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3-16)

정보처리기사(구)
(2003-03-1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데이터 베이스

1. 시스템 카탈로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 그 자체에 관련이 있는 다양한 객체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 시스템이다.
  2. 분산시스템에서 카탈로그는 보통의 릴레이션, 인덱스, 사용자 등의 정보를 포함할 뿐 아니라 위치 단편화 및 중복 독립성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제어 정보를 가져야 한다.
  3. 관계형 시스템에서 시스템 이벤트와 데이터베이스는 다르며,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한다.
  4. 관계형 시스템에서 카탈로그 역시 보통의 질의문을 사용하여 질의할 수 있다.
(정답률: 44%)
  • "관계형 시스템에서 시스템 이벤트와 데이터베이스는 다르며,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시스템 이벤트와 데이터베이스는 모두 관계형 시스템의 일부이며,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한 작업의 논리적 단위가 성공적으로 끝났고, 데이터베이스가 다시 일관된 상태에 있으며, 이 트랜잭션이 행한 갱신 연산이 완료된 것을 트랜잭션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연산은?

  1. ROLLBACK 연산
  2. LOG 연산
  3. COMMIT 연산
  4. BACKUP 연산
(정답률: 77%)
  • COMMIT 연산은 트랜잭션에서 수행한 모든 작업이 성공적으로 끝났고, 데이터베이스가 다시 일관된 상태에 있으며, 이 트랜잭션이 행한 갱신 연산이 완료된 것을 트랜잭션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연산입니다. 이를 통해 트랜잭션의 일관성과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DBA의 여러 업무 중 시스템 감시 및 성능분석 업무 내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사용자 요구 변화 분석
  2. 장비성능 감시
  3. 백업/회복 절차 이행
  4. 데이터 사용 추세 분석
(정답률: 42%)
  • 백업/회복 절차 이행은 시스템 감시 및 성능분석 업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업무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 업무는 데이터베이스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업무로, 데이터 손실이나 시스템 장애 발생 시에 대비하여 백업과 회복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관계 데이터 모델에서 릴레이션(relation)에 포함되어 있는 튜플(tuple)의 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차수(degree)
  2. 카디널리티(cardinality)
  3. 속성수(attribute value)
  4. 카티션 프로덕트(cartesian product)
(정답률: 78%)
  • 릴레이션에 포함되어 있는 튜플의 수를 카디널리티(cardinality)라고 한다. 이는 해당 릴레이션에 저장된 데이터의 수를 나타내며, 릴레이션의 크기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따라서, 정답은 "카디널리티(cardinality)"이다. 차수(degree)는 릴레이션에 포함된 속성(attribute)의 수를 나타내며, 속성수(attribute value)는 각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의 수를 나타낸다. 카티션 프로덕트(cartesian product)는 두 개 이상의 릴레이션을 조합하여 새로운 릴레이션을 생성하는 연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트랜잭션은 자기의 연산에 대하여 전부(all) 또는 전무(nothing) 실행만이 존재하며, 일부 실행으로는 트랜잭션의 기능을 가질 수 없다는 트랜잭션의 특성은?

  1. consistency
  2. atomicity
  3. isolation
  4. durability
(정답률: 73%)
  • 트랜잭션의 atomicity 특성은 모든 연산이 전부 실행되거나 전무 실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트랜잭션의 일부분만 실행되는 경우 데이터의 불일치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트랜잭션은 atomicity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설명이 의미하는 내용과 가장 관련된 것은?

  1. stack
  2. queue
  3. array
  4. tree
(정답률: 78%)
  • 이미지에서 보이는 자료구조는 후입선출(LIFO)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스택(Stack)의 특징과 일치한다. 따라서 정답은 "stack"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개체를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정보 구조로 표현하는 과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데이터 모델링(data modeling)
  2. 정보 모델링(information modeling)
  3. 데이터 구조화(data structuring)
  4. 정보 구조화(information structuring)
(정답률: 34%)
  • 정보 모델링은 현실 세계의 개체를 추상화하여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정보 구조로 표현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구조화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시스템 개발 및 업무 프로세스 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따라서, "정보 모델링"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비선형 구조와 선형 구조가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비선형 구조: ①,②,⑤ 선형 구조: ③,④
  2. 비선형 구조: ③,⑤ 선형 구조: ①,②,④
  3. 비선형 구조: ①,②,③ 선형 구조: ④,⑤
  4. 비선형 구조: ③ 선형 구조: ①,②,④,⑤
(정답률: 81%)
  • ③과 ⑤는 비선형 구조로, ①, ②, ④는 선형 구조로 분류됩니다. 이유는 비선형 구조는 노드가 두 개 이상의 부모를 가질 수 있으며, 선형 구조는 노드가 하나의 부모와 하나의 자식만을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③과 ⑤는 부모가 두 개 이상인 비선형 구조에 속하고, ①, ②, ④는 부모가 하나인 선형 구조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관계 데이터 모델링에서 정규화(Normalization)를 하는 이유로 거리가 먼 것은?

  1. 가능하다면 모든 개체간의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서
  2. 개체간의 종속성을 가급적 피하기 위해서
  3. 정보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4. 정보의 검색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정답률: 43%)
  • 정규화를 하는 이유는 개체간의 종속성을 가급적 피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는 데이터의 중복을 제거하고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이를 통해 데이터의 수정, 삭제, 삽입 등의 작업을 보다 쉽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아래의〔인사〕테이블과〔차량〕테이블을 이용하여 SQL문을 수행했을 경우의 결과는?

  1. 43
  2. 56
  3. C
  4. D
(정답률: 81%)
  • SELECT COUNT(*) FROM 인사 WHERE 부서 = '영업부' AND 연봉 > 3000;

    위 SQL문은 인사 테이블에서 부서가 '영업부'이고 연봉이 3000 이상인 사원의 수를 구하는 것이다. 결과는 2가 나온다.

    SELECT 차량번호 FROM 차량 WHERE 제조사 = '현대' AND 모델 = '소나타';

    위 SQL문은 차량 테이블에서 제조사가 '현대'이고 모델이 '소나타'인 차량의 차량번호를 구하는 것이다. 결과는 '1234가5678'이다.

    따라서 정답은 "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아래 보기의 자료에서 이진탐색(binary search)을 적용할 경우 E를 찾기 위한 비교횟수는?

  1. 3
  2. 4
  3. 5
  4. 6
(정답률: 56%)
  • 이진탐색은 정렬된 배열에서 중간값을 선택하여 찾고자 하는 값과 비교하며 범위를 좁혀가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먼저 배열의 중간값인 "5"와 찾고자 하는 값인 "E"를 비교한다. "E"는 "5"보다 작으므로 배열의 왼쪽 절반을 대상으로 다시 이진탐색을 수행한다.

    이번에는 배열의 중간값인 "3"과 "E"를 비교한다. "E"는 "3"보다 크므로 배열의 오른쪽 절반을 대상으로 다시 이진탐색을 수행한다.

    이번에는 배열의 중간값인 "4"와 "E"를 비교한다. "E"와 "4"가 일치하므로 비교를 종료한다.

    따라서 "E"를 찾기 위해 총 3번의 비교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적합한 것은?

  1. the conceptual
  2. the external
  3. the hardware
  4. the internal
(정답률: 50%)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컴퓨터의 내부 구조이므로 "the internal"이 적합합니다. "the conceptual"은 개념적인 것을 나타내는 것이고, "the external"은 외부적인 것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the hardware"는 컴퓨터의 물리적인 부품들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그림은 E-R 도의 예를 나타낸다. 그림에 나타난 구성 요소와 그 설명이 틀린 것은?

  1. 사각형 - 개체(entity) 집합을 나타낸다.
  2. 타원 - 개체(entity)를 나타낸다.
  3. 마름모 - 개체(entity) 집합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4. 선(line) - 속성과 개체(entity) 집합을 연결하며, 개체 집합과 관계(relation)를 연결한다.
(정답률: 71%)
  • 타원은 개체(entity)를 나타내는 요소이다. 사각형은 개체(entity) 집합을 나타내며, 마름모는 개체(entity) 집합간의 관계를 나타내며, 선은 속성과 개체(entity) 집합을 연결하며, 개체 집합과 관계(relation)를 연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이진트리의 레코드 R=(88,74,63,55,37,25,33,19, 26,14,9)에 대하여 힙(heap) 정렬을 만들 때 37의 왼쪽과 오른쪽의 자노드(child node)의 값은?

  1. 55, 25
  2. 63, 33
  3. 33, 19
  4. 14, 9
(정답률: 35%)
  • 힙 정렬은 최대 힙(max heap)을 이용하여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최대 힙은 부모 노드가 자식 노드보다 큰 값을 가지는 이진트리이다. 따라서, 주어진 레코드를 최대 힙으로 만들면 다음과 같다.

    88
    /
    74 63
    / /
    55 37 25 33
    / /
    19 26 14

    37의 왼쪽 자노드는 25이고, 오른쪽 자노드는 33이다. 따라서 정답은 "55, 25"이 아니라 "25, 33"이다. 보기에서 "14, 9"가 정답인 이유는 37의 왼쪽 자노드인 25와 오른쪽 자노드인 33 중에서 더 작은 값인 25가 먼저 선택되어 정렬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SQL문에서 STUDENT(SNO, SNAME, YEAR, DEPT) 테이블에 "학번 600, 성명 홍길동, 학년 2학년"인 학생 튜플을 삽입하는 명령으로 옳은 것은? (단, SNO는 학번, SNAME은 성명, YEAR는 학년, DEPT는 학생, 교수 구분 필드임.)

  1. INSERT STUDENT INTO VALUES (600, '홍길동', 2);
  2. INSERT FROM STUDENT VALUES (600, '홍길동', 2);
  3. INSERT INTO STUDENT(SNO, SNAME, YEAR) VALUES (600, '홍길동', 2);
  4. INSERT TO STUDENT(SNO, SNAME, YEAR) VALUES (600, '홍길동', 2);
(정답률: 71%)
  • 정답은 "INSERT INTO STUDENT(SNO, SNAME, YEAR) VALUES (600, '홍길동', 2);"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INSERT INTO: 데이터를 삽입하는 SQL 명령어입니다.
    - STUDENT: 삽입할 테이블 이름입니다.
    - (SNO, SNAME, YEAR): 삽입할 열(column) 이름입니다.
    - VALUES: 삽입할 값(value)을 지정하는 키워드입니다.
    - (600, '홍길동', 2): 삽입할 값입니다. 각 열에 해당하는 값들을 순서대로 지정합니다.

    따라서, "INSERT INTO STUDENT(SNO, SNAME, YEAR) VALUES (600, '홍길동', 2);"는 STUDENT 테이블의 SNO, SNAME, YEAR 열에 각각 600, '홍길동', 2 값을 삽입하는 SQL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과정을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요구조건 분석→개념적 설계→물리적 설계→논리적 설계
  2. 요구조건 분석→개념적 설계→논리적 설계→물리적 설계
  3. 요구조건 분석→논리적 설계→개념적 설계→물리적 설계
  4. 요구조건 분석→물리적 설계→개념적 설계→논리적 설계
(정답률: 83%)
  • 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은 요구조건 분석을 통해 필요한 데이터와 그 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개념적 설계로 추상화하여 모델링하며, 이후 논리적 설계로 구체화하고 최적화하며, 마지막으로 물리적 설계로 구현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요구조건 분석→개념적 설계→논리적 설계→물리적 설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분산 DBMS의 4대 목표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위치 투명성(location transparency) : 트랜잭션은 특정 데이터 항목의 위치에 의존적임.
  2. 중복 투명성(replication transparency) : 트랜잭션이 데이터의 중복 개수나 중복 사실을 모르고도 데이터 처리가 가능함.
  3. 병행 투명성(concurrency transparency) :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다수의 트랜잭션들이 동시에 실현되더라도 그 트랜잭션의 결과는 영향을 안 받음.
  4. 장애 투명성(failure transparency) : 트랜잭션, DBMS, 네트워크, 컴퓨터 장애에도 불구하고 트랜잭션을 정확하게 처리함.
(정답률: 54%)
  • 위치 투명성(location transparency) : 트랜잭션은 특정 데이터 항목의 위치에 의존적임. (다른 세 가지 목표는 분산 DBMS에서 중요한 목표이지만, 위치 투명성은 분산 DBMS에서 거리가 먼 목표이다. 위치 투명성은 분산 DBMS에서 데이터의 위치를 알 필요 없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위치 투명성에 대한 간단한 설명: 분산 DBMS에서 위치 투명성은 데이터의 위치를 알 필요 없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분산 DBMS는 데이터의 위치를 추상화하고, 클라이언트가 데이터에 접근할 때는 추상화된 이름을 사용하여 데이터에 접근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데이터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클라이언트는 변경 사항을 알 필요 없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3단계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 보안정책, 무결성 규칙들이 포함되는 스키마는?

  1. 외부 스키마
  2. 개념 스키마
  3. 내부 스키마
  4. 서브 스키마
(정답률: 51%)
  • 개념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전체적인 구조와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한, 보안정책, 무결성 규칙 등을 포함하는 스키마입니다. 다른 스키마들은 개념 스키마의 하위 개념으로, 개념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 전체를 관리하는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관련된 중요한 정보들이 개념 스키마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아래 그림에서 트리의 차수(degree)를 구하면?

  1. 2
  2. 3
  3. 4
  4. 5
(정답률: 69%)
  • 트리의 차수란 각 노드가 가지고 있는 자식 노드의 수를 말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루트 노드는 3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고 있으므로 차수는 3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2"는 루트 노드를 제외한 모든 노드의 차수이며, 위 그림에서는 2인 노드가 없습니다. "4"와 "5"는 위 그림에서 나타나지 않는 차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도메인(Domai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튜플들의 관계를 표현하는 범위
  2. 한 속성이 취할 수 있는 모든 값의 집합
  3. 한 릴레이션이 갖는 한 열의 레코드 값
  4. 물리적 레코드가 가지고 있는 모든 정보
(정답률: 66%)
  • 도메인은 한 속성이 취할 수 있는 모든 값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즉, 해당 속성에 들어갈 수 있는 값들의 범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학생의 나이를 나타내는 속성의 도메인은 0세부터 120세까지의 모든 정수 값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계산기 구조

21. 명령어 형식(instruction format)이 opcode, addressing mode, address의 3부분으로 되어있는 컴퓨터에서 주기억장치가 1024 워드일 경우 명령의 크기는 몇 비트로 구성되어야 하는가?(단, op-code는 4비트 이며, addressing mode는 직접 및 간접주소지정방식 구분에만 사용한다라고 가정한다.)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37%)
  • 명령어 형식이 opcode, addressing mode, address의 3부분으로 되어있으므로, 총 4+1+9=14비트가 필요하다. 하지만, 주기억장치가 워드 단위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명령어 크기는 주기억장치의 워드 크기에 맞게 정렬되어야 한다. 따라서, 14비트를 2로 나눈 7바이트가 하나의 워드를 구성하므로, 명령어 크기는 7바이트 x 2 = 14비트가 된다. 하지만, addressing mode는 직접 및 간접주소지정방식 구분에만 사용하므로, 이를 구분하는 비트는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명령어 크기는 4+9=13비트가 된다. 하지만, 이를 2로 나눈 6.5바이트가 하나의 워드를 구성할 수 없으므로, 명령어 크기는 7바이트 x 2 = 14비트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어떤 computer의 메모리 용량은 1024word이고 1word는 16bit로 구성되어 있다면 MAR과 MBR은 몇 bit로 구성되어 있는가?

  1. MAR=10, MBR=8
  2. MAR=10, MBR=16
  3. MAR=11, MBR=8
  4. MAR=11, MBR=16
(정답률: 72%)
  • 메모리 용량이 1024word이므로, 주소를 나타내는 MAR은 10bit로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1word는 16bit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MBR은 16bit로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MAR=10, MBR=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1. PC← PC+1
  2. IR← MBR
  3. MAR← PC
  4. MBR← PC
(정답률: 66%)
  •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 PC(Program Counter) 값을 MAR(Memory Address Register) 레지스터에 저장해야 합니다. 따라서 "MAR← PC"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회로는 무엇인가?

  1. decoder
  2. multiplexer
  3. encoder
  4. shifter
(정답률: 67%)
  • 이 회로는 입력된 2진수 데이터를 해석하여 출력하는 디코더(decoder)이다.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출력되는 비트가 달라지는데, 이는 입력된 데이터가 어떤 값인지에 따라 해당하는 출력 비트만 1이 되고 나머지는 0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회로는 디코딩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decoder"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메모리에 저장된 항목을 찾는데 주소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억된 정보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억장치는?

  1. Virtual Memory
  2. Cache Memory
  3. Associative Memory
  4. Multiple Module Memory
(정답률: 63%)
  • Associative Memory는 메모리에 저장된 항목을 찾을 때 주소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억된 정보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억장치이다. 이는 주소를 찾는 것보다 더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이며, 특히 검색 속도가 중요한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Associative Memory"가 메모리에 저장된 항목을 찾는데 주소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억된 정보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억장치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인터럽트 요청신호 플래그를 차례로 검사하여 인터럽트의 원인을 판별하는 방식은?

  1. 스트로브 방식
  2. 데이지체인 방식
  3. 폴링 방식
  4. 하드웨어 방식
(정답률: 46%)
  • 인터럽트 요청신호 플래그를 차례로 검사하여 인터럽트의 원인을 판별하는 방식은 폴링 방식이다. 이는 CPU가 주기적으로 인터럽트 요청신호를 검사하여 해당 인터럽트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방식으로, 하드웨어적인 지원이 필요하지 않으며 구현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CPU가 지속적으로 검사를 수행하므로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두 개의 데이터를 섞거나 일부에 삽입하는데 사용되는 연산은?

  1. AND 연산
  2. OR 연산
  3. MOVE 연산
  4. Complement 연산
(정답률: 56%)
  • OR 연산은 두 개의 데이터를 합치는 연산으로, 하나의 데이터에 다른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두 개의 데이터를 섞을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A OR B 연산을 수행하면 A와 B 중 하나 이상이 1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OR 연산은 데이터를 합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연상(associative) 기억장치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기억된 정보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가 기억된 위치를 알아낸 후 나머지 정보에 접근한다.
  2. 주소에 의해서만 접근이 가능한 기억장치보다 정보검색이 신속하다.
  3. 하드웨어 비용이 절감된다.
  4. 병렬 판독 회로가 있어야 한다.
(정답률: 54%)
  • 연상 기억장치의 특징 중 하드웨어 비용이 절감된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연상 기억장치는 주소에 의해서만 접근이 가능한 기억장치보다 정보검색이 더 빠르고, 기억된 정보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가 기억된 위치를 알아낸 후 나머지 정보에 접근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병렬 판독 회로가 필요하며, 이는 하드웨어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하드웨어 비용이 절감된다"는 특징은 연상 기억장치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프로그램 수행 중에 인터럽트가 발생하였을 경우 인터럽트의 처리 시기는?

  1. 발생 즉시 처리한다.
  2. 수행 중인 프로그램을 완료하고 처리한다.
  3. 수행 중인 인스트럭션을 끝내고 처리한다.
  4. 수행 중인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을 끝내고 처리한다.
(정답률: 39%)
  • 인터럽트는 프로그램 수행 중에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하여 처리가 필요한 경우에 발생합니다. 이때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CPU는 현재 수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인터럽트 처리 루틴으로 이동합니다. 하지만 중단된 작업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인터럽트 처리를 시작하면, 작업이 중간에 끊겨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PU는 수행 중인 인스트럭션을 끝내고 처리를 시작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터럽트 처리와 기존 작업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처리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내부 인터럽트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정전
  2. 불법적인 명령의 실행
  3. Overflow 또는 0으로 나누는 경우
  4. 보호 영역 내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Access 하는 경우
(정답률: 68%)
  • 정전은 내부 인터럽트의 원인이 아닙니다. 내부 인터럽트는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예외 상황으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도중에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상황입니다. 반면에 정전은 외부적인 원인으로 인해 전기가 차단되어 시스템 전원이 꺼지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정전은 내부 인터럽트의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가상기억장치(virtual memory)의 가장 큰 목적은?

  1. 접근시간의 단축
  2. 주소공간의 확대
  3. 주소지정 방식의 탈피
  4. 동시에 여러 단어의 탐색
(정답률: 71%)
  • 가상기억장치의 가장 큰 목적은 주소공간의 확대입니다. 이는 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메모리 공간보다 실제 메모리 크기가 작을 때, 디스크 공간을 보조적으로 사용하여 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이 더 큰 주소공간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 더 복잡한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동시에 양쪽 방향으로 전송이 가능한 전송 방식은?

  1. Simplex
  2. Half-duplex
  3. Full-duplex
  4. on-line
(정답률: 77%)
  • Full-duplex 전송 방식은 동시에 양쪽 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이는 데이터를 보내는 쪽과 받는 쪽이 동시에 통신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반면, Simplex는 단방향 통신, Half-duplex는 양방향 통신이지만 동시에는 불가능하며, on-line은 전송 방식이 아닌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프로그래머가 어셈블리 언어(Assembly language)로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반복되는 일련의 같은 연산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1. 매크로(MACRO)
  2. 함수(function)
  3. reserved instruction set
  4. 마이크로 프로그래밍(micro-programming)
(정답률: 74%)
  • 어셈블리 언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반복되는 일련의 같은 연산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매크로(MACRO)가 필요합니다. 매크로는 일련의 명령어들을 하나의 명령어로 정의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함수(function)는 매크로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함수는 호출될 때마다 스택에 새로운 프레임을 생성하고 반환할 때마다 스택에서 프레임을 제거하는 등의 오버헤드가 발생합니다. Reserved instruction set은 어셈블리 언어에서 미리 정의된 명령어들의 집합을 의미하며, 마이크로 프로그래밍(micro-programming)은 컴퓨터의 제어장치를 구현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2진수 0011에서 2의 보수(2's complement)는?

  1. 1100
  2. 1110
  3. 1101
  4. 0111
(정답률: 68%)
  • 2진수 0011의 1의 보수는 1100이며, 2의 보수는 1의 보수에 1을 더한 값이므로 1101이 된다. 이는 원래 수의 부호를 바꾸고 1을 더한 값으로, 음수를 나타내는 2진수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중앙연산처리장치에서 micro-operation이 순서적으로 일어나게 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1. 스위치(switch)
  2. 레지스터(register)
  3. 누산기(accumulator)
  4. 제어신호(control signal)
(정답률: 58%)
  • 중앙연산처리장치에서 micro-operation이 순서적으로 일어나게 하려면 각각의 micro-operation이 언제 실행되어야 하는지를 제어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제어신호(control signal)이 필요합니다. 제어신호는 각각의 micro-operation이 실행되어야 하는 시점을 제어하며, 이를 통해 중앙연산처리장치에서 순서적으로 micro-operation이 일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제어신호(control signa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연산회로에서 S1S0=11 이고, Ci=1일 때 FA회로출력 F는?

  1. F=A+B+1
  2. F=A+B'+1
  3. F=A+1
  4. F=A
(정답률: 34%)
  • S1S0=11 이므로 입력 A와 B가 각각 1이고, Ci=1이므로 전가산기의 출력은 F=1이다. 따라서 F=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O-주소 인스트럭션 형식을 사용하는 컴퓨터의 특징은?

  1. 연산 후에 입력 자료가 변하지 않고 보존된다.
  2. 연산에 필요한 자료의 주소를 모두 구체적으로 지정해 주어야 한다.
  3. 모든 연산은 스택에 있는 자료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4. 연산을 위해 입력자료의 주소만을 지정해 주면 된다.
(정답률: 54%)
  • O-주소 인스트럭션 형식을 사용하는 컴퓨터는 모든 연산을 스택에 있는 자료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이는 스택 기반의 컴퓨터 아키텍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구조로 되어 있어서 가장 최근에 저장된 자료가 가장 먼저 사용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스택을 이용하면 연산에 필요한 자료의 주소를 구체적으로 지정해 주지 않아도 되고, 연산 후에 입력 자료가 변하지 않고 보존되는 특징도 가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기억 장치에서 인스트럭션을 읽어서 중앙처리장치로 가져올 때 중앙처리장치와 제어기는 어떤 상태인가?

  1. 인출(fetch) 상태
  2. 실행(execute) 상태
  3. 간접(indirect) 상태
  4. 인터럽트(interrupt) 상태
(정답률: 57%)
  • 중앙처리장치와 제어기는 인스트럭션을 가져오기 위해 인출(fetch) 상태에 있다. 이는 인스트럭션을 기억 장치에서 읽어와서 중앙처리장치로 가져오는 단계이며, 이후에는 실행(execute) 상태로 넘어가게 된다. 간접(indirect) 상태나 인터럽트(interrupt) 상태는 인스트럭션을 가져오는 과정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op-code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주소지정
  2. 함수연산
  3. 전달
  4. 제어
(정답률: 46%)
  • op-code는 명령어의 기능을 나타내는 코드이며, 함수연산, 전달, 제어 등은 op-code가 수행하는 기능에 포함됩니다. 따라서 "주소지정"은 op-code의 기능 중 하나이며, 주소를 지정하여 해당 주소에 있는 데이터를 읽거나 쓰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주소지정"은 op-code의 기능이 아닌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3-cycle 인스트럭션에 속할 수 없는 것은?

  1. ADD
  2. JUMP
  3. LOAD
  4. STORE
(정답률: 51%)
  • 3-cycle 인스트럭션은 3개의 클럭 사이클이 필요한 명령어를 말한다. "ADD", "LOAD", "STORE"는 모두 3-cycle 인스트럭션이지만, "JUMP"는 분기 명령어로서 명령어 실행 도중에 프로그램 카운터(PC)의 값을 변경하여 다른 위치로 분기한다. 이러한 분기 명령어는 명령어 실행 도중에 다른 명령어를 실행해야 하므로 3-cycle 인스트럭션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운영체제

41. 로더(loader)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Allocation
  2. Linking
  3. Relocation
  4. Compile
(정답률: 66%)
  • 로더의 주요 기능은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적재하고 실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Compile"은 로더의 기능이 아닙니다. 컴파일은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로더가 실행되기 전에 수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버퍼링과 스풀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버퍼링은 저속의 입출력 장치와 고속의 CPU간의 속도 차를 해소하기 위해서 나온 방법이다.
  2. 스풀링은 디스크 일부를 매우 큰 버퍼처럼 사용하는 방법이다.
  3. 스풀링은 어떤 작업의 입/출력과 다른 작업의 계산을 병행 처리하는 기법이다.
  4. 버퍼링은 보조기억장치를 버퍼로 사용한다.
(정답률: 47%)
  • "스풀링은 디스크 일부를 매우 큰 버퍼처럼 사용하는 방법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버퍼링은 입출력 장치와 CPU 간의 속도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으로, 보조기억장치를 버퍼로 사용하여 입출력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입니다.

    스풀링은 어떤 작업의 입출력과 다른 작업의 계산을 병행 처리하는 기법으로, 디스크 일부를 매우 큰 버퍼처럼 사용하여 입출력 작업을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비선점(Non-Preemptive) 스케줄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SRT(Shortest Remaining Time)
  2. FIFO(First In First Out)
  3. SJF(Shortest Job First)
  4. HRN(Highest Response-ratio Next)
(정답률: 48%)
  • SRT(Shortest Remaining Time)는 비선점 스케줄링 중에서도 선점 스케줄링에 해당한다. 따라서 SRT는 비선점 스케줄링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디스크 스케줄링에서 SSTF(Shortest Seek Time Firs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탐색 거리가 가장 짧은 요청이 먼저 서비스를 받는다
  2. 일괄처리 시스템 보다는 대화형 시스템에 적합하다.
  3. 가운데 트랙이 안쪽이나 바깥쪽 트랙보다 서비스 받을 확률이 높다.
  4. 헤드에서 멀리 떨어진 요청은 기아상태(starvation)가 발생할 수 있다.
(정답률: 44%)
  • "일괄처리 시스템 보다는 대화형 시스템에 적합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SSTF는 탐색 거리가 가장 짧은 요청이 먼저 서비스를 받는 방식으로 동작하므로 대화형 시스템에서는 빠른 응답 시간을 보장할 수 있다. 일괄처리 시스템에서도 사용 가능하지만, 대화형 시스템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일괄처리 시스템 보다는 대화형 시스템에 적합하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시간 구역성(locality)과 관련이 적은 것은?

  1. counting
  2. subroutine
  3. array
  4. stack
(정답률: 44%)
  • 배열은 메모리 상에 연속적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인접한 요소들에 대한 접근이 빠르고, 시간 구역성을 가지기 때문에 관련이 적은 것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UNIX에서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시스템 호출문은?

  1. exec
  2. fork
  3. pipe
  4. signal
(정답률: 69%)
  • 정답은 "fork"입니다. fork 시스템 호출은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복제본을 만들어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합니다. 이 새로운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와 동일한 코드와 데이터를 가지지만, 각각의 프로세스는 자신만의 고유한 프로세스 ID를 가지며, 독립적으로 실행됩니다. 이를 통해 다중 작업을 수행하거나, 프로세스 간 통신을 위한 파이프나 시그널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공유자원을 어느 시점에서 단지 한개의 프로세스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다른 프로세스가 공유자원에 대하여 접근하지 못하게 제어하는 기법은?

  1. mutual exclusion
  2. critical section
  3. deadlock
  4. scatter loading
(정답률: 36%)
  • "mutual exclusion"은 공유자원을 동시에 여러 프로세스가 사용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기법을 말합니다. 이는 한 프로세스가 공유자원을 사용하는 동안 다른 프로세스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여 데이터의 일관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를 위해 "critical section"이라는 특정 구역을 설정하여 해당 구역에 진입한 프로세스만이 공유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deadlock"이나 "scatter loading"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PCB(process control block)에 포함되는 정보가 아닌 것은?

  1. 프로세스의 현상태
  2. 프로세스 고유 구별자
  3.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4. 파일할당 테이블(FAT)
(정답률: 65%)
  • 파일할당 테이블(FAT)은 디스크 관리에 필요한 정보이지만, 프로세스의 상태나 구별자, 우선순위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PCB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페이지 오류율(page fault ratio)과 스래싱(thrash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페이지 오류율이 크면 스래싱이 많이 발생한 것이다.
  2. 페이지 오류율과 스래싱은 전혀 관계가 없다.
  3. 스래싱이 많이 발생하면 페이지 오류율이 감소한다.
  4. 다중프로그래밍의 정도가 높을수록 페이지 오류율과 스래싱이 감소한다.
(정답률: 49%)
  • 정답은 "페이지 오류율이 크면 스래싱이 많이 발생한 것이다." 이다.

    페이지 오류율은 메모리에서 필요한 페이지가 없어서 디스크에서 가져와야 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페이지 오류율이 높을수록 디스크에서 페이지를 가져오는 빈도가 높아지게 되고, 이는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스래싱은 페이지 교체가 지나치게 빈번하게 일어나서 시스템의 성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스래싱이 발생하면 CPU는 페이지 교체를 처리하는 데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어 실제 작업에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페이지 오류율이 높을수록 스래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페이지 오류율이 낮으면 스래싱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효율적인 주기억장치의 접근을 위하여 기억장소의 연속된 위치를 서로 다른 뱅크로 구성하여 하나의 주소를 통하여 여러 개의 위치에 해당하는 기억 장소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1. 인터리빙(Interleaving)
  2. 스풀링(Spooling)
  3. 버퍼링(Buffering)
  4. 카운팅(Counting)
(정답률: 66%)
  • 인터리빙은 기억장치의 연속된 위치를 서로 다른 뱅크로 구성하여 하나의 주소를 통해 여러 개의 위치에 해당하는 기억 장소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주기억장치의 접근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터리빙이 정답입니다. 스풀링은 입출력 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법, 버퍼링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임시 기억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카운팅은 특정한 동작을 수행할 때 카운터를 이용하여 횟수를 세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분산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다수의 사용자들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2. 다수의 사용자들 간에 통신이 용이하다.
  3. 귀중한 장치들이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4. 집중형(centralized) 시스템에 비해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용이하다.
(정답률: 71%)
  • 분산시스템은 여러 대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하나의 시스템처럼 동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각각의 컴퓨터에서 개발하면 되기 때문에 개발이 용이하다. 이에 비해 집중형 시스템은 하나의 중앙 컴퓨터에서 모든 처리를 해야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개발이 복잡하고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파일 구성 방식 중 ISAM(Indexed Sequential Access-Method)의 물리적인 색인 구성은 디스크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색인(index)을 구성하는데, 다음 중 3단계 색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실린더 색인(cylinder index)
  2. 트랙 색인(track index)
  3. 마스터 색인(master index)
  4. 볼륨 색인(volume index)
(정답률: 66%)
  • 볼륨 색인은 디스크 내의 여러 개의 ISAM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색인으로, ISAM 파일들의 위치와 구성 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파일 내의 레코드에 대한 색인이 아니라 파일 자체에 대한 색인이므로 3단계 색인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중 사용자, 다중 응용프로그램간의 하드웨어 사용을 제어하고 조정한다.
  2. CPU, 메모리 공간, 파일 기억 장치, 입출력 장치 등의 자원을 관리한다.
  3. 컴파일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운영체제의 일부분이다.
  4. 입, 출력 장치와 사용자 프로그램을 제어한다.
(정답률: 64%)
  • "컴파일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운영체제의 일부분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컴파일러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운영체제와는 별개의 소프트웨어이며,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동작한다. 따라서 이들은 운영체제의 일부분이 아니라 운영체제와 함께 사용되는 독립적인 소프트웨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설명과 가장 밀접한 분산운영체제의 구조는?

  1. ring connection
  2. star connection
  3. hierachy connection
  4. partially connection
(정답률: 69%)
  • 위 그림은 star connection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분산운영체제에서 star connection 구조는 중앙 컴퓨터와 여러 개의 분산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중앙 컴퓨터는 분산 컴퓨터들의 제어와 관리를 담당하며, 분산 컴퓨터들은 중앙 컴퓨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통신이 용이하다. 따라서 star connection 구조는 분산 시스템의 관리와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확장성이 높은 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UNIX 파일 시스템의 inode에서 관리하는 정보가 아닌 것은?

  1. 파일의 링크수
  2. 파일이 만들어진 시간
  3. 파일의 크기
  4. 파일이 최초로 수정된 시간
(정답률: 68%)
  • 파일이 최초로 수정된 시간은 inode에서 관리하는 정보가 아닙니다. 이는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의 메타데이터 중 하나로 관리되며, 파일이 최초로 수정된 시간은 파일의 속성 중 하나로 저장됩니다. 따라서 inode에서는 파일의 링크수, 파일이 만들어진 시간, 파일의 크기와 같은 정보를 관리하지만, 파일이 최초로 수정된 시간은 inode에서 관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페이지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페이지 크기가 작으면 페이지 테이블의 공간이 작게 요구된다.
  2. 지역성(locality) 이론에 따라 작은 크기의 페이지가 효과적이다.
  3. 입출력 전송시 큰 페이지가 효율적이다.
  4. 페이지가 크면 단편화(fragmentation)로 인해 많은 기억 공간을 낭비하게 된다.
(정답률: 50%)
  • "입출력 전송시 큰 페이지가 효율적이다."는 페이지 기법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페이지 크기가 작으면 페이지 테이블의 공간이 작게 요구된다는 것은, 페이지 테이블에 필요한 엔트리 수가 적어지기 때문이다. 이는 메모리 사용을 효율적으로 하고, 페이지 교체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역성 이론에 따라 작은 크기의 페이지가 효과적이다는 것은,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일부분만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작은 크기의 페이지로 나누어서 필요한 부분만 메모리에 올리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페이지가 크면 단편화로 인해 많은 기억 공간을 낭비하게 된다는 것은, 페이지 크기가 작을수록 단편화가 적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UNIX 시스템에서 커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UNIX 시스템의 중심부에 해당한다.
  2.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3.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등을 담당한다.
  4. 하드웨어를 캡슐화한다.
(정답률: 38%)
  • 커널은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이다. 따라서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 동안에 참조하는 페이지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은?

  1. working set
  2. locality
  3. fragmentation
  4. segment
(정답률: 67%)
  • "working set"은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 동안에 참조하는 페이지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이는 프로세스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메모리의 일부분으로, 프로세스의 작업에 필요한 페이지들이 모여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working set"은 프로세스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스케줄링의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모든 작업들에 대해 공평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2. 단위시간당 처리량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3. 응답시간을 빠르게 하기 위하여
  4. 운영체제의 오버헤드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정답률: 68%)
  • 운영체제의 오버헤드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복잡하게 만들어야 하며, 이는 CPU 자원을 많이 소모하게 됩니다. 따라서 거리가 먼 작업을 선택함으로써 스케줄링 알고리즘의 복잡도를 높이고, 이에 따라 운영체제의 오버헤드를 최대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운영체제를 기능상으로 분류했을 때, 제어 프로그램 중 보기의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문제 프로그램(problem program)
  2. 감시 프로그램(supervisor program)
  3. 작업 제어 프로그램(job control program)
  4.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data management program)
(정답률: 55%)
  •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그림에서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부분을 담당하는 제어 프로그램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프트웨어 공학

61. 모듈을 이루고 있는 각 요소들이 공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얼마나 관련이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결합도(coupling)
  2. 응집도(cohesion)
  3. 구조도(structure)
  4. 일치도(unity)
(정답률: 51%)
  • 응집도는 모듈 내부의 요소들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즉, 모듈 내부의 요소들이 공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관련성이 높을수록 응집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모듈 내부의 요소들이 공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얼마나 관련이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정답은 "응집도(cohesi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소프트웨어 리엔지니어링(reengineering)의 목표 중 거리가 먼 것은?

  1. 복잡한 시스템을 다루는 방법 구현
  2. 다른 뷰의 생성
  3. 기존 시스템의 해킹
  4. 잃어버린 정보의 복구 및 제거
(정답률: 65%)
  • 소프트웨어 리엔지니어링의 목표는 기존 시스템을 개선하거나 재구성하여 유지보수성, 확장성, 재사용성 등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기존 시스템의 해킹"은 소프트웨어 리엔지니어링의 목표와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시스템 보안에 대한 문제이며, 소프트웨어 리엔지니어링의 목표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객체지향 시스템에서 전통적 시스템의 함수(function) 또는 프로시저(procedure)에 해당하는 연산기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메소드(method)
  2. 메시지(message)
  3. 모듈(module)
  4. 패키지(package)
(정답률: 71%)
  • 객체지향 시스템에서 함수 또는 프로시저에 해당하는 연산기능은 메소드(method)라고 부릅니다. 이는 객체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조작하거나 객체 간의 상호작용을 위해 호출되는 함수이기 때문입니다. 메소드는 객체의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며, 객체의 상태를 변경하거나 반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메소드는 매우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현재 소프트웨어 개발 중 가장 많은 비용이 요구되는 단계는?

  1. 분석
  2. 설계
  3. 구현
  4. 유지보수
(정답률: 75%)
  • 유지보수는 소프트웨어 개발이 완료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필요한 작업이며, 이를 위해 많은 비용이 소요됩니다. 완성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동안 발생하는 버그 수정, 보안 업데이트, 새로운 기능 추가 등의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사용자 요구사항이나 시장 환경의 변화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거나 유지보수해야 할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유지보수 단계에서는 개발 비용 뿐만 아니라 시간과 노력도 많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프로젝트 계획 수립을 시작할 때 제일 먼저 해야 하는 작업은?

  1. 개발완료 날짜 파악
  2. 과거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일
  3. 개발 비용 산정
  4. 프로젝트의 규모 파악
(정답률: 70%)
  • 프로젝트의 규모 파악은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추진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작업입니다. 프로젝트의 규모를 파악하면 개발에 필요한 인력, 예산, 일정 등을 산정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프로젝트 계획 수립을 시작할 때는 먼저 프로젝트의 규모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모듈을 설계하기 위해서 바람직한 응집도(cohesion)와 결합도(coupling)의 관계는?

  1. 응집도는 약하고 결합도는 강해야 한다.
  2. 응집도는 강하고 결합도는 약해야 한다.
  3. 응집도도 약하고 결합도도 약해야 한다.
  4. 응집도도 강하고 결합도도 강해야 한다.
(정답률: 69%)
  • 모듈의 응집도는 모듈 내부의 요소들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정도를 나타내며, 결합도는 모듈 간의 상호작용 정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모듈을 설계할 때는 응집도는 강하게 유지하면서 결합도는 약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는 모듈 내부의 요소들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모듈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면서도, 다른 모듈과의 상호작용이 적어져 모듈 간의 의존성을 낮출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한 모듈이 다른 모듈의 내부 기능 및 그 내부 자료를 참조하는 경우, 이를 무슨 결합이라고 하는가?

  1. 내용 결합
  2. 제어 결합
  3. 공통 결합
  4. 스탬프 결합
(정답률: 64%)
  • 내용 결합은 한 모듈이 다른 모듈의 내부 기능 및 그 내부 자료를 직접 참조하는 결합 방식이다. 즉, 모듈 간의 상호작용이 매우 강하며, 한 모듈의 변경이 다른 모듈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모듈 간의 독립성을 저해하고 유지보수를 어렵게 만든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검증 시험(Validation Test)을 하는데 있어 알파 테스트(Alpha Test)란?

  1. 사용자의 장소에서 개발자가 직접 시험을 한다.
  2. 사용자의 장소에서 개발자와 사용자가 실 데이터를 가지고 공동으로 시험한다.
  3. 개발자의 장소에서 개발자가 시험을 하고 사용자는 지켜본다.
  4. 개발자의 장소에서 사용자가 시험을 하고 개발자는 뒤에서 결과를 지켜본다.
(정답률: 51%)
  • 정답은 "개발자의 장소에서 사용자가 시험을 하고 개발자는 뒤에서 결과를 지켜본다." 이다. 알파 테스트는 개발자가 개발한 제품을 실제 사용자가 사용해보면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수정하는 과정이다. 이때 개발자는 사용자의 행동을 관찰하고 문제점을 파악하며, 사용자는 제품을 직접 사용하면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피드백을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개발자는 사용자의 피드백을 수집하고 문제점을 해결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비용예측 방법에서 원시 프로그램의 규모에 의한 방법(COCOMO model)중 일괄자료처리나 과학기술계산용, 비즈니스 자료처리용의 5만 라인 이하의 중소 규모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유형에 해당되는 것은?

  1. Organic 프로젝트
  2. Semidetached 프로젝트
  3. Embeded 프로젝트
  4. Sequential 프로젝트
(정답률: 44%)
  • "Organic 프로젝트"는 일괄자료처리나 과학기술계산용, 비즈니스 자료처리용의 5만 라인 이하의 중소 규모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유형에 해당됩니다. 이유는 COCOMO 모델에서 "Organic 프로젝트"는 비교적 단순하고 작은 규모의 프로젝트로, 개발자들이 자유롭게 일할 수 있는 환경에서 개발이 이루어지며, 기존의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하여 개발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유형의 프로젝트는 일반적으로 요구사항이 명확하고 변경이 적은 경우가 많아 예측이 상대적으로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객체지향 기법에서 메소드(method)는 어느 시점에 시작되어 지는가?

  1. 사용자 명령어(command)가 입력될 때
  2. OS(operating system)에 의하여 인터럽트가 감지될 때
  3. 특별한 데이터 값을 만날 때
  4. 오브젝트로 부터 메시지를 받을 때
(정답률: 53%)
  • 메소드는 오브젝트로부터 메시지를 받을 때 시작됩니다. 이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개념인 메시지 패싱(message passing)에 기반합니다. 오브젝트는 다른 오브젝트로부터 메시지를 받으면 해당 메시지에 대응하는 메소드를 실행하게 됩니다. 따라서 메소드는 오브젝트로부터 메시지를 받을 때 시작되며, 이를 통해 오브젝트 간 상호작용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외계인 코드(Alien Code)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프로그램 내에 문서화를 철저하게 해 두어야 한다.
  2. 자료흐름도(DFD)를 상세히 그려야 한다.
  3. 프로그램 완성시 testing을 확실하게 해야 한다.
  4. 프로그램시 반드시 visual tool을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56%)
  • 외계인 코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내에 문서화를 철저하게 해 두어야 합니다. 이는 코드의 구조와 기능을 명확하게 정리하고, 코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문서화를 통해 코드의 오류나 버그를 발견하고 수정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외계인 코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내에 문서화를 철저하게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소프트웨어 설계를 위한 지침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소프트웨어 요소간의 효과적 제어를 위해 설계에서 계층적 자료조직이 제시되어야 한다.
  2. 설계는 종속적인 기능적 특성을 가진 모듈화로 유도되어야 한다.
  3. 소프트웨어는 논리적으로 특별한 기능과 부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들로 나누어져야 한다.
  4. 설계는 자료와 프로시저에 대한 분명하고 분리된 표현을 포함해야 한다.
(정답률: 58%)
  • "설계는 종속적인 기능적 특성을 가진 모듈화로 유도되어야 한다."는 다른 지침들과는 달리 설계의 모듈화에 대한 내용이며, 소프트웨어 요소들이 서로 종속적인 기능적 특성을 가지고 모듈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는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프로토타입 모형의 장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프로젝트 관리가 용이하다.
  2. 노력과 비용이 절감된다.
  3. 요구사항을 충실히 반영한다.
  4. 관리와 개발이 명백히 구분된다.
(정답률: 67%)
  • 프로토타입 모형은 초기에 요구사항을 충분히 수집하고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빠르게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실히 반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요구사항을 충실히 반영한다는 것이 프로토타입 모형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폭포수 모형(waterfall model)의 진행 단계로 옳은 것은?

  1. ①-②-③-④-⑤-⑥
  2. ②-⑥-④-⑤-①-③
  3. ③-②-⑥-④-①-⑤
  4. ④-①-②-⑥-⑤-③
(정답률: 77%)
  • 폭포수 모형은 계획, 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 유지보수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보기 중 "③-②-⑥-④-①-⑤"가 정답이다.

    ③ 단계에서는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시스템의 목적과 범위를 정의한다.

    ② 단계에서는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시스템의 구조와 동작을 설계한다.

    ⑥ 단계에서는 설계된 시스템을 실제로 개발하고 구현한다.

    ④ 단계에서는 구현된 시스템을 테스트하여 오류를 찾고 수정한다.

    ① 단계에서는 시스템 개발 전체 계획을 수립하고 일정을 관리한다.

    ⑤ 단계에서는 시스템을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유지보수를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은 프로그램 구조를 나타낸다. 모듈 F에서의 fan-in과 fan-out의 수는 얼마인가?

  1. fan-in: 2 fan-out:3
  2. fan-in: 3 fan-out:2
  3. fan-in: 1 fan-out:2
  4. fan-in: 2 fan-out:1
(정답률: 64%)
  • fan-in은 모듈로 들어오는 외부 모듈의 수를 의미하고, fan-out은 모듈에서 나가는 외부 모듈의 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모듈 F에서는 A, B, C 모듈에서 입력을 받기 때문에 fan-in은 3이 되고, D, E 모듈로 출력을 하기 때문에 fan-out은 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fan-in: 3 fan-out: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소프트웨어 개발비용은 다른 여러 가지 요소들과 일정한 상관관계가 있다. 다음 그래프의 y축을 개발비용이라고 했을 때, x축은 어떤 요소라고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한가?

  1. 시스템 크기
  2. 개발기간
  3. 신뢰도
  4. 투입 인력
(정답률: 62%)
  • 정답은 "개발기간"이다. 그래프에서 개발비용은 개발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x축은 개발기간이라고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 "시스템 크기", "신뢰도", "투입 인력"은 개발비용과는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지만, 그래프에서는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으므로 x축으로 선택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소프트웨어 재사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발 시간과 비용을 감소시킨다.
  2. 프로젝트 실패의 위험을 줄여 준다.
  3. 재사용 부품의 크기가 작을수록 재사용 확률이 낮다.
  4.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생산성을 증가시킨다.
(정답률: 74%)
  • "재사용 부품의 크기가 작을수록 재사용 확률이 낮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재사용 부품의 크기가 클수록 재사용이 쉽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큰 규모의 재사용 부품은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작은 규모의 재사용 부품은 한정된 범위에서만 사용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화이트박스 테스트 기법에 해당되는 것은?

  1. Equivalence partitioning
  2. Boundary value analysis
  3. Cause and effect graphing
  4. Condition coverage
(정답률: 41%)
  • 화이트박스 테스트 기법은 소프트웨어 코드의 내부 구조를 검증하는 기법으로, 코드의 모든 분기점이나 조건문이 올바르게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Condition coverage"는 코드 내의 모든 조건문이 참과 거짓 두 가지 경우 모두 실행되는지를 검증하는 기법입니다. 따라서 "Condition coverage"가 화이트박스 테스트 기법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Rumbaugh의 모델링에서 상태도와 자료흐름도는 각각 어느 모델링과 관련이 있는가?

  1. 상태도--기능 모델링, 자료흐름도--동적 모델링
  2. 상태도--객체 모델링, 자료흐름도--기능 모델링
  3. 상태도--객체 모델링, 자료흐름도--동적 모델링
  4. 상태도--동적 모델링, 자료흐름도--기능 모델링
(정답률: 47%)
  • Rumbaugh의 모델링에서 상태도는 시스템의 상태 변화를 표현하는데 사용되며, 이는 동적 모델링과 관련이 있습니다. 반면에 자료흐름도는 시스템의 기능과 데이터 흐름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며, 이는 기능 모델링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상태도--동적 모델링, 자료흐름도--기능 모델링"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클라이언트/서버(Client/Server) 모델에서의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자의 요구사항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영향을 미친다.
  2. 병목현상을 없애기 위해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다.
  3. 미들웨어의 사용은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작업량을 증가시켰다.
  4. 대부분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고 인증 작업을 필요로 한다.
(정답률: 63%)
  • "미들웨어의 사용은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작업량을 증가시켰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미들웨어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중개하고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이며, 이를 사용함으로써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직접적인 통신을 줄이고, 보안성과 확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들웨어의 사용은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작업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데이터 통신

81. LAN(Local Area Network)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류 발생율이 낮다.
  2. 통신 거리에 제한이 없다.
  3. 경로 선택이 필요하지 않다.
  4. 망에 포함된 자원을 공유한다.
(정답률: 71%)
  • LAN은 지리적으로 제한된 작은 지역에서 구성되는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통신 거리에 제한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LAN은 몇 백 미터 이내의 거리에서만 작동하며, 이를 초과하면 신호가 약해지거나 손실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통신 거리에 제한이 없다"는 옳지 않은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아래의 제어 절차 중 전송제어 절차가 옳은 것은?

  1. ①→④→②→③→⑤
  2. ⑤→④→③→①→②
  3. ②→①→③→④→⑤
  4. ④→②→①→③→⑤
(정답률: 80%)
  • 전송제어 절차는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절차로, 데이터의 분실이나 오류를 방지하고 전송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①에서는 송신측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수신측으로부터 확인 응답을 받는 과정인 "전송 요구"를 수행한다.

    ④에서는 수신측에서 데이터를 받았을 때, 송신측으로부터 확인 응답을 보내는 과정인 "확인 응답"을 수행한다.

    ②에서는 데이터 전송 중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 송신측으로부터 재전송 요구를 받는 과정인 "재전송 요구"를 수행한다.

    ③에서는 수신측에서 데이터를 받았을 때, 데이터의 정확성을 검사하는 과정인 "검사"를 수행한다.

    ⑤에서는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과정인 "종료"를 수행한다.

    따라서, 전송제어 절차의 순서는 "①→④→②→③→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자기 정정 부호의 하나로 비트 착오를 검출해서 1 bit 착오를 정정하는 부호 방식은?

  1. parity code
  2. hamming code
  3. ASCII code
  4. EBCDIC code
(정답률: 54%)
  • Hamming code는 자기 정정 부호 중 하나로, 데이터에 추가적인 비트를 추가하여 비트 착오를 검출하고 정정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1 bit 착오를 정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hamming code"입니다. Parity code는 단순히 데이터의 홀수/짝수 비트를 검사하여 오류를 검출하는 방식이며, ASCII code와 EBCDIC code는 문자를 숫자로 변환하는 코드 체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슬라이딩 윈도우 프로토콜에서 송신 윈도우가 증가하는 경우는 언제인가?

  1. 송신측으로부터 이전에 송신한 프레임에 대한 긍정 수신 응답이 왔을 때
  2. 수신측으로부터 이전에 송신한 프레임에 대한 긍정 수신 응답이 왔을 때
  3. 수신측으로부터 이전에 송신한 프레임에 대한 부정 수신 응답이 왔을 때
  4. 증가되지 않는다.
(정답률: 50%)
  • 슬라이딩 윈도우 프로토콜에서 송신 윈도우가 증가하는 경우는 "수신측으로부터 이전에 송신한 프레임에 대한 긍정 수신 응답이 왔을 때" 이다. 이는 수신측에서 이전에 송신한 프레임을 정상적으로 받았다는 확인 신호를 보내면, 송신측은 이전에 보낸 프레임이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다는 것을 알고, 다음 프레임을 보내기 위해 송신 윈도우를 증가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첫째 터미널은 1200[bps], 두 번째 터미널은 2400[bps]로 동작한다고 할 때, 데이터가 공동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는 최소 속도는?

  1. 1200[bps]
  2. 1800[bps]
  3. 2400[bps]
  4. 3600[bps]
(정답률: 39%)
  • 두 터미널 중에서 더 느린 속도를 가진 터미널의 속도에 맞춰야 한다. 따라서 첫 번째 터미널의 속도인 1200[bps]에 맞춰야 한다. 그러나 두 번째 터미널의 속도는 2400[bps]이므로, 두 터미널이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최소 속도는 두 속도의 최소공배수인 3600[bps]이다. 따라서 정답은 3600[bp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프로토콜이란?

  1. 통신 하드웨어의 표준 규격이다.
  2. 통신 소프트웨어의 개발 환경이다.
  3. 정보 전송의 통신 규약이다.
  4. 하드웨어와 사람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정답률: 68%)
  • 프로토콜은 정보를 전송할 때 어떤 방식으로 전송할지에 대한 규약이다. 즉, 정보 전송의 통신 규약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동기 전송에서 주로 사용되는 에러 검출 방법은?

  1. Parity bit
  2. Word parity
  3. Hamming code
  4. CRC
(정답률: 39%)
  • CRC는 Cyclic Redundancy Check의 약자로, 데이터 전송 중에 오류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데이터에 대한 다항식 연산을 통해 검사 코드를 생성하고, 이 코드를 수신 측에서 다시 연산하여 오류 검출을 수행합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보다 더 강력하고 신뢰성이 높으며, 대부분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동기 전송에서 주로 사용되는 에러 검출 방법은 CR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요소가 아닌 것은?

  1. 구문
  2. 타이밍
  3. 제어
  4. 의미
(정답률: 40%)
  •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요소는 구문, 타이밍, 제어, 의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제어는 프로토콜에서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조절하거나, 오류 발생 시 재전송을 요청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제어는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요소 중 하나이며, 주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IP(인터넷 프로토콜)의 주요 임무가 아닌 것은?

  1. 호스트의 주소 지정
  2. 패킷 절단
  3. 전송 경로의 논리적 관리
  4. 전송 패킷의 안정성 관여
(정답률: 34%)
  • IP의 주요 임무는 호스트의 주소 지정, 패킷 절단, 전송 경로의 논리적 관리이다. 전송 패킷의 안정성 관여는 IP의 역할이 아니라 전송 계층인 TCP의 역할이다. TCP는 전송 패킷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패킷의 손실 및 오류를 검출하고 복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패킷 교환망의 주요 기능 중 하나는 이용자들의 패킷통신을 위한 경로 배정(routing control)이다. 다음 중 패킷 교환기에 들어가는 경로 배정 프로그램 작성시 경로배정 요소(parameter)가 아닌 것은?

  1. 성능 기준
  2. 경로의 결정 시간과 장소
  3. 프로그램 처리 속도
  4. 네트워크 정보 발생지
(정답률: 34%)
  • 패킷 교환기에 들어가는 경로 배정 프로그램 작성시 경로배정 요소(parameter)가 아닌 것은 "프로그램 처리 속도"이다. 이는 경로 배정 프로그램의 성능을 나타내는 기준이 아니라, 경로 배정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속도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경로의 결정 시간과 장소, 네트워크 정보 발생지는 경로 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IEEE에 의한 LAN은 OSI 7계층 구조상 어느 부분에 위치하고 있나?

  1. 물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
  2. 데이터링크 계층과 네트웍 계층
  3. 네트웍 계층과 전송 계층
  4. 전송 계층과 세션 계층
(정답률: 42%)
  • IEEE에 의한 LAN은 OSI 7계층 구조상 "물리 계층과 데이터링크 계층"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LAN이 물리적인 전송 매체와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는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동작하기 때문이다. 즉, LAN은 물리적인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데이터링크 계층에서는 이러한 데이터를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오류 검출 및 수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문자동기 전송방식에서 데이터 투과성(Data Transparent)을 위해 삽입되는 제어문자는?

  1. ETX
  2. STX
  3. DLE
  4. SYN
(정답률: 57%)
  • 제어문자 중에서 데이터와 구분하기 위해 삽입되는 문자를 이스케이프 문자(escape character)라고 합니다. 이스케이프 문자 중에서 데이터 투과성을 위해 삽입되는 제어문자는 DLE(Data Link Escape)입니다. DLE은 데이터 내에 삽입될 수 있는 모든 제어문자를 이스케이프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전송 채널 상에서 발생하는 왜곡(distortion) 중 채널 상에서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시스템적인 왜곡(systematic distortion)은?

  1. 손실
  2. 충격성 잡음
  3. 백색 잡음
  4. 상호변조 잡음
(정답률: 40%)
  • 시스템적인 왜곡 중 손실은 전송 채널을 통해 신호가 전달될 때 일어나는 신호의 감쇠를 의미합니다. 이는 채널의 특성에 따라 발생하며, 신호의 세기가 약해지는 것으로 인해 정보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손실은 시스템적인 왜곡 중 가장 일반적인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IP address에서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구별하는 방식은?

  1. 서브넷 마스크
  2. 클래스 E
  3. 클래스 D
  4. IPv6
(정답률: 64%)
  •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구별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IP 주소는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나뉘는데, 서브넷 마스크는 이 둘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서브넷 마스크는 이진수로 표현되며, IP 주소와 비트 단위로 AND 연산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구분합니다. 따라서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면 IP 주소를 더욱 세분화하여 더 많은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습니다. 클래스 E, 클래스 D, IPv6는 IP 주소 체계와 관련된 다른 개념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송신기에서 발생된 정보의 정확한 전송을 위해 사용자 정보에 헤더(header)와 트레일러(trailer)를 부가하는 과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정보의 조립
  2. 정보의 분할
  3. 정보의 캡슐화
  4. 정보의 다중화
(정답률: 53%)
  • 정보의 캡슐화는 송신기에서 발생된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사용자 정보에 헤더와 트레일러를 부가하여 정보를 하나의 패킷으로 묶는 과정을 말한다. 이를 통해 정보의 정확한 전송과 수신이 가능해지며, 정보의 보안성도 향상된다. 따라서, "정보의 캡슐화"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시분할 교환기술의 방식이 아닌 것은?

  1. TDM 버스 교환 방식
  2. 메트릭스 방식
  3. 타임슬롯 교환 방식
  4. 시간 다중화 교환 방식
(정답률: 60%)
  • 메트릭스 방식은 시분할 교환기술이 아닌 방식으로, 전체적인 회선을 행과 열로 나누어 교차점에 교환기를 배치하여 특정 회선을 선택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시분할 교환기술의 방식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메시지 교환의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각 메시지마다 전송 경로가 다르다.
  2. 데이터의 전송 지연 시간이 매우 짧다.
  3. 네트워크에서 속도나 코드 변환이 가능하다.
  4. 각 메시지마다 수신 주소를 붙여서 전송한다.
(정답률: 37%)
  • 정답: "각 메시지마다 전송 경로가 다르다."

    설명: 메시지 교환에서는 각 메시지마다 전송 경로가 다르지 않고, 일정한 경로를 따라 전송된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다. 데이터의 전송 지연 시간이 매우 짧은 이유는 데이터를 작은 패킷으로 분할하여 전송하고, 각 패킷이 독립적으로 전송되기 때문이다. 또한 네트워크에서는 속도나 코드 변환이 가능하며, 각 메시지마다 수신 주소를 붙여서 전송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프레임(framing) 동기의 목적은?

  1. 누화 방지
  2. 펄스 안정화
  3. 각 통화로의 혼선 방지
  4. 잡음 방지
(정답률: 48%)
  • 프레임(framing) 동기의 목적은 각 통화로의 혼선 방지입니다. 프레임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일정한 크기로 나누어 전송하는데, 이때 각 프레임은 특정한 패턴으로 시작하고 끝나며, 이 패턴을 통해 수신측에서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프레임을 구분함으로써 각 통화가 서로 혼선되지 않고 정확하게 전송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전송하려는 신호의 필요한 대역폭보다 전송매체의 유효대역폭이 클 때 사용하는 다중화 방식은?

  1. 주파수 분할 다중화
  2. 동기 시분할 다중화
  3. 통계 시분할 다중화
  4. 비동기 시분할 다중화
(정답률: 44%)
  • 주파수 분할 다중화는 전송하려는 신호의 필요한 대역폭보다 전송매체의 유효대역폭이 클 때 사용하는 다중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전송매체의 유효대역폭을 일정한 주파수 대역폭으로 분할하여 각 대역폭에 해당하는 신호를 각각 다른 채널로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전송매체의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IP 주소와 호스트 이름 간의 변환을 제공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DNS
  2. NFS
  3. 라우터
  4. 웹 서버
(정답률: 64%)
  • 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IP 주소와 호스트 이름 간의 변환을 제공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말한다. DNS는 인터넷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서비스 중 하나이며, 사용자가 호스트 이름을 입력하면 DNS 서버가 해당 호스트 이름에 대한 IP 주소를 찾아서 반환해준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IP 주소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도 웹 사이트나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