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10-02)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2005-10-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재료 및 요소

1. 재료의 하중 변형 시험선도 중 항복점이 나타나는 것은?

  1. 구리
  2. 주철
  3. 특수강
  4. 연강
(정답률: 38%)
  • 항복점은 재료가 일정한 하중을 받았을 때 변형이 일어나기 시작하는 지점을 말합니다. 연강은 다른 재료들에 비해 항복점이 낮아서 상대적으로 쉽게 변형이 일어나기 때문에 재료의 하중 변형 시험선도 중 항복점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델타메탈(delta metal)의 성분이 올바른 것은?

  1. 6:4 황동에 철을 1~2% 첨가
  2. 7:3 황동에 주석을 3% 내외 첨가
  3. 6:4 황동에 망간을 1~2% 첨가
  4. 7:3 황동에 니켈을 3% 내외 첨가
(정답률: 56%)
  • 델타메탈은 황동과 철을 혼합한 합금으로, 6:4 황동에 철을 1~2% 첨가한 것이 올바른 성분입니다. 이는 철의 첨가로 인해 합금의 강도와 경도가 증가하며, 동시에 가공성과 용접성이 향상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모듈 4, 잇수가 각각 75개, 150개인 1쌍의 스퍼 기어가맞 물려 있을 때, 두 기어의 축간 거리는 몇 ㎜ 인가?

  1. 420
  2. 430
  3. 440
  4. 450
(정답률: 75%)
  • 스퍼 기어는 헬리컬 기어와 달리 축간 거리가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이 문제에서는 간단하게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축간 거리 = (잇수1 + 잇수2) x 모듈

    따라서, 축간 거리는 (75 + 150) x 모듈 = 225 x 모듈 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모듈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정확한 값을 구할 수 없지만,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450 이므로 정답은 4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피치 3㎜인 3줄 나사의 리드는 ㎜인가?

  1. 1㎜
  2. 2.87㎜
  3. 3.14㎜
  4. 9㎜
(정답률: 85%)
  • 리드는 나사가 한 번 회전할 때 나사가 나아가는 거리를 말합니다. 피치 3㎜인 3줄 나사는 한 번 회전할 때 3㎜만큼 나아갑니다. 따라서 3줄 나사는 한 번 회전할 때 9㎜만큼 나아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고강도 알루미늄합금강으로 항공기용 재료등에 사용되는 것은?

  1. 두랄루민
  2. 인바
  3. 콘스탄탄
  4. 서멧
(정답률: 75%)
  • 두랄루민은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으로, 경량화와 강도 향상을 위해 항공기용 재료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인바, 콘스탄탄, 서멧은 모두 다른 종류의 합금이며, 두랄루민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는 두랄루민이 항공기용 재료로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표준 성분이 4% Cu, 2% Ni, 1.5% Mg인 알루미늄 합금으로 시효 경화성이 있어서 모래형 및 금형 주물로 사용되고, 열간단조 및 압출가공이 쉬워 단조품 및 피스톤에 이용되는 금속은?

  1. Y합금
  2. 하이드로날륨
  3. 두랄루민
  4. 알클래드
(정답률: 56%)
  • 정답은 "Y합금"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표준 성분이 Cu, Ni, Mg로 구성되어 있어서 강도와 내식성이 뛰어나며, 시효 경화성이 있어서 모래형 및 금형 주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열간단조 및 압출가공이 쉬워서 단조품 및 피스톤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됩니다.

    3. 또한, 알루미늄 합금 중에서도 경제적이면서도 성능이 우수한 합금으로 인기가 있습니다.

    따라서, Y합금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알루미늄 합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기본 설계 단계로부터 상세 설계 및 도면 작성에 이르는 설계 전체의 과정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설계하는 방식은?

  1.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
  2. CAD(Computer Aided Design)
  3. CAE(Computer Aided Engineering)
  4. CAT((Computer Aided Testing)
(정답률: 84%)
  • CAD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설계하는 방식으로, 기본 설계 단계부터 상세 설계 및 도면 작성까지 모든 과정을 컴퓨터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AD는 설계 전체의 과정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정확한 설계가 가능합니다. CAM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는 방식이며, CAE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품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는 방식입니다. CAT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품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전로에서 정련된 용강을 페로망간(Fe-Mn)으로 불완전 탈산시켜 주형에 주입한 것은?

  1. 탄소강
  2. 킬드강
  3. 림드강
  4. 세미킬드강
(정답률: 34%)
  • 페로망간은 용강에서 탈산시키는 데 사용되는 첨가제입니다. 이 과정에서 탄소와 망간이 용해되어 주형에 주입됩니다. 이때, 림드강은 망간 함량이 높아서 페로망간으로 인해 발생하는 망간 손실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림드강이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냉각이 쉽고 큰 회전력의 제동이 가능한 브레이크는?

  1. 원판 브레이크
  2. 복식 블록 브레이크
  3. 벤드 브레이크
  4. 자동하중 브레이크
(정답률: 50%)
  • 원판 브레이크는 회전하는 원판을 이용하여 냉각이 쉽고 큰 회전력의 제동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자동차나 비행기 등 고속으로 움직이는 대형 차량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TTT곡선도에서 TTT가 의미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시간(Time)
  2. 뜨임(Tempering)
  3. 온도(Temperature)
  4. 변태(Transformation)
(정답률: 57%)
  • TTT곡선도에서 TTT는 "Time-Temperature-Transformation"의 약자로, 시간-온도-변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TTT가 의미하는 것은 모두 옳은 표현입니다.

    하지만 정답은 "뜨임(Tempering)"입니다. TTT곡선도는 각각의 강재에 대한 열처리 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도구로, 강재를 뜨이는 과정은 TTT곡선도에서 다루지 않기 때문입니다. 뜨임은 강재를 단조로 가공한 후, 열처리를 통해 강도와 경도를 조절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TTT곡선도에서는 다루지 않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1. 축을 모양에 의해 분류할 때,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크랭크축
  2. 직선축
  3. 플렉시불축
  4. 중간축
(정답률: 44%)
  • 크랭크축, 직선축, 플렉시불축은 모두 일직선상에 위치한 축으로,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간축은 두 개 이상의 축이 결합되어 구성되며, 회전운동 뿐만 아니라 이동운동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간축은 다른 세 축과는 구분되는 별도의 분류범주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표준화와 규격화를 하면 어떤 부분이 부족할 수 있는가?

  1. 부품의 호환성
  2. 자원의 절약
  3. 비정질 재료
  4. 초전도 재료
(정답률: 30%)
  • 표준화와 규격화는 부품의 호환성과 자원의 절약을 촉진하지만, 비정질 재료나 초전도 재료와 같은 혁신적인 재료에 대한 적응력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특히 초전도 재료는 전기 저항이 없어 전기 신호를 완벽하게 전달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지만, 이러한 재료는 기존의 표준화된 부품과는 호환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전도 재료와 같은 혁신적인 재료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규격과 표준화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스테인레스강과 인바(invar) 등을 조합시켜 가정용 전기기구 등의 온도 조절용 바이메탈(bimetal)에 사용되는 신소재는?

  1. 제진 재료
  2. 클래드 재료
  3. 비정질 재료
  4. 초전도 재료
(정답률: 23%)
  • 바이메탈은 두 개 이상의 금속을 조합하여 만든 재료로, 각 금속의 열팽창 계수가 다르기 때문에 온도 변화에 따라 구부러지는 현상을 이용하여 온도 조절을 하는데 사용됩니다. 이 때, 스테인레스강과 인바 등의 금속을 조합하여 만든 바이메탈은 각 금속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어서 성능이 우수합니다. 이러한 바이메탈을 만들기 위해서는 스테인레스강과 인바 등의 금속을 적절히 조합하여 하나의 재료로 만들어야 하는데, 이를 클래드 재료라고 합니다. 클래드 재료는 두 개 이상의 금속을 적층시켜 만든 재료로, 각 금속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어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스테인레스강과 인바 등을 조합하여 만든 바이메탈은 클래드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철강재료에 관한 올바른 설명은?

  1. 탄소강은 탄소를 2.0%~4.3% 함유한다.
  2. 용광로에서 생산된 철은 강이라 하고 불순물과 탄소가 적다.
  3. 탄소강의 기계적 성질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규소(Si)의 함유량이다.
  4. 합금강은 탄소강이 지니지 못한 특수한 성질을 부여하기 위하여 합금원소를 첨가하여 만든 것이다.
(정답률: 49%)
  • 탄소강은 탄소를 2.0%~4.3% 함유하며, 용광로에서 생산된 철은 강이라 하고 불순물과 탄소가 적습니다. 규소(Si)의 함유량은 탄소강의 기계적 성질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칩니다. 합금강은 탄소강이 지니지 못한 특수한 성질을 부여하기 위하여 합금원소를 첨가하여 만든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벨트에 장력을 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자중에 의한 방법
  2. 탄성 변형에 의한 방법
  3. 스냅 풀리를 사용하는 방법
  4. 벨트를 엇걸기 한다.
(정답률: 47%)
  • 벨트를 엇걸기 한다는 것은 벨트를 묶거나 매듭을 짓는 것으로, 벨트에 장력을 가하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자중에 의한 방법은 무게를 담당하는 중량을 이용하여 벨트에 장력을 가하는 방법이고, 탄성 변형에 의한 방법은 벨트를 늘리거나 줄여서 장력을 가하는 방법입니다. 스냅 풀리를 사용하는 방법은 벨트에 부착된 스냅을 빠르게 끊어서 장력을 가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나사 마이크로미터는 다음의 어느 측정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가?

  1. 나사의 골지름
  2. 나사의 유효지름
  3. 나사의 호칭지름
  4. 나사의 바깥지름
(정답률: 30%)
  • 나사 마이크로미터는 나사의 유효지름 측정에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이는 나사의 골지름이나 바깥지름은 측정하기 쉽지 않고, 호칭지름은 실제 나사의 크기와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나사의 유효지름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나사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선반에서 기본 작업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내경 홈파기
  2. 보링
  3. 절단
  4. 기어 가공
(정답률: 52%)
  • 기어 가공은 선반에서의 기본 작업이 아닌 고급 작업으로, 기어를 가공하여 정밀한 기어의 형태와 크기를 만들어내는 작업입니다. 이 작업은 기어를 만드는데 필요한 톱니와 각도 등을 정밀하게 가공하여 제조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절삭유의 사용 목적이 아닌 것은?

  1. 바이트 및 공작물의 냉각
  2. 절삭 공구의 수명 연장
  3. 절삭 저항의 증대
  4. 가공 표면의 방청
(정답률: 72%)
  • 절삭유는 절삭 작업 시 마찰과 열을 줄여 바이트와 공작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절삭 공구의 수명을 연장하며, 가공 표면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하지만 절삭 저항의 증대는 절삭유의 사용 목적이 아닙니다. 절삭 저항의 증대는 다른 방법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연삭숫돌 바퀴를 표시할 때 구성하는 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결합제
  2. 입도
  3. 결합도
  4. 강도
(정답률: 55%)
  • 연삭숫돌 바퀴를 구성하는 요소는 결합제, 입도, 결합도입니다. 강도는 연삭숫돌 바퀴의 내구성과 관련된 요소이지만, 바퀴를 구성하는 요소는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선반가공에서 지켜야 할 안전 및 유의 사항이다. 잘못된 것은?

  1. 척 핸들은 사용 후 척에서 빼 놓아야한다.
  2. 공작물을 척에 느슨하게 고정한다.
  3. 기계조작은 주축이 정지 상태에서 실시한다.
  4. 작업 중 장갑을 착용해서는 안 된다.
(정답률: 80%)
  • 정답: 공작물을 척에 느슨하게 고정한다.

    이유: 공작물을 척에 느슨하게 고정하면 작업 중에 이동하거나 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작업자의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작물을 척에 꽉 밀착시켜 안전하게 고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공작기계의 기본 운동이 아닌 것은?

  1. 절삭운동
  2. 이송운동
  3. 위치조정운동
  4. 공작물 착탈운동
(정답률: 75%)
  • 공작기계의 기본 운동은 절삭운동, 이송운동, 위치조정운동입니다. 이들 운동은 모두 공작물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운동으로, 절삭운동은 공작물을 자르는 운동, 이송운동은 공작물을 이동시키는 운동, 위치조정운동은 공작물의 위치를 조정하는 운동입니다. 반면에 공작물 착탈운동은 공작물을 제거하는 운동으로, 기본 운동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NC선반의 보조기능인 M코드에서, 주축 정회전을 나타내는 것은?

  1. M00
  2. M01
  3. M02
  4. M03
(정답률: 40%)
  • M03은 주축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M코드입니다. 따라서 주축 정회전을 나타내는 M코드는 M0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호닝 작업에서 혼(hone)의 가장 올바른 운동은?

  1. 곡선 왕복운동
  2. 회전운동
  3. 회전운동과 축방향의 왕복운동의 합성운동
  4. 회전운동과 곡선 왕복운동의 교대운동
(정답률: 53%)
  • 호닝 작업에서 혼(hone)의 가장 올바른 운동은 "회전운동과 축방향의 왕복운동의 합성운동"입니다. 이는 혼의 표면을 균일하게 연마하기 위해 필요한 운동으로, 회전운동은 혼의 표면을 균일하게 연마하는 데에 효과적이며, 축방향의 왕복운동은 혼의 내부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운동을 합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혼 작업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보링(Boring) 머신에서 할 수 없는 작업은?

  1. 베벨기어 깎기
  2. 태핑 작업
  3. 엔드밀 작업
  4. 암나사 깎기
(정답률: 42%)
  • 보링 머신은 회전하는 칼날을 이용하여 원통형 물체 내부를 가공하는 기계입니다. 따라서 베벨기어 깎기와 같이 원통형이 아닌 형태의 기어를 가공하는 작업은 보링 머신에서는 할 수 없습니다. 베벨기어는 원통형이 아닌 원뿔형태의 기어로, 보링 머신에서는 가공이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커터의 날수가 10개이고 1날당 이송량이 0.14㎜, 회전수 715 rpm으로 연강을 가공할 때 테이블의 이송속도는 약 몇 ㎜/min인가?

  1. 715
  2. 1000
  3. 5100
  4. 7150
(정답률: 48%)
  • 이송량은 0.14mm이고, 커터의 회전수는 715rpm이므로 1분당 이송량은 0.14mm x 715rpm = 100.1mm/min이다. 하지만 커터의 날수가 10개이므로 이송량은 10배가 되어 100.1mm/min x 10 = 1001mm/min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00"이 아닌 "1001"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1000"이므로 "1000"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제도

26. 호칭지름이 50mm, 피치 2mm인 미터 가는 나사가 2줄 왼나사로 암나사 등급이 6일 때 KS나사 표시 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1. 좌 2줄 M50×2-6H
  2. 좌 2줄 M50×2-6g
  3. 왼 2N M50×2-6H
  4. 왼 2N M50×2-6g
(정답률: 35%)
  • 정답은 "좌 2줄 M50×2-6H"입니다.

    - "좌"는 왼나사를 의미합니다.
    - "2줄"은 나사의 줄 수를 의미합니다.
    - "M50×2"는 호칭지름이 50mm, 피치가 2mm인 미터 가는 나사를 나타냅니다.
    - "-6H"는 암나사 등급이 6인 것을 의미합니다. "H"는 KS나사 표시 방법에서 암나사 등급을 나타내는 기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프레스 등의 동력 전달용으로 사용되면 축방향의 큰 하중을 받는 곳에 주로 쓰이는 나사는?

  1. 미터 나사
  2. 관용 평행 나사
  3. 사각 나사
  4. 둥근 나사
(정답률: 46%)
  • 사각 나사는 축방향 하중에 강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프레스 등의 동력 전달용으로 사용되면 축방향의 큰 하중을 받는 곳에 주로 쓰입니다. 또한, 사각 나사는 회전 운동이나 직선 운동을 전달하는 데에도 적합하며, 조립이 용이하고 고정력이 높아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그림에서 ①번 부위에 표시한 굵은 일점쇄선이 의미하는 뜻은 무엇인가?

  1. 연삭 가공 부분
  2. 열처리 부분
  3. 다듬질 부분
  4. 원형 가공 부분
(정답률: 43%)
  • ①번 부위에 표시한 굵은 일점쇄선은 가공 후 열처리를 해야하는 부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열처리 부분"입니다. 이 부분은 가공 후 내부 응력을 제거하고 강도를 높이기 위해 열을 가하여 처리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기하공차에서 이론적으로 정확한 치수를 나타내는 것은?

  1. (30)
(정답률: 83%)
  • 정답은 ""입니다.

    기하공차에서 이론적으로 정확한 치수를 나타내는 것은 무한수열입니다. 이 무한수열은 초항과 공비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 초항이고 ""가 공비인 무한수열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또한 "(30)"은 수열의 30번째 항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기어의 제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이끝원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2. 피치원은 가는 2점 쇄선으로 그린다.
  3. 이뿌리원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4. 헬리컬기어는 잇줄방향으로 보통 3개의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정답률: 73%)
  • 정답: "피치원은 가는 2점 쇄선으로 그린다."

    피치원은 가는 2점 쇄선으로 그리는 것이 아니라, 굵은 실선으로 그립니다. 이유는 피치원은 기어의 중심선과 평행한 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2점 쇄선으로 그리면 기어의 모양이 왜곡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굵은 실선으로 그려야 정확한 모양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은 CAD System의 구성과 그들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 )안에 들어갈 것으로 옳은 것은?

  1. CPU
  2. RAM
  3. Register
  4. Accumulator
(정답률: 67%)
  • CAD System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설계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CPU가 처리하고, 처리된 데이터는 RAM에 저장됩니다. Register는 CPU 내부에 있는 기억장치로, CPU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Accumulator는 CPU 내부에 있는 레지스터 중 하나로, 산술 연산을 수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CAD System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는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는 CPU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45° 모따기를 나타내는 기호로 올바른 것은?

  1. C
  2. R
  3. t
(정답률: 87%)
  • 정답은 "C"입니다.

    45° 모따기는 직각삼각형에서 빗변과 인접한 변의 길이가 같을 때 나타나는 각도입니다. 이를 나타내는 기호는 직각삼각형의 빗변을 나타내는 "C"와 인접한 변을 나타내는 "a" 또는 "b" 중 하나를 사용하여 "C/a" 또는 "C/b"로 표기합니다. 따라서 "C"가 올바른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6각너트 스타일1 A M12-8 SM20C - C로 표시된 6각 너트에서 A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 볼트 종류
  2. 부품 등급
  3. 강도 구분
  4. 지정사항
(정답률: 57%)
  • A는 부품 등급을 나타냅니다. 이는 해당 너트가 어떤 등급의 부품인지를 나타내며, 부품 등급은 부품의 품질과 성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부품 등급은 제품의 사용 용도와 환경에 따라 선택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기하공차 중에서 데이텀이 필요없이 단독으로 규제가 가능한 것은?

  1. 평행도
  2. 진원도
  3. 동심도
  4. 대칭도
(정답률: 57%)
  • 진원도는 한 점에서 뻗어나가는 모든 직선이 주어진 거리에 대해 같은 비율로 나누어지는 공간입니다. 이는 다른 기하공차와 달리 한 점에서 모든 직선이 동일한 비율로 나누어지기 때문에 데이텀이 필요없이 단독으로 규제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진원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기하공차 중 평행도 공차기호는 어느 것인가?

  1. //
(정답률: 89%)
  • 평행도 공차 기호는 "||"이다. "//"은 주석 처리를 나타내는 기호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는 수직을 나타내는 기호이고, "∠"는 각도를 나타내는 기호이며, "―"는 길이를 나타내는 기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관용 평행 나사를 표시하는 기호는?

  1. R
  2. G
  3. PT
  4. Tr
(정답률: 42%)
  • 관용 평행 나사를 표시하는 기호는 "G"입니다. 이는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정한 표준 기호 중 하나이며, "G"는 내부 나사의 직경과 나사 간격을 나타내는 메트릭 체계의 기호입니다. 다른 보기인 "R"은 내부 나사의 반경을 나타내는 기호이고, "PT"는 파이프 스레드를 나타내는 기호이며, "Tr"은 삼각형 프로필의 나사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작성된 도면을 화면상에서 어떤 변위만큼 움직일 때의 명령은?

  1. ZOOM
  2. PAN
  3. TRIM
  4. CHPROP
(정답률: 34%)
  • 도면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는 명령은 PAN입니다. PAN은 화면을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명령으로, 도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하지 않고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ZOOM은 도면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명령이며, TRIM은 도면의 선분을 잘라내는 명령, CHPROP은 도면의 속성을 변경하는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3차원의 기하학적 형상 모델링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와이어 프레임 모델링(wire frame modelling)
  2. 서피스 모델링(surface modelling)
  3. 솔리드 모델링(solid modelling)
  4. 시스템 모델링(system modelling)
(정답률: 74%)
  • 시스템 모델링은 3차원의 기하학적 형상 모델링이 아닙니다. 시스템 모델링은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그들 간의 상호작용을 모델링하는 것으로, 시스템의 동작을 이해하고 설계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그들 간의 상호작용을 모델링하여 시스템의 동작을 이해하고 개선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그래픽 스크린 상에서 특정의 위치나 물체를 지정하는데 사용되는 입력장치는?

  1. 라이트 펜(light pen)
  2. 마우스(mouse)
  3. 컨트롤 다이얼(control dial)
  4. 조이스틱(joy stick)
(정답률: 42%)
  • 라이트 펜은 그래픽 스크린 상에서 특정 위치를 지정하는데 사용되는 입력장치입니다. 이는 라이트 펜이 스크린에 터치하면 그 위치를 감지하여 해당 위치를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라이트 펜은 그래픽 디자인이나 컴퓨터 그래픽스 작업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도형은 제3각법으로 정면도와 우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에 들어갈 평면도로 맞는 것은?

(정답률: 34%)
  • 정면도와 우측면도를 보면, 도형은 직육면체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평면도는 직육면체의 윗면을 보여주는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기계제도에서 치수 기입의 원칙으로 틀린 것은?

  1. 치수는 되도록 정면도에 집중하여 기입한다.
  2. 치수는 되도록 중복 기입을 피한다.
  3. 치수는 되도록 계산하여 구할 필요가 없도록 기입한다.
  4. 치수는 되도록 치수선이 만나는 곳에 기입한다.
(정답률: 71%)
  • "치수는 되도록 치수선이 만나는 곳에 기입한다."가 틀린 것이다. 치수는 되도록 치수선과 수직으로 기입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는 치수를 명확하게 표시하고, 혼란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치수선이 만나는 곳에 기입하면 치수선이 교차되는 부분에서 혼란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잇수 18, 피치원 지름 108인 스퍼기어의 모듈은?

  1. 2
  2. 4
  3. 6
  4. 8
(정답률: 86%)
  • 스퍼기어의 모듈은 피치원 지름을 잇수로 나눈 값이므로, 모듈 = 피치원 지름 / 잇수 입니다. 따라서 108/18 = 6 이므로 정답은 "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CAD시스템으로 도면을 작성하여 출력하는 출력장치가 아닌 것은?

  1. 플로터
  2. 하드 카피어
  3. 라이트 펜
  4. 레이저 프린터
(정답률: 79%)
  • 라이트 펜은 CAD 시스템으로 도면을 작성하여 출력하는 출력장치가 아니라, 도면에 직접적으로 표시하는 입력장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라이트 펜은 CAD 시스템으로 작성된 도면을 출력하는 출력장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CAD 시스템 사용시의 효과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고도의 설계 기능, 기술이 불필요
  2. 제품의 표준화
  3. 제품 제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용이
  4. 설계 생산성 증가
(정답률: 65%)
  • "고도의 설계 기능, 기술이 불필요"는 CAD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요소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CAD 시스템은 고도의 설계 기능과 기술을 활용하여 제품을 디자인하고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다른 항목들과 달리 CAD 시스템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보기의 도면과 같이 40 밑에 그은 선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1. 기준 치수
  2. 비례척이 아닌 치수
  3. 다듬질 치수
  4. 가공 치수
(정답률: 65%)
  • 40 밑에 그은 선은 "다듬질 치수"를 나타냅니다. 이 보기에서 정답이 "비례척이 아닌 치수"인 이유는, 다듬질 치수는 가공 과정에서 조정되는 치수로서, 기준 치수나 비례척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조정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치수는 비례척이 아닌 치수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코일 스프링의 제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스프링은 원칙적으로 하중이 걸린 상태에서 도시한다.
  2. 스프링의 종류와 모양만을 도시할 때에는 재료의 중심을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3. 특별한 단서가 없는 한 모두 오른쪽 감기로 도시하고 왼쪽 감기일 경우 “감긴 방향 왼쪽”이라고 표시한다.
  4. 코일 부분의 중간 부분을 생략할 때에는 생략한 부분을 가는 1점 쇄선 또는 가는 2점 쇄선으로 표시해도 좋다.
(정답률: 69%)
  • "스프링은 원칙적으로 하중이 걸린 상태에서 도시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유체의 종류와 기호를 연결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공기 - A
  2. 가스 - G
  3. 유류 - O
  4. 수증기 - W
(정답률: 75%)
  • 수증기는 기체 상태의 물이므로 기호는 "G"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증기 - 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그림의 단면도는?

  1. 부분 단면도
  2. 한쪽 단면도
  3. 회전도시 단면도
  4. 조합 단면도
(정답률: 74%)
  • 정답은 "회전도시 단면도"입니다. 이 그림은 회전하는 도시를 단면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시의 구조와 건물들의 위치를 보여줍니다. 따라서 "부분 단면도"나 "한쪽 단면도"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또한, "조합 단면도"는 여러 단면을 조합한 것을 말하는데, 이 그림은 하나의 단면만을 보여주므로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CAD시스템에서 마지막 점에서 다음 점까지의 각도와 거리를 입력하여 선긋기를 하는 입력방법은?

  1. 절대좌표 입력방법
  2. 상대좌표 입력방법
  3. 원통좌표 입력방법
  4. 상대 극좌표 입력방법
(정답률: 58%)
  • 상대 극좌표 입력방법은 현재 위치에서 다음 점까지의 거리와 각도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기 때문에 다음 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절대좌표 입력방법은 전체 좌표계에서의 위치를 나타내기 때문에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다음 점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고, 원통좌표 입력방법은 3차원 공간에서 사용되는 방법이므로 2차원 선긋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상대 극좌표 입력방법이 가장 적합한 입력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스퍼기어의 제도에서 피치원 지름은 어느 선으로 나타내는가?

  1. 가는 1점 쇄선
  2. 가는 2점 쇄선
  3. 가는 실선
  4. 굵은 실선
(정답률: 75%)
  • 스퍼기어의 제도에서 피치원 지름은 "가는 1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이는 피치원 지름이 기어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그려지는 선으로, 기어의 톱니와 맞물리는 부분이 이 선 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어의 톱니와 맞물리는 부분이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하며, 기어의 정확한 제조와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SS330로 표시된 기계재료에서 330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1. 최저 인장강도
  2. 최고 인장강도
  3. 탄소함유량
  4. 종류
(정답률: 45%)
  • SS33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조용 강재의 일종으로, 숫자 330은 이 강재의 최저 인장강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최저 인장강도"입니다. 인장강도란 재료가 인장력에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강재의 인장강도가 높을수록 더 강력하고 내구성이 높은 제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나사의 표시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수나사와 암나사의 결합 부분은 수나사로 표시한다.
  2. 수나사나 암나사의 골지름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3. 수나사의 바깥지름과 암나사의 안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4.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선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정답률: 61%)
  •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선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가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선은 점선으로 그려야 합니다. 이는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가 서로 다른 기하학적 형태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완전 나사부는 완전한 원통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불완전 나사부는 원통형태가 아닌 부분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를 나타내기 위해 점선으로 경계선을 그리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회전 단면도를 설명한 것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도형 내의 절단한 곳에 겹쳐서 90° 회전시켜 도시한다.
  2. 물체의 1/4을 절단하여 1/2은 단면, 1/2은 외형을 도시한다.
  3. 물체의 반을 절단하여 투상면 전체를 단면으로 도시한다.
  4. 외형도에서 필요한 일부분만 단면으로 도시한다.
(정답률: 64%)
  • 회전 단면도는 물체를 절단한 후, 그 절단면을 90도 회전시켜서 도시하는 것입니다. 이는 물체의 형태와 내부 구조를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도형 내의 절단한 곳에 겹쳐서 90° 회전시켜 도시한다."가 가장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V-벨트 풀리는 호칭지름에 따라 홈의 각도를 달리 하는데, 다음 중 V-벨트 풀리의 홈의 각도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34°
  2. 36°
  3. 38°
  4. 40°
(정답률: 62%)
  • V-벨트 풀리의 홈 각도는 벨트가 풀리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각도는 벨트와 풀리의 호칭지름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호칭지름이 작을수록 각도가 작아지고, 호칭지름이 클수록 각도가 커집니다. 따라서, "40°"은 호칭지름이 큰 풀리에서 사용되는 각도이기 때문에 V-벨트 풀리의 홈 각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원뿔을 경사지게 자른 경우의 전개 형태로 올바른 것은?

(정답률: 43%)
  • 정답인 ""은 원뿔을 경사지게 자른 경우의 전개 형태입니다. 이유는 원뿔을 자르면서 생긴 모서리 부분을 펼쳤을 때, 원형으로 된 밑면과 삼각형으로 된 윗면이 만나게 되어 전개 형태가 되기 때문입니다. ""과 ""는 원뿔을 자르면서 생긴 모서리 부분을 펼치지 않았기 때문에 전개 형태가 아닙니다. ""는 원뿔을 자르면서 생긴 모서리 부분을 펼쳤지만, 윗면이 사다리꼴로 되어 있어 전개 형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보기의 그림에서 ㉮부와 ㉯부에 두개의 베어링을 같은 축선에 조립하고자 한다. 이때 ㉮부를 기준으로 ㉯부에 기하공차를 결정할 때 가장 올바른 것은?

(정답률: 55%)
  • 베어링을 같은 축선에 조립할 때는 기하공차가 0이어야 한다. 따라서 ㉮부와 ㉯부의 기하공차가 같은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에서 3각법의 투시 순서로 옳은 것은?

  1. 눈 → 투상면 → 물체
  2. 물체 → 투상면 → 눈
  3. 물체 → 눈 → 투상면
  4. 눈 → 물체 → 투상면
(정답률: 72%)
  • 정답은 "눈 → 투상면 → 물체" 입니다.

    눈에서 보는 물체를 투영면에 투영하여 그림을 그리는 것이 3각법의 기본 개념입니다. 따라서 눈에서 시작하여 투상면으로 이동한 후, 그 위에 물체를 그리는 것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표면거칠기를 나타내는 방법 중 단면곡선에서 기준길이를 잡고 가장 높은 곳과 낮은 곳의 차이를 측정하여 미크론(㎛) 단위로 나타내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최대높이
  2. 10점 평균거칠기
  3. 중심선 평균거칠기
  4. 단면 평균거칠기
(정답률: 36%)
  • 단면곡선에서 기준길이를 잡고 가장 높은 곳과 낮은 곳의 차이를 측정하여 나타내는 것은 최대높이입니다. 이는 단면곡선에서 가장 높은 지점과 가장 낮은 지점의 차이를 나타내므로, 표면의 가장 큰 높이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그림의 테이퍼 부분의 테이퍼 값은 얼마인가?

  1. 0.25
  2. 2
  3. 4
  4. 8
(정답률: 43%)
  • 테이퍼 부분의 지름이 4mm에서 2mm로 줄어들었으므로, 테이퍼 값은 (4-2)/4 = 0.5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0.25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지름이 아닌 반지름을 기준으로 계산한 값입니다. 따라서 반지름이 2mm에서 1mm로 줄어들었으므로, 테이퍼 값은 (2-1)/2 = 0.2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도형은 제3각법으로 정면도와 우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평면도로 옭은 것은?

(정답률: 75%)
  • 정면도와 우측면도를 보면, 도형은 직육면체임을 알 수 있다. 이 직육면체의 윗면은 보이지 않으므로, 평면도에서는 옭은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