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정비사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10-28)

PC정비사 1급
(2018-10-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PC운영체제

1. Windows 7 Professional에서 키보드 설정 시 [키보드 등록정보]의 [속도] 탭에서 설정할 수 없는 기능은?

  1. 재입력시간
  2. 반복속도
  3. 입력시간
  4. 커서 깜빡임 속도
(정답률: 50%)
  • 입력시간은 Windows 7 Professional에서 키보드 설정 시 [키보드 등록정보]의 [속도] 탭에서 설정할 수 없는 기능입니다. 이는 입력한 문자열 사이의 시간 간격을 조절하는 기능으로, 일반적으로 타이핑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속도] 탭에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Windows 7 Professional에서 가상 메모리 설정시 제공되는 정보가 아닌 것은?

  1. 드라이브[볼륨 레이블]
  2. 모든 드라이브의 총 페이징 파일 크기
  3. 선택된 드라이브의 페이징 파일 크기
  4. 선택된 드라이브의 세그먼트의 크기
(정답률: 63%)
  • 가상 메모리 설정시 제공되는 정보는 모든 드라이브의 총 페이징 파일 크기, 선택된 드라이브의 페이징 파일 크기, 그리고 드라이브[볼륨 레이블]이다. 선택된 드라이브의 세그먼트의 크기는 제공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비트라커 드라이브 암호화, VHD 부팅 등 Windows 7의 모든 기능을 지원하는 에디션은?

  1. Starter
  2. Home Premium
  3. Ultimate
  4. Enterprise
(정답률: 70%)
  • Windows 7 Ultimate 에디션은 비트라커 드라이브 암호화, VHD 부팅 등 Windows 7의 모든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에디션들은 이러한 기능을 모두 지원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Windows 7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프린터가 공유되어 있으면 다른 장소에서도 인쇄가 가능하다.
  2. 터치스크린을 지원한다.
  3. 하나 이상의 파일이나 폴더를 한꺼번에 선택하려면 Ctrl 키를 누르고 마우스로 해당 파일이나 폴더를 클릭 해주면 된다.
  4. 탐색기 창에서는 숨겨진 파일이나 폴더를 볼 수 없다.
(정답률: 67%)
  • 탐색기 창에서는 숨겨진 파일이나 폴더를 볼 수 없다는 설명이 잘못되었다. 이는 탐색기 창의 옵션 설정에서 숨김 파일 및 폴더를 표시하도록 설정하면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프로그램 추가/삭제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삭제하였는데도 깨끗이 지워지지 않을 경우 살펴보아야 할 곳은?

  1. 휴지통의 휴지통 비우기
  2. 시스템 도구의 디스크 정리
  3.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나머지 용량
  4. 레지스트리
(정답률: 66%)
  • 프로그램을 삭제하면 해당 프로그램의 파일들은 삭제되지만, 레지스트리에는 여전히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들이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들이 남아있으면 컴퓨터의 성능 저하나 충돌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프로그램을 완전히 삭제하려면 레지스트리도 정리해주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파일 할당 테이블(FAT)을 틀리게 설명한 것은?

  1. [FAT12] - MS-DOS 초기부터 주로 쓰였으며, 플로피디스크에서는 여전히 이용된다.
  2. [FAT16] - 32메가바이트 이상의 하드디스크를 지원하기 위해 MS-DOS 3.0과 함께 나왔으며, Windows 95까지 주로 이용되었다. 최대 2기가바이트 파티션을 지원한다.
  3. [FAT32] - 2기가바이트 이상의 하드디스크를 지원하며, Windows 95 OSR2부터 이 파일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4. [exFAT] - Windows Vista 서비스팩1, Windows 임베디드 CE 6.0부터 지원하고, FAT16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개발되었다.
(정답률: 46%)
  • "[FAT12] - MS-DOS 초기부터 주로 쓰였으며, 플로피디스크에서는 여전히 이용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exFAT는 FAT16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파일 할당 테이블(FAT)입니다. FAT16은 최대 2기가바이트 파티션을 지원하고, 이보다 큰 용량의 하드디스크를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exFAT는 이러한 제한을 없애고, 대용량 파일 및 디스크를 지원합니다. 따라서 Windows Vista 서비스팩1, Windows 임베디드 CE 6.0부터 exFAT을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보기 중 나머지와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Windows 7
  2. Lotus Notes
  3. Linux
  4. MAC OS X
(정답률: 73%)
  • "Lotus Notes"는 운영체제가 아닌, 이메일 및 업무 관리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에 나머지와 성격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Windows 7의 레지스트리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텍스트 기반이며, 크기가 32KB를 넘지 못한다.
  2. 정렬된 계층구조를 가진다.
  3. HKey_Users키로 사용자별 정보를 지원한다.
  4. 원격지에서 관리와 시스템 정책을 할 수 있다.
(정답률: 42%)
  • 정답은 "텍스트 기반이며, 크기가 32KB를 넘지 못한다." 이다. 이유는 레지스트리는 텍스트 기반이지만, 크기 제한이 없다. 또한, 레지스트리는 정렬된 계층구조를 가지며, HKey_Users키로 사용자별 정보를 지원하며, 원격지에서 관리와 시스템 정책을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Windows 7의 버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Home Premium
  2. Professional
  3. Datacenter Server Edition
  4. Home Basic
(정답률: 73%)
  • Datacenter Server Edition은 Windows Server 운영 체제의 버전으로, Windows 7의 버전에 속하지 않습니다. Windows 7의 버전은 Home Premium, Professional, Home Basic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컴퓨터 처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데이터 처리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와 제어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항시 감시해야 한다.
  2. 데이터 처리를 위한 각종 컴퓨터 구성 H/W 요소의 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는 완벽한 상태로 준비가 되어야 한다.
  4. 컴퓨터를 합리적이고 능률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인적자원과 업무수행의 환경과 조건이 구비되어야 한다.
(정답률: 39%)
  • 잘못된 것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와 제어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항시 감시해야 한다."가 아닌 다른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와 제어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항시 감시해야 하는 이유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오류 발생 시 빠른 대처를 위해서이다. 감시를 통해 시스템의 문제점을 빠르게 파악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성능과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 )에 적당한 용어는?

  1. OLE
  2. DLL
  3. INI
  4. PCX
(정답률: 70%)
  • 이미지 파일이 아닌 OLE은 "Object Linking and Embedding"의 약자로, 다른 문서나 프로그램에서 객체를 삽입하거나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소프트의 기술이다. 따라서, 그림 파일인 PCX나 설정 파일인 INI, 그리고 동적 링크 라이브러리인 DLL과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컴퓨터의 자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소프트웨어로서 컴퓨터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갖고 있지않은 초보자도 쉽고 편리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도와주는 것은?

  1. 문서 처리 프로그램
  2. 사용자 개발 프로그램
  3. 운영체제
  4. 패키지 프로그램
(정답률: 78%)
  • 운영체제는 컴퓨터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와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입니다. 따라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들이 운영체제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시분할 시스템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CPU가 한 사용자로부터 다른 사용자로 빠르게 교환시켜 주는 시스템
  2.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때도 실제는 한 개의 컴퓨터를 사용하는 시스템
  3. 다중 프로그래밍 체제와 대화형 체제를 합친 방식의 시스템
  4.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처리 방식의 시스템
(정답률: 53%)
  •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처리 방식의 시스템은 시분할 시스템과는 관련이 없는 개념입니다. 시분할 시스템은 CPU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각 사용자는 자신의 작업을 짧은 시간 동안 처리하고 CPU를 다른 사용자에게 넘기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처리 방식의 시스템은 시분할 시스템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입력되는 자료들을 일정 기간 동안 또는 일정량의 자료를모아 한 번에 처리하는 운영체제 방식은?

  1. 온라인처리방식(On-Line Processing System)
  2. 다중프로그래밍체제(Multiprogramming System)
  3. 일괄처리체제(Batch Processing System)
  4. 시분할체제(Time Sharing System)
(정답률: 77%)
  • 일괄처리체제는 입력되는 자료들을 일정 기간 동안 또는 일정량의 자료를 모아 한 번에 처리하는 운영체제 방식이다. 이는 대량의 작업을 처리할 때 효율적이며,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아도 되므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일괄처리체제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Windows 7 운영체제의 역할과 거리가 먼 것은?

  1. 프로세스 관리
  2. 디바이스 관리
  3. 파일 시스템 관리
  4. 프로그램 제작
(정답률: 79%)
  • Windows 7 운영체제는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프로그램 제작은 개발자나 프로그래머가 수행하는 작업으로, 운영체제는 이를 실행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프로그램 제작"은 Windows 7 운영체제의 역할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주변기기

16. 메인보드에 제공되는 컨트롤러 중에서 CPU를 거치지 않고 PC의 메모리로 자료를 보내거나, 메모리의 자료를 다른 장치로 보내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1. 키보드 컨트롤러
  2. DMA 컨트롤러
  3. 인터럽트 컨트롤러
  4.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정답률: 68%)
  • DMA 컨트롤러는 CPU를 거치지 않고 메모리와 다른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컨트롤러입니다. 따라서 CPU의 부담을 줄이고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키보드 컨트롤러는 키보드 입력을 처리하고, 인터럽트 컨트롤러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를 관리하며,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프로그래밍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컨트롤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CISC 프로세서와 RISC 프로세서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CISC : RISC 보다 레지스터의 수가 많다.
  2. RISC : CISC 보다 처리 속도가 빠르다.
  3. CISC : RISC 보다 비싸며 전력 소모가 많다.
  4. RISC : 고정된 길이의 명령어를 사용한다.
(정답률: 33%)
  • 잘못된 설명은 "CISC : RISC 보다 레지스터의 수가 많다." 이다. 실제로는 RISC 프로세서가 레지스터의 수가 더 많은 경우가 많다. 이는 RISC 프로세서가 명령어를 단순화하여 레지스터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에서 설명하는 장치는?

  1. PS/2
  2. USB 2.0
  3. IDE
  4. AMR Modem
(정답률: 73%)
  • 이 장치는 USB 2.0 포트이다. 그 이유는 그림에서 USB 로고와 USB 2.0 이라는 표시가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컴퓨터의 주변장치 연결 방식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다음 중 가장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연결 방식은?

  1. USB1.1
  2. IEEE1394
  3. PS/2
  4. Parallel
(정답률: 56%)
  • IEEE1394은 고속 시리얼 버스 인터페이스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매우 빠르다. 이는 USB1.1, PS/2, Parallel과 비교하여 가장 빠른 속도를 제공하는 이유이다. 또한, IEEE1394는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동시에 여러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캐시 메모리는 PC의 내부에서 어디에 위치하는가?

  1. CPU와 메인 메모리 사이
  2. CPU와 주변 장치 사이
  3. 메인 메모리와 보조 메모리 사이
  4. CPU와 보조 메모리 사이
(정답률: 72%)
  • 캐시 메모리는 CPU와 메인 메모리 사이에 위치합니다. 이는 CPU가 메인 메모리에 접근하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캐시 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CPU는 먼저 캐시 메모리에 접근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오고, 캐시 메모리에 없는 경우에만 메인 메모리에 접근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CPU의 속도를 높이고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하드디스크의 저장방식이 아닌 것은?

  1. NRZ(Non Return to Zero)
  2.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
  3. MFM(Modified Frequency Modulation)
  4. RLL(Run Length Limited)
(정답률: 47%)
  •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은 하드디스크의 저장방식이 아니라, 하드디스크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기술이다. 따라서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가 정답이다. NRZ(Non Return to Zero), MFM(Modified Frequency Modulation), RLL(Run Length Limited)은 모두 하드디스크의 저장방식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손가락의 압력을 감지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 지시 장치는?

  1. 트랙볼
  2. 휠 마우스
  3. 터치패드
  4. 펜 마우스
(정답률: 70%)
  • 손가락의 압력을 감지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 지시 장치는 터치패드입니다. 터치패드는 손가락으로 터치하거나 스와이프하여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으며, 휠 마우스나 트랙볼과는 달리 손가락의 움직임에 반응합니다. 또한 펜 마우스와는 달리 터치패드는 펜이나 스타일러스 없이도 조작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프린터의 전송 모드에 대한 규약이 아닌 것은?

  1. EPP
  2. ECP
  3. LPT
  4. SPP
(정답률: 41%)
  • "EPP", "ECP", "SPP"는 모두 프린터의 전송 모드에 대한 규약이지만, "LPT"는 프린터 포트의 이름을 나타내는 용어이기 때문에 전송 모드에 대한 규약이 아니다. "LPT"는 프린터가 연결된 컴퓨터의 포트 이름 중 하나로, 병렬 포트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파워서플라이의 출력 DC 전압의 종류로 잘못된 것은?

  1. +3.3V
  2. +5V
  3. +10V
  4. +12V
(정답률: 64%)
  • 잘못된 것은 "+10V"이다. 일반적으로 파워서플라이의 출력 DC 전압은 "+3.3V", "+5V", "+12V" 등이 있지만, "+10V"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전압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키보드 제어기(Keyboard Controller)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키보드를 자체 검진하며, 효율적으로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2. CPU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3. 비디오 제어기, 디스크 제어기 등의 정보의 흐름을 제어한다.
  4. 문자의 입력과정에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8비트 신호로 변환한다.
(정답률: 47%)
  • "비디오 제어기, 디스크 제어기 등의 정보의 흐름을 제어한다."는 키보드 제어기의 기능이 아니라 다른 제어기의 기능이다. 키보드 제어기는 키보드를 자체 검진하고, CPU와 정보를 교환하며, 문자의 입력과정에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8비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광디스크에 사용되는 라이트스크라이브(LightScribe)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레이저를 이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나 도안을 CD 또는 DVD 미디어 표면에 인쇄하는 기능이다.
  2. 광학저장장치가 라이트스크라이브를 지원해야만 사용할 수 있다.
  3. 라이트스크라이브가 지원되는 특수 코팅된 전용 공 CD 또는 DVD에만 사용할 수 있다.
  4. 한번 기록된 문자나 도안을 다시 지우고 입력할 수 있다.
(정답률: 69%)
  • "한번 기록된 문자나 도안을 다시 지우고 입력할 수 있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LightScribe 기술은 CD 또는 DVD 미디어 표면에 레이저를 이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나 도안을 인쇄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이미 인쇄된 내용을 지우고 다시 입력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레이저 프린터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미국의 HP사가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다.
  2. 램과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있다.
  3. PCL과 PS라고 하는 내장된 프린터 언어를 사용한다.
  4. 그림이나 문자가 종이 위에 토너가루로 나타나면 레이저의 열을 이용하여 토너가루를 녹여 출력물을 완성한다.
(정답률: 43%)
  • "미국의 HP사가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다."라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레이저 프린터는 1969년에 Xerox사에서 개발되었으며, HP사는 1984년에 레이저 프린터를 상용화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프린터의 인쇄방식 중 충격식 인쇄 엔진방식을 갖는 프린터는?

  1. 도트 프린터
  2. 열 전사 프린터
  3. 잉크 분사 프린터
  4. 레이저 빔 프린터
(정답률: 69%)
  • 도트 프린터는 인쇄물을 만들기 위해 인쇄물 표면에 바늘로 찍어내는 방식으로, 충격식 인쇄 엔진방식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도트 프린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주기억장치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닌 것은?

  1. 반도체 소자를 주로 사용한다.
  2. 비휘발성이다.
  3. 보조기억장치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
  4. SDRAM, DDR-SDRAM, RDRAM등이 사용된다.
(정답률: 61%)
  • 주기억장치의 일반적인 특성은 반도체 소자를 주로 사용하며, 보조기억장치에 비해 속도가 빠르며 SDRAM, DDR-SDRAM, RDRAM 등이 사용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비휘발성이 아닌 이유는 주기억장치는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데이터가 모두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기억장치는 휘발성이며, 전원이 유지되는 동안에만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CPU와 주변기기 사이에서 데이터의 입, 출력시 발생되는속도의 차이를 줄여주는 기억장치는?

  1. MOUSE
  2. BUS MASTER
  3. CACHE
  4. VROM
(정답률: 68%)
  • CACHE는 CPU와 주변기기 사이에서 데이터의 입, 출력시 발생되는 속도의 차이를 줄여주는 기억장치입니다. 이는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두어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ACHE는 CPU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디지털 논리회로

31. 전가산기(full adder)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입력비트3개의 합과 출력올림수를 구하는 조합논리회로
  2. 입력비트2개의 합과 출력올림수를 구하는 조합논리회로
  3. 2개의 반가산기와 1개의 AND게이트로 구성
  4. 2개의 반가산기와 1개의 NOT게이트로 구성
(정답률: 45%)
  • 전가산기는 입력으로 3개의 비트를 받아서 이들의 합과 올림수를 출력하는 조합논리회로입니다. 이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는 반가산기이며, 2개의 반가산기와 1개의 AND 게이트로 전가산기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력으로 받은 3개의 비트를 각각 반가산기에 연결하여 합과 자리올림수를 구하고, 이들을 다시 한번 반가산기에 연결하여 최종 합과 올림수를 구합니다. 이때, 최종 올림수는 AND 게이트를 통해 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10진수 589에 대한 BCD 코드는?

  1. 1100 1001 1010
  2. 0111 1011 1110
  3. 0101 1000 1001
  4. 1001 1000 0100
(정답률: 62%)
  • BCD 코드는 Binary Coded Decimal의 약자로,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하여 각 자리수를 4비트로 표현하는 코드이다.

    따라서 589를 2진수로 변환하면 1001001101이 된다. 이를 각 자리수마다 4비트로 나누어 BCD 코드로 표현하면 0101 1000 1001이 된다.

    즉, 첫 번째 자리수 5는 0101, 두 번째 자리수 8은 1000, 세 번째 자리수 9는 1001로 표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논리 IC 중 자체 전력 소모가 가장 적은 것은?

  1. ECL
  2. CMOS
  3. TTL
  4. DTL
(정답률: 57%)
  • CMOS가 자체 전력 소모가 가장 적은 이유는 CMOS는 입력 신호가 없을 때 전력을 소모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논리 IC들은 입력 신호가 없어도 전력을 소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디지털 집적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TTL(Transistor-Transistor Logic)은 디지털 집적회로 중의 하나이다.
  2. C-MOS는 디지털 집적회로 중의 하나이다.
  3. C-MOS는 N형 트랜지스터를 서로 조합해 제작된 집적회로이다.
  4. 디지털 집적회로는 반도체 구조나 전기적 특성을 고려하여 제작된다.
(정답률: 57%)
  • 잘못된 것은 "C-MOS는 N형 트랜지스터를 서로 조합해 제작된 집적회로이다."가 아닌 것입니다. C-MOS는 실제로 N형과 P형 트랜지스터를 조합해 제작된 집적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FF(플립플롭) 회로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D-FF
  2. E-FF
  3. T-FF
  4. SR-FF
(정답률: 45%)
  • E-FF는 존재하지 않는 FF 회로 종류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D-FF, T-FF, SR-FF는 모두 실제로 사용되는 FF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PC유지보수

36. 하드디스크 부트 섹터(Boot Sector)에 쓰기가 되지 않도록 하는 BIOS 설정 항목은?

  1. IDE HDD Block Mode Sectors
  2. Virus Warning
  3. Typematic Rate Setting
  4. Boot up System Speed
(정답률: 50%)
  • 정답은 "Virus Warning"입니다. 이 항목은 하드디스크 부트 섹터에 쓰기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 부팅 시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경고하는 기능입니다. 이 설정을 활성화하면 부팅 시 하드디스크의 부트 섹터가 변경되었을 경우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어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PnP 기능을 지원하는 운영체제가 PnP를 지원하는 주변장치를 인식하는 방법은?

  1. PnP 장치의 고유한 IP Address
  2. PnP 장치의 고유한 MAC Address
  3. PnP 장치의 고유한 PnP ID
  4. PnP 장치의 고유한 Processor Number
(정답률: 50%)
  • PnP 기능을 지원하는 운영체제는 PnP 장치의 고유한 PnP ID를 사용하여 해당 장치를 인식합니다. 이는 다른 장치와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 식별자이며, 운영체제는 이를 사용하여 해당 장치의 드라이버를 자동으로 설치하거나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IP Address나 MAC Address는 네트워크와 관련된 식별자이며, Processor Number는 프로세서의 식별자이므로 PnP 장치를 인식하는 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메모리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RDRAM은 짝수개로 장착을 하여야 한다.
  2. DDR 메모리 PC2100과 PC2700 메모리를 혼용 시, 메모리속도가 낮은 PC2100으로 작동한다.
  3. SDRAM은 슬롯 규격이 맞는다면, 빈 메모리 슬롯 아무 곳에나 장착이 가능하다.
  4. DDR-SDRAM은 슬롯 규격이 맞아도, 메모리 슬롯 중 지정된 위치에 장착을 하여야 한다.
(정답률: 51%)
  • 정답은 "DDR-SDRAM은 슬롯 규격이 맞아도, 메모리 슬롯 중 지정된 위치에 장착을 하여야 한다." 이다. 이유는 DDR-SDRAM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기 위해 두 개의 데이터 버스를 사용하므로, 메모리 슬롯 중에서도 특정한 위치에 장착해야만 올바른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보드 제조사의 설명서를 참고하여 올바른 위치에 메모리를 장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부팅 에러 메시지와 원인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System Halted : 시스템의 어느 한 부분 쇼트, CPU 냉각팬 회전 감지 오류
  2. Gate A20 Error : 마우스의 컨트롤러 문제
  3. Missing operation system, Non-System disk or disk Error : 부팅 디스크에 운영체제가 없거나 시스템 파일이 손상된 경우 발생
  4. CMOS Checksum Error : CMOS 배터리 문제, 정전기 문제
(정답률: 65%)
  • "Gate A20 Error : 마우스의 컨트롤러 문제"가 잘못된 것이다. Gate A20은 메모리 관리와 관련된 기능으로, 이 에러는 메모리나 마우스 컨트롤러와 관련된 문제로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사운드 카드에서 소리가 나지 않을 때 점검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사운드 카드의 드라이버 설치 확인
  2. 사운드 카드에 스피커 연결 확인
  3. 사운드 카드에 마이크 연결 확인
  4. 사운드 카드와 다른 장치의 자원 충돌 확인
(정답률: 76%)
  • "사운드 카드에 마이크 연결 확인"은 소리가 나지 않을 때 점검할 사항 중에서는 유효하지만, 이유는 소리가 나지 않는 문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마이크 연결이 되어 있지 않아도 스피커에서 소리가 나오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운드 카드에 마이크 연결 확인"은 사운드 카드와 관련된 문제가 아닌 다른 문제로 인해 마이크가 작동하지 않을 때 확인할 수 있는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컴퓨터 부팅 시 'Press <F1> to continue' 라는 메시지가 나오는 원인은?

  1. 캐쉬 메모리 불량
  2. 키보드와 마우스 연결 불량
  3. CMOS의 그래픽 카드 설정오류
  4. ROM BIOS 고장
(정답률: 60%)
  • 컴퓨터가 부팅될 때, BIOS가 키보드와 마우스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데, 이때 키보드와 마우스가 제대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BIOS가 이를 감지하고 'Press <F1> to continue' 메시지를 출력합니다. 따라서 이 메시지가 나오는 경우, 키보드와 마우스의 연결 상태를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모니터의 영상이 가끔씩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문제의 해결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니터의 모아레 현상 제거 기능을 작동시켜 본다.
  2. 모니터의 주파수와 해상도를 변경해 본다.
  3. 모니터의 위치를 바꿔본다.
  4. 모니터의 밝기나 눈부심 정도를 조절해 본다.
(정답률: 46%)
  • 모니터의 영상이 흔들리는 현상은 주로 화면의 밝기나 눈부심 정도가 너무 높아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모니터의 밝기나 눈부심 정도를 낮추면 이러한 현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니터의 모아레 현상 제거 기능을 작동시키거나 주파수와 해상도를 변경하거나 모니터의 위치를 바꾸는 것도 일부 경우에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Windows에서 보호된 시스템 파일을 검색하는 명령어로 올바른 것은?

  1. sfc /scannow
  2. scanreg /restore
  3. sys A:C:
  4. convert C:/FS:NTFS/X
(정답률: 57%)
  • 정답은 "sfc /scannow"입니다. 이 명령어는 시스템 파일 검사 유틸리티를 실행하여 Windows 시스템 파일을 검사하고 손상된 파일을 복구합니다. 이를 통해 보호된 시스템 파일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scanreg /restore": Windows 98에서 사용되는 명령어로, 레지스트리 백업 파일을 사용하여 시스템을 이전 상태로 복원합니다.
    - "sys A:C:": MS-DOS에서 사용되는 명령어로, 시스템 파일을 디스크에 복사합니다.
    - "convert C:/FS:NTFS/X": NTFS 파일 시스템으로 드라이브를 변환하는 명령어입니다. 보호된 시스템 파일을 검색하는 명령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Award BIOS의 STANDARD CMOS SETUP 내용 중 Halt on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No error : 어떤 에러가 발생해도 POST(power on self test)를 계속 진행한다.
  2. All error : 바이오스가 에러 검출 시 POST를 중지하고 알려준다.
  3. All but Keyboard : 키보드와 디스크 오류에 대해서만 POST를 중지한다.
  4. All but Diskette : 디스크 오류에 대해서만 POST를 중지한다.
(정답률: 55%)
  • "No error : 어떤 에러가 발생해도 POST(power on self test)를 계속 진행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올바른 설명은 "No error : 어떤 에러가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POST를 계속 진행한다."이다. Halt on은 BIOS가 어떤 에러를 발견했을 때 POST를 중지할지를 설정하는 옵션이다. All but Keyboard는 키보드와 디스크 오류에 대해서만 POST를 중지하므로, 다른 에러가 발생해도 POST는 계속 진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PnP장치가 관리하지 않는 것은?

  1. DMA 채널
  2. TCP/IP
  3. IRQ
  4. 입출력 Address
(정답률: 61%)
  • PnP (Plug and Play) 장치는 하드웨어 자원을 자동으로 구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TCP/IP는 네트워크 프로토콜로서 하드웨어 자원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PnP 장치가 관리하지 않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메인보드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칩셋은 메인보드 상에 납땜으로 고정된 부품으로서 메인보드에서 사용 가능한 CPU 및 메모리 종류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2.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하여 메모리(RAM) 슬롯의 경우 전체 슬롯을 사용하지 말고, 1개 또는 2개의 여유 슬롯을 남겨 두어야 한다.
  3. 새로운 부품을 추가하고자 할 때 그 부품이 메인보드에서 지원 가능한 형태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4. 만약 장착한 CPU의 성능에 비해 실제 동작 속도가 현저히 낮게 동작한다고 판단될 경우 BIOS의 캐쉬 설정 부분이 활성 상태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비활성으로 되어 있으면 활성으로 설정을 바꾼다.
(정답률: 70%)
  • 정답은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하여 메모리(RAM) 슬롯의 경우 전체 슬롯을 사용하지 말고, 1개 또는 2개의 여유 슬롯을 남겨 두어야 한다." 이다. 이유는 메모리 슬롯을 모두 사용하면 메모리 간의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여유 슬롯을 남겨두어 충돌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Over Clocking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CPU의 클럭 설정은 점퍼 비율 딥스위치를 조정하거나 BIOS SETUP에서 설정할 수 있다.
  2. 오버클럭킹을 사용하게 되면 CPU의 온도가 오버클럭킹을 하기전보다 높아지므로 주의한다.
  3. 오버클럭킹에는 외부 클럭을 올리는 방법과 클럭 배수를 올리는 방법이 있다.
  4.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클럭 수 보다 높게 오버클럭킹이 가능하다.
(정답률: 68%)
  •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클럭 수 보다 높게 오버클럭킹이 가능하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이는 메인보드의 하드웨어적인 한계로 인해 불가능합니다.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클럭 수 이상으로 오버클럭킹을 시도하면 시스템이 불안정해지거나 과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POST 과정의 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시스템 버스 테스트 - 그래픽 카드 테스트 - 메모리 테스트 - 키보드 테스트 - 디스크 테스트 - P&P 기능 동작 - CMOS 내용확인 - DMI 기능 동작
  2. DMI 기능 동작 - 그래픽 카드 테스트 - 메모리 테스트 - 키보드 테스트 - 디스크 테스트 - P&P 기능 동작 - CMOS 내용확인 - 시스템 버스 테스트
  3. 시스템 버스 테스트 - P&P 기능 동작 - 메모리 테스트 - 키보드 테스트 - 디스크 테스트 - 그래픽 카드 테스트 - CMOS 내용확인 - DMI 기능 동작
  4. 시스템 버스 테스트 - CMOS 내용확인 - 그래픽 카드 테스트 - 메모리 테스트 - 키보드 테스트 - P&P 기능 동작 - 디스크 테스트 - DMI 기능 동작
(정답률: 43%)
  • POST 과정은 컴퓨터 부팅 시 하드웨어의 문제를 찾아내기 위한 과정입니다. 따라서, 시스템 버스 테스트부터 시작하여 그래픽 카드, 메모리, 키보드, 디스크 등의 하드웨어를 순차적으로 테스트하고, 마지막으로 CMOS 내용 확인과 DMI 기능 동작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스템 버스 테스트 - 그래픽 카드 테스트 - 메모리 테스트 - 키보드 테스트 - 디스크 테스트 - P&P 기능 동작 - CMOS 내용확인 - DMI 기능 동작"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시스템에서 소음이 과도하게 발생할 경우 해결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전원 공급장치 및 CPU에 부착되어 있는 쿨러를 청소해 준다.
  2. 메인보드 및 각종 주변장치를 고정시키는 나사를 견고하게 조여준다.
  3. 컴퓨터 내부의 먼지를 제거한다.
  4. 팬 컨트롤러를 이용해 쿨러의 RPM을 높인다.
(정답률: 69%)
  • 팬 컨트롤러를 이용해 쿨러의 RPM을 높이는 것은 소음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르지 않은 해결책이다. 대신에 다른 보기들처럼 청소, 나사 조여주기, 먼지 제거 등을 통해 소음을 줄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Windows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는 이유로 잘못된 것은?

  1. Windows에서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비정상적으로 종료했기 때문이다.
  2. 시작 프로그램과 Windows가 충돌하기 때문이다.
  3. 램 상주 프로그램과 Windows가 충돌하기 때문이다.
  4. 바이오스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했기 때문이다.
(정답률: 69%)
  • 바이오스 업데이트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이지만, 잘못된 업데이트는 컴퓨터 시스템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잘못하면 Windows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PC네트워크

51. TCP/IP 망 관리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1. SNMP
  2. FTP
  3. SMTP
  4. POP
(정답률: 40%)
  • TCP/IP 망 관리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에서는 SNMP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SNMP가 네트워크 장비들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데에 특화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FTP, SMTP, POP 등의 프로토콜은 파일 전송, 이메일 전송 등의 특정 기능에 특화되어 있으며, 네트워크 장비들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TCP/IP 망 관리에 사용되는 프로토콜로는 SNMP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네트워크상에서 두 케이블 사이에 설치하여 한쪽의 신호를 증폭하여 다른 쪽으로 보내주는 역할을 하는 장비는?

  1. 라우터(Router)
  2. 리피터(Repeater)
  3. 브릿지(Bridge)
  4. 트랜시버(Transceiver)
(정답률: 63%)
  • 리피터는 네트워크 상에서 신호가 약해지거나 손실되는 경우에 신호를 증폭하여 다른 쪽으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두 케이블 사이에 설치하여 신호의 강도를 유지하고 전송 거리를 늘릴 수 있습니다. 라우터는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고, 브릿지는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필요한 부분만 전달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트랜시버는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지적 소유권 보호를 위해 콘텐츠에 사용자 정보를 숨겨저작권 및 소유권을 보호하는 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1. Watermarking
  2. Encryption
  3. PGP(Pretty Good Privacy)
  4. SHTTP(Secure-HTTP)
(정답률: 62%)
  • Watermarking은 콘텐츠에 사용자 정보를 숨겨 삽입하는 기술로, 콘텐츠를 불법적으로 복제하거나 유포하는 경우에도 원본 콘텐츠의 소유자를 추적할 수 있어 지적 소유권 보호에 효과적입니다. Encryption은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보호하는 방법이며, PGP와 SHTTP는 데이터 전송 시 보안을 강화하는 프로토콜입니다. 하지만 이들은 콘텐츠의 소유권을 보호하는 것보다는 데이터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호하는 데 더욱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프로토콜의 기능 중 상위 계층으로 부터 받은 데이터에자신의 제어정보를 추가하는 기능으로 올바른 것은?

  1. 캡슐화(Encapsulation)
  2. 조립(Assembly)
  3. 동기화(Synchronization)
  4. 다중화(Multiplexing)
(정답률: 47%)
  • 캡슐화(Encapsulation)는 상위 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에 자신의 제어정보를 추가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를 보호하고,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캡슐화를 통해 데이터의 흐름을 관리하고, 효율적인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LAN과 LAN을 논리적으로 묶는 역할을 하며 광대역 네트워를 구축하는데 없어서는 안될 필수 장비는?

  1. 스위치(Switch)
  2. 허브(Hub)
  3. 라우터(Router)
  4. 브릿지(Bridge)
(정답률: 32%)
  • 스위치는 LAN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포트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LAN과 LAN을 논리적으로 묶어 광대역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광대역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스위치는 필수적인 장비입니다. 반면, 허브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충돌이 발생할 수 있고, 브릿지는 스위치와 유사하지만 전송 속도가 느리며, 라우터는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광대역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있어서는 스위치보다는 선택적인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정보 보안의 3대 요소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기밀성
  2. 무결성
  3. 가용성
  4. 호환성
(정답률: 70%)
  • 정보 보안의 3대 요소는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입니다. 호환성은 정보 보안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요소로, 서로 다른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 간에 상호작용이 가능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호환성은 정보 보안의 3대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메일 서비스와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1. SMTP
  2. FTP
  3. POP3
  4. MIME
(정답률: 54%)
  • 메일 서비스는 이메일을 주고받는 것에 초점을 둔 서비스이며, SMTP, POP3, MIME은 모두 이메일을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반면에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입니다. 따라서 FTP는 메일 서비스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인터넷 프로토콜인 IP가 IPv4에서 IPv6로 성능이 개선되었다. 개선된 점이 아닌 것은?

  1. 확장된 IP 주소공간(Expanded Addressing)
  2. 규모 조정이 가능한 라우팅(Scalable Routing)
  3. 네트워크에서의 감사기능과 보안기법 제공
  4. IPv4에 비해 IPv6는 헤더부분 축소
(정답률: 63%)
  • IPv6는 128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하여 IP 주소 공간이 대폭 확장되었기 때문에 확장된 IP 주소공간이 개선된 점이며, 규모 조정이 가능한 라우팅과 네트워크에서의 감사기능과 보안기법 제공도 개선된 점입니다. 그러나 IPv4에 비해 IPv6는 헤더부분이 축소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IPv6의 헤더는 IPv4보다 더 크고 복잡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웹브라우져에서 WWW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지원해야 하는 프로토콜은?

  1. FTP
  2. Telnet
  3. HTTP
  4. WWW
(정답률: 67%)
  • 웹브라우저에서 WWW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HTTP 프로토콜을 지원해야 합니다.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웹브라우저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서버로부터 웹페이지를 요청하고, 응답받은 데이터를 해석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줍니다.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 Telnet은 원격 로그인 프로토콜, WWW는 World Wide Web의 약자로, 이들은 모두 웹브라우저에서 지원하지 않는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VPN을 위한 대표적 터널링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1. PPTP
  2. DES
  3. L2TP
  4. IPSec
(정답률: 45%)
  • DES는 암호화 방식이며, VPN을 위한 터널링 프로토콜이 아닙니다. PPTP, L2TP, IPSec은 모두 VPN을 위한 터널링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