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9-04)

정보처리산업기사
(2005-09-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데이터 베이스

1. 학생 테이블에서 학번이 300인 학생의 학년을 3으로 수정하기 위한 SQL 질의어는? 학생(학번, 이름, 학년, 학과)

  1. UPDATE 학년=3 FROM 학생 WHERE 학번=300;
  2. UPDATE 학생 SET 학년=3 WHERE 학번=300;
  3. UPDATE FROM 학생 SET 학년=3 WHERE 학번=300;
  4. UPDATE 학년=3 SET 학생 WHEN 학번=300;
(정답률: 70%)
  • 정답은 "UPDATE 학생 SET 학년=3 WHERE 학번=300;"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UPDATE: 데이터를 수정하는 SQL 명령어이다.
    - 학생: 수정할 테이블 이름이다.
    - SET: 수정할 열(column)과 값을 지정하는 SQL 키워드이다.
    - 학년=3: 학년 열의 값을 3으로 수정한다.
    - WHERE: 조건을 지정하는 SQL 키워드이다.
    - 학번=300: 학번이 300인 학생을 찾아서 조건을 만족하는 행(row)의 값을 수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SQL 검색문의 기본적인 구조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1)릴레이션 (2)속성 (3)조건
  2. (1)조건 (2)릴레이션 (3)튜플
  3. (1)튜플 (2)릴레이션 (3)조건
  4. (1)속성 (2)릴레이션 (3)조건
(정답률: 47%)
  • SQL 검색문의 기본적인 구조는 "SELECT * FROM (2)릴레이션 WHERE (3)조건"으로, 검색 대상인 (2)릴레이션에서 (3)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이다. 이때 SELECT 절에서는 (1)속성을 지정하여 원하는 데이터만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속성 (2)릴레이션 (3)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스택에 데이터를 A,B,C,D 순으로 저장했을 경우, 이들데이터가 출력되는 결과로 가능한 것은?

  1. D-B-C-A
  2. C-B-D-A
  3. C-D-A-B
  4. D-A-C-B
(정답률: 58%)
  • 스택은 후입선출(LIFO) 구조이므로, 마지막으로 저장된 데이터 D가 가장 먼저 출력되어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B가 출력되어야 하고, 그 다음으로는 D가 출력되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A가 출력되어야 하므로, 정답은 "C-B-D-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데이터 모델의 3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제약조건
  2. 속성
  3. 구조
  4. 연산
(정답률: 52%)
  • 속성은 데이터 모델의 3요소 중 하나로, 데이터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속성"이 3요소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나머지 보기인 "제약조건", "구조", "연산"이 3요소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What do you call in a relational-database a tuple?

  1. field
  2. record
  3. relation
  4. file
(정답률: 54%)
  • In a relational database, a tuple is called a record because it represents a single instance of data that contains values for each field in the table. A record is a complete set of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entity or object, such as a customer, product, or order.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널 값(null value)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정보의 부재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특수한 데이터 값이다.
  2. 아직 알려지지 않은 모르는 값이다.
  3. 해당되지 않는 값이다.
  4. 영(zero)과 같은 값이다.
(정답률: 79%)
  • 널 값(null value)은 영(zero)과 같은 값이 아니라, 정보의 부재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특수한 데이터 값이다. 영(zero)은 유효한 값이며, 널 값은 유효하지 않은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관계 데이터 모델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릴레이션(Relation) : 열과 행을 가진 테이블을 말한다.
  2. 애트리뷰트(Attribute) : 테이블의 의미가 있는 각각의 항목으로 속성을 말한다.
  3. 도메인(Domain) : 릴레이션의 튜플(Tuple) 수를 말한다.
  4. 차수(Degree) : 릴레이션의 애트리뷰트(Attribute) 수를 말한다.
(정답률: 73%)
  • 도메인(Domain) : 릴레이션의 튜플(Tuple) 수를 말한다. - 잘못된 설명입니다. 도메인은 애트리뷰트(Attribute)가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성별 애트리뷰트의 도메인은 '남성'과 '여성'으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컴퓨터 내의 연산시 숫자 자료를 보수(complement)로 표현하는 이유는?

  1. 음수를 표현하기 쉽다.
  2. 실수를 표현하기 쉽다.
  3. 덧셈과 뺄셈을 덧셈 회로로 처리할 수 있다.
  4. 수를 표현하는데 저장장치를 절약할 수 있다.
(정답률: 52%)
  • 컴퓨터 내에서 연산을 수행할 때 보수(complement)로 숫자 자료를 표현하는 이유는 덧셈과 뺄셈을 덧셈 회로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보수를 사용하면 덧셈 회로에서 뺄셈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덧셈 회로를 사용하여 덧셈과 뺄셈을 모두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하드웨어 구현을 간소화하고, 빠른 연산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덧셈과 뺄셈을 덧셈 회로로 처리할 수 있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의 중앙 통제시 가장 큰 장점은?

  1.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필요 없게 된다.
  2. 저장된 자료의 일관성 유지가 용이하다.
  3. 데이터의 중복이 전혀 없게 되어 경제적이다.
  4. 보안에 대한 위협이 없어진다.
(정답률: 68%)
  •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의 중앙 통제시 저장된 자료의 일관성 유지가 용이해진다는 것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모든 자료가 한 곳에 집중되어 관리되기 때문에, 자료의 중복이나 불일치가 발생할 가능성이 줄어들어 일관성을 유지하기 쉬워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큰 장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fill in the blank of the sentence.if an application programmer wants to create a new type of record or wants to modify an old record by including new data items or by expanding the size of a data item, he must to the () for permission.

  1. Application program
  2. Database management system
  3. Database administrator
  4. Data definition language
(정답률: 47%)
  • The database administrator is responsible for managing and maintaining the database, including granting permissions for creating or modifying records. Therefore, if an application programmer wants to create a new type of record or modify an old record, they must go to the database administrator for permission.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데이터베이스관리자(DBA)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데이터의 저장구조와 접근방법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2. 시스템의 보안성과 무결성을 검사하는 기능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3.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 사이에서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4.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백업과 회복을 위한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57%)
  •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 사이에서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는 DBA의 역할 중에서 다른 역할들과는 다르게 설명되어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와 응용 프로그램 간의 중재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와 응용 프로그램 간의 원활한 연결과 데이터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 필수적인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이진 검색(binary search) 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선행 조건은?

  1. 자료가 반드시 정렬되어야 한다.
  2. 자료의 개수가 짝수이어야 한다.
  3. 자료의 구성은 비순차적이어야 한다.
  4. 자료의 구성은 홀수, 짝수 순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정답률: 66%)
  • 이진 검색은 자료를 반으로 나누어 탐색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자료가 정렬되어 있어야만 특정 값을 찾을 수 있습니다. 만약 자료가 정렬되어 있지 않다면, 반으로 나누어도 찾고자 하는 값이 어느 쪽에 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진 검색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자료가 반드시 정렬되어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관계 데이터 모델에서 릴레이션의 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모든 속성값은 원자 값이다.
  2. 모든 튜플은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
  3. 하나의 릴레이션에서 튜플의 순서는 있다.
  4. 각 속성은 릴레이션 내에서 유일한 이름을 가진다.
(정답률: 79%)
  • 하나의 릴레이션에서 튜플의 순서는 없다. 릴레이션은 집합이므로 튜플의 순서는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릴레이션에서 튜플의 순서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정렬해야 할 파일이 (5,1,4,3,8,2)인 6개의 키 값을 첫 번째 단계에 3회 수행한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어떤 정렬기법을 사용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삽입 (Insertion Sort)
  2. 버블 정렬(Bubble Sort)
  3. 합병 정렬(Merge Sort)
  4. 히프 정렬(Heap Sort)
(정답률: 47%)
  • 주어진 결과를 보면 첫 번째 단계에서 가장 큰 값이 맨 뒤로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버블 정렬에서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인접한 두 원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과정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사용된 정렬 기법은 "버블 정렬(Bubble Sor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를 차례로 나열한 것은?

  1. 요구단계→개념적 설계 단계→물리적 설계 단계→논리적 설계 단계
  2. 요구 분석 단계→개념적 설계 단계→논리적 설계 단계→물리적 설계 단계
  3. 요구 분석 단계→논리적 설계 단계→개념적 설계 단계→물리적 설계 단계
  4. 요구 분석 단계→논리적 설계 단계→물리적 설계 단계→개념적 설계 단계
(정답률: 84%)
  •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념적 모델을 만들어내는 개념적 설계 단계, 개념적 모델을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정의하는 논리적 설계 단계, 논리적 모델을 물리적 구조로 변환하는 물리적 설계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요구 분석 단계에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념적 모델을 만들어내는 개념적 설계 단계가 먼저 이루어지며, 이후 논리적 설계 단계와 물리적 설계 단계가 차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답은 "요구 분석 단계→개념적 설계 단계→논리적 설계 단계→물리적 설계 단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가장 널리 사용되는 데이터 모델로 개념 세계에서 표현된 각 개체와 개체간의 관계들을 서로 독립된 2차원 테이블(Table) 즉 릴레이션(Relation)으로 표현하는 데이터 모델은?

  1. 개체형 데이터 모델
  2. 관계형 데이터 모델
  3. 계층형 데이터 모델
  4. 네트워크형 데이터 모델
(정답률: 63%)
  • 관계형 데이터 모델은 개체와 개체간의 관계를 2차원 테이블 형태로 표현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데이터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간단하고 직관적이며,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어서 많은 기업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SQL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검색하고 조작할 수 있어서 데이터 처리에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데이터베이스의 3단계 스키마구조에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는 조직 전체의 논리적 구조를 표현한 스키마는?

  1. 외부 스키마
  2. 내부 스키마
  3. 개념 스키마
  4. ER 스키마
(정답률: 71%)
  • 개념 스키마는 조직 전체의 논리적 구조를 표현한 스키마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전반적인 구조와 관계를 정의합니다. 따라서 개념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며, 외부 스키마와 내부 스키마를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선형 구조가 아닌 것은?

  1. 리스트
  2. 그래프
  3. 스택
  4. 배열
(정답률: 75%)
  • 선형 구조는 데이터가 일렬로 나열되어 있는 구조를 말합니다. 따라서 리스트, 스택, 배열은 모두 선형 구조입니다. 그러나 그래프는 데이터가 일렬로 나열되어 있지 않고, 노드와 간선으로 이루어진 비선형 구조입니다. 따라서 그래프는 선형 구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오너-멤버(owner-member) 관계와 관련되는 논리적 데이터 모델은?

  1. 관계형 데이터 모델
  2.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3. 계층형 데이터 모델
  4. 분산 데이터 모델
(정답률: 76%)
  • 오너-멤버 관계는 하나의 오너가 여러 개의 멤버를 가질 수 있고, 각 멤버는 다른 멤버와도 관계를 가질 수 있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복잡한 구조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이 가장 적합합니다.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은 레코드 간의 복잡한 관계를 표현할 수 있으며, 하나의 레코드가 여러 개의 다른 레코드와 연결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너-멤버 관계를 표현하는 데에는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과 같은 이진트리를 후위 순서로 순회할 때 네 번째로 방문하는 노드는?

  1. A
  2. B
  3. C
  4. D
(정답률: 82%)
  • 이진트리를 후위 순서로 순회하면 왼쪽 자식 노드, 오른쪽 자식 노드, 그리고 마지막으로 부모 노드를 방문하게 된다. 따라서, 순서대로 "D", "C", "B", "A" 순으로 방문하게 된다. 네 번째로 방문하는 노드는 "A"이다. 따라서 정답은 "A"가 아니라 "B"가 아닌가 생각할 수 있지만, 문제에서는 "네 번째로 방문하는 노드"를 물었기 때문에 "D", "C", "B"를 방문한 후 "A"를 방문하기 때문에 정답은 "B"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계산기 구조

21.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누산기
  2. 인덱스 레지스터
  3. MAR
  4. 프로그램 카운터
(정답률: 58%)
  • 위 그림은 컴퓨터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레지스터들을 나타내고 있다. 이 중에서 프로그램 카운터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다. 따라서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가리키는 역할을 하며,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답은 "프로그램 카운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10진수 12와 같지 않은 것은?

  1. 2진수 1100
  2. 5진수 22
  3. 8진수 14
  4. 16진수 8
(정답률: 69%)
  • 10진수 12와 같지 않은 것은 "16진수 8"입니다. 이유는 16진수 8은 10진수로 8이고, 나머지 보기들은 10진수로 각각 12, 7, 12입니다. 따라서 16진수 8은 다른 보기들과 다른 값을 가지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Parity bit는 몇 개의 착오까지 검출이 가능한가?

  1. 3 bit
  2. 1 bit
  3. 2 bit
  4. 4 bit
(정답률: 46%)
  • Parity bit는 오직 1 bit의 착오만 검출할 수 있습니다. 이는 Parity bit가 데이터 비트의 짝수 또는 홀수 패리티를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데이터 비트에 2 bit 이상의 착오가 있어도 Parity bit는 이를 검출하지 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10진수 634를 BCD code로 표현 하였을 때 옳은 것은?

  1. 0110 0011 0100
  2. 0110 0011 0011
  3. 0011 0011 0100
  4. 0011 0011 0011
(정답률: 76%)
  • BCD code는 Binary Coded Decimal의 약자로,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하여 각각의 자리수를 4비트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634를 2진수로 변환하면 1001110010이 됩니다. 이를 BCD code로 표현하면 각각의 자리수를 4비트로 나누어 표현하면 됩니다.

    6은 0110, 3은 0011, 4는 0100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옳은 것은 "0110 0011 01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십진수 6을 4bit excess-3 Gray 코드로 표현한 것은?

  1. 0110
  2. 1001
  3. 1100
  4. 1101
(정답률: 40%)
  • 4bit excess-3 Gray 코드는 4bit 이진수에서 각 자리수에 0011을 더한 후, 이진수를 Gray 코드로 변환한 것이다.

    따라서 6을 4bit 이진수로 표현하면 "0110"이 되고, 각 자리수에 0011을 더하면 "1001"이 된다. 마지막으로 이진수를 Gray 코드로 변환하면 "100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0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interrupt를 발생하는 모든 장치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은?

  1. step by step 방식
  2. serial encoder 방식
  3. interrupt register 방식
  4. daisy-chain 방식
(정답률: 57%)
  • Daisy-chain 방식은 interrupt를 발생하는 모든 장치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에서는 각 장치가 interrupt를 발생시키면 그 신호가 다음 장치로 전달되어 우선순위를 결정합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고 저렴한 구현이 가능하지만, 장치들이 많아질수록 전체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레지스터의 내용을 메모리로 전달하는 기능은?

  1. Store
  2. Fetch
  3. Transfer
  4. Load
(정답률: 48%)
  • "Store"는 레지스터의 내용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레지스터의 내용을 메모리로 전달하는 기능은 "Stor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컴퓨터의 fetch 사이클 시퀀스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③→①→④→②→⑤
  2. ③→①→④→⑤→②
  3. ③→④→①→②→⑤
  4. ①→③→④→②→⑤
(정답률: 53%)
  • 정답은 "③→①→④→⑤→②" 이다.

    ③: 프로그램 카운터(PC)에서 주소를 가져온다.
    ①: 메모리에서 해당 주소에 있는 명령어를 가져온다.
    ④: 명령어를 해독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온다.
    ⑤: 명령어를 실행하고 결과를 저장한다.
    ②: PC를 증가시키고 다음 명령어를 가져올 준비를 한다.

    따라서, fetch 사이클의 순서는 ③→①→④→⑤→②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CAM(Content Addressable Memory)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구성 요소 마스크 레지스터, 검색 자료 레지스터 등이 있다.
  2. 내용에 의하여 액세스 되는 메모리 장치이다.
  3. 데이터를 직렬 탐색하기에 알맞도록 되어 있다.
  4. 주소를 사용하지 않고 기억된 정보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자료를 신속히 찾을 수 있다.
(정답률: 56%)
  • CAM은 주소를 사용하지 않고 기억된 정보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자료를 신속히 찾을 수 있는 메모리 장치이다. 따라서 "데이터를 직렬 탐색하기에 알맞도록 되어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CAM은 내용에 따라 액세스되는 메모리이며, 구성 요소로 마스크 레지스터, 검색 자료 레지스터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안에 들어갈 올바른 것은?

  1. 지연 시간
  2. 설정 시간
  3. 구조
  4. 속도
(정답률: 70%)
  • 정답은 "속도"입니다. 이유는 이미지에 나와있는 것처럼 "속도"는 초당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처리 속도가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속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른 I/O 설계 방식이 아닌 것은?

  1. DMA 방식의 I/O
  2. 인터럽트 방식의 I/O
  3. 프로그램 방식의 I/O
  4. 명령 사이클 방식의 I/O
(정답률: 30%)
  • 명령 사이클 방식의 I/O는 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른 I/O 설계 방식이 아니라, CPU가 I/O 작업을 수행할 때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방식을 말한다. 따라서, DMA 방식의 I/O, 인터럽트 방식의 I/O, 프로그램 방식의 I/O는 데이터 전송 방식에 따른 I/O 설계 방식이지만, 명령 사이클 방식의 I/O는 그렇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10진법의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Packed나 Unpacked format의 일반적인 용도가 가장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Unpacked format - 10진수 입출력 형식, Packed format - 10진수 입출력 형식
  2. Unpacked format - 10진수 연산 형식, Packed format - 10진수 연산 형식
  3. Unpacked format - 10진수 입·출력 형식, Packed format - 10진수 연산형식
  4. Unpacked format - 10진수 연산 형식, Packed format - 10진수 입·출력 형식
(정답률: 52%)
  • Unpacked format은 각 자리수를 따로 저장하는 형식으로, 10진수의 입·출력 형식에 적합합니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10진수를 그대로 저장하거나, 저장된 10진수를 출력할 때 사용됩니다.

    Packed format은 여러 자리수를 하나의 바이트에 압축하여 저장하는 형식으로, 10진수의 연산 형식에 적합합니다. 즉,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등의 연산을 수행할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컴퓨터에서 수치 자료에 대한 부동소수점(floating point)표현 방식의 일반적인 형식의 순서로 사용되는 것은?

  1. 부호, 지수부, 가수부
  2. 부호, 가수부, 지수부
  3. 지수부, 부호, 가수부
  4. 가수부, 지수부, 부호
(정답률: 71%)
  • 부동소수점 표현 방식에서는 숫자를 부호, 지수부, 가수부로 나누어 표현합니다. 부호는 양수 또는 음수를 나타내며, 지수부는 소수점의 위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가수부는 숫자의 유효숫자를 나타내며, 이 세 가지 요소를 조합하여 실수를 표현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형식의 순서는 "부호, 지수부, 가수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바이너리(binary) 연산자는?

  1. ROTATE
  2. COPLEMENT
  3. OR
  4. SHIFT
(정답률: 60%)
  • 바이너리(binary) 연산자는 두 개의 이진수를 대상으로 하는 연산자를 말합니다. 이 중 "OR"은 두 개의 이진수 중 하나라도 1이면 결과값이 1이 되는 논리합 연산자입니다. 즉, 두 개의 이진수를 비교하여 하나라도 1이면 결과값이 1이 되는 연산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한 명령의 execute cycle 중에 인터럽트 요청이 있어 인터럽트를 처리한 후 cpu가 다음에 수행하는 cycle은?

  1. fetch cycle
  2. indirect cycle
  3. execute cycle
  4. direct cycle
(정답률: 65%)
  • 인터럽트 요청이 발생하면 현재 수행 중인 명령을 중단하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으로 이동하여 해당 인터럽트를 처리합니다. 이후에는 다시 이전에 수행하던 명령으로 돌아가야 하므로, 다음에 수행하는 cycle은 "fetch cycle"입니다. "fetch cycle"은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를 메모리에서 가져와서 CPU 내부의 명령어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인터럽트 처리 후에는 다음 명령어를 가져오기 위해 "fetch cycle"이 수행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Program Operation
  2. Fetch
  3. Count Operation
  4. Micro Operation
(정답률: 64%)
  • 위 그림은 CPU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제어 유닛(Control Unit)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 유닛은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기 위해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때 수행되는 각각의 작은 동작을 Micro Operation이라고 한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보여지는 동작들은 모두 Micro Operation에 해당하며, 정답은 "Micro Operati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회로와 진리표를 갖는 가산기의 명칭은?

  1. Full Adder
  2. Half Adder
  3. Full Multiplexer
  4. Half Multiplexer
(정답률: 42%)
  • 이 회로는 두 개의 입력(A, B)과 두 개의 출력(S, C)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두 개의 비트를 더하는 가산기입니다. 그러나 이 회로는 입력이 1+1일 때 올바른 결과를 출력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회로는 Half Adder라고 불립니다. Full Adder는 입력이 1+1일 때도 올바른 결과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Full Multiplexer와 Half Multiplexer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스택(Stack)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역 폴리쉬형의 산술식을 처리하는데 효과적이다.
  2. 재귀적 프로그래밍에서 복귀 주소를 저장하는데 효과적이다.
  3. LIFO라고 부르기도 한다.
  4. 스택은 스택 포인터를 사용하므로써 1-주소 방식의 명령어 처리에 적합하다.
(정답률: 60%)
  • 스택은 스택 포인터를 사용하므로써 1-주소 방식의 명령어 처리에 적합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스택은 0-주소 방식의 명령어 처리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Addressing 방식이 아닌 것은?

  1. temporary addressing
  2. direct addressing
  3. immediate addressing
  4. indexed addressing
(정답률: 56%)
  • "Temporary addressing"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addressing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것은 Addressing 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주기억 장치의 성능을 좌우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기억용량
  2. 기억사이클 타임
  3. 기억액세스 폭
  4. 기억보호 기능
(정답률: 55%)
  • 기억보호 기능은 주기억 장치의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기능이다. 주기억 장치의 성능을 좌우하는 요소는 기억용량, 기억사이클 타임, 기억액세스 폭 등이다. 기억보호 기능은 주로 데이터 보안을 위해 사용되는 기능으로, 주기억 장치의 성능과는 별개로 동작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시스템분석설계

41. 일정 시간 동안 수집된 변동 자료를 컴퓨터의 입력 자료로 만들었다가 필요한 시점에서 이 자료들을 입력하여 실행한 후 그 결과를 출력시켜 주는 방식의 시스템은?

  1. 일괄 처리 시스템
  2. 실시간 시스템
  3. 시분할 시스템
  4. 온라인 시스템
(정답률: 69%)
  • 일괄 처리 시스템은 일정 시간 동안 수집된 자료를 한꺼번에 처리하는 방식으로, 입력 자료를 미리 모아놓고 일괄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처리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 있지만, 대량의 자료를 처리하는 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설명하는 시스템은 일괄 처리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코드화 대상 항목에 미리 공통의 특성에 따라서 임의의 크기를 블록으로 구분하여 각 블록 안에서 일련번호를 배정하는 코드는?

  1. 일련번호 코드(Sequence code)
  2. 구분코드(Block code)
  3. 합성코드(Combined code)
  4. 10진코드(Decimal code)
(정답률: 52%)
  • 구분코드는 코드화 대상 항목을 일정한 크기의 블록으로 구분하고, 각 블록 안에서 일련번호를 배정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이 향상되며, 코드의 중복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구분코드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색인순차 편성화일(indexed sequential file)의 각 구역 중 일정한 크기의 블록으로 블록화하여 처리할 킷값을 갖는 레코드가 어느 실린더 인덱스 상에 기록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정보가 수록된 구역은?

  1. 마스터 인덱스 구역
  2. 실린더 인덱스 구역
  3. 트랙 인덱스 구역
  4. 기본 데이터 구역
(정답률: 46%)
  • 마스터 인덱스 구역은 각 구역의 시작 위치와 크기를 기록하여 전체 파일을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킷값을 갖는 레코드가 어느 실린더 인덱스 상에 기록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마스터 인덱스 구역을 참조해야 합니다. 다른 구역들은 해당 레코드의 위치를 찾기 위한 보조적인 역할을 하지만, 마스터 인덱스 구역은 전체 파일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입력 정보의 설계 순서로 옳은 것은?

  1. 입력 정보의 발생 - 입력 정보의 수집 - 입력 정보의 매체화 - 입력 정보의 투입
  2. 입력 정보의 발생 - 입력 정보의 수집 - 입력 정보의 투입 - 입력 정보의 매체화
  3. 입력 정보의 투입 - 입력 정보의 발생 - 입력 정보의 수집 - 입력 정보의 매체화
  4. 입력 정보의 발생 - 입력 정보의 투입 - 입력 정보의 매체화 - 입력 정보의 수집
(정답률: 65%)
  • 입력 정보의 발생이 먼저 일어나고, 그 다음에 입력 정보를 수집하며, 수집한 정보를 매체화하여 마지막으로 시스템에 투입하는 것이 옳은 순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력 정보의 발생 - 입력 정보의 수집 - 입력 정보의 매체화 - 입력 정보의 투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프로세스 설계시 유의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오류에 대비한 체크 시스템을 고려한다.
  2. 신뢰성과 정확성을 고려한다.
  3. 시스템의 상태, 구성요소 및 기능 등을 종합적으로 표시한다.
  4. 각 부문별 담당자의 책임범위를 고려한다.
(정답률: 80%)
  • 각 부문별 담당자의 책임범위를 고려하는 것은 프로세스 설계에서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고려하지 않으면 업무 수행 중 혼란과 중복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전체적인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각 부문별 담당자의 책임범위를 고려하여 역할과 책임을 분명하게 정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코드 설계시 코드의 기능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확장성
  2. 편리성
  3. 연관성
  4. 중복성
(정답률: 67%)
  • 중복성은 코드의 기능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입니다. 중복성이란 코드 내에서 같은 기능을 중복해서 구현하는 것을 말하며, 이는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떨어뜨리고 코드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중복성을 최소화하고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는 것이 좋은 코드 설계의 핵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메모리 내부의 검사 및 주민등록증 검사를 하는데 사용된 방법으로서 체크 디지트를 부여한 코드와 컴퓨터로 계산된 체크 디지트 값과 일치하는가를 체크하는 검사 방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Balance check
  2. Check digit check
  3. Batch total check
  4. Limit check
(정답률: 60%)
  • 정답은 "Check digit check"이다. 이는 주어진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로, 각 데이터에 대해 체크 디지트를 부여하여 컴퓨터로 계산된 체크 디지트 값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 입력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고, 데이터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다. "Balance check"는 잔액 검사, "Batch total check"는 일괄 처리 총계 검사, "Limit check"는 한도 검사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마스터 파일(master file)안의 정보 변동에 의해 추가, 삭제, 교환을 하고 새로운 내용의 마스터 파일을 작성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병합(merge)
  2. 매칭(matching)
  3. 변환(conversion)
  4. 갱신(update)
(정답률: 77%)
  • 마스터 파일은 항상 최신의 정보를 담고 있어야 하므로, 정보의 추가, 삭제, 교환 등이 발생하면 이를 반영하여 새로운 마스터 파일을 작성해야 합니다. 이 과정을 갱신(update)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갱신(updat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코드 “34278”를 “34578”과 같이 기록하는 것으로 디지트를 잘못 읽어 한 글자를 잘못 기록하는 오류는?

  1. 필사오류(transcription error)
  2. 전위오류(transposition error)
  3. 생략오류(missing error)
  4. 임의오류(random error)
(정답률: 71%)
  • 필사오류는 디지트를 잘못 읽어서 한 글자를 잘못 기록하는 오류를 말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예시에서는 2를 5로 잘못 읽어서 34278을 34578로 잘못 기록하는 것이 필사오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시스템 설계시 필요한 과정의 나열이 순서에 옳은 것은?

  1. ②→⑤→④→③→①
  2. ⑤→④→②→③→①
  3. ④→⑤→②→③→①
  4. ②→⑤→④→①→③
(정답률: 59%)
  • 시스템 설계시 필요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① 요구사항 분석
    - 시스템이 가져야 할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한다.

    ② 시스템 설계
    -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을 설계한다.

    ③ 구현
    - 설계된 시스템을 실제로 개발한다.

    ④ 시스템 테스트
    - 구현된 시스템이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지 검증한다.

    ⑤ 유지보수
    - 시스템이 운영되는 동안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필요에 따라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한다.

    따라서, 정답은 "④→⑤→②→③→①"이다. 시스템 설계는 요구사항 분석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설계된 시스템은 구현되고 테스트를 거쳐 운영된다. 운영 중 발생하는 문제는 유지보수를 통해 해결하며, 필요에 따라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코드 설계의 순서가 바르게 된 것은?

  1. 코드항목 결정 → 범위와 사용기간 설정 → 코드화 항목 특성 분석 → 코드설계 및 검사 → 코드표 작성
  2. 코드화 항목 특성 분석 → 코드항목 결정 → 범위와 사용기간 설정 → 코드설계 및 검사 → 코드표 작성
  3. 코드화 항목 특성 분석 → 코드항목 결정 → 범위와 사용기간 설정 → 코드표 작성 → 코드설계 및 검사
  4. 코드항목 결정 → 범위와 사용기간 설정 → 코드설계 및 검사 → 코드표 작성 → 코드화 항목 특성 분석
(정답률: 49%)
  • 코드 설계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코드항목 결정
    2. 범위와 사용기간 설정
    3. 코드화 항목 특성 분석
    4. 코드설계 및 검사
    5. 코드표 작성

    이 순서가 올바른 이유는 먼저 어떤 항목을 코드화할 것인지 결정하고, 그 항목의 범위와 사용기간을 설정한 후에 해당 항목의 특성을 분석하여 코드화 방법을 결정합니다. 그리고 코드 설계를 진행하고 검사를 거쳐 코드표를 작성합니다. 이러한 순서를 따르면 코드 설계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의 소프트웨어 개발주기 모형에 대한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단계적 모형
  2. 폭포수 모형
  3. 구조적 모형
  4. 객체지향적 모형
(정답률: 57%)
  • 이 모형은 개발 과정을 단계적으로 진행하는 모형으로,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며 이전 단계가 완료되어야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적 모형"이라고도 불린다. 이 모형은 요구사항 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 유지보수 등의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정의된 결과물을 바탕으로 다음 단계를 진행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폭포수 모형"이라고도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HIPO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BM에서 개발하였다.
  2. 도식목차, 총괄도표, 상세도표로 전개된다.
  3. 설계와 문서화를 고루 만족시킨다.
  4. 상향식 개발을 지향한다.
(정답률: 68%)
  • HIPO는 하향식 개발을 지향하는 방법론이므로, "상향식 개발을 지향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HIPO는 IBM에서 개발되었으며, 도식목차, 총괄도표, 상세도표로 전개되며, 설계와 문서화를 고루 만족시킨다는 특징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주로 편의점, 백화점 등 유통업체의 계산대에서 사용하는 장치로서 고객이 물품을 구입하게 되면 단말기에서 직접 입력하여 중앙 컴퓨터에 전달되어 현장 상황이 즉각적으로 반영되는 장치는?

  1. 디지타이저
  2. MICR(Magnetic Ink Character Reader)
  3. POS(Point Of Sale)
  4. 데이터 수집 장치
(정답률: 65%)
  • POS(Point Of Sale)는 고객이 물품을 구입하면 단말기에서 직접 입력하여 중앙 컴퓨터에 전달되어 현장 상황이 즉각적으로 반영되는 장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디지타이저는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하는 장치, MICR은 자기 인쇄 문자 판독기, 데이터 수집 장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그림과 같이 길이가 같은 논리레코드들이 같은 수로 모여 블록을 형성한 형식으로 모든 물리레코드의 길이도 동일하며, 경제성이 높고 속도가 빠르며 프로그램 작성이 용이한 레코드(Record)의 형식은?

  1. 블록화 가변길이 레코드(blocking variable length record)
  2. 비블록화 가변길이 레코드(unblocking variable length record)
  3. 블록화 고정길이 레코드(blocking fixed length record)
  4. 비블록화 고정길이 레코드(unblocking fixed length record)
(정답률: 75%)
  • 정답은 "블록화 고정길이 레코드(blocking fixed length record)"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블록화: 논리레코드들이 같은 수로 모여 블록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물리적인 저장장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 고정길이: 모든 물리레코드의 길이가 동일합니다. 이는 레코드의 처리 속도를 높이고, 프로그램 작성을 용이하게 합니다.

    따라서, 블록화 고정길이 레코드는 경제성이 높고 속도가 빠르며 프로그램 작성이 용이한 레코드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객체지향 분석에서 객체 모형을 정의하는 절차(순서)가 옳은 것은?

  1. ①-②-③-④-⑤
  2. ①-③-②-⑤-④
  3. ①-⑤-②-④-③
  4. ①-②-④-⑤-③
(정답률: 47%)
  • 객체지향 분석에서 객체 모형을 정의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 요구사항 분석: 시스템이 제공해야 하는 기능과 요구사항을 파악한다.
    ② 객체 식별: 요구사항에서 필요한 객체를 식별하고, 객체 간의 관계를 파악한다.
    ③ 객체 속성 정의: 객체가 가져야 하는 속성을 정의한다.
    ④ 객체 메서드 정의: 객체가 수행해야 하는 기능을 정의한다.
    ⑤ 객체 모형 검증: 객체 모형이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지 검증한다.

    따라서, 정답은 "①-⑤-②-④-③"이다.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객체 모형을 검증한 후, 객체를 식별하고 속성과 메서드를 정의하는 순서로 진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기업의 측면에서 문서화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다.
  2.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3. 정보를 축적할 수 있다.
  4. 시스템의 전체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정답률: 42%)
  • 문서화를 통해 시스템의 전체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유는, 문서화를 통해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나 문제점을 미리 파악하고 수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문서화를 통해 개발자들 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해지고, 생산성도 향상됩니다. 이러한 효과들이 모두 결합하여 시스템의 전체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데이터와 이 데이터를 조작하는 연산들이 하나의 모듈 내에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은?

  1. 추상화
  2. 속성
  3. 메소드
  4. 캡슐화
(정답률: 66%)
  • 캡슐화는 데이터와 이를 조작하는 연산들을 하나의 모듈 내에서 결합시켜 외부에서 직접적인 접근을 제한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호하고,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캡슐화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순차파일(sequential file)의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처리하는데 불편이 많아 이용도가 낮다.
  2. 데이터의 수록이 다른 파일에 비하여 어렵다.
  3. 데이터 검색시 시간이 많이 걸린다.
  4. 파일의 내용을 추가, 변경, 삭제하기가 매우 편리하다.
(정답률: 75%)
  • 파일의 내용을 추가, 변경, 삭제하기가 매우 편리한 이유는 순차파일에서는 데이터가 일정한 순서로 저장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기존 데이터를 변경, 삭제할 때도 해당 데이터의 위치를 찾아가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고, 그냥 순서대로 데이터를 추가, 변경, 삭제하면 된다. 이는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하고, 파일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모듈(module)의 독립성을 높이려면 결합도(coupling)와 응집도(cohesion)는 어떤 관계가 최적형인가?

  1. 결합도는 최소, 응집도도 최소로 한다.
  2. 결합도는 최소로, 응집도는 최대로 한다.
  3. 결합도는 최대로, 응집도는 최소로 한다.
  4. 결합도는 최대, 응집도도 최대로 한다.
(정답률: 72%)
  • 모듈의 독립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모듈 간의 결합도를 최소화하고, 모듈 내부의 요소들 간의 응집도를 최대화해야 합니다. 결합도가 높으면 모듈 간의 의존성이 높아져서 하나의 모듈을 수정하면 다른 모듈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응집도가 낮으면 모듈 내부의 요소들이 서로 관련성이 적어져서 모듈의 기능을 이해하기 어려워지고, 유지보수가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결합도는 최소로, 응집도는 최대로 하는 것이 모듈의 독립성을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운영체제

61. 분산 운영체제와 네트워크 운영체제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산 운영체제는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일관성 있는 설계가 가능하다.
  2. 네트워크 운영체제는 기존의 운영체제 위에 통신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3. 분산된 시스템 내에 하나의 운영체제가 존재할 때 이것을 네트워크 운영체제라 한다.
  4. 분산 운영체제에서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각 노드들의 독자적인 운영체제가 배제된다.
(정답률: 27%)
  • "분산된 시스템 내에 하나의 운영체제가 존재할 때 이것을 네트워크 운영체제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분산 운영체제와 네트워크 운영체제는 서로 다른 개념이며, 분산 운영체제에서는 각 노드들이 독자적인 운영체제를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분산 운영체제는 여러 대의 컴퓨터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인식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운영체제입니다. 이를 통해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일관성 있는 설계가 가능해집니다.

    반면, 네트워크 운영체제는 기존의 운영체제 위에 통신 기능을 추가한 것입니다. 이를 통해 여러 대의 컴퓨터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분산된 시스템 내에 하나의 운영체제가 존재할 때 이것을 네트워크 운영체제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과 같은 트랙이 요청되어 큐에 도착하였다. 모든 트랙을 서비스하기 위하여 LOCK 스케줄링 기법이 사용되었을 때 모두 몇 트랙의 헤드 이동이 생기는가?(단, 현재 헤드의 위치는 50 트랙이고 헤드는 트랙 0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1. 50
  2. 85
  3. 105
  4. 110
(정답률: 40%)
  • LOCK 스케줄링 기법은 가장 먼저 도착한 요청부터 처리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큐에 도착한 순서대로 트랙을 서비스하면 된다.

    초기 헤드 위치는 50이므로, 큐에서 가장 먼저 도착한 트랙 82부터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때 헤드 이동 거리는 32이다.

    다음으로 서비스할 트랙은 170이며, 이전에 서비스한 트랙인 82와의 거리는 88이다. 따라서 헤드 이동 거리는 88이 된다.

    이와 같이 큐에 도착한 모든 트랙을 서비스하면서 헤드 이동 거리를 더해나가면 총 헤드 이동 거리는 32+88+3+10+52=185가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현재 헤드의 위치가 50이므로, 이 값을 빼주면 실제 헤드 이동 거리는 185-50=135가 된다.

    따라서 모든 트랙을 서비스하기 위해 생기는 헤드 이동 거리는 135이므로 정답은 8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병렬처리의 주종(master/slave)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프로세스는 연산만 수행하고 종프로세스는 입출력과 연산을 수행한다.
  2. 주프로세스만이 운영체제를 수행한다.
  3. 하나의 주프로세스와 나머지 종프로세스로 구성된다.
  4. 주프로세스의 고장시 전 시스템이 멈춘다.
(정답률: 65%)
  • "주프로세스는 연산만 수행하고 종프로세스는 입출력과 연산을 수행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주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작업을 분배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하며, 종프로세스는 주어진 작업을 수행하고 결과를 주프로세스에게 보고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주프로세스와 종프로세스는 서로 협력하여 작업을 수행하며, 주프로세스만이 운영체제를 수행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나의 주프로세스와 나머지 종프로세스로 구성되며, 주프로세스의 고장시 전 시스템이 멈추는 것은 맞지만, 이는 주프로세스의 역할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시스템 구성과 관련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은행원 알고리즘(banker's algorithm)은 어느 경우에 사용하는가?

  1. 교착상태의 예방(deadlock reservation)
  2. 교착상태의 회피(deadlock avoidance)
  3. 교착상태의 발견(deadlock detection)
  4. 교착상태의 회복(recovery for deadlock)
(정답률: 60%)
  • 은행원 알고리즘은 교착상태의 회피에 사용된다. 교착상태란 각 프로세스가 서로가 가진 자원을 기다리며 무한정 대기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은행원 알고리즘은 각 프로세스가 자원을 요청할 때 시스템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지를 미리 검사하여,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면 자원을 할당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교착상태를 회피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현재 헤드의 위치가 50에 있고, 요청 대기 열에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들어 있다고 가정할 때 FCFS(First Come First Served)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의한 헤드의 총 이동 거리는 얼마인가?

  1. 790
  2. 380
  3. 370
  4. 250
(정답률: 55%)
  • FCFS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요청 대기열에 들어온 순서대로 처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헤드는 50에서 가장 먼저 들어온 98으로 이동하고, 그 다음으로 들어온 183, 37, 122, 14, 124, 65, 67, 43, 88, 123, 8, 99, 75, 22, 174, 54, 45, 145, 15, 176, 87, 58, 94, 140, 78, 166, 36, 89, 34, 71, 68, 21, 133, 31, 120, 85, 119, 28, 97, 7, 57, 180, 24, 177, 135, 151, 74, 104, 41, 176, 191, 11, 129, 169, 99, 152, 18, 42, 109, 170, 53, 183, 124, 79, 82, 32, 130, 168, 114, 141, 19, 50, 61, 160, 142, 43, 75, 167, 139, 98, 149, 133, 129, 122, 199, 164, 83, 117, 98, 97, 184, 22, 172, 149, 43, 170, 175, 130, 84, 69, 192, 111, 157, 61, 107, 19, 105, 68, 151, 102, 126, 85, 191, 7, 40, 21, 19, 98, 183, 37, 122, 14, 124, 65, 67, 43, 88, 123, 8, 99, 75, 22, 174, 54, 45, 145, 15, 176, 87, 58, 94, 140, 78, 166, 36, 89, 34, 71, 68, 21, 133, 31, 120, 85, 119, 28, 97, 7, 57, 180, 24, 177, 135, 151, 74, 104, 41, 176, 191, 11, 129, 169, 99, 152, 18, 42, 109, 170, 53, 183, 124, 79, 82, 32, 130, 168, 114, 141, 19, 50, 61, 160, 142, 43, 75, 167, 139, 98, 149, 133, 129, 122, 199, 164, 83, 117, 98, 97, 184, 22, 172, 149, 43, 170, 175, 130, 84, 69, 192, 111, 157, 61, 107, 19, 105, 68, 151, 102, 126, 85, 191, 7, 40, 21, 19, 98 순서대로 이동하면 된다. 따라서 총 이동 거리는 79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세그먼트 기법의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세그먼트의 길이는 서로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2. 내부 단편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3. 압축(compaction)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4. 외부 단편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률: 46%)
  • 세그먼트 기법은 프로세스가 필요로 하는 메모리 공간을 여러 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할당하는 기법이다. 이 때 세그먼트의 길이는 서로 다른 것이 일반적이므로 내부 단편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압축(compaction) 기법이 사용될 수 있어 외부 단편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세그먼트 기법은 메모리 관리에서 효율적인 기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SJF(Shortest Job First) 스케줄링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이 끝나기까지의 실행시간 추정치가 가장 작은 작업을 먼저 실행시킨다.
  2. 평균 대기 시간을 최소화한다.
  3. 선점 스케줄링 기법에 해당된다.
  4. FIFO 보다 평균 대기 시간이 작지만 긴 작업의 경우 FIFO 기법보다 더 크고 예측이 더욱 어렵다.
(정답률: 50%)
  • 선점 스케줄링 기법에 해당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SJF는 비선점 스케줄링 기법으로, 한 번 시작된 작업은 중간에 중단되지 않고 끝까지 실행됩니다. 이는 작업의 실행시간 추정치가 가장 작은 작업을 먼저 실행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운영체제의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시스템 성능 향상
  2. 처리량 향상
  3. 응답시간 증가
  4. 신뢰성 향상
(정답률: 77%)
  • 운영체제의 목적은 시스템 성능 향상, 처리량 향상, 신뢰성 향상 등이 있지만, 응답시간 증가는 그와는 거리가 먼 목적이다. 응답시간 증가는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시스템 성능이나 처리량, 신뢰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다. 따라서, 응답시간 증가는 운영체제의 목적으로는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기억장치의 할당 전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최초(first) 적합 전략은 빈 공간을 찾기 위해 기억장치 전체를 조사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2. 최악(worst) 적합 전략은 입력된 작업을 가장 큰 공백에 배치한 후에도 종종 남은 공백이 여전히 큰 경우가 있기 때문에 상당히 큰 다른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 최적(best) 적합 전략은 최초적합, 최적적합, 최악적합 전략 중 배치 결정을 가장 빨리 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최악(worst) 적합 전략의 경우 공간 리스트가 가장 큰 순서부터 크기 순으로 되어 있어도 전체 리스트를 검색해야 한다.
(정답률: 49%)
  • 최악(worst) 적합 전략은 입력된 작업을 가장 큰 공백에 배치한 후에도 종종 남은 공백이 여전히 큰 경우가 있기 때문에 상당히 큰 다른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큰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디스크 스케줄링 기법 중 가장 안쪽과 가장 바깥쪽의 실린더에 대한 차별대우를 없앤 기법은?

  1. FCFS
  2. SSTF
  3. n-단계 SCAN
  4. C-SCAN
(정답률: 47%)
  • C-SCAN은 디스크 스케줄링 기법 중에서 가장 안쪽과 가장 바깥쪽의 실린더에 대한 차별대우를 없앤 기법입니다. 이는 디스크 헤드가 디스크의 가장 바깥쪽 실린더에서 작업을 마친 후, 바로 가장 안쪽 실린더로 이동하여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SCAN은 디스크의 모든 실린더를 일정한 방향으로 순회하면서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로더의 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allocation
  2. linking
  3. relocation
  4. compile
(정답률: 56%)
  • 로더는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적재하고 실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allocation"은 메모리 할당, "linking"은 라이브러리와의 연결, "relocation"은 주소 재배치를 수행합니다. 하지만 "compile"은 로더의 역할이 아니라 컴파일러의 역할입니다. 컴파일러는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이후에 로더가 이를 메모리에 적재하고 실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합니다. 따라서 "compile"은 로더의 기능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색인 순차 접근(Indexed Sequential Access) 방식의 구성 중 인덱스 영역(Index Area)애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마스터 인덱스(Master index)
  2. 섹터 인덱스(Sector index)
  3. 실린더 인덱스(Cylinder index)
  4. 트랙 인덱스(Track index)
(정답률: 64%)
  • 섹터 인덱스는 색인 순차 접근 방식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색인 순차 접근 방식에서는 데이터 파일을 레코드 단위로 분할하고, 각 레코드는 고유한 주소를 가지며 인덱스 영역에 저장된다. 이때 인덱스 영역에는 마스터 인덱스, 실린더 인덱스, 트랙 인덱스가 포함되지만, 섹터 인덱스는 포함되지 않는다. 섹터 인덱스는 디스크의 물리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인덱스로, 색인 순차 접근 방식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UNIX에서 디스크 자체에 관련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블록은?

  1. 부트 블록
  2. 슈퍼 블록
  3. inode 블록
  4. 사용자 블록
(정답률: 22%)
  • 슈퍼 블록은 UNIX 파일 시스템에서 디스크 자체에 관련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블록입니다. 이 블록은 파일 시스템의 크기, 블록 크기, 사용 가능한 블록 수, inode 수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파일 시스템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정보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슈퍼 블록은 파일 시스템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과 같은 작업에서 이를 SJF 정책으로 프로세스를 스케줄링하면 평균 반환시간(turnaround time)은 얼마나 되는가?

  1. 16 밀리초
  2. 6 밀리초
  3. 13 밀리초
  4. 17 밀리초
(정답률: 38%)
  • SJF(Shortest Job First) 정책은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를 먼저 실행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먼저 실행되는 프로세스는 P1(3ms)이고, 그 다음은 P2(4ms), 그리고 P3(2ms)입니다. 이 순서대로 실행하면 각 프로세스의 반환시간은 각각 3ms, 7ms, 9ms가 됩니다. 따라서, 평균 반환시간은 (3+7+9)/3 = 6ms가 됩니다. 하지만, P4(5ms)가 P2보다 실행시간이 짧기 때문에, P2가 실행되기 전에 P4가 먼저 실행됩니다. 따라서, 실행 순서는 P1(3ms), P4(5ms), P3(2ms), P2(4ms)가 됩니다. 각 프로세스의 반환시간은 각각 3ms, 8ms, 11ms, 15ms가 되며, 평균 반환시간은 (3+8+11+15)/4 = 9.25ms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3 밀리초"가 아닌 "9.25 밀리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잠재적 위협에 대처하고 그 위협을 제거하기 위한 보안의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1. 비밀성
  2. 유통성
  3. 가용성
  4. 무결성
(정답률: 61%)
  • "유통성"은 보안의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이다. 보안의 목적은 잠재적 위협에 대처하고 그 위협을 제거하는 것이지만, 유통성은 정보나 자원이 쉽게 이동하고 공유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통성은 보안의 목적과는 상반된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한 UNIX 파일의 보호 모드 값이 640(Octal)일 경우 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들이 각각 실행할 수 있는 허가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유자는 파일을 읽고 쓸 수 있다.
  2. 그룹내의 멤버들을 읽을 수만 있다.
  3. 어떤 사용자라도 실행할 수 있다.
  4. 그룹 외의 사용자는 읽지도 쓰지도 실행도 할 수 없다.
(정답률: 64%)
  • 정답은 "그룹내의 멤버들을 읽을 수만 있다." 입니다.

    640(Octal)은 소유자에게는 읽기와 쓰기 권한이 있고, 그룹에게는 읽기 권한만 있으며, 다른 사용자들은 어떤 권한도 없습니다. 따라서 그룹내의 멤버들은 읽기 권한만 있고 실행 권한이 없습니다.

    하지만 "어떤 사용자라도 실행할 수 있다."는 옳은 것입니다. 이는 파일이 실행 파일이라면, 실행 권한이 있는 사용자라면 누구든지 실행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실행 파일이 아니라면 실행 권한이 없는 사용자는 실행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한 작업이 CPU를 할당받으면 그 작업이 종료 될 때까지 다른 작업에서 CPU를 할당하지 못하는 스케줄링 기법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SRT, SJF
  2. SRT, HRN
  3. Round Robin, FIFO
  4. FIFO, SJF
(정답률: 56%)
  • 정답은 "FIFO, SJF"입니다. 이는 FIFO(First In First Out)와 SJF(Shortest Job First)가 CPU를 할당받으면 다른 작업에서 CPU를 할당하지 못하는 스케줄링 기법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FIFO는 먼저 들어온 작업부터 처리하며, SJF는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부터 처리합니다. 이 두 가지 방식은 CPU를 할당받으면 다른 작업에서 CPU를 할당하지 못하는 스케줄링 기법으로, 해당 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CPU를 점유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프로세스는 준비-실행-대기를 반복하면서 실행된다. 다음 중 실행상태에서 대기상태를 거치지 않고 바로 준비상태로 가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1. 실행이 종료된 경우
  2. 입출력이 발생한 경우
  3. 시간 할당량이 초과된 경우
  4. 입출력이 종료된 경우
(정답률: 49%)
  • 정답은 "시간 할당량이 초과된 경우"이다.

    프로세스는 실행 중에 일정 시간 동안 CPU를 점유할 수 있는데, 이를 시간 할당량(time slice)이라고 한다. 만약 프로세스가 시간 할당량 내에 실행을 완료하지 못하고 시간이 초과된 경우, 운영체제는 해당 프로세스를 강제로 중지시키고 다른 프로세스에게 CPU를 할당한다. 이 때, 해당 프로세스는 대기 상태로 가지 않고 바로 준비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Process Control Block(PCB)의 내용이 아닌 것은?

  1.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
  2. 프로세스 식별자
  3.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4. 페이지부재(page fault) 발생 회수
(정답률: 70%)
  • PCB는 프로세스의 상태, 식별자, 우선순위 등의 정보를 담고 있지만 페이지 부재 발생 회수는 해당 프로세스의 메모리 관리와 관련된 정보이기 때문에 PCB의 내용이 아닙니다. 페이지 부재 발생 회수는 가상 메모리 시스템에서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거나, 메모리 부족 상황에서 어떤 프로세스가 더 많은 페이지 부재를 일으키는지 파악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HRN(Highest Response-Ratio Next) 스케줄링 기법에서 가변적 우선 순위는 다음 식으로 계산된다. (ㄱ), (ㄴ)에 알맞은 내용은?

  1. (ㄱ) 서비스를 받을 시간 (ㄴ) 서비스를 받을 시간
  2. (ㄱ) 서비스를 받을 시간 (ㄴ) 실행된 시간
  3. (ㄱ) 실행된 시간 (ㄴ) 서비스를 받을 시간
  4. (ㄱ) 응답시간 (ㄴ) 서비스를 받을 시간
(정답률: 69%)
  • 가변적 우선 순위는 HRN 스케줄링에서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우선순위 = (대기시간 + 서비스시간) / 서비스시간

    즉, 대기시간이 길고 서비스시간이 짧을수록 우선순위가 높아진다.

    따라서 "(ㄱ) 서비스를 받을 시간 (ㄴ) 서비스를 받을 시간"이 정답이다. 서비스를 받을 시간이 빠를수록 대기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우선순위가 높아진다.

    "(ㄱ) 실행된 시간 (ㄴ) 서비스를 받을 시간"은 실행된 시간이 길수록 우선순위가 높아지기 때문에 옳지 않다.

    "(ㄱ) 응답시간 (ㄴ) 서비스를 받을 시간"은 HRN 스케줄링에서 사용되는 우선순위 계산식과 관련이 없기 때문에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정보통신개론

81. ITU-T에서 제안한 데이터통신에 관련된 표준안은?

  1. D시리즈와 E시리즈
  2. P시리즈와 Q시리즈
  3. V시리즈와 X시리즈
  4. R시리즈와 U시리즈
(정답률: 66%)
  • ITU-T에서 제안한 데이터통신에 관련된 표준안은 V시리즈와 X시리즈입니다. 이는 V시리즈가 모뎀과 통신 회선 간의 인터페이스 표준을, X시리즈가 패킷 교환망에서의 데이터 통신 표준을 정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D시리즈와 E시리즈는 디지털 회선에 대한 표준을, P시리즈와 Q시리즈는 전화망에서의 데이터 통신 표준을, R시리즈와 U시리즈는 라우팅과 전송 제어에 대한 표준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통신 프로토콜의 기능과 그 기법을 서로 잘못 연결한 것은?

  1. 에러 제어 -ARQ
  2. 순서화 - 폴링/셀렉션
  3. 흐름 제어 - Sliding Window
  4. 동기 방식 - 비동기식/동기식 전송
(정답률: 41%)
  • 순서화는 데이터의 전송 순서를 보장하는 기능이며, 폴링/셀렉션은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확인하는 기법입니다. 이 둘은 서로 다른 기능과 기법이므로, 순서화와 폴링/셀렉션을 연결한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광의적인 정보통신의 의미를 가장 잘 표현한 것은?

  1. 컴퓨터와 통신회선의 결합으로 전송기능에 통신처리 기능이 추가된 데이터 통신을 말한다.
  2. 컴퓨터와 통신기술의 결합에 의하여 통신처리기능은 물론이고, 정보처리기능에 정보의 변환, 저장과정이 추가된 형태의 통신이다.
  3.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체계적인 정보의 전송을 위한 통신을 말한다.
  4. 멀티미디어에 의한 복합적인 통신을 말한다.
(정답률: 57%)
  • 광의적인 정보통신은 컴퓨터와 통신기술의 결합으로 통신처리기능과 정보처리기능에 정보의 변환, 저장과정이 추가된 형태의 통신을 말한다. 즉, 데이터 통신뿐만 아니라 정보의 가공과 저장, 전송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 복합적인 통신을 의미한다. 따라서, "컴퓨터와 통신기술의 결합에 의하여 통신처리기능은 물론이고, 정보처리기능에 정보의 변환, 저장과정이 추가된 형태의 통신이다."가 가장 잘 표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동기식 전송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데이터 묶음의 앞쪽에 동기문자가 온다.
  2. 타이밍 신호는 모뎀, 터미널 등에 의해 공급된다.
  3. 전송속도가 보통2000[bps]를 넘지 않는 저속의 경우에 사용된다.
  4. 동기문자는 송신측과 수신측이 동기를 이루도록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정답률: 63%)
  • 정답: "동기문자는 송신측과 수신측이 동기를 이루도록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해설: 동기식 전송방식은 데이터 묶음의 앞쪽에 동기문자가 온다는 것과 타이밍 신호는 모뎀, 터미널 등에 의해 공급된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전송속도가 보통 2000[bps]를 넘지 않는 저속의 경우에 사용된다는 것도 특징입니다. 동기문자는 송신측과 수신측이 동기를 이루도록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종합정보통신망이 제공하는 베어러 서비스에 해당되는 것은?

  1. G4 FAX
  2. TV 화상회의
  3. 비디오텍스
  4. 회선교환
(정답률: 38%)
  • 베어러 서비스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회선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회선교환은 전화나 팩스 등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통신 회선을 전용으로 할당하여 통신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회선교환"이 종합정보통신망이 제공하는 베어러 서비스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LAN(Local Area Network)에서 CSMA/CD방식의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

  1. IEEE 802.3의 표준규약이다.
  2. 버스형 근거리통신망에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3. 트래픽 양이 증가 경우에도 안정된 동작을 한다.
  4. 일반적으로 지연시간을 예측할 수 없다.
(정답률: 47%)
  • 일반적으로 지연시간을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CSMA/CD 방식은 충돌이 발생하면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한 후 재전송을 시도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 때 대기하는 시간은 충돌이 발생한 컴퓨터의 수와 거리 등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지연시간을 예측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트래픽 양이 증가해도 안정된 동작을 한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디지털 전송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신호대 잡음비가 나쁜 전송로에서도 원래의 신호 전송이 가능하며, 아날로그 전송보다 훨씬 적은 대역폭을 요구한다.
  2. 디지털 전송의 각 재생기는 잡음이 없는 새로운 펄스를 재생할 수 있어, 원래의 신호와 동일한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다.
  3. 적당하게 재생기만 설치되면 장거리 전송이 용이하다.
  4. LSI, VLSI로 이어지는 기술의 진보로 더욱 발전된다.
(정답률: 38%)
  • "적당하게 재생기만 설치되면 장거리 전송이 용이하다."는 디지털 전송의 특징이 아닙니다.

    디지털 전송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잡음이 있는 전송로에서도 원래의 신호를 복원할 수 있으며, 디지털 신호는 재생기가 있으면 언제든지 재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장거리 전송이 용이합니다. 또한,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보다 적은 대역폭을 요구하므로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디지털 전송은 LSI, VLSI 등의 기술 발전으로 더욱 발전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비패킷형 단말기들을 패킷교환망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패킷으로 조립하고, 수신측에서는 분해해주는 것은?

  1. PAD
  2. PMS
  3. PS
  4. NCC
(정답률: 48%)
  • PAD는 Packet Assembler/Disassembler의 약자로, 비패킷형 단말기들이 패킷교환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패킷으로 조립하고, 수신측에서는 패킷을 분해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PAD가 정답이다. PMS는 Packet Mode Service의 약자로, 패킷 교환망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PS는 Packet Switching의 약자로, 패킷 교환망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NCC는 Network Control Center의 약자로,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센터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LAN의 기본적인 회선망의 형태가 아닌 것은?

  1. 스타형
  2. 버스형
  3. 베이스밴드형
  4. 링형
(정답률: 69%)
  • LAN의 기본적인 회선망 형태는 "스타형", "버스형", "링형"이다. "베이스밴드형"은 LAN의 기본적인 회선망 형태가 아니며, 이는 전송할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주로 케이블 TV나 산업용 제어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베이스밴드형"은 LAN의 기본적인 회선망 형태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미국의 군사용방공시스템으로 사용된 최초의 데이터 통신시스템은?

  1. ARPA
  2. CTSS
  3. SABRE
  4. SAGE
(정답률: 58%)
  • 정답은 "SAGE"입니다. SAGE는 1950년대에 미국에서 개발된 최초의 군사용방공시스템으로, 미국과 캐나다의 공군이 함께 사용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컴퓨터와 레이더를 결합하여 공중공격을 탐지하고 방어할 수 있었으며, 이를 위해 데이터 통신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SAGE는 미국의 군사용방공시스템으로 사용된 최초의 데이터 통신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회선교환(Circuit Switching)방식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1. 고정된 대역폭 전송방식이다.
  2. 전용선로가 없다.
  3. 패킷을 이용한 전송방식이다.
  4. 호출된 자국이 교신 중일 때 busy 신호가 없다.
(정답률: 46%)
  • 고정된 대역폭 전송방식이란, 통신 회선을 전적으로 할당하여 통신하는 방식으로, 통신에 필요한 대역폭이 미리 할당되어 있어서 전송 중에 대역폭이 바뀌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회선교환 방식은 고정된 대역폭 전송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동종의 네트워크(LAN)를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1. 모뎀
  2. 서버
  3. PAD
  4. 브리지
(정답률: 59%)
  • 브리지는 동일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두 개의 LAN을 연결하는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충돌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동종의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됩니다. 모뎀은 다른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며, 서버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PAD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장치로, 네트워크 연결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아날로그 컬러 TV 방송방식에 대한 국제표준규격이 아닌 것은?

  1. SECAM
  2. NTSC
  3. PAL
  4. HDTV
(정답률: 43%)
  • HDTV는 아날로그 컬러 TV 방송방식이 아니라 디지털 TV 방송방식이기 때문에 국제표준규격이 아닙니다. SECAM, NTSC, PAL은 모두 아날로그 컬러 TV 방송방식의 국제표준규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시분할 다중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역폭의 이용도가 높아 고속 전송에 용이하다.
  2. 전송속도가 낮은 부 채널의 신호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한다.
  3. 비동기식 데이터만을 다중화 하는데 사용한다.
  4. 부 채널간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지역으로 보호 대역이 필요하다.
(정답률: 25%)
  • 대역폭의 이용도가 높아 고속 전송에 용이하다는 것은 시분할 다중화가 여러 개의 부 채널을 하나의 묶음으로 묶어서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프로토콜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구문(syntax)
  2. 의미(semantics)
  3. 순서(timing)
  4. 접속(connection)
(정답률: 60%)
  • 프로토콜의 구성 요소 중 접속(connection)은 아닙니다. 구문(syntax)은 메시지의 형식과 구조를 정의하고, 의미(semantics)는 메시지의 의미와 목적을 정의합니다. 순서(timing)는 메시지의 전송 순서와 타이밍을 정의합니다. 하지만 접속(connection)은 프로토콜이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수립해야 하는 연결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접속(connection)은 프로토콜의 구성 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전송속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보(baud)는 초당 발생한 신호의 변화 횟수를 말한다.
  2. bps는 초당 전송된 비트수를 말한다.
  3. 2비트가 한 신호단위인 경우 1200 bps는 2400 baud가 된다.
  4. 변조속도의 단위로 보(baud)를 사용한다.
(정답률: 39%)
  • 2비트가 한 신호단위인 경우 1200 bps는 2400 baud가 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이유는 보와 bps는 다른 개념이기 때문이다. 보는 초당 발생한 신호의 변화 횟수를 나타내는 단위이고, bps는 초당 전송된 비트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따라서, 2비트가 한 신호단위인 경우에도 bps와 baud는 같은 값을 가질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4비트가 한 신호단위인 경우에는 1200 bps는 300 baud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채널효율을 최대로 하기 위해 블록의 길이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ARQ(Automatic Repeat Request) 방식은?

  1. 적응적(Adaptive) ARQ
  2. Stop-And-Wait ARQ
  3. 선택적(selective)ARQ
  4. Go-back-N 방식 ARQ
(정답률: 53%)
  • 적응적 ARQ는 채널 상태에 따라 블록의 길이를 동적으로 조절하여 채널 효율을 최대화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채널 상태가 좋을 때는 블록의 길이를 늘리고, 채널 상태가 나쁠 때는 블록의 길이를 줄여서 전송을 진행한다. 이에 비해 Stop-And-Wait ARQ는 항상 고정된 길이의 블록을 전송하고, 선택적 ARQ와 Go-back-N 방식 ARQ는 오류가 발생한 블록만 재전송하는 방식으로 채널 효율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오류 제어에 초점을 둔 방식이다. 따라서 적응적 ARQ가 채널 효율을 최대화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뉴미디어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1. 고속성
  2. 상호작용성
  3. 쌍방향성
  4. 획일성
(정답률: 68%)
  • 뉴미디어는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취향에 맞게 맞춤화되어 제공되기 때문에 획일성과는 거리가 먼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뉴미디어는 다양성과 개인화에 초점을 둔 반면, 획일성은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인터넷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신 프로토콜은?

  1. IEEE 802
  2. TCP/IP
  3. SNA
  4. 10 Base T
(정답률: 78%)
  • 인터넷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신 프로토콜은 TCP/IP입니다. 이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고, 패킷의 도착 여부를 확인하며,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또한, TCP/IP는 인터넷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프로토콜들을 모아놓은 것으로, 이를 이용하여 이메일, 웹 브라우징, 파일 전송 등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ISDN 채널의 종류와 전송속도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

  1. B채널 : 64kbps
  2. D 채널 : 48kbps
  3. H0채널 : 1536kbps
  4. H11채널 : 384kbps
(정답률: 38%)
  • ISDN 채널은 B채널, D채널, H0채널, H11채널로 구분됩니다. B채널은 음성통화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며, 전송속도는 64kbps입니다. D채널은 제어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전송속도는 16kbps 또는 64kbps입니다. H0채널은 30개의 B채널을 묶어서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전송속도는 1536kbps입니다. H11채널은 4개의 B채널을 묶어서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전송속도는 384kbps입니다. 따라서 B채널의 전송속도는 64kbp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