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3-04)

정보처리기사(구)
(2007-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데이터 베이스

1. 트랜잭션의 특성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Durability
  2. Isolation
  3. Consistency
  4. Atomicity
(정답률: 71%)
  • 트랜잭션의 Atomicity는 "전부 또는 전혀"의 원칙을 따르며, 트랜잭션 내의 모든 작업이 완료되거나 전혀 수행되지 않음을 보장합니다. 즉, 트랜잭션 내의 어떤 작업이라도 실패하면 전체 트랜잭션이 롤백되어 이전 상태로 복원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트랜잭션 내의 모든 작업이 하나의 논리적 단위로 처리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데이터베이스의 정의가 일반적으로 함축하고 있는 의미로 거리가 먼 것은?

  1. 통합된 데이터(Integrated Data)
  2. 저장된 데이터(Stored Data)
  3. 한정된 데이터(Definite Data)
  4. 공용 데이터(Shared Data)
(정답률: 89%)
  • 데이터베이스의 정의는 "체계적으로 구성된 데이터의 집합"이다. 이 중에서 "한정된 데이터(Definite Data)"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의 정의에 포함되지 않는다.

    "한정된 데이터(Definite Data)"는 특정한 목적을 위해 정해진 범위 내에서만 사용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진료기록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에서는 환자의 개인정보와 진료기록만을 포함하고, 다른 분야의 데이터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처럼 특정한 목적을 위해 한정된 범위 내에서만 사용되는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의 일반적인 정의와는 거리가 먼 개념이다.

    따라서, "한정된 데이터(Definite Data)"가 데이터베이스의 정의에서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데이터베이스 설계 순서로 옳은 것은?

  1. 요구조건 분석 → 물리적 설계 → 논리적 설계 → 개념적 설계 → 데이터베이스 구현
  2. 요구조건 분석 → 개념적 설계 → 논리적 설계 → 물리적 설계 → 데이터베이스 구현
  3. 요구조건 분석 → 논리적 설계 → 개념적 설계 → 물리적 설계 → 데이터베이스 구현
  4. 요구조건 분석 → 논리적 설계 → 물리적 설계 → 개념적 설계 → 데이터베이스 구현
(정답률: 88%)
  •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요구조건 분석을 통해 필요한 데이터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념적 설계를 수행하여 개념적 모델을 도출합니다. 그리고 이를 논리적 설계로 변환하여 논리적 모델을 도출하고, 이를 물리적 설계로 변환하여 물리적 모델을 도출합니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합니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요구조건 분석 → 개념적 설계 → 논리적 설계 → 물리적 설계 → 데이터베이스 구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비선형 구조와 선형 구조가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비선형 구조 : ①, ②, ⑤선형 구조 : ③, ④
  2. 비선형 구조 : ③, ⑤, 선형 구조 : ①, ②, ④
  3. 비선형 구조 : ①, ②, ③, 선형 구조 : ④, ⑤
  4. 비선형 구조 : ③, 선형 구조 : ①, ②, ④, ⑤
(정답률: 82%)
  • ③과 ⑤는 비선형 구조로, 노드가 여러 개의 가지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①, ②, ④는 선형 구조로, 노드가 일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스택 알고리즘에서 T가 스택 포인터이고, m이 스택의 길이일 때, 서브루틴 “AA”가 처리해야 하는 것은?

  1. 오버플로우 처리
  2. 언더플로우 처리
  3. 삭제 처리
  4. 삽입 처리
(정답률: 81%)
  • 스택이 가득 차서 더 이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는 상황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삽입하려고 하면 스택 오버플로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스택 알고리즘에서는 이러한 오버플로우 상황을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서브루틴 "AA"가 처리해야 하는 것은 "오버플로우 처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중위 표기법(Infix)의 수식 (A+B)*C+(D+E)을 후위 표기법으로(Postfix)으로 올게 표기한 것은?

  1. AB+CDE*++
  2. AB+C*DE++
  3. +AB*C+DE+
  4. +*+ABC+DE
(정답률: 72%)
  • 중위 표기법에서 연산자의 우선순위에 따라 괄호를 사용하여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것과 달리, 후위 표기법에서는 연산자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지 않고 순서대로 나열한다. 따라서, 주어진 중위 표기법 수식을 후위 표기법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A+B)*C+(D+E) -> AB+C*DE++

    먼저, 괄호를 제거하고 연산자 우선순위에 따라 순서를 바꾸면 다음과 같다.

    A+B*C+D+E

    그리고 이를 후위 표기법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AB+C*DE++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SQL 문에서 ( )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SET
  2. FROM
  3. INTO
  4. IN
(정답률: 68%)
  • 정답은 "SET"입니다.

    이 SQL 문은 "Customers" 테이블에서 "ContactName"이 "Alfreds Futterkiste"인 레코드의 "City" 값을 "Berlin"으로 변경하는 문장입니다.

    "SET"은 업데이트할 열과 값을 지정하는 데 사용되는 키워드입니다. 이 경우에는 "City" 열의 값을 "Berlin"으로 설정합니다.

    "FROM"은 데이터를 가져올 테이블을 지정하는 데 사용되는 키워드입니다. 이 경우에는 "Customers"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가져옵니다.

    "INTO"는 데이터를 삽입할 테이블을 지정하는 데 사용되는 키워드입니다. 이 경우에는 데이터를 삽입하는 것이 아니므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IN"은 WHERE 절에서 사용되는 키워드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경우에는 "IN"이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SQL에서 VIEW를 삭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은?

  1. ERASE
  2. KILL
  3. DROP
  4. DELETE
(정답률: 81%)
  • 정답은 "DROP"이다.

    "ERASE"와 "KILL"은 SQL에서 사용되지 않는 명령어이다. "DELETE"는 데이터를 삭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지만, VIEW를 삭제할 때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VIEW를 삭제할 때는 "DROP" 명령어를 사용한다. "DROP"은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삭제할 때 사용되는 일반적인 명령어이다. VIEW도 데이터베이스 객체 중 하나이므로 "DROP"을 사용하여 삭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릴레이션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모든 튜플은 서로 다른 값을 갖는다.
  2. 하나의 릴레이션에서 튜플의 순서는 없다.
  3. 각 속성은 릴레이션 내에서 유일한 이름을 가질 필요가 없다.
  4. 모든 속성 값은 원자 값이다.
(정답률: 81%)
  • 각 속성은 릴레이션 내에서 유일한 이름을 가질 필요가 없다는 것은 옳지 않은 것이다. 속성 이름은 릴레이션 내에서 유일해야 하며, 이는 속성을 식별하는 데 필요하다. 따라서 같은 이름을 가진 속성이 두 개 이상 있을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정규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상(Anomal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상은 속성들 간에 존재하는 여러 종류의 종속 관계를 하나의 릴레이션에 표현할 때 발생한다.
  2. 속성들 간의 종속 관계를 분석하여 여러 개의 릴레이션을 하나로 결합하여 이상을 해결한다.
  3. 삭제이상, 삽입이상, 갱신이상이 있다.
  4. 정규화는 이상을 제거하기 위해서 중복성 및 종속성을 배제시키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정답률: 66%)
  • "속성들 간의 종속 관계를 분석하여 여러 개의 릴레이션을 하나로 결합하여 이상을 해결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정규화는 속성들 간의 종속 관계를 분석하여 하나의 릴레이션을 여러 개의 릴레이션으로 분해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이상을 제거하고 데이터의 중복성을 최소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의 관계 대수를 SQL로 옳게 나타낸 것은?

  1. SELECT 이름, 학년 FROM 학과 WHERE 학생 = ‘컴퓨터’ ;
  2. SELECT 학과, 컴퓨터 FROM 학생 WHERE 이름 = ‘학년’ ;
  3. SELECT 이름, 학과 FROM 학년 WHERE 학과 = ‘컴퓨터’ ;
  4. SELECT 이름, 학년 FROM 학생 WHERE 학과 = ‘컴퓨터’ ;
(정답률: 74%)
  • 정답은 "SELECT 이름, 학년 FROM 학생 WHERE 학과 = ‘컴퓨터’ ;"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SELECT 절에서 이름과 학년을 선택하고, FROM 절에서 학생 테이블을 선택합니다.
    - WHERE 절에서 학과가 '컴퓨터'인 학생들만 선택합니다.
    - 따라서, 이름과 학년이 컴퓨터과에 속한 학생들의 정보만 출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What is the degree of a relation?

  1. the number of occurrences n of its relation schema
  2. the number of tables n of its relation schema
  3. the number of attributes n of its relation schema
  4. the number of key n of its relation schema
(정답률: 75%)
  • The degree of a relation refers to the number of attributes (columns) in its relation schema. This is because the degree of a relation determines the number of columns that are present in the table, which in turn affects the number of values that can be stored in the relation. The other options listed (number of occurrences, tables, and keys) do not directly relate to the number of attributes in the relation schema.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사항으로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무엇인가.?

  1. Entity
  2. View
  3. Value
  4. Relationship
(정답률: 71%)
  • 위 그림은 엔티티(Entity)를 나타내는 모델링 기호이다. 엔티티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실제로 존재하는 개체나 개념을 나타내며,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본 단위이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고객"이라는 엔티티를 나타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병행제어의 로킹(Locking)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병행성 수준이 낮아진다.
  2. 데이터베이스, 파일, 레코드 등은 로킹 단위가 될 수 있다.
  3.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로킹 오버헤드가 증가한다.
  4. 한꺼번에 로킹할 수 있는 단위를 로킹 단위라고 한다.
(정답률: 72%)
  •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병행성 수준이 낮아진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로킹 단위가 작아지면 오히려 병행성 수준이 높아지는데, 작은 단위로 로킹을 하면 다른 스레드나 프로세스가 해당 자원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로킹 단위가 작아질수록 로킹 오버헤드가 증가하므로 적절한 로킹 단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데이터베이스, 파일, 레코드 등은 로킹 단위가 될 수 있으며, 한꺼번에 로킹할 수 있는 단위를 로킹 단위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뷰(VIEW)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뷰는 하나 이상의 테이블로부터 유도되어 만들어지는 가상 테이블이다.
  2. 뷰 위에 또 다른 뷰를 정의할 수 있다.
  3. 뷰의 정의는 ALTER VIEW문을 이용하여 변경한다.
  4. 뷰가 정의된 기본테이블이 제거되면 뷰도 자동적으로 제거된다.
(정답률: 75%)
  • 뷰의 정의는 ALTER VIEW문을 이용하여 변경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뷰의 정의는 CREATE VIEW문을 이용하여 생성하고, ALTER VIEW문은 이미 생성된 뷰의 정의를 변경할 때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제 3정규형에서 보이스코드 정규형(BCNF)으로 정규화하기 위한 작업은?

  1. 원자 값이 아닌 도메인을 분해
  2. 부분 함수 종속 제거
  3. 이행 함수 종속 제거
  4. 결정자가 후보 키가 아닌 함수 종속 제거
(정답률: 72%)
  • BCNF는 모든 결정자가 후보 키인 정규형이다. 따라서, 제 3정규형에서 BCNF로 정규화하기 위해서는 결정자가 후보 키가 아닌 함수 종속을 제거해야 한다. 이는 중복 데이터를 제거하고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데이터베이스 언어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DDL
  2. DML
  3. DCL
  4. DRL
(정답률: 75%)
  • 이 보기는 데이터베이스 언어 중에서 데이터 정의 언어(DDL)와 데이터 조작 언어(DML), 데이터 제어 언어(DCL), 데이터 검색 언어(DRL)를 나타내고 있다. 그 중에서도 "CREATE TABLE"은 새로운 테이블을 생성하는 명령어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데이터 정의 언어(DDL)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데이터베이스 설계시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저장 레코드 양식 설계
  2. 레코드 집중의 분석 및 설계
  3. 접근 경로 설계
  4. 목표 DBMS에 맞는 스키마 설계
(정답률: 70%)
  • 목표 DBMS에 맞는 스키마 설계는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하는 사항이기 때문에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는 수행하지 않는다.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는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정의된 스키마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고 최적화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개체-관계 모델의 E-R 다이어그램에서 사용되는 기호와 그 의미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타원(원형) - 속성
  2. 선(링크) - 연결
  3. 마름모(다이아몬드) - 관계 타입
  4. 삼각형 - 개체 타입
(정답률: 85%)
  • 개체-관계 모델의 E-R 다이어그램에서 삼각형은 일반적으로 개체 타입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올바른 연결은 "마름모(다이아몬드) - 관계 타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스택(Stack)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인터럽트 처리, 서브루틴 호출 작업 등에 응용된다.
  2. FIFO 방식으로 처리된다.
  3. 순서 리스트의 뒤(Rear)에서 노드가 삽입되며, 앞(Front)에서 노드가 제거된다.
  4. 선형 리스트의 양쪽 끝에서 삽입과 삭제가 모두 가능한 자료 구조이다.
(정답률: 62%)
  • 스택은 후입선출(LIFO) 방식으로 처리되며, 순서 리스트의 뒤(Rear)에서 노드가 삽입되고 앞(Front)에서 노드가 제거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터럽트 처리, 서브루틴 호출 작업 등에 응용됩니다. 따라서 "인터럽트 처리, 서브루틴 호출 작업 등에 응용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FIFO 방식이 아닌 LIFO 방식이므로 "FIFO 방식으로 처리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선형 리스트의 양쪽 끝에서 삽입과 삭제가 모두 가능한 것은 덱(deque)이며, 스택은 한쪽 끝에서만 삽입과 삭제가 가능한 자료 구조입니다. 따라서 "선형 리스트의 양쪽 끝에서 삽입과 삭제가 모두 가능한 자료 구조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 계산기 구조

21.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모든 장치들을 인터럽트의 우선순위에 따라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우선순위 인터럽트 처리방법은?

  1. Handshaking
  2. Daisy-Chain
  3. DMA
  4. Polling
(정답률: 62%)
  • Daisy-Chain 방식은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모든 장치들을 직렬로 연결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각 장치가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면 그 다음 장치로 인터럽트 신호를 전달하고, 마지막 장치에서는 인터럽트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기다린 후에 다시 첫 번째 장치로 인터럽트 신호를 전달합니다. 이렇게 하면 우선순위가 높은 장치부터 처리할 수 있으며, 처리 중 다른 장치에서 인터럽트가 발생해도 처리가 중단되지 않고 계속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인터프리터(Interpreter)를 사용하는 언어는?

  1. BASIC
  2. FORTRAN
  3. PASCAL
  4. Machine Code
(정답률: 59%)
  • BASIC은 인터프리터를 사용하는 언어입니다. BASIC 코드는 실행될 때 한 줄씩 해석되고 실행되기 때문에 인터프리터가 필요합니다. FORTRAN과 PASCAL은 컴파일러를 사용하는 언어이며, Machine Code는 기계어로 작성된 코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Interrupt 발생 원인이 아닌 것은?

  1. 정전
  2. Operator의 의도적인 조작
  3. 임의의 부프로그램에 대한 호출
  4. 기억공간 내 허용되지 않는 곳에의 접근 시도
(정답률: 60%)
  • Interrupt는 CPU가 현재 수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다른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발생하는 신호입니다. 이 중에서 "임의의 부프로그램에 대한 호출"은 Interrupt 발생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Interrupt는 보통 하드웨어나 운영체제에서 발생하며, 프로그램이나 부프로그램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임의의 부프로그램에 대한 호출"은 Interrupt 발생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중앙처리장치의 기억 모듈에 중복적인 데이터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서 연속된 데이터 또는 명령어들을 기억장치모듈에 순차적으로 번갈아 가면서 처리하는 방식은?

  1. 복수 모듈
  2. 인터리빙
  3. 멀티플렉서
  4. 셀렉터
(정답률: 69%)
  • 인터리빙은 중복적인 데이터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으로, 연속된 데이터나 명령어들을 번갈아 가면서 기억장치 모듈에 저장하고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여러 모듈이 동시에 같은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터리빙"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미소의 콘덴서에 전하를 충전하는 형태의 원리를 이용하는 메모리로, 재충전(Refresh)이 필요한 메모리는?

  1. SRAM
  2. DRAM
  3. PROM
  4. EPROM
(정답률: 63%)
  • DRAM은 미소의 콘덴서에 전하를 충전하는 형태의 원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이며, 콘덴서에 저장된 전하가 시간이 지나면서 누설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재충전(Refresh)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DRAM은 재충전이 필요한 메모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랜덤(Random) 처리가 되지않는 기억장치는?

  1. 자기 드럼
  2. 자기 디스크
  3. 자기 테이프
  4. 자기 코어
(정답률: 70%)
  • 자기 테이프는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기 때문에 랜덤(Random) 처리가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특정 위치의 데이터를 읽거나 쓰기 위해서는 해당 위치까지 순차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이와 달리 자기 드럼, 자기 디스크, 자기 코어는 랜덤(Random) 처리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2의 보수(2’s Complement) 가산 회로로서 정수 곱셈을 이행할 경우 필요 없는 것은?

  1. Shift
  2. Add
  3. Complement
  4. Normalize
(정답률: 54%)
  • 2의 보수 가산 회로로서 정수 곱셈을 이행할 경우 필요 없는 것은 "Normalize" 이다. 이는 곱셈 결과를 정규화(normalize)하는 과정으로, 2의 보수 가산 회로에서는 이미 결과가 2의 보수 형태로 나오기 때문에 추가적인 정규화 과정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Normalize"는 필요 없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데이터 처리 명령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전송 명령어
  2. 로테이트 명령어
  3. 논리 명령어
  4. 산술 명령어
(정답률: 43%)
  • 전송 명령어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명령어가 아니라,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저장하는 명령어이기 때문에 데이터 처리 명령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명령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부동 소수점 수(Floating Point Number)에서 음수를 나타내는 방법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가수의 부호가 (+)이면 1, (-)이면 0으로 나타낸다.
  2. 지수는 부호에 관계없이 bias 값에 더한다.
  3. 지수는 부호 (-)이면 2의 보수로 나타낸다.
  4. 지수는 부호 (-)이면 1의 보수로 나타낸다.
(정답률: 38%)
  • 부동 소수점 수에서 음수를 나타내는 방법은 가수와 지수를 나누어서 처리하는 것입니다. 가수의 부호를 나타내는 비트를 따로 두어 (+)이면 1, (-)이면 0으로 나타내고, 지수는 부호에 관계없이 bias 값에 더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음수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지수를 2의 보수나 1의 보수로 나타내는 것은 부호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 아니라, 지수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컴퓨터의 제어 장치에 일반적으로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해독기
  2. 순서기
  3. 주기억장치
  4. 주소 처리기
(정답률: 53%)
  • 주기억장치는 컴퓨터의 제어 장치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주기억장치가 데이터를 저장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제어 장치는 명령어를 해독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해독기, 순서기, 주소 처리기 등이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데이터 처리 명령어 중 SHL은 누산기의 내용을 좌측으로 1bit 이동하는 명령어이다. 이와 같은 명령어의 주소지정방식은?

  1. 직접 주소지정방식
  2. 간접 주소지정방식
  3. 묵시적 주소지정방식
  4. 레지스터 주소지정방식
(정답률: 36%)
  • SHL 명령어는 누산기의 내용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특정한 메모리 주소나 레지스터를 명시적으로 지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묵시적 주소지정방식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캐시(Cache) 기억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의 정보교환을 위해 임시 보관하는 장치이다.
  2. 중앙처리장치의 속도와 주기억장치의 속도를 가능한 같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3. 캐시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정보 교환을 위하여 임시 저장하는 장치이다.
  4. 캐시와 주기억장치의 속도를 같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정답률: 67%)
  •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의 속도 차이를 줄이기 위해 중앙처리장치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임시 보관장치이다. 따라서 정답은 "중앙처리장치의 속도와 주기억장치의 속도를 가능한 같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CPU의 메이저 상태(Major State)로 볼 수 없는 것은?

  1. Fetch
  2. Indirect
  3. Execute
  4. Direct
(정답률: 58%)
  • "Direct"는 CPU의 메이저 상태(Major State)로 볼 수 없는 것이다. 이유는 "Direct"는 메모리 주소를 직접 참조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이기 때문에, CPU의 메이저 상태(Major State)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반면에 "Fetch", "Indirect", "Execute"는 CPU의 메이저 상태(Major State) 중 하나로서, 명령어를 가져오는(fetch), 간접적인 주소 참조(indirect), 명령어를 실행(execute)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사용자가 한번만 내용을 기입할 수 있으나, 지울 수 없는 것은?

  1. RAM
  2. PROM
  3. EPROM
  4. EEPROM
(정답률: 61%)
  • 사용자가 한번만 내용을 기입할 수 있는 것은 "PROM"이다. PROM은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사용자가 한번만 내용을 기입할 수 있고, 이후에는 수정이 불가능하다. RAM은 "Random Access Memory"의 약자로, 읽고 쓰기가 자유롭고, EPROM과 EEPROM은 각각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와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내용을 지우고 다시 기입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마이크로 사이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수행에 필요한 시간을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이라 한다.
  2.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중에서 수행 시간이 가장 긴 것을 정의한 방식이 동기 고정식이다.
  3.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에 따라서 수행 시간을 다르게 하는 것을 동기 가변식이라 한다.
  4.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들의 수행 시간이 유사한 경우에 유리한 방식은 동기 가변식이다.
(정답률: 59%)
  • 정답은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들의 수행 시간이 유사한 경우에 유리한 방식은 동기 가변식이다."이다. 이유는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들의 수행 시간이 유사한 경우에는 동기 고정식이 더 유리하다. 동기 고정식은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들의 수행 시간이 동일하기 때문에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더 효율적이다. 반면에 동기 가변식은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에 따라 수행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Parallel Process 중 Pipeline Process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SISD(Single Instruction Single Data)
  2. MISD(Multi Instruction Single Data)
  3. SIMD(Single Instruction Multi Data)
  4. MIMD(Multi Instruction Multi Data)
(정답률: 39%)
  • Pipeline Process는 하나의 명령어를 여러 단계로 나누어 처리하는 방식으로, 각 단계는 다른 명령어를 처리하는 것과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Pipeline Process는 MISD(Multi Instruction Single Data)와 관련이 있다. MISD는 여러 개의 명령어가 하나의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는 구조로, 각 명령어는 서로 다른 연산을 수행하며, 하나의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Pipeline Process에서도 여러 개의 명령어가 동시에 처리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인터럽트 작동 순서가 올바른 것은?

  1. ③→⑤→④→②→①
  2. ④→③→⑤→②→①
  3. ⑤→②→③→①→④
  4. ①→③→④→⑤→③
(정답률: 81%)
  •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멈추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ISR)으로 이동하여 해당 인터럽트를 처리합니다.

    ③: 인터럽트가 발생합니다.
    ⑤: CPU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상태를 저장하고, ISR로 이동합니다.
    ④: ISR에서 해당 인터럽트를 처리합니다.
    ②: ISR가 끝나면, CPU는 이전에 실행 중이던 프로그램으로 복귀합니다.
    ①: CPU는 이전에 실행 중이던 프로그램을 계속 실행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③→⑤→④→②→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DMA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DMA는 Direct Memory Access의 약자이다.
  2. DMA는 기억장치와 주변장치 사이의 직접적인 데이터 전송을 제공한다.
  3. DMA는 블록으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4. DMA는 입·출력 전송에 따른 CPU의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정답률: 69%)
  • "DMA는 입·출력 전송에 따른 CPU의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DMA는 CPU의 개입 없이 입·출력 전송을 처리하기 때문에 CPU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명령문의 구성 형태 중 하나의 오퍼랜드가 누산기에 포함된 명령어 형식은?

  1. 0-주소 명령어
  2. 1-주소 명령어
  3. 2-주소 명령어
  4. 3-주소 명령어
(정답률: 70%)
  • 누산기에 포함된 명령어 형식은 "1-주소 명령어"이다. 이는 명령어에서 오퍼랜드가 하나만 존재하며, 그 오퍼랜드가 누산기를 가리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누산기에 저장된 값을 다른 레지스터나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다른 값을 더하거나 빼는 등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CAM(Content Addressable Memory)의 특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값이 싸다.
  2. 구조 및 동작이 간단하다.
  3. 명령어를 순서대로 기억시킨다.
  4. 저장된 내용의 일부를 이용하여 정보의 위치를 검색한다.
(정답률: 70%)
  • CAM은 저장된 내용의 일부를 이용하여 정보의 위치를 검색하는데, 이는 검색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주소를 찾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 및 동작이 간단하며, 명령어를 순서대로 기억시키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CAM은 값이 비싸지만, 빠른 검색 속도와 간단한 구조로 인해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운영체제

41. 유닉스에서 파일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는 명령과 파일의 보호 모드를 설정하여 파일의 사용 허가를 지정하는 명령을 순서적으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cp, rm
  2. open, chown
  3. cat, chmod
  4. type, mkdir
(정답률: 79%)
  • cat 명령은 파일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는 명령이고, chmod 명령은 파일의 보호 모드를 설정하여 파일의 사용 허가를 지정하는 명령입니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cat, chmo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SSTF 방식을 사용할 경우 현재 헤드가 53에 있다고 가정하면, 디스크 대기 큐에 다음과 같은 순서(왼쪽부터 먼저 도착한 순서임)의 액세스 요청이 대기 중일 때 가장 먼저 실행되는 것은?

  1. 80
  2. 122
  3. 65
  4. 76
(정답률: 74%)
  • SSTF 방식은 현재 헤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요청을 먼저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현재 헤드 위치가 53이고 대기 중인 요청 중에서 가장 가까운 것은 65입니다. 따라서 65가 가장 먼저 실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프로세스의 정의로 거리가 먼 것은?

  1. 프로시저가 활동 중인 것
  2. 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
  3. PCB를 가진 프로그램
  4. 실행 중인 프로그램
(정답률: 68%)
  • "프로시저가 활동 중인 것", "PCB를 가진 프로그램", "실행 중인 프로그램"은 모두 프로세스의 정의에 해당하는 용어이지만, "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는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나 시스템 자원과 상호작용하여 일을 처리할 때, 그 일을 주도하는 주체를 의미합니다. 즉, 다른 프로세스나 시스템 자원과 상호작용하여 일을 처리하는 주체가 프로세스이며, 이 때 프로세스는 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파일 구성 방식 중 ISAM(Indexed Sequential Access Merhod)의 물리적인 색인 구성은 디스크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색인(Index)을 구성하는데, 다음 중 3단계 색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실린더 색인(Cylinder Index)
  2. 트랙 색인(Track Index)
  3. 마스터 색인(Master Index)
  4. 볼륨 색인(Volume Index)
(정답률: 63%)
  • 볼륨 색인은 디스크의 물리적인 특성과는 관련이 없는 논리적인 구성 방식으로, 여러 개의 ISAM 파일을 하나의 논리적인 단위로 묶어서 관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ISAM 파일의 물리적인 색인 구성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유닉스의 I-node에 포함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파일이 최초로 수정된 시간
  2. 파일 소유자의 사용자 식별
  3. 파일의 크기
  4. 파일의 링크 수
(정답률: 74%)
  • I-node에는 파일의 최초 생성 시간, 최종 수정 시간, 최종 접근 시간, 파일 소유자의 사용자 식별, 파일의 크기, 파일의 링크 수 등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파일이 최초로 수정된 시간"도 I-node에 포함되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유닉스에서 기존 파일 시스템에 새로운 파일 시스템을 서브 디렉토리에 연결할 때 사용하는 명령은?

  1. mount
  2. mkfs
  3. fsck
  4. mknod
(정답률: 61%)
  • "mount" 명령은 유닉스에서 기존 파일 시스템에 새로운 파일 시스템을 서브 디렉토리에 연결할 때 사용하는 명령입니다. 이 명령은 새로운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mount)하여 기존 파일 시스템의 일부로 만들어줍니다. 이렇게 하면 새로운 파일 시스템의 파일들을 기존 파일 시스템의 일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mkfs"는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 "fsck"는 파일 시스템을 검사하는 명령, "mknod"는 디바이스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분산 처리 시스템의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신뢰도 향상
  2. 자원 공유
  3. 연산 속도 향상
  4. 보안성 향상
(정답률: 76%)
  • 보안성 향상은 분산 처리 시스템의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분산 처리 시스템은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자원을 공유하고 연산 속도를 향상시키며, 신뢰도를 높이는 등의 장점이 있지만, 보안성 향상은 그 중 하나가 아닙니다. 보안성 향상은 보안 기술과 방법을 적용하여 시스템의 보안성을 높이는 것이며, 분산 처리 시스템과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분산 운영체제의 구조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Multi-Access Bus Connection
  2. Hierarchy Connection
  3. Star Connection
  4. Ring Connection
(정답률: 72%)
  • 이 구조는 Multi-Access Bus Connection이다. 이는 모든 노드가 하나의 버스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경쟁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이 구조는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들며, 노드를 추가하거나 제거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파일 보호 기법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Cryptography
  2. Password
  3. Naming
  4. Access Control
(정답률: 72%)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사용자에 대한 접근 권한을 설정하는 Access Control 기법이다. 다른 기법들은 파일 내용을 암호화하거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등 파일 자체를 보호하는 방법이지만, Access Control은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를 제한함으로써 파일 보호를 달성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매크로 프로세서가 수행해야 하는 기본적인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매크로 정의 확장
  2. 매크로 호출 인식
  3. 매크로 정의 인식
  4. 매크로 정의 저장
(정답률: 64%)
  • 매크로 정의 확장은 매크로 프로세서가 수행해야 하는 기본적인 기능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매크로를 정의할 때 사용되며, 매크로를 호출할 때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매크로 정의 확장은 매크로 정의를 확장하거나 수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매크로 정의 확장을 사용하여 매크로에 새로운 매개 변수를 추가하거나, 기존 매개 변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크로 정의 확장은 매크로를 호출하는 것과는 별개의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메모리 관리 기법 중 Worst Fit 방법을 사용할 경우 9K가 요구되는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어느 부분이 할당되는가?

  1. a 영역
  2. b 영역
  3. c 영역과 d 영역
  4. e 영역
(정답률: 74%)
  • Worst Fit 방법은 가장 큰 메모리 블록을 찾아서 해당 프로그램에 할당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9K가 요구되는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가장 큰 메모리 블록인 "e 영역"이 할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중 프로그래밍 작성의 환경에서 어떤 프로그램의 실행을 중단하고 다른 프로그램의 실행을 재개할 때, 그 프로그램의 재개에 필요한 환경을 다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운영체제에서 Overhead의 큰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는 것은?

  1. Context Switching
  2. Monitor
  3. Semaphore
  4. Dispatching
(정답률: 56%)
  • 다중 프로그래밍 환경에서는 여러 개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실행되기 때문에, 운영체제는 CPU를 할당하고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관리해야 합니다. 이때, 어떤 프로그램의 실행을 중단하고 다른 프로그램의 실행을 재개할 때, 그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환경을 다시 설정해야 합니다. 이를 "Context Switching"이라고 합니다. 이 작업은 CPU의 시간과 자원을 소모하므로, 운영체제에서 Overhead의 큰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파일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급 언어에 대한 번역 기능을 제공한다.
  2. 사용자가 파일을 생성, 수정,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3. 파일 공유를 위해서 여러 종류의 접근 제어 기법을 제공한다.
  4. 불의의 사태에 대비한 예비(Backup)와 복구(Recovery)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정답률: 73%)
  • "고급 언어에 대한 번역 기능을 제공한다."는 파일 시스템과 관련이 없는 용어이다. 파일 시스템은 사용자가 파일을 생성, 수정,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파일 공유를 위해 접근 제어 기법을 제공하며, 불의의 사태에 대비한 예비와 복구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선점(Preemptive) 기법의 스케줄링에 해당하는 것은?

  1. FIFO
  2. SJF
  3. HRN
  4. RR
(정답률: 47%)
  • 선점(Preemptive) 기법은 프로세스가 실행 중일 때 다른 프로세스가 CPU를 선점하여 실행하는 기법을 말한다. 이 중에서 Round Robin(RR)은 시간 할당량(Time Quantum)을 정해놓고, 해당 시간 동안 프로세스를 실행하다가 시간이 다 되면 다른 프로세스로 CPU를 넘기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RR은 선점 기법 중에서 시간 분할(Time Sharing)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며, 각 프로세스가 공정하게 CPU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운영체제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영체제는 컴퓨터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간의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는 일종의 하드웨어 장치다.
  2. 운영체제는 컴퓨터를 편리하게 사용하고 컴퓨터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3.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 요소에는 처리 능력, 반환 시간, 사용 가능도, 신뢰도 등이 있다.
  4. 운영체제는 프로세서, 메모리, 주변장치, 파일 등을 관리한다.
(정답률: 76%)
  • "운영체제는 컴퓨터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간의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는 일종의 하드웨어 장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이며,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파일의 구성 방식 중 순차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가적인 정보를 보관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공간 낭비가 없다.
  2. 파일 구성이 용이하다.
  3. 대화식 처리보다 일괄 처리에 적합한 구조이다.
  4. 임의의 특정 레코드를 검색하는 효율이 높다.
(정답률: 72%)
  • 순차 파일은 레코드가 일정한 순서로 저장되는 파일 구성 방식이다. 따라서 임의의 특정 레코드를 검색하는 효율이 높지 않다. 대신 파일의 처음부터 순서대로 읽어가면서 원하는 레코드를 찾아야 하기 때문에 검색 속도가 느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 동안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의 집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Working Set
  2. Locality
  3. Thrashing
  4. Prepaging
(정답률: 66%)
  • 정답은 "Working Set"이다.

    프로세스가 실행 중일 때,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들의 집합을 "Working Set"이라고 한다. 이는 메모리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운영체제는 Working Set을 기반으로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메모리 사용량을 최적화하고 성능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Working Set은 프로세스의 성능과 메모리 사용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개념이다.

    "Locality"는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 동안 참조하는 페이지들이 서로 가까이 위치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Thrashing"은 페이지 부재가 지나치게 빈번하게 발생하여 시스템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Prepaging"은 프로세스가 실행되기 전에 필요한 페이지들을 미리 메모리에 적재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SJF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한 것으로, 프로그램의 처리 순서는 그 실행(서비스) 시간의 길이뿐만 아니라 대기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스케줄링 방식은?

  1. SRT
  2. HRN
  3. MFQ
  4. RR
(정답률: 63%)
  • HRN 방법은 SJF 방법의 단점인 긴 작업이 계속해서 대기하는 현상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방법입니다. HRN 방법은 작업의 실행 시간 뿐만 아니라 대기 시간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대기 시간이 긴 작업에게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빠르게 처리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HRN 방법은 SJF 방법보다 더욱 공정한 스케줄링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HRN 방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LRU 교체 기법에서 페이지 프레임이 3일 경우 페이지 호출 순서가 3인 곳(화살표 부분)의 빈칸을 위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3, 2, 1
  2. 7, 3, 1
  3. 7, 2, 3
  4. 5, 2, 3
(정답률: 7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공간 구역성(Spatial Locality)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1. 스택(Stack)
  2. 순환(Looping)
  3. 배열 순례(Array Traversal)
  4. 부프로그램(Subprogram)
(정답률: 63%)
  • 공간 구역성은 메모리에서 인접한 위치에 있는 데이터에 접근할 때 발생하는 성질을 말한다. 이러한 성질은 배열 순례에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배열 순례는 배열의 첫 번째 요소부터 마지막 요소까지 차례로 접근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인접한 요소들은 메모리에서 인접한 위치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공간 구역성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배열 순례는 공간 구역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프트웨어 공학

61. 소프트웨어 재사용의 이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개발 비용을 감소시킨다.
  2. 프로그램 언어가 종속적이다.
  3. 소프트웨어 품질을 향상 시킨다.
  4. 프로그램 생성 지식을 공유하게 된다.
(정답률: 68%)
  • 정답: "프로그램 언어가 종속적이다."

    설명: 소프트웨어 재사용은 개발 비용을 감소시키고 소프트웨어 품질을 향상시키며, 프로그램 생성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개발 생산성을 높이는 등 여러 가지 이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프로그램 언어가 종속적이라면, 재사용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이점으로 볼 수 없습니다. 즉, 재사용을 위해서는 언어에 대한 제약이 존재하지 않는 범용적인 소프트웨어 구조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구조적 분석도구인 자료흐름도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Process
  2. Data Store
  3. Definition
  4. Terminator
(정답률: 54%)
  • 자료흐름도의 구성 요소는 Process, Data Store, Terminator, 그리고 Data Flow이다. Definition은 자료흐름도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개념을 정의하는 것으로, 구성 요소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사용자의 요구사항 분석 작업이 어려운 이유와 거리가 먼 것은?

  1. 개발자와 사용자 간의 지식이나 표현의 차이가 커서 상호 이해가 쉽지 않다.
  2. 사용자의 요구는 예외가 거의 없어 열거와 구조화가 어렵지 않다.
  3.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모호하고 부정확하며, 불완전하다.
  4. 개발하고자 하는 시스템 자체가 복잡하다.
(정답률: 65%)
  • 사용자의 요구가 예외가 거의 없어 열거와 구조화가 어렵다는 것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것이 대부분 명확하고 일관성이 있어서 구체적으로 나열하고 분류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개발자와 사용자 간의 소통과 이해가 더욱 중요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소프트웨어 설계의 품질을 평가하는 척도로 결합도와 응집력이 사용된다. 다음 중 가장 우수한 설계 품질은?

  1. 모듈간의 결합도는 높고 모듈내부의 응집력은 높다.
  2. 모듈간의 결합도는 높고 모듈내부의 응집력은 낮다.
  3. 모듈간의 결합도는 낮고 모듈내부의 응집력은 높다.
  4. 모듈간의 결합도는 낮고 모듈내부의 응집력은 낮다.
(정답률: 74%)
  • 정답은 "모듈간의 결합도는 낮고 모듈내부의 응집력은 높다." 이다.

    모듈간의 결합도가 낮다는 것은 다른 모듈과의 의존성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모듈이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고, 수정이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모듈내부의 응집력이 높다는 것은 모듈 내부의 요소들이 서로 관련성이 높고, 목적에 맞게 잘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모듈의 기능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인다.

    따라서 모듈간의 결합도는 낮고 모듈내부의 응집력은 높은 설계가 가장 우수한 설계 품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Rumbaugh의 객체 모델링 기법(OMT)에서 사용하는 세가지 모델링이 아닌 것은?

  1. 객체 모델링(Object Modeling)
  2. 정적 모델링(Static Modeling)
  3. 동적 모델링(Dynamic Modeling)
  4. 기능 모델링(Functional Modeling)
(정답률: 73%)
  • 정적 모델링은 OMT에서 사용하는 모델링 기법 중 하나가 아닙니다. 객체 모델링은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객체로 모델링하는 것이고, 동적 모델링은 객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모델링하는 것입니다. 기능 모델링은 시스템의 기능을 모델링하는 것입니다. 반면에 정적 모델링은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의 정적인 특성을 모델링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클래스 다이어그램이나 객체 다이어그램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소프트웨어 개발시 위험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인력부족
  2. 유지보수
  3. 예산부족
  4. 요구변경
(정답률: 55%)
  • 소프트웨어 개발시 위험요소 중에서 "유지보수"가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소프트웨어 개발이 완료되고 배포된 이후에 발생하는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개발자들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주로 초기 개발에 집중하고, 이후 유지보수나 업그레이드에 대한 고려는 부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지보수는 개발자들이 미리 예측하고 대비해야 할 문제이지만, 보통은 개발이 완료된 이후에 발생하는 문제로, 위험요소에서는 가장 거리가 먼 것으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나씨-슈나이더만(Nassi-Schneiderman) 도표는 구조적 프로그램을 표현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 방법에서 알고리즘의 제어구조는 3가지로 충분히 표현될 수 있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선택, 다중선택(if ∼ then ∼ else, case)
  2. 반복(repeat ∼ until, while, for)
  3. 분기(goto, return)
  4. 순차(sequential)
(정답률: 55%)
  • 나씨-슈나이더만 도표는 구조적 프로그램을 표현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알고리즘의 제어구조는 선택, 다중선택, 반복으로 충분히 표현될 수 있다. 하지만 분기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불규칙하게 만들어 가독성을 떨어뜨리고 오류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나씨-슈나이더만 도표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분기(goto, retur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위험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위험분석은 프로젝트에 내재한 위험 요소를 인식하고 그 영향을 분석하는 활동이다.
  2. 가능한 모든 위험 요소와 영향을 분석하여 의사 결정에 반영한다.
  3. 위험요소에 대해 효과적이지 못한 관리는 프로젝트 실패의 결과도 가져올 수 있다.
  4. 소프트웨어 사용자에 대한 위험성도 심각하게 고려한다.
(정답률: 73%)
  • 위험분석은 프로젝트에 내재한 위험 요소를 파악하고 그 영향을 분석하는 활동이다. 가능한 모든 위험 요소와 영향을 분석하여 의사 결정에 반영하며, 위험요소에 대해 효과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프로젝트 실패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 중에서 "소프트웨어 사용자에 대한 위험성도 심각하게 고려한다."는 것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프로젝트에 있어서도 중요한 요소이며, 그들의 안전과 보안을 고려하지 않으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CASE(Computer Aided Software Engineer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그램의 구현과 유지보수 작업만을 중심으로 소프트웨어생산성 문제를 해결한다.
  2.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의 전체 단계를 연결해 주고 자동화해 주는 통합된 도구를 제공한다.
  3. 개발 과정의 속도를 향상 시킨다.
  4. 소프트웨어 부품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정답률: 57%)
  • "프로그램의 구현과 유지보수 작업만을 중심으로 소프트웨어생산성 문제를 해결한다."는 CASE의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CASE는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의 전체 단계를 연결하고 자동화해 주는 통합된 도구를 제공하여 개발 과정의 속도를 향상시키고 소프트웨어 부품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CASE는 프로그램의 구현과 유지보수 작업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의 모든 단계에서 생산성 문제를 해결하는데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 테스트 기법은?

  1. 화이트박스 테스트
  2. 블랙박스 테스트
  3. 레드박스 테스트
  4. 블루박스 테스트
(정답률: 66%)
  • 이 그림은 소프트웨어의 입력과 출력을 테스트하는 것으로, 내부 동작 과정은 고려하지 않고 기능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춘 것입니다. 이러한 테스트 방법을 블랙박스 테스트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소프트웨어 부품에 적용되는 품질로서, 과학 계산용 라이브러리와 같이 이미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1. 신뢰성
  2. 재사용성
  3. 확장성
  4. 유지보수성
(정답률: 80%)
  • 재사용성은 이미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다른 소프트웨어 부품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품질이다. 이는 개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코드의 일관성과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매우 중요한 품질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재사용 라이브러리가 가져야 할 속성이 아닌 것은?

  1. 확장성
  2. 비표준화된 요소 표현 형식
  3. 재사용 요소들의 생성, 편집 등을 허용하는 연산
  4. 편리한 접근, 탐색, 버전관리, 제어 변경
(정답률: 72%)
  • 비표준화된 요소 표현 형식은 재사용 라이브러리가 가져야 할 속성이 아닙니다. 이는 표준화된 형식이 아니므로 다른 시스템에서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유지보수 및 업그레이드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재사용 라이브러리는 표준화된 요소 표현 형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은 소프트웨어의 특성에 대한 설명이다. 각 특성의 정의를 올바르게 짝지은 것은?

  1. (1) 효율성, (2) 유지보수성, (3) 사용용이성
  2. (1) 사용용이성, (2) 유지보수성, (3) 효율성
  3. (1) 유지보수성, (2) 효율성, (3) 사용용이성
  4. (1) 효율성, (2) 사용용이성, (3) 유지보수성
(정답률: 72%)
  • (1) 유지보수성: 소프트웨어가 변경되거나 수정되어도 기존의 기능이 유지되는 능력을 말한다. 즉, 소프트웨어를 유지보수하기 쉽고 수정하기 용이해야 한다.

    (2) 효율성: 소프트웨어가 주어진 자원(시간, 메모리 등)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을 말한다. 즉, 소프트웨어가 빠르고 경제적으로 동작해야 한다.

    (3) 사용용이성: 소프트웨어가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즉, 소프트웨어가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워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 유지보수성, (2) 효율성, (3) 사용용이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CPM(Critical Path Method)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CPM 네트워크는 노드와 간선으로 구성된 네트워크이다.
  2. CPM 네트워크는 프로젝트 완성에 필요한 작업을 나열하고,작업에 필요한 소요기간을 예측하는데 사용된다.
  3. CPM 네트워크에서 작업의 선후 관계는 파악되지 않아도 무관하다.
  4. CPM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시간을 정확히 예측해야 한다.
(정답률: 68%)
  • "CPM 네트워크에서 작업의 선후 관계는 파악되지 않아도 무관하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CPM 네트워크에서는 작업 간의 선후 관계를 파악하여 작업의 선후 관계를 정확히 파악하고, 프로젝트 완성까지 걸리는 시간을 예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CPM 네트워크에서는 작업 간의 선후 관계를 정확히 파악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객체지향에서 캡슐화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재사용이 용이하다.
  2. 인터페이스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3. 응집도가 향상된다.
  4. 결합도가 높아진다.
(정답률: 67%)
  • 정답은 "결합도가 높아진다." 이다. 캡슐화는 객체의 내부 구현을 외부에서 접근하지 못하도록 숨기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 객체의 내부 구현이 변경되더라도 외부에서는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캡슐화는 객체의 응집도를 높이고, 인터페이스를 단순화시키며, 재사용성을 높이는 등의 이점을 가진다. 그러나 캡슐화를 지나치게 사용하면 객체 간의 결합도가 높아져 유지보수가 어려워질 수 있다. 결합도가 높아지면 객체 간의 의존성이 높아져서 하나의 객체를 수정하면 다른 객체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수준의 캡슐화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소프트웨어의 문서(Document) 표준이 되었을 때, 개발자가 얻는 이득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스템 개발을 위한 분석 설계가 용이하다.
  2. 프로그램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3. 프로그램의 확장성이 있다.
  4. 프로그램 개발 인력이 감소된다.
(정답률: 71%)
  • 소프트웨어의 문서 표준이 되면, 개발자들은 표준화된 문서를 사용하여 개발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개발을 위한 분석 설계가 용이해지고, 프로그램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며, 프로그램의 확장성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이유로 프로그램 개발 인력이 감소됩니다. 즉, 표준화된 문서를 사용하면 개발자들이 더욱 효율적으로 개발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인력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3P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3P에 직접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People
  2. Program
  3. Problem
  4. Process
(정답률: 70%)
  • 3P는 "People", "Problem", "Process"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Program"은 프로젝트의 결과물이나 제품에 해당하는 것으로, 프로젝트 관리에서는 중요하지만 3P에 직접적으로 해당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Progra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기존에 있던 소프트웨어를 파기하지 않고 변경된 사용자의 요구사항이나 수정된 환경으로 기존 소프트웨어를 수정 보완하여 재구축하자는 개념은?

  1. 소프트웨어 재공학(Reengineering)
  2. 소프트웨어 재판매(Resale)
  3. 소프트웨어 재정의(Redefine)
  4. 소프트웨어 재조정(Readjust)
(정답률: 81%)
  • 기존 소프트웨어를 파기하지 않고 수정 보완하여 재구축하는 개념은 "소프트웨어 재공학(Reengineering)"이다. 이는 기존 소프트웨어를 새로운 요구사항이나 환경에 맞게 재구성하는 과정으로, 기존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보다 효율적이고 최신 기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소프트웨어 재판매(Resale)", "소프트웨어 재정의(Redefine)", "소프트웨어 재조정(Readjust)"은 해당 개념과 다른 의미를 가지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모형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폭포수 모형
  2. 나선형 모형
  3. 프로토타입 모형
  4. 4GT 모형
(정답률: 81%)
  • 이 모형은 초기에 사용자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간단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사용자와 함께 검토하며 개선해나가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후에는 이를 바탕으로 실제 개발을 진행하게 됩니다. 따라서 초기에 사용자 요구사항을 정확히 파악하고, 빠르게 개발을 진행할 수 있는 경우에 적합한 모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객체지향 개념에서 객체가 메시지를 받아 실행해야 할 객체의 구체적인 연산을 정의한 것은?

  1. 클래스
  2. 메시지
  3. 인스턴스
  4. 메소드
(정답률: 69%)
  • 객체지향 개념에서 객체는 메시지를 받으면 해당 객체의 메소드를 실행하여 구체적인 연산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객체가 실행해야 할 구체적인 연산을 정의한 것이 바로 메소드입니다.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틀이고, 인스턴스는 클래스를 통해 생성된 객체를 의미합니다. 메시지는 객체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요청이며, 메소드는 이러한 요청에 대한 구체적인 처리 방법을 정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메소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데이터 통신

81. 다음 중 시분할 다중화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나의 회선을 다수의 짧은 시간 간격으로 분할하여 다중화한다.
  2. 전송로의 데이터 전송시간을 일정한 타임 슬롯으로 나누어 각 부채널로 분배하여 비동기형만 사용하고 있다.
  3. 전송은 디지털로 이루어 진다.
  4.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의 경우에는 동시에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터미널의 수가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정답률: 57%)
  • "전송로의 데이터 전송시간을 일정한 타임 슬롯으로 나누어 각 부채널로 분배하여 비동기형만 사용하고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시분할 다중화 방식은 동기형과 비동기형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비동기형의 경우에는 일정한 타임 슬롯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방식은 전송로를 분할하여 다수의 부채널로 나누어 전송함으로써 전송 효율을 높이는 방식입니다. 디지털로 이루어지며,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의 경우에는 동시에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터미널의 수가 동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회선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문자 중 실제 전송할 데이터 집합의 시작임을 의미하는 통신 제어문자는?

  1. SOH
  2. STX
  3. SYN
  4. DLE
(정답률: 66%)
  • STX는 Start of Text의 약자로, 데이터 전송의 시작을 나타내는 제어 문자입니다. 따라서 STX는 실제 전송할 데이터 집합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OSI 참조 모델의 계층에서 통신 시스템간의 경로 배정, 주소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1. 물리 계층
  2. 데이터링크 계층
  3. 네트워크 계층
  4. 전송 계층
(정답률: 47%)
  • 네트워크 계층은 통신 시스템간의 경로 배정, 주소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 계층은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 경로를 설정하고, 패킷을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IP 주소를 사용하여 목적지를 식별하고, 라우터를 통해 패킷을 전달합니다. 따라서 OSI 참조 모델에서 통신 시스템간의 경로 배정, 주소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네트워크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지능 다중화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장비이다.
  2. 통계적 다중화기라고 한다.
  3. 가격이 저렴하고 접속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된다.
  4. 기억장치, 복잡한 주소제어 회로 등이 필요하다.
(정답률: 65%)
  • 지능 다중화기는 기억장치나 복잡한 주소제어 회로 등이 필요하지 않으며,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장비이며 통계적 다중화기라고도 한다. 따라서 가격이 저렴하고 접속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된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X.25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비연결형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2. 사용자 장치(DTE)와 패킷 네트워크 노드(DCE) 간의 데이터 교환절차를 정의한다.
  3. 물리계층, 링크계층, 패킷계층으로 구성된다.
  4. 흐름 및 오류 제어기능을 제공한다.
(정답률: 43%)
  • "비연결형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X.25 프로토콜은 연결형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사용자 장치(DTE)와 패킷 네트워크 노드(DCE) 간의 가상 회선을 설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연결 설정, 유지, 해제 과정이 필요하며, 흐름 및 오류 제어 기능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비트 방식의 데이터링크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1. HDLC
  2. SDLC
  3. LAPB
  4. BSC
(정답률: 45%)
  • BSC는 비트 방식의 데이터링크 프로토콜이 아닙니다. BSC는 바이트 동기화 프로토콜(Byte Synchronous Communication Protocol)로, 바이트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반면, HDLC, SDLC, LAPB은 모두 비트 방식의 데이터링크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고속 이더넷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송속도는 1Gbps 이다.
  2. 표준안은 IEEE 802.8이다.
  3. 구축비용이 FDDI보다 많이 소요된다.
  4. 기존의 10Mbps용 이더넷과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정답률: 48%)
  • 고속 이더넷은 전송속도가 1Gbps이며, 표준안은 IEEE 802.8이다. 구축비용은 FDDI보다 많이 소요되지만, 기존의 10Mbps용 이더넷과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고속 이더넷이 이더넷 프레임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통신사업자의 회선을 임차하여 단순한 전송기능 이상의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성 등 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통신망은?

  1. CATV
  2. LAN
  3. ISDN
  4. VAN
(정답률: 66%)
  • VAN은 "Value Added Network"의 약자로, 통신사업자의 회선을 임차하여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성 등 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통신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CATV는 케이블 TV, LAN은 지역 네트워크, ISDN은 통합 디지털 통신망을 의미하므로, VAN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패킷교환방식 중 가상회선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전송 중에는 동일한 경로를 갖는다.
  2. 연결 설정 후에는 물리적인 회선을 공유하지 못한다.
  3. 별도의 호(call) 설정 과정이 있다.
  4. 프레임 저장 기능이 있다.
(정답률: 54%)
  • 가상회선방식의 특징 중 연결 설정 후에는 물리적인 회선을 공유하지 못한다는 것은, 가상회선을 설정할 때 물리적인 회선을 할당받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적인 경로를 설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결 설정 후에는 다른 가상회선이나 물리적인 회선과 공유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LAN의 매체 액세스제어(MAC) 프로토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CSMA/CD
  2. 이중 링
  3. 토큰 링
  4. 토큰 버스
(정답률: 57%)
  • 이중 링은 MAC 프로토콜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중 링은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중 하나로, 링 형태의 두 개의 회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중 링은 링 상에서 데이터 충돌이나 충돌 검출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CSMA/CD와 같은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대신, 이중 링은 두 개의 링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중 한 쪽 링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쪽 링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계속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무선 LAN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효율성
  2. 확장성
  3. 이동성
  4. 보안성
(정답률: 77%)
  • 무선 LAN은 무선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쉽게 침입할 수 있으며, 데이터가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 보안성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보안성은 무선 LAN의 장점으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데이터 교환방식 중 고정 대역폭(Band Width)을 사용하는 것은?

  1. 회선 교환
  2. 메시지 교환
  3. 데이터그램 교환
  4. 가상회선 교환
(정답률: 57%)
  • 고정 대역폭을 사용하는 데이터 교환 방식은 "회선 교환"입니다. 이는 통신 경로를 미리 확보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해당 경로를 계속 사용하는 방식으로, 대역폭이 고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시간이 일정하고 안정적이며,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통신속도가 2400[baud]이고, 4상 위상변조를 하면 데이터의 전송속도는 얼마인가?

  1. 2400[baud]
  2. 4800[baud]
  3. 9600[baud]
  4. 19200[baud]
(정답률: 49%)
  • 4상 위상변조는 한 번에 2개의 비트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속도는 2400 x 2 = 4800[baud]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800[bau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송신측에서 1101의 데이터를 전송하였으나, 수신측이 받은 데이터는 1011로 나타났다. 이 때 두 데이터간의 해밍거리를 올바르게 계산한 것은?

  1. 1
  2. 2
  3. 3
  4. 4
(정답률: 64%)
  • 해밍 거리란 두 데이터 간의 다른 비트의 개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1101과 1011의 해밍 거리는 2이다. 첫 번째와 세 번째 비트가 다르기 때문에 두 데이터 간의 해밍 거리는 2이다.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DTE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회선망에 적합한 신호형식으로 변환하는 장치는?

  1. MODEM
  2. CCU
  3. DCS
  4. DSU
(정답률: 54%)
  • DSU는 Digital Service Unit의 약자로, DTE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회선망에 적합한 신호형식으로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MODEM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며, CCU는 컴퓨터와 통신 장비를 연결하는 장치입니다. DCS는 디지털 교환기 제어장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DSU가 DTE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회선망에 적합한 신호형식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적합한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데이터 전달을 위한 회선 제어 절차의 단계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데이터 링크 확립→회선 연결→데이터 전송→데이터 링크 해제→회선 절단
  2. 회선 연결→데이터 링크 확립→데이터 전송→데이터 링크 해제→회선 절단
  3. 데이터 링크 확립→회선 연결→데이터 전송→회선 절단→데이터 링크 해제
  4. 회선 연결→데이터 링크 확립→데이터 전송→회선 절단→데이터 링크 해제
(정답률: 72%)
  • 정답은 "회선 연결→데이터 링크 확립→데이터 전송→데이터 링크 해제→회선 절단" 입니다.

    먼저, 회선 연결 단계에서는 송신 측과 수신 측 간에 통신을 위한 회선을 연결합니다. 다음으로, 데이터 링크 확립 단계에서는 송신 측과 수신 측 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링크를 확립합니다. 이후 데이터 전송 단계에서는 실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그리고 데이터 링크 해제 단계에서는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링크를 해제합니다. 마지막으로, 회선 절단 단계에서는 회선을 절단하여 통신을 종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OSI 참조 모델의 데이터링크 계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물리적 계층의 신뢰도를 높여 주고 링크의 확립 및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2. 에러제어, 흐름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3. 종단 시스템간에 end to end 통신을 지원한다.
  4. 대표적 프로토콜로는 HDLC, BSC 등이 있다.
(정답률: 51%)
  • 정답은 "종단 시스템간에 end to end 통신을 지원한다."이다. 데이터링크 계층은 인접한 두 개의 노드 간의 통신을 제공하는 계층으로, 종단 시스템 간의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다. 이 계층은 물리적인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며, 에러제어, 흐름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대표적인 프로토콜로는 HDLC, BSC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은?

  1. ICMP
  2. RIP
  3. ARP
  4. HTTP
(정답률: 53%)
  • RIP는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로, 네트워크에서 라우터들이 서로 정보를 교환하여 최적의 경로를 찾아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이므로, 정답은 "RIP"입니다.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ARP는 주소 결정 프로토콜, HTTP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로, 이들은 패킷 전달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TCP/IP 프로토콜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TCP는 OSI 참조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에 대응되고, IP는 트랜스포트 계층에 대응된다.
  2. OSI 표준 프로토콜과 가까운 망 구조를 가지고 있다.
  3. TCP 프로토콜과 IP 프로토콜의 결합적 의미로서 TCP가 IP보다 상위층에 존재한다.
  4.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여러 개의 프로토콜을 허용한다.
(정답률: 46%)
  • "TCP는 OSI 참조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에 대응되고, IP는 트랜스포트 계층에 대응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IP가 OSI 참조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에 대응되고, TCP가 트랜스포트 계층에 대응됩니다. 이는 IP가 패킷을 라우팅하고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TCP가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HDLC 정보프레임의 용도 및 기능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사용자 데이터 전달
  2. 흐름 제어
  3. 에러 제어
  4. 링크 제어
(정답률: 48%)
  • HDLC 정보프레임의 주요 용도 및 기능은 사용자 데이터 전달이다. HDLC 정보프레임은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으로,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전송하며, 이를 통해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흐름 제어, 에러 제어, 링크 제어는 HDLC의 부가적인 기능으로,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