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정비사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10-18)

PC정비사 1급
(2015-10-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PC운영체제

1. 운영체제의 발전과정과 추세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운영체제는 초기에는 자원의 효율적 관리가 가장 중요한 목표였으나 점차 사용 환경이 더 중요한 목표가 되었다.
  2. 사용환경의 편리성을 위해 하드웨어적인 문제는 점차 사용자로부터 격리되어 시스템의 책임하에 운영하도록 개선되었다.
  3. 사용 편의성 증대를 목적으로 그림 사용자 접속 환경(GUI:Graphic User Interface)이 개발되어 사용자는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4. GUI 환경은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각종 설정을 단순화 시켰으므로 누구나 쉽게 시스템의 설정 상태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정답률: 57%)
  • 정답: "GUI 환경은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각종 설정을 단순화 시켰으므로 누구나 쉽게 시스템의 설정 상태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설명: GUI 환경은 사용자가 시스템을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지만, 모든 설정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일부 설정은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해 제한되어 있으며, 일반 사용자는 이러한 설정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부분적으로 잘못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시스템 처리 방식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실시간 처리 시스템(Real Time Processing System) : 데이터가 발생하는 즉시 컴퓨터에서 처리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으로 은행의 온라인이나 각종 예약업무에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2. 일괄 처리 방식(Batch Processing System) : CPU가 한 사용자로부터 다른 사용자로 빠르게 교환시켜 주는 시스템으로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때도 실제는 한 개의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지만 각 사용자는 독립된 컴퓨터로 작업하는 느낌을 가질 수 있다.
  3. 시분할 시스템(Time Sharing System) : 여러 개의 작업을 하나로 묶어 자동적으로 한 작업에서 다른 작업으로 연속될 수 있도록 한 처리 방식이다.
  4. 시분할 시스템(Time Sharing System)은 주로 항공표, 기차표 예매 등에 사용된다.
(정답률: 79%)
  • 정답은 "실시간 처리 시스템(Real Time Processing System) : 데이터가 발생하는 즉시 컴퓨터에서 처리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으로 은행의 온라인이나 각종 예약업무에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이다. 이유는 실시간 처리 시스템은 데이터가 발생하는 즉시 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은행의 온라인이나 예약업무와 같이 실시간으로 처리가 필요한 업무에 주로 사용된다는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일괄 처리 방식, 시분할 시스템과 같이 다른 처리 방식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Windows 7 Professional 을 사용하는 PC의 특정 디스크에서 임의의 파일을 찾아보려고 할 때 사용되는 방법이 잘못된 것은?

  1. 바탕화면에서 [Windows]+[F3]키를 누른다.
  2. 시작메뉴에서 [프로그램 및 파일 검색]을 클릭한다.
  3. 내 컴퓨터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누른 후 [S]키를 누른다.
  4. Windows 탐색기에서 [Ctrl]+[E]키를 누른다.
(정답률: 74%)
  • 정답은 "내 컴퓨터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누른 후 [S]키를 누른다."입니다. 이 방법은 Windows 7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방법으로, Windows 10에서는 검색 기능이 개선되어 사용 가능하지만 Windows 7에서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Windows의 OS 중 기본 커널로 NT5를 사용하는 운영체제는?

  1. Windows XP
  2. Windows Vista
  3. Windows 7
  4. Windows 8.1
(정답률: 49%)
  • Windows XP는 NT5 커널을 사용하는 운영체제입니다. 이는 Windows XP가 NT 계열의 운영체제이며, NT5 커널을 기반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NT6, NT6.1, NT6.2 커널을 사용하는 운영체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Windows에서 부팅 후 자동으로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하려고 한다. 해당 프로그램의 단축 아이콘을 프로그램 메뉴의 어디에 위치하여야 하는가?

  1. 시작 프로그램
  2. 기본 프로그램
  3. 보조 프로그램
  4. 빠른 실행
(정답률: 81%)
  • 정답은 "시작 프로그램"이다. 시작 프로그램은 Windows가 부팅될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을 모아놓은 폴더이다. 따라서 해당 프로그램의 단축 아이콘을 시작 프로그램 폴더에 위치시키면 부팅 후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보안이나 해킹 방지를 위한 공유 폴더의 관리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공유 폴더는 되도록이면 만들지 않는 것이 좋다.
  2. 공유 폴더는 반드시 암호를 걸어 사용한다.
  3. 공유를 해야 하는 폴더가 2개 이상 있을 경우에는, 드라이브의 루트 폴더를 공유하여 접근이 용이하도록 한다.
  4. 공유 폴더의 용도에 따라 필요한 액세스 권한만 부여한다.
(정답률: 80%)
  • 정답: 공유를 해야 하는 폴더가 2개 이상 있을 경우에는, 드라이브의 루트 폴더를 공유하여 접근이 용이하도록 한다.

    설명: 드라이브의 루트 폴더를 공유하면 모든 하위 폴더와 파일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부여하므로 보안상 취약점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공유를 해야 하는 폴더마다 개별적으로 공유 폴더를 만들고 필요한 액세스 권한만 부여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FAT32 파일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는 운영체제는?

  1. Windows NT 4.0
  2. Windows ME
  3. Windows XP
  4. Windows 7
(정답률: 71%)
  • Windows NT 4.0은 FAT32 파일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 운영체제는 NTFS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며, FAT32 파일 시스템을 지원하는 Windows 95/98/ME와는 호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디스크 관리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Windows 7 의 디스크 관리는 [제어판]-[시스템 및 보안]-[관리도구]-[컴퓨터 관리] 에서 실행이 가능하다.
  2.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하기 위하여 디스크 위에서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파티션만들기를 수행한다.
  3. 새로운 드라이브를 생성한 후 꼭 재부팅을 하고 포맷 과정을 거쳐야 한다.
  4. 논리 드라이브를 삭제하면 해당 드라이브 내의 모든 데이터도 함께 상실 된다.
(정답률: 70%)
  • "새로운 드라이브를 생성한 후 꼭 재부팅을 하고 포맷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새로운 드라이브를 생성하고 포맷하는 과정에서는 재부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Windows 7 Professional 에서 "장치 관리자"를 통해서 할 수 있는 작업이 아닌 것은?

  1. 디스크 장치에 쓰기 캐싱 설정
  2. 장치 드라이버 업데이트
  3. DVD 지역 코드 변경
  4. 쿨러 제어를 통한 시스템 온도 조절
(정답률: 70%)
  • "장치 관리자"는 하드웨어 장치들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도구이다. 따라서 "쿨러 제어를 통한 시스템 온도 조절"은 소프트웨어적인 기능이 아닌 하드웨어적인 기능이기 때문에 "장치 관리자"를 통해서는 조절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Windows 7 Professional 에서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를 실행하는 명령어는?

  1. gpedit.msc
  2. eventvwr.msc
  3. lusrmgr.msc
  4. regedit.exe
(정답률: 70%)
  • Windows 7 Professional 에서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를 실행하는 명령어는 "gpedit.msc" 이다. 이는 Group Policy Editor의 약어로, 로컬 그룹 정책을 편집할 수 있는 도구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이벤트 뷰어, 로컬 사용자 및 그룹 관리자, 레지스트리 편집기이며, 로컬 그룹 정책과는 관련이 있지만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사용자 데이터 원본을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관리 도구는?

  1. 데이터 원본(ODBC)
  2. 로컬 보안 정책
  3. 구성 요소 서비스
  4. 이벤트 뷰어
(정답률: 77%)
  • 데이터 원본(ODBC)은 Open Database Connectivity의 약자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데이터 원본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관리 도구입니다. ODBC를 사용하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간의 호환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데이터 원본을 통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데이터 원본(ODB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Windows 7 Professional의 로컬 영역 연결 상태에서 볼 수 있는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1. Internet Protocol Vershion 4 (TCP/IPv4)
  2. Internet Protocol Vershion 6 (TCP/IPv6)
  3. VDSL-PPP
  4. Link-Layer Topology Discovery Responder
(정답률: 74%)
  • VDSL-PPP은 인터넷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이며, 로컬 영역 연결 상태에서는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VDSL-PPP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로컬 영역 연결 상태에서 볼 수 있는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항목 가운데 인터넷 서비스가 아닌 것은?

  1. WWW
  2. LOGON
  3. FTP
  4. USENET
(정답률: 76%)
  • 정답은 "LOGON"입니다. 이유는 WWW, FTP, USENET은 모두 인터넷 서비스이지만, LOGON은 인터넷 서비스가 아닌 컴퓨터 시스템에 로그인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웹브라우저가 기본적으로 이해하는 정보의 형태를 제외한 동영상이나 소리 등을 듣기 위해 별도로 설치하는 프로그램은?

  1. CGI 프로그램
  2. 자바 프로그램
  3. 플러그인 프로그램
  4. 쿠키 프로그램
(정답률: 73%)
  • 웹브라우저가 기본적으로 이해하는 정보의 형태를 제외한 동영상이나 소리 등을 듣기 위해서는 해당 정보를 해석하고 재생할 수 있는 별도의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플러그인 프로그램이라고 합니다. 플러그인 프로그램은 웹브라우저에 추가로 설치하여 사용하며,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Windows OS 에서 부팅 관련 사항을 수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Windows 7 Professional : 시작-실행-MSINFO-소프트웨어환경
  2. Windows XP : 시작-제어판-시스템-고급-시작 및 복구의 설정-편집
  3. Windows 7 Professional : 시작-실행-MSCONFIG-부팅탭
  4. Windows XP : 시작-실행-CMD 에서 c:\로 이동 EDIT BOOT.INI
(정답률: 62%)
  • 정답은 "Windows 7 Professional : 시작-실행-MSINFO-소프트웨어환경" 입니다. 이는 부팅 관련 사항을 수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각각 부팅 설정을 수정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주변기기

16. EEPROM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칩을 구성하는 소자의 전하를 전기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데이터를 기록, 소거한다.
  2. 모뎀, 비디오카드, 메인보드, SCSI 컨트롤러 등에 사용된다.
  3. 전원이 없이도 장기간 안정적으로 기억하는 비휘발성 기억 장치이다.
  4. 재기록 가능 회수의 제한이 없이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다.
(정답률: 64%)
  • "재기록 가능 회수의 제한이 없이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EEPROM은 일정 회수 이상의 재기록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EEPROM의 수명을 제한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재기록 가능 회수의 제한이 없이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레이드를 구성하고 있는 하드디스크 중 하나에 문제가 생겼을 때 복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아닌 것은?

  1. 레이드 0
  2. 레이드 1
  3. 레이드 0+1
  4. 레이드 5
(정답률: 63%)
  • 레이드 0은 데이터를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에 나누어 저장하는 방식으로, 하나의 디스크에 문제가 생기면 전체 데이터가 손실됩니다. 따라서 레이드 0은 하드디스크 중 하나에 문제가 생겼을 때 복구를 할 수 없는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자기(Magnetism)를 사용하여 저장하는 방식이 아닌 장치는?

  1. FDD
  2. Zip Drive
  3. Blu-ray
  4. HDD
(정답률: 64%)
  • Blu-ray는 자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빛을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자기를 사용하는 FDD, Zip Drive, HDD와는 다른 저장 방식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현재 KS X 5002 규정에 국가 표준으로 공인되어 있는 한글 자판은?

  1. 2벌식 자판
  2. 3벌식 자판
  3. 3벌식 최종자판
  4. 3벌식 390 자판
(정답률: 69%)
  • KS X 5002 규정에 국가 표준으로 공인된 한글 자판은 "2벌식 자판"입니다. 이는 한글 자모를 초성, 중성, 종성으로 나누어 키보드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하여 입력하는 방식으로, 타자 속도와 정확도가 높고 학습이 쉬워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3벌식 자판은 초성, 중성, 종성을 모두 하나의 키로 입력하는 방식으로, 일부 특수한 용도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3벌식 최종자판과 3벌식 390 자판은 3벌식 자판의 변형으로, 일부 특수한 용도를 위해 사용되지만 일반적으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마우스의 1인치당 포인트 이동 픽셀 단위는?

  1. DPI
  2. ppm
  3. mm
  4. inch
(정답률: 79%)
  • 마우스의 1인치당 포인트 이동 픽셀 단위는 DPI (Dots Per Inch)이다. DPI는 인치당 점의 개수를 나타내는 단위로, 마우스가 이동한 거리에 따라 컴퓨터 화면에서 움직이는 포인터의 이동 거리를 결정한다. 높은 DPI를 가진 마우스는 작은 움직임에도 정확한 이동을 보장하며, 게임이나 그래픽 작업 등에서 높은 정확도가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스캐너로 입력한 사진을 컴퓨터로 가져 오기 위해 필요한 드라이버로 올바른 것은?

  1. IDE
  2. GUI
  3. CUI
  4. TWAIN
(정답률: 67%)
  • 정답은 "TWAIN"입니다. 스캐너는 이미지를 디지털화하여 컴퓨터에 전송하는 장치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스캐너와 컴퓨터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드라이버가 필요합니다. TWAIN은 스캐너와 컴퓨터 간의 통신을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로, 대부분의 스캐너에서 지원됩니다. 따라서 스캐너로 입력한 사진을 컴퓨터로 가져오기 위해서는 TWAIN 드라이버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모니터 화면의 한 화소는 빨강, 녹색, 파랑의 3개 색소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 중 화점 간격을 나타내는 것은?

  1. 해상도
  2. 도트 피치
  3. 수평 주파수
  4. 수직 주파수
(정답률: 72%)
  • 정답: 도트 피치

    도트 피치는 모니터 화면에서 인접한 빨강, 녹색, 파랑 화소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즉, 도트 피치가 작을수록 화면의 해상도가 높아지며, 더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트 피치가 0.25mm인 모니터는 도트 피치가 0.28mm인 모니터보다 더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토너 기반의 프린터로 Fuser 라는 고온 고압의 정착기를 통과하면서 토너 가루가 완전히 용지에 정착이 되어 인쇄되는 프린터의 종류는?

  1.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
  2. 감열식 프린터
  3. 레이저 프린터
  4. 잉크젯 프린터
(정답률: 72%)
  • 레이저 프린터는 토너 기반의 프린터로, Fuser라는 고온 고압의 정착기를 통과하면서 토너 가루가 완전히 용지에 정착이 되어 인쇄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가장 부합하는 프린터는 레이저 프린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이렉트X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 다이렉트 3D - 3D 그래픽 가속 기능 제어
  2. 다이렉트 플레이 - 네트워크 게임 지원
  3. 다이렉트 MPEG - 동영상 재생 규격
  4. 다이렉트 사운드 - 현실감 있는 사운드 지원
(정답률: 50%)
  • 다이렉트 MPEG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다이렉트X는 동영상 재생을 위한 다이렉트쇼(DirectShow)라는 별도의 컴포넌트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L2 캐시의 동작 방식이 아닌 것은?

  1. 비동기 방식
  2. 동기 방식
  3. 슬롯 방식
  4. 파이프라인 버스트 방식
(정답률: 66%)
  • 슬롯 방식은 L2 캐시의 동작 방식이 아닙니다. 이유는 L2 캐시는 주소 매핑을 통해 캐시 라인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때는 캐시 라인의 태그를 비교하여 데이터를 찾습니다. 반면에 슬롯 방식은 고정된 위치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때는 해당 위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로 찾아서 사용합니다. 따라서 L2 캐시는 슬롯 방식이 아닌 비동기 방식, 동기 방식, 파이프라인 버스트 방식 등의 방식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전원관리용 규격으로 운영체제가 직접 제어하도록 하는 기능은?

  1. ATAPI
  2. UPS
  3. ATX
  4. ACPI
(정답률: 64%)
  • ACPI는 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의 약자로, 전원 관리와 관련된 기능을 운영체제가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규격이다. 따라서 운영체제는 ACPI를 통해 컴퓨터의 전원 관리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ATA/ATAPI는 하드디스크와 광학 드라이브의 인터페이스 규격, UPS는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ATX는 컴퓨터의 전원 공급 장치 규격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USB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시리얼 포트의 일종이다.
  2. 4개의 핀이 있으며, +5V가 케이블 자체에서 공급된다.
  3. 최대 127개의 주변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4. USB 1.1규격에 따르면 연결된 모든 장치는 최대 20Mbps의 전송속도를 지원한다.
(정답률: 60%)
  • USB 1.1규격에 따르면 연결된 모든 장치는 최대 12Mbps의 전송속도를 지원한다. 따라서 "USB 1.1규격에 따르면 연결된 모든 장치는 최대 20Mbps의 전송속도를 지원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전자 악기간의 디지털 신호를 주고받기 위하여 각종 신호를 약속한 일종의 약속 언어인 MIDI의 원어로 올바른 것은?

  1. Multi Interface for Digital Instrument
  2. Multi Input Data Instrument
  3.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4. Musical Interface for Digital Input
(정답률: 66%)
  • MIDI는 전자 악기간의 디지털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약속 언어이며, 그 이름은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입니다. 이는 음악적인 기기들 간의 디지털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 MIDI는 음악적인 정보를 전송하고, 음악적인 기기들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가 올바른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전원공급기에서 직류 출력전압이 안정되면 ‘H'상태로 되고, 정상치 이하로 떨어지면 ‘L’상태로 되는 단자는?

  1. +12 Volt
  2. -12 Volt
  3. Power Good
  4. +5 Volt
(정답률: 66%)
  • 답은 "Power Good"입니다. 전원공급기에서 직류 출력전압이 안정되면 ‘H'상태로 되고, 정상치 이하로 떨어지면 ‘L’상태로 되는 단자는 많지만, 이 중에서도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Power Good 신호입니다. Power Good 신호는 전원공급기가 안정적인 전압을 출력하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로, 이 신호가 ‘H’ 상태가 되어야만 시스템이 동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ower Good 신호는 시스템 안정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성격이 다른 디바이스는?

  1. USB 3.0
  2. SCSI
  3. PCI
  4. IEEE 1394
(정답률: 64%)
  • PCI는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의 약자로, 컴퓨터의 주변 기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중 하나입니다. USB 3.0, SCSI, IEEE 1394은 모두 컴퓨터와 주변 기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지만, 각각의 특징과 전송 속도, 연결 방식 등이 다르기 때문에 성격이 다릅니다. PCI는 다른 인터페이스와는 달리 컴퓨터의 메인보드에 직접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로, 전송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디지털 논리회로

31. 펄스(pulse) 진폭 변조와 펄스 위상 변조를 비교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펄스 위상 변조가 채널수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2. S/N비는 펄스 진폭 변조가 더 떨어진다.
  3. 채널수가 같을 때는 펄스 진폭 변조 방식의 펄스폭이 넓어도 된다.
  4. 모두 다중통신 방식에 적합하다.
(정답률: 57%)
  • "펄스 위상 변조가 채널수를 더 크게 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펄스 진폭 변조와 펄스 위상 변조는 모두 다중통신 방식에 적합하며, 채널수가 같을 때는 펄스 진폭 변조 방식의 펄스폭이 넓어도 된다. 그러나 S/N비는 펄스 진폭 변조가 더 떨어지며, 펄스 위상 변조는 펄스의 위상을 변화시켜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채널수를 늘리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이오드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한쪽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른다.
  2.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3. 복조파에 실려 있는 신호파형을 축출하는 것을 검파 다이오드라고 한다.
  4. 제너 다이오드는 역방향 전류가 가해졌을 때 전압 변동이 크다.
(정답률: 56%)
  • "제너 다이오드는 역방향 전류가 가해졌을 때 전압 변동이 크다."는 옳은 설명이다. 제너 다이오드는 역방향 전압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여 전압이 급격히 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2진수 체계에서 2의 보수와 1의 보수 간의 관계는?

  1. 2의 보수 = 1의 보수 + 1
  2. 2의 보수 = 1의 보수 + 2
  3. 2의 보수 = 1의 보수 - 1
  4. 2의 보수 = 1의 보수 - 2
(정답률: 64%)
  • 2진수 체계에서 1의 보수는 모든 비트를 반전시킨 값이고, 2의 보수는 1의 보수에 1을 더한 값입니다. 이는 2진수에서 1을 더하면 가장 오른쪽 비트부터 올라가면서 carry가 발생하는데, 이 carry 값이 2의 보수에서 가장 왼쪽 비트로 전파되어 1이 더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의 보수 = 1의 보수 + 1"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함수 F=(A'B)+(B'C)+(C'D)의 쌍대(dauality)관계가 옳은 것은?

  1. (A+B')(B+C')(C+D')
  2. (AB')+(BC')+(CD')
  3. (A'+B)(B'+C)(C'+D)
  4. (A'+B'+C')(B+C+D)
(정답률: 62%)
  • 정답은 "(A'+B)(B'+C)(C'+D)"이다.

    쌍대 관계란 논리식에서 AND와 OR을 바꾸고, 0과 1을 바꾸어서 얻어지는 새로운 논리식을 말한다.

    따라서, F=(A'B)+(B'C)+(C'D)의 쌍대 관계를 구하기 위해서는 AND와 OR을 바꾸고, 0과 1을 바꾸어야 한다.

    (A'B)+(B'C)+(C'D)에서 AND와 OR을 바꾸면 (A+B')(B+C')(C+D')가 된다.

    또한, 0과 1을 바꾸면 A'B'CD'가 된다.

    따라서, F=(A'B)+(B'C)+(C'D)의 쌍대 관계는 (A+B')(B+C')(C+D') 또는 A'B'CD'이다.

    그 중에서도 (A+B')(B+C')(C+D')가 더 간단하고 명료한 형태이므로 정답은 (A'+B)(B'+C)(C'+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전가산기(full adder)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입력비트3개의 합과 출력올림수를 구하는 조합논리회로
  2. 입력비트2개의 합과 출력올림수를 구하는 조합논리회로
  3. 2개의 반가산기와 1개의 AND게이트로 구성
  4. 2개의 반가산기와 1개의 NOT게이트로 구성
(정답률: 48%)
  • 전가산기는 입력으로 3개의 비트를 받아서 이들의 합과 올림수를 출력하는 조합논리회로입니다. 이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는 반가산기이며, 2개의 반가산기와 1개의 AND 게이트로 전가산기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력으로 받은 3개의 비트를 각각 반가산기에 연결하여 합과 자리올림수를 구하고, 이들을 다시 한번 반가산기에 연결하여 최종 합과 올림수를 구합니다. 이때, 최종 올림수는 AND 게이트를 통해 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PC유지보수

36. CPU, 메인보드칩셋, 메모리가 서로 호환 되지 않는 것은?

  1. 코어 2듀오 E8400 - Intel G41 - DDR3 10600
  2. 셀러론 D 프레스캇 350 - Intel 865 - DDR 3200
  3. 셀러론 G 1610 - Intel P43 - DDR2 8500
  4. 코어 i5 3570 - Intel B75 - DDR3 12800
(정답률: 64%)
  • 셀러론 G 1610은 DDR3 메모리를 지원하지만, 메인보드칩셋인 Intel P43는 DDR2 메모리를 지원하기 때문에 호환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조합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AWARD BIOS의 STANDARD CMOS SETUP 메뉴의 세부항목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Virus Warning - 하드디스크의 부트섹터를 보호하는 옵션이므로, 운영체제 설치 시에는 반드시 Enable로 설정하여 부트섹터를 수정 못하도록 설정한다.
  2. CPU Internal Cache - 이 옵션을 켜놓으면 시스템 속도가 떨어지므로 반드시 Disabled로 설정한다.
  3. Boot Up Floppy Seek - 부팅할 때 바이오스가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를 검색하게 하는 항목으로, 이 기능을 Disable로 설정하면 Floppy Disk 드라이브를 사용할 수 없다.
  4. Security Option - System을 선택하면 바이오스 셋업에 들어올 때와 부팅될 때 모두 암호를 물어본다.
(정답률: 49%)
  • Security Option - System을 선택하면 바이오스 셋업에 들어올 때와 부팅될 때 모두 암호를 물어본다. - 이 옵션을 선택하면 바이오스 셋업에 들어가거나 시스템을 부팅할 때마다 암호를 입력해야 하므로 보안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PnP 장치가 관리하지 않는 것은?

  1. DMA 채널
  2. TCP 포트
  3. IRQ
  4. 입출력 Address
(정답률: 68%)
  • PnP 장치는 하드웨어 자원을 자동으로 할당하고 관리하는데, TCP 포트는 소프트웨어적인 자원이므로 PnP 장치가 관리하지 않습니다. PnP 장치는 DMA 채널, IRQ, 입출력 Address와 같은 하드웨어적인 자원을 관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CD-ROM 연결 설정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

  1. CD-ROM은 전원선을 연결해야 한다.
  2. IDE 케이블을 마스터-슬레이브 점퍼를 맞추어 연결한다.
  3. IDE 케이블을 통해 CD-ROM과 HDD를 함께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CD-ROM의 오디오 단자는 라인-인이며, 사운드카드에 CD-인을 연결한다.
(정답률: 75%)
  • CD-ROM의 오디오 단자는 라인-아웃이며, 사운드카드에 CD-인을 연결해야 한다. (정답: "CD-ROM의 오디오 단자는 라인-인이며, 사운드카드에 CD-인을 연결한다.") CD-ROM의 오디오 단자는 CD-ROM에서 나오는 소리를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라인-아웃으로 연결되어야 하며, 사운드카드의 CD-인에 연결하여 소리를 들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전자파로 인한 피해가 학계에서 보고되자 미국이나 EU 각국은 관련 규정을 마련해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인증 규격 중 전자제품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KGMP (Korea Good Manufacturing Practice)
  2. 정보기기 전자파적합 등록
  3. CE (Communaut' Europeen)
  4. FCC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정답률: 51%)
  • KGMP는 전자파적합성과는 관련이 없는 제조공정에 대한 규격이기 때문에 전자제품과 관련이 없다. 다른 보기들은 전자파적합성과 관련된 규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컴퓨터를 부팅하자마자 ‘Press [F1] to continue’라는 메시지가 모니터에 나타난다. 그 원인으로 올바른 것은?

  1. 키보드 혹은 마우스 연결 불량
  2. CMOS의 그래픽 카드 설정 오류
  3. ROM BIOS 고장
  4. 캐시 메모리 불량
(정답률: 68%)
  • 키보드 혹은 마우스 연결 불량으로 인해 컴퓨터가 입력장치를 인식하지 못하고, 따라서 부팅 과정에서 F1 키를 누르지 않으면 계속해서 메시지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은 하드디스크 A/S에 대한 설명이다.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하드디스크의 덮개를 열어본 경우는 무상 A/S가 안된다.
  2. 하드디스크 수리는 1:1 교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3. 하드디스크에 붙은 스티커를 제거한 경우는 무상 A/S가 안된다.
  4. 정상적인 유통 과정을 거치지 않은 제품은 A/S가 안된다.
(정답률: 52%)
  • "하드디스크의 덮개를 열어본 경우는 무상 A/S가 안된다."가 올바르지 않은 것이다. 하드디스크의 덮개를 열어보는 것은 일반적으로 A/S 대상에서 제외되지 않는다. 그러나 덮개를 열어본 결과로 인한 손상이나 오작동이 발생한 경우에는 A/S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정상적인 유통 과정을 거치지 않은 제품은 A/S가 안된다."의 이유는, 제품이 유통 과정에서 손상이나 오작동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조사는 이러한 제품에 대한 A/S 책임을 지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Windows를 사용하던 중 “KERNEL32.DLL에서 잘못된 연산이 수행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나는 이유로 잘못된 것은?

  1. 어플리케이션간 메모리 충돌이 일어날 때
  2. KERNEL32.DLL의 버전이 다르거나 손상된 경우
  3. CPU와 메모리의 FSB가 맞지 않을 경우
  4. 메인 메모리가 불량인 경우
(정답률: 61%)
  • “KERNEL32.DLL에서 잘못된 연산이 수행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나는 이유는 CPU와 메모리의 FSB가 맞지 않을 경우입니다. 이는 CPU와 메모리 간의 통신 속도가 맞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로, 이로 인해 잘못된 명령어가 전달되어 오류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케이스 전면의 스위치 표시 램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

  1. LED는 디스크가 움직일 때 불이 들어온다.
  2. LED는 방향을 반대로 연결해도 문제가 없다.
  3. LED스위치는 극성이 없으므로 위치만 맞으면 된다.
  4. LED에 지속적으로 불이 안들어오면 컴퓨터에 이상이 생긴 것이다.
(정답률: 60%)
  • LED는 양극성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있어서 극성이 없기 때문에 방향을 반대로 연결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따라서 LED 스위치의 경우 위치만 맞추면 된다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CPU와 메모리의 대역폭을 맞추기 위해 듀얼 채널 메모리 구성을 통해 업그레이드 하고자 한다.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DDR2 4200, DDR2 5300 메모리를 혼용해 채널을 구성해도 좋으나 이 경우 속도가 높은 메모리 속도로 동작한다.
  2. 집적도가 다른 두 개의 모듈 램이라도 클럭 스피드가 같으면 사용이 가능하다.
  3. DRAM 버스 대역폭이 같아야 한다.
  4. 같은 채널을 구성하는 모듈 램 모두 단면 램이거나, 양면 램이어야 한다.
(정답률: 71%)
  • "DDR2 4200, DDR2 5300 메모리를 혼용해 채널을 구성해도 좋으나 이 경우 속도가 높은 메모리 속도로 동작한다."가 올바르지 않은 것이다. 듀얼 채널 메모리 구성에서는 두 개의 메모리 모듈이 동시에 작동하므로, 두 모듈의 속도가 다르면 느린 모듈의 속도에 맞춰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DDR2 4200과 DDR2 5300을 혼용해 채널을 구성하면 두 모듈 중 느린 모듈인 DDR2 4200의 속도로 동작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ATI의 크로스파이어(CrossFire)를 사용하기 위한 조건으로 잘못된 것은?

  1. 메인보드에는 라데온 익스프레스 X200 칩셋 이상이 장착되어야 한다.
  2. 동작 클럭만 일치하다면 AMD와 NVIDIA의 VGA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3. PCI-Express 기반이므로 구형 AGP기반 그래픽카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4. 크로스파이어 에디션 그래픽카드를 반드시 마스터로 설정하고, 표준 그래픽카드는 슬레이브로 설정해야 한다.
(정답률: 59%)
  • 정답은 "동작 클럭만 일치하다면 AMD와 NVIDIA의 VGA로도 구성이 가능하다."이다. 이는 잘못된 정보이다. ATI의 크로스파이어 기술은 AMD/ATI 그래픽카드만 호환되며, NVIDIA 그래픽카드와는 호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AMD/ATI 그래픽카드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CPU가 CAS/RAS 에 신호를 보내어 메모리의 정보가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1. Lead
  2. Delay
  3. Latency
  4. Integrity
(정답률: 67%)
  • Latency는 CPU가 메모리에 접근하여 정보를 받아오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CAS/RAS 신호를 보내어 메모리의 정보가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용어로 Latency가 정답입니다. Lead는 선도, Delay는 지연, Integrity는 무결성을 나타내는 용어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Over Clocking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Over Clocking을 하는 방법은 클럭 배수와 외부 클럭을 조정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2. CPU의 Over Clocking은 CPU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CPU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3.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클럭 수 까지만 오버 클럭킹이 가능하다.
  4. CPU의 작동 클럭은 클럭 배수와 외부 클럭의 곱에 의해 결정된다.
(정답률: 75%)
  • CPU의 Over Clocking은 CPU의 성능을 향상시키지만, CPU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과열 등의 문제로 인해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CPU의 Over Clocking은 CPU의 성능을 향상시키지만, CPU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은 아니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DVD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SATA 방식의 인터페이스만을 사용한다.
  2. 고화질과 고음질의 영상을 기록할 수 있다.
  3. 싱글 레이어 단면의 경우 약 4.7GB의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4. MPEG-2 기술을 접목시켜 비디오 데이터까지 저장이 가능하다.
(정답률: 64%)
  • "SATA 방식의 인터페이스만을 사용한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DVD는 SATA 뿐만 아니라 IDE 인터페이스도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노트북에 사용하는 PCMCIA에서 하드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한 규격은?

  1. Type 1
  2. Type 2
  3. Type 3
  4. Type 4
(정답률: 54%)
  • Type 3은 PCMCIA 카드 슬롯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두꺼운 규격으로, 하드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 장치를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노트북에서 하드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한 규격으로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PC네트워크

51. 회선 경쟁 선택(Contention) 방식의 프로토콜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트래픽이 많은 멀티포인트 회선에 사용할 경우에는 비효율적이다.
  2. 이 방식의 프로토콜에는 토큰링 토큰버스와 같은 방식이 있다.
  3. 터미널의 통신량, 사용빈도에 따라 경쟁 선택의 기회를 차등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4. 경쟁 선택이 동시에 일어나도 데이터가 충돌하여 유실되는 경우가 있다.
(정답률: 52%)
  • 정답은 "트래픽이 많은 멀티포인트 회선에 사용할 경우에는 비효율적이다." 이유는, 회선 경쟁 선택 방식은 여러 대의 컴퓨터가 하나의 회선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는 경쟁이 더 많아져서 데이터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트래픽이 많은 멀티포인트 회선에는 다른 방식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아래 내용의 통신망 구성 형태로 올바른 것은?

  1. 버스형
  2. 망형
  3. 스타형
  4. 링형
(정답률: 69%)
  • 정답은 "스타형"입니다. 이유는 중앙에 중계기가 있고, 각각의 단말기들이 중계기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구성은 단일 장애 지점(Single Point of Failure)이 존재하므로 중계기가 고장나면 해당 네트워크 전체가 마비될 수 있지만, 관리와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확장성이 높은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패킷 스위칭 방식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패킷 단위로 데이터 전송이 일어난다.
  2. 메시지를 일정 크기로 자른 것을 패킷이라 한다.
  3. Store-and-Forward 방식을 이용한다.
  4. 많은 양의 정보를 연속으로 보낼 때 유효한 방식이다.
(정답률: 62%)
  • 잘못된 것은 없다. 패킷 스위칭 방식은 메시지를 일정 크기로 자른 패킷 단위로 데이터 전송이 일어나며, Store-and-Forward 방식을 이용한다. 또한, 많은 양의 정보를 연속으로 보낼 때 유효한 방식이다. 이는 데이터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기 때문에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도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OSI 참조 모델의 7계층 중 구문 변환과 문맥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으로 올바른 것은?

  1. 세션 계층
  2. 응용 계층
  3. 네트워크 계층
  4. 프리젠테이션 계층
(정답률: 60%)
  • 프리젠테이션 계층은 데이터의 구문을 변환하고, 암호화 및 복호화, 압축 및 해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상위 계층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하위 계층에서 사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데이터의 문맥 제어를 담당하여 상위 계층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하위 계층에서 올바르게 해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구문 변환과 문맥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은 프리젠테이션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스니퍼링(Sniffering)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는 방법은?

  1. 스위치 허브의 사용
  2. 라우터의 사용
  3. DNS의 사용
  4. 스태커블 허브의 사용
(정답률: 60%)
  • 스위치 허브는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목적지 주소를 확인하고 해당 목적지로만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스니퍼링을 막을 수 있습니다. 스니퍼는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가로채서 확인하는 것인데, 스위치 허브를 사용하면 목적지 주소가 다른 곳으로 가는 데이터를 가로채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스위치 허브를 사용하면 스니퍼링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네트워크의 허브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Dummy Hub
  2. Switch Hub
  3. Intelligent Hub
  4. Queue Hub
(정답률: 67%)
  • Queue Hub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허브 종류입니다. 따라서, 네트워크의 허브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라우터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1. LAN과 LAN을 연결할 때 사용한다.
  2. LAN과 WAN을 연결할 때 사용한다.
  3.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설정해준다.
  4. OSI 7 Layer의 응용 계층에 속한다.
(정답률: 65%)
  • 라우터는 OSI 7 Layer의 응용 계층에 속하지 않습니다. 라우터는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설정해주는 네트워크 장비로, OSI 7 Layer의 네트워크 계층에 속합니다. 따라서, "OSI 7 Layer의 응용 계층에 속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네트워크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중간에서 발생하는 손실과 신호의 약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신호 증폭 장치는 무엇인가?

  1. 라우터
  2. 허브
  3. 브릿지
  4. 리피터
(정답률: 70%)
  • 신호 증폭 장치는 네트워크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중간에서 발생하는 손실과 신호의 약화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이 중에서도 리피터는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리피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IP주소 구조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Class A: 주소범위 0.0.0.0 ∼ 127.0.0.0
  2. Class B: 주소범위 128.0.0.1 ∼ 191.255.255.254
  3. Class C: 주소범위 192.0.0.1 ∼ 223.255.255.254
  4. Class D: 주소범위 224.0.0.0 ∼ 239.255.255.255
(정답률: 54%)
  • 잘못된 설명은 "Class A: 주소범위 0.0.0.0 ∼ 127.0.0.0" 입니다. 실제로는 Class A 주소 범위는 0.0.0.0 ~ 127.255.255.255 입니다. 127.0.0.0은 루프백 주소(Loopback address)로,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특수한 주소입니다. 이 주소는 로컬 호스트(localhost)를 가리키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Internet상의 Host에 FTP를 이용하여 접속하고자 할 경우 특별한 계정이 없이도 접속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이때 사용되는 미리 정의된 표준계정은?

  1. Guest
  2. User
  3. Anonymous
  4. Custom
(정답률: 71%)
  • FTP를 이용하여 인터넷 상의 호스트에 접속할 때, 특별한 계정이 없이도 접속이 가능한 경우가 있는데 이를 익명 계정(Anonymous)이라고 한다. 이 계정은 일반적으로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해 사용되며, 사용자는 비밀번호 대신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여 접속한다. 이는 보안상의 이유로 파일을 업로드할 수 없으며, 다운로드만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