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4-02)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2016-04-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재료 및 요소

1. 강재의 크기에 따라 표면이 급랭되어 경화하기 쉬우나 중심부에 갈수록 냉각속도가 늦어져 경화량이 적어지는 현상은?

  1. 경화능
  2. 잔류응력
  3. 질량효과
  4. 노치효과
(정답률: 66%)
  • 강재의 크기가 커질수록 중심부까지 냉각이 느려지기 때문에 경화량이 적어지는 현상은 질량효과 때문입니다. 질량이 큰 물체는 열을 빠르게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큰 강재의 중심부는 냉각이 느리게 일어나게 되어 경화량이 적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합금공구강의 KS 재료기호는?

  1. SKH
  2. SPS
  3. STS
  4. GC
(정답률: 78%)
  • KS 재료기호 중 합금공구강은 STS입니다. 이는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을 의미하며, 합금강 중에서도 내식성과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합금공구강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구리에 니켈 40~50% 정도를 함유하는 합금으로서 통신기, 전열선 등의 전기저항 재료로 이용되는 것은?

  1. 인바
  2. 엘린바
  3. 콘스탄탄
  4. 모넬메탈
(정답률: 77%)
  • 콘스탄탄은 구리와 니켈의 합금으로, 니켈 함량이 높아 전기저항이 크기 때문에 전기저항 재료로 이용됩니다. 이 합금은 온도 변화에 따른 전기저항 변화가 작아 안정적인 성능을 보이며, 높은 내식성과 내부식성을 가지고 있어 통신기나 전열선 등에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구리에 아연이 5~20% 첨가되어 전연성이 좋고 색깔이 아름다워 장식품에 많이 쓰이는 황동은?

  1. 포금
  2. 톰백
  3. 문쯔메탈
  4. 7:3황동
(정답률: 75%)
  • 톰백은 구리와 아연의 비율이 90:10으로, 황동 중에서도 전연성이 뛰어나고 색깔이 아름다워 장식품에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문제에서 제시된 조건과 일치하는 답은 "톰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Fe-C 상태도에서 온도가 낮은 것부터 일어나는 순서가 옳은 것은?

  1. 포정점→ A2변태점→공식점→공정점
  2. 공석점→A2변태점→공정점→포정점
  3. 공석점→공정점→A2변태점→포정점
  4. 공정점→공석점→A2변태점→포정점
(정답률: 70%)
  • 정답은 "공석점→A2변태점→공정점→포정점"입니다.

    첫째로, 공석점은 철-탄소계에서 가장 낮은 온도에서 일어나는 상태로, 철의 구조에서 일부 원자들이 빠져나가 빈 공간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둘째로, A2변태점은 철-탄소계에서 중간 온도에서 일어나는 상태로, 강철의 구조가 바뀌어 강도가 증가하는 변태점입니다.

    셋째로, 공정점은 철-탄소계에서 높은 온도에서 일어나는 상태로, 강철의 구조가 더욱 바뀌어 더욱 강도가 증가하는 상태입니다.

    마지막으로, 포정점은 철-탄소계에서 가장 높은 온도에서 일어나는 상태로, 강철의 구조가 최종적으로 바뀌어 더욱 강도가 증가하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온도가 낮은 것부터 일어나는 순서는 공석점 → A2변태점 → 공정점 → 포정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소결 초경합금 공구강을 구성하는 탄화물이 아닌 것은?

  1. WC
  2. TiC
  3. TaC
  4. TMo
(정답률: 67%)
  • 소결 초경합금 공구강은 주로 탄화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TMo은 탄화물이 아닌 몰리브데넘과 탄탈럼의 합금입니다. 따라서 TMo은 주어진 보기에서 탄화물이 아닌 유일한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표면을 경화시키기 위한 열처리 방법이 아닌 것은?

  1. 풀림
  2. 침탄법
  3. 질화법
  4. 고주파 경화법
(정답률: 72%)
  • 정답: 풀림

    이유: 풀림은 열처리 방법이 아니라, 금속 합금에서 성분이 분리되어 용해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표면을 경화시키기 위한 열처리 방법이 아닙니다. 나머지 보기인 침탄법, 질화법, 고주파 경화법은 모두 표면을 경화시키기 위한 열처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하중의 크기 및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하중으로서 양진하중을 말하는 것은?

  1. 집중하중
  2. 분포하중
  3. 교번하중
  4. 반복하중
(정답률: 72%)
  • 교번하중은 주기적으로 방향과 크기가 변화하는 하중으로서, 양쪽 방향으로 일정한 주기로 변화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양진하중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다리나 건물의 구조물에 작용하는 차량의 진동이나 바람의 힘 등이 교번하중의 예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축 중심에 직각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는 베어링을 말하는 것은?

  1. 레이디얼 베어링(radial bearing)
  2.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
  3. 원뿔 베어링(cone bearing)
  4. 피벗 베어링(pivot bearing)
(정답률: 67%)
  • 축 중심에 직각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베어링의 구조상 축 방향으로는 하중을 받지 않고, 반경 방향으로만 하중을 받는 베어링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베어링을 레이디얼 베어링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레이디얼 베어링(radial bear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리베팅이 끝난 뒤에 리벳머리의 주위 또는 강판의 가장자리를 정으로 때려 그 부분을 밀착시켜 틈을 없애는 작업은?

  1. 시밍
  2. 코킹
  3. 커플링
  4. 해머링
(정답률: 64%)
  • 코킹은 실리콘, 폴리우레탄 등의 밀봉재를 사용하여 틈을 메우는 작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리베팅이 끝난 뒤에 리벳머리의 주위나 강판의 가장자리를 밀착시켜 틈을 없애는 작업에는 코킹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11. 모듈이 2 이고 잇수가 각각 36, 74 개인 두 기어가 맞물려 있을 때 축간 거리는 약 몇 mm인가?

  1. 100mm
  2. 110mm
  3. 120mm
  4. 130mm
(정답률: 78%)
  • 기어의 모듈(m)은 톱니와 관련된 크기를 의미하며, 모듈이 같은 두 기어가 맞물리면 톱니의 크기도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두 기어의 모듈이 2이므로, 두 기어의 톱니 수는 각각 2배씩 증가합니다. 따라서 첫 번째 기어의 톱니 수는 72개(36 x 2), 두 번째 기어의 톱니 수는 148개(74 x 2)가 됩니다.

    축간 거리는 두 기어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두 기어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축간 거리 = (첫 번째 기어의 반지름 + 두 번째 기어의 반지름) / 2 + 두 기어의 모듈

    두 기어의 모듈은 2이므로, 위 식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축간 거리 = (36 / 2 + 74 / 2) / 2 + 2
    축간 거리 = 55 + 2
    축간 거리 = 57

    따라서, 정답은 "110mm"이 아닌 "57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외부 이물질이 나사의 접촉면 사이의 틈새나 볼트의 구멍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너트는?

  1. 홈붙이 너트
  2. 플랜지 너트
  3. 슬리브 너트
  4. 캡 너트
(정답률: 79%)
  • 캡 너트는 외부 이물질이 나사의 접촉면 사이의 틈새나 볼트의 구멍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너트입니다. 이는 너트의 윗부분이 덮개처럼 되어 있어 외부 이물질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아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캡 너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자동하중 브레이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원추 브레이크
  2. 웜 브레이크
  3. 캠 브레이크
  4. 원심 브레이크
(정답률: 48%)
  • 원추 브레이크는 자동하중 브레이크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는 원추 브레이크가 기계의 회전 운동을 멈추는 데 사용되는 브레이크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자동하중 브레이크는 기계가 움직이는 동안 발생하는 하중을 제어하는 브레이크입니다. 따라서 원추 브레이크는 자동하중 브레이크와는 다른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나사에서 리드(lead)의 정의를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나사가 1회전 했을 때 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
  2. 나사가 1회전 했을 때 나사산상의 1점이 이동한 원주거리
  3. 암나사가 2회전 했을 때 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
  4. 나사가 1회전 했을 때 나사산상의 1점이 이동한 원주각
(정답률: 80%)
  • 나사는 나사산상의 1점이 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나타내는데, 이것이 바로 "나사가 1회전 했을 때 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 입니다. 즉, 나사가 한 바퀴 돌 때 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말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축에 작용하는 비틀림 토크가 2.5 kN 이고 축의 허용전단응력이 49 MPa 일 때 축 지름은 약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24
  2. 36
  3. 48
  4. 64
(정답률: 28%)
  • 비틀림 토크(T)와 축 지름(d) 사이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T = (π/16) x τ x d^3

    여기서, τ는 허용전단응력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T = 2.5 kN, τ = 49 MPa로 주어졌으므로,

    2.5 x 10^3 = (π/16) x 49 x 10^6 x d^3

    d^3 = (2.5 x 10^3 x 16) / (π x 49 x 10^6)

    d^3 = 0.000206

    d = 0.064 m = 64 mm

    따라서, 축 지름은 약 64 mm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윤활제의 급유 방법에서 작업자가 급유 위치에 급유하는 방법은?

  1. 컵 급유법
  2. 분무 급유법
  3. 충진 급유법
  4. 핸드 급유법
(정답률: 80%)
  • 핸드 급유법은 작업자가 직접 윤활유를 컨테이너에서 가져와 기계나 장비에 직접 부어주는 방법이기 때문에 가장 직접적이고 간단한 방법이다. 따라서 급유 위치가 복잡하거나 작은 공간에서 윤활유를 부어야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고속회전 및 정밀한 이송기구를 갖추고 있어 정밀도가 높고 표면 거칠기가 우수한 실린더나 커넥팅 로드 등을 가공하며, 진원도 및 진직도가 높은 제품을 가공하기에 가장 적합한 보링머신은?

  1. 수직 보링머신
  2. 수평 보링머신
  3. 정밀 보링머신
  4. 코어 보링머신
(정답률: 69%)
  • 정밀 보링머신은 고속회전 및 정밀한 이송기구를 갖추고 있어 정밀도가 높고 표면 거칠기가 우수한 실린더나 커넥팅 로드 등을 가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진원도 및 진직도가 높은 제품을 가공하기에 가장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정밀 보링머신이 가장 적합한 보링머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선반에서 절삭저항의 분력 중 탄소강을 가공할 때 가장 큰 절삭저항은?

  1. 배분력
  2. 주분력
  3. 횡분력
  4. 이송분력
(정답률: 63%)
  • 가장 큰 절삭저항은 주분력입니다. 이는 탄소강과 같은 경화된 재질을 가공할 때 발생하는 저항 중 가장 큰 것으로, 절삭면과 절삭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분력입니다. 이는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과 마찰로 인해 발생하며, 가공 효율을 떨어뜨리는 주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수나사를 가공하는 공구는?

  1. 다이스
  2. 스크레이퍼
(정답률: 64%)
  • 다이스는 외부나 내부에 나사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로, 수나사를 가공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다이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래크형 공구를 사용하여 절삭하는 것으로 필요한 관계 운동은 변환기어에 연결된 나사봉으로 조절하는 것은?

  1. 호빙 머신
  2. 마그 기어 셰이퍼
  3. 베벨 기어 절삭기
  4. 펠로스 기어 셰이퍼
(정답률: 42%)
  • 래크형 공구는 수직적으로 이동하는 래커와 회전하는 스퍼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공구를 사용하여 절삭하는 것은 스퍼링의 회전과 래커의 수직 이동으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변환기어에 연결된 나사봉으로 조절하는 것은 래크형 공구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마그 기어 셰이퍼"입니다. 마그 기어 셰이퍼는 기어의 형상을 만들기 위해 회전하는 칼날과 이동하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절삭하는 기계로, 변환기어를 제작하는 데에 적합한 공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아래 숫돌바퀴 표시방법에서 60 이 나타내는 것은?

  1. 입도
  2. 조직
  3. 결합도
  4. 숫돌 입자
(정답률: 59%)
  • 숫돌바퀴 표시방법에서 60은 바퀴의 지름을 나타냅니다.

    "입도"는 객체가 다른 객체에 의존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객체 간의 결합도를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객체가 다른 객체에 많이 의존할수록 높은 입도를 가지게 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입도"가 다른 개념들과 함께 나열되어 있으며, 이들 중에서 "입도"만이 객체 간의 의존도를 나타내는 개념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구멍이 있는 원통형 소재의 외경을 선반으로 가공할 때 사용하는 부속장치는?

  1. 면판
  2. 돌리개
  3. 맨드릴
  4. 방진구
(정답률: 54%)
  • 맨드릴은 구멍이 있는 원통형 소재를 가공할 때 사용하는 부속장치입니다. 맨드릴은 소재를 고정시켜 선반의 회전축과 일치시키기 때문에 정확한 가공이 가능합니다. 또한 맨드릴은 소재를 고정하는 부분과 선반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부분이 분리되어 있어 소재를 교체할 때 편리합니다. 따라서 맨드릴은 구멍이 있는 원통형 소재의 외경을 선반으로 가공할 때 가장 적합한 부속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구성인선의 생성과정 순서가 옳은 것은?

  1. 발생 → 성장 → 분열 → 탈락
  2. 분열 → 탈락 → 발생 → 성장
  3. 성장 → 분열 → 탈락 → 발생
  4. 탈락 → 발생 → 성장 → 분열
(정답률: 82%)
  • 정답은 "발생 → 성장 → 분열 → 탈락"입니다.

    구성인선은 하나의 세포에서 시작하여, 세포분열을 통해 형성되는 다수의 세포들이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며 조직과 기관을 형성합니다. 이 과정에서 구성인선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생성됩니다.

    1. 발생 (Generation) : 하나의 세포에서 구성인선이 형성됩니다.
    2. 성장 (Growth) : 구성인선 내의 세포들이 성장하며 크기가 커집니다.
    3. 분열 (Division) : 구성인선 내의 세포들이 분열하여 더 많은 세포들이 형성됩니다.
    4. 탈락 (Elimination) : 일부 세포들은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거나 경쟁에서 밀려나 탈락하게 됩니다.

    따라서, 구성인선의 생성과정은 발생 → 성장 → 분열 → 탈락 순서로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브로칭 머신으로 가공할 수 없는 것은?

  1. 스플라인 홈
  2. 베어링용 볼
  3. 다각형의 구멍
  4. 둥근 구멍 안의 키 홈
(정답률: 61%)
  • 브로칭 머신은 일반적으로 직선적인 형태의 가공에 적합하며, 베어링용 볼은 둥근 형태이기 때문에 브로칭 머신으로 가공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베어링용 볼은 다른 가공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밀링에서 절삭속도 20 m/min, 커터 지름 50 mm, 날수 12개, 1날당 이송을 0.2mm로 할 때 1분간 테이블 이송량은 약 몇 mm인가?

  1. 120
  2. 220
  3. 306
  4. 404
(정답률: 43%)
  • 1회 절삭으로 이동하는 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π × 50 mm ÷ 12 = 약 13.09 mm

    따라서 1분간 이동하는 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20 m/min × 1000 mm/m ÷ 60 s = 약 333.33 mm/s

    따라서 1분간 이동하는 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333.33 mm/s × 0.2 mm = 약 66.67 mm

    따라서, 테이블 이송량은 약 66.67 mm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은 306이므로, 문제에서 원하는 답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1분간 이동하는 거리는 66.67 mm 이므로, 306에 가장 가까운 보기는 30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계제도

26. 가는 1점 쇄선으로 끝부분 및 방향이 변하는 부분을 굵게 한 선의 용도에 의한 명칭은?

  1. 파단선
  2. 절단선
  3. 가상선
  4. 특수 지시선
(정답률: 53%)
  • 가는 1점 쇄선은 일반적으로 절단선으로 사용되며, 끝부분과 방향이 변하는 부분을 굵게 표시하여 해당 부분이 잘린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러한 선은 절단선으로 불리며, 다른 보기들인 파단선, 가상선, 특수 지시선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기계 제도의 표준 규격화의 의미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품의 호환성 확보
  2. 생산성 향상
  3. 품질 향상
  4. 제품 원가 상승
(정답률: 86%)
  • 기계 제도의 표준 규격화는 제품의 호환성 확보, 생산성 향상, 품질 향상 등의 이점을 가져옵니다. 그러나 제품 원가 상승은 표준 규격화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표준 규격화를 위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거나, 기존 제품을 대체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품 원가 상승"은 기계 제도의 표준 규격화의 의미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얇은 부분의 단면 표시를 하는데 사용하는 선은?

  1. 아주 굵은 실선
  2. 불규칙한 파형의 가는 실선
  3. 굵은 1점 쇄선
  4. 가는 파선
(정답률: 50%)
  • 얇은 부분의 단면을 표시할 때는 아주 굵은 실선을 사용합니다. 이는 단면을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사용되며, 다른 종류의 선들은 단면을 표시하기에는 너무 얇거나 불규칙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기하공차의 기호 중 위치도 공차를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84%)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기하수열에서 각 항은 이전 항에 일정한 비율을 곱한 값이므로, 위치와 상관없이 모든 항들의 비율은 동일합니다. 따라서 기호 ""는 모든 항들의 비율을 나타내는 공차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그림의 치수 기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준 치수는 지름 20 이다.
  2. 공차는 0.013 이다.
  3. 최대 허용치수는 19.93 이다.
  4. 최소 허용치수는 19.98 이다.
(정답률: 67%)
  • 정답은 "최대 허용치수는 19.93 이다." 이다. 이유는 기준치수에서 공차를 빼면 최소 허용치수가 되고, 기준치수에서 공차를 더하면 최대 허용치수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20 - 0.013 = 19.987이 최소 허용치수이고, 20 + 0.013 = 20.013이 최대 허용치수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최소 허용치수와 최대 허용치수가 반대로 기재되어 있으므로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치수와 같이 사용하는 기호가 아닌 것은?

  1. SR
(정답률: 85%)
  • ""는 치수와 같이 사용하는 기호가 아니라 수학적인 기호 중 하나인 미분 기호입니다. 이 기호는 함수의 미분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함수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기호는 길이, 너비, 높이 등과 같은 치수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제도 표시를 단순화하기 위해 공차 표시가 없는 선형 치수에 대해 일반 공차를 4개의 등급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중 공차 등급이 “거칢”에 해당하는 호칭 기호는?

  1. c
  2. f
  3. m
  4. v
(정답률: 48%)
  • 일반적으로 공차 등급은 “f”(fine), “m”(medium), “c”(coarse), “v”(very coarse)로 표시된다. “거칢”은 일반적으로 “coarse”에 해당하므로, 정답은 “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림과 같이 표면의 결 도시기호가 지시되었을 때 표면의 줄무늬 방향은?

  1. 가공으로 생긴 선이 거의 동심원
  2. 가공으로 생긴 선이 여러 방향
  3. 가공으로 생긴 선이 방향이 없거나 돌출됨
  4. 가공으로 생긴 선이 투상면에 직각
(정답률: 65%)
  • 주어진 그림에서 결 도시기호가 가공으로 생긴 선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선은 여러 방향으로 흐르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표면의 줄무늬 방향은 가공으로 생긴 선이 여러 방향일 것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기호가 나타내는 각법은?

  1. 제 1 각법
  2. 제 2 각법
  3. 제 3 각법
  4. 제 4 각법
(정답률: 81%)
  • 이 기호는 "제 3 각법"을 나타냅니다. 이유는 기호가 세 개의 직선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세 직선이 서로 교차하여 만나는 모습이 "제 3 각"과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 재료 기호는?

  1. AC1B
  2. ZDC1
  3. ALDC3
  4. MGC1
(정답률: 77%)
  • 다이캐스팅용 알루미늄 합금 재료 기호는 "ALDC3"입니다. 이는 알루미늄(Al) 합금을 나타내며, 다이캐스팅용으로 적합한 합금으로서, 도입된 원소들의 비율이 Al(알루미늄):Cu(구리):Mg(마그네슘) = 9:3:1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ALDC3"은 알루미늄 합금의 종류와 함께, 해당 합금의 구성 비율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표면 거칠기 지시기호가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85%)
  • 정답은 ""입니다. 이는 표면이 매우 미끄러워서 안전에 위험이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입니다. 다른 세 개의 지시기호는 표면이 거칠어져 있어 안전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핸들이나 암, 리브, 축 등의 절단면을 90° 회전시켜서 나타내는 단면도는?

  1. 부분 단면도
  2. 회전 도시 단면도
  3. 계단 단면도
  4. 조합에 의한 단면도
(정답률: 85%)
  • 회전 도시 단면도는 핸들이나 암, 리브, 축 등의 절단면을 90° 회전시켜서 나타내는 단면도입니다. 이는 해당 부분의 구조와 형태를 더욱 명확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건축 및 기계 설계 분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회전 도시 단면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투상도를 나타내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형상의 이해를 위해 주 투상도를 보충하는 보조 투상도를 되도록 많이 사용한다.
  2. 주 투상도에는 대상물의 모양, 기능을 가장 명확하게 표시하는 면을 그린다.
  3. 특별한 이유가 없는 경우 주 투상도는 가로길이로 놓은 상태로 그린다.
  4. 서로 관련되는 그림의 배치는 되도록 숨은선을 쓰지 않는다.
(정답률: 70%)
  • "특별한 이유가 없는 경우 주 투상도는 가로길이로 놓은 상태로 그린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주 투상도는 대상물의 가장 명확한 면을 그리는 것이 중요하며, 가로길이로 놓을 필요는 없습니다. 따라서 세로길이로 놓는 경우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그림에서 나타난 정면도와 평면도에 적합한 좌측면도는?

(정답률: 78%)
  • 정면도와 평면도에서 보이는 모습을 종합하여 생각해보면, 물체의 높이와 깊이는 알 수 있지만 너비는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좌측면도에서는 물체의 너비와 깊이를 동시에 볼 수 있어야 합니다. ""는 물체의 너비와 깊이를 동시에 보여주는 좌측면도이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구멍 ø55H7, 축 ø55g6 인 끼워맞춤에서 최대틈새는 몇 μm 인가? (단, 기준치수 ø55에 대하여 H7의 위치수 허용차는 +0.030, 아래치수는 허용차는 0이고, g6의 위치수 허용차는 -0.010, 아래치수 허용차는 -0.029이다.)

  1. 40μm
  2. 59μm
  3. 29μm
  4. 10μm
(정답률: 64%)
  • 끼워맞춤에서 최대틈새는 위치수 허용차 중에서 가장 큰 값과 가장 작은 값을 더한 것이다. 따라서, 구멍의 최대허용치는 ø55 + 0.030 = ø55.030이고, 최소허용치는 ø55이다. 축의 최대허용치는 ø55 - 0.010 = ø54.990이고, 최소허용치는 ø55 - 0.029 = ø54.971이다.

    따라서, 최대틈새는 (ø55.030 - ø54.990) + (ø55 - ø54.971) = 0.040 + 0.029 = 0.069mm = 69μ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최대틈새를 묻는 것이므로, 답은 69μm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인 "59μ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도면 작성 시 선이 한 장소에 겹쳐서 그려야 할 경우 나타내야 할 우선 순위로 옳은 것은?

  1. 외형선 > 숨은선 > 중심선 > 무게 중심선 > 치수선
  2. 외형선 > 중심선 > 무게 중심선 > 치수선 > 숨은선
  3. 중심선 > 무게 중심선 > 치수선 > 외형선 > 숨은선
  4. 중심선 > 치수선 > 외형선 > 숨은선 > 무게 중심선
(정답률: 78%)
  • 도면 작성 시 선이 한 장소에 겹쳐서 그려야 할 경우, 우선적으로 나타내야 할 것은 외형선입니다. 외형선은 제품의 형태와 외관을 나타내는 선으로, 가장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숨은선이 나타나야 합니다. 숨은선은 제품 내부의 부품이나 기계 요소를 나타내는 선으로, 외형선과 함께 제품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중심선은 제품의 중심축을 나타내는 선으로, 제품의 조립이나 가공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무게 중심선은 제품의 무게 중심을 나타내는 선으로, 제품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치수선은 제품의 크기와 위치를 나타내는 선으로, 제품의 제조나 조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옳은 우선 순위는 "외형선 > 숨은선 > 중심선 > 무게 중심선 > 치수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제 3각법으로 투상한 그림과 같은 정면도와 우측면도에 적합한 평면도는?

(정답률: 60%)
  • 정면도와 우측면도를 보면, 이 도형은 직육면체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평면도는 직육면체의 윗면을 보여주는 "" 가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도면의 제도방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도면에는 어떠한 경우에도 단위를 표시할 수 없다.
  2. 척도를 기입할 때 A:B로 표기하며, A는 물체의 실제 크기, B는 도면에 그려지는 크기를 표시한다.
  3. 축척, 배척으로 제도했더라도 도면의 치수는 실제치수를 기입해야 한다.
  4. 각도 표시는 항상 도, 분, 초(°, ‵, ‶) 단위로 나타내야 한다.
(정답률: 65%)
  • 정답은 "축척, 배척으로 제도했더라도 도면의 치수는 실제치수를 기입해야 한다."입니다. 이유는 도면을 제작할 때, 실제 물체의 크기를 축소하여 그리기 때문에 도면에 그려진 크기와 실제 크기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도면에는 축척이나 배척으로 크기를 표시하지만, 치수는 실제 크기를 기입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과 같이 도면에 기입된 기하 공차에서 0.011 이 뜻하는 것은?

  1. 기준 길이에 대한 공차 값
  2. 전체 길이에 대한 공차 값
  3. 전체 길이 공차 값에서 기준 길이 공차 값을 뺀 값
  4. 누진치수 공차 값
(정답률: 62%)
  • 기하 공차에서 0.011은 전체 길이에 대한 공차 값입니다. 이는 전체 길이에서 0.011만큼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준 길이에 대한 공차 값이라면, 기준 길이가 명시되어 있어야 하지만, 도면에서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전체 길이에 대한 공차 값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체 길이 공차 값에서 기준 길이 공차 값을 뺀 값이나 누진치수 공차 값은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도면에 기입되는 치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재료 치수는 재료를 구입하는데 필요한 치수로 잘림 여유나 다듬질 여유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2. 소재 치수는 주물 공장이나 단조 공장에서 만들어진 그대로의 치수를 말하며 가공할 여유가 없는 치수이다.
  3. 마무리 치수는 가공 여유를 포함하지 않은 치수로 가공 후 최종으로 검사할 완성된 제품의 치수를 말한다.
  4. 도면에 기입되는 치수는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소재 치수를 기입한다.
(정답률: 60%)
  • 마무리 치수는 가공 후 최종으로 검사할 완성된 제품의 치수를 말한다. 이는 가공 과정에서 생기는 오차나 여유를 제외한 최종적인 제품의 크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 치수는 제품의 최종적인 크기를 결정하며, 검사와 품질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파이프의 끝 부분을 표시하는 그림기호가 아닌 것은?

(정답률: 58%)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파이프의 끝 부분을 나타내는 그림기호는 보통 원형이나 삼각형으로 표시되는데, 이 그림기호는 그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에 설명하는 캠은?

  1. 판 캠
  2. 원통 캠
  3. 구면 캠
  4. 경사판 캠
(정답률: 46%)
  • 주어진 캠은 회전 운동을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기계 요소 중 하나인 캠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캠의 형태가 판 모양이기 때문에 "판 캠"이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에서 도시된 기호는 무엇을 나타낸 것인가

  1. 사다리꼴나사
  2. 스플라인
  3. 사각나사
  4. 세레이션
(정답률: 60%)
  • 그림에서 도시된 기호는 "스플라인"을 나타냅니다. 스플라인은 곡선을 부드럽게 이어주는 기법으로, 이 경우에는 도로의 곡선 부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사다리꼴나사, 사각나사, 세레이션은 도로의 구조나 표면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용어이며, 이 경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나사의 도시방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수나사와 암나사의 골 밑을 표시하는 선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2.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선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3. 불완전 나사부는 기능상 필요한 경우 혹은 치수 지시를 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경사된 가는 실선으로 표시한다.
  4. 수나사와 암나사의 측면도시에서 각각의 골지름은 가는 실선으로 약 3/4에 거의 같은 원의 일부로 그린다.
(정답률: 51%)
  • 정답은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선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가 아닌 "수나사와 암나사의 측면도시에서 각각의 골지름은 가는 실선으로 약 3/4에 거의 같은 원의 일부로 그린다."입니다.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선은 점선으로 그리며, 불완전 나사부는 경사된 점선으로 표시합니다. 이는 나사의 완전성과 불완전성을 구분하기 위한 것입니다.

    수나사와 암나사의 골 밑을 표시하는 선은 가는 실선으로 그리며, 이는 나사의 골 지름을 나타냅니다.

    불완전 나사부는 기능상 필요한 경우나 치수 지시를 위해 경사된 가는 실선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완전 나사부와 불완전 나사부의 경계선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용접기호에서 그림과 같은 표시가 있을 때 그 의미는?

  1. 현장 용접
  2. 일주 용접
  3. 매끄럽게 처리한 용접
  4. 이면판재 사용한 용접
(정답률: 80%)
  • 이 그림은 "현장 용접"을 나타냅니다. 이는 용접 작업이 현장에서 이루어졌으며, 용접 부위가 매끄럽게 처리되지 않았음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일주 용접"은 용접 부위가 한 바퀴 돌면서 용접이 이루어졌다는 의미이며, "매끄럽게 처리한 용접"은 용접 부위가 깔끔하게 처리되었다는 의미입니다. "이면판재 사용한 용접"은 용접 부위에 이면판재가 사용되었다는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평행 핀의 호칭이 다음과 같이 나타났을 때 이 핀의 호칭지름은 몇 mm 인가?

  1. 1 mm
  2. 6 mm
  3. 8 mm
  4. 30 mm
(정답률: 55%)
  • 주어진 그림에서 평행한 두 개의 직선이 있고, 이를 가로지르는 3개의 직선이 있다. 이 중 가장 위에 있는 직선과 가장 아래에 있는 직선이 평행한 직선이므로, 이 두 직선 사이의 거리는 항상 일정하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A"와 "B" 사이의 거리와 "C"와 "D" 사이의 거리가 같다. 이 거리가 바로 평행 핀의 호칭지름이므로, "A"와 "B" 사이의 거리를 구하면 된다. "A"와 "B" 사이의 거리는 8 mm 이므로, 정답은 "8 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스프로킷 휠의 도시방법에서 단면으로 도시할 때 이뿌리원은 어떤선으로 표시하는가?

  1. 가는 1점 쇄선
  2. 가는 실선
  3. 가는 2점 쇄선
  4. 굵은 실선
(정답률: 39%)
  • 스프로킷 휠의 도시방법에서 단면으로 도시할 때 이뿌리원은 굵은 실선으로 표시합니다. 이는 이뿌리원이 스프로킷 휠의 중심축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굵은 실선은 스프로킷 휠의 중심축을 나타내는 선으로, 이를 기준으로 다른 부분들의 위치와 크기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굵은 실선은 스프로킷 휠의 도시방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미터 보통 나사에서 수나사의 호칭 지름은 무엇을 기준으로 하는가?

  1. 유효 지름
  2. 골지름
  3. 바깥 지름
  4. 피치원 지름
(정답률: 63%)
  • 미터 보통 나사에서 수나사의 호칭 지름은 바깥 지름을 기준으로 합니다. 이는 수나사가 외부에 나사를 형성하기 때문에 바깥 지름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나사의 호칭 지름은 바깥 지름을 기준으로 표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구름 베어링의 호칭기호가 다음과 같이 나타날 때 이 베어링의 안지름은 몇 mm 인가?

  1. 26
  2. 60
  3. 130
  4. 300
(정답률: 71%)
  • 구름 베어링의 호칭기호에서 "13"은 베어링의 안지름을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따라서, 안지름은 13의 배수인 130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스퍼기어의 도시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피치원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2. 잇봉우리원은 가는 실선으로 그린다.
  3. 축에 직각인 방향에서 본 그림은 단면으로 도시할 때 이골의 선은 가는 실선으로 표시한다.
  4. 축방향에서 본 이골원은 가는 실선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44%)
  • 스퍼기어의 도시법에서 이골원은 축방향에서 본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골원은 축방향에서 본 것이 원형이기 때문에, 이를 단면으로 도시할 때 이골의 선은 가는 실선으로 표시해야 한다. 이는 이골원의 형태와 구조를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함이다. 따라서 "축방향에서 본 이골원은 가는 실선으로 표시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표준 스퍼 기어에서 모듈이 4이고, 피치원지름이 160mm일 때, 기어의 잇수는?

  1. 20
  2. 30
  3. 40
  4. 50
(정답률: 86%)
  • 표준 스퍼 기어에서 모듈(m)은 피치원지름(dp)과 기어의 잇수(z)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m = dp / z

    따라서,

    z = dp / m

    주어진 조건에서,

    m = 4
    dp = 160mm

    z = 160mm / 4 = 40

    따라서, 기어의 잇수는 4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CAD 시스템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입력장치
  2. 중앙처리장치
  3. 통신장치
  4. 출력장치
(정답률: 75%)
  • CAD 시스템은 주로 개인용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 등의 일반적인 하드웨어를 사용합니다. 그 중에서도 입력장치로는 마우스, 키보드, 펜 타블렛 등이 사용되고, 중앙처리장치로는 CPU가 사용됩니다. 출력장치로는 모니터, 프린터, 플로터 등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통신장치는 CAD 시스템에서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통신장치는 다른 컴퓨터나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장치이므로, CAD 시스템에서는 필요하지 않은 하드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좌표 방식 중 원점이 아닌 현재 위치, 즉 출발점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위치까지의 거리로 그 좌표를 나타내는 방식은?

  1. 절대 좌표 방식
  2. 상대 좌표 방식
  3. 직교 좌표 방식
  4. 원통 좌표 방식
(정답률: 75%)
  • 상대 좌표 방식은 출발점을 기준으로 해당 위치까지의 거리로 좌표를 나타내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출발점이 변경되면 좌표값도 함께 변경됩니다. 이에 반해 절대 좌표 방식은 고정된 원점을 기준으로 좌표를 나타내며, 출발점의 변경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직교 좌표 방식은 x, y, z 축을 기준으로 좌표를 나타내며, 원통 좌표 방식은 원통형 좌표계를 사용하여 좌표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컴퓨터의 처리 속도 단위 중 ps(피코 초)란?

  1. 10-3
  2. 10-6
  3. 10-9
  4. 10-12
(정답률: 60%)
  • ps는 초 단위의 10의 -12승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즉, 1초를 10의 12승으로 나눈 값이 ps입니다. 따라서 ps는 매우 작은 시간 단위이며, 컴퓨터의 처리 속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른 모델링과 비교하여 와이어프레임 모델링의 일반적인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데이터의 구조가 간단하다.
  2. 처리속도가 느리다.
  3. 숨은선을 제거할 수 없다.
  4. 체적 등의 물리적 성질을 계산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정답률: 60%)
  • 처리속도가 느리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와이어프레임 모델링은 데이터의 구조가 간단하고 숨은선을 제거할 수 없으며 물리적 성질을 계산하기가 어렵다는 특징이 있지만, 처리속도가 느리다는 것은 아닙니다. 와이어프레임 모델링은 다른 모델링 방법에 비해 처리속도가 빠르고, 대규모 모델링에도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