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4-07)

네트워크관리사 1급
(2013-04-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TCP/IP

1. 패킷의 구조에서 헤더 IP 부분에 들어가는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Version
  2. Total Length
  3. TTL(Time to Live)
  4. Data
(정답률: 80%)
  • IP 헤더에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만, "Data"는 헤더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Data"는 패킷의 실제 데이터 부분을 의미하며, IP 헤더와는 별개로 존재합니다. 따라서 "Data"가 옳지 않은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DN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P Address를 기억하기 힘든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2. DNS 명에는 반드시 '호스트, 기관명, 기관종류, 국가명'이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3. 한국의 경우 최상위 Domain은 'kr'이다.
  4. 최상위에는 Root Domain이 있으며, Top Level, Second Level, Third Level의 형식으로 계층화 되어 있다.
(정답률: 75%)
  • DNS 명에는 반드시 '호스트, 기관명, 기관종류, 국가명'이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DNS 명은 호스트명과 도메인명으로 구성되며, 도메인명은 최상위 도메인, 2차 도메인, 3차 도메인 등으로 계층화되어 있습니다. 기관명, 기관종류, 국가명 등은 도메인명에 포함될 수 있지만 필수적인 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TCP/IP 계층 중 다른 계층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은?

  1. IP
  2. ICMP
  3. UDP
  4. IGMP
(정답률: 73%)
  • UDP는 전송 계층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로, IP와 함께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의 일부입니다. ICMP와 IG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과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합니다. 따라서, 다른 계층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SSH가 전송 계층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결성
  2. 서버 인증
  3. 기밀성
  4. 합법성
(정답률: 70%)
  • 합법성은 SSH가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SSH는 무결성, 서버 인증, 기밀성을 제공합니다. 무결성은 데이터가 변조되지 않았음을 보장하는 것이고, 서버 인증은 서버가 신뢰할 수 있는 것임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기밀성은 데이터가 제3자에게 노출되지 않음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합법성은 SSH가 제공하는 서비스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B Class의 호스트 ID에 사용 가능한 Address 개수는?

  1. 116,777,224개
  2. 65,534개
  3. 254개
  4. 126개
(정답률: 79%)
  • B Class의 호스트 ID는 16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2의 16승 즉 65,536개의 주소를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첫 번째 주소와 마지막 주소는 각각 네트워크 ID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사용되므로, 호스트 ID로 사용 가능한 주소 개수는 65,536에서 2를 뺀 65,534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Telnet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원격접속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2. 호스트 컴퓨터에 자신이 이용할 수 있는 계정(ID)이 있어야 한다.
  3. 포트번호는 23번을 사용한다.
  4. 데이터가 암호화 처리되어 전송된다.
(정답률: 70%)
  • Telnet은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고 전송하기 때문에 "데이터가 암호화 처리되어 전송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Telnet은 원격접속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며 호스트 컴퓨터에 자신이 이용할 수 있는 계정(ID)이 있어야 하며 포트번호는 23번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네트워크 ID 210.182.73.0을 6개의 서브넷으로 나누고, 각 서브넷 마다 적어도 30개 이상의 Host ID를 필요로 한다. 적절한 서브넷 마스크 값은?

  1. 255.255.255.224
  2. 255.255.255.192
  3. 255.255.255.128
  4. 255.255.255.0
(정답률: 74%)
  • 6개의 서브넷으로 나누기 위해서는 2의 6승인 64개의 서브넷이 필요하다. 하지만 각 서브넷에서 적어도 30개 이상의 Host ID를 필요로 하므로, 2의 5승인 32개의 Host ID를 가지는 서브넷으로 나누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서브넷 마스크 값이 255.255.255.224가 되어야 한다.

    이유는 255.255.255.224는 8비트 중에서 마지막 3비트를 0으로 만들어서 5비트를 Host ID로 사용하고, 나머지 3비트를 Network ID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2의 5승인 32개의 Host ID를 가지는 서브넷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반면에, 255.255.255.192는 8비트 중에서 마지막 2비트를 0으로 만들어서 6비트를 Host ID로 사용하고, 나머지 2비트를 Network ID로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2의 6승인 64개의 서브넷을 만들 수 있지만, 각 서브넷에서 적어도 30개 이상의 Host ID를 필요로 하므로 부적합하다.

    255.255.255.128은 8비트 중에서 마지막 1비트를 0으로 만들어서 7비트를 Host ID로 사용하고, 나머지 1비트를 Network ID로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2의 7승인 128개의 서브넷을 만들 수 있지만, 각 서브넷에서 적어도 30개 이상의 Host ID를 필요로 하므로 부적합하다.

    마지막으로, 255.255.255.0은 8비트 중에서 마지막 0비트를 모두 0으로 만들어서 8비트를 Host ID로 사용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2의 8승인 256개의 서브넷을 만들 수 있지만, 각 서브넷에서 적어도 30개 이상의 Host ID를 필요로 하므로 매우 부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IGMP에서 IP 그룹동보통신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IP 호스트는 IP 그룹동보통신에 동적으로 언제든지 참여하거나 나갈 수 있다.
  2. IP 그룹동보통신의 주소는 시작지의 주소만 있지 목적지의 주소는 나타나지 않는다.
  3. 224.0.0.1은 예약된 주소로 그룹의 모든 호스트를 의미한다.
  4. 모든 그룹동보통신에서의 주소는 D Class의 IP Address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정답률: 52%)
  • "IP 그룹동보통신의 주소는 시작지의 주소만 있지 목적지의 주소는 나타나지 않는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IP 그룹동보통신에서는 그룹의 주소가 목적지 주소로 사용되며, 이 주소는 D Class의 IP Address에 기반을 두고 있다. 따라서, 그룹의 모든 호스트를 의미하는 224.0.0.1과 같은 주소를 목적지 주소로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라우팅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1. RIP
  2. PPP
  3. IGRP
  4. EGP
(정답률: 73%)
  • PPP는 프로토콜이지만 라우팅 프로토콜은 아닙니다. PPP는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로, 인터넷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반면, RIP, IGRP, EGP는 모두 라우팅 프로토콜로, 네트워크에서 패킷의 경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ICMP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에러 보고 기능
  2. 도착 가능 검사 기능
  3. 혼잡 제어 기능
  4. 송신측 경로 변경 기능
(정답률: 73%)
  •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ICMP의 기능으로는 에러 보고 기능, 도착 가능 검사 기능, 혼잡 제어 기능이 있습니다. 하지만 ICMP에는 송신측 경로 변경 기능은 없습니다. ICMP는 경로 변경을 위한 프로토콜이 아니며, 이는 라우팅 프로토콜의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IPv6 중 그룹 내에 가장 가까운 인터페이스를 가진 호스트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형태는?

  1. Unicast Type
  2. Anycast Type
  3. Multicast Type
  4. Broadcast Type
(정답률: 60%)
  • Anycast Type은 그룹 내에서 가장 가까운 인터페이스를 가진 호스트에게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효율적인 네트워크 트래픽 관리와 빠른 응답 시간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IPv6에서 그룹 내에 가장 가까운 호스트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형태는 Anycast Type입니다. Unicast Type은 특정 호스트에게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 Multicast Type은 그룹 내 모든 호스트에게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 Broadcast Type은 네트워크 내 모든 호스트에게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ARP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TCP/IP 프로토콜에서 데이터의 전송 서비스를 규정한다.
  2. TCP/IP 프로토콜의 IP에서 접속 없이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기능을 규정한다.
  3. 네트워크의 구성원에 패킷을 보내기 위하여 IP Address를 하드웨어 주소로 변경한다.
  4. 인터넷상에서 전자우편(E-Mail)의 전송을 규정한다.
(정답률: 82%)
  • ARP는 네트워크의 구성원에 패킷을 보내기 위하여 IP Address를 하드웨어 주소로 변경하는 프로토콜이다. 이를 통해 패킷이 목적지에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TC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두 호스트 사이에 믿을 수 있는 연결 지향적인 전송을 제공한다.
  2.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감시하고 에러를 제어한다.
  3.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
  4. TCP는 UDP보다 더 빨리 정보를 전송한다.
(정답률: 79%)
  • TCP는 UDP보다 더 빨리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오히려 TCP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패킷을 확인하고 에러를 제어하기 때문에 UDP보다 전송 속도가 느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SNMP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TCP/IP 프로토콜의 IP에서 접속 없이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기능을 규정한다.
  2. 시작지 호스트에서 여러 목적지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된다.
  3. IP에서의 오류(Error)제어를 위하여 사용되며, 시작지 호스트의 라우팅 실패를 보고한다.
  4. 네트워크의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네트워크의 관리를 지원하고 성능을 향상시킨다.
(정답률: 69%)
  • SNMP는 네트워크의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네트워크의 관리를 지원하고 성능을 향상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IP 헤더 필드 중 단편화 금지(Don't Fragment)를 포함하고 있는 필드는?

  1. TTL
  2. Source IP Address
  3. Identification
  4. Flags
(정답률: 65%)
  • 단편화 금지(Don't Fragment)를 포함하고 있는 필드는 "Flags"입니다. 이 필드는 3개의 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 번째 비트는 단편화 금지(Don't Fragment)를 나타내는 비트입니다. 이 비트가 1로 설정되면, 패킷은 단편화되지 않고 전송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TCP 환경에서는 여러 가지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각 프로토콜에 대해 기본적으로 지정되어 사용되고 있는 포트번호로 옳지 않은 것은?

  1. NNTP : 90
  2. TFTP : 69
  3. SMTP : 25
  4. FTP : 21
(정답률: 63%)
  • NNTP는 119번 포트를 사용하며, 이는 옳지 않은 포트번호이다. NNTP는 Usenet 뉴스 그룹을 위한 프로토콜로, 119번 포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7. 10Base-T 이더넷 NIC에서 사용하는 인코딩 방식은?

  1. NRZ-I
  2. NRZ-L
  3. Manchester
  4. AMI
(정답률: 64%)
  • 10Base-T 이더넷 NIC에서 사용하는 인코딩 방식은 Manchester이다. Manchester 인코딩은 데이터 비트를 전송하기 위해 신호를 두 개의 상태로 분할하고, 각각의 상태에 대해 다른 시간 기간을 할당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신호의 동기화를 유지하고, 오류 검출 및 수정을 용이하게 하며, 높은 전송 신뢰성을 보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패킷교환방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패킷은 가변 길이를 갖는다.
  2. 패킷은 절대로 손실될 수 없다.
  3. 패킷은 단편화될 수 있다.
  4. 패킷은 중복될 수 있다.
(정답률: 74%)
  • 정답: "패킷은 절대로 손실될 수 없다."

    설명: 패킷교환방식에서는 데이터를 작은 단위인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며, 이 패킷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중간에 일부 패킷이 손실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패킷은 절대로 손실될 수 없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에러 검출(Error Detection)과 에러 정정(Error Correction)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기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검사합(Checksum)
  2. 단일 비트 에러 정정(Single Bit Error Correction)
  3. 해밍코드(Hamming Code)
  4. 상승코드(Convolutional Code)
(정답률: 47%)
  • 검사합(Checksum)은 에러 검출 기능만을 포함하고, 에러 정정 기능은 없다. 검사합은 데이터의 일부분을 더해서 생성된 값으로, 수신측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데이터 일부분을 더해서 생성된 값과 비교하여 에러를 검출한다. 하지만 검사합은 단순한 방식으로 에러를 검출하기 때문에 에러 정정 기능은 없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검사합(Checksu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PCM 변조 과정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세분화
  2. 표본화
  3. 양자화
  4. 부호화
(정답률: 71%)
  • PCM 변조 과정에서는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가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세분화"는 PCM 변조 과정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오타일 가능성이 있으며, "세분화"가 어떤 의미인지 명확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답변을 위해서는 "세분화"가 어떤 의미인지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버스형 토폴로지의 단점에 해당되는 것은?

  1. 비교적 설치가 용이하다.
  2. 경제적이다.
  3. 네트워크의 트래픽이 많아 버스를 느리게 할 수 있다.
  4. 간단하고, 규모가 작은 경우에도 설치 용이하다.
(정답률: 80%)
  • 버스형 토폴로지는 여러 대의 컴퓨터가 하나의 버스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한 대의 컴퓨터가 데이터를 전송하면 다른 모든 컴퓨터가 그 데이터를 받게 된다. 이 때, 네트워크의 트래픽이 많아지면 버스의 대역폭이 부족해져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규모가 크거나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는 다른 토폴로지를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무선 LAN에 관한 IEEE표준은?

  1. IEEE 802.8
  2. IEEE 802.9
  3. IEEE 802.10
  4. IEEE 802.11
(정답률: 71%)
  • IEEE 802.11은 무선 LAN에 대한 표준으로, 무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과 무선 기기 간의 통신을 위한 규격을 제공합니다. 이 표준은 Wi-Fi라고도 불리며, 무선 인터넷,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다양한 무선 기기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트랜스포트 계층의 주된 기능에 해당하는 것은?

  1. 망 종단 간 데이터의 전달
  2. 링크 간 프레임 전송
  3. 노드 간 패킷 전송
  4. 물리매체에 비트 열 전송
(정답률: 61%)
  • 트랜스포트 계층의 주된 기능은 망 종단 간 데이터의 전달입니다. 이는 송신측과 수신측 간의 연결을 제공하고, 데이터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분할, 재조립, 오류 제어, 흐름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Token Ring 기법을 발전시킨 것으로 '이중 링' 구조를 가지는 것은?

  1. Token Bus
  2. FDDI
  3. Gigabit Ethernet
  4. ATM
(정답률: 59%)
  • FDDI는 Token Ring 기법을 발전시켜 이중 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두 개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링을 사용하여 더욱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FDDI가 이중 링 구조를 가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광대역 전송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한다.
  2. 광케이블을 사용하여 고속 전송이 가능하다.
  3. 시분할 다중화 방식을 통해 독립적인 채널을 가질 수 있다.
  4. 음성, 영상, 데이터 등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정답률: 25%)
  • 시분할 다중화 방식은 광대역 전송에서 사용되는 방식이 아니라,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통신 기기들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식이다. 따라서 "시분할 다중화 방식을 통해 독립적인 채널을 가질 수 있다."는 광대역 전송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Fast Ethernet에서 최종 사용자에 연결된 스위치 포트에 자동 협상(Auto Negotiation)을 사용할 것을 권장하는 이유로 올바른 것은?

  1. 서버나 라우터에 비해 자주 이동하기 때문임
  2. 서버나 라우터에 비해 속도가 느리기 때문임
  3. 서버나 라우터에 비해 고장의 원인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임
  4. 서버나 라우터에 비해 주파수가 높기 때문임
(정답률: 66%)
  • Fast Ethernet에서 최종 사용자에 연결된 스위치 포트에 자동 협상(Auto Negotiation)을 사용할 것을 권장하는 이유는 "서버나 라우터에 비해 자주 이동하기 때문임" 입니다. 이는 최종 사용자가 자주 이동하면서 다양한 장비와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자동 협상을 통해 최적의 속도와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어 편리하고 유연한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설명에 알맞은 프로토콜은?

  1.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2.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3. RSVP(ReSouece reserVation Protocol)
  4. RTP(Real-time Transfer Protocol)
(정답률: 66%)
  • 이 그림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오디오나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전송되어야 하므로 손실이나 지연이 발생하면 안 됩니다. 따라서 이를 보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RTP(Real-time Transfer Protocol)입니다. TCP는 실시간 전송에 적합하지 않으며, SIP는 세션 초기화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RSVP는 트래픽 제어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NOS

28. NTFS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FAT, HPFS 파일 시스템보다 더 큰 파일과 파티션 사이즈를 지원한다.
  2. 파일과 디렉터리의 압축을 지원한다.
  3. POSIX 요구사항을 지원한다.
  4. Linux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므로, 호환성이 뛰어나다.
(정답률: 56%)
  • NTFS는 Linux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호환성이 뛰어나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NTFS를 Linux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패키지나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Windows 2003 Server에서 동적 디스크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디스크에 대한 모든 구성 정보가 디스크에 저장된다.
  2. 디스크의 설정 정보가 그 디스크 자체에 저장된다.
  3. 볼륨이 연속되지 않은 디스크 영역으로 확장이 가능하다.
  4. 기본 파티션과 확장 파티션으로 나뉜다.
(정답률: 49%)
  • Windows 2003 Server에서 동적 디스크의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 "기본 파티션과 확장 파티션으로 나뉜다." 이다. 동적 디스크는 기본 파티션과 확장 파티션으로 나뉘지 않고, 볼륨을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디스크 구성 방식이다. 디스크에 대한 모든 구성 정보가 디스크에 저장되며, 디스크의 설정 정보도 그 디스크 자체에 저장된다. 또한, 볼륨이 연속되지 않은 디스크 영역으로 확장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호스트 헤더방식을 사용하여 2개의 가상 서버를 설정할 경우 필요한 최소 IP Address 수는?

  1. 1개
  2. 2개
  3. 3개
  4. 가상서버를 설정할 수 없음
(정답률: 55%)
  • 호스트 헤더방식은 하나의 IP 주소를 공유하여 여러 개의 가상 서버를 구축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최소한 1개의 IP 주소만 있으면 2개의 가상 서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가상 서버는 호스트 헤더에 "www.example.com"을 설정하고, 두 번째 가상 서버는 "blog.example.com"을 설정하여 하나의 IP 주소로 두 개의 서버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Linux에서 보통 실행 파일들이 모두 모여 있는 디렉터리는?

  1. /root
  2. /bin
  3. /boot
  4. /home
(정답률: 69%)
  • "/bin" 디렉터리는 바이너리 실행 파일들이 모여 있는 디렉터리입니다. 이 디렉터리에는 시스템 부팅과 관련된 프로그램들과 기본적인 명령어들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리눅스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디렉터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DNS의 레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SOA 레코드는 새로 등록하거나 삭제할 수는 없고 정보만 읽고, 수정할 수 있다.
  2. A 레코드는 도메인 위임이라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3. CNAME 레코드는 'Alias'라고도 한다.
  4. PTR 레코드는 호스트 대 IP를 등록하며, 일반 영역에 사용된다.
(정답률: 34%)
  • PTR 레코드는 IP 대 호스트를 등록하는 레코드로, 일반적으로 역방향 DNS 조회에 사용된다. 즉, IP 주소를 입력하면 해당 IP 주소에 대한 호스트 이름을 반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일반적인 DNS 조회와는 반대로 IP 주소를 기준으로 호스트 이름을 찾는 것이기 때문에 역방향 DNS 조회라고도 불린다. PTR 레코드는 일반 영역뿐만 아니라 in-addr.arpa와 같은 특수한 영역에서도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마운트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Linux에서 CD-ROM은 마운트 하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다.
  2. 플로피 디스크드라이브는 '#mount -t iso9660/dev/fd0/ mnt/floppy'와 같은 방법으로 마운트 시킨다.
  3. 마운트를 해제하는 명령어는 'unmount'이다.
  4. 해당 파일시스템이 사용 중이면 'mount'가 해제되지 않는다.
(정답률: 56%)
  • 마운트란 파일 시스템을 특정 디렉토리에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해당 파일 시스템이 사용 중이면 마운트를 해제할 수 없다. 이는 해당 파일 시스템이 다른 프로세스나 사용자에 의해 사용 중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운트를 해제하기 전에 해당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모든 프로세스나 사용자를 종료하고 마운트를 해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Windows 2003 Server에서 www.icqa.or.kr의 IP Address를 얻기 위한 콘솔 명령어는?

  1. ipconfig www.icqa.or.kr
  2. netstat www.icqa.or.kr
  3. find www.icqa.or.kr
  4. nslookup www.icqa.or.kr
(정답률: 73%)
  • 정답은 "nslookup www.icqa.or.kr"입니다.

    이유는 nslookup은 DNS 서버에 질의하여 도메인 이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아주는 명령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www.icqa.or.kr의 IP 주소를 얻기 위해서는 nslookup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ipconfig은 현재 컴퓨터의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이고, netstat은 현재 열려있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find는 파일 내에서 특정 문자열을 찾는 명령어이므로, www.icqa.or.kr의 IP 주소를 얻기 위해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Linux 시스템에서 '-rwxr-xr-x'와 같은 퍼미션을 나타내는 숫자는?

  1. 755
  2. 777
  3. 766
  4. 764
(정답률: 68%)
  • '-rwxr-xr-x'는 소유자에게는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이 있고, 그룹과 다른 사용자에게는 읽기와 실행 권한만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를 숫자로 나타내면 각 권한에 대해 4, 2, 1의 값을 부여하여 계산합니다. 따라서, 소유자에게는 4+2+1=7, 그룹과 다른 사용자에게는 4+1=5의 값을 부여하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75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Windows 2003 Server에서 DNS와 비슷하게 NetBIOS 이름을 IP Address에 맵핑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서비스는?

  1. WINS
  2. HTTP
  3. Proxy
  4. SNMP
(정답률: 62%)
  • WINS는 Windows Internet Name Service의 약자로, NetBIOS 이름을 IP 주소로 매핑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DNS와 유사하지만, NetBIOS 이름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Windows 2003 Server에서 NetBIOS 이름을 IP 주소로 매핑하기 위해서는 WINS 서비스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Linux의 'vi' 명령어 중 변경된 내용을 저장한 후 종료하고자 할 때 사용해야 할 명령어는?

  1. :wq
  2. :q!
  3. :e!
  4. $
(정답률: 72%)
  • 정답은 ":wq"이다. 이 명령어는 현재 편집 중인 파일의 변경된 내용을 저장하고 종료하는 명령어이다. ":"는 명령어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접두사이고, "w"는 저장(save)을 의미하며, "q"는 종료(quit)를 의미한다. 따라서 ":wq"는 저장 후 종료하는 명령어이다. 다른 보기들은 ":q!"는 변경된 내용을 저장하지 않고 강제 종료하는 명령어, ":e!"는 현재 파일을 다시 불러오는 명령어, "$"는 마지막 라인으로 이동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Windows 2003 Server에서 DHCP를 사용해 IP Address가 동적으로 할당되도록 하였다. 필요에 의해 특정 클라이언트가 특정 IP Address를 할당 받게 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어느 메뉴 항목에서 설정해야 하는가?

  1. 주소 풀
  2. 주소 임대
  3. 예약
  4. 범위 옵션
(정답률: 47%)
  • 정답은 "예약"이다.

    DHCP 서버에서 IP 주소를 할당할 때, 일반적으로 "주소 풀"이라는 범위를 설정하고,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면 그 범위 내에서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한다.

    하지만 특정 클라이언트에게 항상 같은 IP 주소를 할당해야 할 경우, "예약" 기능을 사용한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DHCP 서버에서 해당 클라이언트의 MAC 주소와 함께 특정 IP 주소를 예약해 놓으면, 그 클라이언트가 DHCP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항상 그 IP 주소를 할당받게 된다.

    따라서 "예약" 기능을 사용하면 특정 클라이언트에게 항상 같은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특정 클라이언트에게 특정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SOA 레코드에서 2차 네임서버가 1차 네임서버에 접속하여 Zone의 변경 여부를 검사할 주기에 해당되는 세부 설정 항목은?

  1. Serial
  2. Refresh
  3. Retry
  4. Expire
(정답률: 58%)
  • SOA 레코드에서 Refresh는 2차 네임서버가 1차 네임서버에 접속하여 Zone의 변경 여부를 검사할 주기를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이 주기는 일반적으로 몇 시간에서 몇 일 사이의 값으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Refresh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Windows 2003 Server의 Active Directory 특성으로 올바른 것은?

  1. DNS와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2. LDAP를 사용하는 다른 디렉터리 서비스와 호환되지 않는다.
  3. 그룹 정책을 기반으로 GPO에 해당 그룹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권한이 명시되어 있다.
  4. 글로벌 카탈로그는 자기 도메인 내의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다.
(정답률: 47%)
  • Active Directory는 그룹 정책을 기반으로 GPO에 해당 그룹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권한이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올바른 특성이다. 이는 사용자와 컴퓨터의 설정을 중앙에서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는 중요한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httpd.conf 파일을 사용하여 Apache 웹 서버를 설정하려 한다. 주요 설정 항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erverRoot : 아파치 웹서버의 각종 설정 파일이 있는 디렉터리를 지정한다.
  2. Listen : 아파치 웹서버가 사용할 기본 포트(80번)를 설정한다.
  3. DocumentRoot : 웹사이트에 사용될 각종 파일들이 위치한 디렉터리를 지정한다.
  4. ServerType : 서버의 실행 방법을 지정하며, Single Mode와 Multi Mode가 있다.
(정답률: 62%)
  • ServerType 항목은 Single Mode와 Multi Mode가 아니라 Prefork, Worker, Event와 같은 실행 모드를 지정하는 항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Windows 2003 Server의 사용자 계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메인 사용자 계정은 해당 도메인에 로그온 하면 네트워크내의 모든 컴퓨터에 접근 할 수 있다.
  2. 로컬 사용자 계정은 해당 컴퓨터에만 접근 할 수 있다.
  3. Guest 계정을 사용하여 도메인 사용자 계정을 만들 수 있다.
  4. 도메인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계정은 디렉터리 전체에서 유일해야 한다.
(정답률: 52%)
  • "Guest 계정을 사용하여 도메인 사용자 계정을 만들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Guest 계정은 일반적으로 임시적인 사용자 계정으로 사용되며, 도메인 사용자 계정을 만들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Linux와 다른 이기종의 파일 시스템이나 프린터를 공유하기 위해 설치하는 서버 및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1. 삼바(SAMBA)
  2. 아파치(Apache)
  3. 센드메일(Sendmail)
  4. 바인드(BIND)
(정답률: 73%)
  • 삼바는 Linux와 다른 이기종의 파일 시스템이나 프린터를 공유하기 위해 설치하는 서버 및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입니다. 삼바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SMB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Windows와 Linux 간의 파일 공유가 가능하도록 해줍니다. 또한, 삼바는 간단한 설정으로 사용자 인증, 파일 권한 설정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삼바가 Linux와 다른 이기종의 파일 시스템이나 프린터를 공유하기 위해 설치하는 서버 및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Windows 2003 Server에서 웹 사이트 'A'와 'B'를 한 대의 서버에 호스팅 하려고 하여, 부여받은 하나의 IP Address에 홈 디렉터리와 TCP 포트, DNS를 각각 설정하였다. 그런데 사용자가 'B' 사이트에 접속하면 'A' 사이트에 접속이 될 때,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1. 'A' 사이트 DNS 정보가 잘못되어 발생된 경우로, 'A'사이트의 DNS 정보를 IIS에 수정한다.
  2. 'A' 사이트의 홈 디렉터리가 잘못된 경우로, 'A' 사이트의 홈디렉터리를 확인하여 수정한다.
  3. 'B' 사이트의 호스트 헤더가 설정이 안 된 경우 발생될 수 있으므로, 'B' 사이트의 호스트 헤더를 설정한다.
  4. 'B' 사이트에 익명으로 접속할 수 없어서 발생된 경우로, 'B' 사이트의 접속을 익명으로 바꾼다.
(정답률: 49%)
  • 이 문제는 호스트 헤더가 설정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다. 호스트 헤더는 웹 서버가 여러 개의 웹 사이트를 호스팅할 때, 클라이언트가 어떤 사이트에 접속하는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B' 사이트의 호스트 헤더를 설정하여, 클라이언트가 'B' 사이트에 접속할 때, 올바른 웹 사이트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Linux 시스템에서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수정하는 명령어는?

  1. usermod
  2. config
  3. profile
  4. passwd
(정답률: 56%)
  • 정답은 "usermod"입니다. "usermod"는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수정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사용자 계정의 이름, 홈 디렉토리, 로그인 쉘 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config"는 설정 파일을 수정하는 명령어이고, "profile"은 쉘 환경 설정 파일을 수정하는 명령어입니다. "passwd"는 사용자 계정의 암호를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환경 변화에 실시간 조정을 하며 문제 해결과 트래픽 최적화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라우팅 방식은?

  1. 정적(Static)라우팅 프로토콜
  2. 동적(Dynamic)라우팅 프로토콜
  3. 최적화 라우팅 프로토콜
  4. 실시간 라우팅 프로토콜
(정답률: 65%)
  •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환경이 변화할 때마다 라우팅 테이블을 업데이트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문제 해결과 트래픽 최적화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반면, 정적 라우팅 프로토콜은 수동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설정하므로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이 환경 변화에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라우팅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라우터(Router)는 OSI 7 Layer 중 어느 계층에서 동작하는가?

  1. Physical Layer
  2. DataLink Layer
  3. Network Layer
  4. TCP/IP Layer
(정답률: 70%)
  • 라우터는 Network Layer에서 동작한다. 이는 라우터가 IP 주소를 이용하여 패킷을 전달하고, 라우팅 테이블을 이용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등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OSI 7 Layer 중 4 계층 장비이다.
  2.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하기 위한 장치이다.
  3. 병렬 데이터를 받아 직렬로 전송한다.
  4. 고유한 네트워크 어드레스인 MAC Address가 있다.
(정답률: 65%)
  • "OSI 7 Layer 중 4 계층 장비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NIC는 OSI 7 Layer 중 2 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이다. 이 계층에서는 물리적인 네트워크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MAC 주소를 사용하여 통신을 한다. 따라서 NIC는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하기 위한 장치이며, 고유한 네트워크 어드레스인 MAC Address가 있다. 또한 NIC는 병렬 데이터를 받아 직렬로 전송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LAN 카드의 MAC Address에 실제로 사용하는 비트 수는?

  1. 16bit
  2. 32bit
  3. 48bit
  4. 64bit
(정답률: 42%)
  • LAN 카드의 MAC Address는 48bit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이더넷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주소 체계로, 48bit는 충분한 크기를 가지고 있어 충돌이나 중복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주소 체계는 전 세계적으로 고유한 주소를 부여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상에서 각각의 장치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LAN 카드의 MAC Address는 48bit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트릭 속성의 예로 옳지 않은 것은?

  1. 회선의 최대 전송속도(Bandwidth)
  2. 라우터의 종류(Vendor)
  3. 목적지까지의 홉 수(Hop Count)
  4. 회선 사용량(Load)
(정답률: 72%)
  • 라우터의 종류(Vendor)는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메트릭 속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라우터의 종류는 라우터의 기능, 성능, 안정성 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지만, 경로 선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옳지 않은 것은 "라우터의 종류(Vendo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정보보호개론

51. Linux 시스템에서 아래 내용이 설명하는 것은?

  1. TCP_Wrapper
  2. PAM
  3. SATAN
  4. ISSm
(정답률: 52%)
  • 이 그림은 TCP_Wrapper의 기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TCP_Wrapper는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로, 호스트 기반으로 접근 제어를 수행합니다. 즉, TCP_Wrapper를 사용하면 특정 호스트에서의 접근을 허용하거나 거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TCP_Wrapper의 기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공개키 기반구조(PKI)에 대한 기술로 옳지 않은 것은?

  1. PKI는 공개키 인증서에 바탕을 두고 구축되어야 한다.
  2. CA(Certificate Authority)는 최종 개체(End Entity)를 인증하는 전자증명서 발행 역할을 수행한다.
  3. PKI는 사용자 공개키와 사용자 ID를 안전하게 묶는 방법과 공개키를 신뢰성 있게 관리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4. CA의 공개키는 자동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인증서를 사용할 때마다 CA에게 CA의 공개키를 요구하여야 한다.
(정답률: 59%)
  • "CA의 공개키는 자동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인증서를 사용할 때마다 CA에게 CA의 공개키를 요구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인증서에는 CA의 공개키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인증서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따라서 인증서를 사용할 때마다 CA에게 CA의 공개키를 요구할 필요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침입탐지시스템(IDS: Intrusion Detection System)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DS는 공격의 증거를 찾기 위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석하고, 침해 여부를 보기 위하여 액세스 로그들을 조사하고 파일들을 분석하기도 한다.
  2. IDS의 형태로는 NIDS, HIDS, SIV, LFM 등이 있다.
  3. IDS의 한 형태인 HIDS는 중요한 시스템 파일의 흔적을 유지하고 변경되었는지 감시한다.
  4. IDS는 위조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해커를 유인, 혼란스럽게 하는 가짜 네트워크인 Honeypot으로 개념을 확장하고 있다.
(정답률: 50%)
  • IDS는 위조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해커를 유인, 혼란스럽게 하는 가짜 네트워크인 Honeypot으로 개념을 확장하고 있다. (이는 IDS의 개념을 확장하는 것이 아니라, IDS와는 별개의 보안 기술인 Honeypot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시스템의 침투 형태 중 네트워크의 한 호스트에서 실행되어 다른 호스트들의 패킷 교환을 엿듣는 해킹 유형은?

  1. Sniffing
  2. IP Spoofing
  3. Domain Spoofing
  4. Repudiation
(정답률: 54%)
  • Sniffing은 네트워크 상에서 패킷을 엿듣는 해킹 유형이다. 이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가로채어 비밀 정보를 탈취하거나, 패스워드 등의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등의 공격에 이용된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Sniffing"이 네트워크의 한 호스트에서 실행되어 다른 호스트들의 패킷 교환을 엿듣는 해킹 유형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방화벽(Firewal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네트워크 출입로를 다중화하여 시스템의 가용성을 향상시킨다.
  2. 외부로부터 불법적인 침입이나 내부로부터의 불법적인 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3. 외부로부터의 공격을 막는 역할만해서, 내부에서 행해지는 해킹 행위에는 방화벽 기능이 사용되지 못할 수도 있다.
  4. 방화벽에는 역 추적 기능이 있어, 외부에서 네트워크에 접근 시, 그 흔적을 찾아 역추적이 가능하다.
(정답률: 75%)
  • "네트워크 출입로를 다중화하여 시스템의 가용성을 향상시킨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방화벽은 외부로부터 불법적인 침입이나 내부로부터의 불법적인 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내부에서 행해지는 해킹 행위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화벽에는 역 추적 기능이 있어, 외부에서 네트워크에 접근 시, 그 흔적을 찾아 역추적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암호기술 서비스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밀성
  2. 분별성
  3. 부인봉쇄
  4. 인증
(정답률: 58%)
  • 분별성은 암호기술 서비스의 핵심 원칙 중 하나가 아니며, 다른 세 가지 옵션은 모두 암호화와 관련된 서비스입니다. 따라서 분별성이 옳지 않은 암호기술 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회사의 사설 네트워크와 외부의 공중 네트워크 사이에 중립 지역으로 삽입된 소형 네트워크를 의미하는 용어는?

  1. DMZ
  2. Proxy
  3. Session
  4. Packet
(정답률: 70%)
  • DMZ는 Demilitarized Zone의 약자로, 회사의 사설 네트워크와 외부의 공중 네트워크 사이에 중립 지역으로 삽입된 소형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이는 외부에서 내부로의 침입을 막기 위해 사용되며,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서비스들을 DMZ에 위치시켜 내부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DMZ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S/MIM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자우편 보안 서비스로, HTTP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2. X.509 형태의 S/MIME 인증서를 발행하여 사용한다.
  3. 전자 서명과 암호화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4. 대칭키 암호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전자우편을 암호화 한다.
(정답률: 58%)
  • S/MIME은 전자우편 보안 서비스로, HTTP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자우편 보안 서비스로, HTTP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웹 브라우저, 웹 서버 간에 데이터를 안전하게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웹 제품뿐 아니라 FTP나 Telnet 등 다른 TCP/IP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는 보안기술은?

  1. SET
  2. SSL
  3. PPTP
  4. PGP
(정답률: 65%)
  • SSL은 Secure Socket Layer의 약자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을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전송하는 보안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SSL은 웹 제품 뿐 아니라 다른 TCP/IP 애플리케이션에도 적용할 수 있는 보안기술입니다. SET은 전자상거래 보안 프로토콜, PPTP는 VPN 프로토콜, PGP는 이메일 보안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외부 WAN과 접속되는 네트워크에 인터넷 보안 및 웹 캐싱 기능을 적용하려고 할 때 가장 적당한 서비스는?

  1. NAT
  2. IPsec
  3. ICS
  4. Proxy
(정답률: 49%)
  • Proxy는 외부와의 인터넷 연결을 대신하여 내부 네트워크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이를 통해 인터넷 보안 기능과 웹 캐싱 기능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NAT는 IP 주소 변환을 위한 서비스이고, IPsec는 가상 사설망을 구성하기 위한 보안 프로토콜입니다. ICS는 인터넷 공유를 위한 서비스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는 Proxy가 가장 적합한 서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