

  1. Ctrl + Alt
  2. Shift + F1
  3. Ctrl + Del
  4. Shift + Del
(정답률: 75%)
  • 정답은 "Shift + Del"입니다. 이는 파일을 휴지통에 넣지 않고 바로 삭제하는 단축키입니다. "Shift" 키를 누르면 파일이 영구적으로 삭제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윈도우에서 사용되는 다른 단축키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윈도98”을 종료시키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작버튼에서 시스템 종료를 누르고 시스템 종료를 선택한다.
  2. 바탕화면에서 Alt + F4 키를 누르고 시스템 종료를 선택한다.
  3. Ctrl + Alt + Del 키를 누르고 시스템 종료를 선택한다.
  4. Ctrl + Alt + Shift 키를 누르고 시스템 종료를 선택한다.
(정답률: 71%)
  • 정답은 "Ctrl + Alt + Shift 키를 누르고 시스템 종료를 선택한다." 입니다. 이유는 윈도98에서는 Ctrl + Alt + Shift 키를 누르면 시스템이 강제 종료되는 기능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으로 종료하면 시스템이 제대로 종료되지 않을 수 있으며, 데이터 손실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올바른 방법은 "시작버튼에서 시스템 종료를 누르고 시스템 종료를 선택한다.", "바탕화면에서 Alt + F4 키를 누르고 시스템 종료를 선택한다.", "Ctrl + Alt + Del 키를 누르고 시스템 종료를 선택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도스(MS-Dos)에서 디스크의 상태를 점검하는 명령은?

  1. CHKDSK
  2. FORMAT
  3. PROMPT
  4. DELTREE
(정답률: 76%)
  • 정답은 "CHKDSK"입니다.

    CHKDSK는 "Check Disk"의 약자로, 디스크의 상태를 점검하는 명령어입니다. 디스크에 문제가 있을 경우 이를 해결하고, 파일 시스템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디스크의 상태를 점검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CHKDSK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UNIX에서 현재 작업 디렉토리 경로를 화면에 출력하는 명령어는?

  1. pwd
  2. cat
  3. tar
  4. vi
(정답률: 60%)
  • 정답: pwd

    이유: pwd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즉,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의 경로를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프로세스 스케줄링 방법 중 가장 먼저 CPU를 요청한 프로세스에게 가장 먼저 CPU를 할당하여 실행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은?

  1. FIFO
  2. LRU
  3. LFU
  4. FILO
(정답률: 67%)
  • FIFO는 First-In-First-Out의 약자로, 가장 먼저 CPU를 요청한 프로세스가 가장 먼저 CPU를 할당받아 실행되는 방식입니다. 이는 큐(Queue) 구조와 유사하며, 먼저 도착한 프로세스가 먼저 처리되는 것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CPU 요청 순서에 따라 프로세스를 처리하고자 할 때 FIFO 방식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작업표시줄
  2. 바탕화면
  3. 표시기
  4. 입력모드 창
(정답률: 74%)
  • 위의 그림은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작업표시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작업표시줄은 운영체제에서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들과 시스템 상태를 표시하는 바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작업표시줄"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UNIX에서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종료하기 위한 명령어는?

  1. ls
  2. del
  3. kill
  4. stop
(정답률: 62%)
  • "kill" 명령어는 UNIX에서 프로세스를 종료하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ls"는 파일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이고, "del"은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stop"은 프로세스를 일시적으로 중지시키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kill" 명령어가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종료하기 위한 명령어인 이유는 명령어의 이름 그대로 해당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윈도98”에서 도스를 실행시켰더니 전체화면 형태로 도구들이 보이지 않아 불편하였다. 도스의 창 형태로 전환하려면 어떤 키를 눌러야 하는가?

  1. Ctrl + Space
  2. Ctrl + Enter
  3. Alt + Space
  4. Alt + Enter
(정답률: 62%)
  • 정답: Alt + Enter

    설명: Alt + Enter 키를 누르면 윈도우 창의 전체화면 모드와 창 모드를 전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도스 창에서도 Alt + Enter를 누르면 전체화면 모드에서 창 모드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UNIX에서 주기억장치에 상주하며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파일 관리를 하는 것은?

  1. 쉘(shell)
  2. 커널(kernel)
  3. 유틸리티(utility)
  4. 블록(block)
(정답률: 59%)
  •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주기억장치에 상주하여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파일 관리 등의 시스템 자원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커널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UNIX에서 프롬포트가 %라면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쉘의 종류는?

  1. C shell
  2. korn shell
  3. borune shell
  4. com shell
(정답률: 66%)
  • %는 C shell의 기본 프롬포트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도스(MS-DOS)에서 특정 파일의 감추기 속성, 읽기 속성을 지정할 수 있는 명령은?

  1. MORE
  2. FDISK
  3. ATTRIB
  4. DEFRAT
(정답률: 62%)
  • ATTRIB 명령은 파일의 속성을 변경하는 명령어로, 감추기 속성, 읽기 속성 등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MORE는 파일 내용을 페이지별로 출력하는 명령어, FDISK는 디스크 파티션을 관리하는 명령어, DEFRAG는 디스크 조각 모음을 수행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파일 속성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ATTRIB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윈도98”에서 작업표시줄에 볼륨 조절 표시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는 제어판의 아이콘은?

  1. 사운드
  2. 멀티미디어
  3. 내게 필요한 옵션
  4. 시스템
(정답률: 62%)
  • 정답인 "멀티미디어"는 윈도98에서 사운드와 비디오 등 멀티미디어 기능을 관리하는 제어판이기 때문입니다. 이 제어판에서는 볼륨 조절과 같은 오디오 설정도 가능하므로 작업표시줄에 볼륨 조절 표시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윈도98”에서 클립보드에 현재 화면에서 활성윈도를 복사하는 기능키는?

  1. Ctrl + Print Screen
  2. Alt + F
  3. Alt + Print Screen
  4. Ctrl + V
(정답률: 50%)
  • Alt + Print Screen은 현재 활성화된 창의 스크린샷을 클립보드에 복사하는 기능입니다. Ctrl + Print Screen은 전체 화면을 복사하고, Ctrl + V는 복사한 내용을 붙여넣기하는 단축키입니다. Alt + F는 파일 메뉴를 열고, 윈도98에서는 클립보드에 복사하는 기능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윈도98”의 찾기 메뉴에서 지정할 수 있는 형식이 아닌 것은?

  1. 파일 속성
  2. 파일의 크기
  3. 포함하는 문자열
  4. 파일 형식
(정답률: 46%)
  • 찾기 메뉴에서는 파일의 속성을 지정할 수 없습니다. 파일 속성은 파일의 생성일, 수정일, 소유자, 권한 등과 같은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정보는 파일의 내용과는 별개로 저장되는 정보이기 때문에 찾기 메뉴에서는 파일의 내용과 관련된 정보만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일 속성"이 찾기 메뉴에서 지정할 수 없는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윈도98”의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16비트 환경의 운영체제이다.
  2. GUI(Graphic User Interface)로 사용이 편리해 졌다.
  3. PNP(Plug & Play) 기능을 가지고 있다.
  4. 멀티태스킹(Multitasking) 환경을 지원한다.
(정답률: 74%)
  • 윈도우 98은 16비트 환경의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운영체제가 32비트 또는 64비트 환경을 지원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괄호 안에 가장 알맞은 단어는?

  1. Operating system
  2. GUI
  3. Interpreter
  4. File System
(정답률: 70%)
  • 위 그림은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소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입니다. 운영체제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며,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 요소이며, 다른 보기들인 GUI, Interpreter, File System은 운영체제의 일부분이거나 운영체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도스(MS-DOS)에서 사용할 수 있는 드라이브의 최대수를 지칭하는 명령어는?

  1. LASTDRIVE
  2. BLOCKS
  3. FILES
  4. PRIMARYDISK
(정답률: 59%)
  • "LASTDRIVE"는 도스에서 사용 가능한 드라이브의 최대 수를 지정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최대 드라이브 수를 설정하면, 설정한 수보다 더 많은 드라이브를 인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LASTDRIVE"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윈도98”에서 이미 사용되었던 3.5인치 플로피디스크를 신속히 포맷할 경우 사용하는 옵션은?

  1. 빠른 포맷
  2. 전체
  3. 시스템 파일만 복사
  4. 이름표 없음
(정답률: 75%)
  • 정답은 "빠른 포맷"입니다. 이 옵션은 디스크를 빠르게 포맷하면서도 파일 시스템을 초기화합니다. 이는 디스크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를 삭제하지 않고 파일 시스템만 초기화하기 때문에 빠르게 포맷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미 사용되었던 3.5인치 플로피디스크를 신속히 포맷할 때 빠른 포맷 옵션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Which is not operating system?

  1. UNIX
  2. DOS
  3. WINDOWS98
  4. PASCAL
(정답률: 63%)
  • PASCAL은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운영 체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 통신 일반

51. 다음 중 데이터 통신 용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1. 감쇠
  2. 신호세력
  3. 대역폭
  4. 잡음세력
(정답률: 37%)
  • 감쇠는 데이터 통신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발생하는 신호 감쇠로 인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데이터 통신 용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하지만 신호세력, 대역폭, 잡음세력은 데이터 통신 용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이동전화 시스템에서 CDMA 방식의 의미는?

  1. 채널분할 다중화 방식
  2. 코드분할 다중화 방식
  3. 캐리어 변복조방식
  4. 콤팩트디스크 다중접속방식
(정답률: 57%)
  • CDMA는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약자로, 코드분할 다중화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 방식은 여러 사용자가 같은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면서 각각의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해 고유한 코드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통화나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단말기와 변복조기 사이는 25핀 플러그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연결의 표준화를 기하기 위하여 EIA와 ITU-T에서 각각 정해놓은 규격이 순서대로 옳은 것은?

  1. RS-232C, V.21
  2. V.22, RS-232C
  3. V.25, RS232C
  4. RS-232C, V.24
(정답률: 41%)
  • 단말기와 변복조기 사이의 연결을 위한 규격은 EIA와 ITU-T에서 각각 정해놓은데, EIA에서는 RS-232C 규격을, ITU-T에서는 V.24 규격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이 둘을 함께 사용하여 단말기와 변복조기를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V.21, V.22, V.25는 모두 ITU-T에서 정해놓은 규격이지만, RS-232C와 함께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정지화상의 부호화 표준에 해당되는 것은?

  1. IEEE 802
  2. TCP/IP
  3. MPEG
  4. JPEG
(정답률: 47%)
  • 정지화상의 부호화 표준에 해당되는 것은 "JPEG" 입니다. 이는 정지화상을 압축하는 데 사용되는 표준이며, 이미지를 작은 크기로 압축하면서도 이미지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IEEE 802는 네트워크 표준, TCP/IP는 인터넷 프로토콜, MPEG는 동영상 압축 표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정보통신시스템에서 통신신호 세력의 전력 측정치가 10mW 이었을 때 이를 dBm으로 표시하면?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43%)
  • dBm은 전력을 dB로 표시한 값에 1mW를 기준으로 한 단위입니다. 따라서 10mW를 dBm으로 변환하려면, 10mW를 1mW로 나눈 후 로그를 취한 뒤 10을 곱해주면 됩니다.

    10mW / 1mW = 10
    log10(10) = 1
    1 x 10 = 10

    따라서, 10mW는 10dBm으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정보통신 교환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회선교환망
  2. 패킷교환망
  3. 메시지교환망
  4. 비트교환망
(정답률: 54%)
  • 비트교환망은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데이터를 한 번에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보통신 교환망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트교환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상호 변환하여 신호를 싣는 변조 방식은?

  1. AM
  2. FM
  3. PM
  4. QAM
(정답률: 34%)
  • QAM은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약자로,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조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두 개의 직교하는 캐리어 신호를 사용하여, 각각의 캐리어 신호에 진폭과 위상 정보를 부여하여 신호를 변조합니다. 따라서, QAM은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상호 변환하여 신호를 싣는 변조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광섬유 케이블의 손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접속손실
  2. 산란손실
  3. 흡수손실
  4. 유전체손실
(정답률: 45%)
  • 유전체손실은 광섬유 케이블에서 전기적인 신호가 아닌 광학적인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손실이 아닙니다. 따라서 광섬유 케이블의 손실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마이크로파(microwave) 통신 방식과 관계없는 것은?

  1. 전자파를 이용한 무선통신 방식이다.
  2. 광을 이용하므로 전송 속도가 빠르다.
  3. 이동통신 수단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4. 중계거리를 고려하여야 한다.
(정답률: 44%)
  • 광을 이용하는 것은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하는 광통신 방식에서 사용되며, 전송 속도가 빠른 이유는 광섬유 케이블이 빛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이크로파 통신 방식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광통신에서 발광기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애벌런시 포토다이오드(APD)
  2. 핀 포토다이오드(PIN PD)
  3. 제너 다이오드(ZD)
  4. 레이저 다이오드(LD)
(정답률: 60%)
  • 광통신에서는 광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발광기를 사용합니다. 이 중에서도 레이저 다이오드(LD)는 높은 집속도와 높은 출력을 가지고 있어 광통신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발광기입니다. 또한, LD는 좁은 스펙트럼 폭을 가지고 있어 광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