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9-15)

사무자동화산업기사
(2012-09-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사무자동화 시스템

1. 다음 중 사무자동화의 생산성 평가기준 항목들로 적합한 것은?

  1. 신속성, 확실성, 가치성
  2. 다양성, 안전성, 연계성
  3. 가치성, 연계성, 기록성
  4. 효율성, 유효성, 창조성
(정답률: 59%)
  • 사무자동화의 생산성 평가기준 항목으로 적합한 것은 "효율성, 유효성, 창조성"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 효율성: 사무자동화는 업무를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사무자동화의 생산성 평가에서는 효율성이 중요한 평가기준이 됩니다.
    - 유효성: 사무자동화가 제공하는 기능이 실제로 업무에 유효하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를 평가하는 항목으로 유효성이 있습니다.
    - 창조성: 사무자동화는 업무를 자동화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새로운 아이디어나 창의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사무자동화의 생산성 평가에서는 창조성도 중요한 평가기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안전이나 법적인 이유로 한 번 기록된 후에는 변경해서는 안 될 자료 즉, 은행이나 중개소의 거래내역 등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CD-ROM
  2. WORM 디스크
  3. 소거 광디스크
  4. 플로피 디스켓
(정답률: 76%)
  • WORM 디스크는 Write Once Read Many의 약자로, 한 번 기록된 후에는 변경이 불가능한 디스크이기 때문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CD-ROM은 기록 후에도 삭제가 가능하므로 안전하지 않습니다. 소거 광디스크는 기록 후에도 삭제가 가능하며, 플로피 디스켓은 저장 용량이 작아서 대용량 자료를 보관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사무자동화를 추진하는데 있어 먼저 적용할 특정 부문을 선정하여 사무자동화를 추진해가는 접근 방식은?

  1. 공통과제형 접근방식
  2. 계층적 접근방식
  3. 부분 전개 접근방식
  4. 업무별 접근방식
(정답률: 69%)
  • 부분 전개 접근방식은 사무자동화를 추진할 때 전체적인 시스템을 한 번에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부문을 선정하여 그 부문에 대한 자동화를 먼저 추진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전체적인 시스템 도입에 비해 비용과 시간이 적게 들어가며, 성공적으로 자동화를 구현한 후 다른 부문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무자동화를 추진하는데 있어 부분 전개 접근방식이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통신판매중개자가 자신의 정보처리시스템을 통하여 처리한 기록 중 대금결제에 관한 기록의 보존 기준은?

  1. 6월
  2. 1년
  3. 3년
  4. 5년
(정답률: 74%)
  • 통신판매중개자는 대금결제에 관한 기록을 보존해야 하며, 이는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한 바에 따라 5년간 보존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 기록은 5년간 보관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CATV의 기본적인 구성과 거리가 먼 것은?

  1. 헤드엔드(Head-End)
  2. 서비스 분배 전송로
  3. 가입자 단말기
  4. 회선 교환 데이터망
(정답률: 48%)
  • CATV의 기본적인 구성은 헤드엔드(Head-End), 서비스 분배 전송로, 가입자 단말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 거리가 먼 것은 회선 교환 데이터망입니다. 이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ISP)와 같은 데이터 통신망으로, CATV와는 별개의 시스템입니다. 회선 교환 데이터망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며, CATV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기억장치의 접근속도가 1㎲이고, 데이터 워드가 32비트일 때 대역폭은?

  1. 8M[bit/sec]
  2. 16M[bit/sec]
  3. 32M[bit/sec]
  4. 64M[bit/sec]
(정답률: 61%)
  • 대역폭은 초당 전송 가능한 데이터 양을 의미합니다. 데이터 워드가 32비트이므로 1초에 전송 가능한 데이터 양은 1,000,000개입니다. 따라서 1초에 전송 가능한 데이터 양을 비트 단위로 환산하면 32M[bit/sec]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문자와 그림 정보를 미리 도트 형태로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비디오텍스 방식은?

  1. 간접 도트 전송 방식
  2. 알파 모자이크 방식
  3. 알파 지오메트릭 방식
  4. 알파 포토그래픽 방식
(정답률: 56%)
  • 알파 포토그래픽 방식은 문자와 그림 정보를 미리 도트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비디오텍스 방식 중 하나입니다. 이 방식은 이미지의 해상도를 높이고, 전송 시간을 단축시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에서 사무자동화 정의와 관계없는 사람은?

  1. Michael D.Zisman
  2. Vincent Lum
  3. Hammer Sibru
  4. Wilson magnus
(정답률: 69%)
  • Wilson Magnus는 사무자동화와 관련이 없는 사람으로, 나머지 세 명은 모두 사무자동화와 관련된 인물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CRT 디스플레이와 비교 시 액정디스플레이(LCD)의 장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시야각이 넓다.
  2. 소비 전력이 적다.
  3. 유해 전자파가 적다.
  4. 표시판이 얇고 경량이다.
(정답률: 69%)
  • 액정디스플레이(LCD)는 시야각이 넓어서 화면을 보는 각도가 크게 변해도 색상이나 명암이 거의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CRT 디스플레이는 시야각이 좁아서 화면을 보는 각도가 변하면 색상이나 명암이 변하는 경우가 많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데이터베이스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객체를 나타내는 용어는?

  1. 속성(Attribute)
  2. 관계(Relationship)
  3. 엔티티(Entity)
  4. 식별기(Identifier)
(정답률: 50%)
  • 엔티티(Entity)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객체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예를 들어, 고객, 주문, 제품 등이 엔티티가 될 수 있습니다. 엔티티는 속성(Attribute)과 관계(Relationship)를 가지며,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서 객체를 표현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엔티티는 식별기(Identifier)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각각의 엔티티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하나의 객체 연결 및 포함 맞춤형 컨트롤로, 마이크로 소프트 윈도우에서 수행되는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되기 위해 만들어 질 수 있는 특수 목적 프로그램은?

  1. OCX
  2. DLL
  3. SPSS
  4. OCS
(정답률: 46%)
  • OCX는 ActiveX 컨트롤의 일종으로, 하나의 객체 연결 및 포함 맞춤형 컨트롤로, 마이크로 소프트 윈도우에서 수행되는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되기 위해 만들어진 특수 목적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OCX는 윈도우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컨트롤을 개발할 때 사용됩니다. DLL은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 SPSS는 통계 분석 소프트웨어, OCS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주기억장치와 CPU의 속도차이를 줄여 처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기억용량은 적으나 속도가 매우 빠른 것은?

  1. ROM
  2. HDD
  3. Cache
  4. Channel
(정답률: 85%)
  • Cache는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CPU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두는 고속 기억장치입니다. 이를 통해 CPU가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 주기억장치에 접근하는 시간을 줄여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Cache는 주기억장치와 CPU의 속도차이를 줄여 처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컴퓨터 통신망의 표준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개발된, 일련의 LAN 접속 방법 및 프로토콜 표준들을 지칭하는 것과 관련 있는 것은?

  1. IEEE 802
  2. IEEE 1394
  3. IEEE 754
  4. ANSI
(정답률: 58%)
  • IEEE 802는 컴퓨터 통신망의 표준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개발된, 일련의 LAN 접속 방법 및 프로토콜 표준들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와 관련된 것은 IEEE 802입니다. IEEE 1394는 FireWire라는 컴퓨터 주변기기 연결 인터페이스 표준을 지칭하며, IEEE 754는 부동 소수점 연산 표준을 지칭합니다. ANSI는 미국 국가 표준 협회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표준화를 추진하는 조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IP주소 할당 방법의 하나로 한정된 IP주소의 낭비를 방지하고 라우터의 처리 부하를 경감시킬 목적으로 개발된 것은?

  1. CIDR
  2. IPv6
  3. DNS서버
  4. 라우터
(정답률: 36%)
  • CIDR은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의 약자로, 기존의 IP주소 할당 방식에서 클래스를 사용하지 않고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여 IP주소를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한정된 IP주소의 낭비를 방지하고 라우터의 처리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CIDR이 IP주소 할당 방법의 하나로 개발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MPEG 표준 중 비디오 표준 분류를 위한 것은?

  1. MPEG-A
  2. MPEG-B
  3. MPEG-C
  4. MPEG-D
(정답률: 48%)
  • MPEG-C는 비디오 표준 분류를 위한 것으로, MPEG-A는 오디오 표준 분류를 위한 것이고, MPEG-B는 데이터 표준 분류를 위한 것이며, MPEG-D는 3D 그래픽 및 실시간 서비스 표준 분류를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MPEG-C는 비디오 표준을 다루는 것으로, 이 중에서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문서이미지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발전된 그룹웨어는?

  1. 전자우편 메시징
  2. 워크플로우
  3. 전자회의
  4. 커뮤니케이션
(정답률: 70%)
  • 문서이미지 관리시스템은 문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며, 이를 기반으로 발전된 그룹웨어 중 워크플로우는 문서의 작성, 검토, 승인 등의 과정을 자동화하여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워크플로우는 문서이미지 관리시스템과 함께 사용되어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관리하는데 유용한 그룹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사무자동화 도입단계 중 가장 먼저 추진되어야 할 것은?

  1. 목표와 방침 설정
  2. 추진체제의 확립
  3. 업무의 분석
  4. 업무개선과 기기의 도입
(정답률: 57%)
  • 사무자동화를 도입하기 전에는 목표와 방침을 설정해야 합니다. 이는 사무자동화를 도입하는 이유와 목적을 명확히 하고, 그에 따른 전략과 계획을 수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목표와 방침을 설정하지 않고 업무분석이나 추진체제의 확립, 업무개선과 기기의 도입을 진행하면, 도입 결과가 명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비효율적인 자원낭비와 시간낭비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목표와 방침 설정은 사무자동화 도입의 첫 단계이며, 이를 통해 효율적인 사무자동화 도입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사무자동화 기기의 선정, 도입시 고려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워드프로세서, 퍼스널 컴퓨터 등의 기기를 최우선적으로 도입
  2. 가격이 저렴하고 효과가 큰 기기부터 도입
  3. 기기사용에 대한 두려움과 부담감을 주지 않는 기기의 선정
  4. 업무의 가시적 효과를 크게 주는 기기의 선정
(정답률: 61%)
  • 워드프로세서와 퍼스널 컴퓨터는 이미 많은 기업에서 보급되어 있고,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업무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기기이기 때문에 최우선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중요한 고려 사항이지만, 이들은 이미 많은 기업에서 보급되어 있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EC)의 효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잠재고객의 확보와 물리적 제약 극복
  2. 소비자의 다양한 정보와 선택의 다양화
  3. 완벽한 기밀성과 익명성의 보장
  4. 구매자의 비용절감
(정답률: 65%)
  •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EC)의 효과로 옳지 않은 것은 "완벽한 기밀성과 익명성의 보장"입니다. 이는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에서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밀성과 익명성을 보장하기 위해 보안 시스템을 강화하고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법적 규제를 강화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전자상거래 암호화 기법 중 DE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한민국에서 개발한 블록 암호 방식이다.
  2. 평문을 64비트로 나눠 56비트의 키를 이용한다.
  3. 키의 크기로 128, 160, 192, 224 등 128비트 이상의 모든 32의 배수 비트를 사용할 수 있다.
  4. 공개키와 개인키를 세트로 만들어 암호화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46%)
  • DES는 평문을 64비트 블록으로 나누어 56비트의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하는 대칭키 암호화 기법이다. 이유는 64비트 블록을 사용하는 이유는 이전에 사용되던 56비트 블록보다 더 안전하고 강력한 암호화를 위해서이며, 56비트의 키를 사용하는 이유는 8비트씩 7개의 비트를 사용하여 총 56비트의 키를 만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무경영관리 개론

21. 과학적 사무관리의 목표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인원의 감축
  2. 생산성 중대
  3. 사무작업의 능률 향상
  4. 사무비용의 절감
(정답률: 85%)
  • 과학적 사무관리의 목표는 사무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고, 사무비용을 절감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인원의 감축"은 이 목표와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인원의 감축은 조직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업무 처리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과학적 사무관리에서는 인원의 감축보다는 다른 방법을 통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사무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무작업시 감독자는 전방에 위치하여 감독하되 사무원은 동일 방향으로 배치한다.
  2. 사무실에서 직선적 배치는 작업경로 단순화 및 처리시간의 단축을 가져 온다.
  3. 건물의 구입은 장래 예측을 위해 준비하는 것보다는 현재의 요구에 충실해야 한다.
  4. 사무실 배치에는 채광, 소음, 난방 등을 고려하고 전기 배선이나 수도 관리선 등은 고려하지 않는다.
(정답률: 55%)
  • 사무작업시 직선적 배치는 작업경로를 단순화하고 처리시간을 단축시키기 때문에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사무작업의 표준시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가장 빨리 일할 수 있는 작업시간
  2. 정규 작업시간에 여유시간을 더한 것
  3. 최대시간으로 최대의 효과를 내는 시간
  4. 종업원의 작업 능력에 따른 평균시간
(정답률: 59%)
  • 사무작업의 표준시간은 정규 작업시간에 여유시간을 더한 것입니다. 이는 일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예측하고, 일정을 계획하는 데 사용됩니다. 여유시간은 예상치 못한 상황이나 문제가 발생했을 때 대처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사무작업의 표준시간은 일정을 보다 정확하게 계획하고, 일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EDI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1. EDI는 주로 일반소비자와의 거래에 이용된다.
  2. 송신측에서는 문서발송 비용이 증가된다.
  3. EDI는 거래서식을 표준양식에 맞추어 거래하는 방식이다.
  4. 수신측에서는 문서 재입력 비용이 증가된다.
(정답률: 67%)
  • EDI는 Electronic Data Interchange의 약자로, 전자적인 방식으로 비즈니스 문서를 교환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 방식은 거래서식을 표준양식에 맞추어 거래하는 방식으로, 문서 재입력 비용을 줄이고 효율적인 거래를 가능하게 한다. 주로 기업간의 거래에서 이용되며, 일반소비자와의 거래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송신측에서는 문서발송 비용이 감소하고, 수신측에서는 문서 재입력 비용이 감소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어준다. 따라서, "EDI는 거래서식을 표준양식에 맞추어 거래하는 방식이다."가 가장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업무관리시스템의 구성 및 운영시 문서관리카드에 포함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기안 내용
  2. 의사 결정 과정에서 제기된 의견
  3. 의사 결정시 참석자
  4. 의사 결정 내용
(정답률: 52%)
  • 업무관리시스템의 구성 및 운영시 문서관리카드에 포함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의사 결정시 참석자"입니다. 이는 문서관리카드가 문서의 내용과 결정과정을 기록하는 것이기 때문에, 참석자 명단은 해당 문서의 내용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사무관리의 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연결기능(결합기능)
  2. 설계기능
  3. 관리기능(보조기능)
  4. 정보기능
(정답률: 78%)
  • 사무관리의 기능 중에서 설계기능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사무관리의 주요 기능은 연결기능(결합기능), 관리기능(보조기능), 정보기능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각각 업무의 연결, 조직의 관리, 정보의 수집 및 분석 등을 담당합니다. 반면에 설계기능은 보다 전문적인 분야에서 필요한 기능으로, 사무관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따라서, 설계기능은 사무관리의 기능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문서정리 보존의 일반 원칙과 관계없는 것은?

  1. 보존할 문서는 가능한 한 줄인다.
  2. 규정에 의거 보존문서의 정리 및 폐기를 자주 한다.
  3. 문서보존규정을 제정하고 이를 준수한다.
  4. 훼손되어 활용이 불가능한 문서도 영구보존해야 한다.
(정답률: 87%)
  • "훼손되어 활용이 불가능한 문서도 영구보존해야 한다."는 일반적인 원칙과는 관계없는 것이다. 이유는 보존의 목적은 정보를 영구적으로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함이기 때문에, 훼손된 문서는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므로 보존의 대상이 아니다. 따라서, 훼손된 문서는 폐기되거나 복원이 가능한 경우 복원 후 보존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암호화 등의 문서 발신방법을 지정한 경우의 조치로 옳은 것은?

  1. 문서 두문의 마지막에 “암호” 등으로 발신할 방법을 표시
  2. 문서 본문의 마지막에 “암호” 등으로 발신할 방법을 표시
  3. 문서 두문의 시작에 “암호” 등으로 발신할 방법을 표시
  4. 문서 본문의 시작에 “암호” 등으로 발신할 방법을 표시
(정답률: 49%)
  • 문서 발신방법을 지정한 경우, 발신 방법을 표시하는 위치는 문서 본문의 마지막이다. 이는 발신자가 문서의 내용을 먼저 확인하고 발신 방법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문서 본문의 마지막에 “암호” 등으로 발신할 방법을 표시"가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사무관리자의 역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무관리 조직
  2. 사무작업 계획
  3. 사무작업 통제
  4. 사무작업 연결
(정답률: 67%)
  • 사무관리자의 역할은 사무작업을 조직하고 계획하며, 효율적으로 통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사무작업 연결은 사무작업을 통합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사무관리자의 역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공동저작물의 저작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는 경우는?

  1. 저작재산권자 일부의 합의
  2. 저작재산권자 전원의 합의
  3. 저작재산권자 1/3의 합의
  4. 저작재산권자 2/3의 합의
(정답률: 65%)
  • 공동저작물의 경우, 모든 저작재산권자가 합의를 이루어야만 저작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작재산권자 전원의 합의"가 정답입니다. 일부 저작재산권자의 합의만으로는 다른 저작재산권자의 권리를 침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3 또는 2/3의 합의도 마찬가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사무계획의 필요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목표의 설정
  2. 예산의 효과적 사용
  3. 최신의 사무기기 사용
  4. 사무의 우선순위 결정
(정답률: 68%)
  • 최신의 사무기기 사용은 사무계획의 필요성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사무계획은 목표의 설정, 예산의 효과적 사용, 사무의 우선순위 결정 등과 같은 중요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기업의 업무를 계획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최신의 사무기기 사용은 사무계획의 필요성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사무의 기능별 사무분류 중 경영자나 간부직원이 담당하는 결제, 관리자나 관리스탭이 수행하는 계획, 입안, 견적, 통제, 조사, 감사 등과 같이 전문적인 지식 및 경험을 요구하는 사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판단사무
  2. 작업사무
  3. 서기사무
  4. 잡무
(정답률: 71%)
  • 정답: "판단사무"

    판단사무는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요구되는 사무로, 경영자나 간부직원이 담당하는 결제, 관리자나 관리스탭이 수행하는 계획, 입안, 견적, 통제, 조사, 감사 등과 같은 업무를 말한다. 이에 반해 작업사무는 단순한 업무를 수행하는 사무, 서기사무는 서류 작성 및 관리를 담당하는 사무, 잡무는 일상적인 사무를 처리하는 사무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사무조직의 형태 중 라인조직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전문화의 결여
  2. 단순하고 이해하기 쉬움
  3. 결정과 집행의 신속
  4. 책임소재의 명확
(정답률: 67%)
  • 라인조직의 장점 중 "전문화의 결여"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단순하고 이해하기 쉬우며 결정과 집행이 신속하며 책임소재가 명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문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조직에서는 라인조직이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사무조직을 계획하는데 있어서 사무작업 분산화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무작업자의 사기 저하를 방지 할 수 있다.
  2. 비밀을 요하는 사무작업을 독립된 부서에서 처리 가능하다.
  3. 작업시간, 거리, 운반 등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4. 사무작업자의 지휘 감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정답률: 63%)
  • 사무작업 분산화는 작업자들에게 더 많은 자유와 책임감을 부여하므로 사기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비밀을 요하는 작업을 독립된 부서에서 처리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 거리, 운반 등의 간격을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인 업무처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사무작업자의 지휘 감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다. 사무작업 분산화는 작업자들에게 더 많은 자유와 책임감을 부여하므로 지휘 감독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전자문서에 의한 통지 등을 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을 정할 때 반영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국회 규칙
  2. 대법원 규칙
  3. 헌법재판소 규칙
  4. 국무회의 규칙
(정답률: 75%)
  • 전자문서에 의한 통지 등을 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을 정할 때 반영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국무회의 규칙"이다. 이는 국무회의 규칙이 전자문서에 관한 규정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규칙들은 전자문서에 관한 규정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필요한 사항을 반영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문서의 내용을 둘 이상의 항목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는 때에 첫째항목(가장 상위항목)의 구분으로 옳은 것은?

  1. 1., 2., 3., 4., ... 로 나누어 표시한다.
  2. 가., 나., 다., 라., ... 로 나누어 표시한다.
  3. 1), 2), 3), 4) ... 로 나누어 표시한다.
  4. (1), (2), (3), (4) ... 로 나누어 표시한다.
(정답률: 63%)
  • 문서의 내용을 둘 이상의 항목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는 경우, 첫째 항목은 가장 상위 항목이므로 이를 숫자로 표시하는 것이 가장 명확하고 구분하기 쉬운 방법이다. 따라서 "1., 2., 3., 4., ... 로 나누어 표시한다."가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사업주가 근로자의 안전한 통행을 위해 통로에 시설해야 하는 조명 기준은?

  1. 50럭스 이상의 조명
  2. 75럭스 이상의 조명
  3. 90럭스 이상의 조명
  4. 150럭스 이상의 조명
(정답률: 63%)
  • 근로자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필요한 최소한의 조명량은 50럭스 이상이지만, 보다 안전한 조건을 제공하기 위해 75럭스 이상의 조명이 필요하다. 이는 근로자가 작업 중에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고, 위험한 상황을 미리 파악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90럭스 이상의 조명은 더욱 안전한 조건을 제공하지만, 75럭스 이상의 조명이 이미 충분한 안전성을 보장하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90럭스 이상의 조명은 필요하지 않다. 150럭스 이상의 조명은 필요하지 않으며, 오히려 눈의 피로를 유발하여 근로자의 안전성을 저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사무개선의 목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용이성
  2. 신속성
  3. 다양성
  4. 경제성
(정답률: 57%)
  • 사무개선의 목표는 효율적인 업무 처리를 위한 것이므로, 다양성은 이와 관련이 없는 요소이다. 다양성은 조직 내 다양한 인적 자원을 활용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사무개선의 목표와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사무환경에서 주위의 색채 조절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색채는 운동성을 지니고 있으며 붉은색은 침체감과 소외감을 느끼게 한다.
  2. 색채는 온도 감각을 지니고 있으며 붉은색은 따뜻한 느낌을 주고 청색은 차가운 느낌을 준다.
  3. 사무기구의 색채 차이가 큰 경우 오래 바라볼 때 피로감을 준다.
  4. 색채는 대조적인 색깔과 비교될 때 더 잘 나타난다.
(정답률: 67%)
  • "색채는 운동성을 지니고 있으며 붉은색은 침체감과 소외감을 느끼게 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다. 색채는 운동성을 지니고 있지 않으며, 붉은색이 침체감과 소외감을 느끼게 하는 것은 개인의 경험과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간단명료한 설명: 색채는 운동성을 지니지 않으며, 붉은색이 침체감과 소외감을 느끼게 하는 것은 개인의 경험과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제품의 설계, 생산에서부터 폐기까지의 모든 과정 (광속상거래)에 정보통신 기반을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기술 및 거래 자료를 교환하고 공유하는 조직간 업무처리 방식은?

  1. E-mail
  2. EC
  3. EDIFACT
  4. CALS
(정답률: 70%)
  • CALS는 "Computer-aided Acquisition and Logistics Support"의 약자로, 제품의 설계, 생산, 유지보수, 폐기까지의 모든 과정에서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자료를 교환하고 공유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따라서, CALS는 제품 생산과 관련된 모든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스템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기술 및 거래 자료를 교환하고 공유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프로그래밍 일반

41. C 언어의 관계연산자를 사용하여 다음 내용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A ~= B
  2. A #= B
  3. A /= B
  4. A != B
(정답률: 83%)
  • 이유는 A와 B가 서로 다른 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는 "같지 않다"는 의미이므로 A와 B가 다른 값을 가지고 있으므로 A != B가 옳은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C 언어에서 사용하는 이스케이프 시퀀스에 대한 의미가 옳지 않은 것은?

  1. \r : carriage return
  2. \t : tab
  3. \n : new title
  4. \b : backspace
(정답률: 63%)
  • 정답은 "\n : new title"이다. 이스케이프 시퀀스 중 "\n"은 "new line"을 의미한다. 따라서 옳지 않은 의미를 가진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주기억장치 배치 전략 중 입력된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 중 가장 큰 공백에 할당하는 전략은?

  1. Large-Fit
  2. Worst-Fit
  3. Best-Fit
  4. First-Fit
(정답률: 61%)
  • Worst-Fit 전략은 입력된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는 가장 큰 공백에 할당하는 전략이다. 이는 다른 전략들과는 달리, 메모리 내 가장 큰 공간을 찾아서 할당하기 때문에, 작은 공간들이 많이 생기는 단편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Worst-Fit 전략은 메모리 공간 활용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C언어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포인터에 의한 번지 연산 등 다양한 연산 기능을 가진다.
  2. 기호 코드(Mnemonic Code)라고도 한다.
  3. UNIX 운영체제를 구성하는 시스템 프로그램이다.
  4. 이식성이 뛰어나 컴퓨터 기종에 관계없이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정답률: 57%)
  • C언어의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 없다. 기호 코드(Mnemonic Code)라고도 하는 이유는 C언어에서 사용되는 문법이 자연어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코드를 읽고 이해하기 쉽고 기억하기 쉽기 때문이다. 이식성이 뛰어나 컴퓨터 기종에 관계없이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는 것은 C언어가 하드웨어와 운영체제에 독립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컴파일 과정 중 원시 프로그램을 하나의 긴 스트링으로 보고 원시 프로그램을 문자 단위로 스캐닝하여 문법적으로 의미 있는 일련의 문자(토큰)들로 분할해 내는 작업은?

  1. 구문분석
  2. 원시분석
  3. 선행처리
  4. 어휘분석
(정답률: 66%)
  • 어휘분석은 원시 프로그램을 문자 단위로 스캐닝하여 문법적으로 의미 있는 일련의 문자(토큰)들로 분할해 내는 작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과정은 프로그램의 구문 분석이나 선행 처리와는 다른 작업이며, 원시 분석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객체지향언어(Object Oriented Programming Language)에서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Object)들을 묶어서 하나의 공통된 특성으로 표현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추상화
  2. 객체
  3. 메시지
  4. 클래스
(정답률: 87%)
  • 클래스는 객체지향언어에서 유사한 객체들을 묶어서 공통된 특성으로 표현하는 추상화의 개념입니다.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이며, 객체의 속성과 메서드를 정의합니다. 따라서 클래스는 객체지향언어에서 가장 기본적인 개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시간 구역성의 예가 아닌 것은?

  1. 순환(looping)
  2. 배열 순회(array traversal)
  3. 부프로그램(subprogram)
  4. 집계(totaling)
(정답률: 50%)
  • 배열 순회(array traversal)는 시간 구역성(time locality)의 예가 아니라 공간 구역성(space locality)의 예입니다. 배열 순회는 배열의 원소를 순서대로 접근하므로, 접근한 원소와 그 다음 원소가 메모리 상에서 인접해 있을 가능성이 높아서 캐시 히트(hit)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이는 공간 구역성의 개념과 일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UNIX 운영체제에서 커널(Kenne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UNIX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2.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3. 하드웨어를 보호하고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한다.
  4. 사용자의 명령어를 인식하여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명령을 수행하는 명령어 해석기이다.
(정답률: 65%)
  • "사용자의 명령어를 인식하여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명령을 수행하는 명령어 해석기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하드웨어를 보호하고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한다. 하지만 사용자의 명령어를 해석하는 것은 셸(Shell)이라는 프로그램이 수행하는 역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목적(Object)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계어로 번역된 프로그램
  2. 기계어로 번역할 수 있는 프로그램
  3. 기계어로 번역되기 전의 프로그램
  4. 기계어를 원시 코드로 바꾸는 프로그램
(정답률: 51%)
  • "기계어로 번역된 프로그램"이 옳은 것은, 프로그램이 컴파일러나 어셈블러 등의 번역기를 통해 기계어로 번역되어 실행 가능한 상태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번역 전이나 번역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번역된 프로그램의 실행 오류를 찾기 위한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1. Debugger
  2. Operating system
  3. Spread sheet program
  4. Linkage Editor
(정답률: 88%)
  • 번역된 프로그램의 실행 오류를 찾기 위한 프로그램은 "Debugger"이다. Debugger는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발생하는 오류를 찾고 수정하는 도구로, 프로그램의 코드를 실행하면서 변수의 값을 추적하고, 스택과 메모리 등의 상태를 확인하여 오류를 찾아낸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실행 오류를 찾기 위해서는 Debugger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부프로그램(subprogram) 사용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시스템 설계시 효율적이다.
  2. 가독성 및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3. 프로그램이 커지므로 기억장소를 많이 필요하게 된다.
  4. 프로그래머는 동일한 프로그램을 한번만 작성해서 필요시 호출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62%)
  • "프로그램이 커지므로 기억장소를 많이 필요하게 된다."는 부프로그램 사용의 특징이 아니라 단점이다. 부프로그램을 사용하면 프로그램의 크기가 작아지고, 재사용성이 높아져서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등의 장점이 있지만, 부프로그램을 호출할 때마다 추가적인 기억장소가 필요하게 된다는 단점도 있다. 이는 부프로그램 호출 시마다 호출된 부프로그램의 지역 변수와 매개 변수 등을 저장하기 위한 스택 메모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이항 연산자 연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AND
  2. XOR
  3. OR
  4. NOT
(정답률: 84%)
  • 이항 연산자는 두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고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자를 말합니다. 따라서 "NOT"은 이항 연산자가 아닌 단항 연산자입니다. "NOT"은 하나의 피연산자를 가지고 그 값의 반대값을 반환하는 연산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C 언어의 함수 중 한 문자 입력 함수는?

  1. getchar( )
  2. gets( )
  3. puts( )
  4. putchar( )
(정답률: 47%)
  • getchar( ) 함수는 표준 입력 스트림(stdin)에서 한 개의 문자를 읽어와 반환하는 함수이다. 따라서 "한 문자 입력 함수" 중에서는 getchar( ) 함수가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작성된 표현식이 BNF의 정의에 의해 바르게 작성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만든 트리는?

  1. 어휘 트리
  2. 파스 트리
  3. 규정 트리
  4. 개발 트리
(정답률: 89%)
  • 파스 트리는 BNF의 정의에 따라 작성된 표현식을 분석하여 구문 구조를 나타내는 트리이다. 따라서 BNF의 정의에 따라 작성된 표현식이 바르게 작성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파스 트리를 만들어 분석할 수 있다. 어휘 트리는 토큰의 종류와 관계된 트리, 규정 트리는 문법 규칙과 관계된 트리, 개발 트리는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사용되는 트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 항목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처리 능력
  2. 반환 시간
  3. 비용
  4. 사용 가능도
(정답률: 69%)
  •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 항목으로 "처리 능력", "반환 시간", "사용 가능도"는 모두 시스템의 성능과 관련된 요소들이다. 그러나 "비용"은 시스템의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요소이다. 따라서 "비용"은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 항목으로는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프로그램 수행 순서의 단계가 옳은 것은?

  1. 목적 프로그램→링커→원시 프로그램→컴파일러→로더→실행
  2. 원시 프로그램→컴파일러→목적 프로그램→링커→로더→실행
  3. 목적 프로그램→컴파일러→원시 프로그램→링커→로더→실행
  4. 원시 프로그램→링커→컴파일러→목적 프로그램→로더→실행
(정답률: 67%)
  • 정답은 "원시 프로그램→컴파일러→목적 프로그램→링커→로더→실행"입니다.

    원시 프로그램은 작성된 소스 코드를 의미하며, 컴파일러는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번역된 기계어 코드는 목적 프로그램이라고 부릅니다.

    목적 프로그램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기계어 코드와 라이브러리 등의 외부 모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목적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형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링커가 필요합니다. 링커는 목적 프로그램에 필요한 외부 모듈을 연결하여 실행 가능한 파일을 생성합니다.

    로더는 실행 가능한 파일을 메모리에 적재하고,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프로그램 수행 순서는 원시 프로그램 → 컴파일러 → 목적 프로그램 → 링커 → 로더 → 실행 순서로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예약어(Reserved Wor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새로운 언어일수록 예약어의 수가 적어진다.
  2. 예약어는 변수 명으로 사용될 수 없다.
  3. 예약어는 오류 회복에 도움을 준다.
  4. 예약어는 컴파일 속도를 향상시킨다.
(정답률: 56%)
  • "새로운 언어일수록 예약어의 수가 적어진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새로운 언어일수록 예약어의 수는 오히려 더 많아질 수 있다. 이는 언어의 기능이 더 다양해지고 복잡해지면서 새로운 예약어가 필요해지기 때문이다.

    예약어는 변수 명으로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은 맞다. 예약어는 이미 언어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사용되는 단어이기 때문에 변수 명으로 사용할 수 없다.

    예약어는 오류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약어를 잘못 사용하거나 잘못 입력했을 때 컴파일러가 오류 메시지를 출력해주므로 프로그래머가 빠르게 오류를 수정할 수 있다.

    예약어는 컴파일 속도를 향상시키지는 않는다. 예약어가 많아지면 오히려 컴파일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이는 컴파일러가 예약어를 인식하고 처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C언어에서 저장 클래스를 명시하지 않은 변수는 기본적으로 어떤 변수로 간주하는가?

  1. AUTO
  2. REGISTER
  3. STATIC
  4. EXTERN
(정답률: 59%)
  • C언어에서 저장 클래스를 명시하지 않은 변수는 기본적으로 "AUTO" 변수로 간주한다. 이는 변수가 함수 내에서 선언되었을 때 자동으로 할당되는 지역 변수를 의미한다. 이 변수는 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생성되며, 함수가 종료될 때 소멸된다. 따라서 이 변수는 함수 내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다른 함수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BNF 심볼 중 택일을 의미하는 것은?

  1. ::=
  2. < >
  3. #
(정답률: 87%)
  • "│"는 BNF에서 선택지를 나타내는 심볼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A ::= B │ C는 A가 B 또는 C 중 하나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는 택일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C언어의 do ~ while 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문의 조건이 거짓인 동안 루프처리를 반복한다.
  2. 문의 조건이 처음부터 거짓일 때도 문을 최소 한번은 실행한다.
  3. 무조건 한 번은 실행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번 실행하는 처리에 사용하면 유용하다.
  4. 문의 맨 마지막에 “;" 이 필요하다.
(정답률: 70%)
  • "문의 조건이 처음부터 거짓일 때도 문을 최소 한번은 실행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do ~ while 문은 먼저 문장을 한 번 실행한 후에 조건을 검사합니다. 따라서 조건이 처음부터 거짓이더라도 한 번은 실행됩니다. 이후에는 조건이 참인 동안 계속해서 반복 실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통신 개론

61. 전진오류 수정방식(FEC)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확한 문장을 수신하면 ACK를 보낸다.
  2. 오류율의 특성을 전혀 모를 때에는 신뢰도가 높다.
  3. 추가되는 비트수가 적으므로 경제적이다.
  4.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정답률: 47%)
  • 전진오류 수정방식(FEC)은 데이터 전송 시 일부 비트가 손실되거나 오류가 발생할 경우, 추가적인 비트를 이용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추가되는 비트수가 적어 경제적이며,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이는 오류 검출 및 수정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문장을 수신하면 ACK를 보내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또한, 오류율의 특성을 전혀 모를 때에도 신뢰도가 높은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프로토콜의 기본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인터페이스(interface)
  2. 구문(syntax)
  3. 의미(semantics)
  4. 타이밍(timing)
(정답률: 55%)
  • 인터페이스는 프로토콜의 기본 구성요소가 아니며, 프로토콜의 구문, 의미, 타이밍을 정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인터페이스는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객체나 모듈이 제공해야 하는 메서드, 속성, 이벤트 등의 명세를 정의하는 것으로, 프로토콜의 구현을 위한 규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프로토콜의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프로토콜은 회선 연결이 직접 또는 간접일 수 있다.
  2. 프로토콜은 표준 또는 비표준 일 수 있다.
  3. 프로토콜은 대칭적 또는 비대칭적 일 수 있다.
  4. 프로토콜은 다중적 또는 집중적 일 수 있다.
(정답률: 55%)
  • 정답: 프로토콜은 다중적 또는 집중적 일 수 있다.

    설명: 프로토콜은 다중적 또는 집중적이 될 수 있습니다. 다중적인 경우에는 하나의 프로토콜이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HTTP 프로토콜은 웹 페이지를 전송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미지, 비디오 등 다양한 미디어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집중적인 경우에는 여러 개의 프로토콜이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함께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CP/IP 프로토콜 스택은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여러 개의 프로토콜을 함께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데이터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전송해 나가다가 NAK를 수신하게 되면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 이후에 전송된 모든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오류제어 방식은?

  1. Go-back-N ARQ
  2. Selective-Repeat ARQ
  3. Stop-and-Wait ARQ
  4. Forward Error Connection
(정답률: 58%)
  • Go-back-N ARQ는 데이터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전송하다가 NAK를 수신하면,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 이후에 전송된 모든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오류제어 방식이다. 이 방식은 전송된 모든 프레임을 버퍼에 저장하고, 수신측에서 NAK를 보내면 해당 프레임부터 다시 전송을 시작한다. 이 방식은 비교적 간단하고 구현이 쉬우며, 전송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정답은 "Go-back-N ARQ"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HDLC 프레임의 헤더에서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스테이션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테이션 식별자 필드는?

  1. 주소 필드
  2. 프레임 검사 순서
  3. 정보 필드
  4. 플래그
(정답률: 55%)
  • 주소 필드는 HDLC 프레임의 헤더에서 송수신하는 스테이션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드이다. 이 필드는 스테이션 식별자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프레임을 수신하는 스테이션은 자신이 수신 대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주소 필드는 HDLC 프로토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프레임의 송수신을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아날로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또 이러한 디지털 형태를 원래의 아날로그 데이터로 복구시키는 것은?

  1. CCU
  2. DSU
  3. CODEC
  4. DTE
(정답률: 69%)
  •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코덱의 인코딩 과정"이라고 하고,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로 복원하는 것을 "코덱의 디코딩 과정"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아날로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아날로그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장치를 "코덱"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PCM(Pulse Code Modulation)방식의 진행순서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표본화→부호화→양자화→여과→복호화
  2. 표본화→양자화→부호화→복호화→여과
  3. 표본화→부호화→양자화→복호화→여과
  4. 표본화→양자화→여과→부호화→복호화
(정답률: 81%)
  • 정답은 "표본화→양자화→부호화→복호화→여과"입니다.

    먼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표본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다음으로, 양자화 과정에서는 표본화된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각 구간에서 가장 가까운 디지털 값으로 근사합니다.

    부호화 과정에서는 양자화된 신호를 이진 코드로 변환합니다. 이진 코드는 디지털 신호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코드입니다.

    복호화 과정에서는 부호화된 이진 코드를 다시 양자화된 신호로 변환합니다.

    마지막으로, 여과 과정에서는 디지털 신호를 부드러운 곡선으로 만들기 위해 고주파 잡음을 제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 아닌 것은?

  1. ASK
  2. FSK
  3. DSK
  4. PSK
(정답률: 53%)
  • DSK는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 아니다. ASK, FSK, PSK는 모두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광대역 통신망 ATM 셀(Cell)의 구성으로 옳은 것은?

  1. 헤더 5옥테드(octet)와 페이로드(Payload) 53옥테드
  2. 헤더 4옥테드(octet)와 페이로드(Payload) 53옥테드
  3. 헤더 5옥테드(octet)와 페이로드(Payload) 48옥테드
  4. 헤더 4옥테드(octet)와 페이로드(Payload) 48옥테드
(정답률: 60%)
  • ATM 셀은 53옥테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헤더는 5옥테드, 페이로드는 48옥테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헤더가 셀의 제어 정보를 담고 있고, 페이로드는 실제 데이터를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샤논(shannon)의 정리 중 통신로용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신로용량(C)은 대역폭(W)에 비례한다.
  2. 통신로용량(C)은 신호 대 잡음비(S/N)가 높을수록 증가한다.
  3. 통신로용량(C)은 신호 전력(S)이 클수록 많아진다.
  4. 통신로용량(C)은 잡음전력(N)과는 관계없다.
(정답률: 75%)
  • 통신로용량(C)은 잡음전력(N)과는 관계없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 통신로에서 전송되는 신호는 잡음과 함께 전송되기 때문에, 잡음의 영향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통신로용량은 잡음전력에도 영향을 받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패킷교환 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통신 장애 발생 시 대체 경로 선택이 가능하다.
  2. 패킷형태로 만들어진 데이터를 패킷교환기가 목적지 주소에 따라 통신경로를 선택해주는 방식이다.
  3. 프로토콜 변환이 가능하고 디지털 전송방식에 사용된다.
  4. 데이터 전송 단위는 메시지이고, 교환기가 호출자의 메시지를 받아 축적한 후 피 호출자에게 보내주는 방식이다.
(정답률: 53%)
  • 정답은 "데이터 전송 단위는 메시지이고, 교환기가 호출자의 메시지를 받아 축적한 후 피 호출자에게 보내주는 방식이다." 이다. 이유는 패킷교환 방식에서 데이터 전송 단위는 패킷이며, 교환기가 호출자의 패킷을 받아서 목적지 주소에 따라 통신 경로를 선택해주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주파수 분할 다중(FDM)방식에서 신호들이 전기적 중복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 인접하는 서브채널(sub-channel)들 사이에 위치하는 것은?

  1. 터미널(terminal)
  2. 대역폭(frequency band)
  3. 경계대역(guard band)
  4. 폴링 소프트웨어(polling software)
(정답률: 57%)
  • 주파수 분할 다중(FDM)방식에서 인접하는 서브채널(sub-channel)들 사이에 위치하는 것은 "경계대역(guard band)"이다. 이는 서로 다른 서브채널에서 전송되는 신호들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경계대역은 일종의 빈 주파수 대역으로,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구간이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서브채널에서 전송되는 신호들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전송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멀티캐스트 통신방식에서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여하고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2. ICMP와 유사하다.
  3. IGMP는 RFC 1122로 정의 된다.
  4. 멀티캐스팅을 제공하는 인터넷 라우터와 호스트에 사용된다.
(정답률: 51%)
  • "ICMP와 유사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IGMP와 ICMP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입니다.

    IGMP는 멀티캐스트 통신방식에서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여하고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멀티캐스팅을 제공하는 인터넷 라우터와 호스트에 사용됩니다. 이러한 IGMP의 기능과 동작 방식은 RFC 1122에서 정의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나이퀴스트(Nyquist) Sampling Theorem과 관련이 있는 것은?

  1. 표본화
  2. 양자화
  3. 부호화
  4. 복호화
(정답률: 54%)
  • 나이퀴스트(Nyquist) Sampling Theorem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샘플링 주파수를 제시하는 이론입니다. 이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때, 적절한 샘플링 주파수를 선택하여 신호를 표본화(sampling)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본화"입니다. 양자화, 부호화, 복호화는 디지털 신호 처리 과정에서 필요한 단계이지만, 샘플링 주파수를 결정하는 것은 표본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ITU-T 권고안의 X 시리즈에서 패킷형 DTE와 DCE 간의 인터페이스는?

  1. X.21
  2. X.22
  3. X.24
  4. X.25
(정답률: 72%)
  • X.25은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DTE와 DCE 간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ITU-T 권고안입니다. 따라서 X 시리즈에서 패킷형 DTE와 DCE 간의 인터페이스는 X.25입니다. X.21, X.22, X.24는 각각 다른 유형의 디지털 회선 인터페이스를 정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OSI 7계층 중 데이터 링크 계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프레임 단위의 전송을 규정
  2. 하위 제 2계층에 해당
  3. 통신망의 접속, 다중화 등에 관한 기능
  4. 전송 데이터의 흐름제어 및 오류제어
(정답률: 37%)
  • 정답은 "하위 제 2계층에 해당"입니다.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 사이에 위치하며, 프레임 단위의 전송을 규정하고 전송 데이터의 흐름제어 및 오류제어를 담당합니다. 또한 통신망의 접속, 다중화 등에 관한 기능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정보통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IBM의 SNA는 컴퓨터 간 접속을 용이하게 체계화된 네트워크 방식이다.
  2. 본격적인 데이터통신의 시초는 미국의 반자동 방공 시스템(SAGE)이다.
  3. 온라인시스템의 대량보급으로 정보통신을 위한 표준화의 필요성이 줄어들었다.
  4. 데이터전송은 컴퓨터에 의해 처리된 정보의 전송이라 할 수 있다.
(정답률: 62%)
  • 정답은 "온라인시스템의 대량보급으로 정보통신을 위한 표준화의 필요성이 줄어들었다."이다. 이유는 온라인시스템의 대량보급으로 인해 다양한 기업들이 각자의 시스템을 개발하고 사용하게 되어 표준화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역 다중화기(Inverse Multiplexer)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두 개의 음성 대역폭을 이용하여 광대역 통신 속도를 얻을 수 있는 장치이다.
  2. 하나의 채널이 고장 나면 나머지 하나의 채널로 계속 운영이 가능하다.
  3. 상이한 두 개 채널 간 지연으로 인한 비트 스트림 혼란을 조정하기 위해 순환 기억장치가 필요하다.
  4. 입출력 대역폭이 다르며, 구조가 복잡하면서 불규칙한 전송에 사용된다.
(정답률: 59%)
  • "입출력 대역폭이 다르며, 구조가 복잡하면서 불규칙한 전송에 사용된다."가 틀린 것이다. 역 다중화기는 입력된 데이터를 여러 개의 채널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장치로, 입력 대역폭이 높은 데이터를 여러 개의 낮은 대역폭 채널로 분할하여 전송함으로써 대역폭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채널이 고장 나면 나머지 채널로 계속 운영이 가능하며, 지연 조정을 위해 순환 기억장치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통화 중에 이동전화가 한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할 때 자동으로 다른 셀의 통화 채널로 전환해 줌으로써 통화가 지속되게 하는 기능은?

  1. 핸드오프
  2. 핸드쉐이크
  3. 셀의 분할
  4. 페이딩
(정답률: 77%)
  • 핸드오프는 이동전화가 한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할 때 자동으로 다른 셀의 통화 채널로 전환해 주는 기능이다. 이를 통해 통화가 지속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프로토콜 전송방식 중 특정한 플래그를 메시지의 처음과 끝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방식은?

  1. 비트 방식
  2. 문자 방식
  3. 바이트 방식
  4. 워드 방식
(정답률: 64%)
  • 비트 방식은 메시지의 처음과 끝에 특정한 비트 패턴을 포함시켜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전송 중에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왜곡되는 경우에도 패턴을 인식하여 메시지의 시작과 끝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다. 또한, 비트 단위로 전송하기 때문에 다른 방식보다 더욱 효율적인 전송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