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2-03-05)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2022-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자계산기 프로그래밍

1. 다음 C언어 프로그램이 실행되었을 때, 실행 결과는?

  1. 7
  2. 10
  3. 13
  4. 16
(정답률: 70%)
  • 프로그램은 먼저 x와 y에 각각 3과 4를 대입하고, 그 다음에 x와 y를 더한 값을 z에 대입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z를 출력합니다. 따라서 z의 값은 7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C언어에서 다음의 배열 선언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 배열요소는?

  1. a[2][1]
  2. a[0][3]
  3. a[1][2]
  4. a[2][3]
(정답률: 84%)
  • 배열 a는 3행 4열의 2차원 배열이다. 따라서 a[1][2]는 2번째 행의 3번째 열에 해당하는 배열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동일한 자료형의 변수를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할당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주소를 갖도록 하는 것은?

  1. 배열
  2. 포인터
  3. 구조체
  4. 공용체
(정답률: 100%)
  • 배열은 동일한 자료형의 변수를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할당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주소를 갖도록 하는 자료구조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포인터, 구조체, 공용체는 배열과는 다른 자료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C언어에서 서로 다른 자료형의 변수들을 하나로 묶어서 사용하는 것은?

  1. 배열
  2. 포인터
  3. 구조체
  4. 문자열
(정답률: 90%)
  • 구조체는 서로 다른 자료형의 변수들을 하나로 묶어서 사용할 수 있는 C언어의 데이터 타입이다. 이를 통해 관련된 변수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서 처리할 수 있으며,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서브루틴에서 자신을 호출한 곳으로 복귀시키는 어셈블리어 명령은?

  1. CALL
  2. LOOP
  3. NOP
  4. RET
(정답률: 알수없음)
  • RET는 "Return"의 약자로, 서브루틴에서 자신을 호출한 곳으로 돌아가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RET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인간이 의도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이해하도록 기계어로 변환하는 것은?

  1. 버퍼
  2. 스풀러
  3. 컴파일러
  4. 컨버터
(정답률: 100%)
  • 컴파일러는 인간이 이해하기 쉬운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코드를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C언어에서 자료형의 크기를 구하는 것은?

  1. checking
  2. length
  3. sizeof
  4. type
(정답률: 80%)
  • "sizeof"는 C언어에서 자료형의 크기를 구하는 연산자이다. 이 연산자를 사용하면 변수나 자료형의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sizeof"가 정답이다. "checking"은 검사를 의미하는 단어이고, "length"는 길이를 의미하는 단어이며, "type"은 자료형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C언어에서 다음이 설명하는 것은?

  1. 주소 연산자(&)
  2. 간접참조 연산자(*)
  3. 단항 연산자(-)
  4. 증가 연산자(+)
(정답률: 90%)
  • 이 그림은 간접참조 연산자(*)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간접참조 연산자(*)는 포인터 변수가 가리키는 메모리 공간에 접근하여 값을 가져오거나 변경할 때 사용됩니다. 이 그림에서는 포인터 변수 ptr이 가리키는 메모리 공간에 있는 값 10을 가져오기 위해 간접참조 연산자(*)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객체지향 기법에서 어떤 클래스에 속하는 구체적인 객체를 의미하는 것은?

  1. 정보 은닉
  2. 캡슐화
  3. 통합화
  4. 인스턴스
(정답률: 100%)
  • 객체지향 기법에서 클래스는 추상적인 개념이며, 이 클래스를 실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객체를 생성해야 합니다. 이때 생성된 구체적인 객체를 인스턴스라고 합니다. 따라서 "인스턴스"가 정답입니다. 정보 은닉은 객체 내부의 상태를 외부에서 직접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것을 말하며, 캡슐화는 객체의 상태와 행위를 하나로 묶어서 외부에서는 객체 내부의 구현을 알지 못하더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통합화는 여러 개의 클래스를 하나의 클래스로 통합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객체지향 언어 중 JAVA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1. Garbage Collection을 통해 메모리를 관리할 수 있다.
  2. 분산처리를 지원한다.
  3. 운영체제에 종속적이다.
  4. 멀티쓰레드와 동적로딩을 지원한다.
(정답률: 91%)
  • JAVA는 운영체제에 종속적이지 않은 플랫폼 독립적인 언어이다. 이는 JAVA가 JVM(Java Virtual Machine) 위에서 동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JAVA로 작성된 코드는 어떤 운영체제에서도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C언어 명령문 중 "do ~ while" 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명령의 조건이 거짓일 때 Loop를 반복 처리 한다.
  2. 명령의 조건이 거짓일 때도 최소한 한번은 처리 한다.
  3. while 문과 유사하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
  4. 제일 마지막 문장에;기호가 필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명령의 조건이 거짓일 때 Loop를 반복 처리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명령의 조건이 참일 때 Loop를 반복 처리 한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do ~ while 문은 while 문과 유사하지만, 조건 검사를 반복문의 마지막에 수행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do ~ while 문은 최소한 한번은 반복 처리됩니다. 마지막 문장에는 세미콜론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C언어의 특징으로 옳은 것을 모두 나열한 것은?

  1. ㉠, ㉢
  2. ㉠, ㉡, ㉢
  3. ㉠, ㉣
  4. ㉡, ㉢, ㉣
(정답률: 91%)
  • 정답은 "㉡, ㉢, ㉣" 입니다.

    - ㉡ : 절차지향적 언어로서 프로그램의 실행 순서가 중요하며, 함수를 이용해 모듈화가 가능합니다.
    - ㉢ : 변수와 포인터를 이용한 메모리 조작이 가능하며, 하드웨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적합합니다.
    - ㉣ : C언어는 컴파일러를 이용해 기계어로 변환되기 때문에 실행 속도가 빠르고, 이식성이 높습니다. 또한, 다른 언어와의 인터페이스가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C언어의 포인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어떤 변수의 주소를 저장한다.
  2. 포인터는 초기 선언이 불가능하다.
  3. 포인터 변수가 주소를 저장하려면 변수의 주소를 알기 위해서 & 연산자를 사용하여 해당 변수의 시작 주소를 반환한다.
  4. 포인터에 * 연산을 하면 그 포인터가 가리키고 있는 변수(또는 배열변수)의 값을 알려준다.
(정답률: 85%)
  • "포인터는 초기 선언이 불가능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포인터 변수는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하지 않아도 됩니다. 초기화하지 않은 포인터 변수는 NULL 값을 가지며, 이후에 변수의 주소를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어셈블리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억장치의 제어가 가능하다.
  2. 오류 검증이 용이하며 호환성이 우수하다.
  3. 기호를 정하여 명령어와 데이터를 기술한다.
  4. 최적의 실행시간을 고려한 프로그램 작성이 가능하다.
(정답률: 80%)
  • 어셈블리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어셈블리어는 기억장치의 제어가 가능하고, 기호를 정하여 명령어와 데이터를 기술하며, 최적의 실행시간을 고려한 프로그램 작성이 가능합니다. 또한 오류 검증이 용이하며 호환성이 우수하다는 것은 어셈블리어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이는 어셈블리어가 하드웨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하드웨어의 변화에 따라 쉽게 수정이 가능하며, 다양한 하드웨어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보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객체지향의 기본 개념 중 객체가 메시지를 받아 실행해야 할 객체의 구체적인 연산을 의미하는 것은?

  1. 라이브러리
  2. 메소드
  3. 서브루틴
  4. 자식 클래스
(정답률: 100%)
  • 객체지향에서 객체는 다른 객체에게 메시지를 보내고, 이를 받은 객체는 해당 메시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산을 수행합니다. 이때 구체적인 연산을 정의한 것이 바로 메소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메소드"입니다. 라이브러리는 여러 개의 함수나 클래스를 모아놓은 것이고, 서브루틴은 하나의 함수 또는 프로시저를 의미합니다. 자식 클래스는 부모 클래스를 상속받아 새로운 클래스를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C언어 프로그램이 실행되었을 때, 실행 결과는?

  1. 2
  2. 4
  3. 6
  4. 10
(정답률: 92%)
  • 이 프로그램은 1부터 5까지의 숫자를 반복문으로 돌면서, i가 3일 때 continue 문에 의해 출력을 하지 않고 다음 반복으로 넘어가고, i가 5일 때 break 문에 의해 반복문을 빠져나가게 됩니다. 따라서 출력되는 숫자는 1, 2, 4, 6이며, 마지막으로 i가 5일 때 반복문을 빠져나가므로 마지막으로 출력되는 숫자는 6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이 아닌 "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C언어 프로그램이 실행되었을 때, 실행 결과는?

  1. 36
  2. 45
  3. 55
  4. 66
(정답률: 100%)
  • 이 프로그램은 1부터 10까지의 수를 더하는 반복문을 실행하고, 더한 결과를 변수 sum에 저장한 후, 마지막에 sum을 출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행 결과는 1부터 10까지의 수를 모두 더한 5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PC 어셈블리 명령에서 데이터를 맞교환하는 명령으로 옳은 것은?

  1. XCHG
  2. LAHF
  3. SAHF
  4. MOV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XCHG"입니다. XCHG는 Exchange의 약자로, 두 개의 데이터를 맞교환하는 명령어입니다. 예를 들어, XCHG AX, BX는 AX와 BX의 값을 서로 맞교환합니다. MOV는 데이터를 복사하는 명령어이며, LAHF와 SAHF는 프로세서의 상태 레지스터 값을 로드하거나 저장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객체지향 개념에서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메시지
  2. 클래스
  3. 프레임
  4. 추상화
(정답률: 90%)
  • 위 그림은 객체지향 개념에서 클래스를 나타내는 UML 다이어그램이다.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틀이며, 객체의 속성과 행위를 정의한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클래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C언어에서 문자열 출력 함수는?

  1. gets()
  2. puts()
  3. getchar()
  4. putchar()
(정답률: 50%)
  • 정답은 "puts()"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puts()" 함수는 문자열을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 문자열을 출력할 때, 문자열의 끝에 자동으로 개행 문자('n')을 추가해줍니다.
    - 따라서, 문자열을 출력하고 개행을 하려면 "puts()" 함수를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 "gets()" 함수는 문자열을 입력받는 함수이며, 보안상의 이유로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 "getchar()" 함수는 한 글자씩 입력받는 함수이며, "putchar()" 함수는 한 글자씩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료구조 및 데이터통신

21.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HDLC의 구성요소 중 국(Station)은 개방 시스템에서 HDLC 절차를 실행하는 부분이며 데이터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응답한다.
  2. 비트 지향 프로토콜로 비교적 신뢰성이 높다.
  3. 데이터 전송 모드에는 NRM, ABM, ARM이 있다.
  4. 전송 제어를 위해 전송제어문자(STX, ETX, ACK 등)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HDLC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전송 제어를 위해 전송제어문자(STX, ETX, ACK 등)를 사용하는 이유는 데이터 전송 중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오류를 감지하고 복구하기 위해 전송 제어문자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표시하고, 수신 측에서는 ACK와 같은 제어문자를 보내서 송신 측으로부터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했음을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채널 대역폭이 150kHz이고 S/N 비가 15일 때 채널용량(kbps)은? (단, S : 신호, N : 잡음)

  1. 150
  2. 300
  3. 600
  4. 750
(정답률: 72%)
  • 채널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채널용량 = 채널 대역폭 x log2(1 + S/N)

    여기서 채널 대역폭은 150kHz이고, S/N 비가 15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채널용량 = 150 x 10^3 x log2(1 + 15)
    = 600 kbps

    따라서, 정답은 "6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VLAN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프로토콜 기반 VLAN
  2. Node 기반 VLAN
  3. 네트워크 주소(IP) 기반 VLAN
  4. MAC 기반 VLAN
(정답률: 알수없음)
  • Node 기반 VLAN은 VLAN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는 잘못된 용어이며, 올바른 용어는 "Port 기반 VLAN"입니다. Port 기반 VLAN은 스위치의 포트를 기반으로 VLAN을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Node 기반 VLA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정보 전송방식에서 error 제어를 위한 검출 방식이 아닌 것은?

  1. Parity Code
  2. Hamming Code
  3. Cyclic Redundancy Check
  4. ENQ(enquiry)
(정답률: 93%)
  • ENQ(enquiry)는 에러 제어를 위한 검출 방식이 아니라, 통신 상대방에게 데이터 전송 가능 여부를 묻는 제어 문자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에러 제어를 위한 검출 방식입니다. Parity Code는 홀수 또는 짝수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에러를 검출하는 방식이고, Hamming Code는 비트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방식입니다. Cyclic Redundancy Check는 다항식 연산을 통해 에러를 검출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데이터 변조속도가 3600baud이고, 쿼드비트(Quad bit)를 사용하는 경우 전송속도(bps)는?

  1. 14400
  2. 10800
  3. 9600
  4. 7200
(정답률: 84%)
  • 쿼드비트는 2개의 비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3600baud의 경우 1초당 3600개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쿼드비트를 사용하면 1개의 신호에 2개의 비트를 담을 수 있으므로, 전송속도는 3600 x 2 = 7200bps가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전송속도(bps)"를 묻고 있으므로, 쿼드비트를 사용하면 전송속도가 2배가 되므로 7200 x 2 = 14400bps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44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회선 교환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전송속도 및 코드변환이 가능하다.
  2. 전송 대역폭 사용이 가변적이다.
  3. 물리적인 통신경로가 통신 종료 시까지 구성된다.
  4. 실시간 대화용에 적합하지 않으며, 소량의 전송에 효율적이다
(정답률: 75%)
  • 회선 교환망은 통신을 할 때 물리적인 통신경로를 미리 구성하여 사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통신 종료 시까지 해당 경로를 유지합니다. 이는 통신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전송속도 및 코드변환이 가능하며, 전송 대역폭 사용이 가변적이기 때문에 소량의 전송에 효율적입니다. 하지만 실시간 대화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설명에 부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은?

  1. BGP(Border Gateway Protocol)
  2.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3.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4. EGP(Exterior Gateway Protocol)
(정답률: 알수없음)
  • BGP(Border Gateway Protocol)는 인터넷 상에서 다른 자치 시스템과의 경계에서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로, AS(Autonomous System) 간 라우팅을 담당합니다. 위 그림에서는 AS1과 AS2 간의 라우팅이 필요하므로 BGP가 적합한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전진에러수정(FEC)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것은?

  1. ARQ 방식과 달리 수신 측에서 오류가 있음을 발견하면 오류 검출뿐만 아니라 수정도 가능하다.
  2. ARQ에 비해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역채널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3. 자기 정정 방식이라고도 한다.
  4. ARQ 시스템보다 잉여 비트의 수가 적어서 시스템 신뢰성이 높다.
(정답률: 34%)
  • 전진 오류 수정(FEC) 방식은 데이터 전송 시 일정한 비율의 오류 검출 및 수정 코드를 추가하여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ARQ 방식과 달리 수신 측에서 오류를 검출하면 수정도 가능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신뢰성이 높습니다. 또한 ARQ에 비해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역채널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잉여 비트의 수가 적어서 시스템 신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전진 오류 수정 방식은 통신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LAN의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어떤 형인가?

  1. 버스형
  2. 성형
  3. 링형
  4. 그물형
(정답률: 85%)
  • 위 그림은 여러 대의 컴퓨터가 한 개의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이러한 형태를 "버스형"이라고 합니다. 즉, 모든 컴퓨터가 한 개의 케이블을 공유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됩니다. 따라서, 한 대의 컴퓨터가 데이터를 보내면, 다른 모든 컴퓨터가 그 데이터를 받게 됩니다. 이러한 토폴로지는 구성이 간단하고 설치 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장점이 있지만, 케이블이 공유되기 때문에 데이터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호스트의 물리적 주소로부터 IP 주소를 구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은?

  1. ICMP
  2. RARP
  3. IGMP
  4. FTP
(정답률: 90%)
  • RARP는 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로, 호스트의 물리적 주소(MAC 주소)로부터 IP 주소를 구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RARP입니다. ICMP는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입니다. IGMP는 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로,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FTP는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과 같은 이진 트리의 Preorder 운행 결과는?

  1. A B D E H C F G
  2. A B C D E F G H
  3. A H E B F G C D
  4. D B H E A F C G
(정답률: 100%)
  • 이진 트리의 Preorder 운행 결과는 루트 노드를 먼저 출력하고, 왼쪽 서브트리를 Preorder로 운행한 결과를 이어붙이고, 오른쪽 서브트리를 Preorder로 운행한 결과를 이어붙인 것입니다.

    따라서, 이진 트리의 Preorder 운행 결과는 "A B D E H C F G" 입니다.

    루트 노드인 A를 먼저 출력하고, 왼쪽 서브트리인 B-D-E-H를 Preorder로 운행한 결과인 "B D E H"를 이어붙입니다. 그리고 오른쪽 서브트리인 C-F-G를 Preorder로 운행한 결과인 "C F G"를 이어붙인 것이 전체 Preorder 운행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는 파일 구조는?

  1. 순차 파일
  2. 간접 파일
  3. 직접 파일
  4. 2차 파일
(정답률: 80%)
  • 위 그림은 직접 파일 구조를 나타낸다. 이는 각 레코드가 고유한 주소를 가지고 있어 직접 접근이 가능하며, 레코드의 추가, 삭제, 수정이 용이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직접 파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자료구조 중 스택의 응용 분야와 거리가 먼 것은?

  1. 인터럽트의 처리
  2. UNIX의 디렉터리 구조
  3. 부프로그램 호출시 복귀주소 저장
  4. 함수 호출 순서제어
(정답률: 67%)
  • 스택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자료구조로, 함수 호출과 관련된 작업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인터럽트의 처리와 부프로그램 호출시 복귀주소 저장, 함수 호출 순서제어는 모두 스택을 사용하는 응용 분야입니다.

    하지만 UNIX의 디렉터리 구조는 스택과 거리가 먼 분야입니다. UNIX의 디렉터리 구조는 파일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스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UNIX의 디렉터리 구조가 스택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3단계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중 물리적인 저장 장치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단계로 디스크나 테이프 같은 저장 장치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은?

  1. 내부 스키마
  2. 연결 스키마
  3. 외부 스키마
  4. 개념 스키마
(정답률: 67%)
  • 물리적인 저장 장치의 관점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은 내부 스키마이다. 내부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인 구조와 저장 방법을 정의하며, 디스크나 테이프와 같은 저장 장치의 관점에서 데이터베이스를 표현한다. 따라서 내부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인 구조와 저장 방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트리(Tree)의 차수(Degree)는?

  1. 1
  2. 2
  3. 3
  4. 4
(정답률: 80%)
  • 트리의 차수란 각 노드가 가지고 있는 자식 노드의 수를 말합니다. 따라서, 위의 트리에서 노드 1은 2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고 있고, 노드 2는 1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고 있으며, 노드 3은 3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노드 4는 4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트리의 차수는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설명에 부합하는 파일 구조는?

  1. 순차 파일(Sequential File)
  2. 인덱스 파일(Index File)
  3. 직접 파일(Direct File)
  4. 분할된 파일(Partitioned File)
(정답률: 40%)
  • 분할된 파일(Partitioned File)은 파일 내의 레코드들이 논리적으로 여러 개의 파티션으로 나뉘어 저장되는 파일 구조이다. 각 파티션은 서로 다른 레코드 형식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파티션은 독립적으로 접근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는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때 효율적이다. 따라서, 주어진 파일 구조에는 분할된 파일(Partitioned File)이 부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선형 자료구조로만 짝지어진 것은?

  1. 그래프, 스택, 큐, 트리
  2. 스택, 큐
  3. 그래프, 큐, 트리
  4. 그래프, 스택, 트리
(정답률: 91%)
  • 스택과 큐는 모두 선형 자료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래프와 트리는 비선형 자료구조이기 때문에 스택과 큐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해싱 함수의 값을 구한 결과 두 개의 키 값이 동일한 값을 가지는 경우를 뜻하는 것은?

  1. Clustering
  2. Overflow
  3. Relation
  4. Collision
(정답률: 100%)
  • 해싱 함수는 서로 다른 입력 값에 대해 고유한 출력 값을 반환해야 하지만, 때로는 두 개 이상의 입력 값이 동일한 출력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충돌(Collision)이라고 합니다. 충돌이 발생하면 해시 테이블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충돌을 최소화하는 해싱 함수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자료에 대하여 버블 정렬을 이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할 경우 1회전 후의 결과는?

  1. 4, 2, 5, 6, 8
  2. 2, 4, 5, 6, 8
  3. 5, 6, 2, 4, 8
  4. 5, 2, 4, 6, 8
(정답률: 91%)
  • 버블 정렬은 인접한 두 원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뒤로 보내는 정렬 방법입니다.

    1회전에서는 첫 번째 원소와 두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뒤로 보내고, 두 번째 원소와 세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큰 값을 뒤로 보내고, 세 번째 원소와 네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작은 값을 앞으로 보내고, 네 번째 원소와 다섯 번째 원소를 비교하여 작은 값을 앞으로 보냅니다.

    따라서 1회전 후의 결과는 "5, 6, 2, 4, 8"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DBMS의 필수 기능이 아닌 것은?

  1. 데이터 조작
  2. 데이터 정의
  3. 데이터 변경
  4. 데이터 제어
(정답률: 90%)
  • DBMS의 필수 기능은 데이터 조작, 데이터 정의, 데이터 제어이며, 데이터 변경은 선택적인 기능입니다. 데이터 변경은 데이터를 추가, 수정 또는 삭제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이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주의 깊게 처리되어야 하며, 일부 DBMS에서는 이를 제한하거나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변경은 필수적인 기능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DBMS에서 제공되는 중요한 기능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계산기구조

41. 1011인 매크로 동작(Macro-operation)을 0101100인 마이크로 명령어(micro-instruction) 주소로 변환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기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Carry-look-ahead
  2. time-sharing
  3. multiprogramming
  4. mapping
(정답률: 55%)
  • 정답은 "mapping"이다.

    "mapping"은 큰 규모의 명령어를 작은 규모의 명령어로 변환하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 매크로 동작을 구성하는 여러 개의 마이크로 명령어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1011인 매크로 동작을 0101100인 마이크로 명령어 주소로 변환하고자 할 때 "mapping"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산술논리 연산장치(ALU)의 기능은?

  1. OP코드 번역
  2. 시프트 연산
  3. 제어신호 생성
  4. 어드레스 버스 제어
(정답률: 알수없음)
  • 산술논리 연산장치(ALU)는 주어진 두 개의 입력값에 대해 산술 연산(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등)과 논리 연산(AND, OR, NOT, XOR 등)을 수행하는 장치입니다. 이 중에서 "시프트 연산"은 입력값을 지정된 비트 수만큼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연산입니다. 이를 통해 값을 2의 거듭제곱으로 나누거나 곱할 수 있으며, 비트 단위로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따라서 시프트 연산은 ALU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고속의 입·출력 장치에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식은?

  1. 데이터 채널
  2. I/O 채널
  3. selector 채널
  4. multiplexer 채널
(정답률: 알수없음)
  • 고속의 입·출력 장치에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식은 selector 채널입니다. 이는 다수의 입·출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며, 하나의 채널을 통해 다수의 장치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명령어 인출 단계(fetch cycle)에 관여하지 않는 레지스터는?

  1. PC
  2. MBR
  3. MAR
  4. AC
(정답률: 59%)
  • AC 레지스터는 명령어 인출 단계(fetch cycle)에서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해당 단계에 관여하지 않는다. PC 레지스터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고, MBR 레지스터는 메모리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데 사용된다. MAR 레지스터는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병렬처리의 문제점이 아닌 것은?

  1. 동기화
  2. 스케줄링
  3. 블록지정
  4. 분할의 문제
(정답률: 알수없음)
  • 병렬처리의 문제점으로는 동기화, 스케줄링, 분할의 문제가 있지만, 블록지정은 문제점이 아닌 기술이다. 블록지정은 데이터를 작은 블록으로 나누어 각각의 블록을 병렬적으로 처리하는 기술로, 병렬처리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블록지정은 병렬처리의 문제점이 아닌 해결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CPU가 어떤 명령과 다음 명령을 수행하는 사이를 이용하여 하나의 데이터 워드를 직접 전송하는 DMA 방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cycle stealing
  2. word stealing
  3. cycle transfer
  4. word transfer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cycle stealing

    설명: DMA 방식에서 CPU가 다음 명령을 수행하기 전에 메모리와 직접 통신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cycle stealing이라고 한다. 이 방식은 CPU의 사이클을 도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때문에 "cycle stealing"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다른 보기들은 DMA 방식에서 사용되는 용어이지만, 직접 데이터 전송 방식을 나타내는 용어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소프트웨어에 의한 인터럽트 처리의 우선 순위 체제가 가진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융통성이 있다.
  2. 경제적이다.
  3. 정보량이 매우 적은 시스템에 적합하다.
  4. 반응속도가 느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소프트웨어에 의한 인터럽트 처리의 우선 순위 체제는 융통성이 있고 경제적이지만, 반응속도가 느리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정보량이 매우 적은 시스템에 적합하다. 이는 인터럽트 처리가 많이 발생하지 않는 단순한 시스템에서는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전체 기억장치 액세스 횟수가 50이고, 원하는 데이터가 캐시에 있는 횟수가 45라고 할 때, 캐시 실패율(miss ratio)은?

  1. 0.1
  2. 0.2
  3. 0.8
  4. 0.9
(정답률: 90%)
  • 캐시 실패율은 캐시 실패 횟수를 전체 액세스 횟수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캐시 실패 횟수는 전체 액세스 횟수에서 원하는 데이터가 캐시에 있는 횟수를 뺀 값인 5입니다. 따라서 캐시 실패율은 5/50 = 0.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BCD 코드에서 사용하지 않는 2진수는?

  1. 1010
  2. 0001
  3. 1001
  4. 0101
(정답률: 67%)
  • BCD 코드는 10진수를 4비트 이진수로 나타내는 코드이므로, 2진수에서 1010은 10진수에서 10을 나타내는 비트 패턴이다. 따라서 BCD 코드에서는 1010을 사용하지 않는다. 나머지 3개의 비트 패턴은 각각 1, 9, 5를 나타내므로 BCD 코드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32비트 레지스터 16개가 있을 때, 레지스터 간에 직접 병렬 전송 한다면 몇 개의 선이 필요한가?

  1. 7600
  2. 7620
  3. 7680
  4. 7699
(정답률: 알수없음)
  • 32비트 레지스터 1개는 32개의 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16개의 레지스터는 총 16 x 32 = 512개의 비트로 구성됩니다. 이를 직접 병렬 전송하기 위해서는 각 비트마다 전송선이 필요하므로, 512개의 전송선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512 x 16 = 768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메가플롭스(MFLOPS)에 대하여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1클록 펄스 간에 실행되는 부동소수점 연산의 수를 10만을 단위로 하여 나타낸 수
  2. 1클록 펄스 간에 실행되는 고정소수점 연산의 수를 10만을 단위로 하여 나타낸 수
  3. 1초 간에 실행되는 부동소수점 연산의 수를 100만을 단위로 하여 나타낸 수
  4. 1초 간에 실행되는 고정소수점 연산의 수를 100만을 단위로 하여 나타낸 수
(정답률: 75%)
  • 메가플롭스(MFLOPS)는 "1초 간에 실행되는 부동소수점 연산의 수를 100만을 단위로 하여 나타낸 수"입니다. 이는 컴퓨터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높을수록 빠른 연산 속도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MFLOPS가 높을수록 컴퓨터의 성능이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아래 설명에 해당되는 연산은? (단, Z, X는 피연산자, Y는 연산결과)

  1. 덧셈
  2. 뺄셈
  3. 곱셈
  4. 나눗셈
(정답률: 73%)
  • 해당 연산은 "나눗셈"이다. 이유는 "/" 기호가 나눗셈 연산자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일반적인 컴퓨터와 달리 명령어를 실행할 때 실행할 명령어의 순서와 상관없이 단지 피연산자가 준비되기만 하면 수행되어 PC가 필요 없는 컴퓨터 구조는?

  1. 배열 처리기(array processor)
  2. 시스톨릭 처리기(systolic processor)
  3. 파이프라인 처리기(pipeline processor)
  4. 데이터 흐름형 컴퓨터(date flow computer)
(정답률: 알수없음)
  • 데이터 흐름형 컴퓨터는 명령어를 실행할 때 피연산자가 준비되면 즉시 실행되기 때문에 명령어의 순서와 상관없이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PC(Program Counter)가 필요 없기 때문에 명령어의 순서를 제어하는 데 있어서 자유로워지고, 병렬 처리에도 용이합니다. 따라서 데이터 흐름형 컴퓨터가 일반적인 컴퓨터와 구조적으로 다른 이유는 명령어의 실행 순서와 PC의 역할에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정수의 표현 방법으로 틀린 것은? (단, 8비트로 표시한다.)

  1. 1의 보수 표현 -126 : 1 0000001
  2. 2의 보수 표현 -126 : 1 0000011
  3. 부호와의 절대치 표현 +126 : 0 1111110
  4. 부호와 절대치 표현 -126 : 1 1111110
(정답률: 46%)
  • 2의 보수 표현 -126 : 1 0000011이 틀린 것이 아닌 이유는, 2의 보수 표현은 음수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되며, 음수의 경우 최상위 비트가 1이 된다. 따라서 -126을 2의 보수 표현으로 나타내면 최상위 비트가 1이 되어야 하며, 나머지 비트는 126의 2진수 표현에서 각 비트를 반전시킨 값이 된다. 126의 2진수 표현은 01111110이므로, 각 비트를 반전시킨 값은 10000001이 된다. 이 값에 1을 더한 값인 10000010이 -126의 2의 보수 표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연관 메모리(associative memory)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주소 매핑
  2. 내용 지정 메모리(CAM)
  3.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으로 접근
  4. 하드웨어 비용 증가
(정답률: 20%)
  • 주소 매핑은 연관 메모리의 특징이 아닙니다. 연관 메모리는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으로 접근하여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며, 내용 지정 메모리(CAM)로도 불립니다. 하지만 주소 매핑은 일반적인 메모리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주소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접근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연관 메모리는 하드웨어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캐시 메모리 접근 시간이 100ns, 주기억장치 접근 시간이 1000ns이고, 캐시 적중률이 0.9라고 할 때 평균 메모리 접근 시간에 가장 가까운 값은?

  1. 100ns
  2. 200ns
  3. 1000ns
  4. 2000ns
(정답률: 59%)
  • 평균 메모리 접근 시간은 캐시 적중일 때와 캐시 미스일 때의 시간을 고려하여 계산할 수 있다. 캐시 적중일 때의 시간은 100ns이고, 캐시 미스일 때의 시간은 캐시 적중률이 0.9이므로 1000ns + 0.1 * 100ns = 110ns이다. 따라서 평균 메모리 접근 시간은 0.9 * 100ns + 0.1 * 110ns = 101ns이다. 이 값이 가장 가까운 보기는 "100ns"이지만, 이는 캐시 적중일 때의 시간과 같으므로 평균값이 될 수 없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은 "200n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JK 플립플롭에서 Jn = 1, Kn = 0일 때 Qn+1의 출력 상태로 옳은 것은?

  1. Qn
  2. 0
  3. 1
(정답률: 73%)
  • 정답은 "1"이다.

    이유는 JK 플립플롭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JK 플립플롭은 입력 신호 J와 K에 따라 출력 상태가 결정된다.

    J와 K가 모두 0일 때는 이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Jn = 1, Kn = 0일 때는 이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Qn+1의 출력 상태는 "1"이 된다.

    그리고 보기에서 "1"이 정답인 이유는 이미 Qn의 출력 상태가 "1"이라는 것이 주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Qn+1의 출력 상태는 이전 상태를 유지하므로 "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Solid State Drive(SSD)의 메모리 셀 타입 중 2비트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은?

  1. SLC
  2. MLC
  3. TLC
  4. QLC
(정답률: 28%)
  • MLC는 Multi-Level Cell의 약자로, 하나의 셀에 2비트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SLC는 Single-Level Cell로 1비트만 저장할 수 있고, TLC는 Triple-Level Cell로 3비트를 저장할 수 있으며, QLC는 Quad-Level Cell로 4비트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비트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셀 타입은 ML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중앙처리장치의 명령어 사이클이 아닌 것은?

  1. Fetch Cycle
  2. Execute Cycle
  3. Indirect Cycle
  4. Branch Cycle
(정답률: 70%)
  • Branch Cycle은 명령어 사이클이 아닌 것이다. Branch Cycle은 프로그램 카운터가 분기 명령어를 만나면 실행되는 사이클로, 다음 실행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사이클들은 중앙처리장치에서 명령어를 가져오고 실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반면, Branch Cycle은 분기 명령어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회로의 명칭은?

  1. decoder
  2. multiplexer
  3. encoder
  4. shifter
(정답률: 80%)
  • 이 회로는 입력된 이진수를 해석하여 출력선 중 하나에만 1을 출력하는 디코더(decoder)이다. 입력선의 수에 따라 출력선의 수가 결정되며, 이 회로에서는 3개의 입력선과 8개의 출력선이 있다. 따라서 이 회로는 3-8 디코더라고도 불린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운영체제

61. UNIX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상당 부분 C언어를 사용하여 작성되었으며, 이식성이 우수하다.
  2.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작업을 백그라운드에서 수행할 수 있어 여러 개의 작업을 병행 처리할 수 있다.
  3. 쉘(shell)은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입출력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4. 두 사람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어 정보와 유틸리티들을 공유하는 편리한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
(정답률: 67%)
  • 정답은 "두 사람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어 정보와 유틸리티들을 공유하는 편리한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 이다. 이유는 UNIX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기 때문에 두 사람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어 정보와 유틸리티들을 공유하는 편리한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는 것이 맞다. 쉘(shell)은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입출력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당 부분 C언어를 사용하여 작성되었으며, 이식성이 우수하다는 것도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가상주소와 물리주소의 대응 관계로 가상주소로부터 물리주소를 찾아내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스케줄링(scheduling)
  2. 매핑(mapping)
  3. 버퍼링(buffering)
  4. 스왑-인(swap in)
(정답률: 알수없음)
  • 가상주소와 물리주소는 서로 다른 주소 공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상주소로부터 물리주소를 찾아내는 것은 매핑(mapping)이라고 한다. 이 과정에서는 가상주소를 물리주소로 변환하는 매핑 테이블을 사용하며, 이를 통해 프로세스가 실제 메모리 상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파일 시스템의 일반적인 기능이 아닌 것은?

  1. 파일 저장, 참조, 제거 및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2. 저장된 데이터에 판독, 기록, 실행 등 여러 종류의 접근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3. 백업 및 손상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복구기능을 제공한다.
  4.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사이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직접 제공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파일 시스템은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사이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직접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는 운영체제의 역할이며, 파일 시스템은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파일 저장, 참조, 제거 및 보호 기능, 데이터 접근 제어 방법, 백업 및 복구 기능 등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UNIX 시스템에서 파일 보호를 위한 그룹별 제어 비트가 다음과 같을 때, 각 기호와 의미의 연결이 옳게 연결된 것은?

  1. ㉠ 파일 경로
  2. ㉡ 그룹 사용자
  3. ㉢ 소유자
  4. ㉣ 기타 사용자
(정답률: 알수없음)
  • ㉠ 파일 경로: 파일이 위치한 디렉토리 경로에 대한 권한 설정
    ㉡ 그룹 사용자: 파일을 공유하는 그룹 사용자들에 대한 권한 설정
    ㉢ 소유자: 파일을 소유한 사용자에 대한 권한 설정
    ㉣ 기타 사용자: 파일을 소유하지 않은 모든 사용자에 대한 권한 설정

    따라서, 기타 사용자에 대한 권한 설정이 중요하다. 기타 사용자에 대한 권한 설정이 없으면, 파일을 소유하지 않은 모든 사용자들이 파일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운영체제의 발달과정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알수없음)
  • 운영체제의 발달 과정은 크게 4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1단계는 운영체제가 없는 시대로,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직접 기계어로 프로그래밍을 해야 했습니다.

    2단계는 배치 처리 시스템이 등장한 시대로, 여러 사용자가 컴퓨터를 공유하며 작업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3단계는 시분할 시스템이 등장한 시대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4단계는 개인용 컴퓨터가 등장한 시대로, 운영체제가 개인용 컴퓨터에서도 필수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 순서가 옳습니다. 먼저 운영체제가 없는 시대에서부터 시작하여 배치 처리 시스템, 시분할 시스템, 개인용 컴퓨터의 등장 순서로 발전해왔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3개의 페이지 프레임(Frame)을 가진 기억장치에서 페이지 요청을 다음과 같은 페이지 번호 순으로 요청했을 때 교체 알고리즘으로 FIFO 방법을 사용한다면 몇 번의 페이지 부재(Fault)가 발생하는가? (단, 현재 기억장치는 모두 비어 있다고 가정한다.)

  1. 7번
  2. 8번
  3. 9번
  4. 10번
(정답률: 59%)
  • 페이지 요청 순서에 따라 페이지가 차례대로 기억장치에 적재되고, 페이지 프레임이 모두 차면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교체한다. 따라서 페이지 요청 순서에 따라 다음과 같이 페이지 부재가 발생한다.

    1. 7번 페이지 요청 → 페이지 부재 발생 (7번 페이지 적재)
    2. 8번 페이지 요청 → 페이지 부재 발생 (8번 페이지 적재)
    3. 9번 페이지 요청 → 페이지 부재 발생 (9번 페이지 적재)
    4. 10번 페이지 요청 → 페이지 부재 발생 (10번 페이지 적재)
    5. 7번 페이지 요청 → 페이지 부재 발생 (가장 먼저 들어온 7번 페이지 교체)
    6. 8번 페이지 요청 → 페이지 부재 발생 (가장 먼저 들어온 8번 페이지 교체)
    7. 9번 페이지 요청 → 페이지 부재 발생 (가장 먼저 들어온 9번 페이지 교체)
    8. 10번 페이지 요청 → 페이지 부재 발생 (가장 먼저 들어온 10번 페이지 교체)

    따라서 총 8번의 페이지 부재가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프로세스의 상태를 신규, 준비, 실행, 대기, 종료의 5가지로 구분할 때, 현재 실행상태에 있는 프로세스가 입·출력 사건으로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이후 프로세스의 상태로 옳은 것은?

  1. 준비
  2. 실행
  3. 대기
  4. 종료
(정답률: 알수없음)
  • 입·출력 사건으로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는 대기 상태로 전환됩니다. 이는 입·출력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대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프로세스 상태 변화 중에서 CPU 스케줄링이 필요한 부분은?

  1. 보류 → 준비
  2. 실행 → 종료
  3. 대기 → 준비
  4. 준비 → 실행
(정답률: 59%)
  • "준비 → 실행"은 프로세스가 CPU를 할당받아 실행되기 위해 CPU 스케줄링이 필요한 상태 변화이다. 이전에는 프로세스가 준비 상태에서 대기하다가 CPU를 할당받아 실행되기 위해 스케줄링이 필요하다. 따라서 "준비 → 실행"이 CPU 스케줄링이 필요한 부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프로세스 내에서의 작업 단위로서 시스템의 여러 자원을 할당받아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단위를 의미하는 것은?

  1. Thread
  2. Working Set
  3. Semaphore
  4. Locality
(정답률: 82%)
  • 프로세스는 하나 이상의 스레드를 가질 수 있으며, 각 스레드는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작업 단위입니다. 따라서 스레드는 프로세스 내에서 작업을 분리하고 병렬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Thread"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페이지 부재가 너무 자주 일어나 프로세스가 실행에 보내는 시간보다 페이지 교체에 보내는 시간이 더 많은 상황을 의미하는 것은?

  1. 스풀링(Spooling)
  2. 스래싱(Thrashing)
  3. 페이징(Paging)
  4. 교착상태(Deadlock)
(정답률: 70%)
  • 스래싱은 페이지 부재가 너무 자주 일어나서 프로세스가 실행에 보내는 시간보다 페이지 교체에 보내는 시간이 더 많은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는 프로세스가 필요로 하는 페이지를 찾기 위해 계속해서 디스크에서 페이지를 읽어오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CPU가 페이지 교체에만 바쁘게 되어 실제 작업을 수행하는 데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성능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스래싱은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분산시스템의 투명성(transparency)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위치 투명성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물리적 위치를 사용자가 알 필요가 없다.
  2. 이주 투명성은 자원들이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면 자원들의 이름도 자동으로 바꾸어 진다.
  3. 복제 투명성은 사용자에게 통지할 필요 없이 시스템 안에 과일들과 자원들의 부가적인 복사를 자유로이 할 수 있다.
  4. 병행 투명성은 다중 사용자들이 자원들을 자동으로 공유할 수 있다.
(정답률: 46%)
  • "이주 투명성은 자원들이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면 자원들의 이름도 자동으로 바꾸어 진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이주 투명성은 분산 시스템에서 자원들이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할 때,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자원의 이동이 발생해도 사용자는 그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이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때 자원의 이름이 자동으로 바뀌는 것은 아니며, 이동한 자원의 이름을 사용자가 알고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주 투명성은 자원들이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면 자원들의 이름도 자동으로 바꾸어 진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운영체제의 성능평가 요인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Availability
  2. Throughput
  3. Turn around Time
  4. Reliability
(정답률: 73%)
  • 위 그림은 시스템의 가동시간과 다운타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따라서 이는 시스템의 가용성(Availability)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Availabilit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파일 구조 중 순차 편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특정 레코드를 검색할 때, 순차적 검색을 하므로 검색 효율이 높다.
  2. 대부분의 기억 매체에서 실현 가능하다.
  3. 주기적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시간적으로 속도가 빠르며, 처리비용이 절감된다.
  4. 순차적으로 실제 데이터만 저장되므로 기억 공간의 활용률이 높다.
(정답률: 55%)
  • "특정 레코드를 검색할 때, 순차적 검색을 하므로 검색 효율이 높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순차 편성은 레코드를 입력한 순서대로 저장하는 방식으로, 특정 레코드를 검색할 때는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레코드를 차례대로 검색해야 합니다. 따라서 검색 효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10K 프로그램이 할당될 때 주기억장치 관리기법인 First-fit 방법을 적용할 경우 해당하는 영역은?

  1. 영역 1
  2. 영역 2
  3. 영역 3
  4. 영역 4
(정답률: 91%)
  • First-fit 방법은 주기억장치에서 가장 먼저 발견되는 충분한 크기의 빈 공간에 프로그램을 할당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10K 프로그램이 할당될 때, 10K보다 큰 빈 공간은 영역 1과 영역 4에 있고, 영역 3은 10K보다 작은 공간이므로 할당할 수 없다. 따라서 First-fit 방법에 따라 가장 먼저 발견되는 충분한 크기의 빈 공간인 영역 2에 10K 프로그램이 할당된다. 따라서 정답은 "영역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운영체제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1. 기억 공간을 할당하고 회수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등의 메모리 관리 기능
  2. 비어있는 공간 관리, 저장 장소 할당 등의 보조기억장치 관리 기능
  3. 프로세스와 스레드 스케줄링 등의 프로세스 관리 기능
  4. 원시 프로그램을 기계어 프로그램으로 번역하는 언어 번역 기능
(정답률: 80%)
  • 운영체제의 주요 기능은 메모리 관리, 보조기억장치 관리, 프로세스 관리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원시 프로그램을 기계어 프로그램으로 번역하는 언어 번역 기능"은 운영체제의 주요 기능이 아닙니다. 이 기능은 컴파일러와 관련이 있으며,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기능은 운영체제의 주요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트랩 도어
  2. 분산 시스템
  3. 다중 프로세서
  4. 워크스테이션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여러 대의 컴퓨터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분산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성을 분산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즉, 분산 시스템은 여러 대의 컴퓨터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하나의 시스템처럼 동작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운영체제의 운영 기법 중 동시에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CPU를 두 개 이상 두고 각각 그 업무를 분담하여 처리할 수 있는 방식을 의미하는 것은?

  1. 시분할 처리 시스템
  2. 실시간 처리 시스템
  3. 다중 처리 시스템
  4.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
(정답률: 82%)
  • 다중 처리 시스템은 CPU를 두 개 이상 사용하여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운영 기법이다. 이는 작업을 분산시켜 처리함으로써 시스템의 처리 속도를 높이고,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다중 처리 시스템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분산 시스템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1. 자원 공유
  2. 보안성 향상
  3. 신뢰성
  4. 연산 속도 향상
(정답률: 90%)
  • 분산 시스템은 자원 공유, 신뢰성, 연산 속도 향상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보안성 향상은 일반적인 특징이 아닙니다. 분산 시스템은 여러 대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작동하기 때문에 보안 위협이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안성 향상은 분산 시스템을 구성할 때 추가적인 보안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운영체제가 아닌 것은?

  1. Prezi
  2. Windows
  3. Unix
  4. Linux
(정답률: 90%)
  • "Prezi"는 프레젠테이션 도구로, 운영체제가 아닌 소프트웨어입니다. 반면, "Windows", "Unix", "Linux"는 모두 운영체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HRN 방식으로 스케줄링 할 경우, 입력된 작업이 다음과 같을 때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70%)
  • HRN 방식은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을 먼저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값이 필요한데, HRN 방식에서는 작업의 대기 시간과 예상 실행 시간을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따라서, 위의 작업에서는 대기 시간과 예상 실행 시간을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 A: (3+6)/6 = 1.5
    작업 B: (2+4)/4 = 1.5
    작업 C: (1+2)/2 = 1.5
    작업 D: (0+5)/5 = 1

    따라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작업은 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마이크로 전자계산기

81. CPU의 클록 주파수가 2.5MHz이고, 한 개의 명령 사이클이 명령어 인출 및 해독 시 4개의 머신 스테이트가 필요하고 실행 시에는 6개의 머신 스테이트로 이루어진다면 한 개의 명령어를 실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1. 40㎲
  2. 25㎲
  3. 4㎲
  4. 0.4㎲
(정답률: 50%)
  • 한 개의 명령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머신 스테이트 수는 4개의 인출 및 해독 스테이트와 6개의 실행 스테이트로 총 10개이다. 클록 주파수가 2.5MHz이므로 1초당 2,500,000번의 클록 신호가 발생하며, 한 개의 클록 신호가 발생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1/2,500,000초이다. 따라서 한 개의 명령어를 실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10개의 머신 스테이트에 각각 1/2,500,000초를 곱한 값인 4/1,000,000초 또는 4 마이크로초이다.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마이크로컴퓨터에서 병렬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아닌 것은?

  1. PIO
  2. PPI
  3. ACIA
  4. PIA
(정답률: 80%)
  • ACIA는 병렬 입출력이 아닌 시리얼 입출력 인터페이스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IO, PPI, PIA는 모두 병렬 입출력 인터페이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부트스트랩핑 로더(bootstrapping loader)가 하는 일은?

  1. 명령어를 해석한다.
  2.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3. 모든 주변장치를 초기화한다.
  4. 컴퓨터 가동 시 운영체제를 주기억장치로 읽어온다.
(정답률: 82%)
  • 부트스트랩핑 로더는 컴퓨터를 가동할 때, 운영체제를 주기억장치로 읽어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컴퓨터가 운영체제를 인식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작업입니다. 따라서 "컴퓨터 가동 시 운영체제를 주기억장치로 읽어온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 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마이크로컴퓨터 개발이 용이하다.
  2.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3. 새로운 명령어를 쉽게 추가할 수 있다.
  4. 하드와이어드 방식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64%)
  •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 방식은 소프트웨어적인 제어 방식이기 때문에 하드웨어적인 제어 방식인 하드와이어드 방식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없다. 오히려 하드와이어드 방식이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속도가 더 빠를 수 있다. 따라서, "하드와이어드 방식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메모리 소자 중 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1. ROM
  2. RAM
  3. PLA
  4. Bubble memory
(정답률: 73%)
  • 휘발성 메모리는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데이터가 사라지는 메모리를 말합니다. 따라서, RAM(Random Access Memory)은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데이터가 사라지므로 휘발성 메모리 소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자주 이용되는 표준화된 버스 중 성격이 다른 것은?

  1. S-100 bus
  2. Multi-bus
  3. RS-232C
  4. IEEE-488
(정답률: 70%)
  • RS-232C는 시리얼 통신을 위한 표준화된 버스이며,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전송하는 반면, S-100 bus, Multi-bus, IEEE-488은 병렬 통신을 위한 표준화된 버스이다. 따라서 성격이 다르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양방향성(bidirectional) 버스는?

  1. 주소 버스
  2. 제어신호 버스
  3. ALU 버스
  4. 데이터 버스
(정답률: 47%)
  • 양방향성 버스는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는 버스이다. 따라서 데이터 버스가 정답이다. 주소 버스는 메모리나 입출력장치의 주소를 전송하는 버스, 제어신호 버스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버스, ALU 버스는 산술논리연산장치와 레지스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버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Compare Accumulator With L이라는 명령어 수행 후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L은 범용레지스터 중의 하나이다.)

  1. 컨디션 코드의 해당비트만 셋 또는 리셋
  2. accumulator와 컨디션 코드의 해당비트가 변화
  3. accumulator는 변화하지만 컨디션 코드는 불변
  4. accumulator와 L 레지스터 컨디션 코드 모두 변화
(정답률: 60%)
  • 정답은 "accumulator와 컨디션 코드의 해당비트가 변화"이다. L 명령어는 Accumulator 레지스터의 값을 L 레지스터에 저장하고, 동시에 Accumulator 레지스터의 상위 4비트를 컨디션 코드 레지스터의 해당 비트에 저장한다. 따라서 Accumulator와 컨디션 코드의 해당 비트 모두 변화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램프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지연루프(Delay Loop)가 아래 그림에 표시되었다. 명령어 수행시간을 고려할 때 1sec의 지연시간을 갖기 위한 N의 값은? (단, N은 16진수이며, 각 명령어의 수행시간은 아래 표와 같다.)

  1. 66
  2. 6F
  3. 77
  4. 7E
(정답률: 알수없음)
  • 1초의 지연시간을 갖기 위해서는 1초를 나타내는 16진수 값인 "1000"을 16진수로 변환한 값인 "3E8"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1초 = 1000ms = 3E8 × 12.5ns

    따라서, 1초의 지연시간을 갖기 위해서는 3E8 × 12.5ns = 4.8초가 소요된다.

    그러므로, 4.8초의 지연시간을 갖기 위해서는 4.8초 ÷ 12.5ns = 384,000,000개의 명령어가 필요하다.

    이때, 각 명령어의 수행시간을 고려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N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2.5ns = 4.8초

    N × 16 × 12.5ns = 4.8초

    N = 4.8초 ÷ (16 × 12.5ns) = 240,000

    따라서, N의 값은 16진수로 변환하면 "6F"이다.

    정답은 "6F"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프로그램 크기가 가장 작은 명령어 형식은?

  1. 0-주소 형식
  2. 1-주소 형식
  3. 2-주소 형식
  4. 3-주소 형식
(정답률: 30%)
  • 3-주소 형식은 명령어에서 연산에 필요한 세 개의 주소를 모두 명시하는 형식으로, 다른 형식에 비해 프로그램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가장 작은 명령어 형식이다. 이는 메모리 절약에 도움이 되며, 프로그램 실행 속도도 빨라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서브루틴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1. Stack
  2. Queue
  3. Linked list
  4. Array
(정답률: 70%)
  • 서브루틴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스택이다. 이는 서브루틴이 호출될 때 호출한 함수의 반환 주소와 호출 시 사용되는 변수 등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이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구조로 되어 있어, 가장 최근에 저장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꺼내어지기 때문에 서브루틴이 끝나고 원래 함수로 돌아갈 때에는 가장 최근에 저장된 반환 주소가 먼저 꺼내어지게 된다. 이를 통해 서브루틴의 수행이 끝난 후에도 원래 함수의 실행 흐름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1K×1 비트 용량의 RAM에 사용되는 어드레스 디코더의 입력 어드레스 라인의 개수는?

  1. 10
  2. 9
  3. 8
  4. 7
(정답률: 70%)
  • 1K×1 비트 용량의 RAM은 1024개의 비트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1024개의 주소가 필요합니다. 이를 2진수로 표현하면 2¹⁰ = 1024가 됩니다. 따라서, 입력 어드레스 라인의 개수는 10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분기(Branch) 인스트럭션은 어떤 종류에 속하는가?

  1. Data transfer
  2. Data manipulation
  3. Program manipulation
  4. Input and Output
(정답률: 55%)
  • 분기(Branch) 인스트럭션은 "Program manipulation" 종류에 속한다. 이는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제어하는 명령어로, 조건에 따라 다른 명령어를 실행하거나, 반복문을 실행하거나, 서브루틴으로 분기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제어와 관련된 명령어이므로 "Program manipulation" 종류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내부 레지스터인 PC(Program Counter)의 기능은?

  1.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기억한다.
  2.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주소를 기억한다.
  3. 프로그램 실행 중 읽어 들인 자료의 개수를 셈한다.
  4. 현재 읽어 들일 자료가 기억된 주소를 기억한다.
(정답률: 70%)
  • PC(Program Counter)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입니다. 이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를 완료하고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PC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JTAG(Joint Test Action Group) 인터페이스에서 핀으로 칩 안에 구성되지 않는 것은?

  1. TMS(모드)
  2. TTS(전송)
  3. TRST(리셋)
  4. TDI(데이터 입력)
(정답률: 50%)
  • JTAG 인터페이스에서 TMS, TRST, TDI는 칩 안에 구성되는 핀이지만, TTS는 칩 안에 구성되지 않는 핀이다. TTS는 테스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핀으로, 칩 안에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제어되는 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메모리 맵(memory mapped)형 입출력 장치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입출력 포트를 다루기 위한 인스트력션이 따로 있다.
  2. 메모리의 번지를 I/O 인터페이스 레지스터까지 확장하여 지정한다.
  3. 메모리에 대한 제어신호만 필요하고, 메모리와 입출력 번지 사이의 구분은 없다.
  4. I/O 인터페이스를 지정하는 번지는 메모리 번지를 이용하므로 메모리 용량의 감소를 가져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입출력 포트를 다루기 위한 인스트력션이 따로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메모리 맵(memory mapped)형 입출력 장치는 입출력 포트를 다루기 위한 별도의 인스트럭션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입출력 장치의 입출력 포트는 메모리의 일부로 간주되어 메모리와 동일한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출력 포트를 다루기 위한 별도의 인스트럭션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DMA의 입출력 방식과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1. DMA 제어기가 필요하다.
  2. CPU의 계속적인 간섭이 필요하다.
  3. 비교적 속도가 빠른 입출력 방식이다.
  4. 기억장치와 주변장치 사이에 직접적인 자료 전송을 제공한다.
(정답률: 80%)
  • "CPU의 계속적인 간섭이 필요하다."는 DMA의 입출력 방식과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이다. DMA는 직접적인 자료 전송을 제공하며, 이를 위해 DMA 제어기가 필요하다. 또한 DMA는 비교적 속도가 빠른 입출력 방식이다. 하지만 CPU의 계속적인 간섭이 필요하다는 것은 DMA가 아닌 다른 입출력 방식에서 해당되는 내용이다. DMA는 CPU의 간섭 없이 자동으로 입출력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단항(unary) 연산인 것은?

  1. AND
  2. OR
  3. XOR
  4. MOVE
(정답률: 90%)
  • 단항 연산은 하나의 인자만을 가지고 연산을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MOVE"가 단항 연산인 이유는 인자로 하나의 값을 받아서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연산이기 때문입니다. "AND", "OR", "XOR"는 이항 연산으로, 두 개의 인자를 가지고 연산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기억장치 사이클 타임(Mt)과 기억장치 접근 시간(At)의 관계식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Mt = At
  2. Mt ≥ At
  3. Mt < At
  4. Mt > At
(정답률: 70%)
  • 정답: Mt ≥ At

    이유:

    - 기억장치 사이클 타임(Mt)은 기억장치가 한 번 동작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억장치의 속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 기억장치 접근 시간(At)은 CPU가 기억장치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읽거나 쓰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CPU와 기억장치 간의 버스 속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 따라서, Mt ≥ At 이어야 합니다. 즉, 기억장치가 CPU보다 느리기 때문에 CPU가 기억장치에 접근하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기억장치가 동작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더 길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two-pass 어셈블러의 second pass에서 수행하는 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object code를 생성한다.
  2. symbol table을 작성한다.
  3. source와 object code의 리스트를 작성한다.
  4. error list를 작성한다.
(정답률: 30%)
  • "symbol table을 작성한다."가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왜냐하면 symbol table은 first pass에서 이미 작성되었기 때문이다. first pass에서 symbol table은 label과 그에 해당하는 주소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second pass에서는 이 symbol table을 사용하여 실제로 object code를 생성한다. 따라서 second pass에서 symbol table을 다시 작성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