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4-03)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2005-04-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재료 및 요소

1. 테이퍼 핀의 테이퍼와 호칭 표시는?

  1. 1/100 - 큰 쪽의 지름
  2. 1/50 - 작은 쪽의 지름
  3. 1/50 - 큰 쪽의 지름
  4. 1/100 - 작은 쪽의 지름
(정답률: 68%)
  • 테이퍼 핀은 작은 쪽과 큰 쪽의 지름이 서로 다른 원뿔 모양의 핀입니다. 따라서 테이퍼 핀의 호칭 표시는 "작은 쪽의 지름 - 큰 쪽의 지름"으로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1/50 - 작은 쪽의 지름"은 작은 쪽의 지름이 큰 쪽의 지름보다 50배 작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0 - 작은 쪽의 지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섬유 강화 금속(FRM)의 용도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파이프 이음쇠
  2. 절삭 공구
  3. 원자로 자기 장치
  4. 피스톤 헤드
(정답률: 33%)
  • FRM은 고강도 섬유로 강화된 금속으로, 경량화와 내구성 향상을 위해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 피스톤 헤드는 엔진 내부에서 실린더와 연결되어 작동하는 부품으로, 고온과 고압에 견딜 수 있어야 하며 경량화와 내구성이 요구되는 부품입니다. 따라서 FRM이 피스톤 헤드에 적합한 재료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자동차의 핸들, 전동기의 축 등에 사용되며 축에 작은 삼각형 키 홈을 만들어 축과 보스를 고정시키는 것은?

  1. 스플라인 축
  2. 페더 키
  3. 세레이션
  4. 접선 키
(정답률: 44%)
  • 세레이션은 축과 보스를 고정시키는 방법 중 하나로, 축에 작은 삼각형 키 홈을 만들어 보스의 삼각형 키와 맞물리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스플라인 축이나 페더 키보다 간단하면서도 축과 보스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자동차의 핸들이나 전동기의 축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비중이 2.7이며 가볍고 내식성과 가공성이 좋으며 전기 및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재료는?

  1. 금(Au)
  2. 알루미늄(Aℓ)
  3. 철(Fe)
  4. 은(Ag)
(정답률: 79%)
  • 알루미늄은 비중이 가장 낮은 금속 중 하나로 가볍고 내식성과 가공성이 뛰어나며 전기 및 열전도도가 높기 때문에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후크의 법칙을 표현한 식으로 맞는 것은? (단, σ: 응력, E : 영률, ε: 변형율 이다.)

  1. σ= 2E/ε
  2. E = σ/ε
  3. E = ε/σ
  4. ε= 2E·σ
(정답률: 44%)
  • 후크의 법칙은 응력과 변형율 사이에 비례 관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σ = E·ε 입니다. 이때, 양변에 ε를 나누면 E = σ/ε 가 됩니다. 따라서, E = σ/ε가 후크의 법칙을 표현한 식으로 맞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운동용 나사에 해당하는 것은?

  1. 미터나사
  2. 유니파이나사
  3. 볼나사
  4. 관용나사
(정답률: 56%)
  • 운동용 기구나 장비에서는 부드러운 움직임과 회전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나사 중에서 가장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볼나사입니다. 볼나사는 구형의 공이 들어간 나사로, 이 구형의 공이 회전하면서 부드럽게 움직임을 전달해줍니다. 따라서 운동용 기구나 장비에서는 볼나사가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열처리의 방법 중 강을 경화시킬 목적으로 실시하는 열처리는?

  1. 담금질
  2. 뜨임
  3. 불림
  4. 풀림
(정답률: 76%)
  • 강을 경화시키기 위해서는 강의 결정구조를 세우고 결함을 제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강을 고온에서 가열한 후 냉각하는 열처리를 실시합니다. 이 중에서도 담금질은 강을 높은 온도에서 가열한 후 빠르게 냉각하여 강의 경도를 높이는 열처리 방법입니다. 이는 강의 결정구조를 세우고 결함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두 축이 직각으로 만났을 때 동력을 전달하려면 어떤 기어를 사용하여야 하는가?

  1. 스퍼기어
  2. 헬리컬기어
  3. 래크
  4. 베벨기어
(정답률: 51%)
  • 두 축이 직각으로 만났을 때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베벨기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두 축이 서로 수직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평행축 기어로는 동력을 전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베벨기어는 두 축이 직각으로 만나는 경우에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6·4 황동에 Fe 1~2% 정도를 첨가한 합금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델타메탈(delta metal)
  2. 애드미럴티 황동(admiralty brass)
  3. 네이벌 황동(naval brass)
  4. 주석 황동(tin brass)
(정답률: 66%)
  • Fe 1~2% 정도를 첨가한 합금은 "델타메탈(delta metal)"이라고 한다. 이는 Fe의 첨가로 인해 황동의 물성이 변화하여, 높은 강도와 내식성을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델타메탈은 해수 및 산업용 파이프, 밸브, 펌프 등의 제작에 많이 사용되며, 내식성이 강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부품에 적합하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델타메탈(delta metal)"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철-탄소계 상태도에서 주철의 공정점은?

  1. 4.3%C - 1,145℃
  2. 2.1%C - 1,145℃
  3. 0.86%C - 738℃
  4. 4.3%C - 738℃
(정답률: 41%)
  • 주철은 탄소 함량이 2~4.3%인 합금으로, 이 범위 내에서는 고체와 액체가 공존하는 상태인 유동상태로 존재합니다. 이러한 상태를 유동상태라고 하며, 이 상태에서는 주철을 주조하여 다양한 형태의 부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철의 공정점은 4.3%C - 1,14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1. 다음 중 전동용 기계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1. 리벳
  2. 볼트와 너트
  3. 체인
(정답률: 79%)
  • 체인은 전동용 기계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동용 기계요소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선박의 복수 기관에 많이 사용되며, 용접용으로도 쓰이는 것으로서, 1% 내외의 주석을 함유한 황동은?

  1. 켈밋 합금
  2. 쾌삭 황동
  3. 델타메탈
  4. 애드미럴티 황동
(정답률: 31%)
  • 애드미럴티 황동은 선박의 복수 기관에 많이 사용되며, 용접용으로도 쓰이는 황동 중 1% 내외의 주석을 함유한 것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애드미럴티 황동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일반적인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와셔에 의한 방법
  2. 나비너트에 의한 방법
  3. 로크너트에 의한 방법
  4. 멈춤 나사에 의한 방법
(정답률: 57%)
  • 나비너트는 일반적인 너트와 달리 특별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회전 방향과는 상관없이 풀림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나비너트에 의한 방법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고속도강의 담금질 온도는 몇 ℃인가?

  1. 750 ~ 900℃
  2. 800 ~ 900℃
  3. 1200 ~ 1350℃
  4. 1500 ~ 1600℃
(정답률: 41%)
  • 고속도강화는 금속을 빠르게 냉각하여 강도를 높이는 공정입니다. 이 때, 담금질 온도는 높은 온도에서 빠르게 냉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고속도강화에서 사용되는 냉각매체는 물이나 기름 등이며, 이들의 냉각능력은 온도가 높을수록 높아집니다. 따라서 고속도강화에서 사용되는 담금질 온도는 1200 ~ 1350℃ 정도로 높은 온도에서 빠르게 냉각하여 강도를 높이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다른 선택지인 750 ~ 900℃, 800 ~ 900℃, 1500 ~ 1600℃는 고속도강화에 적합하지 않은 온도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길이에 비하여 지름이 아주 작은 바늘모양의 롤러(직경 2∼5mm)를 사용한 베어링은?

  1. 니들 롤러 베어링
  2. 미니어처 베어링
  3. 데이더 롤러 베어링
  4. 원통 롤러 베어링
(정답률: 61%)
  • 니들 롤러 베어링은 길이에 비하여 지름이 아주 작은 바늘모양의 롤러(직경 2∼5mm)를 사용하여 구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베어링은 공간이 제한된 환경에서 사용되며, 높은 정밀도와 높은 하중 용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표면 거칠기 측정 방법이 아닌 것은?

  1. 표면 거칠기 표준편에 의한 방법
  2. 영상식 측정기에 의한 방법
  3. 촉침식 측정기에 의한 방법
  4. 광 절단식 측정기에 의한 방법
(정답률: 40%)
  • 영상식 측정기는 표면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표면의 실제 거칠기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표면 거칠기 측정 방법으로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직립 밀링 작업시 기본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지름에 비해 길이가 긴 커터는?

  1. 플레인 커터
  2. 메탈소오
  3. 엔드밀
  4. 헬리컬 커터
(정답률: 57%)
  • 직립 밀링 작업에서는 커터가 움직이는 방향이 수직 방향이므로, 지름에 비해 길이가 긴 커터는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 끝부분만을 이용하여 가공할 수 있는 엔드밀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엔드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보통 일감에 사용되는 선반 센터 끝의 각도는?

  1. 55°
  2. 60°
  3. 75°
  4. 90°
(정답률: 63%)
  • 보통 일감에 사용되는 선반 센터 끝의 각도는 60°입니다. 이는 60°가 가장 일반적인 각도이기 때문입니다. 60°는 적당한 각도로, 다양한 작업에 적합하며, 선반의 안정성과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최적의 각도입니다. 또한, 60°는 6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각도이기 때문에 측정이 쉽고 정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슬리이브의 최소눈금이 0.5mm인 마이크로미터에서 딤블(thimble)의 원주 눈금이 100 등분 되었다면 최소한 읽을 수 있는 값은?

  1. 0.01mm
  2. 0.005mm
  3. 0.002mm
  4. 0.05mm
(정답률: 72%)
  • 딤블의 원주 눈금이 100 등분이므로 한 등분은 1/100 = 0.01mm이다. 하지만 슬리이브의 최소눈금이 0.5mm이므로 딤블이 한 등분씩 이동할 때 슬리이브는 0.5mm씩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딤블이 한 등분씩 이동할 때 슬리이브가 이동하는 거리는 0.5mm × 1/100 = 0.005mm이므로 최소한 읽을 수 있는 값은 0.005mm이다. 따라서 정답은 "0.005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절삭속도 20 m/min인 드릴의 지름이 10 mm 일 때, 드릴의 회전수는 몇 rpm 정도인가?

  1. 600rpm
  2. 637rpm
  3. 550rpm
  4. 757rpm
(정답률: 62%)
  • 절삭속도 = 회전수 × π × 지름
    20 = 회전수 × π × 0.01 (10mm를 m로 변환)
    회전수 = 20 / (π × 0.01) ≈ 637
    따라서, 정답은 "637rp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CNC프로그램의 기호와 그 의미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M - 보조 기능
  2. T - 공구 기능
  3. S - 절삭 기능
  4. F - 이송 기능
(정답률: 56%)
  • S는 절삭 속도를 나타내는 기호이며, 절삭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S - 절삭 기능이라는 연결은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전기 도금의 원리와 반대로 연마하려는 일감을 양극으로하여 가공하는 방법은?

  1. 전해 연마
  2. 전주 가공
  3. 이온가공
  4. 플라스마 가공
(정답률: 61%)
  • 전해 연마는 전기 도금의 원리와 반대로 일감을 양극으로 하여 전해질에 녹아있는 연마제 입자들이 일감의 표면을 강하게 마모시켜 연마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 "전해 연마"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테이퍼 깎기 장치와 밀링 커터의 여유각을 깎는 릴리빙(Relieving) 장치 등의 부속 장치가 있는 선반은?

  1. 모방 선반
  2. 터릿 선반
  3. 정면 선반
  4. 공구 선반
(정답률: 35%)
  • 테이퍼 깎기 장치와 밀링 커터의 여유각을 깎는 릴리빙(Relieving) 장치 등의 부속 장치가 있는 선반은 공구를 보관하고 사용하기에 적합한 공구 선반입니다. 다른 보기인 모방 선반, 터릿 선반, 정면 선반은 공구를 보관하거나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선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연삭에서 결합제를 금속으로 사용하는 숫돌 바퀴는?

  1. 탄성 숫돌
  2. 다이아몬드 숫돌
  3. 비트리파이드 숫돌
  4. 실리케이트 숫돌
(정답률: 41%)
  • 다이아몬드는 가장 단단한 물질 중 하나이며, 연삭에서는 금속을 연마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다이아몬드 숫돌은 금속을 연마하는 데 가장 효과적이며, 결합제로 금속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이아몬드 숫돌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절삭가공시 칩이 연속적으로 흘러나오며, 가공면이 깨끗하고 절삭작용이 원활한 칩의 형태는?

  1. 경작형 칩
  2. 균열형 칩
  3. 전단형 칩
  4. 유동형 칩
(정답률: 68%)
  • 절삭가공시 칩이 연속적으로 흘러나오는 것은 칩의 형태가 유동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칩을 유동형 칩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제도

26. 하나의 점을 정의할 수 없는 경우는?

  1. 평행하지 않은 두 직선의 교점을 점으로 지정한다.
  2. 원의 중심점에 점을 지정한다.
  3. 직선과 원간의 교점을 점으로 지정한다.
  4. 두 원의 접점을 점으로 지정한다.
(정답률: 34%)
  • 직선과 원은 일반적으로 무한히 많은 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점을 정의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직선과 원이 교차하는 경우, 이 교점은 유일하게 정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직선과 원간의 교점을 점으로 지정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ISO 규격에 있는 관용 테이퍼수나사의 기호로 맞는 것은?

  1. G
  2. PF
  3. R
  4. E
(정답률: 63%)
  • ISO 규격에서 R은 "관용 테이퍼수나사"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G는 메트릭 외부나사, PF는 파이프 나사, E는 귀뚜라미 나사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축용 게이지 제작에 사용되는 IT공차의 급수는?

  1. IT01 - IT4
  2. IT5 - IT8
  3. IT8 - IT12
  4. IT11 - IT18
(정답률: 48%)
  • 축용 게이지는 IT공차 중 IT01부터 IT4까지의 급수를 사용하여 제작됩니다. 이는 IT공차 중 가장 작은 범위의 급수를 사용하여 제작하므로,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측정이 필요한 축용 게이지 제작에는 IT01부터 IT4까지의 급수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스프링 제도에 대한 설명 중 잘못 설명한 것은?

  1. 코일스프링은 원칙적으로 하중이 걸린 상태에서 그린다.
  2. 겹판스프링은 원칙적으로 스프링 판이 수평한 상태에서 그린다.
  3. 그림에 단서가 없는 코일스프링은 오른쪽으로 감긴 것을 표시한다.
  4. 코일스프링이 왼쪽으로 감긴 경우는 "감긴방향 왼쪽"이라고 표시한다.
(정답률: 73%)
  • "그림에 단서가 없는 코일스프링은 오른쪽으로 감긴 것을 표시한다."이 부분이 잘못 설명된 것입니다.

    코일스프링은 원칙적으로 하중이 걸린 상태에서 그리는 이유는, 스프링이 하중을 받으면 그 형태가 변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하중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그린 스프링은 실제로 사용될 때와 다를 수 있습니다.

    겹판스프링은 원칙적으로 스프링 판이 수평한 상태에서 그리는 것은 맞습니다.

    코일스프링이 왼쪽으로 감긴 경우는 "감긴방향 왼쪽"이라고 표시하는 것도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은 2차원에서의 변환행렬이다. 틀린 것은?

  1. a, b, c, d는 회전(rotation), 스케일링(scaling)에 관계된다.
  2. p, q는 대칭 변환에 관계된다.
  3. m, n은 이동(translation)에 관계된다.
  4. s는 전체적인 스케일링(overall scaling)에 관계된다.
(정답률: 37%)
  • 정답은 "p, q는 대칭 변환에 관계된다."가 아닙니다.

    해당 변환행렬은 아래와 같은 변환을 수행합니다.

    1. x축 방향으로 2배 스케일링
    2. y축 방향으로 3배 스케일링
    3. x축 방향으로 30도 회전
    4. (2,3)만큼 이동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설명 중 "a, b, c, d는 회전(rotation), 스케일링(scaling)에 관계된다.", "m, n은 이동(translation)에 관계된다.", "s는 전체적인 스케일링(overall scaling)에 관계된다."는 모두 맞습니다.

    하지만 "p, q는 대칭 변환에 관계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해당 변환행렬은 대칭 변환이 아닌 회전, 스케일링, 이동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구름 베어링 제도시 계통을 표시하는 경우의 도시방법 중 다음 그림이 뜻하는 것은?

  1. 앵귤러 볼 베어링
  2. 원통 롤러 베어링
  3. 자동조심 볼 베어링
  4. 니들 롤러 베어링
(정답률: 24%)
  • 위 그림은 자동조심 볼 베어링을 나타내는 도시방법입니다. 자동조심 볼 베어링은 내부와 외부 링 사이에 공을 두어 링의 회전 중심을 일치시키는 베어링으로, 고속 회전에 적합하며 진동과 소음이 적습니다. 따라서 자동조심 볼 베어링은 기계의 정밀도와 안정성을 높이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기호 중 숫자와 병기하여 사용할 수 없는 것은?

  1. SR
(정답률: 80%)
  • 정답은 "⊠"입니다. 이 기호는 숫자와 병기하여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숫자가 아닌 기호이기 때문입니다. "Sø"는 숫자 0과 비슷하지만 다른 기호이며, "SR"은 숫자와 알파벳을 조합한 것이지만 여전히 숫자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는 숫자와 병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그림과 같은 투상도를 무슨 투상도라 하는가?

  1. 회전 투상도
  2. 국부 투상도
  3. 부분 투상도
  4. 보조 투상도
(정답률: 70%)
  • 정답: 국부 투상도

    해설: 국부 투상도는 한 점을 중심으로 그림의 일부분만을 확대하여 그리는 투상도이다. 위 그림에서는 한 점을 중심으로 지평선 위의 일부분만을 그리고 있으므로 국부 투상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입·출력 장치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입력장치 - 키보드, 라이트펜
  2. 출력장치 - CRT, 프린터, COM
  3. 입력장치 - 트랙볼, Tablet
  4. 출력장치 - Digitizer, 플로터
(정답률: 57%)
  • 출력장치인 Digitizer와 플로터는 모두 그래픽 디자인 작업에 사용되는 장치이기 때문에 입력장치인 키보드, 라이트펜, 트랙볼, Tablet과는 연결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출력장치와 입력장치는 서로 호환되는 장치끼리 연결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아래 기하 공차를 바르게 해석한 것은?

  1. 데이텀 A를 기준으로 원의 윤곽이 ø0.05mm이내에 있어야 한다.
  2. 데이텀 A를 기준으로 원의 대칭도가 ø0.05mm이내에 있어야 한다.
  3. 데이텀 A를 기준으로 원의 진원도가 ø0.05mm이내에 있어야 한다.
  4. 데이텀 A를 기준으로 원의 위치가 ø0.05mm이내에 있어야 한다.
(정답률: 74%)
  • 정답은 "데이텀 A를 기준으로 원의 위치가 ø0.05mm이내에 있어야 한다." 입니다.

    기하 공차란, 도면상의 모든 점들이 실제 제품에서 어떤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때, 데이텀 A는 도면상에서 가장 중요한 기준점이며, 다른 모든 요소들은 데이텀 A를 기준으로 위치가 결정됩니다.

    따라서, 원의 위치가 ø0.05mm 이내에 있어야 한다는 것은 데이텀 A를 기준으로 원의 중심이 ø0.05mm 이내에 위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제품의 정확한 위치를 보장하기 위한 조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구멍 50에 대한 구멍 기준식 끼워맞춤 공차기호 기입방법으로 옳은 것은?

  1. Ø50H7
  2. Ø50h7
  3. S50h7
  4. s50H7
(정답률: 69%)
  • 정답은 "Ø50H7"입니다.

    - Ø50: 구멍의 직경을 나타내는 기호로, Ø는 직경(diameter)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구멍의 직경이 50mm임을 나타냅니다.
    - H7: 구멍의 공차(tolerance)를 나타내는 기호로, H는 구멍의 공차가 IT(국제표준) 기준으로 H급임을 의미합니다. H7은 구멍의 최대치와 최소치 사이의 차이가 0.018mm 이내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구멍의 공차가 H7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Ø50H7"은 구멍의 직경이 50mm이고 공차가 H7인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도형이 이동한 중심 궤적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선은?

  1. 가는 실선
  2. 굵은 실선
  3. 가는 2점 쇄선
  4. 가는 1점 쇄선
(정답률: 41%)
  • 도형이 이동한 중심 궤적을 표시할 때는 가는 1점 쇄선을 사용합니다. 이는 이동한 도형의 중심점을 따라 이어지는 선으로, 이동한 궤적을 명확하게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동한 궤적을 나타내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일반적인 CAD 시스템으로 해칭(hatching)을 하고자 한다. 해칭영역을 지정한 후에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해칭의 패턴
  2. 해칭선의 굵기
  3. 해칭선의 각도
  4. 해칭선의 간격
(정답률: 50%)
  • 해칭선의 굵기는 일반적으로 해칭 패턴의 미세한 세부사항을 조절하는 데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해칭영역을 지정한 후에 설정할 수 없는 항목입니다. 해칭선의 굵기는 해칭선의 두께를 조절하는 데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해칭선의 굵기가 두껍게 설정될수록 해칭 영역이 더욱 강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기어의 쌍 중 회전 가능한 쌍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잇수=100, 피치원의 지름=400과 잇수=80, 피치원의 지름=320
  2. 잇수=80, 피치원의 지름=320과 잇수=70, 피치원의 지름=210
  3. 잇수=60, 피치원의 지름=320과 잇수=80, 피치원의 지름=320
  4. 잇수=100, 피치원의 지름=400과 잇수=50, 피치원의 지름=300
(정답률: 52%)
  • 회전 가능한 쌍은 피치원의 지름이 같은 경우에만 가능하며, 두 기어의 잇수가 서로 배수 또는 약수 관계에 있을 때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잇수가 100과 80인 기어의 쌍과 피치원의 지름이 각각 400과 320인 기어의 쌍이 회전 가능한 쌍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호칭지름 40㎜, 피치가 7㎜인 미터 사다리꼴 왼나사의 표시 방법은?

  1. TM40 × 7LH
  2. Tr40 × 7LH
  3. TM40 × 7H
  4. Tr40 × 7H
(정답률: 63%)
  • 미터 사다리꼴 왼나사의 표시 방법은 "호칭지름 × 피치 × 나사방향"의 형식을 따릅니다. 따라서, 호칭지름이 40㎜이고 피치가 7㎜이므로 "40 × 7"이 되며, 왼쪽으로 꼭 돌아가는 나사이므로 "LH"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Tr40 × 7LH"입니다. "TM40 × 7LH"는 "Tr40 × 7LH"와 혼동될 수 있으므로 오답입니다. "TM40 × 7H"와 "Tr40 × 7H"는 나사방향이 오른쪽으로 돌아가는 것을 나타내므로 왼나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CAD 시스템의 도입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품질향상
  2. 원가상승
  3. 표준화
  4. 경쟁력 강화
(정답률: 78%)
  • CAD 시스템의 도입은 제품 설계 및 생산 과정에서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여 품질향상과 표준화를 이루어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CAD 시스템의 도입으로 인해 원가가 상승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CAD 시스템 도입에 따른 초기 투자비용과 교육비용, 유지보수비용 등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CAD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컴퓨터와 소프트웨어 등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비용도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AD 시스템 도입 시 초기 비용과 유지보수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계획과 전략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IT 기본 공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IT 기본 공차는 치수 공차와 끼워맞춤에 있어서 정해진 모든 치수 공차를 의미한다.
  2. IT 기본 공차의 등급은 IT01부터 IT18까지 20등급으로 구분되어 있다.
  3. IT 공차 적용시 제작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구멍에는 ITn-1, 축에는 ITn을 부여한다.
  4. 끼워맞춤 공차를 적용할 때 구멍일 경우 IT6∼IT10 이고, 축일 때에는 IT5∼IT9이다.
(정답률: 58%)
  • 정답은 "끼워맞춤 공차를 적용할 때 구멍일 경우 IT6∼IT10 이고, 축일 때에는 IT5∼IT9이다."입니다.

    IT 기본 공차는 치수 공차와 끼워맞춤에 있어서 정해진 모든 치수 공차를 의미하며, 등급은 IT01부터 IT18까지 20등급으로 구분됩니다. IT 공차 적용시 제작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구멍에는 ITn-1, 축에는 ITn을 부여합니다. 이는 구멍과 축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정확한 끼워맞춤을 위해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정면도의 정의로 가장 옳은 것은?

  1. 물체의 각면 중 가장 그리기 쉬운면을 그린 그림
  2. 물체의 뒷면을 그린 그림
  3. 물체를 위에서 보고 그린 그림
  4. 물체 형태의 특징을 가장 뚜렷하게 나타내는 그림
(정답률: 82%)
  • 정면도는 물체를 정면에서 바라본 그림을 말합니다. 이는 물체의 형태와 특징을 가장 뚜렷하게 나타내는 그림입니다. 다른 면에서 그린 그림은 물체의 형태와 특징을 제대로 파악하기 어렵거나 왜곡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면도는 물체를 가장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그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용어의 뜻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허용한계치수 : 최대허용치수와 최소허용치수로 나눈다.
  2. 기준치수 : 치수허용한계의 기준이 되는 치수
  3. 치수허용차 : 허용한계치수와 기준치수의 관계를 결정하는데 기초가 되는 치수의 차
  4. 기준선 : 허용한계치수 또는 끼워맞춤을 도시할 때 치수허용차의 기준이 되는 선
(정답률: 47%)
  • 기준치수 : 치수허용한계의 기준이 되는 치수가 아니라, 치수허용차를 계산할 때 기준이 되는 고정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등각도를 3각법으로 투상할 때 평면도로 맞는 것은?

(정답률: 49%)
  • 등각도의 합은 180도이므로, 이 등각도의 각도는 180/5 = 36도이다. 이를 3각법으로 투상하면, 정사각형의 대각선을 중심으로 5등분된 원이 그려진다. 이 중에서 x축과 y축이 만나는 점이 원의 중심이 되고, 이 점에서부터 36도씩 회전하면서 원 위의 점들을 찍으면 된다. 이렇게 찍힌 점들을 이어서 그리면, ""와 같은 모양이 된다. 이 모양은 x축과 y축에 대칭이므로, 평면도로 맞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특수한 가공을 하는 부분 등 특별한 요구사항을 적용할 수 있는 범위를 표시하는데 사용하는 선은?

  1. 굵은 1점 쇄선
  2. 가는 2점 쇄선
  3. 가는 실선
  4. 굵은 실선
(정답률: 70%)
  • 굵은 1점 쇄선은 특수한 가공이나 요구사항을 표시하기에 적합한 선으로, 다른 선들보다 두껍고 짙은 색상으로 표시되어 시선을 끌고 더욱 강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가공이나 요구사항이 중요한 부분이므로 선이 뚜렷하게 보이도록 굵은 1점 쇄선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치수 기입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도형의 외형선이나 중심선을 치수선으로 대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치수는 되도록 정면도에 집중하여 기입한다.
  3. 치수는 되도록 계산해서 구할 필요가 있도록 한다.
  4. 치수 숫자의 자리수가 많은 경우에는 매 3자리마다 콤마를 붙인다.
(정답률: 63%)
  • 치수는 되도록 정면도에 집중하여 기입한다. 이는 정면도가 도면에서 가장 중요한 도면이기 때문에, 치수를 정면도에 집중적으로 기입함으로써 도면의 가독성을 높이고, 제작자가 제품을 만들 때 필요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6008C2P6"는 베어링 호칭 번호의 보기이다. 08의 의미는 무엇인가?

  1. 베어링 계열번호
  2. 안지름 번호
  3. 틈새기호
  4. 등급기호
(정답률: 84%)
  • "08"은 안지름 번호를 나타내는 숫자이다. 안지름 번호는 베어링의 내경을 나타내며, 이 번호가 작을수록 베어링의 크기가 작아진다. 따라서 "6008C2P6"에서 "08"은 베어링의 내경이 8mm라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부품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축에 홈을 파고 사용하는 부품은?

  1. 멈춤링
  2. 오일시일
  3. 패킹
  4. 플러머블록
(정답률: 42%)
  • 멈춤링은 축에 홈을 파고 위치를 고정시키는 부품으로, 다른 보기들은 기능적으로 부품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정답은 멈춤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기어제도시 이끝원에 사용하는 선의 종류는?

  1. 가는 2점 쇄선
  2. 가는 1점 쇄선
  3. 굵은 실선
  4. 가는 실선
(정답률: 57%)
  • 기어제도시 이끝원에서 사용하는 선은 굵은 실선입니다. 이는 기어제도시 이끝원의 도로가 매우 넓고, 차량이 많이 다니기 때문에 굵은 실선으로 표시하여 차선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굵은 실선은 길이가 길어서 멀리서도 뚜렷하게 보이기 때문에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스퍼기어 요목표에서 피치원 지름은?

  1. 10 ㎜
  2. 20 ㎜
  3. 30 ㎜
  4. 40 ㎜
(정답률: 73%)
  • 피치원 지름은 한 바퀴를 도는 데 필요한 거리이므로, 피치원 지름 = 원주 / π 입니다. 주어진 그림에서 원주는 80㎜이므로, 피치원 지름은 80㎜ / π ≈ 25.46㎜ 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30 ㎜"이지만, 정확한 값은 25.46㎜이므로, 보기에 없는 정확한 값인 "약 25.46㎜"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은 도면에 관련된 내용이다. 틀린 것은?

  1. 도면의 폭과 길이 비는 1:√2 이다.
  2. A2 도면의 크기는 420x594 이다.
  3. 도면은 말아서 보관할 때는 그 안지름을 40㎜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4. 도면을 접어서 보관할 경우에는 A3의 크기로 한다.
(정답률: 63%)
  • 정답은 "도면을 접어서 보관할 경우에는 A3의 크기로 한다."이다.

    이유는 A3 크기는 A4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크기이기 때문이다. A4를 접어서 A3에 보관하면 도면이 더 큰 크기로 펼쳐지지 않고도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기호 중 안전밸브를 나타낸 것은?

(정답률: 31%)
  • 정답은 "" 입니다. 이 기호는 안전밸브를 나타내는 기호로, 밸브의 상단에 있는 두 개의 삼각형은 밸브가 열려있을 때 유체가 흐를 수 있음을 나타내고, 하단의 직사각형은 밸브가 닫혀있을 때 유체의 흐름을 막음을 나타냅니다. 또한, 밸브의 중앙에 있는 원은 밸브의 위치를 나타내며, 이 기호는 밸브의 위치를 표시하는 기호와 함께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리벳에 대한 호칭법 및 도시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리벳의 호칭방법은 규격번호, 종류, 호칭지름 x 길이, 재료 순으로 표시한다.
  2. 둥근머리 리벳의 길이는 머리부분을 제외한다.
  3. 리벳의 지름과 구멍의 지름은 같아야 한다.
  4. 리벳은 길이 방향으로 단면하여 도시하지 않는다.
(정답률: 48%)
  • "리벳은 길이 방향으로 단면하여 도시하지 않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리벳은 길이 방향으로 단면하여 도시할 수 있습니다.

    리벳의 지름과 구멍의 지름은 같아야 하는 이유는 리벳이 구멍 안에서 팽창하면서 재료를 압축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리벳과 구멍 사이에 강력한 결합력이 형성되며, 구조물의 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리벳의 지름과 구멍의 지름은 규격에 맞게 정확하게 맞춰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스프로킷 휠의 도시법에서 피치원은 무슨 선으로 표시하는가?

  1. 가는 1점 쇄선
  2. 굵은 실선
  3. 가는 실선
  4. 굵은 1점 쇄선
(정답률: 69%)
  • 스프로킷 휠의 도시법에서 피치원은 "가는 1점 쇄선"으로 표시됩니다. 이는 피치원이 스프로켓 휠의 한 칸씩 이동할 때마다 가는 1점 쇄선을 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스프로켓 휠의 회전 속도와 체인의 이동 속도를 일치시키기 위해 중요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아래 그림과 같은 3차원 모델링 중 은선 처리가 가능하고 면의 구분이 가능하므로 일반적인 NC 가공에 가장 적합한 모델링은?

  1. 와이어프레임 모델링
  2. 이미지 모델링
  3. 솔리드 모델링
  4. 서피스 모델링
(정답률: 40%)
  • 정답은 "서피스 모델링"입니다.

    서피스 모델링은 은선 처리와 면의 구분이 가능하므로 일반적인 NC 가공에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3차원 모델링 중에서 가장 정밀한 모델링 방법 중 하나입니다.

    와이어프레임 모델링은 모델의 외형만을 표현하며, 면이 없기 때문에 가공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미지 모델링은 2차원 이미지를 3차원 모델로 변환하는 방법으로, 가공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솔리드 모델링은 모델의 내부와 외부를 모두 표현할 수 있지만, 면의 구분이 어렵기 때문에 가공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과 같이 표시된 기하공차 도면에서 0.01 이 뜻하는 것은?

  1. 지정길이
  2. 공차값
  3. 참고 규격
  4. 평행도 등급
(정답률: 75%)
  • 0.01은 공차값을 뜻합니다. 공차란 등차수열에서 각 항들 사이의 차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값으로, 이 도면에서는 각 선분의 길이가 등차수열을 이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0.01은 각 선분의 길이가 0.01씩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CAD 시스템의 입력장치 중 십자마크(커서)를 이동시켜 좌표를 지정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가 아닌 것은?

  1. 마우스(mouse)
  2. 라이트 펜(light pen)
  3. 조이스틱(joy stick)
  4. 트랙볼(track ball)
(정답률: 33%)
  • 라이트 펜은 좌표를 지정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가 아니라, 화면에 표시된 그림이나 문자 등을 선택하거나 편집하는데 사용되는 입력장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라이트 펜(light pe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아래 그림은 몇 각법인가?

  1. 제 1 각법
  2. 제 2 각법
  3. 제 3 각법
  4. 제 4 각법
(정답률: 75%)
  • 정답은 "제 3 각법"입니다. 이유는 선분 AB와 선분 CD가 서로 교차하면서 만나는 각이 직각이 아니고, 두 선분이 서로 평행하지도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제 3 각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아래 투상도는 어떤 물체를 보고 제 3각법으로 투상한 것이다. 이 물체의 등각 투상도로 적합한 것은?

(정답률: 85%)
  • 정답은 ""입니다.

    제 3각법으로 투상한 결과, 물체의 크기는 멀어질수록 작아지고, 거리는 멀어질수록 멀어집니다. 따라서 등각 투상도는 물체의 크기와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투상한 것입니다. 이에 따라 보기 중에서는 ""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