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정비사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4-08)

PC정비사 1급
(2018-04-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PC운영체제

1. 다음 중 FAT32 파일 시스템에 대해 잘못 설명한 것은?

  1. 최대 2TB(2048GB) 크기의 불륨을 지원한다.
  2. Windows 95 OSR2나 Windows 98 이후의 Windows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3. 8GB이하의 볼륨에서 클러스터의 크기는 2KB이다.
  4. 클러스터의 갭(gap)이 FAT16에 비해 적으므로 디스크 공간을 훨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47%)
  • "8GB이하의 볼륨에서 클러스터의 크기는 2KB이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실제로는 512바이트부터 64KB까지의 다양한 크기의 클러스터를 지원하며, 볼륨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클러스터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Windows 7 Professional의 레지스트리 구조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HKEY_LOCAL_CONFIG
  2. HKEY_CURRENT_CONFIG
  3. HKEY_CLASSES_ROOT
  4. HKEY_USERS
(정답률: 45%)
  • "HKEY_LOCAL_CONFIG"은 Windows 7 Professional의 레지스트리 구조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레지스트리 키이며, 오타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올바른 키는 "HKEY_LOCAL_MACHIN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사용자가 로컬 컴퓨터에 로그온을 시도하면 순서에 따라 인증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자가 제공한 정보와 SAM의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사용자에게 Access Token을 만들어 준다. 이러한 Access Token에 들어있는 정보들로 짝지어져 있는 것은?

  1. 사용자의 Identification과, 사용자의 보안 설정
  2. 사용자의 Identification과, 인증 증명서
  3. 인증 증명서와, 사용자의 보안 설정
  4. 사용자의 Identification과, 사용자 계정 암호
(정답률: 43%)
  • Access Token에 들어있는 정보는 사용자의 Identification과 사용자의 보안 설정이다. Identification은 사용자를 식별하는 정보로, 사용자의 이름, 이메일 주소, 계정 번호 등이 해당된다. 보안 설정은 사용자의 계정에 대한 보안 설정으로, 비밀번호 복잡도, 계정 잠금 정책, 권한 등이 해당된다. 이 정보들은 Access Token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가 시스템 내에서 자신의 권한을 행사할 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파일 확장자 중에서 하드웨어 작업을 제어하거나 장치정보, 스크립트가 들어있는 파일은?

  1. ini
  2. bmp
  3. doc
  4. hwp
(정답률: 76%)
  • "ini"는 초기화 파일로, 하드웨어 작업을 제어하거나 장치정보, 스크립트가 들어있는 파일로 사용됩니다. 다른 파일 확장자들은 문서나 이미지 파일 등 다른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System Configuration Editor로 편집할 수 없는 시스템 파일은?

  1. win.ini
  2. desktop.ini
  3. config.sys
  4. autoexec.bat
(정답률: 40%)
  • desktop.ini 파일은 시스템 파일이 아니라 폴더나 파일의 특정 설정을 저장하는 파일이기 때문에 System Configuration Editor로 편집할 수 없습니다. 반면에 win.ini, config.sys, autoexec.bat 파일은 시스템 설정 파일로써 System Configuration Editor로 편집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운영체제의 발달과정 순서로 올바른 것은?

  1. 라 → 다 → 나 → 가
  2. 가 → 나 → 다 → 라
  3. 가 → 다 → 라 → 나
  4. 다 → 라 → 나 → 가
(정답률: 63%)
  • 운영체제의 발달 과정은 크게 4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일괄처리 시대 (1950년대 초반 ~ 1960년대 초반) : 가장 초기의 컴퓨터는 일괄처리 방식으로 작동했습니다. 이때는 운영체제가 없었으며, 사용자는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이를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으로 컴퓨터를 사용했습니다.

    2. 시분할 시대 (1960년대 중반 ~ 1970년대 초반) : 시분할 시스템이 등장하면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때는 운영체제가 등장하며, 사용자와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3. 개인용 컴퓨터 시대 (1980년대) : IBM PC 등 개인용 컴퓨터가 등장하면서 운영체제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이때는 MS-DOS, MacOS 등 다양한 운영체제가 등장했습니다.

    4. 네트워크 시대 (1990년대 이후) : 인터넷의 보급으로 네트워크 시스템이 대중화되면서 운영체제의 역할이 더욱 복잡해졌습니다. 이때는 Windows, Linux 등 다양한 운영체제가 등장하며,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도 수행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가 → 다 → 라 → 나" 입니다. 일괄처리 시대에서는 운영체제가 없었으며, 시분할 시대에서는 운영체제가 등장하며, 개인용 컴퓨터 시대에서는 다양한 운영체제가 등장하였고, 네트워크 시대에서는 운영체제의 역할이 더욱 복잡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매크로내에서 여러 개의 매크로를 호출할 때 사용되는 자료 구조 중 가장 효율적인 것은?

  1. QUEUE
  2. TREE
  3. STACK
  4. LINKED LIST
(정답률: 42%)
  • 여러 개의 매크로를 호출할 때, 가장 최근에 호출된 매크로가 가장 먼저 실행되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택이 가장 효율적인 자료 구조입니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구조로, 가장 최근에 삽입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크로를 호출할 때는 스택을 사용하여 가장 최근에 호출된 매크로를 먼저 실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일정기간이나 특정 기능을 제한하여 사용하다가, 정식으로 사용하려면 그에 해당하는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소프트웨어는?

  1. 그래픽 소프트웨어
  2. 유틸리티
  3. 셰어웨어
  4. 백신
(정답률: 77%)
  • 셰어웨어는 일정기간이나 특정 기능을 제한하여 사용하다가, 정식으로 사용하려면 그에 해당하는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소프트웨어이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셰어웨어이다. 그래픽 소프트웨어는 그래픽 작업을 위한 소프트웨어, 유틸리티는 컴퓨터의 기능을 보완하거나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백신은 컴퓨터 바이러스를 예방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PC의 운영체제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DOS
  2. JAVA
  3. Linux
  4. Windows
(정답률: 80%)
  • JAVA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운영체제가 아닙니다. 따라서 PC의 운영체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Windows 7 Professional 에서 하드웨어 장치의 드라이버를 설치 또는 업데이트 한 후 해당 장치가 작동하지 않거나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전 드라이버로 되돌리는데 사용하는 기능은?

  1. 자원 확인
  2. 드라이버 확인
  3. 드라이버 롤백
  4. 드라이버 업데이트
(정답률: 86%)
  • 드라이버 롤백은 이전에 사용하던 드라이버로 되돌리는 기능이다. 새로 설치한 또는 업데이트한 드라이버가 문제를 일으키거나 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 이전에 사용하던 드라이버로 롤백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실행 파일의 확장자가 COM 또는 EXE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EXE 파일은 하나의 세그먼트 내에서 실행된다.
  2. COM 파일은 일반적으로 EXE 파일에 비해 실행 속도가 빠르다.
  3. COM 파일은 실행 중 세그먼트의 변경이 가능하다.
  4. EXE 파일은 COM 파일에 비해서 일반적으로 작다.
(정답률: 48%)
  • 정답: COM 파일은 일반적으로 EXE 파일에 비해 실행 속도가 빠르다.

    설명: COM 파일은 실행 파일의 크기가 작고, 하나의 세그먼트 내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메모리 접근 시간이 빠르고 실행 속도가 빠르다. 또한, COM 파일은 실행 중 세그먼트의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연성이 높다. 하지만, EXE 파일은 여러 개의 세그먼트로 나누어져 실행되기 때문에 COM 파일에 비해 크기가 크고 실행 속도가 느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영문자 한 글자를 나타낼 수 있는 최소 단위는?

  1. 1 bit
  2. 1 byte
  3. 1 Kbyte
  4. 1 Mbyte
(정답률: 68%)
  • 영문자 한 글자는 ASCII 코드를 이용하여 8비트(1 byte)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ASCII 코드는 영문자, 숫자, 특수문자 등을 8비트로 표현하는 데 사용되며, 따라서 영문자 한 글자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최소 1 byte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운영체제에서 발생하는 Interrupt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어떤 프로세스에게 주어진 시간 할당량이 종료했을 경우
  2. 어떤 하드웨어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3. 어떤 프로세스가 입출력을 위한 시스템 호출을 한 경우
  4. 어떤 프로세스가 시스템 내부의 다른 프로세스로부터 메시지를 받는 경우
(정답률: 37%)
  • "어떤 프로세스가 시스템 내부의 다른 프로세스로부터 메시지를 받는 경우"는 Interrupt와는 관련이 없는 개념이다. Interrupt는 주로 하드웨어나 입출력 등의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CPU가 해당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해 실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을 처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어떤 프로세스가 시스템 내부의 다른 프로세스로부터 메시지를 받는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컴퓨터의 각 부분을 운영하고 통제하는 가장 기본적인 프로그램의 집단이다.
  2.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하며 데이터와 파일의 저장을 관리하는 등의 기능을 한다.
  3. 운영체제의 종류에는 Windows, OS2, UNIX 등이 있다.
  4. 초기의 인터페이스는 VUI에서 GUI로 발전하였고, 미래에는 CUI로 발전할 전망이다.
(정답률: 68%)
  • "초기의 인터페이스는 VUI에서 GUI로 발전하였고, 미래에는 CUI로 발전할 전망이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초기의 인터페이스는 CUI였고, 이후 VUI, GUI로 발전해왔다. 미래에는 더욱 진보한 GUI나 다른 형태의 인터페이스가 개발될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Windows 7 Professional에서 구성 가능한 디스크 어레이 구축 방식 중 데이터 손실의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고성능을 추구하기 위해 디스크를 병렬로 배치하는 방식은?

  1. Raid-0
  2. Raid-1
  3. Raid-4
  4. Raid-5
(정답률: 53%)
  • Raid-0은 디스크를 병렬로 배치하여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므로 읽기/쓰기 속도가 빠르지만, 하나의 디스크가 고장나면 모든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주변기기

16. 입자가 아주 작은 잉크를 노즐을 이용하여 종이 위에 뿌리는 방식으로 인쇄하는 비충격식 프린터는?

  1. 잉크젯 프린터
  2. 레이저 프린터
  3. 라인 프린터
  4.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
(정답률: 72%)
  • 잉크젯 프린터는 노즐에서 작은 잉크 입자를 뿌려서 인쇄하기 때문에 비충격식이며, 다른 보기들은 인쇄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뮤직 신디사이저, 악기, 컴퓨터 등을 상호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은?

  1. MPEG
  2. MPC
  3. BUS
  4. MIDI
(정답률: 73%)
  • MIDI는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의 약자로, 음악 신디사이저, 악기, 컴퓨터 등을 상호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규격입니다. 따라서 MIDI는 음악 장비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음악 제작 및 연주에 필수적인 규격입니다. MPEG은 비디오 및 오디오 압축 규격, MPC는 Musepack 압축 규격, BUS는 컴퓨터 하드웨어 간의 통신 규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사용중인 비디오카드의 메모리가 1Mbyte이다. 해상도를 1024 x 768로 설정할 경우 표현할 수 있는 최대 컬러수는?

  1. 16색
  2. 256색
  3. 16비트
  4. 32비트
(정답률: 47%)
  • 1024 x 768 해상도에서 표현할 수 있는 픽셀 수는 786,432개이다. 1Mbyte는 8,388,608비트이므로, 각 픽셀당 표현 가능한 비트 수는 10.67비트이다. 이는 16색과 256색은 표현 가능하지만, 16비트와 32비트는 표현할 수 없는 범위이다. 따라서 최대 컬러수는 256색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MP3는 MPEG 오디오 CD 음질의 데이터 용량을 얼마나 줄일 수 있느냐 하는 오디오 압축의 방식을 말한다. 이때 CD 음질의 기준이 되는 샘플레이트와 데이터 비트수는?

  1. 56KHz - 8bits
  2. 44.1KHz - 16bits
  3. 44.1KHz - 8bits
  4. 56KHz - 16bits
(정답률: 54%)
  • CD 음질은 44.1KHz의 샘플레이트와 16bits의 데이터 비트수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MP3에서도 이와 같은 기준을 따르게 된다. 44.1KHz는 인간의 청각 주파수 범위인 20Hz~20KHz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샘플링 주파수이며, 16bits는 충분한 동적 범위를 제공하여 CD 음질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44.1KHz - 16bit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운영체제에 아무런 이상이 없이 빠른 속도로 그래픽 카드를 제어할 수 있는 표준 규격이 아닌 것은?

  1. DirectX
  2. Open GL
  3. DCI
  4. DMA
(정답률: 45%)
  • DMA는 그래픽 카드를 제어하는 표준 규격이 아니며, 데이터를 직접 메모리 간에 전송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DMA는 그래픽 카드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DRAM과 CPU 사이에서 데이터 병목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CPU에 장착한 메모리는?

  1. L2 Cache
  2. C2 Cache
  3. DMA
  4. CF-RAM
(정답률: 68%)
  • L2 Cache는 CPU와 DRAM 사이에 위치하여 CPU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병목 현상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는 CPU가 DRAM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시간을 줄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PC에서 사용 가능한 DVD 매체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DVD-R
  2. DVD-RW
  3. DVD-RAM
  4. DVD-RM
(정답률: 45%)
  • DVD-RM은 존재하지 않는 DVD 매체 종류입니다. 따라서 PC에서 사용 가능한 DVD 매체의 종류는 DVD-R, DVD-RW, DVD-RA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컴퓨터의 입출력 장치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Register
  2. CD-RW
  3. OMR
  4. Printer
(정답률: 60%)
  • Register는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CPU) 내부에 위치하며,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입출력 장치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반면, CD-RW는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 OMR은 광학 마크 판독기, Printer는 출력 장치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L2 캐시의 동작 방식이 아닌 것은?

  1. 비동기 방식
  2. 동기 방식
  3. 슬롯 방식
  4. 파이프라인 버스트 방식
(정답률: 46%)
  • 슬롯 방식은 L2 캐시의 동작 방식이 아니라, 메모리 관리 방식 중 하나이다. L2 캐시의 동작 방식은 비동기 방식, 동기 방식, 파이프라인 버스트 방식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CPU 클럭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1. 시스템 클럭 + 배율
  2. 시스템 클럭 * 배율
  3. 시스템 클럭 / 배율
  4. 시스템 클럭 = 배율
(정답률: 75%)
  • 정답은 "시스템 클럭 * 배율"입니다.

    CPU 클럭은 CPU가 일정 시간 동안 몇 번의 연산을 수행하는지를 나타내는 속도입니다. 이 속도는 시스템 클럭과 배율에 의해 결정됩니다.

    시스템 클럭은 CPU가 동작하는 기본 속도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GHz 단위로 표시됩니다. 배율은 CPU 클럭을 시스템 클럭의 몇 배로 설정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CPU 클럭은 시스템 클럭과 배율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시스템 클럭이 2.5GHz이고 배율이 20이면 CPU 클럭은 50GHz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서로 다른 디스크를 마치 하나의 디스크인 것처럼 인식을 하도록 하는 기능을 표현하는 용어는?

  1. FAT32
  2. RAID
  3. NTFS
  4. READ
(정답률: 76%)
  • RAID는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의 약자로, 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인 디스크로 인식하여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고, 데이터의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디스크를 마치 하나의 디스크인 것처럼 인식을 하도록 하는 기능을 표현하는 용어는 RAI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하드디스크를 선택할 때 반드시 살펴보아야 할 것들이 있다. 하드디스크의 선택 요건으로, 중요도가 낮은 것은?

  1. 데이터 전송 속도(Average Transfer Speed)
  2. 회전 수(Spindle Motor RPM)
  3. 저장 용량(Storage Capacity)
  4. 플래터의 두께(Platter Thickness)
(정답률: 75%)
  • 플래터의 두께는 하드디스크의 성능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중요도가 낮은 요건이다. 데이터 전송 속도, 회전 수, 저장 용량은 하드디스크의 성능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선택 시 우선 고려해야 할 요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하드웨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디바이스 드라이버
  2. CPU
  3. 주기억장치
  4. 모니터
(정답률: 73%)
  •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소프트웨어적인 요소로,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하드웨어에 직접적으로 속하지 않으며,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에 해당합니다. CPU, 주기억장치, 모니터는 모두 하드웨어적인 요소로,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중요한 부품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이론적으로 가장 빠른 속도를 내는 방식은?

  1. Serial
  2. USB 3.0
  3. Parallel
  4. USB OTG
(정답률: 74%)
  • USB 3.0은 데이터를 병렬적으로 전송하는 Parallel 방식이 아닌, 직렬적으로 전송하는 Serial 방식을 사용하며, 최대 전송 속도가 5Gbps로 USB OTG보다 빠르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가장 빠른 속도를 내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모니터로 전송할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은?

  1. 프레임버퍼
  2. 버퍼
  3. DAC
  4. 비디오칩셋
(정답률: 43%)
  • 모니터로 전송할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은 프레임버퍼이다. 이는 모니터에 출력될 이미지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로, CPU가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면 프레임버퍼에 저장되어 DAC와 비디오칩셋을 통해 모니터로 전송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디지털 논리회로

31. 십진수 145를 BCD코드로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

  1. 0010 0000 0001
  2. 0001 0100 0101
  3. 0000 1100 1001
  4. 0001 0010 1001
(정답률: 60%)
  • BCD 코드는 Binary Coded Decimal의 약자로, 10진수를 2진수로 변환하여 각 자리수를 4비트로 표현하는 코드이다. 따라서 145를 BCD 코드로 변환하면 각 자리수를 4비트로 표현한 것이 되며, 1은 0001, 4는 0100, 5는 0101로 표현된다. 따라서 정답은 "0001 0100 010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가중치부호이면서 자보수 부호인 것은?

  1. 2-5진 부호
  2. 그레이 부호
  3. 5421부호
  4. 2421부호
(정답률: 40%)
  • 가중치 부호란 각 자리의 값이 2의 거듭제곱으로 가중치가 부여되는 부호를 말합니다. 자보수 부호란 어떤 수의 보수를 취한 후 그 수에 1을 더한 값으로 표현하는 부호를 말합니다.

    그레이 부호와 2-5진 부호는 가중치 부호이지만 자보수 부호는 아닙니다.

    5421부호는 가중치 부호가 아니므로 자보수 부호도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2421부호입니다. 2421부호는 각 자리의 가중치가 2의 거듭제곱으로 부여되며, 보수를 취한 후 1을 더한 값으로 표현됩니다. 예를 들어, 1010을 2421부호로 표현하면 0101입니다. 이는 1010의 보수를 취한 후 1을 더한 값인 0101로 표현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오류검출 부호가 아닌 것은?

  1. 해밍 부호
  2. 패리티 부호
  3. 2-5진 부호
  4. 3초과 부호
(정답률: 47%)
  • 오류검출 부호는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기술이다.

    1. 해밍 부호: 데이터의 비트에 일정한 규칙을 적용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부호이다.

    2. 패리티 부호: 데이터의 비트 중에서 1의 개수가 짝수인지 홀수인지를 검사하여 오류를 검출하는 부호이다.

    3. 2-5진 부호: 2진수나 5진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방식으로, 오류 검출 기능은 없다.

    4. 3초과 부호: 이 부호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3초과 부호는 오류검출 부호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부울대수식에서 “A+bar A B”를 간단히 하면?

  1. A
  2. 0
  3. A×B
  4. A+B
(정답률: 42%)
  • 부울대수식에서 "bar A"는 A의 부정을 나타내며, "A+bar A"는 A와 A의 부정 중 하나가 참이면 참이 되는 식입니다. 따라서 "A+bar A B"는 A와 A의 부정 중 하나가 참이면 B와 함께 참이 되는 식입니다. A와 A의 부정 중 하나는 항상 참이므로, "A+bar A B"는 B와 함께 참이 됩니다. 이를 간단히 하면 "A+B"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2진수 011010의 2의 보수는?

  1. 011001
  2. 100101
  3. 100110
  4. 010110
(정답률: 40%)
  • 2의 보수란, 어떤 수의 모든 비트를 반전시킨 후 1을 더한 값입니다.

    따라서, 2진수 011010의 모든 비트를 반전시킨 값은 100101이 됩니다.

    그리고 여기에 1을 더한 값은 10011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1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PC유지보수

36. 컴퓨터에 전원이 들어오면 BIOS 내의 설정 값에 의해 컴퓨터가 장치들을 점검하고 사용 가능하도록 준비를 하는 과정은?

  1. BOOT
  2. OS
  3. POST
  4. RAM
(정답률: 61%)
  • 전원이 들어오면 컴퓨터는 POST (Power-On Self-Test) 과정을 거쳐 하드웨어 장치들을 점검하고 사용 가능하도록 준비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RAM, CPU, 그래픽 카드 등의 하드웨어가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문제를 보고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POS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컴퓨터 부팅 중에 [BIOS Check Sum Error] 메시지가 출력되었을 때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1. 메인보드의 배터리를 교체한다.
  2. 키보드 커넥터를 확인한다.
  3. 메인 메모리를 교체한다.
  4. CPU를 교체한다.
(정답률: 60%)
  • BIOS Check Sum Error는 메인보드의 BIOS에 저장된 정보가 손상되었을 때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이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메인보드의 배터리를 교체해야 합니다. 배터리는 BIOS에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배터리가 소모되거나 고장이 나면 BIOS에 저장된 정보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터리를 교체하여 BIOS에 저장된 정보를 복구해야 합니다. 키보드 커넥터를 확인하거나 메인 메모리, CPU를 교체하는 것은 BIOS Check Sum Error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문제들이므로, 이 경우에는 해결책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BIOS가 저장되어 있는 장소는?

  1. CPU
  2. ODD
  3. ROM
  4. HDD
(정답률: 72%)
  • BIOS는 컴퓨터 부팅 시 가장 먼저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컴퓨터의 기본적인 동작을 제어합니다. 이러한 BIOS는 컴퓨터의 메인보드에 내장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ROM(Read-Only Memory)에 저장됩니다. ROM은 읽기 전용 메모리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유지할 수 있지만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BIOS는 컴퓨터 부팅 시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ROM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DISK BOOT FAILURE, INSERT SYSTEM DISK AND PRESS ENTER] 에러 메시지가 나타날 때의 원인에 따른 해결방법 중 잘못된 것은?

  1. 부팅할 수 없는 디스켓이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에 들어있는 경우, 디스켓을 빼고 부팅을 시도한다.
  2. 시스템 파일이 손상된 경우, 시스템 파일을 복구한다.
  3. 부팅 순서가 잘못 설정된 경우, 파티션을 재설정한다.
  4. 부팅 하드디스크와 메인보드간의 연결 케이블이 헐거워지거나 빠진 경우에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을 재 설정한다.
(정답률: 43%)
  • "부팅 순서가 잘못 설정된 경우, 파티션을 재설정한다."는 잘못된 해결방법입니다. 부팅 순서가 잘못 설정된 경우, BIOS 설정에서 부팅 순서를 수정하면 됩니다. 파티션을 재설정하는 것은 다른 문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하드디스크가 Active 상태로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 나타나는 메시지는?

  1. Device overflow
  2. Hard disk diagnosis fail
  3. No ROM Basic system halted
  4. Error initializing hard drive controller
(정답률: 36%)
  • "No ROM Basic system halted" 메시지는 컴퓨터가 부팅할 때 ROM (Read-Only Memory)에서 기본적인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찾을 수 없을 때 나타납니다. 이는 하드디스크나 다른 부팅 장치가 제대로 연결되지 않았거나, 손상되었거나, 부팅 가능한 운영 체제가 없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메시지가 나타나면 하드디스크나 부팅 장치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복구 또는 교체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Device overflow", "Hard disk diagnosis fail", "Error initializing hard drive controller"는 하드디스크와 관련된 문제를 나타내는 메시지이며, "No ROM Basic system halted"와는 다른 원인과 해결 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Windows에서 마우스를 찾지 못하거나 커서가 움직이지 않는다. 다음 중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마우스가 포트에 제대로 연결되지 않았다.
  2. 마우스의 리소스가 다른 장치와 충돌한다.
  3. CMOS SETUP의 마우스 관련 설정이 잘못되었다.
  4. USB 키보드를 사용 중이라면, USB 마우스를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80%)
  • USB 키보드와 마우스는 같은 USB 포트를 공유하기 때문에, USB 키보드를 사용 중일 때 USB 마우스를 사용할 수 없다. 이는 USB 포트의 대역폭 한계 때문이다. 따라서 USB 키보드와 마우스를 함께 사용하려면 PS/2 포트를 사용하거나 USB 허브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과도한 CPU 오버 클러킹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가 아닌 것은?

  1. 시스템이 자주 다운된다.
  2. CPU에 과도한 발열이 생긴다.
  3. CPU에 설치된 팬이 멈춘다.
  4. CPU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정답률: 77%)
  • CPU에 설치된 팬이 멈춘다는 것은 CPU의 냉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CPU가 과열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CPU에 과도한 발열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는 시스템이 자주 다운되거나 CPU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회로시험기를 이용하여 연결선의 단선 여부를 알아내기 위한 회로시험기의 선택스위치 위치로 올바른 것은?

  1. ACV 전압측정 위치
  2. DCV 전압측정 위치
  3. OHM 측정 위치
  4. A(ampere) 측정 위치
(정답률: 38%)
  • 정답은 "OHM 측정 위치"입니다. 회로시험기를 이용하여 연결선의 단선 여부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전기 저항을 측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OHM 측정 위치로 선택스위치를 올려야 합니다. ACV 전압측정 위치나 DCV 전압측정 위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며, A(ampere) 측정 위치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BIOS에서 제어할 수 없는 것은?

  1. 부트 디스크 설정
  2. 물리적 메모리 용량 설정
  3. 하드디스크 타입(Type) 설정
  4. IRQ 및 DMA 설정
(정답률: 70%)
  • BIOS는 컴퓨터의 기본 입력/출력 시스템으로, 부팅 프로세스와 하드웨어 초기화를 담당합니다. 하지만 BIOS는 물리적 메모리 용량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없습니다. 이는 메모리 용량은 하드웨어적인 한계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메모리 용량을 조절하려면 하드웨어를 업그레이드하거나 교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PC 조립을 마친 후 컴퓨터에 전원을 넣었는데, 모니터 화면에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을 때, 점검하는 과정 중 잘못된 것은?

  1. 컴퓨터에 전압은 연결됐는지, 적정 전압에 맞게 설정했는지 확인한다. 또한 파워 서플라이 자체에 전원 ON/OFF 스위치가 있는 것도 있는데, 이 스위치를 ON으로 설정했는지 확인한다.
  2. 그래픽카드의 연결단자와 모니터 연결 케이블이 정확히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한다.
  3. 그래픽 카드의 장착 상태나 그래픽 카드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4. 하드디스크와 CD-ROM 드라이브,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올바르게 연결되었는지 확인한다.
(정답률: 77%)
  • 하드디스크와 CD-ROM 드라이브,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브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올바르게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잘못된 것이 아닙니다. 이는 모니터와 그래픽 카드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것과 병행하여 진행되어야 하는 점검 항목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모든 항목을 체크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ODD - HDD 순으로 부팅되는 PC를 HDD - ODD순서로 변경하기 위해 바이오스에서 설정해야 하는 메뉴는?

  1. Disk Swap
  2. POWER ON Function
  3. I/O Device Configuration
  4. Boot Sequence
(정답률: 77%)
  • 정답은 "Boot Sequence"입니다. 이는 부팅 순서를 설정하는 메뉴로, HDD와 ODD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른 메뉴들은 디스크 교환, 전원 기능, I/O 장치 구성 등과 관련된 설정을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Windows를 사용하던 중 “KERNEL32.DLL에서 잘못된 연산이 수행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나는 이유로 잘못된 것은?

  1. 어플리케이션간 메모리 충돌이 일어날 때
  2. KERNEL32.DLL의 버전이 다르거나 손상된 경우
  3. CPU와 메모리의 FSB가 맞지 않을 경우
  4. 메인 메모리가 불량인 경우
(정답률: 41%)
  • “KERNEL32.DLL에서 잘못된 연산이 수행되었습니다.” 메시지가 나타나는 이유는 CPU와 메모리의 FSB가 맞지 않을 경우입니다. FSB는 CPU와 메모리 간의 통신 속도를 의미하며, 이 속도가 맞지 않으면 데이터 전송이 원활하지 않아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CPU와 메모리의 FSB를 확인하고 맞춰주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로우레벨 포맷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물리적상태는 그대로 둔 채 논리적인 포맷만을 하므로 시간이 짧게 걸린다.
  2. 백신 프로그램이나 포맷으로도 바이러스가 잡히지 않을 경우 진행한다.
  3. BIOS 설정에 로우레벨 포맷 기능이 있는 경우, 그것으로 수행하거나 별도의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4. 로우레벨 포맷을 통해 디스크의 배드 섹터와 같은 물리적 결함은 복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정답률: 63%)
  • "물리적상태는 그대로 둔 채 논리적인 포맷만을 하므로 시간이 짧게 걸린다."가 잘못된 것이다. 로우레벨 포맷은 논리적인 포맷과 함께 디스크의 물리적인 상태를 초기화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프로그램을 안전하게 제거하는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제거 기능을 이용한다.
  2.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Uninstall 기능을 이용한다.
  3. 탐색기에서 프로그램 폴더를 찾아 삭제한다.
  4. 클린 스윕(Clean Sweep)과 같은 설치/제거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정답률: 74%)
  • 탐색기에서 프로그램 폴더를 찾아 삭제하는 것은 프로그램이 설치된 폴더만 삭제하고, 프로그램이 사용한 레지스트리 항목이나 다른 파일들은 삭제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하지 않다. 이로 인해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PC에 정해진 시간동안 작업을 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전원을 절전해주는 Award 바이오스의 BIOS SETUP에 해당되는 것은?

  1. Integrated Peripherals
  2. Ide Hdd Auto Detection
  3. Quick Power On Self Test
  4. Power Management Setup
(정답률: 71%)
  • "Power Management Setup"은 PC의 전력 관리를 설정하는 BIOS 설정 항목입니다. 이 설정을 통해 PC가 일정 시간 동안 작업을 하지 않을 때 자동으로 전원을 절전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력 소모를 줄이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PC네트워크

51. Windows에서 하나의 NIC에 여러 가지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은?

  1. 라우팅 서비스
  2. 공유 액세스
  3. 바인딩
  4. 멀티 프로토콜
(정답률: 38%)
  • 바인딩은 Windows에서 하나의 NIC(Network Interface Card)에 여러 가지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NIC는 여러 가지 프로토콜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라우팅 서비스나 공유 액세스 등 다양한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바인딩은 Windows에서 네트워크 기능을 활용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에서 설명하는 프로토콜은?

  1. TCP/IP
  2. SNMP
  3. ARP
  4. RARP
(정답률: 46%)
  • 이 프로토콜은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입니다. ARP는 IP 주소를 물리적인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할 때 필요한 MAC 주소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위 그림은 ARP 요청과 응답 과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네트워크의 TCP는 무엇의 약자인가?

  1. Transfer Communication Protocol
  2.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3. Transfer Control Protocol
  4. Telecommunication Control Protocol
(정답률: 44%)
  • TCP는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의 약자이다. 이는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분할, 전송 순서의 유지, 오류 검출 및 복구 등을 담당한다. 따라서 TCP는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네트워크 관리 및 네트워크 장치와 동작을 감시, 총괄하는 프로토콜은?

  1. AMIP
  2. SNMP
  3. SMTP
  4. POP
(정답률: 61%)
  • 정답은 "SNMP"입니다.

    SNMP는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 관리 및 장치 감시를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SNMP는 네트워크 장치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보고하며, 문제가 발생하면 경고를 보내어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SNMP는 네트워크 장치의 상태, 성능, 사용량 등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합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관리 및 장치 감시를 위한 프로토콜로서 SNMP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OSI 참조 모델의 7계층 중 구문 변환과 문맥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으로 올바른 것은?

  1. 세션 계층
  2. 응용 계층
  3. 네트워크 계층
  4. 프리젠테이션 계층
(정답률: 41%)
  • 프리젠테이션 계층은 데이터의 구문을 변환하고, 암호화 및 복호화, 압축 및 해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상위 계층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하위 계층에서 사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데이터의 문맥 제어를 담당하여 상위 계층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하위 계층에서 올바르게 해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구문 변환과 문맥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은 프리젠테이션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가장 빠른 통신 속도를 낼 수 있는 전송 매체는?

  1. Twisted Pair
  2. Optical Fiber
  3. Coaxial Cable
  4. Thin Cable
(정답률: 74%)
  • Optical Fiber는 빛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기 신호를 이용하는 다른 전송 매체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또한, 광케이블은 전기적인 간섭을 받지 않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IP 주소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 내의 IP 주소들을 효율적으로 분할하기 위해 사용된다.
  2. IP 주소는 네트워크의 규모에 따라 A, B, C 3개의 클래스로 지정할 수 있다.
  3.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하면 C클래스의 IP 주소도 여러 개의 분할된 네트워크로 분할할 수 있다.
  4. IP 주소의 각 클래스는 최상위 88비트를 이용해 결정한다.
(정답률: 64%)
  • "IP 주소의 각 클래스는 최상위 88비트를 이용해 결정한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IP 주소의 클래스는 최상위 비트를 이용해 결정된다. A 클래스는 첫 번째 비트가 0인 주소, B 클래스는 첫 번째 비트가 10인 주소, C 클래스는 첫 번째 비트가 110인 주소로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인터넷 IP 주소에서 숫자로 표현하는 주소를 사람이 알기 쉽게 문자로 표현하는 것은?

  1. Domain Name
  2. IP Address
  3. Java
  4. Web Browser
(정답률: 69%)
  • 인터넷 IP 주소는 숫자로 표현되어 있어서 사람이 외우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사람이 알기 쉽게 문자로 표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Domain Name" 입니다. Domain Name은 사람이 알기 쉬운 문자열로 이루어진 인터넷 주소입니다. 예를 들어, "google.com"이라는 Domain Name은 "172.217.25.78"이라는 IP 주소와 대응됩니다. 이렇게 Domain Name을 사용하면 사람들은 인터넷 주소를 쉽게 기억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컴퓨터 통신에서 컴퓨터간의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규정된 통신규약은?

  1. 인터페이스
  2. 프로토콜
  3. 터미널
  4. 샘플링
(정답률: 78%)
  • 프로토콜은 컴퓨터간의 정보 교환을 위한 규약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 데이터의 형식, 오류 처리 방법 등을 정의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컴퓨터간의 통신에서는 프로토콜을 준수하여야만 정보를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어떤 컴퓨터든 통신 세션을 시작할 수 있는 통신 모델을 지칭하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컴퓨터들이 서로 대등한 입장에서 데이터나 주변장치 등을 공유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모델은?

  1. Client/Server
  2. Master/Slave
  3. Peer to Peer
  4. Network to Network
(정답률: 62%)
  • "Peer to Peer" 모델은 모든 컴퓨터들이 서로 대등한 입장에서 데이터나 주변장치 등을 공유할 수 있는 모델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모델들은 클라이언트/서버, 마스터/슬레이브, 네트워크/네트워크와 같이 특정 컴퓨터나 시스템이 다른 컴퓨터나 시스템에 종속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Peer to Peer"과는 다른 모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