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6-02)

정보처리산업기사
(2013-06-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데이터 베이스

1. 막대한 양의 자료를 각종 매체에 저장하는 기법을 파일 조직, 파일 편성 혹은 파일 구성 방법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파일 조직 방법 중에서 키 값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지역(Data Area)과 이 지역에 대한 포인터를 가진 색인 지역(Index Area)으로 구성된 파일은?

  1. 색인 순차 파일(Indexed Sequential File)
  2. 링 파일(Ring File)
  3. 직접 파일(Direct File)
  4. 순차 파일(Sequential File)
(정답률: 89%)
  • 색인 순차 파일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면서도 특정 키 값에 대한 검색을 빠르게 할 수 있는 파일 조직 방법이다. 이를 위해 데이터 지역과 색인 지역으로 구성되며, 색인 지역에는 데이터 지역의 각 레코드에 대한 포인터와 해당 레코드의 키 값이 저장된다. 이렇게 색인 지역을 통해 키 값에 대한 검색을 빠르게 할 수 있으며,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데이터 지역은 데이터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색인 순차 파일은 데이터의 검색과 순차적인 접근 모두에 용이한 파일 조직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관계 데이터모델이 가지는 제약조건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릴레이션 무결성
  2. 외래키 무결성
  3. 참조 무결성
  4. 개체 무결성
(정답률: 77%)
  • 이 그림은 개체 무결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개체 무결성은 기본키로 지정된 속성은 NULL 값을 가질 수 없으며, 중복된 값을 가질 수 없다는 제약조건입니다. 이 그림에서는 학생번호가 기본키로 지정되어 있으며, NULL 값을 가질 수 없고 중복된 값을 가질 수 없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일반적인 데이터 모델의 3가지 구성 요소로 옳은 것은?

  1. 구조, 연산, 제약조건
  2. 구조, 연산, 도메인
  3. 릴레이션, 구조, 스키마
  4. 데이터사전, 연산, 릴레이션
(정답률: 71%)
  • 일반적인 데이터 모델의 3가지 구성 요소는 구조, 연산, 제약조건입니다.

    - 구조: 데이터 모델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정의합니다. 이는 데이터의 속성, 타입, 관계 등을 포함합니다.
    - 연산: 데이터 모델에서 사용되는 연산을 정의합니다. 이는 데이터의 삽입, 삭제, 검색, 수정 등을 포함합니다.
    - 제약조건: 데이터 모델에서 사용되는 제약조건을 정의합니다. 이는 데이터의 무결성, 일관성, 보안 등을 보장하기 위한 제약사항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구조, 연산, 제약조건"이 일반적인 데이터 모델의 3가지 구성 요소로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뷰(VIEW)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내용 모두를 나열한 것은?

  1. ①, ②
  2. ①, ③, ④
  3. ②, ③, ④
  4. ①, ②, ③, ④
(정답률: 83%)
  • 뷰(View)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의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테이블이나 다른 뷰의 결과를 기반으로 생성된 가상 테이블이다. 따라서 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① 뷰는 가상 테이블이므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다.
    ② 뷰는 테이블이나 다른 뷰를 기반으로 생성된다.
    ③ 뷰는 테이블과 마찬가지로 SELECT 문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④ 뷰는 데이터의 일부분만 보여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영문의 ( ) 안에 적합한 단어는?

  1. stack
  2. queue
  3. graph
  4. tree
(정답률: 69%)
  • 이 그림은 선입선출(FIFO) 구조를 가지는 자료구조인 큐(queue)를 나타낸다. 큐는 데이터를 먼저 들어온 순서대로 처리하는 구조이며, 이 그림에서도 먼저 들어온 데이터부터 차례대로 처리되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queu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데이터베이스의 정의로 옳은 내용 모두를 나열한 것은?

  1. ①, ②, ④
  2. ①, ③, ④
  3. ②, ③, ④
  4. ①, ②, ③, ④
(정답률: 76%)
  • 데이터베이스는 체계화된 데이터의 모임으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공유 가능하며, 중복을 최소화하고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데이터의 집합이다. 따라서 "②, ③, ④"가 모두 옳은 내용이다.

    ①은 데이터베이스의 공유 가능성과 중복 최소화, 무결성 보장 등의 특징을 빠뜨렸고, ③은 데이터베이스가 여러 개의 파일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하나의 집합으로 구성된 것이라는 점을 빠뜨렸다. ④는 데이터베이스가 데이터를 검색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빠뜨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SQL을 사용 용도에 따라 분류할 경우, 다음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SELECT
  2. DROP
  3. ALTER
  4. CREATE
(정답률: 77%)
  • 정답은 "SELECT"입니다.

    "SELECT"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회하는 명령어로, 데이터를 가져오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DROP", "ALTER", "CREATE"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변경하는 명령어로, 데이터를 조작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SELECT"는 데이터를 가져오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나머지 명령어들은 데이터를 조작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데이터 모델의 종류 중 오너-멤버(owner-member) 관계를 갖는 것은?

  1. 뷰 데이터 모델
  2.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3. 계층 데이터 모델
  4. 관계 데이터 모델
(정답률: 79%)
  • 오너-멤버 관계를 갖는 데이터 모델은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데이터를 노드(node)와 링크(link)로 구성된 그래프 형태로 표현하며, 각 노드는 오너(owner)와 멤버(member)로 구분됩니다. 오너는 다른 노드를 가리키는 링크를 가질 수 있으며, 멤버는 여러 오너 노드에 속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복잡한 관계를 표현하기에 적합하며,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면 데이터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트리를 전위 순서(Pre-order)로 운행한 결과는?

  1. D B G H E F C A
  2. A B D C E G H F
  3. D B A G E H C F
  4. B D G H E F A C
(정답률: 76%)
  • 전위 순서(Pre-order)는 루트 노드를 먼저 방문하고, 왼쪽 서브트리를 방문한 후에 오른쪽 서브트리를 방문하는 순서이다. 따라서 이 트리의 전위 순서는 "A B D C E G H F"가 된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루트 노드인 A를 먼저 방문한다.
    2. A의 왼쪽 서브트리인 B를 방문한다.
    3. B의 왼쪽 서브트리인 D를 방문한다.
    4. D의 왼쪽 서브트리가 없으므로 D를 방문하고, 다시 B로 돌아온다.
    5. B의 오른쪽 서브트리인 E를 방문한다.
    6. E의 왼쪽 서브트리인 G를 방문한다.
    7. G의 왼쪽 서브트리가 없으므로 G를 방문하고, 다시 E로 돌아온다.
    8. E의 오른쪽 서브트리인 H를 방문한다.
    9. H의 왼쪽 서브트리가 없으므로 H를 방문하고, 다시 E로 돌아온다.
    10. E의 방문이 끝났으므로 B로 돌아온다.
    11. B의 방문이 끝났으므로 A의 오른쪽 서브트리인 C를 방문한다.
    12. C의 왼쪽 서브트리인 F를 방문한다.
    13. F의 왼쪽 서브트리가 없으므로 F를 방문하고, 다시 C로 돌아온다.
    14. C의 방문이 끝났으므로 전체 트리의 방문이 끝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버블 정렬을 이용한 오름차순 정렬시 다음 자료에 대한 3회전 후의 결과는?

  1. 3, 5, 6, 7, 9
  2. 6, 3, 5, 7, 9
  3. 6, 7, 3, 5, 9
  4. 9, 7, 6, 5, 3
(정답률: 74%)
  • 버블 정렬은 인접한 두 원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뒤로 보내는 정렬 방법입니다.

    1회전: 첫 번째 원소와 두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두 번째 원소가 더 작으므로 위치를 바꿉니다. 이어서 두 번째 원소와 세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세 번째 원소가 더 크므로 위치를 바꾸지 않습니다. 이 과정을 마지막 원소까지 반복합니다. 결과는 "6, 3, 5, 7, 9" 입니다.

    2회전: 첫 번째 원소와 두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첫 번째 원소가 더 크므로 위치를 바꾸지 않습니다. 이어서 두 번째 원소와 세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두 번째 원소가 더 크므로 위치를 바꿉니다. 이어서 세 번째 원소와 네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세 번째 원소가 더 작으므로 위치를 바꿉니다. 이 과정을 마지막 원소까지 반복합니다. 결과는 "6, 7, 3, 5, 9" 입니다.

    3회전: 첫 번째 원소와 두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첫 번째 원소가 더 크므로 위치를 바꾸지 않습니다. 이어서 두 번째 원소와 세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두 번째 원소가 더 작으므로 위치를 바꾸지 않습니다. 이어서 세 번째 원소와 네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세 번째 원소가 더 작으므로 위치를 바꾸지 않습니다. 이어서 네 번째 원소와 다섯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다섯 번째 원소가 더 작으므로 위치를 바꿉니다. 이 과정을 마지막 원소까지 반복합니다. 결과는 "3, 5, 6, 7, 9"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한 릴레이션(relation)에 포함되어 있는 튜플(tuple)의 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차수(degree)
  2. 카디널리티(cardinality)
  3. 도메인(domain)
  4. 속성(attribute)
(정답률: 76%)
  • 카디널리티는 한 릴레이션에 포함되어 있는 튜플의 수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카디널리티(cardinality)"입니다. 차수는 한 튜플에 포함되어 있는 속성의 수를 나타내는 용어이고, 도메인은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속성은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데이터의 특성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어떤 릴레이션 R에서 X와 Y를 각각 R의 애트리뷰트 집합의 부분 집합이라고 할 경우, 애트리뷰트 X의 값 각각에 대하여 시간에 관계없이 항상 애트리뷰트 Y의 값이 오직 하나만 연관되어 있을 때 Y는 X에 함수 종속이라고 한다. 이러한 성질을 표현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X → Y
  2. Y → X
  3. X ⊂ Y
  4. Y ⊂ X
(정답률: 52%)
  • 정답은 "X → Y"이다.

    "X → Y"는 X가 Y를 함수적으로 결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X의 값이 주어지면 항상 Y의 값이 유일하게 결정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학생의 성적 정보가 담긴 릴레이션에서 학생의 학번(X)이 주어지면 항상 해당 학생의 성적(Y)이 유일하게 결정된다면, "학번은 성적을 함수적으로 결정한다"라고 말할 수 있다.

    반대로 "Y → X"는 Y가 X를 함수적으로 결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X와 Y의 관계를 설명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X ⊂ Y"와 "Y ⊂ X"는 각각 X가 Y의 부분집합이거나 Y가 X의 부분집합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X와 Y의 크기 관계를 설명하는 것으로, 함수 종속성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 중 물리적 설계 단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저장 레코드 양식 설계
  2. 접근 경로 설계
  3. 레코드 집중의 분석 및 설계
  4. 트랜잭션 인터페이스 설계
(정답률: 72%)
  • 물리적 설계 단계는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실제 저장장치에 맞게 변환하는 단계이며, 저장 레코드 양식 설계, 접근 경로 설계, 레코드 집중의 분석 및 설계는 이에 해당한다. 하지만 트랜잭션 인터페이스 설계는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되는 작업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 간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것이다. 따라서 트랜잭션 인터페이스 설계는 물리적 설계 단계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정규화 과정 중 2NF에서 3NF 로 진행시의 작업에 해당하는 것은?

  1. 부분적 함수 종속 제거
  2. 결정자이면서 후보 키가 아닌 것 제거
  3. 이행적 함수 종속 제거
  4. 다치 종속 제거
(정답률: 83%)
  • 2NF에서 3NF로 진행시에는 "이행적 함수 종속 제거"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는 어떤 속성 A가 다른 속성 B에 함수적으로 종속되고, B가 다른 속성 C에 함수적으로 종속되는 경우, A와 C 사이에 이행적 함수 종속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이행적 함수 종속을 제거하여 데이터 중복성과 이상 현상을 방지하고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그림에서 트리의 차수는?

  1. 1
  2. 2
  3. 3
  4. 4
(정답률: 77%)
  • 트리의 차수란 각 노드가 가지고 있는 자식 노드의 수를 말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노드 1은 자식 노드가 2개, 노드 2는 자식 노드가 1개, 노드 3은 자식 노드가 2개, 노드 4는 자식 노드가 없으므로, 가장 많은 자식 노드를 가진 노드 1의 자식 노드 수인 2가 이 트리의 차수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데이터베이스 설계 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①→②→③→④→⑤
  2. ①→③→②→④→⑤
  3. ①→④→⑤→②→③
  4. ①→②→④→③→⑤
(정답률: 86%)
  • 정답은 "①→④→⑤→②→③" 입니다.

    ① 단계에서는 요구사항 분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목적과 범위를 파악합니다.

    ④ 단계에서는 개념적 설계를 통해 업무 프로세스와 개체 간의 관계를 정의합니다.

    ⑤ 단계에서는 논리적 설계를 통해 개념적 설계를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맞게 변환합니다.

    ② 단계에서는 물리적 설계를 통해 논리적 설계를 실제 데이터베이스로 구현합니다.

    ③ 단계에서는 구현된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며 유지보수를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DBMS의 필수 기능 중 다음 내용과 관계있는 것은?

  1. Manipulation Facility
  2. Definition Facility
  3. Connection Facility
  4. Control Facility
(정답률: 60%)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DBMS의 관리자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Control Facility의 기능 중 하나인 데이터베이스 백업과 복원 기능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Control Facility"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순서가 A, B, C, D 로 정해진 입력 자료를 스택에 입력하였다가 출력한 결과가 될 수 없는 것은?

  1. D, A, B C
  2. C, D, B, A
  3. B, C, D, A
  4. C, B, A, D
(정답률: 65%)
  • 정답은 "D, A, B C"이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구조이기 때문에 가장 마지막에 입력된 것이 가장 먼저 출력되어야 한다. 따라서 "D"가 가장 먼저 출력되어야 하지만 "D" 다음에 "A"가 나오므로 올바른 출력 순서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

  1. DBMS
  2. Schema
  3. Key
  4. DataWare House
(정답률: 71%)
  • 위 그림은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는 개념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종류, 형식, 관계 등을 정의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은 스키마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정답은 "Schema"입니다. "DBMS"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의미하며, "Key"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레코드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값, "DataWare House"는 대규모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는 데이터베이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자료 구조 중 성격이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는?

  1. 스택
  2. 데크
  3. 트리
(정답률: 85%)
  • 트리는 선형적인 구조가 아니라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머지 셋과는 성격이 다릅니다. 스택, 큐, 데크는 모두 선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데이터를 쌓아놓는 방식이나 접근 방법이 서로 다를 뿐이지만, 트리는 부모-자식 관계를 가지는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트리는 그래프 자료 구조의 일종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계산기 구조

21. 주소지정 방식 중 오퍼랜드가 메모리상의 데이터 주소를 기억하고 그 주소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접근하는 방식은?

  1. 간접 주소지정 방식
  2. 상태 주소지정 방식
  3. 인덱스 주소지정 방식
  4. 즉시 주소지정 방식
(정답률: 62%)
  • 간접 주소지정 방식은 오퍼랜드가 메모리상의 데이터 주소를 직접 기억하지 않고, 그 주소가 저장된 레지스터나 메모리 주소를 참조하여 해당 주소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오퍼랜드가 직접 주소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프로그램의 유연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한 워드가 8비트이고, 총 32개의 워드를 저장하는 ROM이 있다. 입력주소 선은 몇 개 필요한가?

  1. 4
  2. 5
  3. 8
  4. 32
(정답률: 45%)
  • 32개의 워드를 저장하는 ROM이므로, 총 비트 수는 8비트 x 32 = 256비트이다. 입력주소 선의 수는 로그 함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2^x = 256 이므로, x = log2(256) = 8이다. 하지만 입력주소 선 중 하나는 항상 고정되어 있으므로, 실제 필요한 입력주소 선의 수는 8-1 = 7이다.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자외선을 사용하여 기억된 내용을 지우는 소자는?

  1. UVEPROM
  2. EEPROM
  3. Mask ROM
  4. PROM
(정답률: 63%)
  • 자외선을 사용하여 기억된 내용을 지우는 소자는 UVEPROM이다. 이는 EEPROM과 유사하지만, EEPROM은 전기적으로 기억을 지우고 쓸 수 있지만 UVEPROM은 자외선을 사용하여 기억을 지우고 다시 쓸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Mask ROM과 PROM은 기억을 지우거나 수정할 수 없는 일회성 소자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시프트 레지스터에서 왼쪽으로 한번 시프트 시키면 원래의 데이터는?

  1. 1/2배로 된다.
  2. 1/4배로 된다.
  3. 2배로 된다.
  4. 4배로 된다.
(정답률: 69%)
  • 시프트 레지스터에서 왼쪽으로 한번 시프트 시키면 원래의 데이터는 2배로 된다. 이는 이진수에서 자릿수를 왼쪽으로 한 칸 이동하면 2의 거듭제곱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010을 왼쪽으로 한 칸 시프트하면 10100이 되는데, 이는 1010에 2를 곱한 값과 같다. 따라서 시프트 레지스터에서 왼쪽으로 한번 시프트 시키면 원래의 데이터는 2배로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부동소수점 연산에서 정규화를 하는 주목적은?

  1. 연산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2. 숫자 표시를 간단히 하기 위해서
  3. 수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4. 부호 비트를 생략하기 위해서
(정답률: 56%)
  • 부동소수점 연산에서 정규화를 하는 주목적은 "수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정규화는 소수점 이하의 숫자를 가능한 한 많이 표현하여 정밀도를 높이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연산 결과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인터럽트의 요청 신호 플래그를 순차적으로 검사하여 원인을 판별하는 방식은?

  1. DMA
  2. 스트로브
  3. 데이지 체인
  4. 폴링
(정답률: 52%)
  • 인터럽트 요청 신호 플래그를 순차적으로 검사하여 원인을 판별하는 방식은 폴링이다. 이는 CPU가 인터럽트 요청을 지속적으로 검사하면서 해당 인터럽트가 발생했는지 확인하는 방식으로, 인터럽트 처리에 대한 우선순위가 없는 경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함수연산기능 인스트럭션의 수행에 필요한 피연산자를 기억시킬 레지스터의 종류에 따라 컴퓨터 구조를 분류할 때, 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스택 컴퓨터구조
  2. AC 컴퓨터구조
  3. 리스트 컴퓨터 구조
  4. 범용 레지스터 컴퓨터구조
(정답률: 41%)
  • 리스트 컴퓨터 구조는 피연산자를 기억시킬 레지스터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연결 리스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AND 마이크로 동작과 유사한 것은?

  1. insert 동작
  2. OR 동작
  3. packing 동작
  4. mask 동작
(정답률: 68%)
  • AND 마이크로 동작은 두 비트열에서 같은 위치에 있는 비트들을 AND 연산하여 새로운 비트열을 생성하는 동작이다. 이와 유사하게 mask 동작은 비트열에서 특정 위치에 있는 비트들을 선택하여 새로운 비트열을 생성하는 동작이다. 따라서 mask 동작이 AND 마이크로 동작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메모리 인터리빙(interleaving) 방법의 사용 목적이 되는 것은?

  1. 메모리 액세스의 효율 증대
  2. 기억 용량의 증대
  3. 입·출력 장치의 증설
  4. 전력 소모 감소
(정답률: 68%)
  • 메모리 인터리빙 방법은 여러 개의 메모리 모듈을 동시에 사용하여 메모리 액세스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하고 처리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메모리 액세스의 효율 증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RS 플립플롭을 JK 플립플롭으로 바꾸어 사용하려고 할 때 필요한 게이트는?

  1. OR 게이트 2개
  2. AND 게이트 2개
  3. EX-OR 게이트 2개
  4. NAND 게이트 2개
(정답률: 48%)
  • RS 플립플롭은 입력값이 S와 R 두 개이지만, JK 플립플롭은 입력값이 J와 K 두 개이다. 따라서 RS 플립플롭을 JK 플립플롭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S와 R을 J와 K로 변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 AND 게이트 2개를 사용하여 S와 R을 AND 연산한 결과를 J에, S와 R의 부정값을 AND 연산한 결과를 K에 입력해주면 된다. 따라서 정답은 "AND 게이트 2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범용 레지스터를 사용하여 기억할 수 없는 것은?

  1. 연산할 데이터
  2. 연산된 결과
  3. 실행될 명령어
  4. 주기억장치에서 보내온 데이터
(정답률: 51%)
  • 실행될 명령어는 범용 레지스터를 사용하여 기억할 수 없는 것이다. 이는 범용 레지스터가 CPU에서 명령어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범용 레지스터는 연산할 데이터, 연산된 결과, 주기억장치에서 보내온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지만, 실행될 명령어는 저장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아래 논리식을 간략화 하면?

(정답률: 61%)
  • 논리식을 간략화하면 "" 이 된다. 이유는 논리식에서 ""과 ""이 상쇄되고, ""는 ""와 같은 의미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진리표(truth table)를 간략히 한 결과 Y는?(문제 오류 입니다. 정답은 A + B'이 답입니다. 보기에 답이 없으므로 여기서는 4번을 누르시면 정답 처리 됩니다.)

(정답률: 77%)
  •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참일 때만 출력이 참이 되므로, A와 B'가 모두 참일 때만 Y가 참이 됩니다. 따라서 Y는 A+B'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자기보수코드(self complement code)는?

  1. Hamming code
  2. Excess-3 code
  3. Gray code
  4. 6-3-1-1 code
(정답률: 49%)
  • Excess-3 code는 8421 BCD 코드에서 3을 더한 값을 이진수로 나타낸 코드이다. 이 코드는 자기보수코드(self complement code)의 일종으로, 어떤 수의 9의 보수를 취하면 그 수의 자기보수가 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오류 검출 및 정정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인터럽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지 체인은 하드웨어로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2. 주변장치의 우선순위는 일반적으로 속도가 빠른 장치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3. 하드웨어에 의한 우선순위 부여는 유연성이 있고, 인터럽트 반응 시간이 빠르다.
  4.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에 의한 방법이 있다.
(정답률: 56%)
  • "하드웨어에 의한 우선순위 부여는 유연성이 있고, 인터럽트 반응 시간이 빠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하드웨어에 의한 우선순위 부여는 일반적으로 고정적이며, 소프트웨어에 비해 유연성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또한, 인터럽트 반응 시간도 하드웨어에 따라 다르며, 소프트웨어에 의한 방법도 빠른 반응 시간을 보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32가지의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하고, 직접 주소지정방식과 간접 주소지정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4개의 레지스터를 가진 컴퓨터의 기억장치의 크기가 4Kbyte라 할 때 명령어의 크기는 몇 bit 인가?

  1. 32
  2. 20
  3. 12
  4. 16
(정답률: 38%)
  • 4Kbyte는 4 x 1024 x 8 = 32768 bit 이므로, 기억장치에 저장 가능한 명령어의 개수는 32768 / 명령어 크기 이다. 따라서 명령어 크기를 구하기 위해서는 32768 / 32 또는 32768 / 20을 계산하면 된다. 계산 결과, 32로 나눈 값은 1024이고, 20으로 나눈 값은 1638.4 이다. 따라서 명령어 크기는 20 bit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명령(Instruction) 중에서 PC←X와 같은 의미를 뜻하는 것은?

  1. JMP X
  2. ADD X
  3. MOV X
  4. STA X
(정답률: 45%)
  • "JMP X"는 Jump to X의 약자로, 프로그램 카운터(PC)를 X로 변경하여 해당 주소로 분기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PC←X와 같은 의미를 뜻한다. ADD X는 X를 더하는 명령어, MOV X는 X를 다른 레지스터나 메모리로 이동하는 명령어, STA X는 X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한 개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수행에 필요한 시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micro cycle time
  2. seek time
  3. search time
  4. access time
(정답률: 74%)
  • 한 개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수행에 필요한 시간을 "micro cycle time" 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CPU가 한 번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seek time"은 하드 디스크에서 특정 위치로 헤드를 이동시키는 데 걸리는 시간을 말하며, "search time"은 하드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찾는 데 걸리는 시간을 말합니다. "access time"은 하드 디스크나 메모리 등에서 데이터에 접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CPU의 명령어 실행 시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micro cycle tim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발생한 펄스에 따른 계산기의 각 부분의 동작을 규칙적으로 진행시키는 제어 방식은?

  1. 직류 방식
  2. 비동기식 제어 방식
  3. 비주기식 제어 방식
  4. 동기식 제어 방식
(정답률: 74%)
  •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발생한 펄스에 따라 계산기의 각 부분을 규칙적으로 동작시키는 제어 방식은 동기식 제어 방식입니다. 이는 펄스의 발생 주기에 맞춰서 각 부분이 동시에 동작하며, 시스템 전체가 동기화되어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계산기의 정확한 동작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인스트럭션은 중앙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데 다음 중 명령을 읽어내는 사이클(cycle)은?

  1. fetch 사이클
  2. execute 사이클
  3. indirect 사이클
  4. interrupt 사이클
(정답률: 68%)
  • 인스트럭션은 메모리에서 가져와서 중앙처리장치에서 실행되는데, 이때 인스트럭션을 메모리에서 가져오는 사이클을 "fetch 사이클"이라고 한다. 따라서 명령을 읽어내는 사이클은 "fetch 사이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시스템분석설계

41. 경리 장부 처리시 차변, 대변의 한계 값을 체크하는데 사용하는 방법으로 대차의 균형이나 가로, 세로의 합계가 일치하는가를 체크하는 방법은?

  1. Limit check
  2. Matching check
  3. Balance check
  4. Batch total check
(정답률: 65%)
  • "Balance check"는 대차의 균형이나 가로, 세로의 합계가 일치하는지를 체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장부 처리시 차변, 대변의 한계 값을 체크하는데 사용된다. "Limit check"는 한도 값을 초과하는지 체크하는 방법, "Matching check"는 두 개 이상의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체크하는 방법, "Batch total check"는 일괄 처리된 데이터의 총합이 일치하는지 체크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코드 설계 단계 중 대상 항목에 대하여 설계된 코드의 사용이 컴퓨터 처리 내에 한정되는가? 해당 업무에만 한정되는가? 관련 부문의 업무에 공통으로 사용되는가? 기업 전체에 사용되는가? 등을 확정하는 단계는?

  1. 사용 기간의 결정
  2. 코드화 방식의 결정
  3. 사용 범위의 결정
  4. 코드 대상 항목 결정
(정답률: 72%)
  • "사용 범위의 결정"은 코드 설계 단계에서 대상 항목이 어디까지 사용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해당 코드의 사용 범위가 컴퓨터 처리 내에만 한정되는지, 특정 업무에만 한정되는지, 관련 부문의 업무에 공통으로 사용되는지, 또는 기업 전체에 사용되는지 등을 확정한다. 이는 코드의 활용성과 유지보수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사용 범위의 결정"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색인 순차 파일의 색인 영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Track Index Area
  2. Cylinder Index Area
  3. Master Index Area
  4. Overflow Index Area
(정답률: 72%)
  • 색인 순차 파일에서 데이터 레코드가 색인되는 과정에서 색인 영역에 저장되지 않고, 색인 영역의 용량을 초과할 경우 저장되는 공간이 "Overflow Index Area"이다. 이 영역은 색인 영역과는 별도로 관리되며, 데이터 레코드의 주소를 가리키는 포인터만을 저장한다. 따라서 이 영역은 색인 영역과는 달리 검색 속도가 느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프로세스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확성을 고려하여 처리과정을 명확히 명시한다.
  2. 프로세스의 분류 처리는 가능한 상세하고 크게 한다.
  3. 시스템의 상태나 구성 요소 등을 종합적으로 표시한다.
  4. 정보의 흐름이나 처리 과정은 모든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표준화 방법을 사용한다.
(정답률: 70%)
  • 프로세스의 분류 처리를 가능한 상세하고 크게 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이는 프로세스 설계의 복잡성을 증가시키고, 이해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프로세스의 분류 처리는 적절한 수준에서 충분히 상세하게 작성되어야 하며,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모듈 작성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료의 추상화와 정보 은닉 개념을 도입한다.
  2. 적절한 크기로 작성한다.
  3. 모듈 내용이 다른 곳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표준화한다.
  4. 모듈간의 기능적 결합도는 최대화한다.
(정답률: 65%)
  • "모듈간의 기능적 결합도는 최대화한다."는 옳지 않은 주의사항입니다. 모듈 간의 결합도는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듈 간의 결합도가 높을수록 코드 수정이 어려워지고 유지보수가 어려워집니다.

    모듈간의 기능적 결합도를 최소화하는 방법은 인터페이스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모듈 내부에서만 사용하는 변수와 함수는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도록 정보 은닉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모듈 간의 의존성이 줄어들어 코드 수정이 쉬워지고 유지보수성이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한 모듈이 다른 모듈의 내부 기능 및 그 내부 자료를 조회하는 경우의 결합성은?

  1. stamp coupling
  2. common coupling
  3. content coupling
  4. control coupling
(정답률: 57%)
  • 이 경우의 결합성은 "content coupling"입니다. 이는 다른 모듈의 내부 구현에 대한 직접적인 의존성이 있는 경우입니다. 즉, 모듈이 다른 모듈의 내부 자료나 기능을 직접적으로 참조하고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이는 모듈 간의 결합도를 높이고, 유지보수 및 수정이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표준 처리 패턴 중 특정 조건이 주어진 파일 중에서 그 조건에 만족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분리 처리하는 것은?

  1. merge
  2. collate
  3. extract
  4. distribution
(정답률: 67%)
  • 주어진 파일을 특정 조건에 따라 분리하여 처리하는 것을 "distribution"이라고 합니다. 이는 파일을 분배하여 각각 다른 처리를 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세 가지 패턴인 "merge", "collate", "extract"와는 목적과 방식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폭포수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계별 정의가 분명하고 전체 공조의 이해가 용이하다.
  2. 두 개 이상의 과정이 병행하여 수행되지 않는다.
  3. 실제 개발될 소프트웨어에 대한 시제품을 만들어 최종 결과물을 예측한다.
  4. 전통적인 생명주기 모형이다.
(정답률: 68%)
  • 폭포수 모형은 실제 개발될 소프트웨어에 대한 시제품을 만들어 최종 결과물을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각 단계별로 정의를 분명하게 하고 전체 과정의 이해가 용이하도록 하는 모형이다. 따라서 "실제 개발될 소프트웨어에 대한 시제품을 만들어 최종 결과물을 예측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럼바우의 객체지향 분석 기법에서 자료 흐름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1. Object Modeling
  2. Dynamic Modeling
  3. Function Modeling
  4. Total Modeling
(정답률: 44%)
  • 럼바우의 객체지향 분석 기법에서 자료 흐름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Function Modeling"이다. 이는 자료 흐름도를 통해 시스템 내에서 어떤 기능이 수행되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스템의 기능을 분해하고 모델링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즉, 자료 흐름도를 통해 파악한 시스템의 기능을 Function Modeling을 통해 모델링하고, 이를 기반으로 Object Modeling과 Dynamic Modeling을 수행하여 전체적인 시스템 모델을 완성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파일의 종류 중 일시적인 성격을 지닌 정보를 기록하는 것은?

  1. Transaction file
  2. Backup file
  3. Source data file
  4. Master file
(정답률: 66%)
  • 일시적인 성격을 지닌 정보를 기록하는 것은 "Transaction file"이다. 이는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데이터를 기록하고, 이후에는 보통 삭제되거나 다른 파일로 이관되는 파일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은행 거래 내역이나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주문 내역 등이 이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은 어떤 종류의 코드 오류(error)인가?

  1. Transposition error
  2. Random error
  3. Transcription error
  4. Double Transport error
(정답률: 65%)
  • 이 코드 오류는 "Transcription error"이다. 이는 입력 데이터를 잘못 복사하거나 입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로, 입력된 데이터가 원래 데이터와 다른 경우에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숫자 9와 4가 잘못 입력되어 있어서 오류가 발생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시스템 문서화의 효과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시스템 개발 후 시스템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2. 시스템 개발팀에서 운용팀으로 인계, 인수가 쉽다.
  3. 시스템 개발 중 추가 변경에 따른 혼란을 방지한다.
  4. 시스템 에러 발생시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한다.
(정답률: 74%)
  • 시스템 에러 발생시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함으로써, 문제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대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책임 소재가 분명해지면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절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자료 흐름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능별로 분할하고 다차원적이다.
  2. 자료 흐름도는 논리적으로 일관성이 있어야한다.
  3. 처리 공정은 원, 자료저장소는 이중직선, 종착지는 사각형, 자료 흐름은 점선으로 표시한다.
  4. 시스템의 활동적인 구성 요소 및 그들 간의 연관관계를 모형화 한다.
(정답률: 70%)
  • "기능별로 분할하고 다차원적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자료 흐름도는 기능이 아닌 데이터의 흐름을 중심으로 모델링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능별로 분할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의 흐름을 중심으로 분할해야 한다. 또한, 다차원적이라는 표현도 적절하지 않다. 자료 흐름도는 일차원적인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다.

    "처리 공정은 원, 자료저장소는 이중직선, 종착지는 사각형, 자료 흐름은 점선으로 표시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자료 흐름도에서 사용되는 표기법 중 하나이다.

    "자료 흐름도는 논리적으로 일관성이 있어야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자료 흐름도는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논리적으로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시스템의 활동적인 구성 요소 및 그들 간의 연관관계를 모형화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자료 흐름도는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시스템의 구성 요소와 그들 간의 연관관계를 모형화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시스템의 특성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목적성
  2. 정보성
  3. 제어성
  4. 종합성
(정답률: 77%)
  • 위 그림은 시스템의 구성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중요한 것은 시스템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의 특성은 "제어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과 같이 코드화 대상 항목의 속성을 표시하는 의미가 있는 물체의 크기나 무게 등을 코드 일부에 숫자 형태 그대로 사용하는 코드 분류 방법은?

  1. Significant Digit Code
  2. Sequence Code
  3. Block Code
  4. Decimal Code
(정답률: 66%)
  • 이 코드 분류 방법은 "Significant Digit Code"이다. 이유는 코드 일부에 숫자 형태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 숫자는 해당 물체의 크기나 무게 등과 같은 속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자릿수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코드 분류 방법은 중요한 자릿수를 강조하고, 숫자의 크기나 무게 등과 같은 속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출력 설계 단계 중 다음 사항과 관계되는 것은?

  1. 출력 정보 내용의 설계
  2. 출력 정보 매체화의 설계
  3. 출력 정보 분배에 대한 설계
  4. 출력 정보 이용에 대한 설계
(정답률: 70%)
  • 주어진 그림은 출력 정보를 이용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출력 정보를 어떻게 이용할 것인지에 대한 설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출력 정보 이용에 대한 설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입력 정보의 설계 순서로 옳은 것은?

  1. ①→②→③→④
  2. ②→③→④→①
  3. ③→④→①→②
  4. ④→①→②→③
(정답률: 75%)
  • 입력 정보의 설계 순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①→②→③→④"가 옳다.

    ①은 입력 정보의 종류를 결정하는 것으로, 어떤 정보를 입력받을지 먼저 결정해야 한다. 이후에는 입력 정보의 형식과 구조를 결정하는 ②와 ③이 이어진다. 이때 ②는 입력 정보의 필드를 결정하고, ③은 필드의 데이터 타입과 제약 조건을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④는 입력 정보의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며, 이는 ①~③에서 결정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입력 정보의 설계 순서는 "①→②→③→④"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시스템의 기본 요소에 대한 기능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Control : 시스템의 기본 요소들이 각 과정을 올바르게 행하는지 감독, 관리하는 행위
  2. Output : 처리된 결과를 시스템에서 추출하는 행위
  3. Input : 처리를 위한 데이터나 조건 등을 시스템에 투입하는 행위
  4. Feedback :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 가공하는 행위
(정답률: 76%)
  • Feedback은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가공하는 행위가 아니라, 처리된 결과를 다시 시스템에 보내서 시스템의 동작을 조절하거나 개선하는 행위입니다. 즉,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처리결과를 마이크로필름에 출력하는 장치로서 서류를 대량으로 장시간 보존하는 장치는?

  1. CAM
  2. ROM
  3. COM
  4. RAM
(정답률: 56%)
  • COM은 "Computer Output Microfilm"의 약자로, 컴퓨터 처리 결과를 마이크로필름에 출력하는 장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서류를 대량으로 장시간 보존하는데 사용됩니다. CAM은 "Computer Aided Manufacturing"의 약자로, 컴퓨터를 이용한 제조 공정을 의미합니다. ROM은 "Read Only Memory"의 약자로, 읽기 전용 메모리를 의미합니다. RAM은 "Random Access Memory"의 약자로, 임시 저장용 메모리를 의미합니다. 이들은 모두 서류 보존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파일설계 단계 중 다음 사항과 관계되는 것은?

  1. 파일 항목 검토
  2. 파일 특성 조사
  3. 파일 매체 검토
  4. 파일 편성법 검토
(정답률: 57%)
  • 주어진 그림은 파일 특성을 조사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파일 특성 조사는 파일의 크기, 형식, 구성 등을 파악하여 파일을 어떻게 구성할지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파일 특성 조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운영체제

61. 다중 처리기 운영체제의 주/종(Master/Slave) 구조에 서 각각의 기능에 대한 연결이 옳은 것은?

  1. Master : 입출력 담당, Slave : 연산 및 입출력 담당
  2. Master : 연산 담당, Slave : 입출력 담당
  3. Master : 연산 담당, Slave : 연산 및 입출력 담당
  4. Master : 연산 및 입출력 담당, Slave : 연산 담당
(정답률: 60%)
  • 다중 처리기 운영체제에서 Master는 전반적인 시스템의 제어와 관리를 담당하며, 입출력 담당을 맡습니다. 반면에 Slave는 연산을 담당하며, 입출력 담당도 일부 맡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Master : 연산 및 입출력 담당, Slave : 연산 담당"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현재 헤드의 위치는 100번 트랙이며,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진행 중이었다. 디스크 대기 큐에 다음과 같은 순서의 액세스 요청이 대기 중이다. SSTF 스케줄링 기법을 사용할 경우 제일 먼저 처리되는 트랙은? (단, 가장 안쪽 트랙은 0 이다.)

  1. 16
  2. 40
  3. 90
  4. 102
(정답률: 68%)
  • SSTF 스케줄링 기법은 현재 헤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트랙을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현재 헤드 위치가 100번 트랙이고, 다음 액세스 요청 중에서 가장 가까운 트랙은 102번 트랙이므로 102번 트랙이 제일 먼저 처리된다. "16", "40", "90" 트랙은 모두 102번 트랙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자원 보호 기법 중 접근 제어 행렬에서 수평으로 있는 각 행들만을 따온 것으로서 각 영역에 대한 권한은 객체와 그 객체에 허용된 연산자로 구성되는 것은?

  1. Global Table
  2. Access Control List
  3. Capability List
  4. Lock/Key
(정답률: 55%)
  • 각 영역에 대한 권한은 객체와 그 객체에 허용된 연산자로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Capability List가 정답입니다. Capability List는 객체와 그 객체에 대한 권한을 포함하는 리스트로, 이를 통해 접근 제어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Capability List는 자원 보호 기법 중 하나로, 접근 제어 행렬에서 수평으로 있는 각 행들만을 따온 것과 유사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UNIX에서 커널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프로세스 관리 기능
  2. 기억장치 관리 기능
  3. 입, 출력 관리 기능
  4. 명령어 해독 기능
(정답률: 68%)
  • UNIX에서 명령어 해독 기능은 커널의 기능이 아닙니다. 이는 셸(shell)이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수행되는 기능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이해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커널은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입출력 관리 등 시스템의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며, 명령어 해독 기능은 이와는 별개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대기시간 45, 서비스 시간 5일 때 HRN 스케줄링 기법을 사용했을 경우 우선순위 계산 결과는?

  1. 25
  2. 10
  3. 2
  4. 1
(정답률: 73%)
  • HRN 스케줄링 기법은 우선순위를 계산할 때 대기시간과 서비스 시간을 모두 고려하여 계산합니다.

    우선순위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순위 = (대기시간 + 서비스 시간) / 서비스 시간

    따라서, 위의 문제에서는

    우선순위(첫 번째 작업) = (45 + 5) / 5 = 10

    우선순위(두 번째 작업) = (0 + 25) / 25 = 1

    우선순위(세 번째 작업) = (0 + 2) / 2 = 1

    우선순위(네 번째 작업) = (0 + 1) / 1 = 1

    따라서, 첫 번째 작업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으므로 가장 먼저 처리됩니다.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프로세스의 정의로 옳은 내용 모두를 나열한 것은?

  1. ①, ④
  2. ①, ②, ④
  3. ②, ③, ④
  4. ①, ②, ③, ④
(정답률: 67%)
  •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으로, 메모리에 적재되어 CPU의 할당을 받고 실행되는 작업 단위이다. 따라서 "②. 실행 중인 프로그램", "③. CPU 할당을 받는 작업 단위", "④. 메모리에 적재되어 실행되는 작업 단위"는 모두 프로세스의 정의에 해당한다. "①. 소스 코드"는 프로세스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프로세스의 정의에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②, ③, ④"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분산 처리시스템에서 완전연결(fully connected)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각 노드가 시스템 내의 모든 노드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
  2. 모든 사이트가 하나의 중앙 사이트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3. 시스템 내의 모든 사이트들이 공유 버스에 연결된 구조이다.
  4. 시스템 내의 각 사이트가 인접하는 다른 두 사이트와만 직접 연결된 구조이다.
(정답률: 56%)
  • 완전연결 구조는 각 노드가 시스템 내의 모든 노드와 직접 연결되어 있어서, 노드 간의 통신이 빠르고 안정적이며, 장애 발생 시 다른 경로를 통해 통신할 수 있어서 신뢰성이 높은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15K의 작업을 16K의 작업공간에 할당했을 경우, 사용된 기억장치 배치전략 기법은?

  1. First-Fit
  2. Best-Fit
  3. Worst-Fit
  4. Last-Fit
(정답률: 78%)
  • Best-Fit 기법은 작업을 할당할 수 있는 공간 중에서 가장 작은 공간에 작업을 할당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15K의 작업을 16K의 작업공간에 할당할 때, Best-Fit 기법을 사용하면 15K의 작업을 가장 작은 15K의 공간에 할당할 수 있으므로 가장 효율적인 기억장치 배치전략 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UNIX 시스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온라인 대화형 시스템이다.
  2. 다중 작업 시스템이다.
  3.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다.
  4. 이식성이 낮은 시스템이다.
(정답률: 74%)
  • 정답: "이식성이 낮은 시스템이다."

    설명: UNIX 시스템은 이식성이 매우 높은 시스템으로,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따라서 이식성이 낮은 시스템이라는 설명은 UNIX 시스템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PCB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PCB에는 프로세스 식별 번호, 프로세스 상태 정보, CPU레지스터 정보 등이 수록되어 있다.
  2. 적절한 응답시간이 보장되므로 일괄처리 시스템에 유용하다.
  3. 운영체제가 프로세스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PCB에 수록한다.
  4. “Process Control Block"을 의미한다.
(정답률: 68%)
  • PCB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PCB는 운영체제가 프로세스를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자료구조이다. 이 정보에는 프로세스 식별 번호, 프로세스 상태 정보, CPU 레지스터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PCB는 적절한 응답시간을 보장하기 때문에 일괄처리 시스템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적절한 응답시간이 보장되므로 일괄처리 시스템에 유용하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파일 디스크립터에 포함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파일의 이름
  2. 보조기억장치에서의 파일의 위치
  3. 생성된 날짜와 시간
  4. 파일 오류에 대한 수정 방법
(정답률: 70%)
  • 파일 디스크립터는 파일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구조체이며, 파일의 이름, 보조기억장치에서의 파일의 위치, 생성된 날짜와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하지만 파일 오류에 대한 수정 방법은 파일 디스크립터에 포함되지 않는다. 파일 오류에 대한 수정 방법은 파일 시스템이나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 처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가상기억 장치의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중에서 한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각 페이지마다 계수기를 두어 현 시점에서 볼 때 가장 오래 전에 사용된 페이지를 대치하는 것은?

  1. LIFO(Last In First Out)
  2. FIFO(First In First Out)
  3. LRU(Least Recently Used)
  4. LFU(Least Frequently Used)
(정답률: 65%)
  • 가장 오래 전에 사용된 페이지를 대치하는 것은 LRU(Least Recently Used) 알고리즘이다. 이는 페이지가 사용된 시간을 기록하고, 가장 오래 전에 사용된 페이지를 대치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이다. LIFO와 FIFO는 페이지의 사용 시간과는 무관하게 대치되는 순서가 결정되기 때문에, LRU보다 성능이 떨어진다. LFU는 페이지의 사용 빈도를 기록하여 대치하는 방식이지만, 사용 빈도가 높은 페이지가 계속 사용되는 경우에는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Round-Robin 스케줄링(Scheduling)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할당된 시간(Time Slice) 내에 작업이 끝나지 않으면 대기 큐의 맨 뒤로 그 작업을 배치한다.
  2. 시간 할당량이 충분히 크면 FIFO 방식과 비슷하다.
  3. 적절한 응답시간이 보장되므로 일괄처리 시스템에 유용하다.
  4. 시간 할당량이 작아질수록 문맥교환 과부하는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정답률: 58%)
  • "적절한 응답시간이 보장되므로 일괄처리 시스템에 유용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Round-Robin 스케줄링은 시분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스케줄링 방식으로, 각 프로세스에 일정 시간 할당량을 부여하고, 이 시간이 지나면 다음 프로세스로 넘어가는 방식이다. 따라서 응답시간은 일괄처리 시스템보다는 시분할 시스템에서 더 중요하게 고려되는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운영체제의 기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원시 프로그램을 목적 프로그램으로 변환하는 기능
  2. 데이터 및 자원의 공유 기능
  3.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자원의 스케줄링 기능
  4.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편리한 인터페이스 기능
(정답률: 72%)
  • "원시 프로그램을 목적 프로그램으로 변환하는 기능"은 컴파일러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지는 기능으로,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원시 프로그램을 컴파일러가 이해할 수 있는 목적 프로그램으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게 됩니다. 다른 기능들은 운영체제가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거나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지만, "원시 프로그램을 목적 프로그램으로 변환하는 기능"은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코드를 실행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주는 중요한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키 값으로부터 주소 변환을 위해서는 해시 함수나 색인 테이블을 사용하는 파일 구조는?

  1. 순차 파일
  2. 직접 파일
  3. 분할 파일
  4. 색인 순차 파일
(정답률: 29%)
  • 직접 파일은 키 값으로부터 바로 주소를 계산하여 접근하는 파일 구조이다. 따라서 해시 함수나 색인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고도 빠른 검색이 가능하다. 이는 파일 내부에 데이터가 순서대로 저장되어 있지 않고, 키 값에 따라 랜덤하게 분산되어 저장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키 값의 범위가 충분히 넓고 균등하게 분포되어야 효율적인 검색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운영체제의 목적 중 다음 사항과 가장 관계되는 것은?

  1. 처리 능력 증대
  2. 응답 시간 단축
  3. 신뢰도 향상
  4. 사용 가능도 증대
(정답률: 71%)
  • 위 그림은 운영체제의 프로세스 스케줄링에 대한 예시를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운영체제가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시스템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 중 하나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신뢰도 향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운영체제의 설계 목적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처리량의 향상과 응답시간의 증가
  2. 처리량의 향상과 응답시간의 단축
  3. 처리량의 감소와 응답시간의 단축
  4. 처리량의 감소와 응답시간의 증가
(정답률: 77%)
  • 운영체제의 설계 목적은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처리량을 향상시키고 응답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처리량의 향상과 응답시간의 단축"이 가장 타당한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3 페이지가 들어갈 수 있는 기억장치에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페이지가 참조될 때 FIFO 기법을 사용하면 페이지 부재(page fault)는 몇 번 일어나는가? (단, 현재 기억장치는 모두 비어 있다고 가정한다.)

  1. 3
  2. 4
  3. 5
  4. 6
(정답률: 49%)
  • FIFO 기법은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먼저 내보내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페이지 참조 순서대로 기억장치에 페이지를 채워나가다가 기억장치가 가득 차면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내보내고 새로운 페이지를 기억장치에 채운다.

    위의 페이지 참조 순서에서 기억장치에는 최대 3 페이지까지만 저장할 수 있으므로, 처음 3개의 페이지 참조에서는 페이지 부재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4번째 페이지 참조에서는 기억장치가 가득 차 있으므로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인 3번 페이지를 내보내고 새로운 페이지인 6번 페이지를 기억장치에 채우게 된다. 이후 5번째와 6번째 페이지 참조에서는 각각 기억장치에 이미 존재하는 페이지를 참조하므로 페이지 부재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페이지 부재는 총 1번 발생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페이지 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페이지 크기가 클수록 프로그램 수행에 불필요한 내용까지도 주기억장치에 적재될 수 있다.
  2. 페이지 크기가 작을수록 페이지 맵 테이블의 크기가 커진다.
  3. 페이지 크기가 클수록 마지막 페이지의 내부 단편화가 줄어든다.
  4. 페이지 크기가 작을수록 전체적인 입출력 시간은 늘어난다,
(정답률: 46%)
  • "페이지 크기가 클수록 프로그램 수행에 불필요한 내용까지도 주기억장치에 적재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페이지 크기가 클수록 한 페이지에 더 많은 코드와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므로, 페이지 당 내부 단편화가 줄어들게 됩니다. 예를 들어, 페이지 크기가 4KB인 경우, 3KB의 코드와 1KB의 데이터가 있는 페이지가 있다면, 1KB의 내부 단편화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페이지 크기가 8KB인 경우, 같은 페이지에 코드와 데이터가 모두 들어갈 수 있으므로 내부 단편화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또한, 페이지 크기가 작을수록 페이지 맵 테이블의 크기가 커지게 됩니다. 페이지 맵 테이블은 가상 주소와 물리 주소 간의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로, 페이지 크기가 작을수록 페이지 수가 많아지므로 페이지 맵 테이블의 크기도 커지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페이지 크기가 작을수록 전체적인 입출력 시간은 늘어나게 됩니다. 이는 페이지 단위로 입출력을 수행하기 때문에, 페이지 크기가 작을수록 입출력 횟수가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교착 상태의 해결 방안 중 은행원 알고리즘과 관계되는 것은?

  1. Recovery
  2. Detection
  3. Prevention
  4. Avoidance
(정답률: 68%)
  • 은행원 알고리즘은 교착 상태를 방지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이 알고리즘은 자원 할당 시, 다른 프로세스가 이미 자원을 가지고 있을 경우 해당 자원을 요청하는 프로세스는 대기 상태로 들어가며, 다른 자원을 요청할 때마다 자원을 가지고 있는 프로세스가 모든 자원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만 자원을 할당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교착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은 "Avoidance"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정보통신개론

81. 오류를 제어할 때 수신측에서 오류의 검출기능과 정정기능을 동시에 갖는 부호는?

  1. Hamming Code
  2. Parity Code
  3. ASC Ⅱ Code
  4. EBCDIC Code
(정답률: 66%)
  • Hamming Code는 오류 검출과 정정 기능을 모두 갖는 부호이다. 이는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해당 오류를 정정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Hamming Code는 데이터 비트에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오류 검출 및 정정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신뢰성 있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Hamming Code가 오류를 제어할 때 수신측에서 오류의 검출기능과 정정기능을 동시에 갖는 부호로 선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FDDI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FDDI는 한 개의 링으로 구성된다.
  2. 물리계층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은 PHY, PMD가 있다.
  3. 토큰 매체 액세스 제어방법으로 작동한다.
  4. 매체로 광섬유케이블을 사용한다.
(정답률: 38%)
  • 정답은 "FDDI는 한 개의 링으로 구성된다." 이다. FDDI는 두 개의 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화된 링 구조를 사용하여 링의 한쪽이 고장나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비동기식 전송의 특성으로 맞는 것은?

  1. 문자 위주 비트와 비트 위주로 나누어진다.
  2. 송신자와 수신자는 동기화의 시간을 설정하고 유지한다.
  3. 대용량, 고속의 데이터 전송에 주로 쓰인다.
  4. 한 번에 한 문자씩 전송한다.
(정답률: 41%)
  • 비동기식 전송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문자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기 때문에 "한 번에 한 문자씩 전송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데이터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 시간이 더 길어지지만, 데이터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오류 발생 시 복구하기 쉽고,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비패킷형 단말이 패킷교환망을 이용할 수 있도록 패킷의 조립과 분해 기능을 제공해 주는 것은?

  1. DSU
  2. MODEM
  3. PAD
  4. CCU
(정답률: 63%)
  • PAD는 Packet Assembler/Disassembler의 약자로, 비패킷형 단말이 패킷교환망을 이용하기 위해 패킷의 조립과 분해 기능을 제공해주는 장비이다. 따라서 PAD가 정답이다. DSU는 Digital Service Unit의 약자로, 디지털 회선에서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MODEM은 Modulator/Demodulator의 약자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CCU는 Communication Control Unit의 약자로, 통신 회선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OSI-7 계층 중 응용간의 대화제어(dialogue control)를 담당하는 것은?

  1. Session Layer
  2. Application Layer
  3. Presentation Layer
  4. Data Link Layer
(정답률: 56%)
  • Session Layer가 응용간의 대화제어를 담당하는 이유는, 이 계층에서는 응용 프로그램 간의 연결을 설정하고 유지하며, 데이터 교환의 순서와 동기화를 담당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응용 프로그램 간의 대화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프로토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구문(syntax)
  2. 의미(semantics)
  3. 파라미터(parameter)
  4. 순서(timing)
(정답률: 71%)
  • 프로토콜 구성요소 중에서 파라미터는 구성요소가 아니라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값이다. 파라미터는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구문과 의미에 따라 사용되며, 순서에 따라 전달된다. 따라서 파라미터는 프로토콜 구성요소가 아니라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정보의 전달을 위한 단계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링크확립-회로연결-메시지전달-회로절단-링크절단
  2. 링크확립-회로연결-메시지전달-링크절단-회로절단
  3. 회로연결-링크확립-메시지전달-회로절단-링크절단
  4. 회로연결-링크확립-메시지전달-링크절단-회로절단
(정답률: 62%)
  • 정보의 전달을 위한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회로연결: 송신자와 수신자 간에 물리적인 회로를 연결합니다.
    2. 링크확립: 송신자와 수신자 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링크를 확립합니다.
    3. 메시지전달: 데이터를 송신자에서 수신자로 전달합니다.
    4. 링크절단: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링크를 절단합니다.
    5. 회로절단: 물리적인 회로를 절단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단계의 나열은 "회로연결-링크확립-메시지전달-링크절단-회로절단"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HDLC 전송 프레임에서 시작 플래그 다음에 전송되는 필드는?

  1. 제어부
  2. 주소부
  3. 정보부
  4. FCS
(정답률: 65%)
  • HDLC 프레임에서 시작 플래그 다음에 전송되는 필드는 "주소부"입니다. 이는 수신 측에서 프레임을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주소부는 목적지 주소와 송신지 주소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프레임이 올바른 수신자에게 전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비동기식 전송 시 포함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시작 비트
  2. 데이터
  3. 플래그 비트
  4. 정지 비트
(정답률: 51%)
  • 비동기식 전송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시작 비트와 정지 비트를 추가하여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데, 이때 포함되지 않는 것이 플래그 비트이다. 플래그 비트는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특별한 비트로,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플래그 비트는 데이터 전송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내용이 아니며, 프로토콜에서만 사용되는 비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동작모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정규 응답 모드(NRM)
  2. 비동기 응답 모드(ARM)
  3. 비동기 균형 모드(ABM)
  4. 동기 균형 모드(SBM)
(정답률: 53%)
  • HDLC에서 SBM은 지원하지 않는 모드이다. SBM은 동기적인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 시간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환경에서 사용된다. 하지만 HDLC는 비동기적인 전송 방식을 사용하므로 SBM을 지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동기 균형 모드(SB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두 개의 채널사이에 보호대역(guard band)을 사용하여 인접한 채널간의 간섭을 막는 다중화방식은?

  1. 시분할 다중화방식
  2. 주파수분할 다중화방식
  3. 코드분할 다중화방식
  4. 공간분할 다중화방식
(정답률: 61%)
  • 주파수분할 다중화방식은 각 채널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여 사용하므로, 인접한 채널간의 간섭을 막기 위해 보호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방식은 주로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며, 예를 들어 라디오 방송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FM 라디오 채널들이 이 방식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통신망 구성형태 중 중앙집중식 구조를 가지고 포인트 투 포인트 링크로 연결하는 방식은?

  1. 성형
  2. 망형
  3. 트리형
  4. 링형
(정답률: 71%)
  • 중앙집중식 구조는 중앙에 한 대의 서버나 스위치가 있고, 이를 통해 모든 단말기나 노드들이 연결되는 구조를 말합니다. 이 구조에서 포인트 투 포인트 링크로 연결하는 방식은 성형이라고 합니다. 이는 모든 노드들이 중앙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관리와 제어가 가능하며, 노드 간의 통신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빠른 전송 속도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매체 접근방식에 의한 LAN의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이더넷
  2. 토큰 링
  3. 토큰 버스
  4. 캐리어 밴드
(정답률: 68%)
  • 캐리어 밴드는 매체 접근방식에 의한 LAN의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네트워크에서 사용되지 않는 기술이기 때문이다. 이더넷은 CSMA/CD 방식을 사용하고, 토큰 링은 토큰 패싱 방식을 사용하며, 토큰 버스는 토큰 패싱 방식을 사용하지만 버스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캐리어 밴드는 미국의 전화 회사인 AT&T에서 개발한 기술로, 네트워크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데이터 통신시스템의 구성에서 데이터 전송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단말장치(DTE)
  2. 데이터 전송회선
  3. 통신 제어장치
  4. 데이터 처리장치
(정답률: 43%)
  • 데이터 처리장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로, 데이터 통신시스템의 구성에서는 데이터 전송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장치는 데이터 전송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패킷교환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음성 전송과 같은 실시간 통신에 적합하다.
  2. 저장-전달 방식을 사용한다.
  3. 전송할 수 있는 패킷의 길이는 제한되어 있다.
  4. 데이터 그램과 가상회선 방식으로 구분된다.
(정답률: 45%)
  • "음성 전송과 같은 실시간 통신에 적합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패킷교환 방식은 저장-전달 방식을 사용하며, 전송할 수 있는 패킷의 길이는 제한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그램과 가상회선 방식으로 구분된다. 하지만 패킷교환 방식은 실시간 통신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는 패킷이 분할되어 전송되고, 도착한 패킷들이 다시 조립되어야 하기 때문에 지연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시간 통신에는 회선교환 방식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코덱(CODE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데이터통신망 관리를 위한 디지털 장치이다.
  2. 데이터통신망에 의해 정보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3. 데이터를 모아 일괄로 처리하는 장치이다.
  4.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전송로에 맞게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전송해 주는 장치이다.
(정답률: 71%)
  • 코덱(CODEC)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전송로에 맞게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전송해 주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디지털 변조에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방식으로 틀린 것은?

  1. ASK
  2. PCM
  3. FSK
  4. PSK
(정답률: 61%)
  • PCM은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틀린 것입니다. PCM은 Pulse Code Modulation의 약자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PC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양방향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나, 한 순간에는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이 이루어지는 방식은?

  1. 단방향방식
  2. 반이중방식
  3. 양방향방식
  4. 전이중방식
(정답률: 76%)
  • 반이중방식은 양쪽 방향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만, 한 순간에는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이 이루어지는 방식입니다. 이는 전이중방식과는 달리 동시에 양쪽 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무전기에서 상대방이 말할 때는 듣기만 하고, 자신이 말할 때는 상대방이 듣기만 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통신 회선을 절약할 수 있어서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통신제어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데이터의 입출력을 담당한다,
  2. 시스템 상호간을 접속하는 통신로이다.
  3.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4. 데이터 전송 시 필요한 제어신호를 송수신한다.
(정답률: 58%)
  • 통신제어장치는 데이터 전송 시 필요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데이터의 정확한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으로,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신호, 오류 검출 및 수정을 위한 신호 등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통신제어장치는 데이터 통신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통신회선의 채널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신호 세력을 높인다.
  2. 잡음 세력을 줄인다,
  3. 데이터 오류를 줄인다.
  4. 채널 대역폭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51%)
  • 채널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것은 통신회선의 채널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데이터 오류를 줄이는 방법은 아니다. 데이터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는 신호 세력을 높이고 잡음 세력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