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1-24)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2016-01-2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재료 및 요소

1. Cu 와 Pb 합금으로 항공기 및 자동차의 베어링 메탈로 사용되는 것은?

  1. 양은(nickel silver)
  2. 켈밋(kelmet)
  3. 배빗 메탈(babbit metal)
  4. 애드미럴티 포금(admiralty gun metal)
(정답률: 72%)
  • Cu와 Pb 합금으로 만들어진 베어링 메탈은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항공기 및 자동차와 같은 고속 회전하는 기계 부품에서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켈밋은 Cu, Zn, Ni로 이루어져 있어 내식성이 높고, 높은 인장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베어링 메탈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표면 경화법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침탄법
  2. 질화법
  3. 고주파 경화법
  4. 심냉 처리법
(정답률: 76%)
  • 심냉 처리법은 표면 경화법이 아닙니다. 이는 열처리 방법으로, 금속을 냉각하면서 내부 구조를 변화시켜 강도를 높이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금속이 탄성한계를 초과한 힘을 받고도 파괴되지 않고 늘어나서 소성변형이 되는 성질은?

  1. 연성
  2. 취성
  3. 경도
  4. 강도
(정답률: 86%)
  • 금속이 탄성한계를 초과한 힘을 받으면 파괴되어야 하지만, 연성은 금속이 그러한 힘을 받아도 파괴되지 않고 늘어나서 소성변형이 되는 성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연성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주철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조성이 우수하다
  2.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3. 강보다 인성이 크다.
  4. 인장강도보다 압축강도가 크다.
(정답률: 63%)
  • "강보다 인성이 크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주철은 강과 달리 인성이 낮아서 부식에 취약하며, 인장강도가 낮아서 끌어당기는 힘에 약합니다. 따라서 주철은 강과 비교하여 내마모성과 주조성이 우수하지만, 인성과 인장강도는 낮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접착제, 껌, 전기 절연재료에 이용되는 플라스틱의 종류는?

  1. 폴리초산비닐계
  2. 셀룰로오스계
  3. 아크릴계
  4. 불소계
(정답률: 73%)
  • 폴리초산비닐계 플라스틱은 접착제, 껌, 전기 절연재료 등에 이용되는데, 이는 폴리초산비닐계 플라스틱이 높은 점도와 접착성, 내열성, 내구성 등의 물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폴리초산비닐계 플라스틱은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아니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아 사용이 용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이 아닌 것은?

  1. Al-Cu계
  2. Al-Si계
  3. Al-Zn-Mg계
  4. Al-Cu-Si계
(정답률: 70%)
  • 알루미늄 합금은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이 중에서 주조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Al-Si계과 Al-Cu계입니다. 그러나 Al-Zn-Mg계는 주로 압연용으로 사용되며, 주조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주조용 알루미늄 합금이 아닌 것은 Al-Zn-Mg계입니다. Al-Cu-Si계도 마찬가지로 압연용으로 사용되며, 주조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주철의 결점인 여리고 약한 인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먼저 백주철의 주물을 만들고, 이것을 장시간 열처리하여 탄소의 상태를 분해 또는 소실시켜 인성 또는 연성을 증가시킨 주철은?

  1. 보통 주철
  2. 합금 주철
  3. 고급 주철
  4. 가단 주철
(정답률: 67%)
  • 가단 주철은 열처리를 통해 탄소의 상태를 분해 또는 소실시켜 인성과 연성을 증가시킨 주철입니다. 따라서 주철의 결점인 여리고 약한 인성을 개선하기 위해 가단 주철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인 보통 주철, 합금 주철, 고급 주철은 가단 주철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인성과 연성을 증가시키는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인장시험에서 시험편의 절단부 단면적이 14㎟이고, 시험 전 시험편의 초기단면적이 20㎟일 때 단면수축률은?

  1. 70%
  2. 80%
  3. 30%
  4. 20%
(정답률: 63%)
  • 단면수축률은 (초기단면적-절단부단면적)/초기단면적 x 100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20-14)/20 x 100 = 30% 이므로 정답은 "30%" 입니다. 초기단면적에서 절단부분이 제거되어 단면적이 줄어든 것이므로, 단면수축률은 초기단면적과 절단부단면적의 차이를 초기단면적으로 나눈 값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나사가 축을 중심으로 한 바퀴 회전할 때 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는?

  1. 피치
  2. 리드
  3. 리드각
  4. 백래쉬
(정답률: 84%)
  • 나사의 피치는 나사가 한 바퀴 회전할 때 나사가 나아가는 거리를 말합니다. 하지만 리드는 나사가 축을 중심으로 한 바퀴 회전할 때 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리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축의 원주에 많은 키를 깍은 것으로 큰 토크를 전달시킬 수 있고, 내구력이 크며 보스와의 중심축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것은?

  1. 성크 키
  2. 반달 키
  3. 접선 키
  4. 스플라인
(정답률: 67%)
  • 스플라인은 축의 원주에 많은 키를 깍은 것으로, 이는 큰 토크를 전달시킬 수 있게 해줍니다. 또한 내구력이 크며 보스와의 중심축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어, 정확한 회전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축의 원주에 많은 키를 깍은 것으로 큰 토크를 전달시킬 수 있고, 내구력이 크며 보스와의 중심축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것은 스플라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1. 교차하는 두 축의 운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원추형으로 만든 기어는?

  1. 스퍼 기어
  2. 헬리컬 기어
  3. 웜 기어
  4. 베벨 기어
(정답률: 56%)
  • 베벨 기어는 교차하는 두 축의 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어로, 원추형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 기어는 축이 서로 수직인 경우에 사용되며, 스퍼 기어나 헬리컬 기어와는 달리 직선 운동을 원형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웜 기어와는 달리 효율이 높아서, 고속 회전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전동용 기계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1. 볼트와 너트
  2. 리벳
  3. 체인
(정답률: 82%)
  • 체인은 전동용 기계요소 중에서 동력을 전달하거나 전달된 동력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동용 기계에서 체인은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볼트와 너트, 리벳, 핀은 체인과는 다른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롤러 체인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롤러 링크와 판 링크를 서로 교대로 하여 연속적으로 연결한 것을 말한다.
  2. 링크의 수가 짝수이면 간단히 결합되지만, 홀수이면 오프셋 링크를 사용하여 연결한다.
  3. 조립시에는 체인에 초기장력을 가하여 스프로킷 휠과 조립한다.
  4. 체인의 링크를 잇는 핀과 핀 사이의 거리를 피치라고 한다.
(정답률: 50%)
  • "조립시에는 체인에 초기장력을 가하여 스프로킷 휠과 조립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롤러 체인은 조립시에 초기장력을 가하지 않고, 스프로킷 휠과 조립한 후에 체인 텐셔너를 사용하여 적절한 장력을 조절합니다. 이는 체인의 수명과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나사의 피치와 리드가 같다면 몇 줄 나사에 해당이 되는가?

  1. 1줄 나사
  2. 2줄 나사
  3. 3줄 나사
  4. 4줄 나사
(정답률: 75%)
  • 나사의 피치와 리드가 같다는 것은 나사의 간격과 나사가 한 번 회전할 때 나아가는 거리가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한 번 회전할 때 나아가는 거리가 같은 나사는 한 줄로 배치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줄 나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압축 코일스프링에서 코일의 평균지름이 50mm, 감김수가 10회, 스프링 지수가 5일 때, 스프링 재료의 지름은 약 몇 mm인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69%)
  • 스프링 지수는 외경과 내경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므로, 내경은 평균지름에서 스프링 지수를 빼서 구할 수 있습니다. 내경 = 평균지름 - (평균지름 / 스프링 지수) = 50 - (50 / 5) = 40(mm). 감김수가 10회이므로, 스프링의 전체 높이는 내경에 감김수를 곱한 값인 400(mm)가 됩니다. 따라서, 스프링 재료의 지름은 전체 높이에서 내경을 빼고 2로 나눈 값이 됩니다. 스프링 재료의 지름 = (전체 높이 - 내경) / 2 = (400 - 40) / 2 = 180(mm). 이 값은 보기 중에서 "10"이 아니므로, 정답은 "10"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초경합금의 주요 성분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니켈
  2. 코발트
  3. 텅스텐
(정답률: 59%)
  • 초경합금의 주요 성분으로는 니켈, 코발트, 텅스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황은 초경합금의 주요 성분으로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황이 금속이 아닌 비금속 원소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금속선의 전극을 이용하여 NC로 필요한 형상을 가공하는 방법은?

  1. 전주 가공
  2. 레이저 가공
  3. 전자 빔 가공
  4. 와이어 컷 방전가공
(정답률: 64%)
  • 금속선을 전극으로 사용하여 전기적 방전을 일으켜 작업물의 형상을 가공하는 방법을 "와이어 컷 방전가공"이라고 합니다. 이 방법은 전극과 작업물 사이에 전기적 방전을 일으켜 작업물을 절삭하는 방식으로, 높은 정밀도와 깔끔한 가공면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작업물의 두께나 경도에 구애받지 않고 가공이 가능하며, 대량 생산에도 적합합니다. 따라서, NC로 필요한 형상을 가공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이동 방진구의 조(Jaw)는 몇 개 인가?

  1. 5개
  2. 4개
  3. 2개
  4. 1개
(정답률: 53%)
  • 이동 방진구의 조(Jaw)는 상하로 2개입니다. 인간의 턱은 상하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동 방진구 역시 인간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동 방진구의 조는 2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연한 숫돌에 적은 압력으로 가압하면서 가공물에 회전운동과 이송을 주며, 숫돌을 다듬질할 면에 따라 매우 작고 빠른 진동을 주는 가공법은?

  1. 래핑
  2. 배럴
  3. 액체호닝
  4. 슈퍼 피니싱
(정답률: 73%)
  • 슈퍼 피니싱은 연한 숫돌에 적은 압력으로 가공물에 회전운동과 이송을 주며, 숫돌을 다듬질할 면에 따라 매우 작고 빠른 진동을 주는 가공법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슈퍼 피니싱"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작업대 위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소형의 드릴링 머신은?

  1. 다축 드릴링 머신
  2. 직립 드릴링 머신
  3. 탁상 드릴링 머신
  4. 레이디얼 드릴링 머신
(정답률: 84%)
  • 작업대 위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소형의 드릴링 머신은 "탁상 드릴링 머신"입니다. 이는 작은 공간에서 작업하기 용이하며, 작업대 위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작은 규모의 작업에 적합하며, 소형 부품 가공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브로칭 머신의 크기는 어떻게 표시하는가?

  1. 가공 최대높이
  2. 브로칭의 최대폭
  3. 브로칭의 최대길이
  4. 최대인장력, 최대행정길이
(정답률: 53%)
  • 브로칭 머신의 크기는 주로 "최대인장력, 최대행정길이"로 표시됩니다. 이는 브로칭 머신이 가공할 수 있는 최대 길이와 힘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브로칭 머신의 크기를 나타내는 요소이지만, 최대인장력과 최대행정길이는 브로칭 머신의 성능과 능력을 가장 정확하게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선반의 이송단위 중에서 1회전당 이송량의 단위?

  1. mm/s
  2. mm/rev
  3. mm/min
  4. mm/stroke
(정답률: 74%)
  • 선반의 이송단위 중에서 1회전당 이송량의 단위는 "mm/rev"입니다. 이는 선반의 회전 수에 따라 이송량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시간이나 횟수에 따라 이송량이 결정되는 경우가 있어 이송량을 정확하게 나타내지 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밀링 분할법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단식 분할법
  2. 미분 분할법
  3. 직접 분할법
  4. 차동 분할법
(정답률: 70%)
  • 밀링 분할법은 기계공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작업물을 여러 개의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 가공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이 중 "미분 분할법"은 밀링 분할법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미분 분할법은 수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함수를 미분하여 작은 구간으로 나누는 방법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밀링 분할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연삭숫돌의 결합제 표시기호와 그 내용이 틀린 것은?

  1. B : 비닐
  2. R : 고무
  3. S : 실리케이트
  4. V : 비트리파이드
(정답률: 67%)
  • 연삭숫돌의 결합제는 연마재료와 결합하여 연삭숫돌을 만드는데 사용되는데, 이 결합제의 종류에 따라 연삭숫돌의 특성이 달라집니다. 따라서 연삭숫돌의 결합제 표시기호와 그 내용은 정확해야 합니다.

    비닐은 연삭숫돌의 결합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B : 비닐"은 틀린 내용입니다. 올바른 결합제 표시기호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R : 고무 - 고무 결합제
    - S : 실리케이트 - 실리콘 결합제
    - V : 비트리파이드 - 비트리파이드 결합제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지름이 120mm, 길이 340mm 인 탄소강 둥근 막대를 초경 합금 바이트를 사용하여 절삭속도 150m/min으로 절삭하고자 할 때 회전수는 약 rpm 인가?

  1. 398
  2. 498
  3. 598
  4. 698
(정답률: 47%)
  • 절삭속도(V)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V = π × D × N / 1000

    여기서, D는 지름, N은 회전수입니다. 따라서, N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N = V × 1000 / (π × D)

    지름이 120mm이므로, D = 0.12m입니다. 또한, V = 150m/min입니다. 따라서, N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N = 150 × 1000 / (π × 0.12) ≈ 397.89

    따라서, 회전수는 약 398rpm입니다. 정답은 "39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제도

26. 왼쪽 입체도 형상을 오른쪽과 같이 도시할 때 표제란에 기입해야 할 각법 기호로 옳은 것은?

(정답률: 54%)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입체도에서 보면, 도형의 윗면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형상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각도가 점점 커지는 것을 나타내는 "" 기호를 사용해야 합니다. 다른 기호들은 각도가 일정하지 않거나, 각도가 작아지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구멍의 치수가 , 축의 치수가 일 때 최대 죔새는 얼마인가?

  1. 0.030
  2. 0.025
  3. 0.020
  4. 0.005
(정답률: 72%)
  • 최대 죔새는 구멍의 치수와 축의 치수 중 작은 값의 1/2이다. 따라서 최대 죔새는 0.015 (작은 값인 0.01의 1/2)이다. 하지만 보기에는 0.015이 없으므로, 구멍의 치수와 축의 치수 중 작은 값인 0.01의 1/2인 0.0075보다 큰 값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0.020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어떤 물체를 제 3각법으로 다음과 같이 투상했을 때 평면도로 옳은 것은?

(정답률: 83%)
  • 정답은 ""입니다.

    제 3각법으로 투상하면 원래 물체의 선분은 평행선이 유지됩니다. 따라서, 원래 물체에서 수직인 선분은 평면도에서도 수직입니다. 그러므로,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표면거칠기 지시 기호의 기입 위치가 잘못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정답률: 58%)
  • 정답은 "" 입니다.

    표면거칠기 지시 기호는 작업을 수행할 부위에 표시해야 합니다. 그러나 ""와 ""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부위에 표시되어 있고, ""은 작업을 수행할 부위가 아닌 다른 부위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위치에 표시된 것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가공 과정에서 줄무늬가 다음과 같이 나타날 때 표면의 줄무늬 방향 지시기호(*)가 옳은 것은?

  1. =
  2. M
  3. C
  4. R
(정답률: 75%)
  • 가공 과정에서 나타난 줄무늬는 섬유 구조물의 방향과 일치하므로, 이를 바탕으로 제품의 방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림에서 보면 줄무늬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향하고 있으므로, 이 제품의 방향은 가로 방향입니다. 따라서, 가로 방향을 나타내는 "=" 기호가 아닌, "C" 기호가 옳은 표면의 줄무늬 방향 지시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기계제도에서 사용하는 선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숨은선, 외형선, 중심선이 한 장소에 겹칠 경우 그 선은 외형선으로 표시한다.
  2. 지시선은 가는 실선으로 표시한다.
  3. 무게 중심선은 굵은 1점 쇄선으로 표시한다.
  4. 대상물의 보이는 부분의 모양을 표시할 때는 굵은 실선으로 사용한다.
(정답률: 64%)
  • "무게 중심선은 굵은 1점 쇄선으로 표시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무게 중심선은 굵은 2점 쇄선으로 표시합니다. 이는 무게 중심선이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에 더 강조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도면 작성 시 가는 2점 쇄선을 사용하는 용도로 틀린 것은?

  1. 인접한 다른 부품을 참고로 나타낼 때
  2. 길이가 긴 물체의 생략된 부분의 경계선을 나타낼 때
  3. 축 제도 시 키 홈 가공에 사용되는 공구의 모양을 나타낼 때
  4. 가공 전 또는 후의 모양을 나타낼 때
(정답률: 49%)
  • 길이가 긴 물체의 생략된 부분의 경계선을 나타낼 때는 가는 2점 쇄선을 사용하는 용도가 아닙니다. 이유는 가는 2점 쇄선은 물체의 외형을 나타내는 선이 아니라, 물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선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공차의 종류와 기호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진원도 공차 -
  2. 경사도 공차 -
  3. 직각도 공차 -
  4. 대칭도 공차 -
(정답률: 7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그림에서 나타난 치수선은 어떤 치수를 나타내는가?

  1. 변의 길이
  2. 호의 길이
  3. 현의 길이
  4. 각도
(정답률: 81%)
  • 그림에서 나타난 치수선은 호의 길이를 나타냅니다. 이는 호의 길이가 원의 둘레를 나타내는 중요한 치수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치수의 배치방법 중 개별 치수들을 하나의 열로서 기입하는 방법으로 일반 공차가 차례로 누적되어도 문제없는 경우에 사용하는 치수 배치방법은?

  1. 직렬 치수 기입법
  2. 병렬 치수 기입법
  3. 누진 치수 기입법
  4. 좌표 치수 기입법
(정답률: 61%)
  • 직렬 치수 기입법은 개별 치수들을 하나의 열로서 기입하는 방법으로, 일반 공차가 차례로 누적되어도 문제없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이는 각 치수가 서로 독립적이지 않고, 이전 치수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직렬 치수 기입법은 간단하고 효율적인 치수 기입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투상도의 선택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상물의 모양 및 기능을 가장 명확하게 표시하는 면을 주투상도로 한다.
  2. 조립도 등 주로 기능을 표시하는 도면에서는 대상물을 사용하는 상태로 투상도를 그린다.
  3. 특별한 이유가 없는 경우는 대상물을 가로길이로 놓은 상태로 그린다.
  4. 대상물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주투상도를 보충하는 다른 투상도를 되도록 많이 그린다.
(정답률: 82%)
  • "대상물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주투상도를 보충하는 다른 투상도를 되도록 많이 그린다."가 옳지 않은 것은, 이는 오히려 투상도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주투상도는 대상물의 가장 명확한 면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투상도를 그리는 경우에도 이를 고려하여 그려야 합니다. 너무 많은 투상도를 그리는 것은 오히려 혼란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에만 그리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제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면이 구비하여야 할 기본 요건이 아닌 것은?

  1. 면의 표면거칠기, 재료선택, 가공방법 등의 정보
  2. 도면 작성방법에 있어서 설계자 임의의 창의성
  3. 무역 및 기술의 국제 교류를 위한 국제적 통용성
  4. 대상물의 도형, 크기, 모양, 자세, 위치의 정보
(정답률: 86%)
  • 도면 작성방법에 있어서 설계자 임의의 창의성은 제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본 요건이 아닙니다. 이는 도면의 목적이 대상물의 도형, 크기, 모양, 자세, 위치 등의 정보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설계자의 창의성은 도면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있어서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투상도에서 A-A와 같이 단면했을 때 가장 올바르게 나타낸 단면도는?

(정답률: 57%)
  • A-A 단면은 투상도에서 수직으로 그려진 단면이므로, 단면에서 보이는 모습은 실제 구조물의 단면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A-A 단면에서는 가장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가 가장 올바른 단면입니다. 이유는, 이 단면에서는 구조물의 전체적인 형태와 크기, 그리고 내부의 구조와 배치 등을 가장 잘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구조물의 일부분만을 보여주거나, 내부의 구조를 파악하기 어렵게 그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단면을 나타내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면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해칭선은 동일 부분의 단면인 경우 같은 방식으로 도시되어야 한다.
  2. 해칭 부위가 넓은 경우 해칭을 할 범위의 외형 부분에 해칭을 제한할 수 있다.
  3. 경우에 따라 단면 범위를 매우 굵은 실선으로 강조할 수있다.
  4. 인접하는 얇은 부분의 단면을 나타낼 때는 0.7mm 이상의 간격을 가진 완전한 검은색으로 도시할 수 있다. 단 이 경우 실제 기하학적 형상을 나타내어야 한다.
(정답률: 49%)
  • 단면을 나타내는 방법은 인접하는 얇은 부분의 단면을 나타낼 때 0.7mm 이상의 간격을 가진 완전한 검은색으로 도시할 수 있다는 것이 옳지 않습니다. 이는 단면을 왜곡시킬 수 있으며, 실제 기하학적 형상을 나타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접한 부분의 단면을 나타낼 때는 가능한 한 가까운 간격으로 도시하여 실제 형상을 정확하게 나타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재료기호와 명칭이 틀린 것은?

  1. SM 20C : 회주철품
  2. SF 340A ; 탄소강 단강품
  3. SPPS 420 : 압력배관용 탄소 강관
  4. PW-1 ; 피아노 선
(정답률: 58%)
  • 정답은 "SM 20C : 회주철품"입니다. SM 20C은 일반적으로 구조용 탄소강재로 사용되는데, 회주철로 사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회주철은 일반적으로 S45C, S50C 등의 재질로 만들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도면의 촬영, 복사 및 도면 접기의 편의를 위한 중심마크의 선 굵기는 몇 mm 인가?

  1. 0.1mm
  2. 0.3mm
  3. 0.7mm
  4. 1mm
(정답률: 67%)
  • 중심마크의 선 굵기는 0.7mm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장 적절한 굵기로, 도면의 촬영, 복사 및 도면 접기에 있어서도 충분한 두께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너무 얇은 선은 인쇄나 복사시에 사라지거나 흐려질 수 있고, 너무 두꺼운 선은 도면의 가독성을 해치기 때문에 0.7mm가 적절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최대 허용치수가 구멍 50.025mm, 축 49.975mm이며 최소 허용치수가 구멍 50.000mm, 축 49.950mm일 때 끼워 맞춤의 종류는?

  1. 헐거운 끼워맞춤
  2. 중간 끼워맞춤
  3. 억지 끼워맞춤
  4. 상용 끼워맞춤
(정답률: 74%)
  • 최대 허용치수와 최소 허용치수의 차이가 각각 0.050mm이므로, 끼워맞춤의 종류는 "헐거운 끼워맞춤"입니다. 이는 구멍과 축의 간격이 너무 크기 때문에 끼워맞춤이 느슨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치수선에서는 치수의 끝을 의미하는 기호로 단말 기호와 기점 기호를 사용하는데 다음 중 단말 기호에 속하지 않는 것은?

(정답률: 56%)
  • 단말 기호에 속하지 않는 것은 ""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치수선에서 단말 기호는 치수선의 끝을 나타내는 기호로, 화살표 모양으로 표시됩니다. 이 화살표는 치수선의 끝에서 치수선을 벗어나는 방향으로 그려집니다. 그러나 ""는 화살표 모양이 아니며, 치수선의 끝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단말 기호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그림에서 ㉮부와 ㉯부에 두 개의 베어링을 같은 축선에 조립하고자 한다. 이때 ㉮부의 데이텀을 기준으로 ㉯부 기하공차를 적용하고자 때 올바른 기하공차 기호는?

(정답률: 59%)
  • 기하공차는 동일한 축선상에 있는 두 개의 데이텀의 크기 차이를 의미합니다. 그림에서 ㉮부의 데이텀을 기준으로 ㉯부의 데이텀이 작아지므로, ㉮부에서 ㉯부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나타내야 합니다. 따라서 "" 기호가 올바른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과 같이 제3각법으로 그린 정투상도를 등각투상도로 바르게 표현한 것은?

(정답률: 75%)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제3각법으로 그린 정투상도에서는 거리에 대한 왜곡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등각투상도는 이러한 왜곡을 보정하여 실제 거리에 가깝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3각법으로 그린 정투상도를 등각투상도로 바르게 표현한 것이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스프링의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코일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하중이 걸리지 않은 상태로 그린다.
  2. 코일 스프링에서 특별한 단서가 없으면 오른쪽으로 감은 스프링을 의미한다.
  3. 코일 스프링에서 양끝을 제외한 동일 모양 부분의 일부를 생략할 때는 생략하는 부분의 선지름의 중심선을 가는 1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4. 스프링의 종류와 모양만을 간략도로 나타내는 경우에는 스프링 재료의 중심선만을 가는실선으로 그린다.
(정답률: 54%)
  • 정답은 "스프링의 종류와 모양만을 간략도로 나타내는 경우에는 스프링 재료의 중심선만을 가는실선으로 그린다."가 아닌 "스프링의 종류와 모양만을 간략도로 나타내는 경우에는 스프링의 중심선만을 가는실선으로 그린다."입니다. 스프링의 재료와 관련된 내용이 아니라 스프링 자체의 형태를 나타내는 경우 중심선만을 가지고 그리는 것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나사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측면에서 본 그림 및 단면도에서 나사산의 봉우리는 굵은실선으로 골 밑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2. 나사의 끝면에서 본 그림에서 나사의 골 밑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 원주의 3/4에 가까운 원의 일부로 나타낸다.
  3. 숨겨진 나사를 표시할 때는 나사산의 봉우리는 굵은 파선, 골 밑은 가는 파선으로 그린다.
  4. 나사부의 길이 경계는 보이는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다.
(정답률: 49%)
  • 정답은 "숨겨진 나사를 표시할 때는 나사산의 봉우리는 굵은 파선, 골 밑은 가는 파선으로 그린다."가 아닌 "나사부의 길이 경계는 보이는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다."입니다.

    숨겨진 나사를 표시할 때는 나사산의 봉우리와 골 밑 모두 가는 파선으로 그리며, 나사부의 길이 경계는 점선으로 나타냅니다. 이는 나사 부분이 숨겨져 있어서 실선으로 그리면 나사 부분이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스프로킷 휠의 도시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축 방향으로 볼 때 바깥지름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2. 축 방향으로 볼 때 피치원은 가는 1점 쇄선으로 그린다.
  3. 축 방향으로 볼 때 이뿌리원은 가는 2점쇄선으로 그린다.
  4. 축에 직각인 방향에서 본 그림을 단면으로 도시할 때에는 이뿌리의 선은 굵은 실선으로 그린다.
(정답률: 70%)
  • "축 방향으로 볼 때 이뿌리원은 가는 2점쇄선으로 그린다."가 틀린 것입니다. 이뿌리원은 축 방향에서 볼 때 가는 1점 쇄선으로 그립니다. 이는 스프로킷의 이뿌리가 원형이 아니라 타원형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그림과 같은 용접부의 용접 지시기호로 옳은 것은?

(정답률: 61%)
  • 정답인 ""은 용접부의 양쪽 끝에 있는 대각선 화살표와 중앙에 있는 수직 화살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용접부의 양쪽 끝에서부터 중앙으로 용접을 진행하라는 지시를 나타내며, 용접선이 중앙에서 만나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용접 방향이나 용접선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기호가 아니므로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구름베어링의 호칭이 “6203 ZZ” 베어링의 안지름은 몇 mm 인가?

  1. 3
  2. 15
  3. 17
  4. 30
(정답률: 77%)
  • 구름베어링의 호칭 "6203 ZZ"에서 "6203"은 베어링의 크기를 나타내는 번호입니다. 이 번호는 다음과 같이 해석됩니다.

    - 첫 번째 숫자 6: 베어링의 외경을 10으로 나눈 값 (즉, 60mm)
    - 두 번째 숫자 2: 베어링의 안경을 5로 나눈 값 (즉, 20mm)
    - 세 번째 숫자 03: 베어링의 두께 (즉, 3mm)

    따라서, 구름베어링의 안지름은 20mm / 2 = 10mm 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는 10mm이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17mm이 정답으로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은 어떤 밸브에 대한 도시 기호인가?

  1. 글로브 밸브
  2. 앵글 밸브
  3. 체크 밸브
  4. 게이트 밸브
(정답률: 68%)
  • 도시 기호에서 밸브의 모양이 살짝 꺾인 것으로 보아 "앵글 밸브"입니다. 앵글 밸브는 파이프 라인의 방향을 바꾸거나 흐름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밸브로, 일반적으로 90도 각도로 꺾인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축의 도시방법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모떼기는 길이 치수와 각도로 나타낼 수 있다.
  2. 축은 주로 길이방향으로 단면도시를 한다.
  3. 긴 축은 중간을 파단하여 짧게 그릴 수 있다.
  4. 45° 모따기의 경우 C로 그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정답률: 68%)
  • "축은 주로 길이방향으로 단면도시를 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축은 주로 넓이방향으로 단면도시를 하며, 이는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입니다. 길이방향으로 단면도시를 한다면 건축물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일반적으로 키의 호칭방법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1. 키의 종류
  2. 길이
  3. 인장강도
  4. 호칭 치수
(정답률: 77%)
  • 인장강도는 키의 크기나 치수와는 관련이 없는 물리적인 특성으로, 재료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호칭방법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나사 표시 기호 중 틀린 것은?

  1. M : 미터 가는 나사
  2. R : 관용 테이퍼 암나사
  3. E : 전구 나사
  4. G : 관용 평행 나사
(정답률: 60%)
  • 정답: R : 관용 테이퍼 암나사

    이유: 나사 표시 기호 중 R은 "관용 테이퍼 암나사"를 나타내는데, 실제로는 "관용 테이퍼 외부 나사"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따라서 R은 틀린 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스퍼기어 제도 시 축 방향에서 본 그림에서 이골원은 어느선으로 나타내는가?

  1. 가는 실선
  2. 가는 파선
  3. 가는 1점 쇄선
  4. 가는 2점 쇄선
(정답률: 61%)
  • 이골원은 가는 실선으로 나타납니다. 이유는 이골원은 축 방향에서 본 그림에서 가장 긴 지름을 가지는 원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지름이 축과 일치하므로 가는 실선으로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모듈이 2, 잇수가 30인 표준 스퍼기어의 이끝원의 지름은 몇 mm인가?

  1. 56
  2. 60
  3. 64
  4. 68
(정답률: 56%)
  • 표준 스퍼기어의 이끝원의 지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모듈(m) x 잇수(z) x 2

    여기서 모듈(m)은 2이고, 잇수(z)는 30이므로,

    2 x 30 x 2 = 120(mm)

    하지만 이끝원의 지름은 더 작은 값인 외경(d)으로 표시되므로,

    외경(d) = 120 - (2 x 2 x 2) = 112(mm)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64"인 이유는 잘못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CAD시스템에서 원점이 아닌 주어진 시작점을 기준으로 하여 그 점과 거리로 좌표를 나타내는 방식은?

  1. 절대좌표방식
  2. 상대좌표방식
  3. 직교좌표방식
  4. 극좌표방식
(정답률: 76%)
  • 상대좌표방식은 시작점을 기준으로 거리와 방향으로 좌표를 나타내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원점이 아닌 다른 점을 기준으로 좌표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 방식은 이동, 회전 등의 변환 작업을 수행할 때 유용하며, 다른 방식에 비해 좌표값의 크기가 작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CAD 작업시 모델링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3차원 모델링에는 와이어프레임, 서피스, 솔리드 모델링이 있다.
  2. 자동적인 체적 계산을 위해서는 솔리드 모델링보다는 서피스 모델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솔리드 모델링은 와이어프레임, 서피스 모델링에 비해 높은 데이터 처리 능력이 필요하다.
  4. 와이어 프레임 모델링의 경우 디스플레이된 방향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해석이 나올 수 있다.
(정답률: 59%)
  • "자동적인 체적 계산을 위해서는 솔리드 모델링보다는 서피스 모델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솔리드 모델링이 서피스 모델링보다 체적 계산에 용이하며, 솔리드 모델링은 3차원 모델링 중에서 가장 정확하고 안정적인 모델링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CAD 시스템의 출력장치가 아닌 것은?

  1. Plotter
  2. Printer
  3. Keyboard
  4. TFT-LCD
(정답률: 80%)
  • CAD 시스템의 출력장치는 그림을 출력하는 장치로, Plotter와 Printer, TFT-LCD가 해당됩니다. 하지만 Keyboard는 입력장치로, 출력장치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Keyboar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컴퓨터에서 CPU와 주기억장치 간의 데이터 접근 속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속의 기억장치는?

  1. cache memory
  2. associative memory
  3. destructive memory
  4. non-volatile memory
(정답률: 69%)
  • CPU와 주기억장치 간의 데이터 접근 속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속의 기억장치는 "cache memory"입니다. 이는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 놓고, 필요할 때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임시 저장소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CPU와 주기억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 시간을 줄이고,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