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3-01)

사무자동화산업기사
(2009-03-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사무자동화 시스템

1. 사무자동화 추진시 조직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결과제가 아닌 것은?

  1. 사무환경 정비
  2. 사무관리제도 개혁
  3. 조직 및 체제의 재정비
  4. 사무원 감소 및 문서량 감소
(정답률: 91%)
  • 사무자동화는 사무환경을 개선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적인 대책이므로, 사무원 감소 및 문서량 감소는 사무자동화 추진시 조직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결과제가 아닙니다. 사무자동화는 업무를 자동화하여 사무원의 업무 부담을 줄이고, 업무 처리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사무원 감소 및 문서량 감소는 사무자동화 추진시 조직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결과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전자우편시스템을 이용해서 사내 야유회 공고를 하고 싶을 때 전자우편시스템 기능 중 어느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1. 반송
  2. 일시지정송신
  3. 동보지정
  4. 회부
(정답률: 89%)
  • 사내 야유회 공고를 하기 위해서는 모든 직원들에게 동시에 공지를 해야 하므로 "동보지정"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 기능은 한 번에 여러 수신자에게 동일한 내용의 메일을 보낼 수 있으며, 수신자들은 서로의 이메일 주소를 알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대규모로 공지를 해야 할 때 효율적이고 간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은 응용프로그램들이 데이터베이스를 공용할 수 있도록 관리해 주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으로 DBMS가 가지는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탐색 기능
  2. 정의 기능
  3. 조작 기능
  4. 제어 기능
(정답률: 55%)
  • DBMS의 기능 중 "탐색 기능"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DBMS의 기능으로는 "정의 기능"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고 생성하는 기능, "조작 기능"으로 데이터를 검색, 삽입, 수정, 삭제하는 기능, "제어 기능"으로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 보안, 권한 등을 관리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문장이 의미하는 것은?

  1. 그룹웨어
  2. 인터넷
  3. 응용 소프트웨어
  4. 시스템 소프트웨어
(정답률: 92%)
  • 이미지는 "그룹웨어"를 설명하는 것으로, 그룹웨어는 회사나 조직 내에서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응용 소프트웨어입니다. 이것은 인터넷을 통해 접근 가능하며,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함께 작동하여 조직 내의 업무 프로세스를 관리합니다. 따라서, "그룹웨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통합 사무자동화시스템의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OA기기간의 통합은 기기의 공유와 데이터의 공유 등 OA 자원의 공유를 포함한다.
  2. OA의 통합화는 복합화된 OA에서 단순 OA로 분리시키는 방향을 의미한다.
  3. OA의 통합화는 조직 내에서 개별적으로 진행되던 OA를 일관성 있게 통합함을 의미한다.
  4. OA의 통합화는 OA기기의 통합화와 시스템의 통합화를 기반으로 한다.
(정답률: 69%)
  • "OA의 통합화는 복합화된 OA에서 단순 OA로 분리시키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 설명은 오히려 OA의 분리를 의미하므로 통합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다. OA의 통합화는 조직 내에서 개별적으로 진행되던 OA를 일관성 있게 통합함을 의미하며, OA기기간의 공유와 데이터의 공유 등 OA 자원의 공유를 포함하고, OA기기의 통합화와 시스템의 통합화를 기반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사무자동화의 주요기능 중에서 문서의 작성, 배포, 보관의 신속화, 정확도의 향상을 위한 기능은?

  1. 다큐멘테이션 기능
  2. 커뮤니케이션 기능
  3. 정보이용 기능
  4. 자동업무처리 기능
(정답률: 57%)
  • 다큐멘테이션 기능은 문서 작성, 배포, 보관 등과 같은 업무를 자동화하여 작업의 신속성과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문서 작성 및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컴퓨터를 사용해 전화 통화를 관리하는 것은?

  1. EIS
  2. DSS
  3. SIS
  4. CTI
(정답률: 85%)
  • CTI는 컴퓨터와 전화기를 연결하여 전화 통화를 관리하는 기술이다. 다른 보기들은 컴퓨터를 사용하여 정보를 분석하거나 결정을 내리는 기술이지만, CTI는 전화 통화를 관리하는 기술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해상도(픽셀)가 가장 높은 모니터형은?

  1. CGA
  2. XGA
  3. EGA
  4. VGA
(정답률: 81%)
  • XGA가 가장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XGA는 1024x768 픽셀의 해상도를 지원하며, 다른 보기들은 그보다 낮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퍼스널컴퓨터의 기종 중에 펜티엄V 950MHz CPU를 사용한다면 1초에 대략 몇 개의 데이터를 처리하는가?

  1. 950만 개
  2. 9500만 개
  3. 95000만 개
  4. 950000만 개
(정답률: 73%)
  • 펜티엄V 950MHz CPU는 1초에 950만 번의 연산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는 CPU의 클럭 속도가 950MHz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950만 개"가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950만 개보다 큰 값을 가지고 있으므로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CPU와 입ㆍ출력 장치와의 속도 차이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은?

  1. Storage Protection
  2. Storage Interleaving
  3. Polling
  4. Buffering
(정답률: 86%)
  • Buffering은 CPU와 입ㆍ출력 장치 간의 속도 차이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입ㆍ출력 장치에서 데이터를 미리 버퍼에 저장해 놓고, CPU가 필요할 때마다 버퍼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처리함으로써 입ㆍ출력 장치와 CPU 간의 속도 차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채널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주기억장치와 입출력장치 사이에서 입출력을 제어한다.
  2. 전체 시스템의 입출력 처리속도를 향상시킨다.
  3. 멀티플렉서 채널은 저속의 입출력장치를 제어해준다.
  4. 셀렉터 채널은 고속의 CPU 장치를 제어해준다.
(정답률: 56%)
  • 정답은 "셀렉터 채널은 고속의 CPU 장치를 제어해준다." 이다. 셀렉터 채널은 주기억장치와 입출력장치 사이에서 입출력을 제어하고 전체 시스템의 입출력 처리속도를 향상시키지만, 고속의 CPU 장치를 제어해주는 것은 채널 컨트롤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ISO/IEC에서 정지화상 압축에 대한 국제표준으로 개발한 압축ㆍ복원 알고리즘은?

  1. MPEG
  2. JPEG
  3. IRG
  4. IBG
(정답률: 89%)
  • 정지화상 압축에 대한 국제표준으로 개발한 압축ㆍ복원 알고리즘은 JPEG이다. 이는 이미지를 손실 압축하는 방식으로, 이미지를 작은 블록으로 나누어 각 블록을 독립적으로 압축하고, 이를 다시 조합하여 전체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이 방식은 압축률이 높고, 이미지 품질도 보존되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컴퓨터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캐릭터의 외형을 바꾸는 그래픽, 오디오 파일 혹은 하드웨어 겉포장을 말하는 것은?

  1. emoticon
  2. application
  3. illustation
  4. skin
(정답률: 85%)
  • "Skin"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캐릭터의 외형을 바꾸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emoticon"은 감정 표현을 위한 그래픽, "application"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illustration"은 그림이며, "skin"은 외형을 바꾸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사무부문의 생산성 평가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신속성
  2. 유효성
  3. 창조성
  4. 생산성
(정답률: 43%)
  • 신속성은 사무부문의 생산성 평가 기준으로 옳은 것이 아니다. 이는 생산성과는 관련이 있지만, 생산성 평가의 기준으로는 아니다. 생산성 평가의 기준으로는 유효성, 창조성, 그리고 생산성이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데이터베이스의 기본적 모형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관계모형
  2. 상호모형
  3. 망모형
  4. 계층모형
(정답률: 63%)
  • 상호모형은 데이터베이스 모형 중 하나이지만, 기본적인 모형은 아닙니다. 상호모형은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데이터를 노드와 링크로 구성하여 표현합니다. 따라서 상호모형은 계층모형과 망모형의 중간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관계모형, 망모형, 계층모형은 데이터베이스의 기본적인 모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시스템에서 대기상태로 있다가 서비스 요청이 들어오면 해당 서비스를 실행하는 기능을 하는 것은?

  1. 운영체제
  2. 데몬
  3. 프로세서
  4. 커널
(정답률: 47%)
  • 데몬은 시스템에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면서 대기상태로 있다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이벤트에 대한 서비스를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서비스 요청이 들어오면 데몬이 해당 서비스를 실행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교착상태가 발행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중 프로세스가 어떤 자원의 사용을 끝낼 때까지 그 자원을 뺏을 수 없는 것은?

  1. 상호배제
  2. 비선점
  3. 점유와 대기
  4. 환형 대기
(정답률: 68%)
  • 교착상태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상호배제, 점유와 대기, 환형 대기, 비선점 중 3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어떤 자원의 사용을 끝낼 때까지 그 자원을 뺏을 수 없는 것이 비선점인 이유는, 만약 그 자원을 뺏을 수 있다면 점유와 대기 조건이 만족되어 교착상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선점으로 자원을 할당하면 교착상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Time sharing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CPU가 multiprogramming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2. 사용자 관점에서 프로세서를 일정한 시간 주기로 번갈아 점유하는 것을 말한다.
  3. 병렬처리와 같은 말이다.
  4. 프로세서가 여러 사용자 프로그램을 처리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자신의 것만을 처리하는 것으로 느낀다.
(정답률: 75%)
  • "병렬처리와 같은 말이다."는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Time sharing은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각 사용자는 자신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처럼 느끼지만 실제로는 CPU가 여러 프로그램을 번갈아가며 실행하는 것입니다. 이는 병렬처리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전자결제시스템에서 지원해야 하는 주요기능 중 거리가 먼 것은?

  1. 익명성 보장
  2. 보안성 보장
  3. 휴대가능성 보장
  4. 후불형 보장
(정답률: 66%)
  • 전자결제시스템에서 지원해야 하는 주요기능 중 거리가 먼 것은 "후불형 보장"입니다. 전자결제시스템은 결제 시점에 결제 금액을 미리 지불하는 선불형 결제 방식을 주로 지원하며, 후불형 결제 방식은 일부 시스템에서만 지원됩니다. 후불형 보장은 결제 이후에도 상품이나 서비스의 품질 등에 대한 보장을 의미하는데, 이는 결제 시스템이 아닌 상품이나 서비스 제공자의 책임이기 때문에 전자결제시스템에서 직접적으로 지원해야 하는 기능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컴퓨터의 주요 부분 중 프로그램 계수기, 명령어 해독기, 명령어 레지스터, 주소 레지스터 등으로 구성된 부분은?

  1. 주기억장치
  2. 산술 및 논리연산장치
  3. 제어장치
  4. 입ㆍ출력장치
(정답률: 49%)
  • 프로그램 계수기, 명령어 해독기, 명령어 레지스터, 주소 레지스터 등은 컴퓨터의 작업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입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을 제어장치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제어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무경영관리 개론

21. 다음 동작 사례 중 비효율적인 Therblig에 해당하는 것은?

  1. 스패너에 손을 얹는다.
  2. 스패너를 잡는다.
  3. 스패너를 볼트 있는 곳으로 가지고 간다.
  4. 몇 개 중에서 1개의 스패너를 고른다.
(정답률: 75%)
  • "몇 개 중에서 1개의 스패너를 고른다."는 비효율적인 Therblig이다. 이유는 이 동작은 작업의 목적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며, 작업의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이 동작은 최대한 줄이거나 없애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전자기록물의 저장, 이관, 백업, 복원, 보존 등을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가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전자기록물을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수록 및 재생할 수 있어야 한다.
  2. 전자기록물을 현재의 저장환경으로부터 새로운 저장환경으로 손상 없이 옮길 수 있어야 한다.
  3. 다른 매체로 복제본 제작이 가능하여야 한다.
  4. 수록된 전자기록물을 임의 수정, 삭제, 위조, 변조 등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78%)
  • "다른 매체로 복제본 제작이 가능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전자기록물의 보존을 위해서는 원본과 동일한 형태로 복제본을 제작할 수 있어야 하므로, 다른 매체로의 복제는 원본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수록 및 재생할 수 있어야 한다, 전자기록물을 현재의 저장환경으로부터 새로운 저장환경으로 손상 없이 옮길 수 있어야 한다, 수록된 전자기록물을 임의 수정, 삭제, 위조, 변조 등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올바른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사무계획을 설정할 때 가장 먼저 수행하여야 할 요소는?

  1. 계획수립
  2. 사무평가
  3. 목표설정
  4. 프로그램 작성
(정답률: 62%)
  • 사무계획을 설정할 때 가장 먼저 수행하여야 할 요소는 목표설정이다. 이는 계획을 수립하기 전에 무엇을 달성하고자 하는지 명확하게 설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목표를 설정하면 그에 따른 계획을 세울 수 있으며, 목표를 향해 집중적으로 노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무계획을 설정할 때는 먼저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사무량 측정을 위한 적합한 대상이 아닌 것은?

  1. 업무의 구성이 동일한 사무
  2. 사무량이 적은 잡다한 사무
  3. 일상적으로 일정한 처리방법으로 반복되는 사무
  4. 상당기간 처리방법이 균일하여 변동이 별로 없는 사무
(정답률: 89%)
  • 정답은 "사무량이 적은 잡다한 사무"이다. 이유는 사무량이 적다는 것은 측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사무량이 많은 경우에는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므로 측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사무량이 적은 경우에는 측정할 필요가 없으며, 시간과 비용을 낭비할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문서의 보관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문서는 파일캐비닛(또는 이에 준하는 것)에 보관하고 서류함 외부에는 서류함 번호와 문서철의 분류번호를 기재한다.
  2. 완결되지 아니한 미결문서는 여러 건으로 철하여 서류함에 보관하면 된다.
  3. 활용빈도가 높은 보관문서는 서류함의 윗단에 보관하고, 보존문서는 아랫단에 보존한다.
  4. 미결문서의 문서철 표지에는 단위 업무별 기능 명칭으로 문서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보관한다.
(정답률: 86%)
  • "완결되지 아니한 미결문서는 여러 건으로 철하여 서류함에 보관하면 된다."가 잘못된 것이다. 완결되지 않은 미결문서는 보관함이 아닌 작업대 등에 보관하여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보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문서 작성시 가장 바람직한 것은?

  1. 긴 문장을 사용한다.
  2. 이해하기 쉬운 용어를 사용한다.
  3. 결론을 뒤에 넣는다.
  4. 수식어를 많이 사용한다.
(정답률: 79%)
  • 이해하기 쉬운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문서를 읽는 사람들이 쉽게 이해하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긴 문장이나 수식어를 많이 사용하면 문서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시간이 더 걸리고 혼란스러울 수 있다. 또한 결론을 뒤에 넣는 것은 문서의 구조를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유용한 정보가 되기 위한 요건과 거리가 먼 것은?

  1. 관련성
  2. 보전성
  3. 충분성
  4. 경제성
(정답률: 46%)
  • 보전성은 정보가 오래 지속되고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성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유용한 정보가 되기 위해서는 보전성이 높아야 합니다. 다른 요건들도 중요하지만, 예를 들어 경제성이 높다고 해도 정보가 오래 지속되지 않으면 유용한 정보가 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보전성은 유용한 정보가 되기 위한 요건 중 가장 중요한 요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테일러(Taylor)의 과학적 관리법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것은?

  1. 작업연구와 시간연구
  2. 지적 활동 중시
  3. 기능식 직장제
  4. 관리기능과 작업 기능의 분리
(정답률: 63%)
  • 정답은 "기능식 직장제"이다.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은 작업연구와 시간연구, 지적 활동 중시, 관리기능과 작업 기능의 분리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기능식 직장제는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것이다.

    "지적 활동 중시"는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 중 하나로, 작업자들이 일을 수행할 때 지적 활동을 중시하고, 일의 방법과 과정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방법을 찾는 것을 강조한다. 이는 작업자들이 단순히 노동력으로 일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머리를 써서 일을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프로그램저작자가 프로그램의 제호, 내용 및 형식의 동일성을 유지할 권리를 가진 경우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프로그램을 특정 지역이나 연령대에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범위 안에서의 변경
  2. 특정한 컴퓨터 외에는 사용할 수 없는 프로그램을 다른 컴퓨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범위 안에서의 변경
  3. 프로그램을 특정한 컴퓨터에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범위 안에서의 변경
  4. 프로그램의 성질 또는 그 사용목적에 비추어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범위 안에서의 변경
(정답률: 40%)
  • 프로그램을 특정 지역이나 연령대에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범위 안에서의 변경은 저작권법상 합법적인 변경 사항입니다. 이는 프로그램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형식을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특정 지역이나 연령대에 맞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변경은 프로그램 저작자의 동의를 받아야 하며, 법적으로 허용되는 범위 안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사무계획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인적ㆍ물적 자원 및 시간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2. 사무량을 평준화시킴으로서 혼란과 낭비를 제거할 수 있다.
  3. 부하직원에 대한 평가가 주관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적재적소 배치가 가능해 진다.
  4. 사무기기 및 자동화설비의 구입을 비교적 쉽게 할 수 있다.
(정답률: 64%)
  • "부하직원에 대한 평가가 주관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적재적소 배치가 가능해 진다."는 사무계획의 장점이 아닙니다. 이유는 주관적인 평가는 오히려 적재적소 배치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한 부서에서 일하는 직원들이 모두 업무 능력이 높다고 평가되었다면, 그 부서에서는 업무 분담이 고르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적재적소 배치를 결정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1. 입력
  2. 전송
  3. 기록
  4. 발송
(정답률: 59%)
  • 이 그림은 전화기의 로그 기록 화면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사무의 본질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작업적 측면에서 사무기기조작
  2. 경영활동의 결합기능
  3. 경영본래의 목적기능
  4. 작업적 측면에서의 의사소통, 통신, 분류 및 정리
(정답률: 46%)
  • "작업적 측면에서 사무기기조작"은 사무의 본질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내용이므로 적절하지 않은 설명이다.

    사무의 본질은 경영활동의 결합기능과 작업적 측면에서의 의사소통, 통신, 분류 및 정리 등을 통해 조직 내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무는 경영본래의 목적기능을 수행하며, 이는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기업에서 전략적으로 완벽에 가까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정립된 품질경영기법은?

  1. ISO 인증
  2. 제로베이스
  3. 6시그마
  4. CRM
(정답률: 72%)
  • 6시그마는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제품 또는 서비스의 결함을 최소화하는 품질경영기법입니다. 이를 위해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제품 또는 서비스의 결함을 분석하고 개선하는 방법을 적용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상용소프트웨어와 결합 및 소스코드의 공개를 기준으로 구분할 때 그 유형이 아닌 것은?

  1. free-for-all 유형
  2. free-of-share 유형
  3. keep-on 유형
  4. share-alike 유형
(정답률: 62%)
  • "free-of-share 유형"은 소스코드의 공개를 요구하지 않으며, 상용소프트웨어와 결합하여 사용해도 상업적 이용이 가능하며, 수정된 버전을 배포할 때도 원작자와의 공유 의무가 없는 유형이기 때문에 다른 유형과 구분된다. 따라서, 정답은 "free-of-share 유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기업 활동에서 이루어지는 의사결정의 수준에 따른 분류로 볼 수 없는 것은?

  1. 조직적(Organization)
  2. 전략적(Strategic)
  3. 전술적(Tactical)
  4. 운영적(Operational)
(정답률: 33%)
  • 정답은 "조직적(Organization)"입니다.

    이유는 다른 세 가지 수준은 모두 기업의 의사결정 수준을 나타내는데 반해, "조직적"은 기업의 활동 분야를 나타내는 용어이기 때문입니다. "조직적"은 기업이 어떤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사결정 수준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조직적"은 의사결정 수준에 따른 분류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일반에게 공개할 목적으로 부호, 문자, 음성, 음향, 화상, 동영상 등의 정보를 이용자가 게재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기술적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1. 블로그
  2. 카페
  3. 게시판
  4. 홈페이지
(정답률: 71%)
  • 게시판은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일반에게 공개할 목적으로 부호, 문자, 음성, 음향, 화상, 동영상 등의 정보를 이용자가 게재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기술적 장치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인 블로그, 카페, 홈페이지도 정보를 공유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기술적 장치이지만, 게시판은 특히 다수의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정보를 게시하고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거한 강렬한 소음작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9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8시간 이상 발생되는 작업
  2. 9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2시간 이상 발생되는 작업
  3. 10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1시간 이상 발생되는 작업
  4. 11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30분 이상 발생되는 작업
(정답률: 72%)
  • 산업보건기준에 따르면, 1일 8시간 이상 90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은 강렬한 소음작업에 해당된다. 따라서, 9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일 2시간 이상 발생되는 작업은 강렬한 소음작업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사무실 배치의 일반적인 목표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사무작업의 흐름이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2. 사무실의 경제성을 높이고 사무원가가 저하될 수 있도록 고려한다.
  3. 사무원의 근로 의욕을 높일 수 있도록 근무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4. 업무의 성격이 표현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72%)
  • 업무의 성격이 표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일반적인 사무실 배치의 목표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다. 이는 업무의 성격이 표현되지 않도록 하면 사무원들이 업무에 대한 이해도와 열의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무실 배치는 업무의 성격과 흐름을 고려하여 효율적이고 생산성이 높은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기록물관리를 총괄, 조정하고 기록물의 영구보존 및 관리를 위한 기관은?

  1. 국가기록원
  2. 국가정보원
  3. 정부전산정보관리소
  4. 한국정보사회진흥원
(정답률: 58%)
  • 국가기록원은 국가의 중요한 기록물을 보존하고 관리하는 기관으로, 기록물의 영구보존과 관리를 총괄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에 따라 국가기록원은 국가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고, 국민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사무관리규정”에 따른 공문서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법규문서
  2. 비치문서
  3. 일반문서
  4. 비밀문서
(정답률: 55%)
  • "비밀문서"는 "사무관리규정"에 따른 공문서의 분류 중 하나가 아닙니다. "비밀문서"는 국가 안보나 공공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특별히 지정된 비밀 등급에 해당하는 문서를 말합니다. 따라서 "비밀문서"는 일반적인 공문서 분류에서는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프로그래밍 일반

41. 번역 프로그램에 의해 번역된 여러 개의 목적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내장함수를 하나로 모아서 실행가능하도록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기능을 하는 것은?

  1. 로더
  2. 링커
  3. 디버거
  4. 인터프리터
(정답률: 66%)
  • 번역된 여러 개의 목적 프로그램과 내장함수를 하나로 모아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기능은 링커입니다. 링커는 컴파일러가 생성한 목적 파일들을 하나로 묶어 실행 파일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라이브러리와 외부 참조를 해결하고, 메모리 주소를 할당하여 실행 파일을 생성합니다. 따라서 링커는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해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C 언어에서 사용되는 데이터형이 아닌 것은?

  1. long
  2. integer
  3. double
  4. float
(정답률: 87%)
  • 정답은 "integer"입니다. C 언어에서는 "int"라는 데이터형을 사용하며, "integer"는 C 언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페이징 시스템에서 페이지의 크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페이지의 크기가 작을수록 페이지 테이블의 크기가 커진다.
  2. 페이지의 크기가 클수록 내부 단편화가 감소한다.
  3. 페이지의 크기가 클수록 참조되는 정보와 무관한 정보들이 많이 적재 된다.
  4. 페이지의 크기가 작을수록 보다 적절한 작업세트를 유지할 수 있다.
(정답률: 63%)
  • "페이지의 크기가 클수록 내부 단편화가 감소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페이지의 크기가 클수록 외부 단편화는 감소하지만, 내부 단편화는 증가할 수 있다. 이는 페이지의 크기가 작을수록 페이지에 적재되는 정보와 페이지 자체의 크기가 비슷해져 내부 단편화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C 언어에서 사용하는 기억클래스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자동 변수
  2. 내부 변수
  3. 레지스터 변수
  4. 정적 변수
(정답률: 52%)
  • 내부 변수는 C 언어에서 사용하는 기억 클래스가 아닙니다. 이유는 내부 변수는 함수 내에서만 사용되는 지역 변수로, 다른 함수에서는 접근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부 변수는 기억 클래스가 아니라 함수 내에서만 사용되는 변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는 예약어(Reserved Word)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프로그램에서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다.
  2. 번역 과정에서 속도를 높여준다.
  3.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
  4. 새로운 언어에서는 예약어의 수가 줄어들고 있다.
(정답률: 78%)
  • "번역 과정에서 속도를 높여준다."는 거리가 먼 설명입니다. 예약어는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가 코드를 해석할 때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단어로 인식되기 때문에, 예약어를 사용하면 코드를 더욱 간결하고 명확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약어를 사용하면 번역 과정에서 속도를 높여준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새로운 언어에서는 예약어의 수가 줄어들고 있다는 이유는, 예전에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예약어의 수가 많았지만, 현재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가 개발되면서 예약어의 수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언어에서는 예약어 대신 키워드(Keyword)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예약어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변수명 등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Backus-Naur Form 표기에서 정의를 의미하는 기호는?

  1. #
  2. ==
  3. =
  4. ::=
(정답률: 87%)
  • 정의를 의미하는 기호는 "::="이다. 이는 왼쪽에 있는 기호가 오른쪽에 있는 기호로 정의된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다른 기호들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 "#"은 주석을 나타낸다.
    - "=="은 동등성을 나타낸다.
    - "="은 할당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프로그래밍 언어의 개념 중 변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변수명은 프로그래머가 각 언어별로 변수명을 만드는 규칙에 따라 임의로 이름을 붙일 수 있다.
  2.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동안 값이 바꾸지 않는 공간이다.
  3. 변수는 이름, 값, 속성, 참조 등의 요소로 구성된다.
  4. 변수명은 묵시적으로 변수형을 선언할 수도 있고, 선언문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정답률: 83%)
  •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동안 값이 바꾸지 않는 공간이다."는 변수에 대한 잘못된 설명이다. 변수는 값이 변할 수 있는 공간이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값이 변경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어휘 분석에 대한 다음 설명의 ( ) 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모듈
  2. BNF
  3. 오토마타
  4. 토큰
(정답률: 74%)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소스 코드이며,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의미 있는 최소 단위로 나누어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단위가 바로 "토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토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고급 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람 중심의 언어이다.
  2. 상이한 기계에서 별다른 수정 없이 실행 가능하다.
  3. 번역 과정 없이 실행 가능하다.
  4. C, COBOL 등의 언어는 고급 언어에 해당된다.
(정답률: 59%)
  • 번역 과정 없이 실행 가능하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고급 언어는 사람 중심의 언어이며, 기계어보다 추상화된 문법을 사용하여 프로그래밍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하지만 고급 언어로 작성된 코드는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를 통해 기계어로 번역되어야만 실행 가능합니다. 따라서 번역 과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 동안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들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은?

  1. PCB
  2. Thrashing
  3. Locality
  4. Working Set
(정답률: 78%)
  • 정답은 "Working Set"입니다. Working Set은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 동안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PCB는 프로세스 제어 블록(Process Control Block)을 의미하며, Thrashing은 페이지 교체가 지나치게 빈번하게 일어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Locality는 메모리 참조 패턴이 지역성을 가지는 특성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이항(Binary) 연산으로만 나열된 것은?

  1. NOT, AND, EX-OR
  2. COMPLEMENT, AND, OR
  3. AND, OR, EX-OR
  4. MOVE, EX-OR, OR
(정답률: 68%)
  • 이항(Binary) 연산은 두 개의 이진수를 대상으로 하는 연산이다. 따라서 "NOT"과 "MOVE"는 이항 연산이 아니므로 제외된다. "COMPLEMENT"는 이항 연산이지만, 일반적으로는 단항 연산으로 사용되므로 제외된다. 따라서 "AND, OR, EX-OR"가 이항 연산으로만 나열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프로그램 수행 순서의 단계가 옳은 것은?

  1. 목적 프로그램→링커→원시 프로그램→컴파일러→로더→실행
  2. 원시 프로그램→컴파일러→목적프로그램→링커→로더→실행
  3. 목적 프로그램→컴파일러→원시 프로그램→링커→로더→실행
  4. 원시 프로그램→링커→컴파일러→목적 프로그램→로더→실행
(정답률: 68%)
  • 정답은 "원시 프로그램→컴파일러→목적프로그램→링커→로더→실행"입니다.

    원시 프로그램은 개발자가 작성한 소스 코드를 의미하며, 컴파일러는 이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번역된 기계어 코드는 목적 프로그램이라고 부릅니다.

    목적 프로그램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기계어 코드와 라이브러리 등의 외부 모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목적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형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링커가 필요합니다. 링커는 목적 프로그램에 필요한 외부 모듈을 연결하여 실행 파일을 생성합니다.

    로더는 실행 파일을 메모리에 적재하고,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프로그램 수행 순서는 원시 프로그램 → 컴파일러 → 목적 프로그램 → 링커 → 로더 → 실행 순서로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위표기법의 수식 “A*(B-C)”를 후위표기로 나타낸 것은?

  1. ABC*-
  2. ABC-*
  3. A*BC-
  4. AB-C*
(정답률: 53%)
  • 정답은 "ABC-*"이다.

    후위표기법은 연산자를 피연산자 뒤에 표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A*(B-C)"를 후위표기법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 B C - *

    여기서 연산자 "-"와 "*"의 우선순위를 고려해야 한다. "-"가 "*"보다 우선순위가 높으므로 "-"를 먼저 처리해야 한다. 따라서 "-"를 "*"보다 먼저 나타내기 위해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A B C - *

    따라서 정답은 "AB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4개의 페이지를 수용하는 주기억 장치가 현재 완전히 비어 있으며, 어떤 프로세스가 다음과 같이 페이지 번호를 요청한다고 가정할 경우 페이지 정책으로 LFU(Least Frequency Used) 기법을 사용한다면 페이지 부재가 몇 번 발생하는가?(현재 표 데이터가 없습니다. 정답은 3번입니다. 추후 수정해 두겠습니다.)

  1. 3
  2. 4
  3. 5
  4. 6
(정답률: 62%)
  • LFU(Least Frequency Used) 기법은 가장 적게 사용된 페이지를 교체하는 알고리즘이다. 따라서 처음 페이지 요청이 들어올 때는 모든 페이지가 사용 횟수가 0이므로 임의로 한 페이지를 선택하여 할당한다. 이후 페이지 요청이 들어올 때마다 해당 페이지의 사용 횟수를 증가시키고, 가장 적게 사용된 페이지를 교체한다. 따라서 4개의 페이지를 수용하는 주기억 장치에서 페이지 번호를 요청하는 프로세스가 5번 발생하면 모든 페이지가 한 번씩 사용되고, 그 이후로는 가장 적게 사용된 페이지가 교체되므로 페이지 부재가 5번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구문분석하여 파서에 의하여 생성되는 결과물을 각각의 문장을 문법구조에 따라 트리 형태로 구성한 것은?

  1. 구조 트리
  2. 어휘 트리
  3. 중간 트리
  4. 파스 트리
(정답률: 85%)
  •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구문분석하여 파서에 의해 생성되는 결과물은 중간 트리이다. 이 중간 트리는 문법 구조에 따라 각각의 문장을 트리 형태로 구성한 것인데, 이를 파스 트리라고 부른다. 파스 트리는 구문 분석 과정에서 생성되며, 프로그램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포인터 자료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급언어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저급언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법이다.
  2. 객체를 참조하기 위해 주소를 값으로 하는 형식이다.
  3. 커다란 배열에 원소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자 할 때 이용한다.
  4. 하나의 자료에 동시에 많은 리스트의 연결이 가능하다.
(정답률: 57%)
  • 포인터 자료형은 고급언어에서도 사용되며, 메모리 주소를 값으로 가지는 형식으로 객체를 참조하거나 동적 메모리 할당 등에 사용된다. 따라서 "고급언어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저급언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법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기억장치의 배체 전략 중 입력된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 중 가장 작은 공간에 할당하는 방법은?

  1. First-Fit
  2. Best-Fit
  3. Worst-Fit
  4. Small-Fit
(정답률: 63%)
  • Best-Fit 전략은 사용 가능한 공간 중에서 입력된 프로그램의 크기와 가장 근접한 크기의 공간을 찾아 할당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메모리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남은 공간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된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는 가장 작은 공간에 할당하는 것보다 Best-Fit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C 언어의 do ∼ while 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문의 조건이 거짓인 동안 루프처리를 반복한다.
  2. 문의 조건이 처음부터 거짓일 때도 문을 최소 한번은 실행한다.
  3. 무조건 한 번은 실행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번 실행하는 처리에 사용하면 유용하다.
  4. 문의 맨 마지막에 “;”이 필요하다.
(정답률: 69%)
  • "문의 조건이 거짓인 동안 루프처리를 반복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올바른 설명은 "문의 조건이 참인 동안 루프처리를 반복한다." 이다. do-while문은 먼저 한 번 실행한 후에 조건을 검사하기 때문에, 조건이 처음부터 거짓이더라도 최소 한 번은 실행된다. 또한, 문의 맨 마지막에 ";"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C 언어에서 사용되는 관계 연산자 중 “A와 B가 같지 않다”의 의미를 갖는 것은?

  1. A => B
  2. A != B
  3. A <= B
  4. A & B
(정답률: 91%)
  • "A != B"는 A와 B가 서로 다른 값을 가지고 있을 때 참(True)이 되는 관계 연산자입니다. 이는 "A와 B가 같지 않다"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프로그램의 오류 수정 작업을 위하여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linker
  2. editor
  3. loader
  4. debugger
(정답률: 89%)
  • "debugger"는 프로그램의 오류를 찾고 수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linker", "editor", "loader"는 오류 수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통신 개론

61. 다음 중 잡음에 가장 민감한 것은?

  1. ASK
  2. PCM
  3. PSK
  4. DPSK
(정답률: 50%)
  • ASK는 진폭 변조 방식으로, 신호의 진폭이 변화함에 따라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ASK는 신호의 진폭이 변화하는 만큼 잡음에도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PCM, PSK, DPSK는 ASK와 달리 다른 변조 방식을 사용하므로 ASK보다는 잡음에 덜 민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두 개의 2진 값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로 구분되는 변조방식은?

  1. ASK
  2. FSK
  3. PSK
  4. QPSK
(정답률: 51%)
  • FSK는 Frequency Shift Keying의 약자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때 두 개의 2진 값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로 변조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FSK가 정답입니다. ASK는 Amplitude Shift Keying, PSK는 Phase Shift Keying, QPSK는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의 약자로, 각각은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다른 변조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셀룰러 시스템의 주요 구성이 아닌 것은?

  1. 이동국(MS)
  2. 기지국(BS)
  3. 이동전화 교환국(MTSO)
  4. 사설교환기(PBX)
(정답률: 77%)
  • 셀룰러 시스템은 이동국, 기지국, 이동전화 교환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이동통신망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사설교환기(PBX)는 일반적으로 유선 전화망에서 사용되는 장비로, 셀룰러 시스템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사설교환기(PBX)는 셀룰러 시스템의 주요 구성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뉴미디어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방송계
  2. 통신계
  3. 패키지계
  4. 정보계
(정답률: 61%)
  • 정보계는 뉴미디어의 분류에 속하지 않는다. 이유는 정보계는 정보기술(IT)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뉴미디어와는 다른 개념이기 때문이다. 뉴미디어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 정보계는 정보를 처리하고 관리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공중 데이터 통신망에서 패킷의 분해, 조립(PAD)과 관련된 국제표준화 기구의 권고안은?

  1. X.3
  2. X.28
  3. X.29
  4. X.32
(정답률: 38%)
  • 정답은 "X.3"입니다. 이는 ITU-T에서 제정한 국제표준화 기구의 권고안 중 하나인데, 이 권고안은 공중 데이터 통신망에서 패킷의 분해, 조립(PAD)과 관련된 규격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PAD와 관련된 국제표준화 기구의 권고안을 묻고 있으며, 이 중에서 PAD와 관련된 규격을 제시하는 것은 X.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디지털 변ㆍ복조에 사용되는 방식이 아닌 것은?

  1. 동기편이방식
  2. 진폭편이방식
  3. 주파수편이방식
  4. 위상편이방식
(정답률: 59%)
  • 동기편이방식은 디지털 변ㆍ복조에 사용되는 방식이 아니라 아날로그 통신에서 사용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디지털 통신에서는 주로 진폭편이방식, 주파수편이방식, 위상편이방식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전송 오류의 주원인이 아닌 것은?

  1. 신호 감쇠
  2. 지연 왜곡
  3. 잡음
  4. 복조
(정답률: 71%)
  • 복조는 전송 오류가 아니라 전송 과정에서 발생한 신호를 복원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복조는 주원인이 아니라 오히려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복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이동통신에서 여러 가입자가 채널을 공동으로 이용하는 다원접속 방식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주파수분할 다원접속방식(FDMA)
  2. 시분할 다원접속방식(TDMA)
  3. 공간분할 다원접속방식(SDMA)
  4. 부호분할 다원접속방식(CDMA)
(정답률: 41%)
  • 공간분할 다원접속방식(SDMA)은 여러 가입자가 서로 다른 공간에서 채널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다른 방식들과는 다른 원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주파수분할 다원접속방식(FDMA)은 주파수를 나누어 여러 가입자가 동시에 이용하는 방식, 시분할 다원접속방식(TDMA)은 시간을 나누어 여러 가입자가 동시에 이용하는 방식, 부호분할 다원접속방식(CDMA)은 각 가입자에게 고유한 부호를 부여하여 동시에 채널을 공유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통계적 다중화 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실제로 보낼 데이터가 있는 터미널에만 동적인 방식으로 각 부채널에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장치이다.
  2.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이용으로 타임슬롯의 배정이 가능하여 지능형다중화 장치라고도 한다.
  3. 상대적으로 느린 단말기가 고속의 데이터 전송로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선로를 최대한 활용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4. 각각의 입력회선을 N개의 출력선으로 집중화하는 장치이다.
(정답률: 52%)
  • "각각의 입력회선을 N개의 출력선으로 집중화하는 장치이다."가 통계적 다중화 장치에 해당한다. 이는 여러 개의 입력 신호를 하나의 출력 신호로 집중하는 것이다.

    - "실제로 보낼 데이터가 있는 터미널에만 동적인 방식으로 각 부채널에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장치이다."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다중화 기술이다.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이용으로 타임슬롯의 배정이 가능하여 지능형다중화 장치라고도 한다."는 TDMA 방식의 지능형 다중화 기술이다.
    - "상대적으로 느린 단말기가 고속의 데이터 전송로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선로를 최대한 활용하도록 하는 방식이다."는 다중화 기술 중 하나인 경로 다중화 기술이다.

    따라서, "각각의 입력회선을 N개의 출력선으로 집중화하는 장치이다."가 통계적 다중화 장치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모뎀을 단말기에 접속할 때 적용하는 표준안(ITU-T V.24)은 어떤 내용인가?

  1. RS-232C 인터페이스방식이다.
  2. 조보식 국제 표준 전송속도를 나타낸다.
  3.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을 말한다.
  4. 각각의 입력회선을 N개의 출력선으로 집중화하는 장치이다.
(정답률: 55%)
  • ITU-T V.24는 모뎀과 단말기 사이의 시리얼 통신을 위한 표준안으로, RS-232C 인터페이스방식을 사용한다. RS-232C는 시리얼 통신을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ITU-T V.24는 RS-232C 인터페이스방식을 사용하여 모뎀과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조보식 국제 표준 전송속도를 나타낸다.",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을 말한다.", "각각의 입력회선을 N개의 출력선으로 집중화하는 장치이다."는 ITU-T V.24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내용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OSI-7계층 참조 모델에서 프로세스 간에 대한 연결을 확립, 관리, 단절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계층은?

  1. Application Layer
  2. Session Layer
  3. Transport Layer
  4. Network Layer
(정답률: 39%)
  • Session Layer는 프로세스 간에 대한 연결을 확립, 관리, 단절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계층입니다. 이 계층은 데이터 전송 전에 세션을 설정하고, 데이터 전송 후에 세션을 종료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OSI-7계층 참조 모델에서 프로세스 간에 대한 연결을 관리하는 계층은 Session Lay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1600[baud]의 변조속도로 4진 PSK 변조된 데이터 전송속도는 몇 [bps]인가?

  1. 800
  2. 1600
  3. 3200
  4. 6400
(정답률: 52%)
  • 4진 PSK 변조는 2 bit를 한 번에 전송하므로, 전송속도는 1600 x 2 = 3200 bps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2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프로토콜 전송방식 중 특정한 플래그를 메시지의 처음과 끝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방식은?

  1. 비트방식
  2. 문자방식
  3. 바이트방식
  4. 워드방식
(정답률: 63%)
  • 정답은 "비트방식"입니다. 비트방식은 메시지의 처음과 끝에 특정한 비트 패턴을 추가하여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메시지의 시작과 끝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어 오류 검출에 용이하며, 전송 속도도 빠릅니다. 따라서 프로토콜 전송방식 중에서는 비트방식이 가장 효율적인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DTE와 DTE 간에 RS-232C에 의한 직접접속(null modem)시 불필요한 것은?

  1. GND
  2. TxD
  3. RxD
  4. RTS
(정답률: 66%)
  • RS-232C에서 RTS는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신호로, DTE와 DCE 간에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DTE와 DTE 간의 직접접속(null modem)에서는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RTS는 불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RT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양방향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나, 한 순간에는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이 이루어지는 방식은?

  1. 단방향방식
  2. 반이중방식
  3. 양방향방식
  4. 전이중방식
(정답률: 68%)
  • 반이중방식은 양쪽 방향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만, 한 순간에는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이 이루어지는 방식입니다. 이는 전송하는 쪽과 받는 쪽이 동시에 데이터를 보내고 받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한 순간에는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이 이루어지며, 이후에는 반대 방향으로 전송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패킷교환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메시지 단위로 전송한다.
  2. 축적교환 방식의 일종이다.
  3. 속도와 코드가 다른 시스템 간에도 통신이 가능하다.
  4. 장애 발생시 대체 경로 선택이 가능하다.
(정답률: 45%)
  • 정답은 "메시지 단위로 전송한다." 이다. 패킷교환 방식은 메시지를 작은 단위인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메시지 단위로 전송하지 않는다. 패킷교환 방식은 축적교환 방식의 일종이며, 속도와 코드가 다른 시스템 간에도 통신이 가능하며, 장애 발생시 대체 경로 선택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ISDN 채널에서 D채널의 용도는?

  1. 음성채널
  2. 사용자 서비스를 위한 채널
  3. 제어신호의 전송이나 저속의 데이터전송 채널
  4. 예비채널
(정답률: 77%)
  • ISDN 채널에서 D채널은 제어신호의 전송이나 저속의 데이터전송 채널로 사용됩니다. 이는 주로 인터넷 접속이나 전자우편 등의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며, 음성통화와는 별도로 처리됩니다. 따라서 D채널은 사용자 서비스를 위한 채널이 아니며, 예비채널 역시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비동기 전송모드(ATM)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ATM은 B-ISDN의 핵심 기술이다.
  2. Header는 5Byte, Payload는 48Byte이다.
  3. 정보는 셀(cell) 단위로 나누어 전송된다.
  4. 저속 메시지 통신망에 적합하다.
(정답률: 57%)
  • "저속 메시지 통신망에 적합하다."는 적합하지 않은 설명이다. ATM은 고속 대역폭을 지원하며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적합한 기술이다. 따라서 저속 메시지 통신망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전송제어문자 중 본문의 시작을 알리는 것은?

  1. STX
  2. ETX
  3. DLE
  4. NAK
(정답률: 64%)
  • STX는 Start of Text의 약자로, 본문의 시작을 알리는 제어문자이다. 따라서 STX가 본문의 시작을 알리는 제어문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통신회선을 기간통신사업자로부터 임차하여 망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 축적된 정보를 서비스하는 것은?

  1. LAN
  2. MAN
  3. VAN
  4. WAN
(정답률: 79%)
  • VAN은 Virtual Private Network의 약자로, 기간통신사업자로부터 임차한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가상의 사설망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이나 조직 내부에서 안전하고 신속한 데이터 전송과 공유를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LAN, MAN, WAN과는 구성과 목적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