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1-30)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2005-01-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재료 및 요소

1. 황동에 대한 기계적 성질과 물리적 성질을 설명한 것 중에서 잘못된 것은?

  1. 30% Zn 부근에서 최대의 연신율을 나타낸다.
  2. 45% Zn 에서 인장강도가 최대로 된다.
  3. 50% Zn 이상의 황동은 취약하여 구조용재에는 부적합하다.
  4. 전도도는 50% Zn에서 최소가 된다.
(정답률: 46%)
  • "전도도는 50% Zn에서 최소가 된다."가 잘못된 것입니다.

    황동 합금의 기계적 성질과 물리적 성질은 합금 구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 "30% Zn 부근에서 최대의 연신율을 나타낸다." : 이는 황동 합금의 연신율이 Zn 함량이 적을 때 높아지다가, 일정 수준 이상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 "45% Zn 에서 인장강도가 최대로 된다." : 이는 황동 합금의 인장강도가 Zn 함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다가, 일정 수준 이상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 "50% Zn 이상의 황동은 취약하여 구조용재에는 부적합하다." : 이는 황동 합금의 인장강도와 연신율이 함량이 높아질수록 감소하며, 또한 합금의 녹는점도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 "전도도는 50% Zn에서 최소가 된다." : 이는 황동 합금의 전도도가 Zn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다가, 50% Zn에서 최소치를 나타내며, 이후에는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도도는 50% Zn에서 최소가 된다."가 잘못된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베어링 번호가 6201인 레이디얼 볼 베어링의 안지름은 얼마인가?

  1. 10㎜
  2. 12㎜
  3. 15㎜
  4. 17㎜
(정답률: 78%)
  • 베어링 번호에서 첫 번째 숫자 "6"은 베어링 유형을 나타내는 숫자이며, 두 번째 숫자 "2"는 베어링의 시리즈를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마지막 숫자 "01"은 베어링의 크기를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이 경우, "01"은 12mm의 내경을 가진 베어링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베어링의 안지름은 12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키의 전달 토크의 크기에서 가장 큰 것은?

  1. 안장 키
  2. 평 키
  3. 묻힘 키
  4. 접선 키
(정답률: 37%)
  • 접선 키가 가장 큰 이유는 접선 키는 물체의 접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힘이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접촉면이 큰 접선 키는 물체에 가해지는 힘이 크게 전달되어 다른 키들보다 큰 전달 토크를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형상 기억 효과를 나타내는 합금은?

  1. Ti-Ni
  2. Fe-Al
  3. Ni-Cr
  4. Pb-Sb
(정답률: 57%)
  • "Ti-Ni" 합금은 형상 기억 효과를 나타내는 합금입니다. 이는 합금이 일정한 온도에서 형태를 기억하고, 외부 환경이 변화해도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성은 의료 분야에서 치과 치료용 재료나 혈관 스텐트 등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파이프의 연결에서 신축이음을 하는 것은 온도변화에 의해 파이프내부에 생기는 무엇을 방지하기 위해서인가?

  1. 열응력
  2. 전단응력
  3. 응력집중
  4. 피로
(정답률: 61%)
  • 파이프 내부에서는 온도 변화에 따라 길이가 변화하게 되는데, 이 때 파이프의 연결 부위에서는 길이 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신축이음을 하게 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파이프 내부에 열응력이 발생하여 파손의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신축이음은 열응력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고온의 오스테나이트 영역에서 탄소강을 냉각하면 냉각속도의 차이에 따라 여러 조직으로 변태되는데, 이들 조직의 강도와 경도를 큰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마텐자이트 > 펄라이트 > 소르바이트 > 트루스타이트
  2. 마텐자이트 > 트루스타이트 > 펄라이트 > 소르바이트
  3. 트루스타이트 > 마텐자이트 > 소르바이트 > 펄라이트
  4. 마텐자이트 > 트루스타이트 > 소르바이트 > 펄라이트
(정답률: 48%)
  • 고온의 오스테나이트 영역에서 탄소강을 냉각하면 냉각속도의 차이에 따라 여러 조직으로 변태됩니다. 이들 조직의 강도와 경도를 큰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하면 마텐자이트 > 트루스타이트 > 소르바이트 > 펄라이트입니다.

    마텐자이트는 가장 높은 강도와 경도를 가지며, 빠른 냉각속도로 형성됩니다. 트루스타이트는 마텐자이트보다는 조금 낮은 강도와 경도를 가지며, 더 느린 냉각속도로 형성됩니다. 소르바이트는 펄라이트보다는 높은 강도와 경도를 가지며, 더 느린 냉각속도로 형성됩니다. 마지막으로 펄라이트는 가장 낮은 강도와 경도를 가지며, 가장 느린 냉각속도로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물체에 하중을 작용시키면 물체 내부에는 하중에 대응하는 저항력이 발생한다. 이 저항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응력(stress)
  2. 변형률(strain)
  3. 프와송의 비(Posson's ratio)
  4. 탄성(elasticity)
(정답률: 73%)
  • 하중에 대응하는 저항력을 응력(stress)이라고 부릅니다. 응력은 물체 내부에서 일어나는 단위 면적당의 힘 또는 압력을 의미합니다. 즉, 하중이 작용하면 물체 내부에서 응력이 발생하여 물체가 변형되거나 파괴될 때까지 저항합니다. 따라서 응력은 하중에 대한 물체의 저항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물리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힘의 크기와 방향이 동시에 주기적으로 변하는 하중은?

  1. 반복 하중
  2. 교번 하중
  3. 충격 하중
  4. 정하중
(정답률: 71%)
  • 교번 하중은 힘의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하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힘이 바뀌는 것이 특징이며, 이러한 힘의 변화는 구조물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이유로 교번 하중은 구조물의 강도와 내구성을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하중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기어, 풀리, 커플링 등의 회전체를 축에 고정시켜서 회전운동을 전달시키는 기계요소는?

  1. 나사
  2. 리벳
(정답률: 66%)
  • 기어, 풀리, 커플링 등의 회전체는 축에 고정되어 회전운동을 전달해야 합니다. 이때, 축과 회전체 사이에는 회전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고리가 필요합니다. 이 연결고리를 키(key)라고 부릅니다. 키는 축과 회전체의 구멍에 삽입되어 회전체가 축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금속의 상 변태 중 동소변태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한 결정구조에서 일어나는 상의 변화가 아닌 단순한 에너지적인 변화이다.
  2. 동일 원소의 두 고체로서 원자 배열의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상태로 존재한다
  3. 금속을 가열하면 일정한 온도 이상에서 자성을 잃지 않고 상자성체로 자성이 변한다.
  4. 철(Fe), 코발트(Co), 니켈(Ni) 같은 금속에서 잘 일어난다.
(정답률: 44%)
  • 동소변태는 동일 원소의 두 고체로서 원자 배열의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상태로 존재하는 것입니다. 이는 원자의 위치나 결정 구조의 변화가 아닌, 단순한 에너지적인 변화로 인해 일어납니다. 예를 들어, 같은 금속이라도 온도나 압력 등의 조건에 따라 결정 구조가 달라지면 서로 다른 상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1. 주철의 경우 인장강도와 전단강도는 그 크기가 비슷하여 인장응력이 극한강도를 넘어서면 축선 직각단면에서 파단이 일어나지만 압축강도는 인장강도나 전단강도보다 훨씬 크므로 축선과 몇 도의 각도로 파괴되는가?

  1. 30°
  2. 45°
  3. 60°
  4. 75°
(정답률: 45%)
  • 압축강도가 인장강도나 전단강도보다 훨씬 크므로, 주철의 경우 축선과 수직한 방향으로는 압축에 강하고, 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는 인장과 전단에 강합니다. 따라서, 축선과 수직한 방향으로는 파괴되지 않고, 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파괴됩니다. 이때, 축선과 평행한 방향은 45도 각도를 이루기 때문에, 정답은 "4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강의 표면 경화법이 아닌 것은?

  1. 담금질
  2. 침탄법
  3. 질화법
  4. 화염 경화법
(정답률: 45%)
  • 담금질은 강의 표면을 경화시키는 방법이 아니라, 강의 표면을 정돈하고 광택을 내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강의 표면 경화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청동에 Sn 8∼12%, Zn 1∼2%을 함유한 내식성이 우수한 합금은?

  1. 포금
  2. 인청동
  3. 연청동
  4. 켈밋
(정답률: 40%)
  • 포금은 청동에 Sn 8∼12%, Zn 1∼2%을 함유한 합금으로, 내식성이 우수하며 가공성과 인장강도가 높습니다. 또한, 황동보다 경제적이며, 금속 광택이 우수하여 장식용으로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주철의 특성이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주조성이 우수하다.
  2. 복잡한 형상을 생산할 수 있다.
  3. 주물제품을 값싸게 생산 할 수 있다.
  4. 강에 비해 강도가 비교적 높다.
(정답률: 66%)
  • 주철의 특성 중 강도가 비교적 높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 아닙니다. 주철은 강보다는 더 낮은 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주철의 특성 중 "강에 비해 강도가 비교적 높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거나,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기어는?

  1. 스퍼 기어(spur gear)
  2. 헬리컬 기어(helical gear)
  3. 베벨 기어(bevel gear)
  4. 래크와 피니언(rack and pinion)
(정답률: 54%)
  • 래크와 피니언은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거나,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기어입니다. 래크는 일종의 직선 기어이며, 피니언은 회전 기어입니다. 래크와 피니언을 결합하여 사용하면, 래크의 직선 운동을 피니언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환은 자동차의 조향장치나 기계공구의 이송장치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절삭가공시 급속귀환 운동을 하는 공작기계는?

  1. 선반
  2. 밀링 머신
  3. 셰이퍼
  4. 드릴링 머신
(정답률: 51%)
  • 절삭가공시 급속귀환 운동을 하는 공작기계는 셰이퍼입니다. 셰이퍼는 칼날이 고정되어 있고 작업물이 움직이는 방식으로 절삭가공을 수행합니다. 이 때 작업물이 급속하게 움직이면서 절삭이 이루어지는데, 이를 급속귀환 운동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셰이퍼는 급속귀환 운동을 수행하는 공작기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직물, 피혁, 고무 등으로 만든 유연한 원판을 고속 회전시켜 일감의 표면을 매끈하고 광택있게 가공하는 방법은?

  1. 텀블링
  2. 입자 벨트가공
  3. 버핑
  4. 숏 피닝
(정답률: 35%)
  • 직물, 피혁, 고무 등의 일감을 매끈하고 광택있게 가공하는 방법 중에서 유연한 원판을 고속 회전시켜 일감의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은 "버핑"입니다. 이는 원판의 표면에 부착된 마모성이 높은 소재로 인해 일감의 표면을 매끈하게 가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선반에서 가늘고 긴 일감이 절삭력과 자중에 의해 휘거나 처짐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속장치는?

  1. 방진구
  2. 돌리개
  3. 에이프런
  4. 복식 공구대
(정답률: 66%)
  • 선반에서 일감이 휘거나 처짐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일감을 고정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일감과 선반 사이에 방진구를 사용하면 일감이 흔들리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진구가 선반에서 가늘고 긴 일감이 절삭력과 자중에 의해 휘거나 처짐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속장치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드릴링 머신에 의한 가공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슬로팅
  2. 리밍
  3. 태핑
  4. 스폿페이싱
(정답률: 46%)
  • 슬로팅은 드릴링 머신으로 가공할 수 있는 가공 방법 중에서 가장 멀리 위치한 것입니다. 슬로팅은 원하는 형태의 슬롯을 만들기 위해 회전하는 톱날을 사용하여 재료를 절단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드릴링 머신으로는 불가능한 가공 방법으로, 따라서 거리가 가장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연삭숫돌 입자틈에 칩과 숫돌가루가 메워져서 눈메움이 일어나는 현상은?

  1. 로우딩(loading)
  2. 드레싱(dressing)
  3. 트루잉(truing)
  4. 글레이징(glazing)
(정답률: 27%)
  • 연삭숫돌 입자틈에 칩과 숫돌가루가 메워져서 눈메움이 일어나는 현상은 로우딩(loading)입니다. 로우딩은 연삭과정에서 연삭숫돌 입자틈에 연마재료가 축적되어 입자틈이 메워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연마력이 감소하고, 연마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슬로터의 크기를 나타낸 것 중 잘못된 것은?

  1. 램의 최대 행정
  2. 테이블의 크기
  3. 테이블의 이동거리
  4. 원형 테이블의 최대두께
(정답률: 50%)
  • 슬로터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 중 잘못된 것은 "원형 테이블의 최대두께"입니다. 이는 슬로터와는 관련이 없는 특성이기 때문입니다. 슬로터의 크기는 주로 램의 최대 행정, 테이블의 크기, 테이블의 이동거리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불수용성 절삭유로서 광물성 유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스핀들유
  2. 기계유
  3. 올리브유
  4. 경유
(정답률: 76%)
  • 올리브유는 식물성 유 중에서도 불수용성 절삭유에 속합니다. 이는 올리브유가 물과 섞이지 않고 물 위에 떠오르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광물성 유에 속하지 않습니다. 스핀들유, 기계유, 경유는 모두 광물성 유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어미자의 최소 눈금이 0.5㎜이고 아들자의 눈금기입 방법이 39㎜ 를 20등분한 버니어 캘리퍼스의 최소 측정값은?

  1. 0.015㎜
  2. 0.020㎜
  3. 0.025㎜
  4. 0.050㎜
(정답률: 48%)
  • 아들자의 눈금기입 방법이 39㎜를 20등분한 버니어 캘리퍼스의 최소 측정값은 39/20 = 1.95㎜ 입니다. 하지만 어미자의 최소 눈금이 0.5㎜ 이므로, 버니어 캘리퍼스의 최소 측정값은 0.5㎜로 제한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02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KS규격에 의한 안전색 주황의 의미는?

  1. 의무적 행동
  2. 항해, 항공의 보안 시설
  3. 금지
  4. 위생, 구호, 보호
(정답률: 43%)
  • KS규격에 의한 안전색 주황은 "항해, 항공의 보안 시설"을 나타냅니다. 이는 항해나 항공에서 보안 시설을 나타내는 색상으로 사용되며, 이러한 시설을 표시함으로써 안전한 항해와 항공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예를 들어, 항구 내에서 보안이 강화된 지역이나 비행기 내에서 비상 출구를 나타내는 경우에 이 색상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새들과 테이블사이에 회전대가 있어 테이블을 수평면 위에서 적당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밀링 머신은?

  1. 각도 밀링 머신
  2. 수직 밀링 머신
  3. 만능 밀링 머신
  4. 나사 밀링 머신
(정답률: 39%)
  • 만능 밀링 머신은 다양한 각도와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의 작업물을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새들과 테이블사이에 회전대가 있는 경우 적당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만능 밀링 머신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제도

26. 3차원 CAD에서 최대 변환 매트릭스는?

  1. 2*2
  2. 3*3
  3. 4*4
  4. n*n
(정답률: 33%)
  • 3차원 공간에서 변환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이동, 회전, 크기 조절 등의 변환 요소를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4차원 벡터를 사용하는 확장된 행렬인 4*4 매트릭스를 사용합니다. 이 매트릭스는 3차원 좌표를 표현하는데 필요한 x, y, z 좌표와 추가적인 w 좌표를 포함하며, 변환 요소를 모두 담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3차원 CAD에서 최대 변환 매트릭스는 4*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물체에 표면처리 부분을 표시하는 선은?

  1. 가는 2점 쇄선
  2. 파선
  3. 굵은 1점 쇄선
  4. 가는 실선
(정답률: 43%)
  • 굵은 1점 쇄선은 표면처리 부분을 나타내는 표준 기호 중 하나이며, 다른 기호들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는 2점 쇄선은 절단면을 나타내는 기호이고, 파선은 숨겨진 부분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가는 실선은 일반적으로 물체의 윤곽선을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표면처리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굵은 1점 쇄선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베어링 NU318C3P6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원통 롤러 베어링 이다.
  2. 베어링 안지름이 318㎜이다.
  3. 틈새는 C3이다.
  4. 등급은 6등급이다.
(정답률: 55%)
  • 베어링 NU318C3P6은 원통 롤러 베어링이며, 틈새는 C3이고 등급은 6등급이다. 하지만 베어링 안지름이 318㎜이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NU318C3P6의 경우, 베어링 내경이 90㎜이고 외경이 190㎜이다. 따라서, 베어링 안지름은 9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치수선 끝에 붙는 화살표의 길이와 나비 비율은 어떻게 되는가?

  1. 2:1
  2. 3:1
  3. 4:1
  4. 5:1
(정답률: 50%)
  • 치수선 끝에 붙는 화살표는 해당 치수선이 나타내는 길이의 양 끝을 가리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화살표의 길이는 치수선의 길이에 비례해야 하며, 나비 비율은 3:1이 적절합니다. 이는 화살표의 길이가 치수선 길이의 3/4이 되도록 하여, 치수선의 양 끝을 명확하게 가리키면서도 너무 길지 않게 만들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보기의 그림은 어떤 키(key)를 나타낸 것인가?

  1. 묻힘키
  2. 안장키
  3. 접선키
  4. 원뿔키
(정답률: 69%)
  • 보기의 그림은 "묻힘키"를 나타낸다. 이는 키의 머리 부분이 땅에 묻혀 있는 모양새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안장키"는 키의 머리 부분이 안장 모양을 하고 있으며, "접선키"는 키의 머리 부분이 접선 모양을 하고 있으며, "원뿔키"는 키의 머리 부분이 원뿔 모양을 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치수기입에 있어서 참고 치수를 나타내는 것은?

  1. 치수 밑에 줄을 긋는다.
  2. 치수 앞에 됩를 한다.
  3. 치수에 ( )를 한다.
  4. 치수 앞에 ※표를 한다.
(정답률: 83%)
  • 정답은 "치수에 ( )를 한다."입니다. 이유는 치수에 ( )를 넣으면 그 치수가 참고치수임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치수는 실제 제품의 크기가 아니라, 설계자가 참고하여 사용한 크기임을 알려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한정된 공간에서 여러대의 컴퓨터, 단말기, 프린터 등을 서로 연결하여 데이터의 공유, 부하의 분산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BPS
  2. PSTN
  3. MODEM
  4. LAN
(정답률: 57%)
  • LAN은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지역적으로 한정된 공간에서 컴퓨터, 단말기, 프린터 등을 서로 연결하여 데이터의 공유, 부하의 분산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BPS는 비트 전송 속도, PSTN은 공중전화망, MODEM은 모뎀을 의미하므로, LAN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나사의 표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나사산의 감긴 방향은 오른 나사인 경우에는 표시하지 않는다.
  2. 나사산의 줄 수는 1줄 나사인 경우에는 표시하지 않는다.
  3. 나사의 호칭이 다른 암나사와 수나사의 조합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나사의 호칭을 같이 쓰고, 그 사이에 사선 '/'을 넣어서 표시한다.
  4. 나사의 등급은 생략하면 안된다.
(정답률: 45%)
  • "나사의 등급은 생략하면 안된다."가 틀린 것이다. 나사의 등급은 필요에 따라 표시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특정한 상황에서는 등급을 표시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특정 등급의 나사를 요구하는 경우 등급을 표시해야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재료의 기호와 명칭이 맞는 것은?

  1. STC : 기계 구조용 탄소 강재
  2. STKM :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
  3. SC : 탄소 공구 강재
  4. SS :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정답률: 56%)
  • SS는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를 나타내는데, 강재의 기호 중 "S"는 일반 구조용 강재를 뜻하고, "S" 다음에 오는 알파벳은 강재의 성질과 용도를 나타내는데, "S" 다음에 오는 알파벳이 없으면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를 뜻한다. 따라서 SS는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CAD 시스템의 입력장치에 해당되는 것은?

  1. 조이스틱
  2. 플로터
  3. 프린터
  4. 모니터
(정답률: 76%)
  • CAD 시스템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2차원 또는 3차원 모델링을 할 수 있는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에서 입력장치는 사용자가 모델링을 할 때 필요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조이스틱은 손으로 조작하여 컴퓨터에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조이스틱은 CAD 시스템의 입력장치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보기는 잘린 원뿔을 전개한 것이다. 다음 중 어떤 전개 방법을 사용하였는가?

  1. 삼각형법 전개
  2. 방사선법 전개
  3. 평행선법 전개
  4. 사각형법 전개
(정답률: 56%)
  • 주어진 도형은 원뿔의 일부이므로 방사선법 전개를 사용하여 전개하였습니다. 방사선법 전개는 원뿔의 꼭짓점에서 시작하여 각 면을 펼쳐 전개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치수기입법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정답률: 40%)
  • ""은 적당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모든 치수기입법이 적당하지 않다. 치수기입법은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어떤 것이 적당한지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적당하지 않은 치수기입법을 찾는 것이 아니라 치수기입법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사용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3차원의 기하학적 형상모델링과 관계가 먼 것은?

  1. 데이터모델링
  2. 서피스모델링
  3. 와이어프레임모델링
  4. 솔리드모델링
(정답률: 75%)
  • 정답은 "데이터모델링"입니다. 데이터모델링은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위한 모델링 기법으로, 3차원의 기하학적 형상모델링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서피스모델링, 와이어프레임모델링, 솔리드모델링은 모두 3차원의 기하학적 형상모델링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베벨기어에서 피치원은 무슨 선으로 표시하는가?

  1. 가는 1점쇄선
  2. 굵은 1점쇄선
  3. 가는 실선
  4. 굵은 실선
(정답률: 77%)
  • 베벨기어에서 피치원은 "가는 1점쇄선"으로 표시됩니다. 이는 피치원이 한 번만 지나가는 선이기 때문입니다. "굵은 1점쇄선"은 피치원이 두 번 지나가는 선으로, "가는 실선"과 "굵은 실선"은 피치원과 관련이 없는 다른 선들을 나타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일반적으로 CAD 시스템을 이용하여 할 수 있는 작업과 거리가 먼 것은?

  1. 기하학적 모델링
  2. 강도 및 열전달 계산 등의 공학적 분석
  3. 설계의 정확도를 검사하는 설계의 평가
  4. NC(numerical control) 코드의 작성
(정답률: 39%)
  • CAD 시스템은 주로 2D 또는 3D 모델링, 공학적 분석, 설계 평가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NC 코드의 작성은 CAD 시스템에서 직접 수행할 수 없습니다. NC 코드는 CNC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형식으로 작성되어야 하며, 이는 CAD 시스템에서는 수행할 수 없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NC 코드의 작성은 CAD 시스템에서 할 수 없는 작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베어링의 호칭번호가 6000P6일 때 베어링 안지름은 몇 ㎜ 인가?

  1. 60
  2. 100
  3. 600
  4. 10
(정답률: 75%)
  • 베어링의 호칭번호에서 "6000"은 베어링 종류와 크기를 나타내는 번호이고, "P6"은 정밀도 등급을 나타내는 부가적인 정보입니다. 따라서 "6000"은 베어링의 크기를 나타내는데, 이는 10mm 안지름을 가진 베어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코일스프링의 중간부분을 생략도로 그릴 경우 생략부분은 어느 선으로 표시하는가?

  1. 가는실선
  2. 가는 2점 쇄선
  3. 굵은실선
  4. 은선
(정답률: 43%)
  • 코일스프링의 중간부분을 생략하여 그릴 경우 생략부분은 가는 2점 쇄선으로 표시합니다. 이는 생략된 부분이 실제로 존재하지만 그림에서는 생략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입니다. 가는 2점 쇄선은 생략된 부분이 있음을 나타내면서도 그 부분이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을 알려주기 때문에 적합한 표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은 재료 기호 SM20C에서 20이 의미하는 것으로 맞는 것은?

  1. 탄소 함량을 나타낸다.
  2. 기계 구조용강을 의미한다.
  3. 최저인장강도를 나타낸다.
  4. 변형률을 의미한다.
(정답률: 71%)
  • 재료 기호 SM20C에서 20은 탄소 함량을 나타냅니다. 이는 SM20C가 탄소 함량이 0.20%인 강재임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과 같은 기호는 어떤 밸브를 나타낸 것인가?

  1. 첵 밸브
  2. 게이트 밸브
  3. 글로브 밸브
  4. 슬루스 밸브
(정답률: 66%)
  • 위의 기호는 첵 밸브를 나타냅니다. 첵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일방향으로만 허용하는 밸브로, 유체가 흐르는 방향과 수직으로 움직이는 플러그를 이용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첵 밸브는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되며, 수도 배관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기하 공차의 기호 연결이 옳은 것은?

  1. 진원도 :
  2. 원통도 :
  3. 위치도 :
  4. 진직도 :
(정답률: 75%)
  • 정답은 "위치도 : " 입니다.

    기하 공차는 등차수열에서 각 항들의 차이를 말합니다. 위치도는 등차수열에서 첫째항과 n번째 항의 합을 나타내는데, 이 때 n은 등차수열의 항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위치도는 등차수열의 첫째항과 마지막 항의 합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는 등차수열의 합 공식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원호의 반지름을 기입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정답률: 72%)
  • ""이 틀린 것은 원호의 반지름을 나타내는 방법이 아니라 원의 반지름을 나타내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원호의 반지름을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IT 기본공차에서 구멍용 끼워맞춤에 적용되는 공차등급의 범위는?

  1. IT 01 ∼ IT 5
  2. IT 5 ∼ IT 9
  3. IT 6 ∼ IT 10
  4. IT 10 ∼ IT 18
(정답률: 46%)
  • IT 기본공차는 제품의 부품들이나 조립체의 치수를 표준화하기 위한 국제 표준입니다. 구멍용 끼워맞춤에 적용되는 공차등급은 IT 6부터 IT 10까지입니다. 이는 구멍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공차 등급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IT 01부터 IT 5까지는 구멍의 크기가 너무 크고, IT 10부터 IT 18까지는 구멍의 크기가 너무 작아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구멍의 치수가 ♀50+0.0250 , 축의 치수가 ♀50-0.009-0.025 일 때 최대틈새는 얼마인가?

  1. 0.025
  2. 0.05
  3. 0.07
  4. 0.009
(정답률: 55%)
  • 최대틈새는 구멍의 최대치(♀50+0.025)에서 축의 최소치(♀50-0.009-0.025)를 뺀 값이다.

    따라서,

    최대틈새 = (♀50+0.025) - (♀50-0.009-0.025)

    = 0.025 + 0.009

    = 0.034

    하지만, 문제에서 보기에는 0.05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반올림한 값으로,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0.05가 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화살표 방향에서 본 투상을 정면도로 나타낼 경우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83%)
  • 정면에서 볼 때, 투상의 모습은 가장 간단하고 명료한 형태인 직사각형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투상의 모양이 복잡하거나 일부가 가려져 있어서 정면에서 볼 때 명확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그림과 같이 여러 각도로 기울여진 면의 치수를 기입할 때 잘못 기입된 치수 방향은?

(정답률: 79%)
  • 정답인 "②"는 면의 기울기와 수직 방향을 이루는 치수를 잘못 기입한 것입니다. 면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수직 방향과 기울어진 면의 치수는 다릅니다. 따라서, 수직 방향과 기울어진 면의 치수를 구분하여 기입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그래픽 스크린상의 특정 물체를 지정하거나 데이터를 입력할 때 사용하며 광선 감지기를 사용하는 입력장치는?

  1. digitizer(디지타이저)
  2. joystick(조이스틱)
  3. light pen(라이트 펜)
  4. stylus/tablet(스타일러스/타블랫)
(정답률: 68%)
  • 광선 감지기를 사용하여 그래픽 스크린상의 특정 물체를 지정하거나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장치는 라이트 펜입니다. 라이트 펜은 스크린에 표시된 이미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펜으로 그림을 그리거나 특정 물체를 클릭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단면도의 표시방법에서 그림과 같은 단면도의 종류는?(문제오류 : 문제 복구중입니다. 그림파일을 아직 못구했습니다. 정답은 2번 입니다.)

  1. 전단면도
  2. 한쪽 단면도
  3. 부분 단면도
  4. 회전 도시 단면도
(정답률: 87%)
  • 정답은 "한쪽 단면도"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물체를 한쪽에서만 자른 단면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다른 단면도 종류들은 전체적인 모양이나 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라면, 한쪽 단면도는 특정 부분의 내부 구조나 상세한 정보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도면에 반드시 마련해야 하는 양식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윤곽선은 도면의 크기에 따라 0.5㎜ 이상의 굵은실선으로 그린다.
  2. 표제란은 도면의 윤곽선 오른쪽 아래 구석의 안쪽에 그린다.
  3. 도면을 마이크로필름으로 촬영하거나 복사할 때 편의를 위하여 중심마크를 표시한다.
  4. 부품란에는 도면 번호, 도면 명칭, 척도, 투상법 등을 기입한다.
(정답률: 49%)
  • 정답은 "부품란에는 도면 번호, 도면 명칭, 척도, 투상법 등을 기입한다."이다. 이유는 부품란에는 도면 번호, 부품명, 수량, 재질 등을 기입하며, 도면 번호와 도면 명칭은 표제란에 기입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핀의 호칭으로 "평행 핀 h7B-5x32 SM 45 C"라고 되어 있다. 핀의 길이는 얼마인가?

  1. 7
  2. 5
  3. 32
  4. 45
(정답률: 69%)
  • 핀의 호칭에서 "5x32"는 핀의 직경과 길이를 나타내는 것이고, 여기서 "32"는 핀의 길이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3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투상도의 표시 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물체는 될 수 있는 대로 자연의 상태, 안정된 상태, 사용시의 상태로 표시한다.
  2. 물체의 중요한 면은 될 수 있는 대로 투상면에 나란하거나 수평이 되도록 표시한다.
  3. 물체의 모양이나 특징을 가장 뚜렷이 나타내는 면을 정면도로 선택한다.
  4. 서로 관련되는 그림의 배치는 될 수 있는 대로 숨은 선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32%)
  • "물체의 중요한 면은 될 수 있는 대로 투상면에 나란하거나 수평이 되도록 표시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물체의 중요한 면이 항상 투상면에 나란하거나 수평이 되도록 표시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중요한 면이 다른 각도로 표시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중요한 면을 최대한 뚜렷하게 나타내기 위해 다른 각도로 표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에서 위치를 지정할 때 (CAD작업의 경우) 가장 부정확한 값을 갖게 되는 것은?

  1. 선 요소의 끝점 입력
  2. 키보드를 이용 숫자적으로 입력
  3. 두 요소의 교차점을 이용하여 입력
  4. 화면상에서 커서(CURSOR)로 입력
(정답률: 71%)
  • 화면상에서 커서(CURSOR)로 입력이 가장 부정확한 값을 갖게 되는 이유는, 사람의 눈과 손의 정확도에 따라 위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방법들은 숫자나 교차점 등으로 정확한 위치를 입력할 수 있지만, 커서로 입력하는 경우에는 사람의 실수나 불안정한 손떨림 등으로 인해 위치가 부정확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다른 방법들을 사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입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아래 그림과 같은 투상도는 어떤 투상도인가?

  1. 보조 투상도
  2. 부분 투상도
  3. 국부 투상도
  4. 회전 투상도
(정답률: 58%)
  • 정답은 "보조 투상도"입니다. 이는 원래의 도형을 완전히 보여주지는 않지만, 특정한 부분이나 성질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투상도입니다. 이 경우에는 두 개의 직선이 평행한 것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용접부의 다듬질 방법에 사용되는 보조 기호로 맞는 것은?

  1. 치핑 : G
  2. 연삭 : C
  3. 절삭 : M
  4. 지정없음 : N
(정답률: 35%)
  • 용접부의 다듬질 방법 중 절삭은 절삭기를 사용하여 용접부의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내는 방법입니다. 이때 절삭기의 보조 기호로 M이 사용됩니다. M은 Milling(밀링)의 약자로, 절삭기가 회전하면서 용접부를 절단하는 방식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용접부의 기본 기호 중에서 필릿 용접을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68%)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필릿 용접은 두 개의 금속판을 가로지르는 작은 용접부를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기호에서 보이는 것처럼 두 개의 수직선 사이에 작은 가로선이 그어져 있는 모양으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도면에서 100㎜를 2:1 척도로 그릴 때 도면에 기입되는 치수는?

  1. 10
  2. 200
  3. 50
  4. 100
(정답률: 50%)
  • 2:1 척도는 실제 길이의 1/2 만큼을 도면에 그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00㎜를 2:1 척도로 그릴 경우 도면에 그려지는 길이는 50㎜이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도면에 기입되는 치수이므로, 그린 길이를 다시 2배하여 100㎜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