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11-14)

PC정비사 2급
(2021-11-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PC유지보수

1. Windows 10 Pro의 시스템 도구 모음의 하위 기능으로 잘못된 것은?

  1. 동기화 센터
  2. 시스템 복원
  3. 시스템 정보
  4. 작업 스케줄러
(정답률: 86%)
  • 정답: "동기화 센터"

    설명: Windows 10 Pro의 시스템 도구 모음에는 "시스템 복원", "시스템 정보", "작업 스케줄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동기화 센터"는 Windows 10에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기능이므로 잘못된 것입니다. 대신 Windows 10에서는 "설정" 앱에서 "계정" 탭에서 동기화 설정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WIndows 에서 IP 주소와 DNS 서버 주소 등을 확인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올바른 것은?

  1. ipconfig
  2. regedit
  3. bootcfg
  4. logon
(정답률: 87%)
  • 정답은 "ipconfig"입니다. ipconfig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현재 컴퓨터의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및 DNS 서버 주소 등의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 문제를 해결하거나 네트워크 구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명령 프롬프트에서 일반 사용자 그룹으로 로그온한 후 시스템 관리자 권한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명령어는?

  1. defrag
  2. runas
  3. guest
  4. administrator
(정답률: 79%)
  • "runas" 명령어는 일반 사용자 그룹으로 로그인한 후 시스템 관리자 권한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일반 사용자가 시스템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runas"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레지스트리에 저장되는 값의 데이터 형식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REG_BINARY : 0과 1로 표현되는 2진수 값을 가지는 데이터 형식이다.
  2. REG_SZ : 문자열 값을 가지는 데이터 형식이다.
  3. REG_DWORD : 16비트 워드 4개로 되어 있는 64비트 숫자 값이다.
  4. REG_MULTI_SZ : 다양한 유니코드 문자열의 묶음으로 다양한 내용을 데이터로 가질 때 사용한다.
(정답률: 83%)
  • 정답은 "REG_DWORD : 16비트 워드 4개로 되어 있는 64비트 숫자 값이다." 이다.

    이유는 REG_DWORD는 32비트 숫자 값이며, 16진수로 표현되는 8자리의 숫자로 구성된다. 따라서 16비트 워드 4개로 이루어진 64비트 숫자 값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Windows 10 Professional 의 휴지통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휴지통을 비우면 사용 가능한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늘어난다.
  2. 휴지통의 최대크기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3. 휴지통의 최소크기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4. USB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삭제할 때는 휴지통에 저장되지 않는다.
(정답률: 83%)
  • 잘못된 것은 "USB메모리에 저장된 파일을 삭제할 때는 휴지통에 저장되지 않는다." 이다. 이유는 USB메모리는 휴지통이 아닌 외부 저장장치이기 때문에 파일을 삭제하면 즉시 영구적으로 삭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디스크 관리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Windows 10 Pro 의 디스크 관리는 [제어판]-[시스템 및 보안]-[관리도구]-[컴퓨터 관리]에서 실행이 가능하다.
  2.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하기 위하여 디스크 위에서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파티션만들기를 수행한다.
  3. 새로운 드라이브를 생성한 후 꼭 재부팅을 하고 포맷 과정을 거쳐야 한다.
  4. 논리 드라이브를 삭제하면 해당 드라이브 내의 모든 데이터도 함께 상실 된다.
(정답률: 78%)
  • "새로운 드라이브를 생성한 후 꼭 재부팅을 하고 포맷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새로운 드라이브를 생성하더라도 재부팅을 하지 않아도 된다. 포맷 과정은 필요하지만, 재부팅은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Windows에서 발생되는 인터럽트(Interrupt)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상태 전이 인터럽트
  2. 슈퍼바이저 콜 인터럽트
  3. 재시작 인터럽트
  4. 입출력 인터럽트
(정답률: 77%)
  • 상태 전이 인터럽트는 Windows에서 발생되는 인터럽트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유는 상태 전이 인터럽트는 운영체제 내부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외부적인 이벤트에 의해 발생되는 인터럽트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상태 전이 인터럽트는 운영체제가 프로세스의 상태를 변경할 때 발생되며, 예를 들어 프로세스가 실행 대기 상태에서 실행 상태로 변경될 때 발생합니다. 따라서 상태 전이 인터럽트는 운영체제의 내부적인 동작과 관련된 인터럽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각 멤버 디스크에 같은 데이터를 중복 기록해 멤버 디스크 중 하나만 살아남으면 데이터는 보존되며 복원도 1:1 복사로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서버 또는 연구목적 PC에서 혹시 모를 데이터 손실에 대비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식의 RAID는?

  1. RAID 0
  2. RAID 1
  3. RAID 3
  4. RAID 5
(정답률: 83%)
  • RAID 1은 각 멤버 디스크에 같은 데이터를 중복 기록해 데이터를 보존하고 복원하기 쉬운 방식의 RAID입니다. 다른 RAID 방식들은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거나 패리티 정보를 이용해 데이터를 보호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RAID 1이 데이터 손실에 대비하기 위한 가장 간단하고 안전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사용자 데이터 원본을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관리 도구는?

  1. 데이터 원본(ODBC)
  2. 로컬 보안 정책
  3. 구성 요소 서비스
  4. 이벤트 뷰어
(정답률: 86%)
  • 데이터 원본(ODBC)은 Open Database Connectivity의 약자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데이터 원본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관리 도구입니다. ODBC를 사용하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간의 호환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데이터 원본을 통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데이터 원본(ODB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Windows 10 Pro 의 보조 프로그램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MS WORD
  2. 그림판
  3. 워드패드
  4. 캡처 도구
(정답률: 89%)
  • MS WORD는 워드 프로세서 소프트웨어로, Windows 10 Pro의 보조 프로그램이 아니라 독립적인 소프트웨어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Windows 10 Pro의 기본적인 보조 프로그램으로 제공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영문자 한 글자를 나타낼 수 있는 최소 단위는?

  1. 1 bit
  2. 1 byte
  3. 1 Kbyte
  4. 1 Mbyte
(정답률: 90%)
  • 영문자 한 글자는 ASCII 코드를 이용하여 8비트(1 byte)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ASCII 코드는 영문자, 숫자, 특수문자 등을 8비트로 표현하는 데 사용되며, 따라서 영문자 한 글자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최소 1 byte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유닉스를 기반으로 개발한 공개용 운영체제로 무료로 배포되고 있는 것은?

  1. DOS
  2. Windows
  3. OS/2
  4. Linux
(정답률: 91%)
  • 유닉스를 기반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Linux가 정답입니다. 또한, Linux는 무료로 배포되고 있어서 누구나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Windows 10 Pro 의 제어판에 있는 기능 중 문자 반복 시간과 커서 깜박임 속도 등을 지정할 수 있는 것은?

  1. 마우스
  2. 날짜 및 시간
  3. 키보드
  4. 장치 관리자
(정답률: 78%)
  • 문자 반복 시간과 커서 깜박임 속도는 키보드 설정에 속하는 기능이기 때문에 정답은 "키보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기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언어 번역 과정 중 원시 프로그램(Source Program)을 컴파일하고 기계어로 번역한 뒤 링킹 과정을 거쳐 로더(Loader)에 의해 로드 모듈 프로그램을 주기억 장치로 옮겨서 실행하도록 한다. 다음 중 로더의 기능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할당 (Allocation)
  2. 연결 (Linking)
  3. 재배치 (Relocation)
  4. 번역 (Translator)
(정답률: 82%)
  • 번역(Translator)은 원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는 과정을 말하며, 로더의 기능은 번역된 로드 모듈 프로그램을 주기억 장치로 옮겨서 실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로더의 기능이 아닌 것은 번역(Translato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Windows 10 에서 사용자 계정의 암호를 변경하려면 계정 항목 중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하는가?

  1. 사용자 정보
  2. 메일 및 계정
  3. 로그인 옵션
  4. 회사 또는 학교 액세스
(정답률: 84%)
  • 로그인 옵션을 선택해야 암호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는 Windows 10에서 로그인 방법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항목이기 때문입니다. 암호를 변경하려면 로그인 옵션에서 현재 사용 중인 계정을 선택하고 암호 변경 옵션을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운영체제

16. 주기억장치에 대한 설명 중 맞게 연결된 것은?

  1. 자기코어 - 제 2세대 컴퓨터의 기억소자로서 페라이트(ferrite)라는 산화철로 만들어졌다.
  2. 램 - 부팅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명령들이 들어간다.
  3. 롬 - 저장된 내용을 변경할 수 없다.
  4. 롬 바이오스 - 컴퓨터의 기본적인 입출력에 관한 모든 것을 관장하고 있다.
(정답률: 71%)
  • 램은 부팅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명령들이 들어간다. 이는 컴퓨터가 부팅될 때 운영체제와 프로그램 등이 램에 로드되어 실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램은 컴퓨터의 작동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PCM 방식으로 샘플링한 실제 악기 소리를 사운드카드의 메모리에 웨이브 형태로 저장해 두었다가 재생시에 이용하는 사운드카드 방식은?

  1. AM 방식
  2. FM 방식
  3. MIDI 방식
  4. Wavetable 방식
(정답률: 64%)
  • Wavetable 방식은 PCM 방식으로 샘플링한 실제 악기 소리를 사운드카드의 메모리에 웨이브 형태로 저장해 두었다가 재생시에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더욱 자연스러운 악기 소리를 재생할 수 있습니다. AM 방식과 FM 방식은 주파수 변조 방식이며, MIDI 방식은 음악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EEPROM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칩을 구성하는 소자의 전하를 전기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데이터를 기록, 소거한다.
  2. 모뎀, 비디오카드, 메인보드, SCSI 컨트롤러 등에 사용된다.
  3. 전원이 없이도 장기간 안정적으로 기억하는 비휘발성 기억 장치이다.
  4. 재기록 가능 회수의 제한이 없이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다.
(정답률: 71%)
  • "재기록 가능 회수의 제한이 없이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EEPROM은 일정 회수 이상의 재기록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EEPROM의 수명을 제한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재기록 가능 회수의 제한이 없이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L2 캐시의 동작 방식이 아닌 것은?

  1. 비동기 방식
  2. 동기 방식
  3. 슬롯 방식
  4. 파이프라인 버스트 방식
(정답률: 75%)
  • 슬롯 방식은 L2 캐시의 동작 방식이 아니라, 메모리 관리 방식 중 하나이다. L2 캐시는 비동기 방식과 동기 방식, 파이프라인 버스트 방식 등으로 동작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IEEE 1284'는 무엇에 대한 규격인가?

  1. 직렬포트
  2. USB
  3. 병렬포트
  4. LAN
(정답률: 79%)
  • IEEE 1284는 병렬포트에 대한 규격입니다. 이 규격은 프린터와 컴퓨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병렬포트를 사용하는 프린터와 컴퓨터는 이 규격을 준수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습니다. 직렬포트, USB, LAN은 각각 다른 인터페이스 규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유니코드(Unicode)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최대로 수용할 수 있는 문자수는 6만 5,536자이다.
  2. 1990년에 첫 버전이 발표 되었으며, 1995년 국제 표준으로 제정되었다.
  3. 운영체제에서 유니코드를 처리하기 위한 표준으로 SBCS(Single Byte Character Set)를 사용한다.
  4. 전 세계의 모든 문자를 컴퓨터에서 일관되게 표현하고 다룰 수 있다.
(정답률: 80%)
  • 운영체제에서 유니코드를 처리하기 위한 표준으로 SBCS(Single Byte Character Set)를 사용한다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실제로는 유니코드를 처리하기 위해 멀티바이트 문자셋(MBCS)이나 유니코드 자체를 지원하는 유니코드 인코딩 방식(UTF-8, UTF-16 등)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전용 비디오 메모리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VRAM
  2. SDRAM
  3. WRAM
  4. DDRSGRAM
(정답률: 70%)
  • SDRAM은 전용 비디오 메모리의 종류가 아닙니다. SDRAM은 시스템 메모리로 사용되는 메모리 유형입니다. VRAM, WRAM, DDRSGRAM은 모두 전용 비디오 메모리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정보 저장 밀도의 단위로만 짝지어진 것은?

  1. CPS, LPM
  2. BPI, TPI
  3. BPS, CPS
  4. PPM, LPM
(정답률: 73%)
  • 정보 저장 밀도는 비트 또는 바이트 단위로 측정됩니다. 그러나 BPI와 TPI는 비트 또는 바이트 단위가 아니라 트랙당 비트 또는 바이트 수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BPI는 트랙당 비트 수를, TPI는 트랙당 바이트 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보 저장 밀도의 단위로만 짝지어진 것은 BPI와 TPI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PC의 전원 공급 장치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전압으로 올바른 것은?

  1. ±3[V], ±9[V]
  2. ±5[V], ±12[V]
  3. ±5[V], ±9[V]
  4. ±6[V], ±15[V]
(정답률: 84%)
  • PC의 전원 공급 장치에서는 다양한 전압이 필요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마더보드에 공급되는 전압입니다. 마더보드에는 다양한 부품들이 있으며, 각 부품들은 다양한 전압을 필요로 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CPU입니다. CPU는 안정적인 전압 공급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전압 변환기가 필요합니다. 이 변환기에서는 입력 전압을 변환하여 출력 전압을 만들어냅니다.

    PC의 전원 공급 장치에서는 보통 ±5V, ±12V의 전압이 필요합니다. 이는 마더보드의 다양한 부품들이 필요로 하는 전압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들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V], ±12[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등각속도(CAV) 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회전 구동장치의 구조가 간단하다.
  2. 모든 트랙의 저장 밀도가 같다.
  3. 디스크 저장 공간의 사용이 비효율적이다.
  4. 디스크 평판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한다.
(정답률: 62%)
  • 등각속도(CAV) 방식의 특징 중 "디스크 저장 공간의 사용이 비효율적이다."가 아닌 것은 모든 트랙의 저장 밀도가 같다는 것이다.

    등각속도(CAV) 방식은 디스크 평판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데이터를 읽고 쓰는 방식으로, 디스크의 바깥쪽 트랙과 안쪽 트랙의 저장 용량이 다르기 때문에 저장 밀도가 같지 않다. 따라서 저장 용량이 큰 파일을 저장할 때는 디스크의 바깥쪽 트랙을 사용해야 하며, 저장 용량이 작은 파일을 저장할 때는 디스크의 안쪽 트랙을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등각속도(CAV) 방식은 저장 공간의 사용이 비효율적이다고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CPU 기능 중 하나인 제어장치의 구성요소로 잘못된 것은?

  1. 프로그램 계수기
  2. 명령 레지스터
  3. 명령 해독기
  4. 보수기
(정답률: 81%)
  • 보수기는 제어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산술논리장치(ALU)의 구성요소입니다. 보수기는 덧셈 연산에서 자리올림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며, 제어장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보수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입력장치 중에서 직접 입력방식이 아닌 장치는?

  1. 키보드
  2. OMR
  3. 마우스
  4. 디지타이저
(정답률: 86%)
  • OMR은 Optical Mark Recognition의 약자로, 광학식 인식 방식을 사용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입니다.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인쇄된 양식에 마킹된 정보를 인식하여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따라서 직접 입력방식이 아닌 입력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갑작스런 정전으로부터 컴퓨터 시스템 등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해주는 장치는?

  1. UPS
  2. AVR
  3. SCANNER
  4. FAX
(정답률: 85%)
  • UPS는 Uninterruptible Power Supply의 약자로, 갑작스러운 정전이나 전원 이상으로부터 컴퓨터 시스템 등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해주는 장치입니다. 즉, 전원 공급이 끊겨도 일정 시간 동안은 전원을 유지하여 중요한 데이터나 작업을 저장하고 안전하게 종료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컴퓨터나 서버 등을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UPS가 필수적인 보조 장치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HDD의 분당 회전수를 나타내는 단위는?

  1. RPM
  2. PPM
  3. BPS
  4. CPS
(정답률: 87%)
  • HDD의 분당 회전수를 나타내는 단위는 RPM이다. RPM은 "Revolutions Per Minute"의 약자로, 1분 동안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회전하는 횟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따라서 HDD의 속도와 성능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하나의 물리적인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의 논리적인 하드디스크로 분할하는 것은?

  1. 파티션
  2. 플래터
  3. 로우레벨 포맷
  4. 스테핑
(정답률: 88%)
  • 하나의 물리적인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의 논리적인 하드디스크로 분할하는 것을 파티션(Partition)이라고 합니다. 이는 하나의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각을 독립적인 저장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파티션을 통해 운영체제, 데이터, 프로그램 등을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각 파티션마다 파일 시스템을 설정하여 파일의 저장과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PC주변기기

31. UEFI 바이오스가 지원하는 이것은 파티션 테이블 크기를 확장하여 디스크 하나에 주 파티션을 128개 만들 수 있으며, 주소 체계를 64비트로 확장해 이론적으로 최대 8ZB까지 지원할 수 있는 이것은 무엇인가?

  1. MBR
  2. WHQL
  3. GPT
  4. TDP
(정답률: 73%)
  • GPT는 UEFI 바이오스에서 지원하는 파티션 테이블 크기를 확장하여 디스크 하나에 주 파티션을 128개 만들 수 있으며, 주소 체계를 64비트로 확장해 이론적으로 최대 8ZB까지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MBR은 이전에 사용되던 파티션 테이블 형식이며, 주 파티션 수가 제한되어 있고 주소 체계도 32비트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WHQL은 Windows 하드웨어 품질 연구소로, Microsoft에서 하드웨어 드라이버의 호환성과 안정성을 검증하는 인증 기준입니다. TDP는 Thermal Design Power로, CPU나 GPU 등의 열 설계 전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PC 조립 후 발생되는 문제점을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 CPU가 잘못 꽂혔을 때는 매우 격렬한 경고음이 나온다.
  2. 화면이 나오지 않고 삐하는 경고음이 나올 경우, 램이 잘못 꽂혀 있을 수 있다.
  3. 화면에 BIOS는 나오는데 더 이상 부팅이 진행되지 않는 경우는 마더보드 불량일 가능성이 높다.
  4. 화면이 나오지 않고 ‘삐’ 하는 경고음이 길고 짧게 반복되는 경우, 비디오 카드 불량일 가능성이 높다.
(정답률: 71%)
  • 정답은 "화면에 BIOS는 나오는데 더 이상 부팅이 진행되지 않는 경우는 마더보드 불량일 가능성이 높다."가 아닙니다. 이유는 이 경우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충돌, 드라이버 문제, BIOS 설정 오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케이스 전면의 스위치 표시 램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

  1. LED는 디스크가 움직일 때 불이 들어온다.
  2. LED는 방향을 반대로 연결해도 문제가 없다.
  3. LED스위치는 극성이 없으므로 위치만 맞으면 된다.
  4. LED에 항상 불이 안들어오면 컴퓨터에 이상이 생긴 것이다.
(정답률: 73%)
  • LED는 양극성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있어서 극성이 없기 때문에 방향을 반대로 연결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따라서 위치만 맞추면 된다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BIOS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컴퓨터의 전원이 켜지면 하드웨어가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자가 진단한다.
  2. 컴퓨터의 각 장치들이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초기화 한다.
  3. 부팅 디스크로부터 부팅 정보를 읽어 들인다.
  4. Windows 부팅이 시작된 후에 시작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정답률: 72%)
  • "Windows 부팅이 시작된 후에 시작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는 BIOS의 기능이 아니다. BIOS는 컴퓨터의 전원이 켜지면 하드웨어가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자가 진단하고, 컴퓨터의 각 장치들이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초기화하며, 부팅 디스크로부터 부팅 정보를 읽어 들이는 역할을 한다. 시작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은 운영체제의 역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Windows 10 에서 지원하는 않는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은 무엇인가?

  1. NTF
  2. FAT32
  3. exFAT
  4. RSS32
(정답률: 72%)
  • Windows 10에서 지원하는 파일 시스템은 NTF, FAT32, exFAT이지만, RSS32는 존재하지 않는 파일 시스템이기 때문에 지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RSS3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Windows를 절전모드로 종료할 때 메모리에 있는 내용을 SSD 특정 영역에 저장해 놓았다가 절전 모드에서 깨어날 때 SSD에 있는 내용을 이용해 시스템을 빠르게 준비하는 기술은 무엇인가?

  1. BCLK
  2. WHQL
  3. RAPID
  4. FANS
(정답률: 72%)
  • 정답은 "RAPID"이다. RAPID는 Samsung SSD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메모리에 있는 내용을 SSD 특정 영역에 저장해 놓았다가 절전 모드에서 깨어날 때 SSD에 있는 내용을 이용해 시스템을 빠르게 준비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시스템 부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BCLK는 기본 클럭 속도를 조절하는 기술, WHQL은 Windows 하드웨어 품질 인증을 의미하며, FANS는 팬 속도를 조절하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컴퓨터를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전원을 키고자 할 때 바이오스에서 어떤 메뉴를 활성화 해야 하는가?

  1. power to lan
  2. netstart
  3. wake up on lan
  4. network start
(정답률: 82%)
  • "wake up on lan"은 컴퓨터를 원격으로 켜기 위해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기능이다. 이 기능을 활성화하면 네트워크에서 특정 패킷을 보내면 컴퓨터가 자동으로 켜지게 된다. 따라서 이 기능을 사용하여 컴퓨터를 원격으로 켜기 위해서는 바이오스에서 "wake up on lan"을 활성화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PC에서 컴퓨터 바이오스와 운영체제에 PnP 장치들과의 통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는?

  1. ESCD(Extended System Configuration Data)
  2. NVRAM(Non-Volatile RAM)
  3. DMA
  4. CMOS ROM
(정답률: 70%)
  • ESCD는 PnP 장치들과의 통신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이며, PC에서 컴퓨터 바이오스와 운영체제가 이 정보를 활용하여 장치들을 인식하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 NVRAM은 비휘발성 RAM으로, 시스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DMA는 직접 메모리 접근을 의미하며, 입출력 장치와 메모리 간의 데이터 전송을 관리합니다. CMOS ROM은 바이오스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ROM입니다. 따라서, PnP 장치들과의 통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는 ESC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로우레벨 포맷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물리적인 상태는 그대로 둔 채 논리적인 포맷만을 하므로 시간이 짧게 걸린다.
  2. 백신 프로그램이나 포맷으로도 바이러스가 잡히지 않을 경우 진행한다.
  3. BIOS 설정에 로우레벨 포맷 기능이 있는 경우, 그것으로 수행하거나 별도의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4. 로우레벨 포맷을 통해 디스크의 배드 섹터와 같은 물리적 결함은 복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정답률: 76%)
  • "물리적인 상태는 그대로 둔 채 논리적인 포맷만을 하므로 시간이 짧게 걸린다."가 잘못된 것이다. 로우레벨 포맷은 논리적인 포맷과 함께 디스크의 물리적인 상태를 초기화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컴퓨터 부팅과정 중 메모리를 테스트 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장착된 메모리가 정확하게 동작을 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2. 메모리의 용량이 필요이상으로 많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이다.
  3. 컴퓨터 운영 중 작동상의 에러이다.
  4. Windows 제어판에서 가상 메모리 크기를 실제 메모리의 2배로 설정하면 메모리 테스트과정이 생략된다.
(정답률: 78%)
  • 컴퓨터 부팅과정 중 메모리를 테스트하는 과정은 장착된 메모리가 정확하게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컴퓨터가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입니다. 메모리의 용량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장착되어 있거나, 작동상의 에러가 발생할 경우 이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indows 제어판에서 가상 메모리 크기를 실제 메모리의 2배로 설정하면 메모리 테스트 과정이 생략되지만, 이는 메모리 테스트를 대신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 부족 상황에서 대처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Windows에서 특정 응용프로그램이 특정한 DLL 파일을 찾을 수 없다며 실행되지 않는 경우,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해본다.
  2. 동일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다른 PC에서 문제가 되는 DLL 파일을 찾아 해당 폴더에 복사해 넣는다.
  3. 하드디스크의 이상으로 파일이 손실된 경우에 대비해 '디스크 검사' 등으로 하드디스크 점검을 해본다.
  4. Windows의 가상 메모리 크기를 늘려준다.
(정답률: 75%)
  • Windows의 가상 메모리 크기를 늘려주는 것은 해당 응용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DLL 파일을 메모리에 로드할 수 있는 공간을 늘려주기 때문이다. DLL 파일은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메모리에 로드되어 사용되는데, 가상 메모리 크기가 작으면 DLL 파일을 로드할 공간이 부족해져서 실행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가상 메모리 크기를 늘려주면 DLL 파일을 로드할 공간이 충분해져서 해당 응용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모니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EMI 규격에 맞는 제품을 사용한다.
  2. 모니터를 장시간 사용 할 경우 주기적으로 휴식을 취한다.
  3. TCO 규격을 인증한 모니터를 사용한다.
  4. 모니터의 해상도를 높게 설정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89%)
  • 모니터의 해상도를 높게 설정하면 전자파가 더 강력해져서 오히려 피해가 더 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니터의 해상도를 높게 설정하여 사용한다."는 잘못된 방법입니다. 모니터의 해상도는 사용자의 편의와 성능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Windows 10 사용 중 보기와 같은 블루스크린 오류 메시지가 나타났을 시 해결방법은 무엇인가?

  1. 메인보드 점검
  2. 그래픽 카드 점검
  3. 사운드 카드 점검
  4. 하드디스크, 메모리 점검
(정답률: 82%)
  • 블루스크린 오류 메시지는 시스템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MEMORY_MANAGEMENT"이라는 오류 메시지가 나타나고 있으므로, 메모리와 관련된 문제가 의심됩니다. 따라서 하드디스크와 메모리를 점검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사운드 카드와 같은 다른 하드웨어도 문제가 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메모리와 관련된 오류 메시지가 나타나고 있으므로, 메모리와 하드디스크를 우선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BIOS에서 제어할 수 없는 것은?

  1. 부트 디스크 설정
  2. 물리적 메모리 용량 설정
  3. 하드디스크 타입(Type) 설정
  4. IRQ 및 DMA 설정
(정답률: 71%)
  • BIOS는 컴퓨터의 기본 입력/출력 시스템으로, 부팅 프로세스와 하드웨어 초기화를 담당합니다. 하지만 BIOS는 물리적 메모리 용량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없습니다. 이는 메모리 용량은 하드웨어적인 한계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메모리 용량을 조절하려면 하드웨어를 업그레이드하거나 교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Windows 10 사용중 보기와 같은 블루스크린 오류 메시지가 나타났을 시 해결방법은 무엇인가?

  1. ODD 드라이버 업데이트
  2.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
  3. 사운드 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
  4.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업데이트
(정답률: 77%)
  • 블루스크린 오류는 주로 하드웨어나 드라이버의 문제로 발생합니다. 그 중에서도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는 시스템의 그래픽 처리를 담당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블루스크린 오류 메시지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다른 드라이버도 업데이트가 필요할 수 있지만,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가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대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PC네트워크

46. UTP케이블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PC용 네트워크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2. 전기적인 간섭을 줄이기 위해 쌍으로 꼬이게 하여 전자적 유도 현상을 줄인 케이블이다.
  3. 가격이 싸고 설치가 간단하다.
  4. 잡음에 강하며 전송 거리가 길다.
(정답률: 5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데이터링크 계층에 존재하는 2가지의 서브계층으로 적절한 것은?

  1. ACL, LMI
  2. MAC, LAC
  3. OSI, LLC
  4. LLC, MAC
(정답률: 58%)
  • 정답은 "LLC, MAC"입니다.

    LLC (Logical Link Control) 서브계층은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상위 계층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합니다. 이 계층은 데이터의 흐름 제어, 오류 제어, 동기화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MAC (Media Access Control) 서브계층은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하위 계층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합니다. 이 계층은 물리적인 매체에 대한 접근 제어, 프레임의 송수신, 주소 지정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링크 계층에는 LLC와 MAC 두 가지의 서브계층이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은 OSI 참조모델의 각 계층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올바른 설명은?

  1. 응용 계층, 표현 계층, 세션 계층은 모두 하위 계층에 속한다.
  2. UDP는 전송계층의 프로토콜로 신뢰성을 갖는 연결형 프로토콜이다.
  3. HTTP, FTP, SSH는 응용 계층의 프로토콜이다.
  4. IGMP는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로서 인터넷에서 게이트웨이를 찾아주는 기능을 한다.
(정답률: 77%)
  • HTTP, FTP, SSH는 응용 계층의 프로토콜이다. 이는 이들 프로토콜이 OSI 참조모델의 최상위 계층인 응용 계층에서 동작하기 때문이다. 이들 프로토콜은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데이터 전송 및 통신을 담당하는 다른 계층들과는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RSS (RDF Site Summary)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온라인 정보제공자들이 웹 사용자들에게 뉴스 등의 웹 콘텐츠를 배급 또는 배포할 수 있도록 서술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2. 사용자의 컴퓨터를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3. 웹(WWW) 상에서 사용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RSS에서 제공하는 정보로 회원가입이나 물건 등을 구매할 수 있다.
  4. 개인 보안 정보로서, 개인용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스마트카드 등에 정보를 저장한 후 로그인시 사용한다.
(정답률: 73%)
  • 온라인 정보제공자들이 웹 사용자들에게 뉴스 등의 웹 콘텐츠를 배급 또는 배포할 수 있도록 서술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컴퓨터 통신에서 컴퓨터간의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규정된 통신규약은?

  1. 인터페이스
  2. 프로토콜
  3. 터미널
  4. 샘플링
(정답률: 88%)
  • 프로토콜은 컴퓨터간의 정보 교환을 위해 규정된 통신규약으로, 데이터의 형식, 전송 방식, 오류 처리 등을 정의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컴퓨터간의 통신에서는 프로토콜을 준수하여야만 정보를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