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1-10-14)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2001-10-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축구조

1. 건축물의 장식에 주로 사용되는 대형 점토제품은?

  1. 타일
  2. 자기
  3. 테라코타
  4. 도기
(정답률: 81%)
  • 테라코타는 대형 점토제품으로 건축물의 장식에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테라코타가 내구성이 뛰어나고, 화학적 안정성이 높아서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테라코타는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으로 제작될 수 있어서 건축물의 외관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철근콘크리트 바닥판(slab)의 두께는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6cm 이상
  2. 8cm 이상
  3. 12cm 이상
  4. 15cm 이상
(정답률: 49%)
  •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은 건물의 하부 구조물 중 하나로, 건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바닥판의 두께는 충분히 강하고 안정적인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충분히 두껍게 만들어져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의 두께는 8cm 이상으로 권장됩니다. 이는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최소한의 두께로, 더 얇은 바닥판은 건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보장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을 설치할 때는 8cm 이상의 두께를 유지하는 것이 안전하고 적절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에서 슬럼프값이란 어느 것을 말하는가?

  1. x
  2. y
  3. z
  4. D
(정답률: 76%)
  • 그림에서 슬럼프값은 y와 z의 차이를 말한다. 따라서 정답은 "y"와 "z"가 아닌 "x"이다. "D"는 그림에서 나타나지 않는 값이므로 선택지에서 제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조적조에서 내력벽으로 둘러쌓인 부분의 바닥면적은 최대 몇 [m2] 이하로 해야하는가?

  1. 40[m2]
  2. 60[m2]
  3. 80[m2]
  4. 100[m2]
(정답률: 80%)
  • 조적조에서 내력벽으로 둘러쌓인 부분은 안전을 위해 바닥면적당 하중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 하중은 대개 2,000kg/m2 정도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내력벽으로 둘러쌓인 부분의 바닥면적이 최대 몇 [m2] 이하로 해야하는지 구하려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최대 하중 = 2,000kg/m2
    최대 바닥면적 = 40,000kg / 최대 하중
    최대 바닥면적 = 40,000kg / 2,000kg/m2
    최대 바닥면적 = 20m2

    따라서, 내력벽으로 둘러쌓인 부분의 바닥면적은 최대 20[m2] 이하로 해야 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80[m2]가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내력벽으로 둘러쌓인 부분이 4면이므로, 20[m2] x 4면 = 80[m2]가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력벽으로 둘러쌓인 부분의 바닥면적은 최대 80[m2] 이하로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KS 규정에서 정한 도면에 사용하는 글자의 크기는 몇 종류인가?

  1. 6종류
  2. 8종류
  3. 11종류
  4. 14종류
(정답률: 68%)
  • KS 규정에서 정한 도면에 사용하는 글자의 크기는 11종류입니다. 이는 KS 규정에서 A0~A4까지의 도면에 대해 1mm, 2mm, 3mm, 4mm, 5mm, 6mm, 8mm, 10mm, 12mm, 14mm, 16mm의 글자 크기를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1종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ø19mm 리벳의 표준 피치(pitch)의 값으로 적당한 것은?

  1. 48mm
  2. 55mm
  3. 76mm
  4. 95mm
(정답률: 52%)
  • 리벳의 표준 피치는 일반적으로 3배수로 결정됩니다. 따라서 19mm 리벳의 표준 피치는 57mm이 됩니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57mm에 가장 가까운 값은 76mm이므로 정답은 76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표준형벽돌의 치수로서 옳은 것은? (단, 단위 mm)

  1. 190 × 90 × 57
  2. 190 × 90 × 60
  3. 210 × 100 × 57
  4. 210 × 100 × 65
(정답률: 81%)
  • 표준형벽돌의 치수는 일반적으로 190mm × 90mm × 57mm 이다. 이는 대부분의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벽돌의 기본 치수이며, 이러한 치수는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과 건축물의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190 × 90 × 57"이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도면작성을 위한 CAD작업에 필요한 장치가 아닌 것은?

  1. 마우스
  2. 컴퓨터
  3. CAD소프트웨어
  4. 모뎀
(정답률: 89%)
  • 모뎀은 인터넷 연결을 위한 장치이며, CAD작업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장치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마우스는 입력 장치, 컴퓨터는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 CAD소프트웨어는 작업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모두 CAD작업에 필요한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도면의 표시기호로 옳지않은 것은?

  1. L: 길이
  2. H: 높이
  3. W: 폭
  4. A: 용적
(정답률: 67%)
  • 용적은 부피를 나타내는 값으로, 도면의 표시기호로는 V (Volume)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A: 용적은 옳지 않은 표시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건축제도 통칙과 관련된 표준 산업규격은?

  1. KS F
  2. KS A
  3. KS C
  4. KS B
(정답률: 94%)
  • 건축제도 통칙은 건축물의 구조, 크기, 형태 등을 규정하는 기본적인 규격이므로, 이에 대한 표준 산업규격은 KS F (건축제도 통칙)입니다. KS A는 일반건축물에 대한 규격, KS B는 주거용건축물에 대한 규격, KS C는 비주거용건축물에 대한 규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철강은 0∼250℃ 사이에서는 강도가 증가하여 약 250℃에서 최대가 되고 250℃ 이상이 되면 강도가 감소된다. 약 500℃ 에서는 0℃ 일때 강도의 얼마 정도로 감소되는가?

  1. 1/2
  2. 1/3
  3. 1/4
  4. 1/5
(정답률: 47%)
  • 철강은 0∼250℃ 사이에서는 강도가 증가하다가 250℃에서 최대가 되고, 250℃ 이상이 되면 강도가 감소한다. 따라서 500℃에서는 250℃보다 높은 온도이므로 강도가 감소할 것이다.

    정답이 "1/2"인 이유는, 일반적으로 철강의 강도는 온도가 1℃ 상승할 때마다 1/2% 정도 감소한다. 따라서 250℃에서 최대 강도를 가지고 있을 때와 500℃에서의 강도를 비교하면, 250℃에서의 강도가 100%일 때 500℃에서는 250℃에서의 강도의 1/2인 50% 정도로 감소할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건축도면의 분류에서 구조도가 아닌 것은?

  1. 골조도
  2. 단면도
  3. 기초 평면도
  4. 배근단면도
(정답률: 28%)
  • 단면도는 건축물의 단면을 그린 도면으로, 구조적인 요소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건축물의 형태와 공간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 따라서 구조도가 아닌 것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콘크리트 강도와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1. 물 시멘트비
  2. 시멘트 비중
  3. 골재의 조립율
  4. A.E제를 혼입
(정답률: 78%)
  • 콘크리트 강도는 시멘트와 물의 반응으로 형성되는 시멘트 페이스트의 경화 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강도는 물과 시멘트의 비율인 물 시멘트비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물 시멘트비가 적절하지 않으면 시멘트 페이스트가 충분히 경화되지 않아 강도가 낮아지거나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제조 시 물 시멘트비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골재의 조립율이나 A.E제 혼입은 콘크리트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물 시멘트비보다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합니다. 시멘트 비중은 콘크리트의 밀도와 관련이 있지만, 강도와 직접적인 연관성은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CAD로 작성한 도면의 출력장치로 가장 일반적인 것은?

  1. 플로터
  2. 스캐너
  3. 마우스
  4. 태블릿
(정답률: 67%)
  • CAD로 작성한 도면은 대부분 크기가 크고 상세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출력할 때 해상도와 정확도가 높은 출력장치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가장 일반적인 출력장치는 플로터입니다. 플로터는 큰 용지에 대해 고해상도로 출력할 수 있으며, 선명하고 정확한 출력이 가능합니다. 또한, CAD 소프트웨어와 호환성이 높아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벽돌벽체에 배관 등을 위한 가로방향의 홈을 팔때 홈의 깊이는 벽두께의 얼마 이하로 하는가?

  1. 1/4 이하
  2. 2/3 이하
  3. 1/3 이하
  4. 1/2 이하
(정답률: 53%)
  • 벽돌벽체에 홈을 팔 때, 홈의 깊이는 벽의 두께의 1/3 이하로 하는 것이 안전하다. 이는 벽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홈의 깊이가 벽의 두께의 1/3을 초과한다면, 벽의 강도가 약해져서 벽이 무너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벽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홈의 깊이를 벽의 두께의 1/3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이형철근의 직경이 13mm이고 배근 간격이 150mm일 때 도면 표시법으로 옳은 것은?

  1. ø13 @150
  2. 150 ø13
  3. D13 @150
  4. @150 D13
(정답률: 87%)
  • 정답은 "D13 @150"입니다.

    "D13"은 이형철근의 직경을 나타내는 기호이며, "@150"은 배근 간격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따라서 "ø13 @150"은 직경 기호가 잘못 사용되었고, "150 ø13"은 순서가 바뀌어있어서 옳지 않습니다. "@150 D13"은 배근 간격을 먼저 표시하고 이형철근의 직경을 표시하므로 문제 없지만, 일반적으로 이형철근의 직경을 먼저 표시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철골구조에서 리벳 또는 볼트로 접합하는 판의 총두께는 리벳 지름의 얼마 이하로 하는가?

  1. 3배
  2. 5배
  3. 7배
  4. 10배
(정답률: 48%)
  • 철골구조에서 리벳 또는 볼트로 접합하는 판의 총두께는 리벳 지름의 5배 이하여야 합니다. 이는 리벳 또는 볼트가 판을 꽉 끼우고 압착시키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총두께가 지름보다 작다면, 리벳 또는 볼트가 판을 충분히 끼우지 못하고 약해지는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총두께는 리벳 지름의 5배 이하여야 안전하게 접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현장에서 가공절단이 불가능하므로 사전에 소요치수대로 절단 가공하여 열처리를 하여 생산되는 유리이며 강도가 보통유리의 3∼5배에 해당되는 유리는?

  1. 유리블록
  2. 복층유리
  3. 강화유리
  4. 보통유리
(정답률: 81%)
  • 강화유리는 사전에 소요치수대로 절단 가공하여 열처리를 하여 생산되는 유리로, 이로 인해 강도가 보통유리의 3∼5배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현장에서 가공절단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안전성이 높은 유리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도면에서 상상선 또는 일점쇄선과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되는 선은?

  1. 점선
  2. 파선
  3. 파단선
  4. 이점쇄선
(정답률: 72%)
  • 이점쇄선은 도면에서 구별할 필요가 있는 선들을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이점쇄선은 일반적으로 점선이나 파선과는 달리 두 개의 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해당 선이 다른 선들과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점쇄선은 도면에서 구별할 필요가 있는 선들을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벽돌쌓기에서 모서리 부분을 반절 또는 이오토막으로 쌓기를 하는 것은?

  1. 미국식 쌓기
  2. 프랑스식 쌓기
  3. 영국식 쌓기
  4. 네델란드식 쌓기
(정답률: 60%)
  • 영국식 쌓기는 벽돌을 반절 또는 이오토막으로 쌓는 방식으로, 벽돌을 더욱 견고하게 쌓을 수 있고, 모서리 부분에서 벽돌이 더 잘 맞아 떨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 방식은 영국에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영국식 쌓기"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축재료

21. 방사능 차폐용으로 사용되는 시멘트는?

  1. 조강 포틀랜드시멘트
  2. 중용열 포틀랜드시멘트
  3. 고로 시멘트
  4. 알루미나 시멘트
(정답률: 60%)
  • 방사능 차폐용으로 사용되는 시멘트는 중성화 작업을 통해 방사능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중성화 작업 능력이 뛰어난 시멘트가 필요한데, 이를 만족하는 시멘트가 중용열 포틀랜드시멘트입니다. 따라서 중용열 포틀랜드시멘트가 방사능 차폐용으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사진이나 종이에 그려진 도형을 입력하는데 사용하는 장치는?

  1. 스캐너
  2. 팩시밀리
  3. 디지타이저
  4. 컷팅 플로터
(정답률: 57%)
  • 스캐너는 사진이나 종이에 그려진 도형을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스캐너는 이미지를 스캔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저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캐너가 입력 장치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돌로마이트 플라스터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표면 경도가 소석회 보다 크다.
  2. 가소성이 커서 해초풀이 필요 없다.
  3. 수축률이 회반죽 보다 작다.
  4. 기경성이다.
(정답률: 33%)
  • 돌로마이트 플라스터는 수축률이 회반죽보다 작은 것이 아니라, 수축률이 회반죽보다 큰 것입니다. 이는 돌로마이트 플라스터가 물을 흡수하면서 경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건축물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점토제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1종 벽돌은 외관 및 치수가 정확하고 압축 강도는 180㎏/㎝2 이상, 흡수율은 15% 이하이다.
  2. 토관은 저급점토를 원료로 하여 약1,000℃ 이하로 소성한 것이다.
  3. 내화벽돌의 표준형 크기는 230mm x 114mm x 65mm이다.
  4. 도기질 타일은 실내에 많이 이용된다.
(정답률: 37%)
  • 점토제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종 벽돌은 외관 및 치수가 정확하고 압축 강도는 180㎏/㎝2 이상, 흡수율은 15% 이하이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이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1종 벽돌은 압축 강도가 150㎏/㎝2 이상이어야 하며, 흡수율은 10% 이하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A2 제도용지의 도면에 테두리선을 그릴때 제도지 끝에서의 거리는? (단,도면을 철하지 않을 경우)

  1. 5mm
  2. 10mm
  3. 15mm
  4. 20mm
(정답률: 62%)
  • A2 제도용지의 크기는 420mm x 594mm 이며, 이를 중심으로 테두리선을 그릴 경우에는 제도용지의 크기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그려야 합니다. 이 간격을 마진(margin)이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A2 제도용지의 마진은 10mm입니다. 따라서 제도지 끝에서의 거리는 마진인 10m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보강블록조 단층 건축물에 있어서 그림과 같이 철근콘크리트의 줄기초를 설치할 때 높이 D는?

  1. 30㎝ 이상
  2. 45㎝ 이상
  3. 60㎝ 이상
  4. 92㎝ 이상
(정답률: 43%)
  • 철근콘크리트의 줄기초는 지하수나 지반의 수분에 의해 부식될 수 있으므로, 지하수면 아래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D는 지하수면 아래로 45㎝ 이상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석재에 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1. 비중이 클수록 강도가 크다.
  2. 인장강도가 압축강도보다 크다.
  3. 흡수율이 낮으면 내구성이 크다.
  4. 휨강도가 약하므로 보로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62%)
  • 인장강도가 압축강도보다 크다는 것은 틀린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석재의 압축강도가 인장강도보다 큽니다. 이는 석재가 압축력에 더 강하게 저항하기 때문입니다. 석재의 내구성은 흡수율과는 반대로 비례하지 않습니다. 흡수율이 낮으면 내구성이 높다는 것은 맞지만, 흡수율이 높아도 내구성이 높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석재의 휨강도가 약하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맞지만, 이는 모든 석재에 해당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인장강도가 압축강도보다 크다."입니다.

    인장강도와 압축강도의 차이는 석재가 받는 힘의 방향에 따라 달라집니다. 인장강도는 석재가 늘어나거나 꺾이는 힘에 대한 저항력을 의미하며, 압축강도는 석재가 압축되는 힘에 대한 저항력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석재는 압축력에 더 강하게 저항하기 때문에 압축강도가 인장강도보다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창호 철물이 아닌 것은?

  1. 도어클로저
  2. 플로어힌지
  3. 실린더
  4. 듀벨
(정답률: 60%)
  • 창호 철물은 문과 창문 등의 개폐를 도와주는 철물을 말합니다. 그 중에서도 "듀벨"은 창호 철물이 아닙니다. "듀벨"은 음악용어로, 협주곡에서 솔로 연주자와 오케스트라의 대립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플라이애시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수화열이 적다.
  2. 워커빌리티가 좋다.
  3. 수밀성이 크다.
  4. 초기강도가 크다.
(정답률: 38%)
  • 플라이애시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특성 중 초기강도가 크다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플라이애시 시멘트가 미세한 입자로 구성되어 있어 콘크리트 내부의 화학반응을 촉진시키고 초기강도를 높여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일반적으로 창유리의 강도란 어느 것인가?

  1. 휨강도
  2. 압축강도
  3. 인장강도
  4. 전단강도
(정답률: 73%)
  • 창유리의 강도는 주로 휨강도로 나타냅니다. 이는 창유리가 외부의 힘에 의해 굽히는 경우에 대한 강도를 나타내며, 창유리가 굽히는 경우에는 휨력이 작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창유리의 강도를 측정할 때는 휨강도가 가장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말뚝지정 설치시 말뚝의 최소 중심간격은 말뚝 직경의 얼마 이상으로 하는가?

  1. 1.25배
  2. 1.5배
  3. 2.5배
  4. 3.0배
(정답률: 54%)
  • 말뚝의 최소 중심간격은 말뚝의 직경의 2.5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는 인접한 말뚝들이 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만약 말뚝의 중심간격이 너무 작다면 인접한 말뚝들이 서로 지지력을 나누게 되어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말뚝의 직경이 클수록 최소 중심간격도 커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철근콘크리트 보의 주근 최소 배치간격으로 옳은 것은?

  1. 주근지름의 1.25배 이상
  2. 자갈 최대지름의 1.5배 이상
  3. 기둥 단면의 최소치수 이상
  4. 2.5cm 이상
(정답률: 44%)
  • 철근콘크리트 보의 주근 최소 배치간격은 구조적 안전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주근 간격이 너무 가까우면 강도가 감소하고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너무 멀면 보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아 구조물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통은 주근지름의 1.25배 이상 또는 자갈 최대지름의 1.5배 이상으로 배치 간격을 결정합니다. 그러나, 이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기둥 단면의 최소치수를 충족시키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주근 최소 배치간격은 2.5cm 이상으로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등각투상도에서 축과 축사이의 각도로 적합한 것은?

  1. 45°
  2. 60°
  3. 90°
  4. 120°
(정답률: 56%)
  • 등각투상도에서는 모든 각이 같은 크기를 가지므로, 축과 축사이의 각도는 360°를 축의 개수로 나눈 값이 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축이 3개이므로 360°/3 = 12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흡수율이 가장 적은 재료는?

  1. 화강석
  2. 대리석
  3. 내화벽돌
  4. 테라조
(정답률: 49%)
  • 대리석은 다른 재료에 비해 흡수율이 가장 적습니다. 이는 대리석이 밀도가 높고, 미세한 구멍이 적어서 물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리석은 건축물의 내구성을 높이는 데에 적합한 재료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도면에서 가장 굵은선이 사용되는 것은?

  1. 절단선
  2. 경계선
  3. 기준선
  4. 단면선
(정답률: 80%)
  • 가장 굵은 선은 단면선입니다. 이는 도면에서 물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선으로, 물체의 형태와 크기를 명확하게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또한, 단면선은 제작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가장 중요한 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단변길이(lx) 4m, 장변길이(ly) 6m 인 4변 고정 철근콘크리트 슬랩에서 장변 및 단변방향의 굽힘철근 구부림 위치는 양단부에서 각각 얼마의 위치인가?

  1. 장변방향 80cm, 단변방향 80cm
  2. 장변방향 100cm, 단변방향 100cm
  3. 장변방향 120cm, 단변방향 80cm
  4. 장변방향 150cm, 단변방향 100cm
(정답률: 36%)
  • 고정 철근콘크리트 슬랩에서 굽힘철근 구부림 위치는 슬랩의 중심축에서 떨어진 거리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슬랩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장변방향과 단변방향의 중심축 위치를 구해야 합니다.

    장변방향의 중심축 위치는 슬랩의 긴 변 중심에 위치하므로, 6m의 절반인 3m 떨어진 위치입니다. 이를 cm 단위로 환산하면 300cm 입니다.

    단변방향의 중심축 위치는 슬랩의 짧은 변 중심에 위치하므로, 4m의 절반인 2m 떨어진 위치입니다. 이를 cm 단위로 환산하면 200cm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장변방향 100cm, 단변방향 100c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보통 F.R.P 판으로 알려져 있는 플라스틱 제품을 만드는 열경화성 수지는?

  1. 폴리에스테르수지
  2. 페놀수지
  3. 염화비닐수지
  4. 폴리에틸렌수지
(정답률: 66%)
  • F.R.P 판은 Fiber Reinforced Plastic의 약자로,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고강도 섬유와 열경화성 수지가 필요합니다. 폴리에스테르수지는 고강도 섬유와 잘 결합되며, 열경화성이 높아 F.R.P 제품을 만드는 데 적합합니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수지가 F.R.P 판 제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도면에서 재료 종류별 표시기호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A-알루미늄
  2. P-플라스틱
  3. G-유리
  4. S-스테인레스
(정답률: 77%)
  • 정답은 "S-스테인레스"입니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는 "ST"로 표시됩니다. "S"는 강철(Steel)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둥단면의 최소치수는 20㎝이상으로 한다.
  2. 기둥의 주근은 직경 9mm이상으로 한다.
  3. 띠철근 직경은 6mm이상으로 한다.
  4. 기둥의 최소단면적은 600㎝2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39%)
  • 기둥의 주근은 직경 9mm 이상으로 한다는 것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기둥의 주근 직경은 기둥의 크기와 사용 용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일반적인 규칙이 아니며, 구체적인 설계에 따라 결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건축물의 큰보의 간사이에 작은보(Beam)를 짝수로 배치하면 좋은 이유는?

  1. 보기좋게 하기 위해서다.
  2. 공사하기가 편리 하므로
  3. 큰보의 축압력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4. 큰보의 중앙부에 하중이 작아진다.
(정답률: 65%)
  • 큰보의 중앙부에 하중이 작아지면, 큰보의 축압력이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높이고, 보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건축물의 안전성을 고려할 때, 작은보를 짝수로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계획 및 제도

41. A.E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의 수화발열량이 높아진다.
  2. 시공연도가 좋아지므로 재료분리가 적어진다.
  3. 제치장 콘크리트(exposed concrete)로 쓸 수 있다.
  4. 철근에 대한 부착강도가 감소한다.
(정답률: 33%)
  • "철근에 대한 부착강도가 감소한다."는 A.E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입니다.

    A.E제는 콘크리트의 수화발열량을 높여서 초기 경화속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시공연도가 좋아지므로 재료분리가 적어지고, 제치장 콘크리트로 쓸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지붕의 경사 등과 같이 물매가 큰 경우에 물매를 표시한 것이다.적당한 것은?

  1. 4/10
  2. 4/100
  3. 4/50
  4. 1/100
(정답률: 74%)
  • 지붕의 경사가 높을수록 물이 빠르게 흐르기 때문에 물매가 커진다. 따라서 물매가 큰 경우에는 물이 빠르게 흐르기 때문에 적당한 것은 작은 값이다. 따라서 4/100과 1/100은 값이 너무 작고, 4/50은 적당하지만 4/10이 더 큰 값이므로 적당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KS 규정의 제도통칙에 의한 척도의 종류는 몇 종류인가?

  1. 6종
  2. 11종
  3. 18종
  4. 24종
(정답률: 48%)
  • KS 규정의 제도통칙에 따르면, 척도는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유형마다 다양한 종류의 척도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KS 규정의 제도통칙에 의한 척도의 종류는 총 24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실제 길이 16m는 축척 1/200 의 도면에서 얼마의 길이로 표시 되는가?

  1. 4㎝
  2. 8㎝
  3. 16㎝
  4. 32㎝
(정답률: 85%)
  • 실제 길이 1m는 축척 1/200의 도면에서 5cm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실제 길이 16m는 16 x 5 = 80cm로 표시됩니다. 이를 다시 축척에 맞게 계산하면 80cm x 1/200 = 0.4cm가 되며, 이를 10배 확대한 값인 4cm이 아닌 20배 확대한 값인 8c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목재의 강도 중에서 가장 큰 것은?

  1. 섬유의 직각 방향의 압축강도
  2. 섬유의 직각 방향의 인장강도
  3. 섬유의 평행 방향의 압축강도
  4. 섬유의 평행 방향의 인장강도
(정답률: 38%)
  • 섬유의 평행 방향의 인장강도가 가장 큰 이유는 목재의 구성 요소 중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섬유가 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섬유는 길고 직선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 형태가 인장력을 최대화하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섬유의 평행 방향으로 인장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게 되어, 이 방향의 인장강도가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목조벽체를 수평력에 견디게 하고 안정한 구조로 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것은?

  1. 버팀대
  2. 귀잡이
  3. 가새
  4. 샛기둥
(정답률: 71%)
  • 목조벽체를 수평력에 견디게 하고 안정한 구조로 만들기 위해서는 수평력을 전담하는 부재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가새는 벽체를 수평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벽체의 수직력을 전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가새는 목조건축에서 가장 효과적인 부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철근콘크리트 도면에서 가새근을 표시하는 선은?

  1. 파선
  2. 가는실선
  3. 굵은실선
  4. 일점쇄선
(정답률: 27%)
  • 가새근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위치하며, 보통 파선으로 표시됩니다. 이는 가새근이 실제로 콘크리트 내부에 있기 때문에 파선으로 표시하여 구조물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함입니다. 또한 파선은 일반적으로 숨겨진 부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므로 가새근을 표시하는 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철근콘크리트조에서 슬랩두께 12cm 정도일때 4개의 기둥으로 만들어지는 가장 적당한 바닥 면적은?

  1. 20m2
  2. 30m2
  3. 45m2
  4. 60m2
(정답률: 31%)
  • 철근콘크리트조에서 슬랩두께가 12cm이므로, 바닥의 하중을 버틸 수 있는 기둥의 최소 면적은 30cm x 30cm 이다. 따라서 4개의 기둥을 놓기 위해서는 최소 60cm x 60cm의 면적이 필요하다. 따라서 바닥 면적은 60cm x 120cm = 7200cm2 이다. 이를 m2로 환산하면 0.72m2 이므로, 가장 적당한 바닥 면적은 30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철골조에서 기초에 기둥을 접합할 때 관련 없는 것은?

  1. 기초 판(base plate)
  2. 사이드 앵글(side angle)
  3. 클립 앵글(clip angle)
  4. 거젯 플레이트(gusset plate)
(정답률: 67%)
  • 기초에 기둥을 접합할 때 거젯 플레이트는 관련 없는 것입니다. 거젯 플레이트는 보와 기둥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부재로, 기초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기초에는 기둥을 고정시키는 기초 판, 기둥과 보를 연결하는 사이드 앵글, 보를 지지하는 클립 앵글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목재 방부제에 관한 기술 중 부적당한 것은?

  1. 크레오소오트 오일은 방부력이 우수하나 냄새가 강하여 실내 사용이 곤란하다.
  2. P.C.P는 거의 무색제품이므로 그 위에 페인트를 칠할 수 있다.
  3. 황산동,염화아연 등은 방부력이 있으나 철을 부식시킨다.
  4. 벌목전에 나무뿌리에 약액을 주입하는 생리적 주입법은 효과가 좋아 많이 쓰인다.
(정답률: 51%)
  • 정답: "황산동,염화아연 등은 방부력이 있으나 철을 부식시킨다."

    설명: 황산동, 염화아연 등은 방부력이 있지만 철을 부식시키므로 목재 방부제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벌목전에 나무뿌리에 약액을 주입하는 생리적 주입법은 나무 내부에 방부제를 공급하여 효과가 좋아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줄기초를 만들때 콘크리트 기초판의 두께는 나비의 얼마 정도로 하는가?

  1. 1/2
  2. 1/3
  3. 1/4
  4. 1/5
(정답률: 59%)
  • 줄기초를 만들 때 콘크리트 기초판의 두께는 나비의 1/3 정도로 합니다. 이는 나무의 뿌리가 나무의 높이의 1/3 정도까지 뻗어나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기초판의 두께를 나무의 뿌리가 뻗어나가는 깊이와 비슷하게 만들어 줌으로써 나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목구조 접합부에서 부적당한 철물은?

  1. 왕대공과 평보- 감잡이쇠
  2. 평기둥과 층도리- 띠쇠
  3. 큰보와 작은보- 안장쇠
  4. 토대와 기둥- 앵커 볼트
(정답률: 50%)
  • 목구조에서 토대와 기둥은 건물의 기초를 이루는 중요한 부분이며, 이 부분에서는 지지력이 강한 철물인 앵커 볼트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토대와 기둥에서 부적당한 철물은 앵커 볼트가 아닌 다른 보기들인 감잡이쇠, 띠쇠, 안장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건축도면 중 실시설계도에 포함되는 것은?

  1. 구상도
  2. 조직도
  3. 전개도
  4. 동선도
(정답률: 66%)
  • 실시설계도는 건축물의 구조와 시설물의 배치 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입니다. 이 중에서 전개도는 건축물의 각 층별 구조와 각 부분의 크기, 위치 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입니다. 따라서 전개도는 실시설계도에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기둥의 띠철근은 최대 간격을 얼마 이내로 하여야 하는가?

  1. 20cm
  2. 30cm
  3. 36cm
  4. 40cm
(정답률: 44%)
  • 기둥의 띠철근은 구조물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입니다. 이 띠철근 간격이 너무 넓으면 구조물이 불안정해지고, 너무 좁으면 비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적절한 간격을 설정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기둥의 띠철근 간격은 30cm 이내로 설정합니다. 이유는 30cm 간격으로 띠철근을 설치하면 구조물의 강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비용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30cm 간격은 구조물의 안정성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간격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0c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물돌림, 물흘림 물매, 물끊기 홈을 설치하는 것은?

  1. 인방돌(lintel stone)
  2. 창대돌(Window sill stone)
  3. 쌤돌(Jamb stone)
  4. 돌림띠(Cornice)
(정답률: 59%)
  • 물돌림, 물흘림, 물매, 물끊기 홈은 건물의 외벽에서 비가 들어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치하는 부분입니다. 이 중에서 창대돌(Window sill stone)은 창문 아래쪽에 위치하여 비가 창문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물돌림, 물흘림, 물매, 물끊기 홈 중에서도 창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창대돌(Window sill stone)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과소품 벽돌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1. 강도가 크다.
  2. 흡수율이 매우 높다.
  3. 모양이 나쁘고 색이 짙다.
  4. 지나치게 높은 온도로 구워낸 것이다.
(정답률: 49%)
  • 정답: "흡수율이 매우 높다."

    설명: 과소품 벽돌은 제조과정에서 흡수율을 낮추기 위해 지나치게 높은 온도로 구워내어 물을 흡수하지 않도록 만들어진 벽돌입니다. 따라서 흡수율이 매우 낮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CAD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설계의 생산성 향상
  2. 도면 작성시간의 증가
  3. 설계 오류의 감소
  4. 설계변경에 따른 수정 작업의 향상
(정답률: 72%)
  • CAD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설계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일반적으로 설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설계 오류의 감소 및 수정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도면 작성시간의 증가는 일반적인 특징이 아닙니다. 오히려 CAD를 사용하면 도면 작성시간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는 CAD가 도면 작성을 자동화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줄여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건축도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평면도는 건축물을 각 층마다 일정한 높이에서 수평으로 자른 수평 단면도이다.
  2. 입면도는 건축물을 수직으로 잘라 그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3. 전개도는 건축물의 각 입면을 전개하여 그린 도면이다.
  4. 배치도는 대지안에 건물이나 부대시설을 배치한 도면이다.
(정답률: 64%)
  • 입면도는 건축물을 수직으로 잘라 그 단면을 나타낸 것이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목조계단에서 계단 나비가 1.2m 이상이 될때 디딤판의 처짐, 보행진동 등을 막기위하여 중간에 댄 보강재는?

  1. 계단멍에
  2. 챌판
  3. 엄지기둥
  4. 달대
(정답률: 62%)
  • 계단멍에는 목조계단에서 계단발판과 보강재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계단발판과 보강재의 연결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계단의 강도와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계단 나비가 1.2m 이상이 될 때 디딤판의 처짐, 보행진동 등을 막기 위해 중간에 댄 보강재로는 계단멍에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석재의 종류 중 수성암은?

  1. 화강암
  2. 감람석
  3. 대리석
  4. 사암
(정답률: 60%)
  • 수성암은 보통 사암으로 분류됩니다. 이는 사암이 모래와 같은 미립자로 이루어져 있어 수성암과 유사한 특징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사암은 지구 표면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암석 중 하나이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