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3-05)

사무자동화산업기사
(2006-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사무자동화 시스템

1. 다음 중 무선인터넷 표준 포로토콜에 해당하는 것은?

  1. LAN
  2. TCP/IP
  3. WAP
  4. MHS
(정답률: 47%)
  • WAP은 무선인터넷 표준 프로토콜로, 모바일 기기에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LAN은 로컬 네트워크, TCP/IP는 인터넷 통신 프로토콜, MHS는 메시지 핸들링 시스템으로, 모두 무선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일괄처리 시스템과 가장 관계없는 것은?

  1. 오프라인 시스템에서 사용한다.
  2. 적절한 작업제어언어(JCL)를 제공한다.
  3. 유사한 성격의 작업을 한꺼번에 모아서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4. 결과를 즉시 받아 볼 수 있어 응답시간이 짧다.
(정답률: 72%)
  • 일괄처리 시스템과 가장 관계없는 것은 "결과를 즉시 받아 볼 수 있어 응답시간이 짧다." 이다. 이는 온라인 시스템의 특징이며, 일괄처리 시스템은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중점을 둔 시스템으로, 처리 결과를 즉시 확인할 수 없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사무자동화 추진의 장애 요인과 관계없는 것은?

  1. 사무자동화 추진 인력의 부족
  2. 사무자동화에 대한 지식의 부족
  3. 사무자동화기기의 고도화
  4. 최고경영자의 인식 부족
(정답률: 67%)
  • 사무자동화기기의 고도화는 사무자동화 추진의 장애 요인과 관련이 없는 것이다. 이는 이미 도입된 사무자동화 기기들이 더욱 발전하여 더욱 효율적인 업무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무자동화 추진의 장애 요인은 인력의 부족, 지식의 부족, 최고경영자의 인식 부족 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의 입력매체 중 광(Optical)센서에 의해서 읽을 수 없는 것은?

  1. OMR
  2. MICR
  3. OCR
  4. Bar Code
(정답률: 64%)
  • MICR은 Magnetic Ink Character Recognition의 약자로, 자기장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광센서에 의해서 읽을 수 없다. OMR은 Optical Mark Recognition, OCR은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Bar Code는 광센서에 의해서 읽을 수 있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파일의 자료구주에 근거한 데이터베이스 모델이 아닌 것은?

  1. 망형 모델
  2. 관계형 모델
  3. 계층형 모델
  4. 이진형 모델
(정답률: 87%)
  • 이진형 모델은 파일의 자료구조에 근거하지 않고, 데이터를 이진 코드로 표현하는 모델이기 때문에 파일의 자료구조에 근거한 데이터베이스 모델이 아니다. 이진형 모델은 주로 이미지나 음성 등의 바이너리 데이터를 다루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Time sharing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CPU가 multiprogramming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2. 사용자 관점에서 프로세서를 일정한 주기로 번갈아 점유하는 것을 말한다.
  3. 병렬처리와 같은 말이다.
  4. 프로세서가 여러 사용자 프로그램을 처리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자신의 것만을 처리하는 것으로 느낀다.
(정답률: 75%)
  • "병렬처리와 같은 말이다."는 적합하지 않은 설명이다. Time sharing은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각 사용자는 자신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처럼 느끼지만 실제로는 CPU가 여러 프로그램을 번갈아가며 실행하는 것이다. 이는 병렬처리와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통합화된 소프트웨어 패키지(package)에 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퍼스널 컴퓨터상에서 표 계산 및 워드프로세스 기능 등을 한 개의 프로그램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2. 상호간에 파일을 공용할 수 있도록 한다.
  3. 처리 도중에 별개의 기능을 사용해서 결과를 결합시켜 사용하기 편리하다.
  4. 기능이 복잡하여 업무처리에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이다.
(정답률: 90%)
  • 기능이 복잡하여 업무처리에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이다는 설명은 통합화된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특징이 아니라 단점이다. 통합화된 소프트웨어 패키지는 퍼스널 컴퓨터상에서 표 계산 및 워드프로세스 기능 등을 한 개의 프로그램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상호간에 파일을 공용할 수 있도록 하며, 처리 도중에 별개의 기능을 사용해서 결과를 결합시켜 사용하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Man/Machine Interface와 관계없는 것은?

  1. 입력기술, 출력기술 및 소프트웨어기술과 관련된다.
  2. 인간과 기기가 상호 의사전달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이다.
  3. 입력 및 표시장치 등을 통하여 가능하다.
  4. 기억장치 및 중앙처리장치를 통하여 가능하다.
(정답률: 75%)
  • 기억장치 및 중앙처리장치는 Man/Machine Interface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하드웨어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관련이 없다. Man/Machine Interface는 인간과 기기가 상호 의사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이며, 이를 위해 입력기술, 출력기술, 소프트웨어기술, 입력 및 표시장치 등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OA의 기본적인 요소기술과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1. 정보처리기술
  2. 통신기술
  3. 정보의 축적 및 검색기술
  4. 정보의 암호화 및 복호화기술
(정답률: 77%)
  • 정보의 암호화 및 복호화기술은 OA의 기본적인 요소기술 중에서도 보안과 관련된 기술로, 다른 기술들과는 별개로 정보 보호와 관련된 기술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다르게 보안과 관련된 기술이므로, OA의 기본적인 요소기술과는 관련이 적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OA기기의 통합운용을 촉진시킨 가장 직접적인 요인은?

  1. 마이크로필름의 발달
  2. 다중화 시스템의 등장
  3. 정보검색 기술의 발달
  4. 근거리 통신망의 발달
(정답률: 56%)
  • OA기기의 통합운용을 촉진시킨 가장 직접적인 요인은 "근거리 통신망의 발달"입니다. 이는 OA기기들이 서로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OA기기들 간의 데이터 공유와 작업 효율성이 증대되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근거리 통신망의 발달은 OA기기들의 원격 관리와 모니터링이 가능해져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을 구성하여 관리하게 함으로써 얻는 장점이 아닌 것은?

  1. 데이터의 중복 배제
  2. 데이터의 일관성 유지
  3. 데이터의 회복성 복잡
  4. 데이터의 무결성 유지
(정답률: 82%)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을 구성하여 관리하게 함으로써 얻는 장점 중 "데이터의 회복성 복잡"은 장점이 아닌 이유는, DBMS를 사용하면 데이터의 백업과 복원 등 데이터의 회복성을 보장할 수 있지만, 이를 구현하려면 복잡한 프로세스와 추가적인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단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액세스 방법이 다른 것은?

  1. 자기디스크
  2. 자기코어
  3. 자기드럼
  4. 자기테이프
(정답률: 66%)
  • 자기테이프는 데이터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하고 읽는 방식으로 액세스하며, 나머지 세 가지는 디스크, 코어, 드럼 등의 기억 장치에 직접 액세스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읽고 쓴다. 따라서 자기테이프는 액세스 방법이 다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사무자동화가 제공해야 할 기능과 관계없는 것은?

  1. 창의적이고 비반복적인 업무처리 기능
  2. 도큐멘테이션(Documentation) 기능
  3.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기능
  4. 정보(Information) 기능
(정답률: 76%)
  • 사무자동화는 주로 반복적이고 규칙적인 업무를 처리하는 데에 사용되므로, 창의적이고 비반복적인 업무 처리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이러한 업무는 인간의 판단과 창의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무자동화가 대체할 수 없는 영역이다. 따라서 "창의적이고 비반복적인 업무처리 기능"은 사무자동화가 제공해야 할 기능과 관계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헤드(Head)가 15개, 면당 917개의 트랙(Track), 트랙당 17섹터(Sector)인 하드디스크의 실린더 수는?

  1. 17
  2. 255
  3. 917
  4. 15589
(정답률: 84%)
  • 면당 917개의 트랙이 있으므로, 각 실린더는 917개의 트랙을 가지고 있다. 또한, 헤드가 15개이므로 각 실린더는 15 * 917 = 13755개의 섹터를 가지고 있다. 이를 트랙당 17섹터인 섹터 수로 나누면, 13755 / 17 = 809.11... 이므로, 실린더 수는 809개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91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일정한 전압을 유지시켜 주면서 순간 정전(Power Failure)에 대비하여 배터리 장치를 갖추어 정전이 되어도 일정 시간동안 전압을 보내주는 장치는?

  1. AVR
  2. ADAPTER
  3. MODEM
  4. UPS
(정답률: 68%)
  • UPS는 Uninterruptible Power Supply의 약자로, 일정한 전압을 유지시켜 주면서 순간 정전에 대비하여 배터리 장치를 갖추어 정전이 되어도 일정 시간동안 전압을 보내주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AVR, ADAPTER, MODEM은 이와 같은 기능을 갖추지 않기 때문에 정답은 UP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 관리의 책임이 있는 자는?

  1. 터미널사용자
  2. 오퍼레이터
  3. 데이터베이스관리자
  4. 응용프로그래머
(정답률: 95%)
  •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는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구축, 운영, 유지보수 등 데이터베이스 전반적인 관리 책임을 지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 관리의 책임이 있는 자는 데이터베이스관리자입니다. 터미널사용자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일반 사용자, 오퍼레이터는 컴퓨터 시스템을 운영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응용프로그래머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필요한 분석을 행하고 보기 쉬운 형태로 편집. 출력해 주는 시스템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사무자동화시스템
  2. 그룹웨어시스템
  3. 전자출판시스템(DTP)
  4. 의사결정지원시스템(DSS)
(정답률: 74%)
  • 정보를 검색하고 분석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기능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DSS)이 가장 적합합니다. DSS는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고 분석하여 시각화된 결과를 제공하므로,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DSS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분석 기능을 제공하므로, 의사결정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신체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사무환경과 관계없는 것은?

  1. 온도, 소음 등의 작업환경
  2. 작업공간
  3. 사무자동화기기의 작업시간
  4. 사무자동화기기간의 비호환성
(정답률: 90%)
  • 정답: 사무자동화기기간의 비호환성

    설명: 사무자동화기기간의 비호환성은 신체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사무환경과 관계없는 것입니다. 이는 다른 기기나 소프트웨어와 호환되지 않아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고, 작업자가 불편을 느끼거나 부적절한 자세로 작업을 하게 되어 신체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전자상거래와 전통적인 상거래에 대한 내용 중 전자상거래에 해당하는 것은?

  1. 판매 거점이 가상공간 속에서 일어난다.
  2. 기업중심의 일방적인 마케팅이 일어난다.
  3. 영업사원에 의하여 수요가 파악된다.
  4. 주로 한정된 지역에서 영업이 일어난다.
(정답률: 84%)
  • 전자상거래는 인터넷이나 모바일 등의 디지털 매체를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를 거래하는 것이기 때문에 판매 거점이 가상공간 속에서 일어난다는 것이 해당한다. 즉, 온라인 상점이나 옥션, 쿠팡 등의 인터넷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 전자상거래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사무자동화기기의 발전 방향과 거리가 먼 것은?

  1. 대형화와 복잡화
  2. 소형화와 휴대성
  3. 복합화 또는 통합화
  4. 기능 및 성능의 향상
(정답률: 86%)
  • 사무자동화기기의 발전 방향은 대체로 소형화와 휴대성, 복합화 또는 통합화, 기능 및 성능의 향상이다. 이에 비해 대형화와 복잡화는 사용자들이 원하는 간편성과 효율성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전 방향에서 거리가 먼 것이다. 대형화와 복잡화는 주로 대규모 기업이나 정부 기관 등에서 사용되며,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필요하지 않은 기능들이 많아 사용이 불편하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무경영관리 개론

21. 다음 중 사무량 측정방법을 틀리게 설명한 것은?

  1. 청취법 : 이 방법은 담당자나 그 업무에 정통한 사람에게 문의한 후 사무량을 측정하는 방법
  2. 시간 관측법: 이 방법은 업무를 직접 관찰하여 소요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실제로 업무가 이루어지는 현장에서 관찰하는 방법과 실험실 상황에서 관찰하는 방법 모두 활용됨
  3. 요소시간 측정법 : 이 방법은 상위 동작요소를 먼저 ‘기록한다’, ‘파일한다’ 등으로 구분하고 이들에 대하여 미리 표준시간을 확인한다.
  4. 워크샘플링법 : 이 방법은 사람의 작업, 기계설비의 가동 등 특정기간에 있어서의 시간적 추이, 상황, 특정 사건의 발생률 등을 통계적 확률을 이용하여 파악하는 방법
(정답률: 49%)
  • 청취법 : 이 방법은 담당자나 그 업무에 정통한 사람에게 문의한 후 사무량을 측정하는 방법이 맞습니다.

    요소시간 측정법은 상위 동작요소를 먼저 ‘기록한다’, ‘파일한다’ 등으로 구분하고 이들에 대하여 미리 표준시간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업무의 세부적인 요소들을 파악하여 각각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사무실 내의 소음 방지 요령 중 틀린 것은?

  1. 사무실 내에서의 불필요한 대화는 가급적 억제한다.
  2. 사무실 내에서의 보행시나 사무용 기기 사용시에는 소리가 크게 나지 않도록 사전에 노력한다.
  3. 바닥 재료는 소음이 적게 나도록 비탄력성인 것을 사용한다.
  4. 외부 방문객을 가급적 사무실에서 만나지 않도록 사무실 가까이에 공용 응접실을 마련한다.
(정답률: 85%)
  • "바닥 재료는 소음이 적게 나도록 비탄력성인 것을 사용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바닥 재료는 탄력성이 높은 것이 소음을 줄이는 데 더 효과적입니다. 탄력성이 높은 바닥재는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을 줄여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전산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허용온도의 범위로 적합한 것은?

  1. -10 ~ 0
  2. 0 ~ 10
  3. 16 ~ 28
  4. 25 ~ 42
(정답률: 84%)
  • 전산시스템은 고온 또는 저온에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산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허용온도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16 ~ 28도 사이입니다. 이 범위는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온도 범위로, 이를 벗어나면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산시스템을 보호하기에는 너무 낮거나 높은 온도 범위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힉스(Hicks)의 사무업무 내용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1. 기록의 보존
  2. 기록과 보고서의 준비
  3. 커뮤니케이션
  4. 정보의 검색과 가공
(정답률: 55%)
  • 정보의 검색과 가공은 힉스의 사무업무 내용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힉스는 기록의 보존, 기록과 보고서의 준비, 커뮤니케이션 등의 업무를 수행합니다. 정보의 검색과 가공은 보다 전문적인 분야인 정보관리나 데이터 분석 등의 업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프로그램저작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프로그램저작권은 프로그램이 창작된 때로부터 발생한다.
  2. 프로그램저작권은 그 프로그램이 공표된 다음 연도부터 50년간 존속한다.
  3. 프로그램 저작자는 그 프로그램에 자기의 설명을 표시할 수 있다.
  4. 프로그램저작자는 그 프로그램을 공표하여야만 저작권자의 권리를 가진다.
(정답률: 67%)
  • 정답은 "프로그램저작권은 그 프로그램이 공표된 다음 연도부터 50년간 존속한다."이다.

    프로그램저작권은 프로그램이 창작된 때로부터 발생하며, 저작자는 그 프로그램에 자신의 설명을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프로그램을 공표하지 않아도 저작권자의 권리를 가진다.

    프로그램저작권은 공표된 다음 연도부터 50년간 존속한다. 이 기간이 지나면 해당 프로그램은 저작권이 없는 상태가 되어 자유롭게 이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사무계획 수립 절차에 속하지 않는 것은 ?

  1. 시정조치
  2. 정보의 수집
  3. 최종안의 선택
  4. 사무의 목적 및 목표의 명확화
(정답률: 63%)
  • 시정조치는 사무계획 수립 절차에 속하지 않는다. 사무계획 수립 절차는 정보의 수집, 사무의 목적 및 목표의 명확화, 최종안의 선택으로 이루어진다. 시정조치는 이미 계획이 수립된 후에 발생하는 문제나 오류를 수정하기 위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사무량을 측정하기에 부적당한 사무는?

  1. 일상적으로 일정한 처리방법으로 반복되는 사무
  2. 상당기간 내용적으로 처리방법이 균일하여 변동이 별로 없는 사무
  3. 성과 또는 진행상황을 수치화하여 일정단위로서 계산할 수 있는 사무
  4. 조사기획과 같은 비교적 판단 및 사고력이 요구되는 사무
(정답률: 82%)
  • 조사기획과 같은 비교적 판단 및 사고력이 요구되는 사무는 사무량을 측정하기에 부적당합니다. 이유는 이러한 사무는 일정한 처리방법이 없으며, 상황에 따라 다양한 판단과 사고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일정한 기준으로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문서관리의 기본원칙이 아닌 것은?

  1. 표준화
  2. 전문화
  3. 자동화
  4. 분산화
(정답률: 71%)
  • 문서관리의 기본원칙 중 분산화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분산화란, 문서나 정보를 여러 곳에 분산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보안성이나 효율성 등의 이유로 일부 조직에서 채택하고 있지만, 문서관리의 기본원칙은 중앙집중화된 관리를 추구하는 것이므로 분산화는 기본원칙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사무직업의 효율화를 기하기 위해서는 절차, 서식, 작업 시간을 단축하거나 간소화해야 하는데 다음 사항 중 사무 간소화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본질적이 아닌 작업을 제거한다.
  2. 사무작업에서 불필요한 단계나 복잡성을 제거한다.
  3. 사무작업 속도를 증가시켜 종래보다 많은 일을 한다.
  4. 작업의 사무중복을 최소화 시킨다.
(정답률: 88%)
  • 정답: "사무작업 속도를 증가시켜 종래보다 많은 일을 한다."

    이유: 사무작업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간소화의 한 방법이지만, 이것만으로는 작업의 효율화를 보장할 수 없다. 작업의 복잡성을 제거하고 중복을 최소화하는 등의 다른 방법도 필요하다. 또한, 작업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작업의 정확성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품질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사무관리의 기능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작업 감사기능
  2. 연결기능
  3. 관리기능
  4. 정보기능
(정답률: 57%)
  • 작업 감사기능은 사무 작업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오류나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를 파악하고 수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는 사무관리의 기능이 아니라 사무 작업의 일부분으로, 따라서 사무관리의 기능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사무작업에서 사무동작연구의 분석 방법은?

  1. 샘플링(sampling)
  2. 표준규격(standard norm)
  3. 서블릭(therblig)
  4. 등급별(ranking)
(정답률: 57%)
  • 서블릭(therblig)은 사무작업에서 일어나는 모든 동작을 분석하여 개선하는 방법론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작업자가 수행하는 모든 동작을 세분화하여 분석하고, 각 동작의 시간과 노력을 측정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평가합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동작을 제거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는 등의 개선을 이룰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무동작연구에서는 서블릭(therblig)을 사용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개선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정보에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보는 생산 활동을 지배하는 기본요소 중 하나이다.
  2. 정보는 사실 내지 자료에 지적인 처리를 가하여 얻어진 지식이다.
  3. 정보는 자료에 특정 의미가 주어진 것으로서 직접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4. 사무는 경영의 정보를 행동을 결합시키는 과정이 될 수 없다.
(정답률: 83%)
  • "사무는 경영의 정보를 행동을 결합시키는 과정이 될 수 없다."가 틀린 설명이다. 사무는 경영의 정보를 수집, 분석, 가공하여 의사결정에 활용하고 이를 토대로 행동을 결합시키는 과정이다. 따라서 사무는 경영의 정보를 행동을 결합시키는 과정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자료의 수집방법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납본에 의한 방법
  2. 상부의 지시에 의한 방법
  3. 과제부여에 의한 방법
  4. 교환에 의한 방법
(정답률: 65%)
  • 상부의 지시에 의한 방법은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 아니라, 수집 방법을 결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 방법은 조직의 상위자나 관리자가 직접 수집 방법을 지시하는 방법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정보관리 및 사무관리의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정보관리는 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제공하는 것이나 사무관리는 지정한 기일, 방법으로 작성하는 것이다.
  2. 사무관리의 범위가 정보관리의 범위보다 넓다.
  3. 사무관리는 일상 업무를 처리하는 보고서를 작성하는 반면에 정보관리는 경영정보시스템의 도입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도 포함된다.
  4. 경영활동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것이 정보관리이고 사무처리방법의 합리화 및 시스템화는 사무관리이다.
(정답률: 75%)
  • "사무관리의 범위가 정보관리의 범위보다 넓다." 이유는 사무관리는 일상 업무를 처리하는 보고서 작성뿐만 아니라 조직 내부의 업무 체계 및 프로세스 설계, 인력 관리, 예산 관리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정보관리는 주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정보 시스템 개발 및 운영, 경영활동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등 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사무표준화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가 아닌 것은?

  1. 관리자의 관리활동을 편리하게 해준다.
  2. 관리자가 직원들에 대한 감독시 통제를 더욱 철저하게 할 수 있다.
  3. 부서별로 평가기준의 통일을 기할 수 없다.
  4. 사무원의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정답률: 66%)
  • 부서별로 평가기준의 통일을 기할 수 없다는 것은 사무표준화를 통해 각 부서에서 사용하는 업무 프로세스나 절차, 문서 등을 표준화하여 일관성을 유지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조직 내부의 협업과 의사소통에도 영향을 미치며,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Ticker System, Game up System 등은 사무관리의 부문 중 어떤 부문의 관리수단 체계를 말하는가?

  1. 사무계획
  2. 사무조직
  3. 사무조정
  4. 사무통제
(정답률: 55%)
  • Ticker System과 Game up System은 업무의 진행 상황을 체크하고 관리하기 위한 사무통제의 수단이다. 따라서 정답은 "사무통제"이다. 사무통제는 업무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업무의 진행 상황을 체크하고 조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 업무의 불필요한 중복과 지연을 방지하고, 업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은 관리의 기능 중 어느 것을 설명한 것인가.

  1. 조직(organizing)
  2. 사무조직(coordinating)
  3. 지시(directing)
  4. 통제(controlling)
(정답률: 48%)
  • 이 그림은 업무를 분담하고 일을 조직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조직도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 기능은 "조직(organizin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폐기 대상의 자료로 적합한 것은?

  1. 자료로서 관리할 필요가 있는 자료
  2. 1본의 복사본을 소장하고 있는 자료로서 열람빈도가 적은 자료
  3. 활용이 요구되는 자료
  4. 당해 자료기관의 장이 소장할 필요가 없다고 인정하는 자료
(정답률: 84%)
  • "당해 자료기관의 장이 소장할 필요가 없다고 인정하는 자료"는 관리나 보존에 필요하지 않거나 중요도가 낮아서 폐기해도 무방한 자료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Zisman의 사무자동화의 정의와 관계없는 것은?

  1. 통신기술
  2. 컴퓨터기술
  3. 행동과학
  4. 복합기술
(정답률: 72%)
  • Zisman의 사무자동화는 사무 업무를 자동화하기 위해 컴퓨터기술과 통신기술, 그리고 행동과학을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복합기술"은 이와 관련이 없는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문서보관방식 중 사무처리의 전문화가 가장 용이한 제도는?(문제오류로 모두 정답 처리한 문제입니다. 여기서는 1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1. 특수관리제
  2. 집중관리제
  3. 분산관리제
  4. 분산적 집중관리제
(정답률: 83%)
  • 사무처리의 전문화가 가장 용이한 문서보관방식은 "특수관리제"입니다. 이는 특정한 종류의 문서를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제도로, 해당 문서의 보관, 검색, 이관 등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법무부에서는 법률관련 문서를 특수관리제로 관리하여 법률전문가들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프로그래밍 일반

41. Top-down Parser에 해당하는 것은?

  1. Shift/Reduce Parser
  2. LR Parser
  3. Recursive Descent Parser
  4. Precedence Parser
(정답률: 55%)
  • Top-down Parser는 문장의 시작부터 파싱 트리를 구성해가며 분석하는 방법이다. Recursive Descent Parser는 이러한 Top-down Parser 중 하나로, 재귀적으로 함수를 호출하며 파싱 트리를 구성해나가는 방법이다. 따라서 Recursive Descent Parser가 Top-down Parser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순서제어에서 두 가지의 수행 경로에 있는 일련의 문장들 중 하나가 선택되어 수행되는 구조는?

  1. 합성
  2. 선택
  3. 반복
  4. 무한
(정답률: 79%)
  • 선택 구조는 두 가지 이상의 수행 경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정답이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자료 객체의 별명(alias)에 간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료 객체는 생존기간 중 여러 별명을 가질 수 있다.
  2. 일반적으로 별명은 프로그램의 이해를 매우 어렵게 한다.
  3. 자료 객체가 여러 가지 별명을 갖는 경우 프로그램의 무결점 검증이 쉬워진다.
  4. 같은 참조환경에서 다른 이름으로 같은 자료객체를 참조할 수 있는 언어의 경우 프로그래머에게 심각한 어려움을 줄 수 있다.
(정답률: 59%)
  • "자료 객체가 여러 가지 별명을 갖는 경우 프로그램의 무결점 검증이 쉬워진다."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자료 객체가 여러 가지 별명을 갖는 경우, 프로그램의 무결점 검증이 오히려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이는 별명이 서로 다른 컨텍스트에서 사용될 때 예기치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같은 객체를 가리키는 두 개의 별명이 있을 때, 하나의 별명으로 객체를 수정하면 다른 별명으로도 수정된 객체를 참조하게 됩니다. 이는 프로그램의 무결점을 검증하는 데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가장 큰 차이점은?

  1. 프로그램의 번역
  2. 프로그램의 신뢰도
  3. 목적프로그램의 생성
  4. 원시프로그램의 생성
(정답률: 69%)
  • 컴파일러는 소스코드를 전체적으로 번역하여 목적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반면, 인터프리터는 소스코드를 한 줄씩 읽어들여 즉시 실행하므로 목적프로그램을 생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가장 큰 차이점은 목적프로그램의 생성 여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이항(binary)연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AND
  2. OR
  3. XOR
  4. MOVE
(정답률: 88%)
  • "MOVE"는 이항(binary) 연산자가 아니라 단항(unary) 연산자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항 연산자는 두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고 연산을 수행하는 반면, 단항 연산자는 한 개의 피연산자만을 가지고 연산을 수행한다. "MOVE"는 한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고 해당 값을 다른 변수나 레지스터에 복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단항 연산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랜덤편성(Random organizat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억공간에 공백이 많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한다.
  2. 어떤 레코드에도 빠르게 액세스(access)하여 검색이 가능하다.
  3. 키(key)변환이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에 의해 이루어진다.
  4. 입출력 매체의 종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률: 55%)
  • 랜덤편성은 기억공간에 레코드를 무작위로 배치하는 방식으로, 입출력 매체의 종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은 매체의 속도나 성능에 따라 레코드의 배치가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입출력 매체의 종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포인터 자료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급언어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저급언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법이다.
  2. 객체를 참조하기 위해 주소를 값으로 하는 형식이다.
  3. 커다란 배열에 원소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자 할 때 이용한다.
  4. 하나의 자료에 동시에 많은 리스트의 연결이 가능하다.
(정답률: 71%)
  • "고급언어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저급언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법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포인터 자료형은 고급언어에서도 많이 사용되며, C, C++, Java, Python 등 다양한 언어에서 지원한다. 포인터 자료형은 메모리 주소를 값으로 가지는 형식으로, 객체를 참조하거나 동적 메모리 할당 등에 사용된다. 또한, 커다란 배열에 원소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거나, 하나의 자료에 동시에 많은 리스트의 연결이 가능하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어휘 분석기(lexical analyz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시프로그램(source program)을 읽어 들여 토큰(token)이라는 문법적 단위(systemic entity)로 분석한다.
  2.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램의 설명을 위해 쓴 주석(comment)은 어휘 분석기에서 모두 처리된다.
  3. 어휘 분석기는 일명 스캐너(scanner)라고도 불리 운다.
  4. 어휘 분석기는 그 결과물로서 파스트리(parse-tree)를 생성한다.
(정답률: 47%)
  • 어휘 분석기는 그 결과물로서 파스트리(parse-tree)를 생성하지 않는다. 어휘 분석기는 원시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토큰(token)이라는 문법적 단위(systemic entity)로 분석하고,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램의 설명을 위해 쓴 주석(comment)은 처리하지 않는다. 어휘 분석기는 일명 스캐너(scanner)라고도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구조적프로그램의 기본 구조가 아닌 것은?

  1. 순차(sequence) 구조
  2. 조건(condition) 구조
  3. 일괄(batch) 구조
  4. 반복(repetition) 구조
(정답률: 70%)
  • 일괄(batch) 구조는 구조적 프로그램의 기본 구조가 아닙니다. 이는 여러 개의 명령어를 한 번에 실행하는 구조로, 일괄 처리(batch processing) 작업에 사용됩니다. 일괄 구조는 입력, 처리, 출력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번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할 때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C언어의 자료형이 아닌 것은?

  1. long
  2. integer
  3. float
  4. double
(정답률: 88%)
  • 정답은 "integer"입니다. 이유는 C언어에서는 "integer"이라는 자료형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신 "int"라는 자료형을 사용합니다. "long", "float", "double"은 모두 C언어에서 사용되는 자료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정규표현(redular express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규 표현은 정규 언어를 나타내는 수식이다.
  2. 정규 표현은 유한 길이의 스트링만 나타낼 수 있다.
  3. 정규 표현은 상태 전이도로 나타낼 수 있다.
  4. 정규 집합을 형성하는 기초가 된다.
(정답률: 71%)
  • "정규 표현은 유한 길이의 스트링만 나타낼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정규 표현은 유한한 길이의 문자열 뿐만 아니라 무한한 길이의 문자열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규 표현식 "a*"은 문자 'a'가 0번 이상 반복되는 모든 문자열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수학적 수식 “A+B"를 ”+AB"로 표현한 표기법은?

  1. PREFIX
  2. INFIX
  3. SUFFIX
  4. POSTFIX
(정답률: 74%)
  • "PREFIX" 표기법은 연산자가 피연산자 앞에 위치하는 표기법이다. 따라서 "A+B"를 "+AB"로 표현한 것은 연산자 "+"가 피연산자 "A"와 "B" 앞에 위치하므로 PREFIX 표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객체의 외부적인 활동을 연산이라는 전제하에서 구현한 것은?

  1. 속성
  2. 메시지
  3. 메소드
  4. 추상화
(정답률: 76%)
  • 객체의 외부적인 활동을 연산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해당 연산을 수행하는 함수를 객체 내부에 정의해야 합니다. 이때 함수를 객체의 속성으로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객체의 외부에서 호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정의해야 합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메소드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객체의 외부적인 활동을 연산으로 구현한 것은 메소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인터프리터와 관계 깊은 언어는?

  1. FORTRAN
  2. COBOL
  3. C
  4. BASIC
(정답률: 67%)
  • BASIC은 초기에 인터프리터 언어로 개발되었으며, 인터프리터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FORTRAN, COBOL, C는 모두 컴파일러 언어로 개발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컴파일러의 컴파일 단계로 옳은 것은?

  1. ①②④③⑥⑤
  2. ①②④⑤⑥③
  3. ①④③⑤⑥②
  4. ①②③④⑤⑥
(정답률: 62%)
  • 컴파일러의 컴파일 단계는 다음과 같다.

    ① 전처리기(preprocessor): 소스 코드 내에 포함된 전처리 지시자를 처리하여 중간 코드를 생성한다.

    ② 언어 분석기(lexer): 전처리된 소스 코드를 입력으로 받아 소스 코드를 토큰으로 분리한다.

    ③ 구문 분석기(parser): 토큰으로 분리된 소스 코드를 입력으로 받아 문법 규칙에 따라 구문 분석을 수행하여 추상 구문 트리(Abstract Syntax Tree, AST)를 생성한다.

    ④ 의미 분석기(semantics analyzer): 추상 구문 트리를 입력으로 받아 의미 분석을 수행하여 변수나 함수의 정의 여부, 타입 체크 등을 수행한다.

    ⑤ 코드 생성기(code generator): 의미 분석을 마친 추상 구문 트리를 입력으로 받아 목적 코드를 생성한다.

    ⑥ 최적화기(optimizer): 생성된 목적 코드를 최적화하여 실행 속도나 메모리 사용량 등을 개선한다.

    따라서, 옳은 답은 "①②④③⑥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절대로더에서 기능별 수행 주체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기억장소 할당 - 프로그래머
  2. 연결 - 프로그래머
  3. 재배치 - 어셈블러
  4. 적재 - 프로그래머
(정답률: 54%)
  • 적재는 어셈블러가 수행하는 작업이므로, "적재 - 프로그래머"는 옳지 않은 연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객체지향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에서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Object)들을 묶어서 하나의 공통된 특성으로 표현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클래스(Class)
  2. 행위(Behavior)
  3. 사건(Event)
  4. 메시지(Message)
(정답률: 91%)
  • 클래스(Class)는 객체지향언어에서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Object)들을 묶어서 하나의 공통된 특성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즉, 클래스는 객체들의 공통된 속성과 행위를 정의하는 템플릿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객체를 생성할 때 이 클래스를 참조하여 객체를 생성하게 되며, 이렇게 생성된 객체는 클래스에서 정의된 속성과 메서드를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클래스는 객체지향언어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주기억장치의 부족한 용량을 해결하기 위해 보조기억장치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기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인터프리팅 기법
  2. 가상(Virtual) 기법
  3. 컴파일러 기법
  4. 오버레이 기법
(정답률: 83%)
  • 가상(Virtual) 기법은 주기억장치의 부족한 용량을 해결하기 위해 보조기억장치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기법이다. 이를 위해 운영체제는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프로그램을 일부씩 주기억장치로 가져와 실행하며, 필요한 부분만 보조기억장치로 다시 돌려보내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주기억장치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인터럽트의 종류 중 프로그래머에 의해 발생하는 인터럽트로서 보통 입출력의 수행, 기억장치의 할당 및 오퍼레이터와의 대화 등의 작업 수행시 발생하는 것은?

  1. 입.출력 인터럽트
  2. 외부 인터럽트
  3. 기계 검사 인터럽트
  4. SVC 인터럽트
(정답률: 56%)
  • SVC 인터럽트는 시스템 콜을 호출하여 운영체제에게 특정 작업을 요청하는 인터럽트이기 때문에, 입출력의 수행, 기억장치의 할당 및 오퍼레이터와의 대화 등의 작업 수행시 발생하는 것이다. 다른 인터럽트들은 하드웨어나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므로 이와는 다른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운영체제의 제어 프로그램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서비스(Service) 프로그램
  2. 감시(Supervisor) 프로그램
  3. 데이터 관리(Data Management) 프로그램
  4. 작업 제어(Job Contrl) 프로그램
(정답률: 70%)
  • 위 그림은 작업 제어(Job Control)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작업 제어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입력한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할당하고, 작업의 실행을 감시하며, 작업이 완료되면 자원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사용자가 입력한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할당하고, 작업의 실행을 감시하며, 작업이 완료되면 자원을 해제하는 것이 작업 제어 프로그램의 주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통신 개론

61. 인터넷 프로토콜인 TCP/IP중 IP는 OSI 7계층 중 어느 계층에 해당되는가?

  1. 응용계층
  2. 전송계층
  3. 네트워크계층
  4. 데이터링크계층
(정답률: 73%)
  • IP는 OSI 7계층 중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합니다. 이는 IP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라우팅, 패킷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네트워크 계층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경로를 결정하고,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IP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전송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광섬유 케이블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고속 대용량 전송이 가능하다.
  2. 가볍고 부식되지 않으므로 분기나 접속이 용이하다.
  3. 장거리 전송이 가능하다.
  4. 가볍고 내구성이 강하다.
(정답률: 65%)
  • 광섬유 케이블의 장점 중 가볍고 부식되지 않으므로 분기나 접속이 용이하다는 것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광섬유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가볍고 내구성이 강하며, 고속 대용량 전송과 장거리 전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광섬유 케이블은 분기나 접속이 용이하지 않은데, 이는 광신호가 전기 신호보다 민감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광섬유 케이블의 분기나 접속은 전문가의 지식과 기술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주프로세서(Host Processor)를 통하여 데이터를 교환하여 통신망제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통신망 형태는?

  1. 분산형
  2. 루우프(Loop)형
  3. 계층형
  4. 중앙 집중형
(정답률: 59%)
  • 중앙 집중형 통신망은 모든 데이터 교환과 통신망 제어가 주프로세서를 통해 중앙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분산형이나 루프형, 계층형 통신망은 각각의 노드나 선로에서 데이터 교환과 제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복잡하고 제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HDLC 프레임을 구성하는 필드가 아닌 것은?

  1. FCS 필드
  2. Flag 필드
  3. Control 필드
  4. Link 필드
(정답률: 57%)
  • HDLC 프레임에는 FCS 필드, Flag 필드, Control 필드가 포함되지만, Link 필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Link 필드는 SDLC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필드이며, HDLC 프로토콜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기간통신사업자의 회선을 임차하여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성이나 데이터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서비스망은?

  1. LAN
  2. VAN
  3. ISDN
  4. PSDN
(정답률: 79%)
  • VAN은 기간통신사업자의 회선을 임차하여 부가가치를 부여한 서비스망으로, LAN은 지역 내 네트워크, ISDN은 디지털 통신망, PSDN은 공중 데이터망을 의미한다. 따라서, VAN은 기간통신사업자의 회선을 활용하여 지역을 넘어서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용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CATV 분배망 등에 사용되며 데이터 전송률이 500Mbps 정도까지 가능한 전송 매체는?

  1. 2선식 개방 선로
  2. 꼬임선
  3. 동축케이블
  4. 광섬유
(정답률: 66%)
  • CATV 분배망 등에 사용되는 전송 매체는 주로 동축케이블입니다. 이는 광섬유보다는 전송 거리가 짧고, 비용이 저렴하며, 데이터 전송률이 500Mbps 정도까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동축케이블은 외부 잡음에 강하고, 신호 감쇠가 적어 신호의 왜곡이 적어 안정적인 전송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표현계층에 대한 기능으로 틀린 것은?

  1. 암호화
  2. 경로선택
  3. 코드변환
  4. 문맥관리
(정답률: 51%)
  • 표현계층의 기능 중 "경로선택"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표현계층은 데이터를 표현하고 전송하기 위한 방식을 정의하는 계층으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코드를 변환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경로선택"은 전송계층에서 수행하는 기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로를 선택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오류정정이 가능한 부호가 아닌 것은?(문제오류로 모두 정답처리한 문제입니다. 여기서는 1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1. Convolution 부호
  2. 2차원 Parity 부호(수직-수평 패리티 부호)
  3. 해밍(Hamming) 부호
  4. CRC(Cyclic Redundancy Check) 부호
(정답률: 82%)
  • 1. Convolution 부호 - 오류정정이 가능한 선형 부호로, 입력 데이터에 대해 일정한 길이의 코드워드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코드워드는 입력 데이터와 특정 다항식의 합성곱으로 생성되며, 수신측에서는 이 다항식을 이용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할 수 있다.

    2. 2차원 Parity 부호 - 입력 데이터를 2차원 배열로 나타내고, 각 행과 열에 대해 수직 및 수평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오류를 검출할 수 있는 부호이다. 하지만 오류정정 기능은 없다.

    3. 해밍(Hamming) 부호 - 입력 데이터에 대해 일정한 길이의 코드워드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코드워드는 입력 데이터와 일정한 규칙에 따라 생성되며, 수신측에서는 이 규칙을 이용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할 수 있다.

    4. CRC(Cyclic Redundancy Check) 부호 - 입력 데이터에 대해 일정한 다항식을 나누어 나머지를 코드워드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 코드워드는 입력 데이터와 다항식의 나머지 연산으로 생성되며, 수신측에서는 이 다항식을 이용하여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하지만 오류정정 기능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의 실현 방안으로 적합한 통신방식은?

  1. WAN
  2. ATM
  3. ADSL
  4. N-ISDN
(정답률: 35%)
  • ATM은 광대역 통신망에서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패킷 교환 방식으로,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며 고속 전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방식으로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신호와 전송방식 그리고 이를 위해 사용되는 신호변환 장비에 대한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아날로그 신호 - 디지털 전송 - 코덱(Codec)
  2. 디지털 신호 - 아날로그 전송 - 모뎀(Modem)
  3. 디지털 신호 - 디지털 전송 - CSU
  4. 아날로그 신호 - 아날로그 전송 - DSU
(정답률: 64%)
  • 아날로그 신호는 연속적인 값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디지털 전송을 위해서는 샘플링과 양자화 과정을 거쳐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장비가 코덱입니다. 따라서 "아날로그 신호 - 아날로그 전송 - DSU"가 옳지 않은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네트워크의 형상(Topology)에 따른 LAN의 분류방식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링(Ring)형
  2. 버스(Bus)형
  3. 성(Star)형
  4. 베이스밴드(Base Band)형
(정답률: 82%)
  • 베이스밴드(Base Band)형은 LAN의 분류방식이 아니라, 네트워크의 전송방식 중 하나이다. 베이스밴드(Base Band)는 디지털 신호를 직접 전송하는 방식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식인 브로드밴드(Broad Band)와 구분된다. 따라서, 네트워크의 형상(Topology)에 따른 LAN의 분류방식으로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중화 방식 중 실제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단말장치에만 타임 슬롯을 할당함으로써 전송 효율을 높이는 특징을 가진 것은?

  1. 동기식 TDM
  2. FDM
  3. 비동기식 TDM
  4. MODEM
(정답률: 60%)
  • 비동기식 TDM은 데이터가 실제로 전송되는 단말장치에만 타임 슬롯을 할당하여 전송 효율을 높이는 방식입니다. 다른 방식들은 모든 단말장치에 균등하게 타임 슬롯을 할당하거나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전송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동기식 TDM은 전송 속도가 빠른 데이터를 처리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쌍방향 통신의 뉴미디어에 해당되는 것은?

  1. Radio
  2. Videotex
  3. Teletext
  4. CCTV
(정답률: 63%)
  • 정답은 "Videotex"입니다. Videotex는 사용자가 컴퓨터나 텔레비전을 통해 정보를 검색하고 전송할 수 있는 뉴미디어입니다. 이는 사용자와 정보 제공 업체 간의 쌍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단방향 통신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데이터 전송 경로가 올바른 것은?

  1. 터미널-통신채널-모뎀-통신제어장치-모뎀-컴퓨터
  2. 터미널-모뎀-통신채널-모뎀-통신제어장치-컴퓨터
  3. 터미널-모뎀-통신제어장치-모뎀-통신채널-컴퓨터
  4. 터미널-통신제어장치-모뎀-통신제어장치-모뎀-컴퓨터
(정답률: 46%)
  • 정답은 "터미널-모뎀-통신채널-모뎀-통신제어장치-컴퓨터" 입니다.

    데이터 전송 경로는 데이터가 출발지인 터미널에서 시작하여, 모뎀을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됩니다. 이후, 수신지인 컴퓨터에서는 다시 모뎀을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통신제어장치를 거쳐 최종적으로 데이터가 도착합니다. 따라서, "터미널-모뎀-통신채널-모뎀-통신제어장치-컴퓨터"가 올바른 데이터 전송 경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HDLC 프로토콜의 기본 기능이 아닌 것은?

  1. 단방향, 반이중, 전이중 모두 사용 가능하다.
  2. BYTE방식 프로토콜이다.
  3. Go-Back-N ARQ 에러제어 방식이다.
  4. 데이터링크 형식은 Point-To-Point, Multi-Point 모두 가능하다.
(정답률: 58%)
  • HDLC 프로토콜은 비트 방식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BYTE방식 프로토콜이다."는 HDLC의 기본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8위상편이변조(PSK)는 한 번에 몇 개의 신호비트(Bit)가 전송되는가?

  1. 2
  2. 3
  3. 4
  4. 8
(정답률: 70%)
  • 8위상편이변조(PSK)는 한 번에 1개의 신호비트를 전송하지만, 각 신호비트는 3개의 위상 중 하나를 나타내므로 3개의 비트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SK는 한 번에 3개의 비트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회선교환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회선교환기에서 오류제어가 용이하다.
  2. 일대일 정보통신이 가능하다.
  3. 길이가 긴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4. 회선 교환기내에서 처리지연시간이 비교적 적다.
(정답률: 30%)
  • "길이가 긴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회선교환방식은 통화나 데이터 전송 시에 미리 회선을 확보하여 통신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일대일 정보통신이 가능하며, 회선 교환기내에서 처리지연시간이 비교적 적습니다. 또한, 오류제어가 용이한 이유는 데이터 전송 시에 미리 확보한 회선을 통해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 중간에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ISDN 채널에서 D채널의 용도는?

  1. 음성채널
  2. 사용자 서비스를 위한 채널
  3. 서비스 제어를 위한 채널과 저속의 패킷전송 채널
  4. 예비채널
(정답률: 60%)
  • D채널은 ISDN 채널 중 하나로, 서비스 제어를 위한 채널과 저속의 패킷전송 채널로 사용됩니다. 이 채널은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되며, 서비스 제어와 데이터 전송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D채널은 ISDN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인터넷의 통신망들을 관리하고 기술을 지원하는 표준화 기구 중 변화하는 망 환경에 따라 새로운 기술을 제시하고 인터넷 표준안을 제정하기 위한 기술 위원회는?

  1. IESG(Internet Engineering Steering Group)
  2. IAB(Internet Activies Board)
  3. ISO(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4.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정답률: 48%)
  • IETF는 인터넷의 통신망을 관리하고 기술을 지원하는 표준화 기구 중에서 변화하는 망 환경에 따라 새로운 기술을 제시하고 인터넷 표준안을 제정하기 위한 기술 위원회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기능과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라우터(Router)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네트워크 계층을 지원한다.
  2. 전송되는 패킷들의 경로를 결정한다.
  3. 게이트웨이(Gateway)기능을 지원한다.
  4. 브릿지(Bridge) 기능만을 지원한다.
(정답률: 75%)
  • 라우터는 네트워크 계층을 지원하며, 전송되는 패킷들의 경로를 결정하고 게이트웨이 기능을 지원한다. 따라서 "브릿지(Bridge) 기능만을 지원한다."는 틀린 설명이다. 라우터는 브릿지와 같은 스위칭 기능도 수행할 수 있지만, 주요 기능은 라우팅(Routing)이다. 라우터는 라우팅 테이블을 사용하여 패킷을 전달할 경로를 결정하고, 이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