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1-07-22)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2001-07-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축구조

1. 시멘트블록조에서 기초보의 춤은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는가? (단층인 경우)

  1. 20cm
  2. 35cm
  3. 45cm
  4. 60cm
(정답률: 45%)
  • 시멘트블록조에서 기초보의 춤은 최소 45cm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단층인 경우에도 마찰력과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서입니다. 춤이 짧으면 기초보가 미끄러져 기초가 불안정해지거나, 지하수가 스며들어 기초가 부식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춤의 길이는 충분히 확보하여 안정적인 기초를 만들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조적조에서 개구부 상부의 인방보는 좌우의 벽에 몇㎝ 이상 물리게 해야 하는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60%)
  • 조적조에서 개구부 상부의 인방보는 좌우의 벽에 20㎝ 이상 물리게 해야 합니다. 이는 인방보가 걸쳐져 있는 벽의 강도와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만약 인방보가 벽에 충분한 강도로 고정되지 않으면, 인방보가 떨어져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인방보는 20㎝ 이상 물리게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철근콘크리트 벽체에서 두께가 얼마 이상일때 복배근을 하여야 하는가?

  1. 15㎝
  2. 20㎝
  3. 25㎝
  4. 30㎝
(정답률: 55%)
  • 철근콘크리트 벽체의 두께가 25cm 이상일 때는 벽체의 내력이 충분하지 않아 벽체가 굴곡하거나 깨질 수 있기 때문에 복배근을 추가로 설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벽돌 벽체의 내쌓기에서 내쌓는 길이는 최대 얼마 이하로 하는가?

  1. 1.0B
  2. 1.5B
  3. 2.0B
  4. 3.0B
(정답률: 70%)
  • 벽돌 벽체의 내쌓기에서 내쌓는 길이는 벽돌의 크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벽돌의 크기가 가장 큰 3.0B보다 작은 2.0B가 내쌓는 길이의 최대값이 됩니다. 1.0B와 1.5B는 벽돌의 크기가 작아 내쌓는 길이가 더 길어지기 때문에 최대값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ㄱ자형,ㄷ자형,T자형,ㅁ자형 등으로 살 두께가 얇고 속이 없는 블록으로 쌓은 조적조는?

  1. 거푸집블록조
  2. 보강블록조
  3. 조적식블록조
  4. 블록장막벽
(정답률: 45%)
  • 거푸집블록조는 살 두께가 얇고 속이 없는 블록으로 쌓은 조적조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보강이나 조적식, 블록장막벽 등의 특징이 있지만, 거푸집블록조는 쌓인 블록의 형태에 따라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블록의 형태가 중요한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벽돌조에서 문꼴 나비의 합계는 벽길이의 얼마 이하로 하는가?

  1. 1/2
  2. 1/3
  3. 1/4
  4. 1/5
(정답률: 43%)
  • 문꼴 나비의 합계는 벽돌의 수가 홀수인 경우에만 존재합니다. 그리고 문꼴 나비의 합계는 벽돌의 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벽돌의 수가 1개인 경우: 문꼴 나비의 합계는 1/2입니다.
    - 벽돌의 수가 3개인 경우: 문꼴 나비의 합계는 (1/2) + (1/6) + (1/3) = 1입니다.
    - 벽돌의 수가 5개인 경우: 문꼴 나비의 합계는 (1/2) + (1/10) + (1/5) + (1/10) + (1/2) = 2입니다.

    따라서, 문꼴 나비의 합계가 1/2가 되는 경우는 벽돌의 수가 1개인 경우입니다. 이유는 1개의 벽돌을 가지고 문꼴 나비를 만들면,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1/2의 크기를 가지는 문꼴 나비가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조적식구조인 내력벽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최대 바닥면적은 얼마를 넘을수 없는가?

  1. 40m2
  2. 60m2
  3. 80m2
  4. 100m2
(정답률: 62%)
  • 조적식구조는 벽돌이나 돌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말합니다. 이러한 구조물은 내력벽이라는 강한 벽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바닥면적이 크면 내력벽의 무게가 더해져서 구조물이 무너질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조적식구조인 내력벽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최대 바닥면적은 80m2를 넘을 수 없습니다. 이유는 안전상의 이유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왕대공지붕틀에 관한 아래 기술 중 잘못된 것은?

  1. 양식지붕틀에서 가장 많이 쓰인다.
  2. 평보를 이음 할 때에는 왕대공 부근이 좋다.
  3. 빗대공의 단면은 대개 달대공 단면의 1/2이다.
  4. ㅅ자보는 압축력을 받는다.
(정답률: 38%)
  • "ㅅ자보는 압축력을 받는다."가 잘못된 것입니다. 왕대공지붕틀은 양식지붕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평보를 이음할 때 왕대공 부근이 좋습니다. 빗대공의 단면은 대개 달대공 단면의 1/2인 이유는, 빗대공과 달대공이 서로 수직이기 때문에 빗대공의 단면은 달대공 단면의 반만큼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철근콘크리트 보에 사용하는 주근의 최소 지름은?

  1. D10
  2. D13
  3. D16
  4. D19
(정답률: 67%)
  • 철근콘크리트 보에 사용하는 주근의 최소 지름은 D13입니다. 이는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D10은 지름이 너무 작아 강도가 부족하고, D16과 D19는 비용이 높아 경제적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D13이 가장 적절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전단력에 대한 강도를 크게 하기 위하여 배근하는 것은?

  1. 띠철근
  2. 스터럽(늑근)
  3. 가새근
  4. 배력근
(정답률: 66%)
  • 스터럽(늑근)은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전단력에 대한 강도를 크게 하기 위해 배근하는 것입니다. 스터럽은 보의 윗면과 아랫면을 연결하는 수평적인 철근으로, 보의 전단력을 분산시켜 보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스터럽을 배근함으로써 보의 전단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보를 지지하는 벽돌 독립기둥의 높이가 3m일 때 기둥 한변의 최소 크기는?

  1. 19cm 이상
  2. 21cm 이상
  3. 30cm 이상
  4. 43cm 이상
(정답률: 63%)
  • 보를 지지하는 벽돌 독립기둥의 높이가 3m일 때, 기둥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둥의 너비가 충분히 커야 합니다. 이는 기둥이 받는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기둥의 안정성을 결정하는 요소는 기둥의 너비와 높이, 그리고 사용된 재료의 강도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기둥의 높이가 주어졌으므로, 기둥의 너비만 고려하면 됩니다.

    기둥의 너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기둥이 받는 하중입니다. 하중은 보의 무게와 보에 올려진 물체의 무게 등으로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보를 지지하는 기둥이므로, 보의 무게만 고려하면 됩니다.

    보의 무게는 보의 길이와 두께, 그리고 사용된 재료의 밀도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의 무게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나무 보의 무게를 기준으로 계산해 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나무 보의 밀도는 약 0.5g/cm³ 정도입니다. 따라서 길이가 3m인 소나무 보의 무게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무게 = 밀도 × 부피 = 0.5 × 300 × 3 × 3 = 1350kg

    이 보의 무게는 상당히 무겁습니다. 따라서 기둥의 너비를 충분히 크게 해야 합니다.

    기둥의 너비를 결정하는 또 다른 요소는 사용된 벽돌의 강도입니다. 벽돌의 강도가 낮으면 기둥이 무너질 위험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벽돌의 강도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벽돌의 강도를 기준으로 계산해 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벽돌의 강도는 10~20N/mm² 정도입니다. 따라서 기둥의 너비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소는 보의 무게입니다.

    기둥의 너비를 결정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너비 = (하중 × 안전계수) ÷ (강도 × 높이)

    여기서 하중은 보의 무게, 안전계수는 2~3 정도로 설정하면 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안전계수를 2로 설정하겠습니다.

    따라서 너비 = (1350 × 2) ÷ (10 × 300) = 9cm

    즉, 기둥 한변의 최소 크기는 9cm 이상이어야 합니다. 하지만 이는 벽돌의 강도가 10N/mm²일 때의 결과입니다. 만약 벽돌의 강도가 높아진다면, 기둥의 너비를 더욱 크게 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cm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철근콘크리트의 나선형철근 기둥에는 주근을 몇 개이상 사용하여야 하는가?

  1. 4개
  2. 6개
  3. 8개
  4. 10개
(정답률: 54%)
  • 나선형철근 기둥은 고층건물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이는 지진 등의 자연재해에 대한 내구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이러한 기둥은 나선형철근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며, 이 나선형철근은 기둥의 중앙에 위치한 주근과 함께 사용됩니다. 주근은 기둥의 중심축을 따라 놓이며, 나선형철근은 이 주근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감겨 있습니다. 이러한 나선형철근은 기둥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인데, 이를 충분히 보장하기 위해서는 주근을 최소 6개 이상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6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철골구조의 판보(Plate girder)에서 웨브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

  1. 거젯트 플레이트
  2. 플렌지
  3. 스티프너
  4. 래티스
(정답률: 66%)
  • 스티프너는 철골구조의 판보에서 웨브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스티프너는 웨브와 수직으로 위치하며, 웨브의 좌굴을 방지하고 웨브의 하중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스티프너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목조계단 나비가 1m 이상이 되면 챌판의 중간부에 디딤판의 휨, 보행진동을 막기 위하여 보강재를 댄다. 이 보강재의 명칭은?

  1. 계단멍에
  2. 계단받이보
  3. 계단옆판
  4. 엄지기둥
(정답률: 53%)
  • 계단멍에는 나비가 밟는 부분인 계단 발판과 계단 보강재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나비가 발판을 밟을 때 발생하는 힘과 진동을 분산시켜 계단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보강재의 명칭은 "계단멍에"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목재 미서기문에서 윗홈대의 홈의 깊이는 얼마정도로 하는가?

  1. 0.5cm
  2. 1cm
  3. 1.5cm
  4. 2cm
(정답률: 60%)
  • 목재 미서기문에서 윗홈대의 홈의 깊이는 1.5cm이다. 이유는 문서에서 "윗홈대의 홈은 1.5cm 정도로 깊이를 뚜렷하게 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울거미 내부에 중간살을 30㎝마다 대고 양면에 합판을 붙인 문은?

  1. 양판문
  2. 비늘살문
  3. 플러쉬문
  4. 스틸도아
(정답률: 59%)
  • 울거미 내부에 중간살을 30㎝마다 대고 양면에 합판을 붙인 문은 플러쉬문입니다. 이는 문의 양면이 평평하게 나와 있어서 부드러운 느낌을 주며, 문틀에 직접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되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독립기초에 있어서 주각을 고정의 상태에 가깝게 하기 위한 방법 중 가장 옳은 것은?

  1. 기초판을 두껍게 한다.
  2. 지중보를 크게 한다.
  3. 최하층의 기둥을 크게 한다.
  4. 기초판에 충분히 철근을 배근한다.
(정답률: 33%)
  • 독립기초에서 주각을 고정의 상태에 가깝게 하기 위해서는 지중보를 크게 하는 것이 가장 옳은 방법입니다. 이는 지중보가 기초판과 주각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하여 주각이 기초판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지중보는 기초판과 주각 사이의 하중을 분산시켜 기초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조적조 내력벽에 적합한 기초는?

  1. 줄기초
  2. 온통기초
  3. 주춧돌기초
  4. 독립기초
(정답률: 42%)
  • 조적조 내력벽은 높은 강도와 안정성이 요구되는 구조물이므로, 기초는 지반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충분한 하중을 지탱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중량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줄기초가 가장 적합합니다. 줄기초는 기존 지반에 적합한 크기의 구멍을 파고 그 안에 철근을 넣고 콘크리트를 부어 만드는 방식으로, 지반의 안정성을 높이고 내력벽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조적조 내력벽에는 줄기초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단면적은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300㎝2
  2. 450㎝2
  3. 600㎝2
  4. 800㎝2
(정답률: 72%)
  •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단면적은 기둥이 지지하는 하중과 기둥의 길이, 그리고 기둥의 재료와 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기둥이 지지하는 하중과 기둥의 길이, 그리고 기둥의 재료와 강도가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둥의 최소 단면적을 찾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최소 단면적은 600㎝2 이상으로 설정됩니다. 이는 기둥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기둥이 지지하는 하중과 길이, 그리고 재료와 강도에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기준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600㎝2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지붕이기 재료에서 물매의 최소한도로 부적당한 것은?

  1. 평기와 4/10
  2. 슬레이트(소형) 5/10
  3. 아스팔트루우핑 3/10
  4. 슬레이트(대형) 2/10
(정답률: 35%)
  • 지붕재료에서 물매는 지붕재료의 내구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물매가 높을수록 내구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물매가 낮을수록 내구성이 낮아지며, 슬레이트(대형) 2/10은 물매가 가장 낮기 때문에 부적당한 지붕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축재료

21. 목재의 착화점에 해당되는 온도는?

  1. 100-180℃
  2. 260-270℃
  3. 300-360℃
  4. 400-450℃
(정답률: 42%)
  • 목재의 착화점은 목재가 불에 타기 시작하는 온도를 말합니다. 이 온도는 목재의 종류, 수분 함량, 밀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260-270℃ 정도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260-27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목재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온도에 대한 신축이 비교적 적다.
  2. 외관이 아름답다.
  3. 중량에 비하여 강도가 크고 탄성이 크다.
  4. 재질, 강도 등이 균일하다
(정답률: 51%)
  • 목재는 나무의 종류, 성장환경, 수분 등에 따라 재질과 강도가 다르기 때문에 "재질, 강도 등이 균일하다"는 기술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압축강도가 가장 큰 석재는?

  1. 화강암
  2. 대리석
  3. 안산암
  4. 응회암
(정답률: 62%)
  • 화강암은 실리카 함량이 높아서 압축강도가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보다 더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건축물이나 도로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상호 짝지어진 것 중 관련이 없는 것은?

  1. 클링커타일 – 점토
  2. 리그노이드 - 마그네샤
  3. 킨스시멘트 – 석고
  4. 테라조 - 퍼티
(정답률: 54%)
  • 나머지 세 가지는 모두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것들이지만, "퍼티"는 건축자재가 아니라 화장품 등에서 사용되는 용어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보통콘크리트 골재로서 가장 부적당한 석재는?

  1. 화강암
  2. 안산암
  3. 현무암
  4. 응회암
(정답률: 37%)
  • 응회암은 다른 석재에 비해 약하고 부식성이 강하여 콘크리트 내부에서 빠르게 부식되어 내구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가장 부적당한 석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매스콘크리트 용으로 사용되며 수축이 적고 화학 저항성이 있어 댐 등의 공사에 사용되는 콘크리트는?

  1. 중용열 포오틀랜드 시멘트
  2. 조강 포오틀랜드 시멘트
  3. 보통 포오틀랜드 시멘트
  4. 알루미나 시멘트
(정답률: 58%)
  • 중용열 포오틀랜드 시멘트는 수축이 적고 화학 저항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댐 등의 공사에 적합하며, 매스콘크리트 용으로도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시멘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콘크리트의 경화 촉진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경화촉진 혼화제로 염화칼슘 등이 쓰인다.
  2. 시공연도가 빨리 감소되므로 시공을 빨리해야 한다.
  3. 건조수축이 감소한다.
  4. 동기공사나 수중공사에 이용된다
(정답률: 37%)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점토벽돌의 품질등급에서 1종의 압축강도로 옳은 것은?(KS규정)

  1. 120 Kg/cm2 이상
  2. 150 Kg/cm2 이상
  3. 180 Kg/cm2 이상
  4. 210Kg/cm2 이상
(정답률: 48%)
  • 점토벽돌의 품질등급에서 1종은 가장 높은 등급으로, 안정적인 구조물을 위해 사용됩니다. 이 등급의 벽돌은 압축강도가 높아야 하며, KS규정에서는 210Kg/cm2 이상의 압축강도를 요구합니다. 이는 벽돌이 높은 압력에도 무너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점토 제품이 아닌 것은?

  1. 내화벽돌
  2. 위생도기
  3. 모자이크타일
  4. 아스팔트타일
(정답률: 67%)
  • 점토 제품은 "내화벽돌", "위생도기", "모자이크타일" 모두 해당되지만, "아스팔트타일"은 점토가 아닌 석유계 원료로 만들어진 제품이기 때문에 점토 제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는 재료는?

  1. 후형슬레이트
  2. 테라코타
  3. 흄관
  4. 테라조
(정답률: 56%)
  • 테라코타는 절차를 거쳐 구워 만든 점토로 만들어진 재료이며,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건축물을 지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후형슬레이트, 흄관, 테라조는 시멘트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재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테라코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점토제품 중 흡수율이 가장 적은 것은?

  1. 토기
  2. 석기
  3. 자기
  4. 도기
(정답률: 63%)
  • 자기는 비흡수성 물질로, 물이나 다른 액체를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흡수율이 가장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창호 철물이 아닌 것은?

  1. 플로어힌지(floor hinge)
  2. 나이트 래치(night latch)
  3. 논슬립(non slip)
  4. 도어클로우져(door closer)
(정답률: 59%)
  • 논슬립(non slip)은 창문이나 문을 열고 닫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 제품이며, 나머지 보기들은 창문이나 문의 여닫이나 잠금을 도와주는 제품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복층유리(pair glass)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흡음
  2. 단열
  3. 결로방지
  4. 방음
(정답률: 62%)
  • 복층유리는 흡음 기능이 없습니다. 복층유리는 단열, 결로방지, 방음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투명 보통유리의 성질 중 광선 투과율은 어느정도인가?

  1. 60%
  2. 67%
  3. 75%
  4. 90%
(정답률: 40%)
  • 투명 보통유리는 대부분의 광선을 투과하기 때문에 광선 투과율이 높습니다. 일반적으로 투명 보통유리의 광선 투과율은 약 90% 정도입니다. 이는 유리가 빛을 거의 완전히 투과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유리의 두께나 표면 상태 등에 따라 광선 투과율이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일반 창호용으로 사용되는 유리의 두께는?

  1. 2-3mm
  2. 5-6mm
  3. 7-8mm
  4. 9-10mm
(정답률: 31%)
  • 일반 창호용 유리의 두께는 2-3mm인 이유는, 이 정도 두께면 충분히 내구성이 있으면서도 가벼워서 창문 등에 사용하기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두께가 더 두꺼울수록 비용이 더 많이 들기 때문에 경제적인 이유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석유계아스팔트로서 연화점이 높아 옥상의 아스팔트방수 등으로 많이 이용되는 아스팔트의 종류는?

  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straight asphalt)
  2. 블로운 아스팔트(blown asphalt)
  3. 레이키 아스팔트(lake asphalt)
  4. 로크 아스팔트(rock asphalt)
(정답률: 49%)
  • 블로운 아스팔트는 석유계 아스팔트 중 연화점이 높아서 더욱 탄력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며, 높은 점도를 가지고 있어서 아스팔트방수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옥상의 아스팔트방수재로 많이 이용되는 아스팔트 종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회반죽에 쓰이지 않는 재료는?

  1. 소석회
  2. 여물
  3. 종석
  4. 해초풀
(정답률: 55%)
  • 회반죽은 주로 생선, 해산물 등의 식재료와 소금, 설탕, 식초 등을 섞어 만드는데, 종석은 이와 관련이 없는 돌이기 때문에 회반죽에 쓰이지 않는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목재의 강도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비중이 클수록 강도가 크다.
  2. 함수율이 클수록 강도가 크다.
  3. 심재가 변재보다 크다.
  4. 섬유방향의 인장강도는 압축강도보다 크다.
(정답률: 55%)
  • 정답: "함수율이 클수록 강도가 크다."

    설명: 함수율은 목재의 밀도와 관련된 값으로, 목재의 단면적 대비 부피 중 실제로 목재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함수율이 클수록 목재의 밀도가 높아지므로 강도가 높아지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고로시멘트를 보통시멘트와 비교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화열이 크다.
  2. 비중이 작다.
  3. 초기 강도가 크다.
  4. 바닷물에 대한 저항이 작다
(정답률: 24%)
  • 고로시멘트는 보통시멘트보다 비중이 작습니다. 이는 고로시멘트가 보통시멘트보다 더 가볍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금속재의 접합에 적당한 합성수지 접착제는?

  1. 페놀수지 접착제
  2. 멜라민 수지 접착제
  3. 에폭시 수지 접착제
  4. 요소수지 접착제
(정답률: 50%)
  • 에폭시 수지 접착제는 강력한 접착력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금속재의 접합에 적합합니다. 또한, 접착제의 경화 시간이 빠르고, 내열성과 내부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금속재의 접합에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에폭시 수지 접착제가 적당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계획 및 제도

41. 도면 작도에서 석재의 재료 표시 기호인 것은?

(정답률: 61%)
  • 정답은 "" 입니다. 이 기호는 도면 작도에서 석재의 재료를 나타내는 표시입니다. 이 기호는 석재를 나타내는 기호 중 하나로, 석재의 종류와 크기 등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창호의 표시 기호 중 틀린 것은?

(정답률: 57%)
  • 정답은 "" 입니다. 이는 창문이 아닌 문을 나타내는 기호이기 때문입니다. 나머지 세 개의 기호는 창문을 나타내는 것으로 올바른 표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일점쇄선을 사용하는 선 가운데 가장 가는 선으로 표시되는 것은?

  1. 절단선
  2. 경계선
  3. 중심선
  4. 기준선
(정답률: 44%)
  • 일점쇄선은 3차원 물체를 2차원으로 표현할 때 사용하는 기법 중 하나입니다. 이때 일점쇄선을 사용하여 표현된 선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물체의 형태와 크기를 결정하는 중심선입니다. 중심선은 물체의 대칭성과 형태를 나타내는 선으로, 제품 디자인 및 제조 공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일점쇄선을 사용하는 선 가운데 가장 가는 선은 중심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은 어떤 도면에 대한 설명인가?

  1. 구상도
  2. 조직도
  3. 동선도
  4. 면적도표
(정답률: 42%)
  • 이 도면은 조직의 구성원들과 그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각 부서와 직원들의 역할과 연결 관계를 보여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직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기본설계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배치도
  2. 평면도
  3. 건물개요
  4. 구조도
(정답률: 30%)
  • 기본설계도는 건축물의 전반적인 구성과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건축물의 외형과 내부 구조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구조도"는 건물의 내부 구조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으로, 기본설계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철근콘크리트조 도면에서만 사용되는 도면은?

  1. 바닥평면도
  2. 뼈대도
  3. 단면표(단면일람표)
  4. 시공도
(정답률: 34%)
  • 철근콘크리트조 도면에서는 구조물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표(단면일람표)가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이는 구조물의 크기와 형태, 철근의 위치와 규격, 콘크리트의 강도 등을 상세하게 나타내어 시공 단계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조 도면에서는 단면표(단면일람표)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림에서 줄눈의 명칭이 틀린 것은?

(정답률: 52%)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실내 계단에서 난간 두겁의 높이는 보통 어느 정도로 하는가?

  1. 450mm
  2. 600mm
  3. 900mm
  4. 1200mm
(정답률: 58%)
  • 실내 계단에서 난간은 보통 성인의 허리 높이에 맞춰 설치됩니다. 성인의 평균 키가 약 170cm 정도이므로, 허리 높이는 약 900mm 정도가 됩니다. 따라서, 실내 계단에서 난간 두겁의 높이는 보통 900mm 정도로 설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컴퓨터에 사용되는 데이터 저장 장치가 아닌 것은?

  1. 모뎀
  2. 자기테이프
  3. 하드디스크
  4. 플로피디스크
(정답률: 64%)
  • 모뎀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가 아니라, 컴퓨터와 인터넷 또는 다른 컴퓨터를 연결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 달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CAD 에서 정확한 선을 그릴 수 없는 경우는?

  1. 두 점의 좌표를 알고 있다.
  2. 한 점의 좌표와 다른 점의 X, Y 변위값을 알고 있다.
  3. 한 점의 좌표와 거리 값을 알고 있다.
  4. 한 점의 좌표와 다음점의 거리 및 각도를 알고 있다.
(정답률: 50%)
  • 한 점의 좌표와 거리 값을 알고 있다면 그 점을 중심으로 반지름이 해당 거리인 원을 그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원 위에 위치한 모든 점들이 가능한 위치는 아니며, 그 중에서도 정확한 위치를 찾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CAD에서는 한 점의 좌표와 거리 값만으로는 정확한 선을 그릴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위치 또는 길이를 표현할 때 이미 지정한 점의 위치로부터 X, Y값을 정의하는 좌표는?

  1. 절대좌표
  2. 상대좌표
  3. 상대극좌표
  4. 최후좌표
(정답률: 55%)
  • 상대좌표는 이미 지정한 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X, Y값을 정의하기 때문에 해당 점의 위치에 상관없이 일관성 있게 위치나 길이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대좌표가 위치나 길이를 표현할 때 가장 적합한 좌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지붕의 경사 등과 같이 물매가 큰 경우에 물매를 표시한 것이다.적당한 것은?

  1. 4/10
  2. 4/100
  3. 4/50
  4. 1/100
(정답률: 70%)
  • 지붕의 경사가 높을수록 물이 빠르게 흐르기 때문에 물매가 커진다. 따라서 물매가 큰 경우에는 물이 빠르게 흐르기 때문에 적당한 것은 작은 값이다. 따라서 4/100과 1/100은 값이 너무 작고, 4/50은 적당하지만 4/10이 더 큰 값이므로 적당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우리나라 건축제도에서 사용하는 투영법은?

  1. 제1각법
  2. 제2각법
  3. 제3각법
  4. 제4각법
(정답률: 79%)
  • 우리나라 건축제도에서 사용하는 투영법은 제3각법입니다. 이는 수평선과 수직선이 서로 직각을 이루며, 수직선이 수평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그림자를 내리는 방식으로 그림을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실제 건축물의 모습을 가장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건축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투영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투시도의 착색 마무리에서 유채색의 마무리 중 불투명 마무리 색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포스터칼라
  2. 연필
  3. 콘테
  4. 파스텔
(정답률: 54%)
  • 포스터칼라는 높은 채도와 불투명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투시도의 착색 마무리에서 유채색의 마무리 중 불투명한 마무리 색채로 가장 적합합니다. 연필, 콘테, 파스텔은 모두 채도가 낮거나 투명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불투명한 마무리 효과를 얻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단면도에 표기하여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건물 높이, 층높이, 처마높이
  2. 도로와 대지와의 고저차 , 등고선
  3. 창대 높이, 창높이
  4. 지반에서 1층 바닥까지의 높이
(정답률: 60%)
  • 단면도는 건물의 구조와 높이, 지형 등을 그림으로 나타내는 것이므로, 건물과 지형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도로와 대지와의 고저차와 등고선은 건물과 지형의 관계를 나타내는 중요한 정보이며, 건물의 높이나 지반과의 높이 차이 등은 이미 다른 항목에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도면의 표제란에 기입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공사 명칭
  2. 시공 책임자의 서명
  3. 설계자의 성명
  4. 도면 분류 번호
(정답률: 58%)
  • 도면의 표제란에는 공사 명칭, 설계자의 성명, 도면 분류 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지만, 시공 책임자의 서명은 포함되지 않아도 됩니다. 이는 시공 책임자의 서명은 도면의 내용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입니다. 시공 책임자의 서명은 주로 시공 계약서나 현장에서의 작업 지시서 등과 같은 문서에 기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설계도면에서 건축물의 외형을 각 면에 대하여 정투상법으로 투사한 도면은?

  1. 배치도
  2. 평면도
  3. 입면도
  4. 단면도
(정답률: 57%)
  • 입면도는 건축물의 외형을 각 면에 대하여 정투상법으로 투사한 도면으로, 건축물의 입구나 출입구, 창문 등의 입면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설계도면에서 건축물의 외형을 보기 위해서는 입면도를 확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도면의 기호 표시에서 기초보를 나타내는 것은?

  1. G
  2. WG
  3. FG
  4. ST
(정답률: 47%)
  • 기초보는 "FG"로 표시됩니다. 이는 "Footing"과 "Foundation"의 첫 글자를 따온 것으로, 건축물의 기초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Girder" (보), "Wall Girt" (벽보), "Steel Truss" (강철 트러스)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건축물과 관련된 각종 배경의 표현 요령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표현은 항상 섬세하게 하도록 한다.
  2. 건물을 이해할 수 있도록 배경을 다소 크게 표현한다.
  3. 배경을 다양하게 표현한다.
  4. 건물보다 앞쪽의 배경은 사실적으로, 뒤쪽의 배경은 단순하게 표현한다.
(정답률: 68%)
  • 건물보다 앞쪽에 위치한 배경은 시야에서 더 가깝기 때문에 더 자세하게 표현해야 하고, 건물보다 뒤쪽에 위치한 배경은 시야에서 더 멀기 때문에 간단하게 표현하는 것이 시각적으로 자연스러워 보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좌표나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 장치는?

  1. 플로터
  2. 디스플레이(CRT)
  3. 태블릿
  4. 프린터
(정답률: 48%)
  • 좌표나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데 가장 적합한 장치는 태블릿이다. 태블릿은 터치스크린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펜으로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그림이나 글씨를 쓸 수 있다. 따라서 그림을 그리거나 디자인 작업 등에서 좌표나 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