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7-20)

PC정비사 2급
(2008-07-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PC유지보수

1. 컴퓨터 케이스에 있는 각종 커넥터들 중에서 메인보드에 연결할 때 ‘+’, ‘-' 구분 없이 연결하여도 되는 것은?

  1. HDD LED
  2. PWR LED
  3. Reset S/W
  4. 모두 극성의 구분이 필요 없다.
(정답률: 73%)
  • Reset S/W는 컴퓨터를 재부팅할 때 사용하는 스위치로, +와 -의 극성 구분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메인보드에 연결할 때 구분 없이 연결해도 된다. HDD LED와 PWR LED는 각각 하드디스크와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LED이며, 극성 구분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PC 내부의 발열과 전원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일반적으로 Geforce 계열의 3D를 지원하는 비디오 카드는 예전 2D만 지원하는 비디오 카드보다 발열량이 매우 적다.
  2. 컴퓨터 케이스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는 파워 또는 케이스의 절연 장치가 불량한 경우이다.
  3. 가능하면 PC 본체 내부의 연결선들을 묶어서 각 부품의 발열이 원활하도록 한다.
  4. CPU위에 장착된 쿨러에 이상이 있을 경우 PC의 동작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정답률: 86%)
  • 일반적으로 Geforce 계열의 3D를 지원하는 비디오 카드는 예전 2D만 지원하는 비디오 카드보다 발열량이 매우 적다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실제로는 3D 그래픽을 처리하는 비디오 카드는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하므로 발열량이 더 많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컴퓨터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연결하였으나 Windows에서 카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이때 확인해야 할 내용으로 잘못된 것은?

  1. 슬롯에 정확히 꽂혀있는지 살펴본다.
  2. 슬롯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슬롯의 위치를 바꿔본다.
  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는 인터넷에 연결되어야 Windows의 장치 관리자에서 인식이 되므로, 인터넷의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
  4. 카드의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인식되지 않는다면 함께 제공된 CD안의 드라이버를 수동으로 설치한다.
(정답률: 64%)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는 인터넷에 연결되어야 Windows의 장치 관리자에서 인식이 되므로, 인터넷의 연결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이는 카드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드라이버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터넷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문제가 있다면 해결해야 한다. 다른 보기들은 카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 확인해야 할 내용이지만, 인터넷 연결 상태는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메인보드의 BIOS Setup에서 사용여부 또는 종류를 설정하여야만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되는 것은?

  1. CD-ROM
  2. RAM
  3. FDD
  4. CPU
(정답률: 53%)
  • FDD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의미하며, BIOS Setup에서 FDD 사용여부를 설정하지 않으면 컴퓨터가 부팅할 때 FDD를 인식하지 못하고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작동하려면 설정해야 합니다. CD-ROM, RAM, CPU는 BIOS에서 자동으로 인식되므로 설정하지 않아도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BIOS를 업그레이드할 때 주의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BIOS 업그레이드 중간에 전원이 꺼지면 부팅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2. Windows 환경에서 BIOS를 업그레이드 할 수도 있다.
  3. BIOS 업그레이드 후에는 반드시 Format하여 Windows를 재설치 해야 한다.
  4. 최신 버전의 BIOS는 ROM이나 BIN 파일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정답률: 83%)
  • BIOS 업그레이드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관련된 작업이므로 Windows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BIOS 업그레이드 후에 Windows를 재설치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BIOS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다가 전원이 갑자기 꺼지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부팅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업그레이드 과정에서는 전원 문제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PC용 메인보드의 Award BIOS Setup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아닌 것은?

  1. 그래픽 카드의 메모리 용량
  2. 시스템 메모리의 용량
  3. 하드디스크 용량
  4. 시스템 시간
(정답률: 40%)
  • Award BIOS Setup은 PC의 메인보드 설정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며, 그래픽 카드의 메모리 용량은 그래픽 카드 자체의 설정이므로 메인보드 BIOS에서 확인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그래픽 카드의 메모리 용량"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PnP의 발전된 형태로서 운영 중인 시스템의 전원을 끄지 않은 상태에서 장치나 부품을 교체해도 시스템에서 바로 인식하는 기술은?

  1. Hot Swap
  2. IDE
  3. PCI
  4. ACI
(정답률: 78%)
  • Hot Swap은 시스템의 전원을 끄지 않고도 장치나 부품을 교체할 수 있는 기술이다. 따라서 시스템의 작동을 중단시키지 않고도 유지보수나 업그레이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IDE, PCI, ACI는 Hot Swap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프린터 포트의 전송 모드 중 인텔에서 제안한 것으로 32bit 전송 및 양방향 전송을 수행하며, Zip 드라이버, 외장형 하드디스크 등에 사용하는 것은?

  1. SPP
  2. EPP
  3. ECP
  4. BMP
(정답률: 39%)
  • EPP는 인텔에서 제안한 프린터 포트의 전송 모드 중 하나로, 32bit 전송과 양방향 전송을 지원합니다. 따라서 Zip 드라이버, 외장형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장치에서 사용됩니다. SPP는 단방향 전송만 가능하고, ECP는 고속 전송을 지원하지만 호환성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BMP는 비표준 모드로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EPP가 가장 적합한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FDISK를 실행하면 첫 화면에 “대형 디스크 지원 기능을 사용하시겠습니까?” 라는 질문이 나온다. 이때 ‘N’으로 하였을 때의 파일 시스템은?

  1. FAT16
  2. FAT32
  3. EXT2
  4. EXT3
(정답률: 46%)
  • ‘N’으로 대형 디스크 지원 기능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 FDISK는 2GB 이상의 디스크를 지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파일 시스템은 2GB 이하의 파티션에 대해서만 FAT16을 지원하게 된다. FAT32는 2GB 이상의 파티션을 지원하기 때문에, ‘N’으로 대형 디스크 지원 기능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파일 시스템은 FAT16이 된다. EXT2와 EXT3는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으로, FDISK에서는 지원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Windows의 시스템 리소스를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꼭 필요한 소프트웨어가 아니면 제거한다.
  2. 시스템 트레이에 등록되는 프로그램은 리소스를 많이 사용하므로 최소화 한다.
  3. 바탕화면의 테마는 가능하면 많은 색상을 사용하도록 한다.
  4. 시작 프로그램은 최대한 단순하게 유지한다.
(정답률: 89%)
  • 바탕화면의 테마는 가능하면 많은 색상을 사용하도록 한다는 것은 잘못된 방법입니다. 많은 색상을 사용하면 시스템 리소스를 더 많이 사용하게 되므로 오히려 시스템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단순한 테마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시스템 파일들의 확장자 중 실행파일이 실행될 때 도움을 주는 파일로, 간혹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중 이 파일의 일부가 손상되어 프로그램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게 되는 파일은?

  1. COM
  2. CHK
  3. DDE
  4. DLL
(정답률: 80%)
  • DLL은 Dynamic Link Library의 약자로, 실행 파일이 실행될 때 필요한 함수나 리소스를 제공하는 파일입니다. 따라서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중 DLL 파일의 일부가 손상되면 해당 함수나 리소스를 사용할 수 없어 프로그램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하드디스크 문제로 인하여 데이터가 손실될 경우를 대비하는 기능으로 자료를 안전하게 보관하도록 해 주는 시스템 도구는?

  1. 하드디스크 백업과 복원
  2. 디스크 조각 모음
  3. 디스크 검사
  4. 디스크 공간 늘림
(정답률: 87%)
  • 하드디스크 백업과 복원은 데이터 손실을 대비하여 중요한 자료를 안전하게 보관하도록 해 주는 시스템 도구입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른 저장 장치에 복사하여 보관하고, 필요할 때 이 복사본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하드디스크에 문제가 생겨도 중요한 자료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하드디스크 백업과 복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은 일반적인 PC 장애이다. 장애의 유형과 원인이나 대처 방법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모니터 일부에서 색 번짐 현상이 발생한다. - 모니터 근처의 자성 물질을 제거
  2. CD-ROM 드라이브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소음이 심해졌다. - 드라이브의 고정 나사가 헐거워짐
  3. 하드디스크에 베드섹터가 발생했다. - 디스크 정리로 제거
  4. 컴퓨터 케이스에 누전이 발생한다. - 접지 콘센트를 이용한 접지
(정답률: 80%)
  • "하드디스크에 베드섹터가 발생했다. - 디스크 정리로 제거"는 원인과 대처 방법이 올바르게 연결된 유일한 항목이다. 하드디스크의 베드섹터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는 영역으로, 디스크 정리를 통해 해당 영역을 제거하고 나머지 영역을 최적화하여 장애를 해결할 수 있다. 다른 항목들은 원인과 대처 방법이 올바르게 연결되지 않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하드디스크를 포맷하기 위한 기능이다.
  2. Windows에서 하드웨어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이다.
  3. 모니터의 수평 주파수 설정에 관한 기능이다.
  4. UPS의 충전 전압을 설정하는 기능이다.
(정답률: 86%)
  • Plug & Play는 Windows에서 하드웨어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이다. 즉, 사용자가 하드웨어를 연결하면 자동으로 인식하고 필요한 드라이버를 자동으로 설치해주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하드디스크 용량이 부족하여 P-ATA 하드디스크를 한 개 추가하려고 한다. 다음 중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마스터와 슬레이브로 구분해야 한다.
  2. 새로 산 하드디스크를 설치한 후, 파티션 설정을 해야 사용할 수 있다.
  3. 메인보드에서 지원이 가능한 하드디스크를 구매하도록 한다.
  4. 하드디스크가 설치된 상태에서 CMOS 셋업을 먼저하고, 하드디스크의 점퍼를 조정해야 한다.
(정답률: 50%)
  • "메인보드에서 지원이 가능한 하드디스크를 구매하도록 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모든 메인보드는 P-ATA 하드디스크를 지원하기 때문에, 하드디스크를 구매할 때 메인보드의 지원 여부를 고려할 필요는 없다.

    "하드디스크가 설치된 상태에서 CMOS 셋업을 먼저하고, 하드디스크의 점퍼를 조정해야 한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CMOS 셋업을 먼저하고 하드디스크의 점퍼를 조정해야 하는 이유는, CMOS 셋업에서 하드디스크를 인식하고 설정하기 때문이다. 만약 CMOS 셋업을 하지 않고 하드디스크를 설치하면, 시스템이 부팅되지 않거나 하드디스크가 인식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하드디스크를 추가할 때는 CMOS 셋업을 먼저하고, 하드디스크의 점퍼를 조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운영체제

16. 운영체제의 역할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폴더를 생성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2. 파일관리와 하드디스크 관리를 도와준다.
  3. 각종 하드웨어를 진단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4. 각종 응용프로그램의 개발 환경과 그 소스코드를 제공한다.
(정답률: 66%)
  • 운영체제는 각종 응용프로그램의 개발 환경과 소스코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이는 개발 도구와 관련된 역할이며, 운영체제는 컴퓨터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응용프로그램이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각종 응용프로그램의 개발 환경과 그 소스코드를 제공한다."는 운영체제의 역할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내용으로 올바른 것은?

  1.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나 파일을 아이콘 모양으로 표현한다.
  2. 그래픽 출력은 플로터로 그리는 방법을 말한다.
  3. 키보드로 문자를 입력하여 명령어를 수행한다.
  4. 스캐너를 사용하여 그래픽을 입력하는 개념이다.
(정답률: 62%)
  •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컴퓨터와 상호작용할 때, 그래픽으로 표현된 아이콘 등을 클릭하거나 드래그 앤 드롭하는 등의 방식으로 명령어나 파일을 선택하고 수행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따라서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나 파일을 아이콘 모양으로 표현한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Windows XP에서 convert 명령을 사용하여 NTFS를 FAT32 파일시스템으로 전환할 수 있다.
  2. Windows 98 SE는 Windows 98의 상위버전으로 최초로 FAT32를 지원하는 운영체제이다.
  3. 리눅스는 유닉스의 장점을 모아 놓은 네트워크 운영체제로 일반적으로 파일시스템은 EXT2와 NTFS를 사용한다.
  4. Windows XP는 Windows의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Windows 2000 Server의 안정성을 최대한 반영한 운영체제로 파일시스템은 FAT32와 NTFS를 사용한다.
(정답률: 51%)
  • Windows XP는 Windows의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Windows 2000 Server의 안정성을 최대한 반영한 운영체제로 파일시스템은 FAT32와 NTFS를 사용한다. 이유는 Windows XP가 Windows 2000 Server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FAT32와 NTFS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미국의 Bell 연구소에서 만든 운영체제로 멀티태스킹과 멀티프로그램이 가능하며, 주로 중대형 서버에 사용되는 운영체제는?

  1. MAC
  2. Windows XP
  3. Oracle
  4. Unix
(정답률: 72%)
  • Unix는 멀티태스킹과 멀티프로그램이 가능한 운영체제로, 주로 중대형 서버에 사용됩니다. Bell 연구소에서 만들어졌으며, 안정성과 보안성이 높은 운영체제입니다. 따라서, Unix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Windows XP에서 복사하거나 잘라내기 한 내용이 임시 저장되는 영역은?

  1. 워드패드
  2. 클립보드
  3. 메모장
  4. 그림판
(정답률: 93%)
  • 복사 또는 잘라내기 한 내용은 클립보드에 임시 저장됩니다. 클립보드는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임시 저장소로, 복사 또는 잘라내기 한 내용을 저장하여 다른 곳에 붙여넣기 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Windows XP에서도 복사 또는 잘라내기 한 내용은 클립보드에 임시 저장되며, 이후에 다른 프로그램에서 붙여넣기를 할 때 클립보드에서 해당 내용을 가져와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Windows XP의 작업 표시줄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빠른 실행 아이콘의 크기는 세 가지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시계를 표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3. 작업 표시줄을 움직일 수 없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4. 사용하지 않는 아이콘을 숨기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69%)
  • 정답은 "빠른 실행 아이콘의 크기는 세 가지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가 아닙니다.

    Windows XP의 작업 표시줄에는 빠른 실행 아이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없습니다.

    시계를 표시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작업 표시줄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는 아이콘을 숨길 수 있는 기능은 모두 가능합니다.

    하지만 빠른 실행 아이콘의 크기를 조절하는 기능은 Windows 7부터 추가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PC 운영체제가 디스크에 수행하는 논리적 포맷을 수행할 때 만들어지는 디스크 영역이 아닌 것은?

  1. 부트 기록
  2. 운영체제 버전
  3. 파일 할당표(FAT)
  4. 루트 디렉터리
(정답률: 69%)
  • 운영체제 버전은 디스크에 수행하는 논리적 포맷과는 관련이 없는 정보이기 때문에 디스크 영역이 아닙니다. 부트 기록, 파일 할당표(FAT), 루트 디렉터리는 모두 디스크 영역에 속하는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하드디스크를 포맷하고 Windows XP를 다시 설치하는 과정에 대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1. 하드디스크를 포맷해도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와 프로그램이 남아 있으므로 Windows XP 업그레이드 메뉴로 설치를 하면 된다.
  2. 설치를 하면서 국가 및 언어 옵션, 사용자 이름과 소속, Windows XP의 제품번호 등을 입력하거나 선택한다.
  3. 하드웨어가 물리적으로 손상된 경우가 아니라면 하드디스크를 포맷한 후에 Windows XP와 각종 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하는 것으로, 소프트웨어로 인해 발생된 문제를 많은 부분 해결 할 수 있다.
  4. Windows XP는 설치과정에서 파티션과 포맷 작업을 할 수 있다.
(정답률: 72%)
  • 정답은 "하드디스크를 포맷해도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와 프로그램이 남아 있으므로 Windows XP 업그레이드 메뉴로 설치를 하면 된다." 이다. 하드디스크를 포맷하면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와 프로그램이 삭제되므로 백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잘못된 내용을 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Windows XP에서 POP3가 지원되는 메일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는?

  1. Internet Explorer
  2. Outlook Express
  3. FTP
  4. NNTP
(정답률: 89%)
  • Outlook Express는 Windows XP에서 POP3를 지원하는 메일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이메일을 받고 보내는 기능뿐만 아니라 메일함 관리, 필터링, 주소록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 NNTP는 네트워크 뉴스 전송 프로토콜이며, Internet Explorer는 웹 브라우저입니다. 이들은 이메일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Windows XP의 사용자 및 그룹 관리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Windows XP는 시스템 관리자 기능이 적용된 다중 사용자를 지원하며 사용자 관리를 위한 도구를 제공한다.
  2. Administrators 는 시스템 관리자 그룹으로 모든 권한을 갖고 있으며 직접 사용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
  3. 사용자들을 그룹으로 묶어 관리하여 사용자 권한 설정, 보안 설정, 공유 자원 설정 등에서 보다 편리한 이용을 할 수 있다.
  4. 사용자 계정의 삭제는 컴퓨터 관리자 이외에 다른 사용자로 로그온된 상태에서만 수행할 수 있다.
(정답률: 74%)
  • "사용자 계정의 삭제는 컴퓨터 관리자 이외에 다른 사용자로 로그온된 상태에서만 수행할 수 있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실제로는 사용자 계정의 삭제는 컴퓨터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이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사용자로 로그인한 상태에서는 해당 사용자 계정을 삭제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직접 시스템 루트나 Windows XP 운영체제가 저장된 장소로 매핑 되는 관리 공유는?

  1. C$
  2. D$
  3. ADMIN$
  4. IPC$
(정답률: 61%)
  • ADMIN$는 시스템 루트나 Windows XP 운영체제가 저장된 장소로 매핑되는 관리 공유이다. 이는 시스템 관리자가 원격으로 컴퓨터에 접근하여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C$, D$, IPC$는 각각 C 드라이브, D 드라이브, 인터프로세스 통신을 위한 공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Windows XP에서 마우스를 사용 할 수 없으나, 시작 메뉴를 이용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단축키는?

  1. Alt + Tab
  2. Ctrl + Tab
  3. Alt + Esc
  4. Ctrl + Esc
(정답률: 69%)
  • 정답은 "Ctrl + Esc"입니다. 이는 시작 메뉴를 열기 위한 단축키로, 마우스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시작 메뉴를 열어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Alt + Tab"은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들을 전환하는 단축키이고, "Ctrl + Tab"은 웹 브라우저 등에서 탭을 전환하는 단축키입니다. "Alt + Esc"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들을 순서대로 전환하는 단축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Windows XP에서 장치 관리자에 관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1. 장치 관리자는 모든 하드웨어의 정보를 확인하며 하드웨어의 추가/제거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2. 장치 관리자의 정보는 표시하는 방법에 따라 장치 종류별 또는 연결별 구분 표시가 가능하다.
  3. 자원별 표시를 통해 각 장치가 사용하는 메모리 용량을 확인 할 수 있다.
  4. 장치가 사용하는 IRQ등의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정답률: 62%)
  • "자원별 표시를 통해 각 장치가 사용하는 메모리 용량을 확인 할 수 있다."는 다른 설명과는 달리 장치의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설명은 장치 관리자의 역할과 정보 표시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Windows XP에서 공유자원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공유자원에 대한 관리 기능이 Windows 98에 비하여 높다.
  2. 공유자원 관리를 종합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도구가 컴퓨터 관리의 공유 폴더이다.
  3. 공유 폴더의 공유에서는 현재 공유 설정된 자원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4. 세션이나 열린 파일은 현재 해당 공유자원을 사용하는 컴퓨터나 사용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정답률: 71%)
  • 세션이나 열린 파일은 현재 해당 공유자원을 사용하는 컴퓨터나 사용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이유는, 이러한 정보는 해당 컴퓨터에서만 확인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른 컴퓨터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으며, 이는 보안상의 이유로 인해 일부러 제한된 것이다. 따라서, 공유자원 관리에서는 세션과 열린 파일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netstat"는 프로토콜의 상태와 현재 TCP/IP 네트워크의 접속 상태를 출력하여 주는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에 대한 옵션으로 잘못된 것은?

  1. -a : 모든 접속 상태를 출력한다.
  2. -e : 인터페이스의 이더넷 통계를 출력한다.
  3. -n : 주소와 포트의 번호를 숫자 형식으로 출력한다.
  4. -r : 각 연결의 소유자 프로세서 ID를 표시한다.
(정답률: 57%)
  • 정답: "-r : 각 연결의 소유자 프로세서 ID를 표시한다."

    이유: netstat 명령어의 -r 옵션은 라우팅 테이블을 출력하는 옵션이며, 각 연결의 소유자 프로세서 ID를 표시하는 옵션은 -p 옵션이다. 따라서, -r 옵션은 잘못된 옵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PC주변기기

31. ROM임에도 불구하고 입력된 내용을 자외선으로 삭제할 수 있고, 새로운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ROM은?

  1. PROM
  2. Mask ROM
  3. EPROM
  4. EEPROM
(정답률: 64%)
  • EPROM은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자외선으로 내용을 삭제할 수 있는 ROM입니다. PROM과 Mask ROM은 일단 내용이 입력되면 수정이 불가능하며, EEPROM은 전기적으로 내용을 삭제하고 수정할 수 있지만, EPROM은 자외선으로 내용을 삭제하고 새로운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유일한 RO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Random Acc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읽을 수 없는 기억장치는?

  1. CD-ROM
  2. Hard Disk
  3. Digital Audio Tape
  4. Flash Memory
(정답률: 54%)
  • Digital Audio Tape(DAT)는 선형 접근 방식으로 데이터를 읽고 쓰는 기억장치이기 때문에 Random Acc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읽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특정 위치의 데이터를 바로 찾아가는 것이 불가능하며, 처음부터 순차적으로 읽어나가야 합니다. 반면에 CD-ROM, Hard Disk, Flash Memory는 모두 Random Acc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읽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하드디스크에서 데이터를 기록하는 플래터는 각각의 플래터별로 양쪽 면에 같은 크기의 트랙이 있다. 이런 동심원의 트랙은 다시 무엇으로 나뉘는가?

  1. 카트리지
  2. 실린더
  3. 섹터
  4. 클러스터
(정답률: 70%)
  • 동심원의 트랙은 섹터로 나뉩니다. 섹터는 각각의 트랙에 일정한 크기로 나누어진 작은 부분으로,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는 이러한 섹터에 기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최근의 개인용 컴퓨터에는 여러 종류의 저장 장치가 사용된다. 다음 저장 장치 중에서 자성 물질을 이용하지 않는 것은?

  1. Floppy Disk
  2. Hard Disk
  3. CD-ROM
  4. Magnetic Tape
(정답률: 64%)
  • CD-ROM은 자성 물질을 이용하지 않는 저장 장치이다. 대신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읽고 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드라이브의 크기가 같은 하드디스크도 종류별로 용량이 다양하다. 드라이브의 크기가 같아도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늘릴 수 있는 이유로 올바른 것은?

  1. 헤드의 접근속도를 높여 용량을 커지게 한다.
  2. 스핀들 모터의 회전속도를 점점 빠르게 만든다.
  3. 하드디스크의 회전 시 발생하는 열을 줄인다.
  4. 헤드와 플래터의 간격을 좁혀 플래터의 단위면적당 기록밀도를 높인다.
(정답률: 85%)
  •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늘리는 이유는 헤드와 플래터의 간격을 좁혀 플래터의 단위면적당 기록밀도를 높이기 때문이다. 이는 더 많은 데이터를 작은 공간에 저장할 수 있게 되어 용량을 늘리는 효과를 가져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CD-ROM 드라이브의 인터페이스 방식이 아닌 것은?

  1. PCMCIA
  2. SCSI
  3. USB
  4. G400
(정답률: 68%)
  • PCMCIA, SCSI, USB은 모두 CD-ROM 드라이브의 인터페이스 방식이지만, G400은 그래픽 카드의 모델명이므로 CD-ROM 드라이브의 인터페이스 방식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자판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한글 자판에는 2벌식, 3벌식 390, 3벌식 최종 자판이 있다.
  2. 영문 자판에는 QWERTY 자판, Dvorak 자판이 있다.
  3. 3벌식 최종 자판은 현대어에서 사용되는 모든 겹받침을 키를 누른 상태에서 1타에 입력할 수 있다.
  4. 2벌식 자판은 한글 문화원에서 발표한 자판으로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한글 구현 원리를 충실히 따르고 있다.
(정답률: 53%)
  • 2벌식 자판은 한글 구현 원리를 충실히 따르고 있지 않다. 2벌식 자판은 초성과 중성을 각각 따로 입력하고, 종성은 중성과 합쳐서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LCD 모니터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표면에 투명전극을 입힌 두 장의 유리 기판 사이에 액정을 주입한 것이다.
  2. 모니터 내부의 전자총이 형광면을 자극해 빛을 낸다.
  3. LCD는 Liquid Centre Display의 약자이다.
  4. 일반 모니터보다 전자파가 훨씬 많이 발생한다.
(정답률: 53%)
  • LCD 모니터는 표면에 투명전극을 입힌 두 장의 유리 기판 사이에 액정을 주입한 것으로, 액정의 분자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빛에 민감한 물질 위를 레이저 광선이 통과하여 영상을 만들고 다시 종이 위에 옮기는 출력 장치는?

  1. 레이저 프린터
  2. 잉크젯 프린터
  3.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
  4. 플로터
(정답률: 81%)
  • 레이저 프린터는 레이저 광선을 이용하여 빛에 민감한 물질 위에 영상을 만들고, 그 영상을 종이 위에 출력하는 프린터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설명하는 출력 장치는 레이저 프린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HDD의 전송 모드는 크게 PIO, DMA 방식이 있다. “PIO 모드”를 설명한 것으로 올바른 것은?

  1. 데이터 전송 시 전용 컨트롤러가 관리한다.
  2. 다른 말로 “ATA 모드” 라고도 한다.
  3. PIO 0~9번까지의 규격이 있으며 숫자가 낮을수록 전송 속도가 빠르다.
  4. 데이터 전송을 CPU가 제어하는 방식으로 멀티태스킹 시에는 속도저하가 발생한다.
(정답률: 52%)
  • PIO 모드는 데이터 전송을 CPU가 제어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CPU가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멀티태스킹 시에는 속도저하가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프린터의 에뮬레이션 인쇄모드 중 그래픽 인쇄모드는?

  1. PCL
  2. LQ
  3. KS
  4. KSSM
(정답률: 68%)
  • PCL은 Printer Control Language의 약자로, HP사에서 개발한 인쇄 언어입니다. PCL은 그래픽 인쇄모드를 지원하여, 이미지나 그래픽 등의 복잡한 그림을 인쇄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PCL은 그래픽 인쇄모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비디오 램 크기와 컬러 수에 따라 표현할 수 있는 최대 해상도가 잘못된 것은?

  1. 256KB - 16컬러(800x600)
  2. 512KB - 256컬러(800x600)
  3. 1MB - 16컬러(1600x1200)
  4. 4MB - 256컬러(1024x768)
(정답률: 30%)
  • 비디오 램 크기와 컬러 수는 해상도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램 크기가 작거나 컬러 수가 적으면 해상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4MB - 256컬러(1024x768)"가 잘못된 것은 아닙니다. 이는 4MB의 비디오 램과 256컬러를 지원하므로 1024x768의 해상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램 크기나 컬러 수가 적어서 해당 해상도를 표현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그래픽 카드에 장착된 그래픽 프로세서와 비디오램의 상관관계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비디오램은 빠를수록 좋다.
  2. 최신 그래픽 프로세서에는 비디오램이 내장되어 있다.
  3. 비디오램의 버스폭이 클수록 좋다.
  4. 장착된 비디오램의 용량보다는 속도를 우선시해야 한다.
(정답률: 42%)
  • "최신 그래픽 프로세서에는 비디오램이 내장되어 있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일부 그래픽 카드는 그래픽 프로세서와 함께 내장된 비디오램을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그래픽 카드는 별도의 비디오램을 장착하여 사용합니다.

    비디오램은 빠를수록 좋으며, 버스폭이 클수록 좋습니다. 그러나 장착된 비디오램의 용량과 속도는 모두 중요합니다. 용량이 부족하면 고해상도나 복잡한 그래픽 작업을 처리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속도가 느리면 그래픽 처리 속도가 떨어집니다. 따라서 용량과 속도를 모두 고려하여 적절한 비디오램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외장형 저장장치의 인터페이스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IEEE 1394
  2. USB
  3. E-IDE
  4. e-SATA
(정답률: 51%)
  • E-IDE는 오래된 기술이며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인터페이스로 사용되지 않는다. 반면, IEEE 1394, USB, e-SATA는 모두 현재 외장형 저장장치의 인터페이스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컴퓨터에서 소리를 합성할 때 사용하는 방식 중에서 소리의 주파수를 변조해 소리를 만드는 음파 합성 방식은?

  1. PCM(Pulse Coded Modulation) 방식
  2. FM(Frequency Modulation) 음원 방식
  3. 웨이브 테이블(Wave Table) 방식
  4. 풀 듀플렉스(Full Duplex) 방식
(정답률: 54%)
  • FM 음원 방식은 소리의 주파수를 변조하여 소리를 만드는 방식이기 때문에 컴퓨터에서 소리를 합성할 때 사용된다. PCM 방식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고, 웨이브 테이블 방식은 미리 저장된 소리 샘플을 이용하여 소리를 만드는 방식이다. 풀 듀플렉스 방식은 동시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방식이므로 소리 합성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FM 음원 방식이 컴퓨터에서 소리를 합성할 때 사용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PC네트워크

46. 집에 있는 두 대의 PC를 LAN카드와 UTP를 이용한 직접연결을 이용해 간이 네트워크를 구축하려고 한다. 연결에 필요한 케이블은?

  1. 다이렉트 케이블
  2. 양쪽이 568B 결선으로 결선된 케이블
  3. 양쪽이 568A 결선으로 결선된 케이블
  4. 크로스링크 케이블
(정답률: 70%)
  • 간이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두 대의 PC을 직접 연결해야 한다. 이때, 두 대의 PC은 모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어야 하므로, 각각의 PC에서 송신하는 데이터와 수신하는 데이터가 서로 교차되도록 연결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크로스링크 케이블이 필요하다. 크로스링크 케이블은 한 쪽 끝의 568A 결선과 다른 쪽 끝의 568B 결선이 교차되어 있어서, 두 대의 PC을 직접 연결할 때 데이터의 송수신이 교차되도록 연결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크로스링크 케이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OSI 7 Layer 중에서 TCP와 UDP가 동작하는 계층은?

  1. Session
  2. Transport
  3. Network
  4. Presentation
(정답률: 51%)
  • TCP와 UDP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OSI 7 Layer 중에서 Transport 계층에서 동작합니다. Transport 계층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양단 간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하고, 데이터의 분할 및 재조립, 오류 제어 등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TCP와 UDP는 Transport 계층에서 동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라우터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1. LAN과 LAN을 연결할 때 사용한다.
  2. LAN과 WAN을 연결할 때 사용한다.
  3.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설정해준다.
  4. OSI 7 Layer의 응용 계층에 속한다.
(정답률: 54%)
  • 라우터는 OSI 7 Layer의 응용 계층에 속하지 않습니다. 라우터는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설정해주는 네트워크 장비로, OSI 7 Layer의 네트워크 계층에 속합니다. 따라서, "OSI 7 Layer의 응용 계층에 속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인터넷 서비스의 종류에 대한 설명 중 잘못 연결된 것은?

  1. WWW - 기존의 텍스트 방식의 인터넷을 그래픽, 멀티미디어 방식으로 정보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 서비스
  2. FTP - 네트워크상의 자료실이나 홈페이지 관리 등에 필요한 파일을 전송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방식
  3. E-Mail - 인터넷 사용자들과 전자우편을 주고받는 서비스
  4. NEWS Group - 인터넷 상에서 키워드 등으로부터 파일을 검색하는 시스템
(정답률: 58%)
  • NEWS Group은 파일 검색이 아닌, 뉴스 그룹이라는 인터넷 상에서 토론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해킹 툴 감염을 의심할 증상이 아닌 것은?

  1. 시스템을 부팅할 때 평상시에 출력되지 않았던 에러들이 출력되는 경우
  2. 시스템이 이유 없이 재부팅/종료되고 파일들이 삭제되는 경우
  3. 사이트 무단 가입 및 사용하지 않은 유료 콘텐츠 이용에 대한 요금 청구서를 받았을 때
  4. 보안 프로그램을 실행하라는 경고 메시지가 자주 나오는 경우
(정답률: 63%)
  • 해킹 툴 감염을 의심할 증상 중에서 "보안 프로그램을 실행하라는 경고 메시지가 자주 나오는 경우"는 해킹 툴이 아닌 보안 프로그램에서 발생하는 경고 메시지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해킹 툴은 보안 프로그램을 우회하거나 감염시키는 것이 목적이므로 보안 프로그램에서 경고 메시지가 자주 나오는 것은 오히려 해킹 툴 감염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