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4-27)

PC정비사 2급
(2008-04-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PC유지보수

1. PC 조립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Power Supply는 큰 냉각팬이 돌아가기 때문에 단단히 고정하지 않으면 진동으로 인해 냉각팬 돌아가는 소리가 크게 들린다.
  2. 메인보드의 Power S/W와 Reset S/W는 극성이 없으므로 연결커넥터는 사용자가 마음대로 연결해도 무방하다.
  3. 시리얼 ATA 방식의 하드디스크를 연결할 때는 점퍼 설정을 해야 한다.
  4. CPU나 하드디스크는 동작 중 열이 많이 발생하므로, 본체의 발열이 원활하도록 조립한다.
(정답률: 49%)
  • "시리얼 ATA 방식의 하드디스크를 연결할 때는 점퍼 설정을 해야 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시리얼 ATA 방식의 하드디스크는 점퍼 설정이 필요하지 않다. 대신, 마스터/슬레이브 설정을 BIOS에서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PC를 조립한 후 상태 확인 및 점검을 위해 해야 할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모니터 화면에 POST 부트 메시지를 확인하여 RAM이나 하드디스크의 설치 상태가 이상이 없음을 확인한다.
  2. 키보드와 마우스는 본체에 연결한 후 전원과 동작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3. 프린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PC부팅 전에 프린터의 전원을 켜야 한다.
  4. 스피커를 켜고 소리가 제대로 들리는지 확인한다.
(정답률: 79%)
  • "프린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PC부팅 전에 프린터의 전원을 켜야 한다."는 잘못된 것이다. 프린터의 전원을 켜고 PC를 부팅한 후에도 프린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Award BIOS의 Power Management Setup의 특정 메뉴에 대한 설명이다. 빈 칸에 들어갈 메뉴는?

  1. Modem Use IRQ
  2. Restore AC/Power Loss
  3. Power Up
  4. Wake On LAN
(정답률: 60%)
  • "Wake On LAN"은 컴퓨터가 꺼져있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컴퓨터를 켜기 위한 기능이다.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컴퓨터의 네트워크 카드가 지원해야 하며, BIOS에서 "Wake On LAN"을 활성화해야 한다. 다른 메뉴들은 각각 모뎀 IRQ 사용, 전원 손실 복구, 전원 켜기와 관련된 설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컴퓨터 전원을 켜면 컴퓨터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기 위한 POST(Power On Self Test)가 진행되면서 여러 가지 정보가 모니터 화면에 나타난다. 다음 중 POST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보가 아닌 것은?

  1. CPU 동작 클럭
  2. 시스템 메모리의 용량
  3. BIOS 정보
  4. 운영 체제 버전
(정답률: 80%)
  • 운영 체제 버전은 POST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보가 아니다. 이는 운영 체제가 로드되어 실행되어야만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이기 때문이다. POST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상태를 점검하는 과정으로, CPU 동작 클럭, 시스템 메모리의 용량, BIOS 정보 등과 같은 하드웨어 관련 정보를 확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PnP(Plug & Play)를 최초로 지원하기 시작한 운영체제는?

  1. Windows 3.1
  2. Windows 95
  3. Windows ME
  4. Windows 2000
(정답률: 60%)
  • Windows 95는 최초로 PnP(Plug & Play)를 지원하는 운영체제였습니다. 이전의 Windows 3.1에서는 하드웨어를 추가할 때마다 수동으로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했지만, Windows 95에서는 하드웨어를 추가하면 자동으로 인식하고 필요한 드라이버를 자동으로 설치해주는 기능을 제공했습니다. 이로 인해 하드웨어 추가 및 관리가 훨씬 편리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Standard CMOS Setup에서 Halt On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All, But Keyboard - 키보드 오류에 대해서만 POST를 멈추지 않는다.
  2. All Errors - 어떤 에러가 발생해도 POST를 계속 진행한다.
  3. No Errors - 바이오스가 비치명적인 에러 검출 시 POST를 중지하고 알려준다.
  4. No, But Keyboard - 키보드 오류에 대해서만 POST를 멈추지 않는다.
(정답률: 63%)
  • Halt On은 POST 과정에서 어떤 에러가 발생했을 때 멈출 것인지를 설정하는 기능이다. "All, But Keyboard" 옵션은 키보드 오류를 제외한 모든 에러가 발생했을 때 POST를 멈추게 된다. 즉, 키보드 오류가 아닌 다른 하드웨어 오류가 발생하면 POST를 멈추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P-ATA 포트 2개와 S-ATA 포트 4개를 지원하는 메인보드에 연결할 수 있는 HDD의 최대 개수는? (단, 메인보드의 기본적인 하드디스크 연결 포트 외에 USB나 기타 하드디스크를 장착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다.)

  1. 5개
  2. 6개
  3. 8개
  4. 10개
(정답률: 67%)
  • P-ATA 포트 2개로는 각각 1개의 HDD을 연결할 수 있고, S-ATA 포트 4개로는 각각 1개의 HDD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총 6개의 HDD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6개"가 될 것 같지만, 하나의 P-ATA 포트에는 여러 개의 HDD을 연결할 수 있는 IDE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P-ATA 포트 2개로 최대 4개의 HDD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총 8개의 HDD을 연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오디오 채널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5.1채널에서 센터, 전방좌우, 후방좌우는 각각 1채널을 갖는다.
  2. 5.1채널에서 서브우퍼는 저음신호를 담당하며 0.1채널을 갖는다.
  3. 외부 앰프가 필요한 서브우퍼를 액티브 서브우퍼라 부른다.
  4. 최근 6.1채널, 7.1채널까지 확장된 규격이 출시되고 있다.
(정답률: 62%)
  • "외부 앰프가 필요한 서브우퍼를 액티브 서브우퍼라 부른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액티브 서브우퍼는 내장된 앰프를 가지고 있어 외부 앰프 없이도 작동이 가능한 서브우퍼를 의미한다. 따라서, "외부 앰프가 필요한 서브우퍼를 패시브 서브우퍼라 부른다."가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업데이트된 드라이버를 설치했더니 시스템이 불안해지고 심지어 Windows XP로 부팅조차 되지 않는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으로 부팅하여 본다.
  2. 드라이버 롤백 작업을 진행한다.
  3. BIOS 설정에서 부팅 순서를 변경한다.
  4. 시스템 복원을 실행한다.
(정답률: 64%)
  • 정답: BIOS 설정에서 부팅 순서를 변경한다.

    이유: 드라이버 업데이트 후 시스템이 불안해지고 부팅이 되지 않는 경우, BIOS 설정에서 부팅 순서를 변경하여 CD/DVD 또는 USB를 우선으로 부팅하도록 설정하고, Windows XP 설치 디스크 또는 복구 디스크를 사용하여 시스템 복구를 시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성공한 구성으로 부팅하거나 드라이버 롤백 작업을 진행하는 것은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시스템 복원은 이미지 백업이나 시스템 복구 디스크가 없는 경우에만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전자파에 관련된 인증 마크가 아닌 것은?

  1. EMI
  2. FCC
  3. CE
  4. KGMP
(정답률: 57%)
  • KGMP는 전자파에 관련된 인증 마크가 아닙니다. KGMP는 대한민국 의약품안전처에서 인증하는 의료기기 품질관리시스템 인증 마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하드디스크 파티션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파티션을 지우고 새로 생성한 경우, 재부팅하면 설정 변경 사항이 반영된다.
  2. 파티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포맷을 통해 하드디스크를 초기화해야 한다.
  3. 파티션 매직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윈도우 환경에서 포맷 없이 파티션을 합치거나 조정할 수 있다.
  4. 3개 이상의 파티션을 잡을 경우, 먼저 Primary로 잡은 다음, 남은 영역을 모두 Extended로 잡고, 다시 Logical로 나눈다.
(정답률: 54%)
  • "파티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포맷을 통해 하드디스크를 초기화해야 한다." 이 설명이 잘못된 것이다. 파티션을 생성하려면 하드디스크를 초기화할 필요는 없다. 파티션을 생성하면 하드디스크의 논리적인 영역을 나누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데이터가 삭제되지 않는다. 다만, 파티션을 포맷하면 해당 파티션에 저장된 데이터가 모두 삭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Windows XP 기본 Program 내에서 NTFS 파일 시스템을 FAT32 파일 시스템으로 변환하는 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1. convert 명령어를 사용해 FAT32 파일 시스템으로 변환한다.
  2. "format 드라이브명 /fs:fat32" 을 사용하여 드라이브를 다시 포맷한다.
  3. NTFS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파티션부터 삭제한다.
  4. "del 드라이브명 /ntfs" 명령을 사용하여 NTFS 파일 시스템을 삭제한다.
(정답률: 41%)
  • 정답은 "NTFS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파티션부터 삭제한다." 이다.

    이유는 NTFS 파일 시스템은 FAT32 파일 시스템보다 더 안정적이고 보안성이 높기 때문에, NTFS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파티션을 FAT32 파일 시스템으로 변환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NTFS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파티션을 삭제하고 새로운 FAT32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CD 레코딩 작업 중 발생되는 “Buffer Under Run” 에러의 해결책으로 잘못된 것은?

  1. 레코딩 작업 중 다른 작업을 병행하지 않는다.
  2. 레코딩 기록 속도는 낮춰준다.
  3. 이미지 파일을 만들어 레코딩 작업을 한다.
  4. 하드디스크의 빈 공간을 확보한다.
(정답률: 57%)
  • 잘못된 것은 "이미지 파일을 만들어 레코딩 작업을 한다."이다. 이미지 파일을 만들어 레코딩 작업을 하면 디스크 공간을 더 많이 차지하게 되어 Buffer Under Run 에러가 더 자주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하드디스크의 빈 공간을 확보한다."이다. 레코딩 작업 중에는 임시 파일이 생성되고 이 파일이 디스크에 저장되는데, 디스크에 충분한 공간이 없으면 Buffer Under Run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레코딩 작업을 하기 전에는 하드디스크의 빈 공간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마우스의 인터페이스를 보면 최근에는 PS/2나 USB이지만 이전에는 Serial 포트를 인터페이스로 사용하였다. Serial 포트를 사용할 경우 컴퓨터 내부의 어떤 장치와 IRQ의 충돌이 일어날 수 있는가?

  1. SCSI Card
  2. VAG Card
  3. MODEM
  4. FDD
(정답률: 38%)
  • Serial 포트는 컴퓨터 내부의 UART 칩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칩은 IRQ 3 또는 4를 사용한다. MODEM은 컴퓨터와 통신하기 위해 Serial 포트를 사용하며, 이 때 MODEM과 UART 칩이 같은 IRQ를 사용하면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MODEM과 같은 Serial 포트를 사용하는 장치는 IRQ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펜티엄4에 적용된 기술로, 하나의 프로세서가 두 개의 논리적 프로세서처럼 작동하도록 하는 기술은?

  1. 하이퍼 트랜스포트
  2. 하이퍼 스레딩
  3. 멀티 태스킹
  4. 넷 버스트
(정답률: 63%)
  • 하이퍼 스레딩은 하나의 프로세서가 두 개의 논리적 프로세서처럼 작동하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의 작업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하이퍼 스레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운영체제

16. 여러 개의 작업을 하나로 묶어 일정시점에 이 작업들을 한꺼번에 처리하는 운영체제 방식은?

  1. Job by Job방식
  2. 실시간 시스템
  3. 일괄처리 방식
  4. 다중 프로그래밍 방식
(정답률: 91%)
  • 일괄처리 방식은 여러 개의 작업을 하나로 묶어 일정 시점에 이 작업들을 한꺼번에 처리하는 운영체제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작업을 순차적으로 처리하며, 하나의 작업이 끝나야 다음 작업이 실행됩니다. 따라서 작업이 실행되는 순서를 미리 정해놓고 처리하는 방식으로, 대규모 작업 처리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면서 CPU, 주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의 컴퓨터 자원을 관리하고, 인간과 컴퓨터간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는?

  1. Shareware
  2. Middleware
  3. Operating System
  4. Protocol
(정답률: 55%)
  •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면서, 컴퓨터 자원을 관리하고 인간과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Operating Syste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에서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시장 출시 전에 제품에 대한 문제점이나 의견 수렴을 위해 "소프트웨어의 전체 기능을 일반 사용자에게 무료로 일정 기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1. Freeware
  2. Demo Version S/W
  3. Beta Version S/W
  4. Shareware
(정답률: 59%)
  • Beta Version S/W는 개발 중인 소프트웨어를 일반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제품에 대한 문제점이나 의견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이 되는 것입니다. Freeware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하며, Demo Version S/W는 제한된 기능을 가진 데모 버전 소프트웨어를 의미합니다. Shareware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일정 기간 후에는 유료로 사용해야 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Windows XP에서 삭제한 파일을 잠시 보관해 두는 휴지통이 있다. 하지만 휴지통에 보관하지 않고 곧바로 삭제하려고 할 때, 키의 조합은?

  1. Tab + Del
  2. Shift + Del
  3. Alt + Del
  4. Ctrl + Del
(정답률: 84%)
  • 정답은 "Shift + Del"이다. 이는 파일을 바로 삭제하는 단축키로, 휴지통을 거치지 않고 파일을 영구적으로 삭제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휴지통과 관련된 단축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Windows XP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설치할 하드디스크가 포맷이 되어있지 않을 경우 Windows XP 설치 중에는 포맷을 할 수 없으므로 설치 전 FDISK를 이용하여 포맷한다.
  2. 하드디스크에 Windows 98/Me 등의 Windows가 이미 설치되어 있다면 Windows에서 바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3. 하드디스크에 Windows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Windows XP 설치 CD로 부팅한 뒤 설치해야 한다.
  4. Windows에서 설치할 때 만약 설치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으면 탐색기를 실행해 CD-ROM 드라이브를 열어 “Setup.exe”를 더블 클릭한다.
(정답률: 58%)
  • 정답은 "설치할 하드디스크가 포맷이 되어있지 않을 경우 Windows XP 설치 중에는 포맷을 할 수 없으므로 설치 전 FDISK를 이용하여 포맷한다." 이다.

    이유는 Windows XP 설치 중에는 포맷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설치 전에 FDISK를 이용하여 하드디스크를 포맷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바탕화면의 휴지통을 이용하여 파일을 복원할 수 있는 경우는?(단, 휴지통 비우기는 사용하지 않았으며, 지워진 파일이 들어갈 만큼 휴지통 크기는 넉넉하다고 가정한다.)

  1. 플로피디스크상의 파일을 삭제한 경우
  2. 네트워크 드라이브상의 파일을 삭제한 경우
  3. 같은 디렉터리의 동일한 이름을 가진 파일을 두 번 이상 삭제 한 후, 처음 삭제한 파일을 복원할 경우
  4. 같은 이름의 파일을 복사/이동 작업으로 덮어써서 지운 경우
(정답률: 52%)
  • 바탕화면의 휴지통은 삭제된 파일을 보관하는 장소이다. 따라서 같은 디렉터리의 동일한 이름을 가진 파일을 두 번 이상 삭제한 경우, 처음 삭제한 파일이 휴지통에 들어가게 된다. 이후에 같은 이름의 파일을 삭제하더라도 휴지통에는 이미 처음 삭제한 파일이 있기 때문에 두 번째 삭제한 파일이 휴지통에 들어가게 되는 것이 아니라, 처음 삭제한 파일이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휴지통을 이용하여 처음 삭제한 파일을 복원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Windows XP를 설치하기 전 확인 사항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와의 호환 여부
  2. 바탕화면의 배경화면
  3. Windows XP를 운영하기 위한 하드웨어 사양
  4. 기존 하드웨어의 Windows XP 호환 여부
(정답률: 86%)
  • 바탕화면의 배경화면은 Windows XP 설치 전 확인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적절하지 못한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Windows XP 설치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Windows XP에서 컴퓨터의 시스템, 프로그램, 보안 이벤트 로그를 표시하고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관리 도구는?

  1. 구성 요소 서비스
  2. 성능
  3. 이벤트 뷰어
  4. 장치 관리자
(정답률: 77%)
  • 이벤트 뷰어는 Windows XP에서 컴퓨터의 시스템, 프로그램, 보안 이벤트 로그를 표시하고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관리 도구입니다. 이벤트 뷰어는 시스템의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며, 시스템의 안정성과 보안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벤트 뷰어가 Windows XP에서 컴퓨터 관리에 필수적인 도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에서 설명하는 용어는?

  1. 허브
  2. 하이브
  3. 게이트웨이
  4. 네트워크
(정답률: 67%)
  • 이 그림은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중앙 집중식 네트워크 장비인 허브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답은 "하이브"입니다. 하이브는 허브와 비슷하지만, 허브가 데이터를 모든 포트로 브로드캐스트하는 반면, 하이브는 스위칭 기능을 가지고 있어 데이터를 필요한 포트로만 전송합니다. 따라서 하이브는 허브보다 더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인터넷 익스플로러에 나타나는 오류 메시지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서버를 찾을 수 없거나 DNS 오류입니다. - 인터넷 연결 환경이 잘못된 경우
  2. 403 Forbidden - 특별한 액세스 승인이 필요한 사이트인 경우
  3. Bad File Request - 특별한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한 페이지인 경우
  4. 404 Not Found - 인터넷 주소가 잘못된 경우
(정답률: 64%)
  • "Bad File Request - 특별한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한 페이지인 경우"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Bad File Request 오류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한 파일이나 페이지가 손상되었거나 잘못된 형식으로 작성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이 오류는 특별한 프로그램 설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이 설명하는 인터넷 용어는?

  1. E-mail
  2. Usenet
  3. News Group
  4. Mailing List
(정답률: 36%)
  • 위 그림은 "Mailing List"를 나타냅니다. Mailing List는 특정 주제나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이메일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는 방식입니다. 이메일 주소를 등록하면 해당 주제에 대한 정보나 논의를 이메일로 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Windows XP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메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유즈넷 클라이언트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1. Outlook Express
  2. Netscape
  3. Eudora
  4. Internet Explorer
(정답률: 84%)
  • Outlook Express는 Windows XP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메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이 프로그램은 유즈넷 클라이언트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메일 클라이언트로는 사용 가능하지만, 유즈넷 클라이언트로는 활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MS-DOS용 부팅디스켓을 만들려고 한다. 플로피디스크 부팅 시 반드시 필요한 파일이 아닌 것은?

  1. MSDOS.SYS
  2. IO.SYS
  3. HIMEM.SYS
  4. COMMAND.COM
(정답률: 69%)
  • HIMEM.SYS는 MS-DOS 운영체제에서 메모리 관리를 위한 파일로, 부팅디스크를 만들 때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부팅디스크는 운영체제를 부팅하기 위한 필수 파일인 MSDOS.SYS, IO.SYS, COMMAND.COM만 있으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프롬프트 모드의 FTP 프로그램으로 사용하여 파일을 업로드 할 때와 다운로드할 때 사용하는 FTP 명령어로 올바른 것은?

  1. up - down
  2. put - get
  3. upload - download
  4. save - send
(정답률: 59%)
  • FTP 프로그램에서 파일을 업로드할 때는 "put" 명령어를 사용하고, 파일을 다운로드할 때는 "get"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put - get" 입니다. "up - down"은 FTP 명령어가 아니며, "upload - download"와 "save - send"는 비슷한 의미를 가지지만 FTP 명령어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과 같은 증상을 갖는 바이러스/악성코드는?

  1. 악성 쿠키
  2. 하이재커
  3. 스파이웨어
  4. 해킹 툴
(정답률: 50%)
  • 이 바이러스/악성코드는 화면을 가로채고 "당신의 컴퓨터는 해킹되었습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띄우며 사용자를 현혹시키고, 사용자가 지정한 금액을 요구하는 랜섬웨어의 일종인 하이재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PC주변기기

31. 일반적으로 PC에서 사용하는 주기억장치의 특성으로 잘못된 것은?

  1. 정보의 양은 Byte 단위로 나타낸다.
  2. 비휘발성이다.
  3. 일반적으로 보조기억장치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
  4.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의 캐시메모리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
(정답률: 54%)
  • 정답: "비휘발성이다."

    설명: 주기억장치는 전원이 꺼져도 저장된 데이터가 유지되지 않는 휘발성 메모리이다. 따라서 비휘발성이 아닌 휘발성이다. 나머지 보기는 모두 주기억장치의 특성으로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Memory에 기억된 Data의 유지를 위해 주기적으로 재충전하는 신호는?

  1. Timer
  2. Reset
  3. Refresh
  4. Strobe
(정답률: 81%)
  • Refresh 신호는 Memory에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재충전하는 신호입니다. 이는 데이터가 저장된 셀의 전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데이터의 정확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Refresh 신호는 Memory의 수명과 성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하드디스크의 물리적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Track
  2. Cylinder
  3. FAT
  4. Sector
(정답률: 80%)
  • FAT은 하드디스크의 물리적 구성요소가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체이다. Track, Cylinder, Sector은 하드디스크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어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하드디스크의 인터페이스 방식 중 최대 허용 용량이 528MB인 방식은?

  1. IDE
  2. ESDI
  3. SCSI
  4. ST-506/412
(정답률: 55%)
  • IDE는 Integrated Drive Electronics의 약자로, 하드디스크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방식 중 하나입니다. IDE는 ATA(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라는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며, 최대 허용 용량이 528MB인 방식으로도 사용됩니다. 이는 IDE가 다른 인터페이스 방식에 비해 비교적 구형 기술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가상메모리는 하드디스크를 주기억 장치처럼 사용하는 메모리 관리 방법 중의 하나이다. 가상 메모리 시스템에서는 프로그램 실행 도중에 할당받지 못한 메모리에 접근하려고 할 때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해서 수행되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Booting
  2. Load
  3. Memory Allocation
  4. Swapping
(정답률: 58%)
  • 가상 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하드디스크에 있는 일부 데이터를 주기억장치로 옮겨야 한다. 이 과정을 Swapping 이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Swappin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DVD 드라이브를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S-ATA
  2. E-IDE
  3. USB
  4. PS/2
(정답률: 65%)
  • PS/2는 키보드와 마우스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사용되며, DVD 드라이브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S-ATA, E-IDE, USB는 모두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빈칸 A, B 에 가장 올바른 단어는?

  1. A : 음악, B : 650
  2. A : 데이터, B : 650
  3. A : 음악, B : 450
  4. A : 데이터, B : 450
(정답률: 49%)
  • 주어진 그래프는 음악 다운로드 수와 데이터 다운로드 수를 나타내는데, 2008년 1월부터 4월까지 음악 다운로드 수가 400에서 650까지 증가하였고, 데이터 다운로드 수는 200에서 450까지 증가하였다. 따라서 A는 "음악"이어야 하고, B는 "650"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한글 3벌식 자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2벌식에 비해 키의 개수가 적다.
  2. 자음 한 벌, 모음 한 벌, 받침 한 벌로 이루어져 있다.
  3. 우리나라의 표준 자판이다.
  4. 입력 속도가 2벌식에 비해 느려 대중화에 실패하였다.
(정답률: 52%)
  • 한글 3벌식 자판은 자음, 모음, 받침 각각 한 벌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키의 개수가 적습니다. 이 자판은 우리나라의 표준 자판으로, 2벌식에 비해 입력 속도가 느려 대중화에 실패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TV 화면내의 TV 또는 모니터를 보면 수평줄이 수직으로 흐르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를 일컫는 말은?

  1. 해상도
  2. Hold
  3. V-Size
  4. Flicker
(정답률: 65%)
  • 정답: Flicker

    설명: Flicker는 TV 화면이나 모니터에서 수평선이 수직으로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주로 화면의 주파수나 전원 공급 문제로 발생한다. 다른 보기들인 해상도는 화면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용어이고, Hold는 화면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말한다. V-Size는 화면의 수직 크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레이저 프린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출력 속도는 CPS 단위로 표시한다.
  2. 해상도 단위는 PPM으로 표시한다.
  3. 해상도는 엔진 해상도와 에뮬레이션 해상도로 나뉘며 실제 필요한 것은 에뮬레이션 해상도이다.
  4. 자체적인 Processor와 Memory를 가지고 있다.
(정답률: 62%)
  • 레이저 프린터는 인쇄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자체적인 Processor와 Memory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인쇄 작업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컴퓨터의 성능에 크게 의존하지 않고도 고품질의 출력물을 만들어낼 수 있게 합니다. 따라서 레이저 프린터는 대량의 문서를 빠르게 인쇄하는 데 적합하며, 자체적인 Processor와 Memory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컴퓨터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그래픽 카드 기능이 기본적으로 설치된 메인보드에서는, 주기억장치의 용량을 빌려 프레임 버퍼(Frame Buffer)로 사용 할 수 있다. 이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BIOS의 메뉴는?(단, AWARD 바이오스 기준)

  1. VGA Share Memory Size
  2. ECP Mode Use DMA Size
  3. Init Display First Size
  4. PCI/VGA Palette Snoop Size
(정답률: 59%)
  • "VGA Share Memory Size"는 그래픽 카드가 사용할 수 있는 주기억장치의 용량을 조절하는 BIOS 메뉴이다. 이를 조절함으로써 프레임 버퍼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그래픽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다른 메뉴들은 그래픽 카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다른 기능들을 조절하는 메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메인보드 칩셋의 주요 기능과 이에 대한 설명 중 잘못 된 것은?

  1. 메모리 제어 : 시스템의 메인 메모리와 캐시 메모리 관리
  2. IO 제어 : 키보드, 마우스, DMA 등의 IO 장치 관리
  3. PCI 브리지 : PCI 버스 관리
  4. E-IDE 제어 : 내장된 시계 관리
(정답률: 69%)
  • E-IDE 제어는 내장된 시계 관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E-IDE 제어는 Enhanced Integrated Drive Electronics의 약자로 하드 디스크나 CD-ROM 등의 저장 장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따라서 "E-IDE 제어 : 내장된 시계 관리"가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메인보드의 부품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바이오스
  2. IO 칩셋
  3. 점퍼
  4. 칩셋
(정답률: 77%)
  • 위 그림은 메인보드의 BIOS 칩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BIOS는 Basic Input/Output System의 약자로, 컴퓨터의 부팅 및 하드웨어 초기화 등의 기본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따라서 컴퓨터가 부팅될 때 BIOS가 먼저 실행되어 하드웨어를 초기화하고 운영체제를 로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위 그림에서는 BIOS가 정답입니다. IO 칩셋은 입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칩셋, 점퍼는 메인보드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는 작은 핀, 칩셋은 메인보드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칩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컴퓨터에서 소리를 만드는 방식으로 일정한 주기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파형의 값을 표본화하고 양자화와 부호화를 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방식은?

  1. PCM 방식
  2. FM 방식
  3. MIDI 방식
  4. Wave Table 방식
(정답률: 43%)
  • PCM 방식은 아날로그 파형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주기적으로 표본화하여 양자화와 부호화를 거쳐 디지털 값으로 변환합니다. 이 방식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CD나 MP3 등의 디지털 오디오 형식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PCM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메인보드의 램 소켓에 기재된 표시로 올바른 것은?

  1. PCI #1
  2. PCI/ISA
  3. AGP #1
  4. BANK 1
(정답률: 53%)
  • 올바른 것은 "BANK 1"입니다. 이는 메인보드의 램 슬롯 중 첫 번째 슬롯을 가리키는 표시입니다. 다른 항목들은 PCI 슬롯, ISA 슬롯, AGP 슬롯을 가리키는 표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PC네트워크

46. 다음에서 설명하는 통신망의 구성 형태는?

  1. 버스형
  2. 망형
  3. 스타형
  4. 링형
(정답률: 78%)
  • 위 그림에서 중앙에 있는 중계기가 모든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기끼리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성 형태를 스타형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Hub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잘못된 것은?

  1. 3대 이상의 컴퓨터를 네트워크로 구축하여 자료를 공유할 때 사용한다.
  2. 허브는 최대 4, 8, 16, 24, 32 포트용 허브 등으로 구분한다.
  3. 허브는 연결할 수 있는 포트의 수에 따라 이더넷용, 패스트 이더넷용, 기가비트 이더넷용 허브로 구분한다.
  4. 스위칭 허브는 "포트 스위칭 허브"를 줄여서 부르는 말로서, 패킷주소에 기반을 두고 패킷을 적절한 포트로 전달하는 특수한 형태의 허브이다.
(정답률: 47%)
  • 허브는 연결할 수 있는 포트의 수에 따라 이더넷용, 패스트 이더넷용, 기가비트 이더넷용 허브로 구분하는 것이 잘못된 설명이다. 허브는 이더넷, 패스트 이더넷, 기가비트 이더넷 모두를 지원하는 유니버설 허브가 있으며, 이는 포트의 수와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동일한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분리된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로 네트워크 계층 간을 서로 연결하는 것은?

  1. Dumy Hub
  2. Bridge
  3. Switch
  4. Router
(정답률: 50%)
  • Router는 네트워크 계층 간을 연결하는 장치로, IP 주소를 기반으로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따라서 동일한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분리된 네트워크를 연결하는데 가장 적합한 장치입니다. 반면, Dummy Hub은 단순히 데이터를 모든 포트로 전송하는 반면, Bridge와 Switch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작동하여 MAC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2. DNS는 도메인 이름 서비스의 약식 표기로서 숫자로 구성된 IP 주소를 기억하기 쉽도록 표현한 것이다.
  3. 도메인은 호스트 이름, 기관 이름, 기관의 분류 및 국가 등을 표현하고 있으며, 하나의 호스트는 오직 하나의 도메인만을 가질 수 있다.
  4. 도메인 이름은 DNS 서버에 의해 대응하는 IP 주소로 변환되어 전송 목적지의 주소를 식별한다.
(정답률: 56%)
  • 잘못된 설명은 없습니다. 도메인은 호스트 이름, 기관 이름, 기관의 분류 및 국가 등을 표현하며, 하나의 호스트는 오직 하나의 도메인만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는 도메인 이름 체계가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naver.com"이라는 도메인은 "com"이라는 상위 도메인 아래에 위치하며, "naver"라는 호스트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도메인 이름은 DNS 서버에 의해 대응하는 IP 주소로 변환되어 전송 목적지의 주소를 식별합니다. 게이트웨이는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네트워크 장비이며, DNS는 도메인 이름 서비스의 약식 표기로서 숫자로 구성된 IP 주소를 기억하기 쉽도록 표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노벨(Novell)사에서 만든 운영체제인 Netware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기술하는 프로토콜의 집합으로, 짧게 NWLink 라고 불리는 프로토콜은?

  1. IPX/SPX
  2. TCP/IP
  3. NetBEUI
  4. NetBIOS
(정답률: 27%)
  • NWLink는 Netware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집합으로, 이 중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기술하는 프로토콜은 IPX/SPX이다. IPX는 Internetwork Packet Exchange의 약자로, Novell Netware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며, SPX는 Sequenced Packet Exchange의 약자로, IPX 위에서 동작하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NWLink는 IPX/SPX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