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2-08-21)

PC정비사 2급
(2022-08-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PC유지보수

1. 다음 중 Windows 10 에서 언어 설정을 변경하려면 설정 항목 중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하는가?

  1. 접근성
  2. 개인 설정
  3. 시간 및 언어
(정답률: 92%)
  • Windows 10에서 언어 설정을 변경하려면 "시간 및 언어" 항목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 항목은 시스템의 언어, 지역 설정, 키보드 레이아웃 등을 변경할 수 있는 설정이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Windows에서 발생되는 인터럽트(Interrupt)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상태 전이 인터럽트
  2. 슈퍼바이저 콜 인터럽트
  3. 재시작 인터럽트
  4. 입출력 인터럽트
(정답률: 69%)
  • 상태 전이 인터럽트는 Windows에서 발생되는 인터럽트 종류가 아닙니다. 이는 프로세스나 스레드의 상태가 변경될 때 발생하는 인터럽트로, 예를 들어 프로세스가 실행 대기 상태에서 실행 중인 상태로 변경될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상태 전이 인터럽트는 운영체제의 스케줄링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Windows 10 Pro 의 제어판에 있는 기능 중 문자 반복 시간과 커서 깜박임 속도 등을 지정할 수 있는 것은?

  1. 마우스
  2. 날짜 및 시간
  3. 키보드
  4. 장치 관리자
(정답률: 73%)
  • 문자 반복 시간과 커서 깜박임 속도는 키보드의 기능이기 때문입니다. 마우스는 커서 이동 속도와 더블 클릭 속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날짜 및 시간은 시간대와 시간 동기화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장치 관리자는 컴퓨터에 연결된 하드웨어 장치를 관리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Windows 10 Pro의 '실행' 명령창을 통해 사용할 수 있는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dfrgui - 드라이브 최적화를 실행 시킨다.
  2. Msconfig - 시스템 구성 유틸리티를 실행 시킨다.
  3. cmd - 메모장을 실행 시킨다.
  4. calc - 계산기를 실행 시킨다.
(정답률: 85%)
  • 정답은 "cmd - 메모장을 실행 시킨다." 이다. cmd는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시키는 명령어이며, 메모장을 실행시키는 명령어는 "notepa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리눅스 명령을 이용하여 ICQA 디렉터리와 그 하위 디렉터리까지 모든 파일을 메시지없이 강제로 삭제하기 위한 명령은?

  1. rm –i ICQA
  2. rm –ir ICQA
  3. rm –rf ICQA
  4. rm -ra ICQA
(정답률: 70%)
  • 정답은 "rm –rf ICQA"이다.

    - "rm –i ICQA": ICQA 디렉터리와 그 하위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을 삭제하기 전에 각 파일을 삭제할 것인지 물어보는 옵션(-i)이 포함되어 있어서 강제 삭제가 불가능하다.
    - "rm –ir ICQA": "-i" 옵션으로 각 파일을 삭제할 것인지 물어보는 것이 포함되어 있어서 강제 삭제가 불가능하다. 또한 "-r" 옵션으로 하위 디렉터리까지 삭제할 수 있지만, 각 파일을 삭제할 때마다 물어보기 때문에 삭제 작업이 번거롭다.
    - "rm -ra ICQA": "-r" 옵션으로 하위 디렉터리까지 삭제할 수 있지만, "-a" 옵션으로 숨겨진 파일까지 삭제하므로 필요하지 않은 파일까지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강제 삭제가 아니기 때문에 삭제할 것인지 물어보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 "rm –rf ICQA": "-r" 옵션으로 하위 디렉터리까지 삭제할 수 있고, "-f" 옵션으로 강제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 없이 ICQA 디렉터리와 그 하위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을 강제로 삭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프로세스 스케줄링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Round Robin
  2. FIFO(First In First Out)
  3. Semaphore
  4. Shortest Job First
(정답률: 68%)
  • Semaphore은 프로세스 스케줄링의 종류가 아니라, 동기화 기법 중 하나이다. 프로세스 스케줄링의 종류는 Round Robin, FIFO, Shortest Job First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Windows 10 Pro 의 관리도구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레지스트리 편집기 - 컴퓨터에서 메모리 문제를 확인한다.
  2. 디스크 정리 - 디스크에서 필요 없는 파일을 찾아 준다.
  3. ISCSI 초기자 - 원격 iSCSI 대상에 연결하고 연결 설정을 구성한다.
  4. 시스템 정보 - 현재 시스템 정보를 표시한다.
(정답률: 77%)
  • "레지스트리 편집기 - 컴퓨터에서 메모리 문제를 확인한다."가 잘못된 설명인 이유는 레지스트리 편집기는 컴퓨터의 레지스트리 데이터베이스를 수정하는 도구이며, 메모리 문제를 확인하는 기능은 디버깅 도구나 성능 모니터링 도구 등 다른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운영체제에서 기억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전략 중 배치 전략에 해당되지 않는 기법은?

  1. 요구 반입 (Demand Fetch) 기법
  2. 최초 적합 (First Fit) 기법
  3. 최적 적합 (Best Fit) 기법
  4. 최악 적합 (Worst Fit) 기법
(정답률: 73%)
  • 요구 반입 기법은 기억장치에 필요한 페이지나 세그먼트를 처음에 모두 적재하지 않고,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도중에 필요한 페이지나 세그먼트를 요청할 때마다 그때그때 적재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이는 배치 전략에 해당되지 않는다. 반면에 최초 적합, 최적 적합, 최악 적합 기법은 모두 배치 전략 중 하나로, 기억장치에 적재할 때 어떤 공간을 선택할지 결정하는 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언어 번역 과정 중 원시 프로그램(Source Program)을 컴파일하고 기계어로 번역한 뒤 링킹 과정을 거쳐 로더(Loader)에 의해 로드 모듈 프로그램을 주기억 장치로 옮겨서 실행하도록 한다. 다음 중 로더의 기능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할당 (Allocation)
  2. 연결 (Linking)
  3. 재배치 (Relocation)
  4. 번역 (Translator)
(정답률: 74%)
  • 번역(Translator)은 원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는 과정을 말하며, 로더의 기능은 번역된 로드 모듈 프로그램을 주기억 장치로 옮겨서 실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로더의 기능이 아닌 것은 번역(Translato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Windows 10 에서 사용자 계정의 암호를 변경하려면 계정 항목 중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하는가?

  1. 사용자 정보
  2. 메일 및 계정
  3. 로그인 옵션
  4. 회사 또는 학교 액세스
(정답률: 78%)
  • 로그인 옵션을 선택해야 암호를 변경할 수 있다. 이는 Windows 10에서 로그인 방법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항목이기 때문이다. 암호를 변경하려면 로그인 옵션에서 현재 사용자 계정을 선택하고, 암호 변경 옵션을 선택하여 새로운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A직원은 컴퓨터를 열어 칩에 정보를 확인 중이다. 칩 라벨링과 제조일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부분의 집적회로는, 제조기업의 이름이나 로고, 부품 생산 배치 넘버, 시리얼 넘버 그리고 언제 제조되었는지를 표기하는 2자리의 숫자, 이 2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정도로 크다.
  2. 제조 일자는 보통 연도를 표시하는 2자리 숫자와 주를 표시하는 2자리 숫자로 이루어져있다.
  3. 제조회사 : SM=삼성, HA=히타치
  4. 제조회사 : TC=도시바, SN=시그네틱스
(정답률: 66%)
  • 제조 일자는 보통 연도와 주를 표시하는 2자리 숫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Windows 10의 '실행' 명령창에서 시작프로그램 폴더를 설정하기 위한 명령어는?

  1. shell:startup
  2. startup:shell
  3. startup:
  4. :startup
(정답률: 68%)
  • 정답은 "shell:startup"입니다.

    이유는 "shell:startup"은 Windows 10에서 시작프로그램 폴더를 설정하기 위한 명령어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사용자의 시작프로그램 폴더로 바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 폴더에 프로그램을 추가하면 해당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마다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리눅스의 구성요소 중 하드웨어와 사용자 사이에서 사용자의 명령어를 해석해 커널로 전달하는 소프트웨어는?

  1. 응용 소프트웨어
  2. 운영체제
  3. 펌웨어
(정답률: 64%)
  • 셸은 사용자와 커널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해석하고 커널에 전달하여 실행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하드웨어와 사용자 사이에서 사용자의 명령어를 해석해 커널로 전달하는 소프트웨어"를 찾는 것이므로, 정답은 "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컴퓨터 전원을 켜면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체제를 메모리에 로드한다. 이러한 과정을 부팅이라고 하는데, 부팅 정보를 가지고 있는 디스크 영역을 부트 섹터라고 한다. 다음 설명하는 바이러스 종류는 무엇인가?

  1. 암호화 바이러스
  2. 부트 바이러스
  3. 파일 바이러스
  4. 매크로 바이러스
(정답률: 86%)
  • 이 그림은 부트 섹터를 감염시키는 부트 바이러스의 예시를 보여준다. 부트 바이러스는 컴퓨터 부팅 시 부트 섹터를 감염시켜, 운영체제가 로드되기 전에 바이러스 코드를 실행시키는 악성 코드이다. 이를 통해 바이러스는 컴퓨터 시스템 전체를 감염시키거나, 중요한 정보를 파괴하거나, 제어권을 탈취하는 등의 악의적인 행위를 할 수 있다. 따라서 부트 바이러스는 컴퓨터 보안에 매우 위협적인 바이러스 종류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Windows 10 사용자가 듀얼모니터 또는 빔 프로젝터와 연결하고 복제, 확장 등의 기능을 빠르게 사용하기 위한 단축키는 무엇인가?

  1. 윈도우 로고 키 + P
  2. 윈도우 로고 키 + S
  3. 윈도우 로고 키 + E
  4. 윈도우 로고 키 + R
(정답률: 81%)
  • 정답: "윈도우 로고 키 + P"

    윈도우 로고 키 + P는 Windows 10에서 듀얼모니터 또는 빔 프로젝터와 연결하고 복제, 확장 등의 기능을 빠르게 사용하기 위한 단축키이다. 이 단축키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빠르게 모니터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며, 복제, 확장 등의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운영체제

16. L2 캐시의 동작 방식이 아닌 것은?

  1. 비동기 방식
  2. 동기 방식
  3. 슬롯 방식
  4. 파이프라인 버스트 방식
(정답률: 58%)
  • L2 캐시는 비동기 방식 또는 동기 방식으로 동작하며, 파이프라인 버스트 방식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슬롯 방식은 L2 캐시의 동작 방식이 아닙니다. 슬롯 방식은 메모리 관리 방식 중 하나로, 메모리 공간을 일정한 크기의 슬롯으로 나누어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MIDI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전자악기와 컴퓨터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2. 기본적으로 4채널을 사용하여 각 악기의 상태나 컨트롤 등을 전송한다.
  3. 별도의 인터페이스가 필요 없다.
  4. General MIDI란 미디에서 사용하기 위한 소리를 담는 데이터를 말한다.
(정답률: 63%)
  • MIDI는 전자악기와 컴퓨터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MIDI는 기본적으로 4채널을 사용하여 각 악기의 상태나 컨트롤 등을 전송하며, 별도의 인터페이스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General MIDI는 미디에서 사용하기 위한 소리를 담는 데이터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CPU의 구조 중 임시저장 장소는?

  1. Registor
  2. ALU
  3. CU
  4. FTU
(정답률: 73%)
  • 레지스터는 CPU 내부에 있는 작은 메모리 공간으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레지스터는 CPU의 구조 중 임시저장 장소입니다. ALU는 산술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 CU는 제어 장치, FTU는 부동 소수점 연산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CPU와 버스 사이에 브릿지 회로를 넣어 CPU 의존을 줄이도록 설계된 고속 버스 방식은?

  1. ISA(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버스
  2. EISA(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버스
  3. VESA(Very Electronics Standard Association) 로컬 버스
  4. PCI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버스
(정답률: 76%)
  • PCI 버스는 CPU와 버스 사이에 브릿지 회로를 넣어 CPU 의존을 줄이도록 설계된 고속 버스 방식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ISA, EISA, VESA 로컬 버스보다 더 빠르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음향신호 합성을 위한 방법은 PCM(Pulse Code Modulation)과 FM(Frequency Modulation) 방식이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PCM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이용하여 소리를 녹음, 재생하는 방법이다.
  2. PCM : 샘플링 주파수가 높을수록 디스크의 저장 공간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3. FM : 물체의 진동에 의한 파형을 미리 기억시켜 놓은 후, 이 파형을 직접 조작해 새로운 소리를 만들어 내는 방식이다.
  4. FM : 주파수 변조 방식의 합성 회로를 이용하여 악보의 음표에 해당하는 악기음을 재생한다.
(정답률: 59%)
  • 정답은 "PCM : 샘플링 주파수가 높을수록 디스크의 저장 공간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이다. 샘플링 주파수가 높을수록 디스크의 저장 공간이 더 많이 필요하게 되므로, 저장 공간이 줄어드는 장점이 아니라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구하는 공식은?

  1. Head의 수 * Track * 실린더 * 섹터당 기록밀도
  2. Head의 수 * 클러스터 * 실린더 * 플래터
  3. Head의 수 * Track * 클러스터 * 버퍼메모리 용량
  4. Head의 수 * 클러스터 * 실린더 * 섹터당 기록밀도
(정답률: 65%)
  • 하드디스크는 여러 개의 플래터로 구성되어 있고, 각 플래터는 여러 개의 실린더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각 실린더는 여러 개의 트랙으로 나뉘어져 있고, 각 트랙은 여러 개의 섹터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이때, 각 플래터마다 Head라는 기록/읽기 헤드가 있고, 이 Head의 수를 곱한 값이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됩니다. 또한, 각 트랙의 수와 실린더의 수, 그리고 섹터당 기록밀도를 곱한 값이 각각의 Head가 담당하는 용량이 되므로, 이 값을 모두 곱한 것이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됩니다. 따라서, "Head의 수 * Track * 실린더 * 섹터당 기록밀도"가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구하는 공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IEEE 1284'는 무엇에 대한 규격인가?

  1. 직렬포트
  2. USB
  3. 병렬포트
  4. LAN
(정답률: 68%)
  • IEEE 1284는 병렬포트에 대한 규격으로, 컴퓨터와 프린터 등의 주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따라서 정답은 "병렬포트"이다. 직렬포트는 다른 규격인 RS-232C에 해당하며, USB와 LAN은 각각 다른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스캐너와 프린터가 표현할 수 있는 그림의 세밀하기를 나타내는 단위는?

  1. CPS(Character Per Second)
  2. BPS(Bits Per Second)
  3. DPI(Dots Per Inch)
  4. PPM(Paper Per Minute)
(정답률: 75%)
  • DPI는 인치당 표현 가능한 점의 개수를 나타내는 단위로, 스캐너나 프린터가 그림을 표현할 때 세밀한 정도를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DPI가 높을수록 그림이 더 세밀하게 표현됩니다. CPS는 초당 입력 가능한 문자 수를 나타내는 단위, BPS는 초당 전송 가능한 데이터 비트 수를 나타내는 단위, PPM은 분당 출력 가능한 종이 수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갑작스런 정전으로부터 컴퓨터 시스템 등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해주는 장치는?

  1. UPS
  2. AVR
  3. SCANNER
  4. FAX
(정답률: 77%)
  • UPS는 Uninterruptible Power Supply의 약자로, 갑작스러운 정전이나 전원 이상으로부터 컴퓨터 시스템 등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해주는 장치입니다. 즉, 전원 공급이 끊겨도 일정 시간 동안은 전원을 유지하여 중요한 데이터나 작업을 저장하고 안전하게 종료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SSD(Solid-State Drive)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기술은 어느 것인가?

  1. 쓰레기 수집 (garbage collection)
  2. 플래시 변환 계층 (Flash Translation Layer: FTL)
  3. 마모 평준화 (wear leveling)
  4. 초과 대비공간 (over-provisioning)
(정답률: 68%)
  • 마모 평준화는 SSD 내부의 NAND 플래시 메모리 셀들이 고르게 사용되도록 관리하는 기술로, 일부 셀만 계속해서 사용하면서 다른 셀들은 사용되지 않는 상태로 남아있게 되면 그 셀들의 수명이 빨리 닳아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마모 평준화는 데이터를 저장할 때마다 사용되는 셀을 번갈아가며 사용하여 고르게 마모되도록 조절하여 SSD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SSD의 연결 인터페이스 중 잘못된 것은?

  1. SATA
  2. mSATA
  3. M.2
  4. DVI
(정답률: 83%)
  • DVI는 디지털 비디오 인터페이스로, SSD와는 관련이 없는 인터페이스이다. SSD의 연결 인터페이스로는 SATA, mSATA, M.2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Data를 저장하는 공간(Cell)에 3비트를 저장하는 방식을 뜻하는 용어는 무엇인가?

  1. QLC
  2. TLC
  3. MLC
  4. SLC
(정답률: 67%)
  • 정답은 "TLC"이다. TLC는 Triple-Level Cell의 약자로, 한 셀(Cell)에 3비트를 저장하는 방식을 뜻한다. 이는 QLC(Quad-Level Cell)보다는 적은 비트를 저장하지만, MLC(Multi-Level Cell)보다는 많은 비트를 저장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서 3비트를 저장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용어로 TLC가 사용된다. SLC는 Single-Level Cell의 약자로 1비트를 저장하는 방식을, MLC는 Multi-Level Cell의 약자로 2비트 이상을 저장하는 방식을, QLC는 Quad-Level Cell의 약자로 4비트를 저장하는 방식을 뜻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Windows 10에서 디스크 볼륨 구성 중 장애발생시 복구가능한 종류로 짝지어진 것은?

  1. 단순 볼륨, 스팬 볼륨
  2. 스트라이프 볼륨, RAID-5 볼륨
  3. 스팬 볼륨, 미러 볼륨
  4. 미러 볼륨, RAID-5 볼륨
(정답률: 48%)
  • 미러 볼륨과 RAID-5 볼륨은 모두 디스크 볼륨 구성 중 하나가 고장나도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종류이기 때문에 짝지어진 것입니다.

    미러 볼륨은 두 개의 디스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동시에 저장하는데, 한 디스크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디스크에 데이터가 복제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 손실 없이 복구가 가능합니다.

    RAID-5 볼륨은 여러 개의 디스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데, 하나의 디스크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디스크에 분산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복구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컴퓨터시스템을 동작시켰을 경우에 고장에서 고장까지 걸리는 평균시간을 나타내며, 높을수록 신뢰성이 높을 것을 나타내는 용어는 무엇인가?

  1. MTBF
  2. ISO
  3. RoHS
  4. RPM
(정답률: 60%)
  • 정답은 "MTBF"이다. MTBF는 Mean Time Between Failures의 약자로, 컴퓨터시스템이 동작하는 동안 고장이 발생하는 평균 시간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MTBF가 높을수록 시스템의 신뢰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ISO는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발행하는 국제 표준화 인증서, RoHS는 유해물질 사용 금지 지침, RPM은 회전 속도를 나타내는 용어이므로, 이들은 MTBF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DDR 메모리 라벨의 표시된 내용이다.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16GB은 메모리의 총 용량을 말한다.
  2. 2R은 양면 메모리이며, 1R은 단면 메모리를 말한다.
  3. 2666V는 대역폭이며, 2,666MByte/s이다.
  4. UB1은 UnBuffered 메모리를 말한다.
(정답률: 69%)
  • 정답: "2666V는 대역폭이며, 2,666MByte/s이다."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하면, DDR 메모리의 속도는 대역폭으로 표시되며, 2666V는 2,666MByte/s의 대역폭을 가진 메모리를 의미한다. 이는 메모리가 초당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PC주변기기

31. BIOS 설정을 할 때 설정 가능한 항목이 아닌 것은?

  1. Power LED와 HDD LED의 사용 여부
  2. 부팅 시 암호 사용 여부
  3. 시스템의 날짜 및 시간 설정
  4. 하드디스크의 타입 설정
(정답률: 71%)
  • "Power LED와 HDD LED의 사용 여부"는 BIOS 설정과는 관련이 없는 하드웨어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BIOS 설정에서는 설정할 수 없다. BIOS 설정은 주로 시스템의 동작 방식과 관련된 항목들을 설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BIOS의 설정 값이 자주 초기화된다. 원인으로 올바른 것은?

  1. 메인보드 배터리 전력 부족
  2. 메인보드 캐쉬 메모리 오류
  3. CMOS 설정 오류
  4. 메인보드와 CMOS간의 호환성 문제
(정답률: 76%)
  • BIOS는 메인보드 배터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며, 설정 값은 이 배터리에 저장된다. 따라서 메인보드 배터리 전력 부족으로 인해 BIOS 설정 값이 자주 초기화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하드디스크를 RAID로 구성하고자 할 때 확인해야 하는 것은?

  1. 모니터
  2. 주기억장치 타입
  3. 메인보드 지원유무
  4. IRQ 설정
(정답률: 67%)
  • RAID는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 묶어서 하나의 논리적인 드라이브로 인식하게 만드는 기술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메인보드가 RAID를 지원해야 합니다. 메인보드가 RAID를 지원하지 않으면 RAID를 구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RAID를 구성하고자 할 때는 메인보드의 RAID 지원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시스템 등록정보의 장치관리자에 나타난 '노란색 물음표'의 의미는?

  1. 이동식 저장장치 한계 용량 경고
  2. 자원 충돌
  3. 드라이버 미설치
  4. 하드웨어 고장
(정답률: 75%)
  • 노란색 물음표는 해당 장치의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았거나, 장치와 시스템 간의 호환성 문제가 발생했을 때 나타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해당 장치의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장치관리자에 등록된 장치에 ' ! ' 가 붙어 정상적으로 사용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 원인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장치들이 사용하는 자원과 충돌한 경우
  2. 해당 장치를 구동하는 드라이버에 오류가 있어 동작 할 수 없는 경우
  3. 드라이버는 설치가 되었으나 해당되는 기계적 장치를 찾을 수 없는 경우
  4. PnP가 지원되지 않는 장치를 정상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정답률: 56%)
  • PnP는 Plug and Play의 약자로, 장치를 연결하면 자동으로 인식하고 필요한 드라이버를 설치해주는 기능을 말합니다. 따라서 PnP가 지원되지 않는 장치는 자동으로 인식되지 않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동으로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 경우에는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등록된 장치에 ' ! ' 가 붙어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컴퓨터를 부팅하자마자 'Press [F1] to continue'라는 메시지가 모니터에 나타난다. 그 원인으로 올바른 것은?

  1. 키보드 혹은 마우스 연결 불량
  2. CMOS의 그래픽 카드 설정 오류
  3. ROM BIOS 고장
  4. 캐시 메모리 불량
(정답률: 67%)
  • "Press [F1] to continue" 메시지는 보통 시스템 부팅 시 BIOS에서 하드웨어를 검사하고 초기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이 메시지가 나타나는 이유는 BIOS가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를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문제의 원인은 "키보드 혹은 마우스 연결 불량"이다. 입력 장치를 다시 연결하거나 교체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부팅 시 나타나는 'CMOS CHECKSUM FAILURE' 에러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CMOS에 저장된 정보가 지워진 경우에 발생하는 에러이다.
  2. BIOS 버전이 낮을 경우 발생하는 에러이다.
  3. CMOS SETUP에서 LOAD BIOS DEFAULTS 메뉴를 이용해 해결할 수 있다.
  4. 계속해서 같은 에러가 발생될 경우 메인보드의 배터리나 메인보드의 이상이다.
(정답률: 61%)
  • 정답은 "BIOS 버전이 낮을 경우 발생하는 에러이다." 이다. 이유는 CMOS CHECKSUM FAILURE 에러는 CMOS에 저장된 정보가 지워졌거나 손상되었을 때 발생하는 에러이며, BIOS 버전과는 무관하다. 따라서, BIOS 버전이 낮아서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메인보드의 각종 입출력 단자를 케이스 바깥과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1. 백 패널(Back Panel)
  2. 스페이서(Spacer)
  3. 서플라이(Supply)
  4. 커넥터(Connector)
(정답률: 74%)
  • 백 패널은 메인보드의 각종 입출력 단자를 케이스 바깥으로 노출시켜주는 부품입니다. 따라서 케이스와 메인보드를 연결할 때 백 패널을 사용하여 각종 입출력 단자를 외부와 연결할 수 있습니다. 스페이서는 메인보드와 케이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서플라이는 전원을 공급하는 부품이고, 커넥터는 각종 장치를 연결하는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로우레벨 포맷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물리적인 상태는 그대로 둔 채 논리적인 포맷만을 하므로 시간이 짧게 걸린다.
  2. 백신 프로그램이나 포맷으로도 바이러스가 잡히지 않을 경우 진행한다.
  3. BIOS 설정에 로우레벨 포맷 기능이 있는 경우, 그것으로 수행하거나 별도의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4. 로우레벨 포맷을 통해 디스크의 배드 섹터와 같은 물리적 결함은 복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정답률: 58%)
  • "물리적인 상태는 그대로 둔 채 논리적인 포맷만을 하므로 시간이 짧게 걸린다."가 잘못된 것이다. 로우레벨 포맷은 논리적인 포맷과 함께 디스크의 물리적인 상태를 초기화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SATA2 방식의 보조기억장치가 설정할 수 있는 운영모드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표준 방식
  2. 레이드 시스템
  3. AHCI
  4. ONE R/W
(정답률: 64%)
  • SATA2 방식의 보조기억장치가 설정할 수 있는 운영모드 중에서 "ONE R/W"는 존재하지 않는 모드이다. "ONE R/W"는 잘못된 운영모드 이름이며, SATA2에서는 "IDE" 모드가 존재하지만 이 역시 정답이 아니다. 따라서, SATA2 방식의 보조기억장치가 설정할 수 있는 운영모드는 "표준 방식", "레이드 시스템", "AHCI" 세 가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같은 공간에 있는 여러 사용자의 PC들 중 하나의 PC에서 랜섬웨어가 탐지되는 경우 가장 먼저 조치해야 되는 사항은?

  1. 랜섬웨어가 탐지된 PC를 네트워크에서 분리
  2. 랜섬웨어가 탐지된 PC에서 바이러스 백신 검사 수행
  3. 랜섬웨어가 탐지된 PC를 백업 및 복원을 수행
  4. 랜섬웨어가 탐지된 PC의 최종 사용자 교육
(정답률: 80%)
  • 랜섬웨어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전파될 수 있기 때문에, 랜섬웨어가 탐지된 PC를 네트워크에서 분리하는 것이 가장 먼저 조치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랜섬웨어의 전파를 막을 수 있고, 다른 컴퓨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그 후에는 바이러스 백신 검사 수행, 백업 및 복원, 최종 사용자 교육 등의 추가적인 조치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드라이버 롤백 기능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컴퓨터 시스템 장치의 드라이버를 업그레이드 한 후 리소스 충돌 등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 업그레이드 설치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2. 업데이트 바로 이전의 상태로만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며, 두 번 이상 변경된 드라이버를 건너 뛰어 되돌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3. 프린터 드라이버도 되돌릴 수 있다.
  4. 드라이버 롤백으로 드라이버를 교체할 수는 있지만 제거할 수는 없다.
(정답률: 61%)
  • "프린터 드라이버도 되돌릴 수 있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드라이버 롤백 기능은 일반적으로 시스템 장치의 드라이버를 되돌리는 기능으로, 프린터 드라이버는 해당되지 않는다. 프린터 드라이버를 되돌리기 위해서는 별도의 방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텍스트 위주의 기존 바이오스는 초보자가 설정하기 어려웠지만 그래픽과 아이콘 등 시각 효과 위주로 구성해 다루기가 쉬운 바이오스를 뜻하는 용어는?

  1. GOOD 바이오스
  2. CUI 바이오스
  3. UEFI 바이오스
  4. HEY 바이오스
(정답률: 76%)
  • UEFI 바이오스는 그래픽과 아이콘 등 시각적 요소를 강조하여 사용자가 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바이오스이다. 따라서 초보자도 쉽게 다룰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PC조립 중 메모리 장착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메모리 슬롯과 메모리를 홀에 맞추어 끼우고, 메모리 슬롯 양쪽 고정 레버를 위로 젖혀 올려 준다.
  2. 메인보드의 메모리 슬롯의 빈 자리가 없도록 메모리를 장착해야 컴퓨터 부팅이 가능하다.
  3. 메모리가 메모리 슬롯에 정확하게 장착되면 딸각 소리가 나고 메모리 옆면의 홈에 레버가 맞물리게 된다.
  4. 방향이 맞지 않으면 레버에 맞물리지 않게 되므로 확인하고 다시 장착한다.
(정답률: 73%)
  • 정답은 "메인보드의 메모리 슬롯의 빈 자리가 없도록 메모리를 장착해야 컴퓨터 부팅이 가능하다."이다. 이유는 메모리 슬롯에 빈 자리가 없으면 모든 메모리 슬롯이 채워질 때까지 컴퓨터가 부팅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메모리를 추가로 구입하여 모든 슬롯을 채워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보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포맷 방식은 무엇인가?

  1. 일반 포맷
  2. 빠른 포맷
  3. 로우 레벨 포맷
  4. 이미지 포멧
(정답률: 66%)
  • 보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포맷 방식은 "빠른 포맷"이다. 이는 디스크를 초기화하고 파일 시스템을 제거하는 과정을 빠르게 수행하는 방식으로, 일반 포맷보다 더 빠르게 디스크를 초기화할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를 완전히 삭제하지는 않으므로 보안상의 이유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PC네트워크

46. 암호화의 기법이 아닌 것은?

  1. DES(Data Encryption Standard)
  2. RSA(Rivest-Shamir-Adleman)
  3. IDEA(International Data Encryption Algorithm)
  4. PTP(Picture Transfer Protocol)
(정답률: 62%)
  • PTP(Picture Transfer Protocol)은 사진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로, 암호화 기법이 아닙니다. DES, RSA, IDEA는 모두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네트워크 장비 중 분배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 대의 PC를 서로 연결 해주는 장비는?

  1. 허브
  2. LAN카드
  3. 모뎀
  4. 케이블
(정답률: 82%)
  • 허브는 네트워크 장비 중 분배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 대의 PC를 서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즉, 허브를 사용하면 여러 대의 PC를 한데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LAN카드는 PC에 장착되는 네트워크 카드이며, 모뎀은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한 장비입니다. 케이블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케이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LAN 표준인 IEEE 802.x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IEEE 802.3 : CSMA/CA
  2. IEEE 802.4 : Token Ring
  3. IEEE 802.5 : Token Bus
  4. IEEE 802.11 : Wireless LAN
(정답률: 71%)
  • IEEE 802.x는 LAN 표준을 의미하며, 각각의 숫자는 해당 표준의 종류를 나타냅니다. IEEE 802.3은 이더넷을, IEEE 802.4는 토큰 링을, IEEE 802.5는 토큰 버스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IEEE 802.11은 무선 LAN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IEEE 802.11 : Wireless LA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컴퓨터 통신에서 컴퓨터간의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규정된 통신규약은?

  1. 인터페이스
  2. 프로토콜
  3. 터미널
  4. 샘플링
(정답률: 78%)
  • 프로토콜은 컴퓨터간의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규약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 데이터의 형식, 오류 검출 및 복구 방법 등을 정의하여 통신을 원활하게 합니다. 따라서 컴퓨터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프로토콜을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RSS (RDF Site Summary)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온라인 정보제공자들이 웹 사용자들에게 뉴스 등의 웹 콘텐츠를 배급 또는 배포할 수 있도록 서술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2. 사용자의 컴퓨터를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3. 웹(WWW) 상에서 사용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RSS에서 제공하는 정보로 회원가입이나 물건 등을 구매할 수 있다.
  4. 개인 보안 정보로서, 개인용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스마트카드 등에 정보를 저장한 후 로그인시 사용한다.
(정답률: 54%)
  • 온라인 정보제공자들이 웹 사용자들에게 뉴스 등의 웹 콘텐츠를 배급 또는 배포할 수 있도록 서술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RSS는 웹사이트에서 새로운 콘텐츠가 업데이트되면 이를 구독자들에게 자동으로 전달하는 기술로, 사용자는 자신이 관심 있는 웹사이트의 RSS 피드를 구독하면 해당 웹사이트에서 새로운 콘텐츠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