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10-01)

사무자동화산업기사
(2016-10-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사무자동화 시스템

1. 프로그램의 실행 중 인터럽트(Interrupt)가 발생할 경우에 현재의 프로그램 상태가 저장되어 있는 레지스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PSW
  2. PC
  3. PCW
  4. ACC
(정답률: 67%)
  • PSW는 Program Status Word의 약자로, 현재 프로그램의 상태를 나타내는 레지스터이다.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상태를 저장하고, 인터럽트 처리가 끝난 후에는 저장된 상태를 복원하여 이전 상태에서 계속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PSW는 인터럽트 처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C는 Program Counter, PCW는 Program Counter Word, ACC는 Accumulator로, 이들은 프로그램의 실행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있지만, PSW와는 다른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컴퓨터 시스템에서 중앙처리장치와 각각의 입, 출력장치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처리할 데이터를 디스크에 저장하고 이것을 다른 장치가 이용하도록 하는 것은?

  1. Spooling
  2. Multiplexer
  3. Buffering
  4. DASD
(정답률: 75%)
  • Spooling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중앙처리장치와 입, 출력장치가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입니다. 처리할 데이터를 디스크에 저장하고 이를 다른 장치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입, 출력장치의 작업을 중앙처리장치가 조절하여 병목 현상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Spooling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사무자동화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무자동화 도입으로 인건비 및 관리비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2. 사무자동화는 CEO의 의사결정이 궁극적 목표이다.
  3. 맨-머신 인터페이스이다.
  4. 주로 비구조적인 과제를 지원한다.
(정답률: 69%)
  • "CEO의 의사결정이 궁극적 목표"는 다른 세 가지 특징과는 달리 사무자동화의 목적과 방향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사무자동화는 기업의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목표이며, 이를 통해 CEO가 더 나은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무자동화는 CEO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도구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컴퓨터 시스템에 사용되는 메모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캐시메모리는 CPU와 기억장치 간의 속도 차를 해소하기 위한 메모리이다.
  2. RAM은 일반적으로 주 기억 메모리(Main Memory)로 사용되며, 휘발성이 없다.
  3. 가상메모리는 보조기억장치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기 위한 메모리이다.
  4. 버퍼메모리는 2개의 장치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두 장치 간의 속도 차를 해소하기 위한 장치이다.
(정답률: 80%)
  • "버퍼메모리는 2개의 장치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두 장치 간의 속도 차를 해소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유를 설명하는 것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RAM은 일반적으로 주 기억 메모리로 사용되며, 휘발성이 없다는 것은 컴퓨터가 꺼져도 데이터가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컴퓨터가 다시 켜졌을 때 이전에 작업하던 내용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줍니다.

    캐시메모리는 CPU와 기억장치 간의 속도 차를 해소하기 위한 메모리로,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두어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가상메모리는 보조기억장치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기 위한 메모리로, 주기억장치가 부족할 때 보조기억장치를 일시적으로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특정 기업 간의 CALS 및 EDI를 통한 수주, 구매, 조달 및 납품 등과 관련 되어 기업 간의 전자상거래를 의미하는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B2C
  2. B2B
  3. C2C
  4. C2G
(정답률: 87%)
  • 정답: B2B

    설명: B2B는 Business to Business의 약어로, 기업 간의 전자상거래를 의미합니다. CALS와 EDI는 기업 간의 전자상거래를 위한 기술이며, 수주, 구매, 조달, 납품 등과 관련된 업무를 전자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이 문장에서는 기업 간의 전자상거래를 의미하는 B2B가 가장 적합한 용어입니다.

    B2C는 Business to Consumer의 약어로, 기업과 개인 소비자 간의 전자상거래를 의미합니다. C2C는 Consumer to Consumer의 약어로, 개인 소비자 간의 전자상거래를 의미합니다. C2G는 Consumer to Government의 약어로, 개인 소비자와 정부 간의 전자상거래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에서 사무자동화 정의와 관계없는 사람은?

  1. Michael D. Zisman
  2. Vincent Lum
  3. Hammer Sibru
  4. Wilson Magnus
(정답률: 60%)
  • Wilson Magnus는 사무자동화와 관련이 없는 인물입니다. 그 외의 다른 사람들은 모두 사무자동화와 관련된 분야에서 활동하거나 연구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EDI 국제표준은?

  1. UN/EDIFACT
  2. TDCC
  3. UCS
  4. WINS
(정답률: 87%)
  • UN/EDIFACT은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EDI(전자상거래 데이터 교환) 표준이다. UN은 유엔(United Nations)을 의미하며, EDIFACT는 전자상거래 데이터 교환을 위한 국제 표준 형식을 의미한다. 이 표준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며, 데이터 교환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사무자동화의 배경 요인 중 사회적 요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정보화 사회의 출현으로 사무실에서 처리해야 할 정보의 양이 증가하였다.
  2. 단순 노동보다는 지적 노동이 부각화 되었다.
  3. 생산부문의 합리화, 자동화에 부응하여 오피스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기업 구조가 변화하였다.
  4. 이미지, 소리, 그래픽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술의 등장으로 다양한 형태의 정보처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정답률: 80%)
  • 이미지, 소리, 그래픽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술의 등장으로 다양한 형태의 정보처리가 가능해졌기 때문에 사무자동화의 배경 요인 중 사회적 요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기술적인 발전으로 인한 요인이며, 다른 보기들은 인적, 경제적인 요인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원격회의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멀리 떨어진 지역의 회의실을 화상과 음성통신 기술을 통해 연결하여 화면을 보면서 회의하는 시스템이다.
  2. 원격회의 시스템은 약자로 VCS라고도 한다.
  3. 대부분 음성 및 영상을 Simplex 전송방식을 사용한다.
  4. 물리적 이동에 따르는 시간과 경비를 줄일 수 있다.
(정답률: 80%)
  • "대부분 음성 및 영상을 Simplex 전송방식을 사용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다. 원격회의 시스템은 주로 Duplex 전송방식을 사용하여 양방향으로 음성과 영상을 전송한다. Simplex 전송방식은 단방향으로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므로 원격회의 시스템에 적합하지 않다.

    간단명료한 이유는, 원격회의 시스템은 양방향으로 음성과 영상을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Simplex 전송방식보다는 Duplex 전송방식이 적합하다. Duplex 전송방식은 전송하는 쪽과 받는 쪽이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방식으로, 양방향 통신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정보보안의 측면에서 전자상거래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본적 충족 요건이 아닌 것은?

  1. Confidentiality
  2. Efficiency
  3. Integrity
  4. Availability
(정답률: 53%)
  • 정보보안의 측면에서 전자상거래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본적 충족 요건 중 "Efficiency"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시스템의 효율성과 관련된 요소이며, 정보보안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전자상거래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본적 충족 요건은 "Confidentiality", "Integrity", "Availability"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사무자동화가 추구하는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무부문의 생산성 향상
  2. 효과적인 정보관리
  3. 사무 처리의 비용 절감
  4. 사무실의 무인화 및 사무원의 부속품화
(정답률: 86%)
  • 사무자동화는 사무부문의 생산성 향상, 효과적인 정보관리, 사무 처리의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하지만, 사무실의 무인화 및 사무원의 부속품화는 인간 중심적인 가치를 무시하고, 오히려 사무원의 역할을 축소시키는 것이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종래의 자료 처리 기술로는 다루기 어렵고 데이터의 양이 많으면서도 그 구조가 불명확한 모든 사무 업무에 대하여 컴퓨터 기술, 통신 기술, 시스템 공학, 행동 과학 등을 적용한 학문으로 사무자동화를 정의한 인물은?

  1. Steve Jobs
  2. Bill Gates
  3. Michael D. Zisman
  4. Vincent Lum
(정답률: 81%)
  • Michael D. Zisman은 사무자동화를 정의한 인물로, 컴퓨터 기술, 통신 기술, 시스템 공학, 행동 과학 등을 적용하여 종래의 자료 처리 기술로는 다루기 어렵고 데이터의 양이 많으면서도 그 구조가 불명확한 모든 사무 업무를 자동화하는 학문을 만들었다. 따라서 정답은 "Michael D. Zisma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중앙처리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당일에는 4번으로 정답이 발표 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1, 4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주기억장치
  2. 연산장치
  3. 제어장치
  4. 입·출력장치
(정답률: 88%)
  • 입·출력장치는 중앙처리장치(CPU)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중앙처리장치는 연산장치, 제어장치, 주기억장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입·출력장치는 컴퓨터와 외부 환경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고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자기 디스크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트랙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동심원이다.
  2. 실린더는 여러 장의 디스크 판에서 같은 위치에 있는 트랙의 모임으로 트랙의 수와 실린더의 수는 동일하다.
  3. Search Time은 읽기/쓰기 헤드가 지정된 트랙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4. Transmission Time은 읽은 데이터를 주기억장치로 보내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정답률: 70%)
  • "Search Time은 읽기/쓰기 헤드가 지정된 트랙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디스크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이지만, Search Time은 디스크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디스크의 성능 지표 중 하나인 시간에 대한 설명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주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명령어를 호출하여 중앙처리장치로 가져오도록 하는 명령어 호출 사이클은?

  1. Interrupt cycle
  2. Fetch cycle
  3. Execution cycle
  4. Indirect cycle
(정답률: 52%)
  • 주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명령어를 호출하여 중앙처리장치로 가져오는 명령어 호출 사이클은 "Fetch cycle"이다. 이는 CPU가 명령어를 가져오기 위해 주기억장치에서 해당 명령어를 읽어오는 단계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전자상거래 관련 용어는?

  1. EDI
  2. EFT
  3. CALS
  4. CRM
(정답률: 57%)
  • 위 그림은 전자적인 방법으로 자금을 이체하는 EFT(Electronic Funds Transfer)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EFT입니다.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는 전자적인 방법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을 의미하며, CALS(Continuous Acquisition and Life-cycle Support)는 군사용어로 무기체계의 수명주기 전반에 걸쳐 필요한 정보를 전자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은 고객과의 관계를 관리하는 전략적인 방법론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출력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Printer
  2. Plotter
  3. Digitizer
  4. CRT
(정답률: 71%)
  • "Digitizer"는 출력장치가 아니라 입력장치이다. 출력장치는 컴퓨터에서 처리한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이지만, "Digitizer"는 손으로 그린 그림이나 글씨를 디지털화하여 컴퓨터에 입력하는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데이터의 접근 속도가 가장 빠른 장치는?

  1. SSD
  2. Harddisk
  3. CD-ROM
  4. DVD ROM
(정답률: 85%)
  • SSD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이 하드디스크와는 다르기 때문에 접근 속도가 더 빠릅니다. SSD는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하고, 하드디스크는 회전하는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SSD는 기계적인 부품이 없기 때문에 더 빠르게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COM(Computer Output Microfilm)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그래픽 이미지를 수록할 수 있다.
  2. 충격식 프린터에 대체되어 고속인쇄가 가능하다.
  3. 촬영에서부터 현상까지의 시간이 짧아서 효과적이다.
  4. 충격식 프린터에 비하여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
(정답률: 53%)
  • COM의 장점 중에서 "촬영에서부터 현상까지의 시간이 짧아서 효과적이다."는 장점이 아니다. COM은 촬영된 데이터를 필름에 기록하여 보관하고, 필요할 때 필름을 읽어내어 출력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촬영과 현상에 걸리는 시간은 COM의 장점과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룹웨어의 구성요소로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1. 서버
  2. 클라이언트
  3. 네트워크
  4. FAX
(정답률: 87%)
  • 그룹웨어는 서버, 클라이언트, 네트워크로 구성되는데, FAX는 이들과는 관계가 없는 통신 수단이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FAX는 전자우편, 채팅, 화상회의 등과 같은 그룹웨어의 기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무경영관리 개론

21. 다음 설명에 가장 부합하는 사무 관리의 원칙은?

  1. 경제성
  2. 정확성
  3. 신속성
  4. 용이성
(정답률: 82%)
  • 이미지에서 보이는 사무실은 간단하고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으며, 필요한 문서나 용품들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사무 관리의 원칙 중 "용이성"에 부합합니다. 즉,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원들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페이욜(H.Fayol)이 주장한 관리의 고유 기능의 활동 범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Accounting
  2. Technical
  3. Financial
  4. Audit
(정답률: 56%)
  • 페이욜은 관리의 고유 기능으로 계획, 조직, 지휘, 조정, 감독을 제시했다. 따라서 "Audit"는 관리의 고유 기능의 활동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 "Audit"는 회계감사를 의미하며, 회계와 관련된 활동 범주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문서 기안 시 발의자와 보고자의 표시를 생략할 수 있는 문서가 아닌 것은?

  1. 검토나 결정이 필요하지 아니한 문서
  2. 회의록
  3. 각종 증명 발급
  4. 수신자에게 전달된 전자문서
(정답률: 61%)
  • 수신자에게 전달된 전자문서는 이미 발의자와 보고자가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생략할 수 없는 문서이다. 다른 보기들은 검토나 결정이 필요하지 않거나, 회의록이나 각종 증명 발급 등의 경우에는 발의자와 보고자의 표시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의 사무실 공기관리와 작업 기준 등에서 제651조 미생물오염관리의 조치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누수 등으로 미생물의 생장을 촉진할 수 있는 곳을 주기적으로 검사하고 보수할 것
  2. 1년마다 사무실 소재지 관할 구청의 검사 및 관리 감독을 받을 것
  3. 미생물이 증식된 곳은 즉시 건조, 제거 또는 청소할 것
  4. 건물 표면 및 공기정화설비 등에 오염되어 있는 미생물은 제거할 것
(정답률: 76%)
  • 1년마다 사무실 소재지 관할 구청의 검사 및 관리 감독을 받을 것은 제651조 미생물오염관리의 조치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이다. 이유는 이 조치사항은 사무실 공기관리와 작업 기준과는 관련이 없으며, 미생물 오염 관리에 대한 법적 규정이기 때문이다. 다른 조치사항들은 미생물 오염을 예방하고 제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준수함으로써 건강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MIS(경영정보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MIS는 기업의 전략, 계획, 조정, 관리, 운영 등의 결정을 보조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2. MIS는 창조적이고 지적인 공학적 설계와 관계없이 프로그래밍을 통한 업무 전산화를 말한다.
  3. MIS의 전문성은 기업의 업무를 분석하고 기업경영을 진단하는 능력이다.
  4. MIS는 분석과 진단에 의해 기업업무의 정보요구가 정의되어야 하고, 정의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관리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정답률: 78%)
  • "MIS는 창조적이고 지적인 공학적 설계와 관계없이 프로그래밍을 통한 업무 전산화를 말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이는 MIS의 개념과 정의를 잘못 이해한 것이다. MIS는 기업의 업무를 분석하고 정보를 수집, 분석, 가공하여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시스템으로, 이를 위해 창조적이고 지적인 공학적 설계가 필요하다. 프로그래밍은 MIS 구현에 필요한 기술 중 하나일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구.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시행규칙의 제4조 기안문의 구성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안문을 별지 제1호 서식으로 작성하는 경우 기안문은 서론, 본론, 결론으로 구성한다.
  2. 행정기관명에는 그 문서를 기안한 부서가 속하는 행정기관을 표시하되, 다른 행정기관명과 동일한 경우에는 바로 위 상급기관명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3. 수신란에 수신자가 없는 내부결재문서인 경우 ‘내부결재’로 표시한다.
  4. 문서에 다른 서식 등이 첨부되는 경우 본문의 내용이 끝난 줄 다음에 ‘붙임’ 표시를 한다.
(정답률: 52%)
  • "수신란에 수신자가 없는 내부결재문서인 경우 ‘내부결재’로 표시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내부결재문서인 경우에는 수신란에 수신자가 없어도 수신란을 작성하지 않는다.

    기안문을 별지 제1호 서식으로 작성하는 경우 기안문은 서론, 본론, 결론으로 구성한다는 것은 기안문의 구성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서론에서는 기안의 배경과 목적을 설명하고, 본론에서는 구체적인 내용과 계획을 제시하며, 결론에서는 최종적인 결정이나 승인을 요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듀이 십진분류법(DDC)에서 기술과학에 해당하는 코드는?

  1. 200
  2. 400
  3. 600
  4. 800
(정답률: 72%)
  • 듀이 십진분류법에서 기술과학은 "600" 코드에 해당합니다. 이는 DDC에서 첫 번째 숫자가 "6"인 범주가 기술과학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610"은 의학, "620"은 공학, "630"은 농업 등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Tickler System, Come up System이 속하는 사무 관리의 관리 수단 체계는?

  1. 사무계획
  2. 사무조직
  3. 사무조정
  4. 사무통제
(정답률: 67%)
  • Tickler System과 Come up System은 사무통제의 일종으로, 업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추적하기 위한 수단이다. Tickler System은 일정한 날짜에 업무를 처리하도록 알림을 주는 시스템이고, Come up System은 업무를 처리해야 할 기한이 다가올 때 미리 알림을 주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업무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은 사무통제의 일환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사무 관리의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헨리(Henry)는 사무 관리를 눈에 보이지 않는 힘으로 기업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지휘, 통제하는 행위로 정의했다.
  2. 사무실의 사무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도록 관리하는 것이다.
  3. 조직의 운영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4. 사무 관리에서 가장 중점을 두는 것은 능률이다.
(정답률: 58%)
  •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사무 관리에서 가장 중점을 두는 것은 능률이다." 이다. 사무 관리에서 중요한 것은 효율성이며, 능률성은 그보다는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집무환경의 중요한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색채조절
  2. 소음조절
  3. 시간조절
  4. 공기조절
(정답률: 74%)
  • 집무환경의 중요한 요소는 일하는 사람의 편안함과 집중력 유지에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적절한 색채조절, 소음조절, 공기조절 등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시간조절은 집무환경의 중요한 요소가 아니라 일하는 사람의 개인적인 습관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현대적(과학적) 사무 관리의 3S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Standardization
  2. Simplification
  3. Simulation
  4. Specialization
(정답률: 79%)
  • "Simulation"은 사무 작업을 간소화하거나 표준화하거나 전문화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적인 시나리오나 모델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3S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자료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자료의 자연 증가를 통제할 수 있다.
  2. 자료처리에 따르는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3. 자료를 서식화할 수 있다.
  4. 자료를 필요로 하는 곳에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정답률: 59%)
  • "자료를 서식화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자료를 서식화하면 일관성 있고 구조화된 형태로 저장할 수 있어서 검색과 분석이 용이해지며, 데이터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데이터를 구조화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면 검색과 분석이 쉬워지고, 시각화나 예측 모델링 등의 작업에 활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사무실 배치 원칙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무의 성격이 유사한 부서는 가깝게 배치한다.
  2. 내부 및 외부 민원 업무 등 대중과 관계가 많은 부서는 가급적 입구근처에 배치한다.
  3. 대실주의(큰방주의)는 사무실 배치에 있어서 가능한 독방을 늘인다.
  4. 장래확장에 대비하여 탄력성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정답률: 85%)
  • "사무의 성격이 유사한 부서는 가깝게 배치한다."는 사무실 배치 원칙 중 하나이지만, 다른 원칙들과 비교했을 때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원칙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가장 거리가 먼 원칙입니다.

    반면에 "대실주의(큰방주의)는 사무실 배치에 있어서 가능한 독방을 늘인다."는 사무실 배치 원칙 중에서도 매우 중요한 원칙입니다. 이는 개인의 작업 공간을 보장하고, 개인의 집중력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또한, 독방을 늘리는 것은 직원들의 개인 정보 보호와 같은 측면에서도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기록물 관리의 원칙으로 공공기관 및 기록물관리기관의 장은 기록물의 생산부터 활용까지의 모든 과정에 걸쳐 관리할 때의 원칙으로 옳은 것은?

  1. 진본성, 무결성, 신뢰성
  2. 진본성, 무결성, 보관성
  3. 진본성, 공개성, 신뢰성
  4. 영구성, 무결성, 신뢰성
(정답률: 74%)
  • 기록물 관리의 원칙으로 "진본성, 무결성, 신뢰성"이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진본성: 기록물은 그 내용이 진실하고 정확해야 합니다. 따라서 기록물을 작성할 때는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고,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수정 이유와 수정 일자를 명시해야 합니다.

    2. 무결성: 기록물은 그 내용이 변조되거나 삭제되지 않아야 합니다. 따라서 기록물을 작성하거나 수정할 때는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보안 조치를 취해야 하며, 수정 이력을 관리해야 합니다.

    3. 신뢰성: 기록물은 그 내용이 신뢰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기록물을 작성할 때는 적절한 권한을 가진 사람이 작성하고, 작성자와 작성 일자를 명시해야 합니다. 또한, 기록물을 보관할 때는 적절한 보관 환경을 유지하고, 접근 제어를 실시해야 합니다.

    따라서, 기록물 관리의 원칙으로 "진본성, 무결성, 신뢰성"이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암호화 등의 문서 발신방법을 지정한 경우의 조치로 옳은 것은?

  1. 문서 두문의 마지막에 ‘암호’ 등으로 발신할 방법을 표시
  2. 문서 본문의 마지막에 ‘암호’ 등으로 발신할 방법을 표시
  3. 문서 두문의 시작에 ‘암호’ 등으로 발신할 방법을 표시
  4. 문서 본문의 시작에 ‘암호’ 등으로 발신할 방법을 표시
(정답률: 56%)
  • 문서 발신방법을 지정한 경우, 발신 방법을 표시하는 위치는 문서 본문의 마지막이다. 이는 발신자가 문서의 내용을 먼저 확인하고 발신 방법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문서 본문의 마지막에 ‘암호’ 등으로 발신할 방법을 표시"가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사무실을 너무 세분화하는 것보다는 여러 과를 한 사무실에 배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사무실의 배정 방식은?

  1. 대사무실주의 배치
  2. 관련 부서의 인근 배치
  3. 업무처리 흐름에 따른 직선적 배치
  4. 실무자 중심의 사무실 배치
(정답률: 74%)
  • "대사무실주의 배치"는 여러 과를 한 사무실에 배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며, 대부분의 업무가 대사무실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사무실을 중심으로 관련 부서를 인근에 배치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업무 처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대화와 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대사무실에는 중요한 회의나 업무 처리를 위한 시설이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 )에 가장 적합한 내용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시행문형식, 일자별 일련번호
  2. 시행문형식, 누년 일련번호
  3. 조문형식, 일자별 일련번호
  4. 조문형식, 누년 일련번호
(정답률: 55%)
  • 이미지는 법률의 조문을 나타내고 있으며, 조문은 일련번호와 함께 나열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일자별 일련번호"는 해당 이미지에서 확인할 수 없으므로 제외됩니다. 또한, 이미지 상단에는 "법률 제○○○○호"와 같은 형식의 누년번호가 있으므로 "누년 일련번호"가 포함됩니다. 마지막으로, 조문은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조문형식"이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문형식, 누년 일련번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자료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 것으로 이용자가 원문 참조를 해야 할 것인가의 여부를 정하는 지침이 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Abstract
  2. Index
  3. List
  4. Footnote
(정답률: 49%)
  • "Abstract"은 원문의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 정리한 것으로 이용자가 원문을 참조하지 않고도 해당 자료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Index"는 주제별로 정리된 목차를 말하며, "List"는 목록을 나열한 것을 말합니다. "Footnote"는 해당 문서에서 참고할 만한 자료나 출처를 나타내는 각주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전자기록물의 저장, 이관, 백업, 복원, 보존 등을 위한 기록매체 및 장치가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전자기록물을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수록 및 재생할 수 있어야 한다.
  2. 전자기록물을 현재의 저장환경으로부터 새로운 저장환경으로 손상 없이 옮길 수 있어야 한다.
  3. 다른 매체로 복제본 제작이 가능하여야 한다.
  4. 수록된 전자기록물을 임의 수정, 삭제, 위조, 변조 등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76%)
  • "다른 매체로 복제본 제작이 가능하여야 한다."는 전자기록물의 장기적인 보존을 위해 필요한 사항 중 하나입니다. 이는 기록매체나 장치가 오래 사용되거나 손상될 경우, 다른 매체로 복제하여 보존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전자기록물의 손상이나 유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EDIFACT의 구성요소에서 3가지 기본요소가 아닌 것은?

  1. 문법과 구문규칙
  2. 데이터 엘리먼트 디렉토리
  3. 표준 메시지
  4. 코드집
(정답률: 72%)
  • EDIFACT의 구성요소 중에서 "코드집"은 기본요소가 아닙니다. 이유는 코드집은 EDIFACT 메시지에서 사용되는 코드 값들의 집합으로, 데이터 엘리먼트 디렉토리에서 정의된 데이터 엘리먼트들의 값들 중에서 코드 값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코드집은 EDIFACT 메시지를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이지만, 문법과 구문규칙, 데이터 엘리먼트 디렉토리, 표준 메시지와 같은 기본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프로그래밍 일반

41. 사용자가 작성한 소스코드를 실행하면서 오류 등을 찾기 위한 프로그램의 명칭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Emulator
  2. Linkage Editor
  3. SPI
  4. Debugger
(정답률: 82%)
  • Debugger는 사용자가 작성한 소스코드를 실행하면서 오류 등을 찾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코드 실행 중 발생하는 오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디버깅하는 도구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Debugger가 가장 옳은 선택지이다. Emulator는 다른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가상환경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고, Linkage Editor는 여러 개의 오브젝트 파일을 하나의 실행 파일로 결합하는 도구이다. SPI는 Serial Peripheral Interface의 약자로, 마이크로컨트롤러와 주변장치 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시스템이 알고 있는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미 용도가 정해져 있는 단어로서, 프로그래머가 변수 이름이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

  1. Array
  2. Constant
  3. Reserved Word
  4. Pointer
(정답률: 54%)
  • "Reserved Word"는 이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예약되어 있는 단어이기 때문에, 변수 이름이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Array", "Constant", "Pointer"와 같은 단어는 변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Reserved Word"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주석(Comment)의 제거, 상수 정의 치환, 매크로 확장 등 컴파일러가 처리하기 전에 먼저 처리하여 확장된 원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것은?

  1. Cross compiler
  2. Loader
  3. Preprocessor
  4. Linker
(정답률: 72%)
  • Preprocessor는 주석(Comment)의 제거, 상수 정의 치환, 매크로 확장 등 컴파일러가 처리하기 전에 먼저 처리하여 확장된 원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Preprocessor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가장 적합한 언어는?

  1. C
  2. COBOL
  3. Fortan
  4. Pascal
(정답률: 87%)
  • 시스템 프로그래밍은 하드웨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메모리와 같은 하드웨어 자원을 직접 다루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저수준의 제어가 필요하며, C 언어는 이러한 저수준의 작업을 수행하기에 가장 적합한 언어입니다. 또한 C 언어는 이식성이 높아서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빠른 속도와 작은 메모리 사용량으로 유명합니다. 따라서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가장 적합한 언어는 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BNF 표기법에서 기호 ‘∷=’의 의미는?

  1. 선택
  2. 정의
  3. 생략
  4. 반복
(정답률: 88%)
  • BNF 표기법에서 기호 ‘∷=’은 "정의"를 의미합니다. 이 기호는 왼쪽에 있는 기호나 표현식이 오른쪽에 있는 기호나 표현식으로 정의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즉, 왼쪽에 있는 기호나 표현식은 오른쪽에 있는 기호나 표현식으로 대체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표준 C 언어에서 저장 클래스를 명시하지 않은 변수는 기본적으로 어떤 변수로 간주하는가?

  1. AUTO
  2. REGISTER
  3. STATIC
  4. EXTERN
(정답률: 61%)
  • 표준 C 언어에서 저장 클래스를 명시하지 않은 변수는 기본적으로 "AUTO" 변수로 간주한다. 이는 변수가 함수 내에서 선언되었을 때 자동으로 할당되는 지역 변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변수가 생성되고 함수가 종료될 때 변수가 소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작성된 표현식이 BNF의 정의에 의해 바르게 작성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만들어진 tree는 무엇인가?

  1. parse tree
  2. binary search tree
  3. binary tree
  4. skewed tree
(정답률: 83%)
  • 정답은 "parse tree"이다. BNF는 문법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형식 언어이며, 이를 통해 작성된 표현식을 해석하기 위해 parse tree가 사용된다. Parse tree는 표현식의 구문 구조를 나타내는 트리 구조이며, 이를 통해 표현식의 해석 및 실행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BNF로 작성된 표현식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parse tree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프로그래밍 언어의 구문분석 기법에서 파스트리의 루트(Root)로부터 시작하여 파스트리를 만들어 가는 파싱 기법은?

  1. Universal Parsing
  2. Bottom-up Parsing
  3. Top-Down Parsing
  4. LL Technique
(정답률: 55%)
  • Top-Down Parsing은 구문분석을 시작할 때 파스트리의 루트에서부터 시작하여 하위 노드로 내려가면서 파스트리를 만들어 가는 파싱 기법입니다. 이는 문법의 상위 규칙부터 하위 규칙까지 순차적으로 적용하면서 파스트리를 생성하기 때문에 Top-Down Parsing이라고 불립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Top-Down Pars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과 같은 기억장소에서 15KB를 요구하는 프로그램이 50KB 공백의 작업공간에 배치될 때의 기억장치 배치 전략은?

  1. First Fit
  2. Best Fit
  3. Worst Fit
  4. Top Fit
(정답률: 84%)
  • Worst Fit 전략은 사용 가능한 공간 중에서 가장 큰 공간을 찾아 프로그램을 배치하는 전략이다. 이 경우, 50KB의 공백 중에서 15KB보다 큰 공간을 찾아야 하므로 가장 큰 공간을 찾아야 한다. 따라서 Worst Fit 전략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변수의 속성에서 프로그램 수행 중 변경될 수 있는 것은?

  1. Type
  2. Location
  3. Value
  4. Name
(정답률: 69%)
  • 변수의 속성 중에서 프로그램 수행 중 변경될 수 있는 것은 값(Value)이다. 변수의 값은 프로그램 실행 중에 다른 값으로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변수의 이름(Name)은 프로그램 실행 중에 변경될 수 없으며, 변수의 타입(Type)과 위치(Location) 역시 프로그램 실행 중에 변경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부프로그램(subprogram) 사용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시스템 설계 시 효율적이다.
  2. 가독성 및 유지, 보수가 편리하다.
  3. 프로그램이 커지므로 기억장소를 많이 필요하게 된다.
  4. 프로그래머는 동일한 프로그램을 한 번만 작성해서 필요시 호출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62%)
  • "프로그램이 커지므로 기억장소를 많이 필요하게 된다."는 부프로그램 사용의 특징이 아니라 단점이다. 부프로그램을 사용하면 프로그램의 크기가 작아지고, 재사용성이 높아져서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등의 장점이 있지만, 부프로그램을 호출할 때마다 추가적인 기억장소가 필요하게 된다는 단점도 있다. 이는 부프로그램 호출 시 스택 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구조적 프로그램의 기본 구조가 아닌 것은?

  1. 순차구조
  2. 반복구조
  3. 일괄구조
  4. 선택구조
(정답률: 65%)
  • 일괄구조는 구조적 프로그램의 기본 구조가 아닙니다. 순차구조, 반복구조, 선택구조는 구조적 프로그램의 기본 구조입니다. 일괄구조는 프로그램의 실행이 한 번에 이루어지는 구조로, 구조적 프로그래밍에서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표준 C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수행속도가 빠르고 크기 및 효율 등의 기능면에서 고급언어와 어셈블리어의 중간기능을 수행한다.
  2. 융통성을 중요시하는 Interpreter 언어의 범주이다.
  3. 1970년대 초 AT&T 사의 벨연구소에서 UNIX OS 개발을 위해 제작한 언어가 시초가 되었다.
  4. 시스템 소프트웨어 작성이 용이한 언어이다.
(정답률: 50%)
  • 표준 C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융통성을 중요시하는 Interpreter 언어의 범주이다."입니다. C언어는 컴파일러 언어이며, 소스코드를 컴파일하여 실행파일을 생성합니다. 따라서 Interpreter 언어와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1. 중위 표기법(Infix notation)으로 표현된 산술식 “X=A+C/D”를 전위 표기법(Prefix notation)으로 옳게 나타낸 것은?

  1. =X+A/CD
  2. =+/XACD
  3. /CD+A=X
  4. XACD/+=
(정답률: 71%)
  • 정답은 "=+/XACD"입니다.

    전위 표기법은 연산자가 피연산자보다 먼저 나오는 표기법입니다. 따라서 중위 표기법으로 표현된 산술식을 전위 표기법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연산자를 먼저 써주고 그 다음에 피연산자를 써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X=A+C/D"를 전위 표기법으로 바꾸면 다음과 같습니다.

    = + X / A CD

    즉, 정답인 "=+/XACD"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동안 고정되어 있는 값 또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은?

  1. Variable
  2. Record
  3. Constant
  4. Pointer
(정답률: 66%)
  • Constant는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동안 고정되어 있는 값 또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변수와는 달리 값이 변하지 않으며, 상수로써 사용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Constant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기계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0 또는 1로만 구성되어 있다.
  2. 컴퓨터가 이해하는 언어이다.
  3. 프로그램 작성이 용이하다.
  4. 처리 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73%)
  • 기계어는 0 또는 1로만 구성되어 있고, 컴퓨터가 이해하는 언어이며 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특징이 있지만, 프로그램 작성이 용이하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기계어는 사람이 직접 작성하기에는 너무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프로그래머들은 고급 언어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컴파일러를 통해 기계어로 변환시킨다. 따라서 기계어는 프로그램 작성이 용이하지 않은 언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일반적인 컴파일러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의 수행 순서를 옳게 나열한 것은?

  1. ②→④→⑤→①→③
  2. ⑤→④→②→①→③
  3. ②→③→④→①→⑤
  4. ④→①→③→②→⑤
(정답률: 76%)
  • 정답은 "②→④→⑤→①→③" 입니다.

    ②: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main 함수가 호출됩니다.
    ④: main 함수 내에서 func1 함수가 호출됩니다.
    ⑤: func1 함수 내에서 func2 함수가 호출됩니다.
    ①: func2 함수 내에서 return 문이 실행되어 func2 함수가 종료됩니다.
    ③: func1 함수 내에서 return 문이 실행되어 func1 함수가 종료됩니다. 이후 main 함수에서도 return 문이 실행되어 프로그램이 종료됩니다.

    따라서, ②→④→⑤→①→③ 순서로 프로그램이 수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객체지향 개념에서 이미 정의되어 있는 상위 클래스(슈퍼 클래스 혹은 부모 클래스)의 메소드를 비롯한 모든 속성을 하위 클래스가 물려받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Abstraction
  2. Method
  3. Inheritance
  4. Message
(정답률: 80%)
  • 상속은 객체지향 개념에서 하위 클래스가 상위 클래스의 모든 속성과 메소드를 물려받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이 향상되며, 상위 클래스의 기능을 확장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Inheritanc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어휘 분석의 주된 역할은 원시 프로그램을 하나의 긴 스트링으로 보고 문자 단위로 스캐닝하여 문법적으로 의미 있는 일련의 문자들로 분할해 내는 것이다. 이때 분할된 문법적인 단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Token
  2. Parser
  3. BNF
  4. Pattern
(정답률: 83%)
  • 분할된 문법적인 단위를 Token이라고 부른다. Token은 프로그램에서 의미 있는 최소 단위로, 예를 들어 변수명, 연산자, 숫자 등이 Token이 될 수 있다. 이러한 Token들은 파서(Parser)를 통해 문법적으로 해석되어 프로그램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BNF와 Pattern은 언어의 문법을 기술하는 방법이나 규칙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Token과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C 언어의 FOR 문, COBOL 언어의 PERFORM문에 해당하는 것은?

  1. 반복문
  2. 종료문
  3. 입출력문
  4. 선언문
(정답률: 70%)
  • FOR 문과 PERFORM 문은 반복적으로 실행되는 코드 블록을 나타내는 제어문이다. 따라서 이들은 "반복문"에 해당한다. 종료문은 코드 블록을 종료하는 제어문이며, 입출력문은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제어문, 선언문은 변수나 상수를 선언하는 제어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통신 개론

61. 프로토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syntax
  2. semantics
  3. parameter
  4. timing
(정답률: 63%)
  • 프로토콜 구성요소 중에서 "parameter"는 구성요소가 아니라,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값이나 변수를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parameter"는 프로토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데이터 통신에서 오류가 검출되면 자동으로 송신스테이션에게 재전송을 요청하는 ARQ 방식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Stop-and-Wait ARQ
  2. Control-Data ARQ
  3. Go-back-N ARQ
  4. Selective-Repeat ARQ
(정답률: 64%)
  • Control-Data ARQ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ARQ 방식입니다. 따라서 오류가 검출되면 자동으로 재전송을 요청하는 ARQ 방식은 "Stop-and-Wait ARQ", "Go-back-N ARQ", "Selective-Repeat ARQ"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전송로상의 두 지점인 P1과 P2 간의 상대적인 신호의 세기를 dB로 표현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정답률: 62%)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dB는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dB로 표현된 값은 두 지점 간의 상대적인 신호 세기 차이를 나타내며, 이 값이 음수일 경우 P1이 P2보다 신호 세기가 높고, 양수일 경우 P2가 P1보다 신호 세기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뉴미디어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고속성
  2. 상호작용성
  3. 쌍방향성
  4. 획일성
(정답률: 82%)
  • 뉴미디어의 특징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획일성"이다. 뉴미디어는 다양한 형태와 콘텐츠를 제공하며, 사용자들은 이를 선택하고 상호작용하며 쌍방향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따라서 뉴미디어는 다양성과 차별성을 강조하며, 획일성과 같은 일관성을 추구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비트율이 14,400[bps]인 64-QAM 신호의 보오율은 얼마인가?

  1. 1200 baud
  2. 2400 baud
  3. 4800 baud
  4. 7200 baud
(정답률: 59%)
  • 64-QAM은 6비트를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조합 방식입니다. 따라서 14,400[bps]의 비트율에서 6을 나누면 2,400[baud]의 보오율이 나옵니다. 이는 한 번에 6비트를 전송하기 때문에, 1초당 전송되는 심볼의 수가 2,400개라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2400 baud"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전자기기 등에 네트워크 접속의 기능을 갖추어 거시적으로 사물 간의 네트워크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하는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

  1. IoT
  2. FTTH
  3. Router
  4. VDSL
(정답률: 78%)
  • "IoT"는 Internet of Things의 약자로, 사물 인터넷을 의미합니다. 이는 전자기기 등에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갖추어 사물 간의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기술로,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기들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고 제어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ISDN 채널 구조에서 기본 속도인 BRI(Basic Rate Interface)는 무엇인가?

  1. 2B+D
  2. B+D
  3. 23B+2D
  4. 23+D
(정답률: 68%)
  • BRI는 2개의 B 채널과 1개의 D 채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B 채널은 64Kbps의 전송 속도를 가지며, 데이터나 음성 등의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D 채널은 16Kbps의 전송 속도를 가지며,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BRI의 전체 속도는 2B(128Kbps) + D(16Kbps)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B+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OSI 7 계층 참조모델 중 데이터링크 계층의 주요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데이터 링크의 설정과 해지
  2. 경로 설정
  3. 오류검출 및 정정
  4. 흐름제어
(정답률: 46%)
  • 데이터 링크 계층의 주요 기능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필요한 물리적인 연결을 제공하고, 오류 검출 및 정정, 흐름 제어, 데이터 링크의 설정과 해지 등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경로 설정"은 네트워크 계층에서 수행되는 작업으로, 데이터 패킷이 목적지까지 어떤 경로를 통해 전송될지 결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경로 설정"은 데이터 링크 계층의 주요 기능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LAN의 토폴로지 형태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Star Topology
  2. Bus Topology
  3. Ring Topology
  4. Square Topology
(정답률: 84%)
  • "Square Topology"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토폴로지 형태이기 때문에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LAN 토폴로지 형태는 "Star Topology", "Bus Topology", "Ring Topology"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데이터 전송에서 1차원 Parity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수신된 데이터에서 전송 오류를 무시한다.
  2. 수신된 데이터에서 전송 오류의 검출을 수행한다.
  3. 수신된 데이터에서 전송 오류의 정정을 수행한다.
  4. 수신된 데이터에서 전송 오류의 암호화를 수행한다.
(정답률: 74%)
  • 1차원 Parity는 데이터 전송에서 오류 검출을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전송된 데이터의 각 비트에 대해 1의 개수가 짝수인지 홀수인지를 검사하여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수신된 데이터에서 전송 오류의 검출을 수행한다는 것은 수신된 데이터의 패리티 비트를 검사하여 전송 중에 발생한 오류를 감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1차원 Parity를 통해 전송 오류를 검출하고 이를 처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ITU-T에 의해 개발된 유명한 표준으로서, 공중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을 규정한 것은?

  1. 802 프로젝트
  2. V 시리즈
  3. X 시리즈
  4. Z 시리즈
(정답률: 72%)
  • X 시리즈는 ITU-T에서 개발한 표준으로, 공중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을 규정한 것입니다. 다른 보기인 802 프로젝트는 IEEE에서 개발한 표준이며, V 시리즈와 Z 시리즈는 ITU-T에서 개발한 다른 표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데이터 단말기의 제어 기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입출력 제어
  2. 다중화 제어
  3. 송수신 제어
  4. 에러 제어
(정답률: 53%)
  • 다중화 제어는 데이터 단말기에서 여러 개의 입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기능이며, 다른 세 가지는 모두 데이터의 송수신과 에러 처리와 관련된 기능이므로 다중화 제어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패킷망에서 데이터의 양이 적고, 융통성이 요구되는 경우에 가장 적합한 교환방식은?

  1. 회선 다중통신(Circuit Multiplexing)
  2. 가상회선(Virtual Circuit)
  3. 메시지 교환(Message Switching)
  4. 데이터그램(Datagram)
(정답률: 52%)
  • 데이터그램은 패킷망에서 데이터의 양이 적고, 융통성이 요구되는 경우에 가장 적합한 교환방식이다. 이는 데이터그램이 패킷망에서 데이터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며,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데이터의 양이 적고, 융통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데이터그램이 가장 효율적인 교환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IEEE 802 표준규격으로서 광대역 LAN을 규정한 것은?

  1. 802.5
  2. 802.6
  3. 802.7
  4. 802.8
(정답률: 45%)
  • IEEE 802.7은 광대역 LAN을 규정한 표준규격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802.5는 토큰 링 네트워크, 802.6은 광섬유 분산 데이터 인터페이스, 802.8은 광섬유 케이블 미디어 교환 및 802.11은 무선 LAN을 규정한 표준규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데이터 통신 장비 또는 장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MODEM
  2. AVR
  3. NIC
  4. DSU
(정답률: 56%)
  • AVR은 데이터 통신 장비 또는 장치에 속하지 않는다. AVR은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위한 개발 보드로, 주로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에 사용된다. MODEM은 모뎀, NIC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DSU는 디지털 서비스 유닛으로 모두 데이터 통신 장비 또는 장치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광섬유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아주 빠른 전송속도를 가지고 있다.
  2. 넓은 대역폭을 가지며 외부 간섭의 영향을 받는다.
  3. 매우 낮은 전송 에러율을 가지고 있다.
  4. 네트워크 보안성이 높다.
(정답률: 66%)
  • 광섬유의 특징 중 잘못된 것은 "넓은 대역폭을 가지며 외부 간섭의 영향을 받는다." 이다. 광섬유는 넓은 대역폭을 가지고 있지만, 외부 간섭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는 것이 올바른 설명이다. 이는 광섬유가 전기적 신호가 아닌 빛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종합정보통신망에 해당하는 용어는?

  1. ISDN
  2. LAN
  3. VAN
  4. WAN
(정답률: 70%)
  • ISDN은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의 약자로,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하나의 통신망으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고속 디지털 통신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종합정보통신망에 해당하는 용어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문자 위주 동기전송에서 문자 동기를 나타내는 전송 제어 문자로 맞는 것은?

  1. SYN
  2. SOH
  3. ETX
  4. ENQ
(정답률: 62%)
  • 정답은 "SYN"입니다. SYN은 Synchronize의 약자로, 데이터 전송 시작 전에 송신측과 수신측 간에 동기화를 맞추기 위해 사용되는 전송 제어 문자입니다. SYN을 보내면 수신측은 이를 인식하고 데이터 전송 준비를 마칩니다. 이후에 송신측은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며, 수신측은 ACK(수신 확인)을 보내면서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알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주파수분할다중화(FDM) 방식에서 보호대역(guard band)이 필요한 이유는?

  1. 인접한 채널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2. 주파수 대역폭을 조정하기 위해서다.
  3. 좁은 주파수 대역에 많은 채널을 쓰기 위해서다.
  4. 신호의 세기를 적게 하기 위해서이다.
(정답률: 82%)
  • 주파수분할다중화(FDM) 방식에서는 여러 개의 채널이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므로 인접한 채널 사이에서는 간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보호대역(guard band)을 사용하여 인접한 채널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인접한 채널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IEEE 802.15 기술은 WPAN(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을 의미한다. WPAN 영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WiFi
  2. Bluetooth
  3. ZigBee
  4. UWB
(정답률: 51%)
  • WiFi는 WPAN 영역이 아닌 WLAN(무선 지역 네트워크) 기술이다. WPAN은 보통 짧은 거리(약 10m 이내)에서 동작하는 무선 기술을 의미하며, Bluetooth, ZigBee, UWB 등이 해당된다. 반면, WLAN은 보통 넓은 지역에서 동작하는 무선 기술로, WiFi가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