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10-19)

PC정비사 2급
(2008-10-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PC유지보수

1. 하드디스크, CD-ROM등을 장착할 수 있는 곳을 의미하는 것은?

  1. 커넥터
  2. 베이
  3. 소켓
(정답률: 48%)
  • 베이는 하드디스크, CD-ROM 등을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커넥터는 장치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부분을 의미하며, 소켓은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을 의미합니다. 핀은 컴퓨터 내부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부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하드웨어를 장착하는 공간을 가리키는 베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BIOS 프로그램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시스템의 이상 여부 체크
  2. 하드웨어 장치의 초기화
  3. 하드웨어 드라이버 저장
  4. 부팅 순서 설정 변경
(정답률: 58%)
  • BIOS 프로그램은 시스템의 이상 여부 체크, 하드웨어 장치의 초기화, 부팅 순서 설정 변경 등의 역할을 수행하지만,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저장하는 역할은 수행하지 않습니다. 이는 운영체제가 설치된 후에 운영체제가 담당하는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일반적인 대부분의 컴퓨터가 Award BIOS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Award BIOS의 Standard BIOS Setup에 속하지 않는 메뉴는?

  1. CPU Cache
  2. Hard Disks
  3. Video
  4. Halt on
(정답률: 28%)
  • CPU Cache는 Standard BIOS Setup에 속하지 않는 메뉴이다. 이는 CPU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메모리로, 일반적으로 BIOS 설정에서는 CPU와 관련된 항목들만을 다루기 때문이다. Hard Disks는 하드 디스크와 관련된 설정, Video는 그래픽 카드와 관련된 설정, Halt on은 시스템 에러 발생 시 멈추는 조건을 설정하는 항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PnP(Plug & Play)를 완벽하게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중 잘못된 것은?

  1. 장치 스스로에 대한 정보 제공 기능
  2. Processor의 실행코드에 대한 계층적 권한 부여
  3. 주변기기와 시스템간의 호환성
  4. 운영체제의 Plug & Play 기능 지원
(정답률: 73%)
  • PnP(Plug & Play)를 완벽하게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중 잘못된 것은 "Processor의 실행코드에 대한 계층적 권한 부여"입니다. 이는 PnP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PnP는 장치 스스로에 대한 정보 제공 기능, 주변기기와 시스템간의 호환성, 운영체제의 Plug & Play 기능 지원 등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지속적인 컴퓨터 사용이나 신체의 노출로 인한 육체적 질병을 총칭하는 것은?

  1. TCO
  2. VDT
  3. VLF
  4. EMI
(정답률: 88%)
  • 정답은 "VDT"입니다. VDT는 Visual Display Terminal의 약자로,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시각적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인한 육체적 질병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Total Cost of Ownership, Very Low Frequency, 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의 약자로, VDT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시스템 등록정보의 장치 관리자에 나타난 “노란색 물음표”의 의미는?

  1. 전원 공급 부족
  2. 자원 충돌
  3. 드라이버 미설치
  4. 하드웨어 고장
(정답률: 90%)
  • "노란색 물음표"는 해당 장치의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았거나 오래되어 업데이트가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해당 장치의 드라이버를 설치하거나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사용하던 PC가 부팅되는 시간이나 Windows의 체감 속도, 프로그램 실행 속도 등 전체적으로 속도가 저하되었다. 그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Windows의 레지스트리 정보가 많아졌다.
  2. 특정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나 Windows의 부팅 속도는 하드디스크의 단편화가 그 원인이 되기도 한다.
  3. Windows를 오래 사용하다 보면 각종 DRV, INI 파일 등이 Windows 디렉터리에 쌓여가게 된다. 이러한 정보로 인하여 Windows 속도가 느려지기도 한다.
  4. DNS 서버의 지정이 잘못되거나 서버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이다.
(정답률: 82%)
  • DNS 서버의 지정이 잘못되거나 서버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는 인터넷 연결과 관련된 문제이며, PC의 전체적인 속도 저하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Windows XP의 “시스템 종료” 명령을 사용하여 컴퓨터 전원을 끄려고 했으나 자동으로 꺼지지가 않는다. 자동으로 꺼지도록 하려고 할 때 확인해야 될 사항으로 올바른 것은?

  1. CMOS Setup의 Power Management 항목의 APM 항목을 Enabled로 바꿔준다.
  2. 파워 서플라이의 전력 부족인지 확인한다.
  3. 시스템의 가상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상 메모리의 크기를 확인한다.
  4. 디스플레이 등록정보의 화면 재생 빈도가 너무 높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정답률: 57%)
  • CMOS Setup의 Power Management 항목의 APM 항목을 Enabled로 바꿔줘야 한다. 이는 Advanced Power Management(고급 전원 관리) 기능을 활성화시켜 자동으로 전원을 끄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이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으면 시스템 종료 명령을 내려도 자동으로 전원이 꺼지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많은 메인보드들은 시스템 클럭을 점퍼 설정이 아닌 BIOS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시스템 클럭의 과도한 오버클러킹으로 인해 화면이 뜨지 않았을 때의 대처 방법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CMOS 설정 값을 메인보드의 점퍼를 이용하여 초기화한다.
  2. 메인보드 배터리를 제거 후 다시 장착한다.
  3. 새로운 ROM BIOS를 장착한다.
  4. 램 슬롯을 깨끗이 청소한다.
(정답률: 65%)
  • 램 슬롯에 먼지나 오염물질이 쌓이면 전기적인 신호가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아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램 슬롯을 깨끗이 청소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CD-ROM 드라이브로 오디오 CD를 재생시켰는데 CD-ROM 드라이브에 있는 헤드폰 단자에서는 정상적으로 소리가 나지만 사운드 카드에 연결된 스피커에서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 점검할 필요가 없는 부분은?

  1. 오디오 CD의 이상 유무
  2. 스피커의 고장 유무
  3. 오디오 케이블의 연결 상태 확인
  4. 사운드 카드의 이상 유무
(정답률: 76%)
  • 오디오 CD의 이상 유무가 정답이다. CD-ROM 드라이브에서 소리가 나오는 것은 CD-ROM 드라이브 자체에 내장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를 통해 소리가 출력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운드 카드를 통해 스피커에 소리를 출력하려면 오디오 케이블이나 사운드 카드의 이상 유무 등 여러 가지 요인을 점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주변기기에서 메모리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방식은?

  1. DMA
  2. PCI
  3. PIO
  4. SMART
(정답률: 71%)
  • DMA는 Direct Memory Access의 약자로, 주변기기에서 메모리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CPU의 개입 없이 주변기기가 메모리에 직접 접근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 속도가 빠르고 CPU의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DMA가 정답입니다. PCI는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의 약자로, 컴퓨터의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표준 인터페이스입니다. PIO는 Programmed Input/Output의 약자로, CPU가 데이터 전송을 직접 제어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SMART는 Self-Monitoring, Analysis, and Reporting Technology의 약자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문제를 예측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하드디스크 파티션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파티션을 지우고 새로 생성한 경우, 재부팅하면 설정 변경 사항이 반영된다.
  2. 파티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포맷을 통해 하드디스크를 초기화해야 한다.
  3. 파티션 매직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Windows 환경에서 포맷 없이 파티션을 합치거나 조정할 수 있다.
  4. 3개 이상의 파티션을 잡을 경우, 먼저 Primary로 잡은 다음, 남은 영역을 모두 Extended로 잡고 다시 Logical로 나눈다.
(정답률: 48%)
  • "파티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포맷을 통해 하드디스크를 초기화해야 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파티션을 생성하거나 수정할 때에는 하드디스크를 초기화할 필요가 없습니다. 파티션을 생성하거나 수정할 때에는 기존 데이터를 보존하면서도 파티션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BIOS 설정을 할 때 일반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플로피 디스크의 트랙과 섹터 수 설정
  2. 부팅 드라이브의 우선순위 설정
  3. 시스템의 날짜 및 시간 설정
  4. 하드디스크의 타입 설정
(정답률: 67%)
  • 플로피 디스크의 트랙과 섹터 수 설정은 일반적으로 BIOS에서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이 아닙니다. 이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의 하드웨어적인 성질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항목은 BIOS에서 설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하드디스크의 NCQ를 사용하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1. ICH6 이상의 칩셋을 사용한 메인보드가 필요하다.
  2. CMOS 셋업에서 ACHI 모드로 설정해야 한다.
  3. E-IDE 방식의 하드디스크가 필요하다.
  4. 인텔 어플리케이션 액셀레이터 4.0 이상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 한다.
(정답률: 50%)
  • NCQ는 SATA 인터페이스에서 지원되는 기술이므로, E-IDE 방식의 하드디스크는 SATA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NCQ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E-IDE 방식의 하드디스크가 필요하다."는 NCQ를 사용하기 위한 조건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Win.ini, System.ini 파일에서 실행시킨 장치 드라이버나 램 상주 프로그램, Windows의 시작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는지 점검하기 위해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를 실행하는 명령어는?

  1. Autoexec.bat
  2. Config.sys
  3. Msconfig.exe
  4. Ipconfig.exe
(정답률: 85%)
  • 정답: Msconfig.exe

    이유: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는 Windows의 시작 프로그램, 서비스, 장치 드라이버, 램 상주 프로그램 등을 관리하며, 이를 통해 문제가 있는 항목을 비활성화하거나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는 Msconfig.exe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목적을 가진 유틸리티들이며,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운영체제

16. 여러 개의 작업을 하나로 묶어 일정시점에 이 작업들을 한꺼번에 처리하는 운영체제 방식은?

  1. Job by Job 방식
  2. 실시간 시스템 방식
  3. 일괄처리 방식
  4. 다중 프로그래밍 방식
(정답률: 92%)
  • 일괄처리 방식은 여러 개의 작업을 하나로 묶어 일정 시점에 이 작업들을 한꺼번에 처리하는 운영체제 방식이다. 이 방식은 작업을 순차적으로 처리하며, 한 작업이 끝나야 다음 작업이 실행되는 Job by Job 방식과는 달리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다중 프로그래밍 방식과도 구분된다. 또한, 실시간 시스템 방식은 작업의 처리 시간이 매우 짧은 실시간 작업을 우선 처리하는 방식이므로 일괄처리 방식과는 다른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일반 사용자 그룹으로 로그온한 후 명령 프롬프트에서 시스템 관리자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명령어는?

  1. Defrag
  2. Runas
  3. Guest
  4. Administrator
(정답률: 57%)
  • 일반 사용자 그룹으로 로그온한 후 시스템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려면 "Runas"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명령어는 다른 사용자의 권한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가 "Runas" 명령어를 사용하여 시스템 관리자 권한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 시스템 관리자 권한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보안이나 해킹 방지를 위한 공유 폴더의 관리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유 폴더는 되도록이면 만들지 않는 것이 좋다.
  2. 공유 폴더는 반드시 암호를 걸어 사용한다.
  3. 공유 폴더의 읽기 권한은 가능한 만들지 않는다.
  4. 루트 폴더는 절대 공유하지 않는다.
(정답률: 68%)
  • "공유 폴더의 읽기 권한은 가능한 만들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다른 사용자가 폴더 내의 파일이나 정보를 볼 수 없도록 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데, 이를 제한하면 다른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얻지 못하게 되어 업무에 지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공유 폴더의 읽기 권한은 필요한 경우에는 적절히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Windows XP에서 DirectX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DirectX를 통해 디스플레이와 오디오 카드의 기능에 액세스함으로써 현실감 넘치는 3차원 그래픽과 풍부한 음악 및 오디오 효과를 내는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2. DirectX는 Windows 프로그램에 고성능 하드웨어 가속 멀티미디어 지원을 제공하는 낮은 수준의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l) 집합이다.
  3. DirectX의 다이렉트 인풋은 조이스틱, 마우스등 게임에 필요한 보조 장치를 제어하고, 다이렉트 플레이는 멀티 플레이, 모뎀 플레이등을 통일된 규격 상태로 즐길 수 있게 해준다.
  4. DirectX에는 2차원 도형을 지원하는 API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정답률: 74%)
  • DirectX에는 2차원 도형을 지원하는 API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설명은 잘못된 것이다. DirectX에는 2D 그래픽을 지원하는 API인 Direct2D가 포함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Windows XP의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재생이 불가능한 파일의 확장자는?

  1. ASF
  2. WAV
  3. MPG
  4. PPT
(정답률: 80%)
  • Windows XP의 미디어 플레이어는 비디오,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PPT 확장자를 가진 파일은 재생이 불가능합니다. PPT는 마이크로소프트 파워포인트 프레젠테이션 파일의 확장자이며, 미디어 파일이 아닌 문서 파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Windows XP에서 디스크 관리 도구에 관한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1. 조각 모음은 디스크의 흩어진 파일의 조각들을 모아서 디스크의 용량을 증가시키지만, 액세스 속도와는 무관하다.
  2. 오류검사, 조각모음, 백업이 있다.
  3. 내 컴퓨터의 해당 드라이브의 속성을 통해서 실행할 수 있다.
  4. 오류 검사는 SCANDISK에 해당하는 것으로 오류의 검사 및 수정, 복구기능이 있다.
(정답률: 70%)
  • "조각 모음은 디스크의 용량을 증가시키지만, 액세스 속도와는 무관하다"는 것은 조각 모음이 파일의 물리적인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단지 파일의 조각들을 모아서 논리적으로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주기 때문에 액세스 속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Windows XP의 레지스트리 구조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Windows 환경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는 것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HKEY_CLASSES_ROOT
  2. HKEY_CURRENT_USER
  3. HKEY_LOCAL_MACHINE
  4. HKEY_USERS
(정답률: 70%)
  • "사용자가 설정한 Windows 환경에 대한 정보"는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환경 설정 정보를 의미합니다. 이 정보는 HKEY_CURRENT_USER 레지스트리 키에 저장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HKEY_CURRENT_US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Bench Mark Test를 올바르게 정의한 것은?

  1. Virus에 감염되기 쉬운 정도를 구분하기 위한 보안 점검으로 A, B, C, D 네 등급으로 나뉜다.
  2.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개발 단계에서 상용화하기 전에 실시하는 제품 검사 작업으로, 선발된 잠재 고객으로 하여금 일정 기간 무료로 사용하게 한 후에 나타난 여러 가지 오류를 수정, 보완한다.
  3. 비교 대상을 두고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성능을 비교 시험하고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4. System의 각 장치의 Error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시스템의 개발 초기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정답률: 76%)
  • Bench Mark Test는 비교 대상을 두고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성능을 비교 시험하고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즉, 다양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비교하여 어떤 것이 더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지 확인하는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Windows에서 이 명령이 실패하면 "Request timed out."이라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접속하려고 시도하고 있는 호스트가 실제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진단하는 명령어는?

  1. ping
  2. nbtstat
  3. net config
  4. netstat
(정답률: 64%)
  • 정답은 "ping"이다. "ping" 명령어는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며, 호스트에 패킷을 보내고 응답을 받는 것으로 호스트가 실제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호스트가 응답하지 않으면 "Request timed out." 메시지가 표시된다. 다른 보기들은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이지만, 호스트의 운영 여부를 진단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Windows XP 복구 콘솔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DIR - 숨김파일과 시스템 파일을 포함하여 모든 파일의 목록을 표시한다.
  2. DEL - 디렉터리를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3. ATTRIB - 파일 속성(특성)을 보여 주거나 변경하는 데 사용한다.
  4. BOOTCFG - Boot.ini 파일에 있는 부팅 항목 설정을 구성,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정답률: 66%)
  • 정답은 "DEL - 디렉터리를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이다. DEL은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어이며, 디렉터리를 삭제하기 위해서는 RD 또는 RMDIR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NTFS 파일 시스템에서 FAT32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1. “convert” 명령어를 사용한다.
  2. “format 드라이브명 /fat32” 명령어를 사용한다.
  3. NTFS 명령어를 사용하여 FAT32로 변경한다.
  4. NTFS 파티션부터 삭제하고 FAT32로 포맷한다.
(정답률: 58%)
  • NTFS 파일 시스템과 FAT32 파일 시스템은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NTFS 파티션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FAT32로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NTFS 파티션을 삭제하고 새로운 FAT32 파티션을 생성하여 포맷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웹브라우저가 기본적으로 이해하는 정보의 형태를 제외한 동영상이나 소리등을 듣기 위해 별도로 설치하는 프로그램은?

  1. CGI 프로그램
  2. 자바 프로그램
  3. 플러그인 프로그램
  4. 쿠키 프로그램
(정답률: 71%)
  • 웹브라우저가 기본적으로 이해하는 정보의 형태를 제외한 동영상이나 소리 등을 듣기 위해서는 해당 정보를 해석하고 재생할 수 있는 별도의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플러그인 프로그램이라고 합니다. 플러그인 프로그램은 웹브라우저에 추가로 설치하여 사용하며,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보다 풍부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에 열거한 유틸리티 중에서 시스템 도구 모음에서 제공하지 않는 것은?

  1.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
  2. 디스크 조각 모음
  3. 디스크 정리
  4. 예약된 작업
(정답률: 58%)
  •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는 시스템의 구성 요소와 설정을 관리하는 도구로, 시스템의 성능 향상과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줍니다. 디스크 조각 모음, 디스크 정리, 예약된 작업은 모두 시스템 도구 모음에서 제공되는 유틸리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Windows XP의 바탕화면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시작] - [제어판] - [디스플레이] - 바탕화면 탭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2. 바탕화면 사용자지정을 통해 사용하지 않는 바탕화면 항목을 정리할 수 있다.
  3. 작은 그림도 바탕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확장자가 BMP인 파일만 바탕화면의 배경그림으로 지정할 수 있다.
(정답률: 79%)
  • "확장자가 BMP인 파일만 바탕화면의 배경그림으로 지정할 수 있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Windows XP에서는 JPEG, GIF, PNG 등 다양한 이미지 파일 형식을 바탕화면 배경으로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NTF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파일이나 폴더 등에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2. Windows 98/Me와 호환 가능하다.
  3. 클러스터 크기가 작아 용량의 낭비를 줄여준다.
  4. 플로피 디스크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63%)
  • NTFS는 Windows 98/Me와 호환되지 않는 파일 시스템이기 때문에 "Windows 98/Me와 호환 가능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NTFS는 Windows NT 계열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으로, Windows 98/Me와는 호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PC주변기기

31. RF방식의 마우스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방해물이 있으면 전혀 통과하지 못하고 10M이내의 수신거리에서만 사용가능하다.
  2. 무선 입출력 장치는 항상 직선 방향으로 마주 보고 있어야한다.
  3. 무선주파수 방식이다.
  4. IR방식이라고도 한다.
(정답률: 70%)
  • RF방식의 마우스는 무선주파수 방식이기 때문에 방해물이 있으면 전혀 통과하지 못하고 10M이내의 수신거리에서만 사용가능하다. 또한, 무선 입출력 장치는 항상 직선 방향으로 마주 보고 있어야한다. IR방식과는 다르게 무선주파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더 넓은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전원공급이 없어도 내용이 보존되고 고쳐 쓰기가 가능하며, 소형화가 쉬워서 휴대용 기기의 저장 매체로 활용되는 메모리는?

  1. DRAM
  2. Flash Memory
  3. SRAM
  4. SDRAM
(정답률: 85%)
  • Flash Memory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고, 고쳐 쓰기가 가능하며, 소형화가 쉬워서 휴대용 기기의 저장 매체로 적합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DRAM, SRAM, SDRAM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데이터가 손실되기 때문에 Flash Memory와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컴퓨터의 기억장치는 크게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로 구분된다. 다음 중 보조기억장치가 아닌 것은?

  1. Floppy Disk
  2. RAM
  3. DVD-ROM
  4. Hard Disk
(정답률: 70%)
  • 정답: RAM

    설명: RAM은 주기억장치 중 하나로, 컴퓨터가 현재 작업 중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따라서 보조기억장치가 아닌 주기억장치입니다. Floppy Disk, DVD-ROM, Hard Disk는 모두 보조기억장치로,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고 필요할 때 불러와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하드디스크와 플로피디스크에 관한 용어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트랙 : 회전축을 중심으로 동일한 반지름을 가지는 데이터 영역
  2. 실린더 : 같은 트랙의 모임
  3. 부트섹터 : 1번 트랙의 1번 섹터
  4. 클러스터 :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트랙을 회전축에서 등 간격으로 나눈 구간
(정답률: 49%)
  • 정답은 "부트섹터 : 1번 트랙의 1번 섹터"입니다.

    클러스터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하드디스크나 플로피디스크의 트랙을 일정한 크기로 나눈 영역을 말합니다. 이렇게 나누어진 클러스터는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단위로 사용됩니다. 클러스터의 크기는 디스크의 포맷 방식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클러스터의 크기가 작을수록 디스크의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그래픽 카드 성능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픽셀 파이프라인
  2. GPU 코어 클럭
  3. GPU 메모리 버스
  4. GPU 메모리 용량
(정답률: 63%)
  • 그래픽 카드의 성능은 픽셀 파이프라인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픽셀 파이프라인은 그래픽 카드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각각의 픽셀을 처리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에서 픽셀 파이프라인의 속도가 빠를수록 그래픽 카드의 성능이 좋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그래픽 카드를 선택할 때는 픽셀 파이프라인의 속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GPU 코어 클럭, GPU 메모리 버스, GPU 메모리 용량도 그래픽 카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만, 이들은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정보 저장 밀도의 단위로만 짝지어진 것은?

  1. CPS, LPM
  2. BPI, TPI
  3. BPS, CPS
  4. PPM, LPM
(정답률: 54%)
  • 정보 저장 밀도는 일정한 면적 또는 길이 당 저장 가능한 비트 수를 의미합니다. 이 때, BPI는 비트 당 인치, TPI는 트랙 당 인치를 나타내며, 둘 다 저장 밀도를 측정하는 단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면적 또는 시간과 관련된 단위이므로, 정보 저장 밀도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BPI, TPI"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DVD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MPEG-4 기술을 이용해 DVD는 CD보다 뛰어난 화질의 영상을 기록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2. DVD는 CD-ROM드라이브의 7~8배나 되는 용량을 저장할 수 있다.
  3. CD용의 적외선 반도체 레이저 보다 파장이 짧은 적색 반도체 레이저(파장635mm~650mm)를 사용한다.
  4. CD와 DVD 타이틀의 외형은 똑같다.
(정답률: 42%)
  • 정답: "CD와 DVD 타이틀의 외형은 똑같다."

    MPEG-4 기술을 이용해 DVD는 CD보다 뛰어난 화질의 영상을 기록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는 이유는 MPEG-4 기술이 더 효율적인 압축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DVD는 CD-ROM드라이브의 7~8배나 되는 용량을 저장할 수 있으며, CD용의 적외선 반도체 레이저 대신 파장이 짧은 적색 반도체 레이저(파장635mm~650mm)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CD-ROM 드라이브의 속도가 “52x”일 때, CD-ROM의 전송 속도는 얼마인가?

  1. 5,200KB/sec
  2. 6,200KB/sec
  3. 7,500KB/sec
  4. 7,800KB/sec
(정답률: 54%)
  • CD-ROM 드라이브의 속도가 “52x”이므로, CD-ROM의 전송 속도는 52배 빠르게 전송된다. 따라서, CD-ROM의 전송 속도는 52 x 150KB/sec = 7,800KB/sec 이다. 150KB/sec는 일반적으로 CD-ROM의 기본 속도로 사용되는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입력 장치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조이스틱
  2. 플로터
  3. 마우스
  4. 디지타이저
(정답률: 74%)
  • 플로터는 출력 장치의 범주에 속하며, 그림이나 도형 등을 인쇄할 때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입력 장치의 범주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일반적인 모니터의 구분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화면 표시 방법에 따라 CRT 방식과 액정방식으로 나눈다.
  2. 영상 신호 입력 방식에 따라 PCI 방식과 AGP 방식으로 나눈다.
  3. 주사 방식에 따라 비월주사 방식과 순차주사 방식으로 구분한다.
  4. 화면의 크기는 화면의 대각선 길이에 따라 구분한다.
(정답률: 48%)
  • 일반적인 모니터의 구분 방법은 화면 표시 방법, 주사 방식, 화면의 크기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 영상 신호 입력 방식에 따라 PCI 방식과 AGP 방식으로 나눈다는 것은 일반적인 모니터의 구분 방법이 아닙니다. PCI와 AGP는 컴퓨터의 그래픽 카드와 관련된 인터페이스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영상 신호 입력 방식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화면 표시 방법, 주사 방식, 화면의 크기 등으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인 모니터의 구분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EEPRO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칩을 구성하는 소자의 전하를 전기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데이터를 기록, 소거한다.
  2. MP3 플레이어, 휴대전화 등에 사용된다.
  3. 전원이 없이도 장기간 안정적으로 기억하는 비휘발성 기억 장치이다.
  4. 칩의 일부 내용을 선택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정답률: 42%)
  • 정답은 "칩의 일부 내용을 선택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이다. EEPROM은 비휘발성 기억장치로, 전기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하고 소거할 수 있다. 그러나 기록된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다. EEPROM에서는 수정 대신 데이터를 삭제하고 다시 기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스캐너와 프린터가 표현할 수 있는 그림의 세밀하기(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1. CPS
  2. BPS
  3. DPI
  4. PPM
(정답률: 76%)
  • DPI는 "dots per inch"의 약자로, 인치당 표현 가능한 점의 개수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스캐너나 프린터가 표현할 수 있는 그림의 세밀함은 이 DPI 값에 따라 결정됩니다. 높은 DPI 값일수록 더 세밀한 그림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VESA가 정한 디스플레이 표준 해상도를 나타낸 것이 아닌 것은?

  1. 720 x 400
  2. 1440 x 900
  3. 800 x 640
  4. 1024 x 768
(정답률: 41%)
  • VESA는 800 x 640 해상도를 공식적으로 정한 적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사운드 카드 부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라인 입력 단자는 외부의 아날로그 스테레오 신호를 받기 위해 사용된다.
  2. 외부 입력 단자는 TV 카드와 같은 컴퓨터 내부의 다른 음원과의 연결에 사용된다.
  3. ADC는 외부에서 사운드 카드로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4. 디지털 출력을 사용하면 음질 및 편의성이 떨어진다.
(정답률: 66%)
  • "디지털 출력을 사용하면 음질 및 편의성이 떨어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디지털 출력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음질이나 편의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디지털 출력은 노이즈나 왜곡이 발생하지 않고, 더욱 정확한 음질을 제공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PCI-Express x16 Bus의 최대 전송 속도는?

  1. 133MB/초
  2. 8GB/초
  3. 266MB/초
  4. 100GB/초
(정답률: 70%)
  • PCI-Express x16 Bus는 16개의 데이터 레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레인은 1GB/s의 전송 속도를 가집니다. 따라서, 16개의 레인을 모두 사용할 경우 최대 전송 속도는 16GB/s가 됩니다. 이를 바이트 단위로 환산하면 8GB/초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PC네트워크

46. 하나의 건물이나 동일 부지 내에 있는 컴퓨터를 케이블로 연결하여 서로 통신 할 수 있도록 한 통신망을 뜻하는 것은?

  1. LAN
  2. WAN
  3. MAN
  4. VAN
(정답률: 73%)
  • LAN은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지역적인 범위 내에서 컴퓨터나 기기들을 케이블 등으로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뜻합니다. 즉, 하나의 건물이나 동일 부지 내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LA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OSI 7 계층 참조 모델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이더넷은 OSI 7 계층 참조 모델 중 1계층과 2계층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이다.
  2. OSI 7 계층 참조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플랫폼 사이에도 자료를 공유할 수 있다.
  3. 네트워크에서 자료를 전송할 때는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면서 정보를 추가하고, 자료를 받을 때는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면서 추가된 정보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4.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인 TCP/IP 프로토콜 중 TCP는 3계층에서 동작하고, IP는 4계층에서 동작한다.
(정답률: 61%)
  •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인 TCP/IP 프로토콜 중 TCP는 4계층에서 동작하고, IP는 3계층에서 동작한다. TCP는 전송 계층(4계층)에서 동작하며, IP는 네트워크 계층(3계층)에서 동작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Star Topology에서 동시에 둘 이상의 Connection이 가능하며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속도를 보장 받기 위하여 필요한 장치는?

  1. Bridge
  2. Repeater
  3. Switching Hub
  4. Gateway
(정답률: 54%)
  • Star Topology에서는 여러 개의 컴퓨터가 동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Switching Hub이 필요합니다. Switching Hub은 여러 개의 포트를 가지고 있어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포트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또한, Switching Hub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보장하기 위해 패킷을 분석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재전송합니다. 따라서 Star Topology에서는 Switching Hub이 필수적인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URL 표기법으로 잘못된 것은?

  1. http://www.corel.com:8080
  2. mailto:gildong@hanguk.co.kr
  3. ftp://2005:ftp.corpus.co.kr
  4. gopher://gopher.sogang.ac.kr:1234
(정답률: 50%)
  • 정답은 "ftp://2005:ftp.corpus.co.kr"입니다.

    URL 표기법에서는 호스트 이름 뒤에 콜론(:)과 포트 번호를 붙여서 포트 번호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ftp.corpus.co.kr" 호스트 이름 뒤에 콜론(:)이 없이 "2005"라는 숫자가 바로 나오는 것은 잘못된 표기법입니다. 따라서 "ftp://2005:ftp.corpus.co.kr"는 올바른 URL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두 컴퓨터가 무선 랜카드를 각각 보유하고 있으나 주변에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을 때, 두 컴퓨터 간에 무선통신을 위하여 사용 가능한 통신 방식은?

  1. Infrastructure
  2. Ad-Hoc
  3. RS-232C
  4. Wireless-Bridge
(정답률: 50%)
  • Ad-Hoc 방식은 액세스 포인트 없이 무선 랜카드를 직접 연결하여 통신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두 컴퓨터가 주변에 액세스 포인트가 없는 상황에서 무선통신을 위해 사용 가능한 방식은 Ad-Hoc 방식이다. Infrastructure 방식은 액세스 포인트를 필요로 하며, Wireless-Bridge 방식은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방식이므로 이 상황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RS-232C는 유선 통신 방식이므로 무선통신을 위해 사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