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3-04)

사무자동화산업기사
(2012-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사무자동화 시스템

1. 중앙처리장치의 구성요소 중 제어 장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2. 데이터 레지스터
  3. 프로그램 카운터
  4. 명령 레지스터
(정답률: 48%)
  • 제어 장치는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데이터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데이터 레지스터는 제어 장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컴퓨터의 기억장치와 입출력장치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1. 동작 속도
  2. 가격(cost)
  3. 소형, 경량화
  4. 정보 표현
(정답률: 74%)
  • 컴퓨터의 기억장치와 입출력장치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동작 속도입니다. 기억장치는 컴퓨터가 작업을 처리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입출력장치는 외부 기기와 컴퓨터 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기억장치는 컴퓨터의 작업 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입출력장치는 작업 속도보다는 기능과 가격, 크기 등의 측면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등선속도(CLV)방식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디스크 저장 공간이 비효율적으로 사용된다.
  2. 디스크 평판이 속도로 회전한다.
  3. 회전 구동장치가 간단하다
  4. 모든 트랙의 저장밀도가 같다.
(정답률: 58%)
  • 등선속도(CLV) 방식은 디스크 평판이 속도로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트랙마다 다른 속도로 회전하여 데이터를 읽고 쓰는 방식입니다. 이 때문에 모든 트랙의 저장밀도가 같아지며, 회전 구동장치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디스크 저장 공간이 비효율적으로 사용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통합화 소프트웨어 패키지(package)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퍼스널 컴퓨터상에서 표계산 및 워드프로세스 기능 등을 한 개의 프로그램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2. 상호간에 파일을 공용할 수 있도록 한다.
  3. 처리 도중에 별개의 기능을 사용해서 결과를 결합시켜 사용하기 편리하다.
  4. 기능이 복잡하여 업무처리에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이다.
(정답률: 89%)
  • 기능이 복잡하여 업무처리에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이다. - 이 설명은 통합화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특징이 아니라 단점이다. 통합화 소프트웨어 패키지는 퍼스널 컴퓨터상에서 표계산 및 워드프로세스 기능 등을 한 개의 프로그램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상호간에 파일을 공용할 수 있도록 하며, 처리 도중에 별개의 기능을 사용해서 결과를 결합시켜 사용하기 편리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컴퓨터의 입출력 제어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CPU에 의한 방식
  2. DMA 방식
  3. Buffer에 의한 방식
  4. 채널 제어기에 의한 방식
(정답률: 53%)
  • Buffer에 의한 방식은 입출력 제어 방식이 아니라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하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다른 세 가지 방식은 모두 입출력 제어 방식으로, CPU에 의한 방식은 CPU가 직접 입출력을 처리하는 방식, DMA 방식은 DMA 컨트롤러가 입출력을 처리하는 방식, 채널 제어기에 의한 방식은 입출력 채널 제어기가 입출력을 처리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사무자동화의 단계별 추진절차가 옳은 것은?

  1. 분석 → 계획 → 운용
  2. 계획 → 운용 → 분석
  3. 운용 → 분석 → 계획
  4. 분석 → 추진 → 계획
(정답률: 84%)
  • 사무자동화를 추진하는 단계에서는 먼저 현재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개선할 부분을 파악해야 합니다. 따라서 "분석" 단계가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무자동화를 계획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계획" 단계가 이어집니다. 마지막으로는 계획한 대로 사무자동화를 운용하며, 필요에 따라 수정하고 보완해 나가야 합니다. 따라서 "운용" 단계가 가장 마지막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에 따라 "분석 → 계획 → 운용"이 옳은 단계별 추진절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기본 키(Primary Key)가 가져야 할 성질은?

  1. 공유성
  2. 중복성
  3. 식별성
  4. 연결성
(정답률: 81%)
  • 기본 키는 각 레코드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속성이어야 합니다. 이를 "식별성"이라고 합니다. 이는 중복성을 방지하고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성질입니다. 공유성은 여러 레코드에서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는 성질을 말하며, 연결성은 여러 테이블 간의 관계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뉴미디어의 특징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정보를 주고받는 대화형식의 통신으로 상효작용성이 있다.
  2. 개인이 필요한 시기에 메시지를 보내고 받을 수 있는 비동시성이 있다.
  3. 전기통신계통 미디어, 영상, 화상미디어가 많이 사용된다.
  4. 뉴미디어는 주로 단방향 통신으로 메시지를 전달한다.
(정답률: 72%)
  • "뉴미디어는 주로 단방향 통신으로 메시지를 전달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뉴미디어는 대개 상호작용성이 높은 대화형식의 통신을 지향하며, 개인이 필요한 시기에 메시지를 보내고 받을 수 있는 비동기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뉴미디어는 단방향 통신보다는 양방향 통신을 중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사무자동화 수행방식 중 상향식(bottom up) 접근방식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1. 요구되는 사무자동화 시스템을 단기간에 구축할 수 있다.
  2. 조직의 전체적인 참여의식이나 의식 개혁이 희박하여 조직 전체로의 확산이 어렵다.
  3. 기존 조직으로부터의 반발이 크고 전체 조직을 총괄하는 상설 기구가 필요하다.
  4. 최고 경영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즉시 제공할 수 있어서 실효성이 크다.
(정답률: 49%)
  • 상향식 접근방식은 하위 조직부터 차례로 자동화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요구되는 시스템을 단기간에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조직의 전체적인 참여의식이나 의식 개혁이 희박하여 조직 전체로의 확산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즉, 상위 조직에서부터 전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 참여를 유도하는 상황이 아니라 하위 조직에서부터 개별적으로 자동화를 진행하다보니 전체적인 참여와 의식 개혁이 어려워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전자우편시스템을 이용해서 사내 야유회 공고를 하고 싶을 때 전자우편 시스템 기능 중 어느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1. 반송
  2. 일시지정송신
  3. 동보지정
  4. 회부
(정답률: 88%)
  • 사내 야유회 공고를 하기 위해서는 모든 직원들에게 동시에 공지를 해야 하므로 "동보지정"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 기능은 한 번의 전송으로 여러 수신자에게 동시에 메일을 보낼 수 있으며, 수신자들은 서로의 이메일 주소를 알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효율적이고 빠르게 모든 직원들에게 공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사무자동화 추진 전략 중 전사적(사내에서의) 접근 방식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1. 시스템 도입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2. 과제개선 후 정착이 빨리 될 수 있다.
  3. 직무별, 계층별로 자동화하기 때문에 소요예산이 절감된다.
  4. 업무 루틴대로 자동화하기 때문에 스펙 작성이 쉽다.
(정답률: 45%)
  • 전사적 접근 방식은 조직 전체의 업무 프로세스를 고려하여 사무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방식은 각 부서나 직무별로 따로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보다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을 고려하기 때문에 시스템 도입의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전사적으로 시스템을 도입하면 과제개선 후 정착이 빨리 될 수 있고, 직무별, 계층별로 자동화하기 때문에 소요예산이 절감됩니다. 마지막으로, 업무 루틴대로 자동화하기 때문에 스펙 작성이 쉽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표준양식을 가지고 구조화된 데이터를 전송해서 수신측의 컴퓨터가 직접 처리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1. E-mail
  2. FAX
  3. BcN
  4. EDI
(정답률: 82%)
  • EDI는 Electronic Data Interchange의 약자로, 전자적으로 구조화된 데이터를 표준화된 양식으로 전송하여 수신측의 컴퓨터가 직접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에 반해 E-mail과 FAX는 비구조화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며, BcN은 휴대전화를 이용한 문자메시지 전송 기술이므로, 이들과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데이터베이스 용어 중 의미가 다른 항목은?

  1. 테이블의 행
  2. 레코드(record)
  3. 튜플(tuple)
  4. 필드(field)
(정답률: 55%)
  • 필드(field)는 테이블의 열(column)을 의미하며, 나머지 세 용어는 모두 테이블의 행(row)을 의미한다. 따라서, 필드(field)가 의미가 다른 항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자상거래시 사업자가 전자서명을 한 전자문서가 포함된 전자우편의 본문에 표시되어야 할 것은?

  1. 전자서명을 한 전자문서의 입력 방법
  2. 전자서명을 한 전자문서의 출력 방법
  3. 전자서명을 한 전자문서의 저장 방법
  4. 전자서명을 한 전자문서의 인증 방법
(정답률: 55%)
  • 전자상거래시 사업자가 전자서명을 한 전자문서가 포함된 전자우편의 본문에 표시되어야 하는 것은 전자서명을 한 전자문서의 출력 방법입니다. 이는 전자서명을 한 문서를 출력하여 인쇄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이는 전자서명이 인쇄물로 제공되어야만 법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자상거래시 사업자는 전자서명을 한 전자문서가 포함된 전자우편의 본문에 해당 문서를 출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문자 다중방송(teletext)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문자와 도형에 의한 화상정보를 디지털 신호 형태로 TV전파 사이에 전송한다.
  2. 수신측에서는 디코더에 의해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TV 등에 표시하는 방송 시스템이다.
  3. 뉴스, 일기예보 등의 필요한 정보를 수시로 선택수신 가능하다.
  4. 각종 정보검색이나 홈쇼핑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선, 쌍방향 화상정보 시스템이다.
(정답률: 67%)
  • 문자 다중방송(teletext)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모든 보기가 옳은 설명이다.

    하지만 "각종 정보검색이나 홈쇼핑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선, 쌍방향 화상정보 시스템이다."라는 설명은 문자 다중방송(teletext)과는 다른 기술인 인터넷을 설명한 것이다. 문자 다중방송(teletext)은 단방향 방송 시스템으로, 수신측에서는 정보를 선택수신할 수는 있지만, 정보를 제공하는 측과의 상호작용이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전자상거래 암호화 기법 중에 블록 암호의 일종으로 대칭키 암호이며 56비트의 암호키를 사용한 알고리즘 방법은?

  1. DES
  2. MD5
  3. RSA
  4. Diffi-Helleman
(정답률: 58%)
  • DES는 Data Encryption Standard의 약자로, 56비트의 대칭키를 사용하여 블록 암호화를 수행하는 알고리즘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전자상거래에서 많이 사용되며,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DE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컴퓨터의 출력 정보를 마이크로 이미지 촬영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및 마이크로필름으로부터 오프라인으로 촬영현상을 처리하는 시스템은?

  1. COM
  2. CAR
  3. OCR
  4. CAM
(정답률: 73%)
  • 이 시스템은 컴퓨터의 출력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며, "COM"은 "컴퓨터"의 약어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CAR"는 자동차, "OCR"은 광학 문자 인식, "CAM"은 카메라를 나타내는 약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컴퓨터를 데이터 취급(형태)에 따라 분류할 경우 옳게 구분된 것은?

  1. 아날로그컴퓨터, 디지털컴퓨터, 하이브리드컴퓨터
  2. 소형컴퓨터, 중형컴퓨터, 대형컴퓨터
  3. 개인용컴퓨터, 과학용컴퓨터, 범용컴퓨터
  4. 마이크로컴퓨터, 탁상용컴퓨터, 사무처리용컴퓨터
(정답률: 85%)
  • 컴퓨터를 데이터 취급(형태)에 따라 분류할 경우, 아날로그컴퓨터는 연속적인 신호를 처리하는데 특화되어 있고, 디지털컴퓨터는 이산적인 신호를 처리하는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하이브리드컴퓨터는 아날로그와 디지털을 모두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날로그컴퓨터, 디지털컴퓨터, 하이브리드컴퓨터"가 옳게 구분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비디오텍스 방식 중 도형 정보는 미리 정해진 모자이크 패턴의 조합으로 표현하며, 수신 단말기에서는 내부의 문자 ftodrl에 의해 정해진 모자이크 패턴으로 그림을 표시하는 것은?

  1. 알파 모자이크 방식
  2. 알파 앤 오메가 방식
  3. 알파 지오메트릭 방식
  4. 알파 포토그래픽 방식
(정답률: 62%)
  • 알파 모자이크 방식은 도형 정보를 미리 정해진 모자이크 패턴의 조합으로 표현하며, 이를 수신 단말기에서는 내부의 문자 ftodrl에 의해 정해진 모자이크 패턴으로 그림을 표시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 방식은 도형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고, 수신 단말기에서도 빠르게 그림을 표시할 수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경영정보시스템(MIS)이 초기에 실패한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H/W나 S/W의 제한된 능력
  2. 경영정보시스템 개념의 완성
  3. 사용자(경영자)들의 컴퓨터에 대한 이해부족
  4. 컴퓨터전문가(개발자)들의 경영관리에 대한 이해부족
(정답률: 55%)
  • 경영정보시스템(MIS)이 초기에 실패한 이유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경영정보시스템 개념의 완성"입니다. 초기에는 컴퓨터 기술이나 사용자들의 이해 부족 등으로 인해 MIS가 실패했지만, 이후에는 경영정보시스템 개념이 완성되어야 했습니다. 이는 경영자들이 MIS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와, 개발자들이 경영관리에 대한 이해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경영정보시스템 개념의 완성은 초기 실패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발전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무경영관리 개론

21. MBO(Management by Objectives)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목표에 의한 관리
  2. 자료에 의한 관리
  3. 경영에 의한 관리
  4. 계획에 의한 관리
(정답률: 82%)
  • MBO(Management by Objectives)는 조직의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며, 이를 통해 조직원들의 역량을 개발하고 성과를 평가하는 관리 방법론이다. 따라서 "목표에 의한 관리"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정보통신망에서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기술적인 조치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을 확인하기 위한 식별 및 인증 조치
  2. 접속기록의 위조, 변조 방지를 위한 조치
  3. 침해사고 방지를 위한 보안프로그램의 설치 및 운영
  4.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정기적인 자체 감사 실시
(정답률: 68%)
  •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정기적인 자체 감사 실시는 기술적인 조치가 아니라 조직적인 조치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기술적인 조치"에 해당하는 보기들을 고르는 것이 문제의 요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문서 처리의 원칙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즉일처리의 원칙
  2. 책임처리의 원칙
  3. 폐소처리의 원칙
  4. 법령적합의 원칙
(정답률: 62%)
  • 문서 처리의 원칙과는 관련이 없는 것은 "폐소처리의 원칙"입니다. 폐소처리의 원칙은 폐기물 처리에 관한 원칙으로, 문서 처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문서 처리의 원칙으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관리의 행동 과정 중 계획화(Planning)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망 및 예측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침 설정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재원할당 및 분배
  4.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본지침과 방법 설정
(정답률: 61%)
  •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재원할당 및 분배"는 실행 단계에 해당하는 것이며, 계획 단계에서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망 및 예측, 방침 설정, 기본지침과 방법 설정 등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재원할당 및 분배"가 계획화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불필요한 작업을 제거하고 그 다음에 남는 잔여 작업을 최선의 가능한 절차에 의하여 배치하는데 목적이 있는 연구는?

  1. 시간연구
  2. 작업연구
  3. 동작연구
  4. 공정연구
(정답률: 37%)
  • 동작연구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작업을 제거하고, 효율적인 작업 절차를 찾아내는 연구입니다. 따라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산업안전보건기준에 의거 “강렬한 소음 작업”의 기준이 되는 것은? (단, 1일 기준임)

  1. 11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0분 이상 발생하는 작업
  2. 11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5분 이상 발생하는 작업
  3. 11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30분 이상 발생하는 작업
  4. 11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60분 이상 발생하는 작업
(정답률: 65%)
  • 강렬한 소음은 귀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일정 시간 이상 노출될 경우 청력 손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산업안전보건기준에서는 강렬한 소음 작업의 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이 기준은 115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15분 이상 발생하는 작업입니다. 이는 일일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적절한 보호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사무계획 요소와 내용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예측(Forecast)은 경영활동을 하기 위한 지표이다.
  2. 방침(Policy)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원칙이다.
  3. 스케줄(Schedule)은 해야 할 일에 대한 시간적 순서이다.
  4. 프로그램(Program)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행위의 계획이다.
(정답률: 48%)
  • "예측(Forecast)은 경영활동을 하기 위한 지표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예측은 미래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사건이나 현상을 예상하는 것으로, 경영활동을 계획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지표는 아니다. 지표는 경영활동의 성과를 측정하거나 분석하기 위한 수치나 지표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문서 기안 시 발의자와 보고자의 표시를 생략할 수 있는 문서가 아닌 것은?

  1. 검토나 결정이 필요하지 아니한 문서
  2. 회의록
  3. 각종 증명 발급
  4. 수신자에게 전달된 전자문서
(정답률: 54%)
  • 수신자에게 전달된 전자문서는 이미 발의자와 보고자가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생략할 수 없는 문서이다. 다른 보기들은 검토나 결정이 필요하지 않거나, 회의록이나 각종 증명 발급 등의 경우에는 발의자와 보고자의 표시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기록물관리기관의 장이 기록물의 생산부터 활용까지의 전 과정에 걸쳐 보장될 수 있도록 관리하여야 할 성질이 아닌 것은?

  1. 진본성
  2. 무결성
  3. 신뢰성
  4. 보편성
(정답률: 75%)
  • 보편성은 기록물의 생산부터 활용까지의 전 과정에 걸쳐 보장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성질이 아니라, 기록물이 모든 이용자에게 공평하게 제공되는 성질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편성은 해당 문제의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사무의 특성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사무는 정보를 취급하고 정보의 기록과 관리를 한다.
  2. 사무란 경영활동인 생산, 판매, 구매, 재무 등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3. 사무란 의사결정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수집, 처리, 전달, 보관 등의 기능을 관리한다.
  4. 사무란 환경의 변화에 대응한 문제의 발견과 해결을 위한 경영활동만을 말한다.
(정답률: 82%)
  • 사무란 경영활동인 생산, 판매, 구매, 재무 등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무가 경영활동의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사무의 특성과 가장 가까운 내용이다. 사무는 정보를 취급하고 관리하며,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 처리, 전달, 보관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사무는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경영활동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가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려고 수집하는 경우 이용자에게 알리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개인정보의 제공 업체
  2. 개인정보의 수집 목적
  3.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4. 개인정보의 보유 기간
(정답률: 52%)
  •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가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이용하려고 수집하는 경우 이용자에게 알리지 않아도 되는 것은 "개인정보의 제공 업체"이다. 이는 개인정보 보호법에서 제공 업체에게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이용자에게 사전 동의를 받지 않아도 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소프트웨어산업의 진흥?발전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사업을 할 수 있는 곳은?

  1. 지식경제부
  2. 방송통신위원회
  3. 정보통신산업협회
  4.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답률: 83%)
  •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소프트웨어산업의 진흥과 발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는 정부기관이다.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산업의 기술개발, 인력양성, 해외진출 등을 지원하고,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제안하고 실행한다. 따라서 소프트웨어산업의 진흥과 발전을 위한 사업을 할 수 있는 곳으로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선택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문서 작성시 가장 바람직한 것은?

  1. 긴 문장을 사용한다.
  2. 이해하기 쉬운 용어를 사용한다.
  3. 결론을 뒤에 넣는다.
  4. 수식어를 많이 사용한다.
(정답률: 76%)
  • 이해하기 쉬운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문서를 읽는 사람들이 쉽게 이해하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긴 문장이나 수식어를 많이 사용하면 문서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시간이 더 걸리고 혼란스러울 수 있다. 또한 결론을 뒤에 넣는 것은 문서의 구조를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목표지행적 사무관리에서 가장 중점을 두는 것은?

  1. 의사소통
  2. 종업원 사기앙양
  3. 직무만족
  4. 능률
(정답률: 82%)
  • 능률은 목표지행적 사무관리에서 가장 중점을 두는 것이다. 이는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고, 업무의 질과 양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능률적인 사무관리는 조직의 생산성을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정보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정보관리의 목적은 정보를 신속, 정확, 편리하게 제공함에 있다.
  2. 정보관리의 활동범위는 사무관리보다 광범위하다고 볼 수 있다.
  3. 정보관리의 범위는 정보통제기능에 한한다.
  4. 정보관리의 대상은 정보의 계획, 처리 및 보관, 제공 등의 기능으로 한다.
(정답률: 58%)
  • 정보관리의 범위는 정보통제기능에 한다는 설명이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정보관리의 범위는 정보의 계획, 처리, 보관, 제공 등의 기능을 포함합니다. 정보통제기능은 정보보안과 관련된 부분으로, 정보관리의 일부분일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사무관리 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경영활동의 보조 기능
  2. 정보처리 기능
  3. 신속한 정보제공 기능
  4. 조직체의 각 활동을 결합하는 기능
(정답률: 35%)
  • 신속한 정보제공 기능은 다른 사무관리 기능들과 달리 시간적인 측면에서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기능은 조직 내부나 외부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하고 처리하여 필요한 사람들에게 빠르게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기능이 부족하면 조직 내부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경영 활동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정신적, 육체적 난이도를 평가하여 각종 직무 간 상대적 서열을 결정하는 절차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직무분석
  2. 인사고과
  3. 인사관리
  4. 직무평가
(정답률: 71%)
  • 직무평가는 각 직무의 난이도와 중요도를 평가하여 상대적인 서열을 결정하는 절차이다. 이를 통해 조직 내에서 각 직무의 가치를 파악하고, 적절한 보상과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직무평가"가 정답이다. 직무분석은 각 직무의 내용과 요구사항을 파악하는 절차이고, 인사고과는 개인의 성과를 평가하는 절차이며, 인사관리는 조직 내 인력을 관리하는 전반적인 활동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사무조직은 비합리적 사람중심이 아니라 목적달성을 위해 해야 할 업무중심의 조직이 마련되어야 한다.”라는 조직 원칙은?

  1. 위양의 원칙
  2. 통솔범위의 원칙
  3. 전문화의 원칙
  4. 기능화의 원칙
(정답률: 65%)
  • "기능화의 원칙"은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업무 중심의 조직을 구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사무조직은 비합리적인 인간 중심이 아니라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능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이는 조직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저작권의 등록시 저작자가 등록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저작자의 국적
  2. 저작물의 보호기간
  3. 저작물의 종류
  4. 공표의 여부
(정답률: 46%)
  • 저작권의 등록은 선택사항이며, 저작자가 등록하지 않아도 자신의 저작물은 저작권 보호를 받습니다. 따라서 저작자가 등록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저작물의 보호기간입니다. 저작물의 보호기간은 저작물의 종류와 국적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저작자의 사망 후 70년간 지속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저작권의 발생 시점으로 옳은 것은?

  1. 저작물을 입법예고한 때부터
  2. 저작물을 공표한 때부터
  3. 저작물을 창작한 때부터
  4. 저작물을 등록한 때부터
(정답률: 58%)
  • 저작권의 발생 시점은 저작물을 창작한 때부터입니다. 저작물을 창작하면 저작자는 자동적으로 저작권을 보유하게 됩니다. 따라서 저작물을 입법예고하거나 공표하거나 등록하는 것은 저작권의 발생 시점과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프로그래밍 일반

41. 다음 구문 중 반복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 것은?

  1. C::=A[+B]
  2. C::=A{+B}
  3. C::=A+B
  4. C::=A+Bl B
(정답률: 64%)
  • 반복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 구문은 "C::=A{+B}"입니다. 중괄호 {}는 반복을 나타내는 기호로, B가 0번 이상 반복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A 다음에 B가 한 번 이상 반복되는 구문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원시 프로그램을 컴파일러가 수행되고 있는 컴퓨터의 기계어로 번역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기종에 맞는 기계어로 번역하는 것은?

  1. Cross Compiler
  2. Preprocessor
  3. Linker
  4. Debugger
(정답률: 77%)
  • Cross Compiler는 원시 프로그램을 현재 작업 중인 컴퓨터와 다른 기종에 맞는 기계어로 번역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eprocessor는 전처리기로, 소스 코드를 처리하여 컴파일러가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Linker는 여러 개의 오브젝트 파일을 하나의 실행 파일로 결합하는 역할을 합니다. Debugger는 프로그램의 오류를 찾아내고 수정하는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수식 구문의 표기법 중 연산자를 피연산자 사이에 표기하는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표기법은?

  1. PREFIX NOTATION
  2. POSTFIX NOTATION
  3. INFIX NOTATION
  4. FIRST NOTATION
(정답률: 78%)
  • INFIX NOTATION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기법이며, 연산자를 피연산자 사이에 표기하기 때문에 가독성이 높고 일반적인 수식과 유사하여 이해하기 쉽습니다. PREFIX NOTATION은 연산자를 피연산자 앞에 표기하는 방법이며, POSTFIX NOTATION은 연산자를 피연산자 뒤에 표기하는 방법입니다. FIRST NOTATION은 존재하지 않는 표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C언어에서 사용하는 기본적인 데이터 형이 아닌 것은?

  1. char
  2. short
  3. integer
  4. double
(정답률: 80%)
  • "integer"은 C언어에서 사용하는 기본 데이터 형이 아닙니다. C언어에서는 "int"를 사용하여 정수형 데이터를 표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어휘 분석은 원시 프로그램을 하나의 긴 스트링으로 보고 원시 프로그램을 문자 단위로 스캐닝하여 문법적으로 의미 있는 일련의 문자들로 분할해낸다. 이때 분할된 문법적인 단위는?

  1. ID
  2. PATTERN
  3. TOKEN
  4. PARSE
(정답률: 85%)
  • 분할된 문법적인 단위는 TOKEN이다. TOKEN은 프로그램에서 의미 있는 최소 단위로, 예를 들어 변수명, 연산자, 키워드 등이 TOKEN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어휘 분석에서는 원시 프로그램을 TOKEN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TOKEN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단항 연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not
  2. or
  3. shift
  4. move
(정답률: 60%)
  • "or"은 이항 연산자이기 때문에 단항 연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not"은 단항 연산자이며, "shift"와 "move"는 비트 연산자이지만 이 둘은 이항 연산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C언어의 FOR문, COBOL 언어의 PERFORM 문에 해당하는 것은?

  1. 반복문
  2. 종료문
  3. 입출력문
  4. 선언문
(정답률: 58%)
  • 반복문은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일정한 코드 블록을 반복적으로 실행하는 제어문이다. FOR문은 C언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반복문으로, 초기값, 조건식, 증감식을 이용하여 반복 횟수를 제어한다. PERFORM 문은 COBOL 언어에서 사용되는 반복문으로,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일정한 코드 블록을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따라서 FOR문과 PERFORM 문은 모두 반복문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C언어에서 문자열 입력시 사용하는 함수는?

  1. gets()
  2. getchar()
  3. puts()
  4. putchar()
(정답률: 75%)
  • 정답은 "gets()"입니다.

    "gets()" 함수는 문자열을 입력받는 함수로,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열을 문자 배열에 저장합니다. 이 함수는 입력받을 문자열의 길이를 미리 지정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입력받을 문자열의 길이가 가변적인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그러나 이 함수는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와 같은 보안 취약점을 가지고 있어서, 최근의 C언어 버전에서는 사용이 권장되지 않습니다. 대신 "fgets()"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프로그래밍 언어의 해독 순서는?

  1. 컴파일러 → 링커 → 로더
  2. 링커 → 컴파일러 → 로더
  3. 로더 → 링커 → 컴파일러
  4. 컴파일러 → 로더 → 링커
(정답률: 86%)
  • 프로그래밍 언어는 컴파일러를 통해 기계어로 번역되어야 실행 가능한 파일이 된다. 이후 링커는 여러 개의 오브젝트 파일을 하나로 합쳐주고, 로더는 실행 파일을 메모리에 로드하여 실행시킨다. 따라서 컴파일러 → 링커 → 로더 순서로 해독이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기억장소로서, 저장되어 있는 값은 프로그램 실행 중에 언제라도 변경될 수 있는 것은?

  1. 상수
  2. 주석
  3. 예약어
  4. 변수
(정답률: 84%)
  • 변수는 프로그램에서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기억장소로서, 저장된 값은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변수는 프로그램 실행 중에 유동적으로 변하는 값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합니다. 상수는 값이 고정되어 변경할 수 없으며, 주석은 프로그램 실행과는 관련이 없는 설명을 담는 것이고, 예약어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미리 정해진 특별한 의미를 가진 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남은 시간과 준비상태 큐에 새로 도착한 프로세스의 실행 시간을 비교하여 가장 짧은 실행 시간을 요구하는 프로세스에게 CPU를 할당하는 스케줄링 기법은?

  1. FIFO
  2. HRN
  3. RR
  4. SRT
(정답률: 67%)
  • SRT는 Shortest Remaining Time의 약자로,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남은 시간과 새로 도착한 프로세스의 실행 시간을 비교하여 가장 짧은 실행 시간을 요구하는 프로세스에게 CPU를 할당하는 스케줄링 기법입니다. 따라서 SRT는 실행 시간이 짧은 프로세스에게 우선적으로 CPU를 할당하여 처리 시간을 최소화하고, 대기 시간을 최대한 줄이는 효과적인 스케줄링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명시적 순서 제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해당 언어에서 각 문장이나 연산의 순서를 프로그래머가 직접 변경
  2. GOTO문이나 반복문을 사용해서 문장의 실행 순서를 변경
  3. 수식의 괄호를 사용해서 연산의 순서를 변경
  4. 수식에서 연산자 우선순위에 의한 수식 계산
(정답률: 70%)
  • 수식에서 연산자 우선순위에 의한 수식 계산은 명시적 순서 제어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프로그래머가 직접 문장의 실행 순서를 변경하지 않고, 수식 내에서 연산자의 우선순위에 따라 계산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2 + 3 * 4"라는 수식에서는 곱셈 연산자가 덧셈 연산자보다 우선순위가 높기 때문에 먼저 3 * 4가 계산되고, 그 결과에 2가 더해져서 최종적으로 14가 나오게 된다. 이러한 계산 순서는 프로그래머가 직접 변경할 수 없으며, 수식 내에서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계산이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C언어의 변환 문자 형식 중 인수를 16진수 정수로 변환하는 것은?

  1. %d
  2. %x
  3. %c
  4. %f
(정답률: 48%)
  • "%x"는 인수를 16진수 정수로 변환하는 변환 문자 형식이다. 이는 주로 메모리 주소나 비트 연산 결과를 출력할 때 사용된다. "%d"는 인수를 10진수 정수로 변환하는 변환 문자 형식이고, "%c"는 인수를 문자로 변환하는 변환 문자 형식이다. "%f"는 인수를 부동 소수점 수로 변환하는 변환 문자 형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고급 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람 중심의 언어이다.
  2. COBOL은 고급 언어에 해당한다.
  3. 고급 언어는 번역 과정 없이 직접 실행 가능하다.
  4. 상이한 기계에서 별다른 수정 없이 실행 가능하다.
(정답률: 58%)
  • 고급 언어는 번역 과정 없이 직접 실행 가능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고급 언어는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를 통해 기계어로 번역되어야 실행 가능하다. 이는 고급 언어가 기계어보다 사람이 이해하기 쉽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기 위한 대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C언어의 기억 클래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내부 변수(internal variable)
  2. 자동 변수(automatic variable)
  3. 레지스터 변수(register variable)
  4. 정적 변수(static variable)
(정답률: 54%)
  • 내부 변수(internal variable)는 C언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기억 클래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교착상태의 해결 방법 중 자원 할당 그래프와 가장 연관되는 것은?

  1. Prevention
  2. Avoidance
  3. Recovery
  4. Detection
(정답률: 54%)
  • 교착상태의 해결 방법 중 자원 할당 그래프는 Detection과 가장 연관이 있다. 자원 할당 그래프는 시스템 내 자원의 할당 상태를 그래프로 표현하여 교착상태를 예방하고, 교착상태가 발생하면 Detection을 통해 교착상태를 감지하고 해결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자원 할당 그래프는 교착상태 Detection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C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식성이 높은 언어이다.
  2. 많은 데이터형과 풍부한 연산자를 가지고 있다.
  3.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4. 융통성을 중시하는 인터프리터 언어이다.
(정답률: 71%)
  • C언어는 컴파일러 언어이며, 인터프리터 언어가 아니다. 인터프리터 언어는 코드를 한 줄씩 해석하며 실행하는 반면, C언어는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여 기계어로 변환한 후 실행한다. 따라서 "융통성을 중시하는 인터프리터 언어이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작성된 표현식이 BNF의 정의에 의해 바르게 작성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만든 트리로서, 루트, 중간, 단말노드로 구성되는 것은?

  1. 구조트리
  2. 중간트리
  3. 파스트리
  4. 정의트리
(정답률: 87%)
  • 파스트리는 BNF 표현식을 트리 구조로 나타낸 것으로, 루트 노드는 표현식의 시작 심볼을 나타내고, 중간 노드는 표현식의 규칙을 나타내며, 단말 노드는 터미널 심볼을 나타낸다. 따라서 파스트리는 BNF의 정의에 따라 바르게 작성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구조적인 트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요소가 아닌 것은?

  1. 비용
  2. 반환 시간
  3. 신뢰도
  4. 처리 능력
(정답률: 68%)
  •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 요소는 주로 시스템의 처리 능력, 반환 시간, 신뢰도 등과 관련된 것들이다. 하지만 비용은 성능 평가 요소가 아니다. 비용은 시스템을 구축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자원과 노력에 대한 것으로,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비용은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 요소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가상기억장치 관리에서 너무 자주 페이지 교체가 일어나서 시스템의 심각한 성능저하를 초래하는 현상은?

  1. locality
  2. segmentation
  3. thrashing
  4. working set
(정답률: 63%)
  • "thrashing"은 가상기억장치에서 너무 자주 페이지 교체가 일어나서 시스템의 심각한 성능저하를 초래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프로세스가 필요로 하는 페이지를 찾기 위해 계속해서 페이지 교체를 하면서 시스템 자원을 낭비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프로세스의 지역성(locality)이 떨어지거나, 작업 집합(working set) 크기가 너무 작아서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통신 개론

61. LAN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음성, 데이터 및 화상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2. LAN 프로토콜은 OSI 참조모델의 상위계층에 해당된다.
  3. 전송방식으로 베이스밴드와 브로드밴드 방식이 있다.
  4. 광케이블 및 동축케이블의 사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64%)
  • "LAN 프로토콜은 OSI 참조모델의 상위계층에 해당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LAN 프로토콜은 OSI 참조모델의 하위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과 물리 계층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조하는 방식은?

  1. ASK
  2. PSK
  3. FSK
  4. QAM
(정답률: 77%)
  • QAM은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약자로,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조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두 개의 직교하는 캐리어 신호를 사용하여 진폭과 위상을 각각 변조하고, 이를 결합하여 하나의 신호로 만든다. 따라서 QAM은 다른 방식인 ASK, PSK, FSK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중화(Multiplexing)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FDM
  2. TDM
  3. WDM
  4. QDM
(정답률: 56%)
  • 다중화 방식은 여러 개의 신호를 하나의 통로로 전송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FDM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 TDM은 시간 분할 다중화, WDM은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입니다. 하지만 QDM은 존재하지 않는 방식이기 때문에 다중화 방식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TCP/IP 프로토콜 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Network Access Layer
  2. Data Link Layer
  3. Physical Layer
  4. Transport Layer
(정답률: 27%)
  • TCP/IP 프로토콜 구조에서는 "Data Link Layer"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대신, "Network Access Layer"가 존재하며, 이는 OSI 모델에서의 "Data Link Layer"와 유사한 역할을 합니다. "Physical Layer"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적인 매체를 다루고, "Transport Layer"는 데이터의 전송을 관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회선 제어 방식 중 주 스테이션이 특정한 부 스테이션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1. Selection 방식
  2. Polliing 방식
  3. Content 방식
  4. Trigger 방식
(정답률: 48%)
  • Selection 방식은 주 스테이션이 특정한 부 스테이션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주 스테이션이 부 스테이션을 선택하고, 선택된 부 스테이션에게만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 시간이 짧고, 효율적인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Selection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점대점 링크를 통하여 인터넷 접속에 사용되는 IETF의 표준 프로토콜은?

  1. SLIP
  2. LLC
  3. HDLC
  4. PPP
(정답률: 71%)
  • PPP는 Point-to-Point Protocol의 약자로, 점대점 링크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PPP는 SLIP과 비교하여 더 안정적이고 기능이 향상되어 있으며, 다양한 인증 방식과 암호화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PPP가 인터넷 접속에 사용되는 IETF의 표준 프로토콜로 선택되었습니다. LLC와 HDLC는 LAN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PPP와는 다른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패킷교환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교환기에서 패킷을 일시 저장 후 전송하는 축적교환기술이다.
  2. 패킷처리 방식에 따라 데이터그램과 가상회선 방식이 있다.
  3. X.25는 패킷형단말기와 패킷망간의 접속 프로토콜이다.
  4. X.27는 비패킷형단말과 PAD간의 접속 프로토콜이다.
(정답률: 71%)
  • 정답은 "X.27는 비패킷형단말과 PAD간의 접속 프로토콜이다." 이다. X.27은 패킷 교환 방식과는 관련이 없는 프로토콜로, 비패킷형 단말과 PAD(Packet Assembler/Disassembler) 간의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통신제어장치(CCU)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신호의 변환
  2. 문자의 조립 및 분해
  3. 회선감시 및 접속제어
  4. 전송제어
(정답률: 32%)
  • "신호의 변환"은 CCU의 기능 중 하나로, 다양한 통신망 간에 전송되는 신호를 서로 호환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가 아닌 것은?

  1. Syntax
  2. Semantics
  3. Timing
  4. Message
(정답률: 76%)
  •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는 문법(Syntax), 의미론(Semantics), 시간(Timing)이다. 메시지(Message)는 프로토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내는 요소이지만, 기본 요소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전송속도가 9600[bps]인 데이터를 8진 PSK로 변조하여 전송할 때 변조속도는 몇 [baud]인가?

  1. 1600
  2. 2400
  3. 3200
  4. 4800
(정답률: 56%)
  • 8진 PSK에서는 3개의 비트를 1개의 심볼로 표현하므로, 변조속도는 9600/3 = 3200 [bau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HDLC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정보 프레임
  2. 감독 프레임
  3. 무번호 프레임
  4. 제어 프레임
(정답률: 40%)
  • HDLC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의 종류는 "정보 프레임", "감독 프레임", "무번호 프레임"이다. "제어 프레임"은 HDLC에서 사용되지 않는 프레임 종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ARQ(Automatic Repeat reQuest)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Stop and Wait ARQ
  2. Selective Repeat ARQ
  3. Receive Ready ARQ
  4. Go back N ARQ
(정답률: 54%)
  • Receive Ready ARQ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ARQ 방식입니다. 따라서 ARQ 방식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Stop and Wait ARQ는 전송된 패킷에 대한 확인 응답을 받을 때까지 다음 패킷을 보내지 않는 방식입니다. Selective Repeat ARQ는 손상된 패킷만 재전송하는 방식입니다. Go back N ARQ는 손상된 패킷 이후의 모든 패킷을 재전송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OSI 7계층 중 종단 간 메시지 전달 서비스를 담당하는 계층은?

  1. Physical Layer
  2. Data Link Layer
  3. Receive Layer
  4. Transport Layer
(정답률: 71%)
  • Transport Layer는 종단 간 메시지 전달 서비스를 담당하는 계층으로, 데이터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보장합니다. 이 계층은 데이터를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각 세그먼트에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전송 중 손실이나 중복을 방지하며, 수신 측에서는 이를 재조립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합니다. 따라서 종단 간 메시지 전달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므로 Transport Layer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데이터 전송에서 오류 검출 기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Parity Check
  2. Packet Check
  3. Block Sum Check
  4. Cyclic Redundancy Check
(정답률: 47%)
  • Packet Check은 데이터 전송에서 오류 검출 기법이 아닙니다. Packet Check는 패킷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기법으로, 패킷의 크기, 헤더 정보, 체크섬 등을 검사하여 패킷의 손상 여부를 판단합니다. 하지만, 이는 오류 검출 기법이 아닌 패킷의 유효성 검사 방법입니다. 따라서, Packet Check는 이 문제에서 오류 검출 기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프로토콜(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스템 간 정확하고 효율적인 정보전송을 위한 일련의 절차나 규범의 집합이다.
  2.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3. 자체적으로 오류를 정정하는 오류제어방식이다.
  4. 통신회선 및 채널 등의 정보를 운반하는 매체를 모델화한 것이다.
(정답률: 62%)
  • 시스템 간 정확하고 효율적인 정보전송을 위한 일련의 절차나 규범의 집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LAN에서 데이터의 충돌을 막기 위해 송신 데이터가 없을 때에만 데이터를 송신하고, 다른 장비가 송신 중 일 때에는 송신을 중단하며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대기하였다가 다시 송신하는 방식은?

  1. TOKEN BUS
  2. TOKEN RING
  3. CSMA/CD
  4. CDMA
(정답률: 77%)
  • 이 방식은 CSMA/CD 방식이다. CSMA/CD는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의 약자로, 충돌을 감지하고 충돌이 발생한 경우 일정 시간 동안 대기한 후 다시 송신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다른 장비가 송신 중일 때에는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송신을 중단하고 대기하게 된다. 이 방식은 LAN에서 데이터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LAN의 네트워크 토플로지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트리형
  2. 버스형
  3. 링형
  4. 교환형
(정답률: 85%)
  • 교환형은 LAN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종류 중 하나가 아니라, 스위치나 라우터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의 종류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따라서 정답은 "교환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비동기 전송모드(AT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TM은 B-ISBN의 핵심 기술이다.
  2. Header는 5Byte, Payload는 48Byte이다.
  3. 정보는 셀(Cell) 단위로 나누어 전송된다.
  4. 저속 메시지 통신망에 적합하다.
(정답률: 53%)
  • ATM은 저속 메시지 통신망에 적합하지 않다. 오히려 고속 대역폭을 필요로 하는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 이는 ATM이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며,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LAN을 구성하는 매체로서 광섬유 케이블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광대역, 저 손실 및 잡음에 강하다.
  2. 동축케이블에 비해 감쇠 현상이 크다.
  3. 성형 및 링형의 형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4. 전자기적인 전자파의 간섭이 없다.
(정답률: 57%)
  • "동축케이블에 비해 감쇠 현상이 크다."가 틀린 것이다. 광섬유 케이블은 전자기적인 전자파의 간섭이 없고, 광대역, 저 손실 및 잡음에 강하며, 성형 및 링형의 형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광섬유 케이블은 전기적인 신호가 아닌 광신호를 전달하기 때문에 감쇠 현상이 거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PCM(Pulse Code Modulation) 방식의 구성 절차로 옳은 것은?

  1. 양자화 → 부호화 → 표본화 → 복호화
  2.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 복호화
  3. 표본화 → 부호화 → 양자화 → 복호화
  4. 양자화 → 표본화 → 복호화 → 부호화
(정답률: 84%)
  • PCM 방식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 중 하나로, 다음과 같은 구성 절차를 따른다.

    1. 표본화(Sampling):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2. 양자화(Quantization): 샘플링된 디지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근사값으로 변환한다.
    3. 부호화(Encoding): 양자화된 디지털 신호를 이진수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4. 복호화(Decoding): 저장된 이진수를 다시 양자화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복원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따라서, 옳은 구성 절차는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 복호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