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5-10)

사무자동화산업기사
(2009-05-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사무자동화 시스템

1. 다음중 헤드(Head)가 15개 면당 917개의 트랙(Track), 트랙당 17섹터(Sector)인 하드 디스크의 실린더 수는?

  1. 17
  2. 255
  3. 917
  4. 15589
(정답률: 82%)
  • 하드 디스크의 용량은 헤드, 트랙, 섹터의 수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헤드가 15개이고, 트랙당 섹터가 17개이므로, 한 트랙에는 15 x 17 = 255개의 섹터가 있다. 또한, 문제에서는 헤드가 15개 면당 917개의 트랙이 있다고 하였으므로, 전체 트랙 수는 15 x 917 = 13755개이다. 이제 전체 섹터 수를 구하기 위해, 전체 트랙 수에 한 트랙당 섹터 수를 곱해주면 된다. 따라서, 전체 섹터 수는 13755 x 255 = 3509025개이다. 이렇게 구한 전체 섹터 수를 하나의 실린더에 담을 수 있는 최대 섹터 수인 17로 나누면, 전체 실린더 수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실린더 수는 3509025 / 17 = 205828이다. 따라서, 정답은 91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사무자동화 추진의 선결과제로 옳지 않은것은?

  1. 사무환경 재정비
  2. 데이터베이스 정비
  3. 사무관리제도 개혁
  4. 조직 및 체계의 재정비
(정답률: 69%)
  • 데이터베이스 정비는 사무자동화 추진의 선결과제 중 하나이지만, 옳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을 제시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중 사무정보기기의 가동률 계산 방법에 관련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기기의 가동률은 MTTR(MTBF+MTTR)로 나타낼 수 있다.
  2. MTTR은 수리하는데 걸린 시간의 평균을 의미한다.
  3. MTBF는 기기를 수리할 동안의 평균시간을 의미한다.
  4. 시스템 회복을 위해서는 MTBF를 개선해야 한다.
(정답률: 41%)
  • MTTR은 Mean Time To Repair의 약자로, 한 번 고장이 발생했을 때 수리하는데 걸리는 평균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MTTR은 수리하는데 걸린 시간의 평균을 의미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스프레드시트 기능중 기존 목록이나 표에 있는 데이터를 요약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해주는 대화형 테이블에 해당하는 것은?

  1. VIEW
  2. 필터
  3. ACCESS
  4. 피벗테이블
(정답률: 87%)
  • 피벗테이블은 기존 데이터를 요약하고 분석할 수 있는 대화형 테이블로, 데이터를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예를 들어, 많은 양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경우, 피벗테이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그룹화하고, 계산하여 원하는 정보를 쉽게 추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피벗테이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중 DBMS 구축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DDL
  2. DML
  3. DBA
  4. DTP
(정답률: 62%)
  • DTP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Data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DBMS 구축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프로토콜이다. DDL은 데이터 정의 언어, DML은 데이터 조작 언어, DBA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멀리 떨어져 있는 회의실 상호간을 통신회선으로 상호 연결하여 회의를 진행할 수 있는 시스템은?

  1. 원격회의 시스템
  2. 분산처리 시스템
  3. 원격조정 시스템
  4. 텔레텍스트
(정답률: 93%)
  • 원격회의 시스템은 멀리 떨어져 있는 회의실 상호간을 통신회선으로 상호 연결하여 회의를 진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이 상황에 가장 적합한 답은 "원격회의 시스템"이다. 분산처리 시스템은 여러 대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작업을 분산 처리하는 시스템이고, 원격조정 시스템은 원격지에서 다른 장치나 시스템을 조정하는 시스템이다. 텔레텍스트는 전자적인 방법으로 텍스트를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VDT 작업자의 정신활동 피로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근전도
  2. 심전도
  3. 산소소비량
  4. 임계 점멸융합주파수
(정답률: 60%)
  • 정답은 "임계 점멸융합주파수"입니다. 이는 VDT 작업자의 뇌파를 측정하여 정신활동 피로도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뇌파의 주파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지면 VDT 작업자의 정신활동 피로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기반으로 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VDT 작업자의 정신활동 피로도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근전도, 심전도, 산소소비량은 각각 근육 활동, 심장 기능, 호흡 기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VDT 작업자의 정신활동 피로도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연속되어 있지 않은 저장 공간으로부터 데이터를 모은 다음, 데이터들을 메시지 버퍼에 집어 넣고, 특정 수신기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에 맞도록 그 데이터를 조직화 하거나 미리 정해진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일컷는 것은?

  1. Straming
  2. Converting
  3. Porting
  4. Marshalling
(정답률: 64%)
  • Marshalling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인터페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식으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과정을 말한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Marshalling이 가장 적절한 답이다. Streaming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하며, Converting은 데이터를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Porting은 특정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프로그램을 이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개인용 컴퓨터, 팩시밀리, 텔렉스 등 통신 수단에 관계없이 상대방의 통신 수단별 번호만 알면 국내외 어디서나 메시지를 교환 할 수 있는 시스템은?

  1. EDI
  2. WCDMA
  3. MHS
  4. 인트라넷
(정답률: 67%)
  • MHS는 Message Handling System의 약자로, 메시지를 교환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다. 이 시스템은 상대방의 통신 수단별 번호만 알면 어디서나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용 컴퓨터, 팩시밀리, 텔렉스 등 어떤 통신 수단을 사용하더라도 상호간에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따라서 MHS가 정답이다. EDI는 기업간 전자상거래를 위한 표준 프로토콜, WCDMA는 3세대 이동통신 기술, 인트라넷은 기업 내부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기술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분산처리시스템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시스템의 확장성
  2. 시스템의 신뢰성
  3. 생산성의 증대
  4. 창조성(Creation)
(정답률: 65%)
  • 분산처리시스템의 장점 중 창조성은 없습니다. 분산처리시스템의 장점으로는 시스템의 확장성, 시스템의 신뢰성, 생산성의 증대 등이 있습니다. 창조성은 개발자나 사용자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나 발견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분산처리시스템의 구성 요소나 특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여 자료의 일치를 기함
  2. 단말기를 통해 요구된 내용을 일괄 처리
  3. 데이터의 물리적, 논리적 독립성 유지
  4. 데이터 보안을 유지하여 데이터의 손실 방지
(정답률: 53%)
  • 단말기를 통해 요구된 내용을 일괄 처리하는 것은 데이터베이스의 장점이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기능 중 하나일 뿐입니다. 따라서 "단말기를 통해 요구된 내용을 일괄 처리"는 옳지 않은 데이터베이스의 장점입니다.

    단말기를 통해 요구된 내용을 일괄 처리하는 것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중앙 집중적인 특성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접근할 수 있고,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앙에서 관리되기 때문에 단말기에서 요구된 내용을 일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작업의 효율성과 일관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CAM(Content Addressable Memory)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주소 공간의 확대가 목적이다.
  2. 하드웨어 비용이 대단히 적다.
  3. 구조 및 동작이 대단히 간단하다.
  4. 저장된 정보의 내용 자체로 검색한다.
(정답률: 49%)
  • CAM은 저장된 정보의 내용 자체로 검색하는 메모리이다. 이는 일반적인 RAM과는 달리 주소를 이용한 검색이 아닌, 저장된 데이터의 내용을 직접 비교하여 검색하기 때문에 검색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CAM은 검색 속도가 중요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며, 예를 들어 라우터나 스위치 등에서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하는 것과 같은 작업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사무자동화를 추친하는데 있어 먼저 적용할 특정 부문을 선정하여 사무자동화를 추진해가는 접근 방식은?

  1. 공통과제형 접근방식
  2. 전사적 접근방식
  3. 부문 전개 접근방식
  4. 업무별 접근방식
(정답률: 61%)
  • 부문 전개 접근방식은 조직 내 특정 부문에서 사무자동화를 먼저 적용하고, 이를 성공적으로 운영한 후 다른 부문으로 확대해가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전사적인 사무자동화 도입보다는 구체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부문에서 빠르게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다른 부문에서의 도입을 촉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정보는 저장되었다가 필요한 경우에 언제든지 찾아내어 이용되어야 하는데 자료 저장기기로서 적합하지 않은것은?

  1. 마이크로필림
  2. 하드디스크
  3. 광디스크
  4. POS 시스템
(정답률: 69%)
  • POS 시스템은 주로 판매 및 결제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정보를 장기간 보관하거나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료 저장기기로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OA(사무자동화)의 기본 요건을 A, B, C, D 라고 할 때 이를 바르게 설명하지 않은 것은?

  1. A : Automated Office(자동화 사무실)
  2. B : Business Machine(사무기기)
  3. C : Communication System(통신 시스템)
  4. D : Data Communucation(데이터 통신)
(정답률: 77%)
  • OA(사무자동화)의 기본 요건은 A, B, C로 구성되어 있으며, D는 OA의 기본 요건이 아닙니다. OA는 자동화된 사무실(Automated Office), 사무기기(Business Machine), 그리고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데이터 통신(Data Communication)은 OA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지만, OA의 기본 요건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원격지 컴퓨터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FTP를 이용하여 원격지 서버에 접속한다.
  2. Telnet을 이용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한다.
  3. 전자우편 시스템을 이용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한다.
  4. Login을 사용하여 서버에 접속한다.
(정답률: 58%)
  • 전자우편 시스템은 이메일을 주고받는 시스템으로, 원격지 컴퓨터 서버에 직접 접속하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옳지 않은 방법이다. 이메일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거나, 원격지 서버의 상태를 확인하는 등의 작업은 가능하지만, 직접적인 서버 접속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정답은 "전자우편 시스템을 이용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일반적으로 패킷망과 기존의 유무선망 간의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로 미디어 게이트웨이 커트롤러라고도 불리는 것은?

  1. Access Point
  2. Hub
  3. Router
  4. Soft Switch
(정답률: 58%)
  • Soft Switch는 패킷망과 기존의 유무선망 간의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로, 미디어 게이트웨이 커트롤러라고도 불립니다. 이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스위치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Soft Switch는 패킷망과 기존의 유무선망 간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설명에 적합한 자동화 시스템은?

  1. HA : Home Automation
  2. OA : Office Automation
  3. FA : Factory Automation
  4. BA : Building Automation
(정답률: 83%)
  • 위 그림은 공장 내부의 생산 라인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자동화하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에 적합한 자동화 시스템은 FA(Factory Automation)입니다. HA(Home Automation)는 가정 내부의 생활을 자동화하는 시스템, OA(Office Automation)는 사무실 업무를 자동화하는 시스템, BA(Building Automation)은 건물 전체를 자동화하는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경영정보시스템(MIS)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의사결정 시스템
  2. 프로세스 서브시스템
  3. 통신규약 시스템
  4. 데이터베이스 서브시스템
(정답률: 49%)
  • MIS는 기업 내부에서 정보를 수집, 저장, 처리, 분석하여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시스템으로, "의사결정 시스템", "프로세스 서브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서브시스템"은 모두 MIS의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하지만 "통신규약 시스템"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규약을 정의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MIS의 구성요소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사무자동화 시스템의 추진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투자효율 측정
  2. 상대적 효과 측정
  3. 정성적 측정
  4. 정량적 측정
(정답률: 47%)
  • 정답은 "정성적 측정"입니다.

    사무자동화 시스템의 추진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투자한 비용 대비 얻은 이익인 투자효율 측정이나, 동일한 분야에서 경쟁사와 비교하여 상대적인 효과를 측정하는 상대적 효과 측정 등의 정량적 측정 방법이 적합합니다.

    하지만 정성적 측정은 주관적인 평가나 감정에 의존하기 때문에 객관적인 결과를 얻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정성적 측정은 사무자동화 시스템의 추진 효과를 측정하는데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무경영관리 개론

21. 사무를 위한 작업의구성 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계산
  2. 분류정리
  3. 정보예측
  4. 기록 또는 면담
(정답률: 63%)
  • 정보예측은 사무를 위한 작업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사무 작업은 대개 과거의 데이터나 정보를 기반으로 계산, 분류, 정리, 기록 또는 면담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주요합니다. 하지만 정보예측은 미래의 정보나 동향을 예측하는 것으로, 사무 작업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 ) 안에 적합한 내용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시행문형식, 일자별 일련번호
  2. 시행문형식, 누년 일련번호
  3. 조문형식, 일자별 일련번호
  4. 조문형식, 누년 일련번호
(정답률: 64%)
  • 이미지는 법률의 조문을 나타내고 있으며, 조문은 일련번호와 함께 나열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조문형식"이 맞습니다. 또한, 일련번호는 년도별로 부여되어 있으므로 "누년 일련번호"가 맞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문형식, 누년 일련번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사무계획화의 대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사무 작업의 개선 발전을 위한 사항
  2. 유효 적절한 정보처리 문제
  3. 임금 인상을 위한 사항
  4. 사무 진행상 더욱 능률적이고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는 사항
(정답률: 88%)
  • 임금 인상은 사무 작업의 개선 발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유효 적절한 정보처리 문제와도 관련이 없기 때문에 사무계획화의 대상으로 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전통적 관리와 목표에 의한 관리에는 몇가지 차이점이 있다. 다음 중 목표에 의한 관리에 해당하는 것은?

  1. 목표설정이 귀납적임
  2. 상급자에 의해 통제됨
  3. 분업화 및 전문화가 촉진됨
  4. 높은 수준의 욕구충족이 가능함
(정답률: 42%)
  • 높은 수준의 욕구충족이 가능함은 목표에 의한 관리에서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이는 목표에 의한 관리에서 개인이 자신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이를 통해 높은 수준의 성취감과 만족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욕구충족은 개인의 동기부여를 높이고, 조직 전체의 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중 안소프(H.I.Ansoff)에 의한 기업의 의사결정에 포함되지 않은것은?

  1. 전략적 의사결정(Strategic Decision)
  2. 관리적 의사결정(Administrative Decision)
  3. 업무적 의사결정(Operating Decision)
  4. 경쟁적 의사결정(Competitive Decision)
(정답률: 73%)
  • 안소프에 의한 기업의 의사결정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경쟁적 의사결정(Competitive Decision)"입니다. 안소프는 기업의 의사결정을 전략적 의사결정, 관리적 의사결정, 업무적 의사결정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전략적 의사결정은 기업의 장기적인 방향성을 결정하는 것이며, 관리적 의사결정은 기업의 내부적인 운영과 관련된 것입니다. 업무적 의사결정은 일상적인 업무에 대한 결정을 의미합니다. 반면에 경쟁적 의사결정은 기업이 경쟁자와의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으로, 안소프의 분류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사무계획을 함으로써 얻어지는 효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사무원의 여유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사무업무가 중복된다.
  2. 중요한 업무를 중요하지 않은 업무보다 선행하여 처리한다.
  3. 관리자보다 작업자가 행동방침을 결정하게 되어 능률적인 작업을 한다.
  4. 업무량이 늘어나게 되어 고용증대 효과가 발생한다.
(정답률: 58%)
  • 정답: "중요한 업무를 중요하지 않은 업무보다 선행하여 처리한다."

    이유: 중요한 업무를 우선 처리함으로써, 시간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긴급한 문제에 대처할 수 있으며, 업무의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여 일의 진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중요한 업무를 먼저 처리함으로써, 작업자들의 업무 집중도와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계획화(Planning)의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 목표 또는 목적의 설정
  2. 자금의 조달과 원천의 결정
  3. 실시 가능한 대체안 중 최선안 선택
  4. 업무처리 결과에 대한 분석
(정답률: 63%)
  • 계획화는 일정 기간 동안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일련의 활동을 계획하는 것이다. 이 중에서 "업무처리 결과에 대한 분석"은 이미 일이 처리된 후에 그 결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계획화와는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사무자동화를 위하여 복합화의 필요성이 아닌것은?

  1. 다른 기종간의 단순 복합화
  2. 사무업무의 흐름을 고려한 복합화
  3. 대화 형태를 고려한 복합화
  4. 정보가치의 증대
(정답률: 37%)
  • 대화 형태를 고려한 복합화는 사무자동화를 위해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는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대화를 보다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음성인식, 자연어 처리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다른 기종간의 단순 복합화, 사무업무의 흐름을 고려한 복합화, 정보가치의 증대는 모두 사무자동화를 위해 필요한 요소이지만, 대화 형태를 고려한 복합화는 그 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사무실 배치(Office Layout)를 고려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것은?

  1. 사무처리나 업무의 흐름이 원활히 유통하도록 한다.
  2. 건물의 공간을 잘 활용하도록 한다.
  3. 근무자 입장에서 배치하여야 한다.
  4. 부서 확대 등 장래를 예측하여 융통성 있는 배치를 한다.
(정답률: 47%)
  • "근무자 입장에서 배치하여야 한다."는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입니다. 이유는 사무실 배치는 근무자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근무자가 일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설과 장비, 그리고 업무의 흐름에 따라 배치를 결정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사무실 배치를 고려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정보 관리가 단계적으로 잘 표현된 것은?

  1. 정보수요파악→수집계획수립→정보가공→정보활용
  2. 수집계획수립→정보가공→정보활용→정보수요파악
  3. 정보수요파악→수집계획수립→정보활용→정보가공
  4. 수집계획수립→정보가공→정보수요파악→정보활용
(정답률: 55%)
  • 정보 관리는 정보수요파악부터 시작하여 수집계획수립, 정보가공, 정보활용까지 단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따라서 "정보수요파악→수집계획수립→정보가공→정보활용"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조직의 기본 원칙 중 전문화의 원칙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직속 상위자에게 명령을 받아야 하며 이는 조직의 능률성과 목표 통일에 있다.
  2. 명령 계통과 의사 소통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3. 업무특성과 전문적인 기술, 지식에 적합한 상태에서 업무를 수행하게 한다.
  4. 조직목표를 원활하게 달성시킬 수 있도록 집단의 노력을 통합, 조정하여 균형을 이루게 한다.
(정답률: 60%)
  • 전문화의 원칙은 업무특성과 전문적인 기술, 지식에 적합한 상태에서 업무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조직의 업무 효율성과 전문성을 높이는 것이다. 이는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며, 직원들이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한 산소 결핍의 정의에 해당하는 것은?

  1. 공기 중의 산소농도가 10% 미만인 경우
  2. 공기 중의 산소농도가 14% 미만인 경우
  3. 공기 중의 산소농도가 18% 미만인 경우
  4. 공기 중의 산소농도가 20% 미만인 경우
(정답률: 48%)
  • 산업보건기준에 따르면, 공기 중의 산소농도가 18% 미만인 경우에는 산소 결핍으로 간주됩니다. 이는 인체에 충분한 산소 공급이 보장되지 않아 생명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산업 현장에서는 산소 농도가 18% 이상 유지되도록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사무 관리의 산출요소 중에서 투입과 산출의 대응시기의 문제점은?

  1. 유효성
  2. 능률성
  3. 산출발현의 Time Lag
  4. Side Effect
(정답률: 72%)
  • 사무 관리에서 투입된 자원이 산출물로 나타나는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는 문제가 존재합니다. 이를 산출발현의 Time Lag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의 일정이 길어지면서 투입된 자원이 산출물로 나타나는 시간이 더욱 늦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프로젝트의 유효성과 능률성을 저해할 수 있으며, 부작용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사무 관리에서는 이러한 Time Lag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사무자동화를 종합적,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사무자동화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추진시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사무자동화의 구축 현황에 관한 사항
  2. 사무자동화의 대상이 되는 사무분야
  3. 사무자동화의 교육, 훈련에 관한 사항
  4. 사무자동화기기 이용기술의 보급에 관한 사항
(정답률: 30%)
  • 사무자동화 기본계획은 사무자동화를 종합적,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계획으로, 사무자동화의 대상이 되는 사무분야, 사무자동화의 교육, 훈련에 관한 사항, 사무자동화기기 이용기술의 보급에 관한 사항 등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사무자동화의 구축 현황에 관한 사항"은 사무자동화 기본계획에 포함되지 않는 것입니다. 이는 이미 구축된 사무자동화 시스템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추진할 사무자동화 프로젝트의 계획 수립과 관련된 사항들을 다루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한국 십진분류법 중 “300”에 해당하는 것은?

  1. 철학
  2. 기술과학
  3. 자연과학
  4. 사회과학
(정답률: 49%)
  • 한국 십진분류법에서 "300"은 사회과학에 해당합니다. 이는 인간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측면을 연구하는 분야로,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문화인류학 등이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은 사무에서 경영에 이르는 경로이다. 올바른 것은?

  1. 사무→자료→정보→의사결정→경영
  2. 정보→의사결정→사무→자료→경영
  3. 사무→자료→의사결정→정보→경영
  4. 사무→의사결정→자료→정보→경영
(정답률: 58%)
  • 정답은 "사무→자료→정보→의사결정→경영"이다.

    처음에는 사무에서 시작하여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정보를 도출한다. 이 정보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하고, 이를 토대로 경영을 이끌어 나간다. 따라서 사무에서부터 출발하여 경영에 이르는 경로는 "사무→자료→정보→의사결정→경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개인정보 관리책임자를 지정하지 아니할 수 있는 자는?

  1. 상시 종업원 수가 5명 미만인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외의 자
  2. 상시 종업원 수가 7명 미만인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외의 자
  3. 상시 종원원 수가 10명 미만인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외의 자
  4. 상시 종업원 수가 50명 미만인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외의 자
(정답률: 56%)
  • 개인정보 관리책임자를 지정하지 아니할 수 있는 자는 "상시 종업원 수가 5명 미만인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외의 자" 입니다. 이는 개인정보보호법 제30조 제2항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종업원 수가 일정 수준 이하인 기업은 개인정보 관리책임자를 지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는 기업의 규모와 업무량에 비례하여 개인정보 보호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문서관리의 원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문서는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하여 그날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2. 문서는 각자의 직무범위 내에서 책임을 가지고 관계구정에 따라 처리하여야 한다.
  3. 문서는 법령의 규정에 따라 일정한 형식 및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4. 문서는 각 부서의 직원들이면 누구나 다 작성 및 처리 할수 있다.
(정답률: 76%)
  • 문서는 각 부서의 직원들이면 누구나 다 작성 및 처리 할수 있다. - 이는 문서관리의 원칙에 속하지 않는다. 이유는 문서 작성 및 처리는 해당 업무에 대한 전문성과 책임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모든 직원이 자유롭게 문서를 작성하고 처리하면 문서의 품질과 정확성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문서 작성 및 처리는 해당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이 책임을 지고 처리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사무관리란 눈에 보이지 않은 힘으로 기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휘, 통제하는 행위라고 말한 사람은?

  1. C.B Hicks
  2. C.L. Littlefield
  3. G.M. Darlington
  4. G.R. Teery
(정답률: 60%)
  • G.R. Teery는 "Management Principles and Practice"라는 책에서 사무관리에 대해 위와 같이 정의하였기 때문에 정답이다. 다른 보기들은 사무관리와 관련된 이론가나 저자들이지만, 이 정의를 제시한 것은 G.R. Teery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프로그램배타적발행권 등으 그 설정행위에 특약이 없을 때에는 몇 년간 존속하여야 하는가?

  1. 1년
  2. 3년
  3. 5년
  4. 10년
(정답률: 43%)
  • 프로그램배타적발행권 등은 특약이 없을 경우에는 저작권법 제38조에 따라 "3년"간 존속합니다. 이는 법적으로 정해진 기간이며, 이후에는 자동으로 소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프로그래밍 일반

41. “프로그램이 판독성이 좋다”는 의미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변수의 개수를 적게 사용한다.
  2. 암시적 문장을 많이 포함한다.
  3. 번역기가 번역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4. 문서 없이 프로그램의 이해가 가능하다.
(정답률: 68%)
  • "문서 없이 프로그램의 이해가 가능하다."가 가장 적절한 것이다. 이는 프로그램이 자체적으로 명확하고 간결하게 작성되어 있어서, 추가적인 문서나 설명 없이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프로그램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대부분의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제공하는 예약어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것은?

  1. 예약어의 사용은 프로그램의 판독성을 저해한다.
  2. 프로그램을 번역할 때 예약어의 사용은 심벌 테이블 검색 시간을 단축 시킨다.
  3. 예약어의 사용은 발생하였을 때 오류회복(Error Recovery)을 가능케 한다.
  4. 프로그래머가 변수 이름이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수 없는 핵심어(Key Word)이다.
(정답률: 58%)
  • "프로그램을 번역할 때 예약어의 사용은 심벌 테이블 검색 시간을 단축 시킨다." 이유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예약어의 사용은 프로그램의 판독성을 저해하는 이유는 예약어가 변수 이름 등으로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변수 이름 등이 예약어와 겹치는 경우 가독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함수에서 전역변수를 사용하여 함수의 결과를 반환하는 경우, 함수에 전달되는 입력 파라미터의 값이 같아도 전역 변수의 상태에 따라 함수에서 반환되는 값이 달라질 수 있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Reference
  2. Side Effect
  3. Monitor
  4. Recursive
(정답률: 54%)
  • 정답은 "Side Effect"이다.

    Side Effect란 함수가 외부 상태를 변경하거나 반환값 이외의 다른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전역 변수를 사용하여 함수의 결과를 반환하는 경우, 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전역 변수의 상태에 따라 반환값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는 Side Effect의 예시이다.

    "Reference"는 변수나 객체를 참조하는 것을 의미하며, "Monitor"는 프로그램의 실행 상태를 감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Recursive"는 함수가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C언어의 관계 연산자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75%)
  • "%"는 산술 연산자이며, 나머지 연산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관계 연산자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C언어의 이스케이프 시퀀스에서 “Carrage Return"을 나타내는 기호는?

  1. \t
  2. \n
  3. \b
  4. \r
(정답률: 86%)
  • "Carrage Return"은 줄 바꿈을 의미하는 이스케이프 시퀀스 중 하나로, 문자열 내에서 커서를 맨 앞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나타내는 기호는 "r"입니다. "t"는 탭, "n"은 줄 바꿈, "b"는 백스페이스를 나타내는 이스케이프 시퀀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목적 모듈(준기계어)를 로드 모듈로 생성해 주는 것은?

  1. 로더
  2. 링커
  3. 컴파일러
  4. 사전처리기
(정답률: 47%)
  • 목적 모듈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되며, 이를 실행 가능한 형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목적 모듈을 하나로 합쳐야 한다. 이때 목적 모듈을 로드 모듈로 생성해 주는 것이 링커의 역할이다. 링커는 여러 개의 목적 모듈을 하나의 실행 파일로 만들어주는 프로그램으로, 목적 모듈 간의 상호 참조 관계를 해결하고, 실행 파일의 메모리 주소를 지정해준다. 따라서 링커는 목적 모듈을 실행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C 언어네 사용하는 자료형이 아닌 것은?

  1. long
  2. integer
  3. float
  4. double
(정답률: 83%)
  • "integer"은 C 언어에서 사용하는 자료형이 아니라는 것은 틀린 문장입니다. 따라서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은 없습니다.

    그러나 "integer" 대신 "short"를 추가하여 보기를 수정한다면, "integer"이 아닌 것은 "short"입니다. C 언어에서는 "short"라는 자료형이 있지만, "integer"라는 자료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integer"는 일반적으로 정수형 자료형을 의미하는 용어이지만, C 언어에서는 "int"라는 키워드를 사용하여 정수형 자료형을 표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C언어에서 사용하는 기억 클래스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Automatic Variables
  2. Register Variables
  3. Message Variables
  4. Static Variables
(정답률: 75%)
  • "Message Variables"은 C언어에서 사용하는 기억 클래스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C언어에서 사용하는 기억 클래스는 "Automatic Variables", "Register Variables", "Static Variables" 세 가지입니다. "Message Variables"은 C언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저급 언어(Low-Level Language)에 해당되는 것은?

  1. C
  2. Assembly Language
  3. COBOL
  4. FORTRAN
(정답률: 82%)
  • 저급 언어는 기계어와 가까운 언어로,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언어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어셈블리어는 기계어와 1:1 대응되는 언어로, 가장 저급의 언어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어셈블리어가 저급 언어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중위 표기법(Infix Notation)으로 표현된 산술식 “X=A+C/D"를 전위 표기법(Perfix Notation)으로 옳게 나타낸 것은?

  1. =X+A/CD
  2. =+/XACD
  3. /CD+A=X
  4. XACE/+=
(정답률: 74%)
  • 정답은 "=X+A/CD"입니다.

    전위 표기법은 연산자가 피연산자 앞에 위치하는 표기법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중위 표기법을 전위 표기법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연산자와 피연산자를 나열해야 합니다.

    1. 가장 오른쪽에 있는 피연산자인 D를 가져옵니다.
    2. D 앞에 위치한 연산자인 /를 가져옵니다.
    3. /와 D 앞에 위치한 피연산자인 C를 가져옵니다.
    4. C 앞에 위치한 연산자인 +를 가져옵니다.
    5. +와 C 앞에 위치한 피연산자인 A를 가져옵니다.
    6. A 앞에 위치한 연산자인 =를 가져옵니다.
    7. =와 A 앞에 위치한 피연산자인 X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전위 표기법으로 옳게 나타낸 식은 "=X+A/C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BCNF 표기법에서 반복을 의미하는 기호는?

  1. { }
  2. |
  3. ::=
  4. #
(정답률: 74%)
  • "{ }" 기호는 BCNF 표기법에서 반복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이 기호는 중괄호로 표시되며, 중괄호 안에 있는 요소가 0번 이상 반복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 }" 기호는 정답입니다. "|" 기호는 "또는"을 나타내는 기호이고, "::=" 기호는 "정의됨"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 기호는 주석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번역된 프로그램의 실행 오류를 찾기 위한 것은?

  1. 디버거(Debugger)
  2. 링커(Linker)
  3. 로더(Loader)
  4. 에디터(Editor)
(정답률: 89%)
  • 번역된 프로그램의 실행 오류를 찾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을 중단하고 변수의 값을 확인하거나 코드의 실행 흐름을 추적할 수 있는 디버거(Debugger)가 필요합니다. 디버거는 프로그램의 실행 중 발생하는 오류를 찾아내고 수정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링커(Linker)는 여러 개의 오브젝트 파일을 하나의 실행 파일로 만드는 역할을 하며, 로더(Loader)는 실행 파일을 메모리에 로드하는 역할을 합니다. 에디터(Editor)는 소스 코드를 작성하고 편집하는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인터프리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급 언어로 작성된 원시 코드 명령문들을 한번에 한 줄씩 읽어 들여서 실행하는 프로그램 기법이다.
  2. 한 줄 단위로 번역이 이루어져 문법상의 오류를 쉽게 발견 할 수 있다.
  3. 번역과 실행이 한꺼번에 이루어져 목적 코드라 불리는 개체
  4. 인터프리터 기법의 대표적 언어는 C, COBOL, BASIC 이다.
(정답률: 72%)
  • 인터프리터 기법의 대표적 언어는 C, COBOL, BASIC 이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인터프리터 기법은 언어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며, 대표적인 언어는 Python, Ruby, JavaScript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구문 분석기가 올바른 문장에 대해 그 문장의 구조를 트리로 표현한 것으로 루트, 중간, 단말 노드로 구성되는 트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정규화 트리
  2. 디버깅 트리
  3. 파스 트리
  4. BNF 트리
(정답률: 80%)
  • 파스 트리는 구문 분석기가 올바른 문장에 대해 그 문장의 구조를 트리로 표현한 것으로, 구문 분석기가 문장을 분석하면서 생성한 루트, 중간, 단말 노드로 구성된 트리이다. 따라서 "파스 트리"가 정답이다. "정규화 트리"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며, "디버깅 트리"는 디버깅을 위한 트리 구조를 의미한다. "BNF 트리"는 문법을 나타내는 BNF(Backus-Naur Form)을 트리로 표현한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HRN(Highest Response ratio Next) 방식으로 스케줄링 할 경우, 입력된 작업이 다음과 같을 때 가장 먼저 처리되는 작업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68%)
  • HRN 방식은 우선순위를 계산하여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작업을 먼저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우선순위는 (대기시간 + 서비스시간) / 서비스시간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입력된 작업의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A: (0+8)/8 = 1
    - B: (3+4)/4 = 1.75
    - C: (4+2)/2 = 3
    - D: (6+3)/3 = 3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작업은 C와 D입니다. 그러나 C는 이미 실행 중인 작업이므로 D가 가장 먼저 처리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객체지향 개념에서 이미 정의되어 있는 상위 클래스(슈퍼클래스 혹은 부모 클래스)의 메소드를 비롯한 모든 속성을 하위 클래스가 물려받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Abstraction
  2. Method
  3. Inheritance
  4. Message
(정답률: 73%)
  • 상속은 객체지향 개념에서 하위 클래스가 상위 클래스의 모든 속성과 메소드를 물려받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이 향상되며, 상위 클래스의 기능을 확장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Inheritanc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이항 연산에 해당하는 것은?

  1. ROTATE
  2. AND
  3. SHIFT
  4. NOT
(정답률: 57%)
  • 이항 연산은 두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고 연산을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ROTATE"와 "SHIFT"는 단항 연산이므로 이항 연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NOT"는 단항 연산자 중 하나이며, 논리적 NOT 연산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이항 연산에 해당하는 것은 "AND"입니다. "AND" 연산은 두 개의 비트가 모두 1일 때만 결과가 1이 되는 논리 연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교착상태의 발생 조건이 아닌 것은?

  1. 상호배제
  2. 환형대기
  3. 선점
  4. 점유와 대기
(정답률: 62%)
  • 선점은 교착상태의 발생 조건 중 하나가 아닙니다. 교착상태의 발생 조건은 상호배제, 환형대기, 점유와 대기입니다.

    선점은 다른 프로세스가 사용 중인 자원을 강제로 빼앗아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교착상태의 발생을 예방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교착상태의 발생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수명 시간 동안 고정된 하나의 값과 이름을 가진 자료로서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동안 값이 절대로 바뀌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1. 상수
  2. 변수
  3. 예약어
  4. 주석
(정답률: 59%)
  • 상수는 프로그램에서 고정된 값을 가지며, 값이 변경될 수 없는 자료형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값이 변하지 않으므로 안정적인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습니다. 변수는 값이 변경될 수 있는 자료형이며, 예약어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미리 정의된 특별한 의미를 가진 단어입니다. 주석은 프로그램 코드 내에서 실행되지 않고, 코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문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운영체제를 수행 기능에 따라 제어 프로그램과 처리 프로그램으로 구분할 경우 처리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것은?

  1. 감시 프로그램
  2. 작업 제어 프로그램
  3. 자료 관리 프로그램
  4. 언어 번역 프로그램
(정답률: 70%)
  • 처리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작업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언어 번역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처리 프로그램 중에서 언어 번역 프로그램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통신 개론

61. 다음 중 OSI 네트워크 계층화의 구성요소에서 서비스 프리미티브(Primitive)에 해당하는 것은?

  1. 요구, 지시, 응답, 확인
  2. 접속, 요구, 확인, 응답
  3. 요구, 접속, 해제, 전송
  4. 접속, 확인, 응답, 해제
(정답률: 68%)
  • 서비스 프리미티브란,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서비스를 요청하거나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말합니다. 따라서 "요구, 지시, 응답, 확인"이 서비스 프리미티브에 해당합니다. 이 중 "요구"는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을 의미하고, "지시"는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응답"은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요청에 대한 응답을 보내는 것을 의미하고, "확인"은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전송된 데이터의 정상적인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데이터 전송에서 ITU-T로 권고하는 X 시리즈란?

  1. 동화상 압축을 위한 프로토콜
  2. PSTN을 이용하는 데이터 전송
  3. PSDN을 이용하는 데이터 전송
  4. 이동전화 단말용 통신 프로토콜
(정답률: 55%)
  • ITU-T에서 권고하는 X 시리즈는 데이터 통신에 관한 국제 표준 권고서이다. X.25, X.400, X.500 등 다양한 규격이 포함되어 있으며, PSDN을 이용하는 데이터 전송에 대한 규격도 포함되어 있다. PSDN은 공중 패킷 교환망으로, 인터넷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데이터 전송에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ITU-T에서는 PSDN을 이용하는 데이터 전송에 대한 규격도 X 시리즈에 포함시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멀티미디어의 표준화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JPEG
  2. MPEG
  3. MHS
  4. MHEG
(정답률: 54%)
  • "MHS"는 멀티미디어의 표준화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유는 "MHS"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멀티미디어 표준이기 때문이다. "JPEG"는 이미지 압축 표준, "MPEG"는 비디오 압축 표준, "MHEG"는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 표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나이퀴스트(Nyquist) Sampling Theoem과 관련 있는 것은?

  1. 표준화
  2. 양자화
  3. 부호화
  4. 복호화
(정답률: 50%)
  • 정답: "표준화"

    나이퀴스트 샘플링 이론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때, 샘플링 주파수가 신호의 최대 주파수의 2배 이상이어야 한다는 이론입니다. 이를 위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전에 표준화 작업이 필요합니다. 표준화는 신호의 크기를 일정한 범위로 조정하는 작업으로, 이를 통해 샘플링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나이퀴스트 샘플링 이론과 관련하여 표준화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양자화, 부호화, 복호화는 디지털 신호 처리 과정에서 필요한 작업이지만, 나이퀴스트 샘플링 이론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9600[bps]의 비트열(bit stream)을 8진 PSK로 변조하여 전송 하면 변조 속도는?

  1. 1200[baud]
  2. 3200[baud]
  3. 9600[baud]
  4. 76800[baud]
(정답률: 53%)
  • 8진 PSK에서 한 심볼(symbol)은 3개의 비트(bit)를 나타내므로, 9600[bps]의 비트열을 변조하면 9600/3 = 3200[symbols/sec]의 심볼 속도가 된다. 이 때, 심볼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baud이므로, 변조 속도는 3200[baud]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인터넷 관련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CP/IP는 TCP 프로토콜과 IP 프로토콜의 결합적 의미로서 TCP가 IP보다 상위 계층에 존재 한다.
  2. TCP/IP는 계층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3. TCP는 OSI 참조모델의 네트워크계층에 대응되고, IP는 트랜스포트 계층에 대응된다.
  4. ICMP는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을 뜻한다.
(정답률: 50%)
  • "TCP는 OSI 참조모델의 네트워크계층에 대응되고, IP는 트랜스포트 계층에 대응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IP가 네트워크 계층에 대응되고, TCP가 트랜스포트 계층에 대응된다. IP는 패킷을 라우팅하고, TCP는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OSI-7 참조 모델의 계층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네트워크 계층
  2. 물리 계층
  3. 프레임 계층
  4. 세션 계층
(정답률: 65%)
  • OSI-7 참조 모델에는 "프레임 계층"이라는 계층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프레임 계층"은 OSI-7 참조 모델의 계층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연속적 ARQ 에 해당하는 것은?

  1. Stop and Wait ARQ
  2. Go-back-N ARQ
  3. Adqptive ARQ
  4. CRC ARQ
(정답률: 48%)
  • Go-back-N ARQ은 송신측이 일정한 크기의 윈도우 내에서 여러 패킷을 전송하고, 수신측이 이를 순서대로 받아들이면 ACK를 보내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만약 수신측이 패킷을 제대로 받지 못하면, 송신측은 해당 패킷부터 다시 전송을 시작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패킷을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윈도우 내의 모든 패킷을 제대로 받을 때까지 ACK를 보내지 않습니다. 따라서 Go-back-N ARQ은 연속적 ARQ에 해당합니다. Stop and Wait ARQ은 한 패킷을 보내고 ACK를 받은 후에 다음 패킷을 보내는 방식으로 동작하므로 연속적 ARQ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Adqptive ARQ은 전송 환경에 따라 ARQ 방식을 동적으로 조절하는 방식으로, 연속적 ARQ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CRC ARQ은 오류 검출을 위한 기술로, ARQ 방식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파일을 다른 시스템으로 전송할 때 주로 이용되는 프로토콜은?

  1. TELNET
  2. SNMP
  3. FTP
  4. DNS
(정답률: 55%)
  •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 파일을 다른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해 주로 사용됩니다. TELNET은 원격 로그인 프로토콜, SNMP는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DNS는 도메인 이름 시스템으로, 파일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정보 전송시 오류검출 방법이 아닌 것은?

  1. 블록 합 검사(Block Sum Check)
  2. 순환 잉여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3. 프레임 검사(Frame Check)
  4. 패리티 비트 검사(Parity Bit Check)
(정답률: 49%)
  • 프레임 검사는 정보 전송시 오류검출 방법이 아닙니다. 프레임 검사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며, 전송된 프레임의 끝에 추가된 CRC (순환 중복 검사) 코드를 이용하여 오류를 검출합니다. 이 코드는 전송된 데이터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생성되며, 수신측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CRC 코드를 생성하여 전송된 코드와 비교하여 오류를 검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ISDN에서 고속의 사용자 정보 전송을 위한 채널로 384[kbps]의 전송 속도를 갖는 것은?

  1. B channel
  2. D channel
  3. HO channel
  4. H12 channel
(정답률: 42%)
  • ISDN에서 고속의 사용자 정보 전송을 위한 채널은 HO(channel)입니다. HO(channel)은 High-speed data Overhead channel의 약자로, 384[kbps]의 전송 속도를 갖습니다. B(channel)은 64[kbps]의 전송 속도를 갖는 일반적인 채널이며, D(channel)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입니다. H12(channel)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채널로, 1.536[mbps]의 전송 속도를 갖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HDLC의 프레임 구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스타트 필드(Start Field)
  2. 플래그 필드(Flag Field)
  3. 주소 필드(Address Field)
  4. 제어 필드(Control Field)
(정답률: 52%)
  • HDLC의 프레임 구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스타트 필드(Start Field)"입니다. 스타트 필드는 비트 시간 동기화를 위해 사용되는데, HDLC에서는 이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플래그 필드를 사용합니다. 플래그 필드는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HDLC의 프레임 구조에는 플래그 필드, 주소 필드, 제어 필드가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데이터통신 서비스의 지역 범위에 따라 구분되는 통신망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LAN
  2. WAN
  3. VAN
  4. MAN
(정답률: 63%)
  • VAN은 데이터통신 서비스의 지역 범위에 따라 구분되는 통신망의 종류가 아니며, LAN은 지리적으로 제한된 작은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통신망, WAN은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통신망, MAN은 도시나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따라서, VAN은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선로의 접점 불량, 기계적 진동 등에 의해서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잡음은?

  1. Shot Noise
  2. Impluse Noise
  3. Thermal Noise
  4. Jitter Noise
(정답률: 64%)
  • 정답: Impluse Noise

    설명: Impulse Noise는 선로의 접점 불량, 기계적 진동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순간적인 잡음입니다. 이러한 잡음은 매우 짧은 시간 동안 발생하며, 주로 불규칙한 강도와 지속 시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잡음은 전자기기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데이터 전송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교환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회선교환방식은 회선에 융통성이 요구되거나 메시지가 짧은 경우에 적합하다.
  2. 데이터그램 패킷교환방식은 부하가 적거나 간헐적인 통신의 경우에 적합하다.
  3. 패킷교환방식은 코드 및 속도 변환이 가능하다.
  4. 가상회선 패킷교환방식은 패킷 도착 순서가 고정적이다.
(정답률: 33%)
  • 가상회선 패킷교환방식은 패킷 도착 순서가 고정적이다. (이는 오히려 패킷 도착 순서가 유연하다는 것이 가상회선 패킷교환방식의 특징이다.)

    회선교환방식은 통신 중에 전용 회선을 확보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회선에 융통성이 요구되거나 메시지가 짧은 경우에 적합하다.

    데이터그램 패킷교환방식은 패킷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부하가 적거나 간헐적인 통신의 경우에 적합하다.

    패킷교환방식은 코드 및 속도 변환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광섬유 케이블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축 케이블보다 더 넓은 대역폭을 지원한다.
  2. 전송속도가 UTP 케이블 보다 빠르다
  3. 전자기적 잡음에 약하다.
  4. 동축 케이블에 비해 전송손실이 적다.
(정답률: 59%)
  • "전자기적 잡음에 약하다."가 틀린 설명이다. 광섬유 케이블은 전자기적인 신호가 아닌 빛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자기적 잡음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대역폭(W)이 3[KHz], 신호전력(S)과 잡음전력(N)의 비 S/N=15일 때 통신 채널용량은 몇 bps 인가?

  1. 8000
  2. 10000
  3. 12000
  4. 16000
(정답률: 50%)
  • 통신 채널용량(C)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 = W * log2(1 + S/N)

    여기서, W는 대역폭, S는 신호전력, N은 잡음전력, S/N은 신호대잡음비를 나타낸다.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C = 3 * 10^3 * log2(1 + 15)
    C ≈ 12000 bps

    따라서, 정답은 "12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데이터 회선종단장치 또는 이와 관련 없는 것은?

  1. DCE
  2. DTE
  3. MODEM
  4. DSU
(정답률: 31%)
  • 정답은 "MODEM"입니다.

    MODEM은 DCE(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와 DTE(Data Terminal Equipment) 사이에서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를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반면, DCE와 DTE는 데이터 회선종단장치(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의 두 가지 유형입니다. DCE는 데이터 회선을 제어하고, DTE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처리합니다.

    DSU(Digital Service Unit)는 디지털 회선에서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는 장치이며, DTE와 함께 사용됩니다.

    따라서, DTE가 데이터 회선종단장치 또는 이와 관련 없는 것이 아니라는 이유는 DTE가 데이터를 생성하고 처리하는 장치이며, 데이터 회선을 제어하는 DCE와 함께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펄스코드 변조방식(PCM)의 송신측 변조 과정은?

  1. 입력신호→부호화→양자화→표본화
  2. 입력신호→양자화→표본화→부호화
  3. 입력신호→표본화→양자화→부호화
  4. 입력신호→부호화→표본화→양자화
(정답률: 79%)
  • 펄스코드 변조방식에서는 입력신호를 표본화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일정한 크기의 양자화 단계로 나누어 부호화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송신측 변조 과정은 "입력신호→표본화→양자화→부호화" 순서로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조하는 방식은?

  1. ASK
  2. FSK
  3. PSK
  4. QAM
(정답률: 76%)
  • QAM은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약자로,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조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두 개의 직교하는 캐리어 신호를 사용하여 진폭과 위상을 각각 변조하고, 이를 결합하여 하나의 신호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QAM은 다른 방식들과 달리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