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2-03)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08-02-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TCP/IP

1. 현재 사용하는 IP Address 체계에서 가장 많은 네트워크를 가지는 Class는?

  1. A Class
  2. B Class
  3. C Class
  4. D Class
(정답률: 66%)
  • 현재 사용하는 IP Address 체계에서 가장 많은 네트워크를 가지는 Class는 "C Class"입니다. 이는 C Class가 24비트를 네트워크 ID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 Class는 2^24개의 네트워크를 가질 수 있습니다. 반면, A Class는 8비트, B Class는 16비트를 네트워크 ID로 사용하기 때문에 각각 2^8, 2^16개의 네트워크를 가질 수 있습니다. D Class는 멀티캐스트를 위한 주소 체계이므로 네트워크 개수를 가지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정적 라우팅의 사용이 가장 적절한 환경은?

  1. 네트워크 규모가 크고, 다른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점이 여럿이고, 경로가 이중화되어 있지 않은 조건
  2. 네트워크 규모가 작고, 다른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점이 하나이고, 경로가 이중화되어 있지 않은 조건
  3. 네트워크 규모가 작고, 다른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점이 하나이고, 경로가 이중화되어 있는 조건
  4. 네트워크 규모가 크고, 다른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점이 여럿이고, 경로가 이중화되어 있는 조건
(정답률: 83%)
  • 정적 라우팅은 경로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규모가 작고, 다른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점이 하나이고, 경로가 이중화되어 있지 않은 조건에서 가장 적절하게 사용됩니다. 이는 경로 변경이나 추가가 적고, 라우팅 테이블의 유지보수가 간단하기 때문입니다. 네트워크 규모가 크고, 다른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점이 여럿이고, 경로가 이중화되어 있을 경우에는 동적 라우팅이 더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IP(Internet Protocol)는 데이터 세그먼트를 패킷으로 만들어 목적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패킷의 MTU(Maximum Transmission Uni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네트워크 기반 하드웨어 유형에 따라 MTU 크기가 다르다.
  2. RFC791에 따르면 MTU의 최대 크기는 65,535Byte를 넘을 수 없게 되어 있다.
  3. 패킷이 분할되었는지, 그렇지 않은지 확인하는 필드는 Reserved Flag 필드이다.
  4. 커다란 MTU를 가진 네트워크에서 작은 MTU를 가진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패킷은 라우터에 의해 분열된다.
(정답률: 55%)
  • "패킷이 분할되었는지, 그렇지 않은지 확인하는 필드는 Reserved Flag 필드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패킷이 분할되었는지 확인하는 필드는 Fragmentation Flag 필드이다. Reserved Flag 필드는 예약 필드로,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 "네트워크 기반 하드웨어 유형에 따라 MTU 크기가 다르다." : 맞는 설명이다.
    - "RFC791에 따르면 MTU의 최대 크기는 65,535Byte를 넘을 수 없게 되어 있다." : 맞는 설명이다.
    - "커다란 MTU를 가진 네트워크에서 작은 MTU를 가진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패킷은 라우터에 의해 분열된다." :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UDP 헤더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Source Port - 송신측 응용 프로세스 포트 번호 필드
  2. Destination Port - 선택적 필드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Zero로 채워지는 필드
  3. Checksum - 오류 검사를 위한 필드
  4. Length - UDP 헤더와 데이터 부분을 포함한 데이터 그램의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
(정답률: 71%)
  • UDP 헤더의 Destination Port 필드는 선택적 필드가 아니며, 반드시 목적지 포트 번호를 지정해야 합니다. Zero로 채워지는 것은 옵션 필드인데, 이는 UDP 헤더의 길이가 8바이트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정보를 담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Destination Port - 선택적 필드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Zero로 채워지는 필드"라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Telnet을 이용하여 상대방 컴퓨터에 접속을 시도하려고 한다. 상대방 컴퓨터에게 일정한 데이터를 보내 상대방 컴퓨터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1. Ping
  2. Nslookup
  3. Netstat
  4. Finger
(정답률: 87%)
  • Ping은 상대방 컴퓨터에게 일정한 데이터를 보내 응답을 받아 상대방 컴퓨터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Ping이 정답이다. Nslookup은 도메인 이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조회하는 명령어, Netstat은 현재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 Finger는 특정 사용자의 정보를 조회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URL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URL은 인터넷상의 정보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방법으로서 인터넷의 자원 및 서비스에 대해 사용되는 표준 명명 규칙이다.
  2. URL의 구성은 프로토콜, 호스트 명, 도메인 명, 디렉터리 이름, 파일 이름순으로 구성되며, protocol://host.domain/ directory/file와 같은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3. URL은 지정된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유일한 이름을 가질 뿐만 아니라 하나의 도메인 이름은 오직 하나의 호스트와 대응한다.
  4. URL에 참여할 수 있는 프로토콜들로는 HTTP, FTP, Telnet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정답률: 76%)
  • 정답은 "URL은 지정된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유일한 이름을 가질 뿐만 아니라 하나의 도메인 이름은 오직 하나의 호스트와 대응한다." 이다. 이유는 하나의 도메인 이름은 여러 개의 호스트와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www.google.com과 mail.google.com은 모두 google.com 도메인의 서로 다른 호스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DNS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정방향 조회는 IP Address를 호스트 이름으로 변환해준다.
  2. 전송 프로토콜로 UDP와 TCP를 모두 사용한다.
  3. Windows의 Active Directory 사용 시 요구된다.
  4. 일반적으로 53번 포트를 사용한다.
(정답률: 53%)
  • "전송 프로토콜로 UDP와 TCP를 모두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DNS는 일반적으로 UDP를 사용하며, 대부분의 DNS 쿼리는 UDP 패킷으로 전송됩니다. TCP는 대부분의 경우에는 큰 DNS 쿼리 또는 응답에 대한 대안으로 사용됩니다.

    "정방향 조회는 IP Address를 호스트 이름으로 변환해준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DNS의 가장 일반적인 용도 중 하나는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것입니다. 이를 "정방향 조회"라고 합니다.

    "Windows의 Active Directory 사용 시 요구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Active Directory는 Windows 기반의 디렉터리 서비스이며, DNS를 사용하여 도메인 이름을 관리합니다. 따라서 Active Directory를 사용하려면 DNS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53번 포트를 사용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DNS 쿼리와 응답은 일반적으로 53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TCP/IP 망의 관리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1. SNMP
  2. CMIP
  3. SMTP
  4. POP
(정답률: 78%)
  • TCP/IP 망의 관리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SNMP입니다. 이는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 장비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SNMP는 네트워크 관리자가 장비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TCP/IP 망의 관리에 필수적인 프로토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IP Address 중 127로 시작하는 주소의 의미는?

  1. 제한적 브로드캐스트 주소
  2. 네트워크 ID 주소
  3. 네트워크의 한 호스트 주소
  4. 루프백(Loopback) 주소
(정답률: 87%)
  • 127로 시작하는 주소는 루프백(Loopback) 주소입니다. 이 주소는 컴퓨터 자신을 가리키는 특별한 주소로, 네트워크 통신을 테스트하거나 로컬 호스트에서 실행되는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주소로 보내는 데이터는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 바로 자신의 컴퓨터로 돌아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가정이나 사무실에 이미 구축되어 있는 전력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1. PLC
  2. HomePNA
  3. Bluetooth
  4. ADSL
(정답률: 60%)
  • PLC는 Power Line Communication의 약자로, 전력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가정이나 사무실에 이미 구축되어 있는 전력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HomePNA는 전화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기술, Bluetooth는 무선 기술, ADSL은 전화선을 이용한 고속 인터넷 접속 기술입니다. 이들은 전력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원격에 있는 호스트를 안전하게 액세스하기 위한 유닉스 기반의 명령어 프로토콜은?

  1. SSL
  2. Telnet
  3. SSH
  4. SNMP
(정답률: 73%)
  • SSH는 Secure Shell의 약자로, 원격 호스트에 안전하게 액세스하기 위한 유닉스 기반의 명령어 프로토콜입니다. SSH는 암호화된 통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며, Telnet과 같은 다른 프로토콜보다 보안성이 높습니다. SSL은 웹에서 사용되는 암호화 프로토콜이며, SNMP는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CSMA/CD의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충돌 도메인이 작을수록 좋다.
  2. 충돌이 발생하면 임의의 시간 동안 대기하므로 지연 시간을 예측하기 어렵다.
  3. 8B/5B 혹은 8B/10B 부호화 방식을 사용한다.
  4. 컴퓨터들은 케이블에 데이터 흐름이 있는지 없는지를 특정 신호를 주기적으로 보내 감시한다.
(정답률: 64%)
  • "8B/5B 혹은 8B/10B 부호화 방식을 사용한다."가 CSMA/CD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CSMA/CD는 이더넷에서 충돌을 감지하고 처리하는 프로토콜로, 충돌 도메인이 작을수록 좋고, 충돌이 발생하면 임의의 시간 동안 대기하므로 지연 시간을 예측하기 어렵다. 또한 컴퓨터들은 케이블에 데이터 흐름이 있는지 없는지를 특정 신호를 주기적으로 보내 감시한다. 하지만 8B/5B 혹은 8B/10B 부호화 방식은 이더넷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부호화 방식으로, CSMA/CD의 특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8B/5B 혹은 8B/10B 부호화 방식은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Ethernet 프레임의 전체 바이트 범위와 데이터 필드의 바이트 범위로 잘 짝지은 것은?

  1. 64~1518Bytes, 46~1500Bytes
  2. 56~1500Bytes, 46~1490Bytes
  3. 64~1500Bytes, 38~1480Bytes
  4. 56~1518Bytes, 38~1500Bytes
(정답률: 59%)
  • Ethernet 프레임의 전체 바이트 범위는 프리앰블(7Bytes) + 목적지 MAC 주소(6Bytes) + 출발지 MAC 주소(6Bytes) + 타입/길이 필드(2Bytes) + 데이터 필드(46~1500Bytes) + 패딩(0~46Bytes) + CRC(4Bytes)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전체 바이트 범위는 최소 64Bytes에서 최대 1518Bytes까지 가능합니다.

    데이터 필드의 바이트 범위는 타입/길이 필드 다음부터 패딩 이전까지의 범위입니다. 이는 최소 46Bytes에서 최대 1500Bytes까지 가능합니다. 이 범위는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64~1518Bytes, 46~1500Bytes"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IrDA 기술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파가 아닌 빛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파수 사용 허가가 필요 없다.
  2. 다른 전자 장비와 간섭이 없다.
  3. 거리에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4. 직사광선이나 형광등 및 백열등 같은 여러 가지 빛들이 잡음으로 작용한다.
(정답률: 67%)
  • 직사광선이나 형광등 및 백열등 같은 여러 가지 빛들이 잡음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IrDA 기술은 빛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주변의 다른 빛들이 간섭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조건에서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거리에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은 옳은 특징이다. IrDA 기술은 빛의 직선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거리에 영향을 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IEEE 802.11 WLAN(무선랜) 접속을 위한 NIC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중 접속 프로토콜은?

  1. ALOHA
  2. CDMA
  3. CSMA/CD
  4. CSMA/CA
(정답률: 56%)
  • IEEE 802.11 WLAN에서는 무선 환경에서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CSMA/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이 프로토콜은 충돌을 감지하고 충돌을 피하기 위해 무선 전송을 지연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CSMA/CA가 IEEE 802.11 WLAN에서 사용되는 다중 접속 프로토콜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 Band)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심 주파수의 20% 이상의 점유대역폭을 가지거나 500MHz 이상의 점유대역폭을 차지하는 무선 통신기술이다.
  2. 기존의 스펙트럼에 비해 매우 넓은 대역에 걸쳐 낮은 전력으로 초고속 통신을 실현하는 무선 통신기술이다.
  3. 초고화질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 거의 모든 현존하는 데이터를 무리 없이 송수신하기에 지장이 없는 기술이다.
  4. 수 GHz 대역폭에 걸쳐 스펙트럼으로 분산, 송신하지만 이로 인해 다른 협대역 신호에 간섭을 많이 받아 근거리 통신에 적합한 기술이다.
(정답률: 71%)
  •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 Band) 기술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수 GHz 대역폭에 걸쳐 스펙트럼으로 분산, 송신하지만 이로 인해 다른 협대역 신호에 간섭을 많이 받아 근거리 통신에 적합한 기술이다." 이다. UWB 기술은 다른 협대역 신호에 간섭을 줄이기 위해 주파수 대역폭을 좁게 설정하고, 대역폭 내에서 매우 낮은 전력으로 통신을 실현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근거리 통신 뿐만 아니라 장거리 통신에도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저전력, 저가격, 사용의 편리성을 가진 근거리 무선네트워크의 대표적 기술 중의 하나로 IEEE 802.15.4 표준의 PHY층과 MAC층을 기반으로 상위 프로토콜과 응용을 규격화한 기술로 원격제어 및 관리의 응용에 적합한 홈오토메이션 등에 적용되며,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환경 구축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기술은?

  1. WLAN
  2. Bluetooth
  3. ZigBee
  4. IrDA
(정답률: 65%)
  • IEEE 802.15.4 표준의 PHY층과 MAC층을 기반으로 상위 프로토콜과 응용을 규격화한 기술은 ZigBee이다. 이 기술은 저전력, 저가격, 사용의 편리성을 가지며, 홈오토메이션 등 원격제어 및 관리의 응용에 적합하며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환경 구축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ZigBee가 근거리 무선네트워크의 대표적 기술 중 하나로 선택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8. 인터페이스의 주요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계적 특성
  2. 전기적 특성
  3. 기능적 특성
  4. 화학적 특성
(정답률: 92%)
  • 인터페이스는 화학적 특성을 가지지 않습니다. 인터페이스의 주요 특성은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특성입니다. 인터페이스는 물질 간의 경계면이므로 화학적으로 변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스펙트럼 확산 방식을 이용하여 넓은 주파수 대역에 다수의 사용자가 서로 다른 부호(코드)를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주파수와 동일한 시간을 사용하여 접속하는 방식은?

  1. 시분할 다중화
  2. 코드 분할 다중화
  3. 주파수 분할 다중화
  4.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정답률: 62%)
  • 스펙트럼 확산 방식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주파수와 동일한 시간을 사용하여 접속하는 방식은 코드 분할 다중화이다. 이는 각 사용자가 서로 다른 부호(코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다른 사용자의 신호와 혼선 없이 동시에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TCP/IP Suite와 OSI 계층을 옳게 연결한 것은?

  1. Telnet - 전달 계층
  2. TCP/UDP - 세션 계층
  3. IP - 네트워크 계층
  4. Ethernet - 표현 계층
(정답률: 82%)
  • TCP/IP Suite와 OSI 계층을 옳게 연결한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 Telnet - 세션 계층
    - TCP/UDP - 전송 계층
    - IP - 네트워크 계층
    - Ethernet - 데이터 링크 계층

    IP는 네트워크 계층에 속합니다. 이는 IP가 패킷을 송수신하는 데 있어서 라우팅, 패킷 분할 및 조립, 오류 제어 등과 같은 네트워크 관련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IP는 OSI 모델에서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하며, TCP/IP Suite에서도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계층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M-ary PSK에 대한 표현 식 즉, K=0,1,...., M=1에서 M=4이면 어떤 변조신호가 되는가?

  1. ASK
  2. PSK
  3. QPSK
  4. FSK
(정답률: 48%)
  • M-ary PSK의 표현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s(t) = A cos(2πfct + 2πK/M)

    여기서 K는 0부터 M-1까지의 정수이며, M은 변조 신호의 수를 나타냅니다.

    M=1일 때는 BPSK, M=2일 때는 QPSK, M=4일 때는 16-QAM 등의 변조 방식이 됩니다.

    따라서 M=4일 때의 변조 방식은 QPSK입니다.

    QPSK는 2개의 비트를 한 번에 전송할 수 있으며, I축과 Q축에 대해 각각 2개의 심볼을 사용하여 4개의 심볼을 만들어내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QPSK가 정답인 것입니다.

    ASK는 진폭 변조, PSK는 위상 변조, FSK는 주파수 변조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CATV의 주요 구성 요소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헤드엔드 장치
  2. 전송로
  3. 액세스 포인트
  4. 가입자 단말 장치
(정답률: 57%)
  • CATV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액세스 포인트"입니다. 액세스 포인트는 일반적으로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CATV 시스템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CATV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는 헤드엔드 장치, 전송로, 그리고 가입자 단말 장치입니다. 헤드엔드 장치는 CATV 시스템의 중앙 제어 장치로, 전송로는 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가입자 단말 장치는 가입자가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로, 일반적으로 TV나 셋톱박스 등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통신을 원하는 두 실체 간에 무엇을, 어떻게 언제 통신할 것인가에 대해 서로 약속한 일련의 절차나 규범의 집합은?

  1. Program
  2. Process
  3. Interface
  4. Protocol
(정답률: 87%)
  • 프로토콜은 두 개체 간에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규칙이나 절차를 정의하는 것이다. 따라서 "Program", "Process", "Interface"와 같은 단어는 통신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으며, 프로토콜과 같은 규칙이나 절차를 정의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원거리 통신의 전송방식 중 회선교환방식에 관한 설명은?

  1. 망 내 교환기들은 전송되고 있는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에러 제어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단순히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로만을 제공하며, 송수신측은 동일한 속도로 동작하여야 한다.
  2. 패킷 단위로 전송되며, 패킷을 버퍼링 할 수 있으므로 송신측과 수신측은 다른 전송 속도로 동작 할 수 있다.
  3. 각 메시지마다 오버헤드 비트가 있고, 메시지 전송지연이 발생한다.
  4. 데이터 그램 방식과 가상회선방식으로 구분된다.
(정답률: 54%)
  • 회선교환방식은 망 내 교환기들이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에러 제어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단순히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로만을 제공하며, 송수신측은 동일한 속도로 동작하여야 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데이터 전송 중 오류가 발생하면 복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프로토콜을 형성하는 기능 중 각 계층의 데이터에 제어 정보를 부착하는 것은?

  1. 캡슐화
  2. 다중화
  3. 세분화
  4. 동기화
(정답률: 81%)
  • 캡슐화는 각 계층의 데이터에 제어 정보를 부착하여 프로토콜을 형성하는 기능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보호하고,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즉, 데이터를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해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하나의 단위로 묶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VoIP에서 H.323의 장점에 해당하는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Ethernet, Gigabit Ethernet, ATM등 네트워크 확장성 좋음
  2. 기존 네트워크 이용 가능하며, 구축 시에는 비용이 저렴
  3. TCP/IP 네트워크의 확산으로 사용자 확장이 용이
  4. PC 기반의 화상 회의 구축이 불가능
(정답률: 73%)
  • H.323은 PC 기반의 화상 회의 구축이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PC 기반의 화상 회의 구축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PC 기반의 화상 회의 구축이 불가능"은 H.323의 장점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광섬유의 구조로 옳지 않은 것은?

  1. 코어(Core)
  2. 클래딩(Cladding)
  3. 석영(Quartz)
  4. 코팅(Coating)
(정답률: 77%)
  • 석영은 광섬유의 구조에서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이지만, 광섬유의 구조 자체가 아니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광섬유의 구조는 코어(Core)와 클래딩(Cladding)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두 가지 재료가 광섬유의 광파도 특성을 결정한다. 또한, 광섬유의 외부를 보호하기 위해 코팅(Coating)이 추가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NOS

28. 직원이 300명인 회사에서 100명씩 3교대 근무하며, 3교대 구성 그룹은 매주 50명씩 바뀐다. 개인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노트북을 300명 모두에게 지급했으나, 고정 IP Address는 110개 밖에 없다. 이런 IP Address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Windows 2000 Server를 어떻게 구성하면 좋은가?

  1. DHCP 구성
  2. DNS 구성
  3. WINS 구성
  4. NetBIOS 구성
(정답률: 77%)
  • DHCP 구성을 통해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면, IP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HCP 서버는 사용 가능한 IP 주소를 관리하고,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해준다. 이를 통해 IP 주소 충돌을 방지하고, 관리도 용이해진다. DNS, WINS, NetBIOS 구성은 IP 주소 부족 문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RDP(Remote Desktop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Windows 2000 Server의 터미널 서비스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2. 네트워크 연결을 통한 원격화면 표시 및 입력 기능을 제공한다.
  3. RDP를 이용한 터미널 서비스는 LAN(Local Area Network) 상에서만 연결을 지원한다.
  4. TSAC(Terminal Service Advanced Client)가 RDP 클라이언트를 대신하여 사용된다.
(정답률: 69%)
  • RDP를 이용한 터미널 서비스는 LAN(Local Area Network) 상에서만 연결을 지원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RDP는 인터넷을 통한 원격 접속도 가능하며, WAN(Wide Area Network) 상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Windows 2000 Server의 구성 요소를 캡처 한 화면이다. FTP와 관련 있는 구성 요소는?

  1. 인증서 서비스
  2. 인터넷 정보 서비스(IIS)
  3. 터미널 서비스
  4. 터미널 서비스 라이센스
(정답률: 76%)
  • FTP는 인터넷 정보 서비스(IIS)의 하위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IIS는 웹 서버, FTP 서버, SMTP 서버 등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윈도우 서버의 구성 요소입니다. 따라서 FTP와 관련된 구성 요소는 인터넷 정보 서비스(II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Windows 2000 Server에서 원격 설치 서비스를 구성하기 위하여 원격 설치 서버 상에 구현이 되어 있어야 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DNS
  2. DHCP
  3. Active Directory
  4. SMTP
(정답률: 55%)
  • SMTP는 이메일 전송 프로토콜로, 원격 설치 서비스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SMT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Windows 2000 Server의 기능에서 독립적인 컴퓨터들을 그룹화 하여 공통의 응용 프로그램 집합을 실행하는 것으로 한 부분에서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전체 시스템이 중단되지 않는 서비스는?

  1. Qos(Quality of Service)
  2. DFS(Distributed File System)
  3. Multitasking
  4. Clustering
(정답률: 40%)
  • Clustering은 독립적인 컴퓨터들을 그룹화하여 공통의 응용 프로그램 집합을 실행하는 기능으로, 한 부분에서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전체 시스템이 중단되지 않는 서비스입니다. 다른 보기들인 Qos, DFS, Multitasking은 이와는 관련이 없는 기능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Windows 2000 Server에서 웹 사이트를 생성할 경우, 웹 사이트 만들기 마법사 대화상자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TCP 포트 번호는?

  1. 80
  2. 77
  3. 17
  4. 8080
(정답률: 74%)
  • 정답: "80"

    이유: HTTP 프로토콜은 기본적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하므로, Windows 2000 Server에서 웹 사이트를 생성할 때 디폴트로 설정된 TCP 포트 번호는 80번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별도로 포트 번호를 지정하지 않으면 80번 포트를 사용하여 웹 사이트를 호스팅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Windows 2000 Server에서 TCP/IP가 정확히 설치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Ipconfig /all
  2. Ping www.icqa.or.kr
  3. Ping 게이트웨이_IP
  4. Ipconfig /renew
(정답률: 58%)
  • "Ipconfig /renew"은 DHCP 클라이언트에서 IP 주소를 갱신하는 명령어이므로 TCP/IP가 정확히 설치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옳지 않습니다.

    간단명료한 설명: "Ipconfig /renew"은 IP 주소를 갱신하는 명령어이므로 TCP/IP가 정확히 설치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Windows 2000 Server에서 NTFS 파일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FAT 파일 시스템보다 더 큰 파일과 파티션 사이즈를 지원한다.
  2. 파일과 디렉터리 단위의 보안을 설정할 수 있다.
  3. 파일과 디렉터리의 압축을 지원하고 POSIX 요구 사항을 해결한다.
  4. NTFS 파일 시스템은 Windows 내의 프로그램으로 FAT 또는 FAT32로 변환 할 수 있다.
(정답률: 70%)
  • NTFS 파일 시스템은 Windows 내의 프로그램으로 FAT 또는 FAT32로 변환 할 수 없다. 이는 NTFS 파일 시스템이 FAT 파일 시스템보다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NTFS 파일 시스템은 파일과 디렉터리 단위의 보안 설정, 큰 파일과 파티션 지원, 파일과 디렉터리의 압축 지원 및 POSIX 요구 사항 해결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하드웨어가 모두 정상이라는 가정 하에서 Windows 2000 Server를 설치할 때 실패할 수 있는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설치 CD가 이상이 있을 때
  2. 파일 시스템을 FAT32로 사용할 때
  3. 디스크의 남은 용량이 400MB일 때
  4. 시스템의 메모리가 16MB일 때
(정답률: 70%)
  • Windows 2000 Server는 NTFS 파일 시스템을 사용해야 하므로, FAT32 파일 시스템을 사용할 때 설치가 실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Windows 2000 Server의 기본 보안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최소 암호 길이의 설정
  2. 최소 암호 기간의 설정
  3. 사용자 암호 사용 기간의 제한 설정
  4. User 및 Group들의 검색 허용
(정답률: 71%)
  • "User 및 Group들의 검색 허용"은 Windows 2000 Server의 기본 보안 설정 중에서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 설정은 다른 사용자가 사용자 및 그룹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으로, 보안상 취약점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다른 사용자가 이 정보를 알게 되면, 해당 사용자의 계정에 대한 악용이 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정은 보안상 취약점을 만들 수 있으므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명령 프롬프트에서 IIS의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한 명령은?

  1. net start w3svc
  2. net start iis
  3. net start svcw3
  4. net start iis5
(정답률: 69%)
  • 정답은 "net start w3svc"입니다. 이유는 "w3svc"가 IIS의 World Wide Web 서비스의 이름이기 때문입니다. "net start iis"나 "net start iis5"는 IIS 자체를 시작하는 명령이지만, "w3svc"는 IIS의 특정 서비스인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시작하는 명령입니다. "svcw3"는 잘못된 이름이며, 존재하지 않는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Windows 2000 Server에서 사용되는 서비스로 대규모 네트워크상에서 적합한 디렉터리 서비스는?

  1. Dynamic Directory
  2. Static Directory
  3. Active Directory
  4. X Directory
(정답률: 68%)
  • Windows 2000 Server에서 사용되는 서비스 중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적합한 디렉터리 서비스는 Active Directory입니다. 이는 유저, 컴퓨터, 그룹 등의 정보를 중앙에서 관리하고 배포할 수 있으며, 보안, 인증, 권한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네트워크 관리를 용이하게 합니다. 또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의 통합이 가능하며, 확장성과 가용성이 높은 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Windows 2000 Server에서 프린터를 공유하여 같이 사용할 때 프린트를 요청했지만 프린트가 되지 않고 작업을 지울 수도 없을 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용하는 서비스는?

  1. Printer Job Service
  2. Directory Service
  3. Spooler Service
  4. Printer Request Service
(정답률: 62%)
  • Spooler Service는 프린터 작업을 처리하는 서비스로, 프린터에 출력할 문서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순서대로 출력하게 해줍니다. 따라서 프린트가 되지 않거나 작업을 지울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때 Spooler Service를 재시작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inter Job Service나 Printer Request Service는 존재하지 않는 서비스이며, Directory Service는 네트워크 디렉토리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Windows 2000 Server에서 다음 DNS 데이터베이스 레코드의 유형 중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MX - 도메인의 메일 서버를 식별한다.
  2. A - 호스트 이름을 IP Address로 매핑한다.
  3. CNAME - 호스트 정보를 표시한다.
  4. NS - 이름 서버를 나타낸다.
(정답률: 73%)
  • CNAME 레코드는 호스트 이름을 다른 호스트 이름으로 매핑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연결이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 CNAME 레코드를 사용하면 DNS 조회 시간이 늘어날 수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Linux 시스템에서 기존에 설정된 crontab을 삭제하려고 할 때 가장 올바른 명령어는?

  1. crontab -u
  2. crontab -e
  3. crontab -l
  4. crontab -r
(정답률: 78%)
  • 정답은 "crontab -r"입니다. 이 명령어는 현재 사용자의 crontab 파일을 삭제합니다. "-u" 옵션을 사용하면 다른 사용자의 crontab 파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e" 옵션은 crontab 파일을 편집하고 "-l" 옵션은 현재 사용자의 crontab 파일을 출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C 드라이브에 Windows 98이 설치되어 있고, D 드라이브에 Linux가 설치되어 있다. Linux에서 Windows 98 드라이브를 마운트 하기 위해 /etc/fstab에 추가해야 할 명령어로 올바른 것은?

  1. /mnt/win98 /dev/hdb1 ntfs defaults 0 0
  2. /dev/hdb1 /mnt/win98 ext2 defaults 0 0
  3. /mnt/win98 /dev/hdb1 vfat defaults 0 0
  4. /dev/hdb1 /mnt/win98 vfat defaults 0 0
(정답률: 42%)
  • "/dev/hdb1 /mnt/win98 vfat defaults 0 0"이 올바른 명령어이다. 이는 /dev/hdb1이라는 장치를 /mnt/win98이라는 디렉토리에 vfat 파일 시스템으로 마운트하고,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이유는 Windows 98이 vfat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ntfs나 ext2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거나, 마운트할 장치와 디렉토리의 위치가 반대로 되어있기 때문에 올바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Linux 시스템 커널 버전에 대한 규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들도 유사한 방식의 버전 규칙을 사용한다.
  2. "커널 2.6.12" 가 있다면 맨 앞의 '2'는 메이저 번호이고, '6'은 마이너 번호이다.
  3. 버전의 두 번째 자리가 홀수이면 안정 버전, 짝수이면 개발 버전을 뜻한다.
  4. “uname -a” 명령을 사용하여 현재 사용하는 커널의 버전을 알 수 있다.
(정답률: 63%)
  • 버전의 두 번째 자리가 홀수이면 안정 버전, 짝수이면 개발 버전을 뜻한다는 규칙이 옳은 것이다. 이 규칙은 주로 Linux 커널에서 사용되며, 안정 버전은 보안 패치와 버그 수정 등의 안정화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고, 개발 버전은 새로운 기능 추가와 실험적인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규칙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들도 유사한 방식의 버전 규칙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커널 2.6.12" 가 있다면 맨 앞의 '2'는 메이저 번호이고, '6'은 마이너 번호이다. 또한, "uname -a" 명령을 사용하여 현재 사용하는 커널의 버전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Linux 설치 과정에서 방화벽 설정을 최상위 수준으로 선택하였을 때 차단되지 않는 서비스는?

  1. Active Mode FTP 서비스
  2. RealAudio 서비스
  3. 원격 X-Window 시스템 클라이언트의 접속 서비스
  4. TCP/IP 서비스
(정답률: 71%)
  • TCP/IP 서비스는 Linux 시스템에서 가장 기본적인 네트워크 서비스이며, 대부분의 네트워크 통신은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방화벽 설정을 최상위 수준으로 선택하였을 때도 TCP/IP 서비스는 차단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Active Mode FTP 서비스, RealAudio 서비스, 원격 X-Window 시스템 클라이언트의 접속 서비스는 방화벽 설정에 따라 차단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LAN Card의 IP Address를 세팅할 때 디폴트 게이트웨이 주소는 일반적으로 어디 주소를 의미하는가?

  1. 해당 PC가 접속되어 있는 허브의 IP Address
  2. 해당 PC의 IP Address의 맨 첫 주소
  3. 해당 PC의 IP Address의 맨 끝 주소
  4. 해당 PC가 접속되어 있는 라우터의 IP Address
(정답률: 68%)
  • LAN Card의 IP Address를 세팅할 때 디폴트 게이트웨이 주소는 일반적으로 "해당 PC가 접속되어 있는 라우터의 IP Address"를 의미한다. 이는 LAN Card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 라우터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폴트 게이트웨이 주소를 라우터의 IP Address로 설정해야 해당 PC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Cisco 2501 Router의 Port 구성 중 내부 LAN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1. AUI Ethernet Port
  2. Serial 0 Port
  3. Console Port
  4. AUX Port
(정답률: 47%)
  • "AUI Ethernet Port"는 내부 LAN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Ethernet 케이블을 사용하여 LAN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Serial 0 Port"는 WAN 연결에 사용되는 시리얼 케이블을 연결하는 포트이며, "Console Port"는 로컬로 라우터를 관리하기 위한 포트입니다. "AUX Port"는 모뎀이나 터미널 서버와 같은 외부 장치와의 연결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내부 LAN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AUI Ethernet Por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두 개의 완전한 다른 네트워크 사이의 데이터형식(Format)이나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장치로서 OSI 모델의 응용계층에서 동작하는 장치는?

  1. Bridge
  2. Router
  3. Gateway
  4. Repeater
(정답률: 70%)
  • Gateway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완전한 다른 네트워크 사이에서 데이터를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OSI 모델의 응용계층에서 동작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Gateway입니다. Bridge는 물리계층에서 동작하며,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Router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달을 담당합니다. Repeater는 물리계층에서 동작하며, 신호의 감쇠를 방지하여 데이터 전송 거리를 늘리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케이블의 두께가 사람의 머리카락 굵기만큼의 가는 유리 섬유로, 정보를 보내고 받는 속도가 가장 빠르고, 넓은 대역폭을 갖는 것은?

  1. Coaxial Cable
  2. Twisted Pair
  3. Thin Cable
  4. Optical Fiber
(정답률: 81%)
  • 케이블의 두께가 사람의 머리카락 굵기만큼의 가는 유리 섬유인 광섬유는 빛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기 신호를 이용하는 다른 케이블에 비해 정보를 보내고 받는 속도가 가장 빠르고, 또한 넓은 대역폭을 갖기 때문에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하여 업로드와 다운로드 속도가 다른 비대칭적인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디지털 변조기술은?

  1. FTTH
  2. WCDMA
  3. ADSL
  4. WiFi
(정답률: 71%)
  • ADSL은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의 약자로,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하여 업로드와 다운로드 속도가 다른 비대칭적인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디지털 변조기술입니다. 이는 인터넷을 이용하는 대다수의 사용자들이 다운로드를 많이 하고 업로드를 적게 하기 때문에, 다운로드 속도를 높이기 위해 업로드 속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설계되었습니다. 따라서 ADSL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와 가입자 간의 인터넷 연결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