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2-05-22)

PC정비사 2급
(2022-05-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PC유지보수

1. windows 10 pro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완전한 디스크 암호화 기능으로 볼륨 전체에 암호화를 제공함으로써 자료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은?

  1. 비트락커(Bitlocker)
  2. 비트맵(Bitmap)
  3. 하이퍼 링크(Hyper Link)
  4. 벡터 그래픽(Vector Graphic)
(정답률: 89%)
  • 비트락커는 Windows 10 Pro에서 제공하는 완전한 디스크 암호화 기능으로, 볼륨 전체에 암호화를 제공하여 자료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민감한 정보가 저장된 컴퓨터나 저장 장치를 분실하거나 도난당해도 데이터가 안전하게 보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Windows 10 실행창에서 수행되지 않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1. msconfig.exe
  2. iexplorer.exe
  3. regedit.exe
  4. timedate.cpl
(정답률: 79%)
  • 정답: iexplorer.exe

    설명: iexplorer.exe는 Internet Explorer의 실행 파일 이름이 아니라, 오타가 포함된 파일 이름입니다. Internet Explorer의 실행 파일 이름은 iexplore.exe입니다. 따라서 iexplorer.exe는 실행되지 않는 명령어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실행 가능한 유틸리티나 제어판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Windows에서 시작프로그램 폴더를 설정하기 위한 실행 명령어는?

  1. shell:startup
  2. startup:shell
  3. startup:
  4. :startup
(정답률: 70%)
  • 정답은 "shell:startup"입니다.

    이유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shell:startup"은 현재 사용자의 시작 프로그램 폴더를 열어주는 명령어입니다. 이 폴더에 프로그램을 추가하면 해당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마다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따라서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시작 프로그램 폴더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유효하지 않은 명령어이거나 잘못된 형식의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Windows 10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파일 시스템은?

  1. EXT2
  2. FAT32
  3. NTFS
  4. CDFS
(정답률: 67%)
  • Windows 10은 기본적으로 EXT2 파일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는 EXT2가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이기 때문입니다. Windows 운영체제는 NTFS, FAT32, CDFS 등의 파일 시스템을 지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프로세스 스케줄링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Round Robin
  2. FIFO(First In First Out)
  3. Semaphore
  4. Shortest Job First
(정답률: 68%)
  • Semaphore은 프로세스 스케줄링의 종류가 아니라, 동기화 기법 중 하나이다. 프로세스 스케줄링의 종류는 Round Robin, FIFO, Shortest Job First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운영체제에서 발생하는 Interrupt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어떤 프로세스에게 주어진 시간 할당량이 종료했을 경우
  2. 어떤 하드웨어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3. 어떤 프로세스가 입출력을 위한 시스템 호출을 한 경우
  4. 어떤 프로세스가 시스템 내부의 다른 프로세스로부터 메시지를 받는 경우
(정답률: 67%)
  • 잘못된 설명은 "어떤 프로세스가 시스템 내부의 다른 프로세스로부터 메시지를 받는 경우"입니다. 이는 Interrupt와는 관련이 없는 개념으로, 프로세스간 통신(IPC)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입니다.

    IPC는 프로세스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서로간의 상태를 알리기 위해 사용되는 메커니즘입니다. 이를 위해 시스템은 메시지 큐, 파이프, 공유 메모리 등의 IPC 매커니즘을 제공합니다.

    Interrupt는 CPU가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중단하고, 운영체제가 처리해야 할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신호입니다. 이벤트는 주로 하드웨어에서 발생하며, 예를 들어 마우스 클릭, 키보드 입력, 디스크 I/O 완료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Interrupt는 운영체제가 처리하고, 해당 이벤트에 대한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어떤 프로세스가 시스템 내부의 다른 프로세스로부터 메시지를 받는 경우"는 Interrupt와는 관련이 없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태블릿PC에서 사용되는 OS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WebOS
  2. Windows 10
  3. iOS 14.5.1
  4. Solaris
(정답률: 72%)
  • Solaris는 태블릿PC에서 사용되는 OS가 아닙니다. Solaris는 주로 서버용 OS로 사용되며, 태블릿PC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리눅스에서 'test'라고 하는 파일 내에 'ICQA'라는 단어를 찾기 위한 명령은?

  1. grep test ICQA
  2. grep ICQA test
  3. find -name ICQA test
  4. find -name test ICQA
(정답률: 72%)
  • 정답은 "grep ICQA test"이다.

    grep은 파일 내에서 특정 문자열을 찾는 명령어이다. 첫 번째 인자로는 찾고자 하는 문자열(ICQA)을 입력하고, 두 번째 인자로는 검색 대상 파일(test)을 입력한다. 따라서 "grep ICQA test"는 'test' 파일 내에서 'ICQA'라는 문자열을 찾는 명령어이다.

    반면, "grep test ICQA"는 'ICQA' 파일 내에서 'test'라는 문자열을 찾으려는 명령어이고, "find -name ICQA test"와 "find -name test ICQA"는 파일 이름이 'ICQA' 또는 'test'인 파일을 찾는 명령어이므로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Windows 10 Pro 64비트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32비트 전용 CPU에도 64비트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다.
  2. 64비트 시스템을 꾸미기 위해서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하드디스크 등 모든 하드웨어가 64비트용 이어야 한다.
  3. 기존의 32비트 장치 드라이버 파일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4. 4GB 이상의 물리적 램을 100% 사용하려면 64비트의 설치가 필수적이다.
(정답률: 74%)
  • 64비트 운영체제는 4GB 이상의 물리적 램을 100% 사용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이는 32비트 운영체제에서는 최대 4GB까지만 램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4GB 이상의 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64비트 운영체제를 설치해야 모든 램을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언어 번역 과정 중 원시 프로그램(Source Program)을 컴파일하고 기계어로 번역한 뒤 링킹 과정을 거쳐 로더(Loader)에 의해 로드 모듈 프로그램을 주기억 장치로 옮겨서 실행하도록 한다. 다음 중 로더의 기능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1. 할당 (Allocation)
  2. 연결 (Linking)
  3. 재배치 (Relocation)
  4. 번역 (Translator)
(정답률: 62%)
  • 번역(Translator)은 원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는 과정을 말하며, 로더의 기능은 번역된 로드 모듈 프로그램을 주기억 장치로 옮겨서 실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로더의 기능이 아닌 것은 번역(Translato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별도의 패리티 연산 전용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요구하며 멤버 디스크에 돌아가면서 순환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해 입출력 병목현상을 해결해 읽기 작업 시 분산된 리소스를 불러들여 큰 속도 향상을 보이는 방식의 RAID는?

  1. RAID 0
  2. RAID 1
  3. RAID 3
  4. RAID 5
(정답률: 58%)
  • RAID 5는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며, 패리티 정보도 함께 저장하여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위해 별도의 패리티 연산 전용 프로세서와 메모리가 필요합니다. RAID 0은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지만, 패리티 정보를 저장하지 않아 데이터 손실 시 복구가 불가능합니다. RAID 1은 미러링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여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지만, 저장 용량이 2배로 필요합니다. RAID 3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며, 별도의 패리티 디스크를 사용하여 데이터 손실을 방지합니다. 하지만 입출력 병목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RAID 5는 입출력 병목현상을 해결하면서도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Windows 10의 명령 프롬프트에서 제어판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control.msc
  2. control.exe
  3. setup.msc
  4. setup.exe
(정답률: 75%)
  • 정답: control.exe

    설명: control.exe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제어판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제어판이 열리며, 여러 가지 시스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반면, control.msc는 제어판의 일부 기능만을 담당하는 콘솔 파일이며, setup.msc와 setup.exe는 시스템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Windows 10 에서 언어 설정을 변경하려면 설정 항목 중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하는가?

  1. 접근성
  2. 개인 설정
  3. 시간 및 언어
(정답률: 71%)
  • Windows 10에서 언어 설정을 변경하려면 "시간 및 언어" 항목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 항목은 시스템의 언어, 지역 설정, 키보드 레이아웃 등을 변경할 수 있는 설정이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Windows 10 사용자가 듀얼모니터 또는 빔 프로젝터와 연결하고 복제, 확장 등의 기능을 빠르게 사용하기 위한 단축키는 무엇인가?

  1. 윈도우 로고 키 + P
  2. 윈도우 로고 키 + S
  3. 윈도우 로고 키 + E
  4. 윈도우 로고 키 + R
(정답률: 80%)
  • 정답: "윈도우 로고 키 + P"

    윈도우 로고 키 + P는 Windows 10에서 듀얼모니터 또는 빔 프로젝터와 연결하고 복제, 확장 등의 기능을 빠르게 사용하기 위한 단축키이다. 이 단축키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빠르게 모니터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며, 복제, 확장 등의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리눅스 명령을 이용하여 ICQA 디렉터리와 그 하위 디렉터리까지 모든 파일을 메시지없이 강제로 삭제하기 위한 명령은?

  1. rm –i ICQA
  2. rm –ir ICQA
  3. rm –rf ICQA
  4. rm -ra ICQA
(정답률: 78%)
  • 정답은 "rm –rf ICQA"이다.

    - "rm –i ICQA": ICQA 디렉터리와 그 하위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을 삭제하기 전에 각 파일을 삭제할 것인지 물어보는 옵션(-i)이 포함되어 있어서 강제 삭제가 불가능하다.
    - "rm –ir ICQA": "-i" 옵션으로 인해 각 파일을 삭제할 것인지 물어보는 메시지가 표시되며, "-r" 옵션으로 인해 ICQA 디렉터리와 그 하위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을 삭제한다. 하지만 강제 삭제가 불가능하다.
    - "rm -ra ICQA": "-r" 옵션으로 인해 ICQA 디렉터리와 그 하위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을 삭제하며, "-a" 옵션으로 인해 숨겨진 파일까지 모두 삭제한다. 하지만 강제 삭제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r" 옵션으로 인해 ICQA 디렉터리와 그 하위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을 삭제하며, "-f" 옵션으로 인해 메시지 없이 강제 삭제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운영체제

16. 데이터를 전송할 때 오류 발생을 막아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메모리는 무엇인가?

  1. 언버퍼드 메모리
  2. ECC메모리
  3. 레지스터드 메모리
  4. RAD 메모리
(정답률: 59%)
  • ECC 메모리는 Error Correction Code의 약자로,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수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하는 오류를 방지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에 적합한 메모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애플과 인텔이 만든 새로운 고속 인터페이스로 USB 3.0 규격보다 두배 이상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10Gbps/s)를 가지고 모니터도 연결 지원되는 새로운 포트는 무엇인가?

  1. 썬더볼트
  2. 디스플레이 포트
  3. HDMI
  4. DVI
(정답률: 66%)
  • 썬더볼트는 애플과 인텔이 공동 개발한 새로운 고속 인터페이스로, USB 3.0 규격보다 두배 이상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10Gbps/s)를 가지고 모니터도 연결 지원됩니다. 따라서 썬더볼트가 정답입니다. 디스플레이 포트, HDMI, DVI는 모니터 연결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이지만, 데이터 전송 속도가 썬더볼트보다 느리고, 모니터 연결만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컴퓨터 모니터에 연결가능한 인터페이스 중 영상과 음성을 모두 전송할 수 없는 것은?

  1. HDMi
  2. DisplayPort
  3. Thunderbolt
  4. D-Sub
(정답률: 64%)
  • D-Sub은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없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이기 때문에 영상과 음성을 모두 전송할 수 없습니다. 반면, HDMI, DisplayPort, Thunderbolt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영상과 음성을 모두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규격에 따른 메인보드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Mini-iTX
  2. ATX
  3. BTX
  4. PCI
(정답률: 67%)
  • 정답은 "PCI"입니다. PCI는 메인보드의 규격이 아니라, 확장 슬롯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Mini-iTX, ATX, BTX는 모두 메인보드의 규격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전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외선을 비춰서 정보를 지울 수도 있는 ROM은?

  1. PROM
  2. EPROM
  3. Mask ROM
  4. EEPROM
(정답률: 75%)
  • EPROM은 Electrically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전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외선을 비춰서 정보를 지울 수 있는 ROM입니다. PROM은 일회성으로만 기록이 가능하고, Mask ROM은 제조과정에서 정보를 기록하기 때문에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EEPROM은 전기적으로 정보를 기록하고 지울 수 있지만, 자외선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EPROM이 자외선을 이용해 정보를 지울 수 있는 유일한 RO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주기억장치인 RAM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전원 공급이 끊기면 기억된 내용을 잃어버리는 휘발성 메모리이다
  2. 각종 프로그램이나 운영체제 및 사용자가 작성한 문서 등을 불러와 작업할 수 있게 하는 공간이다
  3. 동적 램은 기억한 내용을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재충전이 필요하다
  4. 정적 램은 대용량을 기억하기에 적합하다
(정답률: 48%)
  • 정적 램은 대용량을 기억하기에 적합하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오히려 정적 램은 속도가 빠르고 소비 전력이 적어서 캐시 메모리나 레지스터 등 소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기에는 동적 램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그래픽카드의 GPU(Graphic Processing Unit)가 병렬처리 프로세서로 널리 보급되는 주요 계기가 된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1. 마이크로 프로그래밍
  2. 그래픽 API
  3. JAVA 프로그래밍 언어
  4. CUDA 프로그래밍 모델
(정답률: 44%)
  • 정답: CUDA 프로그래밍 모델

    그래픽카드의 GPU가 병렬처리 프로세서로 널리 보급되는 주요 계기가 된 것은 CUDA 프로그래밍 모델 때문입니다. CUDA는 NVIDIA에서 개발한 병렬처리를 위한 프로그래밍 모델로, 그래픽카드의 GPU를 활용하여 고성능 병렬처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를 통해 그래픽카드는 그래픽 처리 뿐만 아니라 과학, 엔지니어링,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은 무엇을 설명한 것인가?

  1. XMP
  2. CCX
  3. MTBF
  4. TBW
(정답률: 54%)
  • 이 그림은 컴퓨터의 CPU 코어와 캐시 구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XMP는 메모리 오버클럭 기술로, CPU와 메모리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입니다. 다른 보기들인 CCX는 AMD CPU의 코어 구조, MTBF는 제품의 평균 고장 시간, TBW는 SSD의 내구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자기(Magnetism)를 사용하여 저장하는 방식이 아닌 장치는?

  1. FDD
  2. Zip Drive
  3. Blu-ray
  4. HDD
(정답률: 59%)
  • Blu-ray는 자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빛을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자기를 사용하는 다른 장치들과는 다른 저장 방식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USB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USB로 연결된 모든 기기는 전원을 별도로 공급해야 한다.
  2. USB는 한 개의 콘트롤러에 최대 16개의 디바이스 장착이 가능하다.
  3. USB 3.0의 경우 최대속도가 FIR(Fast InfraRed)와 동일한 400MB이다.
  4. USB 3.0의 외장 하드디스크를 컴퓨터 USB 2.0 포트에 연결하여 사용가능하며 이 경우 낮은 2.0 버전의 성능으로 동기화 된다.
(정답률: 70%)
  • USB 3.0의 외장 하드디스크를 컴퓨터 USB 2.0 포트에 연결하여 사용가능하며 이 경우 낮은 2.0 버전의 성능으로 동기화 된다. - 이유: USB 3.0은 USB 2.0과 하위 호환성이 있기 때문에 USB 2.0 포트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이 경우 USB 2.0의 속도로 동작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모니터 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Dot Pitch - 우리말로는 망점이라 부르며, 수치가 클수록 선명한 영상을 구현한다.
  2. VESA 홀 - 모니터를 벽이나 스탠드에 걸 수 있는 뒷면 나사구멍 사이의 국제규격이다.
  3. 픽셀(Pixel) - 픽셀은 이미지의 해상도를 나타낼 때 사용되는 단위이다.
  4. 화면 크기 - 물리적인 화면크기는 인치(Inch) 또는 센티미터(cm)로 표시한다.
(정답률: 62%)
  • 잘못된 것은 없다.

    Dot Pitch - 우리말로는 망점이라 부르며, 수치가 작을수록 선명한 영상을 구현한다. (수치가 클수록 각 픽셀들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해상도가 낮아지고, 수치가 작을수록 픽셀들이 가까이 있어서 해상도가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전기적인 힘을 가하여 발생하는 기포를 작은 노즐을 이용하여 종이위에 뿌려 문자나 그림을 출력하는 프린터는?

  1. 잉크젯 프린터
  2. 도트 프린터
  3. 레이저 프린터
  4. 펜 플로터
(정답률: 75%)
  • 잉크젯 프린터는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작은 노즐에서 잉크를 분사하여 종이 위에 문자나 그림을 출력하는 프린터이다. 따라서 이 프린터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물체에 비추어 반사된 빛을 전기 신호로 바꾸어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장치는?

  1. 프린터
  2. 스캐너
  3. 모니터
  4. VGA
(정답률: 73%)
  • 스캐너는 물체에 비추어 반사된 빛을 전기 신호로 바꾸어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장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프린터는 출력 장치, 모니터는 입력 장치, VGA는 비디오 그래픽 어댑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Memory에 기억된 Data의 유지를 위해 주기적으로 재충전하는 신호는?

  1. Timer
  2. Reset
  3. Refresh
  4. Strobe
(정답률: 72%)
  • Refresh 신호는 Memory에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재충전하는 신호입니다. 이는 데이터가 저장된 셀의 전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누수되어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합니다. Refresh 신호는 이러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셀에 전하를 공급하여 데이터를 유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데이터와 전력의 전송을 허용하는 24핀 단자이며, 상하 대칭형태로 어느 방향으로도 연결할 수 있는 USB 단자는 무엇인가?

  1. USB Type-A
  2. USB Type-B
  3. USB Type-C
  4. USB Type-D
(정답률: 74%)
  • USB Type-C는 상하 대칭형태로 어느 방향으로도 연결할 수 있는 24핀 단자로, 데이터와 전력의 전송을 모두 허용하는 최신형 USB 단자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USB Type-A, USB Type-B, USB Type-D와는 달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기기와 호환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PC주변기기

31. 같은 공간에 있는 여러 사용자의 PC들 중 하나의 PC에서 랜섬웨어가 탐지되는 경우 가장 먼저 조치해야 되는 사항은?

  1. 랜섬웨어가 탐지된 PC를 네트워크에서 분리
  2. 랜섬웨어가 탐지된 PC에서 바이러스 백신 검사 수행
  3. 랜섬웨어가 탐지된 PC를 백업 및 복원을 수행
  4. 랜섬웨어가 탐지된 PC의 최종 사용자 교육
(정답률: 62%)
  • 랜섬웨어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전파될 수 있기 때문에, 랜섬웨어가 탐지된 PC를 네트워크에서 분리하는 것이 가장 먼저 조치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랜섬웨어의 전파를 막을 수 있고, 다른 컴퓨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그 후에는 바이러스 백신 검사 수행, 백업 및 복원, 최종 사용자 교육 등의 추가적인 조치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UEFI 바이오스가 지원하는 이것은 파티션 테이블 크기를 확장하여 디스크 하나에 주 파티션을 128개 만들 수 있으며, 주소 체계를 64비트로 확장해 이론적으로 최대 8ZB까지 지원할 수 있는 이것은 무엇인가?

  1. MBR
  2. WHQL
  3. GPT
  4. TDP
(정답률: 75%)
  • UEFI 바이오스가 지원하는 GPT는 파티션 테이블 크기를 확장하여 디스크 하나에 주 파티션을 128개 만들 수 있으며, 주소 체계를 64비트로 확장해 이론적으로 최대 8ZB까지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MBR은 파티션 테이블 크기가 작아서 주 파티션을 4개만 만들 수 있고, 주소 체계도 32비트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WHQL은 Windows Hardware Quality Labs의 약자로, 하드웨어와 드라이버의 호환성을 검증하는 인증 기준입니다. TDP는 Thermal Design Power의 약자로, CPU나 GPU의 열 발생량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Windows 10 사용 중 보기와 같은 블루스크린 오류 메시지가 나타났을 시 해결방법은 무엇인가?

  1. ODD 드라이버 업데이트
  2.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
  3. 사운드 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
  4.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업데이트
(정답률: 68%)
  • 블루스크린 오류는 주로 하드웨어나 드라이버의 문제로 발생합니다. 그 중에서도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는 시스템의 그래픽 처리를 담당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블루스크린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컴퓨터 부팅 중에 [BIOS Check Sum Error] 메시지가 출력되었을 때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1. 메인보드의 배터리를 교체한다.
  2. 키보드 커넥터를 확인한다.
  3. 메인 메모리를 교체한다.
  4. CPU를 교체한다.
(정답률: 72%)
  • BIOS Check Sum Error는 메인보드의 BIOS에 저장된 설정값들이 손상되었을 때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이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BIOS에 저장된 설정값들을 초기화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메인보드의 배터리를 교체해야 합니다. 배터리는 BIOS 설정값들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배터리가 손상되면 BIOS 설정값들이 초기화되어 BIOS Check Sum Error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터리를 교체하여 BIOS 설정값들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컴퓨터를 부팅하자마자 'Press [F1] to continue'라는 메시지가 모니터에 나타난다. 그 원인으로 올바른 것은?

  1. 키보드 혹은 마우스 연결 불량
  2. CMOS의 그래픽 카드 설정 오류
  3. ROM BIOS 고장
  4. 캐시 메모리 불량
(정답률: 61%)
  • "Press [F1] to continue" 메시지는 보통 시스템 부팅 시 BIOS에서 하드웨어를 검사하고 초기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이 메시지가 나타나는 이유는 BIOS가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를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문제의 원인은 "키보드 혹은 마우스 연결 불량"이다. 이 경우에는 입력 장치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교체하거나 연결을 다시 확인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리눅스 파티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Primary 파티션
  2. Extended 파티션
  3. Logical 파티션
  4. Physical 파티션
(정답률: 46%)
  • "Physical 파티션"은 실제 하드웨어 디스크에 대한 파티션을 나타내는 용어가 아니라, 파티션의 종류를 나타내는 용어가 아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전자파에 관련된 인증 마크가 아닌 것은?

  1. EMC
  2. FCC
  3. CE
  4. KGMP
(정답률: 60%)
  • KGMP은 전자파 관련 인증 마크가 아닌 것이다. KGMP는 대한민국 의약품안전처에서 인증하는 의료기기 품질관리시스템 인증 마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오버클럭킹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CPU의 클럭 설정은 점퍼 비율 딥스위치를 조정하거나 BIOS SETUP에서 설정할 수 있다.
  2. 오버클럭킹을 사용하게 되면 CPU의 온도가 오버클럭킹 을 하기전보다 높아지므로 주의한다.
  3. 오버클럭킹에는 외부 클럭을 올리는 방법과 클럭 배수를 올리는 방법이 있다.
  4.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클럭 수 보다 높게 오버클럭킹이 가능하다.
(정답률: 53%)
  •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클럭 수 보다 높게 오버클럭킹이 가능하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이는 메인보드의 하드웨어적인 한계로 인해 불가능하다.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클럭 수 이상으로 오버클럭킹을 시도하면 안정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CPU나 메인보드에 손상을 줄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컴퓨터 부팅시에 보안을 위해 비밀번호를 사용하기 위한 바이오스 설정 메뉴와 값으로 옳은 것은?

  1. Password on Boot "Enabled"
  2. Password on Windows "Enabled"
  3. Password on Boot "Disabled"
  4. Password on Windows "Disabled"
(정답률: 52%)
  • 바이오스 설정 메뉴에서 "Password on Boot"을 "Enabled"로 설정하면 컴퓨터 부팅시 비밀번호를 입력해야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설정으로, 불법적인 접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Password on Boot "Enable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하드디스크 자동 포맷
  2. 하드웨어 인터럽트 자동 설정
  3. I/O 어드레스 자동 설정
  4. 새로운 하드웨어 자동 설치
(정답률: 60%)
  • "하드디스크 자동 포맷"은 플러그 앤 플레이의 기능이 아닙니다. 플러그 앤 플레이는 새로운 하드웨어를 연결하면 자동으로 인식하고 필요한 드라이버를 설치하며, 하드웨어 인터럽트와 I/O 어드레스도 자동으로 설정합니다. 하지만 하드디스크 자동 포맷은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작업이므로 플러그 앤 플레이의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메인보드에는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스위치와 램프의 커넥터들이 연결된다. 이 중에서 극성을 무시하고 커넥터를 연결해도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들은?

  1. 리셋스위치, 전원스위치
  2. 리셋스위치, 전원표시 LED
  3. 스피커, 전원표시 LED
  4. 스피커, 하드디스크 LED
(정답률: 64%)
  • 리셋스위치와 전원스위치는 극성이 없는 스위치이기 때문에 커넥터를 연결할 때 극성을 무시해도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하지만 전원표시 LED와 하드디스크 LED는 극성이 있는 LED이기 때문에 극성을 무시하고 연결하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스피커는 소리를 내기 위해 극성이 있는 커넥터이기 때문에 극성을 무시하고 연결하면 소리가 나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함으로 인해서 생기는 질환을 의미하는 것은?

  1. TCO
  2. VDTs
  3. VLF
  4. EMI
(정답률: 52%)
  • VDTs는 Visual Display Terminals의 약자로,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이는 장시간의 노출로 인해 눈의 피로, 두통, 어지러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이러한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휴식과 운동, 화면 밝기와 거리 조절 등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텍스트 위주의 기존 바이오스는 초보자가 설정하기 어려웠지만 그래픽과 아이콘 등 시각 효과 위주로 구성해 다루기가 쉬운 바이오스를 뜻하는 용어는?

  1. GOOD 바이오스
  2. CUI 바이오스
  3. UEFI 바이오스
  4. HEY 바이오스
(정답률: 70%)
  • UEFI 바이오스는 그래픽과 아이콘 등 시각 효과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초보자도 쉽게 설정할 수 있는 바이오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PC조립 중 메모리 장착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메모리 슬롯과 메모리를 홀에 맞추어 끼우고, 메모리 슬롯 양쪽 고정 레버를 위로 젖혀 올려 준다.
  2. 메인보드의 메모리 슬롯의 빈 자리가 없도록 메모리를 장착해야 컴퓨터 부팅이 가능하다.
  3. 메모리가 메모리 슬롯에 정확하게 장착되면 딸각 소리가 나고 메모리 옆면의 홈에 레버가 맞물리게 된다.
  4. 방향이 맞지 않으면 레버에 맞물리지 않게 되므로 확인하고 다시 장착한다.
(정답률: 62%)
  • 정답은 "메인보드의 메모리 슬롯의 빈 자리가 없도록 메모리를 장착해야 컴퓨터 부팅이 가능하다." 이다. 이유는 메모리 슬롯의 빈 자리가 없어도 컴퓨터 부팅이 가능하다. 다만, 메모리 용량이 부족하면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용량의 메모리를 장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컴퓨터를 조립 및 분해하는 과정에서 주의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컴퓨터의 모든 커넥터는 반대로 연결 할 경우 들어가지 않으므로 방향을 확인 할 필요가 없다.
  2. 정전기의 발생을 조심하여야 한다.
  3. 잘 모르는 것이 있으면 반드시 매뉴얼을 참고하여야 한다.
  4. 조립과 분해를 할 경우 주위를 정리하면서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정답률: 63%)
  • 정답은 "컴퓨터의 모든 커넥터는 반대로 연결 할 경우 들어가지 않으므로 방향을 확인 할 필요가 없다." 이다. 이유는 컴퓨터의 모든 커넥터가 반대로 연결되지 않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USB 커넥터는 반대로 연결하면 들어가지 않지만, SATA 커넥터는 반대로 연결해도 들어갈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커넥터는 반드시 방향을 확인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PC네트워크

46. 동일한 인증을 받은 제품끼리 유/무선 네트워크로 미디어 콘텐츠(사진/음악/동영상)를 공유하고 재생할 수 있는 기술은 무엇인가?

  1. 스트리밍
  2. DLNA
  3. 와이파이
  4. 클라우드
(정답률: 41%)
  • DLNA는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의 약자로, 디지털 기기 간의 상호 연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국제 표준 기술이다. DLNA 인증을 받은 제품끼리는 서로 연결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공유하고 재생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유/무선 네트워크와 스트리밍 기술을 사용한다. 따라서 DLNA가 정답이다. 와이파이와 클라우드는 DLNA와는 별개의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TCP/IP의 네 가지 요소의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IP Address : 자원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 주소
  2. Subnet Mask : 네트워크 단위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3. Gateway : 외부 네트워크에서 들어오기 위한 장비 주소
  4. DNS : 도메인 네임을 IP Address로 풀이해 주는 서버 주소
(정답률: 70%)
  • Gateway는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장비의 주소를 말하는데, 이는 외부 네트워크에서 내부 네트워크로 들어오기 위한 주소가 아니라 내부 네트워크에서 외부 네트워크로 나가기 위한 주소입니다. 따라서 "Gateway : 외부 네트워크에서 들어오기 위한 장비 주소"는 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유선 이더넷 환경에서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충돌이 일어나게 된다. 다음 중 이렇게 발생한 충돌을 감지하여 이후에 비어 있는 채널을 재사용하게 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1. FDDI
  2. Token-bus
  3. CSMA/CA
  4. CSMA/CD
(정답률: 36%)
  • 정답: CSMA/CD

    설명: CSMA/CD는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의 약자로, 충돌이 발생하면 충돌을 감지하고 전송을 중단하며, 일정 시간 후에 다시 전송을 시도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유선 이더넷 환경에서 사용되며,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OSI 7 계층 기준)

  1. 전송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세션 계층
  4. 데이터 링크 계층
(정답률: 55%)
  • 이 그림은 IP 주소를 이용하여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네트워크 계층에서 수행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네트워크 계층"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UTP 케이블의 종류 및 규격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Category 5 : 속도 100Mbps, 대역폭 100MHz
  2. Category 5E : 속도 1Gbps, 대역폭 100MHz
  3. Category 6 : 속도 1Gbps, 대역폭 250MHz
  4. Category 7 : 속도 1Gbps, 대역폭 600MHz
(정답률: 66%)
  • Category 7은 속도가 10Gbps이며 대역폭이 600MHz입니다. 따라서 "Category 7 : 속도 1Gbps, 대역폭 600MHz"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