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8-19)

정보처리산업기사
(2018-08-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데이터 베이스

1. 한 릴레이션의 기본키를 구성하는 어떠한 속성 값도 널(Null)이나 중복 값을 가질 수 없음을 의미하는 관계 데이터 모델의 제약 조건은?

  1. 참조 무결성
  2. 릴레이션 무결성
  3. 외래키 무결성
  4. 개체 무결성
(정답률: 83%)
  • 개체 무결성은 한 릴레이션의 기본키를 구성하는 어떠한 속성 값도 널(Null)이나 중복 값을 가질 수 없음을 의미하는 제약 조건입니다. 이는 각각의 튜플이 유일하게 식별되어야 하며, 기본키를 구성하는 속성 값이 반드시 존재해야 함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개체 무결성은 릴레이션의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제약 조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트리를 중위 순서로 운행한 결과는?

  1. A B C D E F G H
  2. D B A G E H C F
  3. A B D C E G H F
  4. B D G H E F A C
(정답률: 72%)
  • 중위 순회는 왼쪽 자식 노드, 현재 노드, 오른쪽 자식 노드 순서로 운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위의 트리를 중위 순회하면 D -> B -> A -> G -> E -> H -> C -> F 순서로 운행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이진 검색 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선행 조건은?

  1. 자료가 정렬되어 있어야 한다.
  2. 순차 검색이라고도 한다.
  3. 자료의 개수가 짝수이어야 한다.
  4. 자료의 개수가 홀수이어야 한다.
(정답률: 82%)
  • 이진 검색은 자료를 반으로 나누어 검색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자료가 정렬되어 있어야만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정렬되어 있지 않은 자료에서는 원하는 값을 찾기 위해 모든 자료를 순차적으로 검색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게 됩니다. 따라서 이진 검색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자료가 정렬되어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부분 함수 종속 제거가 이루어지는 정규화 단계는?

  1. 1NF → 2NF
  2. 2NF → 3NF
  3. 3NF → BCNF
  4. BCNF → 4NF
(정답률: 74%)
  • "1NF → 2NF"는 부분 함수 종속을 제거하기 위한 정규화 단계입니다. 1NF에서는 모든 속성이 원자값을 가지도록 하지만, 여전히 하나의 키에 대해 여러 개의 속성이 종속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2NF로 정규화하여 부분 함수 종속을 제거합니다. 2NF에서는 모든 비주요 속성이 주요 속성에 대해 완전 함수 종속을 가져야 합니다. 이를 통해 중복 데이터를 제거하고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뷰(VIEW)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삽입, 삭제, 갱신 연산의 용이
  2. 데이터의 논리적 독립성 유지
  3. 데이터의 접근 제어에 의한 보안 제공
  4. 사용자의 데이터 관리 용이
(정답률: 65%)
  • 뷰(VIEW)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데이터의 논리적 독립성 유지"이다. 뷰는 기존의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새로운 가상 테이블을 만드는 것이므로, 뷰의 데이터는 원본 테이블에 의존적이다. 따라서 뷰를 이용해 데이터를 조회하더라도 원본 테이블의 구조나 데이터가 변경되면 뷰의 결과도 영향을 받는다.

    "삽입, 삭제, 갱신 연산의 용이"는 뷰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이다. 뷰를 이용하면 원본 테이블의 구조나 데이터를 변경하지 않고도 삽입, 삭제, 갱신 연산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데이터의 접근 제어에 의한 보안 제공"은 뷰를 이용해 특정 사용자나 그룹에게만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특정 컬럼의 데이터를 가려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사용자의 데이터 관리 용이"는 뷰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필요한 데이터만 추출하여 볼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관리가 용이해진다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릴레이션에서 속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속성의 수를 Cardinality라고 한다.
  2.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이다.
  3. 파일 구조상의 데이터 항목 또는 데이터 필드에 해당된다.
  4. 속성은 개체의 특성을 기술한다.
(정답률: 71%)
  • "속성의 수를 Cardinality라고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Cardinality는 릴레이션에서 행(row)의 수를 의미한다. 속성(attribute)은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이며, 파일 구조상의 데이터 항목 또는 데이터 필드에 해당된다. 속성은 개체의 특성을 기술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색인 순차 파일의 색인 구역(Index Area)으로 옳은 것은?

  1. Track index; Cylinder index, Master index
  2. Primary Data index, Overflow index, Master index
  3. Track index; Cylinder Index Primary Data index
  4. Cylinder Index, Master Index Overflow index
(정답률: 75%)
  • 색인 순차 파일에서는 데이터 레코드가 저장된 주소를 빠르게 찾기 위해 색인 구역(Index Area)을 사용한다. 이 구역은 주로 Track index, Cylinder index, Master index로 구성되며, 각각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 Track index: 데이터 레코드가 저장된 트랙 번호를 기록한다.
    - Cylinder index: 데이터 레코드가 저장된 실린더 번호를 기록한다.
    - Master index: 데이터 레코드가 저장된 주소를 기록한다.

    따라서, "Track index; Cylinder index, Master index"가 정답이다. 이 구성은 데이터 레코드를 빠르게 찾기 위해 트랙과 실린더 정보를 함께 사용하며, 마스터 인덱스를 통해 실제 데이터 레코드가 저장된 위치를 찾는다. 다른 보기들은 Track index, Cylinder index, Master index 중 일부가 빠져있거나, Primary Data index, Overflow index와 같은 다른 구성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해싱 함수 중 키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의 값을 더하거나 XOR(배타적 논리합)한 값을 홈 주소로 얻는 방식은?

  1. 제곱방법
  2. 기수변환법
  3. 폴딩법
  4. 숫자분석법
(정답률: 72%)
  • 폴딩법은 키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의 값을 더하거나 XOR한 값을 홈 주소로 얻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키의 길이가 매우 길 때 사용하기 적합하며, 키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처리하기 때문에 해시 테이블의 크기를 작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폴딩법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문장을 만족하는 SQL 문장은?

  1. DELETE FROM 학생 WHERE 학번=1000;
  2. DELETE FROM 학생 IF 학번=1000;
  3. SELECT * FROM 학생 WHERE 학번=1000;
  4. SELECT * FROM 학생 CONDITION 학번=1000;
(정답률: 84%)
  • 정답은 "DELETE FROM 학생 WHERE 학번=1000;" 이다.

    이유는 학생 테이블에서 학번이 1000인 학생의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DELETE 문장이다. WHERE 절을 사용하여 조건을 지정하였으므로 학번이 1000인 학생만 삭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의 자료 구조 중 나머지 셋과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스택(stack)
  2. 트리 (tree)
  3. 큐(queue)
  4. 데크(deque)
(정답률: 83%)
  • 트리는 스택, 큐, 데크와는 달리 비선형 자료 구조이며,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트리는 노드 간에 부모-자식 관계가 있으며, 각 노드는 하나의 부모 노드와 여러 개의 자식 노드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트리는 계층적인 데이터를 표현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설계 단계에 해당되는 것은?

  1. 트랜잭션 인터페이스 설계
  2. 설계된 스키마의 평가
  3. 저장 레코드 양식 설계
  4. 논리적 데이터모델로 변환
(정답률: 62%)
  • 물리적 설계 단계는 논리적 데이터 모델을 물리적 저장 구조로 변환하는 단계이며, 이 단계에서는 저장 레코드 양식 설계가 이루어집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실제로 저장될 데이터의 형식과 구조를 결정하는 과정으로, 데이터베이스 성능과 용량 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따라서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는 저장 레코드 양식 설계를 중심으로 다양한 성능 및 용량 관련 이슈를 고려하여 최적의 물리적 구조를 설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질의문 실행의 결과는?

  1. 5000
  2. 7000
  3. 15000
  4. 23000
(정답률: 87%)
  • 주어진 그림에서는 3개의 빨간색 구슬과 2개의 파란색 구슬이 있다. 빨간색 구슬의 가치는 3000원이고, 파란색 구슬의 가치는 5000원이다. 따라서, 3개의 빨간색 구슬의 가치는 9000원이고, 2개의 파란색 구슬의 가치는 10000원이다. 이를 합산하면 19000원이 되는데, 이에 4000원의 세금을 더한 값이 정답인 15000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관계 대수와 관계 해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계 대수는 원하는 정보가 무엇이라는 것만 정의하는 비절차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2. 관계 해석은 관계 데이터의 연산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3. 관계 대수로 표현한 식은 관계 해석으로 표현할 수 있다.
  4. 관계 해석은 원래 수학의 프레디킷 해석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정답률: 76%)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관계 대수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순서대로 기술하는 것을 의미하며, 관계 해석은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처리를 원하는 데이터가 무엇인지만 기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관계 대수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순서대로 기술하는 것을 의미하며, 관계 해석은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처리를 원하는 데이터가 무엇인지만 기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Which of the following does not belong to the DML statements of SQL?

  1. ALTER
  2. INSERT
  3. DELETE
  4. UPDATE
(정답률: 74%)
  • "ALTER" is not a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statement in SQL because it is used to modify the structure of a database, such as adding or removing columns from a table, renaming a table, or changing the data type of a column. The other options, "INSERT", "DELETE", and "UPDATE", are all DML statements used to manipulate data within a table.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관계 대수 중 순수 관계 연산이 아닌 것은?

  1. project
  2. join
  3. union
  4. division
(정답률: 59%)
  • "Union"은 순수 관계 연산이 아닌 이유는, 두 개의 릴레이션을 합치는 연산으로, 두 릴레이션 간의 관계를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릴레이션을 합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Union"은 릴레이션의 내용을 변경하지 않고 두 개의 릴레이션을 결합하는 연산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삽입(insertion) 정렬 방법을 적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할 경우 pass 2를 수행한 결과는?

  1. 38497
  2. 34897
  3. 34798
  4. 34789
(정답률: 76%)
  • pass 1에서는 첫 번째 숫자 3을 제외하고 나머지 숫자들 중에서 가장 작은 수인 2와 위치를 바꾸고, 두 번째 숫자 4를 제외하고 나머지 숫자들 중에서 가장 작은 수인 3과 위치를 바꾸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pass 2에서는 이미 3번째 자리에는 가장 작은 수인 3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3을 제외한 나머지 숫자들 중에서 가장 작은 수인 4와 위치를 바꾸는 작업만 수행하면 된다. 따라서 pass 2를 수행한 결과는 "34897"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시스템 카탈로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 사전이라고도 한다.
  2. 시스템 카탈로그에 저장되는 내용을 메타 데이터라고 한다.
  3. 시스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스키마 및 여러 가지 객체에 관한 정보 를 포함하고 있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이다.
  4. 시스템 카탈로그의 정보를 INSERT, UPDATE, DELETE 문으로 직접 갱신할 수 있다.
(정답률: 78%)
  • 시스템 카탈로그의 정보를 INSERT, UPDATE, DELETE 문으로 직접 갱신할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시스템 카탈로그는 시스템 자체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이므로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수정할 수 없습니다. 대신 시스템 관리자나 DBA 등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이 시스템 카탈로그를 간접적으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개체-관계 모델(E-R)에서 개체 간 관계타입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기호는?

  1. 삼각형
  2. 마름모
  3. 타원
  4. 오각형
(정답률: 80%)
  • 개체-관계 모델에서 개체 간 관계타입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기호는 마름모입니다. 이는 관계타입이 개체 간의 연결을 나타내며, 마름모는 연결된 개체들 간의 관계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또한, 마름모는 일반적으로 다대다 관계를 나타내는데, 이는 하나의 개체가 여러 개체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하나의 개체도 여러 개의 관계타입을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큐(Queu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입력은 리스트의 한끝에서, 출력은 그 상대편 끝에서 일어난다.
  2.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줄링에 사용된다.
  3. 오버플로우는 발생될 수 있어도 언더플로우는 발생되지 않는다.
  4. 가장 먼저 삽입된 자료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FIFO 방식으로 처리 된다.
(정답률: 74%)
  • "오버플로우는 발생될 수 있어도 언더플로우는 발생되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큐는 일반적으로 고정된 크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큐가 가득 찬 상태에서 더 많은 데이터를 추가하려고 하면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큐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데이터를 삭제하려고 하면 언더플로우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그림에서 트리의 차수는?

  1. 1
  2. 2
  3. 3
  4. 8
(정답률: 77%)
  • 트리의 차수란 한 노드에서 가지치기가 일어나는 최대 개수를 의미합니다. 그림에서 노드 3은 자식 노드가 2개 있으므로 차수가 2입니다. 다른 노드들은 자식 노드가 1개 이하이므로 차수가 1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계산기 구조

21. 데이터의 입·출력 전송이 직접 메모리 장치와 주변장치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인터페이스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DMA
  2. 캐시(cache) 메모리
  3. 어소시에티브 메모리
  4. 가상 메모리
(정답률: 56%)
  • DMA는 Direct Memory Access의 약자로, 주변장치와 메모리 사이에서 데이터를 직접 주고받는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CPU의 개입 없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 속도가 빠르고 CPU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마이크로프로그램(micro program)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마이크로프로그램은 보통 RAM에 저장한다.
  2. 마이크로프로그램은 각종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3. 마이크로프로그램은 마이크로 명령으로 형성되어있다.
  4. 마이크로프로그램은 CPU 내의 제어장치를 설계하는 프로그램이다.
(정답률: 60%)
  • 마이크로프로그램은 보통 ROM에 저장된다. 이유는 마이크로프로그램은 CPU의 제어장치를 구성하는 일종의 펌웨어이기 때문에, CPU가 작동할 때마다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가져와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ROM에 저장하여 CPU가 필요할 때마다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과 같은 논리회로가 주어졌을 때 출력 F의 값으로 가장 옳은 것은?

(정답률: 51%)
  •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AND 게이트를 통해 C가 1이 되고, OR 게이트를 통해 D가 1이 됩니다. 이때, NOT 게이트를 통해 D의 값이 반전되어 F는 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입력 장치가 아닌 것은?

  1. Scanner
  2. Mouse
  3. Line Printer
  4. Keyboard
(정답률: 81%)
  •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컴퓨터에 정보를 입력하는 장치를 말합니다. 따라서 Scanner, Mouse, Keyboard는 모두 입력 장치입니다. 하지만 Line Printer는 출력 장치이므로 입력 장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2의 보수를 사용하는 컴퓨터에서 10진수 5와 11을 AND 연산하고, Complement하였다면 결과는? (단, 연산 시 4비트를 사용한다.)

  1. (1)10
  2. (2)10
  3. (-1)10
  4. (-2)10
(정답률: 44%)
  • 10진수 5와 11을 2진수로 나타내면 각각 0101과 1011이 된다. 이를 4비트로 맞추기 위해 앞에 0을 채워주면 0101과 1011이 된다.

    이제 AND 연산을 수행하면 0101 AND 1011 = 0001이 된다.

    이 결과를 2의 보수로 변환하면 1111에서 0001을 빼면 된다. 따라서 1111 - 0001 = 1110이 된다.

    이 값은 2의 보수로 나타낸 -2의 10진수 값과 같다. 이유는 2의 보수에서 가장 왼쪽 비트는 부호 비트이며, 1이면 음수를 나타내고 0이면 양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1110의 가장 왼쪽 비트가 1이므로 이 값은 음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1110의 나머지 비트를 2의 보수로 변환하면 0001이 되는데, 이는 1의 보수에서 1을 더한 값과 같다. 따라서 1110은 -2의 10진수 값과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어떤 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는 양쪽 표면이 모두 사용되는 8개의 디스크가 있는데, 각 표면에는 16개 트랙과 8개의 섹터가 있다. 트랙 내의 각 섹터에 하나의 레코드가 있다면 디스크 내의 레코드에 대한 주소 지정에는 몇 비트가 필요한가?

  1. 10
  2. 11
  3. 12
  4. 13
(정답률: 41%)
  • 한 표면에는 16개의 트랙과 8개의 섹터가 있으므로, 한 표면에는 총 16 x 8 = 128개의 레코드가 있다. 양쪽 표면을 모두 사용하므로, 디스크에는 총 128 x 2 = 256개의 레코드가 있다.

    레코드에 대한 주소 지정에는 트랙 번호와 섹터 번호가 필요하다. 트랙 번호는 16개의 트랙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4비트가 필요하고, 섹터 번호는 8개의 섹터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3비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레코드에 대한 주소 지정에는 총 4비트 + 3비트 = 7비트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는 한 표면에 대한 주소 지정이므로, 양쪽 표면을 모두 고려해야 하므로 7비트 x 2 = 14비트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비트 수를 묻는 것이므로, 주소 지정에 필요한 비트 수에 1을 더한 15비트가 아닌, 14비트가 정답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입·출력 장치와 기억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입·출력 제어기 가 필요한 가장 중요한 이유는?

  1. 동작속도
  2. 인터럽트
  3. 정보의 단위
  4. 파일 관리
(정답률: 52%)
  • 입·출력 장치와 기억장치는 서로 다른 속도로 동작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시간이 매우 중요합니다. 입·출력 제어기는 이러한 속도 차이를 보완하여 데이터 전송을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입·출력 제어기가 없으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려지게 되어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속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동기고정식에서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micro cycle time)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1.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들의 수행시간 중 가장 긴 것을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으로 정한다.
  2.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들의 수행시간 중 가장 짧은 것을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으로 정한다.
  3.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들의 수행시간 중 가장 짧은 것과 긴 것의 평균시간을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으로 정한다.
  4. 중앙처리장치의 클록주기와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은 항상 일치된다.
(정답률: 47%)
  •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은 동기고정식에서 한 사이클 동안 수행되는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들의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때,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들의 수행시간 중 가장 긴 것을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으로 정하는 이유는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들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장 긴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수행시간에 맞춰서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들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자기디스크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접근 속도가 빨라 처리 시간이 빠르다.
  2. 여러 개의 파일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다.
  3. 주로 랜덤 액세스를 많이 한다.
  4. 보조기억장치로 널리 사용된다.
(정답률: 57%)
  • 자기디스크는 여러 개의 파일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다는 특징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여러 개의 파일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다."가 아닌 다른 항목들이 자기디스크의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과 같은 마이크로 동작에 해당하는 인스트럭션은?

  1. AND
  2. STA
  3. BSA
  4. LDA
(정답률: 40%)
  • 이 마이크로 동작은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서 누산기에 로드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 동작은 "LDA" (Load Accumulator) 인스트럭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주소 버스가 8비트로 256개의 주소가 할당되어 있는 시스템에서 각 장치 당 두 개씩의 주소가 할당되어 128개의 I/O 장치들이 접속 할 수 있는 주소지정 방식은?

  1. 분리형 I/O(isolated-I/O)
  2. 인터럽트-구동 I/O(interrupt-driven- I/O)
  3. 기억장치-사상 I/O(memory-mapped-I/O)
  4. 데이지-체인(daisy-chain)
(정답률: 60%)
  • 주소 버스가 8비트이므로 256개의 주소가 할당되어 있다. 각 장치 당 두 개씩의 주소가 할당되므로 128개의 I/O 장치들이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분리형 I/O(isolated-I/O) 방식이다. 이는 I/O 장치들이 기억장치와 완전히 분리되어 있으며, I/O 장치들은 자신만의 주소 공간을 가지고 있다. 이 방식은 인터럽트-구동 I/O(interrupt-driven- I/O)나 기억장치-사상 I/O(memory-mapped-I/O)와는 달리 I/O 장치들이 기억장치와 공유하는 주소 공간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충돌이나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 데이지-체인(daisy-chain) 방식은 여러 개의 I/O 장치들이 하나의 버스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분리형 I/O와는 다른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그림과 같이 A, B 레지스터에 있는 2개의 데이터에 대해 ALU에 의한 OR 연산이 이루어졌을 때 그 결과가 출력되는 C 레지스터의 내용은?

  1. 10000000
  2. 11010110
  3. 00110010
  4. 11111110
(정답률: 71%)
  • OR 연산은 두 비트 중 하나라도 1이면 결과가 1이 되므로, A 레지스터와 B 레지스터의 각 비트를 OR 연산한 결과가 C 레지스터에 저장됩니다. 따라서 A 레지스터와 B 레지스터의 각 비트를 OR 연산한 결과는 "11111110"이 되므로, C 레지스터에는 "11111110"이 저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주기억장치와 CPU 사이의 동작속도 불균형을 보완하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치는?

  1. Cache
  2. Channel
  3. Console
  4. Terminal
(정답률: 52%)
  • Cache는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CPU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제공함으로써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의 속도 불균형을 보완합니다. 이를 통해 CPU가 데이터를 기다리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따라서 정답은 "Cach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도 내용이 지워지지 않으며, 전기적으로 삭제하고 다시 쓸 수 있는 기억장치는?

  1. SRAM
  2. PROM
  3. EPROM
  4. EEPROM
(정답률: 58%)
  • EEPROM은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전기적으로 삭제하고 다시 쓸 수 있는 기억장치입니다. 따라서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도 내용이 지워지지 않습니다. SRAM은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만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고, PROM과 EPROM은 전기적으로 삭제할 수 없기 때문에 EEPRO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비수치적 연산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논리적 연산
  2. 4칙 연산
  3. 로테이트(Rotate)
  4. 시프트(Shift)
(정답률: 72%)
  • 4칙 연산은 숫자를 더하거나 빼는 등의 수치적인 연산을 의미하며, 비수치적인 연산에 속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논리적 연산, 로테이트, 시프트는 숫자가 아닌 비트(bit) 단위의 연산을 수행하므로 비수치적 연산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메모리주소레지스터(MAR : Memory Address Register)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읽기 동작이나 쓰기 동작을 수행할 기억장소의 주소를 저장하는 주소 저장용 레지스터이다.
  2. 입·출력장치의 주소를 저장하는 주소 레지스터이다.
  3. 기억장치에 저장될 데이터 혹은 기억장치로부터 읽은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이다.
  4. 메모리로부터 읽어온 명령어를 수행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다.
(정답률: 58%)
  • MAR(Memory Address Register)은 읽기 동작이나 쓰기 동작을 수행할 기억장소의 주소를 저장하는 주소 저장용 레지스터입니다. 즉,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OP 코드 필드(Operation Code Field)가 4비트인 인스트럭션은 몇 가지 종류의 인스트럭션을 생성할 수 있는가?

  1. 23
  2. 23-1
  3. 24
  4. 24-1
(정답률: 64%)
  • OP 코드 필드가 4비트이므로 2진수로 표현하면 0000부터 1111까지 총 16가지의 값이 가능하다. 이 중에서 하나는 예약되어 있으므로 실제로 사용 가능한 값은 15개이다. 따라서 OP 코드 필드가 4비트인 인스트럭션은 15가지 종류의 인스트럭션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24-1이 되며, 이 값은 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컴퓨터의 간접 사이클 동안 수행하는 것은?

  1. 오퍼랜드의 주소를 읽는다.
  2. 오퍼랜드를 읽는다.
  3. 명령을 읽는다.
  4. 인터럽트를 처리한다.
(정답률: 58%)
  • 간접 사이클은 메모리에서 오퍼랜드의 주소를 읽어오는 과정이다. 따라서 "오퍼랜드의 주소를 읽는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병렬 가산기를 구성하는 모든 전가산기 단의 출력 캐리를 미리 처리하여 리플 캐리 지연을 제거한 가산기는?

  1. 리플 캐리 가산기
  2. 자리올림수 예측 가산기
  3. 직병렬 가산기
  4. 캐리 예측 트리 가산기
(정답률: 38%)
  • 병렬 가산기는 여러 개의 전가산기를 병렬로 연결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때 전가산기의 출력 캐리는 다음 전가산기의 입력 캐리로 사용됩니다. 이렇게 되면 출력 캐리가 전파되는데, 이를 리플 캐리라고 합니다. 리플 캐리가 전파되는 동안에는 계산 결과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지연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자리올림수 예측 가산기는 입력 캐리와 출력 캐리를 이용하여 자리올림수를 예측합니다. 이렇게 되면 출력 캐리가 전파되지 않고, 입력 캐리와 함께 예측된 자리올림수를 이용하여 계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리플 캐리 지연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병렬 가산기에서 자리올림수 예측 가산기를 사용하면 계산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EBCDIC의 비트 구성에서 존비트(zone bit)는 몇 비트로 구성되는가?

  1. 1비트
  2. 2비트
  3. 4비트
  4. 6비트
(정답률: 63%)
  • 존비트(zone bit)는 EBCDIC에서 각각의 문자를 구분하는 데 사용되는 비트로, 총 4비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4비트는 문자의 위치를 나타내며, 0부터 15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시스템분석설계

41. 코드화 대상 항목에 미리 공통의 특성에 따라서 임의의 크기에 블록으로 구분하여 각 블록 안에서 일련번호를 배정하는 코드는?

  1. 일련번호 코드(Sequence code)
  2. 구분 코드(Block code)
  3. 합성 코드(Combined code)
  4. 10진 코드(Decimal code)
(정답률: 60%)
  • 코드화 대상 항목이 크기가 다양하더라도, 공통적인 특성에 따라서 블록으로 구분하여 일련번호를 배정하는 방식이 구분 코드(Block code)이다. 이 방식은 항목의 크기에 상관없이 일정한 길이의 코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코드의 유효성 검사도 용이하다. 따라서 구분 코드(Block code)가 가장 적합한 선택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객체지향 개발 방법론 중 럼바우의 OMT 모델링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능 모델링
  2. 처리 모델링
  3. 객체 모델링
  4. 동적 모델링
(정답률: 48%)
  • 럼바우의 OMT 모델링 방법론에서 객체 모델링, 기능 모델링, 동적 모델링은 모두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객체로 나누어 분석하고 설계하는 방법에 초점을 둔다. 하지만 처리 모델링은 시스템 내에서 데이터가 어떻게 처리되는지에 대한 분석과 설계를 다룬다. 따라서 처리 모델링은 객체지향 개발 방법론에서 가장 거리가 먼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객체지향기법에 관한 다음 문장이 설명하는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Class
  2. Message
  3. Encapsulation
  4. inheritance
(정답률: 63%)
  • 위 그림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Encapsulation(캡슐화) 개념을 나타내고 있다. Encapsulation은 객체의 속성과 행위를 하나로 묶고, 외부에서 접근을 제한하여 객체의 내부를 보호하는 것을 말한다. 위 그림에서는 BankAccount 클래스의 속성과 행위가 하나의 캡슐로 묶여있고, 외부에서는 deposit()와 withdraw() 메소드를 통해만 BankAccount 객체의 내부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위 그림은 Encapsulation 개념을 나타내고 있으며, 정답은 "Encapsulati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시스템 개발비 산정 시 고려할 요소들로는 프로젝트 요소, 자원 요소, 생산성 요소 등이 있다. 다음 중 생산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개발자의 능력
  2. 시스템의 신뢰도
  3. 개발비용과 개발시간
  4. 개발 방법론
(정답률: 44%)
  • 시스템의 신뢰도는 생산성 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나타내는 요소이며, 시스템의 기능 구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시스템 개발비 산정 시 생산성 요소로 고려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코드의 오류 발생 형태 중 입력 시 한 자리를 빠트리고 기록한 에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random error
  2. omission error
  3. transcription error
  4. transposition error
(정답률: 71%)
  • 입력 시 한 자리를 빠트리는 것은 누락 오류(omission error)이다. 이는 입력 과정에서 누락된 것으로, 다른 입력 오류와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시스템분석가의 기본적인 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업목적의 정확한 이해
  2. 기계 중심적 사고
  3. 업무의 현상 분석능력
  4. 컴퓨터의 기술과 관리기법의 이해
(정답률: 76%)
  • 시스템분석가는 업무의 현상을 분석하고, 컴퓨터 기술과 관리기법을 이해하여 기업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러나 기계 중심적 사고는 기술적인 측면에만 집중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사고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는 업무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한 기술적 해결책에만 집착하는 것으로, 시스템분석가로서 필요한 업무의 현상 분석능력과 기업목적의 정확한 이해와는 거리가 먼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가장 강한 결합도를 가지고 있으며, 한 모듈이 다른 모듈의 내부 기능 및 그 내부 자료를 조회하도록 설계되었을 경우와 가장 관계 깊은 결합도는?

  1. 내용 결합도
  2. 외부 결합도
  3. 스탬프 결합도
  4. 자료 결합도
(정답률: 52%)
  • "내용 결합도"는 한 모듈이 다른 모듈의 내부 기능 및 그 내부 자료를 조회하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가장 강한 결합도를 가지고 있으며, 모듈 간의 관계가 가장 깊은 결합도이다. 이는 다른 모듈의 내부 구현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져서 모듈 간의 상호작용이 복잡해지고, 유지보수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용 결합도는 최대한 피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코드의 오류 발생 형태 중 다음과 같이 입력 시 임의의 한 자리를 잘못 기록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1. Transposition error
  2. Omission error
  3. Transcription error
  4. Addition error
(정답률: 66%)
  • 입력 시 임의의 한 자리를 잘못 기록한 경우는 "Transcription error"이다. 이는 입력 과정에서 실수로 숫자나 문자를 잘못 입력하는 경우를 말한다. 반면, "Transposition error"는 숫자나 문자의 위치를 바꾸는 경우, "Omission error"는 입력을 빠뜨리는 경우, "Addition error"는 입력을 추가하는 경우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코드 오류 체크의 종류 중 컴퓨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전에 입력 자료의 내용을 체크하는 방법으로 사전에 주어진 체크 프로그램에 의해서 정량적인 데이터가 미리 정해 놓은 규정된 범 위(상한값, 하한값) 내에 존재하는지를 체크하는 것은?

  1. Mode Check
  2. Limit Check
  3. Format Check
  4. Block Check
(정답률: 78%)
  • 주어진 체크 프로그램에 의해 입력 자료의 값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지를 체크하는 것이 "Limit Check"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Limit Check"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출력 방식 중 출력 시스템과 입력 시스템이 일치된 방식이며, 일단 출력된 정보가 다시 이용자의 손에 입력되는 시스템은?

  1. 디스플레이 출력 시스템
  2. 턴어라운드 시스템
  3. 파일 출력 시스템
  4. COM 시스템
(정답률: 78%)
  • 턴어라운드 시스템은 출력된 정보가 다시 입력되는 시스템으로, 출력과 입력 시스템이 일치하여 정보를 출력하고 다시 입력받는 과정을 반복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정보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온라인 게임이나 채팅 프로그램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턴어라운드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출력 설계 단계 중 다음 사항과 가장 관계되는 것은?

  1. 출력 정보 내용의 설계
  2. 출력 정보 매체화의 설계
  3. 출력 정보 분배에 대한 설계
  4. 출력 정보 이용에 대한 설계
(정답률: 71%)
  • 위 그림은 출력 정보를 이용하는 고객들의 요구사항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어떤 정보를 어떤 방식으로 제공할지를 결정하는 것이 "출력 정보 이용에 대한 설계"이다. 즉, 고객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파악하고, 그 정보를 어떤 매체를 통해 제공할지, 어떤 방식으로 분배할지 등을 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출력 정보 이용에 대한 설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어떤 시스템의 운용 기간이 다음과 같을 때 평균고장간격(MTBF : Mean Time between Failure)을 계산하는 수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43%)
  • MTBF = (운용 기간 - 고장 시간) / 고장 횟수

    위 수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MTBF는 (1000-200) / 5 = 160 시간이 된다.

    정답은 ""이다. 이유는 MTBF는 시스템이 고장 없이 운용되는 평균 시간을 의미하므로, 시스템의 운용 기간에서 고장 시간을 빼고 고장 횟수로 나누어 계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어느 특정 조건을 주어진 파일 중에서 그 조건을 만족하는 것과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분리 처리하는 표준 처리 패턴은?

  1. Collate
  2. Distribution
  3. Merge
  4. Conversion
(정답률: 65%)
  • "Distribution"은 주어진 파일을 조건에 따라 분리하여 처리하는 표준 처리 패턴이다. 이는 파일을 여러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다른 처리를 적용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고객 데이터 파일에서 지역별로 분리하여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경우 등이 있다. 따라서 "Distribution"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해싱 함수에 의한 주소 계산 기법에서 서로 다른 킷값에 의해 동일한 주소 공간을 점유하여 충돌되는 레코드들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은?

  1. Division
  2. Chaining
  3. Collision
  4. Synonym
(정답률: 60%)
  • 해싱 함수에 의한 주소 계산 기법에서 서로 다른 킷값에 의해 동일한 주소 공간을 점유하여 충돌되는 레코드들의 집합을 "Synonym"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동의어라는 뜻으로, 서로 다른 단어들이 같은 의미를 가지는 것처럼, 해시 테이블에서는 서로 다른 키 값들이 같은 해시 값으로 매핑되어 충돌이 발생하면 같은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간주되어 Synonym으로 부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파일 편성 방법 중 순차파일 편성 방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집계용 파일이나 단순한 마스터 파일 등이 대표적인 응용 파일이다.
  2. 기본키 값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3. 파일 내 레코드 추가, 삭제 시 파일 전체를 복사할 필요가 없다.
  4. 기억공간의 활용률이 높다.
(정답률: 71%)
  • 정답: "파일 내 레코드 추가, 삭제 시 파일 전체를 복사할 필요가 없다."

    순차파일 편성 방법은 기본키 값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파일 내 레코드 추가, 삭제 시 파일 전체를 복사할 필요가 없어서 기억공간의 활용률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파일 내 레코드 추가, 삭제 시 파일 전체를 복사할 필요가 없다."가 아닌 것은 특징이 아니다. 이유는 순차파일에서는 레코드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때, 해당 레코드의 위치를 찾아서 수정하면 되기 때문에 파일 전체를 복사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정해진 규정이나 한계, 또는 궤도로부터 상태나 현상을 벗어나지 않도록 미리 감지하고, 바르게 진행되도록 하는 시스템의 특성은 무엇인가?

  1. 목적성
  2. 자동성
  3. 종합성
  4. 제어성
(정답률: 75%)
  • 제어성은 시스템이 정해진 규정이나 한계, 또는 궤도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미리 감지하고, 바르게 진행되도록 하는 특성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스템의 다른 특성들을 나타내지만, 제어성은 시스템이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적인 특성입니다. 따라서, 제어성은 시스템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수적인 특성으로서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의 입력 설계 단계 중 가장 먼저 행해지는 것은?

  1. 입력 정보 발생의 설계
  2. 입력 정보 매체의 설계
  3. 입력 정보 투입의 설계
  4. 입력 정보 수집의 설계
(정답률: 69%)
  • 입력 정보 발생의 설계가 가장 먼저 행해진다. 이는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입력 정보가 어떻게 발생하고 수집될지를 결정하는 단계이기 때문이다. 입력 정보 발생의 설계가 완료되면, 이후에는 입력 정보 매체의 설계, 입력 정보 투입의 설계, 입력 정보 수집의 설계 등이 이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기업의 측면에서 시스템 개발에 대한 문서화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다.
  2.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3. 정보를 축적할 수 있다.
  4. 시스템 개발의 요식적 절차를 부각시킬 수 있다.
(정답률: 75%)
  • 시스템 개발의 요식적 절차를 부각시키는 것은 문서화를 통해 시스템 개발의 과정과 절차를 명확하게 정리하고 기록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개발자들이 일관된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효율성과 일관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모듈화의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모듈은 상속하여 사용할 수 없다.
  2. 모듈의 이름으로 호출하여 다수가 이용할 수 있다.
  3. 매개 변수로 값을 전달하여 사용 가능하다.
  4. 모듈은 분담하여 독립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정답률: 65%)
  • "모듈은 상속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모듈은 클래스와 마찬가지로 상속을 통해 다른 모듈이나 프로그램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속을 통해 모듈의 기능을 확장하거나 재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보기가 가장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코드 설계 순서가 가장 옳은 것은?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정답률: 74%)
  • 정답은 "㉡ → ㉢ → ㉣ →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 입력값을 받아들이는 단계입니다. 먼저 입력값을 받아들이지 않고는 이후의 단계를 진행할 수 없기 때문에 가장 먼저 설계해야 합니다.

    2. ㉢: 입력값을 처리하는 단계입니다. 입력값을 받아들인 후에는 이를 처리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어내야 합니다.

    3. ㉣: 결과값을 출력하는 단계입니다. 입력값을 처리한 후에는 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4. ㉠: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단계입니다. 프로그램이 끝나면 메모리 등의 자원을 해제해야 하기 때문에 가장 마지막에 설계해야 합니다.

    따라서 입력값을 받아들이는 ㉡ → 입력값을 처리하는 ㉢ → 결과값을 출력하는 ㉣ →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 순서로 코드를 설계하는 것이 가장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운영체제

61.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운영체제는 컴퓨터 자원들인 기억장치, 프로세서, 파일 및 정보 네트워크 및 보호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집합이다.
  2. 운영체제는 컴퓨터 하드웨어, 시스템 프로그램, 응용프로그램, 사용 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자원할당 측면에서 운영체제의 주된 기능은 파일 관리 입·출력의 구한 소스 프로그램의 컴파일 및 목적코드 생성 등이다.
  4. 운영체제는 시스템 전체의 움직임을 감사 감독 관리 및 지원하는 처리 프로그램과 주어진 문제를 응용 프로그램 감독 하에 실제 데이터 처리를 하는 제어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정답률: 60%)
  • 운영체제는 컴퓨터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집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은 무엇에 대한 정의인가?

  1. processor
  2. locality
  3. process
  4. page
(정답률: 73%)
  • 위 그림은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실행 과정을 "process"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proces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표와 같이 작업이 제출되었다. 이를 FIFO 정책으로 스케줄링하면 평균 반환시간은 얼마인가?

  1. 3
  2. 4
  3. 7.2
  4. 9.4
(정답률: 41%)
  • FIFO 정책으로 스케줄링하면, 먼저 도착한 작업부터 처리되므로 작업 1부터 처리된다. 작업 1은 도착시간 0에 들어오고, 처리시간 3이므로 3시간 후에 처리가 완료된다. 따라서 작업 1의 반환시간은 3이다. 작업 2는 작업 1이 처리되는 동안에 들어오므로 작업 1이 완료된 시점인 3에 처리가 시작된다. 작업 2의 처리시간은 4이므로 7시간 후에 처리가 완료된다. 따라서 작업 2의 반환시간은 7이다. 작업 3은 작업 2가 처리되는 동안에 들어오므로 작업 2가 완료된 시점인 7에 처리가 시작된다. 작업 3의 처리시간은 1이므로 8시간 후에 처리가 완료된다. 따라서 작업 3의 반환시간은 8이다. 작업 4는 작업 3이 처리되는 동안에 들어오므로 작업 3이 완료된 시점인 8에 처리가 시작된다. 작업 4의 처리시간은 5이므로 13시간 후에 처리가 완료된다. 따라서 작업 4의 반환시간은 13이다. 따라서 평균 반환시간은 (3+7+8+13)/4 = 9.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처리기 스케줄러(process scheduler)가 하는 일은?

  1. 하나의 프로세스를 준비(ready) 상태에서 실행(run) 상태로 만든다.
  2. 하나의 프로세스를 대기(blocked) 상태에서 실행(run) 상태로 만든다.
  3. 하나의 프로세스를 제출(submit) 상태에서 준비(ready) 상태로 만든다.
  4. 하나의 프로세스를 제출(submit) 상태에서 대기(blocked) 상태로 만든다.
(정답률: 58%)
  • 처리기 스케줄러는 준비(ready) 상태에 있는 프로세스 중에서 실행(run)할 프로세스를 선택하여 처리기에 할당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하나의 프로세스를 준비(ready) 상태에서 실행(run) 상태로 만든다."가 정답이다. 다른 보기들은 처리기 스케줄러가 담당하지 않는 상태 변화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표와 같은 작업부하가 시간 0에 도착했을 경우 SJF 방식으로 스케줄링할 때 평균대기시간은?

  1. 13시간
  2. 18시간
  3. 23시간
  4. 28시간
(정답률: 4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중 참조 비트와 변형 비트가 사용되는 것은?

  1. LFU
  2. LRU
  3. NUR
  4. FIFO
(정답률: 55%)
  • 참조 비트와 변형 비트는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중 NUR(Not Used Recently)에서 사용된다. NUR 알고리즘은 참조 비트와 변형 비트를 이용하여 페이지를 평가하고,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가진 페이지를 교체한다. 따라서 정답은 NU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 기준 중 시스템을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즉시 사용 가능한 정도를 의미하는 것은?

  1. Turn Around Time
  2. Availability
  3. Responsibility
  4. Reliability
(정답률: 69%)
  • "Availability"는 시스템이 즉시 사용 가능한 정도를 나타내는 성능 평가 기준이다. 다른 보기들은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는 다른 측면을 나타내지만, "Availability"는 시스템이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 아닌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Availabilit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단계 피드백 큐(Multilevel feedback queu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짧은 작업에 우선권을 준다.
  2. 입·출력 위주의 작업권에 우선권을 주어야 한다.
  3. 마지막 단계의 큐에서는 작업이 완료될 때 까지 Round-Robin 방식을 통해 처리된다.
  4. 비선점(non-preemption)형 방식을 취한다.
(정답률: 52%)
  • 다단계 피드백 큐는 작업의 우선순위에 따라 여러 개의 큐를 사용하여 작업을 처리하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이다. 각 큐는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가지며, 작업은 우선순위에 따라 큐에 할당된다. 작업이 처리되는 동안 우선순위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른 큐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비선점(non-preemption)형 방식을 취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다단계 피드백 큐는 작업의 우선순위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른 큐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선점(preemption)형 방식을 취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컴퓨터 분산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이기종 컴퓨터 플랫폼에서 응용 프로그램 실행이 가능하다.
  2. ODBC 드라이버라는 미들웨어를 통해 응용프로그램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이 가능하다.
  3. 한 컴퓨터에서 실행하는 다른 응용 프로그램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4. 자주 읽기 전용 메모리가 부착된 영구 저장소에 저장되는 실행 가 능한 명령들을 의미한다.
(정답률: 55%)
  • 자주 읽기 전용 메모리가 부착된 영구 저장소에 저장되는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의미하는 것은 컴퓨터 분산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명과 관련이 없습니다. 이는 프로그래밍 언어나 운영체제와 관련된 개념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라운드로빈(Round Robin) 스케줄링에서 시간 할당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시간 할당량이 커지면 FCFS 스케줄링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
  2. 시간 할당량이 작아지면 프로세스 문맥 교환 횟수가 증가한다.
  3. 시간 할당량이란 단위 시간별로 작업 스케줄링을 하는 방식에서 그 단위 시간을 의미한다.
  4. 짧은 대화식 사용자에게는 시간 할당량을 크게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정답률: 64%)
  • "짧은 대화식 사용자에게는 시간 할당량을 크게하는 것이 효율적이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짧은 대화식 사용자는 빠른 응답을 원하기 때문에 시간 할당량을 작게 설정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시간 할당량이 크면 대화식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가 처리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운영체제의 핵심인 커널(Kernel)의 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인터럽트의 처리
  2. 파일 시스템의 유지보수
  3. 메모리 할당 및 회수
  4. 프로세스의 비동기화
(정답률: 47%)
  •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으로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인터럽트 처리, 파일 시스템 유지보수, 메모리 할당 및 회수 등 다양한 기능 중에서도 "프로세스의 비동기화"는 가장 거리가 먼 기능입니다.

    프로세스의 비동기화란,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될 때, 각각의 프로세스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위해 커널은 각각의 프로세스에게 독립적인 가상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고, 각각의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자원을 관리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될 때, 각각의 프로세스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실행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상호배제를 올바로 구현하기 위한 요구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들이 공유 데이터에 접근하여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2. 임계 구역 바깥에 있는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의 임계구역 진입 을 막아서는 안 된다.
  3. 어떤 프로세스도 임계 구역으로 들어가는 것이 무한정 연기되어서 는 안 된다.
  4. 임계 구역은 특정 프로세스가 독점할 수 없다.
(정답률: 62%)
  •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들이 공유 데이터에 접근하여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상호배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공유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동시에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해야 한다. 따라서, 상호배제를 올바로 구현하기 위한 요구조건은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들이 공유 데이터에 접근하는 경우, 상호배제를 통해 동시에 접근하지 않도록 제어해야 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구역성(locality)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간구역성의 예로는 순환 부프로그램 스택 등이 있다.
  2. 구역성에는 시간구역성과 공간구역성이 있다.
  3. 어떤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주기억장치에 유지되어 야 하는 페이지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4. 프로세서들은 기억장치 내의 정보를 균일하게 액세스 하는 것이 아 니라 어느 한 순간에 특정 부분을 집중적으로 참조하는 경향이 있다.
(정답률: 50%)
  • "어떤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주기억장치에 유지되어야 하는 페이지들의 집합을 의미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구역성은 시간구역성과 공간구역성으로 나뉘며, 시간구역성은 순환 부프로그램 스택 등의 예시가 있고, 공간구역성은 한 번 참조된 기억장소가 다시 참조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세서들은 기억장치 내의 정보를 균일하게 액세스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한 순간에 특정 부분을 집중적으로 참조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도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HRN 스케줄링 기법 사용 시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작업 번호는?

(정답률: 64%)
  • HRN 스케줄링 기법은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을 먼저 처리하는 기법이므로, 작업의 예상 실행 시간과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예상 실행 시간이 가장 긴 작업인 작업 3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고, 예상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인 작업 1의 우선순위가 가장 낮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PCB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영체제가 프로세스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PCB에 수록한다.
  2. 프로세스가 생성될 때마다 해당 PCB가 생성되며, 프로세스가 소멸 되어도 PCB는 소멸되지 않는다.
  3. PCB에는 프로세스 식별 번호 프로세스 상태 정보, CPU 레지스터 정보 등이 수록되어 있다.
  4. “Process Control Block"을 의미한다.
(정답률: 75%)
  • 프로세스가 소멸될 때 해당 PCB도 함께 소멸된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CB는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해당 PCB도 함께 소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페이지 크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페이지 크기가 클 경우 전체적인 입출력 효율성이 증가된다.
  2. 페이지 크기가 작을 경우 페이지 맵 테이블의 크기가 작아지고 매 핑 속도가 빨라진다.
  3. 페이지 크기가 클 경우 프로그램 수행에 불필요한 내용까지도 주기억장치에 적재될 수 있다.
  4. 페이지 크기가 작을 경우 디스크 접근 횟수가 많아진다.
(정답률: 49%)
  • "페이지 크기가 작을 경우 디스크 접근 횟수가 많아진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페이지 크기가 작을 경우 페이지 당 담을 수 있는 데이터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같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필요한 페이지 수가 늘어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디스크에서 페이지를 읽어오는 횟수가 늘어나게 되어 입출력 효율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반면, 페이지 크기가 클 경우 한 페이지에 담을 수 있는 데이터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필요한 페이지 수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에 따라 디스크에서 페이지를 읽어오는 횟수가 줄어들어 입출력 효율성이 증가하게 됩니다.

    또한, 페이지 크기가 작을 경우 페이지 맵 테이블의 크기가 작아지고 매핑 속도가 빨라지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페이지 맵 테이블은 가상 주소와 실제 물리 주소를 매핑하는데 사용되는 테이블로, 페이지 크기가 작을 경우 한 페이지를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페이지 맵 테이블의 항목 수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시스템에서는 어떤 자원을 기다린 시간에 비례하여 프로세스에게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에이징(aging) 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이는 어떤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가?

  1. 교착상태(dead lock)
  2. 무한연기(indefinite postponement)
  3. 세마포어(semaphore)
  4. 임계구역(critical section)
(정답률: 58%)
  • 에이징 기법은 교착상태(dead lock)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교착상태는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서로 필요로 하는 자원을 점유하고 있어서 무한정 기다리는 상황을 말한다. 이때, 자원을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해당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높여서 다른 프로세스보다 빨리 자원을 할당받도록 하는 것이 에이징 기법이다. 이를 통해 무한연기(indefinite postponement)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무한연기는 자원을 기다리는 프로세스가 영원히 자원을 할당받지 못하는 상황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여러 개의 병렬 프로세스가 공통의 변수 또는 자원에 접근할 때, 그 조작을 정당하게 실행하기 위하여 접근 중인 임의의 시점에서 하나의 프로세스만이 그 접근을 허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무엇이 라고 하는가?

  1. 상호 배제
  2. 페이징
  3. 세그먼테이션
  4. 프로그래밍
(정답률: 66%)
  • 상호 배제는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공통의 자원에 접근할 때, 동시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경쟁 상태 (race condition)를 방지하고,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상호 배제는 병렬 프로그래밍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며, 뮤텍스(mutex)나 세마포어(semaphore) 등의 동기화 기법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따라서 정답은 "상호 배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중 스레드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주요 이점이 아닌 것은?

  1. 다중 프로세싱 하드웨어의 성능 향상
  2. 응용 프로그램의 처리율 향상
  3. 응용 프로그램의 응답 시간 증가
  4. 프로세스들 간의 통신 향상
(정답률: 71%)
  • 다중 스레드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응용 프로그램의 처리율이 향상되고, 프로세스들 간의 통신이 향상됩니다. 그러나 다중 스레드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응용 프로그램의 응답 시간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스레드 간의 경쟁 상황이 발생하여 스레드가 서로 대기하거나 블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응용 프로그램의 응답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스레드 간의 경쟁 상황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인터럽트의 종류 중 프로그램 명령 사용법이나 지정법에 잘못이 있을 경우나 허용되지 않는 명령문 실행의 경우 또는 divide by zero의 경우 등에 발생하는 인터럽트는?

  1. 입출력 인터럽트
  2. 외부 인터럽트
  3. 프로그램 검사 인터럽트
  4. 기계 검사 인터럽트
(정답률: 52%)
  • 프로그램 검사 인터럽트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사용법이나 지정법에 잘못이 있거나 허용되지 않는 명령어를 실행하려고 할 때 발생하는 인터럽트이다. 이는 프로그램의 오류를 검사하고 예외 상황을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프로그램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정보통신개론

81. 다음 중 데이터 교환 방식이 아닌 것은?

  1. 회선교환 방식
  2. 메시지교환 방식
  3. 포트교환 방식
  4. 패킷교환 방식
(정답률: 57%)
  • 포트교환 방식은 데이터 교환 방식이 아닙니다. 포트교환 방식은 네트워크 장비에서 여러 대의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관리하고 분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데이터 교환 방식으로는 회선교환 방식, 메시지교환 방식, 패킷교환 방식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디지털 부호화 방식 중 비트 펄스 간에 0 전위를 유지하지 않고, +V와 -V의 양극성 전압으로 펄스를 전송하는 방식은?

  1. NRZ 방식
  2. RZ 방식
  3. Bipolar 방식
  4. DotPhase 방식
(정답률: 50%)
  • NRZ 방식은 비트 펄스 간에 0 전위를 유지하지 않고, +V와 -V의 양극성 전압으로 펄스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 방식이 정답이다. RZ 방식은 0 전위를 유지하며, 양극성 전압으로 펄스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Bipolar 방식은 양극성과 음극성 전압을 번갈아가며 사용하는 방식이다. DotPhase 방식은 0과 1을 나타내는 펄스의 상대위치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IEEE 802.11 표준화 규격 중 가장 높은 속도를 지원하는 것은?

  1. IEEE 802.11a
  2. IEEE 802.11b
  3. IEEE 802.11g
  4. IEEE 802.11ac
(정답률: 54%)
  • IEEE 802.11ac는 5GHz 대역에서 작동하며, 최대 8개의 MIMO 스트림을 지원하여 최대 6.9Gbps의 높은 전송 속도를 제공합니다. 이는 다른 표준인 IEEE 802.11a, 802.11b, 802.11g보다 훨씬 빠른 속도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Hamming distance가 5일 때 검출 가능한 에러 개수는?

  1. 4
  2. 6
  3. 8
  4. 10
(정답률: 55%)
  • Hamming distance가 5인 경우, 두 비트열 사이에 최소 5개의 비트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한 비트에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비트에서 4개 이상의 에러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검출 가능한 에러 개수는 최소 4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OSI 참조 모델에서 인접 개방형 시스템간의 정보 전송, 전송 오류 제어, 흐름 제어 등 물리적 연결을 이용해 신뢰성 있는 정보 전송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은?

  1. 데이터링크 계층
  2. 물리 계층
  3. 응용 계층
  4. 표현 계층
(정답률: 53%)
  • 데이터링크 계층은 물리적인 연결을 통해 인접한 시스템 간의 정보 전송을 담당하며, 전송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 등을 수행하여 신뢰성 있는 정보 전송을 보장합니다. 이 계층은 물리 계층에서 전송되는 비트열을 프레임 단위로 나누어 관리하고, 각 프레임에 대한 에러 검출 및 수정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OSI 참조 모델에서 인접 개방형 시스템 간의 정보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은 데이터링크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IPv6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IPv6 주소는 128비트로 구성된다.
  2.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를 지원한다.
  3. 주소를 32비트씩 나눠서 8진수로 쓰고 마침표로 구분한다.
  4. 프로토콜의 확장을 허용하도록 설계되었다.
(정답률: 60%)
  • IPv6 주소는 128비트로 구성되며, 주소를 32비트씩 나눠서 16진수로 쓰고 콜론으로 구분한다. 따라서 "주소를 32비트씩 나눠서 8진수로 쓰고 마침표로 구분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패킷 교환망에서 DCE와 DTE사이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을 규정한 프로토콜은?

  1. V.21
  2. V.25
  3. X.200
  4. X.25
(정답률: 72%)
  • X.25은 패킷 교환망에서 DCE와 DTE 사이의 상호작용을 규정한 프로토콜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가상 회선을 설정하고, 오류 제어 및 흐름 제어를 수행하여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X.25이 정답입니다. V.21은 모뎀 통신 규격, V.25는 모뎀 제어 규격, X.200은 OSI 참조 모델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디지털 변조 방식 중에서 전송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위상과 진폭 을 함께 변화시켜서 변조하는 방식은?

  1. ASK
  2. PSK
  3. FSK
  4. QAM
(정답률: 67%)
  • QAM은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약자로, 위상과 진폭을 함께 변화시켜서 변조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두 개의 진폭과 위상을 조합하여 다양한 신호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전송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QAM은 전송속도가 높은 디지털 통신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8진 PSK 변조방식에서 반송파간의 위상차는?

  1. 45°
  2. 90°
  3. 18°
  4. 36°
(정답률: 61%)
  • 8진 PSK 변조방식에서는 8개의 위상 상태를 사용하므로, 각 위상 상태는 360°/8 = 45° 간격으로 구분됩니다. 따라서 반송파간의 위상차는 4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항식 코드를 사용하여 오류를 검출하는 기법은?

  1. 순환중복검사(CRC)
  2. 수직중복검사(VRC)
  3. 세로중복검사(LRC)
  4. 검사합(Checksum)
(정답률: 57%)
  • 다항식 코드를 사용하여 오류를 검출하는 기법 중에서는 순환중복검사(CRC)가 있다. 이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송신측에서 일정한 다항식을 이용하여 데이터에 대한 검사코드를 생성하고, 수신측에서는 이 검사코드를 이용하여 오류를 검출하는 방식이다. 이때, 다항식을 이용하여 생성된 검사코드는 데이터의 비트들을 순환적으로 처리하므로, CRC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이 방식은 검사코드의 길이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오류 검출 능력이 높아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HDLC의 프레임 구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주소부
  2. 제어부
  3. FCS
  4. 스타트 및 스톱비트
(정답률: 70%)
  • HDLC 프레임 구조에서 스타트 및 스톱비트는 비트 전송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물리적인 요소이며, HDLC 프레임 구조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HDLC 프레임 구조는 주소부, 제어부, FCS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전이중 통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송신을 하면서 동시에 수신도 할 수 있는 방식이다.
  2. 양방향 어느 쪽으로든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나 동시에 전송할 수는 없다.
  3. 송신측과 수신측을 서로 필요에 따라 교대하는 방식이다.
  4. 전기적으로 신호를 보내기 위해서는 송신측과 수신측을 연결하는 폐쇄회로를 구성해야 하므로 1개의 선로가 필요하다.
(정답률: 64%)
  • 전이중 통신은 송신과 수신이 동시에 가능한 방식입니다. 따라서 "송신을 하면서 동시에 수신도 할 수 있는 방식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부분적으로 맞는 내용이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정확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대역폭이 1kHz이고 8진 PSK 변조방식을 사용할 때 채널용량(kb/s)은? (단, 잡음이 없는 채널로 가정)

  1. 4
  2. 6
  3. 8
  4. 10
(정답률: 34%)
  • 8진 PSK 변조방식은 3비트씩 심볼을 전송하므로, 한 심볼당 전송되는 정보량은 log2(8) = 3 bit이다. 따라서, 1초당 전송되는 심볼의 수는 1kHz이다. 따라서, 채널용량은 1kHz * 3 bit/symbol = 3 kb/s 이다. 하지만, 이 채널은 잡음이 없으므로 채널용량은 채널의 대역폭과 같다. 따라서, 채널용량은 1kHz * 6 = 6 kb/s 이다. 따라서, 정답은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MSK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일정한 포락선과 위상연속의 특성을 갖는다.
  2. 대역폭 효율이 우수하다.
  3. 비동기검파가 가능하다.
  4. FSK 중에서 가장 대역폭이 넓은 경우에 해당된다.
(정답률: 40%)
  • MSK는 FSK 중에서 가장 대역폭이 넓은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다. MSK는 일정한 포락선과 위상연속의 특성을 갖고 있으며, 대역폭 효율이 우수하고 비동기검파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BPSK의 전송 대역폭은 QPSK 전송 대역폭의 몇 배인가?

  1. 1/2
  2. 1/4
  3. 2
  4. 4
(정답률: 47%)
  • BPSK는 1 bit를 전송하기 위해 1개의 심볼을 사용하고, QPSK는 1 bit를 전송하기 위해 2개의 심볼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BPSK의 전송 대역폭은 QPSK 전송 대역폭의 절반인 2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광섬유 케이블에서 클래드(Clad)의 주 역할은?

  1. 광 신호를 반사시키는 역할
  2. 광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
  3. 광 신호를 저장시키는 역할
  4. 광 신호를 입력시키는 역할
(정답률: 67%)
  • 클래드는 광섬유 케이블의 핵심인 광섬유 안에 둘러싸여 있는 물질로, 광섬유 안에서 전달되는 광 신호를 반사시켜 다음 광섬유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광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광섬유 케이블의 전송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비동기 전송모드(AT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TM은 B-ISDN의 핵심 기술이다.
  2. Header는 5Byte, Payload는 48Byte이다.
  3. 정보는 셀(Cell) 단위로 나누어 전송된다.
  4. 저속 메시지 통신망에 적합하다.
(정답률: 61%)
  • ATM은 저속 메시지 통신망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고속 대역폭을 필요로 하는 네트워크에서 사용됩니다. 이는 ATM이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회선 교환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소량의 데이터 전송에 효율적이다.
  2. 물리적인 통신경로가 통신종료까지 구성된다.
  3. 일반적으로 전송속도 및 코드 변환이 가능하다.
  4. 전송 대역폭 사용이 가변적이다.
(정답률: 40%)
  • 회선 교환 방식은 통신을 할 때 물리적인 통신 경로를 전용으로 할당하여 통신하는 방식입니다. 이 때, 통신이 종료될 때까지 해당 경로는 계속 유지되며, 이는 물리적인 연결이 유지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물리적인 통신경로가 통신종료까지 구성된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전송시간을 일정한 간격의 시간 슬롯(time slot)으로 나누고, 이를 주기적으로 각 채널에 할당하는 다중화 방식은?

  1. 주파수 분할 다중화
  2. 파장 분할 다중화
  3.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4.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정답률: 65%)
  •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전송시간을 일정한 간격의 시간 슬롯으로 나누고, 이를 주기적으로 각 채널에 할당하는 다중화 방식은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입니다. 이 방식은 시간을 정확하게 동기화하여 각 채널에 일정한 시간을 할당하기 때문에 신호의 충돌이나 간섭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신호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높은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광섬유의 코어와 클래딩 경계면의 불균일로 인해 발생되는 광섬유 케이블의 구조 손실은?

  1. 흡수 손실
  2. 산란 손실
  3. 접속 손실
  4. 불균등 손실
(정답률: 51%)
  • 광섬유의 코어와 클래딩 경계면이 불균일하면 광섬유 내부에서 광파가 전달될 때 경로가 바뀌어 발생하는 손실을 불균등 손실이라고 합니다. 이는 광섬유 케이블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하며, 광섬유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광섬유 케이블 설계 및 제조 과정에서 이러한 불균등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