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7-21)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2002-07-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축구조

1. 보강블록조 단층 건축물에 있어서 그림과 같이 철근콘크리트의 줄기초를 설치할 때 높이 D는?

  1. 30㎝ 이상
  2. 45㎝ 이상
  3. 60㎝ 이상
  4. 92㎝ 이상
(정답률: 49%)
  • 철근콘크리트의 줄기초는 지하수나 지반의 수분이 침투하여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약화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따라서, 줄기초의 높이는 지하수면 이하로 설치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지하수면의 높이가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지하층 바닥면과 지하수면의 거리를 고려하여 줄기초의 높이를 결정합니다. 이 거리는 보통 30cm 이상으로 설정되며, 따라서 정답은 "45cm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말뚝지정시 말뚝의 간격은 말뚝 끝마구리 지름의 얼마 이상으로 하는가?

  1. 1.5배
  2. 2.0배
  3. 2.5배
  4. 3배
(정답률: 60%)
  • 말뚝의 간격은 인접한 말뚝들이 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충분한 간격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말뚝이 땅속에 박혀 있을 때, 그 주변 지반은 압축되어 밀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인접한 말뚝들 사이의 지반은 압축되어 변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말뚝의 간격은 인접한 말뚝들의 영향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충분한 간격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말뚝 끝마구리 지름의 2.5배 이상으로 간격을 두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조적조 내력벽 쌓기에서 막힌줄눈 쌓기를 하는 이유는?

  1. 외관을 좋게 하기 위하여
  2. 각 재료의 부착을 좋게 하기 위하여
  3. 응력의 분산을 위하여
  4. 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정답률: 67%)
  • 조적조 내력벽은 수직하중에 대한 내력을 받기 때문에 벽체 내부에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막줄눈 쌓기를 합니다. 이때 막줄눈 쌓기를 하면서 각 재료의 부착을 좋게 하기 위해서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응력의 분산입니다. 막줄눈 쌓기를 하면 벽체 내부의 응력이 분산되어 벽체 전체적으로 안정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적조 내력벽 쌓기에서 막줄눈 쌓기를 하는 이유는 응력의 분산을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목조 건축물을 내진, 내풍적(耐震耐風的)으로 하는 구조법으로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토대를 앵커볼트로 기초에 긴결한다.
  2. 벽체의 요소에 가새를 넣는다.
  3. 지붕틀의 부재를 크게 한다.
  4. 기둥과 횡가재는 철물로 긴결한다.
(정답률: 71%)
  • 지붕틀의 부재를 크게 한다는 것은 목재의 무게를 늘리고, 건축물 전체의 무게를 늘리는 것이므로 내진, 내풍적인 구조를 만드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철골구조를 구성하는 부재의 응력 중심선에 해당하는 용어는?

  1. 게이지라인
  2. 중심선
  3. 기준선
  4. 클리어런스
(정답률: 36%)
  • 철골구조에서 부재의 응력 중심선은 해당 부재가 받는 하중에 대한 중심축이며, 이를 기준으로 부재의 강도와 굴곡성 등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기준으로 하여 부재의 크기와 형상을 결정하고 설계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준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철근콘크리트 플랫슬랩의 두께는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8㎝
  2. 12㎝
  3. 15㎝
  4. 18㎝
(정답률: 52%)
  • 철근콘크리트 플랫슬랩은 건물의 바닥 구조물 중 하나로, 바닥에 직접 깔려 있는 판입니다. 이 판은 건물의 적재 무게를 지탱하고, 바닥의 평탄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플랫슬랩의 두께는 건물의 적재 무게와 바닥의 사용 용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건물의 경우, 플랫슬랩의 두께는 15㎝ 이상으로 권장됩니다. 이는 건물의 적재 무게와 바닥의 사용 용도를 고려한 결과입니다. 만약 플랫슬랩의 두께가 8㎝이나 12㎝으로 지나치게 얇으면, 건물의 적재 무게를 충분히 지탱하지 못하고 바닥이 꺼지거나 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한 건축을 위해 플랫슬랩의 두께는 15㎝ 이상으로 권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철근콘크리트 보에 사용하는 주근의 최소 지름은?

  1. D10
  2. D13
  3. D16
  4. D19
(정답률: 60%)
  • 철근콘크리트 보에 사용하는 주근의 최소 지름은 D13입니다. 이는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D10은 지름이 너무 작아 강도가 부족하고, D16과 D19는 비용이 높아 경제적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D13이 가장 적절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목구조에서 평기둥의 배치간격으로 적당한 것은?

  1. 1m정도
  2. 2m정도
  3. 3m정도
  4. 4m정도
(정답률: 50%)
  • 목구조에서 평기둥의 배치간격은 구조물의 안정성과 미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2m정도의 간격이 적당하다고 생각됩니다. 이는 너무 가까우면 구조물이 불안정해지고, 너무 멀면 미적인 측면에서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구조물의 크기와 목재의 강도 등에 따라 적당한 간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주근의 순간격은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는가?

  1. 1.25㎝
  2. 1.5㎝
  3. 2㎝
  4. 2.5㎝
(정답률: 40%)
  •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주근의 순간격은 보의 굽힘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설정됩니다. 이 순간격이 너무 크면 보의 굽힘응력이 집중되어 파손될 위험이 있고, 너무 작으면 철근의 경제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주근의 순간격은 적절한 값을 설정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주근의 순간격은 2.5㎝ 이상으로 설정됩니다. 이는 보의 안정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기둥의 띠철근 간격은 최대 얼마 이내로 해야 하는가?

  1. 10cm
  2. 20cm
  3. 30cm
  4. 35cm
(정답률: 43%)
  •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기둥의 띠철근 간격은 구조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띠철근은 기둥의 굽힘 및 압축에 대한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간격이 너무 넓으면 구조의 안전성이 떨어집니다. 반면에 간격이 너무 좁으면 철근 간의 충돌이 발생하여 구조의 강도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둥의 띠철근 간격은 일반적으로 30cm 이내로 결정됩니다. 이 간격은 구조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모두 고려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과 같이 널판 상, 하, 옆을 반턱으로 하여 기둥 및 샛기둥에 가로쪽매로 하여 붙이는 판벽은?

  1. 영국식 비늘판벽
  2. 턱솔 비늘판벽
  3. 얇은널 비늘판벽
  4. 누름대 비늘판벽
(정답률: 51%)
  • 그림에서 보이는 판벽은 널판 상, 하, 옆을 반턱으로 하여 기둥 및 샛기둥에 가로쪽매로 하여 붙이는 것으로, 이는 "턱솔 비늘판벽"에 해당합니다. "턱솔"은 판자의 가장자리를 반토막 모양으로 깎아서 다른 판자와 맞물리도록 만든 것을 의미하며, "비늘판벽"은 판자를 겹쳐서 설치하여 물기가 새지 않도록 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들이 "턱솔 비늘판벽"으로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창호철물의 용도를 짝지은 것이다.옳지 않은 것은?

  1. 래버토리 힌지(Lavatory hinge) - 공중변소
  2. 도어 체크(Door check) - 여닫이문
  3. 실린더(Cylinder) - 플러쉬문
  4. 크레센트(Crescent) - 주름문
(정답률: 58%)
  • 크레센트는 주름문과는 관련이 없는 도구로, 주름문을 열거나 닫는 데 사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조적조에서 보를 지지하는 벽돌기둥의 높이는 단면 최소치수의 몇 배를 초과해서는 안되는가?

  1. 1.5배
  2. 2배
  3. 5배
  4. 10배
(정답률: 30%)
  • 조적조에서 벽돌기둥의 높이는 단면 최소치수의 몇 배를 초과해서는 안 되는냐는 문제입니다. 이는 안전상의 이유로 벽돌기둥이 충분한 강도를 가지기 위해서입니다.

    벽돌기둥의 단면 최소치수는 벽돌의 크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벽돌의 크기가 작을수록 단면 최소치수가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벽돌의 크기가 크면 벽돌기둥의 높이를 높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벽돌기둥의 높이를 너무 높이면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벽돌기둥은 수직으로 세워지기 때문에 높이가 높을수록 기울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벽돌기둥의 높이는 단면 최소치수의 일정 배수를 초과해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벽돌기둥의 높이를 지지하는 보를 지지하는 벽돌기둥의 높이를 구하는 것입니다. 보의 높이는 벽돌기둥의 높이에 비해 매우 크기 때문에 벽돌기둥의 높이를 너무 높이면 보가 부러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벽돌기둥의 높이는 보의 높이에 비해 충분히 작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벽돌기둥의 높이는 단면 최소치수의 일정 배수를 초과해서는 안 되는데, 이 배수가 크면 클수록 벽돌기둥의 높이를 더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0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과 같은 양식 지붕틀의 명칭은?

  1. 왕대공 지붕틀
  2. 쌍대공 지붕틀
  3. 팬 지붕틀
  4. 맨사드 지붕틀
(정답률: 57%)
  • 이 그림의 지붕틀은 양쪽에 대칭되는 공간을 형성하는데, 이를 "쌍대공"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이 지붕틀은 "쌍대공 지붕틀"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계단에서 난간 위의 손스침이 되는 빗재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챌판
  2. 난간동자
  3. 계단참
  4. 난간두겁
(정답률: 73%)
  • 난간두겁은 계단의 난간 위에 설치되는 두꺼운 손잡이를 의미합니다. "챌판"은 계단의 층간구조물을 말하며, "난간동자"는 난간을 설치하는 사람을 뜻합니다. "계단참"은 계단의 측면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계단에서 난간 위의 손스침이 되는 빗재의 명칭은 "난간두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조적조의 줄기초에서 콘크리트 기초판의 두께는 나비의 얼마 이상으로 하는가?

  1. 1/2
  2. 1/3
  3. 1/4
  4. 1/5
(정답률: 46%)
  • 조적조의 줄기초에서 콘크리트 기초판의 두께는 나비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두껍게 만들어야 합니다. 나비의 무게는 나비의 전체 무게 중심에서 아래로 작용하므로, 콘크리트 기초판의 두께는 나비의 무게 중심에서 아래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합니다. 이때, 콘크리트 기초판의 두께는 나비의 전체 무게 중심에서 아래로 1/3 지점까지의 거리만큼 두껍게 만들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조적조에서 대린벽으로 구획된 각 벽에 있어서 개구부의 폭의 합계는 그 벽길이의 얼마 이하로 하는가?

  1. 1/2
  2. 1/3
  3. 1/4
  4. 1/8
(정답률: 49%)
  • 조적조에서 대린벽으로 구획된 각 벽은 일정한 간격으로 조각돼 있습니다. 이 간격을 한 조각의 길이라고 하면, 개구부의 폭은 한 조각 이상이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개구부의 폭의 합계가 그 벽길이의 절반 이하가 되려면, 개구부의 폭이 한 조각일 때가 가장 작은 값입니다. 따라서 개구부의 폭의 합계는 그 벽길이의 절반인 1/2 이하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벽돌조 공간쌓기에서 연결재의 수평거리는 최대 얼마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45cm
  2. 60cm
  3. 75cm
  4. 90cm
(정답률: 49%)
  • 벽돌조 공간쌓기에서 연결재의 수평거리는 벽돌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연결재의 수평거리는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 간격이 너무 넓으면 벽돌이 무너질 위험이 있고, 너무 좁으면 연결재가 부러질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연결재의 수평거리는 벽돌의 무게와 연결재의 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값으로 결정되어야 합니다.

    보기에서 가장 큰 값인 "90cm"은 벽돌조 공간쌓기에서 연결재의 수평거리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값입니다. 이 값은 벽돌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진 연결재를 사용하면 충분히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값입니다. 따라서 "90c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보강블록조의 바닥 면적이 40m2 일 때 내력벽의 벽량은?

  1. 4m이상
  2. 6m이상
  3. 8m이상
  4. 10m이상
(정답률: 53%)
  • 보강블록조의 바닥 면적이 40m2 이므로, 내력벽의 벽량은 바닥 면적의 1/6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40m2의 1/6은 6.67m2 입니다. 이를 올림하여 내력벽의 벽량은 7m2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6m이상"이 아닌 "7m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주어진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6m이상"이므로 정답은 "6m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철근콘크리트구조 기둥 주근의 이음 위치로 가장 알맞은 것은? (단, 바닥에서부터의 높이임)

  1. 0.5m 부근에서
  2. 1.0m 부근에서
  3. 1.5m 부근에서
  4. 2.0m 부근에서
(정답률: 32%)
  • 철근콘크리트구조 기둥은 일반적으로 바닥에서부터 높이가 3m 이상인 경우에는 이음부위가 있습니다. 이음부위는 기둥의 높이를 나누어 여러 개의 섹션으로 나누어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음 위치는 기둥의 높이를 4등분하여 1.0m 부근에서 이음부위가 위치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축재료

21. 프랑스의 모니에(Monier)에 의해 철근콘크리트의 이용법 을 개발한 시기는?

  1. 18세기 초엽
  2. 18세기 중엽
  3. 19세기 초엽
  4. 19세기 중엽
(정답률: 45%)
  • 모니에는 1849년에 철근콘크리트의 이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19세기 중엽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구조재료에 요구되는 성질로 관련이 적은 것은?

  1. 내화, 내구성이 큰 것이어야 한다.
  2. 외관이 좋은 것이어야 한다.
  3. 재질이 균일하고 강도가 큰 것이어야 한다.
  4. 가공이 용이한 것이어야 한다.
(정답률: 76%)
  • 구조재료의 요구성질 중에서 외관은 구조적인 안정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구조재료는 주로 내화성, 내구성, 강도, 가공성 등의 물리적인 성질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외관이 좋은 것이어야 한다."는 구조재료에 요구되는 성질로는 관련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건물의 외부 벽체 마감용으로 적당하지 않은 석재는?

  1. 화강암
  2. 안산암
  3. 점판암
  4. 대리석
(정답률: 64%)
  • 대리석은 다른 석재에 비해 흡수율이 높아 비가 오거나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는 녹슬거나 변색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건물의 외부 벽체 마감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목재의 분류 중 내장수에 속하는 것은?

  1. 전나무
  2. 잣나무
  3. 대나무
  4. 밤나무
(정답률: 49%)
  • 내장수는 목재의 내부에 있는 세포를 말하며, 대나무는 내장수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내구성이 높고 굽힘에 강한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대나무는 내장수에 속하는 목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목재에 관한 기술 중 옳은 것은?

  1. 목재의 비중은 섬유포화점 상태의 함수율을 기준으로 한다.
  2. 전건비중이 큰 목재일수록 공극율이 작아진다.
  3. 공극율이 큰 목재는 강도가 커진다.
  4. 비중이 작은 목재는 강도가 크다.
(정답률: 31%)
  • 전건비중이 큰 목재일수록 공극율이 작아진다는 이유는, 전건비중이 큰 목재는 보다 밀도가 높은 목재이기 때문에, 목재 내부의 공극이 적어지게 되어 공극율이 작아지게 됩니다. 이는 목재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여주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건축재료 중 물로 비비면 경화가 잘되지 않아 간수를 넣어 주는 것은?

  1. 회반죽
  2. 실리카시멘트
  3. 석고플라스타
  4. 마그네시아시멘트
(정답률: 32%)
  • 마그네시아시멘트는 물로 비비면 경화가 잘 되지 않아 간수를 넣어 주어야 하는데, 이는 마그네시아시멘트가 고온에서 경화되는 특성 때문입니다. 따라서 간수를 넣어주면 고온에서도 경화가 잘 되어 내구성이 높은 건축재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시멘트의 응결시간에 관한 사항 중 부적당한 것은?

  1. 가수량이 많을수록 응결이 늦어진다.
  2. 온도가 높을수록 응결시간이 짧아진다.
  3.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을수록 응결이 빠르다.
  4. 알루민산3칼슘 성분이 많을수록 응결이 늦어진다.
(정답률: 55%)
  • 알루민산3칼슘은 시멘트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이며, 이 성분이 많을수록 시멘트 입자들이 서로 덜 결합하고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응결이 늦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알루민산3칼슘 성분이 많을수록 응결이 늦어지는 것이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시멘트 분말도가 높을수록 다음과 같은 성질이 있다. 옳지 않은 기술은?

  1. 초기강도가 높다.
  2. 수화작용이 빠르다.
  3. 풍화하기 쉽다.
  4. 수축 균열이 생기지 않는다.
(정답률: 57%)
  • 시멘트 분말도가 높을수록 초기강도가 높아지고, 수화작용이 빨라지며, 풍화하기 쉬워진다. 하지만 수축 균열이 생기지 않는 것은 옳지 않은 기술이다. 시멘트 분말도가 높을수록 수축량이 증가하므로 오히려 수축 균열이 더 많이 생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한중(寒中) 또는 수중(水中) 긴급공사 시공에 가장 적합한 시멘트는?

  1. 보통 포오틀랜드 시멘트
  2. 중용열 포오틀랜드 시멘트
  3. 조강 포오틀랜드 시멘트
  4. 백색 포오틀랜드 시멘트
(정답률: 71%)
  • 한중 또는 수중 긴급공사 시공에는 물에 잠길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물에 저항력이 강한 시멘트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조강 포오틀랜드 시멘트가 가장 적합합니다. 조강 포오틀랜드 시멘트는 물에 저항력이 강하고, 초기 강도가 높아 빠른 시공이 가능합니다. 또한, 내화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므로 긴급공사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보통벽돌의 재질시험은 어느 것이 주가 되는가?

  1. 흡수 및 압축시험
  2. 흡수 및 인장시험
  3. 비중 및 압축시험
  4. 비중 및 인장시험
(정답률: 67%)
  • 보통벽돌은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보통벽돌의 재질시험에서는 흡수 및 압축시험이 가장 중요합니다. 흡수시험은 벽돌이 물을 흡수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내구성을 판단하고, 압축시험은 벽돌이 얼마나 많은 압력을 견딜 수 있는지를 측정하여 강도를 판단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시험이 보통벽돌의 재질시험에서 가장 주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점토제품 중 흡수율이 가장 적은 것은?

  1. 토기
  2. 자기
  3. 도기
  4. 석기
(정답률: 73%)
  • 점토는 일반적으로 흡수율이 높은 재료입니다. 그러나 자기는 점토와는 달리 비흡수성이 높아서 흡수율이 가장 적습니다. 따라서 자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재료의 주용도로서 맞지 않는 것은?

  1. 테라죠 - 벽, 바닥의 수장재
  2. 트래버틴 - 내벽 등의 수장재
  3. 타일 - 내외벽, 바닥의 수장재
  4. 테라코타 - 흡음재
(정답률: 71%)
  • 테라코타는 흡음재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테라코타는 벽, 바닥의 수장재로 사용되며, 특히 외부 벽면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KS규정에서 1종 붉은벽돌의 압축강도는 얼마 이상으로 규정되어 있는가?

  1. 100kg/㎠
  2. 150kg/㎠
  3. 210kg/㎠
  4. 230kg/㎠
(정답률: 61%)
  • KS규정에서 1종 붉은벽돌의 압축강도는 210kg/㎠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건축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벽돌이 견딜 수 있는 최소한의 압력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보다 낮은 압축강도를 가진 벽돌은 건축물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사용이 금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보통 유리의 강도는 무엇을 기준으로 하는가?

  1. 압축강도
  2. 휨강도
  3. 인장강도
  4. 전단강도
(정답률: 67%)
  • 유리의 강도는 휨강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이는 유리가 휨력에 대해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압축강도는 유리가 압력에 대해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 인장강도는 유리가 늘어나는 힘에 대해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 전단강도는 유리가 변형되는 힘에 대해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강재의 강도가 최대가 될 때의 온도는?

  1. 상온
  2. 100℃
  3. 150℃
  4. 250℃
(정답률: 53%)
  • 강재의 강도는 온도에 따라 변화하며,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강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강도가 최대가 되려면 온도가 낮아야 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낮은 온도인 "상온"은 강도가 최대가 될 수 없다. 또한, 온도가 높아질수록 강도가 낮아지므로 "100℃"과 "150℃"도 강도가 최대가 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2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비철금속에서 황동(놋쇠)은 무엇의 합금인가?

  1. 구리 + 주석
  2. 구리 + 아연
  3. 니켈 + 주석
  4. 니켈 + 아연
(정답률: 72%)
  • 황동은 구리와 아연의 합금입니다. 이는 구리와 아연이 서로 용해성이 높아서 합금화가 쉽기 때문입니다. 또한, 아연은 구리보다 부식되는 속도가 더 느리기 때문에 황동은 구리보다 더욱 내구성이 뛰어나며, 높은 인장강도와 내식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합성수지도료를 유성페인트와 비교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건조시간이 빠르다.
  2. 도막이 단단하다.
  3. 내산, 내알칼리성이 적다.
  4. 방화성이 크다.
(정답률: 49%)
  • 내산, 내알칼리성이 적다는 것은 산성 또는 알칼리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합성수지도료가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색상이 변하지 않고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내산, 내알칼리성이 적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재료와 용도의 조합에서 옳지 않은 것은?

  1. 광명단 - 방청제
  2. 토분 - 눈메움제
  3. 크레오소오트 - 용제
  4. 오일스테인 - 착색제
(정답률: 39%)
  • 크레오소오트는 보존제로 사용되는데, 용제로 사용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보통시멘트와 비교한 고로슬래그 시멘트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댐 공사에 적합하다.
  2. 바닷물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3. 단기강도가 작다.
  4. 응결 시간이 빠르다.
(정답률: 34%)
  • 고로슬래그 시멘트는 보통시멘트보다 응결 시간이 느리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응결 시간이 빠르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고로슬래그 시멘트는 보통시멘트와 달리 천연석회나 석회석 대신 철강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래그를 주원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응결 시간이 느리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내수성 및 내열성이 뛰어나므로 200℃ 정도의 온도에서 오랜 시간 노출되더라도 접착력이 떨어지지 않는 접착제는?

  1. 페놀수지 접착제
  2. 실리콘수지 접착제
  3. 네오프렌 접착제
  4. 요소수지 접착제
(정답률: 52%)
  • 실리콘수지는 내수성과 내열성이 뛰어나며,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200℃ 정도의 온도에서 오랜 시간 노출되더라도 접착력이 떨어지지 않는 접착제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리콘수지 접착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계획 및 제도

41. 설계도면의 표제란에 기입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축척
  2. 작성자 성명
  3. 도면명
  4. 시공회사 명칭
(정답률: 68%)
  • 설계도면의 표제에는 일반적으로 도면명, 작성자 성명, 축척이 포함되어야 하지만, 시공회사 명칭은 필수적으로 기입되어야 하는 사항은 아닙니다. 이는 시공회사 명칭이 설계도면의 정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공회사 명칭은 선택적으로 기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도면에서 치수 기입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치수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마무리 치수로 표시한다.
  2. 치수 기입은 치수선 중앙 왼쪽에 기입한다.
  3. 치수 기입은 치수선과 평행으로 도면의 우측에서 좌로, 위에서 아래로 읽을 수 있도록 기입한다.
  4. 치수선의 양끝은 화살 또는 점으로 혼용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같은 도면에서 치수선이 작은 것은 점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64%)
  • 도면에서 치수는 보통 마무리 치수로 표시하며, 이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가장 중요한 치수로 간주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치수와 함께 마무리 치수를 명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그림의 투상법에서 A방향이 정면도일 때 C방향의 명칭은?

  1. 정면도
  2. 좌측면도
  3. 우측면도
  4. 배면도
(정답률: 86%)
  • A방향이 정면도일 때 C방향은 우측면도입니다. 이는 그림에서 A방향이 정면을 바라보고 있으므로, C방향은 A방향의 오른쪽 측면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우측면도"가 되며, 다른 보기들은 A방향을 기준으로 좌측면, 배면 등을 나타내므로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한국산업규격에서 토목, 건축분야 통칙의 기호로 옳은 것은?

  1. KS A
  2. KS B
  3. KS F
  4. KS E
(정답률: 84%)
  • 토목, 건축분야에서 통칙을 나타내는 기호는 "KS F"입니다. 이는 한국산업규격에서 각 분야별로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호 중 하나이며, "F"는 건축 및 토목분야를 나타내는 약어입니다. 따라서, 토목, 건축분야에서 통칙을 나타내는 기호로 "KS F"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건축물의 묘사에 있어서 트레싱지에 칼라(color)를 표현하기에 가장 적합한 도구는?

  1. 연필
  2. 수채물감
  3. 포스터칼라
  4. 유성마커펜
(정답률: 71%)
  • 트레싱지에는 선이 뚜렷하게 나타나야 하므로 연필보다는 선이 더 선명한 유성마커펜이 적합합니다. 또한, 수채물감은 물에 녹아서 흐려질 수 있고, 포스터칼라는 물감과 달리 건조하기까지 시간이 걸리므로 유성마커펜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건축제도에 사용하는 축척은 몇 종류를 원칙으로 하는가? (단, KS규정)

  1. 12
  2. 15
  3. 18
  4. 24
(정답률: 41%)
  • 건축제도에 사용하는 축척은 4종류를 원칙으로 합니다. 그 중에서도 KS규정에서는 1:12, 1:15, 1:18, 1:24의 4가지 축척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4"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건축제도에서 가장 굵게 표시해야 할 선은?

  1. 평면상의 구획선
  2. 윤곽선
  3. 단면선
  4. 보조설명선
(정답률: 83%)
  • 건축제도에서 가장 굵게 표시해야 할 선은 "단면선"입니다. 이는 건축물의 내부 구조와 공간을 보여주는 중요한 선으로, 건축물의 모든 층을 가로지르는 수직선으로 표시됩니다. 단면선은 건축물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며, 건축물의 설계와 시공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철근콘크리트 슬랩배근도에서 철근을 가장 많이 배근해야 할 곳은?

  1. 장변방향 단부
  2. 장변방향 중앙부
  3. 단변방향 단부
  4. 단변방향 중앙부
(정답률: 48%)
  • 철근콘크리트 슬랩배근도에서 철근을 가장 많이 배근해야 할 곳은 "단변방향 단부"입니다. 이는 슬랩의 단변방향 단부가 하중을 받는 지점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부분에 철근을 가장 많이 배근하여 강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목조벽 중 벽체 양면이 평벽을 나타내는 표시법은?

(정답률: 61%)
  • 정답은 "" 입니다. 이는 벽체 양면이 평벽을 나타내는 표시법 중 하나인 "평면도"입니다. 이 표시법은 벽체를 수평선으로 나누어 위쪽에는 위쪽에서 본 평면도, 아래쪽에는 아래쪽에서 본 평면도를 그립니다. 이렇게 그려진 평면도는 벽체의 높이와 너비를 정확하게 나타내며, 건축설계 및 시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컴퓨터에서 입력장치와 출력장치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프린터, 플로터
  2. 키보드, 프린터
  3. 마우스, 스캐너
  4. 태블릿, 키보드
(정답률: 80%)
  • 입력장치는 사용자가 컴퓨터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이고, 출력장치는 컴퓨터가 처리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키보드는 입력장치로 사용자가 컴퓨터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프린터는 출력장치로 컴퓨터가 처리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키보드, 프린터"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과 같은 디스크(disk)의 최대 저장 용량은 얼마인가?

  1. 1,228,800 byte
  2. 614,400 byte
  3. 81,920 byte
  4. 15,360 byte
(정답률: 47%)
  • 디스크의 저장 용량은 섹터 수, 트랙 수, 실린더 수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디스크는 80개의 실린더, 각 실린더당 2개의 헤드, 각 헤드당 12개의 섹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총 섹터 수는 80 x 2 x 12 = 1,920 개가 됩니다. 각 섹터의 크기는 512 byte 이므로, 디스크의 최대 저장 용량은 1,920 x 512 = 983,040 byte 가 됩니다. 하지만 이 디스크는 섹터당 2개의 바이트를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디스크의 최대 저장 용량은 983,040 byte + (1,920 x 2) byte = 1,228,800 byte 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28,800 byte"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건축물의 입면도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동서남북 각각 4면의 외부 형태를 나타낸다.
  2. 창의 형상, 창대 높이 등이 표시된다.
  3. 단면도와 지붕 평면도를 그리는 기초 도면이다.
  4. 정투상도법에 의한 직립 투상도로 외관을 나타낸다.
(정답률: 54%)
  • 정답은 "정투상도법에 의한 직립 투상도로 외관을 나타낸다."입니다. 입면도는 건축물의 외부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동서남북 각각 4면의 외부 형태와 창의 형상, 창대 높이 등이 표시됩니다. 단면도와 지붕 평면도를 그리는 기초 도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정투상도법에 의한 직립 투상도는 입면도와는 다른 도면으로, 건축물의 외관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내부 구조와 공간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컴퓨터에서 보조 기억장치가 아닌 것은?

  1. 집적회로
  2. 자기 드럼
  3. 자기 디스크
  4. 자기 테이프
(정답률: 63%)
  • 집적회로는 보조 기억장치가 아닌 이유는, 보조 기억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기 위한 기능을 가진 하드웨어 장치들을 의미하는데, 집적회로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검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집적회로는 반도체 기술을 이용하여 작은 크기의 전자 회로를 만들어내는 기술로, 주로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나 메모리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CAD에 이용한 디스플레이 종류 중 해상도와 색상표현을 가장 잘 나타낼수 있는 것은?

  1. EGA
  2. CGA
  3. VGA
  4. 허큘레스(Hercules)
(정답률: 59%)
  • VGA는 해상도와 색상표현 모두에 있어서 EGA, CGA, 허큘레스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VGA는 640x480 해상도를 지원하며, 256가지 색상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EGA는 640x350 해상도를 지원하며, 16가지 색상을 표현할 수 있고, CGA는 320x200 해상도를 지원하며, 4가지 색상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허큘레스는 흑백 모니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색상 표현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CAD에 이용한 디스플레이 종류 중 해상도와 색상표현을 가장 잘 나타낼수 있는 것은 VG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실제 길이 16m는 축척 1/200 의 도면에서 얼마의 길이로 표시 되는가?

  1. 4㎝
  2. 8㎝
  3. 16㎝
  4. 32㎝
(정답률: 85%)
  • 실제 길이 16m를 1/200 축척으로 나타내면 16m × 1/200 = 0.08m = 8cm 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 입니다. 축척은 실제 크기와 도면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1/200 축척은 1cm의 도면이 200cm의 실제 크기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6m의 실제 길이를 1/200 축척으로 나타내면 16m × 1/200 = 0.08m = 8cm가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투시도 작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1. 화면보다 앞에 있는 물체는 축소되어 나타난다.
  2. 화면에 접해있는 부분만이 실제의 크기가 된다.
  3. 물체와 시점 사이에 기선과 수직한 평면을 화면(P.P)이라 한다.
  4. 화면에 평행하지 않은 평행선들은 소점(V.P)으로 모인다.
(정답률: 58%)
  • "화면보다 앞에 있는 물체는 축소되어 나타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실제로는 "화면보다 앞에 있는 물체는 확대되어 나타난다."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투시도 작도에서 물체와 시점 사이에 있는 기선과 수직한 평면인 화면(P.P)과 시점(V.P)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물체가 더 크게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1.0B +50mm+0.5B의 벽돌벽체 공간쌓기에서 벽체의 두께선은 중심선에서 얼마를 띄어야 하는가? (단, 표준형 벽돌을 사용함)

  1. 150㎜
  2. 165㎜
  3. 180㎜
  4. 195㎜
(정답률: 48%)
  • 표준형 벽돌의 크기는 215mm x 102.5mm x 65mm 이다. 따라서 벽체의 두께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0B + 50mm + 0.5B = (215mm x n) + 50mm + (215mm x n)/2
    = 215mm x 3n/2 + 50mm

    여기서 n은 벽돌의 적층 수이다. 이를 정리하면,

    1.5B = 215mm x 3n/2 + 50mm

    B = (215mm x 3n/2 + 50mm)/1.5

    B = 143.33mm x n + 33.33mm

    따라서 벽체의 중심선에서 벽돌의 중앙까지의 거리는 143.33mm x n + 33.33mm 이다. 이 값이 165mm이 되려면 n은 약 1.1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벽체의 두께선은 중심선에서 165mm 떨어져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4.5㎝ 각의 장선을 간격 45㎝로 배치할 때 도면에서 일반적인 표시방법은?

  1. 장선 4.5× 4.5 @45
  2. 장선 45× 45 @450
  3. 장선 4.5× 4.5 THK45
  4. 장선 45× 45 THK450
(정답률: 55%)
  • 일반적인 표시방법은 "장선 45× 45 @450"입니다. 이는 장선의 크기가 45×45이며 간격이 45㎝이며, 위치는 450㎜ 높이에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 표기법은 간단하면서도 명확하게 장선의 크기, 간격, 위치를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THK(두께)를 나타내는데, 이와 관련된 정보는 문제에서 요구되지 않았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도면에서 기준선으로 사용되는 선은?

  1. 파선
  2. 점선
  3. 일점쇄선
  4. 이점쇄선
(정답률: 77%)
  • 일점쇄선은 도면에서 가장 기본적인 기준선으로 사용되는 선입니다. 이는 선이 끊어지지 않고 한 점에서만 끊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점쇄선은 도면에서 가장 명확하게 구분되며, 기준선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파선과 점선은 일정한 간격으로 끊어지는 선으로, 기준선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점쇄선은 두 점에서 끊어지는 선으로, 일점쇄선보다는 구분이 어렵기 때문에 기준선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KS 에서 규정한 제도용지의 세로와 가로 길이의 비는 얼마인가?

  1. 1 : 1
  2. 1 : 루트 2
  3. 1 : 2
  4. 1 : 3
(정답률: 85%)
  • KS에서 규정한 제도용지는 A0부터 A10까지 크기가 있으며, 이들은 모두 가로와 세로의 길이 비율이 1 : 루트 2입니다. 이 비율은 제도용지를 반으로 접거나, 크기를 줄여도 비율이 유지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 : 루트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