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5-29)

정보처리산업기사
(2005-05-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데이터 베이스

1. 내장 SQL문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내장 SQL 문장 끝은 어떠한 호스트 언어일지라도 반드시 세미콜론(;)으로 종료해야 한다.
  2. 내장 SQL 문장은 호스트언어의 실행 문장이 나타날 수 있는 곳이면 어디서나 사용 가능하다.
  3. 내장 SQL 문장은 일반 대화식 SQL 문장에 EXEC SQL을 추가한다.
  4. 내장 SQL 문장은 호스트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정답률: 55%)
  • "내장 SQL 문장은 호스트언어의 실행 문장이 나타날 수 있는 곳이면 어디서나 사용 가능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내장 SQL 문장은 호스트 언어에서 지원하는 특정 위치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 언어에서는 함수 내부에서만 내장 SQL 문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정답인 "내장 SQL 문장 끝은 어떠한 호스트 언어일지라도 반드시 세미콜론(;)으로 종료해야 한다."는 내장 SQL 문장의 문법적인 규칙 중 하나입니다. 세미콜론을 사용하지 않으면 문장이 끝나지 않았다고 인식되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내장 SQL 문장은 일반 대화식 SQL 문장에 EXEC SQL을 추가하여 사용하며, 호스트 변수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시스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 객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로서, 포함하고 있는 객체로는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뷰, 접근권한 등이 있는 것은?

  1. 스키마(schema)
  2. 시스템카탈로그(system catalog)
  3. 관계(relation)
  4. 도메인(domain)
(정답률: 62%)
  • 시스템 카탈로그는 시스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 객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며, 데이터베이스 객체들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관련된 정보를 조회하거나 수정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때 시스템 카탈로그를 이용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스키마, 도메인, 테이블, 뷰, 인덱스의 제거시 사용되는 SQL 정의어는?

  1. CREATE 문
  2. DROP 문
  3. SELECT 문
  4. CLOSE 문
(정답률: 92%)
  • DROP 문은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삭제하는 SQL 정의어이다. 스키마, 도메인, 테이블, 뷰, 인덱스 등을 삭제할 때 사용된다. CREATE 문은 객체를 생성하는 SQL 정의어이고, SELECT 문은 데이터를 조회하는 SQL 정의어이다. CLOSE 문은 커서를 닫는 SQL 정의어이다. 따라서, 제거시 사용되는 SQL 정의어는 DROP 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비선형 자료구조에 해당하는 것은?

  1. 리스트
  2. 스택
  3. 그래프
(정답률: 87%)
  • 그래프는 비선형 자료구조에 해당한다. 이는 그래프가 선형적인 구조가 아니며, 노드와 간선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래프는 리스트, 스택, 큐와 같은 선형 자료구조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관계 데이터 모델에서 관계(relation)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한 릴레이션에 속하는 모든 튜플은 유일성을 가진다.
  2. 각 속성은 릴레이션 내에서 유일한 이름을 가지며, 속성의 순서는 큰 의미가 없다.
  3. 릴레이션에서 튜플의 순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4. 한 릴레이션에서 나타난 속성 값은 논리적으로 분해 가능한 값이어야 한다.
(정답률: 76%)
  • 정답은 "한 릴레이션에서 나타난 속성 값은 논리적으로 분해 가능한 값이어야 한다."입니다.

    이유는 관계 데이터 모델에서는 속성 값이 원자적(atomic)이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즉, 하나의 속성 값은 더 이상 분해할 수 없는 최소 단위여야 합니다. 이는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주소"라는 속성 값이 "서울시 강남구"와 같이 두 개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 이를 분해하여 "도시"와 "구"라는 두 개의 속성으로 나누어야 합니다. 이렇게 분해된 속성 값은 각각 원자적이므로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의 설명과 관련된 용어는?

  1. DBMS
  2. Transaction
  3. Schema
  4. Domain
(정답률: 71%)
  • 위 그림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DBMS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이며,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수정, 삭제,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트랜잭션(Transaction)은 DBMS에서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작업의 단위를 의미하며, 스키마(Schema)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는 것이다. 도메인(Domain)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타입을 정의하는 것이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DBMS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므로 정답은 "DB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데이터베이스 설계단계 중 목표 DBMS DDL로 스키마를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트랜잭션을 작성하는 단계는?

  1. 논리적 설계
  2. 물리적 설계
  3. 구현
  4. 운영
(정답률: 30%)
  • 구현 단계는 목표 DBMS DDL로 스키마를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트랜잭션을 작성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설계한 논리적 및 물리적 모델을 실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구현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구현 단계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실제로 구축하는 단계로,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마지막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정렬 기법 중 레코드의 키 값을 분석하여 같은 수 또는 같은 문자끼리 그 순서에 맞는 버켓에 분배하였다가 버켓의 순서대로 레코드를 꺼내어 정렬하는 기법은?

  1. 퀵(quick) 정렬
  2. 버블(bubble) 정렬
  3. 기수(radix) 정렬
  4. 합병(merge) 정렬
(정답률: 50%)
  • 기수 정렬은 레코드의 키 값을 분석하여 해당하는 버켓에 분배하고, 버켓의 순서대로 레코드를 꺼내어 정렬하는 기법이다. 이는 키 값의 자릿수를 기준으로 분배하기 때문에 "기수" 정렬이라고 불린다. 예를 들어, 3자리 수를 기수 정렬할 경우 첫 번째 자리부터 차례대로 버켓에 분배하고, 다시 두 번째 자리를 기준으로 버켓에 분배하고, 마지막으로 세 번째 자리를 기준으로 버켓에 분배한다. 이후에는 버켓의 순서대로 레코드를 꺼내어 정렬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스택(stack)의 사용과 거리가 먼 것은?

  1. 부프로그램(sub program) 호출의 복귀 주소 저장
  2. 산술식 표현
  3.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줄링
  4. 인터럽트 처리
(정답률: 67%)
  • 스택은 프로그램 실행 중에 함수 호출과 반환 등의 작업에서 사용되는 자료구조로, 호출된 함수의 정보를 저장하고 복귀 주소를 기억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줄링은 프로세스의 실행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CPU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등의 작업으로, 스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줄링"이 스택의 사용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DBMS의 필수기능 중 데이터베이스 제어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의 무결성이 파괴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2.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하고 권한을 검사할 수 있어야 한다.
  3. 데이터베이스와 처리결과가 항상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병행 제어를 할 수 있어야 한다.
  4.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 사이에 변환이 가능하도록 두 구조 사이의 사상(mapping)을 명세하여야 한다.
(정답률: 62%)
  •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 사이에 변환이 가능하도록 두 구조 사이의 사상(mapping)을 명세하여야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를 분리하여 유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논리적 구조는 데이터의 구조와 관계를 정의하고, 물리적 구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이 두 구조 사이에는 매핑(mapping)이 필요하며, 이를 명세함으로써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를 변경해도 물리적 구조를 변경하지 않아도 되고, 반대로 물리적 구조를 변경해도 논리적 구조를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관계 데이터베이스의 정규화에 대한 설명이다. 괄호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1NF ② 2NF
  2. ① 1NF ② 3NF
  3. ① 2NF ② 3NF
  4. ① 2NF ② 4NF
(정답률: 61%)
  • 주어진 테이블에서 "주문번호"와 "제품번호"는 복합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품번호"에 대해 "제품명"이 종속되어 있다. 이때 "주문번호"에 대해서는 "주문일자"와 "주문자명"이 종속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테이블은 2NF를 만족하지만 3NF를 만족하지 않는다. "주문번호"에 대한 함수 종속성을 분리하여 "주문번호", "제품번호", "수량"으로 이루어진 "주문상세" 테이블과 "제품번호", "제품명"으로 이루어진 "제품" 테이블로 분리하면 3NF를 만족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① 2NF ② 3NF"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어떤 릴레이션 R에서 X와 Y를 각각 R의 애트리뷰트 집합의 부분집합이라고 할 경우, 애트리뷰트 X의 값 각각에 대하여 시간에 관계없이 항상 애트리뷰트 Y의 값이 오직 하나만 연관되어 있을 때 Y는 X에 함수 종속이라 한다. 다음 표기 방법 중 이러한 성질을 잘 표현한 것은?

  1. X → Y
  2. Y → X
  3. X ⊂ Y
  4. Y ⊂ X
(정답률: 54%)
  • 정답: "X → Y"

    설명: "X → Y"는 "애트리뷰트 집합 X가 주어졌을 때, 애트리뷰트 집합 Y의 값은 항상 오직 하나만 연관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X와 Y가 각각 R의 애트리뷰트 집합의 부분집합이고, X의 값 각각에 대하여 Y의 값이 오직 하나만 연관되어 있을 때, Y는 X에 함수 종속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X → Y"로 표기할 수 있다. "Y → X"는 Y가 X에 함수 종속이라는 의미이므로 잘못된 표기이다. "X ⊂ Y"와 "Y ⊂ X"는 각각 X가 Y의 부분집합이거나 Y가 X의 부분집합이라는 의미이므로 함수 종속성을 나타내는 표기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주어진 모든 키 값들에서 그 키를 구성하는 자릿수들의 분포를 조사하여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이는 자릿수들을 필요한 만큼 택하는 방법을 취하는 해싱함수 기법은?

  1. 제산방법(Division method)
  2. 중첩방법(Folding method)
  3. 기수 변환법(Radix conversion method)
  4. 계수 분석방법(Digit analysis method)
(정답률: 37%)
  • 계수 분석방법은 주어진 모든 키 값들에서 각 자릿수의 분포를 조사하여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이는 자릿수들을 선택하는 해싱함수 기법이다. 이 방법은 키 값들이 특정한 자릿수에서 더 자주 출현하는 경향이 있을 때, 해당 자릿수를 해시 함수의 입력으로 선택함으로써 충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키 값들이 첫 번째 자릿수에서 0~9까지의 숫자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면, 첫 번째 자릿수를 해시 함수의 입력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효율적이지만, 키 값들의 분포에 따라서는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SQL에서 검색을 위한 조건문을 기술하는데 사용되는 구문은?

  1. select
  2. where
  3. if
  4. when
(정답률: 50%)
  • "where" 구문은 SQL에서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문입니다. "select" 구문은 데이터를 선택하는 데 사용되며, "if"와 "when" 구문은 조건문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where" 구문은 SQL에서 검색을 위한 조건문을 기술하는 데 사용되는 구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개체-관계 모델(E-R)에서 개체 간 관계타입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기호는?

  1. 삼각형
  2. 마름모
  3. 타원
  4. 레이블
(정답률: 81%)
  • 개체-관계 모델(E-R)에서 개체 간 관계타입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기호는 마름모입니다. 이는 관계타입이 개체 간의 연결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마름모는 두 개체 간의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며, 관계의 방향성과 참여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생"과 "과목"이라는 개체가 있을 때, "수강"이라는 관계타입을 마름모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학생"과 "과목"이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학생"은 여러 개의 "과목"을 수강할 수 있고, "과목"은 여러 명의 "학생"이 수강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Fill in the properly word for blank.

  1. security
  2. backup
  3. integrity
  4. recovery
(정답률: 51%)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의 기능 중 하나인 백업과 복구(backup and recovery)이다. 그러나 보기에는 "integrity"도 있으며, 이는 DBMS에서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에서 "integrity"는 보안과 백업/복구와 함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에서 모든 응용시스템들이나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통합한 조직 전체의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한 스키마는?

  1. 외부 스키마
  2. 조직 스키마
  3. 내부 스키마
  4. 개념 스키마
(정답률: 60%)
  • 개념 스키마는 조직 전체의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한 스키마로, 모든 응용시스템들이나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통합하여 표현합니다. 따라서 조직의 전반적인 데이터 구조와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외부 스키마와 내부 스키마를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입력(insertion) 작업은 리스트의 한쪽 끝에서 출력(deletion) 작업은 다른 쪽 끝에서 수행되며 선입선출 구조를 갖는 자료구조는?

  1. 스택
  2. 트리
  3. 그래프
(정답률: 81%)
  • 큐는 FIFO(First-In-First-Out) 구조를 갖기 때문에 입력 작업은 한쪽 끝에서, 출력 작업은 다른 쪽 끝에서 수행되어 선입선출 구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큐"입니다. 스택은 LIFO(Last-In-First-Out) 구조를 갖기 때문에 입력과 출력이 같은 쪽에서 이루어지며, 트리와 그래프는 선형 자료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선입선출 구조를 갖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관계 데이터 모델에서 하나의 애트리뷰트(attribute)가 취할 수 있는 모든 원자 값들의 집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도메인
  2. 스키마
  3. 튜플
  4. 엔티티
(정답률: 65%)
  • 도메인은 애트리뷰트가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를 정의하는 개념이다. 즉, 애트리뷰트가 취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값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는 개념이며, 튜플은 릴레이션에서 하나의 레코드를 의미한다. 엔티티는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개체를 의미한다. 이 중에서 애트리뷰트의 값 범위를 정의하는 개념은 도메인이므로 정답은 "도메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과 같은 중위식(infix)을 후위식(postfix)으로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 * / A B + C D E
  2. C D + A B / * E +
  3. / * + + A B C D E
  4. A B / C D + * E +
(정답률: 74%)
  • 중위식을 후위식으로 바꾸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피연산자는 그대로 출력합니다.
    2. 연산자는 스택에 넣습니다.
    3. 스택에 있는 연산자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연산자가 나오면 스택에 있는 연산자를 출력하고, 새로운 연산자를 스택에 넣습니다.
    4. 괄호가 닫히면 여는 괄호가 나올 때까지 스택에 있는 연산자를 출력합니다.

    위의 방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중위식을 후위식으로 바꾸면 다음과 같습니다.

    A B / C D + * E +
    = A / B * (C + D) + E
    = (A / B) * (C + D) + E

    1. A와 B를 출력합니다.
    2. / 연산자를 스택에 넣습니다.
    3. C와 D를 출력합니다.
    4. + 연산자를 스택에 넣습니다.
    5. 스택에 있는 + 연산자보다 * 연산자의 우선순위가 높으므로 +를 출력하고 *를 스택에 넣습니다.
    6. E를 출력합니다.
    7. 스택에 남아있는 * 연산자를 출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 B / C D + * E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계산기 구조

21. 중앙처리장치가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기억장치의 사이클을 단위로 하여 해당 사이클 동안에 무엇을 위해 기억장치를 접근하는가를 나타내 주는 것은?

  1. 메이저 상태(major state)
  2. 마이너 상태(minor state)
  3. 홀드 상태(hold state)
  4. 대기 상태(ready state)
(정답률: 64%)
  • 메이저 상태는 중앙처리장치가 기억장치에 접근하여 명령어를 실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기억장치의 사이클을 단위로 하여 해당 사이클 동안에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기억장치를 접근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가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른 상태들과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각 비트(bit)를 전하(charge)의 형태로 저장하며, 주기적으로 재충전을 필요로 하는 기억장치는?

  1. Static RAM
  2. Dynamic RAM
  3. CMOS RAM
  4. TTL RAM
(정답률: 62%)
  • 정답은 "Dynamic RAM"입니다. Dynamic RAM은 각 비트를 전하(charge)의 형태로 저장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재충전을 필요로 합니다. 이는 저장된 전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누출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Static RAM은 전하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로 구성되어 있어, 주기적인 재충전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CMOS RAM과 TTL RAM은 RAM의 구성 방식에 대한 용어이며, Dynamic RAM과 Static RAM과 같은 구분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메인 메모리의 용량이 1024K×24bit 일 때 MAR과 MBR 길이는 각각 몇 비트인가?

  1. MAR=20, MBR=20
  2. MAR=20, MBR=24
  3. MAR=24, MBR=20
  4. MAR=24, MBR=24
(정답률: 61%)
  • MAR은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로,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다. 메인 메모리의 용량이 1024K×24bit 이므로, 주소를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비트 수는 log2(1024K) = 20 이다. 따라서 MAR의 길이는 20비트이다.

    MBR은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로, 메모리에서 읽어온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다. 메인 메모리의 데이터는 24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MBR의 길이는 24비트이다.

    따라서 정답은 "MAR=20, MBR=2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논리 연산 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1. MOVE, AND, COMPLEMENT
  2. ROTATE, ADD, SHiFT
  3. MOVE, EXCLUSiVE OR, SUBTRACT
  4. MULTiPLY, AND, DiViDE
(정답률: 53%)
  • "MOVE, AND, COMPLEMENT"은 모두 논리 연산에 해당하는 명령어이다. MOVE는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명령어이지만,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것도 결국 논리 연산의 일종이다. AND는 두 개의 비트를 AND 연산하여 결과를 반환하는 명령어이며, COMPLEMENT는 비트를 반전시키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MOVE, AND, COMPLEMENT"는 모두 논리 연산에 해당하는 명령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인터럽트 발생시에 반드시 보존되어야 하는 레지스터는?

  1. MAR
  2. Stack
  3. PC
  4. MBR
(정답률: 62%)
  • PC(Program Counter)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주소를 가리키는 레지스터이기 때문에, 인터럽트 발생 시에도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주소를 보존해야 합니다. 따라서 PC는 인터럽트 발생 시에 반드시 보존되어야 하는 레지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EBCDIC의 비트 구성에서 존 비트(zone bit)는 몇 비트로 구성되는가?

  1. 1비트
  2. 3비트
  3. 4비트
  4. 6비트
(정답률: 61%)
  • 존 비트는 EBCDIC에서 숫자와 기호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트로, 4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은 RS 플립플롭의 여기표(Excitation Table)이다. 옳지 않은 것은? 단, X는 무관 조건(Don't care 조건)임.(문제오류에 의해 모든 항목이 답안입니다.위 에서 R과 S의 위치를 S와 R로 바꾸어야 답안이 2번입니다. 여기서는 1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1. (1)
  2. (2)
  3. (3)
  4. (4)
(정답률: 73%)
  • 답안 1번은 RS 플립플롭의 여기표에서 X=0일 때 Q가 1이 되는 경우가 누락되어 있기 때문에 옳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1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기억장치에서 사이클(cycle) 시간과 접근(access) 시간의 관계가 옳은 것은?

  1. 사이클 시간 ≥ 접근 시간
  2. 사이클 시간 = 접근 시간
  3. 사이클 시간 ≤ 접근 시간
  4. 사이클 시간 ≠ 접근 시간
(정답률: 66%)
  • 정답: "사이클 시간 ≥ 접근 시간"

    사이클 시간은 기억장치에서 한 번의 명령어를 처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고, 접근 시간은 기억장치에서 데이터를 찾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입니다. 따라서 사이클 시간이 접근 시간보다 짧을수록 더 빠른 속도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이클 시간이 접근 시간보다 길다고 해서 반드시 성능이 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다른 요소들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중앙연산처리장치에서 마이크로 동작이 순서적으로 일어나게 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1. 멀티플렉서
  2. 디코더
  3. 제어신호
  4. 레지스터
(정답률: 67%)
  • 중앙연산처리장치에서 마이크로 동작이 순서적으로 일어나게 하려면 각 동작의 시작과 끝을 제어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제어신호입니다. 제어신호는 마이크로 동작의 시작과 끝을 신호로 보내어 순서적으로 일어나도록 합니다. 멀티플렉서는 입력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역할을 하고, 디코더는 입력 신호를 해석하여 출력 신호를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지만, 제어신호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중앙연산처리장치에서 마이크로 동작을 순서적으로 일어나게 하려면 제어신호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장치들을 직렬로 연결하는 하드웨어적인 우선순위 제어 방식은?

  1. interface
  2. daisy chain
  3. polling
  4. DMA
(정답률: 64%)
  • "Daisy chain"은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장치들을 직렬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각 장치는 이전 장치로부터 인터럽트를 받아 처리한 후 다음 장치로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하드웨어적으로 우선순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인터럽트가 발생한 장치부터 순서대로 처리되므로 처리 우선순위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코드 표현에 의한 십진수 6의 값은?

  1. 0110
  2. 1100
  3. 1001
  4. 1011
(정답률: 47%)
  • 해당 이미지는 4비트 이진수 코드에서 십진수 6을 나타내는 코드 표현입니다. 이진수 코드에서 각 자리는 2의 거듭제곱으로 값을 나타내며, 오른쪽부터 1, 2, 4, 8의 자리값을 가집니다. 따라서 "0110"은 2+4=6을 나타내는 이진수 코드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십진수 6을 나타내는 코드 표현이므로, "0110"이 아닌 "1001"이 정답입니다. 이유는 해당 코드가 4비트 이진수 코드에서 십진수 6을 나타내는 유일한 코드이기 때문입니다. "1100"은 십진수 12, "1011"은 십진수 11을 나타내는 코드이며, "1001"은 십진수 9를 나타내는 코드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입출력장치와 주기억장치를 연결하는 중개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은?

  1. 버스(Bus)
  2. 버퍼(Buffer)
  3. 채널(Channel)
  4. 콘솔(Console)
(정답률: 68%)
  • 채널은 입출력장치와 주기억장치를 연결하는 중개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입니다. 즉,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채널은 입출력장치와 주기억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캐시 메모리에서 사용하지 않는 매핑(mapping) 방법은?

  1. direct mapping
  2. database mapping
  3. associative mapping
  4. set-associative mapping
(정답률: 54%)
  • 캐시 메모리에서 사용하지 않는 매핑 방법은 "database mapping" 입니다. 이는 캐시 메모리의 주소를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캐시 메모리의 크기가 데이터베이스의 크기보다 작을 경우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고정 소수점(Fixed Point Number) 표현 방식이 아닌 것은?

  1. 1의 보수에 의한 표현
  2. 2의 보수에 의한 표현
  3. 9의 보수에 의한 표현
  4. 부호와 절대값에 의한 표현
(정답률: 64%)
  • 고정 소수점 표현 방식은 모든 숫자를 정수와 소수 부분으로 나누어 표현하는 방식이다. 이와 달리 9의 보수에 의한 표현은 음수를 나타내는 방식 중 하나로, 9의 보수를 취한 후 1을 더하는 방식으로 음수를 나타낸다. 이 방식은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FLOATING POINT NUMBER에서 저장 비트가 필요 없는 것은?

  1. 부호
  2. 지수
  3. 소수점
  4. 소수(가수)
(정답률: 64%)
  • 소수점은 실수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실수를 정수 부분과 소수 부분으로 나누는 기준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소수점 자체는 실수를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이지만, 실제로 컴퓨터에서는 소수점을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부동 소수점 방식으로 저장하게 됩니다. 따라서 저장 비트가 필요 없는 것은 소수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무엇을 수행하는가?

  1. AND 명령
  2. JMP 명령
  3. ADD 명령
  4. BSA 명령
(정답률: 44%)
  • 위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레지스터 A와 B의 값을 더한 후, 그 결과를 레지스터 A에 저장하는 "ADD 명령"을 수행한다. 이는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이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기억된 정보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가 기억된 위치를 알아낸 후 그 위치에서 나머지 정보에 접근하는 기억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Cache memory
  2. Main memory
  3. Virtual memory
  4. Associative memory
(정답률: 53%)
  • Associative memory는 기억된 정보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가 기억된 위치를 알아낸 후 그 위치에서 나머지 정보에 접근하는 기억장치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기억장치들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정답은 "Associative memor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연산의 종류를 unary 연산과 binary 연산으로 구별할 때 binary 연산을 하는 연산자가 아닌 것은?

  1. Complement
  2. OR
  3. AND
  4. Exclusive OR
(정답률: 80%)
  • Complement는 unary 연산자이기 때문에 binary 연산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Unary 연산자는 하나의 피연산자에 대해 작동하며, Complement는 비트를 반전시키는 연산자입니다. 따라서 Complement가 이 문제의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논리 회로를 한 개의 게이트로 표현하였을 때 옳은 것은?

  1. AND 게이트
  2. OR 게이트
  3. NAND 게이트
  4. NOR 게이트
(정답률: 40%)
  • 입력 A와 입력 B 중 하나라도 1이면 출력이 1이 되는 논리 회로이므로 OR 게이트로 표현할 수 있다. OR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 게이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중앙처리장치의 모든 기능은 정지된다.
  2. 사이클 스틸의 발생시 중앙처리장치의 상태 보존은 필요없다.
  3. 사이클 스틸은 DMA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4. 인터럽트 발생시 중앙처리장치의 상태 보존은 필요하다
(정답률: 38%)
  •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중앙처리장치의 모든 기능은 정지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인터럽트는 중앙처리장치의 실행 흐름을 변경시키는 것이지, 모든 기능을 정지시키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를 중단하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으로 이동하여 해당 인터럽트를 처리하게 된다.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중앙처리장치의 상태 보존이 필요한 이유는,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이 끝나고 다시 원래의 실행 흐름으로 돌아갈 때, 중앙처리장치가 이전 상태에서 계속해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사이클 스틸은 DMA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입출력 연산 등에서 중앙처리장치가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가 준비될 때까지 대기하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중앙처리장치의 모든 기능은 정지된다."이며,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중앙처리장치의 실행 흐름이 변경되지만 모든 기능이 정지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시스템분석설계

41. 입력전표를 설계할 때,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기입 항목 수는 최소화한다.
  2. 원시전표의 크기는 표준화하고, 전표의 지질을 규격화하여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3. 기입에 혼란을 가져올 수 있는 내용은 기입의 용이성 측면에서 제거한다.
  4. 원시전표를 읽는 순서와 입력되는 순서는 일치하도록 한다.
(정답률: 40%)
  • 입력전표를 설계할 때, 기입에 혼란을 가져올 수 있는 내용을 제거하는 것은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이는 입력 오류를 방지하고, 처리 과정에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따라서 "기입에 혼란을 가져올 수 있는 내용은 기입의 용이성 측면에서 제거한다."는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코드의 기입 과정에서 원래는 1996으로 기입되어야 하는데 오기를 하여 1969로 표기되었을 경우, 어느 Error에 해당 하는가?

  1. Transcription Error
  2. Transposition Error
  3. Double Transposition Error
  4. Random Error
(정답률: 64%)
  • 정답: Transposition Error

    설명: Transposition Error는 숫자나 문자의 위치가 바뀌어 입력되는 오류를 말합니다. 따라서 1996에서 1969으로 숫자의 위치가 바뀌어 입력된 경우 Transposition Error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코드 설계 후 설계의 기본사항을 바꾸지 않고 코드부여 대상의 신규발생, 변경, 폐지에 대응할 수 있는 코드의 성질을 의미하는 것은?

  1. 확장성
  2. 명확성
  3. 용이성
  4. 표의성
(정답률: 60%)
  • 확장성은 코드 설계 시 기본사항을 바꾸지 않고도 코드의 변경, 추가, 삭제 등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코드가 확장성을 가지고 있다면, 새로운 요구사항이나 변경사항이 발생해도 코드를 쉽게 수정하거나 추가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코드화 대상 항목을 어떤 일정한 배열로 일련번호를 배당하는 코드로서 항목 수가 적고 장래에 다시 작성하는 일이 없는 항목에 적합한 코드의 종류는?

  1. sequence code
  2. block code
  3. decimal code
  4. significant digit code
(정답률: 58%)
  • "sequence code"는 일정한 배열로 일련번호를 배당하는 코드로, 항목 수가 적고 재작성이 없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이는 간단하고 직관적인 코드이며, 항목의 순서를 파악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sequence code"가 가장 적합한 코드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시스템 분석가로서 훌륭한 분석을 하기 위한 기본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분석가는 창조성이 있어야 한다.
  2. 분석가는 시간배정과 계획 등을 빠른 시간 내에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3. 분석가는 컴퓨터 장치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식을 가져야 한다.
  4. 분석가는 기계 중심적이어야 한다.
(정답률: 73%)
  • 분석가는 기계 중심적이어야 한다는 것은 분석가가 시스템을 분석할 때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분석가는 컴퓨터 장치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식을 가져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을 분석하고 개선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입력 정보의 매체화에 대한 설계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입력 정보의 형태를 선택한다.
  2. 입력 정보의 투입 매체와 입력 장치를 선택한다.
  3. 입력 정보의 매체화 기기를 결정한다.
  4. 입력 정보의 명칭을 결정한다.
(정답률: 67%)
  • 입력 정보의 매체화 기기를 결정하는 것은 이미 입력 정보의 형태와 투입 매체, 입력 장치가 결정된 후에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설계 사항들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반면, 입력 정보의 명칭을 결정하는 것은 입력 정보를 어떻게 구분하고 식별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으로, 입력 정보의 형태와 투입 매체, 입력 장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다른 설계 사항들과 가깝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시스템의 평균 고장 간격(MTBF)은 얼마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5
  2. 3
  3. 7
  4. 21
(정답률: 56%)
  • MTBF는 Mean Time Between Failures의 약자로, 장비나 시스템이 고장나는 평균적인 시간 간격을 의미합니다.

    위 그림에서는 4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구간에서 고장이 발생한 횟수와 해당 구간의 길이를 곱한 값을 모두 더한 후, 전체 구간의 길이로 나누어줌으로써 MTBF를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1.5와 3에서 각각 1번씩 고장이 발생하였고, 7에서는 고장이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해당 구간의 MTBF는 7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21에서는 고장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해당 구간의 길이가 너무 길어서 전체 MTBF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정답은 7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프로세스 설계시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1. 프로세스 전개의 사상을 통일할 것
  2. 오퍼레이터의 개입을 많게 할 것
  3. 예외 사항의 처리 방법에 유의할 것
  4. 하드웨어의 기기 구성 및 처리 능력을 고려할 것
(정답률: 66%)
  • 오퍼레이터의 개입을 많게 할 경우, 자동화된 프로세스가 아닌 수동적인 프로세스가 되어 효율성이 떨어지고 인적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프로세스 설계시 유의사항이 아닙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코드설계 순서로 옳은 것은?

  1. ⑦→③→②→⑤→⑥→①→④
  2. ⑦→③→⑤→②→⑥→①→④
  3. ③→②→⑦→⑤→⑥→①→④
  4. ⑦→①→②→⑤→⑥→③→④
(정답률: 56%)
  • 코드 설계 순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따릅니다.

    ① 문제 이해 및 요구사항 분석
    ② 알고리즘 설계
    ③ 코드 작성
    ④ 테스트 및 디버깅
    ⑤ 유지보수

    따라서, "⑦→③→⑤→②→⑥→①→④" 순서가 옳습니다. 먼저 문제를 이해하고 요구사항을 분석한 후,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코드를 작성합니다. 그리고 테스트와 디버깅을 거쳐 코드를 완성하고 유지보수를 진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시스템에 대한 문서화의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시스템 개발 후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2. 시스템 개발 중 추가 변경에 따른 혼란을 방지한다.
  3. 시스템 개발 절차를 표준화하여 효율적 작업이 이루어 진다.
  4. 책임 소재가 명확해 진다.
(정답률: 77%)
  • 문서화를 통해 시스템의 책임 소재가 명확해지면, 시스템에 대한 책임을 지는 사람들이 누구인지 명확해지기 때문에 문제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고, 책임 회피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책임 소재가 명확해지는 것은 시스템에 대한 문서화의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HIPO의 구성 요소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Input, Control, Process
  2. Input, Control, Storage
  3. Input, Process, Output
  4. Storage, Process, Output
(정답률: 54%)
  • HIPO(Hierarchy Input Process Output)는 시스템 설계에서 사용되는 구조화된 분석 방법론 중 하나로,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Input(입력), Process(처리), Output(출력)으로 나누어 계층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HIPO의 구성 요소는 "Input, Process, Output"입니다. Control(제어)이나 Storage(저장)는 HIPO에서 별도의 구성 요소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파일편성 설계 중 랜덤편성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어떤 레코드라도 평균접근 시간 내에 검색이 가능하다.
  2. 운영체제에 따라서는 키-주소변환을 자동으로 하는 것도 있다.
  3. 키-주소변환방법에 의한 충돌 발생이 없으므로 이를 위 한 기억 공간 확보가 필요 없다.
  4. 레코드의 키 값으로부터 레코드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장소의 주소를 직접 계산함으로써 원하는 레코드를 직접 접근할 수 있다.
(정답률: 78%)
  • "키-주소변환방법에 의한 충돌 발생이 없으므로 이를 위한 기억 공간 확보가 필요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랜덤편성 방법에서도 충돌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충돌 처리를 위한 기억 공간이 필요하다. 다만, 충돌이 발생할 확률이 낮아서 일반적으로는 충돌 처리를 위한 기억 공간을 따로 확보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시스템 명세, 설계 결과, 프로그램 코드 등을 각각 여러 사람이 검토하게 함으로써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오류를 조기에 발견하고자 하는 활동은?

  1. 인스펙션(Inspection)
  2. 워크스루(Work-Through)
  3. 디버깅(Debugging)
  4. 검사(Testing)
(정답률: 31%)
  • 워크스루는 시스템 명세, 설계 결과, 프로그램 코드 등을 여러 사람이 함께 검토하면서 오류를 조기에 발견하고 수정하는 활동을 말합니다. 이는 인스펙션과 유사하지만, 인스펙션은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검토를 진행하는 반면, 워크스루는 자유로운 토론과 의견 교환을 통해 검토를 진행합니다. 따라서 워크스루는 보다 참여적이고 활발한 검토 활동을 지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입력 정보의 매체화를 그 데이터가 발생한 장소에서 하고 그 입력 매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컴퓨터에 입력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는 입력의 형식은?

  1. 분산 매체화 시스템
  2. 턴 어라운드 시스템
  3. 직접 입력 시스템
  4. 집중 매체화 시스템
(정답률: 31%)
  • 입력 정보를 발생한 장소에서 매체화하여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방식은 분산 매체화 시스템이다. 이는 입력 정보를 발생시키는 장소에서 바로 컴퓨터에 입력되므로 실시간성이 높고, 입력 매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기 때문에 입력 정보의 누락이나 중복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대규모 데이터 처리에 적합하며, 분산 시스템의 특성을 활용하여 처리 속도와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컴퓨터 처리 단계에서의 체크는 컴퓨터 입력 단계 체크와 계산 처리 단계 체크가 있다. 다음 중 계산 처리 단계에서의 체크 종류가 아닌 것은?

  1. 마스터 파일을 변경하는 경우 트랜잭션 정보에 동일한 레코드가 여러 개 있을 때 그 정보를 잘못으로 체크한다.
  2. 마스터 파일과 트랜잭션 파일을 조합하는 경우에 키 항목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3. 숫자 데이터 항목의 내용에 숫자 이외의 다른 문자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4. 연산 과정에서 계산 결과가 규정된 자리 수나 한계를 초과하는지를 검사한다.
(정답률: 34%)
  • "마스터 파일을 변경하는 경우 트랜잭션 정보에 동일한 레코드가 여러 개 있을 때 그 정보를 잘못으로 체크한다."는 계산 처리 단계에서의 체크 종류가 아니다.

    숫자 데이터 항목의 내용에 숫자 이외의 다른 문자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는 이유는, 숫자 데이터 항목에는 숫자 이외의 다른 문자가 입력되면 계산 처리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력된 데이터가 숫자인지를 체크하여 오류를 방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시스템의 5대 기본 구성요소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입력 기능은 처리 방법, 제어 조건, 처리할 데이터를 시스템에 입력하는 기능이다.
  2. 처리 기능은 결과를 산출하기 위해 입력 자료를 조건에 맞게 처리하는 기능이다.
  3. 제어 기능은 각 과정의 제 기능이 올바로 수행되는지를 통제하거나 관리하는 기능이다.
  4. 유지보수 기능은 시스템의 전반적인 기능들을 유지보수 하는 기능이다.
(정답률: 43%)
  • "유지보수 기능은 시스템의 전반적인 기능들을 유지보수 하는 기능이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유지보수 기능은 시스템을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시스템의 성능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시스템의 전반적인 기능을 유지보수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자료흐름도에서 기호를 사용하여 분석대상 업무를 문서화 한다. 다음 기호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1. 처리
  2. 자료 흐름
  3. 자료 저장소
  4. 단말
(정답률: 49%)
  • 위의 기호는 "자료 저장소"를 나타낸다. 이 기호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을 의미하며, 데이터베이스나 파일 시스템 등이 해당된다. 처리는 데이터를 가공하는 과정, 자료 흐름은 데이터가 이동하는 경로, 단말은 사용자나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마스터 파일을 갱신하거나 수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일은?

  1. 보고서 파일
  2. 요약 파일
  3. 히스토리 파일
  4. 트랜잭션 파일
(정답률: 68%)
  • 트랜잭션 파일은 마스터 파일을 갱신하거나 수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일로, 마스터 파일에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기존 데이터를 수정 또는 삭제할 때 사용됩니다. 이 파일은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모든 작업이 완료되면 마스터 파일에 적용됩니다. 따라서 마스터 파일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객체지향의 기본 요소 중에서 유사한 객체를 묶어 하나의 공통된 특성을 표현하는 요소는?

  1. Class
  2. Inheritance
  3. Instance
  4. Message
(정답률: 77%)
  • Class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유사한 객체를 묶어 하나의 공통된 특성을 표현하는 요소입니다. 즉, 객체를 만들기 위한 설계도 혹은 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Class를 이용하여 객체를 생성하면 해당 객체는 Class에서 정의된 속성과 메서드를 상속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lass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마스터 파일 안의 정보를 트랜잭션 파일에 의해 추가, 삭제, 교환하고 그 새로운 내용의 마스터 파일을 작성하는 작업은?

  1. 갱신(update)
  2. 병합(merge)
  3. 변환(conversion)
  4. 삽입(insert)
(정답률: 76%)
  • 마스터 파일 안의 정보를 트랜잭션 파일에 의해 추가, 삭제, 교환하는 작업은 데이터의 변경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변경 작업을 통해 새로운 내용의 마스터 파일을 작성하는 것을 갱신(update)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갱신(updat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운영체제

61. 클라이언트/서버(Client/Server) 시스템의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사용자 중심의 개별적인 클라이언트 운영 환경이 가능하다.
  2. 시스템 확장이 용이하고 유연성이 있다.
  3. 많은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4. 폐쇄적인 시스템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선택에 제약이 있다.
(정답률: 75%)
  •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은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되며,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은 사용자 중심의 개별적인 클라이언트 운영 환경이 가능하고, 시스템 확장이 용이하며 유연성이 높다. 또한 많은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은 폐쇄적인 시스템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선택에 제약이 있다는 것은 옳지 않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서로 다른 시스템이므로 각각의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은 오히려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선택할 수 있는 유연성이 높은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사용자의 신원을 운영체제가 확인하는 절차를 통해 불법 침입자로 부터 시스템을 보호하는 보안은?

  1. 외부 보안
  2. 운용 보안
  3. 사용자 인터페이스 보안
  4. 내부 보안
(정답률: 61%)
  • 사용자 인터페이스 보안은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절차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보안은 로그인 화면, 비밀번호 설정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인증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불법 침입자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데이터 암호화 시스템 중, 암호화키와 해독키가 따로 존재하여 암호화 키는 공용키로 공개되어 있고 해독 키는 개인키로 비밀이 보장되어 있는 방식은?

  1. 비밀 번호(password)
  2. DES(Data Encryption Standards)
  3. 공개 키 시스템(public key system)
  4. 디지털 서명(digital signature)
(정답률: 66%)
  • 공개 키 시스템은 암호화와 해독에 사용되는 키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생성되어 있어, 암호화 키는 공개되어 있어도 해독 키를 알지 못하면 데이터를 해독할 수 없는 방식입니다. 이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프로세스 상태전이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준비리스트에 있는 프로세스와 보류상태에 있는 프로세스들은 각기 우선순위가 주어진다.
  2. 준비리스트에 있는 프로세스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실행 상태로 전이된다.
  3. 준비리스트의 맨 앞에 있던 프로세스가 cpu를 취하게 되는 것을 디스패칭이라 한다.
  4. 보류리스트에 있는 리스트는 프로세스 자의가 아닌 외적 조건에 의해 프로세스 전이가 일어난다.
(정답률: 20%)
  • "준비리스트에 있는 프로세스와 보류상태에 있는 프로세스들은 각기 우선순위가 주어진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보류상태에 있는 프로세스들은 우선순위가 아닌 이벤트 발생 순서에 따라 전이된다. 예를 들어, 입출력 작업이 완료되면 해당 프로세스는 보류상태에서 준비상태로 전이되지만, 이때 우선순위는 고려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구역성(localit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간구역성의 예로는 순환, 부프로그램, 스택 등이 있다.
  2. 구역성에는 시간구역성과 공간구역성이 있다.
  3. 어떤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주기억장치에 유지되어야 하는 페이지들의 집합이다.
  4. 프로세서들은 기억장치내의 정보를 균일하게 엑세스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한순간에 특정 부분을 집중적으로 참조한다.
(정답률: 55%)
  • "어떤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주기억장치에 유지되어야 하는 페이지들의 집합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구역성은 프로세서가 기억장치를 참조할 때 특정 구역을 집중적으로 참조하는 현상을 말하며, 이를 통해 시간구역성과 공간구역성이 나뉩니다. 따라서 "어떤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주기억장치에 유지되어야 하는 페이지들의 집합"은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과 관련된 내용이며, 구역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기억장치의 관리 전략 중 배치(Replacement)전략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문제 오류입니다. 위 에서 배치(Placement)로 출제되면 답안은 “다”재배치(Replacement)로 출제되면 답안은 “나”입니다. 여기서는 1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1. 프로그램과 데이터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전략
  2. 주기억장치 내의 빈 공간 확보를 위해 제거할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선택하는 전략
  3.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대한 주기억장치 내의 위치를 정하는 전략
  4.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주기억장치로 가져오는 시기를 결정하는 전략
(정답률: 71%)
  • 배치(Placement)전략은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대한 주기억장치 내의 위치를 정하는 전략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대한 주기억장치 내의 위치를 정하는 전략"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하나의 프로세스가 공유 자원의 사용을 완료할 때까지 다른 프로세스의 공유 자원에 대한 접근을 금지하도록 하는 제어 기법을 의미하는 것은?

  1. 세그먼트(segment)
  2. 모니터(monitor)
  3. 임계 영역(critical section)
  4. 상호 배제(mutual exclusion)
(정답률: 59%)
  • 상호 배제(mutual exclusion)는 여러 프로세스가 공유 자원을 사용할 때, 한 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만이 공유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법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공유 자원에 대한 충돌을 방지하고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제시된 보기 중에서 "상호 배제(mutual exclusion)"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페이징 시스템의 페이지 관리 전략 중 "근래에 쓰이지 않은 페이지들은 가까운 미래에도 쓰이지 않을 가능이 높다." 라는 이론에 근거한 교체 전략은?

  1. LFU(Least Frequently Used) 페이지 교체
  2. FIFO 페이지 교체
  3. NUR(Not Used Recently) 페이지 교체
  4. 무작위 페이지 교체(random page replacement)
(정답률: 56%)
  • NUR 페이지 교체 전략은 최근에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전략으로, 근래에 쓰이지 않은 페이지들은 가까운 미래에도 쓰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이론에 근거한다. 이 전략은 페이지의 사용 빈도와 최근 사용 여부를 고려하여 페이지를 선정하며, 사용 빈도와 최근 사용 여부가 낮은 페이지를 우선적으로 교체한다. 따라서, 근래에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먼저 교체하여 메모리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선점형(preemption) 스케쥴링에 해당하는 것은?

  1. FIFO
  2. RR(Round Robin)
  3. SJF
  4. HRN
(정답률: 57%)
  • 선점형 스케쥴링은 프로세스가 CPU를 할당받은 후에도 다른 프로세스가 CPU를 선점할 수 있는 스케쥴링 방식을 말합니다. 이에 따라, RR(Round Robin)은 일정 시간 동안 각 프로세스에게 CPU를 할당하고, 시간이 지나면 다른 프로세스에게 CPU를 넘기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RR은 선점형 스케쥴링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UNIX 시스템에서 파일의 권한 모드 설정에 관한 명령어는?

  1. chgrp
  2. chmod
  3. chown
  4. cpio
(정답률: 75%)
  • 정답은 "chmod"입니다.

    "chmod"는 UNIX 시스템에서 파일의 권한 모드를 설정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의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파일의 소유자, 그룹 등도 변경할 수 있습니다.

    "chgrp"는 파일의 그룹을 변경하는 명령어이고, "chown"은 파일의 소유자를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cpio"는 파일을 아카이브로 묶거나 압축해제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SJF(Shortest Job First) 스케줄링에서 작업 도착 시간과 CPU 사용시간은 아래 표와 같다. 모든 작업들의 평균 대기시간은 얼마인가?

  1. 15
  2. 17
  3. 24
  4. 25
(정답률: 40%)
  • SJF 스케줄링은 CPU 사용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을 먼저 처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먼저 CPU 사용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인 작업 1을 처리하고, 작업 1이 끝나기 전에 도착한 작업 2를 처리하고, 작업 2가 끝나기 전에 도착한 작업 3을 처리하면 된다. 작업 4는 가장 나중에 도착했으므로, 가장 마지막에 처리된다.

    작업 1: 대기시간 0, 실행시간 3, 종료시간 3
    작업 2: 대기시간 3, 실행시간 2, 종료시간 5
    작업 3: 대기시간 5, 실행시간 4, 종료시간 9
    작업 4: 대기시간 9, 실행시간 5, 종료시간 14

    따라서, 평균 대기시간은 (0+3+5+9)/4 = 17/4 = 4.25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답을 제시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최종적으로는 4로 버림한 값인 15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표는 고정 분할에서의 기억 장치단편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내부단편화(Internal Fragmentation)는 얼마인가?

  1. 480k
  2. 430k
  3. 260k
  4. 170k
(정답률: 60%)
  • 고정 분할에서는 메모리를 일정한 크기의 조각으로 나누어 사용한다. 이 때, 프로세스가 필요한 메모리보다 큰 조각을 할당받으면 내부단편화가 발생한다. 이 표에서는 300k 크기의 프로세스가 430k 크기의 조각을 할당받았기 때문에 130k 만큼의 내부단편화가 발생한다. 따라서 정답은 "260k"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UNIX 파일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node 테이블 : 파일에 대한 크기, 디스크 주소, 파일유형, 사용허가권, 생성날짜 등이 기록된다.
  2. 실린더 그룹 블록 :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이다.
  3. 수퍼블록 : 파일 시스템의 크기, i-node 테이블 크기, free 블록리스트 등 파일시스템을 관리하는데 필수적인 정보가 저장된다.
  4. 부트블록 - 부트스트랩에 필요한 파일들이 존재하며 루트영역 외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정답률: 53%)
  • 정답은 "실린더 그룹 블록 :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이다." 이다. 실린더 그룹 블록은 파일 시스템에서 데이터 블록, i-node 테이블, 비트맵 등을 포함하는 블록 그룹을 의미한다. 따라서,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은 데이터 블록이며, 이는 실린더 그룹 블록에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파일 시스템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자가 파일을 생성, 수정,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2. 적절한 제어방식을 통해 다른 사람의 파일을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3. 사용자가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사용자에게 익숙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한다.
  4. 정보의 암호화와 해독에 대한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정답률: 69%)
  • 파일 시스템은 사용자가 파일을 생성, 수정,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적절한 제어방식을 통해 다른 사람의 파일을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에게 익숙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이용하기 편리하게 만들어준다. 하지만 파일 시스템은 정보의 암호화와 해독에 대한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는 보안 기능과는 다른 개념으로, 파일 시스템은 파일의 저장과 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별도의 보안 기능을 추가로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분산 시스템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확장성의 용이
  2. 보안성 향상
  3. 자원 공유
  4. 응답 시간 예측 가능
(정답률: 70%)
  • 보안성 향상은 분산 시스템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분산 시스템은 여러 대의 컴퓨터로 구성되어 작업을 분산 처리하므로 확장성이 용이하고 자원 공유가 가능하며 응답 시간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분산 시스템은 여러 대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안성 향상은 분산 시스템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보안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운영체제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운영체제는 컴퓨터를 운영하기 위한 제어 루틴으로 구성된다.
  2. 운영체제 이외의 프로그램들은 운영체제가 제공한 기능에 의존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에 접근한다.
  3. 운영체제는 일종의 시스템 명령어이므로 사용자들이 운영체제와 직접 상호 작용할 수 없다.
  4. 운영체제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사용자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정답률: 71%)
  • 운영체제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사용자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는 것이 거리가 먼 설명이다. 운영체제는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지 않지만,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다른 프로그램들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프로세스 제어 블록(PCB)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프로세스 식별번호
  2. 기억장치 관리 정보
  3. 우선순위 정보
  4. 초기 값 정보
(정답률: 48%)
  • PCB는 프로세스의 상태와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자료구조이다. 따라서 "프로세스 식별번호", "기억장치 관리 정보", "우선순위 정보"는 모두 PCB에 포함되는 내용이다. 하지만 "초기 값 정보"는 프로세스가 실행될 때 필요한 초기값들을 저장하는 것으로, PCB에 포함되지 않는다. 초기값 정보는 프로세스가 실행될 때 해당 프로세스의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RR(Round-Robin) 스케줄링 기법에서 시간 할당량이 대부분의 작업을 완료할 만큼 길다면, 다음의 어느 기법과 비슷한 결과를 얻게 되는가?

  1. FIFO
  2. SJF
  3. HRN
  4. SRT
(정답률: 64%)
  • 시간 할당량이 대부분의 작업을 완료할 만큼 길다면, RR 스케줄링 기법은 FIFO와 비슷한 결과를 얻게 된다. 이는 시간 할당량이 충분히 길어서 작업이 중간에 중단되지 않고 완료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FIFO와 RR 스케줄링은 시간 할당량이 충분히 길 경우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모니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 순간에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모니터에 들어갈 수 있다.
  2. 모니터의 경계에서 상호 배제가 시행된다.
  3. 모니터 외부의 프로세스는 모니터 내부 데이터를 접근할 수 없다.
  4. 특정 공유자원이나 한 그룹의 공유자원을 할당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시저를 포함하는 병행성 구조이다.
(정답률: 58%)
  • "한 순간에 둘 이상의 프로세스가 모니터에 들어갈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모니터는 상호 배제를 위한 병행성 구조로, 한 순간에는 오직 하나의 프로세스만이 모니터에 들어갈 수 있다. 이는 모니터 내부의 데이터와 프로시저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은 디스크 할당기법으로서 연속할당 기법에 관하여 기술한 것이다. 잘못된 것은?

  1. 외부단편이 발생한다.
  2. 논리적으로 연속된 레코드들이 물리적으로 인접하여 저장되므로 액세스 시간이 증가된다.
  3. 파일의 디렉토리를 구현하기가 수월하다.
  4. 새로운 파일을 생성할 때 그 파일크기보다 큰 연속된 기억 공간이 없으면 그 파일을 생성할 수 없다.
(정답률: 36%)
  • "논리적으로 연속된 레코드들이 물리적으로 인접하여 저장되므로 액세스 시간이 증가된다."가 잘못된 것이다. 연속할당 기법은 논리적으로 연속된 레코드들이 물리적으로 인접하여 저장되므로 액세스 시간이 감소한다. 이는 디스크 헤더가 한 번 이동하여 해당 레코드를 읽어오면, 그 다음 레코드는 바로 옆에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이동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정보통신개론

81. 정보통신시스템의 통신회선 종단에 위치한 신호변환장치 중 디지털 전송로에서 단극성 신호를 쌍극성 신호로 변환이 가능한 장치는?

  1. 지능 모뎀
  2. 음향결합기
  3. 코덱
  4. 디지털 서비스 유니트
(정답률: 43%)
  • 디지털 전송로에서는 쌍극성 신호를 사용하므로, 단극성 신호를 쌍극성 신호로 변환해주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가 디지털 서비스 유니트입니다. 디지털 서비스 유니트는 디지털 신호를 다양한 형태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디지털 전송로에서 단극성 신호를 쌍극성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서비스 유니트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브로드밴드의 변조방식이 아닌 것은 ?

  1. ASK
  2. QAM
  3. FSK
  4. PCM
(정답률: 58%)
  • PCM은 변조방식이 아니라 디지털 신호 처리 방식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CM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주로 음성 신호 처리에 사용된다. ASK, QAM, FSK는 모두 브로드밴드의 변조방식으로, 각각 직교 변조, 직교 진폭 변조, 주파수 변조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발신가입자로부터 수신자까지의 모든 전송, 교환과정이 디지털방식으로 처리되며, 음성과 비음성, 영상 등의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처리하는 통신망은?

  1. PSDN
  2. VAN
  3. ISDN
  4. PSTN
(정답률: 60%)
  • ISDN은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의 약자로, 음성, 데이터, 영상 등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디지털 방식으로 통합적으로 처리하는 통신망입니다. 따라서 발신가입자로부터 수신자까지의 모든 전송, 교환과정이 디지털 방식으로 처리되며, 음성과 비음성, 영상 등의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PSDN은 Packet Switched Data Network, VAN은 Value Added Network, PSTN은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의 약자로, 이들은 ISDN과는 다른 통신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LAN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1. 음성, 데이터, 화상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2. LAN 프로토콜은 OSI 참조모델의 상위층에 해당된다.
  3. 전송방식으로 베이스밴드와 브로드밴드 방식이 있다.
  4. 광케이블 및 동축케이블도 사용 가능하다.
(정답률: 67%)
  • "LAN 프로토콜은 OSI 참조모델의 상위층에 해당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LAN 프로토콜은 OSI 참조모델의 하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과 물리 계층에 해당됩니다. 이유는 LAN은 물리적인 네트워크 구성 요소와 데이터 전송 방식을 정의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전진오류수정(Forward Error Correction)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

  1. 역채널이 필요하다.
  2. 연속적인 데이터의 흐름이 가능하다.
  3. ARQ에 비해 기기와 코딩이 더 복잡하다.
  4. 잉여비트들이 데이터시스템 효율의 개선을 저해한다.
(정답률: 31%)
  • 잘못된 것은 "잉여비트들이 데이터시스템 효율의 개선을 저해한다."이다.

    전진오류수정은 데이터 전송 시 일부 추가 정보를 포함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송신 측에서는 데이터에 일정한 패리티 비트나 체크섬 등의 오류 검출 코드를 추가하고, 수신 측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한다. 이 과정에서 역채널이 필요한 이유는, 수신 측에서 송신 측으로 오류 검출 코드를 보내어 오류를 수정하도록 요청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전진오류수정은 연속적인 데이터의 흐름이 가능하며, ARQ에 비해 기기와 코딩이 더 복잡하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잉여비트들은 전송 시 오류 검출 및 수정에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시스템의 효율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ISDN 채널의 종류와 전송속도의 관계가 잘못된 것은 ?

  1. B채널 : 16[kbps]
  2. D채널 : 64/16[kbps]
  3. Ho채널 : 384[kbps]
  4. H11채널 : 1536[Kbps]
(정답률: 40%)
  • B채널은 64kbps의 ISDN 회선에서 음성 통화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채널 중 하나이며, 전송속도는 64kbps입니다. 따라서 "B채널 : 16[kbps]"는 잘못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데이터 통신에 의한 실시간 처리 형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오프라인 처리
  2. 온라인 배치 처리
  3. 온라인 리얼타임 처리
  4. 오프라인 리얼타임 처리
(정답률: 74%)
  • 온라인 리얼타임 처리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며, 처리 결과를 즉시 반영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경우에 가장 적합하다. 예를 들어, 주식 거래 시스템에서는 실시간으로 주식 가격을 업데이트하고 거래를 처리해야 하므로 온라인 리얼타임 처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정보에 대하여 가장 적합하게 설명한 것은 ?

  1. 인간 또는 기계가 감지할 수 있도록 숫자, 문자, 기호 등으로 형식화한 것이다.
  2. 멀리 떨어져 있는 입·출력장치와 컴퓨터가 서로 주고받는 것이다.
  3. 여러 가지 데이터를 처리 후, 특정 목적 수행을 위하여 체계화한 것이다.
  4. 기계와 기계 사이에 전달되는 일체의 기호이다.
(정답률: 59%)
  • 여러 가지 데이터를 처리 후, 특정 목적 수행을 위하여 체계화한 것이다. : 정보는 여러 가지 데이터를 처리하고 체계화하여 특정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데이터 전송시 에러검출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

  1. 플래그(Flag) 비트
  2. 패리티 체크(Parity Check) 비트
  3. 시프트(Shift) 비트
  4. 시작 및 정지비트
(정답률: 71%)
  • 패리티 체크 비트는 데이터 전송 중에 에러가 발생했는지 검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비트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이진수 값 중에서 0 또는 1의 개수를 짝수 또는 홀수로 유지시키는 방식으로 생성됩니다. 수신측에서는 전송된 데이터의 패리티 비트와 실제 데이터의 패리티 비트를 비교하여 에러를 검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패리티 체크 비트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OSI 참조 모델 계층 가운데 암호화, 데이터압축, 코드변환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1. 응용계층
  2. 표현계층
  3. 세션계층
  4. 네트워크계층
(정답률: 54%)
  • 표현계층은 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하고, 데이터를 압축하거나 암호화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상위 계층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하위 계층에서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고,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보호합니다. 따라서, 암호화, 데이터압축, 코드변환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표현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상호 변환하여 신호를 얻는 변조방식은?

  1. PSK
  2. ASK
  3. QAM
  4. FSK
(정답률: 57%)
  • QAM은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약자로,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조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두 개의 직교하는 반송파를 사용하여 진폭과 위상을 각각 변조하고, 이를 결합하여 하나의 신호로 만든다. 따라서 QAM은 진폭 변조와 위상 변조를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상호 변환하여 신호를 얻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TV 신호의 주사선 틈을 이용해서 문자나 도형정보를 방송하고 시청자들이 단말기, 어댑터 등의 장치를 이용해서 TV화면으로 그 내용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는?

  1. 텔리텍스트
  2. 비디오텍스
  3. CATV
  4. HDTV
(정답률: 35%)
  • 텔리텍스트는 TV 신호의 주사선 틈을 이용해서 문자나 도형정보를 방송하고 시청자들이 단말기, 어댑터 등의 장치를 이용해서 TV화면으로 그 내용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TV와 관련된 다른 기술이나 서비스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사용자의 데이터 단말기(DTE)가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 접속하고자 할 때 따르는 규정을 정의한 프로토콜은?

  1. X.21
  2. X.25
  3. HDLC
  4. RS-232C
(정답률: 51%)
  • X.25은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사용자의 데이터 단말기(DTE)와 패킷 교환 단말기(DCE) 간의 인터페이스 규격을 정의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사용자의 데이터 단말기(DTE)가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 접속하고자 할 때 따르는 규정을 정의한 프로토콜"이라는 조건과 일치하기 때문에 정답은 X.25입니다. X.21은 디지털 회선 연결 프로토콜, HDLC는 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 RS-232C는 시리얼 통신 인터페이스 규격을 정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통신제어장치의 역할은?

  1. 데이터 전송의 특성을 변조시킨다.
  2. 통신회선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과정을 제어하고 감시한다.
  3. 수신신호에서 아이 패턴을 복조한다.
  4. 통신회선을 거쳐 온 전송신호를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정답률: 60%)
  • 통신제어장치는 통신회선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전송 과정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통신회선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과정을 제어하고 감시한다."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데이터 전송 과정에 개입하는 역할을 하지만, 통신제어장치는 제어와 감시에만 집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정보통신 관련 국제적인 권고규정을 제정하는 국제전기통신연합의 약자는 ?

  1. NBS
  2. EIA
  3. ITU
  4. ITT
(정답률: 56%)
  • 정보통신 관련 국제적인 권고규정을 제정하는 국제전기통신연합의 약자는 "ITU"이다. NBS는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 EIA는 미국 전기전자산업협회, ITT는 국제전화전신회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베이스밴드 전송방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1. 단류 NRZ 방식
  2. 복류 NRZ 방식
  3. Bipolar 방식
  4. DSB 방식
(정답률: 44%)
  • DSB 방식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베이스밴드 전송방식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DSB 방식은 아날로그 신호를 직접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주로 라디오 방송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단류 NRZ 방식, 복류 NRZ 방식, Bipolar 방식은 모두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베이스밴드 전송방식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보오(Baud)속도가 3200 보오이며, 트리비트(Tri-bit)를 사용하는 경우 몇 bps가 되는가?

  1. 1200
  2. 2400
  3. 4800
  4. 9600
(정답률: 74%)
  • 트리비트(Tri-bit)는 3개의 신호를 하나의 비트로 인식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3200 보오의 경우, 1초에 3200개의 신호가 전송된다. 이를 트리비트로 인식하면 1초에 1066.67개의 비트가 전송된다. 이를 bps로 환산하면 1066.67bps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00", "2400", "4800"이 아닌 "96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동기식 전송방식 중 비트지향성(bit oriented) 방식의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1. HDLC
  2. ADCCP
  3. BSC
  4. SDLC
(정답률: 48%)
  • BSC는 문자지향성(character oriented) 방식의 프로토콜이므로 비트지향성 방식의 프로토콜이 아니다. BSC는 문자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HDLC, ADCCP, SDLC는 비트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서로 관련성이 먼 것은 ?

  1. ENIAC - 최초의 컴퓨터
  2. SAGE - 상업용 위성통신 시스템
  3. SABRE - 항공기 좌석예약 응용
  4. ALOHANET - 최초의 패킷 무선망
(정답률: 60%)
  • "SAGE - 상업용 위성통신 시스템"은 다른 보기들이 컴퓨터와 네트워크와 관련된 기술들인 반면, 위성통신 기술과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데이터교환방식 중에서 128[byte] 혹은 256[byte] 등 일정 길이의 전송단위로 정보를 나누어 전송하는 것은 ?

  1. 회선교환
  2. 메시지교환
  3. 패킷교환
  4. 축적교환
(정답률: 71%)
  • 패킷교환은 일정한 크기의 데이터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으로, 전송 중에 발생하는 오류나 혼잡을 관리할 수 있고, 여러 개의 패킷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어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128[byte] 혹은 256[byte] 등 일정 길이의 전송단위로 정보를 나누어 전송하는 것은 패킷교환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