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10-10)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2004-10-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재료 및 요소

1. 너트의 풀림 방지 방법이 아닌 것은?

  1. 와셔를 사용하는 방법
  2. 핀 또는 작은 나사 등에 의한 방법
  3. 로크 너트에 의한 방법
  4. 키에 의한 방법
(정답률: 67%)
  • 키에 의한 방법은 너트를 고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이 방법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너트와 볼트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너트의 풀림 방지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같은 재질이라 할지라도 재료의 크기에 따라 열처리 효과가 다른데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담금질 효과
  2. 질량효과
  3. 시효경화
  4. 뜨임효과
(정답률: 71%)
  • 재료의 크기가 커질수록 열이 전달되는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을 질량효과라고 합니다. 이는 큰 재료일수록 열 운반에 필요한 에너지가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같은 재질이라 할지라도 크기가 다르면 열처리 효과가 다르게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절삭공구강의 일종인 고속도강(18-4-1)의 표준성분은?

  1. Cr18%, W4%, V1%
  2. V18%, Cr4%, W1%
  3. W18%, Cr4%, V1%
  4. W18%, V4%, Cr1%
(정답률: 74%)
  • 고속도강(18-4-1)은 18%의 크롬(Cr), 4%의 텅스텐(W), 1%의 바나듐(V)을 포함하는 강종입니다. 이 성분 조합은 고속도강의 경도와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따라서, "W18%, Cr4%, V1%"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주철에 흑연화를 촉진시키는 원소가 아닌 것은?

  1. Si
  2. Al
  3. Ni
  4. Mn
(정답률: 49%)
  • 정답은 "Mn"입니다.

    주철에 흑연화를 촉진시키는 원소는 주로 탄소와 실리콘입니다. 알루미늄과 니켈도 일부 촉진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Mn은 주철에 흑연화를 촉진시키는 원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전동축의 동력전달 순서가 옳게 된 것은?

  1. 주축-중간축-선축
  2. 선축-중간축-주축
  3. 주축-선축-중간축
  4. 선축-주축-중간축
(정답률: 45%)
  • 전동축의 동력전달 순서는 주축에서 발생한 동력이 중간축을 통해 선축으로 전달되는 순서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주축-선축-중간축"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코일스프링의 직경이 30㎜, 소선의 직경이 5㎜ 일 때 스프링 지수는?

  1. 0.17
  2. 2.8
  3. 6
  4. 17
(정답률: 85%)
  • 스프링 지수는 코일스프링의 직경을 소선의 직경으로 나눈 값의 제곱이므로, (30/5)^2 = 6 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축을 설계할 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무엇인가?

  1. 축의 강도
  2. 피로 충격
  3. 응력 집중 영향
  4. 축의 표면조도
(정답률: 62%)
  • 축의 표면조도는 축의 기계적인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설계할 때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축의 강도, 피로 충격, 응력 집중 영향은 축의 내구성과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훅의 법칙(Hooke's law)은 어느 점내에서 응력과 변형률이 비례하는가?

  1. 비례한도
  2. 탄성한도
  3. 항복점
  4. 인장강도
(정답률: 48%)
  • 훅의 법칙은 탄성 변형 영역에서 응력과 변형률이 비례하는 법칙입니다. 이 때 비례 상수를 비례한도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례한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가공용 황동의 대표적인 것으로 판, 봉, 관, 선 등을 만드는데 널리 사용되는 것은?

  1. 주석 황동
  2. 니켈 황동
  3. 6.4황동
  4. 7.3황동
(정답률: 33%)
  • 가공용 황동은 주로 경도와 인성이 뛰어난 7.3황동이 사용되며, 이는 구리와 아연의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내식성과 내구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판, 봉, 관, 선 등을 만드는데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구리의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비중은 8.96, 용융점은 1083℃, 체심입방격자이다.
  2. 변태점이 있고, 비자성체이며, 전기 및 열의 양도체이다.
  3. 황산, 염산에 쉽게 용해된다.
  4. 탄산가스(CO2), 습기, 해수에 강하다.
(정답률: 30%)
  • 구리는 화학적으로 황산과 염산에 쉽게 용해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구리가 황산과 염산과 반응하여 이온으로 분해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황산이나 염산을 이용하여 구리를 처리하거나 분리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1. 다음 절삭 공구 중 비금속 재료에 해당하는 것은?

  1. 고속도강
  2. 탄소공구강
  3. 합금공구강
  4. 세라믹 공구
(정답률: 69%)
  • 세라믹 공구는 비금속 재료로 만들어진 절삭 공구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금속 재료로 만들어진 공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직접 전달 장치에 해당하는 것은?

  1. 벨트
  2. 체인
  3. 기어
  4. 로프
(정답률: 72%)
  • 기어는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기계적 장치로, 회전축 간의 속도와 토크를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직접 전달 장치로서 가장 적합하며, 벨트, 체인, 로프는 간접적인 전달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선택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고용체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침입형
  2. 치환형
  3. 규칙 격자형
  4. 면심 입방 격자형
(정답률: 48%)
  • 면심 입방 격자형은 고용체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는 결정 구조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입방 격자 구조에서 원자들이 서로 면심되어 있는 구조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체결용 기계요소가 아닌 것은?

  1. 나사
  2. 브레이크
(정답률: 87%)
  • 나사, 키, 핀은 모두 체결용 기계요소입니다. 하지만 브레이크는 기계의 운동을 제어하는 요소로서, 체결용 기계요소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브레이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단면적이 100㎟인 강재에 300kgf의 전단하중이 작용할 때 전단응력(kgf/㎟)은?

  1. 1
  2. 2
  3. 3
  4. 4
(정답률: 90%)
  • 전단응력 = 전단하중 / 단면적 = 300kgf / 100㎟ = 3kgf/㎟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선반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적당치 않은 것은?

  1. 베드위의 스윙
  2. 왕복대위의 스윙
  3. 양센터 사이의 최대거리
  4. 공작물을 물릴 수 있는 척의 크기
(정답률: 50%)
  • 선반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공작물을 물릴 수 있는 척의 크기"는 적당치 않은 것입니다. 이는 선반의 기능과는 관련이 없는 요소이며, 선반의 크기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알루미나 재질의 연삭 숫돌입자는?

  1. C
  2. GC
  3. WA
  4. D
(정답률: 59%)
  • 알루미나 재질의 연삭 숫돌입자는 "WA"가 아닌 "A"입니다. WA는 화이트 알루미나(White Alumina)의 약자로, GC는 그린 실리콘 카바이드(Green Silicon Carbide)의 약자입니다. D는 다이아몬드(Diamond)입니다. 따라서, 알루미나 재질의 연삭 숫돌입자는 "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금긋기 바늘의 손질 및 보관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보관시 바늘끝에 코르크를 끼워 두면 산화되기 쉽다.
  2. 금긋기 바늘은 공작물보다 경질이어야 한다.
  3. 항상 중심축과 동심이 되도록 연삭되어 있어야 한다.
  4. 바늘끝의 연삭이 불량하면 공작물 표면에 그어지는 선의 굵기가 달라진다.
(정답률: 60%)
  • "보관시 바늘끝에 코르크를 끼워 두면 산화되기 쉽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코르크는 공기를 차단하여 산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바늘끝에 코르크를 끼워두면 오히려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절삭작업에서, 구성인선이 증가하는 경우는?

  1. 공구윗면 경사각을 크게 한다.
  2. 마찰계수가 작은 공구를 사용한다.
  3. 고속으로 절삭한다.
  4. 칩의 두께를 크게 한다.
(정답률: 42%)
  • 구성인선이 증가하면 자르는 재료의 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절삭력이 감소합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칩의 두께를 크게 하여 절삭력을 유지하고 자르는 힘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접시 머리 볼트의 머리가 묻히도록 하는 작업은?

  1. 카운터 싱킹
  2. 카운터 보링
  3. 리밍
  4. 스폿 페이싱
(정답률: 58%)
  • 접시 머리 볼트의 머리가 묻히도록 하는 작업은 "카운터 싱킹" 입니다. 이는 접시 머리 볼트의 머리 부분을 나무나 금속 등의 재료에 깊이 빠지도록 하는 과정으로, 접시 머리 볼트를 고정하는 데 필요한 깊이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슬로터(slotter)의 고정용 공구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맨드릴
  2. 클램프
  3. 앵글플레이트
  4. 계단블록
(정답률: 40%)
  • 슬로터의 고정용 공구 중에는 클램프, 앵글플레이트, 계단블록이 포함되어 있지만, 맨드릴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맨드릴은 드릴링 작업에 사용되는 공구이며, 슬로터의 고정용 공구와는 다른 용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절삭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감의 열 팽창에 의한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한다.
  2. 공구날의 경도 저하를 방지한다.
  3. 마찰을 감소시키므로 가공면이 깨끗하다.
  4. 칩으로 하여금 다듬어진 면에 상처를 준다.
(정답률: 83%)
  • 절삭유는 칩 제거와 마찰 감소를 통해 가공면을 깨끗하게 만들어주고, 공구의 경도 저하와 일감의 열 팽창을 방지해주는데, 유일하게 틀린 것은 "칩으로 하여금 다듬어진 면에 상처를 준다" 입니다. 이는 오히려 칩이 다듬어진 면을 상처시키는 것이며, 절삭유는 이를 방지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오토콜리메이터의 부속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모터
  2. 변압기
  3. 평면경
  4. 조정기
(정답률: 34%)
  • 오토콜리메이터는 전기적인 신호를 측정하여 표시하는 기기이므로, 부속품으로는 전기적인 신호를 측정하거나 전기적인 신호를 변환하는 변압기, 평면경, 조정기 등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모터는 전기적인 신호를 측정하거나 변환하는 기능이 없으므로 오토콜리메이터의 부속품으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브라운 샤프형 분할판을 사용하여 원판주위에 5° 의 눈금으로 분할하려 할 때, 적당한 분할판의 구멍수는?

  1. 15 구멍
  2. 21 구멍
  3. 27 구멍
  4. 41 구멍
(정답률: 30%)
  • 360°를 5°씩 분할하면 72개의 눈금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분할판의 구멍수는 72개와 일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적당한 분할판의 구멍수는 27 구멍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방전가공에 쓰이는 가공전극의 요구조건이 아닌 것은?

  1. 가격이 저렴해야 한다.
  2. 전극 소모가 적어야 한다.
  3. 전기저항이 커야 한다.
  4. 기계가공이 용이해야 한다.
(정답률: 61%)
  • 방전가공에서는 전극이 방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극의 전기저항이 작을수록 전류가 흐르기 쉽고 방전이 일어나기 쉬워지기 때문에 전기저항이 커야 합니다. 따라서 "전기저항이 커야 한다."가 요구조건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제도

26. 다음 그림은 제3각법으로 나타낸 투상도이다. 평면도에 누락된 선을 완성한 것은?

(정답률: 54%)
  • 제3각법에서는 평행한 선분이 평행한 선분으로 유지된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누락된 선분은 기존의 선분들과 평행한 선분이어야 한다. 보기 중에서는 "" 가 기존의 선분들과 평행하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직진운동이나 회전운동이 필요한 기계부품 조립에 적용하는 끼워맞춤으로 가장 좋은 것은?

  1. 헐거운 끼워맞춤
  2. 억지 끼워맞춤
  3. 영구조립 끼워맞춤
  4. 중간 끼워맞춤
(정답률: 47%)
  • 직진운동이나 회전운동이 필요한 기계부품 조립에서는 부품 간의 정확한 위치와 간격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부품들을 강하게 끼워맞추는 것이 필요한데, 이때 가장 좋은 것은 헐거운 끼워맞춤입니다. 이는 부품들을 끼워맞추는 과정에서 약간의 여유를 두어 부품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헐거운 끼워맞춤은 부품 간의 정확한 위치와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부품을 강하게 조립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은 절단선을 사용하여 가상으로 대상물을 절단하여 단면도를 그릴 때의 설명이다. 잘못 설명된 것은?

  1. 절단한 곳을 나타내는 표시문자는 절단면에 수직하게 쓴다.
  2. 화살표는 단면을 보는 방향을 나타낸다.
  3. 절단한 곳을 나타내는 표시문자는 영문자의 대문자로 표시한다.
  4. 화살표와 글자기호는 생략할 수 있다.
(정답률: 29%)
  • "절단한 곳을 나타내는 표시문자는 절단면에 수직하게 쓴다."가 잘못된 설명이 아닙니다. 이는 절단면에서 단면도를 그릴 때 가장 중요한 규칙 중 하나입니다. 절단한 곳을 나타내는 표시문자가 수직하지 않으면, 단면도를 보는 사람은 그림에서 어디가 절단면인지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절단한 곳을 나타내는 표시문자는 항상 절단면에 수직하게 써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코일 스프링의 중간 부분을 생략할 때에 생략한 부분의 선지름의 중심선을 표시하는 선은?

  1. 가는 실선
  2. 굵은 실선
  3. 가는 1점 쇄선
  4. 파단선
(정답률: 46%)
  • 코일 스프링의 중간 부분을 생략할 때에 생략한 부분의 선지름의 중심선을 표시하는 선은 "가는 1점 쇄선"입니다. 이는 생략된 부분이 중간에 있는 것이 아니라 끝 부분에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중간 부분을 생략한 것처럼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또한, 가는 1점 쇄선은 선이 끊어지지 않고 연결되어 있어서 스프링의 연속성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재료기호는 원칙적으로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중간부분의 기호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1. 재질
  2. 제품명
  3. 최저 인장강도
  4. 열처리 상황
(정답률: 25%)
  • 재료기호는 해당 재료의 성질과 특성을 나타내는 기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간부분의 기호는 해당 재료의 제품명을 나타냅니다. 이는 해당 재료가 어떤 제품에 사용되는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제품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산술(중심선) 평균거칠기는 표면거칠기의 표준값 다음에 어느 기호를 기입하는가?

  1. a
  2. s
  3. z
  4. u
(정답률: 68%)
  • 정답은 "a"입니다.

    산술 평균은 데이터의 평균값을 의미하며, 표면거칠기의 평균값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평균값과 관련된 "a"를 기입합니다.

    "s"는 표준편차를 나타내는 기호이며, "z"는 표준정규분포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u"는 평균값을 의미하는 기호이지만, 일반적으로 통계학에서는 "μ"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IT기본공차는 몇 등급으로 구분되는가?

  1. 12
  2. 15
  3. 18
  4. 20
(정답률: 75%)
  • IT기본공차는 4등급으로 구분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0"인 이유는 IT기본공차가 4등급으로 구분되고, 20은 4등급 중에서 가장 높은 등급인 "전문가"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CAD시스템의 출력장치가 아닌 것은?

  1. 플로터(plotter)
  2. 프린터(printer)
  3. 디스플레이(display)
  4. 라이트 펜(light pen)
(정답률: 85%)
  • 라이트 펜은 CAD시스템의 출력장치가 아닙니다. 라이트 펜은 입력장치로, 컴퓨터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나 텍스트를 선택하거나 조작할 수 있는 펜 형태의 장치입니다. 따라서 CAD시스템에서는 디스플레이와 함께 사용되는 입력장치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핸들의 암(arm), 주물품의 리브(rib)의 형상을 도시하기 위한 단면도시법으로 적합한 것은?

  1. 전 단면도
  2. 부분 단면도
  3. 한쪽 단면도
  4. 회전도시 단면도
(정답률: 64%)
  • 회전도시 단면도는 회전하는 물체의 형상을 보여주기에 적합하며, 핸들의 암과 주물품의 리브는 회전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회전도시 단면도가 적합하다. 전 단면도는 전체적인 형태를 보여주기에 적합하고, 부분 단면도는 특정 부분의 형태를 보여주기에 적합하며, 한쪽 단면도는 대칭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을 때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컴퓨터에서 중앙처리장치의 기능 구성으로만 짝지워진 것은?

  1. 출력장치-입력장치
  2. 제어장치-입력장치
  3. 보조기억장치-출력장치
  4. 제어장치-연산장치
(정답률: 77%)
  • 중앙처리장치는 입력장치로부터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제어장치가 이를 제어하여 연산장치에서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를 출력장치로 보내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의 기능 구성으로는 제어장치와 연산장치가 짝지워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기존의 오브젝트(object)를 어느 한 기점을 기준으로 비율에 따라 축소 또는 확대할 수 있는 도형변환 요소는?

  1. 스케일(scale)
  2. 시프팅(shifting)
  3. 카피(copy)
  4. 서피스(surface)
(정답률: 71%)
  • 스케일(scale)은 기존의 오브젝트를 비율에 따라 축소 또는 확대할 수 있는 도형변환 요소입니다. 이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오브젝트를 만들 수 있으며, 디자인 작업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케일(scal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시리얼 데이터(serial data)전송의 구성 비트가 아닌 것은?

  1. stop bit
  2. data bit
  3. low bit
  4. parity bit
(정답률: 30%)
  • "low bit"은 시리얼 데이터 전송에서 사용되지 않는 비트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데이터 비트는 전송되는 실제 데이터를 나타내고, 패리티 비트는 오류 검출을 위해 사용됩니다. 스탑 비트는 데이터 비트의 끝을 나타내며, 전송 중에 데이터가 끝났음을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컬러 디스플레이(Color display)에서 표현할 수 있는 색은 3가지 색의 혼합비에 의해 정해지는데, 그 3가지 색은 무엇인가?

  1. 빨강, 노랑, 파랑
  2. 빨강, 파랑, 초록
  3. 검정, 파랑, 노랑
  4. 빨강, 노랑, 초록
(정답률: 70%)
  • 컬러 디스플레이에서 표현할 수 있는 색은 RGB 색 모델에 의해 결정됩니다. RGB 색 모델은 빨강(Red), 초록(Green), 파랑(Blue)의 3가지 색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빨강, 파랑, 초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나사 제도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암나사의 안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2. 불완전 나사부의 골을 나타내는 선은 축선에 대하여 30° 되게 그린다.
  3. 암나사의 탭 구멍의 드릴 자리는 118° 가 되게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4. 암나사의 골지름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정답률: 52%)
  • "암나사의 탭 구멍의 드릴 자리는 118° 가 되게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나사의 탭 구멍은 나사의 골과 같은 각도로 드릴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암나사의 탭 구멍의 드릴 자리는 골과 같은 각도인 90°로 그려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기하 공차를 분류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모양 공차
  2. 자세 공차
  3. 위치 공차
  4. 치수 공차
(정답률: 67%)
  • 정답은 "치수 공차"입니다.

    기하 공차는 기하학적인 형태나 위치의 오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모양 공차는 도형의 형태에 대한 오차, 자세 공차는 도형의 방향에 대한 오차, 위치 공차는 도형의 위치에 대한 오차를 나타냅니다.

    하지만 "치수 공차"는 도형의 크기나 길이에 대한 오차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하 공차의 범주에 속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치수 공차"는 기하 공차를 분류한 것으로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도면을 접을 때 그 크기의 기준은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A1(594×841)
  2. A2(420×594)
  3. A3(297×420)
  4. A4(210×297)
(정답률: 68%)
  • 도면을 접을 때는 보통 A4 크기를 기준으로 합니다. A4는 국제표준인 ISO 216에 따라 만들어진 종이 크기 중 하나로, 가로 210mm, 세로 297mm의 크기를 가지며, 이 크기는 접을 때 편리하고 보관하기도 용이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도면을 접을 때도 A4 크기를 기준으로 하면 편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ISO 규격에 있는 관용 테이퍼 나사 중 테이퍼 암나사의 표시 기호는 어느 것인가?

  1. R
  2. Rc
  3. PT
  4. PS
(정답률: 63%)
  • ISO 규격에서 테이퍼 암나사의 표시 기호는 "Rc"입니다. "Rc"는 "R conical"의 약자로, 테이퍼가 있는 내부 나사를 나타냅니다. "R"은 테이퍼가 있는 외부 나사를 나타내며, "PT"는 평평한 내부 나사를 나타내고, "PS"는 평평한 외부 나사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2개면의 교차 부분을 표시할 때 R1 < R2 일 때 평면도의 모양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53%)
  • R1과 R2가 교차하는 부분에서 R1이 R2보다 위에 있으므로, 교차 부분의 위쪽은 R1의 영역이고 아래쪽은 R2의 영역이 된다. 따라서 ""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기어의 도시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끝원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2. 피치원은 가는 1점 쇄선으로 그린다.
  3. 축에 직각인 방향으로 본 그림의 단면으로 표시할 때 이뿌리원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4. 잇줄 방향은 보통 3 개의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정답률: 51%)
  • "축에 직각인 방향으로 본 그림의 단면으로 표시할 때 이뿌리원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가 옳지 않은 것은 이유가 없습니다. 이는 오히려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치수기입의 원칙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치수는 선에 겹치게 기입해서는 안된다.
  2. 치수는 되도록 계산하여 구할 필요가 없도록 기입한다.
  3. 치수는 되도록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에 분산하여 보기 쉽도록 기입한다.
  4. 대상물의 기능, 제작, 조립 등을 고려하여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치수를 명료하게 기입한다.
(정답률: 74%)
  • "치수는 되도록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에 분산하여 보기 쉽도록 기입한다."가 적합하지 않은 원칙입니다. 이유는 치수는 단순히 보기 쉽게 분산시키는 것이 아니라, 대상물의 기능, 제작, 조립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치수를 명료하게 기입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치수는 보기 쉽게 분산시키면서도 필요한 치수를 빠뜨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아래 그림은 무슨 치수기입인가?

  1. 각도
(정답률: 74%)
  • 이 그림은 호의 길이를 나타내는 치수기입입니다. 호는 원의 일부분을 의미하며, 이 그림에서는 중심각이 60도인 호가 그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 치수기입은 "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CAD 프로그램의 좌표에서 사용되지 않는 좌표계는?

  1. 직교좌표
  2. 상대좌표
  3. 극좌표
  4. 원형좌표
(정답률: 71%)
  • CAD 프로그램에서는 대부분의 경우에 직교좌표계를 사용합니다. 이는 XYZ 축이 서로 직각으로 이루어져 있어 좌표를 쉽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상대좌표계는 다른 객체나 점을 기준으로 좌표를 표현하는 방식이며, 극좌표계는 원점과 반지름, 각도로 좌표를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원형좌표계는 CAD 프로그램에서 사용되지 않는 좌표계입니다. 이는 원점과 반지름, 높이로 좌표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직교좌표계와는 달리 좌표를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기어의 생략도에서 스파이럴 베벨기어를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59%)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스파이럴 베벨기어는 톱니가 나선형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생략도에서는 톱니가 나선형으로 그려지고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일반적인 직교기어, 헬리컬기어, 스파이럴 헬리컬기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베어링 호칭번호 608C2P6에서 P6이 뜻하는 것은?

  1. 등급 기호
  2. 안지름 번호
  3. 베어링 계열번호
  4. 베어링의 폭
(정답률: 64%)
  • P6은 베어링의 정밀도 등급을 나타내는 등급 기호입니다. 등급 기호는 베어링의 정밀도, 내구성, 진동 등의 특성을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P6은 베어링의 정밀도 등급이 높은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스퍼 기어에서 이끝원 지름(D)을 구하는 공식은? (단, m = 모듈, Z = 잇수)

  1. D = mZ
  2. D = π mZ
  3. D = m/Z
  4. D= m(Z+2)
(정답률: 51%)
  • 스퍼 기어에서 이끝원 지름(D)은 모듈(m)과 잇수(Z)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때, 이끝원 지름(D)은 모듈(m)과 잇수(Z)에 비례하므로,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D = m(Z + k)가 됩니다. 여기서 k는 상수이며, 스퍼 기어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스퍼 기어에서는 k = 2이므로, D = m(Z + 2)가 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이끝원 지름(D)을 구하는 공식으로 D = m(Z + 2)를 선택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단면도 작성이 용이하며 물리적 성질(체적 등)의 계산이 가능한 3차원 모델링은?

  1. 솔리드 모델링
  2. 서피스 모델링
  3. 와이어 프레임 모델링
  4. 공간 모델링
(정답률: 74%)
  • 솔리드 모델링은 객체의 내부와 외부를 모두 포함하는 3차원 모델링 방법으로, 객체의 형태와 물리적 성질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단면도 작성이 용이하며, 체적 등 물리적 계산이 필요한 작업에 적합합니다. 반면, 서피스 모델링은 객체의 표면만을 모델링하므로 내부 구조나 물리적 성질을 표현하기 어렵습니다. 와이어 프레임 모델링은 객체의 윤곽선만을 모델링하므로 3차원 공간에서의 위치나 크기 등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공간 모델링은 3차원 공간을 모델링하는 방법으로, 솔리드 모델링과 유사하지만 보다 복잡한 형태의 객체를 모델링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기계 요소 중에서 원칙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단면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은?

  1. 기어의 이, 바퀴의 암
  2. 베어링, 부시
  3. 볼트, 작은 나사
  4. 리벳, 키
(정답률: 54%)
  • 베어링과 부시는 회전하는 축을 지원하는 기계 요소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단면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기어나 바퀴는 회전하는 요소이기 때문에 단면을 표시할 수 없으며, 볼트나 작은 나사, 리벳, 키는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단면을 표시할 수 없는 요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파이프의 접속 표시를 나타낸 것이다. 관이 접속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은?

(정답률: 69%)
  • 정답은 "" 입니다. 이는 파이프가 T자 형태로 접속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파이프가 직선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와 같이 표시됩니다. 또한 파이프가 각도를 이루고 있는 경우에는 ""와 같이 표시됩니다. 마지막으로 파이프가 끊어져 있는 경우에는 ""와 같이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보기의 그림에서 화살표 방향이 정면도일 때 평면도를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

(정답률: 87%)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화살표 방향이 정면을 향하고 있으므로, 평면도에서는 정면을 수직으로 그리고 나머지 면을 수평으로 그려야 합니다. ""는 이 조건을 만족하며, 다른 보기들은 그렇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표를 보고 최대 틈새는 얼마인가?

  1. 0.018
  2. 0.025
  3. 0.043
  4. 0.068
(정답률: 66%)
  • 최대 틈새는 두 인접한 수의 차이 중 가장 큰 값이므로, 주어진 수들 중에서 가장 큰 차이를 구하면 됩니다. 따라서 0.068 - 0.025 = 0.043 이 가장 큰 차이이므로, 최대 틈새는 0.04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표준 스퍼 기어에서 이의 높이(h)를 구하는 식은? (단, 모듈은 m이다.)

  1. h ≦ m
  2. h ≧ 0.25m
  3. h ≧ 1.25m
  4. h ≧ 2.25m
(정답률: 52%)
  • 표준 스퍼 기어에서 이의 높이(h)를 구하는 식은 h = 2m이다. 따라서 h는 모듈 m의 2배이므로 h ≧ 2m이다. 따라서 정답은 "h ≧ 2.2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기계제도 도면에 사용되는 척도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도면에 그려지는 길이와 대상물의 실제 길이와의 비율로 나타낸다.
  2. 한 도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척도는 표제란에 기입한다.
  3. 같은 도면에서 다른 척도를 사용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 그림 부근에 기입한다.
  4. 배척은 대상물보다 크게 그리는 것으로 2:1, 3:1, 4:1, 10:1 등 제도자가 임의로 비율을 만들어 사용한다.
(정답률: 66%)
  • "한 도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척도는 표제란에 기입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도면에 사용되는 척도는 대상물의 크기와 도면에 그려지는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다른 척도를 사용할 때에는 그림 부근에 기입합니다. 배척은 대상물보다 크게 그리는 것으로, 제도자가 임의로 비율을 만들어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2:1 척도는 대상물의 크기를 2배로 확대하여 그림에 나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구름베어링의 호칭번호가 6203일 때 베어링의 안지름은?

  1. 15 ㎜
  2. 16 ㎜
  3. 17 ㎜
  4. 18 ㎜
(정답률: 75%)
  • 구름베어링의 호칭번호는 일반적으로 "6XXX" 형식으로 표기되며, 첫 번째 숫자는 베어링의 유형을 나타내고 뒤의 세 자리 숫자는 베어링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6203은 유형 6의 베어링이며, 크기는 203이므로 안지름은 20mm에서 3mm(203의 뒤 두 자리)을 뺀 17m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7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지름이 일정한 원통을 전개하려고 한다. 어떤 전개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가?

  1. 삼각형을 이용한 전개도법
  2. 방사선을 이용한 전개도법
  3. 평행선을 이용한 전개도법
  4. 사각형을 이용한 전개도법
(정답률: 44%)
  • 원통은 평행한 두 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평행선을 이용한 전개도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 방법은 원통의 둘레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평행선을 그리고, 이를 따라 원통을 펼쳐 전개도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원통의 형태를 정확하게 전개할 수 있으며, 전개도를 사용하여 원통의 부피나 면적 등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치수 보조 기호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C : 45° 의 모따기
  2. SR : 구의 지름
  3. □ : 정사각형의 변
  4. ∅ : 지름
(정답률: 76%)
  • SR은 구의 지름이 아니라 구의 반지름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구의 지름은 ∅(지름)으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