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3-10)

정보처리산업기사
(2002-03-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데이터 베이스

1. DBMS의 필수기능 중 제어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데이터모델 기술
  2. 무결성유지
  3. 보안,권한검사
  4. 병행 수행 제어
(정답률: 78%)
  • 데이터모델 기술은 DBMS의 필수기능 중 제어기능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데이터모델 기술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설계하고 표현하는 기술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고 데이터를 저장, 검색, 수정, 삭제하는 데 필요한 구조와 규칙을 제공합니다. 반면, 제어기능은 데이터베이스의 접근 권한을 관리하고 무결성을 유지하며, 병행 수행을 제어하는 등 데이터베이스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Which of the following is an ordered list that allinsertions take place at one end, the rear,while alldeletions take place at the other end,the front?

  1. Array
  2. Stack
  3. Queue
  4. Binary Tree
(정답률: 60%)
  • 이러한 동작 방식은 Queue에서 사용되는 FIFO(First-In-First-Out) 방식과 일치합니다. 새로운 항목은 뒤쪽(rear)에 추가되고, 가장 오래된 항목은 앞쪽(front)에서 삭제됩니다. 따라서, "Queue"가 올바른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관계 데이터 모델의 무결성 제약 중 기본키 값이 널(null)값일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1. 개체 무결성
  2. 참조 무결성
  3. 도메인 제약조건
  4. 주소 무결성
(정답률: 82%)
  • 기본키 값이 널(null)값일 수 없음은 "개체 무결성"을 의미한다. 개체 무결성은 각 릴레이션의 기본키가 널(null)값이 될 수 없으며, 중복된 값을 가질 수 없다는 제약 조건을 말한다. 따라서 기본키 값이 널(null)값이 될 수 없음으로써 개체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해시(hash) 함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파일은?

  1. ISAM 파일
  2. VSAM 파일
  3. DAM 파일
  4. 링 파일
(정답률: 39%)
  • DAM 파일은 데이터를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저장하는 파일 형식으로,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검색하고 접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시 함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전체적인 구조가 트리 형태로 되어 있고,두 레코드 타입간에는 하나의 관계만 허용되는 데이터 모델은?

  1. 관계 데이터 모델
  2.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3. 계층 데이터 모델
  4. 객체-관계 데이터 모델
(정답률: 57%)
  • 계층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를 트리 형태로 구성하며, 각 노드는 하나의 레코드 타입을 나타내고, 부모-자식 관계를 통해 레코드 타입 간의 관계를 표현합니다. 이 모델에서는 두 레코드 타입 간에는 하나의 관계만 허용되므로, 데이터의 구조가 단순하고 명확합니다. 따라서 이 모델은 데이터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데이터의 접근이 빠르고 쉬운 경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관계 데이터 모델에 관한 용어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애트리뷰트(attribute)란 테이블에서 열(column)을 의미한다.
  2. 카디널리티(cardinality)란 릴레이션에 포함되어 있는 애트리뷰트의 수를 의미한다.
  3. 도메인(domain)이란 애트리뷰트가 취할 수 있는 같은타입의 모든 원자값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4. 튜플(tuple)이란 테이블에서 하나의 레코드를 나타내는 행(row)을 의미한다.
(정답률: 64%)
  • 카디널리티(cardinality)란 릴레이션에 포함되어 있는 애트리뷰트의 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릴레이션에서 한 엔터티 타입의 인스턴스가 다른 엔터티 타입의 인스턴스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 회사는 여러 명의 직원을 고용할 수 있다"라는 관계에서 회사와 직원의 관계는 "한 회사는 여러 명의 직원을 고용할 수 있다"라는 카디널리티를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데이터베이스에서 아직 알려지지 않거나 모르는 값으로서"해당없음"등의 이유로 정보 부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특수한 데이터 값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원자값(atomic value)
  2. 참조값(reference value)
  3. 무결값(integrity value)
  4. 널값(null value)
(정답률: 85%)
  • 정답: 널값(null value)

    널값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 부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특수한 데이터 값이다. 이 값은 아직 알려지지 않거나 모르는 값으로서 "해당없음" 등의 이유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고객의 전화번호가 없는 경우에는 널값을 사용하여 정보 부재를 나타낼 수 있다. 널값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외부 정렬(external sort)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balanced sort
  2. cascade sort
  3. heap sort
  4. polyphase sort
(정답률: 55%)
  • 외부 정렬은 대용량 데이터를 메모리에 한 번에 올리지 않고,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나누어 메모리에 올리고 정렬하는 방식입니다. 이 중에서 heap sort는 메모리에 모든 데이터를 올려서 정렬하는 내부 정렬 알고리즘이기 때문에 외부 정렬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논리적 데이터 모델 중 오너-멤버(owner-member)관계를가지는 것은?

  1. E-R 모델
  2. 관계 데이터 모델
  3. 계층 데이터 모델
  4.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정답률: 71%)
  • 오너-멤버 관계는 계층 데이터 모델과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에서만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은 오너-멤버 관계를 더욱 유연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은 레코드 간의 다양한 관계를 표현할 수 있으며, 오너-멤버 관계 또한 이러한 관계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인접 행렬(adjacency matrix)에 대응되는 그래프(graph)를 그렸을 때,옳은 것은?

(정답률: 68%)
  • 정답은 ""이다.

    인접 행렬은 그래프의 각 정점들이 어떤 정점들과 연결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행렬이다. 이 그래프에서는 A, B, C, D, E, F 총 6개의 정점이 있으므로 6x6 크기의 인접 행렬이 필요하다.

    인접 행렬은 각 정점들을 행과 열로 나타내고, 해당 정점들이 연결되어 있으면 1,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0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A와 B가 연결되어 있으면 (A, B)와 (B, A) 두 곳에 1을 표시한다.

    따라서, 인접 행렬은 다음과 같다.

    ```
    A B C D E F
    A 0 1 1 0 0 0
    B 1 0 1 1 0 0
    C 1 1 0 1 1 0
    D 0 1 1 0 1 1
    E 0 0 1 1 0 1
    F 0 0 0 1 1 0
    ```

    이 인접 행렬에 대응되는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이 그래프는 인접 행렬에서 1로 표시된 부분들을 간선으로 연결한 것과 같다. 따라서, 인접 행렬과 그래프는 일대일 대응 관계에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본 테이블로 부터 유도되어 만들어지는 가상 테이블은?

  1. 시스템 카탈로그
  2. 스키마
  3. 데이터 디렉코리
(정답률: 86%)
  • 뷰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본 테이블로부터 유도되어 만들어지는 가상 테이블입니다. 즉,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테이블이 아니라, 기존의 테이블에서 필요한 데이터만 추출하여 새로운 테이블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은 어떠한 정렬 방법을 설명한 것인가?

  1. 2-way 합병 정렬
  2. 퀵 정렬
  3. 기수 정렬
  4. 버블 정렬
(정답률: 64%)
  • 주어진 배열을 반으로 나누어 각각을 재귀적으로 정렬한 후, 두 개의 정렬된 배열을 합쳐 전체를 정렬하는 방법이다. 이를 2-way 합병 정렬이라고 한다. 위 그림에서는 배열을 반으로 나누어 각각을 정렬한 후, 두 개의 정렬된 배열을 합쳐 전체를 정렬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문장의 빈칸에 적합한 용어는?

  1. model
  2. entity
  3. instance
  4. relation
(정답률: 57%)
  • 주어진 ER 다이어그램에서 각각의 도형은 개체(entity)를 나타내며, 이 개체들은 서로 관계(relation)를 맺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entity"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사용할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및 변경을 위해서 사용하는 데이터 언어는?

  1. SQL
  2. DCL
  3. DML
  4. DDL
(정답률: 56%)
  • DDL은 데이터 정의 언어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고 변경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즉, 테이블, 인덱스, 제약 조건 등을 생성, 수정, 삭제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SQL은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는 모든 유형의 언어를 포함하며, DCL은 데이터 제어 언어, DML은 데이터 조작 언어입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및 변경을 위해서는 DDL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선형 자료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리스트(list)
  2. 큐(queue)
  3. 데큐(deque)
  4. 그래프(graph)
(정답률: 82%)
  • 그래프는 비선형 자료구조이기 때문에 선형 자료구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그래프는 정점(vertex)과 간선(edge)으로 이루어진 자료구조로, 각 정점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그래프는 선형적인 구조가 아니며,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정규화(Normalization)는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나 처리에 영향을 주지 않고 논리적 처리 및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정규화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상(anomaly)현상,즉 잠재적인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다음 중 이상 현상의 형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삽입 이상 현상
  2. 링크 이상 현상
  3. 갱신 이상 현상
  4. 삭제 이상 현상
(정답률: 75%)
  • 링크 이상 현상은 정규화와는 관련이 없는 개념이다. 따라서 이상 현상의 형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이다.

    이상 현상은 삽입, 갱신, 삭제 이상 현상으로 나뉘는데, 삽입 이상 현상은 새로운 데이터를 삽입할 때 원하지 않는 데이터까지 함께 삽입되는 현상을 말하며, 갱신 이상 현상은 일부 데이터만 갱신되어 데이터의 불일치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삭제 이상 현상은 일부 데이터만 삭제되어 데이터의 불일치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이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정규화를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1. 데이터의 일관성 유지
  2. 데이터의 무결성 유지
  3. 데이터의 중복성 유지
  4. 데이터의 공유
(정답률: 78%)
  •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목적은 데이터의 일관성, 무결성, 공유 등을 보장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를 위함입니다. 하지만 데이터의 중복성은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데이터 일관성을 해치므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목적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중복성을 최소화하여 데이터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SQL의 기술이 옳지 않은 것은?

  1. SELECT FROM WHERE
  2. INSERT INTO VALUES
  3. UPDATE TO WHERE
  4. DELETE FROM WHERE
(정답률: 77%)
  • "UPDATE TO WHERE"는 올바른 SQL 구문이 아닙니다. 올바른 구문은 "UPDATE SET WHERE"입니다. "UPDATE TO WHERE"는 SET 절이 빠져있으며, 업데이트할 값을 지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한 프로그램에서 서브 프로그램을 Call한 후 되돌아 갈 주소를 보관할 때 사용되는 구조는?

  1. 스택(stack)
  2. 큐(queue)
  3. 데큐(deque)
  4. 트리(tree)
(정답률: 66%)
  • 서브 프로그램을 호출할 때마다 호출한 위치를 기억해야 하기 때문에 스택이 사용된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구조로 되어 있어서 가장 최근에 호출한 위치가 가장 먼저 반환되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호출한 위치를 저장하고 반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E-R 다이어그램의 구성요소와 표현방법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개체 타입 -사각형
  2. 관계 타입 -삼각형
  3. 속성 -타원
  4. 연결 -선
(정답률: 84%)
  • 관계 타입은 삼각형으로 표현합니다. 개체 타입은 사각형으로 표현하며, 속성은 타원으로 표현합니다. 연결은 선으로 표현합니다. 관계 타입은 개체 타입 간의 관계를 나타내며, 삼각형으로 표현하는 이유는 관계 타입이 개체 타입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계산기 구조

21. 논리식 Y=AB + AB'+A'B를 최소화 시킨 것은?

  1. AB
  2. A+B
  3. A+B'
  4. AB'
(정답률: 47%)
  • 논리식 Y=AB + AB'+A'B를 카르노 맵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B'
    A' 0 1 1 0
    A 1 1 0 0
    B
    ```

    카르노 맵에서 인접한 1들을 그룹화하면 Y=A+B가 된다.

    ```
    B'
    A' 0 1 1 0
    +--+--+--+
    A 1 |1 |0 |0
    +--+--+--+
    B | | |
    ```

    따라서 정답은 "A+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Compiler Language나 Assembly Language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지칭할 때 옳은 것은?

  1. Assembler
  2. Object Program
  3. Source Program
  4. Operating System Program
(정답률: 36%)
  • "Source Program"은 Compiler Language나 Assembly Language로 작성된 원시 코드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따라서 "Assembler"는 어셈블러, "Object Program"은 오브젝트 코드, "Operating System Program"은 운영 체제 프로그램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interrupt를 발생하는 모든 장치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은?

  1. step by step 방식
  2. serial encoder 방식
  3. interrupt register 방식
  4. daisy-chain 방식
(정답률: 54%)
  • Daisy-chain 방식은 interrupt를 발생하는 모든 장치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에서는 각 장치가 interrupt를 발생시키면 그 신호가 다음 장치로 전달되어 우선 순위를 결정합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고 저렴한 구조를 가지며, 우선 순위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유연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몇 개의 비트를 1로 하기 위해서는 그 장소에 x를 가진 데이터를 y 연산을 하면된다. 이 때 x와 y는?

  1. x=0, y→AND
  2. x=1,y→AND
  3. x=1,y→OR
  4. x=0,y→OR
(정답률: 53%)
  •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는 비트를 1로 만들기 위해서는 OR 연산을 사용해야 한다. OR 연산은 두 비트 중 하나라도 1이면 결과가 1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x는 1이 되어야 하고, y는 OR 연산을 해야 한다. "x=0, y→AND"는 두 비트가 모두 1일 때만 결과가 1이 되기 때문에 1로 만들 수 없다. "x=1,y→AND"는 두 비트가 모두 1일 때만 결과가 1이 되기 때문에 1로 만들 수는 있지만, OR 연산보다는 비효율적이다. "x=0,y→OR"는 x가 0이므로 결과가 항상 0이 되기 때문에 1로 만들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x=1,y→O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컴퓨터 사용자들이 자료의 내부적 표현 방식을 이해하여 사용할 수 있을 때의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직접 컴퓨터와 통신이 가능하다.
  2. 프로그래머 훈련이 필요하다.
  3. 프로그램 작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4. 디버깅(debugging)하는데 시간이 소요되지 않아 경제적이다.
(정답률: 40%)
  • 디버깅(debugging)하는데 시간이 소요되지 않아 경제적이 아닙니다. 자료의 내부적 표현 방식을 이해하는 것은 프로그래머 훈련이 필요하고, 프로그램 작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그러나 이를 이해하면 직접 컴퓨터와 통신이 가능해져 더욱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OP 코드 필드(Operation Code Field)가 4비트인 인스트럭션은 몇가지 종류의 인스트럭션을 생성할 수 있는가?

  1. 24
  2. 24-1
  3. 23
  4. 23-1
(정답률: 49%)
  • OP 코드 필드가 4비트이므로 2진수로 표현하면 0000부터 1111까지 총 16가지의 값이 가능하다. 이 중 하나는 예약되어 있으므로 실제로 사용 가능한 값은 15가지이다. 따라서 4비트 OP 코드 필드를 가진 인스트럭션은 15가지 종류의 인스트럭션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24-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주기억장치의 속도가 CPU의 속도에 비해 현저히 늦다. 명령어의 수행 속도를 CPU의 속도와 유사하도록 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기억장치는?

  1. Cache 기억장치
  2. Virtual 기억장치
  3. Segment 기억장치
  4. 복수 모듈 기억장치
(정답률: 75%)
  • Cache 기억장치는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CPU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나 명령어를 미리 저장해 놓는 기억장치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CPU가 데이터나 명령어를 필요로 할 때마다 주기억장치에 접근하는 것보다 빠르게 접근할 수 있어 명령어의 수행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CPU의 속도와 유사하게 데이터나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부동소수점 표현의 수치 자료 2개에 대하여 합산을 할 때 두자료의 지수 베이스(base)는 같고,지수 크기가 다르다면 지수를 어느 쪽에 일치시켜 계산해야 하는가?

  1. 지수가 큰 쪽에 일치시킨다.
  2. 지수가 작은 쪽에 일치시킨다.
  3. 어느 쪽에 일치시켜도 상관 없다.
  4. 큰 쪽과 작은 쪽의 평균 값에 일치시킨다.
(정답률: 56%)
  • 지수가 큰 쪽에 일치시키는 것이 좋은 이유는, 지수가 작은 쪽의 수치 자료는 지수가 큰 쪽의 수치 자료에 비해 매우 작은 값을 가지기 때문에, 이를 더할 경우에는 지수가 큰 쪽의 수치 자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수가 큰 쪽에 일치시키는 것이 더욱 정확한 계산을 할 수 있게 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Computer system에 예기치 않은 일이 발생했을 때 제어 프로그램에게 알려주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Interrupt
  2. PSW(Program Status Word)
  3. Problem state(처리프로그램 상태)
  4. Program library
(정답률: 75%)
  • Interrupt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예기치 않은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해당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해 제어 프로그램에게 제어를 넘기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예기치 않은 일이 발생했을 때 제어 프로그램에게 알려주는 것은 Interrupt입니다. PSW(Program Status Word)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상태 정보를 담고 있는 레지스터이며, Problem state는 처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gram library는 여러 프로그램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함수나 루틴 등의 모음을 말합니다. 이들은 예기치 않은 일이 발생했을 때 제어 프로그램에게 알려주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메이저 상태에서 인스트럭션의 종류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지는 상태는?

  1. fetch
  2. execute
  3. interrupt
  4. indirect
(정답률: 56%)
  • 메이저 상태에서는 CPU가 다음 실행할 명령어를 메모리에서 가져오는(fetch) 단계이다. 이때 CPU는 프로그램 카운터(PC)를 참조하여 다음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계산하고, 해당 주소에 있는 명령어를 메모리에서 가져와서 CPU 내부의 명령어 레지스터에 저장한다. 따라서 메이저 상태에서는 인스트럭션(fetch)의 종류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전자계산기는 대별해서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로 구분한다. 중앙처리장치의 구성 부분은?

  1. Input-Output,Memory,Arithmetic
  2. Input-Output,Control,Arithmetic
  3. Control,Memory,Arithmetic
  4. Control,Memory,Input-Output
(정답률: 43%)
  • 전자계산기의 중앙처리장치는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중앙처리장치는 제어장치(Control), 기억장치(Memory), 산술논리장치(Arithmetic)로 구성된다. 제어장치는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하며, 기억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 불러오는 역할을 한다. 산술논리장치는 입력된 데이터를 계산하고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Control,Memory,Arithmetic"이 중앙처리장치의 구성 부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과 같은 마이크로 동작은 어떠한 명령의 수행 과정을 나타내는 것인가?

  1. load to AC (accumulator)
  2. branch unconditionally
  3. AND to AC
  4. store AC
(정답률: 38%)
  • 이 마이크로 동작은 AC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을 메모리 주소 200에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store A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입출력 제어 장치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데이터 버퍼링
  2. 제어 신호의 논리적 변환
  3. DMA 제어
  4. 제어 신호의 물리적 변환
(정답률: 35%)
  • DMA 제어는 입출력 제어 장치의 역할이 아닙니다. DMA 제어는 메모리와 입출력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는 따로 구성된 제어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디스켓의 표면이 18sector 구역으로 나누어져 있고,1면에 40개의 트랙을 사용할 수 있다면, 이 디스크에는총 몇 kbyte를 저장할 수 있는가? (단,각 sector당 저장 능력은 500byte 이다. )

  1. 480
  2. 510
  3. 640
  4. 720
(정답률: 60%)
  • 한 sector당 500byte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18개의 sector는 18 x 500 = 9000byte를 저장할 수 있다.
    한 면에 40개의 트랙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40개의 트랙마다 9000byte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40 x 9000 = 360000byte = 360kbyte를 저장할 수 있다.
    정답은 "640"이 아니라 "720"이다. 이유는 1kbyte는 1024byte이므로, 360000byte를 1024로 나누면 약 351.56kbyte가 된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수인 720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인스트럭션의 연산자 부분이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스트럭션의 순서
  2. 인스트럭션의 형식
  3. 자료의 종류
  4. 연산자
(정답률: 17%)
  • 인스트럭션의 연산자 부분은 인스트럭션에서 수행할 연산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따라서 "인스트럭션의 순서"는 연산자 부분이 나타낼 수 없는 것이다. 인스트럭션의 순서는 프로그램 실행 시 인스트럭션들이 실행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에러(error)를 검출 및 교정을 할 수 있는 코드는?

  1. BCD
  2. ASCII
  3. Hamming Code
  4. Excess-3 Code
(정답률: 76%)
  • Hamming Code는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검출하고 교정할 수 있는 코드이다. 이 코드는 데이터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비트로 나누어 검사 비트를 추가하여 전송하며, 수신측에서는 검사 비트를 이용하여 에러를 검출하고 교정할 수 있다. 따라서 Hamming Code는 에러 검출 및 교정을 할 수 있는 코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조합 논리 회로는?

  1. 멀티플렉서
  2. 레지스터
  3. 카운터
  4. RAM
(정답률: 67%)
  • 멀티플렉서는 여러 개의 입력 중에서 하나의 출력을 선택하는 논리 회로이다. 따라서 입력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보기인 레지스터, 카운터, RAM은 입력 신호를 저장하거나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합 논리 회로 중에서 멀티플렉서가 선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입출력 장치와 기억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입·출력 제어기가 필요한 가장 중요한 이유는?

  1. 동작속도
  2. 인터럽트
  3. 정보의 단위
  4. 메모리의 관리
(정답률: 50%)
  • 입출력 장치와 기억장치는 각각 다른 속도로 동작하며, 이들 간의 데이터 전송은 입·출력 제어기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입·출력 제어기의 동작속도가 매우 중요하다. 입·출력 제어기가 빠르게 동작하지 않으면 데이터 전송이 지연되어 전체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입·출력 제어기의 동작속도는 시스템의 전체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interrupt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hardware 착오시 발생된다.
  2. operator가 임의로 발생시킬 수 없다.
  3. program 착오시 발생된다.
  4. 주변장치의 입·출력 요청시 발생된다.
(정답률: 54%)
  • operator가 임의로 interrupt를 발생시킬 수 없는 이유는, interrupt는 하드웨어나 주변장치의 입·출력 요청 등과 같이 외부적인 이유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interrupt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강제로 변경시키는 것으로, 이를 발생시키는 것은 프로그램 내부에서 제어할 수 없는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operator가 임의로 interrupt를 발생시킬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임의접근(random access)이 가능하지 않은 것은?

  1.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
  2. 자기 드럼(magnetic drum)
  3.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4. 자기 코어(magnetic core)
(정답률: 52%)
  • 자기 테이프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고 쓰는 방식으로, 임의접근이 불가능합니다. 즉, 특정 위치의 데이터를 바로 찾아가는 것이 불가능하며, 처음부터 순서대로 읽어나가야 합니다. 따라서 자기 테이프는 임의접근이 불가능한 저장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시스템분석설계

41. 새로운 시스템 완성 후에 실시되는 시스템 평가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이용 부분의 만족도 분석
  2. 시스템 분석가의 만족도 분석
  3. 프로그램의 정확성과 효율성 분석
  4. 개발비와 운용 비용의 분석
(정답률: 42%)
  • 시스템 분석가의 만족도 분석은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만족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은 방법이다. 시스템 평가는 사용자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부분의 만족도 분석과 프로그램의 정확성과 효율성 분석, 그리고 개발비와 운용 비용의 분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자료 사전(Data Dictionary)에서 반복을 의미하는 기호는?

  1. +
  2. {}
  3. [ ]
  4. ()
(정답률: 61%)
  • "{}" 기호는 중괄호로, 자료 사전에서 반복을 의미하는 기호입니다. 이 기호 안에 있는 값은 0번 이상 반복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2,3}은 1, 2, 3 중 하나 이상을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는 값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보기와 같이 주로 도서 분류코드에 사용되는 코드는 ?

  1. 10진코드
  2. 순서코드
  3. 문자코드
  4. 분류코드
(정답률: 53%)
  • 보기에서 주어진 코드는 10진코드로, 0부터 9까지의 숫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코드는 주로 도서 분류코드에 사용되며, 각각의 숫자는 특정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책의 분류를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은 철학, 2는 종교, 3은 사회과학 등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람바우(Rumbaugh)객체 지향 분석의 모델링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동적(dynamic)모델링
  2. 클래스(class)모델링
  3. 객체(object)모델링
  4. 기능(functional)모델링
(정답률: 40%)
  • 클래스(class) 모델링은 람바우 객체 지향 분석의 모델링 방법 중 하나이지만, 다른 모델링 방법들과는 달리 정적(static) 모델링에 해당한다. 따라서 클래스(class) 모델링은 이 문제에서 제외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HIPO 패키지의 3단계 구성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도식 목차(visual table of contents)
  2. 총괄 도표(overview diagram)
  3. 상세 도표(detail diagram)
  4. 구조 도표(structure diagram)
(정답률: 47%)
  • HIPO 패키지의 3단계 구성은 도식 목차, 총괄 도표, 상세 도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구조 도표는 HIPO 패키지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개념으로, 따라서 3단계 구성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구조 도표는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표로, HIPO 패키지와는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시스템 개발주기의 시스템 개발 단계순서로 적합한 것은?

  1. ②④③①⑥⑤
  2. ②④①③⑥⑤
  3. ①②③④⑥⑤
  4. ①②④③⑤⑥
(정답률: 86%)
  • 시스템 개발주기의 단계는 계획, 분석, 설계, 구현, 시험, 유지보수로 구성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계획 단계입니다. 따라서 ①이 가장 먼저 오게 됩니다. 그 다음으로는 분석 단계가 오게 되는데, 이는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파악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②가 그 다음으로 오게 됩니다. 그 다음으로는 설계 단계가 오게 되는데, 이는 시스템의 구조를 설계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④가 그 다음으로 오게 됩니다. 그 다음으로는 구현 단계가 오게 되는데, 이는 설계한 시스템을 실제로 개발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①②④의 순서가 이어집니다. 그 다음으로는 시험 단계가 오게 되는데, 이는 구현한 시스템이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지 검증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③이 그 다음으로 오게 됩니다. 마지막으로는 유지보수 단계가 오게 되는데, 이는 시스템이 운영되는 동안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개선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⑥이 가장 마지막으로 오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②④①③⑥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객체지향 개념에서 이미 정의되어 있는 상위 클래스(수퍼 클래스 혹은 부모 클래스)의 메소드를 비롯한 모든 속성을 하위 클래스가 물려 받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abstraction
  2. method
  3. inheritance
  4. message
(정답률: 62%)
  • 상속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하위 클래스가 상위 클래스의 속성과 메소드를 물려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이 향상되며, 상위 클래스의 기능을 하위 클래스에서 확장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inheritance"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부여된 코드를 실제로 사용하는 단계에서 '781356'을 '783156'으로 오류(Error)가 발생되었을 때, 어떤 오류에 해당하는가?

  1. Transcription Error
  2. Transposition Error
  3. Double Transposition Error
  4. Random Error
(정답률: 69%)
  • 정답: Transposition Error

    해설: Transposition Error은 숫자나 문자의 위치가 바뀌어서 발생하는 오류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781356'을 '783156'으로 잘못 입력하는 경우, 3과 5의 위치가 바뀌어서 Transposition Error가 발생한 것입니다. 이와 같은 오류는 수기로 작성된 문서를 전산화하는 과정에서 자주 발생하며, 데이터 입력 시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표처리에서 원장 또는 대장에 해당되는 파일로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며 기본이 되는 데이터의 축적파일은?

  1. 마스터 파일(Master file)
  2. 트랜잭션 파일(Transaction file)
  3. 히스토리 파일(History file)
  4. 섬머리 파일(Summary file)
(정답률: 61%)
  • 마스터 파일은 전표처리에서 원장 또는 대장에 해당되는 파일로서, 기본이 되는 데이터의 축적파일입니다. 다른 파일들은 마스터 파일에서 발생한 변동사항을 기록하거나 요약하는 역할을 하지만, 마스터 파일은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여 전체 데이터의 기초가 되는 파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마스터 파일(Master fil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코드 설계의 순서가 가장 적절한 것은?

  1. 대상선택-코드표작성-코드설계-범위와 기간설정
  2. 대상선택-범위와 기간설정-코드설계-코드표작성
  3. 대상선택-범위와 기간설정-코드표작성-코드설계
  4. 대상선택-코드설계-범위와 기간설정-코드표작성
(정답률: 46%)
  • 코드 설계는 대상을 선택하고 범위와 기간을 설정한 후에 진행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대상선택과 범위와 기간설정이 먼저 이루어진 후에 코드설계와 코드표작성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대상선택-범위와 기간설정-코드설계-코드표작성"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소프트웨어 개발주기 모델의 하나인 폭포수형(waterfall) 모델에서 개발될 소프트웨어에 대한 전체적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조, 제어구조, 자료구조의 개략적인 설계를 작성하는 단계는?

  1. 타당성조사 단계
  2. 기본설계 단계
  3. 상세설계 단계
  4. 계획과 요구사항 분석단계
(정답률: 61%)
  • 기본설계 단계는 폭포수형 모델에서 개발될 소프트웨어의 전체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계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조, 제어구조, 자료구조 등을 설계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전체적인 시스템의 구조를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세설계 단계에서 구체적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구조적 프로그램의 기본 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순차(sequence) 구조
  2. 반복(repetition)구조
  3. 조건(condition)구조
  4. 입,출력(input-output) 구조
(정답률: 50%)
  • 입,출력(input-output) 구조는 구조적 프로그램의 기본 구조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는 프로그램이 입력을 받고 출력을 내보내는 구조를 의미합니다. 다른 세 가지 구조인 순차, 반복, 조건 구조는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코드의 기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식별기능
  2. 검색기능
  3. 분류기능
  4. 배열기능
(정답률: 41%)
  • 다른 기능들은 데이터를 식별하거나 분류하거나 배열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지만, 검색기능은 데이터를 찾는 것이 주요 기능이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른 모듈 내의 외부 선언을 하지 않은 자료를 직접 참조하므로 의존도가 대단히 높고, 순서 변경이 다른 모듈에 영향을 주기 쉬운 모듈 결합도에 해당하는 것은?

  1. 제어 결합
  2. 외부 결합
  3. 공통 결합
  4. 내용 결합
(정답률: 46%)
  • 내용 결합은 다른 모듈 내의 자료나 함수를 직접 참조하여 의존도가 높고, 순서 변경이 다른 모듈에 영향을 주기 쉬운 결합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다른 모듈 내의 외부 선언을 하지 않은 자료를 직접 참조하므로 내용 결합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마스터 파일 내의 데이터를 트랜젝션 파일로 추가, 정정, 삭제하여 항상 최근의 정보를 갖도록 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정렬(sort)
  2. 갱신(update)
  3. 병합(merge)
  4. 대조(matching)
(정답률: 84%)
  • 마스터 파일은 기업이나 조직에서 가장 중요한 데이터를 담고 있는 파일로, 이 파일의 정보가 항상 최신 상태여야 합니다. 따라서 마스터 파일 내의 데이터를 추가, 수정, 삭제하여 최신 정보를 유지하는 것을 갱신(update)이라고 합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작업 중 하나이며,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갱신(updat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발생한 데이터를 전표상에 기록하고,일정한 시간 단위로 일괄 수집하여 입력매체에 수록하는 입력 형식은?

  1. 분산매체화 시스템
  2. 집중매체화 시스템
  3. 턴 어라운드 시스템(turn around)
  4. 온라인 단말기의 입력시스템
(정답률: 58%)
  • 집중매체화 시스템은 발생한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 단위로 일괄 수집하여 입력매체에 수록하는 방식이다. 이는 분산매체화 시스템과는 달리 데이터를 중앙 집중적으로 처리하므로 데이터의 일관성과 통제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발생한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집중매체화 시스템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컴퓨터 입력 단계의 체크 중 입력 데이터가 규정된 범위내에 수록되어 있는가를 체크하는 방법은?

  1. 숫자 검사(numeric check)
  2. 한계 검사(limit check)
  3. 레코드 개수 검사(record count check)
  4. 형식 검사(format check)
(정답률: 71%)
  • 한계 검사는 입력 데이터가 규정된 범위 내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입력값이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에 있는지를 검사하여 범위를 벗어나면 오류를 발생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입력값이 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문서화의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 관리의 효율화
  2. 소프트웨어 이관의 용이함
  3. 시스템 유지보수의 효율화
  4. 시스템 개발과정의 요식행위화
(정답률: 69%)
  • 시스템 개발과정의 요식행위화는 문서화의 목적이 아닙니다. 올바른 목적은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 관리의 효율화, 소프트웨어 이관의 용이함, 시스템 유지보수의 효율화입니다. 문서화는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이해도를 높이고, 개발자들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며,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등의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시스템의 기본 요소 중에서 처리결과를 평가하여 불충분한 경우,목적 달성을 위해 반복 처리하는 요소는?

  1. process
  2. feed back
  3. output
  4. input
(정답률: 73%)
  • "feed back"은 처리결과를 평가하여 불충분한 경우, 목적 달성을 위해 반복 처리하는 요소인데, 이는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하며, 시스템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feed back"은 시스템의 기본 요소 중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모듈의 독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결합도와 응집도는?

  1. 결합도는 약하고 응집도는 강해야 한다.
  2. 결합도는 강하고 응집도는 약해야 한다.
  3. 결합도와 응집도가 강해야 한다.
  4. 결합도와 응집도가 약해야 한다.
(정답률: 56%)
  • 모듈의 독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모듈 간의 상호작용이 최소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결합도는 약하고 응집도는 강해야 합니다. 결합도가 약하다는 것은 다른 모듈과의 의존성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며, 응집도가 강하다는 것은 모듈 내부의 기능들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모듈 내부의 기능들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면 모듈의 기능을 변경하거나 유지보수할 때 다른 기능들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결합도는 약하고 응집도는 강한 모듈을 설계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운영체제

61. 페이지 교체 기법 중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할 페이지로 선택하는 기법은?

  1. LFU
  2. LRU
  3. NUR
  4. FIFO
(정답률: 54%)
  • LRU는 Least Recently Used의 약자로,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이다. 이는 페이지 교체 기법 중에서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함으로써, 메모리 내의 페이지 교체를 최적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LRU가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할 페이지로 선택하는 기법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분산처리시스템을 설계하는 이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처리량 증가
  2. 자원공유
  3. 보안성 향상
  4. 신뢰성 향상
(정답률: 63%)
  • 분산처리시스템을 설계하는 이유 중 보안성 향상은 해당하지 않는다. 분산처리시스템은 처리량 증가, 자원공유, 신뢰성 향상 등의 이점을 제공하지만, 보안성 향상은 분산처리시스템을 설계하는 목적이 아니다. 보안성 향상은 보안 기술을 적용하여 보안 위협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UNIX 파일 시스템에서 inode에 포함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파일 소유자의 사용자 식별
  2. 파일의 크기
  3. 파일이 사용된 시간대별 내역
  4. 파일의 내용이 담긴 디스크상의 실제 주소
(정답률: 46%)
  • 파일이 사용된 시간대별 내역은 inode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파일의 접근 시간, 수정 시간, 변경 시간 등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정보는 파일 시스템에서 따로 관리되며, stat 명령어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inode에는 파일 소유자의 사용자 식별, 파일의 크기, 파일의 내용이 담긴 디스크상의 실제 주소 등이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분산처리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 업무를 여러 컴퓨터로 작업을 분담시킴으로서 처리량을 높일 수 있다.
  2. 지리적인 업무는 자체에서 처리한다.
  3. 분산 시스템내의 각 컴퓨터간에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4. 사용자는 각 컴퓨터들이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 알아야 한다.
(정답률: 62%)
  • 사용자는 각 컴퓨터들이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 알아야 한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이는 분산처리 시스템의 내부 동작과는 관련이 없으며, 사용자는 분산처리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특별한 지식이나 기술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선점형(preemption) 스케쥴링에 해당하는 것은?

  1. FIFO
  2. RR(Round Robin)
  3. SJF
  4. HRN
(정답률: 53%)
  • 선점형 스케쥴링은 CPU가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중단하고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방식이다. 이 중에서 RR(Round Robin)은 시간 할당량(Time Quantum)을 정해놓고, 해당 시간이 지나면 다른 프로세스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선점형 스케쥴링에 해당한다. 따라서 RR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하나의 프로세스가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들의 집합을 무엇이라 하는가?

  1. locality
  2. working set
  3. segment
  4. fragmentation
(정답률: 73%)
  • 정답은 "working set"입니다.

    프로세스가 실행될 때, 일부 페이지들은 자주 참조되고, 일부 페이지들은 거의 참조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때, 자주 참조되는 페이지들의 집합을 "working set"이라고 합니다.

    "locality"는 프로세스가 특정 시간 동안 일부 자원에 집중되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segment"는 메모리 관리에서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을 분할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fragmentation"은 메모리 공간이 작은 조각으로 나뉘어져서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이 어려워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가변분할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하나의 작업이 끝났을 때,그 저장 장치가 다른 비어있는 저장 장소와 인접되어 있는지를 점검한다. 이 때 인접한 공백들을 하나의 공백으로 합하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교체(Swapping)
  2. 단편화(Segmentation)
  3. 집약(Compaction)
  4. 통합(Coalescing)
(정답률: 54%)
  • 통합(coalescing)은 가변분할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작업이 끝난 후 인접한 공백들을 하나의 공백으로 합치는 과정을 말한다. 이를 통해 단편화를 줄이고 더 큰 공간을 할당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통합(coalescin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시스템에서는 어떤 자원을 기다린 시간에 비례하여 프로세스에게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에이징(aging)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이는 어떤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가?

  1. 교착상태(dead lock)
  2. 무한연기(indefinite postponement)
  3. 세마포어(semaphore)
  4. 임계구역(critical section)
(정답률: 43%)
  • 에이징 기법을 적용하지 않으면 자원을 기다리는 프로세스가 계속해서 우선순위가 낮아져서 무한히 기다리는 무한연기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에이징 기법을 적용하여 자원을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우선순위를 높여서 무한연기 현상을 방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UNIX에서 사용자 명령의 입력을 받아 시스템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 해석기로서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것은?

  1. 커널(Kernel)
  2. 쉘(Shell)
  3. 유틸리티(Utility)
  4. 포트(Port)
(정답률: 60%)
  • 쉘은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해석하고, 이를 커널에 전달하여 시스템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즉,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유틸리티를 실행하거나 파일을 관리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쉘은 UNIX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프로그램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기억장치 관리 기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프로세스들은 기억 장치 내의 정보를 균일하게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국부적인 부분만을 집중적으로 참조한다는 개념을 의미하는 것은?

  1. 참조성(Reference)
  2. 페이징(Paging)
  3. 구역성(Locality)
  4. 세그먼테이션(Segmentation)
(정답률: 59%)
  • 구역성(Locality)은 프로세스가 기억 장치 내에서 국부적인 부분만을 집중적으로 참조한다는 개념을 의미합니다. 이는 프로세스가 일반적으로 최근에 참조한 정보나 주변에 있는 정보를 더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기억장치 관리 기법에서는 이러한 구역성을 고려하여 프로세스가 더 빠르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기억장치를 관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일반적(general)인 로더(loader)에 가장 가까운 것은?

  1. compile-and-go loader
  2. direct linking loader
  3. absolute loader
  4. direct loader
(정답률: 33%)
  • 일반적인 로더는 컴파일된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로드하고 실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도 "direct linking loader"는 컴파일된 프로그램의 모든 외부 참조를 실제 메모리 주소로 바로 링크하여 실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로더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로더와 가장 가깝고,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로더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교착상태(Deadlok)의 필요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mutual exclusion
  2. circular wait
  3. preemption
  4. hold and wait
(정답률: 53%)
  • 교착상태의 필요조건은 상호배제, 순환대기, 보유대기, 비선점이다. 그 중에서 "preemption"은 교착상태의 필요조건이 아니다. "preemption"은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의 자원을 선점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preemption"은 교착상태를 예방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은행원 알고리즘(banker's algorithm)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교착상태 지연
  2. 교착상태 발견
  3. 교착상태 회피
  4. 교착상태 회복
(정답률: 60%)
  • 은행원 알고리즘은 교착상태 회피를 위한 알고리즘이다. 이 알고리즘은 프로세스가 자원을 요청할 때 시스템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지를 검사하여 교착상태를 회피한다. 따라서 은행원 알고리즘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교착상태 회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암호법(cryptography)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2. DES 알고리즘
  3. 공용키시스템(public key system)
  4. RSA 알고리즘
(정답률: 42%)
  • 암호학은 데이터 보호와 관련된 기술이며, DES 알고리즘과 RSA 알고리즘, 공용키시스템 등은 암호학에서 사용되는 암호화 기술입니다. 반면,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는 컴퓨터 아키텍처의 한 종류로, 명령어 집합이 간소화되어 있어 실행 속도가 빠르고 전력 소모가 적은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RISC는 암호학과는 거리가 먼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기억장치 관리전략 중 최적 적합(best-fit)방법으로 배치할 때 그림에서 처럼 13K를 요구할 경우 어느 위치에 배치되는가?(오래된 자료라 그림파일이 없습니다. 2번 체크 하시면 정답 처리 됩니다.^_____^;;)

  1. (1)
  2. (2)
  3. (3)
  4. (4)
(정답률: 71%)
  • (2)번 위치에 배치된다.

    최적 적합 방법은 사용 가능한 가장 작은 공간에 프로세스를 배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13K를 요구하는 프로세스는 사용 가능한 가장 작은 공간인 16K 중에서 가장 작은 공간인 13K에 배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어떤 프로세스가 실행에 필요한 수 만큼의 프레임을 갖지 못하여 빈번한 페이지 부재(page fault)의 발생으로 프로그램 수행에 보내는 시간보다 페이지 교환에 보내는 시간이 더 큰 현상은?

  1. 요구 페이징(demand paging)
  2. 스래싱(thrashing)
  3. 단편화 (fragmentation)
  4. 블록킹(blocking)
(정답률: 66%)
  • 스래싱은 프로세스가 필요로 하는 페이지 프레임 수보다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페이지 프레임 수가 적어져서 빈번한 페이지 부재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페이지 교환 작업이 늘어나서 결국에는 프로그램 수행 시간보다 페이지 교환에 보내는 시간이 더 많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CPU가 페이지 교환 작업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어 전반적인 시스템 성능이 저하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인터럽트 종류와 발생원인에 대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1. 기계검사 인터럽트는 기계에 고장이 생겼을 때 발생한다.
  2. 재시작 인터럽트는 수행중인 프로세스가 0 으로 나누거나 기타 허용되지 않은 명령문을 실행할 때 발생한다.
  3. 외부 인터럽트는 인터럽트 시계에서 일정한 시간이 만기가 된 경우 등일 때 발생한다.
  4. 입출력 인터럽트는 입출력 하드웨어가 발생시킨다.
(정답률: 37%)
  • "기계검사 인터럽트는 기계에 고장이 생겼을 때 발생한다."는 다른 인터럽트와 달리 발생원인이 하드웨어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거리가 먼 설명이다.

    재시작 인터럽트는 수행중인 프로세스가 0으로 나누거나 기타 허용되지 않은 명령문을 실행할 때 발생한다. 이는 프로그램 실행 중 발생하는 소프트웨어적인 문제로,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효율적인 입출력을 위하여 고속의 CPU와 저속의 입출력장치가 동시에 독립적으로 동작하게 하여 아주 높은 효율로 여러 작업을 병행 작업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가져올 수 있게 하는방법은?

  1. 버퍼링
  2. 스와핑
  3. 스풀링
  4. 페이징
(정답률: 54%)
  • 스풀링은 입출력장치와 CPU 사이에서 버퍼 역할을 하는 스풀 버퍼를 이용하여 입출력 작업을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CPU와 입출력장치가 독립적으로 동작하면서도 작업을 병행할 수 있어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풀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운영체제의 기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2. 자원 스케쥴링
  3. 데이터의 공유
  4. 원시 프로그램을 목적 프로그램으로 변환
(정답률: 65%)
  • 운영체제의 기능 중에서 "원시 프로그램을 목적 프로그램으로 변환"은 컴파일러와 관련된 기능으로, 소스 코드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는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중요한 단계 중 하나이며, 운영체제가 이를 수행함으로써 프로그램 실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다른 기능들은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 자원 관리, 데이터 공유 등과 관련된 것들이므로, "원시 프로그램을 목적 프로그램으로 변환"은 이들과는 거리가 먼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UNIX에서 파일 시스템은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지는가?

  1. 그래프 구조
  2. 계층적 트리 구조
  3. 배열 구조
  4. 네트워크 구조
(정답률: 68%)
  • UNIX 파일 시스템은 계층적 트리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파일과 디렉토리가 부모-자식 관계를 가지며, 최상위 디렉토리인 루트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이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파일과 디렉토리를 쉽게 찾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며, 파일 시스템의 구성과 관리를 용이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정보통신개론

81. 정보통신시스템의 기본 구성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

  1. 다중변환장치
  2. 가입자단말장치
  3. 신호변환장치
  4. 통신제어장치
(정답률: 35%)
  • 다중변환장치는 정보통신시스템의 기본 구성요소 중 하나이지만, 다른 요소들과는 달리 신호를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가입자단말장치는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신호변환장치는 서로 다른 통신망 간에 신호를 변환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통신제어장치는 시스템 내에서 통신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다중변환장치는 다른 요소들과는 달리 신호를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정보통신시스템의 기본 구성요소 중에서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네크워크 종단(end)시스템간의 데이터를 일관성있게 전송해 주는 OSI 계층은 ?

  1. 응용계층
  2. 네트워크계층
  3. 트랜스포트계층
  4. 물리계층
(정답률: 50%)
  • 트랜스포트 계층은 종단 시스템 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며, 데이터의 일관성과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이를 위해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과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할하고, 전송 중 손실된 데이터를 재전송하며, 순서를 보장합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전송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OSI 모델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인터넷에서 사용하고 있는 통신용 프로토콜은 ?

  1. IEEE 802
  2. TCP/IP
  3. CAT 5
  4. 10 Base T
(정답률: 67%)
  •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통신은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는데, 이를 관리하기 위해 TCP/IP 프로토콜이 사용됩니다. TCP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고, IP는 데이터의 경로를 결정하여 전송합니다. 따라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TCP/IP 프로토콜이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발신가입자로부터 수신자까지의 모든 전송,교환과정이 디지털방식으로 처리되며,음성과 비음성,영상등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처리하는 통신망은 ?

  1. PSDN
  2. VAN
  3. ISDN
  4. PSTN
(정답률: 49%)
  • ISDN은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의 약자로, 음성, 데이터, 영상 등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디지털 방식으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따라서 발신가입자로부터 수신자까지의 모든 전송, 교환과정이 디지털 방식으로 처리되며,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PSDN은 Packet Switched Data Network, VAN은 Value Added Network, PSTN은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의 약자로, 이들은 ISDN과 달리 디지털 방식이 아닌 아날로그 방식으로 통신을 처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위성통신의 장점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통신용량 증대
  2. 에러율의 감소
  3. 우수한 전송품질
  4. 통신비밀 보장유지
(정답률: 55%)
  • 위성통신은 통신용량을 증대시키고, 에러율을 감소시키며, 우수한 전송품질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위성통신은 지상선보다 더 많은 보안 위협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통신비밀 보장유지에는 적절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뉴미디어의 특징이라고 볼 수 없는 사항은 ?

  1. 단방향성
  2. 네트워크화
  3. 분산적
  4. 특정 다수자
(정답률: 75%)
  • 단방향성은 뉴미디어의 특징이 아니라 기존의 미디어에서 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뉴미디어는 사용자와 컨텐츠 제작자 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양방향성이 강조된다. 따라서 "단방향성"은 뉴미디어의 특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그림과 같은 네트워크 형상(Topology)에 해당되는 것은

  1. 성(star)형
  2. 버스(Bus)형
  3. 로터리(Rotary)형
  4. 링(Ring)형
(정답률: 59%)
  • 네트워크가 링(Ring)형이라는 것은 모든 장치들이 일렬로 연결되어 있고, 마지막 장치와 첫 번째 장치가 연결되어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는 한 방향으로만 전송되며, 모든 장치가 동일한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초당 발생한 신호의 변화 상태로 나타내는 변조속도의 기본 단위는?

  1. 비트(bit)
  2. 보(baud)
  3. 패킷(packet)
  4. 셀(cell)
(정답률: 54%)
  • 보(baud)는 초당 전송되는 신호의 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비트(bit)는 정보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변조속도를 나타내는 기본 단위는 보(baud)입니다. 예를 들어, 1초에 1000개의 신호가 전송되면 변조속도는 1000보(baud)이며, 이때 전송되는 정보의 양은 비트(bit)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정보통신시스템의 서비스중 통신처리기능을 가장 적합하게 설명한 것은 ?

  1. 전자우편,통신망관리 체계의 기능
  2. 속도, 프로토콜 및 미디어 변환기능
  3. 각종 연산처리,데이터베이스갱신 및 검색기능
  4. 전송회선,교환 및 다중화 기능
(정답률: 18%)
  • 통신처리기능은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과정에서 속도, 프로토콜 및 미디어 변환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는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하고 다양한 프로토콜과 미디어 형식을 변환하여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속도, 프로토콜 및 미디어 변환기능"이 정보통신시스템의 서비스중 통신처리기능을 가장 적합하게 설명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정보통신을 위해 한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과 통신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 규약은 ?

  1. 인터페이스
  2. 통신소프트웨어
  3. 통신프로토콜
  4. 통신처리
(정답률: 72%)
  • 통신 규약은 서로 다른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일관성 있게 처리하기 위한 규칙이며, 이를 통신프로토콜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통신프로토콜은 정보통신을 위해 한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과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인터페이스는 시스템 간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통신소프트웨어는 통신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의미합니다. 통신처리는 통신을 처리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통신회선 구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멀티 드롭에 사용되는 터미널은 주소 판단 기능과 데이터 블록을 일시 저장할 수 있는 버퍼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2. 다중화 방식에서 통신회선의 고장시 고장지점 이후의 터미널은 모두 운영 불능에 빠지는 단점이 있다.
  3.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은 멀티 드롭 방식보다 모뎀의 시설 수량을 줄일 수 있다.
  4. 멀티 포인트 방식을 멀티 드롭 방식이라고도 한다.
(정답률: 31%)
  •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은 멀티 드롭 방식보다 모뎀의 시설 수량을 줄일 수 있다."가 틀린 설명이다.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은 각 단말기마다 전용 회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모뎀의 시설 수량이 더 많이 필요하다. 멀티 드롭 방식은 여러 단말기를 한 회선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모뎀의 시설 수량을 줄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홀수패리티가 부가된 7비트 ASCII 코드 D(1000001)의 송신 데이터는?

  1. 1000010
  2. 0100001
  3. 10000011
  4. 11000010
(정답률: 38%)
  • 홀수패리티란 전송되는 데이터의 이진수 값에서 1의 개수가 홀수인지 짝수인지에 따라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는 방식입니다.

    D(1000001)의 이진수 값에서 1의 개수는 2개이므로 짝수입니다. 따라서 홀수패리티를 부가하기 위해 1을 추가해줍니다.

    D(1000001) + 홀수패리티 = 10000011

    따라서 정답은 "1000001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ISDN서비스중 실제로 단말을 조작하고 통신하는 이용자측에서 본 서비스는?

  1. 텔리서비스
  2. 베어러서비스
  3. 부가서비스
  4. D채널 비접속서비스
(정답률: 43%)
  • 텔리서비스는 실제로 단말을 조작하고 통신하는 서비스로, 전화기나 팩스 등을 사용하여 음성통화나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습니다. 베어러서비스는 회선을 연결하는 기술적인 서비스이며, 부가서비스는 통신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D채널 비접속서비스는 ISDN 회선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는 서비스입니다. 따라서, 실제로 단말을 조작하고 통신하는 이용자측에서 본 서비스는 텔리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패킷(Packet)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

  1. 회선교환방식에 주로 사용되며, 주 스테이션 사이에 통신을 할 수 있는 경로가 제공되는 경우를 말한다.
  2. 전송 혹은 다중화의 목적으로 메시지를 정해진 크기의 비트 수로 나눈 다음 정해진 형식에 맞추어 만들어진 데이터의 블럭이다.
  3. 버스형망, 환형망, 성형망, 망형망 등의 어떤 망구조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교환방식에 가장 적합한 전송회선이다.
  4. 경로 변경방식에 따라 교환기,통신회선 등의 장애가 발생할 경우에도 대체 경로를 선택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의 신뢰성은 매우 낮다.
(정답률: 45%)
  • 전송 혹은 다중화의 목적으로 메시지를 정해진 크기의 비트 수로 나눈 다음 정해진 형식에 맞추어 만들어진 데이터의 블럭이다. 이는 패킷(Packet)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ISDN의 사용자 망 인터페이스에서 기준점이 아닌것은 ?

  1. Terminal(T)
  2. Rate(R)
  3. Terminal Adapter(TA)
  4. System(S)
(정답률: 36%)
  • ISDN의 사용자 망 인터페이스에서 기준점은 Terminal(T)이다. Terminal은 ISDN을 사용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Rate(R)은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매개변수이며, System(S)은 ISDN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장비를 의미한다. 따라서 기준점이 아닌 것은 Terminal Adapter(TA)이다. TA는 ISDN 단말기와 네트워크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비로, 기준점이 아니라 단말기와 네트워크 간의 중개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HDLC(High level Data Link Control)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 흐름 및 오류제어를 위한 방식으로 ARQ를 사용할 수 있다.
  2. 링크는 점대점,다중점,및 루프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3. 특정 문자 코드에 따라서 필드의 해석이 달라지므로 코드에 의존성을 갖는다.
  4. 단방향, 반이중, 전이중 방식의 통신방식을 제공한다.
(정답률: 54%)
  • "특정 문자 코드에 따라서 필드의 해석이 달라지므로 코드에 의존성을 갖는다."는 HDLC 프로토콜에 대한 옳지 않은 설명이 아니라 옳은 설명이다. HDLC 프로토콜은 특정 문자 코드에 따라 필드의 해석이 달라지므로 코드에 의존성을 갖는다. 이는 호환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통신망의 형태란 통신망 내에 위치한 여러 장치들 사이의 연결 모양을 지칭하는데 다음 중에서 대표적인 통신망 형태가 아닌 것은?

  1. 스타형(Star)
  2. 링형(Ring)
  3. 사각형(Square)
  4. 버스형(Bus)
(정답률: 78%)
  • 사각형은 대표적인 통신망 형태가 아닙니다. 왜냐하면 통신망은 일반적으로 중앙 집중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타형, 링형, 버스형 등의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사각형은 특별한 의미가 없는 형태이기 때문에 대표적인 통신망 형태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미국의 군사용방공시스템으로 사용된 최초의 데이터통신시스템은 ?

  1. ARPA
  2. CTSS
  3. SABRE
  4. SAGE
(정답률: 4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ISDN의 베어러 서비스에 해당되는 것은 ?

  1. 델레텍스
  2. 혼합모드
  3. 비디오텍스
  4. 회선교환
(정답률: 35%)
  • ISDN의 베어러 서비스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물리적인 회선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이를 위해 회선교환 방식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회선교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정보통신시스템에서 전송방식에 따라 직렬병렬과 병렬전송이 있다. 이 두가지 전송방법중 실제 정보통신 시스템에서 직렬전송방식을 채택하는 이유는 ?

  1. 전송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2. 터미널의 구성이 간단하기 때문이다
  3. 전송매체의 구성비용이 적게들기 때문이다
  4. 에러(오류)정정이 쉽기 때문이다
(정답률: 33%)
  • 직렬전송방식은 전송매체를 하나의 선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병렬전송방식보다 전송매체의 구성비용이 적게 듭니다. 따라서 정보통신 시스템에서는 비용 절감을 위해 직렬전송방식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