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8-07)

사무자동화산업기사
(2005-08-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사무자동화 시스템

1. 운영체제(OS)가 하드웨어를 관리하는 대상이 아닌 것은?

  1. 주기억장치 관리
  2. 중앙처리장치 관리
  3. 입출력장치 관리
  4. 레코드 관리
(정답률: 81%)
  • 운영체제는 주기억장치, 중앙처리장치, 입출력장치를 관리하며 이들은 모두 하드웨어를 관리하는 대상입니다. 하지만 레코드 관리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 수행하는 작업으로, 운영체제가 직접적으로 관리하는 대상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레코드 관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사무자동화를 위한 선결과제로 볼 수 없는 것은?

  1. 사무환경의 정비
  2. 사무관리제도의 정비
  3. 조직 및 체제의 재정비
  4. 기존컴퓨터 전체를 대형컴퓨터로 교체
(정답률: 91%)
  • 기존컴퓨터 전체를 대형컴퓨터로 교체는 사무자동화를 위한 선결과제가 아닙니다. 이는 단순히 하드웨어 교체에 불과하며, 사무자동화를 위해서는 기존 시스템을 분석하고 개선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OS(Operating system)의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원시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는 프로그램이다.
  2.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을 기계가 알 수 있는 언어로 번역해 주는 것이다.
  3. 시스템의 신뢰성, 호환성, 적응성 등을 실현시켜 작업의 처리를 원활하게 해주는 것이다.
  4. 제어프로그램의 감시하에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률: 85%)
  • OS의 목적은 시스템의 신뢰성, 호환성, 적응성 등을 실현시켜 작업의 처리를 원활하게 해주는 것입니다. 이는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여 시스템 전반적인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CPU의 부담을 덜기 위해 I/O 장치와 기억장치 간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어서 시스템 전체의 입출력 속도를 높이는데 가장 효과가 있는 것은?

  1. 채널(Channel)
  2. 버퍼(Buffer)
  3. 캐시메모리(Cache Memory)
  4. 가상기억장치(Virtual Storage)
(정답률: 55%)
  • 채널은 CPU와 I/O 장치 간의 직접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치로, CPU의 개입 없이 I/O 장치와 기억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므로 CPU의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출력 속도를 높이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분산처리시스템의 장점 요소로 볼 수 없는 것은?

  1. 현장 적응성 증대
  2. 신뢰성 증진
  3. 자원 공유성 증대
  4. 호환성 증대
(정답률: 47%)
  • 답: 호환성 증대

    분산처리시스템의 장점 요소로는 현장 적응성 증대, 신뢰성 증진, 자원 공유성 증대가 있습니다. 그러나 호환성 증대는 분산처리시스템의 장점 요소로 볼 수 없습니다. 호환성 증대는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상호 운용성을 높이는 것으로, 분산처리시스템의 특징 중 하나는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연결이 가능하다는 것이지만, 이것이 분산처리시스템의 장점 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BMS)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자료 중복의 최소화
  2. 자료의 공동 이용
  3. 자료의 무결성 유지
  4. 자료처리 방법의 단순화
(정답률: 69%)
  • DBMS의 특징 중 "자료처리 방법의 단순화"는 올바른 특징이 아닙니다. DBMS는 자료 중복의 최소화, 자료의 공동 이용, 자료의 무결성 유지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자료처리 방법의 단순화"는 DBMS의 특징이 아닙니다. DBMS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검색하기 위한 도구이며, 데이터 처리 방법을 단순화하는 것은 DBMS의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Zisman의 사무자동화 정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컴퓨터 기술
  2. 통신기술
  3. 인터넷 기술
  4. 시스템 과학
(정답률: 70%)
  • Zisman의 사무자동화 정의는 사무 업무를 자동화하기 위해 컴퓨터 기술, 통신기술, 시스템 과학 등을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인터넷 기술은 이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인터넷 기술이 사무 업무 자동화를 위한 기술 중 하나일 뿐이며, 다른 기술들과 함께 사용되어야만 전체적인 사무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사무자동화 발전을 위해서 컴퓨터의 비전문가도 쉽게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대화형 기법을 도입한 언어는?

  1. 간이 언어
  2. 고급 언어
  3. 응용 언어
  4. 컴파일 언어
(정답률: 52%)
  • 간이 언어는 비전문가도 쉽게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도록 대화형 기법을 도입한 언어입니다. 따라서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는 사람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고급 언어나 컴파일 언어는 프로그래밍 경험이 있는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며, 응용 언어는 특정 분야에서 사용되는 언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5.25인치 2HD(2 Sur face High density double Track) 플로피디스크의 Track수가 80개, Track당 섹터수가 15개, 섹터 당 바이트 수가 512byte 일 때, 이 플로피 디스크의 기억 용량은?

  1. 1,47,560 바이트
  2. 1,228,800 바이트
  3. 737,280 바이트
  4. 614,400바이트
(정답률: 68%)
  • 기억 용량 = Track 수 x 섹터 수 x 바이트 수
    = 80 x 15 x 512
    = 614,400 바이트

    하지만, 5.25인치 2HD 플로피 디스크는 MFM 인코딩 방식을 사용하므로, 실제로는 1바이트당 2바이트의 용량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기억 용량은 614,400 바이트 x 2 = 1,228,800 바이트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컴퓨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필름을 고속자동으로 검색해주는 것은?

  1. 마이크로필름(Microfilm)
  2. COM(Computer Output Microfilm)
  3. CAR(Computer Assisted Retrieval)
  4. 광디스크 시스템
(정답률: 53%)
  • CAR(Computer Assisted Retrieval)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필름에 저장된 정보를 고속으로 검색해주는 기술이다. 마이크로필름은 작은 필름에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검색이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하지만 CAR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필름에 저장된 정보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 결과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CAR은 정보 검색의 효율성을 높이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큰 도움을 준다. COM(Computer Output Microfilm)은 컴퓨터 출력물을 마이크로필름에 저장하는 기술이며, 광디스크 시스템은 광학적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의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

  1. 정지영상 압축에 대한 ISO국제 표준안
  2. 동영상 압축에 대한 ISO국제 표준안
  3. 손실압축 기법에 포함
  4. MPEG-1, MPEG-2, MPEG-4 등이 해당됨
(정답률: 81%)
  •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은 "정지영상 압축에 대한 ISO국제 표준안"이 아니라, "동영상 압축에 대한 ISO국제 표준안"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지영상 압축에 대한 ISO국제 표준안"이 설명으로 맞지 않습니다. 또한, MPEG는 손실압축 기법에 포함되며, MPEG-1, MPEG-2, MPEG-4 등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광디스크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알맞지 않은 것은?

  1. 광디스크는 정보를 읽어 들이는데 레이저 빔을 이용한다.
  2. 기록위치에 관계없이 랜덤 액세스가 가능하여 정보를 빨리 읽을 수 있다.
  3. CD-ROM과 같은 저장매체에 기록한다.
  4. 자화의 원리를 적용한 것이며, 비교적 장기적인 보존이 어렵다.
(정답률: 82%)
  • "자화의 원리를 적용한 것이며, 비교적 장기적인 보존이 어렵다."는 알맞지 않은 설명이다. 광디스크는 자화의 원리를 적용하지 않으며, 비교적 오랜 기간 동안 보존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사무자동화 수행방식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전사적 접근방식
  2. 상향식 접근방식
  3. 하향식 접근방식
  4. 계층별 접근방식
(정답률: 72%)
  • 계층별 접근방식은 사무자동화 수행방식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는 조직의 계층 구조에 따라 업무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각 계층에서 필요한 정보와 기능에만 접근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사무자동화 수행방식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압축 기법 중 멀티미디어 정보에서 의학용 영상 등과 같은 정확성이 요구되는 데이터들의 압축에 주로 사용되는 비트 존 압축기법이라 하는 것은?

  1. 손실 압축
  2. 무손실 압축
  3. 영상 압축
  4. 응향 압축
(정답률: 88%)
  • 비트 존 압축기법은 데이터를 압축할 때, 데이터의 중복되는 부분을 찾아내어 이를 하나의 템플릿으로 만들고, 이 템플릿과 원본 데이터의 차이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압축을 수행합니다. 이 때, 원본 데이터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복되는 부분을 완벽하게 저장해야 하므로, 무손실 압축 방식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무손실 압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데이터 접근속도가 빠른 것부터 차례로 나열된 것은?

  1. 주기억장치→보조기억장치→CPU→Cache
  2. CPU→주기억장치→보조기억장치→Cache
  3. CPU→Cache→주기억장치→보조기억장치
  4. Cache→주기억장치→CPU→보조기억장치
(정답률: 71%)
  • CPU가 가장 빠르게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고, Cache는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빠르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두 가지가 가장 빠른 접근속도를 가지게 됩니다. 주기억장치는 Cache보다는 느리지만 CPU와 보조기억장치 사이에서 중간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세 번째로 빠른 접근속도를 가지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보조기억장치는 CPU와 가장 먼 거리에 있기 때문에 가장 느린 접근속도를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CPU→Cache→주기억장치→보조기억장치"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중앙처리장치의 연상장치 구성이 알맞게 되어 있는 것은?(문제오류로 모두 정답 처리한 문제입니다. 여기서는 1번을 정답으로 합니다.)

  1. 가산기, 누산기, 레지스터, 카운터
  2. 가산기, 누산기, 어드레스, 카운터
  3. 제어기, 누산기, 입출력기, 모뎀기
  4. 누산기, 레지스터, 어드레스, 가산기
(정답률: 90%)
  • 중앙처리장치에서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장치들은 가산기, 누산기, 레지스터, 카운터입니다. 가산기는 덧셈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이고, 누산기는 덧셈 연산을 수행하는 가산기를 포함한 덧셈과 뺄셈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입니다.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이며, 카운터는 주소를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이러한 장치들이 연상장치 구성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므로, "가산기, 누산기, 레지스터, 카운터"가 알맞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DBMS 모델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관계 모델
  2. 링크 모델
  3. 계층 모델
  4. 객체 지향 모델
(정답률: 54%)
  • 링크 모델은 DBMS 모델의 종류가 아닙니다. 링크 모델은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간 관계를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DBMS 모델의 종류는 "관계 모델", "계층 모델", "객체 지향 모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무선인터넷 모바일 상거래의 특징과 가장 관계없는 것은?

  1. 이동성이 있어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2.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탈피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편리성이 있다.
  3. 개인화된 맞춤서비스가 가능하다.
  4. 대용량의 마케팅광고 등과 같은 컨텐츠 정보를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용한 상거래이다.
(정답률: 63%)
  • 정답은 "대용량의 마케팅광고 등과 같은 컨텐츠 정보를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용한 상거래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모바일 상거래의 특징을 설명하고 있는 반면, 이 보기는 모바일 상거래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작업이나 공동 목표에 참여하는 다양한 작업 그룹을 원하는 응용시스템은?

  1.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DBMS)
  2.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3. 그룹웨어 시스템(Groupware system)
  4. 입출력 시스템(I/O system)
(정답률: 87%)
  • 그룹웨어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가 협업하고 공유하는 작업을 지원하는 응용시스템으로, 작업 그룹의 일정 관리, 문서 공유, 회의 일정 조율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작업이나 공동 목표에 참여하는 다양한 작업 그룹을 원하는 응용시스템으로 그룹웨어 시스템이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사무자동화를 부분적으로 구현할 대, 고려할 상황과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1. 요구가 큰 부분을 먼저 추진한다.
  2. 추진하기 쉬운 업무부터 우선 추진한다.
  3. 기획부서부터 먼저 추진한다.
  4. 전시효과가 큰 업무부터 먼저 추진한다.
(정답률: 71%)
  • "기획부서부터 먼저 추진한다."는 사무자동화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가장 관계가 없는 보기이다. 이유는 기획부서는 사무자동화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업무를 기획하고 설계하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구현 순서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구현에 필요한 기획과 설계를 먼저 수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획부서부터 먼저 추진한다."는 올바르지 않은 보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무경영관리 개론

21. 프로그램 저작권은 언제부터 발생하는가?

  1. 프로그램이 실용화된 때로부터
  2. 프로그램이 창작된 때로부터
  3. 프로그램이 등록된 때로부터
  4. 프로그램이 공고된 때로부터
(정답률: 78%)
  • 프로그램 저작권은 프로그램이 창작된 때로부터 발생합니다. 이는 저작권법에서 프로그램을 "저작물"로 분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프로그램을 만든 순간부터 저작권자가 되며, 이를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이 실용화되거나 등록되는 등의 과정은 저작권 발생과는 별개의 절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조사·검사·조회 혹은 평가 등의 방법으로써, 무질서하게 행해지는 산발적인 체크 정도이거나 혹은 일정한 룰에 기초한 표본 조사인 사무통제 방법은?

  1. 집중화
  2. 감사
  3. 예산
  4. 절차
(정답률: 86%)
  • 감사는 조사·검사·조회 등의 방법으로써, 일정한 룰에 기초한 표본 조사인 사무통제 방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예산 관리, 절차 관리, 그리고 집중화 관리와 관련된 용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정부에서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등의 정보화촉진을 지원하고, 정보화 관련 정책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기관으로서 설립한 기구는?

  1. 한국정보보호센터
  2. 한국전산원
  3. 국가전산망진흥협회
  4. 한국정보통신진흥원
(정답률: 38%)
  • 한국전산원은 정부에서 국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의 정보화촉진을 지원하고, 정보화 관련 정책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기관으로 설립된 기구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정보보호, 정보통신진흥, 전산망진흥 등 다른 분야의 기관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사무실을 너무 세분화하는 것보다는 여러 과를 한 사무실에 배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사무실의 배정 방식은?

  1. 대사무실주의 배치
  2. 관련 부서의 인근 배치
  3. 업무처리 흐름에 따른 직선적 배치
  4. 실무자 중심의 사무실 배치
(정답률: 76%)
  • "대사무실주의 배치"는 여러 과를 한 사무실에 배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며, 대부분의 업무가 대사무실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사무실을 중심으로 관련 부서를 인근에 배치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업무 처리의 효율성과 의사소통의 원활함을 도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현실적으로 달성 가능한 표준”을 설명한 것이 아닌 것은?

  1. 최상의 작업환경 속에서 달성 가능한 표준
  2. 보통의 작업자들이 열심히 노력하기만 하면 달성 가능한 표준
  3. 작업이나 작업환경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엄격하지만 달성 가능한 표준
  4. 근로자에게 동기를 부여할 수 있고 객관적으로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표준
(정답률: 65%)
  • 정답은 "보통의 작업자들이 열심히 노력하기만 하면 달성 가능한 표준"입니다. 이유는 이 표현은 작업자들이 노력만 하면 달성 가능한, 즉 현실적으로 달성 가능한 표준을 설명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현실적으로 달성 가능한 표준을 설명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열람 제한자료에 관한 설명 중 가장 합당한 것은?

  1. 열람을 제한할 수 없는 자료를 말한다.
  2. 자료가 한정된 부수만 발행되기 때문에 복사나 열람이 가능한 자료이다.
  3. 열람과 복사를 일정 부수만 제한하는 자료를 말한다.
  4. 열람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는 자료에 대하여 열람 또는 복사를 제한할 수 있다.
(정답률: 88%)
  • 열람 제한자료는 열람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는 자료에 대하여 열람 또는 복사를 제한할 수 있는 자료를 말한다. 이는 보안상의 이유나 개인정보 보호 등의 이유로 열람이나 복사를 제한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 해당된다. 따라서, "열람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는 자료에 대하여 열람 또는 복사를 제한할 수 있다."가 가장 합당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행정정보통신망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문제오류로 3,4번을 정답 처리한 문제입니다. 여기서는 1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1.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간에 이용한다.
  2. 행정자치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시설한다.
  3. 이용료는 무료이다.
  4. 종합정보통신망 (ISDN)이다.
(정답률: 82%)
  • 행정정보통신망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간에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하기 위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간에 이용한다."가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사무계획화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사무계획화는 기업의 모든 계층에 필요한 것은 아니고 특정한 층인 경영진에 필요로 함
  2. 사무계획화는 기업경영에 필요한 사무관리 목표를 정한 후, 그것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
  3. 사무계획화의 기본 내용은 사무 인력을 예측하여 미리 예산을 확정하고자 하는 것임
  4. 사무계획화의 기본 내용은 정보만을 지속적으로 가공하여 생산하는 것임
(정답률: 83%)
  • 사무계획화는 기업경영에 필요한 사무관리 목표를 정한 후, 그것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9 다음 중 우리나라의 일반자료 분류방법은 ?

  1. 한국 이진분류법
  2. 한국 팔진분류법
  3. 한국 십진분류법
  4. 한국 십육진분류법
(정답률: 85%)
  • 한국의 일반자료 분류방법은 "한국 십진분류법"입니다. 이는 자료를 10개의 대분류로 나눈 후, 각 대분류를 10개의 중분류로 나누고, 다시 각 중분류를 10개의 소분류로 나누는 방식으로 분류합니다. 이 방법은 분류가 간단하고 명료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류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EDI를 구성하고 있는 기본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 하드웨어
  2. 네트워크
  3. EDI 소프트웨어
  4. 데이터베이스
(정답률: 64%)
  • EDI는 Electronic Data Interchange의 약자로, 전자적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이를 구성하는 기본요소는 하드웨어, 네트워크, EDI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입니다. 그 중에서 데이터베이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EDI 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하지만, EDI 시스템의 핵심적인 역할은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이므로, 데이터베이스는 다른 세 가지 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과학적 사무관리가 추구하는 3S가 아닌 것은?

  1. 표준화(Standardization)
  2. 신속화(Speed)
  3. 간소화(Simplification)
  4. 전문화(Specialization)
(정답률: 71%)
  • 과학적 사무관리에서 추구하는 3S는 표준화, 간소화, 전문화입니다. 이 중에서 신속화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과학적 사무관리에서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일정한 절차와 기준을 정하고, 이를 따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표준화, 간소화, 전문화를 통해 작업을 체계적으로 처리하고, 이를 개선해 나가는 것이 목표입니다. 반면에 신속화는 작업을 빠르게 처리하는 것이 중요한 경우에는 필요하지만, 과학적 사무관리에서는 작업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사무업무를 사무대행사에 의해 처리하는 이유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1. 위험분산
  2. 타산상의 이점
  3. 잉여인력의 조정
  4. 기술 및 능력의 보완
(정답률: 64%)
  • 잉여인력의 조정은 사무업무를 처리하는 이유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사무대행사를 이용하는 것은 일시적인 업무 처리를 위한 것이기 때문에, 잉여인력을 조정하는 것은 영구적인 해결책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잉여인력의 조정은 일시적인 문제 해결에는 도움이 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경영이 목적을 결정하는 기능이라면 관리는 그 목적을 지향하여 노력하는 기능이다” 라고하여 양자를 구분하여 설명한 학자는?

  1. 맥도노우(McDonough)
  2. 포레스터(Forrestsr)
  3. 셀든(O. Sheldon)
  4. 스갠란(Scanlan)
(정답률: 46%)
  • 셀든은 경영과 관리의 차이를 강조하며, 경영은 목적을 결정하는 기능이라면 관리는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계획, 조직, 지휘, 통제하는 기능이라고 설명하였다. 따라서 셀든은 경영과 관리를 목적과 수단의 관계로 구분하여 이해하고자 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러핑웰과 획스의 사무분류를 틀리게 설명한 것은?

  1. 사무는 조직구성원이 근무하는 과정에서 처리하는 일로서, 조직체를 전제로 한다.
  2. 사무실이 더 이상 폐쇄된 공간으로서의 의미가 아닌 것처럼 사무도 반드시 사무실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3. 사무는 조직체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만드는 작업이다.
  4. 사무는 여러 가지 형태로 일의 내용을 기록하지만, 일의 수행 과정에서 필요한 사람을 만나 면담하지는 않는다.
(정답률: 80%)
  • "사무는 여러 가지 형태로 일의 내용을 기록하지만, 일의 수행 과정에서 필요한 사람을 만나 면담하지는 않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사무는 일의 수행 과정에서 필요한 사람을 만나 면담하는 일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사무는 조직체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만들어내는 작업이기 때문에, 이를 위해 다른 조직 구성원과의 소통과 협력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사무표준화의 목적과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

  1. 관리자가 사무원들을 감독 및 통제하고 사무용어 등의 표준화에 기하고자 함
  2. 직원들 간의 공동 관심사에 대한 이해를 촉진과 생산성향상으로 비용절감에 기하고자 함
  3. 직원들의 사기를 향상시키고 직원들의 능력별로 활용하고자 함
  4. 직원들의 근무환경과 수입증대를 위한 기업 내 내규로써 단기간에 검토되어 모든 직원이 따르도록 하여여함
(정답률: 80%)
  • "직원들의 근무환경과 수입증대를 위한 기업 내 내규로써 단기간에 검토되어 모든 직원이 따르도록 하여여함"은 사무표준화의 목적과 관련이 없는 것이다. 이유는 사무표준화의 목적은 효율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며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다른 목적과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사무조직화의 일반원칙을 가장 적합하게 설명한 것은?

  1. 조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일련의 계통이 설정되어, 그 책임과 권한이 완전하게 행사되어야 한다.
  2. 할당된 직무는 충분히 많아야 하며, 책임이 상호간 중복 되어야 한다.
  3. 직원 각자의 책임을 확실히 정하기 위하여, 위임을 제한하여야 한다.
  4. 한 사람의 관리자가 직접 감독할 수 있는 부하 직원의수나 조직의 수는 관리자의 능력에 따라 제한이 없다.
(정답률: 79%)
  • 사무조직화의 일반원칙은 "조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일련의 계통이 설정되어, 그 책임과 권한이 완전하게 행사되어야 한다." 이다. 이는 조직 내에서 각각의 역할과 책임이 명확히 정해져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계층적인 구조와 권한 분배 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조직 내에서 일어나는 업무의 중복과 혼란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라인 조직의 지휘·명령의 통일성을 유지하면서 전문화의원리를 살리기 위하여 스텝 제도를 절충시킨 형태로 에머슨식 조직이라고도 하는 것은?

  1. 사업부제 조직
  2. 매트릭스 조직
  3. 직계참모 조직
  4. 직능별 조직
(정답률: 64%)
  • 직계참모 조직은 라인 조직의 지휘·명령의 통일성을 유지하면서 전문화의 원리를 살리기 위해 스텝 제도를 절충시킨 형태의 조직이다. 이는 라인 조직과 스텝 제도를 융합하여 조직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직계참모 조직은 라인 조직의 상위에 위치하여 전략적인 의사결정과 계획 수립을 담당하며, 스텝 제도를 통해 전문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따라서, 직계참모 조직은 라인 조직과 스텝 제도를 조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TV전파의 사이를 이용해서 문자나 조형의 정보를 보내는 미디어는?

  1. Teletext
  2. CATV
  3. COM
  4. CAR
(정답률: 81%)
  • Teletext는 TV 전파의 사이를 이용하여 문자나 조형의 정보를 보내는 미디어입니다. 이는 TV 수신기에 내장된 특수한 디코더를 통해 정보를 해석하고 표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eletext는 TV 방송과 별개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MIS(경영정보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MIS는 기업의 전략, 계획, 조정, 관리, 운영 등의 결정을 보조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2. MIS는 창조적이고 지적인 공학과 관계없는 프로그래밍을 통한 단순 업무 전산화를 말한다.
  3. MIS의 전문성은 기업의 업무를 분석하고 기업경영을 진단하는 능력이다.
  4. MIS는 분석과 진단에 의해 기업업무의 정보요구가 정의 되어야 하고, 정의된 정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관리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정답률: 89%)
  • "MIS는 창조적이고 지적인 공학과 관계없는 프로그래밍을 통한 단순 업무 전산화를 말한다."가 가장 관계가 먼 설명이다. 이는 MIS의 개념과 정의와 맞지 않는 내용으로, MIS는 업무 전산화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기업의 전략과 관련된 결정을 보조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다.

    MIS는 기업의 업무를 분석하고 기업경영을 진단하는 능력을 갖추고, 이를 바탕으로 정보요구를 정의하고 효율적인 시스템을 개발하고 관리하는 것이 핵심이다. 따라서 MIS는 단순한 업무 전산화를 넘어 기업의 경영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사무량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관측법으로 소요시간을 측정하여 여기서 얻은 수치로써 표준시간을 계정하는 방법은?

  1. stop watch 법
  2. work sampling 법
  3. standard data 법
  4. predetermined time standard 법
(정답률: 56%)
  • "stop watch 법"은 작업을 수행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사무량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시간을 측정하여 이를 기록하고, 이를 토대로 작업의 표준시간을 계산한다. 따라서 "stop watch 법"이 사무량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선택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프로그래밍 일반

41. 어떤 변수의 명칭과 그 메모리 주소, 데이터형 또는 실제 값을 연결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1. 모듈
  2. 시뮬레이션
  3. 클래스
  4. 바인딩
(정답률: 66%)
  • 바인딩은 변수의 명칭과 그 메모리 주소, 데이터형 또는 실제 값을 연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할당하면 해당 변수의 이름과 메모리 주소, 데이터형이 바인딩되어 변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바인딩"이 정답입니다. "모듈", "시뮬레이션", "클래스"는 변수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용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C언어의 관계연산자 중“ 같지 않다”의 의미를 갖는 것은?

  1. ! =
  2. < >
  3. < =
  4. >> =
(정답률: 83%)
  • "!="는 두 값이 서로 같지 않을 때 참(True)을 반환하는 관계 연산자이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이 "! ="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두 모듈이 같이 실행되면서 서로 호출하는 형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라이브러리
  2. 코루틴
  3. 부프로그램
  4. 함수
(정답률: 72%)
  • 코루틴은 두 개 이상의 실행 흐름이 서로 협력하여 실행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두 모듈이 같이 실행되면서 서로 호출하는 형태를 코루틴이라고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함수와 부프로그램은 호출 관계에 있지만, 서로 협력하여 실행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코루틴이 아닙니다. 라이브러리는 모듈의 집합체를 의미하므로, 실행 흐름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C언어에서 16진 정수를 출력하기 위한 변환 문자의 사용으로 옳은 것은?

  1. %x
  2. %d
  3. %s
  4. %h
(정답률: 64%)
  • 옳은 변환 문자는 "%x"이다. 이유는 16진수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x"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d"는 10진수를 출력하기 위한 변환 문자이고, "%s"는 문자열을 출력하기 위한 변환 문자이다. "%h"는 C99 표준에서 추가된 변환 문자로, short 형 변수를 출력할 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구문 중 반복을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80%)
  • ""는 반복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유는 해당 이미지가 반복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단항 연산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and
  2. complement
  3. move
  4. shift
(정답률: 78%)
  • "and"는 이항 연산자이기 때문에 단항 연산자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단항 연산자는 하나의 피연산자에 대해 작용하는 연산자이지만, 이항 연산자는 두 개의 피연산자에 대해 작용하는 연산자입니다. 따라서 "and"는 단항 연산자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로더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번역
  2. 할당
  3. 연결
  4. 재배치
(정답률: 76%)
  • 로더의 주요 기능은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할당하고, 연결하고, 재배치하는 것입니다. 번역은 로더의 기능이 아니며,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 등 다른 소프트웨어가 수행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번역"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기계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진수 0과 1만 사용하여 명령어와 데이터를 나타낸다.
  2.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어 실행 속도가 빠르다.
  3. 모든 기계에서 공통으로 사용 가능하여 호환성이 높다.
  4. 전문적인 지식이 없으면 이해하기 힘들다.
(정답률: 71%)
  • 기계어는 모든 기계에서 공통으로 사용 가능하여 호환성이 높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각 기계마다 아키텍처와 명령어 집합이 다르기 때문에 기계어도 그에 맞게 다르게 구성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호환성이 높다는 것은 아니며, 특정 기계에서만 사용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C언어에서 while 문이 수행될 때, 중괄호로 둘러싸인 while 문의 몸체는 몇 번 수행되는가?

  1. 4
  2. 5
  3. 6
  4. 7
(정답률: 54%)
  • while 문의 조건식이 참(True)일 때, 중괄호로 둘러싸인 while 문의 몸체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위의 코드에서는 i가 1부터 6까지 증가하면서 while 문의 몸체가 총 6번 수행된다. 따라서 정답은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원시프로그램을 컴파일러가 수행되고 있는 컴퓨터의 기계어로 번역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기종에 맞는 기계어로 번역하는 것은?

  1. 프리프로세서
  2. 인터프리터
  3. 로더
  4. 크로스 컴파일러
(정답률: 69%)
  • 크로스 컴파일러는 원시프로그램을 현재 작업 중인 컴퓨터와는 다른 기종의 기계어로 번역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다른 운영체제나 아키텍처를 가진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와 달리 프리프로세서는 전처리기로서 소스코드를 가공하는 역할을 하며, 인터프리터는 소스코드를 한 줄씩 해석하여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로더는 컴파일된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적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객체 지향 언어에서 공통된 속성과 행위를 갖는 객체들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은?

  1. 메시지
  2. 클레스
  3. 메소드
  4. 상속
(정답률: 73%)
  • 클래스는 객체 지향 언어에서 공통된 속성과 행위를 갖는 객체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이며,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속성과 메소드를 정의합니다. 따라서 클래스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C 언어에서 선언하는 자료형이 아닌 것은?

  1. float
  2. double
  3. int
  4. character
(정답률: 77%)
  • "character"는 C 언어에서 선언하는 자료형이 아니라 "char"로 선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C 언어에서 연산문의 표현이 옳지 않은 것은?

  1. y=a%b
  2. y+=a
  3. y=a**2
  4. y<<2
(정답률: 60%)
  • 정답은 "y=a**2"입니다.

    C 언어에서는 제곱 연산자가 없으므로 "y=a**2"와 같은 표현은 옳지 않습니다. 대신에 "y=a*a"와 같이 곱셈 연산자를 두 번 사용하여 제곱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보기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 "y=a%b":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y에 저장합니다.
    - "y+=a": y에 a를 더한 값을 다시 y에 저장합니다.
    - "y=a**2": C 언어에서는 제곱 연산자가 없으므로 옳지 않은 표현입니다.
    - "y<<2": y를 2비트만큼 왼쪽으로 시프트한 값을 y에 저장합니다. 이는 2의 거듭제곱을 곱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프로그램언어의 문장구조 중 성격이 다른 하나는 ?

  1. while(expression) statement;
  2. for(expression-1; expression-2; expression-3)statement
  3. if(expression) statement-1; else statement;-2;
  4. do {statement;}while(expression);
(정답률: 67%)
  • 답: "if(expression) statement-1; else statement-2;"는 조건문에 따라 실행할 문장이 두 개로 나뉘는 구조이며, 다른 세 문장은 반복문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if(expression) statement-1; else statement-2;는 조건식(expression)이 참(true)이면 statement-1을 실행하고, 거짓(false)이면 statement-2를 실행하는 구조이다. 이는 조건에 따라 실행할 문장이 두 개로 나뉘는 분기문의 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C 언어에서 입출력 명령이 잘못된 것은?(문제오류로 모두 정답 처리한 문제입니다. 여기서는 1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1. scanf("%3d", a);
  2. getchar();
  3. putchar(a);
  4. printf("%5D\n", a);
(정답률: 87%)
  • 정답은 "scanf("%3d", a);" 입니다. 이유는 a 변수에 입력받을 값이 정수형이며, 최대 3자리까지만 입력받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3d는 최대 3자리까지의 정수를 입력받는 형식 지정자입니다. 따라서 이 명령은 a 변수에 최대 3자리의 정수를 입력받는 명령입니다. 다른 명령어들은 입출력 형식이 잘못되지 않았으므로 잘못된 것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C언어에서 사용되는 예약어가 아닌 것은?

  1. case
  2. switch
  3. virtual
  4. enum
(정답률: 53%)
  • "virtual"은 C++에서 사용되는 예약어이며, C언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동적(실행시간)형 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그램 설계시 융통성을 준다.
  2.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과정내에 자료형을 변경할 수 있다.
  3. 대화형언어에 적합하다.
  4. 프로그램 수행 중에 형 정보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
(정답률: 75%)
  • "프로그램 수행 중에 형 정보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는 옳은 설명이다. 동적(실행시간)형 검사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에 변수의 자료형을 결정하므로, 프로그램 설계시 융통성을 줄 수 있고,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자료형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대화형언어에 적합하다는 장점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검사 방식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에만 유효하며,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자료형 정보는 사라진다. 따라서 프로그램 수행 중에 형 정보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프로그램 안에 내재해 있는 논리적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는 작업은?

  1. 컴파일
  2. 로딩
  3. 코딩
  4. 디버깅
(정답률: 90%)
  • 디버깅은 프로그램 안에 내재해 있는 논리적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디버깅이 정답입니다. 컴파일은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작업, 로딩은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올리는 작업, 코딩은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C 언어에서 어떤 수식을 다른 데이터 형으로 바꾸고 싶을 때 사용하는 연산자는?

  1. 산술 연산자
  2. 관계 연산자
  3. 논리 연산자
  4. 캐스트 연산자
(정답률: 51%)
  • 캐스트 연산자는 변수나 상수의 데이터 형을 다른 데이터 형으로 변환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이다. 이를 통해 산술 연산 등에서 데이터 형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원하는 데이터 형으로 변환하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C언어에서 저장클래스를 명시하지 않은 변수는 기본적으로 어떤 변수로 간주되는가?

  1. global
  2. extern
  3. auto
  4. local
(정답률: 70%)
  • C언어에서 저장클래스를 명시하지 않은 변수는 기본적으로 "auto" 변수로 간주된다. 이는 해당 변수가 함수 내에서 선언되었을 때, 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메모리에 할당되고 함수가 종료될 때 메모리에서 해제되는 지역 변수(local variable)임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통신 개론

61. 다음 중 정보화 사회에서 정보화란 의미를 가장 잘 표현한 것은?

  1. 정보통신기기의 생산 활동을 말한다.
  2. 정보의 처리 기술을 높이는 활동을 말한다.
  3. 정보의 생성, 가공, 축적 및 활용 등의 정보 행위를 의도적으로 행하여 그 유용가치를 높이는 활동이다.
  4.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의 처리 활동을 말한다.
(정답률: 83%)
  • 정보화란 정보의 생성, 가공, 축적 및 활용 등의 정보 행위를 의도적으로 행하여 그 유용가치를 높이는 활동을 말한다. 즉, 정보를 활용하여 더 나은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변조속도가 800[Baud]이고, 8상 위상변조를 한다고 할 때 이 전송회선의 데이터 신호 속도는 변조속도의 몇 배인가?

  1. 1 배
  2. 2배
  3. 3배
  4. 8배
(정답률: 69%)
  • 8상 위상변조는 1 신호주기당 8개의 신호를 전송하므로, 데이터 신호 속도는 변조속도의 8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8배"가 되어야 하지만, 문제에서는 데이터 신호 속도를 변조속도의 몇 배로 물었으므로, 답은 3배가 된다. 이는 8상 위상변조에서 1비트를 전송하는 데 필요한 신호의 수가 3개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OSI 7계층 중에서 종점 간(End-to-End)에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여, 종점 간 에러복구와 흐름제어를 담당하는 계층은?

  1.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Layer)
  2.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3. 트랜스포트 계층(Transport Layer)
  4. 세션 계층(Session Layer)
(정답률: 55%)
  • 트랜스포트 계층은 종점 간에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에러복구와 흐름제어를 담당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손실이나 손상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OSI 7계층 중에서 종점 간 에러복구와 흐름제어를 담당하는 계층은 트랜스포트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TCP/IP 상에서 운용되는 응용 서비스가 아닌 것은?

  1. FTP(File Transfer Protocol)
  2. Telnet
  3. E-Mail
  4. DSU(Digital Service Unit)
(정답률: 67%)
  • DSU(Digital Service Unit)은 TCP/IP 상에서 운용되는 응용 서비스가 아니라, 디지털 회선에서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여 전송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FTP, Telnet, E-Mail은 모두 TCP/IP 상에서 운용되는 응용 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ISO에서 제정한 OSI 7레벨 계층 중 최상위계층에 속하는 것은?

  1. Application Layer
  2. Presentation Layer
  3. Session Layer
  4. Physical Layer
(정답률: 66%)
  • 최상위 계층인 Application Layer는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계층으로,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이 계층에서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교환을 담당하며,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나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이 이 계층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LAN에서 사용거리의 확장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은?

  1. adapter
  2. Repeater
  3. Gateway
  4. Bridge
(정답률: 59%)
  • "Adapter"는 LAN에서 사용거리의 확장에 사용될 수 없습니다. Adapter는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치 간의 호환성을 제공하는 장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LAN에서 사용거리의 확장에는 Repeater, Gateway, Bridge와 같은 장치들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2진 직류신호를 전송로에 적합한 디지털 신호레벨로 변환 시킨 후에 동기화하는 신호변환기는 ?

  1. CCU
  2. DTE
  3. DSU
  4. MODEM
(정답률: 49%)
  • DSU는 "Data Service Unit"의 약자로, 2진 직류신호를 전송로에 적합한 디지털 신호레벨로 변환 시킨 후에 동기화하는 신호변환기입니다. 다른 보기들인 CCU, DTE, MODEM은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하며, DSU와는 다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DSU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8 통신 프로토콜(Protocol)의 설명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회선이 접속되어 있는 단말장치를 중앙의 컴퓨터가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2. 데이터의 오류나 정정을 검출하기 위한 에러제어방식
  3. 컴퓨터 간 또는 단말기 간 에러 없이 효율적인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설정한 통신규칙
  4. 데이터의 동기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 구성 모델
(정답률: 68%)
  • 8. "컴퓨터 간 또는 단말기 간 에러 없이 효율적인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설정한 통신규칙"은 통신 프로토콜의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이는 컴퓨터나 단말기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어떤 규칙에 따라 통신을 해야 하는지를 정의한 것으로, 에러 없이 효율적인 통신을 위해 필요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회선 제어 프로그램, 에러 제어 방식, 데이터 구성 모델 등을 설명하는 것으로, 통신 프로토콜과는 관련이 있지만 가장 정확한 설명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데이터 에러제어방식인 CRC방식과 관계없는 것은?

  1. HDLC에서 사용
  2. 전진에러제어 방법
  3. 생성다항식을 사용
  4. FCS를 사용
(정답률: 49%)
  • CRC 방식은 데이터 에러 제어 방식 중 하나로, 전진 에러 제어 방법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전진 에러 제어 방법은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하는 에러를 감지하고 수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에러 검사 코드를 추가하여 에러를 감지합니다. 이 방법은 HDLC에서 사용되지 않으며, 생성 다항식과 FCS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메시지 처리시스템(Message Handling System)이 제공하는 기본적인 서비스는?

  1. 전자우편
  2. 팩시밀리
  3. 텔렉스
  4. HDTV
(정답률: 76%)
  • 메시지 처리시스템은 전자우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는 전자적인 방법으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서비스로,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 어디서든 빠르고 쉽게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자우편은 메시지 처리시스템의 가장 기본적인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팩시밀리, 텔렉스, HDTV는 모두 다른 형태의 메시지 전송 방법이며, 메시지 처리시스템의 기본적인 서비스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LAN에서 사용하는 통신망구성 Toplogy로서 거리가 먼 것은?

  1. 점대점 접속(1:1)
  2. 버스형
  3. 링형
  4. 스타형
(정답률: 81%)
  • LAN에서 사용하는 통신망구성 Topology 중에서 거리가 먼 것은 "버스형"과 "링형"입니다. 이는 네트워크가 커질수록 신호의 감쇠가 심해지고, 장애 발생 시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반면, "점대점 접속(1:1)"은 각각의 장치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거리에 제한이 없습니다. 따라서, "점대점 접속(1:1)"은 거리가 먼 것이 아니라, 더욱 안정적인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Topology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ISDN(Inter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음성 및 비음성 등의 각종 서비스를 하나의 통신망에 통합해서 처리한다.
  2. 기존 회선교환 망이나 패킷교환망도 이용할 수 있다.
  3. 가입자와 통신망 사이에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반드시 복수의 회선이 이용된다.
  4. 64[kbps] 트래픽을 기본 사용자 서비스로 제공한다.
(정답률: 63%)
  • "가입자와 통신망 사이에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반드시 복수의 회선이 이용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ISDN은 하나의 회선으로 음성, 데이터, 비디오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복수의 회선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ISDN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채널구조에서 기본 액세스와 기본 전송량은?

  1. (B +D),(B=64[Kbps] D=16[Kbps])
  2. (2B +D),(B=64[Kbps] D=16[Kbps])
  3. (B +2D)(B=16[Kbps] D=64[Kbps])
  4. (2B +2D)(B=16[Kbps] D=64[Kbps])
(정답률: 64%)
  • ISDN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채널구조에서 기본 액세스는 2개의 B 채널과 1개의 D 채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기본 액세스의 전송량은 (2B + D)입니다. 여기서 B는 64Kbps의 대역폭을 가진 채널이고, D는 16Kbps의 대역폭을 가진 채널입니다. 이렇게 구성된 이유는 B 채널이 음성 통화나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고, D 채널은 제어 신호나 시그널링에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본 액세스의 전송량은 (2B + D),(B=64[Kbps] D=16[Kbp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데이터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전송계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1. 변복조장치
  2. 데이터 전송회선
  3. 중앙처리장치
  4. 통신제어장치
(정답률: 77%)
  • 데이터통신시스템의 데이터 전송계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중앙처리장치"입니다. 이는 데이터 전송과 관련이 없는 컴퓨터의 핵심 부품으로,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데이터 전송계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와 회선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변복조장치와 통신제어장치는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유선계 뉴미디어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CATV
  2. HDTV
  3. Videotex
  4. Teletex
(정답률: 45%)
  • HDTV는 유선계 뉴미디어가 아닌 디지털 TV 기술이기 때문입니다. CATV는 케이블 TV, Videotex는 비디오 텍스트, Teletex는 텔레텍스트로 모두 유선계 뉴미디어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패킷교환망의 주요 기능과 관계없는 것은?

  1. 경로선택 제어
  2. 모뎀 제어
  3. 순서 제어
  4. 흐름(flow)제어
(정답률: 67%)
  • 모뎀 제어는 패킷교환망의 주요 기능과 관계가 없습니다. 모뎀 제어는 데이터 통신에서 모뎀과 컴퓨터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기능으로, 패킷교환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패킷교환망에서 전송코자 하는 Data를 패킷단위로 분할 및 재조립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1. PAD
  2. CCU
  3. MODEM
  4. DSU
(정답률: 62%)
  • PAD는 패킷어셈블러 및 디어셈블러(Packet Assembler/Disassembler)의 약자로, 패킷교환망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패킷으로 분할하거나 패킷을 재조립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CCU는 컨트롤러, MODEM은 변조/복조기, DSU는 디지털서비스유닛으로, 이들은 패킷교환망에서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다른 기능들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송신측에서 1개의 프레임을 전송한 다음 수신측에서 오류의 발생을 점검하여 ACK 또는 NAK를 보내올 때까지 기다리는 방식은?

  1. 전진 오류 정검
  2. 적응적 ARQ
  3. 연속적 ARQ
  4. 정지 대기 ARQ
(정답률: 78%)
  • 이 방식은 송신측이 한 프레임을 전송한 후에는 수신측에서 ACK 또는 NAK를 받을 때까지 기다리는 방식으로, 전송된 프레임에 오류가 발생하면 수신측에서 NAK를 보내고,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ACK를 보내게 됩니다. 이러한 방식은 정지 대기 ARQ라고 불리며, 오류 발생 시 재전송을 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에러 제어 방식으로 수신측에서 잉여 비트의 규칙성을 확인하여 규칙이 맞지 않으면 전송 시스템에서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보아 수신된 정보를 무시하고 재전송을 송신측 요구하는 방식은?

  1. FEC
  2. CRC
  3. ARQ
  4. LRC
(정답률: 63%)
  • ARQ는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약자로, 자동 재전송 요청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 방식은 수신측에서 잉여 비트의 규칙성을 확인하여 에러가 발생한 경우 송신측에게 재전송을 요구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설명한 방식은 ARQ 방식입니다. FEC는 Forward Error Correction의 약자로, 전송 시에 에러를 바로 수정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CRC는 Cyclic Redundancy Check의 약자로, 전송된 데이터에 대해 체크섬을 계산하여 에러를 검출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LRC는 Longitudinal Redundancy Check의 약자로, 데이터의 수직 합을 계산하여 에러를 검출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거리에서 전기나 수도, 가스 등의 사용량을 수시로 검침하여 자동으로 계산해 주는 원격검침 시스템은?

  1. TMS(Tele-Metering System)
  2.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3. CTS(Computerized Typesetting System)
  4. POS(Point Of sales System)
(정답률: 57%)
  • TMS는 "Tele-Metering System"의 약어로, 거리에서 전기나 수도, 가스 등의 사용량을 수시로 검침하여 자동으로 계산해 주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TMS가 정답이다. ARS는 자동응답 시스템, CTS는 컴퓨터화된 조판 시스템, POS는 판매점에서 사용하는 결제 시스템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