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5-26)

정보처리기사(구)
(2002-05-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데이터 베이스

1. 한 릴레이션의 기본키를 구성하는 어떠한 속성 값도 널(NULL) 값이나 중복 값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1. 개체 무결성 제약조건
  2. 참조 무결성 제약조건
  3. 보안 무결성 제약조건
  4. 정보 무결성 제약조건
(정답률: 80%)
  • 개체 무결성 제약조건은 한 릴레이션의 기본키를 구성하는 어떠한 속성 값도 널(NULL) 값이나 중복 값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한 제약조건으로, 기본키는 릴레이션에서 각 행을 유일하게 식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중복 값이나 널 값이 있으면 이를 식별할 수 없게 되어 데이터의 무결성이 깨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체 무결성 제약조건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암호화 기법 중 암호화 알고리즘과 암호화 키는 공개해서 누구든지 평문을 암호문으로 만들 수 있지만 해독 알고리즘과 해독키는 비밀로 유지하는 기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DES(Data Encryption Standard) 기법
  2. 공중키(public-key) 암호화 기법
  3. 대체(substitution) 암호화 기법
  4. 전치(transposed) 암호화 기법
(정답률: 84%)
  • 해독 알고리즘과 해독키를 비밀로 유지하는 기법을 대칭키 암호화 기법이라고 합니다. 이와 달리 공중키 암호화 기법은 암호화와 해독에 사용되는 키가 서로 다른 것을 의미합니다. 즉, 암호화에 사용되는 키는 공개되어 있지만, 이를 해독하는 비밀키는 소유자만이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중키 암호화 기법은 대칭키 암호화 기법의 단점을 보완하며, 안전하고 효율적인 암호화 기법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운영체제의 작업 스케줄링 등에 응용되는 것으로 가장 적합한 자료구조는?

  1. 스택(Stack)
  2. 큐(Queue)
  3. 연결리스트(Linked List)
  4. 트리(Tree)
(정답률: 74%)
  • 작업 스케줄링에서는 여러 작업들이 대기열에 들어오고, 이들 중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부터 처리되어야 합니다. 이때 가장 적합한 자료구조는 큐입니다. 큐는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FIFO(First In First Out)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기열에 들어온 작업들을 순서대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이 들어오면 큐의 맨 앞에 삽입하여 먼저 처리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큐는 작업 스케줄링에서 가장 적합한 자료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과 같이 레코드가 구성되어 있을 때, 이진 검색 방법으로 14를 찾을 경우 비교되는 횟수는?

  1. 2번
  2. 3번
  3. 4번
  4. 5번
(정답률: 74%)
  • 이진 검색 방법은 중앙값을 기준으로 탐색 범위를 반으로 줄여가며 찾는 방법이다. 따라서 처음에는 중앙값인 8과 비교하게 된다. 14는 8보다 크므로 오른쪽 부분 배열을 탐색해야 한다. 다음으로는 중앙값인 12와 비교하게 된다. 14는 12보다 크므로 다시 오른쪽 부분 배열을 탐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중앙값인 14와 비교하면 찾았으므로 총 3번의 비교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답은 3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조건을 만족하는 릴레이션의 수평적 부분집합으로 구성하며 연산자의 기호는 그리스문자 시그마(σ)를 사용하는 관계대수 연산자는?

  1. select 연산자
  2. project 연산자
  3. join 연산자
  4. division 연산자
(정답률: 89%)
  • "조건을 만족하는 릴레이션의 수평적 부분집합으로 구성"이라는 문장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부분이 핵심이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튜플들만을 선택하여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드는 연산자가 select 연산자이다. 따라서 정답은 "select 연산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 표현을 그래프 형태로 표현하며, 일대다(1:n) 관계에 연관된 레코드 타입들을 각각 오너(owner), 멤버(member)라고 하고, 이들의 관계를 오너-멤버 관계라고도 일컫는 데이터 모델은?

  1. 관계형 데이터 모델
  2.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3. 계층적 데이터 모델
  4. 객체지향적 데이터 모델
(정답률: 52%)
  •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은 일대다 관계에 연관된 레코드 타입들을 각각 오너와 멤버로 나누어 그래프 형태로 표현하는 데이터 모델이다. 이 모델은 오너와 멤버 간의 다양한 관계를 표현할 수 있으며, 오너와 멤버 간의 관계를 다중화(multiplicity)로 표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계형 데이터 모델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하나 이상의 테이블로부터 유도되어진 가상 테이블을 뷰(View)라 한다. SQL의 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뷰(View)를 제거하고자 할때는 DROP 문을 이용한다.
  2. 뷰(View)의 정의를 변경하고자 할때는 ALTER 문을 이용한다.
  3. 뷰(View)를 생성하고자 할때는 CREATE 문을 이용한다.
  4. 뷰(View)의 내용을 검색하고자 할때는 SELECT 문을 이용한다.
(정답률: 69%)
  • 뷰(View)의 정의를 변경하고자 할때는 ALTER 문을 이용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뷰의 정의를 변경하고자 할 때는 DROP 문으로 뷰를 제거한 후, 다시 CREATE 문으로 새로운 뷰를 생성해야 한다.

    뷰(View)는 하나 이상의 테이블로부터 유도되어진 가상 테이블로, 뷰를 생성하고자 할때는 CREATE 문을 이용한다. 뷰의 내용을 검색하고자 할때는 SELECT 문을 이용하며, 뷰를 제거하고자 할때는 DROP 문을 이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괄호에 적합한 내용은?

  1. alternate key
  2. candidate key
  3. foreign key
  4. primary key
(정답률: 65%)
  • "Primary key"는 테이블에서 각 행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열 또는 열의 집합입니다. 따라서 "primary key"는 중복된 데이터를 방지하고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primary key"와는 다른 역할을 수행합니다. "Alternate key"는 "candidate key" 중에서 "primary key"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키를 말하며, "foreign key"는 다른 테이블의 "primary key"와 연결되는 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there are several properties that atomic trasactions should possess. these properties need be enforced by the concurrency control and recovery methods of the DBMS. which is not included?

  1. Isolation
  2. Consistency
  3. Constraints
  4. Durability
(정답률: 62%)
  • Constraints are not included because they are not a property of atomic transactions. Constraints are rules that are defined on the data in the database to ensure data integrity and consistency, but they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operties of atomic transactions.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어떤 릴레이션 R1의 기본키의 값들과 일치함을 요구하는 다른 릴레이션 R2의 한 속성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참조제약(referential constraint
  2. 외래키(foreign key)
  3. 기본키(primary key)
  4. 참조무결성(referential integrity)
(정답률: 66%)
  • 외래키는 다른 릴레이션의 기본키와 연결되어 있는 속성으로, 참조제약을 통해 두 릴레이션 간의 관계를 유지하고 참조무결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외래키는 다른 릴레이션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3단계 구조인 내부스키마(Internel schema), 개념스키마(Conceptual schema), 외부스키마(External schema)에 대한 설명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ㄱ)-②
  2. (ㄴ)-①
  3. (ㄷ)-③
  4. (ㄱ)-③
(정답률: 78%)
  • 내부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를 정의하고, 개념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논리적 구조를 정의하며, 외부스키마는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이 접근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일부분을 정의한다. 따라서, 내부스키마와 개념스키마, 외부스키마는 각각 다른 레벨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정의하고, 이들은 계층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정답은 "(ㄷ)-③"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이진트리(binary tree)에서 발생하는 널(NULL) 링크를 트리 운행에 필요한 다른 노드의 포인터로 사용하도록 고안된 트리는?

  1. Knuth 이진 트리(Knuth binary tree)
  2. 전 이진 트리(complete binary tree)
  3. B+ 트리(B+ 트리)
  4. 스레드 이진 트리(threaded binary tree)
(정답률: 47%)
  • 스레드 이진 트리는 널 링크를 다른 노드의 포인터로 사용하여 트리 운행을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트리입니다. 이를 통해 중위 순회를 비롯한 다양한 운행 방법에서 불필요한 재귀 호출을 줄일 수 있어서 시간과 공간 복잡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표와 같은 두 테이블에서 성별이 “여”인 사원의 “성명”, “나이”, “직책”을 구하는 SQL문은?

  1. SELECT * FROM 사원, 연락처 WHERE 성별=“여”
  2. SELECT 성명, 나이, 직책 FROM 사원, 연락처 WHERE 성별=“여”
  3. SELECT 성명, 나이, 직책 FROM 사원, 연락처 WHERE 연락처.성별=“여”
  4. SELECT 성명, 나이, 직책 FROM 사원, 연락처 WHERE 연락처.성별=“여” AND 사원.사번 = 연락처.사번
(정답률: 52%)
  • 정답은 "SELECT 성명, 나이, 직책 FROM 사원, 연락처 WHERE 연락처.성별=“여” AND 사원.사번 = 연락처.사번"입니다.

    이유는 두 테이블에서 성별이 "여"인 사원의 정보를 가져와야 하므로, 두 테이블을 조인하여 필요한 정보를 가져와야 합니다. 그리고 사원과 연락처 테이블은 사번이라는 공통된 컬럼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두 테이블을 조인합니다. 그리고 성명, 나이, 직책 컬럼만 가져와야 하므로 SELECT 절에서 해당 컬럼들을 지정합니다. 마지막으로 WHERE 절에서 성별이 "여"인 조건과 사원과 연락처 테이블을 조인하는 조건을 지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두 테이블 R과 S에 대한 아래 SQL 문의 실행결과로 옳은 것은?

  1. 1
    2
    3
  2. 2
    3
    4
  3. 2
    3
  4. 1
    2
    3
    4
(정답률: 72%)
  • ```sql
    SELECT DISTINCT R.A
    FROM R
    WHERE NOT EXISTS (
    SELECT *
    FROM S
    WHERE S.B = R.B AND S.C <> R.C
    )
    ```

    위 SQL 문은 R 테이블에서 A 컬럼을 선택하고, S 테이블과 조인하여 B 컬럼이 같고 C 컬럼이 다른 경우가 없는 R의 A 값을 선택하는 쿼리이다.

    실행 결과는 R 테이블에서 A 컬럼의 값이 1, 2, 3, 4인 경우이다.

    - 1: R 테이블에서 B=1, C=2인 경우와 B=2, C=3인 경우가 S 테이블에 없으므로 선택됨.
    - 2: R 테이블에서 B=2, C=3인 경우와 B=3, C=4인 경우가 S 테이블에 없으므로 선택됨.
    - 3: R 테이블에서 B=3, C=4인 경우와 B=4, C=5인 경우가 S 테이블에 없으므로 선택됨.
    - 4: R 테이블에서 B=4, C=5인 경우는 S 테이블에 없지만, B=2, C=3인 경우가 S 테이블에 있으므로 선택되지 않음.

    따라서 정답은 "1
    2
    3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데이터베이스의 등장 이유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여러 사용자가 데이터를 공유해야 할 필요가 생겼다.
  2. 데이터의 수시적인 구조 변경에 대해 응용 프로그램을 매번 수정하는 번거로움을 줄여 보고 싶었다.
  3. 데이터의 가용성 증가를 위해 중복을 허용하고 싶었다.
  4. 물리적인 수가 아닌 데이터 값에 의한 검색을 수행하고 싶었다.
(정답률: 84%)
  • 데이터베이스의 등장 이유 중 "데이터의 가용성 증가를 위해 중복을 허용하고 싶었다."는 데이터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해야 할 필요가 생겼을 때, 중복을 제거하면 데이터의 일관성 유지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중복을 허용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등장하게 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특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자료의 공유
  2. 확장성
  3. 지역자치성
  4. 소프트웨어 개발 비용의 감소
(정답률: 92%)
  •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여러 대의 컴퓨터에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고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자료의 공유, 확장성, 지역자치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개발 비용의 감소는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특징으로 적합하지 않다. 이는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데에는 많은 기술적인 요소와 복잡성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데에는 일정한 비용이 발생하며, 이는 소프트웨어 개발 비용의 감소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데이터베이스 생명주기에 대한 순서가 옳은 것은?

  1. 요구조건분석→설계→구현→운영→감시 및 개선
  2. 설계→요구조선 분석→구현→운영→감시 및 개선
  3. 설계→구현→요구조건 분석→운영→감시 및 개선
  4. 요구조건 분석→구현→설계→운영→감시 및 개선
(정답률: 86%)
  • 정답은 "요구조건분석→설계→구현→운영→감시 및 개선"입니다.

    데이터베이스 생명주기는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고 유지보수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집니다.

    1. 요구조건분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분석합니다.
    2. 설계: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설계합니다.
    3. 구현: 설계된 데이터베이스를 실제로 구현합니다.
    4. 운영: 구현된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고 유지보수합니다.
    5. 감시 및 개선: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개선합니다.

    따라서, "요구조건분석→설계→구현→운영→감시 및 개선"이 옳은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E-R 모델의 그래픽 표현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체타입-오각형
  2. 관계타입-마름모
  3. 속성-원
  4. 연결-선
(정답률: 81%)
  • "E-R 모델의 그래픽 표현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개체타입-오각형이다."

    이유는 E-R 모델에서 개체타입은 직사각형으로 표현한다. 오각형은 일반적으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개체타입은 오각형으로 표현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하나의 애트리뷰트가 가질 수 있는 값을 총칭하여 무엇이라 하는가?

  1. 튜플
  2. 릴레이션
  3. 도메인
  4. 엔티티
(정답률: 72%)
  • 도메인은 하나의 애트리뷰트가 가질 수 있는 모든 값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즉, 해당 애트리뷰트가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튜플", "릴레이션", "엔티티"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다른 개념들을 나타내는 용어이며, 도메인과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하나의 트랜잭션이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동안 다른 트랜잭션이 그 데이터 항목을 엑세스할 수 없도록 하는 방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normalization(정규화)
  2. locking(로킹)
  3. logging(사용흔적의 일지화)
  4. fire wall(방화벽)
(정답률: 72%)
  • Locking은 하나의 트랜잭션이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동안 다른 트랜잭션이 그 데이터 항목을 엑세스할 수 없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를 수정하려는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locking(로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계산기 구조

21. Interrupt 체제에서 Priority 부과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Polling
  2. Interrupt Service Routine
  3. Interrupt Request Chain
  4. Interrupt Priority Chain
(정답률: 49%)
  • Interrupt Priority Chain은 Interrupt 처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이며, 다른 보기들은 모두 Interrupt 처리와 관련된 용어입니다. Polling은 CPU가 주기적으로 특정 장치를 확인하는 방법이고, Interrupt Service Routine은 Interrupt가 발생했을 때 실행되는 코드를 의미합니다. Interrupt Request Chain은 Interrupt가 발생했을 때 처리되는 장치들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며, Priority Chain과 함께 Interrupt 처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Interrupt Service Routine이 Interrupt 처리와 관련된 용어 중에서도 Priority와는 거리가 먼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I/O operation과 관계없는 것은?

  1. Channel
  2. Handshaking
  3. Interrupt
  4. Emulation
(정답률: 70%)
  • I/O operation은 입출력 작업을 의미하며, Channel, Handshaking, Interrupt는 모두 I/O operation과 관련된 용어입니다. 그러나 Emulation은 I/O operation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Emulation은 다른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를 모방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Emulation은 I/O operation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메모리로부터 방금 호출한 명령의 다음 명령이 들어있는 메모리의 번지를 지시하는 레지스터는?

  1. index register
  2. stack pointer
  3. program counter
  4. flag register
(정답률: 71%)
  • 프로그램 카운터는 CPU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가리키는 레지스터입니다. 따라서 "program counter"가 정답입니다. 인덱스 레지스터는 배열이나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찾을 때 사용되며, 스택 포인터는 스택에서 데이터를 push하거나 pop할 때 사용됩니다. 플래그 레지스터는 연산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출력 측의 일부가 입력 측에 궤환되어 유발되는 레이스 현상을 없애기 위해 고안된 플립플롭은?

  1. J-K 플립플롭
  2. 마스터-슬리브 플립플롭
  3. R-S 플립플롭
  4. D 플립플롭
(정답률: 53%)
  • 마스터-슬리브 플립플롭은 입력 신호가 들어오면 마스터 플립플롭과 슬리브 플립플롭이 번갈아가며 동작하여 출력 측의 일부가 입력 측에 궤환되어 유발되는 레이스 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마스터-슬리브 플립플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불대수가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62%)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이 식은 불필요한 괄호가 있고, 논리적으로 동등한 항들이 중복되어 있다. 예를 들어, (A+B)+(A+B)와 같은 항이 중복되어 있으며, 이는 단순화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랜덤(random) 처리가 되지 않는 기억장치는?

  1. 자기드럼
  2. 자기 디스크
  3. 자기 테이프
  4. 자심
(정답률: 66%)
  • 자기 테이프는 순차적으로 기록되기 때문에 랜덤 처리가 되지 않습니다. 즉, 특정 위치에 있는 데이터를 읽으려면 그 이전에 기록된 데이터를 모두 읽어야 합니다. 이와 달리 자기드럼, 자기 디스크, 자심은 랜덤 처리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리커션(recursion)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것은?

  1. 한 루틴(routine)에서 다른 루틴으로 갈 때
  2. 한 루틴(routine)이 자기를 다시 부를 때
  3. 다른 루틴(routine)이 다른 루틴을 부를 때
  4. 한 루틴(routine)이 반복될 때
(정답률: 69%)
  • 리커션(recursion)은 한 루틴(routine)이 자기를 다시 부르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함수나 프로시저가 자기 자신을 호출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반복문과는 다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1. PC←PC+1
  2. IR←MBR
  3. MAR←PC
  4. MBR←PC
(정답률: 70%)
  •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 PC(Program Counter) 값을 MAR(Memory Address Register)에 저장해야 합니다. 따라서 "MAR←PC"가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기억장치 중 CAM(Content Addressable Memory)이라고 하는 것은?

  1. cache 기억장치
  2. associative 기억장치
  3. 가상기억장치
  4. 주 기억장치
(정답률: 72%)
  • CAM은 주소를 찾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찾는 것이 특징이며, 데이터의 내용(content)을 이용하여 주소(address)를 찾는 기억장치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CAM은 associative 기억장치라고도 불린다. 따라서 정답은 "associative 기억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회로의 출력 X 값은?

(정답률: 74%)
  • 주어진 회로는 AND 게이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 게이트입니다. 따라서 입력 A가 1이고 입력 B가 1일 때만 출력 X가 1이 됩니다. 입력 A는 "" 이고, 입력 B는 "" 이므로, 출력 X는 ""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하드와이어드(hard-wired) 방식이 마이크로 프로그래밍 방식보다 좋은 점은?

  1. 다양한 어드레스 모드를 갖는다.
  2. 인스트럭션 세트를 변경하기가 쉽다.
  3. 컴퓨터의 속도가 향상된다.
  4. 비교적 복잡한 명령 세트를 가진 시스템에 적합하다.
(정답률: 55%)
  • 하드와이어드 방식은 미리 프로그래밍된 회로를 사용하여 명령어를 처리하기 때문에 마이크로 프로그래밍 방식보다 더 빠르게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컴퓨터의 속도가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0-번지 명령형(zero-address instruction format)을 갖는 컴퓨터 구조 원리는?

  1. An accumulator extension register
  2. Virtual memory architecture
  3. Stack architecture
  4. Micro-programming
(정답률: 74%)
  • 0-번지 명령형은 명령어에 오퍼랜드가 없는 형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형태의 명령어는 스택 구조를 이용하여 실행됩니다. 스택 구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에 특화되어 있으며, 데이터를 저장하고 꺼내는 과정에서 스택 포인터라는 특별한 레지스터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0-번지 명령형을 구현하는 데에는 스택 구조가 가장 적합하며, 이를 위해 스택 포인터를 사용하는 스택 아키텍처가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Stack architectur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데이터 처리 명령어 그룹이 아닌 것은?

  1. 전송 명령어
  2. 로테이트 명령어
  3. 논리 명령어
  4. 산술 명령어
(정답률: 54%)
  • 전송 명령어는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저장하는 명령어이며, 데이터 처리 명령어 그룹에 속하지 않습니다. 로테이트 명령어, 논리 명령어, 산술 명령어는 모두 데이터 처리 명령어 그룹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에서 인터럽트 작동순서가 올바른 것은?

  1. ③⑤④②①
  2. ④③⑤②①
  3. ⑤②③①④
  4. ①③④⑤②
(정답률: 56%)
  • 인터럽트 작동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인터럽트 요청 발생
    ② 현재 수행 중인 명령어 실행 완료
    ③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으로 분기
    ④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실행
    ⑤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종료 후 원래 수행하던 작업으로 복귀

    따라서, "③⑤④②①"이 올바른 인터럽트 작동 순서이다. 먼저 인터럽트 요청이 발생하고, 현재 수행 중인 명령어가 실행 완료된 후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으로 분기한다. 그리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이 실행되고, 종료 후에는 원래 수행하던 작업으로 복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Von Neuman형 컴퓨터의 연산자들이 가져야 하는 기능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증폭 기능
  2. 함수연산(functional operation) 기능
  3. 전달(transfer) 기능
  4. 제어(control) 기능
(정답률: 80%)
  • 증폭 기능은 Von Neuman형 컴퓨터의 연산자들이 가져야 하는 기능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 신호로 전달하는 기능으로, 컴퓨터 내부에서 신호를 전달하거나 처리할 때 필요하다. 다른 기능들은 입력값을 처리하거나 전달하는 역할을 하지만, 증폭 기능은 입력값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출력값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하드웨어 우선순위 인터럽트의 특징은?

  1. 가격이 싸다
  2. 응답속도가 빠르다.
  3. 유연성이 있다.
  4. 우선순위는 소프트웨어로 결정한다.
(정답률: 74%)
  • 하드웨어 우선순위 인터럽트는 하드웨어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보다 응답속도가 빠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요청한 인터럽트를 처리하기 위해서 이전 프로그램의 상태 보존이 필요한 경우는?

  1. 0으로 나누기를 하는 경우
  2. 금지된 영역이나 레지스터에 접근하려 할 경우
  3. 정의되지 않는 불법 명령을 사용한 경우
  4. cache memory에서 캐시 miss나 가상 메모리 시스템에서 page fault가 발생한 경우
(정답률: 69%)
  • cache memory나 가상 메모리 시스템에서는 데이터나 명령어를 미리 가져와 저장해놓는데, 이를 이용하면 빠른 속도로 데이터나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전에 가져온 데이터나 명령어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캐시 miss나 page fault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이전 프로그램의 상태를 보존하지 않으면, 새로운 데이터나 명령어를 가져오기 위해 이전 프로그램의 상태를 다시 복원해야 하므로 시간이 더 걸리게 된다. 따라서 이전 프로그램의 상태를 보존하는 것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주소 지정 방식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고유주소지정방식은 항상 일정한 기능을 수행한다.
  2. 이미디어트 주소지정 방식은 레지스터의 값을 초과할 때 주로 사용한다.
  3. 인덱스 주소지정방식은 프로그램 카우터를 사용한다.
  4. 직접 주소지정방식은 명령어 주소부분에 유효 데이터가 있다.
(정답률: 44%)
  • "인덱스 주소지정방식은 프로그램 카우터를 사용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인덱스 주소지정방식은 인덱스 레지스터에 저장된 값을 사용하여 주소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프로그램 카우터(Program Counter)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가리키는 레지스터이며, 주소 지정 방식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누산기에 대한 올바른 설명은?

  1. 연산장치에 있는 레지스터의 하나로서 연산 결과를 기억하는 장치이다.
  2. 기억장치 주변에 있는 회로인데 가감승제 계산 논리 연산을 행하는 장치이다.
  3. 일정한 입력 숫자들을 더하여 그 누계를 항상 보??하는 장치이다.
  4. 정밀 계산을 위해 특별히 만들어 두어 유효숫자 개수를 늘리기 위한 것이다.
(정답률: 69%)
  • 누산기는 연산장치에 있는 레지스터의 하나로서 연산 결과를 기억하는 장치입니다. 즉, 계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기억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DMA의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DMA는 Direct Memory Access의 약자이다.
  2. DMA는 기억장치와 주변장치 사이의 직접적인 데이터 전송을 제공한다.
  3. DMA는 블록으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4. DMA는 입출력 전송에 따른 cpu의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정답률: 76%)
  • "DMA는 입출력 전송에 따른 cpu의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DMA는 CPU의 부하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CPU가 입출력 작업을 처리하는 것보다 DMA가 직접 메모리와 주변장치 간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므로 CPU의 부하를 줄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운영체제

41. 프로세스 제어블록(Prcess Control Block)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다.
  2. 프로세스의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다.
  3.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는 PCB를 공유한다.
  4. 프로세스의 현 상태를 알 수 있다.
(정답률: 68%)
  •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는 PCB를 공유하지 않는다. PCB는 각각의 프로세스에 대해 생성되고 유지되는 정보이다. 따라서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는 PCB를 공유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 PCB는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다.
    - PCB는 프로세스의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다.
    - PCB는 프로세스의 현 상태를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워킹셋(working se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기억 장치에 적재되지 않으면 스레싱이 발생할 수 있다.
  2. 실행중인 프로세스가 일정시간 동안 참조하는 페이지들의 집합이다.
  3. 주기억장치에 적재되어야 효율적인 실행이 가능하다.
  4. 프로세스 실행 중에는 크기가 변하지 않는다.
(정답률: 60%)
  • "프로세스 실행 중에는 크기가 변하지 않는다."는 워킹셋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워킹셋은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 동안 참조하는 페이지들의 집합으로, 이 집합은 프로세스의 실행 상황에 따라 크기가 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가 실행 중인 동안 새로운 페이지를 참조하면 워킹셋의 크기가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프로세스 실행 중에는 크기가 변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디렉토리의 구조 중 중앙에 마스터 파일 디렉토리가 있고 하부에 사용자 파일 디렉토리가 있는 구조는?

  1. 단일 디렉토리 구조
  2. 2단계 디렉토리 구조
  3. 트리 디렉토리 구조
  4. 비순환 그래프 디렉토리 구조
(정답률: 66%)
  • 이 구조는 디렉토리를 중앙 마스터 파일 디렉토리와 하부 사용자 파일 디렉토리로 나누어 관리하는 구조입니다. 중앙에 있는 마스터 파일 디렉토리는 모든 사용자 파일 디렉토리를 관리하며, 사용자 파일 디렉토리는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2단계 디렉토리 구조라고 불리며, 디렉토리를 두 단계로 나누어 관리하기 때문에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운영체제를 기능에 따라 분류했을 경우 아래의 설명에 해당하는 제어 프로그램(control program)은?

  1. 감시 프로그램(supervisor program)
  2.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data management program)
  3. 작업 제어 프로그램(job control program)
  4. 문제 프로그램(problem program)
(정답률: 66%)
  • 이 제어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입력한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할당하고, 작업의 실행 순서를 관리하며,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감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는 작업 제어 프로그램(job control progra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유닉스 시스템에서 명령어 해석기로 사용자의 명령어를 인식하여 필요한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그 명령을 수행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은?

  1. 유틸리티
  2. 커널
  3. IPC
(정답률: 74%)
  • 쉘은 유닉스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명령어를 해석하고 필요한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그 명령을 수행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쉘은 명령어 해석기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유틸리티나 커널, IPC와는 다른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사용자가 해당 블록의 포인트를 실수로 지워지게 하는 것을 예방하고 블록 접근을 빠르게 하기 위하여 포인터를 모아 놓은 곳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파일 할당표(FAT)
  2. 블록 할당표(BAT)
  3. 인덱스표(IAT)
  4. 디렉토리표(DRT)
(정답률: 43%)
  • 정답은 "파일 할당표(FAT)"입니다. 파일 할당표는 디스크 상의 파일과 디렉토리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 중 하나로, 각 블록의 사용 여부와 다음 블록의 위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파일 시스템은 블록에 대한 포인터를 모아놓은 곳에서 빠르게 블록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또한, 파일 할당표는 블록의 사용 여부를 추적하므로 사용자가 실수로 블록을 지워지게 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교착상태 발생의 필요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상호 종속(mutual dependency) 조건
  2. 점유와 대기(hold and wait) 조건
  3. 비선점(non-preemption) 조건
  4. 환형 대기(circular wait) 조건
(정답률: 69%)
  • 교착상태 발생의 필요조건은 점유와 대기, 비선점, 환형 대기 조건입니다. 상호 종속 조건은 서로가 서로에게 의존하는 상황이지만, 이것만으로는 교착상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상호 종속 조건은 교착상태 발생의 필요조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모니터(Monito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니터의 경계에서 상호 배제가 시행된다.
  2. 자료추상화와 정보 은폐 기법을 기초로 한다.
  3. 순차적으로 재사용 가능한 특정 공유자원 또는 공유 자원 그룹을 할당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지저를 포함하는 병행성 구조이다.
  4. 모니터내의 데이터는 모니터 외부에서도 액세스 할 수 있다.
(정답률: 68%)
  • "모니터내의 데이터는 모니터 외부에서도 액세스 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모니터는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경계에서 상호 배제가 시행되며, 자료추상화와 정보 은폐 기법을 기초로 한다. 또한, 모니터는 순차적으로 재사용 가능한 특정 공유자원 또는 공유 자원 그룹을 할당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지저를 포함하는 병행성 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중앙 컴퓨터와 직접 연결되어 응답이 빠르고 통신비용이 적게 소요되지만, 중앙 컴퓨터에 장애가 발생되면 전체 시스템이 마비되는 분산 시스템의 위상구조는?

  1. 완전연결(fully connected) 구조
  2. 성형(star) 구조
  3. 계층(hierarchy) 구조
  4. 환형(ring) 구조
(정답률: 75%)
  • 성형 구조는 중앙 컴퓨터와 다른 모든 노드들이 직접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응답이 빠르고 통신비용이 적게 소요됩니다. 하지만 중앙 컴퓨터에 장애가 발생하면 전체 시스템이 마비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다른 구조들과는 달리 중앙 컴퓨터가 시스템의 핵심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자원이 할당되기를 오랜 시간 동안 기다린 프로세스에 대하여 기다린 시간에 비례하는 폼은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가까운 시간 안에 자원이 할당 되도록 하는 기법은?

  1. 에이징(aging)
  2. 페이징(paging)
  3. 스와핑(swapping)
  4. 스래싱(thrashing)
(정답률: 65%)
  • 에이징 기법은 자원이 할당되기를 기다리는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높여주는 기법으로, 기다린 시간이 길어질수록 우선순위를 높여주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자원이 할당되기까지 기다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프로세스들도 빠르게 자원을 할당받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에이징(aging)"입니다. 페이징은 가상 메모리 관리 기법, 스와핑은 메모리 관리 기법, 스래싱은 프로세스의 작업량이 많아져서 시스템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분산처리시스템의 장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확장성이 좋다.
  2. 보안이 용이하다.
  3. 가용성이 높다.
  4. 결함 허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81%)
  • 분산처리시스템에서 보안이 용이한 이유는 중앙 집중식 시스템과는 달리 데이터와 처리가 여러 대의 컴퓨터에 분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해커나 악성 코드가 한 대의 컴퓨터를 공격해도 전체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또한, 분산된 데이터와 처리는 암호화와 접근 제어 등의 보안 기술을 적용하기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분산 시스템의 투명성(transparenc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치(location) 투명성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물리적 위치를 사용자가 알 필요가 없다.
  2. 이주(migration) 투명성은 자원들이 한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면 자원들의 이름도 자동으로 바꾸어진다.
  3. 복제(replication) 투명성은 사용자에게 통지할 필요 없이 시스템 안에 파일들과 자원들의 부가적인 복사를 자유로 할 수 있다.
  4. 병행(concurrency) 투명성은 다중 사용자들이 자원들을 자동으로 공유할 수 있다.
(정답률: 73%)
  • 이주(migration) 투명성은 자원들의 이름을 자동으로 바꾸어주는 것이 아니라, 자원들이 이동한 후에도 사용자가 자원의 위치를 알 필요가 없도록 해주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하드웨어나 운영체제에 내장된 기능으로 프로그램의 신뢰성 있는 운영과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능과 관련되는 보안은?

  1. 외부보안
  2. 운용보안
  3. 사용자 인터페이스보안
  4. 내부 보안
(정답률: 58%)
  • 내부 보안은 하드웨어나 운영체제에 내장된 기능으로 프로그램의 신뢰성 있는 운영과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능과 관련된 보안이다. 즉, 시스템 내부에서 발생하는 보안 문제를 해결하고, 내부적으로 발생하는 위협에 대비하는 보안이다. 따라서, 내부 보안은 시스템 전체의 안전성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컴퓨터 시스템을 계층적으로 묘사할 때 운영체제의 위치는 다음그림의 어느부분에 해당되는가?

  1. 사용자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
  2. 응용 프로그램과 유틸리티 사이
  3. 유틸리티와 하드웨어 사이
  4. 하드웨어 아래
(정답률: 57%)
  • 운영체제는 유틸리티와 하드웨어 사이에 위치하며, 하드웨어를 직접적으로 제어하고 유틸리티를 통해 사용자와 응용 프로그램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유틸리티 사이에서 중간 관리자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메모리 관리기법 중에서 서로 떨어져 있는 여러 개의 낭비 공간을 모아서 하나의 큰 기억 공간을 만드는 작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Swappping
  2. Coalescing
  3. Compaction
  4. Paging
(정답률: 78%)
  • 정답은 "Compaction"이다. Compaction은 서로 떨어져 있는 여러 개의 낭비 공간을 모아서 하나의 큰 기억 공간을 만드는 작업을 말한다. 이는 메모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법으로, 프로세스가 종료되거나 메모리에서 이동할 때 사용된다. Swappping은 메모리와 디스크 사이에서 데이터를 이동하는 것을 말하며, Coalescing은 인접한 빈 공간을 합치는 것을 말한다. Paging은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는 기법으로, 메모리를 일정한 크기의 페이지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유닉스의 i-node에 포함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파일의 사용된 횟수
  2. 파일 소유자의 사용자 식별
  3. 파일의 크기
  4. 파일의 링크 수
(정답률: 56%)
  • 파일의 사용된 횟수는 i-node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i-node는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조체로, 파일의 소유자, 권한, 크기, 링크 수 등의 정보를 포함합니다. 파일의 사용된 횟수는 파일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정보로, i-node와는 별개로 저장됩니다. 파일의 사용된 횟수는 주로 파일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150K의 작업요구시 first fit 과 best fit 전략을 각각 적용할 경우, 할당 영역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first fit : 2, best fit : 3
  2. first fit : 3, best fit : 2
  3. first fit : 1, best fit : 2
  4. first fit : 3, best fit : 1
(정답률: 77%)
  • First fit 전략은 메모리 공간을 순서대로 검색하여 첫 번째로 발견한 충분한 크기의 공간에 할당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150K의 작업요구를 가장 먼저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인 200K의 공간을 할당하게 된다. 이후에는 50K와 100K의 공간이 남아있게 된다.

    Best fit 전략은 메모리 공간을 크기순으로 정렬하여 작업요구와 가장 근접한 크기의 공간을 할당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150K의 작업요구를 가장 잘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은 100K의 공간이다. 이후에는 50K와 100K의 공간이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first fit 전략은 2번째 연결이 옳고, best fit 전략은 3번째 연결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요구페이징 기법 중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았던 페이지를 먼저 교체하는 기법에 해당되는 것은?

  1. FIFO
  2. LFU
  3. LRU
  4. NUR
(정답률: 59%)
  • LRU는 Least Recently Used의 약자로, 가장 최근에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먼저 교체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았던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으로, 다른 요구페이징 기법들과는 달리 페이지의 사용 빈도나 시간 등을 고려하여 교체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DOS와 유닉스에서 사용되는 명령어 중 서로 관련이 없는 것으로 짝지어진 것은?

  1. DIR-LS
  2. COPY-CP
  3. TYPE-CAT
  4. CD-CHMOD
(정답률: 56%)
  • CD와 CHMOD은 파일 및 디렉토리의 권한 및 소유자를 변경하는 명령어이고, DOS의 DIR과 유닉스의 LS는 파일 및 디렉토리의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COPY와 CP는 파일을 복사하는 명령어이고, TYPE과 CAT은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CD와 CHMOD은 다른 명령어와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컴퓨터 자체 내의 기계적인 장애나 오류로 인하여 발생하는 인터럽트는?

  1. 입출력 인터럽트
  2. 외부 인터럽트
  3. 기계 검사 인터럽트
  4. 프로그램 검사 인터럽트
(정답률: 58%)
  • 기계 검사 인터럽트는 하드웨어적인 오류나 장애를 감지하여 발생하는 인터럽트이다. 따라서 컴퓨터 자체 내의 기계적인 장애나 오류로 인하여 발생하는 인터럽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프트웨어 공학

61. 데이터 모델링에 있어서 ERD(Entity Relationship Diagram)는 무엇을 나타내고자 하는가?

  1. 데이터 흐름의 표현
  2. 데이터 구조의 표현
  3. 데이터 구조들과 그들 간의 관계들을 표현
  4. 데이터 사전을 표현
(정답률: 81%)
  • ERD는 데이터 모델링에서 데이터 구조들과 그들 간의 관계들을 표현하기 위한 도구이다. 즉,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엔티티(개체), 속성, 관계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데이터 구조를 파악하고 설계하는 데에 사용된다. 따라서 "데이터 구조들과 그들 간의 관계들을 표현"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CASE 도구의 정보저장소(repository)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일반적으로 정보저장소는 도구들과 생명 주기 활동, 사용자들, 응용 소프트웨어들 사이의 통신과 소프트웨어 시스템 정보의 공유를 향상시킨다.
  2. 오늘날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련된 정보저장소의 역할은 응용 프로그램이 담당한다.
  3. 정보저장소는 도구들의 통합,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표준화, 소프트웨어 시스템 정보의 공유, 소프트웨어 재사용성의 기본이 된다.
  4. 소프트웨어 시스템 구성 요소들과 시스템 정보가 정보저장소에 의해 관리되므로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정답률: 75%)
  • "오늘날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련된 정보저장소의 역할은 응용 프로그램이 담당한다."가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오히려 정보저장소가 응용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응용 프로그램이 정보저장소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개발 및 유지보수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정보저장소는 도구들과 생명 주기 활동, 사용자들, 응용 소프트웨어들 사이의 통신과 소프트웨어 시스템 정보의 공유를 향상시키며, 도구들의 통합,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표준화, 소프트웨어 시스템 정보의 공유, 소프트웨어 재사용성의 기본이 된다.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 시스템 구성 요소들과 시스템 정보가 정보저장소에 의해 관리되므로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McCabe 방법에 의한 다음 그래프의 V(G)의 크기는?

  1. 1
  2. 3
  3. 7
  4. 13
(정답률: 54%)
  • McCabe 방법은 제어 흐름 그래프에서 노드의 개수를 세는 방법이다. 이 그래프에서 노드의 개수는 3개이다.

    노드의 개수를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그래프의 시작점을 하나의 노드로 센다.
    2. 그래프의 분기점(조건문, 반복문 등)을 각각 하나의 노드로 센다.
    3. 그래프의 끝점을 하나의 노드로 센다.

    따라서 이 그래프에서는 시작점, 분기점, 끝점이 각각 하나씩 있으므로 노드의 개수는 3이다. 따라서 정답은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어떤 소프트웨어개발을 위해 10명의 개발자가 10개월 동안 참여되었다. 그런데 그 중 7명은 10개월 동안 계속 참여했지만 3명은 3개월 동안만 부분적으로 참여했다. 이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인-월(man-month)은 얼마인가?

  1. 100
  2. 70
  3. 79
  4. 60
(정답률: 75%)
  • 7명의 개발자가 10개월 동안 참여했으므로 인-월은 7 x 10 = 70이다. 3명의 개발자가 3개월 동안 참여했으므로 인-월은 3 x 3 = 9이다. 따라서 총 인-월은 70 + 9 = 79이다. 따라서 정답은 "7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객체지향 분석기법의 하나로 객체 모형, 동적 모형, 기능 모형의 3개 모형을 생성하는 방법은?

  1. Wirfs-block Method
  2. Rambaugh Method
  3. Booch Method
  4. Jacobson Method
(정답률: 79%)
  • 객체지향 분석기법에서 Rambaugh Method는 객체 모형, 동적 모형, 기능 모형의 3개 모형을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객체지향 개념을 기반으로 하며, 객체 모형에서는 객체들의 속성과 관계를 분석하고, 동적 모형에서는 객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며, 기능 모형에서는 시스템의 기능을 분석합니다. 따라서 Rambaugh Method가 정답입니다. Wirfs-block Method, Booch Method, Jacobson Method은 다른 객체지향 분석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시 오류 메시지나 경고에 관한 다음의 지침 중 잘못된 것은?

  1. 메시지는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
  2. 오류로부터 회복을 위한 구체적인 설명이 제공되어야 한다.
  3. 오류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부정적인 내용은 가급적 피한다.
  4. 소리나 색 등을 이용하여 듣거나 보기 쉽게 의미 전달을 하도록 한다.
(정답률: 78%)
  • "오류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부정적인 내용은 가급적 피한다."가 잘못된 지침이다. 이유는 사용자가 오류를 경험하면 그것이 부정적인 경험이기 때문에, 오류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오류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부정적인 내용을 피하려는 것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오류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검증시험(Validation Test)을 하는데 있어 Beta Tes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용부서에서 개발 담당자가 시험한다.
  2. 개발부서와 사용부서가 공동으로 시험한다.
  3. 개발 부서에서 개발자가 시험을 한다.
  4. 실업무를 가지고 사용자가 직접 시험한다.
(정답률: 74%)
  • Beta Test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출시하기 전에 일반 사용자들이 직접 사용해보면서 실제 업무 환경에서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하는 검증시험이다. 따라서 "실업무를 가지고 사용자가 직접 시험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소프트웨어 시험의 목적은 오류를 찾아내는데 있다. 이의 종류로는 단위시험, 통합시험, 검증시험, 그리고 시스템 시험이 있는데, 이 중에서 소프트웨어가 요구사항에 맞는지를 추적해 보는데 중점을 두고 있는 시험 방법은 무엇인가?

  1. 단위시험
  2. 통합시험
  3. 검증시험
  4. 시스템 시험
(정답률: 66%)
  • 검증시험은 소프트웨어가 요구사항에 맞는지를 추적해 보는데 중점을 둔다. 따라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지 검증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는지 확인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에 비해 단위시험은 개별 모듈의 동작을 검증하고, 통합시험은 모듈 간의 상호작용을 검증하며, 시스템 시험은 전체 시스템의 동작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위험 관리의 일반적인 절차로 적합한 것은?

  1. 위험식별→위험분석 및 평가→위험관리계획→위험감시 및 조치
  2. 위험분석 및 평가→위험식별→위험관리계획→위험감시 및 조치
  3. 위험관리계획→위험감시 및 조치→위험식별→위험분석 및 평가
  4. 위험감시 및 조치→위험식별→위험분석 및 평가→위험관리계획
(정답률: 67%)
  • 위험 관리의 일반적인 절차는 위험식별, 위험분석 및 평가, 위험관리계획, 위험감시 및 조치 순으로 진행됩니다. 이는 위험을 식별하고 분석하여 평가한 후,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감시하며 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위험 관리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위험식별→위험분석 및 평가→위험관리계획→위험감시 및 조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소프트웨어 수명주기 모형 중 폭포수 모형의 단계별 개발과정 순서는?

  1. 요구사항→분석→설계→코딩→테스트→유지보수
  2. 요구사항→설계→분석→코딩→테스트→유지보수
  3. 설계→요구사항→분석→테스트→코딩→유지보수
  4. 분석→요구사항→설계→테스트→코딩→유지보수
(정답률: 76%)
  • 폭포수 모형은 개발 과정을 단계별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모형입니다. 따라서 요구사항을 먼저 수집하고 분석한 후에 설계를 진행하고, 그 다음에 코딩을 하고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마지막으로 유지보수를 수행합니다. 이러한 순서는 개발 과정에서 각 단계가 서로 의존적이기 때문에, 이전 단계가 완료되어야 다음 단계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요구사항→분석→설계→코딩→테스트→유지보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소프트웨어의 위기현상과 거리가 먼 것은?

  1. 유지보수의 어려움
  2. 개발인력의 급증
  3. 성능 및 신뢰성 부족
  4. 개발 기간의 지연 및 개발 비용의 증가
(정답률: 81%)
  • 개발인력의 급증은 소프트웨어의 위기현상과 거리가 먼 이유입니다. 이는 소프트웨어 산업이 성장하면서 수요에 비해 충분한 인력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개발인력의 급증은 오히려 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을 이끌어내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소프트웨어에 대한 변경을 관리하기 위해 개발된 일련의 활동을 나타내며 이런 변경이 전체 비용이 최소화되고 최소한의 방해가 소프트웨어의 현 사용자에게 야기되도록 보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1. 위험 관리
  2. 형상 관리
  3. 프로젝트 관리
  4. 유지보수 관리
(정답률: 72%)
  • 소프트웨어 변경을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일련의 활동을 형상 관리라고 합니다. 이는 소프트웨어의 버전 관리, 변경 이력 추적, 협업을 위한 공유, 충돌 방지 등을 포함합니다. 이를 통해 변경이 전체 비용을 최소화하고 최소한의 방해를 유지보수 대상자에게 야기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형상 관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모든 객체들은 더 큰 ( )의 멤버이고 그 ( )에 대하여 이미 정의된 개별 자료구조와 연산이 상속된다. 그 때문에 개별객체는 ( )의 인스턴스가 된다. 다음 중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내용은?

  1. 메시지
  2. 클래스
  3. 상속성
  4. 정보
(정답률: 76%)
  • 정답은 "클래스"입니다. 모든 객체들은 클래스의 멤버이고, 클래스는 개별 자료구조와 연산이 정의된 공통적인 틀이기 때문에 상속성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개별 객체는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됩니다. 클래스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 중 하나이며,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 역할을 합니다. 클래스는 객체의 속성과 메서드를 정의하고, 이를 통해 객체를 생성하고 조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소프트웨어 품질목표 중 허용되지 않는 사용이나 자료의 변경을 제어하는 정도를 나타낸 것은?

  1. 무결성(integrity)
  2. 신뢰성(reliability)
  3. 사용 용이성(userbility)
  4. 유연성(flexibility)
(정답률: 52%)
  • 무결성은 시스템 내부의 데이터나 자원이 외부의 불법적인 접근이나 변경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소프트웨어 품질목표입니다. 따라서 허용되지 않는 사용이나 자료의 변경을 제어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데이터나 자원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블랙박스 테스트 기법에 해당하는 것은?

  1. mutation testing(fault based testing)
  2. cause-effect graphing testing
  3. data flow testing
  4. control structure testing
(정답률: 52%)
  • 블랙박스 테스트 기법은 시스템의 내부 동작을 알지 못하고 입력과 출력만을 검증하는 기법입니다. 이 중에서도 "cause-effect graphing testing"은 입력과 출력 간의 인과 관계를 그래프로 표현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도출하는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입력값에 따른 출력값의 변화를 파악하고, 시스템의 기능적인 부분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모듈의 응집력(Cohesion)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모듈의 응집도란 모듈안의 요소들이 서로 관련되어 있는 정도를 말한다.
  2. 기능적 응집도(Functional Cohesion)는 한 모듈 내부의 한 기능요소에 의한 출력자료가 다음 기능 원소의 입력 자료로서 제공되는 형태이다.
  3. 교환적 응집도(Communication Cohesion)는 동일한 입력과 출력을 사용하는 소작업들이 모인 모듈에서 볼 수 있다.
  4. 논리적 응집도(Logical Cohesion)는 유사한 성격을 갖거나 특정형태로 분류되는 처리요소들로 하나의 모듈이 형성되는 경우이다.
(정답률: 32%)
  • 정답은 "기능적 응집도(Functional Cohesion)는 한 모듈 내부의 한 기능요소에 의한 출력자료가 다음 기능 원소의 입력 자료로서 제공되는 형태이다."이다. 기능적 응집도는 출력자료가 다음 기능 원소의 입력 자료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한 기능요소에 의해 처리되는 입력과 출력 자료가 모두 관련되어 있는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프로젝트 추진 과정에서 예상되는 각종 돌발 상황을 미리 예상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수립하는 일련의 활동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위험관리
  2. 일정관리
  3. 코드관리
  4. 모형관리
(정답률: 77%)
  • 위험관리는 프로젝트 추진 과정에서 예상되는 각종 돌발 상황을 미리 예상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수립하는 일련의 활동을 말한다. 따라서, 위험을 사전에 파악하고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프로젝트의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일정관리는 프로젝트 일정을 관리하는 활동, 코드관리는 소프트웨어 코드의 변경 및 관리를 위한 활동, 모형관리는 시스템 개발 과정에서 모형을 관리하는 활동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소프트웨어 생명주기의 전체 단계를 연결시켜주고 자동화시켜주는 통합된 도구를 제공해주는 기술에 해당되는 것은?

  1. UIMS
  2. CASE
  3. 00D
  4. SADT
(정답률: 85%)
  • 정답은 "CASE"이다. CASE는 Computer-Aided Software Engineering의 약자로, 소프트웨어 생명주기의 전체 단계를 연결시켜주고 자동화시켜주는 통합된 도구를 제공해주는 기술이다. UIMS는 User Interface Management System의 약자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의미하며, 00D는 Object-Oriented Design의 약자로 객체지향 설계를 의미한다. SADT는 Structured Analysis and Design Technique의 약자로 구조화된 분석 및 설계 기술을 의미한다. 이들은 모두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되는 기술이지만, CASE는 전체적인 소프트웨어 생명주기를 관리하는 통합된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객체 지향 설계 방법론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구체적인 절차를 표현한다.
  2. 형식적인 전략으로 기술한다.
  3. 객체의 속성과 자료구조를 표현한다.
  4. 서브 클래스와 메시지 특성을 세분화하여 세부사항을 정제화한다.
(정답률: 59%)
  • 객체 지향 설계 방법론은 형식적인 전략으로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객체의 속성과 자료구조를 표현하고 서브 클래스와 메시지 특성을 세분화하여 세부사항을 정제화하는 방법론이다. 따라서 "형식적인 전략으로 기술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소프트웨어 재사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계중심언어는 주기억 장치를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실행속도를 최적화 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재사용성이 가장 뛰어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2. 1990년대의 클래스, 객체 등의 소프트웨어 요소는 소프트웨어 재사용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3. 노후된 시스템에 대한 재분석, 문서화 작업을 통해 공학적으로 우수한 시스템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4. 소프트웨어 재사용은 경제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때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52%)
  • 1990년대의 클래스, 객체 등의 소프트웨어 요소는 소프트웨어 재사용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는 이전에는 매번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야 했던 것과 달리, 이제는 이미 개발된 소프트웨어 요소들을 재사용하여 빠르고 효율적인 개발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이는 개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와 확장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데이터 통신

81. 데이터 전달을 위한 회선 제어 절차의 단계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데이터링크 확립-회선연결-데이터 전송-데이터링크 해제-회선절단
  2. 회선연결-데이터링크 확립-데이터 전송-데이터링크 해제-회선절단
  3. 데이터링크 확립-회선연결-데이터 전송-회선절단-데이터링크 해제
  4. 회선연결-데이터링크 확립-데이터 전송-회선절단-데이터링크 해제
(정답률: 77%)
  • 데이터 전달을 위한 회선 제어 절차의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회선연결: 송신 측과 수신 측 간에 통신 회선을 연결합니다.
    2. 데이터링크 확립: 송신 측과 수신 측 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논리적인 연결을 설정합니다.
    3. 데이터 전송: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4. 데이터링크 해제: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논리적인 연결을 해제합니다.
    5. 회선절단: 통신 회선을 해제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회선연결-데이터링크 확립-데이터 전송-데이터링크 해제-회선절단"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전송 오류 제어 방식에서 오류 제어용 코드 부가 방식이 아닌 것은?

  1. 패리티 검사
  2. 해밍 코드 사용방식
  3. 순환 중복 검사 방식
  4. 궤환 전송방식과 연속 전송방식
(정답률: 73%)
  • 궤환 전송방식과 연속 전송방식은 오류 제어용 코드 부가 방식이 아니라, 전송 중에 발생한 오류를 검출하고 복구하는 방식입니다. 궤환 전송방식은 전송된 데이터에 일정한 패턴을 추가하여 검사하고, 연속 전송방식은 전송된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검사합니다. 따라서 이 두 방식은 오류 제어용 코드 부가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오류를 처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의 다중화 기법 중 그 단점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주파수 분할 다중화 - 시분할 다중화에 비해 비효율적이다.
  2. 시분할 다중화 - 가드밴드(guard band)로 인한 대역폭 낭비가 된다.
  3.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 타임 슬롯을 고정적으로 할당하여 타임 슬롯이 낭비될 수 있다.
  4.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 제어 회로가 복잡하다.
(정답률: 59%)
  • 시분할 다중화 - 가드밴드(guard band)로 인한 대역폭 낭비가 된다. 시분할 다중화에서는 각 사용자가 독립적으로 시간을 할당받아 사용하게 되는데, 이 때 각 사용자 간의 간섭을 막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사용자 간의 시간을 구분한다. 이 간격을 가드밴드라고 하는데, 이로 인해 대역폭이 낭비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데이터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전송 속도 단위로서 1초간에 운반할 수 있는 데이터의 비트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bps
  2. band
  3. byte
  4. throughput
(정답률: 79%)
  • 정답은 "bps"이다. bps는 비트(0 또는 1)가 초당으로 전송되는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데이터 통신망에서는 이 단위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를 측정하고 표시한다. "band"는 대역폭을 나타내는 단위이고, "byte"는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throughput"은 시스템이나 네트워크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양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동기식시분할기와 비동기식시분할기의 특징을 설명한 것이 아닌 것은?

  1. 비동기식이 동기식에 비해 효율이 우수하다.
  2. 비동기식 다중화기를 일명 통계적 다중화기라 하며, 링크의 효율성을 높인다.
  3. 비동기식 다중화기는 데이터를 잠시 저장할 버퍼와 주소 제어회로 등이 별도로 필요하다.
  4. 비동기식 다중화기는 데이터 전송 각 채널에 대한 고정된 슬롯이 설정된다.
(정답률: 51%)
  • 정답은 "비동기식 다중화기는 데이터 전송 각 채널에 대한 고정된 슬롯이 설정된다." 이다. 이유는 비동기식 다중화기는 데이터 전송 각 채널의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각 채널마다 고정된 슬롯을 설정하면 전송 속도가 느린 채널에서는 빈 슬롯이 많아지고, 전송 속도가 빠른 채널에서는 슬롯 부족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동기식 다중화기는 가변적인 슬롯 할당 방식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두 개의 LAN이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 이들을 연결하는 요소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브리지(bridge)
  2. 허브(hub)
  3. 게이트웨이(gateway)
  4. 모뎀(modem)
(정답률: 75%)
  • 두 개의 LAN을 연결하는 요소를 브리지(bridge)라고 합니다. 이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작동하며, 두 개의 LAN을 연결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로 만들어줍니다. 브리지는 패킷을 수신하고 목적지 MAC 주소를 확인하여 어느 쪽 LAN으로 전송할지 결정합니다. 이를 통해 두 개의 LAN이 서로 투명하게 연결되어 하나의 네트워크처럼 동작할 수 있습니다. 허브, 게이트웨이, 모뎀은 브리지와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인터넷 프로토콜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4계층이 아닌 것은?

  1. 표현 계층
  2. 전송 계층
  3. 인터넷 계층
  4. 링크 계층
(정답률: 56%)
  • 인터넷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4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표현 계층"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OSI 모델에서 사용되는 7계층 구조에서만 사용되는 용어이며, 데이터의 표현 방식을 정의하고 암호화, 압축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인터넷 프로토콜 아키텍처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다른 계층에서 수행하므로 "표현 계층"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송수신 각 2개의 터미널이 다중화기와 공동 통신채널을 통해 정보를 전송하려고 한다. 첫째 터미널은 1200[bps], 두 번째 터미널은 2400[bps]로 동작한다고 할 때, 데이터가 공동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는 최소 속도는?

  1. 1200[bps]
  2. 1800[bps]
  3. 2400[bps]
  4. 3600[bps]
(정답률: 66%)
  • 다중화기는 여러 개의 입력 신호를 하나의 출력 신호로 결합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두 개의 터미널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다중화기를 통해 하나의 출력 신호로 만들어야 한다. 이때, 출력 신호의 전송 속도는 입력 신호의 전송 속도의 합과 같다. 따라서 최소 속도는 1200[bps] + 2400[bps] = 3600[bp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가상회선 방식에서 통신망 내의 트래픽 제어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망내의 노드와 노드 사이에 전송하는 패킷의 양이나 속도를 규제하는 제어의 이름은?

  1. 오류제어
  2. 순서제어
  3. 흐름제어
  4. 경로제어
(정답률: 83%)
  • 가상회선 방식에서는 망내의 노드와 노드 사이에 전송되는 패킷의 양이나 속도를 규제하여 통신망 내의 트래픽 제어를 원활하게 유지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제어의 이름은 "흐름제어"입니다. 흐름제어는 송신측과 수신측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조절하여 네트워크 혼잡을 방지하고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전송 효율이 좋고 주로 원거리 전송에 사용하며 정보의 프레임 구성에 따라 문자 동기 방식, 비트 동기 방식, 프레임 동기 방식으로 나누는 전송 방식은?

  1. 비동기식 전송
  2. 동기식 전송
  3. 주파수식 전송
  4. 비트식 전송
(정답률: 63%)
  • 동기식 전송은 정보를 일정한 프레임 단위로 전송하며, 이를 수신측에서 동일한 속도와 타이밍으로 수신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전송 효율이 좋고 원거리 전송에 적합하며, 문자 동기 방식, 비트 동기 방식, 프레임 동기 방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동기식 전송"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에러 제어에 사용되는 자동 반복 요청(ARQ) 기법이 아닌 것은?

  1. stop-and-wait ARQ
  2. go-back-N ARQ
  3. auto-repeat ARQ
  4. selective-repeat ARQ
(정답률: 70%)
  • 정답은 "auto-repeat ARQ"입니다.

    "auto-repeat ARQ"는 에러 제어에 사용되는 자동 반복 요청 기법으로, 송신 측에서 일정 시간 동안 수신 측으로부터 응답이 없을 경우 자동으로 재전송을 시도합니다.

    하지만 "stop-and-wait ARQ", "go-back-N ARQ", "selective-repeat ARQ"는 모두 수신 측에서 송신 측으로 에러 발생을 알리고, 송신 측에서 해당 패킷만 재전송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프레임(framing) 동기의 목적은?

  1. 누화방지
  2. 펄스 안정화
  3. 각 통화로의 혼선 방지
  4. 잡음방지
(정답률: 66%)
  • 프레임(framing) 동기의 목적은 각 통화로의 혼선 방지입니다. 프레임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일정한 크기로 나누어 전송하는데, 이때 각 프레임은 특정한 패턴으로 시작하고 끝나며, 이 패턴을 통해 수신측에서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프레임을 구분함으로써 각 통화가 서로 혼선되지 않고 정확하게 전송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통신을 구성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정보를 보내는 장소(source)
  2. 전송매체(통신회선)
  3. 정보를 수신하는 장소(destination)
  4. 정보를 저장하는 장소(storage)
(정답률: 72%)
  • 정보를 저장하는 장소는 통신을 구성하는 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저장하거나, 전송 후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기나 장치입니다. 따라서, 정보를 보내는 장소, 전송매체, 정보를 수신하는 장소는 모두 통신을 구성하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OSI 7계층 프로토콜에서 대화를 구성하고, 동기를 취하며 데이터교환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계층은?

  1. 데이터 링크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세션계층
  4. 표현계층
(정답률: 50%)
  • 세션계층은 대화를 구성하고, 동기를 취하며 데이터교환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계층입니다. 이 계층은 양 끝단의 응용 프로세스 간에 세션을 설정, 유지, 종료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보장하며,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나 중복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OSI 7계층 프로토콜에서 대화를 구성하고, 동기를 취하며 데이터교환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계층은 세션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프로토콜이 전혀 다른 네트워크 사이를 결합하는 것은?

  1. 리피터(repeater)
  2. 브리지(bridge)
  3. 라우터(router)
  4. 게이트웨이(gateway)
(정답률: 44%)
  •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치이다. 따라서 프로토콜이 전혀 다른 네트워크 사이를 결합하는데 사용된다. 리피터, 브리지, 라우터는 모두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사이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주파수 분할 다중화기(FDM)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중화 효율은 매우 높다.
  2. 하나의 채널에 주파수 대역별로 전송로가 구성된다.
  3. 전화 회선에서 1200[baud] 이하의 비동기식에서만 이용된다.
  4. 채널 간 완충지역으로 보호대역(guard band)이 설치된다.
(정답률: 29%)
  • "전화 회선에서 1200[baud] 이하의 비동기식에서만 이용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FDM은 다수의 전송로를 하나의 채널에 주파수 대역별로 구성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다중화 효율이 매우 높다. 또한 채널 간 완충지역으로 보호대역이 설치되며, 주로 통신망에서 사용된다. 하지만 FDM은 비동기식 통신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며, 동기식 통신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경로 설정 알고리즘 중 네트워크 정보를 요구하지 않으며, 송신처와 수신처 사이에 존재하는 모든 경로로 패킷을 전송하는 방법은?

  1. random 라우팅
  2. fixed 라우팅
  3. flooding
  4. adaptive 라우팅
(정답률: 63%)
  • flooding은 네트워크 정보를 요구하지 않고, 모든 경로로 패킷을 전송하기 때문에 수신처에 도달할 때까지 모든 경로를 탐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신처가 어디에 있는지 모르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각 노드마다 접속하려는 상대방에 미리 붙여둔 번호를 해석해서 접속로의 선정을 행하는 링크 선택방식은?

  1. 경로 부호 방식
  2. 착국 부호 방식
  3. 직접 중계 방식
  4. 랜덤 중계 방식
(정답률: 54%)
  • 착국 부호 방식은 각 노드에 미리 붙여둔 번호를 이용하여 상대방을 식별하고, 그에 따라 접속로를 선택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경로 부호 방식과 달리 노드 간의 통신 경로를 미리 정해둘 필요가 없으며, 직접 중계 방식과 랜덤 중계 방식보다 더욱 정확하고 안정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착국 부호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흐름 제어에서 한 번에 여러 개의 프레임을 나누어 전송할 경우 효율적인 기법은?

  1. 정지 및 대기
  2. 슬라이딩 윈도우
  3. 다중 전송
  4. 적응성 ARQ
(정답률: 66%)
  • 슬라이딩 윈도우는 송신측과 수신측 간의 데이터 전송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법 중 하나입니다. 이 기법은 송신측이 일정한 크기의 윈도우를 가지고 데이터를 전송하면, 수신측은 해당 윈도우 내의 데이터를 모두 받았을 때 ACK 신호를 보내고, 송신측은 윈도우를 한 칸씩 이동시켜 새로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송신측은 수신측의 처리 속도에 맞춰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측은 윈도우 내의 데이터를 모두 받았을 때만 ACK 신호를 보내므로 전송 효율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한 번에 여러 개의 프레임을 나누어 전송할 경우 슬라이딩 윈도우가 효율적인 기법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동기 전송에서 주로 사용되는 에러 검출 방법은?

  1. Parity bit
  2. Word parity
  3. Hamming code
  4. CRC
(정답률: 46%)
  • CRC는 Cyclic Redundancy Check의 약자로, 데이터 전송 중에 오류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송신 측에서 일정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데이터에 대한 체크섬을 생성하고, 수신 측에서는 동일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체크섬을 다시 계산합니다. 만약 송신 측과 수신 측에서 계산한 체크섬이 다르다면, 데이터 전송 중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고 재전송을 요청합니다. CRC는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신뢰성이 높은 에러 검출 방법으로, 동기 전송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CR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