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4-27)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08-04-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TCP/IP

1. IP Address의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같은 네트워크 구획상의 모든 호스트는 똑같은 네트워크 ID를 갖는다.
  2. 네트워크 구획상의 각 호스트는 같은 호스트 IP Address를 갖는다.
  3. 네트워크 ID는 '127’ 이 될 수 없다.
  4. 호스트 ID가 모두 ‘0’ 이 될 수 없다.
(정답률: 61%)
  • "네트워크 구획상의 각 호스트는 같은 호스트 IP Address를 갖는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각 호스트는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며, 이는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구성된다. 따라서 같은 네트워크 구획에 속해 있더라도 각 호스트는 서로 다른 IP 주소를 가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TCP/IP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TCP/IP에서 호스트에 대한 이름 해석 서비스는 반드시 DNS로 해야 한다.
  2. 호스트에 할당되는 IP Address 방식은 네트워크의 규모에 따라 일반적으로 A, B, C 세 개의 Class로 구성 된다.
  3. C Class를 사용하는 IP Address의 Subnet Mask는 “255.255.255.0” 으로 항상 고정시켜야 한다.
  4. 인터넷 접속을 위한 기본 프로토콜이지만 좀 더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외에도 NetBEUI 프로토콜이 추가로 필요하다.
(정답률: 74%)
  • TCP/IP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호스트에 할당되는 IP Address 방식은 네트워크의 규모에 따라 일반적으로 A, B, C 세 개의 Class로 구성됩니다. 이는 IP 주소 첫 번째 바이트의 범위에 따라 구분되며, 각 클래스마다 할당 가능한 호스트 수와 네트워크 수가 다릅니다. 예를 들어, A 클래스는 첫 번째 바이트가 1~126인 주소를 사용하며, 1개의 네트워크당 1677만 개의 호스트를 할당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Anonymous FT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하여 상호 통신한다.
  2. Internet의 많은 컴퓨터들이 Anonymous FTP를 사용하여 문서, S/W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3. 상대방 측 컴퓨터의 계정이 없어도 파일을 송수신 할 수 있다.
  4. "Anonymous" 계정으로 접속한다.
(정답률: 81%)
  • 일반적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하여 상호 통신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Anonymous FTP는 일반적으로 21번 포트를 사용하여 상호 통신합니다. 21번 포트는 FTP 프로토콜의 기본 포트이며, Anonymous FTP도 이를 따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공인 IP Address와 사설 IP Address를 매핑(Mapping)하는 기술은?

  1. DHCP
  2. ARP
  3. BOOTP
  4. NAT
(정답률: 75%)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은 공인 IP Address와 사설 IP Address를 매핑하는 기술로, 사설 네트워크에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NAT는 사설 IP Address를 공인 IP Address로 변환하여 인터넷 상에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따라서 NAT가 정답입니다. DHCP는 IP Address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프로토콜, ARP는 IP Address와 MAC Address를 매핑하는 프로토콜, BOOTP는 네트워크 부팅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전자우편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POP
  2. SMTP
  3. @, 계정, 호스트
  4. SNMP
(정답률: 84%)
  • 전자우편은 POP과 SMTP과 관련이 있으며, 이메일 주소는 @, 계정, 호스트와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SNMP는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로, 전자우편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SNMP가 가장 관계가 적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응용 계층 프로토콜과 그 역할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Finger - 로그인하고 있는 사용자의 정보 확인
  2. FTP - 파일 송수신
  3. Telnet - 원격지 시스템 로그인
  4. SMTP - 네트워크 관리
(정답률: 88%)
  • SMTP는 이메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관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SMTP - 네트워크 관리"가 잘못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인터넷 메일 호스트 사이에 아스키 형식(ASCII Format) 이외의 텍스트 및 화상이나 음성,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아스키 형식으로 변환할 필요 없이 인터넷 전자우편으로 송신하기 위한 인터넷 표준은?

  1. SMTP
  2. MIME
  3. IMAP
  4. POP
(정답률: 66%)
  • MIME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아스키 형식으로 변환하지 않고도 인터넷 전자우편으로 송신할 수 있는 인터넷 표준이다. MIME은 이메일에 여러 종류의 파일을 첨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텍스트, 화상, 음성, 영상 등의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MIME은 이메일의 다양한 형태를 지원하며, 이메일의 기능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IPv6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Pv6는 128bit의 길이로 되어 있다.
  2. 브로드 캐스트를 이용하여 IPv4와 상호 운용이 가능하다.
  3. IPv6는 유니, 애니, 멀티 캐스트로 나눈다.
  4. IP Next Generation, 즉 차세대 IP라고도 불리고 있다.
(정답률: 79%)
  • IPv6는 브로드캐스트를 이용하여 IPv4와 상호 운용이 불가능하다. 이는 IPv6에서는 브로드캐스트 대신 멀티캐스트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브로드캐스트는 모든 호스트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지만, 멀티캐스트는 그룹에 속한 호스트들에게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IPv6와 IPv4는 상호 운용이 가능하지만, 브로드캐스트를 이용한 통신은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원격에 있는 호스트 접속 시 암호화된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보다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rlogin과 같은 프로토콜을 보완하여 만든 프로토콜은?

  1. SSH
  2. SNMP
  3. SSL
  4. Telnet
(정답률: 86%)
  • SSH는 암호화된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보다 안전하게 원격 호스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보완된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SSH이다. SNMP는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SSL은 웹 보안 프로토콜, Telnet은 원격 로그인 프로토콜이지만 암호화되지 않아 보안에 취약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인터넷을 경유하여 로컬 네트워크에 접근할 때,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1. PPP
  2. PPTP
  3. HDLC
  4. CSLIP
(정답률: 64%)
  • PPTP는 Point-to-Point Tunneling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을 통해 로컬 네트워크에 접근할 때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데이터 전송에만 관여하며 보안 기능이 없기 때문에 PPTP가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HomePNA 기술에서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는 표준 전송 방식은?

  1. TCP/IP
  2. CSMA/CD
  3. HDLC
  4. VoIP
(정답률: 67%)
  • HomePNA 기술에서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는 표준 전송 방식은 CSMA/CD이다. 이는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의 약자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채널을 감지하여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절하고, 충돌이 발생하면 감지하여 재전송을 시도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SNM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CP를 이용하여 신뢰성 있는 통신을 한다.
  2.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다.
  3. 응용 계층 프로토콜이다.
  4. RFC 1157에 규정 되어 있다.
(정답률: 65%)
  • SNMP는 UDP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기 때문에 "TCP를 이용하여 신뢰성 있는 통신을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UDP는 신뢰성이 낮은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SNMP에서는 오류 검사와 재전송 등의 기능을 직접 구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LAN의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광대역 전송 매체의 사용으로 고속 통신이 가능하다.
  2. 라우팅과 같은 경로 선택이 필요하다.
  3. 하나의 네트워크 회선 자원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다.
  4.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기기와 통신이 가능하다.
(정답률: 50%)
  • "라우팅과 같은 경로 선택이 필요하다"는 LAN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LAN은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지리적으로 가까운 지역 내에서 컴퓨터나 기기들을 연결하여 통신하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LAN은 일반적으로 라우팅이 필요하지 않은 단일 서브넷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로 선택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라우팅과 같은 경로 선택이 필요하다"는 특징은 LAN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라우팅 프로토콜 중 홉(Hop)의 수에 제한을 받는 것은?

  1. SNMP
  2. RIP
  3. SMB
  4. OSPF
(정답률: 91%)
  • RIP는 홉(Hop) 수에 제한을 받는 거리 벡터(distance vector) 라우팅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라우터를 거칠 때마다 홉 수가 증가하다가 최대 홉 수에 도달하면 해당 경로를 사용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RIP는 홉 수에 제한을 받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최대 전송속도는 4Mbps 이고 전송될 수 있는 가장 긴 데이터 길이는 2,048Byte 이며, 차폐물이 가로막고 있을 경우에는 통신이 불가능한 무선 근거리 통신기술은?

  1. Bluetooth
  2. Home RF
  3. IrDA
  4. WLAN
(정답률: 50%)
  • IrDA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기술로, 가로막는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는 통신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차폐물이 있는 환경에서는 사용하기 어렵지만, 전송속도가 빠르고 데이터 길이가 긴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전력선 통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전력선 통신은 가정이나 사무실에 이미 구축되어 있는 전력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이다.
  2. 전력선 통신은 신호전달을 위해 높은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전제품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
  3. 전력선 통신은 전력선을 통신매체로 사용하기 때문에 동축 케이블이나 광섬유 등을 이용한 통신과 달리 잡음이나 감쇄가 심하다.
  4. 전력선 통신은 100KHz에서 30MHz 사이의 고주파 대역에 신호를 실어 보내고 고주파 필터를 통해 신호를 구분해 내는 방식이다.
(정답률: 78%)
  • 전력선 통신은 신호전달을 위해 높은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전제품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는 설명이 가장 옳지 않다. 전력선 통신은 실제로는 낮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이는 가전제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에서 설명하는 통신방식은?

  1. WLAN
  2. IrDA
  3. UWB
  4. Bluetooth
(정답률: 46%)
  • 이 통신방식은 UWB (Ultra Wideband) 입니다. UWB는 매우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로, 매우 빠르고 짧은 거리에서 높은 대역폭을 제공합니다. 이 방식은 무선 USB, 무선 HDMI 등의 높은 대역폭이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8. OSI 참조모델의 상위층 레벨 프로토콜에 해당되는 것은?

  1. 표현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데이터 링크 계층
  4. 물리 계층
(정답률: 89%)
  • 표현 계층은 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하고 암호화, 복호화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 상위 계층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하위 계층에서 사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상위층 레벨 프로토콜에 해당되는 것은 표현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공중 통신 사업자로부터 통신 회선을 임대하여 컴퓨터를 접속시킨 후 이 컴퓨터가 갖고 있는 정보를 여러 사용자에게 재판매하는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1. VAN
  2. LAN
  3. INS
  4. ISDN
(정답률: 72%)
  • VAN은 Virtual Private Network의 약자로, 공중 통신 사업자로부터 임대한 회선을 이용하여 가상의 사설망을 구축하여 여러 사용자가 안전하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설명하는 시스템은 VAN에 해당한다. LAN은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지리적으로 가까운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INS는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의 약자로, 디지털 전화망을 의미한다. ISDN은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의 약자로, 디지털 전화망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LAN의 Topology 중 공통 배선에 시스템의 모든 요소를 연결하는 방식은?

  1. 스타형
  2. 버스형
  3. 링형
  4. 결선형
(정답률: 90%)
  • 위의 그림에서 모든 시스템 요소들이 한 줄의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케이블은 중앙에서 분기되어 각 요소에 연결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버스형 토폴로지로, 모든 요소가 공통 배선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때문에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고속 Ethernet의 액세스 방식에 해당되는 것은?

  1. ALOHA
  2. CSMA/CD
  3. Token Bus
  4. Token Ring
(정답률: 81%)
  • CSMA/CD는 고속 Ethernet의 액세스 방식 중 하나입니다. 이는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의 약자로, 즉 충돌 감지를 통해 여러 대의 컴퓨터가 동시에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컴퓨터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네트워크를 감지하고, 다른 컴퓨터가 전송 중인지 확인합니다. 만약 충돌이 발생하면, 각 컴퓨터는 임의의 시간 동안 대기한 후 다시 전송을 시도합니다. 이 방식은 Ethernet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액세스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ADSL에 대한 내용으로 잘못된 것은?

  1. 기존의 전화회선을 이용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고속의 인터넷을 제공한다.
  2. Asymmetric이란 송수신 속도가 다른 속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3. 전화국과 연결하기 위해 일반 랜 카드가 필요하며, 랜 카드와 전화선을 연결하기 위한 Splitter라는 기기가 필요하다.
  4. 전화국에서 5Km 내에 있어야 속도가 보장되며, 그 이상 거리가 멀어 질수록 전송 속도가 저하된다.
(정답률: 57%)
  • "전화국과 연결하기 위해 일반 랜 카드가 필요하며, 랜 카드와 전화선을 연결하기 위한 Splitter라는 기기가 필요하다."가 잘못된 내용이다. 일반 랜 카드 대신 ADSL 모뎀이 필요하며, Splitter는 전화선과 ADSL 모뎀을 연결하기 위한 기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프로토콜을 형성하는 기능 중 각 계층의 데이터에 제어 정보를 부착하는 것은?

  1. 캡슐화
  2. 다중화
  3. 세분화
  4. 동기화
(정답률: 82%)
  • 캡슐화는 각 계층의 데이터에 제어 정보를 부착하여 프로토콜을 형성하는 기능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보호하고,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즉, 데이터를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해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하나의 단위로 묶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사례에 적당한 네트워크 확장 방법은?

  1. 공인된 IP Address를 ISP에 요청하여 라우터 및 클라이언트에 부여한다.
  2. Router의 NAT 기능을 활용한다.
  3. DHCP 기능을 사용한다.
  4. BOOTP 기능을 활용한다.
(정답률: 62%)
  • 이 사례에서는 하나의 공인 IP 주소만을 사용하여 여러 개의 사설 IP 주소를 가진 클라이언트들이 인터넷에 접속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Router의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능을 활용하여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환해야 한다. 이 방법은 IP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보안성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Router의 NAT 기능을 활용한다."가 적당한 네트워크 확장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불특정 다수의 웹 사용자를 대상으로 글을 게시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사용자의 글을 자유롭게 조회할 수 있는 시스템은?

  1. BBS
  2. FTP
  3. DNS
  4. E-Mail
(정답률: 70%)
  • BBS는 Bulletin Board System의 약자로, 사용자들이 글을 게시하고 다른 사용자들이 그 글을 조회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이는 불특정 다수의 웹 사용자를 대상으로 글을 게시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사용자의 글을 자유롭게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BBS가 정답입니다.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 DNS는 도메인 이름 시스템, E-Mail은 전자우편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광파이버(Optic Fiber)의 굴절률이 전파하는 광의 파장에 의해 변화함으로써 생기는 파형의 퍼짐을 뜻하는 것은?

  1. 색 분산
  2. 구조 분산
  3. 도파로 분산
  4. 재료 분산
(정답률: 41%)
  • 광파이버의 굴절률이 파장에 따라 변화하면 광의 속도도 변화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광이 전파하는 도중에 파장에 따라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파형이 퍼지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재료 분산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적외선 방식을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응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적외선 포트가 설치된 데스크 탑, 노트북, PDA 간 상호통신
  2. 적외선을 지원하는 주변기기(디지털 카메라, 프린터 등)와 컴퓨터의 상호통신
  3. 적외선을 지원하는 휴대폰과 휴대폰의 상호통신
  4. 적외선을 지원하는 휴대폰과 기지국의 상호통신
(정답률: 82%)
  • 적외선을 지원하는 휴대폰과 기지국의 상호통신이 가장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이동통신망에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 기술인 CDMA, GSM, LTE 등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적외선은 짧은 거리에서만 통신이 가능하며, 빛의 방해를 받을 경우 통신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동통신망에서는 적외선을 사용하지 않고,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통신 기술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NOS

28. Linux 시스템에 설치된 입출력 장치들과 마운트 될 파일시스템의 마운트 포인터가 위치하는 디렉터리는?

  1. /dev
  2. /lib
  3. /root
  4. /mnt
(정답률: 71%)
  • "/mnt" 디렉터리는 일반적으로 시스템에 마운트 될 파일시스템을 위한 디렉터리로 사용됩니다. 이 디렉터리는 시스템 관리자가 필요에 따라 임시로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하거나, 외부 저장 장치를 연결하여 마운트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입출력 장치들과 마운트 될 파일시스템의 마운트 포인터가 위치하는 디렉터리로 "/mnt"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Windows 2000 Server에서 DHCP를 사용해 IP Address가 동적으로 할당되도록 하였다. 필요에 의해 특정 클라이언트가 특정 IP Address를 할당 받게 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어느 메뉴 항목에서 설정해야 하는가?

  1. 주소 풀
  2. 주소 임대
  3. 예약
  4. 범위 옵션
(정답률: 49%)
  • 정답은 "예약"이다.

    DHCP 서버에서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하게 되면, 클라이언트는 DHCP 서버에서 IP 주소를 요청하고, DHCP 서버는 사용 가능한 IP 주소 중 하나를 할당해준다. 이때, 특정 클라이언트가 특정 IP 주소를 할당 받기 위해서는 해당 IP 주소를 예약해야 한다.

    예약을 하게 되면, DHCP 서버는 해당 IP 주소를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할당해준다. 이후에는 해당 IP 주소가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할당되지 않고, 항상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할당되게 된다.

    따라서, 예약을 통해 특정 클라이언트가 특정 IP 주소를 할당 받을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Linux의 lilo.conf 설정파일에서 기본적으로 부팅되는 운영체제를 선택하는 옵션은?

  1. boot
  2. map
  3. default
  4. prompt
(정답률: 52%)
  • "default" 옵션은 lilo.conf 설정파일에서 기본적으로 부팅되는 운영체제를 선택하는 옵션이다. 이 옵션은 설정파일에서 지정된 운영체제 중에서 가장 먼저 부팅되는 운영체제를 선택한다. 만약 설정파일에서 "default"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lilo는 가장 최근에 부팅된 운영체제를 기본으로 선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Windows 2000 Server에서 그룹 계정을 사용하는 이유는 그룹에 권한을 설정하여 사용자 계정을 포함시키면 관리하기 편리해지기 때문이다. 그룹 계정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Local Group
  2. Domain Local Group
  3. Network Group
  4. Global Group
(정답률: 61%)
  • Windows 2000 Server에서는 Local Group, Domain Local Group, Global Group이 그룹 계정의 종류에 해당한다. Network Group은 존재하지 않는 그룹 계정이며, 따라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Windows 2000 Server의 기본 보안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최소 암호 길이의 설정
  2. 최소 암호 기간의 설정
  3. 사용자 암호 사용 기간 제한 및 암호의 복잡성 설정
  4. User 및 Group들의 검색 허용 설정
(정답률: 73%)
  • Windows 2000 Server의 기본 보안 설정 중에서 "User 및 Group들의 검색 허용 설정"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 설정은 다른 사용자가 사용자 및 그룹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으로, 보안상 취약점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다른 설정들은 암호의 길이, 기간, 복잡성 등을 제한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것이지만, 이 설정은 보안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설정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Windows 2000 Server의 사용자 계정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새로 생성된 계정으로 로그인 하는 경우에 반드시 암호를 다시 지정해야 한다.
  2. 모든 암호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3. 일정 기간이 지나면 암호를 반드시 변경해야 한다.
  4. 계정을 삭제하지 않고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정답률: 60%)
  • Windows 2000 Server에서는 사용자 계정에 대해 비밀번호 정책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일정 기간이 지나면 암호를 변경하도록 강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 계정을 비활성화하면 계정을 삭제하지 않고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Windows 2000 Server가 설치되면서 자동 생성되는 그룹으로 수정이 불가능한 그룹은?

  1. Local Group
  2. System Group
  3. Built-In Group
  4. Application Group
(정답률: 65%)
  • Built-In Group은 Windows 2000 Server 설치 시 자동으로 생성되는 그룹으로, 시스템의 기본적인 운영에 필요한 권한과 설정이 미리 정의되어 있어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은 시스템의 핵심적인 기능을 조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Windows 2000 Server가 감사할 수 있는 이벤트의 종류를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 정책 변경 : 사용자 보안옵션, 사용자 권한 또는 계정 정책이 변경되는 이벤트
  2. 시스템 이벤트 : Windows 2000 보안 및 보안 로그에 영향을 주는 이벤트
  3. 디렉터리 서비스 액세스 : 사용자가 파일, 폴더 또는 프린터에 액세스 하는 이벤트
  4. 권한 사용 : 시스템 시간 변경과 같은 사용자가 권한을 사용한 이벤트
(정답률: 55%)
  • 잘못된 것은 없습니다. 모든 보기가 Windows 2000 Server가 감사할 수 있는 이벤트의 종류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디렉터리 서비스 액세스 : 사용자가 파일, 폴더 또는 프린터에 액세스하는 이벤트"는 사용자가 파일, 폴더 또는 프린터에 액세스하는 이벤트를 감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NetBIOS 이름을 IP Address로 변환해 주는 것은?

  1. DNS
  2. WINS
  3. HOSTS
  4. ARP
(정답률: 62%)
  • WINS는 NetBIOS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서비스입니다. DN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서비스이며, HOSTS 파일은 로컬 시스템에서 IP 주소와 호스트 이름을 매핑하는 데 사용됩니다. ARP는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NetBIOS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WINS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Windows 2000 Server의 디폴트 보안 템플릿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디폴트 보안 템플릿은 처음부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2. 디폴트 보안 설정은 NTFS 파일시스템 볼륨에서만 적용된다.
  3. Windows 2000 설치 플랫폼(Professional, Server, Domain Controller)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4. 디폴트 보안 템플릿은 Windows 2000 Server가 설치된 파티션의 “/winnt/inf” 폴더 안에 존재한다.
(정답률: 51%)
  • "디폴트 보안 설정은 NTFS 파일시스템 볼륨에서만 적용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디폴트 보안 템플릿은 Windows 2000 Server가 설치된 모든 볼륨에 대해 적용된다. 이는 FAT32 파일시스템을 사용하는 볼륨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Windows 2000 설치 플랫폼(Professional, Server, Domain Controller)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되는 이유는 모든 Windows 2000 버전에서 동일한 디폴트 보안 템플릿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Windows 2000 Server의 보안 구성 작업 자동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명령 프롬프트에서 동적으로 실행된다.
  2. 여러 컴퓨터에서 보안을 분석하거나 구성하고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작업을 수행할 때 유용하다.
  3. 템플릿이 미리 작성되어 있어야 이용 가능하다.
  4. Secedit.exe 도구를 이용한다.
(정답률: 56%)
  • "템플릿이 미리 작성되어 있어야 이용 가능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Windows 2000 Server의 보안 구성 작업 자동화는 Secedit.exe 도구를 이용하여 명령 프롬프트에서 동적으로 실행되며, 여러 컴퓨터에서 보안을 분석하거나 구성하고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작업을 수행할 때 유용합니다. 템플릿은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Linux의 kill 명령어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현재 동작 중인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명령이다.
  2. kill 과 유사한 명령어 killall 은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이름으로 종료시킨다.
  3. “kill -9 프로세스_번호”는 중단되지 않는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시킨다.
  4. “kill 프로세스_번호”를 사용하면 언제나 원하는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수 있다.
(정답률: 55%)
  • "“kill 프로세스_번호”를 사용하면 언제나 원하는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수 있다."가 가장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해당 프로세스가 종료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만약 해당 프로세스가 다른 사용자나 시스템 프로세스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면 종료할 수 없다. 또한, 종료되지 않는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시키기 위해서는 "kill -9 프로세스_번호"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Windows 2000 Server의 “시스템 성능 모니터”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여러 컴퓨터의 데이터를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다.
  2. 시스템 성능 모니터를 이용하면 네트워크 내에 모든 컴퓨터의 프로세서, 메모리, 캐시, 프로세스, 스레드 등의 작동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3. 차트, 로그, 경고, 보고서의 내용을 데이터베이스나 혹은 스프레드시트로 가져갈 수 있다.
  4. 시스템의 정확한 작동 정보를 위한 베이스 라인을 설정은 다수의 사용자가 시스템을 이용할 때 설정한다.
(정답률: 51%)
  • 정답: "시스템의 정확한 작동 정보를 위한 베이스 라인을 설정은 다수의 사용자가 시스템을 이용할 때 설정한다."

    설명: 시스템 성능 모니터는 시스템의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도구로, 여러 컴퓨터의 데이터를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내에 모든 컴퓨터의 작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또한, 차트, 로그, 경고, 보고서의 내용을 데이터베이스나 스프레드시트로 가져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베이스 라인 설정은 시스템을 이용하는 다수의 사용자가 아닌, 시스템 관리자나 전문가가 설정하는 것이 올바릅니다. 베이스 라인은 시스템의 정상 작동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되며, 이를 기반으로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고 대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Windows 2000 Server에서 원격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GUI 환경으로 관리자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1. X 윈도우 서비스
  2. WINS 서비스
  3. NNTP 서비스
  4. 터미널 서비스
(정답률: 60%)
  • Windows 2000 Server에서 원격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GUI 환경으로 관리자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터미널 서비스"입니다. 이는 원격 데스크톱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서버에 로그인하고 GUI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합니다. 다른 서비스들은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하며, 원격으로 GUI 환경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보조 DNS(Domain Name System)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도메인 데이터베이스 수정은 보조 DNS 서버와 주 DNS서버 동시에 이루어진다.
  2. 결함 허용을 위해 보조 DNS 서버를 이용한다.
  3. 여러 대의 보조 DNS 서버를 둘 수 있다.
  4. 주 DNS 서버가 다운되면 보조 DNS 서버 중 하나를 주 DNS 서버로 승격시킬 수 있다.
(정답률: 56%)
  • "도메인 데이터베이스 수정은 보조 DNS 서버와 주 DNS서버 동시에 이루어진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도메인 데이터베이스 수정은 주 DNS 서버에서 이루어지며, 이후 주 DNS 서버는 변경된 정보를 보조 DNS 서버에 전파합니다. 보조 DNS 서버는 주 DNS 서버의 정보를 복제하여 사용하므로, 주 DNS 서버에서 변경된 정보가 전파되기 전까지는 보조 DNS 서버에서는 변경된 정보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Windows 2000 Server에서 구성된 FTP 사이트를 변경할 때 [FTP 사이트] 탭과 관련 없는 것은?

  1. IP 주소 및 포트
  2. 연결 수 제한
  3. 로깅 사용
  4. 익명 연결 허용
(정답률: 42%)
  • 정답: "익명 연결 허용"

    설명: FTP 사이트를 변경할 때 IP 주소 및 포트, 연결 수 제한, 로깅 사용 등과 같은 설정을 변경할 수 있지만, 익명 연결 허용은 FTP 사이트의 보안과 관련된 설정이므로 FTP 사이트를 변경하는 데는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습니다. 익명 연결 허용은 FTP 사용자가 로그인 없이 FTP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설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Windows 2000 Server의 이벤트 뷰어에서 제공되는 이벤트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류 : 데이터 손실이나 기능 상실 같은 중대한 문제를 기록한다.
  2. 정보 : 서비스 수행에서 필요한 데이터 정보를 기록한다.
  3. 경고 :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리 알려주는 이벤트이다.
  4. 성공 감사 : 감사된 보안 이벤트가 성공했음을 나타낸다.
(정답률: 45%)
  • 정보 이벤트는 서비스 수행에서 필요한 데이터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Windows 2000 Server에서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 5.0을 사용하여 구축하는 서버로 옳지 않은 것은?

  1. HTTP 서버
  2. Terminal 서버
  3. FTP 서버
  4. NNTP 서버
(정답률: 62%)
  • Windows 2000 Server에서 IIS 5.0은 HTTP, FTP, NNTP 서버를 구축할 수 있지만, Terminal 서버는 구축할 수 없습니다. Terminal 서버는 Windows Server 운영 체제에서 별도로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광섬유에서 광의 입사각 조건을 표시하는 것은?

  1. 코어(CORE)
  2. 클래드(CLAD)
  3. 모드수(MODE)
  4. 개구수(NA)
(정답률: 58%)
  • 광섬유에서 광의 입사각 조건을 표시하는 것은 개구수(NA)입니다. 개구수는 광섬유 내부에서 광선이 진행될 때, 광섬유 내부에서 전반사를 일으키지 않고 외부로 나갈 수 있는 최대 입사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개구수가 크면 광섬유 내부에서 광선이 더 멀리 진행될 수 있으므로 광섬유의 전송 손실이 적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버스형 또는 데이지 체인형 네트워크의 종단에 부착하는 장치로 신호를 흡수함으로써 다시 반향되지 않도록 하는 장비는?

  1. Repeater
  2. Switch
  3. Bridge
  4. Terminator
(정답률: 76%)
  • Terminator는 버스형 또는 데이지 체인형 네트워크의 종단에 부착하는 장치로, 신호를 흡수하여 다시 반향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네트워크에서 신호가 끝나는 지점을 명확하게 표시하고, 신호의 반사를 방지하여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따라서 Terminator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두 개의 완전한 다른 네트워크 사이의 데이터 형식(Format)이나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장치로서 OSI 모델의 모든 계층을 포함하여 동작하는 장비는?

  1. Bridge
  2. Router
  3. Gateway
  4. Repeater
(정답률: 76%)
  • Gateway는 두 개의 완전한 다른 네트워크 사이에서 데이터 형식이나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따라서 OSI 모델의 모든 계층을 포함하여 동작할 수 있어 다른 장비들보다 더욱 유연하게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Bridge는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을 중계하는 장치, Router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장치, Repeater는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는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무선 랜의 구성 방식 중 무선랜 카드를 가진 컴퓨터 간의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작동하는 방식은?

  1. Infrastructure
  2. Ad Hoc
  3. Bridge
  4. CSMA/CD
(정답률: 58%)
  • Ad Hoc 방식은 무선 랜 카드를 가진 컴퓨터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인프라스트럭처나 브리지와 같은 중개 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각 컴퓨터가 서로를 인식하여 통신할 수 있다. CSMA/CD는 이더넷에서 사용되는 충돌 방지 기술로, 무선 랜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Ad Hoc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A-빌딩에 무선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고, 근접한 B-빌딩 역시 무선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을 때, 두 빌딩간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장비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액세스 포인트
  2. 무선 랜카드
  3. 위성 안테나
  4. 무선 브리지
(정답률: 59%)
  • 무선 브리지는 두 개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비로, A-빌딩과 B-빌딩 사이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강력한 신호로 변환하여 다른 층에서 다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무선 브리지가 두 빌딩 간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장비입니다. 액세스 포인트는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 중 하나이며, 무선 랜카드는 컴퓨터나 노트북 등에 장착되어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기기입니다. 위성 안테나는 위성 통신에 사용되는 장비로, 두 빌딩 간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