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3-03)

정보처리산업기사
(2019-03-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데이터 베이스

1. 정렬 알고리즘 중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Selection Sort
  2. Insertion Sort
  3. Bubble Sort
  4. Heap Sort
(정답률: 65%)
  • 선택 정렬(Selection Sort)은 주어진 리스트에서 최소값을 찾아 맨 앞에 위치한 값과 교체하고, 그 다음으로 작은 값을 찾아 두 번째 위치한 값과 교체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위 그림에서도 최소값을 찾아 맨 앞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이 반복되는 것을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뷰(View) 삭제문의 형식으로 옳은 것은?

  1. DELETE VIEW 뷰이름;
  2. DROP VIEW 뷰이름;
  3. REMOVE VIEW 뷰이름;
  4. OUT VIEW 뷰이름;
(정답률: 85%)
  • 옳은 형식은 "DROP VIEW 뷰이름;"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DELETE VIEW 뷰이름;: DELETE는 데이터를 삭제하는 명령어이므로, 뷰를 삭제하는 명령어가 아닙니다.
    - DROP VIEW 뷰이름;: DROP은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삭제하는 명령어이며, 뷰도 데이터베이스 객체 중 하나이므로, 뷰를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 REMOVE VIEW 뷰이름;: REMOVE는 데이터를 삭제하는 명령어이므로, 뷰를 삭제하는 명령어가 아닙니다.
    - OUT VIEW 뷰이름;: OUT은 출력하는 명령어이므로, 뷰를 삭제하는 명령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제1정규형에서 제2정규형 수행 시 작업으로 옳은 것은?

  1. 이행적 함수 종속성 제거
  2. 다치 종속 제거
  3. 모든 결정자가 후보 키가 되도록 분해
  4. 부분 함수 종속성 제거
(정답률: 75%)
  • 제1정규형에서 제2정규형으로 넘어갈 때는 부분 함수 종속성을 제거해야 합니다. 부분 함수 종속성이란 어떤 테이블에서 키가 아닌 속성이 다른 속성을 결정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해당 속성을 별도의 테이블로 분리하여 중복을 제거하고, 이를 참조하는 외래 키를 추가함으로써 제2정규형을 만족시킬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데이터의 중복을 제거하고,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시스템 카탈로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따라 상이한 구조를 가진다.
  2. 사용자도 SQL을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다.
  3.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통계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4.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이다.
(정답률: 61%)
  • 시스템 카탈로그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시스템 테이블의 집합이다. 따라서 시스템 카탈로그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가 아니라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이다. 따라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해싱함수 기법 중 주어진 모든 키 값을 이루는 숫자의 분포를 분석하여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이는 자릿수들을 필요한 만큼 선택해서 홈 주소로 사용하는 방식은?

  1. 재산법(Division method)
  2. 폴딩법(Foldion method)
  3. 기수 변환법(Radix conversion method)
  4. 계수 분석법(Digit analysis method)
(정답률: 53%)
  • 계수 분석법은 주어진 모든 키 값을 이루는 숫자의 분포를 분석하여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이는 자릿수들을 필요한 만큼 선택해서 홈 주소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키 값의 분포를 분석하여 홈 주소를 선택하기 때문에 다른 방식에 비해 더욱 안정적인 해싱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계수 분석법(Digit analysis metho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관계 대수에서 JOIN 연산자 기호에 해당하는 것은?

  1. ÷
  2. π
(정답률: 78%)
  • JOIN 연산자는 두 개의 테이블에서 공통된 속성을 기준으로 레코드를 결합하는 연산자입니다. 이 때 JOIN 연산자 기호는 ⋈로 표시됩니다. ⋈ 기호는 두 개의 원이 겹쳐져 있는 모양으로, 이는 두 개의 테이블이 서로 교차되는 부분에서 결합되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이진트리를 후위(Postorder) 운행한 결과로 옳은 것은?

  1. A*B-C/D*E
  2. -*AB*/CDE
  3. AB*CDE/*-
  4. AB*CD/E*-
(정답률: 75%)
  • 이진트리를 후위 운행하면 왼쪽 자식 노드, 오른쪽 자식 노드, 그리고 부모 노드 순서로 출력된다. 따라서 이진트리를 후위 운행한 결과는 "AB*CD/E*-"이다.

    - A와 B를 곱한 결과를 스택에 넣는다. (스택: AB)
    - C와 D를 뺀 결과를 스택에 넣는다. (스택: AB, CD-)
    - 스택에서 위에서부터 두 개의 값을 꺼내 E를 곱한 결과를 스택에 넣는다. (스택: AB, CDE*)
    - 스택에서 위에서부터 두 개의 값을 꺼내 / 연산을 한 결과를 스택에 넣는다. (스택: AB/CD, E*)
    - 스택에서 위에서부터 두 개의 값을 꺼내 - 연산을 한 결과를 스택에 넣는다. (스택: AB/CDE*-)
    - 스택에 남은 값이 최종 결과이다. (결과: AB*CD/E*-)

    따라서 정답은 "AB*CD/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키(key)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후보키 : 개체들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속성
  2. 슈퍼키 :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속성들 중에서 각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속성들의 집합
  3. 외래키 : 참조하는 릴레이션에서 기본키로 사용되는 속성
  4. 보조키 : 후보키 중에서 대표로 선정된 키
(정답률: 67%)
  • 보조키는 후보키 중에서 대표로 선정된 키가 아니라, 후보키와 같이 개체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속성이다. 따라서 "보조키 : 후보키 중에서 대표로 선정된 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보조키는 후보키와 같이 개체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속성이지만, 후보키가 여러 개일 경우 보조키는 후보키 중에서 대표로 선정되어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속성이다. 예를 들어, 학생 정보를 저장하는 릴레이션에서 학번과 주민등록번호가 후보키일 경우, 이 중에서 학번을 대표로 선정하여 보조키로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의 개수를 의미하는 것은?

  1. cardinality
  2. degree
  3. domain
  4. attribute
(정답률: 76%)
  • "cardinality"는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릴레이션의 속성과 관련된 용어들이지만, "cardinality"는 릴레이션의 크기와 관련된 용어입니다. 따라서, "cardinality"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뷰(View)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DBA는 보안 측면에서 뷰를 활용할 수 있다.
  2. 데이터의 논리적 독립성을 제공한다.
  3. 뷰를 이용한 또 다른 뷰를 생성할 수 있다.
  4. 삽입, 삭제, 갱신 연산에 아무런 제한이 없으므로 사용자가 뷰를 다루기가 용이하다.
(정답률: 76%)
  • 뷰는 실제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고, 기존의 테이블에서 필요한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가상의 테이블을 만들어주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조작할 때, 실제 데이터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삽입, 삭제, 갱신 연산에도 제한이 있습니다. 따라서 "삽입, 삭제, 갱신 연산에 아무런 제한이 없으므로 사용자가 뷰를 다루기가 용이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인접 행렬(Adjacency Matrix)에 대응되는 그래프(Graph)를 그렸을 때, 옳은 것은?

(정답률: 81%)
  • 정답은 "" 이다.

    인접 행렬에서 1은 두 정점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접 행렬에서 1인 부분을 그래프에서는 간선으로 표현한다.

    그림을 보면, 인접 행렬에서 1인 부분에 해당하는 간선들이 그래프에서도 존재한다. 따라서 인접 행렬과 그래프는 일치한다.

    보기 중에서 "" 가 정답인 이유는, 그래프에서는 정점 1과 4가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인접 행렬에서는 (1,4)와 (4,1)이 0으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이 두 정점은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This is a linear list for which all insertions and deletions, and usually all accesses, are made at one and of the list. What is this?

  1. queue
  2. stack
  3. graph
  4. tree
(정답률: 63%)
  • 이것은 "stack"입니다. 스택은 LIFO (Last In First Out) 데이터 구조로, 새로운 항목은 항상 맨 위에 추가되고, 삭제할 때는 항상 맨 위의 항목이 제거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스택은 모든 삽입, 삭제 및 대부분의 액세스가 한쪽 끝에서 이루어지는 선형 리스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아래 SQL문에서 WHERE 절의 조건이 의미하는 것은?

  1. ‘박’으로 시작하는 모든 문자 이름을 검색한다.
  2. ‘박’으로 시작하지 않는 모든 문자 이름을 검색한다.
  3. ‘박’으로 시작하는 3글자의 문자 이름을 검색한다.
  4. ‘박’으로 시작하지 않는 3글자의 문자 이름을 검색한다.
(정답률: 77%)
  • WHERE 절의 조건은 "name LIKE '__%' AND name NOT LIKE '박%'" 이다. 이는 이름이 두 글자이며 첫 글자가 어떤 것이든 상관없지만 두 번째 글자가 '박'이 아닌 모든 이름을 검색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정답은 "‘박’으로 시작하지 않는 3글자의 문자 이름을 검색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BMS)의 필수 기능이 아닌 것은?

  1. 데이터베이스 정의 기능
  2. 데이터베이스 종속 기능
  3. 데이터베이스 조작 기능
  4. 데이터베이스 제어 기능
(정답률: 81%)
  • 데이터베이스 종속 기능은 DBMS의 필수 기능이 아닙니다. 데이터베이스 종속 기능은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간 관계를 정의하고 이를 유지하는 기능입니다. 하지만 DBMS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수정, 삭제하고 데이터를 검색, 삽입, 갱신, 삭제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역할입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 종속 기능은 필수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버블 정렬을 이용한 오름차순 정렬 시 다음 자료에 대한 1회전 후의 결과는?

  1. 6, 7, 3, 5, 9
  2. 6, 3, 5, 7, 9
  3. 3, 6, 7, 9, 5
  4. 3, 9, 6, 7, 5
(정답률: 83%)
  • 버블 정렬은 인접한 두 원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뒤로 보내는 정렬 방법입니다.

    1회전에서는 첫 번째 원소인 6과 두 번째 원소인 7을 비교하여 6이 더 작으므로 위치를 바꿉니다. 그 다음으로는 7과 3을 비교하여 3이 더 작으므로 위치를 바꿉니다. 이어서 7과 5를 비교하여 5가 더 작으므로 위치를 바꿉니다. 마지막으로 7과 9를 비교하여 위치를 바꾸지 않습니다.

    따라서 1회전 후의 결과는 "6, 3, 5, 7, 9"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개념 세계에서 표현된 각 개체와 개체 간의 관계들을 서로 독립된 2차원 테이블 즉 릴레이션으로 표현하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데이터 모델은?

  1. 개체형 데이터 모델
  2. 관계형 데이터 모델
  3. 계층형 데이터 모델
  4. 네트워크형 데이터 모델
(정답률: 64%)
  • 관계형 데이터 모델은 개념 세계에서 표현된 각 개체와 개체 간의 관계들을 서로 독립된 2차원 테이블 즉 릴레이션으로 표현하는 데이터 모델이다. 이 모델은 간단하고 직관적이며,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SQL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쉽게 검색, 수정, 삭제할 수 있어 데이터 처리에 용이하다. 이러한 이유로 관계형 데이터 모델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데이터 모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의 설명에서 ( )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NULL
  2. TUPLE
  3. DOMAIN
  4. ENTITY
(정답률: 87%)
  • 이미지에서는 어떤 개체(Entity)에 대한 정보도 제공되지 않으며, 따라서 어떤 값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NULL"이 정답이 됩니다. TUPLE은 관련된 값들의 집합을 의미하고, DOMAIN은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관계해석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절차적인 언어이다.
  2. 기본적으로 관계해석과 관계대수는 관계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하는 기능과 능력면에서 동등하다.
  3. 튜플 관계해석과 도메인 관계해석이 있다.
  4. 프레디카트 해석(predicate calculus)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정답률: 70%)
  • 정답은 "기본적으로 관계해석과 관계대수는 관계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하는 기능과 능력면에서 동등하다."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관계해석에 대한 설명이지만, 이 보기는 관계대수와 관계해석이 동등하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관계대수는 관계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하는 데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 보기가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선형 자료 구조는? (단, 삽입과 삭제가 리스트의 양쪽 끝에서 모두 발생)

  1. Deque
  2. Stack
  3. Queue
  4. Graph
(정답률: 64%)
  • 정답은 "Deque"이다. 그림에서 보이는 자료 구조는 양쪽 끝에서 삽입과 삭제가 모두 가능한 것으로, 이는 Deque (Double Ended Queue)의 특징과 일치한다. Stack과 Queue는 각각 한쪽 끝에서만 삽입과 삭제가 가능하고, Graph는 비선형 자료 구조이므로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학생(STUDENT) 테이블에서 어떤 학과(DEPT)들이 있는지 검색하는 SQL명령은? (단, 결과는 중복된 데이터가 없도록 한다.)

  1. SELECT ONLY * FROM STUDENT;
  2. SELECT DISTINCT DEPT FROM STUDENT;
  3. SELECT ONLY DEPT FROM STUDENT;
  4. SELECT NOT DUPLICATE DEPT FROM STUDENT;
(정답률: 83%)
  • 정답인 "SELECT DISTINCT DEPT FROM STUDENT;"는 DEPT 열에서 중복된 데이터를 제외하고 검색하라는 의미이다. SELECT ONLY * FROM STUDENT;는 모든 열을 검색하라는 의미이고, SELECT ONLY DEPT FROM STUDENT;는 DEPT 열만 검색하라는 의미이다. SELECT NOT DUPLICATE DEPT FROM STUDENT;는 잘못된 문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계산기 구조

21. 메모리 인터리빙(interleaving)의 사용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메모리 액세스의 효율 증대
  2. 기억 용량의 증대
  3. 입출력 장치의 증설
  4. 전력 소모 감소
(정답률: 74%)
  • 메모리 인터리빙은 메모리 액세스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메모리에 접근하는 시간을 줄여서 프로세서의 작업 속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메모리 인터리빙은 대규모 데이터 처리나 고성능 컴퓨팅 분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메인 메모리의 용량이 1024K*24bit 일 때 MAR과 MBR 길이는 각각 몇 비료인가?

  1. MAR=20, MBR=20
  2. MAR=20, MBR=24
  3. MAR=24, MBR=20
  4. MAR=24, MBR=24
(정답률: 72%)
  • 메인 메모리의 용량이 1024K*24bit 이므로, 주소를 나타내는 비트 수는 log2(1024K) = 20 bit 이다. 따라서 MAR의 길이는 20 bit 이어야 한다.

    MBR은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로, CPU와 메인 메모리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레지스터이다. 메인 메모리의 용량이 24 bit 이므로, MBR의 길이도 24 bit 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MAR=20, MBR=2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문자의 위치 변환에 이용하는데 가장 효율적인 동작은?

  1. 로테이트(rotate) 동작
  2. 산술 시프트(shift) 동작
  3. 논리 시프트 동작
  4. 좌측 및 우측 시프트 동작
(정답률: 58%)
  • 로테이트(rotate) 동작은 문자열의 위치를 변환할 때, 문자열의 끝과 시작을 연결하여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가장 효율적이다. 이는 산술 시프트(shift) 동작과 달리 문자열의 끝과 시작을 연결하여 회전시키기 때문에, 문자열의 일부가 손실되지 않고 모든 문자가 보존되기 때문이다. 논리 시프트 동작은 부호 비트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면, 로테이트(rotate) 동작은 부호 비트를 유지하지 않는다. 좌측 및 우측 시프트 동작은 문자열의 일부가 손실될 수 있기 때문에, 문자열의 위치 변환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컴퓨터의 데이터 처리속도 성능을 표시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1. assembler
  2. compiler
  3. program
  4. bandwidth
(정답률: 61%)
  • 정답은 "bandwidth"입니다. 데이터 처리속도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속도와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컴퓨터의 데이터 처리속도 성능을 표시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나타내는 "bandwidth"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프로그래밍 언어나 컴파일러와 같은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요소들이므로, 데이터 처리속도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hardwired control 방법으로 제어장치를 구현할 때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논리 회로 설계기법에 의해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2. RISC 구조를 기본적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주로 많이 사용된다.
  3. 동작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4. instruction set를 갱신(update)하기가 용이하다.
(정답률: 49%)
  • instruction set를 갱신(update)하기가 용이한 이유는, 제어장치가 논리 회로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instruction set을 수정하거나 추가할 때에는 논리 회로를 수정하면 되므로 비교적 간단하게 수정할 수 있다. 이는 소프트웨어적인 수정보다는 하드웨어적인 수정이 용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세그먼트-페이징(segment-paging) 기법을 이용하는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시스템에서 논리 주소 형식(logical address format)이 다음과 같다면 총 주소 공간의 크기는?

  1. 28word
  2. 212word
  3. 216word
  4. 220word
(정답률: 56%)
  • 세그먼트-페이징 기법에서 논리 주소는 세그먼트 번호와 오프셋(offset)으로 구성된다. 이 문제에서는 세그먼트 번호가 16비트, 오프셋이 12비트이므로 총 주소 공간의 크기는 216 * 212 = 228 바이트이다. 하지만 가상 메모리 시스템에서는 물리 메모리와 매핑되는 페이지 단위로 주소 공간을 관리하므로, 페이지 크기가 28 바이트인 경우 총 주소 공간의 크기는 220 바이트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20wor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CPU의 명령어 사이클(instruction cycle) 4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fetch cycle
  2. control cycle
  3. indirect cycle
  4. execute cycle
(정답률: 62%)
  • 정답은 "control cycle"입니다.

    CPU의 명령어 사이클은 크게 4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fetch cycle: 명령어를 메모리에서 가져오는 단계
    2. decode cycle: 명령어를 해석하는 단계
    3. execute cycle: 명령어를 실행하는 단계
    4. store cycle: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반면, "control cycle"은 CPU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로, 명령어 사이클의 일부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control cycl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OP 코드가 5비트, Operand가 11비트인 명령어가 갖는 최대 마이크로 연산의 종류는?

  1. 5개
  2. 32개
  3. 64개
  4. 2048개
(정답률: 51%)
  • 5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최대 숫자는 2^5 = 32이다. 따라서, 5비트로 표현되는 OP 코드는 최대 32개의 종류가 있을 수 있다. Operand가 11비트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각 OP 코드마다 최대 2^11 = 2048개의 마이크로 연산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가능한 최대 마이크로 연산의 종류는 32 * 2048 = 65536개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JK 플립플롭에서 Ja=0, Ko=0 인 경우의 출력Qn+1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0
  2. 1
  3. Qa
  4. 부정
(정답률: 50%)
  • JK 플립플롭에서 Ja=0, Ko=0 인 경우는 입력이 유지되는 상태입니다. 이 경우 출력 Qn+1은 이전 상태의 출력 Qn을 유지하게 됩니다. 따라서 Qa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마이크로 동작 중 종류가 다른 것은?

  1. 논리 시프트
  2. 순환 시프트
  3. 보수
  4. 산술연산
(정답률: 62%)
  • 정답은 "산술연산"입니다.

    다른 세 가지 동작은 모두 비트 단위 연산이지만, 산술연산은 숫자를 다루는 연산입니다. 산술연산은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등의 연산을 수행하며, 이러한 연산은 비트 단위가 아닌 숫자 단위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산술연산은 다른 세 가지 동작과는 성격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CPU가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동작이 아닌 것은?

  1. buffer
  2. fetch
  3. decode
  4. execute
(정답률: 51%)
  • CPU가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동작은 fetch(명령어를 메모리에서 가져오기), decode(명령어를 해석하기), execute(명령어를 실행하기)이다. 반면에 buffer는 CPU가 명령어를 처리하는데 직접적으로 필요한 동작은 아니며, 명령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buffer는 CPU가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동작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여러 대의 고속 입출력 장치가 동시에 하나의 채널을 공유하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채널 방식은?

  1. 바이트 다중 방식
  2. 버스트 방식
  3. 입출력 선택 채널 방식
  4. 입출력 블록 다중 채널 방식
(정답률: 67%)
  • 여러 대의 고속 입출력 장치가 동시에 하나의 채널을 공유하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방식은 입출력 블록 다중 채널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입출력 장치들이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전송하며, 각 장치는 자신의 입출력 블록을 채널에 전송합니다. 이렇게 하면 여러 장치가 동시에 채널을 공유하면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서 전송 속도가 빨라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두 개의 독립적인 장치 사이의 비동기적인 데이터 전송을 이루기 위하여 데이터가 전송될 시각을 알릴 때 두 장치 사이에 교환되는 제어 신호는?

  1. 스타트(start)신호
  2. DMA 제어신호
  3. 입터립트 요구신호
  4. 스트로브(strobe)신호
(정답률: 42%)
  • 스트로브 신호는 데이터 전송 시각을 알리기 위한 제어 신호 중 하나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에서 발생되어 수신 장치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시각을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두 개의 독립적인 장치 사이에서 비동기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과 같은 명령 형식을 사용하는 컴퓨터에서 가능한 MRI(Memory Reference Instruction)의 개수는?

  1. 4
  2. 8
  3. 16
  4. 32
(정답률: 54%)
  • 해당 명령 형식에서 메모리 참조(instruction)는 2개의 오퍼랜드(operand)를 사용하므로, 가능한 메모리 참조(instruction)의 개수는 2의 2승인 4개이다. 그러나, 오퍼랜드의 크기가 16비트이므로, 각 오퍼랜드는 2의 16승(65536)개의 메모리 주소를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한 메모리 참조(instruction)의 총 개수는 65536의 제곱인 4294967296개이다. 이를 2의 2승으로 나누면, 16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CPU의 제어장치 구성으로 옳은 것은?

  1. 누산기, 명령해독기, 신호발생기
  2. 누산기, 플래그레지스터, 신호발생기
  3. 명령레지스터, 입출력해독기, 인터페이스
  4. 명령레지스터, 명령해독기, 신호발생기
(정답률: 55%)
  • CPU의 제어장치는 명령어를 해독하고 실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명령어를 해독하는 명령해독기와 명령어를 저장하는 명령레지스터, 그리고 명령어 실행을 위한 신호발생기가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명령레지스터, 명령해독기, 신호발생기"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데이터 레지스터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Stack
  2. Accumulator
  3. Program Counter
  4. General Purose Register
(정답률: 48%)
  • Program Counter는 데이터 레지스터가 아니라 제어 레지스터에 속합니다. 데이터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반면, 제어 레지스터는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gram Counter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고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를 가장 간략화 한 것은?

  1. AB
  2. A+B
(정답률: 55%)
  • 정답은 "A+B"이다. 이유는 이미지에서 A와 B가 각각 나누어져 있고, 각각의 이미지에서 A와 B가 합쳐져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A와 B를 합치면 전체 이미지가 완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입출력장치와 주기억장치를 연결하는 중개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1. 버스(Bus)
  2. 버퍼(Buffer)
  3. 채널(Channel)
  4. 콘솔(Console)
(정답률: 72%)
  • 채널은 입출력장치와 주기억장치를 연결하는 중개역할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고 제어하며, 입출력장치와 주기억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원활하게 수행합니다. 버스는 컴퓨터 내부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통로이며, 버퍼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임시 기억장치입니다. 콘솔은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입출력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보조기억장치 중 접근(access) 특성이 다른 것은?

  1. Magnetic Tape
  2. Magnetic Disk
  3. USB 메모리
  4. Magnetic Drum
(정답률: 53%)
  • "Magnetic Tape"은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특정 위치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그 이전의 데이터들을 모두 읽어야 한다. 반면에 "Magnetic Disk", "USB 메모리", "Magnetic Drum"은 랜덤 접근이 가능하다. 즉, 특정 위치에 바로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컴퓨터 시스템에서 인터럽트의 우선순위 중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것은?

  1. 오버레이터 인터럽트
  2. 정전 혹은 기계적인 고장
  3. 입출력 장치의 인터럽트
  4. 프로그램 연산자나 주소 지정 방식의 오류
(정답률: 72%)
  • 정전 혹은 기계적인 고장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이유는,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시스템 전체가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다른 인터럽트들은 일시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지만, 정전이나 기계적인 고장은 시스템 자체의 동작을 멈추게 만들기 때문에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시스템분석설계

41. 코드의 기능 중 다음이 설명하는 것은?

  1. 표준화 기능
  2. 분류 기능
  3. 식별 기능
  4. 연산 기능
(정답률: 74%)
  • 주어진 코드는 입력된 데이터를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정답은 "분류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체크 시스템에서 계산 처리 단계에서의 오류검사 방법이 아닌 것은?

  1. 중복 레코드(double record) 검사
  2. 숫자(numeric) 검사
  3. 오버플로우(overflow) 검사
  4. 불능, 부정 검사
(정답률: 43%)
  • 숫자(numeric) 검사는 입력된 데이터가 숫자로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하는 검사 방법이며, 계산 처리 단계에서의 오류검사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중복 레코드 검사는 중복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고, 오버플로우 검사는 데이터가 정해진 범위를 초과하는지 확인하며, 불능, 부정 검사는 입력된 데이터가 올바른 형식인지 확인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S/W개발 과정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1. 프로그램 코딩
  2. 프로그램 구현
  3. 요구사항의 분석
  4. 유지보수
(정답률: 79%)
  • 요구사항의 분석은 개발자가 어떤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야 하는지 이해하고 목표를 설정하는 과정입니다. 이 단계에서 요구사항을 분석하지 않으면 개발자는 무엇을 개발해야 하는지 모르게 됩니다. 따라서 요구사항의 분석은 S/W개발 과정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시스템 개발 단계 중 가장 마지막 단계에 수행하는 것은?

  1. 테스트와 디버깅
  2. 업무분석과 요구정의
  3. 프로그래밍
  4. 프로그램 설계
(정답률: 79%)
  • 시스템 개발 단계 중 가장 마지막 단계는 "테스트와 디버깅"입니다. 이는 시스템이 개발된 후에 최종적으로 시스템이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는 작업입니다. 테스트와 디버깅을 통해 시스템의 오류와 결함을 찾아내고 수정하여 최종적으로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입력 설계 순서로 옳은 것은?

  1. 가 → 나 → 다 → 라 → 마
  2. 가 → 다 → 나 → 라 → 마
  3. 가 → 라 → 나 → 마 → 다
  4. 가 → 나 → 라 → 마 → 다
(정답률: 63%)
  • 입력 설계 순서는 "가 → 나 → 다 → 라 → 마" 순서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유는 먼저 입력 데이터를 정의하고, 그 다음에는 입력 데이터를 처리할 방법을 결정하고, 그 다음에는 출력 데이터를 정의하고,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방법을 결정하며, 마지막으로는 입력과 출력 데이터를 검증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입력 설계 순서는 "가 → 나 → 다 → 라 → 마"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체크 시스템 중 입력 정보의 여러 데이터가 특정 항목의 합계와 같다는 사실을 인지할 때 컴퓨터를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와 일치여부를 체크하는 방법은?

  1. Matching Check
  2. Format Check
  3. Balance Check
  4. Check Digit Check
(정답률: 42%)
  • 입력 정보의 합계와 컴퓨터를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Balance Check"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입력 정보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보기들은 입력 정보의 형식, 일련번호 등을 체크하는 방법이지만, "Balance Check"는 입력 정보의 합계를 체크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오류가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마스터 파일 내의 데이터를 트렌잭션 파일로 추가, 정정, 삭제하여 항상 최근의 정보를 갖도록 하는 것은?

  1. 정렬(sort)
  2. 갱신(update)
  3. 병합(merge)
  4. 대조(matching)
(정답률: 80%)
  • 마스터 파일은 기업이나 조직에서 가장 중요한 데이터를 담고 있는 파일로, 이 파일의 데이터가 항상 최신 상태여야 합니다. 따라서 마스터 파일 내의 데이터를 추가, 수정, 삭제하여 최신 정보를 유지하는 것을 갱신(update)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갱신(updat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구조적 분석의 주요 도구인 DFD(Data Flow Diagram)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처리
  2. 제어
  3. 자료 저장소
  4. 자료의 시작과 끝
(정답률: 35%)
  • 제어는 DFD에서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DFD는 처리, 자료 저장소, 자료의 시작과 끝으로 구성됩니다. 처리는 입력된 자료를 처리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작업을 의미하며, 자료 저장소는 자료를 저장하고 유지하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자료의 시작과 끝은 DFD에서 자료의 흐름이 시작되는 지점과 끝나는 지점을 의미합니다. 제어는 DFD에서 특정 작업을 제어하거나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DFD에서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HIPO는 시스템과 프로그램을 기능별로 어떤형식으로 나타내는 기법인가?

  1. bottom-up
  2. top-down
  3. recursive
  4. dynamic
(정답률: 61%)
  • HIPO는 시스템과 프로그램을 기능별로 상위 수준부터 하위 수준까지 분해하여 나타내는 기법으로, 이는 top-down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전체 시스템을 먼저 큰 블록으로 나누고, 이를 점차 작은 블록으로 분해해가며 상세한 기능을 설명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를 파악하고, 각각의 기능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코드(code) 설계 시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1. 컴퓨터 처리에 적합하여야 한다.
  2. 공통성이 있어야 한다.
  3. 다양성이 있어야 한다.
  4. 확장성이 있어야 한다.
(정답률: 65%)
  • 코드 설계 시 다양성이 있어야 하는 이유는 다양한 상황에서 코드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다양한 상황에서 코드를 적용할 수 있으면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아지고, 유지보수가 용이해집니다. 따라서 코드 설계 시 다양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객체지향 설계의 기본 원칙이 아닌 것은?

  1. 자료 추상화
  2. 캡슐화
  3. 자료와 행위의 결합
  4. 절차화
(정답률: 47%)
  • 객체지향 설계의 기본 원칙은 "자료 추상화", "캡슐화", "자료와 행위의 결합"입니다. 이들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코드의 재사용성, 유지보수성, 확장성 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반면 "절차화"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과는 상반된 개념으로, 코드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의 특징입니다. 따라서 "절차화"는 객체지향 설계의 기본 원칙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입출력의 표준화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은?

  1. 방식의 표준화
  2. 매체의 표준화
  3. 형식의 표준화
  4. 운영체제의 표준화
(정답률: 64%)
  • 운영체제의 표준화는 입출력의 표준화와는 별개로 이루어지는 작업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입출력의 표준화는 데이터의 방식, 매체, 형식 등을 표준화하여 서로 다른 시스템 간에도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지만, 운영체제의 표준화는 서로 다른 운영체제 간에도 호환성을 유지하고 효율적인 자원 관리를 위해 표준화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문서화(Documentation)의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시스템 개발 중 추가 변경에 따른 혼란방지
  2. 시스템의 개발 요령과 순서를 표준화하여 보다 효율적인 작업 도모
  3. 개발 후 시스템 유지 보수의 용이
  4. 시스템 개발 과정의 요식 행위화
(정답률: 76%)
  • "시스템 개발 과정의 요식 행위화"는 문서화의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이다. 문서화의 목적은 시스템 개발 중 추가 변경에 따른 혼란방지, 시스템의 개발 요령과 순서를 표준화하여 보다 효율적인 작업 도모, 개발 후 시스템 유지 보수의 용이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파일설계 단계 중 다음 사항에 해당하는 것은?

  1. 파일 항목 검토
  2. 파일 특성 조사
  3. 파일 매체 검토
  4. 파일 편성법 검토
(정답률: 62%)
  • 이 그림은 파일 특성 조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파일 특성 조사는 시스템에서 사용될 파일의 종류, 크기, 형식, 구성 등을 조사하는 단계입니다. 이를 통해 파일을 어떻게 구성할지, 어떤 형식으로 저장할지 등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파일 특성 조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파일 편성 중 랜덤 편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특정 레코드 접근이 직접 가능하다.
  2. 대화형 처리에 적합하다.
  3. 주소 계산 방법에는 직접 주소법, 디렉토리 조사법, 해싱 함수 이용법 등이 있다.
  4. 충돌 발생의 염려가 없으므로 예비 기억공간의 확보가 필요 없다.
(정답률: 72%)
  • "충돌 발생의 염려가 없으므로 예비 기억공간의 확보가 필요 없다."가 틀린 이유는, 랜덤 편성에서도 충돌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예비 기억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프로세스 설계 순서가 가장 올바른 것은?

  1. 처리방식 → 운용절차 → 논리 → 작업
  2. 작업 → 논리 → 처리방식 → 운용절차
  3. 논리 → 작업 → 운용절차 → 처리방식
  4. 처리방식 → 작업 → 논리 → 운용절차
(정답률: 38%)
  • 프로세스 설계는 처리방식을 먼저 결정하고, 그에 따라 운용절차를 정하고, 그 다음에 논리적인 구조를 설계하며, 마지막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장 올바른 순서이다. 따라서 "처리방식 → 작업 → 논리 → 운용절차"가 정답이다. 처리방식을 먼저 결정하는 것은 프로세스의 핵심이 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하며, 그 다음에는 운용절차를 정하고, 논리적인 구조를 설계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MTTR과 MTBF 두 가지 척도를 사용하여 신뢰도를 구하는 식을 옳게 나타낸 것은?

(정답률: 55%)
  • 정답은 ""입니다.

    MTTR은 Mean Time To Repair의 약자로, 장애가 발생한 후 시스템을 복구하는데 걸리는 평균 시간을 의미합니다. MTBF는 Mean Time Between Failures의 약자로, 시스템이 장애가 발생하기 전까지 평균적으로 얼마나 오랫동안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신뢰도는 MTBF / (MTBF + MTTR)로 계산됩니다. 이 식은 시스템이 장애가 발생하기 전까지 얼마나 오랫동안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와, 장애가 발생한 후 복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모두 고려하여 신뢰도를 계산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출력 설계 단계 중 출력 정보 분배에 대한 설계 시 고려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분배 책임자
  2. 분배의 방법 및 형태
  3. 분배의 주기 및 시기
  4. 분배 항목 명칭
(정답률: 42%)
  • 다른 항목들은 출력 정보를 어떻게 분배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들을 다루는 반면, "분배 항목 명칭"은 분배할 정보가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이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다. 이 항목은 출력 정보를 식별하고 구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으면 정보의 혼란과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시스템 개발 단계 중 시스템 설계 단계에서 요구되는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능 분석 방법에 대한 설계를 한다.
  2. 코드 체계에 대한 설계를 한다.
  3. 각 모듈의 논리적인 처리 절차를 설계한다.
  4. 파일의 구체적인 사양을 설계한다.
(정답률: 27%)
  • "기능 분석 방법에 대한 설계를 한다."는 시스템 설계 단계에서 요구되는 사항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이미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 시스템의 기능을 분석하고 정의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스템 설계 단계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 체계, 모듈의 처리 절차, 파일의 구체적인 사양 등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표준 처리 패턴 중 파일 내의 데이터와 대조 파일에 있는 데이터 중 동일한 것들만 골라서 파일을 만드는 것은?

  1. Collate
  2. Extract
  3. Distribution
  4. Generate
(정답률: 51%)
  • Collate는 파일 내의 데이터와 대조 파일에 있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동일한 것들만 골라서 파일을 만드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정답은 Collate입니다. Extract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작업, Distribution은 데이터를 분배하는 작업, Generate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운영체제

61. 디스크 할당기법 중 연속 할당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외부단편이 발생한다.
  2. 논리적으로 연속된 레코드들이 물리적으로 인접하여 저장되므로 엑세스 시간이 길어진다.
  3. 파일의 디렉토리를 구현하기가 수월하다.
  4. 새 파일 생성 시 그 파일크기보다 큰 연속된 기억 공간이 없으면 파일을 생성할 수 없다.
(정답률: 40%)
  • "논리적으로 연속된 레코드들이 물리적으로 인접하여 저장되므로 엑세스 시간이 길어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연속 할당 기법은 논리적으로 연속된 레코드들이 물리적으로 인접하여 저장되므로 엑세스 시간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외부단편이 발생할 수 있어서 파일의 크기가 커질수록 공간 활용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기억장치 관리정책에서 CPU에 의해 실행되거나 참조되기 위해서 주기억장치로 적재할 프로그램이나 자료를 언제 가져 올 것인가를 결정하는 정책은?

  1. 교체정책(replacement strategic)
  2. 할당정책(assignment strategic)
  3. 반입정책(fetch strategic)
  4. 배치정책(placement strategic)
(정답률: 62%)
  • 반입정책은 주기억장치로 적재할 프로그램이나 자료를 언제 가져올 것인가를 결정하는 정책입니다. 따라서 CPU에 의해 실행되거나 참조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자료를 적시에 가져와서 실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주기억장치 관리정책 중 다른 측면을 다루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병렬처리의 주종(master/slave)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프로세서는 연산만 수행하고 종프로세서는 입출력과 연산을 수행한다.
  2. 주프로세서만이 운영체제를 수행한다.
  3. 하나의 주프로세서와 나머지 종프로세서로 구성된다.
  4. 주프로세서의 고장 시 전체 시스템이 멈춘다.
(정답률: 70%)
  • 정답은 "주프로세서는 연산만 수행하고 종프로세서는 입출력과 연산을 수행한다."가 아닌 "주프로세서만이 운영체제를 수행한다."이다.

    주프로세서는 시스템의 제어를 담당하고, 종프로세서는 주프로세서가 할당한 작업을 수행한다. 종프로세서는 주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입출력을 담당한다. 따라서 "주프로세서는 연산만 수행하고 종프로세서는 입출력과 연산을 수행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우선순위 스케줄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우선순위의 동급은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에 따라 부여할 수 있다.
  2. 각 작업마다 우선수위가 주어지며, 우선순위가 제일 높은 작업에게 먼저 프로세서가 할당된다.
  3. 기아 상태(Starvation)가 발생할 수 있다.
  4. 이다.
(정답률: 48%)
  • 우선순위 스케줄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은 우선순위 스케줄링에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인 기아 상태(Starvation)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Aging(에이징) 기법을 나타냅니다. Aging 기법은 작업이 오래 기다리면 우선순위를 높여주는 방법으로, 기아 상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스케줄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무한 연기는 회피해야 한다.
  2. 단위시간당 처리량을 극대화해야 한다.
  3. 모든 프로세스에게 공정한 적용을 위해 우선순위는 불필요하다.
  4. 오버헤드를 최소화시켜야 한다.
(정답률: 73%)
  • "모든 프로세스에게 공정한 적용을 위해 우선순위는 불필요하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우선순위는 프로세스의 중요도나 긴급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공정한 스케줄링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우선순위는 스케줄링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병행중인 프로세서들 간에 공유 변수를 엑세스하고 있는 하나의 프로세스 이외에는 다른 모든 프로세스들이 공유 변수를 엑세스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기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상호보완
  2. 상호배제
  3. 접근제한
  4. 교착상태
(정답률: 63%)
  • 정답: 상호배제

    상호배제는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공유 변수를 엑세스할 때, 동시에 하나의 프로세스만이 해당 변수를 엑세스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 공유 변수에 대한 동시 엑세스로 인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프로세스들은 공유 변수를 엑세스하지 못하고, 하나의 프로세스만이 해당 변수를 엑세스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13K의 작업을 두 번째 공백인 14K의 작업공간에 할당했을 경우, 사용된 기억장치 배치전략 기법은?

  1. first-fit
  2. best-fit
  3. worst-fit
  4. last-fit
(정답률: 76%)
  • 정답은 "best-fit"입니다.

    "best-fit" 기법은 사용 가능한 공간 중에서 작업 크기와 가장 근접한 공간을 선택하는 기법입니다. 따라서 13K의 작업을 14K의 작업공간에 할당할 때, "best-fit" 기법은 13K와 14K 사이에서 가장 근접한 12K의 공간을 선택하게 됩니다. 이렇게 선택된 공간은 다른 기법에 비해 남은 공간이 적어지지 않아서, 메모리 단편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교착상태 해결 방법 중 점유 및 대기, 비선점, 환행대기와 가장 관계있는 것은?

  1. Avoidance
  2. Detection
  3. Prevention
  4. Recovery
(정답률: 58%)
  • 교착상태를 해결하는 방법 중 점유 및 대기, 비선점, 환행대기는 모두 교착상태를 예방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중에서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Prevention"이다. 이 방법은 교착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는 것으로, 자원 할당 방식을 변경하거나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교착상태를 예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병행 프로세스들의 고려 사항이 아닌 것은?

  1. 공유자원을 상호 배타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2. 병행 프로세스들 사이에는 협력 또는 동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3. 병행 프로세스들은 프로그래머가 외부적으로 스케줄링할 수 없도록 한다.
  4. 교착상태를 해결해야 하며 병행 프로세스들의 병렬 처리도를 극대화해야 한다.
(정답률: 61%)
  • 정답은 "병행 프로세스들은 프로그래머가 외부적으로 스케줄링할 수 없도록 한다." 이다. 이유는 병행 프로세스들은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스케줄링하며, 프로그래머가 직접 제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프로그래머는 공유자원을 상호 배타적으로 사용하고, 협력 또는 동기화를 이루어야 하며, 교착상태를 해결하고 병행 처리도를 극대화해야 한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UNIX 파일 시스템에서 inode에 포함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파일 소유자의 사용자 식별
  2. 파일의 크기
  3. 파일이 사용된 시간대별 내역
  4. 파일의 내용이 담긴 디스크상의 실제 주소
(정답률: 54%)
  • 파일이 사용된 시간대별 내역은 inode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파일의 메타데이터 중 하나로, 파일이 생성된 시간, 마지막으로 수정된 시간, 마지막으로 접근한 시간 등을 기록하는 것이다. 이 정보는 파일 시스템에서 관리되며, inode에는 파일의 소유자, 크기, 권한 등의 정보와 파일의 내용이 저장된 디스크상의 실제 주소만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프로세스 관리 중에서 스케줄링의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프로세서 중심 프로세스
  2. 메모리 중심 프로세스
  3. 대화식 프로세스
  4. 배치 프로세스
(정답률: 35%)
  • 정답: 메모리 중심 프로세스

    설명: 스케줄링의 기준은 프로세서 중심이나 I/O 중심 등 다양한 기준이 있지만, 메모리 중심 프로세스는 스케줄링의 기준이 될 수 없습니다. 메모리 중심 프로세스는 메모리 사용량이 많은 프로세스를 의미하며, 스케줄링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자원보호 기법 중 접근 제어 행렬을 구성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영역
  2. 객체
  3. 권한
  4. 시간
(정답률: 58%)
  • 시간은 접근 제어 행렬을 구성하는 요소가 아닙니다. 접근 제어 행렬은 보호 대상인 객체와 보호 주체인 주체 간의 접근 권한을 표시하는 행렬입니다. 이를 위해 객체, 주체, 권한 등의 정보가 필요하지만 시간은 접근 제어 행렬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운영체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운영체제는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컴파일하여 기계어로 만들어준다.
  2. 운영체제는 사용자와 컴퓨터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3. 운영체제는 CPU, 기억장치, 파일, 입출력장치 등의 자원을 관리한다.
  4. 운영체제는 사용자가 쉽게 하드웨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률: 65%)
  • 정답은 "운영체제는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컴파일하여 기계어로 만들어준다." 이다. 운영체제는 고급 언어로 작성되지 않고, 대부분 C나 어셈블리어 등의 저급 언어로 작성된다. 이유는 운영체제가 하드웨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저급 언어로 작성해야만 하드웨어와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시분할 시스템(time sharing syste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중 프로그램명의 논리적 확장이다.
  2. 사용자와 시스템 간에 직접적인 통신을 제공한다.
  3. 동시에 많은 사용자가 컴퓨터를 공유할 수 있다.
  4. 시스템의 효율을 위하여 작업량을 일정 수준 모아두었다가 한꺼번에 처리한다.
(정답률: 69%)
  • "시스템의 효율을 위하여 작업량을 일정 수준 모아두었다가 한꺼번에 처리한다."는 시분할 시스템의 특징이 아니라 배치 처리 시스템의 특징입니다. 시분할 시스템은 다중 프로그램명의 논리적 확장이며, 사용자와 시스템 간에 직접적인 통신을 제공하며, 동시에 많은 사용자가 컴퓨터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시분할 시스템은 작업을 작은 단위로 나누어 각각의 작업을 번갈아가며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마치 자신이 전체 시스템을 독점하고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기억장치계층구조에서 가장 속도가 빠른 것은?

  1. DRAM
  2. Register
  3. Hard Disk Drive
  4. Solid State Drive
(정답률: 75%)
  • Register가 가장 속도가 빠른 이유는 CPU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서 CPU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데이터 접근 시간이 가장 짧고, 처리 속도가 가장 빠릅니다. 반면에 DRAM, Hard Disk Drive, Solid State Drive는 CPU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 접근 시간이 더 길어지고 처리 속도가 느려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가상기억장치 시스템에서 가상 페이지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접근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프로그램에서 접근하려고 하는 페이지가 주기억장치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 발생하는 현상은?

  1. page fault
  2. context switching
  3. mutual exclosion
  4. overlay
(정답률: 71%)
  • 가상기억장치 시스템에서 프로그램이 접근하려는 페이지가 주기억장치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 해당 페이지를 가져오기 위해 디스크에서 페이지를 읽어와야 합니다. 이때 발생하는 현상을 "page fault"라고 합니다. 디스크에서 페이지를 읽어오는 동안 CPU는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context switching"이 일어납니다. "mutual exclosion"은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같은 자원을 요청하여 서로 대기하는 현상을 말하며, "overlay"는 메모리에 올라가는 프로그램의 크기가 메모리 크기보다 큰 경우 일부 코드나 데이터를 메모리에서 제거하고 필요할 때마다 다시 가져오는 기법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분산처리시스템의 설계 목적으로 틀린 것은?

  1. 자원과 데이터의 공유성
  2. 보안의 용이성
  3. 확장의 용이성
  4. 연산속도 향상
(정답률: 72%)
  • 분산처리시스템의 설계 목적은 보안의 용이성이 아니라 자원과 데이터의 공유성, 확장의 용이성, 연산속도 향상입니다. 분산처리시스템은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하나의 시스템처럼 동작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통해 자원과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공유하고, 시스템의 확장성과 연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보안의 용이성은 분산처리시스템의 설계 목적 중 하나가 아니며, 보안에 대한 고려는 따로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UNIX의 쉘(Shel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용자와 커널 사이에서 중계자 역할을 한다.
  2. 스케줄링, 기억장치 관리, 파일 관리, 시스템호출 인터페이스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3. 여러 가지의 내장 명령어를 가지고 있다.
  4. 사용자 명령의 입력을 받아 시스템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어 해석기이다.
(정답률: 56%)
  • 정답은 "스케줄링, 기억장치 관리, 파일 관리, 시스템호출 인터페이스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이다. 쉘은 사용자와 커널 사이에서 중계자 역할을 하며, 여러 가지의 내장 명령어를 가지고 있고, 사용자 명령의 입력을 받아 시스템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어 해석기이다. 하지만 스케줄링, 기억장치 관리, 파일 관리, 시스템호출 인터페이스 등의 기능은 운영체제의 커널이 제공하는 기능이며, 쉘은 이러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파일시스템의 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용자가 물리적 이름을 사용하는 대신에 기호형 이름을 사용하여 자신의 파일을 참조할 수 있도록 장치 독립성을 제공한다.
  2. 사용자의 데이터에 대해 수행될 수 있는 작업에 대한 물리적 구조를 제공한다.
  3. 사고로 인한 정보손실, 고의적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백업과 복구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4. 정보보호를 위해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해독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정답률: 39%)
  • 정답은 "사용자의 데이터에 대해 수행될 수 있는 작업에 대한 물리적 구조를 제공한다."입니다. 파일시스템은 사용자가 파일을 생성, 수정, 삭제, 이동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물리적 구조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파일을 쉽게 관리할 수 있으며, 파일의 위치나 크기 등을 신경쓰지 않고도 파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암호화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DES
  2. RSA
  3. Public key system
  4. Capability list
(정답률: 54%)
  • "Capability list"는 암호화 방법이 아니라, 접근 제어를 위한 권한 부여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DES, RSA, Public key system은 모두 암호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정보통신개론

81. X.25 프로토콜의 패킷계층에서 하나의 전송링크를 통하여 여러개의 논리적 연결을 제공하는 기능은?

  1. 흐름제어
  2. 에러제어
  3. 다중화
  4. 리셋과 리스타트
(정답률: 61%)
  • X.25 프로토콜의 패킷계층에서 다중화 기능은 하나의 전송링크를 통해 여러 개의 논리적 연결을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이는 여러 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효율적인 대역폭 사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다중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샤논의 채널 용량 공식을 사용해서 주어진 채널의 데이터 전손율을 계산할 때, C=B이면 무엇을 의미하는가? (단, C : 통신용량, B : 대역폭 )

  1. 신호가 잡음보다 약하다.
  2. 신호가 잡음보다 강하다.
  3. 신호와 잡음이 같다.
  4. 이 채널로는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66%)
  • C=B일 때는 채널이 가질 수 있는 최대 대역폭을 모두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채널에서는 더 이상 대역폭을 늘릴 수 없으며,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신호와 잡음이 같다는 것은 전송되는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잡음의 세기가 서로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에는 신호를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채널로는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8진 PSK의 오류 확률은 2진 PSK 오류 확률의 몇 배인가?

  1. 3
  2. 6
  3. 9
  4. 12
(정답률: 68%)
  • 8진 PSK는 3비트를 한 번에 전송하므로 2진 PSK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오류 확률은 더 높아집니다. 8진 PSK의 오류 확률은 2진 PSK의 오류 확률의 약 3배입니다. 이는 8진 PSK가 2진 PSK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지만,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더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대역폭이 4kHz인 음성신호를 PCM 형태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할 경우 신호의 전송속도(kbps)는? (단, 양자화 레벨은 8비트)

  1. 4
  2. 8
  3. 32
  4. 64
(정답률: 26%)
  • PCM 변환에서는 샘플링 주파수와 양자화 레벨에 따라 전송속도가 결정된다. 주어진 문제에서는 대역폭이 4kHz이므로 샘플링 주파수는 8kHz로 설정된다. 또한 양자화 레벨이 8비트이므로 1개의 샘플링 값은 8비트로 표현된다. 따라서 전송속도는 8kHz x 8비트 = 64kbps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이동통신망에서 통화 중인 이동국이 현재의 셀에서 벗어나 다른 셀로 진입하는 경우, 셀이 바뀌어도 중단 없이 통화를 계속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은?

  1. 핸드오프(hand off)
  2. 다이버시티(diversity)
  3. 셀 분할(cell splitting)
  4. 로밍(roaming)
(정답률: 59%)
  • 핸드오프는 이동통신망에서 통화 중인 이동국이 현재의 셀에서 벗어나 다른 셀로 진입하는 경우, 셀이 바뀌어도 중단 없이 통화를 계속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입니다. 이는 이동국이 새로운 셀에 진입할 때 기존의 셀과 새로운 셀 간의 신호 강도와 품질을 비교하여 자동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이동통신망에서 원활한 통화를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발광다이오드(LED)에서 나오는 빛의 파장을 이용해 광대역 통신망보다 빠른 통신 속도를 구현하는 기술은?

  1. LAN
  2. MCC
  3. Li-Fi
  4. SAA
(정답률: 69%)
  • Li-Fi는 LED에서 발생하는 빛의 파장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로, 광대역 통신망보다 더 빠른 속도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빛의 파장이 매우 높기 때문에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Li-Fi는 전자기파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기파에 민감한 장소에서 사용하기에도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HDLC 전송프레임에서 시작 플래그 다음으로 전송되는 필드는?

  1. 제어부
  2. 주소부
  3. 정보부
  4. FCS
(정답률: 64%)
  • HDLC 프레임에서 시작 플래그 다음으로 전송되는 필드는 "주소부"입니다. 이는 수신 측에서 프레임을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주소부에는 목적지 주소와 송신지 주소가 포함됩니다. 따라서 주소부는 HDLC 프로토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중화 기법 중 FDM방식에서 신호들이 전기적 중복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 인접하는 sub-channel들 사이에 위치하는 것은?

  1. Terminal
  2. Frequency band
  3. Guard band
  4. Polling
(정답률: 55%)
  • FDM 방식에서는 여러 개의 sub-channel을 하나의 전송 매체에서 동시에 전송하기 때문에 인접한 sub-channel들 사이에서는 전기적 중복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인접한 sub-channel들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어 신호들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데, 이 간격을 Guard band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Guard ban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OSI-7 계층의 네트워크계층에서 사용하는 기본 데이터 단위는?

  1. 세그먼트
  2. 패킷
  3. 워드
  4. 레코드
(정답률: 65%)
  •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데이터를 패킷이라는 단위로 나누어 전송합니다. 패킷은 출발지와 목적지의 주소 정보와 함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OSI-7 계층의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하는 기본 데이터 단위는 패킷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패킷 교환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화형 데이터 통신에 적합하도록 개발된 교환 방식이다.
  2. 패킷 교환은 저장-전달 방식을 사용한다.
  3. 데이터 그램과 가상 회선 방식으로 구분된다.
  4. 데이터 그램 방식은 패킷이 전송되기 전에 가상회선 연결 설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정답률: 50%)
  • "데이터 그램 방식은 패킷이 전송되기 전에 가상회선 연결 설정이 이루어져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데이터 그램 방식은 가상회선 연결 설정 없이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에러가 발생되지 않는 이상적인 통신로(무잡음 이산 채널)의 채널 용량은? (단, C : 채널용량, n개의 기호들은 동일 확률을 가지고 있다.)

  1. C=log2(n-2)
  2. C=log2n
  3. C=(n-1)log2
  4. C=log21/n
(정답률: 57%)
  • 이 이상적인 통신로에서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모든 기호들은 완벽하게 전송된다. 따라서, 각 기호들은 독립적으로 전송되며, 각각의 기호들은 n개의 가능한 값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이진수로 표현하면 log2n개의 비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채널 용량은 C=log2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PSK에서 반송파간의 위상차는? (단, M은 진수이다)

(정답률: 56%)
  • PSK에서는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반송파의 위상을 변화시킨다. 이때, 위상 변화의 크기는 M진수에서 2π/M 만큼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위상 차이가 2π/4 = π/2 인 ""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64진 QAM의 대역폭 효율은 몇 bps/Hz인가?

  1. 2
  2. 5
  3. 6
  4. 7
(정답률: 64%)
  • 64진 QAM은 6개의 비트를 한 번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1개의 심볼당 6개의 비트가 전송됩니다. 이 때, 64진 QAM은 8개의 진폭 상태와 8개의 위상 상태를 가지므로, 총 64개의 심볼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64진 QAM의 대역폭 효율은 6 bps/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광섬유 케이블은 빛의 어떤 현상을 이용하는 것인가?

  1. 산란
  2. 직진
  3. 전반사
  4. 굴절
(정답률: 69%)
  • 광섬유 케이블은 빛의 전반사 현상을 이용한다. 이는 빛이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옮겨갈 때, 입사각이 큰 경우에는 반사되는 현상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광섬유 케이블 내부에서 빛이 전달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펄스코드 변조방식(PCM)의 송신측 변조과정은?

  1. 입력신호 → 부호화 → 양자화 → 표본화
  2. 입력신호 → 양자화 → 표본화 → 부호화
  3. 입력신호 →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4. 입력신호 → 부호화 → 표본화 → 양자화
(정답률: 69%)
  • 펄스코드 변조방식에서는 입력신호를 표본화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양자화하여 이산적인 값으로 변환하고, 마지막으로 부호화하여 디지털 신호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력신호 →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수신측에 두 개 이상의 안테나를 설치했을 때 이들 안테나에서 동시에 다중경로 페이딩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원리를 이용해 페이딩을 방지하는 다이버시티 기술은?

  1. 공간 다이버시티
  2. 시간 다이버시티
  3. 지연 다이버시티
  4. 측파 다이버시티
(정답률: 54%)
  • 공간 다이버시티는 수신측에 두 개 이상의 안테나를 설치하여 다중경로 페이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다이버시티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안테나 간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OSI참조모델의 응용계층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1. HTTP
  2. SMTP
  3. FTP
  4. ICMP
(정답률: 48%)
  • ICMP는 OSI 참조 모델의 응용 계층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수신단에서 패리티 체크(parity check)를 하는 주된 목적은?

  1. 기억 장치의 용량 검사
  2. 전송된 부호의 오류 검사
  3. 전송된 데이터의 용량 검사
  4. 검출된 오류를 정정
(정답률: 62%)
  • 수신단에서 패리티 체크를 하는 주된 목적은 전송된 부호의 오류 검사입니다. 패리티 비트는 데이터 비트의 개수가 짝수인지 홀수인지를 나타내는 비트로, 수신단에서 이를 검사하여 전송 중에 발생한 오류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패리티 체크는 전송된 데이터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검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공중데이터 네트워크에서 패킷형 터미널을 위한 DTE와 DCE간의 접속규격을 나타내는 ITU-T 권고안은?

  1. V.23
  2. V.25
  3. Z.24
  4. X.25
(정답률: 69%)
  • X.25은 공중데이터 네트워크에서 패킷형 터미널을 위한 DTE와 DCE간의 접속규격을 나타내는 ITU-T 권고안이다. 따라서 정답은 X.25이다. V.23은 모뎀 규격, V.25는 테스트 규격, Z.24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HDLC 전송제어에서 사용하는 동작 모드가 아닌 것은?

  1. 정규응답모드(NRM)
  2. 초기모드(IM)
  3. 비동기 평형모드(ABM)
  4. 비동기 응답모드(ARM)
(정답률: 58%)
  • HDLC 전송제어에서 사용하는 동작 모드 중 초기모드(IM)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초기모드는 HDLC의 하위 프로토콜인 LAPB에서 사용되는 모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초기모드(I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