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10-06)

네트워크관리사 1급
(2013-10-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TCP/IP

1. TCP 헤더 포맷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hecksum은 1의 보수라 불리는 수학적 기법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2. Source 포트 32bit 필드는 TCP 연결을 위해 지역 호스트가 사용하는 TCP 포트를 포함한다.
  3. Sequence Number 32bit 필드는 세그먼트들이 수신지 호스트에서 재구성되어야 할 순서를 가리킨다.
  4. Data Offset 4bit 필드는 32bit 워드에서 TCP 헤더의 크기를 가리킨다.
(정답률: 54%)
  • "Source 포트 32bit 필드는 TCP 연결을 위해 지역 호스트가 사용하는 TCP 포트를 포함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Source 포트는 송신 호스트가 사용하는 TCP 포트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Windows 2003 Server의 'netstat' 명령 중 이더넷 인터페이스와 프로토콜별 통계결과를 출력하는 명령은?

  1. Netstat -r -b
  2. Netstat -a -n
  3. Netstat -o -a
  4. Netstat -e -s
(정답률: 78%)
  • 정답인 "Netstat -e -s" 명령은 이더넷 인터페이스와 프로토콜별 통계결과를 출력하는 명령이다. "-e" 옵션은 이더넷 통계를 출력하고, "-s" 옵션은 프로토콜별 통계를 출력한다. 따라서 이 명령을 사용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프로토콜의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OSI 7 계층 모델을 기초로 한 TCP/I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DataLink Layer : OS의 네트워크 카드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등과 같은 하드웨어와 관련된 모든 것을 해결한다.
  2. Network Layer : 네트워크상의 패킷의 이동과 관련된 일을 하는데, IP가 이에 포함된다.
  3. Transport Layer : 상위의 계층에서 볼 때 두 개의 호스트간의 자료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데 TCP와 UDP가 이에 포함된다.
  4. Presentation Layer : 코드 체계가 다른 컴퓨터간의 코드 변환이나, 데이터 압축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정답률: 64%)
  • "DataLink Layer : OS의 네트워크 카드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등과 같은 하드웨어와 관련된 모든 것을 해결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DataLink Layer는 물리적인 네트워크 연결을 다루는 계층으로, 프레임의 전송과 오류 검출 및 수정 등을 담당합니다. 하드웨어와 관련된 문제는 Physical Layer에서 처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SMTP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두 호스트 간 메시지 전송을 제공한다.
  2. 네트워크의 구성원에 패킷을 보내기 위한 하드웨어 주소를 정한다.
  3. 전송에 대해 TCP를 사용한다.
  4. 인터넷상에서 전자우편(E-Mail)의 전송을 규정한다.
(정답률: 58%)
  • SMTP는 네트워크의 구성원에 패킷을 보내기 위한 하드웨어 주소를 정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이 부분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SMTP는 두 호스트 간 메시지 전송을 제공하며, 전송에 대해 TCP를 사용하며, 인터넷상에서 전자우편(E-Mail)의 전송을 규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TCP/IP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CP는 전송계층(Transport Layer)프로토콜이다.
  2. IP는 네트워크계층(Network Layer)의 프로토콜이다.
  3. TCP는 전송을 담당하고, IP는 데이터의 에러검출을 담당한다.
  4. Telnet과 FTP는 모두 TCP/IP 프로토콜이다.
(정답률: 63%)
  • TCP는 전송을 담당하고, IP는 데이터의 에러검출을 담당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TCP는 데이터의 전송 제어와 연결 설정 등을 담당하고, IP는 데이터의 패킷화와 라우팅을 담당합니다. 에러 검출은 IP의 일부 기능 중 하나이지만, 이는 단순한 체크섬 계산으로 이루어지며, 신뢰성 있는 에러 검출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기능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ARP의 기능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호스트가 성공적으로 통신하기 위해서 각 하드웨어의 물리적인 주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2. 목적지 호스트의 IP Address를 MAC Address로 바꾸는 역할을 하며, 목적지 호스트가 시작지의 IP Address를 MAC Address로 바꾸는 것을 보장한다.
  3. 기본적으로 ARP 캐시(Cache)를 사용하지 않으며, 매번 서버와 통신할 때 마다 MAC Address를 요구한다.
  4. ARP 캐시(Cache)는 MAC Address와 IP Address의 리스트를 저장한다.
(정답률: 72%)
  • "기본적으로 ARP 캐시(Cache)를 사용하지 않으며, 매번 서버와 통신할 때 마다 MAC Address를 요구한다."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ARP는 기본적으로 ARP 캐시(Cache)를 사용하여 이전에 통신한 호스트의 MAC Address를 저장하고, 다음에 통신할 때에는 ARP 캐시에서 MAC Address를 가져와 통신을 수행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이고, 통신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B Class의 호스트 ID에 사용 가능한 Address 개수는?

  1. 116,777,224개
  2. 65,534개
  3. 254개
  4. 126개
(정답률: 80%)
  • B Class의 호스트 ID는 16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2의 16승 즉 65,536개의 주소를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첫 번째 주소와 마지막 주소는 각각 네트워크 ID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사용되므로, 호스트 ID로 사용 가능한 주소 개수는 65,536에서 2를 뺀 65,534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ICMP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에러 보고 기능
  2. 도착 가능 검사 기능
  3. 혼잡 제어 기능
  4. 송신측 경로 변경 기능
(정답률: 86%)
  •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ICMP의 기능으로는 에러 보고 기능, 도착 가능 검사 기능, 혼잡 제어 기능이 있습니다. 하지만 ICMP에는 송신측 경로 변경 기능은 없습니다. ICMP는 경로 변경을 위한 프로토콜이 아니며, 이는 라우팅 프로토콜의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Windows 2003 Server에서 지원하는 TCP/IP 관련 명령어가 아닌 것은?

  1. Telnet
  2. Traceroute
  3. Netstat
  4. ARP
(정답률: 43%)
  • Windows 2003 Server에서는 Traceroute 명령어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Traceroute는 주로 Unix/Linux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명령어로, 네트워크 상에서 패킷이 어떤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지를 추적하는 데 사용됩니다. Windows 2003 Server에서는 대신 Tracert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안전하지 않은 네트워크 상에서 안전한 원격 로그인과 그외 안전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은?

  1. SSH
  2. FTP
  3. Telnet
  4. ARP
(정답률: 86%)
  • SSH는 Secure Shell의 약자로, 네트워크 상에서 안전한 원격 로그인과 다른 안전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SSH는 암호화된 통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며, 인증 및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여 보안성을 강화합니다. 반면에 FTP, Telnet, ARP는 모두 보안성이 낮아서 안전하지 않은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하면 보안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IPv6는 IPng(IP next generation),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이라고 불리고 있다. IPv6 주소 필드 bit 수는?

  1. 32bit
  2. 64bit
  3. 128bit
  4. 256bit
(정답률: 83%)
  • IPv6 주소 필드 bit 수는 128bit이다. 이는 IPv4의 32bit 주소보다 4배 더 많은 주소 공간을 제공하며, 인터넷의 확장성과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되었다. IPv6 주소는 8개의 16진수 블록으로 구성되며, 각 블록은 콜론(:)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는 유효한 IPv6 주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인터넷 프로토콜들 중에서 OSI 계층 구조상 동일한 계층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IP
  2. RARP
  3. ICMP
  4. UDP
(정답률: 71%)
  • UDP는 OSI 모델에서는 전송 계층에 속하지만, IP, RARP, ICMP는 모두 네트워크 계층에 속합니다. 따라서 UDP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어느 부서 또는 회사의 서브넷에 설정된 서브넷마스크가 '255.255.255.240'이다. 이 때 해당 서브넷에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컴퓨터 대수는?

  1. 11
  2. 12
  3. 13
  4. 14
(정답률: 65%)
  • 서브넷마스크 '255.255.255.240'은 28비트를 네트워크 부분으로 사용하고 4비트를 호스트 부분으로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해당 서브넷에서 사용 가능한 호스트 수는 2^4-2=14개이다. 여기서 2를 빼는 이유는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제외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정답은 "1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UDP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연결형 서비스이다.
  2. ACK를 사용하지 않는다.
  3. 체크섬 필드가 필요없다.
  4. 경량의 오버헤드를 갖는다.
(정답률: 61%)
  • UDP는 데이터 전송 시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ACK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체크섬 필드가 필요없는 이유는 UDP의 헤더에 이미 체크섬 필드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체크섬 필드가 필요없다."는 UDP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IP 데이터그램 전달을 위한 주소 형태 중 IPv4와 비교하여 IPv6에서만 제공되는 서비스는?

  1. Unicasting
  2. Multicasting
  3. Broadcasting
  4. Anycasting
(정답률: 75%)
  • IPv6에서만 제공되는 서비스는 "Anycasting"입니다. Anycasting은 동일한 목적지 주소를 가진 여러 대상 중에서 가장 가까운 대상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더 빠르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집니다. IPv4에서는 Anycasting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TCP 환경에서는 여러 가지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각 프로토콜에 대해 기본적으로 지정되어 사용되고 있는 포트번호로 옳지 않은 것은?

  1. NNTP : 90
  2. TFTP : 69
  3. SMTP : 25
  4. FTP : 21
(정답률: 79%)
  • NNTP는 119번 포트를 사용하며, 이는 옳지 않은 포트번호이다. NNTP는 Usenet 뉴스 그룹을 위한 프로토콜로, 119번 포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7. NIC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0Base-T 이더넷의 경우 연결 케이블의 종류는 동축 케이블이다.
  2. NIC은 물리적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장비로 트랜시버와 MAC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3. NIC에 들어가는 물리주소 (또는 LAN 주소)는 IEEE802.3 이더넷의 경우 6Byte로 되어 있다.
  4. 이더넷 NIC에서 디지털 데이터의 신호변환 방식은 주로 베이스밴드(Baseband) 방식이다.
(정답률: 56%)
  • "10Base-T 이더넷의 경우 연결 케이블의 종류는 동축 케이블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10Base-T 이더넷은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을 사용한다. 동축 케이블은 10Base2 이더넷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필수적인 신호처리 과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호화
  2. 양자화
  3. 정보화
  4. 표본화
(정답률: 81%)
  • 정보화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이 아니기 때문에 필수적인 신호처리 과정이 아닙니다. 부호화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으로, 신호를 일정한 코드로 변환하여 전송합니다. 양자화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 중 하나로,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표본화는 양자화 과정에서 샘플링하는 과정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HDLC 전송 제어 절차에서 사용하는 오류제어 방식은?

  1. Selective Repeat ARQ
  2. Polling
  3. Stop-and-Wait ARQ
  4. Vertical Redundancy Check
(정답률: 66%)
  • HDLC 전송 제어 절차에서 사용하는 오류제어 방식은 "Selective Repeat ARQ"이다. 이는 송신측에서 전송한 프레임 중 수신측에서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만 재전송하는 방식으로, 전체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Stop-and-Wait ARQ" 방식보다 효율적이다. 또한, "Polling"은 통신 회선을 공유하는 여러 대의 단말기들 중 하나가 다른 단말기들에게 순서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며, "Vertical Redundancy Check"는 수신측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수직 패리티 비트를 검사하여 오류를 검출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광통신 전송로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긴 중계기 간격
  2. 대용량 전송
  3. 비전도성
  4. 협대역
(정답률: 72%)
  • 협대역은 광통신 전송로의 특징으로 옳은 것입니다. 이는 광파장이 매우 짧기 때문에 많은 양의 정보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협대역은 광통신에서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긴 중계기 간격", "대용량 전송", "비전도성"은 모두 광통신 전송로의 특징으로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반송파의 진폭을 일정하게 유지한 채 반송파의 주파수를 신호파에 따라 변화시키는 방식은?

  1. FM
  2. AM
  3. PM
  4. PCM
(정답률: 74%)
  • 반송파의 진폭을 일정하게 유지한 채 반송파의 주파수를 신호파에 따라 변화시키는 방식은 "FM"이다. FM은 Frequency Modulation의 약자로, 주파수 변조 방식 중 하나이다. 신호의 진폭은 일정하게 유지되며, 신호의 높낮이에 따라 반송파의 주파수가 변화한다. 이 방식은 AM 방식보다 더 좋은 음질을 제공하며, 잡음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네트워크 계층에서 데이터의 단위는?

  1. 트래픽
  2. 프레임
  3. 세그먼트
  4. 패킷
(정답률: 77%)
  • 네트워크 계층에서 데이터의 단위는 패킷이다. 이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출발지와 목적지의 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어서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패킷은 라우터를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상에서 효율적인 전송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물리층의 역할에 해당하는 것은?

  1. 비트 열 송수신을 위한 신호 관리기능 수행
  2. 링크 간 프레임 전달
  3. 노드 간 경로선택
  4. 종단 간 프레임 연결
(정답률: 66%)
  • 물리층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가장 하위에 위치하며, 비트 열 송수신을 위한 신호 관리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는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된 전기 신호를 다시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물리층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100Mbps의 속도를 토큰 Passing 방법을 채택하며, 이중의 링 구조를 가지는 LAN으로, 전송매체를 광섬유로 사용하는 LAN의 기술방식은?

  1. Token Ring
  2. FDDI(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3. Ethernet
  4. CSMA/CD
(정답률: 73%)
  • FDDI는 광섬유를 사용하는 이중 링 구조의 LAN 기술로, 토큰 Passing 방식을 채택하여 100M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이에 비해 Ethernet은 CSMA/CD 방식을 사용하며, Token Ring은 토큰 Passing 방식을 사용하지만 전송매체로 광섬유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FDDI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CSMA/CA
  2. CSMA/CD
  3. POSIX
  4. Token Pass
(정답률: 54%)
  • POSIX은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이 아니라, 운영 체제 인터페이스 표준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CSMA/CA, CSMA/CD, Token Pass는 모두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기능 중에서 수신측에서 데이터 전송량이나 전송 속도 등을 조절하는 기능은?

  1. Flow Control
  2. Error Control
  3. Sequence Control
  4. Connection Control
(정답률: 83%)
  • "Flow Control"은 수신측에서 데이터 전송량이나 전송 속도 등을 조절하는 기능이다. 이는 송신측에서 너무 많은 데이터를 한 번에 보내는 것을 방지하고, 수신측에서 처리할 수 있는 양의 데이터만 받도록 제어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AP(Access Point) 중심으로 여러 대의 노드가 연결되어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 단위로 형성하는 무선 LAN 방식은?

  1. Infrastructure
  2. Ad-Hoc
  3. Smart
  4. PCMCIA
(정답률: 44%)
  • "Infrastructure"는 AP(Access Point)를 중심으로 노드들이 연결되어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즉, AP가 중심이 되어 노드들이 AP에 연결되어 인터넷에 접속하고 통신하는 방식입니다. 이에 반해 "Ad-Hoc"는 AP 없이 노드들이 서로 직접 연결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방식이며, "Smart"와 "PCMCIA"는 무선 네트워크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NOS

28. Windows 2003 Server에서 지원하는 NTFS 파일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폴더나 파일에 대한 개별적인 허가가 가능하다.
  2. 파일의 압축 저장과 실시간 복구를 지원한다.
  3. Convert.exe 명령을 사용하면 FAT에서 NTFS로, NTFS에서 FAT으로의 상호 변환이 가능하다.
  4. 대용량의 저장 미디어에 적합하다.
(정답률: 61%)
  • "Convert.exe 명령을 사용하면 FAT에서 NTFS로, NTFS에서 FAT으로의 상호 변환이 가능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NTFS 파일시스템으로 변환하면 되돌릴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변환 전에 백업을 권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test.txt라는 파일에 대해 소유자에게는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부여하고 소유그룹에는 읽기와 실행 권한을 부여하고 타인에게는 아무 권한도 부여하지 않을 때 올바른 명령은?

  1. chmod 450 test.txt
  2. chmod 750 test.txt
  3. chmod 457 test.txt
  4. chmod 470 test.txt
(정답률: 83%)
  • 정답은 "chmod 750 test.txt"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chmod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750은 권한을 나타내는 숫자로, 7은 소유자에게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부여하고, 5는 소유그룹에게 읽기와 실행 권한을 부여하며, 0은 타인에게 아무 권한도 부여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이 명령어는 test.txt 파일에 대해 소유자는 모든 권한을 가지고, 소유그룹은 읽기와 실행 권한을 가지며, 타인은 아무 권한도 가지지 않는 권한을 부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Web Server 구축시 Server의 데몬을 스스로 구동하며, 지정된 포트를 점유하면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응답하도록 하는 방법은?

  1. Inetd
  2. Xinetd
  3. Standalone
  4. 슈퍼데몬
(정답률: 64%)
  • Standalone은 Web Server를 독립적으로 실행시키는 방식으로, 서버의 데몬을 스스로 구동하며 지정된 포트를 점유하면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응답한다. 반면에 Inetd나 Xinetd는 서비스 요청이 있을 때마다 해당 서비스를 실행시키는 슈퍼데몬으로, Web Server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매번 요청이 있을 때마다 Inetd나 Xinetd가 Web Server를 실행시켜야 하므로 Standalone보다 느리고 부하가 크다. 따라서 Web Server를 구축할 때는 Standalone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Linux에서 RPM에 사용하는 옵션 '--nodeps'의 의미는?

  1. 어떤 패키지의 의존성을 무시하고 설치하고자 할 때
  2. 디렉터리를 마치 '/' 처럼 생각하고 설치하고자 할 때
  3. 패키지를 실제로 설치하지는 않고 충돌이나 의존성 문제가 있는지만 검사 할 때
  4. 새로운 패키지를 지우고, 구버전의 패키지로 교체 할 때
(정답률: 74%)
  • "어떤 패키지의 의존성을 무시하고 설치하고자 할 때"입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RPM 패키지를 설치할 때 해당 패키지가 의존하는 다른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강제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일부 경우에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icqa@icqa.or.kr'라는 E-Mail 주소와 가장 관련 있는 DNS 레코드는?

  1. SOA
  2. A
  3. CNAME
  4. MX
(정답률: 68%)
  • 정답은 "MX"입니다.

    "icqa@icqa.or.kr"는 이메일 주소이므로, 이메일을 받을 수 있는 서버를 찾기 위해 DNS에서 MX 레코드를 사용합니다. MX 레코드는 도메인 이름에 대한 이메일 서버의 우선순위를 지정합니다. 따라서 "icqa@icqa.or.kr"와 관련된 DNS 레코드는 MX 레코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Linux에서 주어진 명령어의 도움말(매뉴얼)을 출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는?

  1. ps
  2. fine
  3. man
  4. ls
(정답률: 77%)
  • 정답은 "man"이다. "man"은 manual의 약자로, Linux에서 제공하는 명령어들의 도움말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ps"는 프로세스 상태를 출력하는 명령어이고, "find"는 파일을 검색하는 명령어이며, "ls"는 디렉토리 내의 파일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Windows 2003 Server의 DNS 설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DNS 서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고정 IP Address를 가져야 한다.
  2. Administrator 또는 관리자 권한이 있는 계정으로 로그온 한다.
  3. Windows 2003 Server 설치 시 자동으로 설치된다.
  4. Active Directory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설치되어야한다.
(정답률: 38%)
  • Windows 2003 Server 설치 시 자동으로 DNS 서버가 설치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DNS 서버를 설치하려면 별도로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tar로 묶인 'mt.tar'를 풀어내는 명령은?

  1. tar -tvf mt.tar
  2. tar -cvf mt.tar
  3. tar -cvvf mt.tar
  4. tar -xvf mt.tar
(정답률: 75%)
  • 정답은 "tar -xvf mt.tar"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tar: tar 명령어를 실행한다.
    - -x: 압축을 해제한다.
    - -v: 실행 과정을 자세히 출력한다.
    - -f: 파일 이름을 지정한다. 여기서는 mt.tar 파일을 지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Windows 2003 Server에서 FTP 서버를 설정하는 과정 중 옳지 않은 것은?

  1. FTP 서버를 설치하기 위해 고정 IP를 할당 받았다.
  2. FTP 서버가 동작하기 위해 TCP/IP 프로토콜을 설치하였다.
  3. IIS를 설치하였다.
  4. 기존에 80번 포트를 이용하여 운영 중인 웹 서비스와 동시에 운영하기 위해 FTP의 서비스 포트를 80번으로 변경하였다.
(정답률: 64%)
  • 기존에 80번 포트를 이용하여 운영 중인 웹 서비스와 동시에 운영하기 위해 FTP의 서비스 포트를 80번으로 변경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이는 포트 충돌을 일으키고, 웹 서비스와 FTP 서비스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FTP 서비스 포트는 일반적으로 21번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아파치(Apache) 웹 서버 운영시 서비스에 필요한 여러 기능들을 설정하는 파일은?

  1. httpd.conf
  2. htdocs.conf
  3. index.php
  4. index.cgi
(정답률: 79%)
  • httpd.conf 파일은 아파치 웹 서버의 설정 파일로, 서버 운영에 필요한 여러 기능들을 설정할 수 있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을 통해 가상 호스트, 포트, 디렉토리 경로, 모듈 로드 등 다양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파일은 아파치 웹 서버 운영시 서비스에 필수적인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Windows 2003 Server에서 DHCP로부터 받은 IP Address와 TCP/IP의 모든 설정을 해제시키는 명령어와 옵션은?

  1. ipconfig /release
  2. ipconfig /all
  3. ipconfig /flushdns
  4. ipconfig /renew
(정답률: 72%)
  • 정답: "ipconfig /release"

    설명: "ipconfig /release" 명령어는 DHCP로부터 받은 IP 주소와 TCP/IP 설정을 모두 해제시키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사용 중인 IP 주소가 DHCP 서버에 반환되고, 새로운 IP 주소를 받기 전까지 인터넷에 연결할 수 없게 됩니다. "ipconfig /all"은 현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모두 보여주는 명령어이고, "ipconfig /flushdns"는 DNS 캐시를 비우는 명령어입니다. "ipconfig /renew"은 DHCP 서버로부터 새로운 IP 주소를 받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Linux 파티션에 담긴 자료를 윈도우 기반 컴퓨터가 공유하거나, 윈도우 파티션에 담긴 자료를 Linux 기반 컴퓨터가 공유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로 올바른 것은?

  1. SAMBA
  2. BIND
  3. IRC
  4. MySQL
(정답률: 79%)
  • SAMBA는 Linux와 Windows 간의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가능하게 해주는 서비스이다. Linux에서 SAMBA를 설치하면 Windows에서 Linux의 파일에 접근할 수 있고, Windows에서 SAMBA를 설치하면 Linux에서 Windows의 파일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Linux와 Windows 간의 상호 운용성을 높이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DHCP 서비스 이용 시 이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새 컴퓨터를 구성 할 때 다시 사용되는 IP Address와 충돌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2. 관리자의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에 대한 부담을 덜어 관리효율성 및 TCO(Total Cost of Ownership: 총소유비용)를 절감한다.
  3. 위치를 자주 바꾸는 이동 또는 휴대용 컴퓨터 사용자에게 적합하다.
  4. 네트워크의 컴퓨터를 구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정답률: 66%)
  • DHCP 서비스를 이용하면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받아 네트워크 구성이 간편해지고, 관리자의 작업 부담을 줄이며, 이동 또는 휴대용 컴퓨터 사용자에게 적합하며, 네트워크 구성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점 중 "새 컴퓨터를 구성 할 때 다시 사용되는 IP Address와 충돌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은 옳지 않다. DHCP 서버는 IP 주소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이미 할당된 IP 주소를 추적하고, 새로운 장치에 대해 중복되는 IP 주소를 할당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따라서 DHCP 서비스를 이용하면 IP 주소 충돌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Linux의 'vi' 에디터 명령 모드 작업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저장하는 방법은 ':q' 라고 하면 된다.
  2. 저장하지 않고 끝내는 방법은 ':wq!' 이다.
  3. 문서에 행 번호 붙이기는 ':set nu' 라고 하면 된다.
  4. 한 줄 삭제 명령은 'dw' 이다.
(정답률: 72%)
  • ':set nu' 명령은 문서에 행 번호를 붙이는 명령이기 때문에 올바른 설명이다. ':q'는 저장하지 않고 끝내는 명령, ':wq!'는 저장하고 끝내는 명령, 'dw'는 한 줄 삭제 명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Windows 2003 Server의 Active Directory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보 보안
  2. 정책 기반 관리
  3. 확장성
  4. DNS와의 분리
(정답률: 58%)
  • Windows 2003 Server의 Active Directory 기능에서 DNS와의 분리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Active Directory의 기능 중 하나인 DNS 서비스와의 통합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DNS와의 분리는 Active Directory의 기능을 제한하고, 관리 및 유지 보수를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Linux 시스템에서는 하드디스크 및 USB, CD-ROM 등을 마운트(Mount) 해야만 사용할 수 있다. 시스템 부팅시 이와 같은 파일시스템을 자동으로 마운트하기 위한 설정 파일로 올바른 것은?

  1. /etc/fstab
  2. /etc/services
  3. /etc/filesystem
  4. /etc/mount
(정답률: 58%)
  • "/etc/fstab"은 Linux 시스템에서 파일시스템을 자동으로 마운트하기 위한 설정 파일이다. 이 파일에는 시스템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할 파일시스템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수동으로 마운트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따라서 "/etc/fstab"이 올바른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Linux에서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디렉터리로 옳지 않은 것은?

  1. /etc
  2. /root
  3. /grep
  4. /home
(정답률: 74%)
  • 정답은 "/grep"입니다.

    이유는 Linux에서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디렉터리 중에는 "/etc", "/root", "/home"이 있지만, "/grep"은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디렉터리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grep"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생성하는 디렉터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SQL문에서 데이터의 수정을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는?

  1. select
  2. insert
  3. update
  4. delete
(정답률: 68%)
  • SQL문에서 "update"는 데이터의 수정을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테이블의 기존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select"는 데이터를 조회할 때 사용하고, "insert"는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할 때 사용합니다. "delete"는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삭제할 때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LAN to LAN 연결에서 계층 4 이상에서 서로 다른 LAN을 연결하려고 할 때 필요한 장치는?

  1. Repeater
  2. Gateway
  3. Bridge
  4. Router
(정답률: 71%)
  • LAN to LAN 연결에서 서로 다른 LAN을 연결하려면 IP 주소가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라우터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Router"입니다. "Gateway"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스테틱 라우팅(Static Routing)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라우팅 경로가 자주 변경되거나 라우터가 자주 추가되는 상황에 적합하다.
  2. 라우터의 메모리 낭비가 적어 메모리 사용에 유리하다.
  3. 일반적으로 다이나믹 라우팅 프로토콜에 비해 우선순위가 높다.
  4. 우회 경로가 없는 Stub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에 좋은 프로토콜이다.
(정답률: 74%)
  • "라우팅 경로가 자주 변경되거나 라우터가 자주 추가되는 상황에 적합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스테틱 라우팅은 라우팅 경로가 변경되거나 라우터가 추가되는 경우 수동으로 업데이트해야 하므로, 이러한 상황에서는 유연성이 떨어지고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테틱 라우팅은 라우팅 경로가 거의 변경되지 않는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Ethernet에서 UTP(10BaseT) Cable의 최대 Segment 길이는?

  1. 200m
  2. 185m
  3. 500m
  4. 100m
(정답률: 76%)
  • UTP(10BaseT) Cable은 Ethernet에서 사용되는 케이블 중 하나로, 최대 Segment 길이는 100m입니다. 이는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발생하는 신호 감쇠와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한 거리입니다. 따라서 100m 이상의 길이에서는 신호의 품질이 저하되어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라우터에서 경로를 찾는 데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1. RIP
  2. OSPF
  3. IPX
  4. EIGRP
(정답률: 77%)
  • IPX는 라우팅 프로토콜이 아니라 네트워크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입니다. RIP, OSPF, EIGRP는 모두 라우팅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오류 제어에서 Parity가 있는 디스크 스트래핑 방법은?

  1. RAID 0
  2. RAID 1
  3. RAID 3
  4. RAID 5
(정답률: 74%)
  • Parity-based disk striping is a method of error control in which parity information is stored across multiple disks to allow for data recovery in case of disk failure. Among the given options, RAID 5 is the only one that uses parity-based disk striping. RAID 0 does not use parity at all, RAID 1 uses mirroring instead of striping, RAID 3 uses dedicated parity disks instead of distributed parity, and RAID 5 uses distributed parity across all disks in the array.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정보보호개론

51. Windows 2003 Server에서 감사 정책 계획에 의해 감사할 수 없는 이벤트 유형은?

  1. 사용자 로그온 및 로그오프
  2. 컴퓨터의 종료 및 재시작
  3. 네트워크 공격자 침입 시도
  4. Active Directory 개체의 변경 시도
(정답률: 64%)
  • 감사 정책 계획에 의해 감사할 수 없는 이벤트 유형은 "네트워크 공격자 침입 시도"입니다. 이유는 이벤트 로그에 기록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벤트 로그에는 시스템 및 사용자 활동과 관련된 정보가 기록되지만, 네트워크 공격자 침입 시도는 시스템 자체의 보안 문제로 인해 이벤트 로그에 기록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벤트 로그를 통해 감사할 수 없는 이벤트 유형 중 하나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Linux에서 사용자 계정 생성 시 사용자의 비밀번호 정보가 실제로 저장되는 곳은?

  1. /usr/local
  2. /etc/password
  3. /etc/shadow
  4. /usr/password
(정답률: 64%)
  • "/etc/shadow" 파일은 Linux 시스템에서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root 계정만이 읽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암호화하여 저장합니다. 따라서 보안상의 이유로 "/etc/shadow" 파일은 "/etc/password" 파일과 같은 일반적인 위치에 저장되지 않고, 더욱 안전한 위치에 저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시스템 침투 형태 중 IP Address를 접근 가능한 IP Address로 위장하여 침입하는 방식은?

  1. Sniffing
  2. Fabricate
  3. Modify
  4. Spoofing
(정답률: 56%)
  • IP Spoofing은 공격자가 자신의 IP 주소를 위조하여 다른 컴퓨터에 접근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Spoofing"입니다. "Sniffing"은 패킷을 가로채는 것을 의미하며, "Fabricate"는 데이터를 조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Modify"는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DoS(Denial of Service)의 개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량의 패킷을 목적지 서버로 전송하여 서비스를 불가능하게 하는 행위
  2. 로컬 호스트의 프로세스를 과도하게 fork 함으로써 서비스에 장애를 주는 행위
  3. 서비스 대기 중인 포트에 특정 메시지를 다량으로 보내 서비스를 불가능하게 하는 행위
  4. Internet Explorer를 사용하여 특정권한을 취득하는 행위
(정답률: 73%)
  • "DoS(Denial of Service)의 개념으로 옳지 않은 것은? Internet Explorer를 사용하여 특정권한을 취득하는 행위"는 DoS 공격과는 관련이 없는 행위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DoS 공격은 다량의 패킷을 목적지 서버로 전송하여 서비스를 불가능하게 하는 행위, 로컬 호스트의 프로세스를 과도하게 fork 함으로써 서비스에 장애를 주는 행위, 서비스 대기 중인 포트에 특정 메시지를 다량으로 보내 서비스를 불가능하게 하는 행위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전자우편 보안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송신 부인 방지(Non-Repudation of Origin)
  2. 메시지 무결성(Message Integrity)
  3. 패킷 필터링(Packet Filtering)
  4. 기밀성(Confidentiality)
(정답률: 68%)
  • 패킷 필터링은 전자우편 보안 요소 중 하나가 아니라 네트워크 보안 요소에 해당한다. 패킷 필터링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석하여 특정한 규칙에 따라 패킷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패킷 필터링은 전자우편 보안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공개키 암호화 방식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암호화와 복호화시 같은 키를 사용한다.
  2. 수신된 데이터의 부인 봉쇄 기능은 지원하지 않는다.
  3. 전자 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4. 비밀키 암호화 방식보다 처리 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47%)
  • 공개키 암호화 방식은 암호화와 복호화에 사용하는 키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수신자는 자신의 비밀키를 사용하여 복호화할 수 있고, 송신자는 수신자의 공개키를 사용하여 암호화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전자 서명의 구현이 가능하다. 전자 서명은 송신자가 자신의 비밀키로 암호화한 데이터를 수신자가 송신자의 공개키로 복호화하여 인증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웹의 보안 기술 중에서, 네트워크 내에서 메시지 전송의 안전을 관리하기 위해 네스케이프에서 만들어진 프로토콜로 HTTP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RSA 암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정보를 새로운 암호화 소켓으로 전송하는 방식은?

  1. PGP
  2. SSL
  3. STT
  4. SET
(정답률: 75%)
  • SSL은 네트워크 내에서 메시지 전송의 안전을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로, HTTP에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RSA 암호화 기법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정보를 새로운 암호화 소켓으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의 안전한 전송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SSL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전자 우편 보안 기술의 종류에 해당하는 것은?

  1. PEM(Privacy Enhanced Mail)
  2. S/MIME(Secure 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3. PGP(Pretty Good Privacy)
  4. SMTP
(정답률: 47%)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PGP(Pretty Good Privacy)의 로고이다. PGP는 전자우편 보안 기술 중 하나로, 암호화와 전자서명 기능을 제공하여 전자우편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호한다. PEM과 S/MIME도 전자우편 보안 기술이지만, 이미지에서는 PGP의 로고만 보이므로 정답은 PGP이다. SMTP는 전자우편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Linux 커널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넷필터(Net Filter)를 이용하여 방화벽을 구성할 수 있는 패킷 제어 프로그램은?

  1. iptables
  2. nmap
  3. fcheck
  4. chkrootkit
(정답률: 69%)
  • iptables는 Linux 커널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넷필터(Net Filter)를 이용하여 방화벽을 구성할 수 있는 패킷 제어 프로그램이다. 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특정 포트나 IP 주소를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등의 패킷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iptable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내ㆍ외부 정보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차단하기 위해 해커 침입 패턴에 대한 추적과 유해 정보를 감시하는 보안 시스템은?

  1. IDS
  2. FireWall
  3. L7 Switch
  4. ESM
(정답률: 69%)
  • IDS는 Intrusion Detection System의 약자로, 해커 침입 패턴을 추적하고 유해 정보를 감시하는 보안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내ㆍ외부 정보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FireWall은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방화벽이며, L7 Switch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관리하는 스위치입니다. ESM은 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의 약자로, 기업 보안 관리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들은 IDS와는 목적과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정답은 ID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