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7-18)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10-07-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TCP/IP

1. NIC(Network Interface Car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NIC는 이더넷, 토큰링, FDDI와 같은 네트워크 형태에 따라 설계된 어댑터이다.
  2. OSI 7 Layer 중 전송 계층에서 사용된다.
  3. LAN 카드라 불리고 컴퓨터 내에 설치되는 확장카드이다.
  4. 대부분의 NIC에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가 부여되어 있다.
(정답률: 86%)
  • NIC는 OSI 7 Layer 중 전송 계층에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물리 계층에서 사용된다. 이는 NIC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물리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OSI 7 Layer 중 전송 계층에서 사용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IPv4의 IP Address 할당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Network ID와 Host ID의 비트가 ‘1’이 되어서는 안 된다.
  2. Class B는 최상위 2비트를 ‘10’으로 설정한다.
  3. Class A는 최상위 3비트를 ‘110’으로 설정한다.
  4. ‘127.x.x.x’ 형태의 IP Address는 Loopback 주소를 나타내는 특수 Address로 할당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73%)
  • Class A는 최상위 3비트를 ‘110’으로 설정하는 것이 옳지 않다. Class A는 최상위 1비트를 ‘0’으로 설정하고, 다음 7비트가 Network ID를 나타내며, 나머지 24비트가 Host ID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TCP/IP에서 Broadcast의 의미로 올바른 것은?

  1. 한 호스트에서 다른 한 호스트로 메시지가 전송되는 것
  2. 한 호스트에서 로컬 랜 상의 특정 그룹 호스트들에게 메시지가 전송되는 것
  3. 한 호스트가 로컬 랜 상의 모든 호스트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
  4. 그룹 호스트들이 특정 그룹 호스트들에게 메시지가 전송되는 것
(정답률: 80%)
  • TCP/IP에서 Broadcast는 "한 호스트가 로컬 랜 상의 모든 호스트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네트워크 상의 모든 호스트에게 동시에 메시지를 전송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DHCP 서버가 IP 주소를 할당하기 위해 네트워크 상의 모든 호스트에게 DHCP Discover 메시지를 Broadcast로 전송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라우팅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RIP, IGRP는 Distance Vector 알고리즘을 기초로 하는 프로토콜이다.
  2. OSPF는 Link State 알고리즘을 기초로 하는 프로토콜이다.
  3. Distance Vector 알고리즘은 경로를 결정 할 때 거리(Distance)와 방향(Vector)을 이용한다.
  4. 일반적으로 Link State 알고리즘은 Distance Vector 알고리즘 보다 비교적 규모가 작고, 단순한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
(정답률: 68%)
  • 일반적으로 Link State 알고리즘은 Distance Vector 알고리즘 보다 비교적 규모가 작고, 단순한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Link State 알고리즘은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며, 복잡한 네트워크 구조에서도 효율적으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TC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OSI 7 Layer 중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다.
  2. 비연결 지향형이다.
  3.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의 약어이다.
  4.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제공한다.
(정답률: 85%)
  • TCP는 비연결 지향형이 아닌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이다. 이는 TCP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먼저 연결을 설정하고, 데이터 전송 후에는 연결을 해제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ARP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Ethernet 주소를 IP Address로 매핑시킨다.
  2. ARP를 이용하여 IP Address가 중복되어 사용되는지 찾을 수 있다.
  3. ARP 캐시는 일정한 주기를 갖고 갱신된다.
  4. 중복된 IP가 발견된 경우 ARP 캐시는 갱신되지 않는다.
(정답률: 58%)
  • ARP는 Ethernet 주소와 IP Address를 매핑시키는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ARP를 이용하여 IP Address가 중복되어 사용되는지 찾을 수 있다. ARP 캐시는 일정한 주기를 갖고 갱신되며, 중복된 IP가 발견된 경우 ARP 캐시는 갱신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ICMP의 Message Type필드의 유형과 질의 메시지 내용을 나타낸 것이다. 타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3 - Echo Request 질의 메시지에 응답하는데 사용된다.
  2. 4 - 흐름제어 및 폭주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3. 5 - 대체경로(Redirect)를 알리기 위해 라우터에 사용한다.
  4. 17 - Address Mask Request 장비의 서브넷 마스크를 요구하는데 사용된다.
(정답률: 52%)
  • 정답은 "3 - Echo Request 질의 메시지에 응답하는데 사용된다." 이다. ICMP의 Message Type 필드는 ICMP 메시지의 종류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Echo Request 메시지는 호스트나 라우터가 다른 호스트나 라우터에게 통신 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보내는 메시지이며, 이에 대한 응답으로 Echo Reply 메시지가 사용된다. 따라서 "3 - Echo Request 질의 메시지에 응답하는데 사용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TCP/IP 프로토콜 계층 중 TCP와 UDP를 사용하여 도착하고자 하는 시스템까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계층?

  1. 전송 계층
  2. 인터넷 계층
  3. 응용 계층
  4. 네트워크 접속 계층
(정답률: 90%)
  • 전송 계층은 TCP와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계층은 데이터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보장하며, 데이터의 분할과 재조립, 오류 검출 및 복구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전송 계층은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인터넷의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 번호로 옳지 않은 것은?

  1. SSH - 22번
  2. FTP - 21번
  3. Telnet - 24번
  4. SMTP - 25번
(정답률: 88%)
  • Telnet의 포트 번호는 23번이며, 24번은 할당되어 있지 않은 포트 번호입니다. 따라서 Telnet - 24번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rlogin, telnet을 대체하여 사용되고 있는 SSH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격호스트에 안전하게 접속하기 위한 보안 프로토콜이다.
  2. 패스워드가 전자서명을 통해 암호화되어 보호된다.
  3. Secure Socket Shell 이라고 부른다.
  4. 쌍방 간 인증을 위해 Skipjack 알고리즘이 이용된다.
(정답률: 64%)
  • 쌍방 간 인증을 위해 Skipjack 알고리즘이 이용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SSH는 대칭키 암호화와 공개키 암호화를 혼합하여 사용하며, 쌍방 간 인증을 위해는 공개키 인증서를 사용합니다. Skipjack 알고리즘은 SSH에서 사용되는 암호화 알고리즘 중 하나이지만, 인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전자우편을 위한 인터넷 표준 포맷으로, 사용자간의 바이너리(Binary) 파일전송에 관한 인터넷 표준안을 지칭하는 것은?

  1. MIME
  2. FTP
  3. Archie
  4. SMTP
(정답률: 57%)
  • MIME은 전자우편에서 바이너리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인터넷 표준 포맷으로, 이메일에 이미지나 동영상 등의 파일을 첨부할 때 사용된다. 다른 보기들은 이메일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에서 네트워크 장치를 감시하는 요소는?

  1. NetBEUI
  2. 에이전트(Agent)
  3. 병목
  4. 로그
(정답률: 68%)
  • SNMP에서 네트워크 장치를 감시하는 요소는 에이전트(Agent)입니다. 에이전트는 네트워크 장치에서 동작하며, SNM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관리자가 요청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전달합니다. 따라서 에이전트는 SNMP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라우팅 프로토콜 중 네트워크 거리를 계산할 때 홉(Hop)의 총계만을 사용하는 것은?

  1. SNMP
  2. RIP
  3. SMB
  4. OSPF
(정답률: 89%)
  • 정답은 "RIP"입니다. RIP는 거리 벡터(Distance Vector) 라우팅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거리를 계산할 때 홉(Hop)의 총계만을 사용합니다. 이는 다른 라우팅 프로토콜인 OSPF와는 달리 네트워크의 대역폭, 지연 등의 다른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홉 수만을 기준으로 최적 경로를 결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HomePNA 기술에서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는 표준 전송 방식은?

  1. TCP/IP
  2. CSMA/CD
  3. HDLC
  4. VoIP
(정답률: 66%)
  • HomePNA 기술에서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는 표준 전송 방식은 CSMA/CD이다. 이는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의 약자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채널을 감지하여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절하고, 충돌이 발생하면 감지하여 재전송을 시도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IEEE 1394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미국의 애플 컴퓨터가 제창한 개인용 컴퓨터 및 디지털 오디오, 디지털 비디오용 시리얼 버스 인터페이스 표준 규격이다.
  2. 현재 IEEE 1394a, IEEE 1394b, IEEE 1394q 표준이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3. IEEE 1394a는 디지털 비디오 녹화기, DVD 캠코더, 고해상도 프린터 그리고 스캐너 등 동급기기 간에 고화질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4. IEEE 1394b는 IEEE 1394a 표준에서 다른 기능을 추가하여 만든 표준으로 800Mbps~1,600Mbps 전송속도로 통신 할 수 있다.
(정답률: 52%)
  • "현재 IEEE 1394a, IEEE 1394b, IEEE 1394q 표준이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IEEE 1394q는 존재하지 않는다. IEEE 1394의 최신 표준은 IEEE 1394b이며, 이후로는 새로운 표준이 발표되지 않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USB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USB 주변기기는 핫 플러그와 PnP 기능을 지원한다.
  2. 포트의 크기가 작고 이론적으로 무한 개의 주변기기를 지원할 수 있다.
  3. PC와 연결 시 별도의 설정이나 H/W가 불필요하다.
  4. 다양한 장점으로 인해 세계적인 표준규격으로 정해져 있다.
(정답률: 75%)
  • USB 포트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는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지만, 일부 장치에서는 더 큰 크기의 포트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이론적으로 USB는 무한 개의 주변기기를 지원할 수 없다. USB 호스트 컨트롤러는 한 번에 일정 수의 장치만 처리할 수 있으며, 이 수는 호스트 컨트롤러의 성능과 USB 버전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포트의 크기가 작고 이론적으로 무한 개의 주변기기를 지원할 수 있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IEEE 802.15.1 표준으로 승인된 규격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내에 있는 컴퓨터, 프린터, 휴대폰 등 정보통신기기는 물론 각종 디지털 가전제품을 2.4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해 무선으로 연결해 주는 근거리 무선접속 기술은?

  1. HomeRF
  2. IrDA
  3. WLAN
  4. Bluetooth
(정답률: 66%)
  • Bluetooth는 2.4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해 근거리 무선접속을 제공하는 기술로, 다양한 정보통신기기 및 디지털 가전제품을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HomeRF는 무선 전화 통신에 특화된 기술이며, IrDA는 적외선 통신 기술, WLAN은 무선 LAN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8.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기능 중, 정보의 신뢰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한 개체가 보낸 PDU(Protocol Data Unit)에 대한 애크널러지먼트(ACK)를 특정시간 동안 받지 못하면 재전송하는 기능은?

  1. Flow Control
  2. Error Control
  3. Sequence Control
  4. Connection Control
(정답률: 56%)
  • 정보의 신뢰성을 부여하는 것은 "Error Control"이다. 이는 데이터를 전송한 개체가 보낸 PDU에 대한 ACK를 특정 시간 동안 받지 못하면 재전송하여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는 기능이다. Flow Control은 데이터의 양을 제어하여 네트워크 혼잡을 방지하는 기능이고, Sequence Control은 데이터의 순서를 제어하는 기능이다. Connection Control은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하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중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은?

  1. 주파수분할 다중화(FDM)
  2. 시분할 다중화(TDM)
  3. 위상분할 다중화(PDM)
  4. 파장분할 다중화(WDM)
(정답률: 52%)
  • 위상분할 다중화(PDM)은 신호를 시간이 아닌 위상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현재까지는 적용되지 않고 있어 다른 다중화 방식들과는 달리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회선교환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Store and Forward 방식으로 데이터 흐름의 논리적 단위인 메시지를 교환하는 방식이다.
  2. 송수신 단말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송 할 때마다 물리적인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방식이다.
  3. 연결 설정이 불필요한 비동기식 교환방식이다.
  4. 패킷들의 도착순서가 목적지에서 각기 다를 수 있으므로 재조립 과정이 필요하다.
(정답률: 58%)
  • 회선교환방식은 송수신 단말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송 할 때마다 물리적인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회선을 독점적으로 사용하므로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높은 방식입니다. 하지만 회선이 점유되어 있으면 다른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하므로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TCP/IP 프로토콜 계층 구조에서 전송 계층의 데이터 단위를 부르는 이름은?

  1. Segment
  2. Frame
  3. Datagram
  4. User Data
(정답률: 69%)
  • 전송 계층의 데이터 단위를 부르는 이름은 "Segment"이다. 이는 TCP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전송 계층에서 데이터를 세그먼트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하기 때문이다. 이 세그먼트는 수신측에서 다시 조합되어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OSI 7 Layer 중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다양한 정보의 표현 형식을 공통의 전송형식으로 변환하고, 암호화 및 압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1. 세션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전송 계층
  4. 프리젠테이션 계층
(정답률: 68%)
  • 응용 계층에서는 다양한 정보의 표현 형식을 공통의 전송형식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프리젠테이션 계층은 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하고, 암호화 및 압축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프리젠테이션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은 IEEE 802 규약이다.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IEEE 802.2 - Wireless LAN
  2. IEEE 802.3 - CSMA/CD
  3. IEEE 802.4 - Token Bus
  4. IEEE 802.5 - Token Ring
(정답률: 75%)
  • 정답은 "IEEE 802.2 - Wireless LAN"이다. IEEE 802.2는 물리적인 레이어와 데이터 링크 레이어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규약으로, LLC(Logical Link Control)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IEEE 802.11이 Wireless LAN을 정의하는 규약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네트워크 케이블에서 실제로 움직이는 패킷은 크게 3 섹션으로 구별된다. 다음 중 패킷의 섹션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헤더
  2. 데이터
  3. 데이터그램
  4. 트레일러
(정답률: 59%)
  • 정답: "데이터그램"

    설명: 패킷은 크게 "헤더", "데이터", "트레일러" 섹션으로 구분된다. "헤더"는 패킷의 출발지, 목적지, 크기 등의 정보를 담고 있으며, "데이터"는 실제 전송되는 정보를 담고 있다. "트레일러"는 패킷의 끝을 나타내는 정보를 담고 있다. "데이터그램"은 인터넷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패킷의 한 종류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LAN의 Topology 중 아래 그림과 같이 공통 배선에 시스템의 모든 요소를 연결하는 방식은?

  1. 스타형
  2. 버스형
  3. 링형
  4. 결선형
(정답률: 93%)
  • 정답은 "버스형"입니다.

    이는 모든 시스템 요소가 공통 배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터가 한 방향으로만 전송되는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를 "버스형"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IP(Internet Protocol)는 초기에 주소를 A, B, C 등으로 분류하여 기관에 배정되었는데, 인터넷 주소의 고갈 문제가 대두하면서 주소 크기는 유지하면서 새로운 인터넷 주소 방식 프로토콜이 제정되었다. 이 프로토콜은?

  1. Classful Interdomain Routing Protocol
  2.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Protocol
  3. New Address Allocation Protocol
  4. IPv6 Protocol
(정답률: 47%)
  • IP 주소의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A, B, C 클래스와 같은 고정된 주소 체계를 유지하지 않고, 필요한 만큼의 주소를 유연하게 할당하는 방식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이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Protocol"이다. 이 방식은 IP 주소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인터넷의 확장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광섬유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1. 그레디드 멀티모드
  2. 그레디드 싱글모드
  3. 스텝형 멀티모드
  4. 스텝형 싱글모드
(정답률: 60%)
  • 그레디드 싱글모드는 광섬유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이다. 그레디드 싱글모드는 광섬유의 직경이 일정하지 않아서 광의 속도가 서로 다른 모드들이 혼재되어 전송되는 멀티모드와는 달리, 광의 속도가 일정한 싱글모드와도 다르다. 따라서 그레디드 싱글모드는 멀티모드와 싱글모드의 중간 형태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NOS

28. 파일 또는 디렉터리의 사용 허가와 보안 기능을 갖는 Windows 2000 Server의 기본 파일 시스템은?

  1. NTFS
  2. FAT
  3. FAT32
  4. UFS
(정답률: 78%)
  • Windows 2000 Server의 기본 파일 시스템은 NTFS이다. NTFS는 파일 및 디렉터리에 대한 사용 권한 및 보안 기능을 제공하며, 파일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높다. 또한, NTFS는 파일 크기 제한이 없으며, 파일 압축, 암호화, 복구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Windows 2000 Server에서는 NTFS를 사용하여 파일 및 디렉터리를 관리하고 보안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Windows 2000 Server의 IIS(인터넷 정보 서비스)에서 작업할 수 있는 서비스로 옳지 않은 것은?

  1. FTP
  2. DHCP
  3. NNTP
  4. SMTP
(정답률: 67%)
  • Windows 2000 Server의 IIS에서 DHCP는 작업할 수 없는 서비스입니다. DHCP는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프로토콜이며, IIS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DHC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Windows 2000 Server에서 이미 지정된 이름에 대한 별칭 도메인을 지정하는 DNS 레코드는?

  1. ISDN
  2. A
  3. MX
  4. CNAME
(정답률: 74%)
  • "CNAME"은 Canonical Name Record의 약자로, 이미 지정된 이름에 대한 별칭 도메인을 지정하는 DNS 레코드입니다. 이 레코드는 하나의 도메인 이름을 다른 도메인 이름으로 매핑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www.example.com"이라는 도메인 이름을 "example.com"으로 매핑하고 싶을 때 "CNAME" 레코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자신의 로컬 캐시에 이전에 다운로드 해놓았던 웹 페이지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그 페이지가 발견되면, 사용자의 요구를 인터넷에서 새로 찾지 않고 로컬 캐시에 있는 내용을 사용자에게 보내주는 서버는?

  1. Exchange 서버
  2. 사이트 서버
  3. SQL 서버
  4. 프락시 서버
(정답률: 67%)
  • 프락시 서버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하며,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대신하여 서버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가져오고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합니다. 따라서 자신의 로컬 캐시에 이전에 다운로드 해놓았던 웹 페이지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만약 그 페이지가 발견되면, 사용자의 요구를 인터넷에서 새로 찾지 않고 로컬 캐시에 있는 내용을 사용자에게 보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Windows 2000 Server에서 DHCP 서버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도메인 이름을 IP Address로 변환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서버이다.
  2. 서로 다른 서브넷(Subnet)을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3. 특정 시점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에 동적으로 IP Address를 할당한다.
  4. 원하는 파일을 찾아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정답률: 79%)
  • DHCP 서버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에 동적으로 IP Address를 할당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는 네트워크 관리자가 수동으로 IP Address를 할당하는 것보다 효율적이며,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가 자동으로 IP Address를 받아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Windows 2000 Server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계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로컬 사용자 계정은 특정 컴퓨터에 로그온 하여 해당 컴퓨터의 자원에 액세스 할 수 있다.
  2. 도메인 사용자 계정은 도메인에 로그온 하여 네트워크 리소스를 액세스 할 수 있다.
  3. 기본 제공 사용자 계정은 관리 작업을 하거나 로컬 혹은 네트워크 자원에 접근할 수 있다.
  4. 로컬 및 도메인 사용자 계정 모두 Local Security Database에 의해 생성되고, Active Directory에 저장된다.
(정답률: 48%)
  • 정답은 "로컬 및 도메인 사용자 계정 모두 Local Security Database에 의해 생성되고, Active Directory에 저장된다." 이다. 이유는 로컬 사용자 계정은 로컬 보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도메인 사용자 계정은 Active Directory에 저장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Windows 2000 Server에서 계정 잠금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사용자가 여러 번 로그인에 실패하였을 때 해당 사용자의 계정을 자동으로 삭제한다.
  2. 잠금 발생을 위한 로그인 실패 횟수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없다.
  3. 잠금이 발생한 이후에는 계정 잠금 기간만큼, 사용자 계정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관리자에 의해 설정 될 수 있다.
  4. Windows 2000 Server는 계정 잠금을 지원하지 않는다.
(정답률: 77%)
  • Windows 2000 Server에서 계정 잠금이 발생하면, 해당 사용자의 계정은 잠금 기간 동안 사용하지 못하도록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Windows 2000 Server에서 그룹 계정을 사용하는 이유는 그룹에 권한을 설정하여 사용자 계정을 포함시키면 관리하기 편리해지기 때문이다. 그룹 계정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Local Group
  2. Domain Local Group
  3. Network Group
  4. Global Group
(정답률: 60%)
  • Windows 2000 Server에서는 Local Group, Domain Local Group, Global Group이 그룹 계정의 종류에 해당한다. Network Group은 존재하지 않는 그룹 계정이며, 따라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Windows 2000 Server 설치 시 기본으로 설치되는 사용자로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1. User, Administrator
  2. User, Guest
  3. User, Group
  4. Administrator, Guest
(정답률: 76%)
  • Windows 2000 Server 설치 시 기본으로 설치되는 사용자는 "Administrator"와 "Guest"이다. 이는 Administrator가 시스템 관리자로서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고, Guest는 일반 사용자로서 제한된 권한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두 사용자는 시스템의 보안과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존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Windows 2000 Server에서 페이징(paging)이 많이 일어날 때 해결할 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1. CPU의 처리 속도가 느려서 발행되는 현상이므로, 처리 속도가 빠른 CPU로 교체한다.
  2. 메모리가 부족해서 일어나는 현상이므로 메모리를 늘려준다.
  3. 네트워크 병목 현상에 의해 발생되므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여준다.
  4. 그래픽카드의 성능이 느린 경우 주로 발생하므로, 그래픽카드를 교체한다.
(정답률: 63%)
  • 정답은 "메모리가 부족해서 일어나는 현상이므로 메모리를 늘려준다."입니다.

    페이징은 메모리가 부족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운영체제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 페이지를 디스크에 저장하고, 필요한 페이지가 있을 때마다 디스크에서 다시 가져와 메모리에 올리는 과정을 반복합니다. 이 과정에서 디스크 I/O가 발생하므로 성능 저하가 일어납니다.

    따라서 페이징이 많이 일어날 때는 메모리를 늘려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대처 방법입니다. 메모리를 늘리면 더 많은 페이지를 메모리에 올릴 수 있으므로 페이징이 줄어들어 성능이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Windows 2000 Server에서 백업의 종류와 설명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보통 백업 : 수행하는 날짜에 수정된 모든 파일을 복사한다.
  2. 매일 백업: 선택된 모든 파일을 복사하고 보관 속성을 해제하여 각 파일이 백업 된 것으로 표시한다.
  3. 차등 백업 : 보통 백업이나 증분 백업을 수행하기 전에 만들어 졌거나 변경된 파일만 백업한다.
  4. 복사 백업: 선택된 모든 파일을 복사하지만 보관 속성을 해제하지 않으므로 백업된 것으로 표시되지 않는다.
(정답률: 60%)
  • 복사 백업은 선택된 모든 파일을 복사하지만 보관 속성을 해제하지 않으므로 백업된 것으로 표시되지 않는다. 이는 단순히 파일을 복사하는 것으로, 백업된 것으로 인식되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종류의 백업은 파일을 복사하면서 보관 속성을 해제하여 백업된 것으로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Windows 2000 Server의 MMC(Microsoft Management Console)의 기능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네트워크 기능들을 모니터링하고 관리도구들을 액세스 하기 위한 관리자 콘솔이다.
  2. 하나의 관리자 인터페이스에 필요한 관리 요소를 스냅인으로 추가하여 관리할 수 있는 편리한 도구이다.
  3. 로컬 컴퓨터와 원격 컴퓨터를 하나의 화면에서 관리할 수는 없다.
  4. 컴퓨터 관리에는 보통 시스템 도구, 저장소, 서비스 및 응용프로그램을 관리한다.
(정답률: 77%)
  • MMC는 로컬 컴퓨터와 원격 컴퓨터를 하나의 화면에서 관리할 수 있다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로컬 컴퓨터와 원격 컴퓨터를 하나의 화면에서 관리할 수는 없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Windows 2000 Server에서 이용할 수 있는 TCP/IP 유틸리티가 아닌 것은?

  1. ping
  2. ifconfig
  3. hostname
  4. tracert
(정답률: 68%)
  • "ifconfig"는 유닉스나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TCP/IP 유틸리티이며, Windows 2000 Server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Windows 2000 Server에서 사용 가능한 TCP/IP 유틸리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Windows 2000 Server의 동적 디스크에서 지원하지 않는 볼륨은?

  1. 단순 볼륨
  2. 스팬 볼륨
  3. RAID - 5 볼륨
  4. RAID - 0+1 볼륨
(정답률: 71%)
  • Windows 2000 Server의 동적 디스크에서 지원하지 않는 볼륨은 "RAID - 0+1 볼륨"입니다. 이는 RAID 0과 RAID 1을 조합한 볼륨으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여러 디스크에 저장하고, 동시에 미러링하여 데이터의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하지만 Windows 2000 Server의 동적 디스크에서는 RAID - 0+1 볼륨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대신, Windows 2000 Server에서는 RAID 1+0 볼륨을 지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Linux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내린 명령어를 Kernel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System Program
  2. Loader
  3. Shell
  4. Directory
(정답률: 83%)
  • Shell은 사용자와 커널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해석하여 커널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Linux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내린 명령어를 Kernel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Shel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Linux 시스템 각각의 디렉터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bin :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명령어가 들어있다.
  2. /etc : 각 시스템의 고유한 설정 파일들이 위치한다.
  3. /proc : 시스템 운영도중 파일의 크기가 변하는 파일들을 위한 공간이다.
  4. /tmp : 임시 파일들을 위한 공간이다.
(정답률: 70%)
  • "/proc : 시스템 운영도중 파일의 크기가 변하는 파일들을 위한 공간이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proc 디렉터리는 가상 파일 시스템으로, 현재 시스템의 상태와 정보를 제공하는 파일들이 위치한다. 이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들은 실제로는 메모리에 있는 정보를 파일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파일 크기가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roc/meminfo 파일은 현재 시스템의 메모리 사용량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 파일의 크기는 시스템의 메모리 사용량에 따라 동적으로 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사용자가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의 경로를 절대경로 방식으로 보여주는 Linux 명령어는?

  1. cd
  2. man
  3. pwd
  4. cron
(정답률: 72%)
  • 정답은 "pwd"이다. "pwd"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의 절대경로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pwd"를 입력하면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의 절대경로가 출력된다. "cd"는 디렉터리를 변경하는 명령어이고, "man"은 명령어의 매뉴얼을 보는 명령어이며, "cron"은 일정한 주기로 명령어를 실행하는 스케줄링 도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Windows 2000 Server의 "시스템 성능 모니터"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여러 컴퓨터의 데이터를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다.
  2. 시스템 성능 모니터를 이용하면 네트워크 내에 모든 컴퓨터의 프로세서, 메모리, 캐시, 프로세스, 스레드 등의 작동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3. 차트, 로그, 경고, 보고서의 내용을 데이터베이스나 혹은 스프레드시트로 가져갈 수 있다.
  4. 시스템의 정확한 작동 정보를 위한 베이스 라인 설정은 다수의 사용자가 시스템을 이용할 때 설정한다.
(정답률: 45%)
  • "시스템의 정확한 작동 정보를 위한 베이스 라인 설정은 다수의 사용자가 시스템을 이용할 때 설정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베이스 라인 설정은 시스템을 처음 설치하거나, 시스템 구성이 변경되었을 때 담당자가 설정하는 것이 올바르다. 다수의 사용자가 시스템을 이용할 때 설정하면 일관성 없는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브리지(Bridge) : OSI 7 Layer에서 데이터링크 계층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한다.
  2. 허브(Hub) : LAN 상의 여러 컴퓨터를 연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3. 라우터(Router) : OSI 7 Layer의 전송 계층에서 이종의 프로토콜을 연결하는데 사용한다.
  4. 리피터(Repeater) : 전송되는 신호가 심하게 왜곡되거나 약화되기 전에 이를 가로챈 다음 증폭해서 재전송해 주는 장치이다.
(정답률: 71%)
  • "라우터(Router) : OSI 7 Layer의 전송 계층에서 이종의 프로토콜을 연결하는데 사용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라우터는 OSI 7 Layer의 네트워크 계층에서 이종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데 사용됩니다. 전송 계층에서는 TCP와 UDP와 같은 프로토콜을 다루며, 라우터는 이러한 프로토콜을 다루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스위치 허브(Switch Hub)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네트워크 관리가 용이하다.
  2. 네트워크 확장이 용이하다.
  3. 포트 당 일정한 속도를 보장해 준다.
  4. 스위치 허브에 연결된 사용자가 많을수록 전송속도는 향상된다.
(정답률: 87%)
  • 스위치 허브에 연결된 사용자가 많을수록 전송속도는 향상되지 않는다. 사실, 스위치 허브는 각 포트마다 독립적인 전송 경로를 제공하므로 포트 당 일정한 속도를 보장해 준다. 따라서, 사용자가 많아지면 각 포트의 대역폭이 분할되어 전송속도가 떨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무선 랜의 기본 전송기술 중에는 DSSS(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방식과 FHSS(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있다. 이들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DSSS 방식은 무선 통신에서 주파수를 고정하지 않고 시간에 따라 변화시켜 송신하는 방식이다.
  2. FHSS 방식은 하나의 신호 심볼을 일정한 시퀀스로 확산시켜 통신하는 방식이다.
  3. DSSS 방식은 변조의 효율성이 좋고, 신호의 동기가 빠르며, 낮아진 전력 밀도로 대역 내 간섭이 적은 장점이 있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사용되고 있다.
  4. FHSS 방식은 8.6GHz ~ 8.7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정답률: 62%)
  • "DSSS 방식은 변조의 효율성이 좋고, 신호의 동기가 빠르며, 낮아진 전력 밀도로 대역 내 간섭이 적은 장점이 있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100Base-FX에 사용되는 케이블은?

  1. 동축케이블
  2. 광섬유 케이블
  3. UTP
  4. STP
(정답률: 69%)
  • 100Base-FX는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광섬유 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빠르고 멀리 전송할 수 있으며, 노이즈에 강합니다. 따라서 100Base-FX에서는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하여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전력선을 매체로 전력선의 전원파형에 디지털 정보를 실어서 전송하는 통신방식은?

  1. PLC
  2. Home PNA
  3. IEEE1394
  4. USB
(정답률: 74%)
  • 전력선 통신(PLC)은 전력선을 매체로 사용하여 디지털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전력선은 이미 가정이나 건물 등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케이블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또한, 전력선은 건물 내부에서는 거의 모든 곳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면 다양한 장치들 간에 통신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