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9-08)

정보처리기사(구)
(2002-09-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데이터 베이스

1. 주기억장치 내에서 정렬하는 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1. CASCADE MERGE SORT
  2. HEAP SORT
  3. BALANCED MERGE SORT
  4. POLYPHASE MERGE SORT
(정답률: 50%)
  • HEAP SORT는 주기억장치 내에서 정렬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최대 힙 구조를 이용하여 정렬하는 방법으로, 주어진 배열을 최대 힙으로 만들고 루트 노드와 마지막 노드를 교환한 후, 마지막 노드를 제외한 나머지 노드들을 다시 최대 힙으로 만들어 교환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정렬합니다. 이 방법은 평균적으로 O(nlog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며, 제자리 정렬(in-place sorting)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뷰(view)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합한 것은?

  1.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을 제공한다.
  2. 접근 제어를 통한 보안을 제공한다.
  3. 뷰 정의의 변경이 용이하다.
  4. 사용자의 데이터 관리를 간단하게 해준다.
(정답률: 86%)
  • "뷰 정의의 변경이 용이하다."는 부적합한 설명이다. 뷰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테이블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가상 테이블이며, 뷰 정의를 변경하면 해당 뷰를 사용하는 모든 쿼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뷰 정의를 변경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뷰는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을 제공하고, 접근 제어를 통한 보안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데이터 관리를 간단하게 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뷰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필요한 데이터만 볼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는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하면서도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뷰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데이터를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하기 쉽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트라이(trie) 색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키 탐색을 위해 킷값을 직접 표현한다.
  2. 트라이의 차수는 킷값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문자의 수(radix)에 의해 결정된다.
  3. 킷값의 분포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면 기억장소를 절약할 수 있다.
  4. 트라이의 크기는 나타내려고 하는 킷값의 기수와 키 필드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정답률: 47%)
  • "키 탐색을 위해 킷값을 직접 표현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트라이는 키 값을 문자열로 표현하며, 각 문자를 노드에 저장한다. 따라서 키 값을 직접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문자열로 표현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희소행렬을 링크드리스트(linked list)로 표현할 때 가장 큰 장점은?

  1. 기억장소가 절약된다.
  2. 임의 위치 액세스(random access)가 가능하다.
  3. 이신 검색(binary search)이 가능하다.
  4. 행렬간의 연산시간을 줄일 수 있다.
(정답률: 38%)
  • 희소행렬은 대부분의 원소가 0으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링크드리스트로 표현하면 0이 아닌 원소만을 저장하면 되므로 기억장소를 절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E-R 모델의 표현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체집합-사각형
  2. 관계집합-마름모
  3. 속성-오각형
  4. 연결-선
(정답률: 80%)
  • E-R 모델에서 속성은 타원형으로 표현합니다. 따라서 "속성-오각형"은 옳지 않은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SQL에서 명령어 짝의 연결이 부적절한 것은?

  1. UPDATE.../ SET...
  2. INSERT.../ INTO...
  3. DELETE.../ FROM
  4. CREATE VIEW.../ TO
(정답률: 70%)
  • 정답은 "CREATE VIEW.../ TO"입니다.

    SQL에서 "CREATE VIEW" 명령어는 뷰를 생성하는 명령어이고, "TO"는 해당 뷰를 다른 사용자나 스키마에 권한을 부여하는 명령어입니다. 하지만 "CREATE VIEW"와 "TO"는 서로 연관성이 없는 명령어이기 때문에 짝을 이루지 않습니다.

    따라서 "CREATE VIEW.../ TO"는 명령어 짝의 연결이 부적절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필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정의 기능
  2. 제어 기능
  3. 저장 기능
  4. 조작 기능
(정답률: 70%)
  • 저장 기능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필수 기능 중 하나가 아닙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은 물론이고, 정의, 제어, 조작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저장 기능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므로 필수적인 기능이지만,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필수 기능에 해당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파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순차 파일(Sequential file)은 생성되는 순서에 따라 레코드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므로, 저장 매체의 효율이 가장 높다.
  2. 직접파일(Direct file)은 특정 레코드에 접근하기 위해서 디스크의 물리적인 주소로 변환할 수 있는 함수를 사용한다.
  3. 색인 순차 파일(Indexed sequential file)은 순차 및 직접 접근 형태를 모두 지원할 수 있으나, 기억 장소의 낭비를 초래한다.
  4. VSAM 파일(Virtual storage access method file)은 검색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기본 데이터 구역과 오버플로우 구역을 구분하여 갖추어야 한다.
(정답률: 52%)
  • 정답: "순차 파일(Sequential file)은 생성되는 순서에 따라 레코드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므로, 저장 매체의 효율이 가장 높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VSAM 파일은 검색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기본 데이터 구역과 오버플로우 구역을 구분하여 갖추어야 한다. 이는 VSAM 파일이 레코드를 저장할 때, 기본 데이터 구역에는 정렬된 레코드를 저장하고, 오버플로우 구역에는 정렬되지 않은 레코드를 저장하여 검색 속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May organizations now use data dictionary systems, which are mini DBMS that manage ( ) for a database system, that is, data that describes the database structure, constraints, applications and authorizations.

  1. viewdata
  2. metadata
  3. logdata
  4. historydata
(정답률: 80%)
  • 데이터 사전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구조, 제약 조건, 응용 프로그램 및 권한을 설명하는 데이터, 즉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는 미니 DBMS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metadat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데이터사전에 수록된 데이터를 실제로 접근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관리 유지하는 시스템은?

  1. 데이터 조작어 번역기
  2. 시스템 카탈로그
  3. 데이터 디렉토리
  4. 트랜잭션 관리기
(정답률: 45%)
  • 데이터 디렉토리는 데이터사전에 수록된 데이터를 실제로 접근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관리 유지하는 시스템이다. 다른 보기들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다른 기능들을 담당하고 있지만, 데이터 디렉토리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에 대한 접근 경로와 권한 등을 관리하며, 데이터의 위치와 구조 등을 제공하여 데이터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데이터베이스 설계순서로 옳은 것은?

  1. 요구조건 분석→개념적 설계→논리적 설계→물리적 설계→구현
  2. 요구조건 분석→논리적 설계→개념적 설계→물리적 설계→구현
  3. 요구조건 분석→논리적 설계→물리적 설계→개념적 설계→구현
  4. 요구조건 분석→개념적 설계→물리적 설계→논리적 설계→구현
(정답률: 86%)
  • 데이터베이스 설계순서는 요구조건 분석 → 개념적 설계 → 논리적 설계 → 물리적 설계 → 구현 순서로 진행됩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들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방법론입니다.

    요구조건 분석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의 목적과 범위를 정의합니다.

    개념적 설계 단계에서는 요구조건을 바탕으로 개념적 모델을 작성하고, 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관계를 정의합니다.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는 개념적 모델을 바탕으로 실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합니다.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는 논리적 모델을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를 정의합니다.

    마지막으로 구현 단계에서는 물리적 모델을 바탕으로 실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운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인접한 데이터를 비교하면서 그 크기에 따라 데이터의 위치를 바꾸어 정렬하는 방법은?

  1. 퀵 정렬(Quick Sort)
  2. 힙 정렬(Heap Sort)
  3. 셀 정렬(Shell Sort)
  4. 버블 정렬(Bubble Sort)
(정답률: 74%)
  • 버블 정렬은 인접한 두 데이터를 비교하면서 큰 값을 오른쪽으로 작은 값을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이 과정에서 가장 큰 값이 맨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다음으로 큰 값이 그 다음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모든 데이터가 정렬될 때까지 진행된다. 따라서 인접한 데이터를 비교하면서 위치를 바꾸는 방식으로 정렬하는 버블 정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트랜잭션이 수행 중에 다른 트랜잭션 연산에 끼어들 수 없음을 의미하는 트랜잭션의 특성은?

  1. atomicity
  2. consistency
  3. isolation
  4. durability
(정답률: 69%)
  • 트랜잭션의 isolation 특성은 한 트랜잭션이 다른 트랜잭션의 연산에 끼어들지 않고 독립적으로 수행됨을 보장합니다. 이는 동시에 여러 트랜잭션이 수행될 때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특성입니다. 따라서 isolation 특성은 다른 트랜잭션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하여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영문이 의미하는 것은?

  1. sort
  2. overflow
  3. matching
  4. search
(정답률: 60%)
  • 주어진 그림은 정렬(sort)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정렬은 데이터를 특정한 기준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sort"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관계 데이터베이스에서 릴레이션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속성(attribute)에서 취할 수 있는 값들의 집합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튜플(tuple)
  2. 도메인(domain)
  3. 개체 타입(entity type)
  4. 개체 어커런스(entity occurrence)
(정답률: 64%)
  • 도메인은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각각의 속성에서 취할 수 있는 값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즉,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를 정의하는 것이 도메인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도메인(domain)"입니다. 튜플은 릴레이션에서 한 개의 레코드를 의미하며, 개체 타입은 업무에서 다루는 객체의 종류를 의미합니다. 개체 어커런스는 개체 타입의 실체화된 것으로, 실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데이터 제어 언어(DCL)의 기능으로 볼 수 있는 것은?

  1. 데이터 정의 및 변경
  2. 데이터 검색
  3. 데이터 복구 및 병행제어
  4. 데이터 사용자와 DBMS 간의 인터페이스 제공
(정답률: 66%)
  • 데이터 제어 언어(DCL)의 기능 중 데이터 복구 및 병행제어는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 복구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발생한 장애나 오류로 인해 손상된 데이터를 이전 상태로 복구하는 기능을 말하며, 병행제어는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간섭 문제를 해결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데이터베이스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논리적 구조로서 모든 응용 프로그램이나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종합한 조직 전체의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하는 것은?

  1. 외부 스키마
  2. 개념 스키마
  3. 스토리지 스키마
  4. 내부 스키마
(정답률: 73%)
  • 개념 스키마는 조직 전체의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논리적 구조이기 때문에 모든 응용 프로그램이나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종합하여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념 스키마가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논리적 구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관계 해석(relational calculu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계 해석으로 질의어로 표현한다.
  2. 원하는 릴레이션을 정의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비절차적인 언어이다.
  3. 튜플 관계 해석과 도메인 관계 해석이 있다.
  4. 릴레이션 조작을 위한 연산의 집합이다.
(정답률: 50%)
  • 관계 해석은 릴레이션 조작을 위한 연산의 집합이 아니라, 릴레이션에 대한 질의어를 표현하는 비절차적인 언어입니다. 따라서 "릴레이션 조작을 위한 연산의 집합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트랜잭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트랜잭션은 작업의 논리적 단위이다.
  2. 하나의 트랜잭션은 commit 되거나 rollback 되어야 한다.
  3. 트랜잭션은 일반적으로 회복의 단위가 된다.
  4. 구조점(savepoint)은 트랜잭션 당 한번만 지정할 수 있다.
(정답률: 66%)
  • 구조점은 트랜잭션 내에서 여러 번 지정할 수 있으며, 특정 시점에서 롤백할 때 해당 구조점까지 롤백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점은 트랜잭션 당 한번만 지정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테이블에서 특정 속성에 해당하는 열을 선택하는데 사용되며 결과로는 릴레이션의 수직적 부분 집합에 해당하는 관계 대수 연산자는?

  1. project 연산자
  2. join 연산자
  3. division 연산자
  4. select 연산자
(정답률: 59%)
  • "Project 연산자"는 테이블에서 특정 속성에 해당하는 열을 선택하는 연산자입니다. 이를 통해 원하는 속성만을 추출하여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결과로는 릴레이션의 수직적 부분 집합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계산기 구조

21. computer 시스템에서 1-address machine, 2-address machine, 3-address machine으로 나눌 때 기준이 되는 것은?

  1. operation code
  2. 기억장치의 크기
  3. register 수
  4. operand의 address
(정답률: 61%)
  • 1-address machine, 2-address machine, 3-address machine은 operand의 address에 따라 구분된다.

    - 1-address machine: 명령어에서 하나의 operand만 사용하며, 이 operand의 주소가 명령어에 포함된다.
    - 2-address machine: 명령어에서 두 개의 operand를 사용하며, 두 operand의 주소가 명령어에 포함된다.
    - 3-address machine: 명령어에서 세 개의 operand를 사용하며, 각 operand의 주소가 명령어에 포함되지 않고 별도의 레지스터나 기억장치에 저장된다.

    따라서, 이들을 구분하는 기준은 operand의 addres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통신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데이터 신호 속도
  2. 변조 속도
  3. Bearer 속도
  4. 데이터 변환 속도
(정답률: 46%)
  • "데이터 변환 속도"는 통신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가 아니라, 데이터를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이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는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통신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주기억장치에 사용되는 양극 소자나 MOS형 기억 소자는 보조기억장치와 비교하여 어떠한 특성을 가지는가?

  1. 동작속도가 빠르고, 가격은 비슷하다.
  2. 동작속도가 일정하나 가격이 저렴하다.
  3. 동작속도가 빠르고, 가격이 저렴하다.
  4. 동작속도가 빠르고, 가격이 비싸다.
(정답률: 71%)
  • 주기억장치에 사용되는 양극 소자나 MOS형 기억 소자는 보조기억장치와 비교하여 동작속도가 빠르고, 가격이 비싸다. 이는 주기억장치가 CPU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빠른 속도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또한, 주기억장치는 데이터를 빠르게 읽고 쓰기 위해 매우 빠른 속도로 동작해야 하기 때문에 비싼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인출 사이클(fetch cycle)의 첫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1. MAR←PC
  2. AC←AC+MBR
  3. MAR←MBR
  4. IR←MBR
(정답률: 78%)
  • 인출 사이클(fetch cycle)의 첫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MAR←PC"이다. 이는 프로그램 카운터(PC)의 값을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MAR)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다음에 실행될 명령어의 주소를 메모리에서 가져오기 위해 필요한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내부 인터럽트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Overflow 또는 0으로 나누는 경우
  2. 불법적인 명령의 실행
  3. 정전
  4. 보호 영역 내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Access 하는 경우
(정답률: 71%)
  • 내부 인터럽트는 CPU 내부에서 발생하는 예기치 않은 상황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며, 이 중에서 "정전"은 CPU 내부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적인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내부 인터럽트의 원인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인터럽트를 처리한 후 다음으로 전환해야 할 메이저 상태는?

  1. Fetch 메이저 상태
  2. Direct 메이저 상태
  3. Indirect 메이저 상태
  4. Execute 메이저 상태
(정답률: 69%)
  • 인터럽트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를 중단하고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인터럽트가 처리되면 다음으로 전환해야 할 메이저 상태는 Fetch 메이저 상태이다. 이는 다음 명령어를 가져와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에서 명령어를 검색하는 단계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불대수 식의 정리 중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48%)
  • 정답은 ""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는 불필요한 괄호가 있어서 식이 복잡해지고 가독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이 식을 단순화하여 ""와 같이 표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옳은 불대수 식의 정리이다.

    - "" : 분배법칙
    - "" : 합의 법칙
    - "" : 곱의 법칙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마이크로 연산이 나타내는 동작은?

  1. ADD to AC
  2. OR to AC
  3. STORE to AC
  4. LOAD to AC
(정답률: 65%)
  • 이 마이크로 연산은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서 AC 레지스터에 로드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LOAD to AC"입니다. ADD, OR, STORE는 각각 AC 레지스터에 더하거나 OR 연산을 수행하거나 AC 레지스터의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리엔트란시(re-entrancy)는 멀티프로그래밍이 가능한 계산기에서 여러 명의 사용자가 같은 코드를 함께 이용하기 위한 일차적인 필수조건이다. 이런 리엔트란시를 가능하게 한 것은?

  1. 인덱스 레지스터(Index register)와 간접번지 방법(indirect addressing)의 사용
  2. 결합 기억기(associate memory)의 사용
  3. 고속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의 사용
  4. 효율적인 컴파일러(compiler)의 사용
(정답률: 42%)
  • 인덱스 레지스터와 간접번지 방법을 사용하면, 여러 사용자가 같은 코드를 공유하면서도 각각의 사용자는 자신만의 데이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는 인덱스 레지스터를 통해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를 가리키고, 간접번지 방법을 통해 해당 위치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리엔트란시를 가능하게 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컴퓨터 시스템에서 시스템 내부의 순간순간의 상태를 기록하고 있는 정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수퍼바이저 콜(supervisor call)
  2. 인터럽트 워드
  3. PSW(Program Status Word)
  4. 제어 라이브러리
(정답률: 72%)
  • PSW(Program Status Word)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상태를 기록하고 있는 정보이다. 이 정보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변경되며, 프로그램의 실행 상태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PSW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의 실행 상태를 파악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이다. 다른 보기들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PSW와 같은 시스템 내부의 상태 정보를 기록하는 역할은 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주기억장치에 기억된 명령을 꺼내서 해독하고, 시스템 전체에 지시 신호를 내는 것은?

  1. channel
  2. ALU
  3. control unit
  4. I/O unit
(정답률: 65%)
  •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을 해독하고,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시스템 전체에 전달하는 것이 제어 장치의 역할이며, 이를 담당하는 것이 "control unit" 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데이터 처리나 입출력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논리 회로를 바르게 표시한 논리식은?

(정답률: 50%)
  •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는 논리 게이트이다. 따라서, 입력 A와 B가 모두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어야 하므로 ""가 정답이다. "", "", ""는 입력이 모두 참이 아니므로 출력이 거짓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프로그램 디버깅(debugging)에 필요하지 않는 것은?

  1. 트레이서(tracer)
  2. 스태틱 덤프(static dump)
  3. 다이나믹 덤프(dynamic dump)
  4. 스왑(swap) 또는 스왑핑(swapping)
(정답률: 55%)
  • 스왑 또는 스왑핑은 메모리 관리와 관련된 기술로, 프로그램 디버깅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스왑은 메모리 부족 상황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메모리를 디스크로 옮기는 것을 말하며, 스왑핑은 이러한 스왑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프로그램 디버깅과는 관련이 없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중앙연산 처리장치에서 micro-operation이 순서적으로 일어나게 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1. 스위치(switch)
  2. 레지스터(register)
  3. 누산기(accumulator)
  4. 제어신호(control signal)
(정답률: 71%)
  • 중앙연산 처리장치에서 micro-operation이 순서적으로 일어나게 하려면 각각의 micro-operation이 언제 실행되어야 하는지를 제어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제어신호(control signal)가 필요합니다. 제어신호는 각각의 micro-operation이 실행되어야 하는 시점을 결정하고, 이를 순서적으로 조절하여 전체적인 연산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제어신호는 중앙연산 처리장치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기억장치의 자료처리 속도를 나타내는 밴드폭(bandwidth) 이란?

  1. 계속적으로 기억장치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기억시킬 때 1초 동안에 사용되는 비트수
  2. 필요에 따라 주기억장치에 사용되는 바이트의 사용량
  3. 1초 동안에 사용되는 워드(word)의 사용량
  4. 계속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의 사용량을 1분 동안에 사용하는 바이트의 수를 표시
(정답률: 71%)
  • 밴드폭은 기억장치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기억시킬 때 1초 동안에 사용되는 비트수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즉, 기억장치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누산기(accumulator)란?

  1. 연산장치에 있는 레지스터(register)의 하나로 연산 결과를 기억하는 장치이다.
  2. 기억 장치 주변에 있는 회로인데 가감승제 계산 및 논리 연산을 행하는 장치이다.
  3. 일정한 입력 숫자들을 더하여 그 누계를 항상 보관하는 장치이다.
  4. 정밀 계산을 위해 특별히 만들어 두어 유효 숫자의 개수를 늘이기 위한 것이다.
(정답률: 77%)
  • 누산기는 연산장치에 있는 레지스터(register)의 하나로, 연산 결과를 기억하는 장치입니다. 즉, 입력된 숫자들을 더하거나 빼서 그 결과를 기억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컴퓨터의 주기억장치 용량이 8192비트이고, 워드 길이가 16비트일 때 PC(Program Counter), AR(Address Register)와 DR(Data Register)의 크기는?

  1. 8, 9, 16
  2. 9, 9, 16
  3. 16, 16, 16
  4. 8, 16, 16
(정답률: 62%)
  • PC(Program Counter)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므로, 주기억장치 용량인 8192비트를 16비트 워드 길이로 나누어 512개의 주소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C의 크기는 9비트여야 합니다.

    AR(Address Register)는 주기억장치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쓸 때 사용하는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므로, PC와 마찬가지로 9비트여야 합니다.

    DR(Data Register)는 주기억장치에서 읽어온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므로, 16비트 워드 길이에 맞게 16비트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9, 9, 1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CPU가 인스트럭션을 수행하는 순서는?

  1. (ㄷ)-(ㄱ)-(ㄴ)-(ㄹ)-(ㅁ)
  2. (ㄷ)-(ㄴ)-(ㄹ)-(ㅁ)-(ㄱ)
  3. (ㄴ)-(ㄷ)-(ㄹ)-(ㅁ)-(ㄱ)
  4. (ㄹ)-(ㄷ)-(ㄴ)-(ㅁ)-(ㄱ)
(정답률: 64%)
  • CPU가 인스트럭션을 수행하는 순서는 (ㄷ)-(ㄴ)-(ㄹ)-(ㅁ)-(ㄱ)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명할 수 있다.

    (ㄷ) Decode: CPU는 메모리에서 가져온 인스트럭션을 해독하여 어떤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지 결정한다.

    (ㄱ) Fetch: CPU는 메모리에서 데이터나 명령어를 가져온다.

    (ㄴ) Execute: CPU는 인스트럭션에 따라 작업을 수행한다.

    (ㄹ) Memory Access: CPU는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가져온다.

    (ㅁ) Write Back: CPU는 결과를 레지스터나 메모리에 저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휘발성 기억소자의 특징인 것은?

  1. 정전이 되어도 상태를 유지한다.
  2. 정전이 되면 기억 내용을 상실한다.
  3. 기억 내용을 읽을 때 그 내용이 파괴된다.
  4. 기억 내용을 읽어도 내용이 파괴되지 않는다.
(정답률: 81%)
  • 휘발성 기억소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기억 내용을 유지할 수 없는 소자이기 때문에, 정전이 되면 기억 내용을 상실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전이 되면 기억 내용을 상실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1비트(bit)를 기억하는 소자 장치인 것은?

  1. register
  2. accumulator
  3. flip-flop
  4. delay
(정답률: 75%)
  • 1비트(bit)를 기억하는 소자 장치는 flip-flop이다. 이는 2진수 정보를 저장하고 전기 신호를 기억하는 논리 회로로, 0 또는 1의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컴퓨터에서 메모리나 레지스터 등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운영체제

41. 파일 디스크립터(file descripter)의 내용과 무관한 것은?

  1. 파일 수정 시간
  2. 파일의 이름
  3. 파일에 대한 접근횟수
  4. 파일 오류 처리 방법
(정답률: 66%)
  • 파일 디스크립터는 파일을 식별하고 조작하기 위한 추상화된 개념이며, 파일 수정 시간, 파일의 이름, 파일에 대한 접근횟수는 파일 디스크립터와 관련된 정보입니다. 하지만 파일 오류 처리 방법은 파일 디스크립터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개념입니다. 파일 오류 처리 방법은 파일 시스템이나 운영체제에서 파일을 처리할 때 발생하는 오류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한 방법을 정의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파일 오류 처리 방법은 파일 디스크립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인터럽트 처리과정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가)-(나)-(다)-(라)-(마)
  2. (나)-(가)-(다)-(마)-(라)
  3. (가)-(나)-(라)-(다)-(마)
  4. (나)-(가)-(라)-(다)-(마)
(정답률: 63%)
  •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CPU는 현재 수행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ISR)을 실행한다. 이때 인터럽트 처리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가) 인터럽트 요청 신호가 발생한다.
    (나) CPU는 현재 수행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ISR을 실행한다.
    (다) ISR에서 인터럽트 요청을 처리한다.
    (라) ISR이 끝나면 CPU는 이전에 수행하던 작업을 계속한다.
    (마) 인터럽트 처리가 끝난 후, 인터럽트 요청 신호를 해제한다.

    따라서 정답은 "(나)-(가)-(라)-(다)-(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중처리기 운영체제 구성 중에서 주/종(Master/Slave)처리기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프로세서는 입/출력과 연산을 담당한다.
  2. 종프로세서는 입/출력위주의 작업을 처리한다.
  3. 주프로세서만이 운영체제를 수행한다.
  4. 주프로세서에 문제가 발생하면 전 시스템이 멈춘다.
(정답률: 65%)
  • "종프로세서는 입/출력위주의 작업을 처리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주/종 처리기 시스템에서는 주프로세서가 연산과 입/출력을 모두 담당하고, 종프로세서는 주프로세서의 지시에 따라 입/출력 작업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종프로세서가 입/출력위주의 작업을 처리하는 것은 아니다.

    이유: 주/종 처리기 시스템에서는 주프로세서가 모든 작업을 처리하고, 종프로세서는 주프로세서의 지시에 따라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종프로세서가 입/출력위주의 작업을 처리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비선점형 CPU스케줄링 기법에 해당하는 것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1. Round robin, SRT
  2. SRT, FIFO
  3. FIFO, SJF
  4. HRN, SRT
(정답률: 68%)
  • 비선점형 CPU 스케줄링 기법은 프로세스가 CPU를 할당받으면 해당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까지 CPU를 반환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기법에서는 먼저 도착한 프로세스가 먼저 CPU를 할당받게 됩니다. 이에 따라 FIFO(First In First Out)와 SJF(Shortest Job First)가 비선점형 CPU 스케줄링 기법에 해당합니다. FIFO는 먼저 도착한 프로세스가 먼저 CPU를 할당받는 방식이고, SJF는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가 먼저 CPU를 할당받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운영체제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영체제는 컴퓨터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간의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는 일종의 하드웨어 장치다.
  2. 운영체제는 컴퓨터를 편리하게 사용하고 컴퓨터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3. 운영체제는 스스로 어떤 유용한 기능도 수행하지 않고 다른 응용프로그램이 유용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마련하여 준다.
  4. 운영체제는 중앙처리장치의 시간, 메모리 공간, 파일 기억장치 등의 자원을 관리한다.
(정답률: 74%)
  • "운영체제는 컴퓨터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간의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는 일종의 하드웨어 장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이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시간구역성(locality)이란 한 번 참조된 기억장소가 가까운 미래에도 계속 참조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시간구역성의 예가 아닌 것은?

  1. 스택
  2. 순환문
  3. 부프로그램
  4. 순차적 코드의 실행
(정답률: 38%)
  • 순차적 코드의 실행은 시간구역성의 예가 아닌 것이다. 이는 한 번 참조된 기억장소가 가까운 미래에도 계속 참조될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한 번 실행된 코드는 다시 실행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시간구역성이 높지 않다. 따라서 순차적 코드의 실행은 시간구역성의 예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입출력 수행, 기억장치 할당 및 오퍼레이터와의 대화 등을 하기 위해 발생하는 인터럽트는?

  1. SVC 인터럽트(Supervisor Call Interrupt)
  2. 입출력 인터럽트(I/O Interrupt)
  3. 외부 인터럽트(External Interrupt)
  4. 프로그램 검사 인터럽트(Program check Interrupt)
(정답률: 46%)
  • SVC 인터럽트는 사용자 프로그램이 운영체제의 서비스를 호출하기 위해 발생하는 인터럽트로, 입출력 수행, 기억장치 할당 및 오퍼레이터와의 대화 등을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SVC 인터럽트는 운영체제와 사용자 프로그램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분산 처리 시스템의 장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자원 공유도 향상
  2. 보안성 향상
  3. 처리율 향상
  4. 신뢰성 향상
(정답률: 77%)
  • 분산 처리 시스템은 여러 대의 컴퓨터로 구성되어 작업을 분산 처리하므로, 하나의 컴퓨터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컴퓨터에서 작업을 계속할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됩니다. 또한, 보안성도 향상됩니다. 분산 처리 시스템에서는 데이터를 여러 대의 컴퓨터에 분산 저장하므로, 하나의 컴퓨터가 해킹되어도 모든 데이터가 유출되지 않습니다. 또한, 분산 처리 시스템에서는 보안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암호화 기술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파일 시스템의 디렉토리 중 가장 간단한 디렉토리 구조로서 모든 파일들이 유일한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같은 디렉토리 내에 위치하며 관리되는 디렉토리 구조는?

  1. 일단계 구조 디렉토리
  2. 이단계 구조 디렉토리
  3. 트리 구조 디렉토리
  4. 비주기 구조 디렉토리
(정답률: 80%)
  • 일단계 구조 디렉토리는 모든 파일들이 유일한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같은 디렉토리 내에 위치하며 관리되는 가장 간단한 디렉토리 구조입니다. 다른 디렉토리 구조들은 이보다 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분산 시스템에서 각 사이트의 연결 위상(Topolog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완전 연결(Fully Connected) 네트워크의 각 사이트는 시스템 내의 모든 다른 사이트들과 직접 연결(direct link)이 존재한다.
  2. 계층 연결(Hierarchy Connection) 네트워크에서는 각 사이트들은 트리(tree) 형태로 구성된다.
  3. 성형 연결(Star Connection) 네트워크는 구조가 간단하며 중앙 노드의 고장은 나머지 사이트들 간의 통신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
  4. 다중접근버스 연결(Multiaccess Bus connection) 네트워크에서 한 사이트의 고장은 나머지 사이트들 간의 통신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정답률: 75%)
  • "성형 연결(Star Connection) 네트워크는 구조가 간단하며 중앙 노드의 고장은 나머지 사이트들 간의 통신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가 옳은 설명이다.

    성형 연결 네트워크는 중앙 노드와 각 사이트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중앙 노드의 고장이 다른 사이트들 간의 통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는 각 사이트가 중앙 노드를 통해 통신하기 때문에 중앙 노드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사이트들은 여전히 서로 통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유닉스 시스템에서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시스템 호출은?

  1. fork()
  2. exec()
  3. exit()
  4. make()
(정답률: 68%)
  • 정답은 "fork()"입니다. fork() 시스템 호출은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복제본을 만들어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합니다. 이 새로운 프로세스는 원래 프로세스와 동일한 코드, 데이터 및 환경을 가지지만 고유한 프로세스 ID를 가집니다. 이를 통해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될 수 있으며, 자식 프로세스는 fork() 호출 이후에 exec() 호출을 통해 새로운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working set"의 의미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일정시간 동안 cpu가 참조한 페이지의 집합
  2. 한 작업을 구성하는 페이지수
  3. 프로세스가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의 집합
  4. 단위 시간당 처리한 작업의 양
(정답률: 52%)
  • "working set"은 프로세스가 현재 실행 중인 작업에서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이는 프로세스의 작업에 필요한 페이지들이 메모리에 상주하고 있어야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프로세스가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의 집합"이 가장 적합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UNIX에서 기존 파일 시스템에 새로운 파일 시스템을 서브디렉토리에 연결할 때 사용하는 명령은?

  1. mount
  2. mkfs
  3. fsck
  4. mknod
(정답률: 73%)
  • "mount" 명령은 UNIX에서 기존 파일 시스템에 새로운 파일 시스템을 서브디렉토리에 연결할 때 사용하는 명령입니다. 이 명령은 새로운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mount)하여 기존 파일 시스템의 일부로 만들어줍니다. 이렇게 하면 새로운 파일 시스템의 파일과 디렉토리를 기존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mount"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시스템소프트웨어 중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보조기억장치로부터 컴퓨터의 주기억장치에 올려놓는 기능을 하는 것은?

  1. preprocessor
  2. linker
  3. loader
  4. emulator
(정답률: 72%)
  • loader는 보조기억장치로부터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에 올려놓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eprocessor는 소스코드를 가공하는 기능, linker는 여러 개의 오브젝트 파일을 하나로 합치는 기능, emulator는 다른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가상환경을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스케줄링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RR 스케줄링은 주어진 시간 할당량(time slice) 안에 작업을 마치지 않으면 준비완료 리스트(ready list)의 가장 뒤로 배치되는 기법이다.
  2. SJF 스케줄링은 남아 있는 실행 시간의 추정치가 가장 작은 작업을 먼저 실행시키며, 언제라도 실행 중인 작업이 강제로 실행을 멈출 수 있는 선점 기법이다.
  3. HRN 스케줄링은 그 작업이 서비스 받을 시간과 그 작업이 서비스를 기다린 시간으로 결정되는 우선순위에 따라 CPU를 할당한다.
  4. 기한부(Deadline) 스케줄링은 제한된 시간 내에 반드시 작업이 완료되도록 스케줄링하는 기법이다.
(정답률: 62%)
  • SJF 스케줄링은 언제라도 실행 중인 작업이 강제로 실행을 멈출 수 있는 선점 기법이 아니라 비선점 기법이다. 선점 기법은 실행 중인 작업을 강제로 멈출 수 있지만, 비선점 기법은 실행 중인 작업이 끝나기 전까지는 다른 작업으로 CPU를 넘기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스풀링(spool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spooling”은 “simultaneous peripheral operation on-line"의 약자이다.
  2. 스풀링은 주기억장치를 버퍼로 사용한다.
  3. 어떤 작업의 입/출력과 다른 작업의 계산을 병행 처리하는 기법이다.
  4.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가져온다.
(정답률: 69%)
  • 스풀링은 주기억장치를 버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디스크나 테이프와 같은 보조기억장치를 버퍼로 사용한다. 따라서 "스풀링은 주기억장치를 버퍼로 사용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유닉스에서 도스의 “command.com"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1. damon
  2. shell
  3. kernel
  4. utility
(정답률: 61%)
  • 유닉스에서 "command.com"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shell"이다. 쉘은 사용자와 운영 체제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 프로세스 관리, 입출력 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프로세스들 간의 메모리 경쟁으로 인하여 지나치게 페이지폴트가 발생하여 전체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은?

  1. Fragmentation
  2. Thrashing
  3. Locality
  4. Prepaging
(정답률: 77%)
  • Thrashing은 프로세스들이 메모리를 경쟁하면서 지나치게 페이지 교체가 발생하여 전체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페이지 교체에 따른 오버헤드가 증가하고, CPU가 페이지 교체에만 바쁘게 사용되어 실제 작업에 사용되는 시간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Thrashing은 메모리 관리의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어떤 방향의 진행이 시작될 당시에 대기 중이던 요청들만 서비스하고, 진행 도중 도착한 요청들은 한데 모아져서 다음의 반대 방향 진행 때 최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도록 배열되는 디스크 스케줄링 기법은?

  1. SSTF
  2. FCFS
  3. N-step SCAN
  4. S-step SCAN
(정답률: 57%)
  • 문제에서 설명한 디스크 스케줄링 기법은 SCAN 알고리즘의 변형 중 하나이다. SCAN 알고리즘은 디스크 헤드가 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해당 방향에 대기 중인 요청들을 모두 서비스한 후,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다시 대기 중인 요청들을 서비스하는 방식이다.

    N-step SCAN은 SCAN 알고리즘과 유사하지만, 디스크 헤드가 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에도 일정한 거리마다 방향을 바꾸어 대기 중인 요청들을 서비스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디스크 헤드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서비스할 요청들이 미리 모여 있어 최적의 서비스를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N-step SCAN은 SCAN 알고리즘의 변형 중 하나로, 디스크 헤드의 이동 방향을 일정한 거리마다 바꾸어 대기 중인 요청들을 최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주기억장치의 반입(Placement) 전략 중 최적적합(Best-Fit) 기법 사용시 13K 요구 작업량의 배치되는 영역은?

  1. 할당영역 1
  2. 할당영역 2
  3. 할당영역 3
  4. 할당영역 4
(정답률: 78%)
  • 최적적합 기법은 요구 작업량보다 큰 영역 중에서 가장 작은 영역에 배치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13K 요구 작업량은 할당영역 2에 배치되어야 합니다. 할당영역 1은 16K, 할당영역 3은 24K, 할당영역 4는 32K이므로 이들보다 작은 할당영역 2가 최적적합 기법에 따라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프트웨어 공학

61. 객체를 이용하여 데이터와 연산들을 하나의 단위로 묶는 기법은?

  1. instanco
  2. polymorphism
  3. inheritance
  4. encapsulation
(정답률: 72%)
  • 객체를 이용하여 데이터와 연산을 하나의 단위로 묶는 기법은 캡슐화(encapsulation)입니다. 이는 객체 내부의 데이터와 연산을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보호하고, 객체 간의 상호작용을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즉, 객체를 캡슐화하여 객체의 내부 구현을 숨기고, 외부에서는 객체의 인터페이스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객체지향 설계에 있어서 정보은폐(information hiding)의 근본적인 목적은?

  1. 코드를 개선하기 위하여
  2. 프로그램의 깊이를 짧게 하기 위하여
  3. 고려되지 않은 영향(side effect)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4. 인터페이스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정답률: 80%)
  • 정보은폐의 근본적인 목적은 고려되지 않은 영향(side effect)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입니다. 정보은폐를 통해 객체 내부의 상태와 동작을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여 객체의 일관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고, 객체 간의 결합도를 낮추어 유연성과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객체의 변경이 다른 객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코드의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소프트웨어 유지보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비용은 개발비용보다 일반적으로 적다.
  2. 소프트웨어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려면 시험용이성, 이해성, 수정용이성, 이식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3. 소프트웨어 유지보수의 과정은 유지보수요구, 현 시스템에 대한 이해, 수정 및 시험 순으로 반복하여 일어난다.
  4. 소프트웨어 유지보수는 기능개선, 하자보수, 환경적응, 예방조치를 목적으로 소프트웨어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작업이다.
(정답률: 83%)
  •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비용은 개발비용보다 일반적으로 적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소프트웨어 개발이 완료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보수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개발비용보다는 유지보수 비용이 더 적게 들어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시험용이성, 이해성, 수정용이성, 이식성 등이 고려되어야 하며, 유지보수 과정은 유지보수요구, 현 시스템에 대한 이해, 수정 및 시험 순으로 반복하여 일어난다. 소프트웨어 유지보수는 기능개선, 하자보수, 환경적응, 예방조치를 목적으로 소프트웨어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소프트웨어 수명주기 모형 중 나선형(spiral) 모형의 단계와 그 순서가 올바르게 구성된 것은?

  1. Planning-Requirement Analysis-Development-Maintenance
  2. Planning-Risk Analysis-Engineering-Customer Evaluation
  3. Requirement Analysis-Planning-Design-Maintenance
  4. Requirement Analysis-Risk Analysis-Development-Maintenance
(정답률: 49%)
  • 나선형 모형은 계획, 위험 분석, 공학적 개발, 고객 평가의 네 단계로 구성됩니다. 이 모형은 반복적인 개발과 프로토타이핑을 통해 위험을 최소화하고 최종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Planning-Risk Analysis-Engineering-Customer Evaluation"이 올바른 단계와 순서로 구성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데이터 사전에 있어서 데이터의 데이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프라임(Prime) 데이터
  2. 메인(Main) 데이터
  3. 메타(Meta) 데이터
  4. 요소(Elemenatary) 데이터
(정답률: 68%)
  • 메타 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를 말합니다. 즉, 데이터의 데이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진 파일의 메타 데이터에는 촬영 일자, 카메라 모델, 촬영 위치 등의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이러한 메타 데이터는 데이터를 관리하고 분석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메타(Meta) 데이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CPM(Critical Path Method) 네트워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노드에서 작업을 표시하고 간선은 작업 사이의 전후 의존관계를 나타낸다.
  2. 프로젝트 완성에 필요한 작업을 나열하고 작업에 필요한 소요기간을 예측하는 데 사용한다.
  3. 박스노드는 프로젝트의 중간 점검을 뜻하는 이정표로 이 노드 위에는 예상완료 시간을 표시한다.
  4. 한 이정표에서 다른 이정표에 도달하기 전의 작업은 모두 완료되지 않아도 다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정답률: 74%)
  • CPM 네트워크에서 한 이정표에서 다른 이정표에 도달하기 전의 작업은 모두 완료되지 않아도 다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는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CPM에서 선행 작업이 완료되지 않아도 후행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는 개념인 "자유여유(Free Float)"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소프트웨어 시험기법 중 블랙박스 시험기법이 아닌 것은?

  1. 구조시험(Structure Testing)
  2. 동등분할(Equivalence Partitioning)
  3. 경계값 분석(Boundary Value Analysis)
  4. 원인-결과 그래프(Cause-effect Graphing)
(정답률: 62%)
  • 구조시험은 소프트웨어의 내부 구조를 검증하는 기법으로, 코드의 논리적인 흐름을 분석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고 실행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블랙박스 시험기법이 아닙니다. 반면, 동등분할, 경계값 분석, 원인-결과 그래프는 모두 블랙박스 시험기법으로, 소프트웨어의 입력과 출력에 초점을 맞추어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고 실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CASE(Computer Aided Software Engineering) 툴(tool)의 장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자동화 기법을 통해 소프트웨어 품질이 향상된다.
  2. 개발 기간이 짧다.
  3. CASE 표준이 있어서 대부분의 CASE 툴들은 호환된다.
  4. 개발 비용이 절감된다.
(정답률: 45%)
  • 다른 장점들은 모두 CASE 툴의 기능과 성능에 대한 내용이지만, "CASE 표준이 있어서 대부분의 CASE 툴들은 호환된다."는 CASE 툴 간의 호환성에 대한 내용이다. 이는 다양한 CASE 툴을 사용하는 조직에서 툴 간의 데이터 이전이나 공유가 용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객체지향 기법에서 메시지(message)의 전달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1. 어트리뷰트(attribute)에서 어트리뷰트로
  2. 오브젝트(object)에서 어트리뷰트로
  3. 오브젝트(object)에서 오브젝트로
  4. 클래스(class)에서 데이터(data)로
(정답률: 57%)
  • 객체지향 기법에서 메시지의 전달은 오브젝트에서 오브젝트로 이루어집니다. 이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가 다른 객체에게 요청을 보내고, 그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객체들이 상호작용하며 프로그램이 동작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소프트웨어 설계를 위한 지침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소프트웨어 요소간의 효과적 제어를 위해 설계에서 계층적 자료조직이 제시되어야 한다.
  2. 설계는 종속적인 기능적 특성을 가진 모듈화로 유도되어야 한다.
  3. 소프트웨어는 논리적으로 특별한 기능과 부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들로 나누어져야 한다.
  4. 설계는 자료와 프로시저에 대한 분명하고 분리된 표현을 포함해야 한다.
(정답률: 63%)
  • "설계는 종속적인 기능적 특성을 가진 모듈화로 유도되어야 한다."는 다른 지침들과는 달리 설계의 모듈화에 대한 내용이며, 소프트웨어 요소들이 서로 종속적인 기능적 특성을 가지고 모듈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는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소프트웨어 형상 관리(Configuration Managment)란?

  1. 소프트웨어 구성 항목을 관리하는 것
  2. 개발 과정의 변화되는 사항을 관리하는 것
  3. 테스트 과정에서 소프트웨어를 통합하는 것
  4. 개발 인력을 관리하는 것
(정답률: 71%)
  • 소프트웨어 형상 관리는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경 사항을 관리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의 버전 관리, 이력 추적, 협업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발 과정의 변화되는 사항을 관리하는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소프트웨어의 재사용(Reusability)에 대한 효과와 거리가 먼 것은?

  1. 사용자의 책임과 권한부여
  2. 소프트웨어의 품질향상
  3. 생산성 향상
  4. 구축 방법에 대한 지식의 공유
(정답률: 73%)
  • "사용자의 책임과 권한부여"는 소프트웨어의 재사용과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이 사용자의 책임과 권한부여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은 주로 소프트웨어의 품질향상과 생산성 향상, 그리고 구축 방법에 대한 지식의 공유와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소프트웨어를 분석하여 소프트웨어 개발과정과 데이터 처리과정을 설명하는 분석 및 설계 정보를 재발견하거나 다시 만들어내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순공학
  2. 역공학
  3. 재구축
  4. 전공학
(정답률: 75%)
  • 정답은 "역공학"이다. 역공학은 이미 존재하는 소프트웨어를 분석하여 그 내부 구조와 동작 원리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를 재구축하거나 개선하는 작업을 말한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역공학"이 가장 적절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폭포수 모델(Waterfall Mode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앞 단계가 끝나야만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2. 요구분석 단계에서 프로토타입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3. 제품의 일부가 될 매뉴얼을 작성해야 한다.
  4. 각 단계가 끝난 후 결과물이 명확히 나와야 한다.
(정답률: 66%)
  • "요구분석 단계에서 프로토타입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폭포수 모델에서는 요구분석 단계에서 프로토타입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요구분석 단계에서는 사용자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명세서를 작성합니다. 프로토타입은 보통 설계 단계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브룩스(Brooks)의 법칙에 해당되는 항목은?

  1. 소프트웨어 개발 인력은 초기에 많이 투입하고 후기에 점차 감소시켜야 한다.
  2. 소프트웨어 개발 노력은 40-20-40으로 해야 한다.
  3. 소프트웨어 개발은 소수의 정예요원으로 시작한 후 점차 증원해야 한다.
  4. 소프트웨어 개발 일정이 지연된다고 해서 말기에 새로운 인원을 투입하면 일정은 더욱 지연된다.
(정답률: 76%)
  • "소프트웨어 개발 일정이 지연된다고 해서 말기에 새로운 인원을 투입하면 일정은 더욱 지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컴퓨터의 발달 과정에서 소프트웨어의 개발속도가 하드웨어의 개발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감당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함을 의미하는 것은?

  1. 소프트웨어의 위기(Crisis)
  2. 소프트웨어의 오류(Error)
  3. 소프트웨어의 버그(Bug)
  4.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Maintenance)
(정답률: 81%)
  • 소프트웨어의 위기(Crisis)는 컴퓨터의 발달 과정에서 소프트웨어의 개발속도가 하드웨어의 개발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감당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여 소프트웨어 개발의 효율성과 품질이 떨어지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는 소프트웨어의 오류(Error)와 버그(Bug)를 유발하며, 이후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Maintenance)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중앙집중식 팀 구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프트웨어 개발팀을 중앙집중형으로 관리하는 방법에는 책임 프로그래머팀이 있다.
  2. 프로그램 사서(Program Libraian)는 프로그램 리스트, 설계문서, 테스트 계획 등을 관리한다.
  3. 중앙집중식 팀 구성은 한사람에 의하여 통제할 수 있는 비교적 소규모 문제에 적합하다.
  4. 보조 프로그래머는 요구분석과 설계, 중요한 부분의 프로그래밍 및 모든 기술적 판단을 내린다.
(정답률: 64%)
  • "보조 프로그래머는 요구분석과 설계, 중요한 부분의 프로그래밍 및 모든 기술적 판단을 내린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보조 프로그래머는 책임 프로그래머의 지시에 따라 프로그래밍을 수행하며, 기술적 판단이나 요구분석, 설계는 책임 프로그래머가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HIPO(Hierarchy Input Process Outpu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향식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문서화 도구이다.
  2. 구조도, 개요 도표 집합, 상세 도표 집합으로 구성된다.
  3. 기둥과 자료의 의존 관계를 통해서 표현할 수 있다.
  4. 보기 쉽고 이해하기 쉽다.
(정답률: 50%)
  • 옳지 않은 설명은 "상향식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문서화 도구이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은 모두 HIPO에 대한 옳은 설명이다. HIPO는 구조적 분석 기법 중 하나로,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을 분석하고 문서화하기 위한 도구이다. HIPO는 구조도, 개요 도표 집합, 상세 도표 집합으로 구성되며, 기둥과 자료의 의존 관계를 통해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을 표현한다. 또한 HIPO는 보기 쉽고 이해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자료흐름도(DFD)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처리(process)
  2. 자료흐름(data flow)
  3. 단말(terminator)
  4. 기수(cardinality)
(정답률: 68%)
  • 기수(cardinality)는 자료흐름도(DFD)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기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용어로, DFD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DFD의 구성요소는 처리, 자료흐름, 단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단일 파일 또는 동종 테이블을 매개변수로 통신하는 모듈간의 결합성을 의미하는 것은?

  1. 자료결합도(data coupling)
  2. 제어결합도(control coupling)
  3. 공통결합도(common coupling)
  4. 내용결합도(content coupling)
(정답률: 56%)
  • 자료결합도는 모듈간에 매개변수로 전달되는 데이터의 종류와 수에 따라 결합도가 결정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모듈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정도가 결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따라서 단일 파일 또는 동종 테이블을 매개변수로 통신하는 모듈간의 결합도는 자료결합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데이터 통신

81. PCM 방식의 변조 순서로서 옳은 것은?

  1. 신호 → 양자화 → 표본화 → 부호화
  2. 신호 →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3. 신호 → 부호화 → 표본화 → 양자화
  4. 신호 → 표본화 → 부호화 → 양자화
(정답률: 73%)
  • 정답은 "신호 →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이다.

    먼저,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로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표본화 과정을 거친다. 표본화는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그 다음으로, 양자화 과정을 거친다. 양자화는 디지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각 구간을 대표하는 값을 선택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디지털 신호의 정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부호화 과정을 거친다. 부호화는 디지털 신호를 이진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전송 및 저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베이직 제어의 방법 중 컨텐션 방식을 설명한 것은?

  1. 멀티드롭형 네트워크에서 단말을 제어국과 종속국으로 구분하여 통신
  2. 통신을 한 곳에서 제어하는 집중 제어 방식으로 제어국은 송신 데이터가 많은 단말을 대기 시간이 가능한 짧게 되도록 제어
  3. Point to Point 회선으로 접속되어 있어 관계가 대등한 단말에 많이 이용
  4. 각 단말이 마음대로 데이터를 보내는 일이 없으므로 통신 프로그램이 데이터 수신 처리를 용이하게 수행
(정답률: 43%)
  • 컨텐션 방식은 멀티드롭형 네트워크에서 단말을 제어국과 종속국으로 구분하여 통신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에서는 각 단말이 마음대로 데이터를 보내는 일이 없으므로 통신 프로그램이 데이터 수신 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Point to Point 회선으로 접속되어 있어 관계가 대등한 단말에 많이 이용됩니다. 이는 각 단말이 독립적으로 통신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국에서 통제하고 관리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패킷교환의 가상회선 방식과 회선교환 방식의 공통점은?

  1. 전용회선을 이용한다.
  2. 별도의 호(call) 설정 과정이 있다.
  3. 회선 이용률이 낮다.
  4. 데이터 전송 단위 규모를 가변으로 조정할 수 있다.
(정답률: 74%)
  • 가상회선 방식과 회선교환 방식 모두 데이터 전송을 위해 별도의 호(call) 설정 과정이 필요하다. 이는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상대방과의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후에는 설정된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는 통신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IP 주소에서 1개의 C-class는 32비트의 길이로 8비트 호스트 식별자를 갖는다. 이 때 최대 몇 개의 호스트 주소를 가질 수 있는가?

  1. 128개
  2. 256개
  3. 1024개
  4. 4096개
(정답률: 79%)
  • C-class의 호스트 식별자는 8비트이므로 2의 8승인 256개의 호스트 주소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256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전진 에러 수정(Forward Error Correction) 방식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ARQ 방식과는 달리 역채널을 사용하지 않는다.
  2. ARQ 방식과 마찬가지로 데이터와 함께 잉여 비트들을 함께 전송한다.
  3. 대표적인 예로 해밍(Hamming) 코드가 있다.
  4. 전송 구간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수신 혹은 에러의 발생을 송신 측에 통보한다.
(정답률: 53%)
  • 전진 에러 수정 방식은 ARQ 방식과 달리 역채널을 사용하지 않는다. 데이터와 함께 잉여 비트들을 함께 전송하며, 대표적인 예로 해밍 코드가 있다. 하지만 전송 구간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수신 혹은 에러의 발생을 송신 측에 통보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전송 구간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수신 혹은 에러의 발생을 송신 측에 통보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DSU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DSU는 디지털 서비스 유닛(Digital Service Unit)의 약자이다.
  2. DSU는 직렬 유니폴라 신호를 변형된 바이폴라 신호로 바꿔준다.
  3.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4. 모뎀이 송수신단에 필요하다.
(정답률: 70%)
  • "모뎀이 송수신단에 필요하다."는 옳은 설명이다. DSU는 모뎀과 네트워크 사이에서 데이터를 변환하고 전송하기 위한 장치이며, 모뎀은 DSU와 통신 회선 사이에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모뎀이 없으면 DSU는 통신 회선과 연결되지 않아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HDLC의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국(Station)이 아닌 것은?

  1. 종국
  2. 복합국
  3. 일차국
  4. 이차국
(정답률: 52%)
  • HDLC 프로토콜은 데이터 통신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국(Station) 간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종국"이 아닌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HDLC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국(Station)입니다. "종국"은 데이터를 수신만 하고 송신하지 않는 국(Station)으로, HDLC 프로토콜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전송로 상에서 정보전송을 담당하며, 오류 없이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프로토콜 계층의 이름은?

  1. 물리 계층
  2. 데이터 링크 계층
  3. 네트워크 계층
  4. 전송(transport) 계층
(정답률: 30%)
  • 데이터 링크 계층은 전송로 상에서 정보전송을 담당하며, 오류 없이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입니다. 이 계층은 물리 계층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프레임으로 나누어 관리하고, 각 프레임에 대한 오류 검사와 수정을 수행합니다. 또한, 이 계층은 물리 주소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링크 계층은 정보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고,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전송회선 양단의 데이터 회선 종단장치로서 단말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전송에 적합한 신호형식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그 반대의 동작을 하는 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모뎀(MODEM)
  2. DSU
  3. DCS
  4. 클럭 발생기
(정답률: 66%)
  • DSU는 데이터 서비스 단위라는 의미로, 전송회선 양단의 데이터 회선 종단장치로서 디지털 신호를 전송에 적합한 신호형식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모뎀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의 역할을 하지만, DSU는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DCS는 디지털 교환기 제어장치를 의미하며, 클럭 발생기는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DSU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일정 진폭 및 위상을 상호 변환하여 신호를 싣는 변조 방식은?

  1. 진폭 편이 변조(ASK)
  2. 주파수 편이 변조(FSK)
  3. 위상 편이 변조(PSK)
  4. 진폭 위상 편이 변조(QAM)
(정답률: 67%)
  • 진폭 위상 편이 변조(QAM)은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조하여 신호를 싣는 방식이기 때문에, 다른 세 가지 변조 방식인 진폭 편이 변조(ASK), 주파수 편이 변조(FSK), 위상 편이 변조(PSK)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는 QAM이 2차원 좌표 평면에서 신호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QAM은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통신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중화기(MUX)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주파수 분할 다중화는 전송 신호가 디지털일 때 사용된다.
  2. 시분할 다중화의 경우에는 송·수신 스위치가 서로 정확히 동기되도록 하기 위해서 이를 위한 동기 비트가 더 필요하다.
  3. 시분할 다중화에서 3대의 터미널이 각각 3600(bps)로 동작할 경우에는 1200(bps)로 수신기에 전송된다.
  4. 디지털 다중화기로 전송할 경우, 음성은 모뎀을 통해 신호변환 후 전송한다.
(정답률: 41%)
  • 시분할 다중화의 경우에는 송·수신 스위치가 서로 정확히 동기되도록 하기 위해서 이를 위한 동기 비트가 더 필요하다. 이는 시분할 다중화에서 여러 개의 터미널이 하나의 통신 회선을 공유하면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로, 각 터미널의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나누어 전송하고, 이를 수신 측에서 다시 합쳐서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 때, 송신 측에서는 각 터미널의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수신 측에서는 이를 정확히 구분하기 위한 동기 비트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호스트의 물리적 주소로부터 IP 주소를 구할 수 있도록 하는 포로토콜은?

  1. ARP
  2. ICMP
  3. IGMP
  4. RARP
(정답률: 40%)
  • RARP는 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로, 호스트의 물리적 주소(MAC 주소)로부터 IP 주소를 구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호스트의 물리적 주소로부터 IP 주소를 구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RARP가 정답입니다. ARP는 물리적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이며,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IGMP는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의 메시지 형식은 어떤 전송 방식인가?

  1. 비동기 전송
  2. 동기 전송
  3. PCM 전송
  4. PAM 전송
(정답률: 45%)
  • 이 메시지 형식은 "동기 전송" 방식이다. 이는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어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는 이 블록을 받을 때마다 확인 응답을 보내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손실이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전처리기(FEP)는 호스트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에 고속 통신 회선으로 설치된다.
  2. FEP는 경합(contention) 방식으로 동작한다.
  3. 집중기(concentrator)는 고속 통신 회선으로 호스트 컴퓨터와 연결된다.
  4. 네트워크 상에 설치된 단말들은 반드시 집중기를 통해 호스트와 연결되어 진다.
(정답률: 46%)
  • 전처리기(FEP)는 호스트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에 고속 통신 회선으로 설치된다. 이는 FEP가 호스트와 단말기 사이의 중계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FEP는 경합(contention) 방식으로 동작하며, 집중기(concentrator)는 고속 통신 회선으로 호스트 컴퓨터와 연결된다. 네트워크 상에 설치된 단말들은 집중기를 통해 호스트와 연결되지만, 이는 단말기가 직접 호스트와 통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X.25는 ITU-T 표준으로 호스트 시스템과 패킷 교환망간 인터페이스를 규정하고 있다. 이 기능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전송 계층(transport level)
  2. 물리 계층(phsical level)
  3. 링크 계층(link level)
  4. 패킷 계층(packet level)
(정답률: 54%)
  • X.25은 물리 계층, 링크 계층, 패킷 계층을 규정하고 있지만 전송 계층은 규정하지 않고 있다. 전송 계층은 네트워크 계층과 응용 계층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계층으로, X.25에서는 이 부분을 규정하지 않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교환 방식 중 총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시간을 평가하여 가장 긴 방식은?

  1. 일반 전화회선 교환방식
  2. 메시지 교환방식
  3. 패킷 교환방식
  4. 데이터 전용회선 교환방식
(정답률: 59%)
  • 일반 전화회선 교환방식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전용 회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화선을 공유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리고, 데이터 양이 많을 경우 전송 시간이 가장 길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주파수 분할 다중화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한 전송로를 일정한 시간 폭으로 나누어 사용한다.
  2. 주파수 대역폭을 작은 대역폭으로 나누어 사용한다.
  3. 가드 밴드의 이용으로 채널의 이용률이 낮아진다.
  4. 시분할 다중화 장비에 비해 가격이 싸다.
(정답률: 46%)
  • "한 전송로를 일정한 시간 폭으로 나누어 사용한다."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에 대한 옳은 설명이다. 이 방식은 시간 분할 다중화와 함께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전송로를 일정한 시간 폭으로 나누어 각각의 시간 폭에서 다른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고속 이더넷(Fast Ethernet)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표준안은 IEEE 802.8이다.
  2. 기존의 LAN과 같은 구성과 MAC 프로토콜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3. 스위칭 기술의 도입으로 불필요한 패킷의 흐름을 막을 수 있다.
  4. 전송속도는 1Gbps이다.
(정답률: 51%)
  • 고속 이더넷은 기존의 이더넷과 호환성이 있어 기존의 LAN과 같은 구성과 MAC 프로토콜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존의 이더넷을 업그레이드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장비를 구매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IP(인터넷 프로토콜)의 주요 임무가 아닌 것은?

  1. 호스트의 주소 지정
  2. 패킷 절단
  3. 전송 경로의 논리적 관리
  4. 전송 패킷의 안정성 관여
(정답률: 36%)
  • IP의 주요 임무는 호스트의 주소 지정, 패킷 절단, 전송 경로의 논리적 관리이다. 전송 패킷의 안정성 관여는 전송 계층인 TCP의 역할이며, IP는 단순히 패킷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전송 패킷의 안정성 관여는 IP의 주요 임무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동기식 전송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하여진 숫자 만큼의 문자열을 묶어 일시에 전송한다.
  2. HDLC, SDLC 등의 프로토콜에서 이용된다.
  3. 수신측은 처음 0의 상태인 start bit를 검사하므로 송신 개시를 알 수 있다.
  4. 전송 효율과 전송 속도가 높다.
(정답률: 41%)
  • 동기식 전송에서는 start bit를 검사하여 송신 개시를 알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는 비동기식 전송에서의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