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2-02-27)

PC정비사 2급
(2022-02-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PC유지보수

1. 에러를 자신이 찾아 수정할 수 있는 코드는?

  1. 패리티 코드(Parity Code)
  2. 해밍 코드(Hamming Code)
  3. 그레이 코드(Gray Code)
  4. BCD코드(Binary Coded Decimal)
(정답률: 88%)
  • 해밍 코드는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데 사용되는 코드이다. 이 코드는 데이터에 추가적인 비트를 추가하여 오류 검출 및 수정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에러를 자신이 찾아 수정할 수 있는 코드는 해밍 코드이다. 패리티 코드는 오류 검출만 가능하고 수정은 불가능하며, 그레이 코드와 BCD 코드는 숫자를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코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Linux 명령어 중에서 의미가 다른 하나는?

  1. reboot
  2. init 6
  3. shutdown –r now
  4. shutdown -h now
(정답률: 86%)
  • 정답은 "shutdown -h now" 이다.

    - "reboot" : 시스템을 재부팅한다.
    - "init 6" : 시스템을 재부팅한다.
    - "shutdown –r now" : 시스템을 재부팅한다.
    - "shutdown -h now" : 시스템을 종료한다.

    즉, "shutdown -h now" 명령어는 시스템을 종료하는 명령어이며, 나머지 세 가지 명령어는 시스템을 재부팅하는 명령어이다. "-h" 옵션은 시스템을 종료하라는 의미이고, "now"는 즉시 종료하라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Window 제어판 도구 중 ‘네트워크 연결’을 실행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control firewall.cpl
  2. control ncpa.cpl
  3. control desk.cpl
  4. control appwiz.cpl
(정답률: 87%)
  • 정답은 "control ncpa.cpl"입니다.

    "control ncpa.cpl" 명령은 네트워크 연결 제어판 도구를 실행하는 명령입니다. 이 도구를 사용하면 컴퓨터에 연결된 네트워크 어댑터를 관리하고,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방화벽 설정, 데스크톱 설정, 프로그램 추가/제거 도구를 실행하는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Windows 10 Pro의 [시스템 구성] - [도구] 의 하위 기능으로 잘못된 것은?

  1. 동기화 센터
  2. 이벤트 뷰어
  3. 시스템 정보
  4. 성능 모니터
(정답률: 81%)
  • 정답: 동기화 센터

    설명: 동기화 센터는 Windows 10 Pro에는 없는 기능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Windows 10 Pro의 [시스템 구성] - [도구]에 있는 기능들입니다. 이벤트 뷰어는 시스템 로그를 확인할 수 있고, 시스템 정보는 시스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성능 모니터는 시스템의 성능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시스템 처리 방식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실시간 처리 시스템(Real Time Processing System) : 데이터가 발생하는 즉시 컴퓨터에서 처리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으로 은행의 온라인이나 각종 예약업무에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2. 일괄 처리 방식(Batch Processing System) : CPU가 한 사용자로부터 다른 사용자로 빠르게 교환시켜 주는 시스템으로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때도 실제는 한 개의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지만 각 사용자는 독립된 컴퓨터로 작업하는 느낌을 가질 수 있다.
  3. 시분할 시스템(Time Sharing System) : 여러 개의 작업을 하나로 묶어 자동적으로 한 작업에서 다른 작업으로 연속될 수 있도록 한 처리 방식이다.
  4. 시분할 시스템(Time Sharing System)은 주로 항공표, 기차표 예매 등에 사용된다.
(정답률: 87%)
  • 정답은 "실시간 처리 시스템(Real Time Processing System) : 데이터가 발생하는 즉시 컴퓨터에서 처리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으로 은행의 온라인이나 각종 예약업무에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이다. 이유는 실시간 처리 시스템은 데이터가 발생하는 즉시 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은행의 온라인이나 예약업무와 같이 실시간으로 처리가 필요한 업무에 주로 사용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영문자 한 글자를 나타낼 수 있는 최소 단위는?

  1. 1 bit
  2. 1 byte
  3. 1 Kbyte
  4. 1 Mbyte
(정답률: 87%)
  • 영문자 한 글자는 ASCII 코드를 이용하여 8비트(1 byte)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ASCII 코드는 영문자, 숫자, 특수문자 등을 8비트로 표현하는 데 사용되며, 따라서 영문자 한 글자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최소 1 byte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운영체제에서 기억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전략 중 배치(Placement) 전략에 해당되지 않는 기법은?

  1. 요구 반입 (Demand Fetch) 기법
  2. 최초 적합 (First Fit) 기법
  3. 최적 적합 (Best Fit) 기법
  4. 최악 적합 (Worst Fit) 기법
(정답률: 83%)
  • 요구 반입 기법은 기억장치에 필요한 정보가 요청될 때 해당 정보만을 기억장치에 반입하는 기법으로, 기억장치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배치 전략에 해당되지 않는다. 최초 적합, 최적 적합, 최악 적합 기법은 모두 기억장치 내에서 프로세스를 배치하는 전략으로, 요구 반입 기법과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운영체제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MS-DOS
  2. JINI
  3. UNIX
  4. ios
(정답률: 92%)
  • JINI는 운영체제가 아니라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서로 다른 기기들 간의 통신을 위한 기술이다. 따라서 운영체제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물리적인 하나의 하드디스크를 용량에 따라 여러 개의 논리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 분할하는 것을 뜻하는 용어는?

  1. 스핀들 (Spindle)
  2. 로우레벨 포맷 (Low-level Format)
  3. 파티션 (Partition)
  4. 하드디스크 인터리브 (Hard Disk Interleave)
(정답률: 93%)
  • 하나의 물리적인 하드디스크를 파티션으로 나누면 각 파티션은 독립적인 논리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 인식되어 운영체제에서 각각의 드라이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데이터를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파티션 (Partitio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Windows 10 Pro 에서 PNG 형식의 파일을 수정하고자 할 때 적당한 프로그램은?

  1. 워드패드
  2. 그림판
  3. 메모장
  4. 클립보드
(정답률: 87%)
  • 정답은 "그림판"입니다. 그림판은 Windows 운영체제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그래픽 편집 프로그램으로, PNG 형식의 파일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텍스트 편집이나 클립보드 관리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그림판은 그래픽 편집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A씨는 사용중인 PC의 그래픽 카드를 업그레이드 하기 위해 PC의 장착된 메인보드의 모델명을 확인해 보려고한다. 명령 프롬프트에서 입력할 명령어는?

  1. wmic baseboard get product
  2. Quick board Search
  3. Deeper board Search
  4. filesystems baseboard product
(정답률: 64%)
  • 정답은 "wmic baseboard get product"이다.

    이유는 wmic은 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 Command-line의 약자로, Windows 운영체제에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도구이다. baseboard는 메인보드를 의미하며, get product는 메인보드의 모델명을 가져오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wmic baseboard get product"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사용중인 PC의 메인보드 모델명을 확인할 수 있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잘못된 명령어이거나, 메인보드 모델명을 확인하는 명령어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Windows 10 사용자가 듀얼모니터 또는 빔 프로젝터와 연결하고 복제, 확장 등의 기능을 빠르게 사용하기 위한 단축키는 무엇인가?

  1. 윈도우 로고 키 + P
  2. 윈도우 로고 키 + S
  3. 윈도우 로고 키 + E
  4. 윈도우 로고 키 + R
(정답률: 89%)
  • 정답은 "윈도우 로고 키 + P"이다. 이는 Windows 10에서 듀얼모니터 또는 빔 프로젝터와 연결하고 복제, 확장 등의 기능을 빠르게 사용하기 위한 단축키이다. 이 단축키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빠르게 모니터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며, 복제, 확장 등의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Windows 10에서 사용자 계정의 암호를 변경하려면 계정 항목 중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하는가?

  1. 사용자 정보
  2. 메일 및 계정
  3. 로그인 옵션
  4. 회사 또는 학교 액세스
(정답률: 80%)
  • Windows 10에서 사용자 계정의 암호를 변경하려면 "로그인 옵션"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는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 사용하는 옵션을 관리하는 항목으로, 암호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기본 정보를 관리하는 항목이며, "메일 및 계정"은 Microsoft 계정과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항목입니다. "회사 또는 학교 액세스"는 조직에서 제공하는 액세스를 관리하는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컴퓨터 전원을 켜면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체제를 메모리에 로드한다. 이러한 과정을 부팅이라고 하는데, 부팅 정보를 가지고 있는 디스크 영역을 부트 섹터라고 한다. 다음 설명하는 바이러스 종류는 무엇인가?

  1. 암호화 바이러스
  2. 부트 바이러스
  3. 파일 바이러스
  4. 매크로 바이러스
(정답률: 84%)
  • 이 그림은 부트 섹터를 감염시키는 부트 바이러스의 예시를 보여준다. 부트 바이러스는 컴퓨터 부팅 시 부트 섹터를 감염시켜, 운영체제가 로드되기 전에 바이러스 코드를 실행시키는 악성 코드이다. 이를 통해 바이러스는 컴퓨터 시스템 전체를 감염시키거나, 중요한 정보를 파괴하거나, 제어권을 탈취하는 등의 악의적인 행위를 할 수 있다. 따라서 부트 바이러스는 컴퓨터 보안에 매우 위협적인 종류의 바이러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A씨는 PC 사용 중 메모리가 부족하여 이것을 설정하여 하드디스크 일부 공간을 메모리로 사용하였다. 이것은 무엇인가?

  1. 메모리 업그레이드
  2. 시작 및 복구
  3. 하이퍼 메모리
  4. 가상 메모리
(정답률: 86%)
  • 정답은 "가상 메모리"입니다. 가상 메모리는 하드디스크 일부 공간을 메모리로 사용하는 것으로, 메모리 부족 시에 프로그램이 동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는 메모리 업그레이드와는 다른 개념이며, 시작 및 복구, 하이퍼 메모리와도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운영체제

16. 다음은 메모리를 외형상 분류한 것이다.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DIP
  2. SIMM
  3. DIMM
  4. SRAM
(정답률: 68%)
  • 정답은 "SRAM"이다.

    "DIP", "SIMM", "DIMM"은 모두 메모리 모듈의 형태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하지만 "SRAM"은 메모리의 종류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SRAM은 정적 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의 약자로,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메모리이다.

    따라서, "SRAM"은 다른 세 가지 용어와는 성격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컴퓨터에 일정한 전압을 유지시켜주기 위해 설치하는 장비는?

  1. AVR(Automatic Voltage Regulator)
  2. SRM(Storage Resource Management)
  3.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4. AUI(Attachment Unit Interface)
(정답률: 89%)
  • AVR은 자동 전압 조절기로, 전압의 변동을 감지하여 일정한 전압을 유지시켜주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컴퓨터 등 전기 제품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설치됩니다. SRM은 저장소 자원 관리, ASP는 응용 프로그램 서비스 제공자, AUI는 첨부 단위 인터페이스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HDD의 분당 회전수를 나타내는 단위는?

  1. RPM
  2. PPM
  3. BPS
  4. CPS
(정답률: 85%)
  • HDD의 분당 회전수를 나타내는 단위는 RPM이다. RPM은 "Revolutions Per Minute"의 약자로, 1분 동안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회전하는 횟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따라서 HDD의 속도와 성능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구하는 방법은?

  1. 헤드 수 X 실린더 수 X 섹터 수 X 섹터당 바이트 수
  2. 헤드 수 X 실린더 수 X 섹터당 바이트 수
  3. 헤드 수 X 클러스터 수 X 섹터 수 X 섹터당 바이트 수
  4. 실린더 수 X 섹터 수 X 섹터당 바이트 수
(정답률: 78%)
  • 하드디스크는 헤드, 실린더, 섹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요소들이 가지는 값들을 곱해주면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헤드 수는 디스크의 양면을 의미하며, 실린더 수는 디스크의 반지름 방향으로 나열된 트랙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섹터 수는 각 트랙당 나누어진 부분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최소 단위입니다. 마지막으로 섹터당 바이트 수는 각 섹터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들을 모두 곱해주면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PC 케이스가 ATX형과 MATX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ATX, MATX 유형으로 구분이 되는 것은?

  1. 중앙처리장치(CPU)의 속도
  2. 메인보드(Main Board)의 규격
  3. 그래픽 카드(Graphic Card)의 규격
  4. 램(RAM)의 속도
(정답률: 75%)
  • ATX와 MATX는 메인보드의 규격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ATX는 대형 메인보드 규격으로, MATX는 중형 메인보드 규격입니다. 따라서 PC 케이스의 크기나 구성 요소들의 규격을 결정하는 것은 메인보드의 규격입니다. CPU의 속도나 그래픽 카드, RAM의 속도는 각각의 부품의 성능을 나타내는 것이지 메인보드의 규격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계산속도 단위가 빠른 것에서 느린 것 순으로 차례대로 나열되어 있는 것은?

  1. ps > μs > ns > ms
  2. ps > ns > μs > ms
  3. ms > μs > ns > ps
  4. ms > ns > μs > ps
(정답률: 78%)
  • 정답은 "ps > ns > μs > ms"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ps (피코초) : 1/1조초, 즉 0.000000000001초
    - ns (나노초) : 1/10억초, 즉 0.000000001초
    - μs (마이크로초) : 1/100만초, 즉 0.000001초
    - ms (밀리초) : 1/1000초, 즉 0.001초

    따라서, 계산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 피코초이고, 그 다음이 나노초, 마이크로초, 밀리초 순으로 느려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SSD의 연결 인터페이스 중 잘못된 것은?

  1. SATA
  2. mSATA
  3. M.2
  4. DVI
(정답률: 81%)
  • DVI는 디지털 비디오 인터페이스로, SSD와는 관련이 없는 인터페이스입니다. SATA, mSATA, M.2은 모두 SSD의 연결 인터페이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IEEE 1284'는 무엇에 대한 규격인가?

  1. 직렬포트
  2. USB
  3. 병렬포트
  4. LAN
(정답률: 76%)
  • IEEE 1284는 병렬포트에 대한 규격입니다. 이 규격은 프린터와 컴퓨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병렬포트를 사용하는 프린터와 컴퓨터는 이 규격을 준수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습니다. 직렬포트, USB, LAN은 각각 다른 인터페이스 규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컴퓨터에서 소리를 합성할 때 사용하는 방식 중에서 소리의 주파수를 변조해 소리를 만드는 음파 합성 방식은?

  1. PCM(Pulse Coded Modulation) 방식
  2. FM(Frequency Modulation) 음원 방식
  3. 웨이브 테이블(Wave Table) 방식
  4. 풀 듀플렉스(Full Duplex) 방식
(정답률: 74%)
  • FM 음원 방식은 소리의 주파수를 변조하여 소리를 만드는 방식이기 때문에 컴퓨터에서 소리를 합성할 때 사용된다. PCM 방식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고, 웨이브 테이블 방식은 미리 저장된 소리 샘플을 이용하여 소리를 만드는 방식이다. 풀 듀플렉스 방식은 동시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방식이므로 소리 합성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FM 음원 방식이 컴퓨터에서 소리를 합성할 때 사용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스마트폰을 일종의 무선 모뎀으로 활용하여 외부기기가 무선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은 무엇인가?

  1. NIC
  2. 테더링
  3. DLNA
  4. 리피터
(정답률: 82%)
  • 테더링은 스마트폰을 무선 모뎀으로 사용하여 외부 기기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입니다. 즉, 스마트폰의 인터넷 연결을 외부 기기와 공유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테더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모니터의 주사율 단위는?

  1. ms
  2. cd
  3. Hz
  4. cm
(정답률: 90%)
  • 정답: Hz

    주사율은 초당 화면이 갱신되는 횟수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Hz는 초당 주기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횟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며, 모니터의 주사율은 초당 화면이 갱신되는 횟수를 나타내므로 Hz 단위를 사용합니다. 다른 보기인 "ms"는 밀리초, "cd"는 캔들, "cm"은 센티미터를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주사율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의 내용이 설명하고 있는 메모리는 무엇인가?

  1. 옵테인 메모리
  2. 플래시 메모리
  3. SD 메모리
  4. DDR4 메모리
(정답률: 65%)
  • 이 메모리는 옵테인 기술을 사용하여 더 빠르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옵테인 메모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컴퓨터시스템을 동작시켰을 경우에 고장에서 고장까지 걸리는 평균시간을 나타내며, 높을수록 신뢰성이 높을 것을 나타내는 용어는 무엇인가?

  1. MTBF
  2. ISO
  3. RoHS
  4. RPM
(정답률: 68%)
  • 정답은 "MTBF"이다. MTBF는 Mean Time Between Failures의 약자로, 한글로는 고장 사이의 평균 시간을 의미한다. 즉, 컴퓨터 시스템이 동작하는 동안 고장이 발생하는 평균 시간을 나타내며, 이 값이 높을수록 시스템의 신뢰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MTBF는 시스템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DDR 메모리 라벨의 표시된 내용이다.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16GB은 메모리의 총 용량을 말한다.
  2. 2R은 양면 메모리이며, 1R은 단면 메모리를 말한다.
  3. 2666V는 대역폭이며, 2,666MByte/s이다.
  4. UB1은 UnBuffered 메모리를 말한다.
(정답률: 74%)
  • 정답은 "2666V는 대역폭이며, 2,666MByte/s이다." 이다. 이유는 DDR 메모리의 전송 속도는 대역폭과 클럭 속도에 의해 결정되는데, 2666V는 대역폭을 나타내는 표기이며, 이는 2,666MByte/s의 전송 속도를 의미한다. 클럭 속도는 라벨에 표기되어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디스크 미러링(disk mirroring) 방식을 사용하는 RAID-1의 특징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비용이 많이 든다.
  2. 신뢰도가 높다.
  3. 병렬 읽기가 가능하다.
  4. 쓰기 속도가 2배이다.
(정답률: 65%)
  • 쓰기 속도가 2배이다는 것은 디스크 미러링 방식을 사용하는 RAID-1에서는 데이터를 동시에 2개의 디스크에 쓰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디스크 미러링 방식을 사용하는 RAID-1의 특징 중에서 쓰기 속도가 2배이다는 것은 올바른 특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PC주변기기

31. BIOS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컴퓨터의 전원이 켜지면 하드웨어가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자가 진단한다.
  2. 컴퓨터의 각 장치들이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초기화 한다.
  3. 부팅 디스크로부터 부팅 정보를 읽어 들인다.
  4. Windows 부팅이 시작된 후에 시작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정답률: 64%)
  • "Windows 부팅이 시작된 후에 시작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는 BIOS의 기능이 아니다. BIOS는 컴퓨터의 전원이 켜지면 하드웨어가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자가 진단하고, 컴퓨터의 각 장치들이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초기화하며, 부팅 디스크로부터 부팅 정보를 읽어 들이는 역할을 한다. 시작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은 운영체제의 역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CPU가 64비트로 업그레이드 되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외부버스 : 64비트, 내부버스 : 32비트
  2. 외부버스 : 32비트, 내부버스 : 64비트
  3. 외부버스 : 32비트, 내부버스 : 32비트
  4. 외부버스 : 64비트, 내부버스 : 64비트
(정답률: 80%)
  • CPU가 64비트로 업그레이드 되었다는 것은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32비트에서 64비트로 늘어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외부에서 CPU로 들어오는 데이터의 양도 64비트로 늘어나게 되어 외부버스가 64비트가 되고, 내부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버스도 64비트로 늘어나게 되어 내부버스도 64비트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CPU가 CAS/RAS 에 신호를 보내어 메모리의 정보가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1. Lead
  2. Delay
  3. Latency
  4. Integrity
(정답률: 83%)
  • Latency는 CPU가 메모리에 접근하여 정보를 받아오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CAS/RAS 신호를 보내어 메모리의 정보가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용어로 Latency가 정답입니다. Lead는 선도, Delay는 지연, Integrity는 무결성을 나타내는 용어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UEFI 바이오스가 지원하는 이것은 파티션 테이블 크기를 확장하여 디스크 하나에 주 파티션을 128개 만들 수 있으며, 주소 체계를 64비트로 확장해 이론적으로 최대 8ZB까지 지원할 수 있는 이것은 무엇인가?

  1. MBR
  2. WHQL
  3. GPT
  4. TDP
(정답률: 58%)
  • GPT는 UEFI 바이오스에서 지원하는 파티션 테이블 크기를 확장하여 디스크 하나에 주 파티션을 128개 만들 수 있으며, 주소 체계를 64비트로 확장해 이론적으로 최대 8ZB까지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MBR은 이전에 사용되던 파티션 테이블 형식이며, 주 파티션 수가 제한되어 있고 주소 체계도 32비트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WHQL은 Windows 하드웨어 품질 연구소로, Microsoft에서 하드웨어 드라이버의 호환성과 안정성을 검증하는 인증 기준입니다. TDP는 Thermal Design Power로, CPU나 GPU 등의 열 설계 전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Windows 10 사용중 보기와 같은 블루스크린 오류 메시지가 나타났을 시 해결방법은 무엇인가?

  1. ODD 드라이버 업데이트
  2.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
  3. 사운드 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
  4.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업데이트
(정답률: 74%)
  • 블루스크린 오류는 주로 하드웨어나 드라이버의 문제로 발생합니다. 그 중에서도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는 시스템의 그래픽 처리를 담당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블루스크린 오류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다른 드라이버도 업데이트가 필요할 수 있지만,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가 가장 우선적으로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컴퓨터 전원을 켜고자 할 때 바이오스에서 어떤 메뉴를 활성화 해야 하는가?

  1. power to lan
  2. netstart
  3. wake up on lan
  4. network start
(정답률: 81%)
  • "wake up on lan"은 컴퓨터가 꺼져있는 상태에서도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컴퓨터를 켤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이 기능을 활성화해야 원격으로 컴퓨터 전원을 켤 수 있다. "power to lan"은 전원을 켜는 기능이 아니며, "netstart"와 "network start"는 네트워크를 시작하는 기능이지만 컴퓨터를 켜는 기능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POST 과정의 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시스템 버스 테스트 - 그래픽 카드 테스트 – 메모리 테스트 - 키보드 테스트 - 디스크 테스트 - P&P 기능 동작 - CMOS 내용확인 - DMI 기능 동작
  2. DMI 기능 동작 - 그래픽 카드 테스트 - 메모리 테스트 - 키보드 테스트 - 디스크 테스트 - P&P 기능 동작 - CMOS 내용확인 - 시스템 버스 테스트
  3. 시스템 버스 테스트 - P&P 기능 동작 - 메모리 테스트 - 키보드 테스트 - 디스크 테스트 - 그래픽 카드 테스트 - CMOS 내용확인 - DMI 기능 동작
  4. 시스템 버스 테스트 - CMOS 내용확인 - 그래픽 카드 테스트 - 메모리 테스트 - 키보드 테스트 - P&P 기능 동작 - 디스크 테스트 - DMI 기능 동작
(정답률: 73%)
  • 시스템 부팅 후 POST 과정은 하드웨어의 기능을 테스트하고 문제가 있는 부분을 찾아내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시스템 버스, 그래픽 카드, 메모리, 키보드, 디스크 등의 하드웨어를 순서대로 테스트하며, P&P 기능 동작, CMOS 내용 확인, DMI 기능 동작 등의 추가적인 기능도 확인합니다. 따라서, 시스템 버스 테스트부터 시작하여 그래픽 카드, 메모리, 키보드, 디스크 등의 하드웨어를 순서대로 테스트하고, 마지막으로 P&P 기능 동작, CMOS 내용 확인, DMI 기능 동작을 확인하는 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시스템 버스 테스트 - 그래픽 카드 테스트 – 메모리 테스트 - 키보드 테스트 - 디스크 테스트 - P&P 기능 동작 - CMOS 내용확인 - DMI 기능 동작"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BIOS 암호에 대한 내용으로 잘못된 것은?

  1. 셋업으로 설정되는 모든 내용은 CMOS에 저장된다.
  2. 메인보드의 CMOS CLEAR 점퍼를 이용해 암호를 제거할 수 있다.
  3. 암호는 옵션값을 조정하여 셋업에 들어갈 경우만 물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4. CMOS 정보를 지운후, 컴퓨터를 다시 켜면 다시 셋업으로 들어갈 필요는 없다.
(정답률: 67%)
  • "CMOS 정보를 지운후, 컴퓨터를 다시 켜면 다시 셋업으로 들어갈 필요는 없다."가 잘못된 것이다. CMOS 정보를 지우면 BIOS 설정이 초기화되므로 다시 셋업으로 들어가서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BIOS의 설정 값이 자주 초기화된다. 원인으로 올바른 것은?

  1. 메인보드 배터리 전력 부족
  2. 메인보드 캐쉬 메모리 오류
  3. CMOS 설정 오류
  4. 메인보드와 CMOS간의 호환성 문제
(정답률: 73%)
  • BIOS는 메인보드 배터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며, 배터리가 부족하면 BIOS 설정 값이 자주 초기화될 수 있다. 이는 BIOS가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설정 값을 유지하기 위해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메인보드 배터리 전력 부족"이 BIOS 설정 값이 자주 초기화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SCSI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기본적으로 하나의 인터페이스 카드에 257개의 주변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2. 여러 작업을 동시에 하는 멀티태스킹에 유리하다.
  3. SCSI는 주로 별도의 컨트롤러를 장착한 후, SCSI 장치를 컨트롤러 카드 포트에 꽂아서 사용한다.
  4. 주변장치의 가격이 E-IDE 방식에 비해 고가이다.
(정답률: 64%)
  • "기본적으로 하나의 인터페이스 카드에 257개의 주변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SCSI는 하나의 인터페이스 카드에 최대 16개의 주변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이는 SCSI의 주소 할당 방식이 8비트이기 때문이다. 8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주소의 개수는 256개이지만, 0번 주소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최대 16개의 주변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드라이버 롤백 기능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컴퓨터 시스템 장치의 드라이버를 업그레이드 한 후 리소스 충돌 등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 업그레이드 설치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2. 업데이트 바로 이전의 상태로만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며, 두 번 이상 변경된 드라이버를 건너뛰어 되돌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3. 프린터 드라이버도 되돌릴 수 있다.
  4. 드라이버 롤백으로 드라이버를 교체할 수는 있지만 제거할 수는 없다.
(정답률: 78%)
  • 정답은 "프린터 드라이버도 되돌릴 수 있다."가 아닌 "드라이버 롤백으로 드라이버를 교체할 수는 있지만 제거할 수는 없다."이다.

    드라이버 롤백 기능은 컴퓨터 시스템 장치의 드라이버를 업그레이드 한 후 리소스 충돌 등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 업그레이드 설치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업데이트 바로 이전의 상태로만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며, 두 번 이상 변경된 드라이버를 건너뛰어 되돌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프린터 드라이버도 드라이버 롤백 기능을 통해 되돌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Windows에서 시스템 파일의 오류 정보를 기록하는 파일로 올바른 것은?

  1. sys_err.Log
  2. CBS.Log
  3. DEL.Log
  4. Boot.Log
(정답률: 54%)
  • 정답은 "CBS.Log"입니다. CBS(Log)는 Windows Component-Based Servicing 로그 파일로, Windows 업데이트 및 패치 설치 중 발생하는 문제를 기록합니다. 이 파일은 시스템 파일의 오류 정보를 기록하는 중요한 파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바이오스 설정 메뉴중 현재 시간이나 하드디스크의 연결상태, 그리고 탑재된 메모리의 용량 등을 확인하고 이를 수정할 수 있는 메뉴로 옳은 것은?

  1. Standard CMOS Features
  2. Advanced BIOS Features
  3. Integrated Peripherals
  4. Power Management Setup
(정답률: 47%)
  • "Standard CMOS Features"는 바이오스 설정 메뉴 중에서 현재 시간, 하드디스크 연결 상태, 탑재된 메모리 용량 등을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는 메뉴입니다. 이는 컴퓨터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정보를 확인하고 설정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메뉴는 컴퓨터의 기본적인 동작을 제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PC조립 중 커넥터 연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워 서플라이에서 나온 24핀 커넥터는 메인보드 24핀 커넥터에 끼운다.
  2. HDD LED와 전원 LED는 극성을 구분하여 연결 하지 않으면 장치가 고장나서 파워 서플라이를 새로 구입해야 한다.
  3. 커넥터에 돌기가 있거나 모서리가 있어 잘못 끼우려고 해도 끼울 수가 없다.
  4. 파워 서플라이에서 나온 CPU4핀(혹은 8핀)은 메인보드 보조 전원 커넥터에 끼운다.
(정답률: 77%)
  • "HDD LED와 전원 LED는 극성을 구분하여 연결 하지 않으면 장치가 고장나서 파워 서플라이를 새로 구입해야 한다."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HDD LED와 전원 LED는 극성을 구분하여 연결하지 않아도 장치가 고장나지 않습니다. 다만, LED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뿐입니다. 따라서 파워 서플라이를 새로 구입할 필요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PC조립 중 CPU를 올바르게 장착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PU는 정전기에 민감하므로 모서리를 잡고 장착하여야 한다
  2. 메인보드를 장착하고 CPU를 장착하면 불편하므로 우선 메인보드를 케이스에 장착하기 전에 CPU를 장착하는 것이 좋다.
  3. CPU 핀은 소켓에 끼우는 것이 아니고 얹혀 놓는 것으로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는다.
  4. CPU 소켓보다 CPU크기가 크면 칼로 큰 만큼 자르고 장착한다.
(정답률: 80%)
  • "CPU 소켓보다 CPU크기가 크면 칼로 큰 만큼 자르고 장착한다."는 옳지 않은 방법이다. CPU 크기가 소켓보다 크다면 그 CPU는 해당 메인보드와 호환되지 않는 것이므로, 그 CPU를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CPU 크기를 자르는 것은 CPU를 망가뜨리고, 메인보드에도 손상을 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PC네트워크

46. 네트워크 장비 중 분배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 대의 PC를 서로 연결 해주는 장비는?

  1. 허브
  2. LAN카드
  3. 모뎀
  4. 케이블
(정답률: 86%)
  • 허브는 분배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여러 대의 PC를 서로 연결해주는 네트워크 장비입니다. 다른 보기인 LAN카드는 PC에 장착되는 네트워크 카드이고, 모뎀은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한 장비입니다. 케이블은 네트워크 장비들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전송 매체입니다. 따라서, 허브가 분배 기능을 가지고 있어 여러 대의 PC를 연결해주는 네트워크 장비이므로 정답은 "허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컴퓨터들간에 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을 미리 정해 놓은 통신규약은?

  1. Telnet
  2. Protocol
  3. IP
  4. PHP
(정답률: 73%)
  • 통신규약은 컴퓨터들간에 통신을 할 때 필요한 규칙과 절차를 미리 정해 놓은 것입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필요한 규약을 Protocol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Protoco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RSS (RDF Site Summary)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온라인 정보제공자들이 웹 사용자들에게 뉴스 등의 웹 콘텐츠를 배급 또는 배포할 수 있도록 서술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2. 사용자의 컴퓨터를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3. 웹(WWW) 상에서 사용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RSS에서 제공하는 정보로 회원가입이나 물건 등을 구매할 수 있다.
  4. 개인 보안 정보로서, 개인용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스마트카드 등에 정보를 저장한 후 로그인시 사용한다.
(정답률: 72%)
  • 온라인 정보제공자들이 웹 사용자들에게 뉴스 등의 웹 콘텐츠를 배급 또는 배포할 수 있도록 서술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동일한 인증을 받은 제품끼리 유/무선 네트워크로 미디어 콘텐츠(사진/음악/동영상)를 공유하고 재생할 수 있는 기술은 무엇인가?

  1. 스트리밍
  2. DLNA
  3. 와이파이
  4. 클라우드
(정답률: 55%)
  • DLNA는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의 약자로, 디지털 기기 간의 상호 운용성을 위한 국제 표준 기술이다. DLNA 인증을 받은 제품들은 서로 호환성이 보장되며, 이를 통해 유/무선 네트워크로 미디어 콘텐츠를 공유하고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DLNA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원격 데스크탑 서비스의 기본 포트 번호로 알맞은 것은?

  1. 2638
  2. 2439
  3. 3389
  4. 1524
(정답률: 70%)
  • 정답은 "3389"입니다. 이는 Microsoft Remote Desktop Protocol (RDP)의 기본 포트 번호이며, 원격 데스크탑 연결 시 사용됩니다. 이 포트 번호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서버 간의 통신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