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정비사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4-05)

PC정비사 1급
(2015-04-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PC운영체제

1. Windows XP의 부팅과 관련된 파일들이다. 부팅 과정에서 사용되는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1. a - b - c - d - e
  2. b - c - a - d - e
  3. b - a - c - e - d
  4. a - e - c - b - d
(정답률: 65%)
  • 정답은 "b - a - c - e - d" 입니다.

    b - BOOTMGR 파일은 부팅 매니저로, 시스템 파티션에서 가장 먼저 실행됩니다.
    a - NTLDR 파일은 이전 버전의 Windows에서 사용되던 부트로더로, BOOTMGR이 NTLDR을 찾아 실행합니다.
    c - boot.ini 파일은 부팅 옵션을 설정하는 파일로, NTLDR이 이 파일을 찾아 부팅 옵션을 설정합니다.
    e - HAL.dll 파일은 하드웨어 추상화 레이어로, 시스템 하드웨어와 상호작용하여 Windows가 부팅될 수 있도록 합니다.
    d - ntoskrnl.exe 파일은 Windows 커널로, Windows 운영체제를 실행하는 핵심 파일입니다. HAL.dll과 함께 Windows 운영체제를 초기화하고 실행합니다.

    따라서, 부팅 과정에서는 BOOTMGR이 가장 먼저 실행되고, NTLDR을 실행하여 boot.ini 파일을 찾아 부팅 옵션을 설정한 후, HAL.dll과 ntoskrnl.exe 파일을 실행하여 Windows 운영체제를 초기화하고 실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외부 코덱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의 Windows Media Player 10 에서 재생할 수 없는 미디어 파일은?

  1. mkv
  2. mp3
  3. asf
  4. avi
(정답률: 69%)
  • mkv 파일은 일반적으로 Windows Media Player 10에서 지원되지 않는 비디오 코덱을 사용하기 때문에 재생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외부 코덱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mkv 파일을 재생할 수 없습니다. 반면, mp3, asf, avi 파일은 Windows Media Player 10에서 기본적으로 지원되는 코덱을 사용하기 때문에 재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Windows XP 제어판 도구 중 시스템 신호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구성 요소는?

  1. 디스플레이
  2. 시스템
  3. 프로그램 추가/제거
  4. 내게 필요한 옵션
(정답률: 73%)
  • 정답은 "내게 필요한 옵션"입니다. 이는 Windows XP 제어판의 다른 구성 요소와 달리 사용자가 직접 필요한 옵션을 선택하여 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구성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며, 시스템 신호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기능도 이 구성 요소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현재의 운영체제는 Windows XP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새로운 사용자를 등록하기 위해 ‘로컬 사용자 및 그룹’ 항목을 이용한다. 이때 각각의 이름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짝지어진 것은?

  1. Administrator - 컴퓨터/도메인 관리하도록 기본적으로 제공된 계정
  2. HelpAssistant - 원격 지원 제공 계정
  3. Guest - 게스트가 컴퓨터/도메인을 액세스하도록 기본 제공된 계정
  4. IWAM_[컴퓨터 이름] - 인터넷 정보 서비스에 액세스 하는데 사용되는 계정
(정답률: 67%)
  • 정답: HelpAssistant - 원격 지원 제공 계정

    IWAM_[컴퓨터 이름]은 인터넷 정보 서비스에 액세스하는 데 사용되는 계정으로, IIS (인터넷 정보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필요합니다. Administrator는 컴퓨터 또는 도메인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 제공 계정입니다. Guest는 게스트가 컴퓨터 또는 도메인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기본 제공된 계정입니다. HelpAssistant는 원격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계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PC 운영체제가 디스크에 수행하는 논리적 포맷을 수행할 때 만들어지는 디스크 영역이 아닌 것은?

  1. 부트 기록
  2. 운영체제 버전
  3. 파일 할당표(FAT)
  4. 루트 디렉터리
(정답률: 74%)
  • 운영체제 버전은 디스크의 논리적 포맷과는 관련이 없는 정보이기 때문에 디스크 영역이 아닙니다. 부트 기록, 파일 할당표(FAT), 루트 디렉터리는 모두 디스크 영역에 속하는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Windows XP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파일 시스템은?

  1. EXT2
  2. FAT16
  3. NTFS
  4. CDFS
(정답률: 65%)
  • Windows XP는 기본적으로 EXT2 파일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는 EXT2가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이기 때문입니다. Windows XP는 FAT16, NTFS, CDFS 파일 시스템을 지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가상 메모리 설정 시 제공되는 정보가 아닌 것은?

  1. 드라이브[볼륨 레이블]
  2. 페이징 크기
  3. 선택된 드라이브의 페이징 파일 크기
  4. 선택된 드라이브의 세그먼트의 크기
(정답률: 61%)
  • 가상 메모리 설정 시 선택된 드라이브의 세그먼트의 크기는 제공되는 정보가 아닙니다. 가상 메모리는 페이지 단위로 관리되며, 페이지 크기는 페이징 크기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선택된 드라이브의 페이징 파일 크기와 페이징 크기는 가상 메모리 설정 시 제공되는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Windows XP의 원격지원 서비스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Windows Messenger, 전자 메일로도 원격지원 요청이 가능하다.
  2. 상대방의 IP 주소로도 원격 지원 요청을 할 수 있다.
  3. [시작]-[모든 프로그램]-[원격지원]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4. 원격지원 서비스는 컴퓨터에 문제가 있을 경우 문제가 발생한 컴퓨터가 있는 장소에서 도와줄 사람이 도움 받을 사람의 컴퓨터를 직접 조작하는 것이 아닌, 인터넷을 이용하여 도움 받을 사람의 컴퓨터에 접속하여 제어를 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61%)
  • 잘못된 설명은 "상대방의 IP 주소로도 원격 지원 요청을 할 수 있다." 입니다. 이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원격 지원 요청을 보내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컴퓨터에서 원격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설정이 되어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상대방의 컴퓨터에서 원격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상대방의 컴퓨터에서 원격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상대방의 IP 주소로 원격 지원 요청을 보내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Windows XP의 레지스트리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텍스트 기반이며, 크기가 32KB를 넘지 못한다.
  2. 정렬된 계층구조를 가진다.
  3. HKey_Users키로 사용자별 정보를 지원한다.
  4. 원격지에서 관리와 시스템 정책을 할 수 있다.
(정답률: 63%)
  • "텍스트 기반이며, 크기가 32KB를 넘지 못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레지스트리는 이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크기 제한이 없다. 이진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읽을 수 있지만, 실제로는 이진 데이터로 저장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Windows XP에서 제어판의 “네트워크 설정 마법사”의 기능과 거리가 먼 것은?

  1. 인터넷 연결 공유 설정
  2. Windows 방화벽 설정
  3. 파일 및 모든 장치 공유 설정
  4. 프린터 공유 설정
(정답률: 34%)
  • "네트워크 설정 마법사"는 컴퓨터와 네트워크 간의 연결 설정을 도와주는 기능이며, 다양한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파일 및 모든 장치 공유 설정"은 네트워크 상에서 파일 및 장치를 공유하기 위한 설정입니다. 따라서, "파일 및 모든 장치 공유 설정"은 네트워크 설정과는 거리가 먼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Windows XP에서 처음 시작할 때 자동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수정할 수 있는 곳이 아닌 것은?

  1. 레지스트리
  2. msconfig.exe
  3. 시작 프로그램 폴더
  4. system.ini
(정답률: 73%)
  • system.ini 파일은 Windows XP에서는 자동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수정할 수 있는 곳이 아닙니다. 이 파일은 시스템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로, 시스템 구성을 변경하려면 이 파일을 직접 수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자동 실행 프로그램을 수정하려면 레지스트리, msconfig.exe 또는 시작 프로그램 폴더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Windows XP의 CMD 명령 창에서 autoexec.bat안의 Text로 작성된 내용을 화면으로 보고자 할 때 올바른 명령어는?

  1. dir autoexec.bat
  2. type autoexec.bat
  3. read autoexec.bat
  4. confirm autoexec.bat
(정답률: 60%)
  • 정답: type autoexec.bat

    설명: type 명령어는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autoexec.bat 파일의 내용을 보고자 할 때는 type autoexec.bat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dir 명령어는 해당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며, read와 confirm은 CMD 명령어로 존재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Windows XP의 인터넷 정보 서비스(IIS)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NNTP 서버 구축
  2. Web 서버 구축
  3. SMTP 서버 구축
  4. FTP 서버 구축
(정답률: 55%)
  • NNTP 서버 구축은 인터넷 정보 서비스(IIS)와는 관련이 없는 서비스이다. NNTP 서버는 Usenet 뉴스 그룹을 호스팅하기 위한 서버이며, IIS는 웹 서버, FTP 서버, SMTP 서버 등을 제공한다. 따라서 NNTP 서버 구축은 이 보기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의 종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바이러스의 예방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반드시 하드디스크에서 부팅을 한다.
  2. 메모리카드의 쓰기 방지 탭을 사용한다.
  3. 중요한 데이터는 CD-ROM에 보관한다.
  4.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정답률: 80%)
  • "반드시 하드디스크에서 부팅을 한다."가 잘못된 것이다. 이유는 바이러스는 하드디스크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이나 이메일 등을 통해 전파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드디스크에서 부팅하는 것만으로는 바이러스 예방에 충분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HDD 전문 백업 프로그램으로, 파티션 정보를 포함한 HDD백업이 가능하고 네트워크를 이용한 백업 및 복구가 가능한 프로그램은?

  1. GOPHER
  2. GHOST
  3. TOOLKIT PRO
  4. 하이퍼터미널
(정답률: 81%)
  • 정답인 "GHOST"는 HDD 전문 백업 프로그램으로, 파티션 정보를 포함한 HDD백업이 가능하고 네트워크를 이용한 백업 및 복구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주변기기

16. HP사가 레이저프린터와 PC간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하여 개발한 특수 언어로 올바른 것은?

  1. ECL
  2. PCL
  3. CCD
  4. ECP
(정답률: 68%)
  • 정답은 "PCL"입니다. PCL은 HP사가 개발한 프린터 제어 언어로, 레이저프린터와 PC간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CL은 프린터의 해상도, 글꼴, 용지 크기 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운영체제와 호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VGA 카드의 해상도가 1024*768 이면서 256 컬러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의 비디오 메모리 용량은?

  1. 1MB
  2. 512KB
  3. 256KB
  4. 128KB
(정답률: 52%)
  • 1024*768*8(비트) = 6,291,456 비트
    6,291,456 비트 / 8(바이트) / 1024(킬로바이트) = 768KB
    하지만 256 컬러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각 픽셀당 1바이트가 필요하므로
    768KB * 1 = 768KB
    따라서 VGA 카드의 해상도가 1024*768 이면서 256 컬러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의 비디오 메모리 용량은 1M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CPU 성능 평가 지표가 아닌 것은?

  1. 클럭속도
  2. 캐시 메모리
  3. 집적도
  4. RAM속도
(정답률: 76%)
  • RAM속도는 CPU 성능 평가 지표가 아닌 이유는 RAM은 CPU와는 별개의 하드웨어이기 때문입니다. CPU 성능 평가 지표는 CPU 자체의 속도와 성능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RAM속도는 CPU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다른 세 가지와 달리 수치가 클수록 성능이 낮아지는 것은?

  1. CPU 성능(MHz)
  2. RAM의 Access 속도(ns)
  3. CD-ROM 성능(배속)
  4. LAN 연결속도(bps)
(정답률: 74%)
  • RAM의 Access 속도가 클수록 성능이 낮아지는 이유는 RAM이 느리면 CPU가 데이터를 불러오는 데 시간이 더 걸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RAM의 Access 속도가 빠를수록 CPU의 성능이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BGA타입의 칩셋에서 사우스 브릿지(South Bridge)가 담당하는 장치가 아닌 것은?

  1. USB
  2. 마우스
  3. AGP
  4. 전원관리 컨트롤러
(정답률: 45%)
  • AGP는 그래픽 카드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포트이며, 사우스 브릿지는 주변 장치들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AGP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BGA타입의 칩셋에서 사우스 브릿지가 담당하는 장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PC의 버스 인터페이스 방식이 아닌 것은?

  1. ISA
  2. PCI-E
  3. AGP
  4. FPGA
(정답률: 64%)
  • ISA, PCI-E, AGP은 모두 PC의 버스 인터페이스 방식이지만, FPGA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 회로를 의미하는 용어로, 버스 인터페이스 방식이 아니다. FPGA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회로를 프로그래밍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반도체 솔루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소켓 규격 중 AMD CPU용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소켓 FM2
  2. 소켓 AM3
  3. 소켓 754
  4. 소켓 1155
(정답률: 59%)
  • 소켓 1155은 AMD CPU용으로 사용되지 않는 소켓 규격이다. 이 소켓은 인텔 CPU용으로 개발되었으며, 인텔의 2세대 및 3세대 코어 프로세서와 호환된다. AMD CPU는 다른 소켓 규격을 사용하기 때문에 소켓 1155은 AMD CPU와 호환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에 설명하는 장치나 인터페이스의 명칭으로 올바른 것은?

  1. SCSI 버스
  2. 직렬 포트
  3. 병렬 포트
  4. 네트워크 카드
(정답률: 50%)
  • 이 장치는 여러 개의 데이터 비트를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병렬 인터페이스이기 때문에 "병렬 포트"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IEEE 1284'는 무엇에 대한 규격인가?

  1. 직렬포트
  2. USB
  3. 병렬포트
  4. LAN
(정답률: 54%)
  • IEEE 1284는 프린터와 컴퓨터 사이의 통신을 위한 병렬포트 규격이다. 따라서 정답은 "병렬포트"이다. 직렬포트는 병렬포트와는 다른 규격으로, USB와 LAN은 네트워크와 연결을 위한 규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SCSI 커넥터와 케이블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커넥터는 핀 수에 따라 25핀, 50핀, 68핀으로 구분된다.
  2. 내장형 SCSI는 보통 SCSI어댑터에 리본형 케이블을 연결하고 50핀은 고밀도 60핀은 표준커넥터로 사용한다.
  3. 만일 내장형 장치 중에 SCSI어댑터와는 다른 형태의 커넥터로 되어 있다면 컨버터가 필요하다.
  4. 브라켓컨버터는 커넥터가 달린 브라켓과 리본케이블 그리고 SCSI어댑터의 커넥터에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로 구성된다.
(정답률: 43%)
  • 정답은 "내장형 SCSI는 보통 SCSI어댑터에 리본형 케이블을 연결하고 50핀은 고밀도 60핀은 표준커넥터로 사용한다."가 아니다. 내장형 SCSI는 보통 SCSI어댑터에 리본형 케이블을 연결하고 50핀은 표준커넥터로 사용한다. 60핀은 고밀도 커넥터로 사용된다. 따라서, "50핀은 고밀도 60핀은 표준커넥터로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전자 악기간의 디지털 신호를 주고받기 위하여 각종 신호를 약속한 일종의 약속 언어인 MIDI의 원어로 올바른 것은?

  1. Multi Interface for Digital Instrument
  2. Multi Input Data Instrument
  3.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4. Musical Interface for Digital Input
(정답률: 61%)
  • MIDI는 전자 악기간의 디지털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약속 언어이며, 이를 통해 다양한 악기와 장비들이 서로 호환되어 작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MIDI의 원어는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무선랜 카드의 인터페이스가 아닌 것은?

  1. PCIe
  2. USB
  3. PCMCIA
  4. NetSpot
(정답률: 58%)
  • NetSpot은 무선랜 카드의 인터페이스가 아니라, 무선 네트워크 분석 및 관리 도구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CIe, USB, PCMCIA는 모두 무선랜 카드의 인터페이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컴퓨터를 사용하는 도중 갑자기 정전되면 작업 중인 데이터를 잃어버리거나 심한 경우 시스템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게 된다. 갑작스런 정전이 발생할 경우 일정 시간동안 전기를 공급하여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사용하도록 도와주는 장치는?

  1. AVR
  2. UPS
  3. CPS
  4. IPS
(정답률: 80%)
  • 정전이 발생하면 전기를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시스템이 갑작스럽게 종료될 수 있습니다. 이때,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는 일정 시간동안 전기를 공급하여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갑작스런 정전으로 인한 데이터 손실이나 시스템 손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은 TV수신카드 제품사양의 한 예이다. 잘못 연결된 것은?

  1. CHIPSET - S-Video 입력
  2. CAPTURE - 동영상, 정지화면 저장(640*480)
  3. CAPTION - Closed(자막방송)
  4. INTERFACE - PCI 방식
(정답률: 57%)
  • 잘못 연결된 것은 "CAPTION - Closed(자막방송)"이다. TV수신카드는 자막방송을 받아들이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해당 사양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화상 채팅을 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장비가 아닌 것은?

  1. 헤드폰 셋
  2. PC 카메라
  3. MPEG 보드
  4. 사운드 카드
(정답률: 68%)
  • MPEG 보드는 화상 채팅을 하기 위해 필요한 장비가 아니라, 비디오 파일을 인코딩하거나 디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화상 채팅을 하기 위해 필요한 장비는 헤드폰 셋, PC 카메라, 사운드 카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디지털 논리회로

31. 4개의 쿼드비트(Quadbit)를 비트(bit)로 환산한 결과 값은?

  1. 8
  2. 16
  3. 32
  4. 64
(정답률: 59%)
  • 쿼드비트는 2진수로 표현할 때 4자리의 비트로 이루어진 단위이다. 따라서 4개의 쿼드비트는 4 x 4 = 16개의 비트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정답은 "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중 바이폴라 소자가 아닌 것은?

  1. RTL
  2. HTL
  3. TTL
  4. CMOS
(정답률: 60%)
  • CMOS는 바이폴라 소자가 아닌 것입니다. 바이폴라 소자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서 전압이 변화하는 소자인데, CMOS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서 전류가 변화하는 소자입니다. 따라서 CMOS는 바이폴라 소자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레이 코드 0101을 2진 코드로 변환한 것은?

  1. 0110
  2. 1010
  3. 1011
  4. 0100
(정답률: 47%)
  • 그레이 코드에서 0101은 이전 숫자인 0111과 XOR 연산을 하면 된다.

    0111 XOR 0101 = 0010

    그리고 이진 코드에서 0010은 2진수로 2를 나타내므로,

    0101의 2진 코드는 011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1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16진수를 계산한 답 중 옳은 것은?

  1. 1111
  2. 0C78
  3. 1440
  4. 1451
(정답률: 57%)
  • 16진수에서 각 자리는 2의 제곱수로 계산된다. 따라서, 첫 번째 자리는 1x16^3 = 4096, 두 번째 자리는 4x16^2 = 1024, 세 번째 자리는 4x16^1 = 64, 네 번째 자리는 0x16^0 = 0 이므로, 총합은 4096+1024+64+0 = 5184 이다. 따라서, 옳은 답은 "144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전자계산기의 기억요소(Memory Element)로 사용하는 장치가 아닌 것은?

  1. Disk
  2. Flip Flop
  3. Register
  4. Inverter
(정답률: 72%)
  • Inverter는 기억 요소를 가지지 않는 논리 게이트이기 때문에 전자계산기의 기억요소로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PC유지보수

36. Award BIOS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전원을 켰더니 1번은 길게, 3번은 짧게 "삐익~ 삐삐삐" 비프 음이 들리면서 부팅이 되지 않는다. 이 경우 예상되는 에러는?

  1. 메모리 동작 오류
  2. 디스플레이 장치 인식 오류
  3. 전원 불량
  4. E-IDE 인식 오류
(정답률: 41%)
  • 정답은 "디스플레이 장치 인식 오류"이다.

    1번 길게, 3번 짧게 "삐익~ 삐삐삐" 비프음은 Award BIOS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인식 오류를 나타내는 오류 코드이다. 이 경우, 시스템이 부팅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부팅이 되지 않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시스템 부팅 과정 중 화면에 나오는 "Verifying DMI Pool Data"라는 메시지의 의미는?

  1. 시스템에 설치된 OS의 종류를 확인한다는 메시지
  2. CMOS 셋업에 설정된 대로 메인보드에 연결된 각 장치들이 사용하는 자원을 확인하면서 내보내는 메시지
  3. CMOS에 Data가 없다는 메시지
  4. POST 과정을 다 끝냈다는 메시지
(정답률: 57%)
  • "Verifying DMI Pool Data"는 CMOS 셋업에 설정된 대로 메인보드에 연결된 각 장치들이 사용하는 자원을 확인하면서 내보내는 메시지입니다. 즉, 시스템이 부팅될 때 각 장치들이 제대로 인식되고 사용 가능한지 확인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메시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리눅스 파티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Primary 파티션
  2. Extended 파티션
  3. Logical 파티션
  4. Physical 파티션
(정답률: 53%)
  • "Physical 파티션"은 리눅스 파티션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는 파티션의 물리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용어로, 하드디스크나 SSD 등의 물리적인 저장장치를 파티션으로 나누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Physical 파티션"은 파티션의 종류가 아니며, "Primary 파티션", "Extended 파티션", "Logical 파티션"은 모두 리눅스 파티션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Windows XP의 복구 콘솔 명령어와 사용법에 대한 내용 중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fixmbr - 부팅 디스크의 마스터 부팅 레코드를 복구할 때 사용
  2. bootcfg - boot.ini 파일을 구성, 변경하는 명령어
  3. map -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서비스와 드라이버를 표시
  4. attrib - 파일 및 디렉터리 속성을 변경
(정답률: 54%)
  • map 명령어는 사용 가능한 모든 서비스와 드라이버를 표시하는 명령어입니다. 다른 명령어들은 각각 부팅 디스크의 마스터 부팅 레코드를 복구하거나 boot.ini 파일을 구성, 변경하거나 파일 및 디렉터리 속성을 변경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도스모드에서 CD-ROM 인식과 관련이 없는 파일은?

  1. AUTOEXEC.BAT
  2. MSCDEX.EXE
  3. OAKCDROM.SYS
  4. SYSTEM.INI
(정답률: 65%)
  • SYSTEM.INI 파일은 운영체제의 설정 파일로, CD-ROM 인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AUTOEXEC.BAT 파일은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배치 파일이며, MSCDEX.EXE와 OAKCDROM.SYS 파일은 CD-ROM 드라이버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CD 레코딩 작업 중 발생되는 “Buffer Under Run” 에러의 해결책으로 잘못된 것은?

  1. 레코딩 작업 중 다른 작업을 병행하지 않는다.
  2. 레코딩 기록 속도는 낮춰준다.
  3. 이미지 파일을 만들어 레코딩 작업을 한다.
  4. 하드디스크의 빈 공간을 확보한다.
(정답률: 52%)
  • 잘못된 것은 "이미지 파일을 만들어 레코딩 작업을 한다." 이다. 이미지 파일을 만들어 레코딩 작업을 하면 디스크 공간을 더 많이 차지하게 되어 오히려 버퍼 언더런 에러가 더 자주 발생할 수 있다.

    하드디스크의 빈 공간을 확보하는 것은 버퍼 언더런 에러를 해결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다. 레코딩 작업 중에는 대용량의 데이터가 계속해서 생성되기 때문에, 충분한 디스크 공간이 확보되어 있어야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하드디스크의 빈 공간을 확보하여 버퍼 언더런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Windows를 사용하는 도중 속도가 점점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문제의 원인으로 잘못된 것은?

  1. 레지스트리가 점점 커지고 불필요한 내용이 쌓이기 때문이다.
  2. Windows에서 사용하는 DLL과 드라이버 파일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3. 하드디스크의 단편화가 심해지기 때문이다.
  4. 디스크 캐시와 가상 메모리의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정답률: 51%)
  • 디스크 캐시와 가상 메모리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들의 성능이 저하되면 시스템 전체의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디스크 캐시는 자주 사용되는 파일을 빠르게 로드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능이며, 가상 메모리는 물리적 메모리가 부족할 때 하드디스크를 일종의 확장 메모리로 사용하는 기능이다. 이들의 성능이 저하되면 파일 로딩이 느려지고, 프로그램 실행 속도가 느려지며, 전반적인 시스템 성능이 저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Windows를 사용하던 중 “KERNEL32.DLL에서 잘못된 연산이 수행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나는 이유로 잘못된 것은?

  1. 어플리케이션간 메모리 충돌이 일어날 때
  2. KERNEL32.DLL의 버전이 다르거나 손상된 경우
  3. CPU와 메모리의 FSB가 맞지 않을 경우
  4. 메인 메모리가 불량인 경우
(정답률: 65%)
  • “KERNEL32.DLL에서 잘못된 연산이 수행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나는 이유는 CPU와 메모리의 FSB가 맞지 않을 경우입니다. 이는 CPU와 메모리 간의 통신 속도가 맞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로, 이로 인해 잘못된 명령어가 전달되어 오류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CPU와 메모리의 FSB를 맞춰주거나, 더 높은 속도의 메모리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케이스 전면의 스위치 표시 램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

  1. LED는 디스크가 움직일 때 불이 들어온다.
  2. LED는 방향을 반대로 연결해도 문제가 없다.
  3. LED스위치는 극성이 없으므로 위치만 맞으면 된다.
  4. LED에 항상 불이 안들어오면 컴퓨터에 이상이 생긴 것이다.
(정답률: 60%)
  • LED는 양극성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있어서, 전류의 방향에 따라서 양쪽 다 다른 색상으로 빛을 내게 됩니다. 그러나 LED 스위치의 경우에는 극성이 없이 설계되어 있어서, 어느 방향으로 연결하더라도 문제가 없습니다. 따라서 위치만 맞추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현재 운영하고 있는 Web 서버에 사용자가 급증하여 응답 시간이 현저히 늦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 시스템의 응답 시간을 빠르게 하기 위한 조치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CPU 사용량을 확인하여, Web 서버 컴퓨터를 CPU가 여러 개로 구성된 병렬 컴퓨터 시스템으로 교체한다.
  2. 네트워크 전송량을 확인하여, Web 서버 컴퓨터가 연결된 전용선을 좀 더 용량이 큰 회선으로 교체한다.
  3.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하여, Web 서버 컴퓨터의 주기억(Main Memory) 장치 용량을 늘린다.
  4. 하드디스크 사용 빈도를 확인하여, Web 서버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용량을 늘린다.
(정답률: 63%)
  • 하드디스크 사용 빈도를 확인하여, Web 서버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용량을 늘리는 것은 잘못된 방법입니다. 하드디스크 용량을 늘리는 것은 저장 용량을 늘리는 것이지, 시스템의 응답 시간을 빠르게 하는 것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방법은 CPU 사용량, 네트워크 전송량, 메모리 사용량 등을 확인하여 적절한 대응 방안을 수립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마우스의 인터페이스를 보면 최근에는 PS/2나 USB이지만 이전에는 Serial 포트를 인터페이스로 사용하였다. Serial 포트를 사용할 경우 컴퓨터 내부의 어떤 장치와 IRQ의 충돌이 일어날 수 있는가?

  1. HDD
  2. VGA Card
  3. MODEM
  4. FDD
(정답률: 57%)
  • Serial 포트는 컴퓨터 내부의 다른 장치와 IRQ(Interrupt Request)를 공유하기 때문에, 같은 IRQ를 사용하는 다른 장치와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MODEM은 Serial 포트를 사용하는 장치 중 하나이며, 다른 장치들과 IRQ를 공유할 때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MODEM은 Serial 포트를 사용할 때 IRQ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장치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EIDE 방식의 하드디스크를 추가하였으나 인식하지 못할 때, 취할 수 있는 적절한 조치로서 잘못된 것은?

  1. 케이블이 정확하게 연결되었는지 케이블의 방향은 정확하게 연결되었는지에 대해 확인한다.
  2. 전원 커넥터가 제대로 접속되어 있는지 혹은 헐겁게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3. Master/Slave를 결정해 주는 점퍼가 제대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4. 디스크 베이에 디스크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정답률: 74%)
  • 디스크 베이에 디스크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EIDE 방식의 하드디스크를 추가했을 때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의 원인 중 하나가 디스크가 제대로 고정되어 있지 않아서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디스크가 제대로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케이블이나 점퍼 설정 등의 문제가 아무리 해결되어도 하드디스크가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베이에 디스크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하드디스크의 논리적인 Bad Sector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1. BIOS Setup에서 하드디스크의 Type 설정을 변경한다.
  2. 휴지통을 비운다.
  3. Low Level Format을 실시한다.
  4. 디스크 조각 모음을 실행한다.
(정답률: 74%)
  • 논리적인 Bad Sector는 디스크의 파일 시스템에 문제가 있는 경우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Low Level Format을 실시해야 한다. Low Level Format은 디스크의 표면을 지우고 새로운 섹터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논리적인 Bad Sector를 제거할 수 있다. BIOS Setup에서 하드디스크의 Type 설정을 변경하거나 휴지통을 비우는 것은 논리적인 Bad Sector와는 관련이 없다. 디스크 조각 모음은 디스크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논리적인 Bad Sector를 제거하지는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CPU가 64비트로 업그레이드 되었다는 의미는?

  1. 외부버스 : 64비트, 내부버스 : 32비트
  2. 외부버스 : 32비트, 내부버스 : 64비트
  3. 외부버스 : 32비트, 내부버스 : 32비트
  4. 외부버스 : 64비트, 내부버스 : 64비트
(정답률: 75%)
  • CPU가 64비트로 업그레이드 되었다는 것은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32비트에서 64비트로 늘어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외부와 내부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빨라졌고, 더 많은 데이터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외부버스 : 64비트, 내부버스 : 64비트"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CPU가 CAS/RAS 에 신호를 보내어 메모리의 정보가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1. Lead
  2. Delay
  3. Latency
  4. Integrity
(정답률: 66%)
  • 정답은 "Latency"입니다. CPU가 CAS/RAS에 신호를 보내어 메모리의 정보가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Latency"입니다.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 발생하는 지연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Latency"가 정답인 이유는 CPU와 메모리 간의 데이터 전송 시간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PC네트워크

51. 패킷 스위칭 방식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패킷 단위로 데이터 전송이 일어난다.
  2. 메시지를 일정 크기로 자른 것을 패킷이라 한다.
  3. Store-and-Forward 방식을 이용한다.
  4. 많은 양의 정보를 연속으로 보낼 때 유효한 방식이다.
(정답률: 62%)
  • 잘못된 것은 없다. 패킷 스위칭 방식은 메시지를 일정 크기로 자른 패킷 단위로 데이터 전송이 일어나며, Store-and-Forward 방식을 이용한다. 또한, 많은 양의 정보를 연속으로 보낼 때 유효한 방식이다. 이 방식은 데이터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기 때문에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도 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OSI 7계층의 응용 계층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Telnet
  2. ICMP
  3. SNMP
  4. SMTP
(정답률: 40%)
  • ICMP는 OSI 7계층 중 응용 계층이 아닌 네트워크 계층에 속합니다.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임의의 스위칭 허브에서 MDIX, MDI 전환기능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스위칭 허브와 스위칭 허브를 연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합치 않은 것은?

  1. 스위칭 허브 <- (CrossLink) -> 스위칭 허브
  2. 스위칭 허브 <- (Link) ->스위칭 허브
  3. 스위칭 허브 <- (Matrix Cable) -> 스위칭 허브
  4. 스위칭 허브 <- (Port Trunk) -> 스위칭 허브
(정답률: 64%)
  • 정답은 "스위칭 허브 <- (CrossLink) -> 스위칭 허브"입니다.

    MDIX와 MDI 전환기능이 없는 스위칭 허브는 일반적으로 자동으로 MDI 또는 MDIX를 감지하여 적절한 모드로 작동합니다. 그러나 두 개의 스위칭 허브를 연결할 때는 이러한 자동 감지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 개의 스위칭 허브를 연결할 때는 CrossLink 케이블을 사용해야 합니다. CrossLink 케이블은 한 쪽의 케이블에서 TX와 RX를 교차시켜 다른 쪽의 케이블에 연결하는 것으로, MDI와 MDIX를 수동으로 교환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냅니다.

    그러므로 "스위칭 허브 <- (CrossLink) -> 스위칭 허브"가 적합하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라우터와 브리지의 비교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브리지는 네트워크 안의 모든 컴퓨터에 대한 정보를 전부 가지고 있어야 한다.
  2. 브리지는 네트워크 넘버를 가지고 있지 않고, 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를 생성하기 때문에 많은 수의 컴퓨터를 연결 할 경우 문제를 만든다.
  3. 라우팅 네트워크를 갖는 경우에도 브로드캐스팅에 의해 많은 양의 대역폭을 잠식당한다.
  4. 라우터에서는 인터네트워크 안에 있는 다른 네트워크의 번호, 패킷을 보내는데 필요한 최적 경로정보, 인터네트워크 환경의 변화에 따른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정답률: 39%)
  • "라우팅 네트워크를 갖는 경우에도 브로드캐스팅에 의해 많은 양의 대역폭을 잠식당한다."가 잘못된 것이다. 라우터는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분리하여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트에 의한 대역폭 잠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라우터는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분리하여 대역폭을 보호할 수 있는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무선 랜의 기본 전송 기술 중 DSSS(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방식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넓은 대역으로 데이터를 확산하여 전송한다.
  2. 보안성이 우수하다.
  3. 강한 잡음에 전송 품질을 매우 잘 유지한다.
  4. 2.4GHz~2.5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정답률: 40%)
  • "강한 잡음에 전송 품질을 매우 잘 유지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DSSS 방식은 잡음에 강한 특성이 있지만, 강한 잡음이 발생할 경우 전송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DSSS 방식은 넓은 대역으로 데이터를 확산하여 전송하고, 보안성이 우수하며 2.4GHz~2.5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일정한 코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확산시키기 때문에, 다른 기기에서 발생하는 잡음이나 간섭에도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강한 잡음이 발생할 경우에는 확산된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하지 못하게 되어 전송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Internet에 직접 노출될 수 없는 사설 IP Address는?

  1. 81.25.226.11
  2. 192.168.1.254
  3. 165.1.64.6.
  4. 202.30.128.27
(정답률: 58%)
  • 사설 IP Address는 인터넷에서 직접 노출되지 않는 IP 주소로,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회사 내부에서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 "192.168.1.254"는 사설 IP Address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IP 주소입니다. 이는 인터넷에서 직접 노출되지 않으며, 가정 내부에서만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IP 주소는 인터넷에서 접근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Windows를 사용하는 컴퓨터에서 노벨 NetWare에 접속하고자 할 경우에 설치해야 하는 프로토콜은?

  1. TCI/IP
  2. IPX/SPX 호환 프로토콜
  3. NetBEUI
  4. NetBios
(정답률: 49%)
  • 노벨 NetWare는 IPX/SPX 프로토콜을 사용하므로, Windows 컴퓨터에서 노벨 NetWare에 접속하려면 IPX/SPX 호환 프로토콜을 설치해야 합니다. 다른 프로토콜들은 노벨 NetWare와 호환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텍스트 방식으로 접속했을때 사용하는 인터넷 검색 방법은?

  1. Gopher
  2. IRC
  3. Telnet
  4. WWW
(정답률: 30%)
  • Gopher는 텍스트 기반의 인터넷 검색 방법으로, 메뉴와 하이퍼링크를 사용하여 정보를 검색하고 공유하는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텍스트 방식으로 접속했을 때 사용하는 인터넷 검색 방법으로 적합하다. IRC는 인터넷 라디오 채팅, Telnet은 원격 로그인, WWW는 월드 와이드 웹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프록시 서버(Proxy Server)의 기능을 가장 올바로 설명한 것은?

  1. 자주 접속하는 사이트의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 해 둠으로서 인터넷 속도를 개선한다.
  2. 접속했던 사이트의 기록을 제거한다.
  3. 인터넷 접속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이다.
  4. 웹 서비스외에 뉴스 그룹이나 FTP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
(정답률: 65%)
  • 프록시 서버는 자주 접속하는 사이트의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해 둠으로서 인터넷 속도를 개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해당 사이트에 접속할 때, 이미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서 보여주기 때문에 인터넷 속도가 빨라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Windows XP에서 지원하는 인터넷 연결 방화벽(ICF)은 어떤 방식인가?

  1. 애플리케이션 방화벽
  2. 상태 저장 방화벽
  3. 서킷 방화벽
  4. 하이브리드 방화벽
(정답률: 42%)
  • Windows XP에서 지원하는 인터넷 연결 방화벽(ICF)은 상태 저장 방화벽이다. 이는 패킷을 검사하여 연결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허용되지 않은 패킷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또한, 이 방식은 애플리케이션 방화벽과 달리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가 불가능하며, 서킷 방화벽과 하이브리드 방화벽과 달리 패킷 필터링만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