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1-27)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2002-01-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축구조

1. 말뚝지정을 설치할 경우 말뚝 중심 간격은 말뚝 지름의 얼마 이상으로 하는가?

  1. 1.0배
  2. 1.5배
  3. 2.0배
  4. 2.5배
(정답률: 41%)
  • 말뚝 중심 간격은 말뚝의 지지력과 지반의 지지력에 따라 결정된다. 말뚝 중심 간격이 너무 가까우면 인접한 말뚝들이 서로 영향을 주어 지지력이 감소하고, 너무 멀면 말뚝의 지지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없다. 따라서 말뚝 지름의 2.5배 이상의 간격을 두어야 인접한 말뚝들이 서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말뚝의 지지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지반의 허용지내력도가 가장 큰 지반은?

  1. 자갈
  2. 모래
  3. 진흙
  4. 모래섞인 진흙
(정답률: 66%)
  • 자갈은 입자 크기가 크고 강도가 높아서 지반의 허용지내력도가 가장 큽니다. 반면에 모래는 입자 크기가 작아서 강도가 낮고, 진흙은 입자간 결합력이 약해서 강도가 낮습니다. 따라서 자갈은 지반의 하중을 더 잘 버틸 수 있어서 허용지내력도가 가장 큰 지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벽돌 벽체 내쌓기의 내미는 한도는?

  1. 1.0B
  2. 1.5B
  3. 2.0B
  4. 2.5B
(정답률: 71%)
  • 벽돌 벽체 내쌓기의 내미는 벽체 높이와 벽체 폭, 그리고 벽돌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벽돌 벽체 내쌓기의 내미는 1.5B에서 2.5B 사이입니다. 하지만 이 중에서도 대부분의 경우 2.0B가 가장 적절한 내미입니다. 이는 벽돌의 크기와 모양, 그리고 벽체 높이와 폭 등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벽돌조에서 내력벽의 두께는 벽높이의 얼마 이상으로 해야 하는가?

  1. 1/8
  2. 1/12
  3. 1/16
  4. 1/20
(정답률: 51%)
  • 내력벽의 두께는 벽높이의 1/20 이상으로 해야 합니다. 이유는 내력벽은 벽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내력벽의 두께가 충분하지 않으면 벽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지진 등의 자연재해에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력벽의 두께는 벽높이의 일정 비율 이상으로 유지해야 안전한 건축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1/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절한 비율로 여겨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보강블록조 내력벽의 벽량의 최소값은?

  1. 10cm/m2
  2. 13cm/m2
  3. 15cm/m2
  4. 18cm/m2
(정답률: 80%)
  • 내력벽은 지지력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벽체로, 보강블록조 내력벽의 경우 보강블록과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내력벽의 벽량은 지지해야 하는 하중과 내력벽의 높이, 너비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보강블록조 내력벽의 벽량의 최소값은 내력벽이 지지해야 하는 하중과 내력벽의 높이, 너비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5cm/m2 정도로 설정됩니다. 이는 내력벽의 안정성과 지지력을 보장하기 위한 최소한의 벽량으로, 보강블록조 내력벽의 설계 시 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벽량을 설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콘크리트블록조의 테두리보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단층건물에서 보의 춤은 250mm 이상으로 한다.
  2. 테두리보의 춤은 내력벽 두께의 1.5배 이상으로 한다
  3. 2층 이상일때 테두리보의 춤은 최소 300mm 이상으로 한다.
  4. 보의 나비는 그 밑에 있는 내력벽의 두께와 같게 하거나 다소 작게 한다.
(정답률: 66%)
  • 보의 나비는 그 밑에 있는 내력벽의 두께와 같게 하거나 다소 작게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보의 나비는 내력벽의 두께보다 더 크게 만들어야 하며, 이는 보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내력벽의 두께보다 작게 만들 경우 보의 강도가 약해져 구조물의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목구조에서 감잡이쇠가 사용되는 곳은?

  1. 기둥과 보
  2. 기둥과 층도리
  3. 평보와 왕대공
  4. 큰보와 작은 보
(정답률: 56%)
  • 감잡이쇠는 평보와 왕대공에서 사용됩니다. 이는 감잡이쇠가 보와 연결되어 보의 안정성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기둥과 보, 기둥과 층도리, 큰보와 작은 보는 감잡이쇠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슬랩에서 짧은 변을 lx, 긴변을 ly라 할 때 2방향 슬랩에 해당되는 것은?

  1. lY/lX ≥ 1
  2. lY/lX ≤ 1
  3. lY/lX ≥ 2
  4. lY/lX ≤ 2
(정답률: 64%)
  • 2방향 슬랩은 lx와 ly가 모두 일정한 크기인 슬랩을 말합니다. 따라서 lx와 ly의 비율이 1:1이 되어야 합니다. lY/lX ≤ 2는 ly가 lx보다 최대 2배 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2방향 슬랩에 해당됩니다. lY/lX ≥ 1은 ly가 lx보다 크거나 같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1방향 슬랩에 해당됩니다. lY/lX ≤ 1은 lx가 ly보다 최대 1배 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1방향 슬랩에 해당됩니다. lY/lX ≥ 2는 lx가 ly보다 최대 2배 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2방향 슬랩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철근콘크리트 슬랩에 배근하는 철근의 직경은 얼마 이상을 사용하는가?

  1. D6
  2. D8
  3. D10
  4. D13
(정답률: 47%)
  • 철근콘크리트 슬랩에 배근하는 철근의 직경은 슬랩의 크기와 하중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D10 이상의 직경을 사용합니다. 이는 D10 이하의 직경을 사용할 경우 슬랩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아 균일한 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D1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철골조에서 판보의 춤은 간사이의 얼마정도가 적당한가?

  1. 1/10∼1/12 정도
  2. 1/15∼1/18 정도
  3. 1/18∼1/20 정도
  4. 1/20∼1/25 정도
(정답률: 41%)
  • 철골조에서 판보의 춤은 판보의 크기와 철골조의 간격에 따라 적당한 비율이 존재합니다. 일반적으로 철골조의 간격은 3~4m 정도이며, 판보의 크기는 1.2m x 2.4m 정도입니다. 이에 따라 판보의 춤은 철골조의 간격에 대략 1/10∼1/12 정도가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비율을 벗어나면 춤을 추는 동안 판보가 흔들리거나 불안정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있어서 철근 피복의 최소 두께가 큰 것으로 부터 차례로 배열된 것은?

  1. 기초-기둥-바닥
  2. 기초-바닥-기둥
  3. 기둥-기초-바닥
  4. 기둥-바닥-기초
(정답률: 58%)
  •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는 철근이 콘크리트와 함께 하나의 단단한 구조물을 이루어야 합니다. 그러나 철근은 노출된 상태에서 수많은 외부적인 영향으로 인해 부식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철근 주변에 콘크리트를 두껍게 씌워주는 것을 피복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구조물의 안전성을 위해 철근 피복의 최소 두께는 중요합니다.

    그리고 구조물의 안전성을 고려할 때, 기초부터 차례로 배열된 "기초-기둥-바닥" 순서가 가장 안전합니다. 기초는 구조물의 무게를 지탱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따라서 기초에는 철근 피복의 두께가 가장 두껍게 적용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기둥은 구조물의 수직적인 지지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기초 다음으로 철근 피복의 두께가 두꺼워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바닥은 구조물의 하중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기둥 다음으로 철근 피복의 두께가 두꺼워야 합니다. 따라서 "기초-기둥-바닥" 순서가 가장 안전한 배열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철골구조에서 리벳으로 접합하는 판의 총 두께는 리벳지름의 얼마 이하로 하는가?

  1. 3배
  2. 4배
  3. 5배
  4. 6배
(정답률: 39%)
  • 리벳으로 접합하는 판의 총 두께는 리벳의 지름의 5배 이하여야 합니다. 이는 리벳을 사용하여 접합할 때, 리벳의 지름이 판의 두께의 2배 이상이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리벳의 지름이 판의 두께의 5배 이하여야 안전하게 접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스터럽(늑근)에 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보에 작용하는 전단력에 저항한다.
  2. 보의 중앙보다 양단에 많이 배근한다.
  3. 끝부분의 구부림은 120° 이상으로 한다.
  4. 늑근의 간격은 45cm를 넘을 수 없다.
(정답률: 55%)
  • 끝부분의 구부림을 120° 이상으로 하는 것은 보의 끝부분에서의 전단력을 효과적으로 저항하기 위함입니다. 구부림 각이 작을 경우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구부림 각을 크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철골조 접합에서 리벳의 최소 피치는 리벳 지름의 얼마 이상으로 하는가?

  1. 1.5배
  2. 2.5배
  3. 3배
  4. 3.5배
(정답률: 58%)
  • 리벳의 최소 피치는 리벳 지름의 2.5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리벳이 접합 부위에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간격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리벳 지름의 2.5배 이상으로 피치를 늘리지 않으면, 리벳이 부러지거나 끊어질 수 있으며, 이는 구조물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한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리벳의 최소 피치를 지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울거미안에 중간살을 30cm 이내로 배치하여 양면에 합판을 붙인 문은?

  1. 플러시문
  2. 널문
  3. 양판문
  4. 합판문
(정답률: 53%)
  • 울거미안에 중간살을 30cm 이내로 배치하여 양면에 합판을 붙인 문은 플러시문입니다. 이는 문과 벽면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어 문과 벽면이 평평하게 맞닿아 있는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벽돌조 독립기둥의 높이는 기둥 단면 최소치수의 얼마를 넘지 않아야 하는가?

  1. 5배
  2. 7배
  3. 10배
  4. 15배
(정답률: 52%)
  • 벽돌조 독립기둥의 높이는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기둥 단면 최소치수의 10배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기둥이 받는 하중과 기둥의 단면적이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기둥 단면 최소치수의 10배 이상이 되지 않는다면, 기둥은 안정성을 잃고 무너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0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계단에서 난간 위의 손스침이 되는 빗재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챌판
  2. 난간동자
  3. 계단참
  4. 난간두겁
(정답률: 67%)
  • 난간두겁은 계단의 난간 위에 설치되는 빗재로, 난간이 두껍게 되어 있어서 그 위에 손이 스치더라도 미끄러지지 않도록 보호해줍니다. 따라서 "난간두겁"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지붕이기에서 지붕 물매를 가장 적게 할 수 있는 것은?

  1. 기와
  2. 소형 슬레이트
  3. 금속판
  4. 금속판 기와가락
(정답률: 37%)
  • 금속판 기와가락은 다른 보기들과 달리 연결 부위가 매우 간단하고 강력하여 지붕 물매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기와나 소형 슬레이트는 연결 부위가 많아서 물매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금속판은 기와나 슬레이트보다는 간단하지만 기와가락보다는 연결 부위가 많아서 물매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금속판 기와가락이 가장 적은 물매를 가질 수 있는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블록조에서 기초벽의 춤은 처마높이의 얼마 이상으로 하는가?

  1. 1/10
  2. 1/12
  3. 1/15
  4. 1/20
(정답률: 31%)
  • 블록조에서 기초벽의 춤은 처마높이의 1/12 이상으로 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처마높이는 일반적으로 2.4m ~ 3m 정도입니다. 따라서 1/12 이상이라는 것은 최소 20cm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초벽의 춤이 너무 작으면 비가 내리거나 눈이 오는 등의 자연재해로 인해 벽체가 침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초벽의 춤은 1/12 이상으로 하는 것이 안전하고 올바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목재 반자구조에서 반자틀받이의 설치 간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45㎝
  2. 60㎝
  3. 90㎝
  4. 120㎝
(정답률: 55%)
  • 목재 반자구조에서 반자틀받이의 설치 간격은 주로 90㎝이 적절합니다. 이는 반자틀받이가 목재의 중앙에 위치하여 균형적인 하중 분산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90㎝ 간격으로 설치하면 목재의 휨과 굽힘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지며, 구조물 전체의 강도와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90㎝ 간격으로 반자틀받이를 설치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건축재료

21. 열전도율이 큰 것부터 순서로 나열된 것은?

  1. B-D-A-C
  2. B-D-C-A
  3. D-B-A-C
  4. D-B-C-A
(정답률: 53%)
  • 열전도율이 큰 것부터 순서로 나열된 것은 "D-B-A-C"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D: 금속 중에서 열전도율이 가장 큰 것은 은입니다.
    - B: 다음으로 열전도율이 큰 것은 구리입니다.
    - A: 알루미늄은 구리보다 열전도율이 작지만, 다른 보기들보다는 크기 때문에 A가 세 번째로 나열됩니다.
    - C: 마지막으로, 납은 다른 보기들보다 열전도율이 가장 작기 때문에 C가 마지막으로 나열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D-B-A-C"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목재의 물리적 성질 중 옳지 않은 것은?

  1. 열전도율은 전반적으로 적은 편이고 비중이 적은 것 일수록 열전도율도 적다.
  2. 비중이 큰 목재일수록 신축이 적다.
  3. 비중이 큰 목재는 강도도 크다.
  4. 함수율이 섬유포화점 이상인 경우를 생목(生木)이라 한다.
(정답률: 34%)
  • "비중이 큰 목재일수록 신축이 적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비중이 큰 목재는 일반적으로 강도가 크고 내구성이 높지만, 신축성은 작을 수 있습니다. 이는 목재의 밀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밀도가 높을수록 목재 내부의 공간이 적어져서 변형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중이 큰 목재일수록 신축이 적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목재의 강도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목재는 건조할수록 강도가 증가한다.
  2. 목재는 인장 강도가 압축 강도보다 크다.
  3. 목재의 인장강도는 섬유방향이 직각방향보다 크다.
  4. 목재는 콘크리트보다 인장 강도가 작다.
(정답률: 43%)
  • "목재는 콘크리트보다 인장 강도가 작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목재와 콘크리트의 재료 특성상 인장 강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목재는 인장 강도가 콘크리트보다 작지만, 콘크리트는 압축 강도가 목재보다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대리석의 한 종류로서 다공질이며 석질이 균일하지 못하고 암갈색의 무늬가 있다. 물갈기를 하면 평활하고 광택이 나는 부분과 구멍과 골이 진 부분이 있어 특수한 실내 장식재로 이용되는 것은?

  1. 테라죠(terrazzo)
  2. 트래버틴(travertine)
  3. 펄라이트(perlite)
  4. 점판암(clay stone)
(정답률: 59%)
  • 다공질이며 석질이 균일하지 못하고 암갈색의 무늬가 있는 대리석은 여러 종류가 있지만, 물갈기를 하면 평활하고 광택이 나는 부분과 구멍과 골이 진 부분이 있어 특수한 실내 장식재로 이용되는 것은 트래버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콘크리트를 혼합할 때 물시멘트비(W/C)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콘크리트의 재료 배합비
  2. 콘크리트의 골재 품질
  3. 콘크리트의 재령
  4. 콘크리트의 강도
(정답률: 65%)
  • 콘크리트의 강도는 물시멘트비(W/C)와 가장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물시멘트비가 높을수록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이 많아지고, 이는 강도를 낮추는 요인이 됩니다. 따라서 적절한 물시멘트비를 유지하는 것이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콘크리트에 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는 수화작용을 하면서 건조수축 현상을 일으킨다.
  2. 수화작용은 표면에서부터 내부로 진행한다.
  3. 수화작용이 끝나는데는 오랜 세월이 걸린다.
  4. 재령 20일 강도를 설계강도의 표준으로 본다.
(정답률: 48%)
  • "재령 20일 강도를 설계강도의 표준으로 본다."는 옳은 기술입니다. 이유는 콘크리트의 강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증가하며, 재령 20일 강도는 콘크리트의 초기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 시에는 재령 20일 강도를 기준으로 하여 강도를 계산하고 구조물을 설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시멘트 1m3의 중량으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1. 1,000 kg
  2. 1,200 kg
  3. 1,500 kg
  4. 2,500 kg
(정답률: 50%)
  • 시멘트는 밀도가 약 2,400 kg/m3 정도이므로 1m3의 시멘트 중량은 2,400 kg이 됩니다. 따라서, 1,500 kg는 1m3의 시멘트 중량으로서 가장 적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제품은?

  1. 흄관(hume pipe)
  2. 드리졸(durisol)
  3. 규회(珪灰)벽돌
  4. 석면시멘트 원통
(정답률: 45%)
  • A.L.C 제품은 규회(珪灰)벽돌로 만들어진 제품입니다. 규회벽돌은 경량화된 벽돌로, 규산칼슘과 규산마그네슘 등의 규회원료를 사용하여 제작됩니다. 이러한 규회벽돌은 경량화와 동시에 내화성, 절연성, 내습성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A.L.C 제품에 적합한 재료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테라코타는 주로 어떤 목적으로 건축물에 사용 되는가?

  1. 장식재
  2. 보온재
  3. 방수재
  4. 구조재
(정답률: 75%)
  • 테라코타는 주로 건축물의 외벽이나 기둥 등의 장식재로 사용됩니다. 이는 테라코타의 아름다운 색상과 모양, 그리고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테라코타는 화재에 강하고 방수성이 높아 보온재나 방수재로도 사용될 수 있지만, 그 주된 목적은 장식재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보통벽돌의 재질시험은 어느 것이 주가 되는가?

  1. 흡수 및 압축시험
  2. 흡수 및 인장시험
  3. 비중 및 인장시험
  4. 비중 및 압축시험
(정답률: 54%)
  • 보통벽돌은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보통벽돌의 재질시험에서는 흡수 및 압축시험이 주로 사용됩니다.

    흡수시험은 벽돌이 물을 흡수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내구성을 판단하는 시험입니다. 벽돌이 물을 많이 흡수하면 내구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 시험은 보통벽돌의 품질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압축시험은 벽돌이 얼마나 많은 압력을 견딜 수 있는지를 측정하여 강도를 판단하는 시험입니다. 보통벽돌은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이 시험도 보통벽돌의 품질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보통벽돌의 재질시험에서는 흡수 및 압축시험이 주로 사용되며, 이 시험 결과를 통해 보통벽돌의 품질을 판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점토제품 중 흡수율이 가장 적은 것은?

  1. 토기
  2. 석기
  3. 도기
  4. 자기
(정답률: 68%)
  • 자기는 비흡수성 점토제품으로, 물을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흡수율이 가장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건축 창유리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1. 프린트유리
  2. 소오다석회유리
  3. 칼륨유리
  4. 석영유리
(정답률: 53%)
  • 건축 창유리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소오다석회유리"입니다. 이유는 소오다석회유리가 내구성이 뛰어나고, 열전도율이 낮아 에너지 효율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소오다석회유리는 안전유리로도 사용되며, 불꽃이나 열에 강하고, 소리를 흡수하는 등의 특징이 있어 건축물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고강도의 피아노선이 사용되는 것은?

  1.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2.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
  3. 콘크리트 말뚝
  4. AE 콘크리트
(정답률: 63%)
  • 고강도의 피아노선은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에서 사용됩니다. 이는 피아노선이 콘크리트에 미리 인장력을 가해 놓음으로써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제작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는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며, 대형 건축물의 구조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강화유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강도가 보통유리의 3∼5배 정도이다.
  2. 파괴 되더라도 파편에 대한 위험성이 적다.
  3. 열처리를 한 후에는 가공 절단이 불가능하다.
  4. 보통 얇은 판유리를 2매 이상 가열 압착하여 만든다.
(정답률: 54%)
  • 강화유리는 열처리를 통해 강도를 높인 유리로, 보통 얇은 판유리를 2매 이상 가열 압착하여 만든다. 따라서 "열처리를 한 후에는 가공 절단이 불가능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보통유리의 열전도율은 콘크리트의 얼마 정도인가?

  1. 0.5배
  2. 1.5배
  3. 2배
  4. 2.5배
(정답률: 29%)
  • 보통유리의 열전도율은 0.9 W/mK이고, 콘크리트의 열전도율은 1.8 W/mK입니다. 따라서, 콘크리트는 보통유리보다 열을 더 잘 전달하기 때문에 보통유리의 열전도율은 콘크리트의 0.5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미장 재료에 관한 기술 중 옳지않은 것은?

  1. 진흙은 기경성(氣硬性)이다.
  2. 석고는 기경성이다.
  3. 시멘트는 수경성(水硬性)이다.
  4. 석회는 기경성이다.
(정답률: 41%)
  • 석고는 수경성이다. 석고는 물에 젖으면 경화되는데, 이는 수화학적 반응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석고는 수경성이며, 옳지 않은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목재보존의 약제처리 용으로써 무색이고 방부력이 가장 우수하며 그 위에 페인트칠도 할 수 있는 것은?

  1. 크레오소오토(creosote)
  2. 코울타르(coal tar)
  3. 황산구리
  4. PCP(pentachloro phenol)
(정답률: 54%)
  • PCP(pentachloro phenol)은 무색이며 방부력이 가장 우수한 약제이며, 그 위에 페인트칠도 가능한 이유는 PCP가 우수한 방부력을 가지고 있어 목재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PCP는 물에 녹지 않아 내구성이 뛰어나며,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목재보존의 약제처리 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아스팔트방수층을 만들때 콘크리트 바탕에 제일 먼저 사용하는 재료는?

  1. 아스팔트 펠트
  2. 아스팔트 루핑
  3. 블로운 아스팔트
  4. 아스팔트 프라이머
(정답률: 71%)
  • 아스팔트 프라이머는 아스팔트방수층을 만들기 전에 콘크리트 바탕에 바르는 재료로, 콘크리트 표면의 부식을 방지하고 아스팔트와의 밀착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아스팔트방수층을 만들 때 제일 먼저 사용하는 재료는 아스팔트 프라이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시멘트 모르타르의 경화촉진제는?

  1. 규산백토
  2. 염화암모니아
  3. 플라이 애쉬
  4. 염화칼슘
(정답률: 58%)
  • 염화칼슘은 시멘트 모르타르의 경화촉진제로 사용되는 이유는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모르타르의 경화를 촉진시키기 때문입니다. 또한, 염화칼슘은 물에 용해되어 쉽게 혼합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경제적인 장점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골재의 크기가 고르게 섞여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는?

  1. 입도
  2. 실적률
  3. 공극률
  4. 단위용적 중량
(정답률: 54%)
  • 입도는 골재의 크기 분포를 나타내는 용어로, 골재 입자의 크기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류하여 그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골재의 크기가 고르게 섞여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로 입도가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건축계획 및 제도

41. 제도에 사용하는 글자의 종류는 몇 가지를 표준으로 하는가?

  1. 9종류
  2. 10종류
  3. 11종류
  4. 12종류
(정답률: 50%)
  • 한글, 영어, 일본어, 중국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 러시아어, 아랍어, 그리스어, 이탈리아어 등 11종류의 글자를 표준으로 사용합니다. 이는 국제적인 교류와 협력을 위해 필요한 언어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도면의 표제란에 기입하여야 할 사항에 속하지 않은것은?

  1. 도면 번호
  2. 설계자의 성명
  3. 공사 명칭
  4. 감리자의 성명
(정답률: 70%)
  • 감리자의 성명은 도면의 표제에 기입하지 않아도 되는 정보입니다. 도면 번호는 도면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설계자의 성명은 도면을 작성한 사람의 정보, 공사 명칭은 해당 도면이 사용될 공사의 이름을 나타내는 정보입니다. 하지만 감리자의 성명은 도면의 표제에 기입하지 않아도 되는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도면 작도에서 석재의 재료 표시 기호인 것은?

(정답률: 70%)
  • 정답은 "" 입니다. 이 기호는 석재 재료를 나타내는 기호 중 하나로, 석재의 종류와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기호는 도면 작도에서 석재 부분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도면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선은?

  1. 일점쇄선
  2. 굵은실선
  3. 파선
  4. 가는실선
(정답률: 72%)
  • 파선은 도면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을 표시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는 일종의 가상 경계선으로,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부분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파선은 일반적으로 부재나 치수 등의 표시에 사용되며, 굵은실선이나 가는실선과 같은 다른 종류의 선과 구분하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림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미닫이창
  2. 셔터창
  3. 이중창
  4. 망사창
(정답률: 63%)
  • 이 그림은 외부에서 보호를 위해 설치된 창문으로, 내부에서 열고 닫을 수 있는 형태의 창문입니다. 이러한 창문은 일반적으로 셔터창이라고 불리며, 미닫이창, 이중창, 망사창과는 구조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아래와 같은 평면도를 CAD로 1/50로 그릴 경우 치수선과 치수선과의 간격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5∼7㎜
  2. 8∼10㎜
  3. 11∼13㎜
  4. 14∼15㎜
(정답률: 54%)
  • 1/50로 축소할 경우, 원래 크기의 1/50만큼만 그려야 하므로 치수선과 치수선 사이의 간격도 1/50로 줄여야 합니다. 그러나 너무 간격이 좁으면 치수를 읽기 어렵고, 너무 넓으면 치수를 잘못 읽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당한 간격은 8∼10㎜ 정도가 적당합니다. 이는 치수를 쉽게 읽을 수 있으면서도 너무 혼잡하지 않은 적당한 간격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창호도에 표시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창호형태
  2. 개폐방법
  3. 재료 및 치수
  4. 창호 단면도
(정답률: 50%)
  • 창호형태, 개폐방법, 재료 및 치수는 모두 창호의 외형과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창호도에 표시해야 합니다. 하지만 창호 단면도는 창호의 내부 구조와 설치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표시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입면도에 표시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지붕물매
  2. 처마높이
  3. 창문의 형태
  4. 바닥높이
(정답률: 39%)
  • 입면도는 건축물의 외관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며, 건축물의 높이, 형태, 창문의 위치 등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바닥높이는 건축물의 외관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며, 건축물의 내부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입면도에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경사지붕 물매와 같이 비교적 물매가 클때 사용하는 물매 표시법은?

  1. 분자를 1 로한 분수
  2. 분모를 10 으로 한 분수
  3. 분모를 100 으로 한 분수
  4. 분모를 200 으로 한 분수
(정답률: 65%)
  • 분모를 10으로 한 분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물매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작은 수치의 분수로는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분모를 10으로 한 분수는 분모가 작아서 수치가 크게 나타나지 않으면서도 적절한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됩니다. 또한, 분모를 100이나 200으로 한 분수는 계산이 번거롭고, 표시가 복잡해지기 때문에 분모를 10으로 한 분수가 가장 효율적인 표시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컴퓨터의 기억용량을 나타내는 단위 중 가장 최소의 단위는?

  1. Bit
  2. Byte
  3. KB
  4. MB
(정답률: 62%)
  • 가장 최소의 단위는 Bit입니다. Bit는 이진수 0 또는 1로 표현되는 정보의 최소 단위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단위들은 Bit를 기반으로 계산되며, 8개의 Bit가 모이면 1Byte가 되고, 이후에는 KB, MB 등으로 계속해서 크기가 커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컴퓨터의 처리 속도를 나타내는 것과 가장 관계가 있는 것은?

  1. RAM
  2. CPU
  3. DISK
  4. VGA
(정답률: 66%)
  • 컴퓨터의 처리 속도는 CPU에 의해 결정됩니다. CPU는 중앙 처리 장치로서 컴퓨터의 모든 작업을 제어하고 처리합니다. 따라서 CPU의 성능이 좋을수록 컴퓨터의 처리 속도가 빨라집니다. RAM, DISK, VGA는 모두 컴퓨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지만, 처리 속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은 CPU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보강블록조 도면에서 블록 1단의 높이는?

  1. 10cm
  2. 15cm
  3. 20cm
  4. 40cm
(정답률: 38%)
  • 보강블록조 도면에서 블록 1단의 높이는 20cm입니다. 이유는 도면에서 블록 1단의 높이가 다른 블록 2단의 높이와 같은 것으로 보아, 블록 1단과 2단의 높이 차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블록 2단의 높이가 40cm이므로, 블록 1단의 높이는 20c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임의의 점을 지정할 때 원점을 기준으로 좌표를 지정하는 방법은?

  1. 머신좌표
  2. 상대좌표
  3. 절대좌표
  4. 증분좌표
(정답률: 64%)
  • 절대좌표는 원점을 기준으로 한 고정된 좌표계를 사용하여 점의 위치를 지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어떤 점이든지 항상 동일한 좌표값을 가지며, 다른 좌표계와의 변환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에 반해 머신좌표, 상대좌표, 증분좌표는 각각 다른 기준점이나 좌표계를 사용하며, 점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준점이나 좌표계와의 상대적인 위치나 변화량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절대좌표가 원점을 기준으로 한 고정된 좌표계를 사용하여 간단하고 명확하게 점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사람이나 차, 또는 화물 등의 흐름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설계도면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동선도
  2. 구상도
  3. 조직도
  4. 면적도표
(정답률: 76%)
  • 사람이나 차, 또는 화물 등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것이 주된 목적인 도면을 동선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동선"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동선도"가 정답입니다. 구상도는 물체나 건축물 등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 조직도는 기업이나 단체의 조직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면적도표는 토지나 건물의 면적을 나타내는 도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창호의 평면 그림과 일치하는 입면은?

(정답률: 60%)
  • 입면의 모양은 창호의 평면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모양이며,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3cm와 4cm이기 때문에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투시도에 사용되는 용어의 관계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화면 - P.P
  2. 수평면 - H.P
  3. 기선 - G.L
  4. 시점 - V.P
(정답률: 5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도면의 기호 표시에서 기초보를 나타내는 것은?

  1. G
  2. WG
  3. FG
  4. ST
(정답률: 43%)
  • 기초보는 "FG"로 표시됩니다. 이는 "Footing"과 "Foundation"의 첫 글자를 따온 것으로, 건축물의 기초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Girder" (보), "Wall Girt" (벽보), "Steel Truss" (강철 트러스)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건축도면 중 건축물의 외관을 나타낸 투상도는?

  1. 입면도
  2. 배치도
  3. 단면도
  4. 평면도
(정답률: 70%)
  • 투상도는 건축물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지만, 입면도는 건축물의 입구를 중심으로 한 면을 나타내는 도면입니다. 따라서 건축물의 외관을 나타내는 것보다는 입구와 관련된 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나타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면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건축도면을 작도할때 사용되는 투상법은?

  1. 제1각법
  2. 제2각법
  3. 제3각법
  4. 제4각법
(정답률: 75%)
  • 제3각법은 건축물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그리는 투상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건축물의 높이와 너비를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어서 건축도면 작도에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건축물의 입체적인 모습을 파악하기에도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좌표나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 장치는?

  1. 플로터
  2. 디스플레이(CRT)
  3. 태블릿
  4. 프린터
(정답률: 39%)
  • 좌표나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데 가장 적합한 장치는 태블릿이다. 태블릿은 터치스크린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펜으로 직접 입력할 수 있으며, 그림이나 글씨를 쓸 수 있다. 따라서 그림을 그리거나 디자인 작업 등에서 좌표나 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