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5-07)

사무자동화산업기사
(2017-05-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사무자동화 시스템

1. 서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 저장장치를 같은 데이터 서버에 연결하여 총괄적으로 관리해주는 네트워크로 가장 옳은 것은?

  1. BcN
  2. LAN
  3. SAN
  4. NMS
(정답률: 71%)
  • SAN은 Storage Area Network의 약자로, 서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 저장장치를 같은 데이터 서버에 연결하여 총괄적으로 관리해주는 네트워크입니다. 따라서 SAN은 다양한 종류의 스토리지 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안정성과 가용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BcN은 광대역 통합망, LAN은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NMS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사무자동화 추진에 있어서 요구분석 시 중점적으로 분석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안전요소
  2. 인적요소
  3. 처리요소
  4. 관리 요소
(정답률: 73%)
  • 사무자동화 추진에 있어서 요구분석 시 중점적으로 분석해야 할 사항은 인적요소와 처리요소, 그리고 관리 요소입니다. 이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안전요소는 사무자동화 시스템의 구성과는 거리가 먼 요소입니다. 안전요소는 주로 물리적인 안전을 의미하며, 사무자동화 시스템의 구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따라서 안전요소는 요구분석 시 중점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체제(O/S)에서 제어프로그램 (Control Programs)의 주된 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Job Management
  2. Accounting Management
  3. Data Management
  4. Resource Management
(정답률: 68%)
  • 제어프로그램의 주된 기능은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 및 응용 프로그램의 요구에 따라 자원을 할당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Accounting Management"은 이와 거리가 먼 기능입니다. Accounting Management은 시스템 자원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비용을 계산하는 기능으로, 자원 할당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필요한 분석을 하고 보기 쉬운 형태로 편집, 출력해 주는 시스템의 개념에 해당하는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

  1. CALS
  2. DSS
  3. MIS
  4. PERTS
(정답률: 48%)
  • DSS는 Decision Support System의 약어로,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검색하고 분석하여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CALS는 컴퓨터 지원 조달 및 생산 시스템, MIS는 경영 정보 시스템, PERTS는 프로젝트 평가 및 검토 기술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 중 DSS가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가장 적합한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컴퓨터의 처리속도 단위 중 피코초(ps)에 해당하는 수치를 10의 지수승 형태로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10-9
  2. 10-12
  3. 10-15
  4. 10-18
(정답률: 80%)
  • 피코초(ps)는 1조분의 1초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1조분의 1초는 0.000000000001초이므로, 이를 10의 지수승 형태로 표현하면 10의 -12승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사무자동화의 접근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전사적 접근 방식
  2. 공통 과제형 접근 방식
  3. 기기 도입형 접근 방식
  4. 기술 통합형 접근 방식
(정답률: 59%)
  • 기술 통합형 접근 방식은 다른 접근 방식과 달리 기술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솔루션을 통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다른 접근 방식과는 거리가 먼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전자우편(E-mail)의 보안 기법과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1. PEM
  2. PGP
  3. S/MIME
  4. POP3
(정답률: 56%)
  • POP3는 전자우편을 수신하는 프로토콜로, 보안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PEM, PGP, S/MIME은 전자우편의 암호화와 인증을 위한 보안 기법이다. 따라서 POP3가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컴퓨터 및 전산기기의 보호 및 유지관리를 위한 장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AVR
  2. AGP
  3. UPS
  4. CVCF
(정답률: 44%)
  • AGP는 그래픽 카드의 연결 인터페이스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컴퓨터 및 전산기기의 보호 및 유지관리를 위한 장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AVR은 자동 전압 조절기, UPS는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CVCF는 전압 및 주파수 제어기로서 각각 전압 변동, 정전 및 전력 안정화, 전압 및 주파수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 컴퓨터 및 전산기기의 안정적인 운영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중앙처리장치 내에 존재하는 레지스터가 아닌 것은?

  1. Program Counter
  2. Instruction register
  3. Accumulator
  4. Multiplexer
(정답률: 74%)
  • Multiplexer는 중앙처리장치 내에 존재하는 레지스터가 아닙니다. Multiplexer는 데이터를 선택하고 전송하는 논리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인터넷 접속을 위한 유/무선 통신 기술이 아닌 것은?

  1. FTTH
  2. HSDPA
  3. LTE
  4. TTC-95K
(정답률: 72%)
  • TTC-95K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유/무선 통신 기술이 아닙니다. TTC-95K는 전화 통신 기술 중 하나로, 전화기와 전화국 사이에 사용되는 디지털 신호 변환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자료저장을 위한 기기 또는 매체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MicroFilm
  2. SSD
  3. LTO
  4. PS/2
(정답률: 66%)
  • PS/2는 컴퓨터의 키보드와 마우스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이며, 자료저장을 위한 기기나 매체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가장 관계가 먼 것입니다. 반면, MicroFilm은 필름에 정보를 기록하여 저장하는 기술, SSD는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기, LTO는 자동화된 백업 및 아카이브 솔루션을 위한 테이프 기반 저장 매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충격식에 해당하는 프린터는?

  1. 도트 매트릭스
  2. 레이저
  3. 열전사
  4. 잉크젯
(정답률: 91%)
  • 충격식 프린터는 "도트 매트릭스"이다. 이는 인쇄물을 만들기 위해 인쇄물 표면에 작은 점들을 찍어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방식은 인쇄물의 품질이 낮을 수 있지만, 내구성이 뛰어나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 방식은 두꺼운 종이와 다양한 종류의 인쇄물에 적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데이터가 발생하는 즉시 처리하여 주어진 시간 내에 그 결과를 반환하는 시스템은?

  1. Batch
  2. Off-line
  3. Real-time
  4. Time Sharing
(정답률: 81%)
  • Real-time 시스템은 데이터가 발생하는 즉시 처리하여 실시간으로 결과를 반환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주어진 시간 내에 즉각적인 응답이 필요한 시스템에 적합하다. Batch는 일괄 처리 시스템, Off-line은 오프라인 처리 시스템, Time Sharing은 시분할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사무자동화를 위한 퍼스널컴퓨터(PC)의 운영체제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Windows
  2. MacOS
  3. Linux
  4. TinyOS
(정답률: 72%)
  • TinyOS는 사무자동화를 위한 운영체제가 아니라, 주로 센서 네트워크와 같은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과는 용도와 특성이 매우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멀티미디어 압축기술에 해당하지 않는 파일 형식은?

  1. GIF
  2. PNG
  3. MPEG
  4. DXF
(정답률: 85%)
  • DXF는 2차원 및 3차원 CAD 파일 형식으로, 멀티미디어 압축기술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GIF, PNG 및 MPEG는 모두 이미지 또는 비디오 파일 형식으로, 압축 기술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어떤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는지에 관계없이 데이터베이스를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하여 만든 응용프로그램의 표준 방법을 의미하는 것은?

  1. GUI
  2. ODBC
  3. interface
  4. O/S
(정답률: 65%)
  • ODBC는 Open Database Connectivity의 약자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어떤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더라도 ODBC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으며, 이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의 표준 방법으로 자리잡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트랜잭션의 속성은 ACID로 정의한다. ACID에 각각 해당하는 용어로 가장 옳지 않은 항목은?

  1. A : Atomicity
  2. C : Circumstance
  3. I : Isolation
  4. D : Durability
(정답률: 57%)
  • ACID에서 C는 일반적으로 속성으로 정의되지 않습니다. ACID는 원자성(Atomicity), 일관성(Consistency), 고립성(Isolation), 지속성(Durability)을 나타내는 속성으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C : Circumstance"가 가장 옳지 않은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설명에 가장 부합하는 사무자동화의 수행방식은?

  1. Bottom-Up Approach
  2. Define Approach
  3. Enterprise Approach
  4. Top-Down Approach
(정답률: 74%)
  • 이 그림은 "Bottom-Up Approach"를 나타냅니다. 이 방식은 작은 부분부터 시작하여 전체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식입니다. 즉, 작은 모듈부터 개발하고 이를 조합하여 전체 시스템을 완성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개발자가 작은 모듈을 개발하고 테스트하는 동안에도 전체 시스템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하며, 시스템의 일부분이 완성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방식은 대규모 프로젝트에서도 유용하며, 시스템의 복잡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에서 응용프로그램이 프로그래밍 되는 단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개념 설계 단계
  2. 구축 단계
  3. 논리 설계 단계
  4. 물리 설계 단계
(정답률: 58%)
  • 응용프로그램이 프로그래밍 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를 실제로 구축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구축 단계"가 가장 적절하다. 이 단계에서는 개념 설계와 논리 설계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고, 응용프로그램에서 필요한 기능들을 구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응용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는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구축 단계에서 이를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의 삽입, 삭제, 수정 등의 데이터 조작을 위해 사용되는 개념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DD
  2. DCL
  3. DDL
  4. DML
(정답률: 52%)
  • "DML"은 데이터 조작 언어(Data Manipulation Language)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의 삽입, 삭제, 수정 등의 데이터 조작을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DML"이 가장 옳은 선택지입니다. "DD"는 데이터 사전 정의 언어(Data Dictionary), "DCL"은 데이터 제어 언어(Data Control Language), "DDL"은 데이터 정의 언어(Data Definition Language)로 각각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권한, 제약 조건 등을 정의하거나 제어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무경영관리 개론

21. 경영과 사무의 관계를 잘못 서술한 것은?

  1. 판매전표를 작성하는 경우 이는 사무이며, 동시에 경영의 판매활동을 처리하는 것이다.
  2. 경영의 목적은 사무에 있고, 사무활동은 작업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으로 분류할 수 있다.
  3. 사무의 간소화, 표준화, 기계화는 동시에 경영활동의 간소화, 표준화, 기계화를 성취하는 것이다.
  4. 사무기능도 경영기능과 같이 생산사무, 재무사무, 인사사무, 판매사무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정답률: 65%)
  • 정답은 "경영의 목적은 사무에 있고, 사무활동은 작업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으로 분류할 수 있다."가 아니다.

    경영과 사무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사무는 경영의 일환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이다. 따라서 경영의 목적은 사무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경영의 목적은 사무를 통해 달성되는 것이다.

    사무활동은 작업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으로 분류할 수 있지만, 이것이 경영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자료의 열람 및 폐기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공개할 경우 사회 및 경제 질서 유지에 혼란이 초래될 우려가 있는 자료는 열람을 제한한다.
  2. 개인의 기밀에 속하는 사항으로 당사자에게 불이익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 열람을 제한한다.
  3. 심한 훼손으로 더 이상 활용이 곤란하게 된 자료는 자료관리 기관의 장이 폐기할 수 있다.
  4. 3본 이상의 복사본을 소장하고 있는 자료로서 열람 빈도가 낮아 복사본을 소장할 필요가 없게 된 자료는 자료관리 기관의 장이 폐기할 수 있다.
(정답률: 76%)
  • 3번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3본 이상의 복사본을 소장하고 있는 자료라고 해도 열람 빈도가 낮아서 복사본을 폐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자료의 폐기는 해당 자료가 더 이상 보존할 가치가 없거나, 보존에 따른 비용이나 위험이 더 큰 경우에 한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문서처리의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즉일처리의 원칙
  2. 책임처리의 원칙
  3. 영구보존의 원칙
  4. 법령적합의 원칙
(정답률: 77%)
  • 영구보존의 원칙은 문서를 보존하는 기간을 명확히 하고, 보존 기간이 만료되면 적절한 방법으로 폐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문서의 중요성과 가치를 인식하고, 정보의 무결성과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원칙입니다. 따라서, 문서처리의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영구보존의 원칙"이 아닌 다른 세 가지 원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사무량 측정 방법에서 다음 설명에 가장 부합하는 개념은?

  1. CMU
  2. PTS
  3. Stop Watch
  4. Work Sampling
(정답률: 48%)
  • PTS는 Predetermined Time System의 약자로, 사전에 정해진 시간을 기반으로 작업량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작업자가 각 동작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미리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업량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PTS는 사무량 측정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코를 킁킁거리다”는 뜻으로 도청 공격을 의미하는 용어로 가장 옳은 것은?

  1. 스푸핑
  2. Dos
  3. 스니핑
  4. XSS
(정답률: 70%)
  • "코를 킁킁거리다"는 것은 다른 사람의 통신 내용을 몰래 엿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행위를 도청 공격이라고 합니다. 이 중에서도 네트워크 상에서 패킷을 가로채서 정보를 탈취하는 공격을 스니핑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니핑"입니다. "스푸핑"은 IP 주소를 위조하여 공격하는 것을 의미하며, "Dos"는 서비스 거부 공격, "XSS"는 웹사이트 취약점을 이용하여 스크립트를 삽입하는 공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사무조직의 형태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라인 조직은 직선 조직 또는 군대식 조직이라고 한다.
  2. 스탭조직은 부서의 의사결정권자인 직속상사의 유일한 통제를 받는다.
  3. 라인스탭조직은 직계참모조직 또는 에머슨식 조직이라고도 한다,
  4. 위원회 조직은 다수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집단 토의 방법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형태이다.
(정답률: 67%)
  • 스탭조직은 부서의 의사결정권자인 직속상사의 유일한 통제를 받는다는 설명이 가장 옳지 않다. 스탭조직은 라인조직의 지원 역할을 하며, 라인조직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지만 직접적인 통제권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계획의 집행을 잘못하였거나 계획 집행상 예상 하지 못한 변화가 생긴 경우 이에 적용 가능한 통제원칙은?

  1. 표준의 원칙
  2. 탄력적 통제원칙
  3. 중요항목 통제원칙
  4. 활동의 원칙
(정답률: 81%)
  • 탄력적 통제원칙은 계획의 집행상 예상하지 못한 변화가 생긴 경우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원칙입니다. 이는 계획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여 프로젝트의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계획의 집행상 예상하지 못한 변화가 생긴 경우 탄력적 통제원칙을 적용하여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사무분담 조사법에서 근무시간 중 일정한 시간을 한정시킨 다음 계속하여 조사하는 발췌검사식 방법은?

  1. 연속관찰법
  2. 계속관찰법
  3. 면접청취법
  4. 기록진행법
(정답률: 66%)
  • 계속관찰법은 근무시간 중 일정한 시간을 한정시킨 다음 그 시간 동안 계속하여 조사하는 발췌검사식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근무시간 전체를 조사하는 연속관찰법과는 달리 일정한 시간을 한정하여 조사하므로 더욱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공공기록물 관리와 관련한 법률상 다음 (괄호)안에 알맞은 것은?

  1. 표준화
  2. 분업화
  3. 간소화
  4. 전문화
(정답률: 83%)
  • 공공기록물은 다양한 기관에서 생성되고 보관되기 때문에 표준화된 형식으로 관리되지 않으면 효율적인 관리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공공기록물 관리를 위해서는 표준화된 형식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자료관리를 위한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는 다르게 빅데이터는 분석이 난해한 대규모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빅데이터의 3가지 특징인 3V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Vacant
  2. Variety
  3. Velocity
  4. Volume
(정답률: 56%)
  • "Vacant"은 빅데이터의 3가지 특징인 3V 중 어느 하나도 아니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Variety"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다루는 것을 의미하고, "Velocity"는 데이터가 생성되고 처리되는 속도를 의미하며, "Volume"은 대규모의 데이터 양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책무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한다.
  2. 안전한 정보통신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3. 이용자의 권익보호와 정보이용능력의 향상에 이바지하여야 한다.
  4. 건전한 정보사회가 정착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정답률: 77%)
  • 정답: "정보통신서비스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 및 이용할 수 있다."

    이유: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 및 이용할 때에는 이용자의 동의를 받아야 하며, 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 및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은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책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각 부서가 서식의 취급을 둘러싸고 어떤 관계에 놓여 있는가를 파악하고 책임범위를 명확히 하는데 목적이 있는 연구 기법은?

  1. 인간 절차 도표
  2. 서식 절차 도표
  3. 서식 경략 도표
  4. 작업 도표
(정답률: 47%)
  • 서식 경략 도표는 각 부서가 서식의 취급을 둘러싸고 어떤 관계에 놓여 있는지 파악하고 책임범위를 명확히 하는데 목적이 있는 연구 기법이다. 이는 각 부서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하여 조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서식 경략 도표가 정답이다. 인간 절차 도표는 인간의 작업 절차를 나타내는 도표, 서식 절차 도표는 서식의 작성 및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도표, 작업 도표는 작업의 순서와 내용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경영전략에 따른 의사결정에 대한 안소프(Ansoff)의 주장과 관계없는 것은?

  1. 의사결정에는 상품의 시장선택이 포함된다.
  2. 의사결정에는 경쟁상의 이점이 포함된다.
  3. 의사결정에는 성장 벡터가 포함된다.
  4. 의사결정에는 환경변화 정보가 포함된다.
(정답률: 67%)
  • "의사결정에는 환경변화 정보가 포함된다."는 안소프의 주장과 관련이 없는 것이 아니라, 안소프는 경영전략을 수립할 때 환경변화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관련이 있다. 안소프는 경영전략을 수립할 때 기업의 내부환경과 외부환경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이는 환경변화 정보를 반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의사결정에는 환경변화 정보가 포함된다."가 정답이 아닌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표준작업시간을 정할 때 여유율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신체 여유
  2. 용달 여유
  3. 피로 여유
  4. 작업 여유
(정답률: 55%)
  • 신체 여유는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예기치 않은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필요한 여유 시간으로, 작업시간을 정할 때 고려되지만 여유율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작업자의 신체적인 상태나 환경 등에 따라 일정한 시간이 소요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작업 도중에 갑작스러운 체력 저하나 부상 등으로 작업을 중단해야 할 경우를 대비하여 신체 여유를 고려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사무실 배치 목표와 거리가 먼 것은?

  1. 집무능률의 향상에 이바지될 수 있어야 할 것
  2. 행정 또는 경영관리의 기능적 수행을 용이하도록 할 것
  3. 직원의 노동, 위생조건이 충족되도록 할 것
  4. 내ㆍ외부 환경의 변화에 적응되지 않도록 할 것
(정답률: 84%)
  • 다른 보기들은 사무실 배치의 목표와 관련된 것들이지만, "내ㆍ외부 환경의 변화에 적응되지 않도록 할 것"은 사무실 배치의 목표와는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사무실은 항상 변화하는 환경에서 일하는 곳이기 때문에, 내ㆍ외부 환경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조직 구성원 능력이나 사정 등을 고려하지 않고 해야 할 일을 중심으로 조직을 구성해야 한다는 사무조직화의 원칙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통솔 범위의 원칙
  2. 전문화의 원칙
  3. 명령 일원화의 원칙
  4. 기능화의 원칙
(정답률: 72%)
  • 기능화의 원칙은 조직 구성원의 능력이나 사정 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해야 할 일을 중심으로 조직을 구성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이는 각각의 기능별로 전문화된 인력을 배치하여 효율적인 일 처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기능화의 원칙이 가장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생체 인증 방식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암호인식
  2. 홍채인식
  3. 지문인식
  4. 정맥인식
(정답률: 81%)
  • 암호인식은 생체 인증 방식이 아니라 비생체 인증 방식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암호인식은 비밀번호나 PIN 번호 등을 입력하여 인증하는 방식으로, 생체 인증 방식과는 달리 신체적인 특징을 이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사무관리의 전문화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집단적 전문화
  2. 기계적 전문화
  3. 개인적 전문화
  4. 표준적 전문화
(정답률: 39%)
  • 표준적 전문화는 일정한 기준과 절차에 따라 일을 처리하는 것으로, 다른 전문화들과 달리 개인적인 경험과 기술보다는 표준화된 지침과 규정을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사무관리의 전문화에 속하지 않는 것은 "표준적 전문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사무작업의 분산화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작업 시간, 거리, 운반 등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2. 사무 작업자의 사기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3. 사무의 중요도에 따라 순조롭게 처리할 수 있다.
  4. 사무원 관리가 용이하다.
(정답률: 68%)
  • "사무원 관리가 용이하다"는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분산화의 목적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것이다. 그러나 사무작업을 분산화하면 각 지점에서 일하는 사무원들의 업무 상황을 더욱 쉽게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무원 관리가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정보보안의 3대 목표가 아닌 것은?

  1. 기밀성
  2. 무결성
  3. 존속성
  4. 가용성
(정답률: 78%)
  • 정보보안의 3대 목표는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입니다. 존속성은 정보보안의 목표 중 하나가 아닙니다. 존속성은 데이터가 존재하고 유지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데이터의 보안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프로그래밍 일반

41. 교착상태(deadlock) 예방 전략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상호 배제
  2. 페이지 폴트
  3. 환형 대기
  4. 비선점
(정답률: 66%)
  • 페이지 폴트는 교착상태(deadlock) 예방 전략에 해당하지 않는다. 페이지 폴트는 메모리 관리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교착상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교착상태 예방 전략으로는 상호 배제, 환형 대기, 비선점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C언어에서 버퍼에 남아 있는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해주는 함수는?

  1. gets()
  2. fflush()
  3. fwrite()
  4. printf()
(정답률: 76%)
  • fflush() 함수는 출력 버퍼에 남아 있는 데이터를 강제로 출력하고 버퍼를 비워주는 함수이다. 따라서 입력 버퍼에 남아 있는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해주는 함수가 아니라 출력 버퍼에 남아 있는 데이터를 삭제해주는 함수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운영체제의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처리량 향상
  2. 신뢰도 향상
  3. 응답시간 단축
  4. 반환시간 증대
(정답률: 81%)
  • 운영체제의 목적은 처리량 향상, 신뢰도 향상, 응답시간 단축 등 다양하다. 그러나 반환시간 증대는 목적이 아니라 부작용이다. 반환시간이란 프로세스가 시작되고 끝나는 시간을 의미하는데, 이 시간이 증가하면 프로세스의 실행 시간이 길어지고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반환시간 증대는 운영체제가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프로그래밍 언어의 해독 순서로 옳은 것은?

  1. 링커 → 로더 → 컴파일러
  2. 컴파일러 → 링커 → 로더
  3. 로더 → 컴파일러 → 링커
  4. 컴파일러 → 로더 → 링커
(정답률: 81%)
  • 정답은 "컴파일러 → 링커 → 로더"입니다.

    컴파일러는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후 링커는 여러 개의 오브젝트 파일을 하나로 합쳐 실행 파일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로더는 실행 파일을 메모리에 적재하여 실행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컴파일러가 먼저 실행되어 소스 코드를 번역하고, 그 다음 링커가 오브젝트 파일을 합쳐 실행 파일을 만들고, 마지막으로 로더가 실행 파일을 메모리에 적재하여 실행시키는 순서가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BNF 심볼에서 정의를 나타내는 기호는?

  1. |
  2. ::=
  3. < >
(정답률: 86%)
  • BNF 심볼에서 정의를 나타내는 기호는 "::="이다. 이는 왼쪽에 있는 기호가 오른쪽에 있는 기호로 정의된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다른 기호들은 선택, 반복, 그룹화 등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메서드 명칭은 동일하지만 매개변수 수와 데이터타입 및 기능을 다르게 정의하는 개념은?

  1. 클래스
  2. 인스턴스
  3. 추상화
  4. 다형성
(정답률: 59%)
  • 다형성은 하나의 메서드명으로 여러 가지 다른 매개변수 수와 데이터타입 및 기능을 정의할 수 있는 개념입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이 높아지며,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프로그램 실행 시 원시 프로그램을 문자 단위로 스캐닝 하여 문법적으로 의미 있는 일련의 문자들로 분할된 단위는?

  1. 토큰
  2. 오토마타
  3. BNF
  4. 모듈
(정답률: 79%)
  • 토큰은 프로그램 실행 시 원시 프로그램을 문자 단위로 스캐닝하여 문법적으로 의미 있는 일련의 문자들로 분할된 단위입니다. 즉, 프로그램에서 의미 있는 최소 단위를 나타내며, 이를 기반으로 문법적인 분석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토큰"이 정답입니다. 오토마타는 유한 상태 기계를 의미하며, BNF는 문법 표기법을 나타냅니다. 모듈은 프로그램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로더의 기능 중 실행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 해 기억장치 내에 옮겨 놓을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은?

  1. 적재
  2. 재배치
  3. 연결
  4. 할당
(정답률: 83%)
  • 로더의 기능 중 실행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해 기억장치 내에 옮겨 놓을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은 "할당"이다. 이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고, 이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더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전에 할당된 메모리 공간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공간을 할당하여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순서 제어 구조에서 묵시적인 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1. 반복문을 사용하는 방법
  2. GOTO문을 사용하는 방법
  3. 연산자의 우선순위에 따른 수식 계산
  4. 연산자의 순서를 프로그래머가 변경하는 방법
(정답률: 69%)
  • 연산자의 우선순위에 따른 수식 계산은 프로그램에서 수식을 계산할 때, 연산자의 우선순위에 따라 자동으로 순서가 결정되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는 프로그래머가 명시적으로 제어 구조를 작성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순서가 결정되므로 묵시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식 "3 + 4 * 2"를 계산할 때, 곱셈 연산자가 덧셈 연산자보다 우선순위가 높으므로 먼저 4 * 2를 계산하고, 그 결과에 3을 더해 11을 얻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컴파일 단계 중 원시프로그램을 토큰으로 분리하는 단계는?

  1. 어휘 분석 단계
  2. 구문 분석 단계
  3. 중간코드 생성 단계
  4. 최적화 단계
(정답률: 61%)
  • 어휘 분석 단계는 원시프로그램을 토큰으로 분리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문법에 맞게 토큰을 생성하고, 이를 나중에 구문 분석 단계에서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어휘 분석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C언어의 포인트 형(Pointer typ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포인터 변수는 기억장소의 번지를 기억하는 동적변수이다.
  2. 포인터는 가리키는 자료형이 일치할 때 대입하는 규칙이 있다.
  3. 보통 변수의 번지를 참조하려면 번지 연산자 #을 변수 앞에 쓴다.
  4. 실행문에서 간접연산자 *를 사용하여 포인터변수가 지시하고 있는 내용 참조한다.
(정답률: 58%)
  • "보통 변수의 번지를 참조하려면 번지 연산자 #을 변수 앞에 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변수의 번지를 참조하려면 & 연산자를 사용해야 합니다. #은 전처리기 지시자에서 사용됩니다.

    간단한 예시로, 변수 x의 번지를 참조하려면 &x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JAVA 언어에 대한 특징이 아닌 것은?

  1. 다중 상속을 받을 수 없다.
  2. 다른 컴퓨터의 환경에 이식이 쉽다.
  3. 캡슐화로 구조화 할 수 있다.
  4. 재사용성이 높다.
(정답률: 67%)
  • JAVA 언어는 다중 상속을 받을 수 없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다중 상속은 하나의 클래스가 여러 개의 클래스로부터 상속받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상속받은 클래스들이 같은 이름의 메소드나 변수를 가지고 있을 경우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충돌을 해결하기 위해 다른 언어에서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지만, JAVA에서는 다중 상속을 지원하지 않는다. 대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다중 상속과 유사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메소드의 구현을 강제하지 않고, 다른 클래스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선언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UNIX 명령어에서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 경로를 보여주는 명령어는?

  1. dir
  2. cat
  3. рwd
  4. write
(정답률: 68%)
  • 정답은 "pwd"입니다. "pwd"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의 경로를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dir"은 윈도우에서 사용되는 명령어이며, "cat"은 파일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write"는 파일에 쓰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Prefix표기법으로 옳은 것은?

  1. -+*ab/cd
  2. a*b+c/d-
  3. ab*cd/+-
  4. *ab-+/cd
(정답률: 69%)
  • "-+*ab/cd"가 옳은 Prefix 표기법이다.

    Prefix 표기법은 연산자가 피연산자 앞에 위치하는 표기법이다. 따라서 "-+*ab/cd"는 다음과 같은 계산식을 나타낸다.

    - (a * b) + (c / d)

    이 계산식을 Prefix 표기법으로 바꾸면 다음과 같다.

    - (+ (* a b) (/ c d))

    따라서 "-+*ab/cd"가 옳은 Prefix 표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구문 분석기가 올바른 문장에 대해 그 문장의 구조를 트리로 표현한 것으로 루트, 중간, 단말 노드로 구성되는 트리는?

  1. 파스 트리
  2. 라운드 트리
  3. 시프트 트리
  4. 토큰 트리
(정답률: 86%)
  • 파스 트리는 문장을 구성하는 구문 요소들의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트리 구조이다. 이는 문장의 구조를 분석하여 각각의 구문 요소들이 어떤 관계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며, 루트 노드는 전체 문장을 나타내고, 중간 노드는 구문 요소들을 나타내며, 단말 노드는 단어들을 나타낸다. 따라서 올바른 문장에 대해 파스 트리를 사용하여 문장의 구조를 분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C 언어에서 문자형 자료 선언 시 사용하는 것은?

  1. float
  2. double
  3. char
  4. int
(정답률: 77%)
  • 문자형 자료를 선언할 때는 "char"를 사용합니다. 이는 문자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형으로, 한 글자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float"와 "double"은 실수형 자료형이며, "int"는 정수형 자료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각 페이지마다 계수기나 스택을 두어 현 시점에서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 하는 페이지 교체 기법은?

  1. SCR
  2. FIFO
  3. RR
  4. LRU
(정답률: 82%)
  • 정답은 "LRU"이다. LRU는 Least Recently Used의 약자로, 가장 최근에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이다. 각 페이지마다 사용된 시간을 기록하고,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함으로써 페이지 부재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반해 SCR은 Second Chance Replacement의 약자로, FIFO와 유사하지만 참조 비트를 사용하여 최근에 참조된 페이지를 우선적으로 교체하는 기법이다. FIFO는 First In First Out의 약자로,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이며, RR은 Round Robin의 약자로, 시간 할당량에 따라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시간 구역성의 예가 아닌 것은?

  1. 순차적 코드의 실행
  2. 순환
  3. 스택
  4. 서브프로그램
(정답률: 51%)
  • 정답은 "순환"입니다.

    "순차적 코드의 실행"은 코드가 작성된 순서대로 실행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코드의 첫 번째 줄부터 마지막 줄까지 차례대로 실행되는 것입니다.

    "순환"은 반복문을 통해 코드를 여러 번 실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for문이나 while문을 사용하여 코드를 반복 실행하는 것입니다.

    "스택"은 함수 호출과 관련된 개념으로, 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스택에 쌓이고, 함수가 종료될 때마다 스택에서 제거됩니다.

    "서브프로그램"은 메인 프로그램에서 호출되어 실행되는 작은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함수나 프로시저 등이 서브프로그램의 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객체지향기법에서 객체에서 실행해야 할 구체적인 연산을 정의한 것은?

  1. Public
  2. Method
  3. Class
  4. Instance
(정답률: 72%)
  • 객체지향기법에서 객체에서 실행해야 할 구체적인 연산을 정의한 것은 Method이다. Method는 객체의 행동을 정의하며, 객체가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을 구체화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Public은 접근 제어자로, Method가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지를 결정한다. Class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틀이며, Instance는 Class를 통해 생성된 객체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C++ 함수 정의 시 아래의 func()처럼 매개 변수를 전달하는 방법은?

  1. Call by Value
  2. Call by Reference
  3. Call by Name
  4. Call by Position
(정답률: 58%)
  • 위의 func() 함수는 매개 변수로 변수 a의 주소를 전달받는다. 이는 Call by Reference 방식으로 매개 변수를 전달하는 것이다. Call by Reference 방식은 매개 변수로 변수의 주소를 전달하여 함수 내에서 해당 변수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함수 호출 후 변수 a의 값이 변경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통신 개론

61. ITU-T에서 1976년에 패킷교환망을 위한 표준으로 처음 권고한 프로토콜은?

  1. X.25
  2. I.9577
  3. CONP
  4. CLNP
(정답률: 83%)
  • X.25은 패킷교환망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로, 1976년에 ITU-T에서 처음 권고되었습니다. 이 프로토콜은 가상회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며,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 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안정적이고 신뢰성 높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원신호를 복원하기 위해서 샘플링주파수는 샘플링 되는 신호의 최고주파수에 비하여 최소한 몇 배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70%)
  • 샘플링 이론에 따르면, 샘플링 주파수는 샘플링 되는 신호의 최고 주파수의 2배 이상이어야 한다. 이를 나이퀴스트-샘플링 정리라고도 한다.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광섬유 케이블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축 케이블보다 더 넓은 대역폭을 지원한다.
  2. 전송속도가 UTP 케이블보다 빠르다.
  3. 동축 케이블에 비해 전자기적 잡음에 약하다.
  4. 동축 케이블에 비해 전송손실이 적다.
(정답률: 76%)
  • "동축 케이블에 비해 전자기적 잡음에 약하다."가 틀린 것이다. 광섬유 케이블은 전자기적인 신호가 아닌 빛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자기적 잡음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광섬유 케이블은 동축 케이블보다 전자기적 잡음에 강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OSI 7 계층에서 데이터링크계층의 기능에 해당하는 것은?

  1. 코드 변환
  2. 우편 서비스
  3. 네트워크 가상 터미널
  4. 오류제어
(정답률: 54%)
  • 데이터링크계층은 물리계층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관리하고,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OSI 7 계층에서 데이터링크계층의 기능에 해당하는 것은 "오류제어"입니다. 이는 데이터의 손실이나 손상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TC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신뢰성 있는 전송 프로토콜이다.
  2. 전이중 서비스를 제공한다.
  3. 비 연결형 프로토콜이다.
  4. 스트림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답률: 61%)
  • TCP 프로토콜은 비 연결형 프로토콜이 아니라 연결형 프로토콜이다. TCP는 3-way handshake를 통해 연결을 설정하고, 데이터 전송 후에는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를 통해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하며, 전이중 서비스와 스트림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멀티포인트 네트워크에서 단말로부터 제어국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무엇이라 하는가?

  1. entity
  2. routing
  3. PCI
  4. polling
(정답률: 61%)
  • 단말로부터 제어국 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polling" 이라고 한다. 이는 제어국이 단말에게 데이터를 요청하고, 단말이 이에 대한 응답을 보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제어국의 요청을 기다렸다가 응답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유는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비패킷형 단말기들을 패킷교환망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패킷으로 조립하고, 수신측에서는 분해해주는 것은?

  1. PAD
  2. X.30
  3. Li-Fi
  4. NIC
(정답률: 72%)
  • PAD는 Packet Assembler/Disassembler의 약자로, 비패킷형 단말기들이 패킷교환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패킷으로 조립하고, 수신측에서는 분해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PAD가 정답입니다. X.30은 시리얼 인터페이스 표준, Li-Fi는 빛 통신 기술, NIC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주파수분할 다중화(FDM)방식에서 보호대역(guard band)의 역할로 가장 옳은 것은?

  1. 주파수 대역폭 확장
  2. 신호의 세기를 증폭
  3. 채널간의 간섭을 제한
  4. 많은 채널을 좁은 주파수 대역에 포함
(정답률: 79%)
  • 보호대역은 인접한 채널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채널간의 주파수 겹침을 최소화하여 채널간 간섭을 제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보호대역은 FDM 방식에서 채널간의 간섭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LAN의 토폴로지 형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Star형
  2. Bus형
  3. Ring형
  4. Square형
(정답률: 86%)
  • "Square형"은 LAN의 토폴로지 형태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LAN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토폴로지 형태가 "Star형", "Bus형", "Ring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Square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토폴로지 형태이며, 네트워크 구성이 복잡해지고 유지보수가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1200[baud]의 변조속도를 갖는 전송선로에서 신호 비트가 3bit이면, 전송속도[bps]는?

  1. 1200
  2. 2400
  3. 3600
  4. 4800
(정답률: 74%)
  • 1200 baud는 초당 1200번의 신호 변조가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전송속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단지 변조속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전송속도는 비트 수와 변조속도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3비트의 경우 전송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전송속도 = 3비트 x 1200 baud = 3600 bps

    따라서, 정답은 "36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M진 PSK에서 반송파간의 위상차는? (단, M은 진수이다.)

  1. π × M
  2. (2π)/(3M)
  3. (√π)/M
  4. (2π)/M
(정답률: 74%)
  • M진 PSK에서는 M개의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진 신호를 사용한다. 이 때, 반송파와 각 신호의 위상 차이는 모두 같아야 한다. 따라서, 반송파와 각 신호의 위상 차이는 360도(또는 2π 라디안)를 M으로 나눈 값이 된다. 즉, 위상 차이는 (2π)/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회선 양쪽 시스템이 처리 속도가 다를 때 데이터양이나 통신 속도를 수신 축이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넘어서지 않도록 조정하는 기술은?

  1. 인증제어
  2. 흐름제어
  3. 오류제어
  4. 동기화
(정답률: 75%)
  • 흐름제어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측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측 간의 속도 차이를 조절하여 데이터 양이나 통신 속도를 수신 측이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넘어서지 않도록 조정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 상황에서는 흐름제어가 적절한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Link State 방식의 라우팅 프로토콜은?

  1. RIP
  2. RIP V2
  3. IGRP
  4. OSPF
(정답률: 60%)
  • Link State 방식의 라우팅 프로토콜은 네트워크의 전체적인 토폴로지 정보를 수집하여 최적의 경로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이 중에서 OSPF는 Link State 방식의 대표적인 라우팅 프로토콜로, 네트워크의 전체적인 토폴로지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Dijkstr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의 경로를 계산한다. 또한, OSPF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데이터 전송의 흐름이 양방향으로 전송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양방향으로 전송할 수 없으므로 정보의 흐름을 전환하여 반드시 한 방향으로만 전송하는 전송 방식은?

  1. 전이중(Full Duplex) 방식
  2. 반이중(Half Duplex) 방식
  3. 단방향(Simplex) 방식
  4. 비동기(Asynchronous) 전송 방식
(정답률: 83%)
  • 반이중(Half Duplex) 방식은 데이터 전송을 양방향으로 할 수 있지만, 동시에 양방향으로 전송할 수 없으므로 정보의 흐름을 전환하여 반드시 한 방향으로만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송신과 수신이 번갈아가며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송 속도가 느려질 수 있지만, 전이중(Full Duplex) 방식보다는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수신단에서 디지털 전송 신호로부터 데이터 비트를 복원하는 장치는?

  1. Allocation
  2. Transformer
  3. Mesh
  4. Decoder
(정답률: 66%)
  • Decoder는 디지털 전송 신호로부터 데이터 비트를 해석하여 복원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기적인 신호를 변환하거나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대표적인 PCM(Pulse Code Modulation) 변조 방식의 과정은?

  1.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 복호화 → 여과
  2. 표본화 → 여과 → 부호화 → 복호화 → 양자화
  3. 표본화 → 부호화 → 양자화 → 복호화 → 여과
  4. 표본화 → 여과 → 복호화 → 부호화 → 양자화
(정답률: 82%)
  • PCM 변조 방식에서는 먼저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표본화 과정을 거칩니다. 이후 양자화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고, 각 구간에서 가장 근접한 값을 선택하여 정확도를 희생하고 데이터를 압축합니다. 부호화를 통해 압축된 데이터를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고, 이를 복호화하여 원래의 디지털 신호로 복원합니다. 마지막으로 여과를 통해 불필요한 고주파 신호를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디지털 신호를 완성합니다. 따라서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 복호화 → 여과"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IPv4망에서 IPv6망으로의 천이기법이 아닌 것은?

  1. Dual Stack
  2. Tunneling
  3. Translation
  4. Fragmentation
(정답률: 53%)
  • IPv4에서 IPv6로의 천이 과정에서 Fragmentation은 사용되지 않는다. 이는 IPv4와 IPv6의 패킷 크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IPv4는 최대 65,535바이트의 패킷 크기를 지원하지만, IPv6는 최대 65,535바이트보다 큰 1280바이트 이상의 패킷 크기를 지원한다. 따라서 IPv4에서 IPv6로의 천이 과정에서는 Fragmentation이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빠르게, 일정한 속도로, 신뢰성 있게 보내기 위해 대역폭, 우선순위 등 네트워크 자원을 주어진 네트워크 자원에 각종 응용프로그램의 송신 수요를 지능적으로 맞춰주는 여러 가지 기술을 총칭하는 용어는?

  1. NTP
  2. QoS
  3. RADIUS
  4. SMTP
(정답률: 57%)
  • QoS는 Quality of Service의 약자로,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각종 응용프로그램의 송신 수요를 지능적으로 맞춰주는 기술을 말합니다. 대역폭, 우선순위 등을 고려하여 데이터를 빠르게, 일정한 속도로, 신뢰성 있게 보내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QoS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HDLC에서 한 프레임(Frame)을 구성하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Flag
  2. Address Field
  3. Control Field
  4. Start/Stop bit
(정답률: 70%)
  • "Start/Stop bit"은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비트로, 다른 요소들은 프레임 내에서 중요한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지만 "Start/Stop bit"은 단순히 프레임의 경계를 표시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신호대 잡음비가 15이고, 대역폭이 1200[Hz]라고 하면 통신용량(bps)은?

  1. 1200
  2. 2400
  3. 4800
  4. 9600
(정답률: 59%)
  • 신호대 잡음비가 15이므로, 신호의 전력은 잡음의 전력보다 15배 높습니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SNR = 10log(Ps/Pn)
    15 = 10log(Ps/Pn)
    1.5 = log(Ps/Pn)
    Ps/Pn = 10^1.5 = 31.62

    여기서 Ps는 신호의 전력, Pn은 잡음의 전력을 나타냅니다. 대역폭이 1200[Hz]이므로, 신호의 최대 전송 속도는 2*1200 = 2400[bps]입니다. 따라서, 통신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통신용량 = 대역폭 * log2(1 + SNR)
    = 1200 * log2(1 + 31.62)
    ≈ 4800

    따라서, 정답은 "48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