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8-26)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2017-08-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계산기 프로그래밍

1. 객체지향 기반의 언어가 아닌 것은?

  1. JAVA
  2. C++.NET
  3. C#.NET
  4. GWBASIC
(정답률: 83%)
  • GWBASIC은 객체지향 기반의 언어가 아닙니다. GWBASIC은 절차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특징인 캡슐화, 상속, 다형성 등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의 프로그램을 실행한 결과로 옳은 것은?

  1. 2
  2. 3
  3. 6
  4. 8
(정답률: 77%)
  • 이 프로그램은 리스트 [1, 2, 3, 4, 5]에서 2와 5를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을 2배씩 곱한 후, 그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출력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1, 2, 3, 4, 5]에서 2와 5를 제외한 [1, 3, 4]를 2배씩 곱하면 [2, 6, 8]이 됩니다. 이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은 2가 아니라 6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이 아니라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프로그램의 작성과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④->③->①->⑥->②->⑤
  2. ④->⑤->①->⑥->②->③
  3. ⑤->③->①->⑥->②->④
  4. ⑤->⑥->①->②->③->④
(정답률: 76%)
  • 정답은 "⑤->③->①->⑥->②->④" 이다.

    ⑤: 문제 해결을 위한 계획 수립
    ③: 알고리즘 설계
    ①: 프로그램 작성
    ⑥: 프로그램 테스트
    ②: 디버깅 및 오류 수정
    ④: 프로그램 유지보수

    이 순서대로 진행하면 가장 효율적으로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⑤->③->①->⑥->②->④"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제어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무조건 제어문은 어떤 조건 없이 무조건 지정한 곳으로 제어를 옮긴다.
  2.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실행 순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3. 조건 제어문은 여러 경로를 통하여 한꺼번에 여러 경로로 제어를 옮긴다.
  4. 제어문에는 무조건 제어문과 조건 제어문이 있다.
(정답률: 82%)
  • 정답은 "무조건 제어문은 어떤 조건 없이 무조건 지정한 곳으로 제어를 옮긴다."입니다.

    조건 제어문은 조건에 따라 다른 경로로 제어를 옮기는 것이 가능하지만, 무조건 제어문은 항상 같은 곳으로 제어를 옮기기 때문에 여러 경로로 제어를 옮길 수 없습니다.

    조건 제어문은 if문, switch문 등이 있으며, 무조건 제어문은 goto문이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따라서 조건 제어문은 조건에 따라 다양한 경로로 제어를 옮길 수 있기 때문에 유연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며, 무조건 제어문은 사용을 지양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어셈블리에서 주로 산술 연산에 사용되는 레지스터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AX
  2. BP
  3. SI
  4. SP
(정답률: 77%)
  • "AX"는 16비트 산술 연산을 수행하는 레지스터로, "AL"과 "AH" 두 개의 8비트 레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AX"는 산술 연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레지스터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컴파일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구문분석 단계에서는 의미적 오류를 검사한다.
  2. 기계어에 가까운 중간 코드로 된 프로그램을 생성한 후 문법적 오류를 검사한다.
  3. 어휘분석에서 파스 트리 생성을 시작한다.
  4. 원시 프로그램을 토큰단위로 자르는 것은 어휘분석 단계이다.
(정답률: 53%)
  • 컴파일러는 원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은 여러 단계로 이루어지며, 그 중 첫 번째 단계는 어휘분석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원시 프로그램을 토큰단위로 자르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원시 프로그램을 토큰단위로 자르는 것은 어휘분석 단계이다."가 가장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C언어의 열거형에 해당하는 것은?

  1. enum
  2. subtype
  3. typdef
  4. union
(정답률: 78%)
  • 정답은 "enum"이다. 열거형은 서로 연관된 상수들을 정의할 때 사용하는 C언어의 데이터 타입으로, 각각의 상수에 대해 고유한 이름을 부여하여 사용한다. 이를 통해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상수의 값을 변경할 때 일일이 수정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럼바우(Rumbaugh) 모델링에서 상태도 및 자료 흐름도와 각각 관계되는 모델링은?

  1. 상태도 – 기능모델링, 자료 흐름도 – 동적모델링
  2. 상태도 – 동적모델링, 자료 흐름도 – 기능모델링
  3. 상태도 – 객체모델링, 자료 흐름도 – 동적모델링
  4. 상태도 – 객체모델링, 자료 흐름도 – 기능 모델링
(정답률: 69%)
  • 상태도는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델링이므로 동적모델링과 관련이 있습니다. 반면에 자료 흐름도는 시스템의 기능을 나타내는 모델링이므로 기능모델링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상태도 – 동적모델링, 자료 흐름도 – 기능모델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C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구조화 언어라고 부를 수 있는 제어구조와 제어문을 가지고 있다.
  2. 어셈블리어와 같은 저급언어의 범주에 속한다.
  3. 포인터의 사용이 가능하다.
  4. 이식성이 뛰어나다.
(정답률: 87%)
  • C언어는 어셈블리어와 같은 저급언어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 C언어는 고급언어로 분류되며, 어셈블리어보다 추상화된 레벨에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C언어는 구조화 언어이며, 제어구조와 제어문을 가지고 있으며 포인터의 사용이 가능하며 이식성이 뛰어나다는 것은 모두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어셈블리어에서 어떤 기호적 이름에 상수 값을 할당하는 명령어는?

  1. ASSUME
  2. EVEN
  3. EQU
  4. ORG
(정답률: 86%)
  • "EQU"는 상수 값을 할당하는 명령어로, 기호적 이름과 상수 값을 지정하여 해당 기호를 상수 값으로 대체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MAX_VALUE EQU 100"이라는 명령어는 "MAX_VALUE"라는 기호적 이름에 100이라는 상수 값을 할당하는 것이다. 이후에 "MOV AX, MAX_VALUE"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면 "MOV AX, 100"으로 대체되어 실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어셈블리어에서 사용되는 어셈블러 명령(의사 명령, 지시 명령)에 해당하는 것은?

  1. AH
  2. DROP
  3. SR
  4. LA
(정답률: 72%)
  • 정답은 "DROP"입니다.

    "DROP"은 어셈블러 명령 중 하나로, 어셈블리어 코드에서 사용하지 않는 변수나 레이블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메모리 사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객체지향프로그래밍에서 정보 은닉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결합화
  2. 상속화
  3. 응집화
  4. 캡슐화
(정답률: 91%)
  • 정보 은닉은 객체의 내부 구현을 외부에서 직접 접근하지 못하도록 보호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위해 객체의 속성과 메서드를 캡슐화하여 외부에서는 객체 내부의 구현에 대해 알지 못하더라도 객체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정보 은닉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캡슐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의 의사명령 중에서 데이터의 형식을 지정하는 의사명령은?

  1. SEGMENT~END
  2. DEC
  3. IF~ELSE~ENDIF
  4. BYTE PTR
(정답률: 57%)
  • "BYTE PTR"은 데이터의 형식을 지정하는 의사명령입니다. 이는 메모리에 저장될 데이터의 크기와 형식을 지정하는 것으로, "BYTE PTR"은 1바이트 크기의 데이터를 지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MOV BYTE PTR [BX], 10"은 BX 레지스터가 가리키는 메모리 위치에 1바이트 크기의 10을 저장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Interrupt Service Routine으로부터의 복귀명령에 해당하는 명령은?

  1. RET
  2. IRET
  3. INT 21H
  4. INT 0H
(정답률: 56%)
  • Interrupt Service Routine은 인터럽트가 발생했을 때 실행되는 코드이며, 해당 코드가 끝나면 복귀해야 한다. 이때 복귀명령으로 사용되는 명령어가 IRET이다. IRET은 Interrupt Return의 약자로,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에서 실행되었던 상태를 복원하고, 인터럽트가 발생하기 전의 프로그램으로 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IRET이 Interrupt Service Routine으로부터의 복귀명령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레지스터 R1=1100, R2=0101이 저장되어 있을 때 selective-set 연산을 수행하면 결과값은?

  1. 0100
  2. 0101
  3. 1100
  4. 1101
(정답률: 74%)
  • Selective-set 연산은 두 개의 레지스터를 비트 단위로 비교하여, 첫 번째 레지스터의 해당 비트가 1이면 두 번째 레지스터의 해당 비트를 1로 설정하고, 0이면 그대로 유지하는 연산이다. 따라서 R1과 R2를 selective-set 연산하면 R1의 첫 번째 비트가 1이므로 R2의 첫 번째 비트가 1로 설정되어 결과값은 "110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기계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진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표현한다.
  2.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이다.
  3. 사람 중심의 언어로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4.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88%)
  • 사람 중심의 언어로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기계어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이지만, 사람이 이해하기 어렵고 수정이 어려워 유지보수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기계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주로 컴퓨터 하드웨어와 밀접하게 연관된 작업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의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C++, Smalltalk 등의 언어가 이에 속한다.
  2. 객체 중심은 구조적 코딩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3. 객체 중심의 프로그래밍 기법으로 클래스의 재사용성(reusability)이 높다.
  4. 클래스에는 함수와 객체의 속성이 정의되며, 객체는 클래스 내에 정의된 멤버 함수를 통해서 접근이 가능하다.
(정답률: 70%)
  • 객체 중심은 구조적 코딩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구조적 프로그래밍보다 더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객체 간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구조적 코딩보다는 객체 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 프로그래밍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베이스 주소 지정방법의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명령어의 길이가 줄어들어 효율적으로 기억장치 이용이 가능하다.
  2. 목적프로그램의 재배치성을 높일 수 있다.
  3. 액세스할 수 있는 기억장치의 범위는 4kb로 제한된다.
  4. 명령 레지스터를 통해 원하는 기억장치 주소 지정과 프로그램 상태를 제어 할 수 있다.
(정답률: 40%)
  • 액세스할 수 있는 기억장치의 범위는 4kb로 제한된다는 것이 가장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베이스 주소 지정방법이 아닌, 16비트 주소 지정방법에서의 제한이다. 명령 레지스터를 통해 원하는 기억장치 주소 지정과 프로그램 상태를 제어 할 수 있는 것은 베이스 주소 지정방법의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어셈블러에서 매크로(MACRO) 전개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직접 코드 매크로는 어셈블러가 정상적인 어셈블리 처리를 멈추고 후에 사용하기 위해서 입력을 저장하는 모드로 돌아가게 한다.
  2. 매크로와 MEND 또는 ENDM 자체를 저장할 필요는 없으나 매크로를 따르는 줄의 정보는 매크로 정의의 인덱스 안에 저장되어야만 한다.
  3. 매크로 식별자는 보조 니모닉 테이블인 인덱스에 넣어져야 하고 인자 식별자 또한 인덱스나 그 정의 앞에 저장되어진다.
  4. MEND 또는 ENDM이 읽혀지기 전에 어셈블러는 정상적인 모드로 돌아간다.
(정답률: 57%)
  • "직접 코드 매크로는 어셈블러가 정상적인 어셈블리 처리를 멈추고 후에 사용하기 위해서 입력을 저장하는 모드로 돌아가게 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실제로 매크로는 어셈블러가 정상적인 어셈블리 처리를 멈추는 것이 아니라, 매크로가 호출되는 부분에서 매크로 내부의 코드로 대체되어 처리됩니다. 따라서 MEND 또는 ENDM이 읽혀지기 전에 어셈블러는 정상적인 모드로 돌아가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의사연산 테이블(pseudo operation tabl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고정 데이터베이스로서 패스-1에서만 참조한다.
  2. 고정 데이터베이스로서 패스-1, 패스-2에서 참조한다.
  3. 가변 데이터베이스로서 패스-1에서만 참조한다.
  4. 가변 데이터베이스로서 패스-1, 패스-2에서 참조한다.
(정답률: 70%)
  • 의사연산 테이블은 어셈블러의 패스-1에서 사용되며, 어셈블러가 소스코드를 스캔하면서 발견한 의사연산(pseudo operation)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이 테이블은 패스-1에서만 참조되는 것이 아니라, 패스-2에서도 참조되어야 한다. 이는 패스-2에서 실제로 오브젝트 코드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정 데이터베이스로서 패스-1, 패스-2에서 참조한다."가 가장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료구조 및 데이터통신

21. 전송 데이터가 있는 동안에만 Time 슬롯을 할당하는 다중화 방식은?

  1.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
  2. 광파장 분할 다중화
  3.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4. 주파수 분할 다중화
(정답률: 68%)
  •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는 전송 데이터가 없는 시간에는 Time 슬롯을 할당하지 않고, 전송 데이터가 있는 시간에만 Time 슬롯을 할당하는 다중화 방식입니다. 이는 전송 데이터의 양과 빈도에 따라 Time 슬롯을 동적으로 할당하여 효율적으로 대역폭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식은 전송 데이터의 양과 빈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전파가 다중 반사되어 수신점에 도달하게 되므로 이들 전파의 도달시간 차이로 인해 수신점에서 심벌(symbol)이 겹치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동일채널간섭
  2. 지연확산
  3. 도플러 효과
  4. 대척점 효과
(정답률: 63%)
  • 정답은 "지연확산"입니다. 전파가 다중 반사되어 수신점에 도달하면서 각각의 전파는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도달하게 됩니다. 이 때, 경로의 길이나 장애물의 유무에 따라 전파가 도달하는 시간이 달라지게 되어 심벌이 겹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지연확산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IP 주소의 5개 클래스 중 멀티캐스팅을 사용하기 위해 예약되어 있으며 netid와 hostid가 없는 것은?

  1. A 클래스
  2. B 클래스
  3. C 클래스
  4. D 클래스
(정답률: 78%)
  • D 클래스는 멀티캐스팅을 위해 예약되어 있으며, netid와 hostid가 없는 클래스입니다. 이는 D 클래스의 IP 주소가 첫 번째 옥텟만 네트워크 식별자로 사용하고, 나머지 3개의 옥텟은 멀티캐스트 그룹 식별자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D 클래스는 멀티캐스팅을 위한 특별한 용도로 사용되며, 일반적인 네트워크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TCP/IP 계층화 모델 중 전송 계층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1. FTP
  2. Telnet
  3. DNS
  4. TCP
(정답률: 77%)
  • 전송 계층은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계층으로, 데이터의 분할, 재조립, 오류 제어 등을 담당합니다. TCP는 전송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로, 데이터의 안정적인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연결 지향적인 특성과 오류 제어, 흐름 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TCP가 전송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 Telnet은 원격 로그인 프로토콜, DNS는 도메인 이름 시스템으로, 이들은 전송 계층이 아닌 다른 계층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패킷 교환 방식 중 가상 회선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메시지마다 경로 설정
  2. 비연결형 지향 서비스
  3. 메시지를 1개 복사하여 여러 노드로 전송
  4. 패킷들은 경로가 설정된 후 경로에 따라 순서적으로 전송하는 방식
(정답률: 66%)
  • 가상 회선 방식은 메시지마다 경로를 설정하여 통신하는 방식입니다. 이 때, 경로가 설정된 후에는 패킷들이 경로에 따라 순서적으로 전송됩니다. 따라서 "패킷들은 경로가 설정된 후 경로에 따라 순서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이 옳은 설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가상 회선 방식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에러 제어에 사용되는 자동반복 요청(ARQ) 기법이 아닌 것은?

  1. stop-and-wait ARQ
  2. go-back-N ARQ
  3. auto-repeat ARQ
  4. selective-repeat ARQ
(정답률: 68%)
  • "auto-repeat ARQ"는 존재하지 않는 기법입니다. 따라서, 에러 제어에 사용되는 자동반복 요청(ARQ) 기법이 아닌 것은 "auto-repeat ARQ"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HDLC 프레임 형식 중 프레임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1. 정보영역
  2. 제어영역
  3. 주소영역
  4. 플래그
(정답률: 37%)
  • HDLC 프레임 형식에서 프레임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제어영역입니다. 제어영역은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플래그와 함께 전송 제어 정보를 담고 있으며, 이를 통해 프레임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어영역은 HDLC 프로토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하나의 메시지 단위로 저장-전달(Store-and-Forward)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은?

  1. 메시지교환
  2. 공간분할회선교환
  3. 패킷교환
  4. 시분할회선교환
(정답률: 71%)
  • "메시지교환"은 데이터를 하나의 메시지 단위로 저장하고 전달하는 방식으로, 전체 메시지가 도착하기 전까지는 중간에 저장되어 대기하게 된다. 이 방식은 전송 중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전체 메시지를 다시 보내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전체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 아니라 메시지 단위로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 시간이 빠르고, 전송 중간에 다른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방식은 전송 속도가 중요한 경우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문자의 시작과 끝에 각각 Start 비트와 Stop 비트가 부가되어 전송의 시작과 끝을 알려 전송하는 방식은?

  1. 비동기식 전송
  2. 동기식 전송
  3. 전송 동기
  4. PCM 전송
(정답률: 72%)
  • 문자의 시작과 끝에 각각 Start 비트와 Stop 비트가 부가되어 전송의 시작과 끝을 알려 전송하는 방식은 비동기식 전송이다. 이는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전송하는 동기식 전송과 달리,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전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이 방식은 데이터의 크기나 속도에 상관없이 유연하게 전송할 수 있어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25개의 노드(node)를 망형으로 연결할 때, 필요한 회선의 수는?

  1. 250
  2. 300
  3. 350
  4. 500
(정답률: 70%)
  • 25개의 노드를 망형으로 연결할 때, 모든 노드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려면 각 노드마다 (25-1)개의 회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총 필요한 회선의 수는 25 x (25-1) = 600개이다. 그러나 이 회선은 양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필요한 회선의 수는 600/2 = 300개이다. 따라서 정답은 "3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자료에 대하여 삽입 정렬을 사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할 경우 Pass 2의 결과는?

  1. 28, 33, 64, 76, 55, 12, 43
  2. 28, 64, 33, 76, 55, 12, 43
  3. 12, 28, 64, 33, 76, 55, 43
  4. 12, 28, 33, 55, 64, 76, 43
(정답률: 73%)
  • Pass 1에서는 첫 번째 원소인 28이 이미 정렬된 상태이므로 Pass 2에서는 두 번째 원소인 33부터 정렬을 시작합니다. 33은 28보다 크므로 그대로 둡니다. 다음으로 64가 들어갈 자리를 찾습니다. 33보다 크므로 그대로 둡니다. 76도 마찬가지로 33, 64보다 크므로 그대로 둡니다. 이제 55가 들어갈 차례입니다. 55는 76보다 작으므로 76을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시키고, 64와 비교합니다. 55는 64보다 작으므로 64를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시키고, 33과 비교합니다. 55는 33보다 크므로 33 다음 자리에 삽입합니다. 마지막으로 12가 들어갈 차례입니다. 12는 76보다 작으므로 76을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시키고, 64와 비교합니다. 12는 64보다 작으므로 64를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시키고, 33과 비교합니다. 12는 33보다 작으므로 33을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시키고, 28과 비교합니다. 12는 28보다 작으므로 28을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시키고, 12 다음 자리에 삽입합니다. 따라서 Pass 2의 결과는 "12, 28, 33, 55, 64, 76, 43"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해싱 기법에서 동일한 홈 주소로 인하여 충돌이 일어난 레코드들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은?

  1. Overflow
  2. Bucket
  3. Collision
  4. Synonym
(정답률: 73%)
  • 해싱 기법에서 동일한 홈 주소로 인하여 충돌이 일어난 레코드들의 집합을 "Synonym"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충돌이 일어난 레코드들이 서로 동의어 관계에 있다는 의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싱 기법에서 충돌과 관련된 다른 개념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과 같은 이진 트리의 Preorder 운행 결과는?

  1. A B D E H C F G
  2. A B C D E F G H
  3. A H E B F G C D
  4. D B H E A F C G
(정답률: 86%)
  • Preorder 운행 방식은 루트 노드를 먼저 출력하고, 왼쪽 서브트리를 방문한 후에 오른쪽 서브트리를 방문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진 트리의 Preorder 운행 결과는 "A B D E H C F G" 입니다.

    - A: 루트 노드
    - B: A의 왼쪽 자식 노드
    - D: B의 왼쪽 자식 노드
    - E: D의 오른쪽 자식 노드
    - H: E의 오른쪽 자식 노드
    - C: A의 오른쪽 자식 노드
    - F: C의 왼쪽 자식 노드
    - G: F의 오른쪽 자식 노드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스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리스트의 한쪽 끝으로만 자료의 삽입, 삭제 작업이 이루어지는 자료 구조이다.
  2. 스택으로 할당된 기억공간에 가장 마지막으로 삽입된 자료가 기억된 공간을 가리키는 요소를 TOP이라고 한다.
  3. 가장 먼저 삽입된 자료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FIFO 방식이다.
  4. 부프로그램 호출 시 복귀주소를 저장할 때 스택을 이용한다.
(정답률: 89%)
  • 가장 먼저 삽입된 자료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FIFO 방식이다. - 스택은 LIFO(Last In First Out) 방식으로 가장 마지막에 삽입된 자료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색인 순차 파일의 색인 구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트랙 색인 구역
  2. 실린더 색인 구역
  3. 마스터 색인 구역
  4. 오버플로우 색인 구역
(정답률: 83%)
  • 색인 순차 파일은 대용량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데이터를 색인 구역에 저장하여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중에서 오버플로우 색인 구역은 색인 구역에 저장할 수 없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따라서 오버플로우 색인 구역은 색인 구역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데이터베이스의 3층 스키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내부 스키마
  2. 외부 스키마
  3. 관계 스키마
  4. 개념 스키마
(정답률: 84%)
  • 관계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하는 스키마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속성, 관계 등을 정의한다. 하지만 3층 스키마에서는 개념 스키마, 외부 스키마, 내부 스키마로 구성되며, 관계 스키마는 이에 포함되지 않는다. 개념 스키마는 전체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정의하고, 외부 스키마는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이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일부분을 정의한다. 내부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를 정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트랜잭션의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Isolation
  2. Consistency
  3. Atomicity
  4. Distribution
(정답률: 83%)
  • 트랜잭션의 특성 중 "Distribution"은 분산 환경에서의 트랜잭션 처리와 관련된 특성이다. 따라서, 분산 환경이 아닌 단일 시스템에서의 트랜잭션 처리와는 관련이 없으므로, 트랜잭션의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트리의 차수(Degree)는?

  1. 2
  2. 3
  3. 4
  4. 9
(정답률: 73%)
  • 트리의 차수란 각 노드에서 분기되는 가지의 수를 말합니다. 따라서, 각 노드에서 분기되는 가지의 수를 셀 때 보면 "2"는 1개, "3"은 2개, "4"는 3개, "9"는 0개입니다. 그리고 트리의 차수는 이 중에서 가장 큰 값인 4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DBMS의 필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정의 기능
  2. 응용 기능
  3. 조작 기능
  4. 제어 기능
(정답률: 83%)
  • DBMS의 필수 기능은 데이터를 정의하고 저장하며, 데이터를 검색하고 조작하며,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고 보호하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 "응용 기능"은 필수 기능이 아닙니다. 응용 기능은 DBMS를 사용하여 특정한 비즈니스나 기술적인 요구사항에 맞게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이는 DBMS의 선택적인 기능으로, 필수적인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선형 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스택
  2. 트리
  3. 데크
(정답률: 85%)
  • 트리는 선형 구조가 아닌 비선형 구조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스택, 큐, 데크는 모두 선형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계산기구조

41. 다음 중 연관 메모리(associative memory)의 특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Thrashing 현상 발생
  2. 내용 지정 메모리(CAM)
  3.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에 의한 액세스
  4. 기억장치에 저장된 항목을 찾는 시간절약
(정답률: 63%)
  • "Thrashing 현상 발생"은 연관 메모리의 특징이 아니라, 가상 메모리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연관 메모리의 특징으로는 "내용 지정 메모리(CAM)",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에 의한 액세스", "기억장치에 저장된 항목을 찾는 시간절약" 등이 있다.

    Thrashing 현상은 가상 메모리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프로세스가 필요로 하는 페이지를 계속해서 가져오고 내보내며, 실제 작업보다 페이지 교환 작업이 더 많아져서 시스템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현상이다. 이는 연관 메모리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스택(stack)구조의 컴퓨터에서 수식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식을 어떠한 형태로 바꾸어야 하는가?

  1. Infix 형태
  2. John 형태
  3. Postfix 형태
  4. Prefix 형태
(정답률: 69%)
  • Postfix 형태는 연산자를 피연산자 뒤에 놓는 형태로 수식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이 형태로 수식을 바꾸면 괄호를 사용하지 않아도 우선순위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고, 스택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스택 구조의 컴퓨터에서 수식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수식을 Postfix 형태로 바꾸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부동 소수점 파이프라인의 비교시, 시프터, 가산-감산기, 인크리멘터, 디크리멘터가 모두 조합 회호호 구성된다고 가정할 때, 네 세그먼트의 시간 지연이 t1=60ns, t2=70ns, t3=100ns, t4=80ns이고, 중간 레지스터의 지연이 tr=10ns라고 가정하면 비 파이프라인 구조에 비해 약 몇 배의 속도가 향상되는가?

  1. 0.6
  2. 1.1
  3. 2.4
  4. 2.9
(정답률: 49%)
  • 파이프라인 구조에서는 각 세그먼트가 병렬로 처리되기 때문에 가장 오래 걸리는 세그먼트의 시간만큼 전체 처리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t3=100ns이 가장 오래 걸리는 세그먼트이므로 전체 처리 시간은 100ns이 된다.

    반면에 비 파이프라인 구조에서는 모든 연산이 순차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전체 처리 시간은 각 세그먼트의 시간 지연을 모두 더한 값이 된다. 따라서 전체 처리 시간은 t1+t2+t3+t4+tr=320ns가 된다.

    따라서 파이프라인 구조에서는 비 파이프라인 구조에 비해 320/100=3.2배 빠르게 처리할 수 있으므로, 정답은 "2.9"가 된다. (실제로는 파이프라인 구조에서는 파이프라인 레지스터의 지연도 고려해야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간단하게 생략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중앙처리장치의 구성 요소 중 플립플롭이나 래치(Latch)들을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은?

  1. 가산기
  2. 곱셈기
  3. 디코더
  4. 레지스터
(정답률: 67%)
  • 플립플롭이나 래치들을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은 레지스터이다.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데 사용되며, 여러 개의 플립플롭이나 래치를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레이 코드(Gray Cod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접한 숫자들의 비트가 1비트만 변화되어 만들어진 코드이다.
  2. 그레이 코드 자체로 연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2진수로 변환한 후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다시 그레이 코드로 변환하여야 한다.
  3. 그레이 코드를 2진 코드로 혹은 2진 코드를 그레이 코드로 변환 시 두 입력값에 대해 AND 연산을 수행한다.
  4. 그레이 코드 값(0 1 1 1)G는 10진수로 5를 의미한다.
(정답률: 67%)
  • "그레이 코드를 2진 코드로 혹은 2진 코드를 그레이 코드로 변환 시 두 입력값에 대해 AND 연산을 수행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그레이 코드와 2진 코드 간의 변환은 XOR 연산을 사용한다. XOR 연산은 두 비트가 다를 때 1을 반환하고 같을 때 0을 반환하는 연산이다. 따라서 그레이 코드와 2진 코드 간의 변환은 인접한 비트들 간의 XOR 연산을 수행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명령인출(instruction fetch)과 수행단계(execute phase)를 중첩시켜 하나의 연산을 수행하는 구조를 갖는 처리방식은?

  1. 명령 파이프라인(instruction pipeline)
  2. 산술 파이프라인(arithmetic pipeline)
  3. 실행 파이프라인(execute pipeline)
  4. 세그먼트 파이프라인(segment pipeline)
(정답률: 58%)
  • 명령 파이프라인은 명령어를 처리하는 과정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를 병렬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처리 속도를 높이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명령어를 분할하여 각 단계에서 동시에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하면 명령어를 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어 처리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명령 파이프라인은 대규모 데이터 처리나 복잡한 계산을 수행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인터럽트와 비교하여 DMA방식에 의한 사이클 스틸의 가장 특징적인 차이점으로 옳은 것은?

  1. 수행 중인 프로그램을 대기상태로 전환
  2. 정지 상태인 프로그램을 완전히 소멸
  3. 대기 중인 프로그램을 다시 실행
  4. 주기억 장치 사이클의 특정한 주기만 정지
(정답률: 65%)
  • DMA 방식은 인터럽트와 달리 CPU의 개입 없이 주변장치와 주기억장치 간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이 때 DMA 컨트롤러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면서 일정 주기마다 주기억장치 버스를 독점하게 되는데, 이 때 주기억장치 사이클의 특정한 주기만을 정지시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인터럽트는 수행 중인 프로그램을 대기상태로 전환하거나 대기 중인 프로그램을 다시 실행하는 등 CPU의 개입이 필요하지만, DMA 방식은 CPU의 개입 없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므로 사이클 스틸이 발생해도 CPU의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375를 팩10진형 방식으로 표현한 방법은 언팩 10진형 방식으로 표현하였을 때보다 몇 비트의 기억장소가 절약되는가?

  1. 2
  2. 4
  3. 6
  4. 8
(정답률: 45%)
  • +375를 팩10진형 방식으로 표현하면 0000 0011 0111 0101이 된다. 이를 언팩10진형 방식으로 표현하면 3자리의 숫자 3개로 표현할 수 있다. 즉, 9비트의 기억장소가 필요하다. 반면, 팩10진형 방식으로 표현하면 4바이트(32비트) 중에서 앞의 4비트는 0으로 채워지므로 28비트만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19비트의 기억장소가 절약된다. 이를 4로 나누면 4비트씩 묶어서 저장할 수 있으므로 8비트의 기억장소가 절약된다. 따라서 정답은 "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마이크로 오퍼레이션(micro-operation)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작이다.
  2. 한 개의 클록(clock)펄스 동안 실행되는 기본동작이다.
  3. 한 개의 Instruction은 여러 개의 마이크로오퍼레이션이 동작되어 실행된다.
  4.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다.
(정답률: 65%)
  •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라는 설명은 마이크로 오퍼레이션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작이며, 한 개의 클록 펄스 동안 실행되는 기본동작입니다. 또한, 한 개의 Instruction은 여러 개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이 동작되어 실행됩니다. 따라서,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디코더라고도 불린다.
  2. 2n개의 Input line과 n개의 Output line을 갖는다.
  3. n개의 Input line과 2n개의 Output line을 갖는다.
  4. 1개의 Input line과 n개의 Selection line에 의해 2n개의 Output line 중 하나를 선택한다.
(정답률: 55%)
  • 디멀티플렉서는 1개의 Input line과 n개의 Selection line에 의해 2n개의 Output line 중 하나를 선택하는 회로이다. 이는 입력 신호를 여러 개의 출력 신호 중 하나로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디코더와는 다르게 입력 신호가 하나이며, 선택 신호를 통해 출력 신호를 선택한다. 따라서 2n개의 Input line과 n개의 Output line을 갖는 것이 아니라, 1개의 Input line과 n개의 Selection line에 의해 2n개의 Output line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8진수 (563)8의 7의 보수를 구하면?

  1. (214)8
  2. (215)8
  3. (324)8
  4. (325)8
(정답률: 63%)
  • 8진수 7의 보수란 각 자리수를 7에서 뺀 값이다. 따라서, 8진수 (563)8의 7의 보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5의 7의 보수는 2이다. (7 - 5 = 2)
    6의 7의 보수는 1이다. (7 - 6 = 1)
    3의 7의 보수는 4이다. (7 - 3 = 4)

    따라서, (563)8의 7의 보수는 (214)8이다.

    이유는 각 자리수를 7에서 뺀 값이 (214)8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가상메모리 시스템에서 20비트의 논리 주소가 4비트의 세그먼트 번호, 8비트의 페이지 번호, 8비트의 워드 필드로 구성될 경우에 한 세그먼트의 최대 크기로 옳은 것은?

  1. 256 word
  2. 4 kilo word
  3. 16 kilo word
  4. 64 kilo word
(정답률: 53%)
  • 20비트의 논리 주소에서 4비트는 세그먼트 번호, 8비트는 페이지 번호, 8비트는 워드 필드를 나타내므로, 한 세그먼트 내에서 페이지 번호는 2^8=256개까지 할당 가능합니다. 따라서 한 세그먼트의 최대 크기는 페이지 크기인 256 word에 페이지 개수인 256을 곱한 64 kilo word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동기가변식 마이크로오퍼레이션 사이클 타임을 정의하는 방식은 수행시간이 유사한 마이크로오퍼레이션들끼리 모아 집합을 이루고 각 집합에 대해서 서로 다른 마이크로오퍼레이션 사이클 타임을 정의한다. 이때 각 집합 간의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을 정수배가 되도록 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각 집합 간 서로 다른 사이클 타임의 동기를 맞추기 위하여
  2. 각 집합 간의 사이클 타임을 동시식과 비동기식으로 정의하기 위하여
  3. 각 집합 간의 사이클 타임을 모두 다르게 정의하기 위하여
  4. 사이클 타임을 비동기식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정답률: 66%)
  • 각 집합 간 서로 다른 사이클 타임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서는, 모든 마이크로오퍼레이션들이 동시에 실행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각 집합의 사이클 타임이 서로 다르다면, 한 집합의 마이크로오퍼레이션이 끝나기 전에 다른 집합의 마이크로오퍼레이션이 시작될 수 있어서, 전체적인 시스템의 동기화가 깨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집합 간의 사이클 타임을 정수배가 되도록 맞추어, 모든 마이크로오퍼레이션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데이지체인(daisy-chain)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소프트웨어적으로 가장 높은 순위의 인터럽트 소스부터 차례로 검사하여 그 중 가장 높은 우선수위 소스를 찾아낸다.
  2. 인터럽트를 방생하는 모든 장치들을 직렬로 연결한다.
  3. 각 장치의 인터럽트 요청에 따라 각 비트가 개별적으로 세트될 수 있는 레지스터를 사용한다.
  4. CPU에서 멀수록 우선순위가 높다.
(정답률: 65%)
  • "인터럽트를 방생하는 모든 장치들을 직렬로 연결한다."가 가장 옳은 설명이다. 이는 각 장치가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면 그 신호가 다음 장치로 전달되어 우선순위가 높은 장치가 먼저 처리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며, 각 장치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지 않고 순서대로 처리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전달기능의 인스트럭션 사용빈도가 매우 낮은 인스트럭션 형식은?

  1. 메모리-메모리 인스트럭션 형식
  2. 레지스터-레지스터 인스트럭션 형식
  3. 레지스터-메모리 인스트럭션 형식
  4. 스택 인스트럭션 형식
(정답률: 62%)
  • 메모리-메모리 인스트럭션 형식은 두 개의 메모리 주소를 직접적으로 조작하는 인스트럭션 형식으로, 레지스터-레지스터 인스트럭션 형식이나 레지스터-메모리 인스트럭션 형식보다 사용빈도가 매우 낮습니다. 이는 메모리 주소를 직접 조작하는 것이 레지스터를 이용하는 것보다 느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프로세서에서는 레지스터-레지스터 인스트럭션 형식이나 레지스터-메모리 인스트럭션 형식을 사용하며, 메모리-메모리 인스트럭션 형식은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캐시기억장치 운영에서 매핑 함수의 의미를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주기억장치와 I/O장치의 블록 크기를 정하는 방법이다.
  2. 캐시 기억장치의 적중률과 미스율을 정하는 방법이다.
  3. 캐시 기억장치의 태그 필드에 값을 인코딩하는 방법이다.
  4. 주기억장치의 한 개의 블록을 캐시 라인에 배정하는 규칙이다.
(정답률: 52%)
  • 캐시기억장치 운영에서 매핑 함수는 "주기억장치의 한 개의 블록을 캐시 라인에 배정하는 규칙"을 의미합니다. 이는 캐시와 주기억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최적화하기 위해 필요한 규칙으로, 캐시 라인에 어떤 주기억장치 블록을 배정할지를 결정합니다. 이를 통해 캐시의 적중률과 미스율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소프트웨어에 의한 우선순위 판별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인터럽트 벡터
  2. 폴링
  3. 채널
  4. 핸드셰이킹
(정답률: 71%)
  • 소프트웨어에 의한 우선순위 판별 방법 중에서 가장 옳은 것은 "폴링"입니다. 이는 CPU가 주기적으로 각 디바이스나 프로세스를 순차적으로 확인하며 우선순위를 판별하는 방식입니다. 인터럽트 벡터는 하드웨어에 의한 우선순위 판별 방법이며, 채널과 핸드셰이킹은 입출력 장치와의 통신 방식에 관련된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2의 보수를 사용하여 음수를 표현할 때의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0은 두 가지로 표현된다.
  2. 보수를 구하기가 쉽다.
  3. 보수를 이용한 연산 과정 중 엔드 어라운드 캐리(end around carry) 과정이 있다.
  4. 음수의 최대 절대치가 양수의 최대 절대치보다 1만큼 크다.
(정답률: 63%)
  • 2의 보수를 사용하여 음수를 표현할 때, 양수와 음수를 더하면 항상 2의 보수 값인 0이 나오도록 보수를 취해준다. 이때 음수의 최대 절대치가 양수의 최대 절대치보다 1만큼 크다는 것은, 음수를 표현할 때 가장 왼쪽 비트가 부호 비트이므로, 이 비트가 1일 경우 해당 수는 음수로 인식된다. 따라서 음수의 최대 절대치는 2^(n-1)-1이 되고, 양수의 최대 절대치는 2^(n-1)-1이 된다. 여기서 n은 비트 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음수의 최대 절대치가 양수의 최대 절대치보다 1만큼 크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DMA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DMA는 Direct Memory Accesss의 약자이다.
  2. DMA는 기억장치와 주변장치 사이의 직접적인 데이터 전송을 제공한다.
  3. DMA는 블록으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4. DMA는 입출력 전송에 따른 CPU의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정답률: 68%)
  • DMA는 입출력 전송에 따른 CPU의 부하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DMA는 CPU의 개입 없이 기억장치와 주변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기 때문에 CPU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CPU와 기억장치 사이에 실질적인 대역폭(band width)을 늘리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메모리 버스트
  2. 메모리 인코딩
  3. 메모리 인터리빙
  4. 메모리 채널
(정답률: 74%)
  • 메모리 인터리빙은 CPU와 기억장치 사이의 대역폭을 늘리기 위한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이는 메모리 접근 시간을 줄이기 위해 여러 개의 메모리 모듈을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CPU가 한 번에 여러 개의 메모리 모듈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대역폭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운영체제

61. 다음의 페이지 참조 열(Page reference string)에 대해 페이지 교체 기법으로 FIFO를 사용할 경우 페이지 부재(Page Fault)횟수는? (단, 할당된 페이지 프레임 수는 3이고, 처음에는 모든 프레임이 비어있다.)

  1. 13
  2. 14
  3. 15
  4. 20
(정답률: 6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Public Key Syste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용키 암호화 기법을 이용한 대표적 암호화 방식에는 RSA가 있다.
  2. 암호화키와 해독키가 따로 존재한다.
  3. 암호화키와 해독키는 보안되어야 한다.
  4. 키의 분배가 용이하다.
(정답률: 55%)
  • 암호화키와 해독키가 보안되어야 하는 이유는, 공격자가 암호화키를 획득하면 해당 키로 암호화된 모든 정보를 해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암호화키와 해독키는 반드시 비밀로 유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안전한 방법으로 키를 분배하고 보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가 차례로 큐에 도착하였을 때, SJF 정책을 사용할 경우 가장 먼저 처리되는 작업은?

  1. P1
  2. P2
  3. P3
  4. P4
(정답률: 74%)
  • SJF(Shortest Job First) 정책은 도착한 작업 중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작업을 먼저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위의 프로세스에서 P4가 실행 시간이 가장 짧기 때문에 가장 먼저 처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주기억장치 배치 전략 기법으로 최적 적합 방법을 사용한다고 할 때, 다음과 같은 기억장소 리스트에서 10K 크기의 작업은 어느 기억공간에 할당되는가? (단, K=kilo이고, 탐색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한다고 가정한다.)

  1. B
  2. D
  3. F
  4. 어떤 영역에도 할당될 수 없다.
(정답률: 82%)
  • 주기억장치 배치 전략 기법 중 최적 적합 방법은 작업 크기에 맞게 가장 작은 기억공간을 할당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10K 크기의 작업은 12K와 16K 사이에 위치하므로, 이 중에서 가장 작은 16K 기억공간에 할당된다. 따라서 정답은 "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교착상태가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이 아닌 것은?

  1. Mutual exclusion
  2. Hold and wait
  3. Nonpreemption
  4. Liner wait
(정답률: 66%)
  • 교착상태가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은 "상호배제", "보유대기", "비선점", "순환대기" 이다. "Liner wait"는 교착상태가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이 아니라서 정답이다. "Liner wait"는 존재하지 않는 용어이며, "Linear wait"를 말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Linear wait"는 교착상태가 발생할 수 있는 조건 중 하나로, 프로세스들이 자원을 요청할 때, 요청한 순서대로 자원을 할당해주는 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원을 요청한 프로세스들이 순환적으로 자원을 점유하고 있어 다른 프로세스들이 자원을 할당받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다중 사용자와 다중 응용프로그램 환경하에서 자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자원 분배를 위한 스케줄링을 담당한다.
  2. CPU, 메모리 공간, 기억 장치, 입출력 장치 등의 자원을 관리한다.
  3. 운영체제의 종류로는 매크로 프로세서, 어셈블러, 컴파일러 등이 있다.
  4. 입출력 장치와 사용자 프로그램을 제어한다.
(정답률: 77%)
  • 운영체제의 종류로는 매크로 프로세서, 어셈블러, 컴파일러 등이 있다. - 이 설명은 운영체제의 역할과는 관련이 없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도구들을 운영체제의 종류로 언급하고 있으므로 옳지 않은 설명이다.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 및 응용프로그램의 요구에 따라 자원을 할당하며, 입출력 장치와 사용자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기억장치 관리에 관한 설명에 가장 부합하는 기법은?

  1. Coalescing
  2. Garbage Collection
  3. Relocation
  4. Swapping
(정답률: 71%)
  • 기억장치 관리에서 Relocation 기법은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메모리 공간을 변경하는 기법입니다. 이 기법은 메모리 단편화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프로세스가 메모리를 할당받을 때, 연속된 공간이 없어서 여러 조각으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 Relocation 기법을 사용하여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메모리 공간을 한 곳으로 모아줍니다. 이렇게 하면 메모리 단편화를 해결할 수 있고, 메모리 사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프로세스(Process)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PCB를 가진 프로그램
  2. 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
  3. 프로세서가 할당되는 실체
  4. 활동 중인 프로시저(Procedure)
(정답률: 71%)
  • 정답: "활동 중인 프로시저(Procedure)"

    설명: 프로세스는 PCB(Process Control Block)를 가진 프로그램으로, 프로세서가 할당되는 실체이며, 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입니다. 프로시저(Procedure)는 프로그램 내에서 실행되는 일련의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프로세스 내에서 활동 중인 일부분일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디스크 입·출력 요청 대기 큐에 다음과 같은 순서로 기억되어 있다. 현재 헤드가 53에 있을 때, 이를 모두 처리하기 위한 총 이동 거리는 얼마인가? (단, FCFS 방식을 이용한다.)

  1. 320
  2. 640
  3. 710
  4. 763
(정답률: 58%)
  • FCFS 방식은 먼저 들어온 요청부터 처리하는 방식이므로, 디스크 헤드가 이동하는 거리는 각 요청의 위치 차이의 합이다. 따라서, 53에서 98까지 이동한 후, 183에서 37까지 이동한 후, 37에서 122까지 이동한 후, 122에서 183까지 이동한 후, 183에서 14까지 이동한 후, 14에서 124까지 이동한 후, 124에서 65까지 이동한 후, 65에서 67까지 이동한 후, 67에서 98까지 이동한 총 640의 이동 거리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4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Crossbar Switch Matrix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각 기억장치마다 다른 경로를 사용할 수 있다.
  2. 시분할 및 공유버스 방식에서 버스의 숫자를 프로세서의 숫자만큼 증가시킨 구조이다.
  3. 두 개의 서로 다른 저장장치를 동시에 참조할 수 있다.
  4. 장치의 연결이 복잡해진다.
(정답률: 53%)
  • Crossbar Switch Matrix는 시분할 및 공유버스 방식에서 버스의 숫자를 프로세서의 숫자만큼 증가시킨 구조가 아니라, 다수의 입력과 출력을 가지고 각 입력과 출력을 연결하는 스위치 매트릭스 구조이다. 따라서 "시분할 및 공유버스 방식에서 버스의 숫자를 프로세서의 숫자만큼 증가시킨 구조이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UNIX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상당 부분 C언어를 사용하여 작성되었으며, 이식성이 우수하다.
  2.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작업을 백그라운드에서 수행할 수 있어 여러 개의 작업을 병행 처리할 수 있다.
  3. 셀(shell)은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입출력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4. 두 사람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어 정보와 유틸리티들을 공유하는 편리한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
(정답률: 78%)
  • 정답은 "상당 부분 C언어를 사용하여 작성되었으며, 이식성이 우수하다."이다. UNIX는 C언어로 작성되었으며, 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셀(shell)은 UNIX에서 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입출력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작업을 백그라운드에서 수행할 수 있어 여러 개의 작업을 병행 처리할 수 있으며, 두 사람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어 정보와 유틸리티들을 공유하는 편리한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Relative Loader가 수행해야 할 기능으로 틀린 것은?

  1. 각 세그먼트가 주기억장치 내의 어느 곳에 위치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2. 각 세그먼트를 주기억장치 내의 할당된 장소에 넣는다.
  3. 각 세그먼트들을 연결한다.
  4. 각 세그먼트의 절대번지를 상대번지로 고친다.
(정답률: 57%)
  • 각 세그먼트의 절대번지를 상대번지로 고친다는 것은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주소를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입니다. 상대번지는 해당 세그먼트의 시작 위치를 0으로 간주한 상대적인 주소이며, 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메모리 상의 실제 주소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상대번지로 고침으로써 프로그램이 올바르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파일 시스템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자와 보조기억장치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2. 사용자가 파일을 생성, 수정, 제거할 수 있도록 해준다.
  3. 적절한 제어 방식을 통해 타인의 파일을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4. 하드웨어를 동작시켜 사용자가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정답률: 59%)
  • "하드웨어를 동작시켜 사용자가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이다. 파일 시스템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으로, 사용자와 보조기억장치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파일을 생성, 수정, 제거할 수 있도록 해주며, 적절한 제어 방식을 통해 타인의 파일을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하지만 파일 시스템은 하드웨어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 아니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FIFO 스케줄링에서 3개의 작업 도착시간과 CPU 사용시간(burst time)이 다음 표와 같다. 이때 모든 작업들의 평균 반환시간(turn around time)은? (단, 소수점 발생 시 정수 형태로 반올림한다.)

  1. 16
  2. 20
  3. 33
  4. 41
(정답률: 62%)
  • FIFO 스케줄링은 먼저 도착한 작업부터 CPU를 할당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먼저 도착한 A 작업부터 처리하고, 그 다음에 도착한 B 작업, 마지막으로 도착한 C 작업을 처리한다.

    A 작업의 반환시간 = A 작업의 종료시간 - A 작업의 도착시간 = 6 - 0 = 6
    B 작업의 반환시간 = B 작업의 종료시간 - B 작업의 도착시간 = 16 - 3 = 13
    C 작업의 반환시간 = C 작업의 종료시간 - C 작업의 도착시간 = 41 - 9 = 32

    따라서, 모든 작업들의 평균 반환시간은 (6 + 13 + 32) / 3 = 51 / 3 = 17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발생 시 정수 형태로 반올림하라고 했으므로, 17을 반올림하여 최종적으로 정답은 4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스레드(Thread)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하나의 스레드는 상태를 줄인 경량 프로세스라고도 한다.
  2. 프로세스 내부에 포함되는 스레드는 공통적으로 접근 가능한 기억장치를 통해 효율적으로 통신한다.
  3. 스레드를 사용하면 하드웨어, 운영체제의 성능과 응용 프로그램의 처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하나의 프로세스에는 하나의 스레드만 존재하여 독립성을 보장한다.
(정답률: 82%)
  • "하나의 프로세스에는 하나의 스레드만 존재하여 독립성을 보장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이유는 하나의 프로세스에는 여러 개의 스레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레드들은 공통적으로 접근 가능한 메모리를 통해 효율적으로 통신하며, 각각의 스레드는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스레드를 사용하면 하드웨어, 운영체제의 성능과 응용 프로그램의 처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은행가 알고리즘(Banker's Algorithm)은 교착상태의 해결 방법 중 어떤 기법에 해당하는가?

  1. Avoidance
  2. Detection
  3. Prevention
  4. Recovery
(정답률: 77%)
  • 은행가 알고리즘은 교착상태를 예방하는 방법으로 분류되어 "Avoidance"에 해당한다. 이 알고리즘은 프로세스가 자원을 요청할 때 시스템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지 미리 검사하여,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면 해당 자원을 할당하지 않는 방식으로 교착상태를 예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임계 영역(Critical Section)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프로세스들의 상호배제(Mutual Exclusion)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2. 임계 영역에서 수행 중인 프로세스는 인터럽트가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야 한다.
  3. 어떤 하나의 프로세스가 임계 영역 내에 진입한 후 다른 프로세스들은 일제히 임계영역으로 진입할 수 있다.
  4. 임계 영역에서의 작업은 최대한 빠른 속도로 수행되어야 한다.
(정답률: 52%)
  • 임계 영역은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접근할 수 있는 공유 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코드 영역을 말합니다. 이 영역에서는 상호배제가 필요하며, 한 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따라서 다른 프로세스들은 일제히 임계 영역으로 진입할 수 없습니다. 또한,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다른 프로세스가 임계 영역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임계 영역에서 수행 중인 프로세스는 인터럽트가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임계 영역에서의 작업은 최대한 빠른 속도로 수행되어야 합니다. 이는 다른 프로세스들이 대기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프로세스가 자원을 기다리고 있는 시간에 비례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무기한 문제를 방지하는 기법은?

  1. Aging
  2. Reusable
  3. Circular wait
  4. Deadly embrace
(정답률: 68%)
  • "Aging" 기법은 프로세스가 자원을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우선순위를 높여주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 자원을 무한정 기다리는 무기한 대기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Aging"이 정답이다. "Reusable"은 재사용 가능한 자원을 관리하는 기법, "Circular wait"는 프로세스가 서로 다른 자원을 기다리며 서로가 블록되는 상황을 말하며, "Deadly embrace"는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서로 상대방이 가지고 있는 자원을 놓지 않고 기다리는 상황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OS의 가상기억장치 관리에서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 동안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들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은?

  1. Thrashing
  2. Deadlock
  3. Locality
  4. Working Set
(정답률: 74%)
  • Working Set은 OS의 가상기억장치 관리에서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 동안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이는 프로세스의 메모리 접근 패턴을 파악하여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Thrashing", "Deadlock", "Locality"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데커(Dekker)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교차상태가 발생하지 않음을 보장한다.
  2. 프로세스가 임계영역에 들어가는 것이 무한정 지연될 수 있다.
  3. 공유 데이터에 대한 처리에 있어서 상호배제를 보장한다.
  4. 별도의 특수 명령어 없이 순수하게 소프트웨어로 해결된다.
(정답률: 55%)
  • "프로세스가 임계영역에 들어가는 것이 무한정 지연될 수 있다."가 틀린 것이다.

    데커 알고리즘은 상호배제를 보장하면서도 교차상태를 방지하는 알고리즘이다. 이를 위해 프로세스는 번갈아가며 임계영역에 들어갈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가 무한정 지연될 가능성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마이크로 전자계산기

81. 마이크로컴퓨터의 시스템 소프트웨어 중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에러를 검출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것은?

  1. 로더(loader)
  2. 디버거(debugger)
  3. 컴파일러(compiler)
  4. 텍스트 에디터(text editor)
(정답률: 84%)
  • 디버거는 프로그램 실행 중 발생하는 에러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도구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에러를 검출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디버거는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을 중단시키고 변수의 값을 확인하거나 코드의 실행 경로를 추적할 수 있어서 프로그램의 동작을 분석하고 수정하는 데 유용합니다. 따라서 디버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DRAM(dynamic RAM)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refresh 회로가 필요하다.
  2. 가격이 저렴하고, 전력 소모가 적다.
  3. 경제성이 뛰어나 주기억 장치로 많이 사용된다.
  4. 읽기 전용 메모리이다.
(정답률: 82%)
  • DRAM은 읽기 및 쓰기가 가능한 메모리이므로 "읽기 전용 메모리이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HALT 명령이 실행되면 CPU는 동작을 멈추게 되고 CPU의 외부 제어 신호인 를 low로 하여 외부 장치에게 알리게 된다. 이 상태(HALT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수행되어야 할 사항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CPU 외부로부터 인터럽트가 요청되어야 한다.
  2. DMA를 통해 입출력 동작을 수행한다.
  3. NOP 명령을 실행한다.
  4. 외부 자치 요청 신호( )를 보낸다.
(정답률: 57%)
  • HALT 명령은 CPU를 멈추게 하기 때문에 CPU는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가 없어진다. 따라서 CPU 외부로부터 인터럽트가 요청되어야만 CPU가 다시 동작할 수 있다. 인터럽트는 CPU가 현재 수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다른 작업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이기 때문에 HALT 상태에서 인터럽트가 요청되면 CPU는 해당 인터럽트를 처리하고 다시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CPU 외부로부터 인터럽트가 요청되어야 한다."가 가장 타당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주 메모리의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1. 기억소자
  2. 기억용량
  3. 대역폭
  4. 사이클 시간
(정답률: 73%)
  • 기억소자는 주 메모리의 종류를 나타내는 용어이며, 주 메모리의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가 아닙니다. 기억용량은 메모리가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며, 대역폭은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속도를 나타냅니다. 사이클 시간은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고 쓰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며, 이는 메모리의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표(Table)형식의 자료를 처리할 때 가장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의 주소지정방식은?

  1. Relative Addressing
  2. Indexed Addressing
  3. Absolute Addressing
  4. Implied Addressing
(정답률: 78%)
  • 표(Table)형식의 자료를 처리할 때는 각 행(row) 또는 열(column)의 시작 주소를 기준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데이터가 저장되기 때문에, 주소지정방식 중에서도 인덱스(Index)를 이용한 주소지정방식이 가장 유용하다. 인덱스를 이용하면 특정 행(row) 또는 열(column)의 시작 주소를 기준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있는 데이터를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Indexed Addressin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총 158개의 명령어를 내장하고 OP코드와 주소로 구성되어 있는 32비트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생성 가능한 최대 기억장치의 크기로 가장 옳은 것은? (단, 워드 단위로 주소를 가지며, 하나의 워드는 하나의 명령을 나타낸다.)

  1. 2,097,152
  2. 4,194,304
  3. 16,777,216
  4. 33,554,432
(정답률: 60%)
  • 32비트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주소는 32비트이므로, 총 주소 개수는 2^32 개이다. 하나의 워드는 32비트이므로, 총 워드 개수는 2^32/4 = 1,073,741,824 개이다. 따라서, 158개의 명령어를 내장하고 OP코드와 주소로 구성되어 있는 32비트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생성 가능한 최대 기억장치의 크기는 1,073,741,824/158 = 6,800,870 워드이다. 이를 워드 단위로 주소를 가지므로, 최대 기억장치의 크기는 6,800,870 워드 * 4 바이트/워드 = 27,203,480 바이트 = 16,777,216 워드이다. 따라서, 정답은 "16,777,21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소스프로그램의 번역이 이루어지는 컴퓨터와 번역된 기계어에 이용되는 컴퓨터가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일 때 사용하는 언어 번역기의 명칭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컴파일러(Compiler)
  2. 인터프리터(interpreter)
  3. 크로스 컴파일러(cross-compiler)
  4. 목적 지향 언어(object-oriented language)
(정답률: 79%)
  • 크로스 컴파일러는 소스 프로그램을 번역하는 컴퓨터와 번역된 기계어를 실행하는 컴퓨터가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일 때 사용하는 언어 번역기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소스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컴퓨터와 실행하는 컴퓨터가 서로 다른 기종이므로 크로스 컴파일러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Read/Write signal이나 Chip Select signal 등의 신호는 어느 버스에 싣게 되는가?

  1. 자료 버스
  2. 주소 버스
  3. 제어 버스
  4. 보조 버스
(정답률: 76%)
  • Read/Write signal이나 Chip Select signal 등의 신호는 제어 버스에 싣게 된다. 이는 제어 버스가 시스템의 제어와 관련된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이기 때문이다. 자료 버스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버스, 주소 버스는 메모리나 입출력 장치의 주소를 전송하는 버스, 보조 버스는 추가적인 기능을 위한 버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기억소자 중 휘발성(Volatile) 기억소자는?

  1. Bubble memory
  2. Core memory
  3. RAM
  4. ROM
(정답률: 83%)
  • RAM은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만 데이터를 유지하고, 전원이 차단되면 데이터가 손실되는 휘발성 기억소자입니다. 따라서 RAM은 휘발성 기억소자 중 하나입니다. 반면에 Bubble memory, Core memory, ROM은 전원이 차단되어도 데이터를 유지하는 비휘발성 기억소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ALU의 기능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가산을 한다.
  2. AND 동작을 한다.
  3. complement 동작을 한다.
  4. PC를 1만큼 증가시킨다.
(정답률: 69%)
  • PC를 1만큼 증가시키는 것은 ALU의 기능이 아니라 CPU의 제어 유닛의 역할이다. ALU는 주로 산술 연산과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데, PC 증가와 같은 제어 동작은 ALU의 역할이 아니다.

    PC를 1만큼 증가시키는 이유는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다음 주소로 이동하기 위함이다. CPU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주소를 PC에 저장하고, 다음 명령어의 주소를 PC에 저장하여 실행한다. 따라서 PC를 1만큼 증가시키면 다음 명령어의 주소로 이동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엑세스 시간이 가장 짧은 것은?

  1. Random Access Memory
  2. Read Only Memory
  3. Input Device
  4. 프로세서 내의 레지스터
(정답률: 75%)
  • 프로세서 내의 레지스터가 엑세스 시간이 가장 짧은 것은, 이는 레지스터가 CPU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서 CPU가 레지스터에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RAM은 CPU와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어서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고, ROM은 읽기 전용이기 때문에 데이터를 쓰거나 수정할 수 없습니다. 또한, 입력 장치는 외부에서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엑세스 시간이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과 같은 인터럽트 입출력(interrupt I/O) 방식에서 사용되는 데이지 체인(daisy chain)에서 인터럽트의 우선순위(priority)가 가장 높은 것은? (단, IREQ는 interrupt request 신호이며 IACK는 interrupt acknowledge 신호이다.)

  1. Device A
  2. Device B
  3. Device C
  4. A, B, C 모두 같다.
(정답률: 75%)
  • 인터럽트 요청 신호(IREQ)는 Device A에서부터 시작되어 순차적으로 다음 장치로 전달되며, 이때 IREQ 신호는 모든 장치에서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인터럽트 인식 신호(IACK)는 Device C에서부터 시작되어 역순으로 전달되며, 이때 IACK 신호는 하나의 장치에서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먼저 IACK 신호를 받은 Device C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일반적인 내부 버스와 레지스터의 크기는?

  1. 4bit
  2. 8bit
  3. 16bit
  4. 32bit
(정답률: 75%)
  •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는 8비트 크기의 내부 버스와 레지스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를 한 번에 8비트씩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8bit"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데스크톱 컴퓨터의 메인 보드에 대한 산업계의 개방형 규격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확장 슬롯들의 배치를 90도 회전시킴으로써 마더 보드 설계를 개선한 것은?

  1. ATX
  2. AGP
  3. PCI
  4. IrDA
(정답률: 63%)
  • ATX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확장 슬롯들의 배치를 90도 회전시켜 메인 보드 설계를 개선한 산업계의 개방형 규격이다. 다른 보기들은 ATX와는 관련이 없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데이터의 전송 방향 및 시점 제어, 주기억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 읽기/쓰기 제어, 데이터 스트로브와 주소 스트로브, 준비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버스의 신호선은 무엇인가?

  1. Bus Control Lines
  2. Clock Lines
  3. Data Lines
  4. Data Transfer Control Lines
(정답률: 57%)
  • 정답은 "Data Transfer Control Lines"입니다. 이는 데이터의 전송 방향 및 시점 제어, 주기억장치 또는 입출력 장치 읽기/쓰기 제어, 데이터 스트로브와 주소 스트로브, 준비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버스의 신호선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버스의 다른 신호선을 나타내며,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기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메모리부터 명령을 읽어오는 과정에서 필요하지 않은 장치는?

  1. Accumulator
  2. MAR(Memory Address Register)
  3. MBR(Memory Buffer Register)
  4. PC(Program Counter)
(정답률: 70%)
  • Accumulator는 명령어를 읽어오는 과정에서 필요하지 않은 장치입니다. Accumulator는 CPU 내부에서 연산을 수행하는 레지스터로, 명령어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메모리에서 명령어를 읽어오는 과정에서는 Accumulator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MAR, MBR, PC는 메모리와 CPU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필요한 레지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가상기억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기억 장치의 기억 용량보다 더 큰 주소 영역을 갖는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2. 가상기억 장치에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는 직접 접근이 가능한 기억장치이어야 한다.
  3. 프로그램을 기억 공간에서 작성하여 번지 공간으로 이동하여 실행하게 된다.
  4. 번지 변환 방법에는 직접 사상, 연관 사상, 페이지 번지 변환 등이 있다.
(정답률: 36%)
  • 틀린 것은 "프로그램을 기억 공간에서 작성하여 번지 공간으로 이동하여 실행하게 된다." 이다. 가상기억 장치는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에 일부만 올려놓고 필요한 부분만 보조기억장치에서 가져와 실행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프로그램 전체를 기억 공간에 작성하여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부분만 가져와 실행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기억장치 사이클 타임(Mt)과 기억장치 접근 시간(At)의 관계식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Mt = At
  2. Mt ≥ At
  3. Mt < At
  4. Mt > At
(정답률: 74%)
  • 정답: Mt ≥ At

    이유:

    - 기억장치 사이클 타임(Mt)은 기억장치가 한 번 동작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억장치의 속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 기억장치 접근 시간(At)은 CPU가 기억장치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읽거나 쓰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CPU와 기억장치 간의 버스 속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 따라서, Mt ≥ At 관계식이 성립하는 것은 기억장치의 속도가 CPU와 버스 속도보다 느린 경우입니다. 이 경우 CPU가 기억장치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읽거나 쓰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기억장치가 한 번 동작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더 길기 때문에, CPU는 기억장치의 동작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로더(loader)에 관한 설명을 가장 옳은 것은?

  1. symbol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바꾸어 주는 동작
  2. 목적 프로그램(Object Program)을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에 적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3. 운영체제를 구성하는 각종 프로그램들을 종류와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보관해 두는 기억영역
  4. 어떤 데이터 기억매체로부터 다른 기억 매체로 전송 또는 복사하는 프로그램
(정답률: 74%)
  • 로더(loader)는 목적 프로그램(Object Program)을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에 적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 프로그램입니다. 즉,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목적 파일(Object File)을 실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메모리에 적재합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데이터와 코드가 메모리에 올라가게 되어 실행이 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데이터 전송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직렬 전송은 레지스터의 내용을 클록펄스가 들어올 때마다 1비트씩 차례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2. 병렬 전송은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며 직렬 전송보다 회로 구성이 간단하다.
  3. 버스를 통한 전송은 각 회로가 공동으로 사용할 데이터 전달 회선을 사용하며, 신호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가 있다.
  4. 메모리에 있는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read라 하고 외부의 정보를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것을 write라 한다.
(정답률: 82%)
  • 병렬 전송은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며 직렬 전송보다 회로 구성이 간단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병렬 전송은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지만, 회로 구성이 복잡하고 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에는 직렬 전송이 더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