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7-20)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08-07-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TCP/IP

1. TCP/I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CP는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프로토콜이다.
  2. IP는 링크 계층(Link Layer) 프로토콜이다.
  3. TCP는 전송 및 에러 검출을 담당한다.
  4. Telnet과 FTP는 모두 응용 프로토콜이다.
(정답률: 70%)
  • IP는 링크 계층(Link Layer) 프로토콜이 아니라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프로토콜이다. IP는 패킷을 전송하고 라우팅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C Class에서 유효한 IP Address는?

  1. 33.114.17.24
  2. 128.46.83.25
  3. 202.67.13.87
  4. 222.248.256.34
(정답률: 85%)
  • C Class의 IP 주소 범위는 192.0.0.0 ~ 223.255.255.255 이므로, "33.114.17.24"와 "222.248.256.34"는 유효한 IP 주소가 아닙니다. "128.46.83.25"는 B Class의 IP 주소 범위에 속하므로 C Class에서는 유효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202.67.13.87"은 C Class의 IP 주소 범위에 속하고 유효한 IP 주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TCP/IP의 기본 설정 DNS 서버 주소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로 올바른 것은?

  1. ipconfig /release
  2. ipconfig /renew
  3. ipconfig /setup
  4. ipconfig /all
(정답률: 81%)
  • 정답은 "ipconfig /all" 입니다. 이 명령어는 현재 컴퓨터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모두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이 중에서 DNS 서버 주소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pconfig /release"는 현재 할당된 IP 주소를 해제하는 명령어이고, "ipconfig /renew"는 새로운 IP 주소를 할당받는 명령어입니다. "ipconfig /setup"은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IP 패킷은 네트워크 유형에 따라 전송량에 있어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적당한 크기로 분할하게 된다. 이때, 기준이 되는 것은?

  1. TOS
  2. MTU
  3. TTL
  4. Port Number
(정답률: 72%)
  • IP 패킷은 전송하는 네트워크의 MTU(Maximum Transmission Unit)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분할되게 된다. MTU는 네트워크에서 전송 가능한 최대 패킷 크기를 의미하며, 이를 초과하면 패킷이 분할되어 전송되게 된다. 따라서 IP 패킷의 크기는 MTU를 기준으로 결정되며, 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적절히 분할해야 한다. TOS는 서비스 유형, TTL은 패킷 수명, Port Number는 프로세스 식별에 사용되는 정보이므로 IP 패킷의 크기 결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프로토콜의 부하가 적어 분산 처리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에 많이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은?

  1. UDP
  2. TCP
  3. IGMP
  4. ICMP
(정답률: 76%)
  • UDP는 비연결형 프로토콜로, 데이터 전송에 대한 확인 절차가 없어 부하가 적습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분산 처리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많이 사용됩니다. 반면 TCP는 연결형 프로토콜로, 데이터 전송에 대한 확인 절차가 있어 부하가 많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UDP가 이러한 서비스에 더 적합합니다.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며, IGMP는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로,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ICMP 메시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호스트의 IP Address가 중복된 경우
  2.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보낼 수 없는 경우
  3. 데이터의 TTL 필드 값이 ‘0’이 되어 데이터를 삭제 할 경우
  4. 데이터의 헤더 값에 오류를 발견한 경우
(정답률: 60%)
  • ICMP 메시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호스트의 IP Address가 중복된 경우"이다. 이는 ARP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메시지이며, ICMP는 네트워크 상황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이다. 따라서 ICMP 메시지에서는 호스트의 IP Address 중복과 같은 ARP와 관련된 내용은 다루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원격에 있는 호스트 접속 시 암호화된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보다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rlogin과 같은 프로토콜을 보완하여 만든 프로토콜은?

  1. SSH
  2. SNMP
  3. SSL
  4. Telnet
(정답률: 86%)
  • SSH는 암호화된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보다 안전하게 원격 호스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보완된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SSH이다. SNMP는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SSL은 웹 보안 프로토콜, Telnet은 원격 로그인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서버 내 서비스들은 서로가 다른 문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데 이를 포트라고 한다. 서비스에 따른 기본 포트 번호로 옳지 않은 것은?

  1. FTP - 21
  2. Telnet - 23
  3. SMTP - 25
  4. WWW - 81
(정답률: 94%)
  • 정답은 "WWW - 81"이다. 일반적으로 WWW 서비스는 80번 포트를 사용한다. 81번 포트는 일부 웹 서버에서 사용되기는 하지만 기본 포트 번호는 아니다.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을 위한 21번 포트, Telnet은 원격 로그인을 위한 23번 포트, SMTP는 이메일 전송을 위한 25번 포트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FTP 서비스의 명령어에 대해 옳지 않은 것은?

  1. Quit : 서비스 종료
  2. Hash : 전송 상태 표시
  3. Help : 명령어 도움말
  4. Connect : FTP 서버 접속
(정답률: 53%)
  • Connect는 FTP 서버에 접속하는 명령어이므로 옳은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Anonymous FT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대 컴퓨터의 계정 없이도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 할 수 있다.
  2. 자신의 전자 메일 주소를 패스워드로 사용한다.
  3. Anonymous라는 계정을 이용하여 접속한다.
  4. Anonymous FTP를 사용하면, 텍스트 문서만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정답률: 67%)
  • Anonymous FTP를 사용하면, 텍스트 문서만을 송수신할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Anonymous FTP를 통해 이진 파일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FTP의 약어 풀이로 올바른 것은?

  1. File Transmission Protocol
  2. File Transfer Program
  3. File Transmission Program
  4. File Transfer Protocol
(정답률: 78%)
  • 올바른 것은 "File Transfer Protocol" 입니다. FTP는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며, 프로그램이 아닌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Program" 대신 "Protocol"이 사용됩니다. 또한 "Transmission" 대신 "Transfer"가 사용되는 이유는 파일을 전송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전자메일에 대한 사항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전자메일은 TCP/IP 프로토콜 슈트의 응용 계층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이다.
  2. TCP/IP 프로토콜 슈트에서 전자메일 전송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은 SMTP이다.
  3. 전자메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자메일 주소를 갖고 있어야 하며, 전자메일 주소는 호스트의 "사용자_계정@도메인_이름" 형태로 구성된다.
  4. 전자메일의 주소는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으로만 가능하며, 호스트의 IP Address로는 사용 불가능하다.
(정답률: 75%)
  • 전자메일의 주소는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으로만 가능하며, 호스트의 IP Address로는 사용 불가능하다. 이는 도메인 이름이 변경될 경우 IP 주소도 함께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여 주소를 지정하는 것이 더 안정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SNMP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자가 네트워크 문제점을 발견하기 전에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이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2. 데이터 전송은 UDP를 사용한다.
  3. IP에서의 오류 제어를 위하여 사용되며, 시작지 호스트의 라우팅 실패를 보고한다.
  4. 네트워크의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네트워크의 관리를 지원하고 성능을 향상시킨다.
(정답률: 57%)
  • "IP에서의 오류 제어를 위하여 사용되며, 시작지 호스트의 라우팅 실패를 보고한다."는 SNMP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의 역할이며, SNMP은 네트워크의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네트워크의 관리를 지원하고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가정 내에 구축되어 있는 전화 배선을 이용하여 고속의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술은?

  1. IrDA
  2. PLC
  3. Home PNA
  4. IEEE 802.15
(정답률: 73%)
  • "Home PNA"은 가정 내에 구축된 전화 배선을 이용하여 고속의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술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인프라레드, 전력선 통신,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 기술이므로, 전화 배선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구축과 관련된 기술은 "Home PN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컴퓨터 주변기기의 연결에 사용되는 다양한 커넥터 규격 호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직렬 전송버스 규격은?

  1. PLC
  2. IEEE 802.11
  3. IEEE 1394
  4. WAP
(정답률: 62%)
  • IEEE 1394는 다양한 컴퓨터 주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직렬 전송버스 규격으로,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 규격은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대부분의 컴퓨터와 주변기기에서 지원되는 표준 규격입니다. 따라서 다양한 기기들을 쉽게 연결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IPv6는 IPng(IP next Generation),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이라고 불리고 있다. IPv6 주소 필드 bit 수는?

  1. 32bit
  2. 64bit
  3. 128bit
  4. 256bit
(정답률: 89%)
  • IPv6 주소 필드 bit 수는 128bit이다. 이는 IPv4의 32bit 주소보다 4배 더 많은 주소 공간을 제공하며, 인터넷의 확장성과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되었다. IPv6 주소는 8개의 16진수 블록으로 구성되며, 각 블록은 콜론(:)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는 유효한 IPv6 주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블루투스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주파수 호핑 속도가 빠른 DSSS(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을 사용하여 간섭에 강하다는 점이다.
  2. 1대의 Master가 7대까지의 Slave를 연결하는 피코넷(Piconet)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주요 통신방식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한다.
  4. 부품의 전력 소모량이 크고, 그 부피도 큰 편이므로 소형 모바일 기기에 내장시키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정답률: 59%)
  • 블루투스 기술은 1대의 Master가 7대까지의 Slave를 연결하는 피코넷(Piconet)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은 2번입니다. 이는 블루투스의 주요 특징 중 하나로, 여러 기기를 동시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8. 다음 에러제어 기법 중 자동 재전송 기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top and Wait ARQ
  2. Go-Back N ARQ
  3. 전진에러 수정(FEC)
  4. Selective ARQ
(정답률: 72%)
  • 전진에러 수정(FEC)은 자동 재전송 기법이 아니라 에러 제어 기법 중 하나입니다. FEC는 전송 전에 추가적인 정보를 전송하여 에러를 수정하는 방법으로, 재전송이 아닌 에러 수정 방법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전진에러 수정(FE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패킷 교환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연결설정에 따라 가상회선과 데이터 그램으로 분류된다.
  2. 메시지를 보다 짧은 길이의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한다.
  3. 망에 유입되는 데이터의 양이 많아질수록 전송속도가 빠르다.
  4. 블록킹 현상이 없다.
(정답률: 88%)
  • 망에 유입되는 데이터의 양이 많아질수록 전송속도가 빠르다는 것은 패킷 교환망의 특징이 아닙니다. 이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패킷 교환망은 메시지를 보다 짧은 길이의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고, 연결설정에 따라 가상회선과 데이터 그램으로 분류됩니다. 또한 패킷 교환망은 블록킹 현상이 없어서 전송 중인 패킷이 다른 패킷의 전송을 방해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아래의 OSI 참조모델 계층 중에서 가장 하위 계층에 해당하는 계층은?

  1. 응용 계층
  2. 표현 계층
  3. 네트워크 계층
  4. 세션 계층
(정답률: 84%)
  • 가장 하위 계층은 "물리 계층"이지만, 보기에서는 "네트워크 계층"이 가장 하위 계층으로 나와 있습니다. 이는 OSI 참조모델에서는 가장 하위 계층이 물리 계층이지만, TCP/IP 모델에서는 가장 하위 계층이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을 합친 "네트워크 접근 계층"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OSI 참조모델에서 가장 하위 계층은 "물리 계층"이지만, TCP/IP 모델에서는 "네트워크 접근 계층"이 가장 하위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컴퓨터 추가 설정이 용이하고, 중앙관리가 가능한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1. Bus
  2. Star
  3. Ring
  4. Mesh
(정답률: 80%)
  • Star 토폴로지는 컴퓨터 추가 설정이 용이하고, 중앙관리가 가능한 토폴로지이다. 이는 모든 컴퓨터가 중앙의 허브나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새로운 컴퓨터를 추가하거나 문제가 발생한 컴퓨터를 관리하기 쉽다. 또한, 한 컴퓨터의 문제가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의 프레임에서 플래그 필드(Flag Field)를 2진수로 표현 한 것은?

  1. 11110000
  2. 10000001
  3. 01111110
  4. 00001111
(정답률: 60%)
  • HDLC 프레임에서 플래그 필드는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플래그 필드는 01111110으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01111110"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HDLC 프레임에서 사용되지 않는 값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지리적으로 근거리 통신망 보다 넓은 지역을 포함하는 통신망으로 올바른 것은?

  1. WAN
  2. LAN
  3. PAN
  4. VAN
(정답률: 84%)
  • "WAN"은 Wide Area Network의 약자로, 광범위한 지역을 포함하는 통신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근거리 통신망(LAN)보다 더 넓은 지역을 커버할 수 있습니다. PAN(Personal Area Network)은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통신망이며, VAN(Virtual Area Network)은 가상의 지역을 연결하는 통신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인터넷의 기본적인 통신 프로토콜로서, 인트라넷이나 엑스트라넷과 같은 사설망에서도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1. IPX
  2. SMTP
  3. SPX
  4. TCP/IP
(정답률: 75%)
  • TCP/IP는 인터넷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이며, 인트라넷이나 엑스트라넷과 같은 사설망에서도 사용됩니다. 이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IP(Internet Protocol)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데이터의 전송과 라우팅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TCP/IP는 인터넷과 관련된 모든 통신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비대칭형 전송모드에 해당되지 않는 DSL 종류는?

  1. ADSL
  2. SDSL
  3. RADSL
  4. UADSL
(정답률: 53%)
  • SDSL은 Symmetric DSL의 약자로, 상하향 속도와 하향 속도가 동일한 전송 모드를 의미합니다. 반면, ADSL, RADSL, UADSL은 모두 비대칭형 전송 모드에 해당됩니다. 이들은 상하향 속도가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며, 주로 인터넷 사용 시 다운로드 속도를 높이기 위해 하향 속도를 더 빠르게 설정합니다. 따라서 SDSL은 비대칭형 전송 모드에 해당되지 않는 DSL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VoIP에서 H.323 게이트 키퍼의 기능은?

  1. NIC으로 LAN에 직접 연결하는 기능
  2. 터미널의 등록과 인증 대역폭 관리 기능
  3. 터미널간의 실시간 양방향 음성통신지원 기능
  4.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제공하는 기능
(정답률: 45%)
  • H.323 게이트 키퍼는 VoIP에서 터미널의 등록과 인증을 관리하며,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VoIP 통신에서 안정적인 통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터미널의 등록과 인증 대역폭 관리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광통신은 빛의 전반사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관련이 없는 것은?

  1. 코어의 굴절률이 클래드 보다 클 때 발생
  2. 입사각이 임계각 보다 클 때 완전 반사
  3. 굴절률이 낮은 매질에서 높은 매질로 진행시 발생
  4. 수광각이 임계각보다 클 때 발생
(정답률: 60%)
  • 수광각이 임계각보다 클 때 발생하는 이유는 빛이 굴절되는 현상에서 나온다. 광섬유 코어와 클래드의 경계면에서 빛은 굴절되며, 이 때 수광각이 일정 각도 이상 커지면 광섬유 내부에서 완전 반사가 일어나게 된다. 이를 임계각이라고 하며, 이를 넘어서면 빛은 광섬유 내부를 따라 전달되어 광통신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수광각이 임계각보다 클 때 광통신이 발생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NOS

28. Windows 2000 Server의 인터넷 정보 서비스(IIS) 메뉴에서 관리 웹 사이트 등록정보에 없는 탭은?

  1. 웹 사이트
  2. 디렉터리 보안
  3. 홈 디렉터리
  4. LDAP 라우팅
(정답률: 65%)
  • 정답: LDAP 라우팅

    설명: LDAP 라우팅은 Windows 2000 Server의 IIS 메뉴에서 관리 웹 사이트 등록정보에 없는 탭입니다. LDAP 라우팅은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LDAP)을 사용하여 웹 서버에서 Active Directory에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웹 서버에서 사용자 인증 및 권한 부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Windows 2000 Server에서 DHCP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클라이언트가 DHCP 서버에 접속하면 자동으로 게이트웨이 주소를 할당한다.
  2. 클라이언트가 DHCP 서버에 접속하면 자동으로 DNS 주소를 할당한다.
  3. DHCP 서버에 접속하면 자동으로 IP Address를 할당한다.
  4. DHCP 서버에 접속하면 자동으로 컴퓨터 이름을 할당한다.
(정답률: 71%)
  • DHCP 서버에 접속하는 것은 아니며, 클라이언트가 DHCP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DHCP 서버가 자동으로 IP 주소, 게이트웨이 주소, DNS 주소 등을 할당해준다. 컴퓨터 이름은 DHCP 서버가 아닌 DNS 서버에서 관리한다. 따라서 "DHCP 서버에 접속하면 자동으로 컴퓨터 이름을 할당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Windows 2000 Server의 Active Directory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조건으로 올바른 것은?

  1. Active Directory 서비스는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에 적용해야 한다.
  2. Active Directory 설치 시 동적 업데이트를 지원하는 DHCP 서버가 필요하다.
  3. Active Directory 서비스가 설치될 파티션은 NTFS 파일시스템으로 포맷되어 있어야 한다.
  4. Active Directory는 관리자 계정의 암호 없이도 설치가 가능하다.
(정답률: 65%)
  • Active Directory 서비스가 설치될 파티션은 NTFS 파일시스템으로 포맷되어 있어야 한다. 이는 NTFS 파일시스템이 보안, 복원력, 파일 권한 등의 측면에서 더욱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Active Directory는 NTFS 파일시스템의 기능을 활용하여 복원력과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Windows 2000 Server에서 Active Directory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네트워크상의 파일과 디렉터리 등의 자료를 좀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한다.
  2. Active Directory 설치와 삭제는 [시작] - [실행] - "dcpromo" 이다.
  3. 조직 단위를 생성시킬 수 있다.
  4. DNS의 기능과 전혀 관계가 없다.
(정답률: 74%)
  • Active Directory는 Windows 기반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컴퓨터, 그룹 등의 객체를 중앙에서 관리하고 인증, 권한 부여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디렉터리 서비스이다. DNS는 Active Directory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이름 해결 시스템으로, Active Directory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DNS의 기능과 전혀 관계가 없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Windows 2000 Server의 인증 프로토콜로 옳지 않은 것은?

  1. PPTP
  2. EAP
  3. MS-CHAP
  4. CHAP
(정답률: 54%)
  • PPTP는 인증 프로토콜이 아니라 VPN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입니다. PPTP는 Point-to-Point Tunneling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을 통해 안전하게 연결된 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 EAP은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의 약자로, 다양한 인증 방법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입니다. MS-CHAP은 Microsoft Challenge Handshake Authentication Protocol의 약자로, Microsoft에서 개발한 인증 프로토콜입니다. CHAP은 Challenge Handshake Authentication Protocol의 약자로, 비밀번호 기반의 인증 방식을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Windows 2000 Server를 설치하거나 업그레이드 할 때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의 호환성을 확인해야 한다. 인터넷을 지원하는 관련 프로그램을 사용하고자 할 때 유용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호환 가능한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을 검색한다.
  2. Windows 2000 분석기 온라인 도구를 이용한다.
  3. Windows 응용 호환 툴킷(Toolkit)을 이용한다.
  4. 멀티 부팅을 이용한다.
(정답률: 74%)
  • 정답: 멀티 부팅을 이용한다.

    멀티 부팅은 여러 운영체제를 하나의 컴퓨터에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호환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용량과 관리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을 먼저 고려해보는 것이 좋다.

    그 외의 방법들은 호환 가능한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을 검색하거나 Windows 2000 분석기 온라인 도구, Windows 응용 호환 툴킷(Toolkit)을 이용하여 호환성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들은 멀티 부팅보다 더 간편하고 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Windows 2000 Server의 경우 재부팅이 필요한 경우가 아닌 것은?

  1. ISA 어뎁터 구성을 바꾸었을 때
  2. 사용자 계정을 추가 했을 때
  3. DNS의 서픽스(Suffixes) 이름을 바꾸었을 때
  4. Netware를 위한 게이트웨이 서비스를 제거했을 때
(정답률: 68%)
  • Windows 2000 Server에서 사용자 계정을 추가하는 경우에는 시스템의 재부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단순히 사용자 계정을 추가하는 것이므로 시스템 자체에 큰 변화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ISA 어댑터 구성을 바꾸거나 DNS의 서픽스 이름을 바꾸거나 Netware를 위한 게이트웨이 서비스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시스템의 구성이 변경되므로 재부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Windows 2000 Server의 로컬그룹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Domain에 속한 모든 컴퓨터에, 로그온이 가능한 계정들의 그룹이다.
  2. 설치 시 자동으로 생성되어 진다.
  3. 로컬 그룹이 생성되어진 컴퓨터에 있는 자원에 대한 허가를 위하여 사용한다.
  4. Windows 2000 Domain Controller에서도 로컬 그룹의 생성이 가능하다.
(정답률: 50%)
  • 로컬 그룹은 해당 컴퓨터에 있는 자원에 대한 허가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즉, 로컬 그룹에 사용자를 추가하면 해당 사용자는 그 컴퓨터에서만 특정 자원에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로컬 그룹은 해당 컴퓨터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Windows 2000 Server 터미널 서비스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메인 프레임 컴퓨터처럼 한 대의 서버로 여러 명의 사용자에 PC 유형의 데스크 탑을 제공해 주는 서비스
  2. 사용자에게 파일을 전송해 주는 서비스
  3. 한 대의 컴퓨터에서 네트워크 내에 있는 다른 컴퓨터들에게 자동으로 Windows를 설치해 주는 서비스
  4. 네트워크 내에 있는 컴퓨터에 IP Address를 할당해 주는 서비스
(정답률: 66%)
  • Windows 2000 Server 터미널 서비스는 한 대의 서버로 여러 명의 사용자에 PC 유형의 데스크 탑을 제공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보조 DNS(Domain Name System)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메인 데이터베이스 수정은 보조 DNS 서버와 주 DNS서버 동시에 이루어진다.
  2. 결함 허용을 위해 보조 DNS 서버를 이용한다.
  3. 여러 대의 보조 DNS 서버를 둘 수 있다.
  4. 주 DNS 서버가 다운되면 보조 DNS 서버 중 하나를 주 DNS 서버로 승격시킬 수 있다.
(정답률: 57%)
  • "도메인 데이터베이스 수정은 보조 DNS 서버와 주 DNS서버 동시에 이루어진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도메인 데이터베이스 수정은 주 DNS 서버에서 이루어지며, 이후 주 DNS 서버는 변경된 정보를 보조 DNS 서버에 전파합니다. 보조 DNS 서버는 주 DNS 서버의 정보를 복제하여 사용하므로, 주 DNS 서버에서 변경된 정보를 받아와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아래 화면의 [메시지] 탭에서 입력할 수 있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FTP 사이트를 처음 접속했을 때에 나타나는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2. FTP 사이트의 접속을 종료했을 때에 나타나는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3. 거부된 IP Address나 도메인 이름에 보내는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4. 접속자가 제한된 사용자 보다 많을 경우 나타나는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정답률: 79%)
  • "거부된 IP Address나 도메인 이름에 보내는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올바른 문장이 아니며, FTP 사이트에서는 거부된 IP 주소나 도메인 이름에 대한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Windows 2000 Server 멀티 부팅시 OS의 선택 시간을 “30초” 로 수정하려고 한다. 선택 시간을 수정하는 곳은?

  1. [시스템 등록 정보] - [고급 탭] - [성능 옵션]
  2. [시스템 등록 정보] - [하드웨어 탭] - [환경 변수]
  3. [시스템 등록 정보] - [고급 탭] - [시작 및 복구]
  4. [시스템 등록 정보] - [하드웨어 탭] - [장치 관리자]
(정답률: 70%)
  • 정답: "[시스템 등록 정보] - [고급 탭] - [시작 및 복구]"

    선택 시간을 수정하는 곳은 시스템 부팅 시 OS 선택 메뉴가 나타나는 화면인 부팅 로더(boot loader)에서 설정할 수 있다. Windows 2000 Server에서는 부팅 로더를 구성하는 설정 항목 중에서 "[시스템 등록 정보] - [고급 탭] - [시작 및 복구]"에서 "시간 제한" 옵션을 수정하여 선택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이 옵션을 30초로 설정하면 부팅 로더가 나타나고 나서 30초 동안 사용자가 OS를 선택하지 않으면 기본 OS가 자동으로 부팅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른 운영체제와 Linux가 공존하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멀티 부팅을 지원할 때 사용되며 Linux 로더를 의미하는 것은?

  1. MBR
  2. RAS
  3. NetBEUI
  4. LILO
(정답률: 69%)
  • LILO는 Linux Loader의 약자로, 다른 운영체제와 공존하는 시스템에서 멀티 부팅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트로더이다. LILO는 시스템의 MBR(Master Boot Record)에 설치되어 부팅 시에 사용되며, 사용자가 부팅할 운영체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를 제공한다. 따라서 LILO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Linux 시스템 부팅과 함께 자동으로 마운트 되어야 할 항목과 옵션이 정의되어 있는 파일은?

  1. /etc/fstab
  2. /usr/local
  3. /mount/cdrom
  4. /home/public_html
(정답률: 59%)
  • "/etc/fstab" 파일은 Linux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 되어야 할 파일 시스템과 옵션을 정의하는 파일이다. 따라서 이 파일에는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 되어야 할 디렉토리와 파일 시스템의 경로, 마운트 옵션 등이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이 파일이 정답이다. "/usr/local", "/mount/cdrom", "/home/public_html"은 모두 파일 시스템의 경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etc/fstab" 파일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웹 브라우저에서 인터넷과 인트라넷을 경유한 프린팅을 가능하게 해주는 프로토콜은?

  1. IPP
  2. SMTP
  3. NNTP
  4. TFTP
(정답률: 61%)
  • IPP는 Internet Printing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과 인트라넷을 경유한 프린팅을 가능하게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즉, 인터넷이나 인트라넷 상에서 프린터를 공유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IPP가 정답입니다. SMTP는 이메일 전송 프로토콜, NNTP는 네트워크 뉴스 전송 프로토콜, TFTP는 간단한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 프린팅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Windows 2000 Server에서 계정 잠금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사용자가 여러 번 로그인에 실패하였을 때 해당 사용자의 계정을 파기한다.
  2. 잠금이 발생한 이후에는 반드시 관리자에 의해 해당 잠금이 풀려야 한다.
  3. 잠금이 발생하기 위한 로그인 실패 횟수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4. Windows 2000 Server는 계정 잠금을 지원하지 않는다.
(정답률: 71%)
  • 정답은 "잠금이 발생하기 위한 로그인 실패 횟수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다. 이유는 Windows 2000 Server에서는 계정 잠금 정책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 정책에서는 로그인 실패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정 횟수 이상 로그인에 실패하면 해당 계정이 잠금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관리자가 계정을 만들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Windows 2000 Server 설치와 함께 만들어지는 계정은?

  1. 글로벌 사용자 계정
  2. 내장된(BUILT-IN) 계정
  3. 외부 사용자 계정
  4. 도메인 사용자 계정
(정답률: 70%)
  • 내장된(BUILT-IN) 계정은 Windows 2000 Server 설치 시 자동으로 생성되는 계정으로, 관리자가 따로 만들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시스템에서 필요한 계정들이 미리 만들어져 있다. 이러한 계정들은 시스템 관리를 위해 필요한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Administrator" 계정은 시스템 관리자 권한을 가지고 있어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내장된 계정들은 시스템 운영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삭제하거나 수정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Linux 시스템에서 실행된 명령의 출력을 다른 명령의 입력으로 보내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은?

  1. 파이프(Pipe)
  2. 리다이렉션(Redirection)
  3. 포워딩(Forwarding)
  4. 시그널(Signal)
(정답률: 48%)
  • 파이프는 한 명령의 출력을 다른 명령의 입력으로 보내는 기능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여러 명령어를 조합하여 더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ls -l | grep txt" 명령은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출력한 후, 그 중에서 "txt"라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파일만 출력합니다. 따라서 파이프는 Linux 시스템에서 매우 유용한 기능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Router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TCP/IP 트래픽을 Routing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2. 네트워크를 분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3. 목적지 주소를 보고 그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경로를 설정해 준다.
  4. 서로 다른 프로토콜이나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노드가 있을 경우 상호 연결시켜 준다.
(정답률: 50%)
  • "서로 다른 프로토콜이나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노드가 있을 경우 상호 연결시켜 준다."는 Router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이다. Router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이나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노드를 연결시켜주는 것이 아니라, 목적지 주소를 보고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Dummy Hub에 관한 장점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신호를 재생 및 증폭한다.
  2. 네트워크 확장이 용이하다.
  3. PC의 수가 증가하여도 특정 전송 속도를 보장한다.
  4.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PC를 트리 구조로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정답률: 62%)
  • PC의 수가 증가하면 네트워크 대역폭이 분산되어 전송 속도가 느려질 수 있으므로, "PC의 수가 증가하여도 특정 전송 속도를 보장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이기종간의 신호나 커넥터의 연결 형태를 다른 형태로 바꾸어 주는 장비로서, LAN과 WAN에서 함께 쓰이는 인터네트워킹 장비는?

  1. Bridge
  2. Repeater
  3. Gateway
  4. Router
(정답률: 59%)
  • Gateway는 이기종간의 신호나 커넥터의 연결 형태를 다른 형태로 바꾸어 주는 장비로서, LAN과 WAN을 연결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인터네트워킹 장비입니다. 다른 선택지인 Bridge, Repeater, Router는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하며, Gateway와는 목적과 기능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유선통신 전송 매체로 옳지 않은 것은?

  1. Coaxial
  2. Twisted Pair
  3. Micro Wave
  4. Optical Fiber
(정답률: 71%)
  • Micro Wave은 유선통신 전송 매체가 아니라 무선통신 전송 매체이기 때문입니다. Micro Wave은 라디오 주파수 범위의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전달하는 기술로, 유선이 아닌 대기를 통해 전파를 전달합니다. 따라서 Micro Wave은 유선통신과는 다른 분야의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주로 단독주택의 초고속 인터넷에 사용되는 기술로 기존에 설치된 Cable TV 회선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1. Ethernet
  2. VDSL
  3. ADSL
  4. HFC
(정답률: 37%)
  • HFC는 Hybrid Fiber Coaxial의 약자로, 광섬유와 동축 케이블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기존에 설치된 Cable TV 회선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Ethernet은 유선 네트워크 기술, VDSL과 ADSL은 전화선을 이용한 인터넷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