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4-25)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10-04-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TCP/IP

1. ICMP의 Message Typ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0 - Echo Reply
  2. 5 - Echo Request
  3. 13 - Timestamp Request
  4. 17 - Address Mask Request
(정답률: 66%)
  • ICMP의 Message Type 중 Echo Request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Echo Request는 ICMP의 Message Type 중 하나로, 네트워크 상의 호스트나 라우터가 다른 호스트나 라우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이다. Echo Request 메시지를 받은 호스트나 라우터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Echo Reply 메시지를 보내게 된다. 따라서 "0 - Echo Reply"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RIP 프로토콜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서브넷 주소를 인식하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2. 링크 상태 알고리즘을 사용하므로, 링크 상태에 대한 변화가 빠르다.
  3. 메트릭으로 유일하게 Hop Count만을 고려한다.
  4.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되며, 기본 라우팅 업데이트 주기는 1초이다.
(정답률: 82%)
  • RIP 프로토콜은 메트릭으로 유일하게 Hop Count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라우팅 경로를 결정할 때 경로의 길이를 Hop Count로 측정하고 최단 경로를 선택한다. 이는 다른 프로토콜에 비해 계산이 간단하고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Loopback 주소를 나타내는 특수 IP Address는?

  1. 127.x.x.x
  2. 255.255.x.x
  3. 0.0.x.x
  4. 1.1.x.x
(정답률: 93%)
  • Loopback 주소는 자신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테스트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상의 IP 주소입니다. 이 주소는 실제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패킷이 전송되면 해당 시스템의 루프백 인터페이스로 돌아갑니다. 따라서, 127.x.x.x은 Loopback 주소를 나타내는 특수 IP 주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인터넷 메일 호스트 사이에 아스키 형식(ASCII Format) 이외의 텍스트 및 화상이나 음성,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아스키 형식으로 변환할 필요 없이 인터넷 전자우편으로 송신하기 위한 인터넷 표준은?

  1. SMTP
  2. MIME
  3. IMAP
  4. POP
(정답률: 68%)
  • MIME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아스키 형식으로 변환하지 않고도 인터넷 전자우편으로 송신할 수 있는 인터넷 표준이다. MIME은 이메일에 여러 종류의 파일을 첨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텍스트, 화상, 음성, 영상 등의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MIME은 이메일의 다양한 형태를 지원하며, 이메일의 기능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B Class 네트워크에서 6개의 서브넷이 필요할 때, 가장 많은 호스트를 사용할 수 있는 서브넷 마스크 값은?

  1. 255.255.192.0
  2. 255.255.224.0
  3. 255.255.240.0
  4. 255.255.248.0
(정답률: 62%)
  • B Class 네트워크에서 6개의 서브넷이 필요하므로, 2^3 = 8 개의 서브넷을 만들 수 있는 서브넷 마스크를 선택해야 합니다. 그러나 호스트 수를 최대한 사용하려면, 서브넷 마스크의 0 비트가 최소한으로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255.255.224.0 서브넷 마스크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 마스크는 3 비트를 서브넷 비트로 사용하므로 2^3 = 8 개의 서브넷을 만들 수 있고, 호스트 비트는 13 비트가 남아 있으므로 각 서브넷에서 최대 2^13 - 2 = 8190 개의 호스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네트워크에서 호스트나 라우터, 다른 컴퓨터나 장치들을 감시하고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응용 계층 표준 프로토콜은?

  1. SLIP-PPP(Serial Line Internet Protocol, Point to Point Protocol)
  2.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3.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4.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정답률: 92%)
  • SNMP는 네트워크 장치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로, 호스트나 라우터, 다른 컴퓨터나 장치들의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예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관리자들이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정적 라우팅의 사용이 적절한 환경은?

  1. 네트워크 규모가 크고, 다른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점이 여럿이고, 경로가 이중화되어 있지 않은 조건
  2. 네트워크 규모가 작고, 다른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점이 하나이고, 경로가 이중화되어 있지 않은 조건
  3. 네트워크 규모가 작고, 다른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점이 하나이고, 경로가 이중화되어 있는 조건
  4. 네트워크 규모가 크고, 다른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점이 여럿이고, 경로가 이중화되어 있는 조건
(정답률: 78%)
  • 정적 라우팅은 경로 정보를 수동으로 구성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네트워크 규모가 작고, 다른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점이 하나이고, 경로가 이중화되어 있지 않은 조건에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경로 정보를 관리하기 쉽고, 복잡한 네트워크 구성이 없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네트워크 규모가 크고, 다른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점이 여럿이고, 경로가 이중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TCP/IP의 프로토콜에서 응용 계층에서 제공하는 응용 서비스 프로토콜로, 컴퓨터 사용자들 사이에 전자우편을 교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1. SNMP
  2. SMTP
  3. VT
  4. FTP
(정답률: 91%)
  • SMTP는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전자우편을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이는 응용 계층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토콜로, 컴퓨터 사용자들 사이에 전자우편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따라서 SMTP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IP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비신뢰성 서비스
  2. 비연결형 서비스
  3. 데이터그램 형태의 전송
  4. 에러 제어
(정답률: 77%)
  • IP는 에러 제어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IP는 데이터그램 형태의 전송을 지원하며, 비신뢰성 서비스와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IP는 전송 중 발생한 에러를 감지하거나 복구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상위 계층인 전송 계층(TCP, UDP)에서 처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TCP/IP 응용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1.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2. CMIP(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
  3. TFTP(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4.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정답률: 62%)
  • CMIP는 TCP/IP 프로토콜이 아닌 OSI 모델에서 사용되는 관리 정보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나머지 세 가지 프로토콜은 모두 TCP/IP 응용 프로토콜입니다. SMTP는 이메일 전송 프로토콜, TFTP는 간단한 파일 전송 프로토콜, SNMP는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TCP 헤더에는 수신측 버퍼의 크기에 맞춰 송신측에서 데이터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해주는 필드가 있다. 이 필드를 이용한 흐름 제어 기법은?

  1. Sliding Window
  2. Stop and Wait
  3. Xon/Xoff
  4. CTS/RTS
(정답률: 69%)
  • Sliding Window 기법은 TCP 헤더의 필드를 이용하여 수신측의 버퍼 크기에 맞춰 송신측에서 데이터의 크기를 조절하는 흐름 제어 기법이다. 이는 송신측이 일정한 크기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해당 데이터를 받았다는 확인 신호를 보내면 송신측이 다음 일정한 크기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때, 수신측에서는 자신의 버퍼 크기에 맞게 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윈도우 크기를 조절하며, 송신측에서는 수신측의 윈도우 크기를 확인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양을 조절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HTTP의 동작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onnection -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연결을 설정한다.
  2. Request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정보를 요청한다.
  3. Response - 클라이언트가 요청사항을 처리한 후 결과를 서버에 전송한다.
  4. Close - 클라이언트 서버 간의 연결을 해제한다.
(정답률: 70%)
  • HTTP의 동작 방식에서 Response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정보를 서버가 처리한 후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말한다. 따라서 "Response - 클라이언트가 요청사항을 처리한 후 결과를 서버에 전송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UDP 헤더에 포함이 되지 않는 항목은?

  1. 확인 응답 번호(Acknowledgment Number)
  2. 소스 포트(Source Port) 주소
  3. 체크섬(Checksum) 필드
  4. 목적지 포트(Destination Port) 주소
(정답률: 62%)
  • UDP는 비연결형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확인 응답 번호(Acknowledgment Number)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이는 TCP와 같은 연결형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기능으로, 데이터가 제대로 전송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UDP는 단순히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만 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UDP 헤더에는 소스 포트(Source Port) 주소, 목적지 포트(Destination Port) 주소, 체크섬(Checksum) 필드만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웹 페이지를 전달하는데 사용하는 HTTP가 사용하는 기본 포트 번호는?

  1. 21번
  2. 23번
  3. 53번
  4. 80번
(정답률: 92%)
  • HTTP는 웹 페이지를 전달하는 프로토콜이며, 기본적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HTTP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전달할 때는 80번 포트를 열어서 통신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호스트 컴퓨터 "icqa.or.kr"에 텔넷으로 접속하기 위해 "Telnet icqa.or.kr:1094"라고 명령을 입력한 경우 "1094"의 의미는?

  1. User ID
  2. Port Number
  3. IP Address
  4. Network Address
(정답률: 90%)
  • "1094"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포트 번호를 나타냅니다. 포트 번호는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를 식별하는 번호이며, 이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Telnet으로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해당 호스트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포트 번호를 알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OSI 7 Layer와 TCP/IP 동작과의 관계에서, 각 계층과 프로토콜과의 관계를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전송 계층 - Ethernet
  2. 물리 계층 - TCP
  3. 응용 계층 - ARP
  4. 네트워크 계층 - IGMP
(정답률: 76%)
  • 정답: "네트워크 계층 - IGMP"

    OSI 7 Layer와 TCP/IP 동작에서, 각 계층과 프로토콜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물리 계층: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적인 매체와 전기 신호를 다루는 계층. 프로토콜은 Ethernet, Wi-Fi, Bluetooth 등이 있다.
    - 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 계층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나누고, 에러 검사와 흐름 제어를 수행하는 계층. 프로토콜은 MAC 주소를 사용하는 Ethernet, Wi-Fi, Bluetooth 등이 있다.
    - 네트워크 계층: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경로를 선택하고, 패킷을 전송하는 계층. 프로토콜은 IP, ICMP, IGMP 등이 있다.
    - 전송 계층: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프로세스 간의 연결을 제어하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계층. 프로토콜은 TCP, UDP 등이 있다.
    - 세션 계층: 데이터 교환을 위한 세션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계층. 프로토콜은 SSH, TLS 등이 있다.
    - 표현 계층: 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하거나 암호화하는 등의 데이터 표현을 담당하는 계층. 프로토콜은 JPEG, MPEG 등이 있다.
    - 응용 계층: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계층. 프로토콜은 HTTP, FTP, SMTP 등이 있다.

    TCP/IP는 OSI 7 Layer 모델과 유사하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 세션 계층, 표현 계층은 없다.
    - 데이터 링크 계층과 물리 계층을 합쳐 링크 계층으로 표현한다.

    따라서, 각 계층과 프로토콜과의 관계에서 "네트워크 계층 - IGMP"는 올바른 연결이다. IGMP는 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로,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하거나 탈퇴하는 등의 멀티캐스트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이다. 네트워크 계층에서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를 담당하기 때문에, IGMP는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IP Address 설정에 관한 내용으로 올바른 것은?

  1. IP Address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구성된다.
  2. IPv6에서 IP Address의 크기는 32Bits이다.
  3. IP Address의 A,B,C Class에서 존재 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개수는 “A > B > C” 순이다.
  4. IP Address 중 ‘255’는 Broadcast 하기 위해 이용되고, 주소가 모두 ’0‘일 때는 로컬 호스트를 가리킨다.
(정답률: 68%)
  • IP Address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구성된다. 이는 IP 주소가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네트워크 ID와 호스트를 식별하는 호스트 ID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는 서로 다른 비트 수를 가지며, 이를 통해 IP 주소의 클래스가 결정된다. IPv6에서는 IP Address의 크기가 128Bits이며, IP Address의 A,B,C Class에서 존재 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개수는 “A > B > C” 순이다. IP Address 중 ‘255’는 Broadcast 하기 위해 이용되고, 주소가 모두 ’0‘일 때는 로컬 호스트를 가리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8. 1924년에 설립된 것으로 전기 장비 제조분야에서 ANSI가 인정하는 기구이며, 주로 물리매체의 인터페이스에 관한 표준안 즉, RS 표준안을 제정하는 단체는?

  1. IEEE
  2. ISO
  3. IEC
  4. EIA
(정답률: 48%)
  • EIA는 전기 장비 제조분야에서 ANSI가 인정하는 기구로, RS 표준안을 제정하는 단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기능 중에서 수신측에서 데이터 전송량이나 전송 속도 등을 조절하는 기능은?

  1. Flow Control
  2. Error Control
  3. Sequence Control
  4. Connection Control
(정답률: 80%)
  • "Flow Control"은 수신측에서 데이터 전송량이나 전송 속도 등을 조절하는 기능이다. 이는 송신측에서 너무 많은 데이터를 한 번에 보내는 것을 방지하고, 수신측에서 처리할 수 있는 양의 데이터만 받도록 제어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Etherne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 전송을 위해 CSMA/CD 방식을 사용한다.
  2. "XEROX"사 에서 제안했다.
  3. 전송 매체로는 UTP, STP 케이블 등을 사용하며, 각 기기를 상호 연결시키는 데에는 허브, 스위치, 리피터 등의 장치를 이용한다.
  4.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기기들은 64비트 길이의 MAC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정답률: 67%)
  • Etherne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모든 설명이 맞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기기들은 64비트 길이의 MAC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다."는 맞는 설명이다. Ethernet에서는 각 기기가 고유한 MAC 주소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MAC 주소는 48비트의 식별자와 16비트의 제어 정보로 구성되어 총 64비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시분할 다중화(TDM)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디지털 전송에 쓰인다.
  2. 동기식 방법과 비동기식 방법이 있다.
  3. 주파수 편이 변복조(FSK)의 역할을 수행한다.
  4. T1 다중화는 시분할 다중화 방법이다.
(정답률: 73%)
  • 주파수 편이 변복조(FSK)는 주파수를 변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시분할 다중화(TDM) 방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주파수 편이 변복조(FSK)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IEEE 표준에서 정의하는 기술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IEEE 802.3 - Ethernet
  2. IEEE 802.4 - Token Ring
  3. IEEE 802.11 - Wireless LAN
  4. IEEE 802.15 - Wireless PAN
(정답률: 70%)
  • IEEE 802.4 - Token Ring은 기술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이더넷(Ethernet)과 유사한 토큰 패싱 방식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링 형태의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이더넷이 널리 사용되고 있어, Token Ring은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OSI 7 Layer 중에서 프로세서 사이의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여 데이터 교환의 신뢰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계층은?

  1. 데이터링크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전송 계층
  4. 세션 계층
(정답률: 59%)
  • 전송 계층은 프로세서 사이의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여 데이터 교환의 신뢰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계층은 데이터를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각 세그먼트에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나 분실을 검사하고 복구합니다. 또한, 전송 계층은 흐름 제어와 혼잡 제어를 수행하여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전송 계층은 데이터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모든 노드를 중앙에서 관리하며 하나의 노드에 이상이 발생하여도 전체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형태의 토폴로지는?

  1. 스타 토폴로지
  2. 버스 토폴로지
  3. 링 토폴로지
  4. 탑 토폴로지
(정답률: 85%)
  • 스타 토폴로지는 모든 노드가 중앙에서 관리되기 때문에 하나의 노드에 이상이 발생하여도 다른 노드들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른 토폴로지들과는 달리 전체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데이터 전송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반이중(Half duplex) 방식 : 데이터는 수신측 또는 송신측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될 수 있고, 전송 방향을 바꿀 수가 없다.
  2. 전이중(Full duplex) 방식 : 데이터가 수신측, 송신측 양쪽 방향으로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3. 단방향(Simplex) 방식 : 데이터가 수신측, 송신측 양쪽 방향으로 전송될 수 있지만, 동시에 전송할 수는 없다.
  4. 주파수 분할 이중(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시간적으로 상향, 하향을 교대로 배정하는 전송 방식
(정답률: 77%)
  • 전이중(Full duplex) 방식은 데이터를 수신측과 송신측 양쪽 방향으로 동시에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통신 속도가 빠르며, 동시에 여러 작업을 처리할 수 있어 효율적인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라우팅 프로토콜이란 라우팅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프로토콜이다. 라우팅 프로토콜로 옳지 않은 것은?

  1. RIP
  2. NetBIOS
  3. IGRP
  4. BGP
(정답률: 75%)
  • NetBIOS는 라우팅 프로토콜이 아니다. NetBIOS는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 이름을 식별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정답은 "NetBIO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전화는 낮은 주파수를, 데이터는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한다.
  2. 전화선을 이용한다.
  3. 데이터 통신과 일반전화를 동시에 이용할 수 없다.
  4. 양쪽 방향의 전송속도가 서로 다르다.
(정답률: 70%)
  • "데이터 통신과 일반전화를 동시에 이용할 수 없다."는 ADSL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ADSL은 전화선을 이용하여 데이터와 음성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으며, 전화와 인터넷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전화는 낮은 주파수를, 데이터는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따라서, "데이터 통신과 일반전화를 동시에 이용할 수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NOS

28. Active Directory의 논리적 구조 중 도메인이 제공하는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리 권한 및 액세스 제어 목록과 같은 보안 정책과 설정이 해당 도메인에만 적용된다.
  2. 도메인 또는 조직 단위에 관리 권한을 위임하면 모든 관리 권한을 가진 관리자가 많이 필요하다.
  3. 도메인을 사용하면 소속 조직의 구조를 좀 더 충실히 반영하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4. 각 도메인은 해당 도메인에 있는 개체의 정보만 저장한다. 이런 방식으로 디렉터리를 분할함으로써 수많은 개체를 수용하도록 Active Directory를 확장할 수 있다.
(정답률: 64%)
  • "도메인 또는 조직 단위에 관리 권한을 위임하면 모든 관리 권한을 가진 관리자가 많이 필요하다."는 도메인의 장점이 아니라 단점이다. 도메인을 사용하면 관리 권한을 필요한 사용자나 그룹에게 위임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으며, 중앙 집중적인 관리가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모든 관리 권한을 가진 관리자가 많이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Windows 2000 Server에서 새로운 사용자 계정을 만들려고 할 때, 사용자 계정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자는?

  1. a
  2. A
  3. =
  4. 1
(정답률: 91%)
  • 정답은 "="입니다. 이는 Windows 2000 Server에서 사용자 계정 이름으로 허용되지 않는 특수 문자 중 하나입니다. 이유는 "="가 Windows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문자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는 환경 변수를 설정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를 사용하는 사용자 계정 이름은 시스템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Windows 2000 Server의 IIS에 있는 "기본 웹 사이트" 등록정보에는 여러 가지 탭들이 존재하는데, [홈 디렉터리] 탭에서 제공되는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로컬 경로
  2. 로깅 사용
  3. 스크립트 소스 액세스
  4. 디렉터리 검색
(정답률: 49%)
  • 정답: "로깅 사용"

    설명: "로깅 사용"은 옳은 기능입니다. 이 탭에서는 웹 사이트의 홈 디렉터리 경로를 설정하고, 로깅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며, 스크립트 소스 액세스와 디렉터리 검색을 허용할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로깅 사용을 선택하면 IIS는 웹 사이트에 대한 로그 파일을 생성합니다. 이 로그 파일은 웹 사이트의 활동을 추적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Windows 2000 Server에서 파일과 폴더의 보안을 위한 NTFS 사용 권한의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NTFS는 공유 폴더 내의 파일만 권한 부여를 할 수 있다.
  2. 사용자 계정 각각에 대해 부여할 수 있고 그룹 계정에는 부여할 수 없다.
  3. 사용자가 로컬(local)로 로그온 해서 자원을 액세스할 경우에만 적용된다.
  4. NTFS는 파일 내에 보안 정보가 기록되기 때문에 파일과 폴더의 사용 권한을 각각 설정해 줄 수 있다.
(정답률: 60%)
  • NTFS는 파일 내에 보안 정보가 기록되기 때문에 파일과 폴더의 사용 권한을 각각 설정해 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Windows 2000 Server의 인터넷 정보 서비스(IIS)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는?

  1. SMTP, WWW
  2. WWW, Telnet
  3. Telnet, SMTP
  4. SMTP, DHCP
(정답률: 73%)
  • SMTP는 이메일 전송 프로토콜이며, IIS에서는 이메일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WWW는 월드 와이드 웹 서비스를 의미하며, IIS에서는 웹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Telnet은 원격 접속 프로토콜이지만, IIS에서는 Telnet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DHCP는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프로토콜이지만, IIS에서는 DHCP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SMTP, WW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Windows 2000 Server의 netstat 명령 중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 할 수 있는 명령 옵션은?

  1. netstat -a
  2. netstat -r
  3. netstat -n
  4. netstat -s
(정답률: 80%)
  • 정답: "netstat -r"

    설명:

    - "netstat -a": 현재 열려있는 모든 포트와 연결 상태를 보여줌
    - "netstat -r": 라우팅 테이블을 보여줌
    - "netstat -n": 주소와 포트 번호를 숫자로 표시함
    - "netstat -s": 프로토콜별 통계 정보를 보여줌

    따라서, Windows 2000 Server에서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netstat -r" 명령을 사용해야 함.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Windows 2000 Server에서 DNS에 사용되는 레코드 중 도메인의 메일 서버를 식별하는 레코드는?

  1. PTR
  2. SOA
  3. SRV
  4. MX
(정답률: 71%)
  • 도메인의 메일 서버를 식별하는 레코드는 MX 레코드입니다. MX 레코드는 Mail Exchange 레코드의 약자로, 도메인의 메일 서버의 호스트 이름과 우선순위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메일이 도착할 때 해당 도메인의 메일 서버를 식별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메일을 전달합니다. PTR 레코드는 IP 주소와 호스트 이름을 매핑하는 레코드, SOA 레코드는 존 정보를 포함하는 레코드, SRV 레코드는 서비스 위치를 식별하는 레코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Windows 2000 Server에서 NTF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Windows 2000 Server 시스템에서 가장 효율적인 파일 시스템으로 모든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호환이 된다.
  2. FAT 파일 시스템 보다 더 큰 파일과 파티션 사이즈를 지원한다.
  3. FAT와 비교해 볼 때 파일과 디렉터리 단위의 보안을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4. 파일과 디렉터리의 압축과 POSIX 요구사항을 지원한다.
(정답률: 50%)
  • 정답: "Windows 2000 Server 시스템에서 가장 효율적인 파일 시스템으로 모든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호환이 된다."

    설명: NTFS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기본 파일 시스템으로 사용되며, 다른 운영체제와의 호환성은 제한적이다. 따라서 "모든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호환이 된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Windows 2000 Server에서 로컬 사용자 계정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로컬 사용자 계정의 이름은 변경할 수 없다.
  2. 로컬 사용자 계정을 삭제한 후 같은 사용자 이름의 계정을 만들면 삭제된 사용자 계정과 같은 권한을 갖게 된다.
  3. 로컬 사용자 계정은 10개 이상 생성할 수 없다.
  4. 로컬 사용자 계정은 복사할 수 없다.
(정답률: 64%)
  • 로컬 사용자 계정은 해당 컴퓨터에만 존재하므로 다른 컴퓨터로 계정을 복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복사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Windows 2000 Server의 MMC(Microsoft Management Console)의 기능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네트워크 기능들을 모니터링하고 관리도구들을 액세스 하기 위한 관리자 콘솔이다.
  2. 하나의 관리자 인터페이스에 필요한 관리 요소를 스냅인으로 추가하여 관리할 수 있는 편리한 도구이다.
  3. 로컬 컴퓨터와 원격 컴퓨터를 하나의 화면에서 관리할 수는 없다.
  4. 컴퓨터 관리에는 보통 시스템 도구, 저장소, 서비스 및 응용프로그램을 관리한다.
(정답률: 76%)
  • MMC는 로컬 컴퓨터와 원격 컴퓨터를 하나의 화면에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로컬 컴퓨터와 원격 컴퓨터를 하나의 화면에서 관리할 수는 없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Windows 2000 Server에서 IP Address 할당 및 관리를 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서버는?

  1. NetBEUI
  2. DHCP
  3. DNS
  4. WINS
(정답률: 77%)
  • DHCP는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로, IP 주소 할당 및 관리를 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Windows 2000 Server에서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DHCP 서버를 사용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인 NetBEUI, DNS, WINS는 IP 주소 할당 및 관리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프로토콜이거나 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당신은 전산팀에서 주로 사내 Data백업 업무를 하고 있다. 지속적으로 Data서버를 전체 백업해 오다가 백업공간을 고려해 지난번의 백업이후 변경된 데이터만 백업하려할 때, 올바른 백업방법은?

  1. copy
  2. daily copy
  3. normal
  4. differential
(정답률: 63%)
  • 정답은 "differential"입니다. Differential 백업은 이전 백업 이후 변경된 데이터만 백업하는 방법입니다. 이전 백업과 비교하여 변경된 데이터만 저장하기 때문에 전체 백업보다 빠르고 공간을 적게 차지합니다. 따라서 백업공간을 고려할 때 유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Windows 2000 Server에서 동작되는 각 서비스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Windows Installer : 중요한 Windows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고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2. World Wide Web Publishing Service : 인터넷 정보 서비스 스냅인을 사용하여 웹 연결 및 관리를 제공한다.
  3. Indexing Service : 도메인에 있는 컴퓨터의 계정 로그온 이벤트의 창구 인증을 지원한다.
  4. File Replication : 인터넷 정보 서비스 스냅인을 사용하여 FTP 연결 및 관리를 제공한다.
(정답률: 55%)
  • Windows 2000 Server에서 World Wide Web Publishing Service는 인터넷 정보 서비스 스냅인을 사용하여 웹 연결 및 관리를 제공합니다. 이는 웹 서버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다른 서비스들은 Windows Installer는 중요한 Windows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고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Indexing Service는 도메인에 있는 컴퓨터의 계정 로그온 이벤트의 창구 인증을 지원하며, File Replication은 인터넷 정보 서비스 스냅인을 사용하여 FTP 연결 및 관리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Linux에서 파티션 Type이 ‘SWAP’ 일 경우의 의미는?

  1. Linux가 실제로 자료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파티션이다.
  2. Linux가 네트워킹 상태에서 쿠키를 저장하기 위한 파티션이다.
  3.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하드 디스크의 일부분을 마치 메모리인 것처럼 사용하는 파티션이다.
  4. Utility 프로그램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파티션이다.
(정답률: 83%)
  • SWAP 파티션은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하드 디스크의 일부분을 마치 메모리인 것처럼 사용하는 파티션이다. 이는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Windows 2000 Server의 동적 디스크에서 지원하지 않는 볼륨은?

  1. 단순 볼륨
  2. 스팬 볼륨
  3. RAID - 5 볼륨
  4. RAID - 0+1 볼륨
(정답률: 69%)
  • Windows 2000 Server의 동적 디스크에서 지원하지 않는 볼륨은 "RAID - 0+1 볼륨"입니다. 이는 RAID 0과 RAID 1을 조합한 볼륨으로, 데이터를 빠르게 읽고 쓰는 RAID 0의 성능과 데이터를 백업하는 RAID 1의 안정성을 모두 갖춘 볼륨입니다. 하지만 Windows 2000 Server의 동적 디스크에서는 RAID - 0+1 볼륨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대신, Windows 2000 Server에서는 RAID 1+0 볼륨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RAID 0과 RAID 1을 역순으로 조합한 볼륨으로, RAID 1의 백업 기능을 먼저 적용하고, 그 위에 RAID 0의 성능을 적용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Linux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양과 사용 가능한 메모리 양, 공유 메모리와 가상 메모리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는 명령어는?

  1. mem
  2. free
  3. du
  4. cat
(정답률: 71%)
  • 정답은 "free"이다.

    "free" 명령어는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와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유 메모리, 가상 메모리 등의 정보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메모리 사용량을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메모리를 최적화할 수 있다.

    "mem" 명령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du" 명령어는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디스크 사용량을 보여준다.
    "cat" 명령어는 파일의 내용을 출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Windows 2000 Server 환경이 도메인 상태일 때 만들어지는 시스템 내장 그룹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nternet
  2. Everyone
  3. Interactive
  4. Creator Ower
(정답률: 52%)
  • 옳지 않은 것은 "Internet"입니다.

    "Internet" 그룹은 로컬 시스템에서 인터넷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부여하는 데 사용되는 그룹이지만, 도메인 환경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도메인 환경에서는 "Domain Users"와 같은 그룹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Linux 시스템에서 ‘exam.txt’ 파일을 보려고 하는데 내용이 많아서 한 페이지를 넘어가 버린다. 한 페이지씩 차례대로 보기 위한 명령은?

  1. cat exam.txt | more
  2. cat exam.txt | grep
  3. find exam.txt | grep
  4. tar exam.txt | grep
(정답률: 66%)
  • 정답은 "cat exam.txt | more"이다. 이 명령은 'cat' 명령으로 'exam.txt'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고, '|' 기호를 통해 'more' 명령으로 출력된 내용을 한 페이지씩 보여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 페이지씩 차례대로 'exam.txt' 파일의 내용을 볼 수 있다. 'grep' 명령은 특정 문자열을 찾는 용도로 사용되며, 'find' 명령은 파일을 찾는 용도로 사용된다. 'tar' 명령은 파일을 압축하거나 해제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Switch Hub의 Switching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tore & Forward Switching : 전체 프레임을 다 받은 다음에 경로를 결정하는 방식
  2. Cut-Through Switching : 프레임의 헤더만을 보고 바로 경로를 결정해주는 방식
  3. Interim Cut-through Switching : 컷스루 방식이 가지고 있는 약점들 중 64 바이트 이하의 런트(Runt) 프레임의 중계를 막는 기능을 보강한 방식
  4. Portable Switching : 통신량에 따라 경로 결정 방식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방식
(정답률: 45%)
  • Portable Switching은 Switching 방식이 아니라 특정 Switch Hub의 기능 중 하나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설명이다. Portable Switching은 통신량에 따라 다른 Switch Hub으로 트래픽을 이동시키는 기능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버스형 또는 데이지 체인형 네트워크의 종단에 부착하는 장치로 신호를 흡수함으로써 다시 반향되지 않도록 하는 장비는?

  1. Repeater
  2. Switch
  3. Bridge
  4. Terminator
(정답률: 69%)
  • Terminator는 종단에 부착되어 신호를 흡수함으로써 다시 반향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다른 장비들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중계하는 역할을 하지만, Terminator는 종단을 닫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버스형 또는 데이지 체인형 네트워크에서는 반드시 Terminator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브리지(Bridge)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한다.
  2. 브리지에 라우터 기능이 결합되어 하나의 제품으로 나오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을 브라우터(Brouter)라고 부른다.
  3. 브로드캐스트와 같은 불필요한 트래픽을 줄여준다.
  4. 서로 다른 기종간의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쉽다.
(정답률: 56%)
  • 서로 다른 기종간의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쉽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브리지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브리지에 라우터 기능이 결합되어 브라우터라고 부르기도 한다. 브리지는 불필요한 트래픽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100Mbps 이상의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트위스트 페어의 간편성과 동축 케이블이 가진 넓은 대역폭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으며 중심부는 코어와 클래드로 구성되어 있는 전송회선은?

  1. BNC 케이블
  2. 광섬유 케이블
  3. 전화선
  4. 100Base-T
(정답률: 83%)
  • 전송회선이 중심부를 코어와 클래드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빛을 이용한 광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광섬유 케이블이다. 또한, 100Mbps 이상의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트위스트 페어의 간편성과 동축 케이블이 가진 넓은 대역폭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기 때문에 광섬유 케이블이 적합한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IEEE 802.11 무선랜의 전송 방식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적외선 방식 : 장비 구성이 간편하지만 빛의 성질로 인해 중간에 장애물이 있어도 통신이 가능하다, 저렴한 비용 때문에 상업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2. 레이저 방식 : 레이저가 가지는 고도의 점 지향성과 직진성을 이용해서 멀리 떨어진 지점 간(예를 들면 섬과 섬 사이) 네트워킹에 사용하는 방식. 주로 케이블 가설이 어려운 지역에 설치하나 통신 속도면에서 10Mbps이상은 지원되지 않는다.
  3. 주파수 방식 : 전파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스프레드 스펙트럼(Spread Spectrum)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무선 네트워크 방식. 일반적으로 무선랜이라고 하면 이 방식을 의미한다.
  4. 협대역 방식 : 특정 라디오 주파수를 사용하며 사용자는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여 송수신한다.
(정답률: 61%)
  • IEEE 802.11 무선랜의 전송 방식은 주파수 방식으로, 전파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스프레드 스펙트럼(Spread Spectrum)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이 방식은 일반적으로 무선랜이라고 하면 의미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