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4-06)

네트워크관리사 1급
(2014-04-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TCP/IP

1. 10.0.0.0/8 인 네트워크에서 115개의 서브넷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서브넷 마스크는?

  1. 255.0.0.0
  2. 255.128.0.0
  3. 255.224.0.0
  4. 255.254.0.0
(정답률: 58%)
  • 10.0.0.0/8 네트워크에서 115개의 서브넷을 만들기 위해서는 2의 7승보다 큰 128개의 서브넷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7비트를 추가로 할당해야 하므로 서브넷 마스크는 255.254.0.0이 됩니다. 이는 16비트의 네트워크 부분과 15비트의 서브넷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IGMP에서 IP 그룹동보통신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IP 호스트는 IP 그룹동보통신에 동적으로 언제든지 참여하거나 나갈 수 있다.
  2. IP 그룹동보통신의 주소는 시작지의 주소만 있지 목적지의 주소는 나타나지 않는다.
  3. 224.0.0.1은 예약된 주소로 그룹의 모든 호스트를 의미한다.
  4. 모든 그룹동보통신에서의 주소는 D Class의 IP Address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정답률: 70%)
  • "IP 그룹동보통신의 주소는 시작지의 주소만 있지 목적지의 주소는 나타나지 않는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IP 그룹동보통신에서는 그룹의 주소가 목적지 주소로 사용되며, 이 주소는 D Class의 IP Address에 기반을 두고 있다. 따라서, 그룹의 모든 호스트를 의미하는 224.0.0.1과 같은 주소를 목적지 주소로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SMTP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두 호스트 간 메시지 전송을 제공한다.
  2. 네트워크의 구성원에 패킷을 보내기 위한 하드웨어 주소를 정한다.
  3. 전송에 대해 TCP를 사용한다.
  4. 인터넷상에서 전자우편(E-Mail)의 전송을 규정한다.
(정답률: 67%)
  • SMTP는 전송에 대해 TCP를 사용하는 것이 맞으나, 옳지 않은 설명은 "네트워크의 구성원에 패킷을 보내기 위한 하드웨어 주소를 정한다." 입니다. 이는 MAC 주소를 정하는 역할을 하는 ARP 프로토콜의 역할입니다. SMTP는 전자우편(E-Mail)의 전송을 규정하고, 두 호스트 간 메시지 전송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UDP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가상선로 개념이 없는 비연결형 프로토콜이다.
  2. TCP보다 전송속도가 느리다.
  3. 각 사용자는 16비트의 포트번호를 할당받는다.
  4. 데이터전송이 블록 단위이다.
(정답률: 79%)
  • UDP는 TCP보다 전송속도가 빠르고, 가상선로 개념이 없는 비연결형 프로토콜이며, 각 사용자는 16비트의 포트번호를 할당받습니다. 따라서, "TCP보다 전송속도가 느리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UDP는 데이터전송이 블록 단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데이터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TCP보다 더 빠른 전송속도를 보입니다. 하지만, 데이터의 크기가 크거나, 전송 중 손실이 발생할 경우에는 TCP보다 느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TCP/IP 계층과 OSI 7 Layer를 비교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TCP 프로토콜은 OSI 7 Layer의 전송계층에 해당한다.
  2. IP 프로토콜은 OSI 7 Layer의 네트워크계층에 해당한다.
  3. FTP는 OSI 7 Layer의 응용계층에 해당한다.
  4. HTTP 프로토콜은 OSI 7 Layer의 표현계층에 해당한다.
(정답률: 66%)
  • 정답은 "HTTP 프로토콜은 OSI 7 Layer의 표현계층에 해당한다." 이다. HTTP 프로토콜은 OSI 7 Layer의 응용계층에 해당한다. OSI 7 Layer에서 표현계층은 데이터의 표현 방식을 다루는 계층으로, 데이터의 압축, 암호화, 인코딩 등을 처리한다. HTTP 프로토콜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표현계층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ARP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TCP/IP 프로토콜에서 데이터의 전송 서비스를 규정한다.
  2. TCP/IP 프로토콜의 IP에서 접속 없이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는 기능을 규정한다.
  3. 네트워크의 구성원에 패킷을 보내기 위하여 IP Address를 하드웨어 주소로 변경한다.
  4. 인터넷상에서 전자우편(E-Mail)의 전송을 규정한다.
(정답률: 72%)
  • ARP는 네트워크의 구성원에 패킷을 보내기 위하여 IP Address를 하드웨어 주소로 변경하는 프로토콜이다. 이를 통해 패킷이 목적지에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DN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DNS는 최상위에 루트 노드를 갖는 계층구조의 트리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최대 128 개의 계층(level)을 가질 수 있다.
  2. DNS에서 1차 서버 (Primary Server)는 자신의 권역(Zone)에 대한 정보의 생성, 관리, 업데이트를 맡고 있다.
  3. DNS 메시지에는 모두 쿼리(Query)와 응답(Response)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4. DNS에서는 하위 계층 프로토콜로써 UDP만 사용한다.
(정답률: 71%)
  • DNS에서는 TCP와 UDP 두 가지 프로토콜을 모두 사용한다. DNS 메시지의 크기가 512바이트를 넘어가는 경우 TCP를 사용하며, 그 외의 경우에는 UDP를 사용한다. 따라서 "DNS에서는 하위 계층 프로토콜로써 UDP만 사용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TCP 환경에서는 여러 가지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각 프로토콜에 대해 기본적으로 지정되어 사용되고 있는 포트번호로 옳지 않은 것은?

  1. NNTP : 90
  2. TFTP : 69
  3. SMTP : 25
  4. FTP : 21
(정답률: 66%)
  • NNTP는 119번 포트를 사용하며, 90번 포트는 다른 프로토콜과 충돌할 수 있으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NNTP는 Usenet 뉴스 그룹을 사용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TCP/IP 망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호스트간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전달하여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표준 프로토콜은?

  1. FTP
  2. ICMP
  3. SNMP
  4. SMTP
(정답률: 65%)
  • SNMP는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로, TCP/IP 망을 기반으로 하는 호스트간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전달하여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다른 프로토콜들은 파일 전송, 에러 검사, 이메일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SNMP는 네트워크 장비들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데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관리자들은 SNMP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비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빠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IPv4 헤더내 필드의 내용 중 해당 패킷이 분할된 조각 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게 하는 것은?

  1. 'Identification' 필드 = 1000
  2. 'Do Not Fragment' 비트 = 0
  3. 'More Fragment' 비트 = 0
  4. 'Fragment Offset' 필드 = 1000
(정답률: 53%)
  • IPv4 패킷이 분할되면, 각각의 조각은 'Identification' 필드 값이 동일하게 설정되고, 'Do Not Fragment' 비트가 0으로 설정되며, 'More Fragment' 비트가 1로 설정된다. 또한, 'Fragment Offset' 필드는 해당 조각이 원래 패킷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Fragment Offset' 필드 = 1000"은 해당 패킷이 원래 패킷에서 1000번째 바이트 이후의 조각임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Windows 2003 Server에서 TCP/IP 설정시 지정해야 할 구성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1. DNS
  2. Gateway
  3. 연결대상 컴퓨터이름
  4. IP Address
(정답률: 72%)
  • 정답: "연결대상 컴퓨터이름"

    설명: TCP/IP 설정에서 지정해야 할 구성요소는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DNS 서버 등이 있습니다. "연결대상 컴퓨터이름"은 DNS 서버를 통해 IP 주소로 변환되므로 직접 지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옳지 않은 구성요소는 "연결대상 컴퓨터이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TCP 세션의 성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세션 성립은 TCP Three-Way Handshake 응답 확인 방식이라 한다.
  2. 실제 순서번호는 송신 호스트에서 임의로 선택된다.
  3. 세션 성립을 원하는 컴퓨터가 ACK 플래그를 '0'으로 설정하는 TCP 패킷을 보낸다.
  4. 송신 호스트는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것을 확인하기까지는 복사본을 유지한다.
(정답률: 69%)
  • "세션 성립을 원하는 컴퓨터가 ACK 플래그를 '0'으로 설정하는 TCP 패킷을 보낸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세션 성립을 원하는 컴퓨터는 SYN 플래그를 '1'로 설정하는 TCP 패킷을 보내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대방 컴퓨터는 SYN/ACK 플래그를 '1'로 설정한 TCP 패킷을 보내고, 마지막으로 세션을 성공적으로 성립하기 위해 세 번째로 SYN 플래그를 '1'로 설정한 TCP 패킷을 보내는 과정을 거친다. 이를 TCP Three-Way Handshake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B Class '128.10.0.0' 주소를 갖는 곳에서 Host 수 150개, 물리적인 망 100개를 구성할 경우 잘못된 것은?

  1. 물리적인 망 구조를 고려할 필요 없이 host ID 부분에 1~150까지 주소를 할당한다.
  2. 물리적인 망 100개가 구성되므로 라우터도 100대가 필요하고 이에 대해 개별적인 host주소를 지정하여 관리한다.
  3. 150개 호스트 사이에 있는 모든 라우터는 각 호스트가 존재하는 위치를 알아야 한다.
  4. 새로운 호스트가 추가되면 라우터의 라우팅 정보를 갱신해야 한다.
(정답률: 54%)
  • 정답은 "물리적인 망 구조를 고려할 필요 없이 host ID 부분에 1~150까지 주소를 할당한다."입니다.

    이유는 B 클래스 주소인 128.10.0.0은 네트워크 ID 부분이 16비트이므로 호스트 ID 부분이 16비트입니다. 따라서 호스트 수가 150개이므로 호스트 ID 부분에 8비트(2^8=256)를 할당하여 충분합니다. 따라서 물리적인 망 구조를 고려할 필요 없이 호스트 ID 부분에 1~150까지 주소를 할당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물리적인 망 100개가 구성되므로 라우터도 100대가 필요하고 이에 대해 개별적인 호스트 주소를 지정하여 관리해야 합니다. 이는 각 망의 경계를 구분하고 라우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또한 새로운 호스트가 추가되면 라우터의 라우팅 정보를 갱신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IPv6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Pv6는 IPng(Next Generation IP)로 개발된 버전 중의 하나이다.
  2. IPv6는 일련의 IETF 공식 규격이다.
  3. IPv6는 IP Address의 길이가 256bit이다.
  4. IPv4에 비해 주소 길이가 증가하고 보안, 실시간 전송, 흐름 제어 등이 고려되었다.
(정답률: 82%)
  • IPv6는 IP Address의 길이가 256bit가 아니라 128bi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IP Address가 '165.132.10.21'일 때 해당 Class와 사설 IP 대역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단, 서브넷 마스크는 Class에 맞는 기본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한다.)

  1. B Class , 사설 IP 대역 : 172.16.0.0 ~ 172.31.255.255
  2. B Class , 사설 IP 대역 : 162.32.0.0 ~ 162.192.255.255
  3. A Class , 사설 IP 대역 : 10.0.0.0 ~ 10.255.255.255
  4. C Class , 사설 IP 대역 : 192.168.0.0 ~ 192.168.255.255
(정답률: 65%)
  • IP 주소 '165.132.10.21'은 첫 번째 옥텟이 128보다 크고 두 번째 옥텟이 192보다 작으므로 B 클래스에 속한다. B 클래스의 기본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0.0이며, 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구분할 수 있다.

    사설 IP 대역은 인터넷에서 사용되지 않는 IP 대역으로,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된다. B 클래스의 사설 IP 대역은 172.16.0.0 ~ 172.31.255.255이다. 따라서, IP 주소 '165.132.10.21'은 B 클래스에 속하고, 사설 IP 대역은 172.16.0.0 ~ 172.31.255.25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IPv6 헤더 형식에서 네트워크 내에서 혼잡 상황이 발생되어 데이터그램을 버려야 하는 경우 참조되는 필드는?

  1. Version
  2. Priority
  3. Next Header
  4. Hop Limit
(정답률: 57%)
  • IPv6 헤더에서 데이터그램을 버리는 경우에는 Priority 필드가 참조됩니다. Priority 필드는 데이터그램의 우선순위를 나타내며, 네트워크 내에서 혼잡 상황이 발생할 경우 우선순위가 낮은 데이터그램부터 버려지게 됩니다. 따라서 Priority 필드가 혼잡 제어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7. 브로드캐스트(Broadcast)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어떤 특정 네트워크에 속한 모든 노드에 대하여 데이터 수신을 지시할 때 사용한다.
  2. 단일 호스트에 할당이 가능하다.
  3. 서브네트워크로 분할할 때 이용된다.
  4. 호스트의 Bit가 전부 '0'일 경우이다.
(정답률: 80%)
  • 브로드캐스트는 어떤 특정 네트워크에 속한 모든 노드에 대하여 데이터 수신을 지시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는 모든 호스트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 유용하며, 단일 호스트에 할당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전체에 대한 명령이기 때문에 서브네트워크로 분할할 때 이용된다거나 호스트의 Bit가 전부 '0'일 경우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비동기 데이터(Asynchronous Data) 전송에 필요한 신호는?

  1. 처음과 마지막 자료(start/stop)
  2. 인터럽트(Interrupt)
  3. 상태자료(Status)
  4. 캐리(Carry)
(정답률: 77%)
  • 비동기 데이터 전송에서는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신호가 필요합니다. 이는 데이터를 구분하고, 전송 중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따라서 "처음과 마지막 자료(start/stop)"가 비동기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신호입니다. 인터럽트, 상태자료, 캐리는 비동기 데이터 전송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광섬유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스텝 인덱스(Step Index)
  2. 그레이드 인덱스(Graded Index)
  3. 단일모드(Single Mode)
  4. 복합모드(Complex Mode)
(정답률: 39%)
  • 복합모드(Complex Mode)는 광섬유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광섬유에서 여러 개의 모드가 동시에 전파되는 형태로, 실용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스텝 인덱스(Step Index)는 광섬유의 핵과 주변부의 굴절률 차이가 큰 형태, 그레이드 인덱스(Graded Index)는 핵과 주변부의 굴절률 차이가 서서히 변하는 형태, 단일모드(Single Mode)는 광섬유에서 하나의 모드만 전파되는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디지털 변조로 옳지 않은 것은?

  1. ASK
  2. FSK
  3. PM
  4. QAM
(정답률: 65%)
  • 디지털 신호를 변조하는 방식 중에서 PM(Phase Modulation)은 신호의 위상을 변조하는 방식으로, 신호의 진폭과 주파수는 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PM은 민감하게 변조되어 수신기에서 복조하기 어렵기 때문에 옳지 않은 디지털 변조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주파수 분할 다중화 기법을 이용해 하나의 전송매체에 여러 개의 데이터 채널을 제공하는 전송방식은?

  1. 브로드밴드 전송방식
  2. 내로우밴드 전송방식
  3. 베이스밴드 전송방식
  4. 하이퍼밴드 전송방식
(정답률: 74%)
  • 주파수 분할 다중화 기법은 전송매체의 대역폭을 분할하여 각각의 채널에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을 이용해 하나의 전송매체에 여러 개의 데이터 채널을 제공하는 전송방식을 브로드밴드 전송방식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브로드밴드 전송방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OSI 7 Layer에 Protocol을 연결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Application : FTP, SNMP, Telnet
  2. Transport : TCP, SPX, UDP
  3. DataLink : NetBIOS, NetBEUI
  4. Network : ARP, DDP, IPX, IP
(정답률: 57%)
  • DataLink Layer에는 NetBIOS와 NetBEUI와 같은 Protocol이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NetBIOS와 NetBEUI는 Network Layer에서 사용되는 Protoco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패킷 교환 방식의 단점이 아닌 것은?

  1. 선로 장애 시 복구가 어렵다
  2. 교환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가 복잡하다
  3. 큐잉 지연이 존재한다
  4. 각 패킷마다 주소를 위한 오버헤드가 존재한다
(정답률: 38%)
  • 선로 장애 시 복구가 어렵다는 것은, 패킷 교환 방식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선로 중 하나가 고장이 나면 그 선로를 대체할 수 있는 백업 선로가 없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이 중단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패킷 교환 방식의 단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OSI 7 계층 모델의 3계층 네트워크 기능인 경로설정과 스위칭을 수행하는 것은?

  1. 라우터
  2. 브리지
  3. 리피터
  4. 게이트웨이
(정답률: 68%)
  • 라우터는 OSI 7 계층 모델의 3계층 네트워크 기능인 경로설정과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는 유일한 장비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라우터는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확인하고, 해당 목적지까지 가는 경로를 결정하여 패킷을 전송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라우터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성형 토폴로지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앙 제어 노드가 통신상의 모든 제어를 관리한다.
  2. 설치가 용이하나 비용이 많이 든다.
  3. 중앙 제어노드 작동불능 시 전체 네트워크가 정지한다.
  4. 모든 장치를 직접 쌍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정답률: 64%)
  • "모든 장치를 직접 쌍으로 연결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특징이다. 이는 망이 커질수록 연결선이 많아지고 복잡해지며, 유지보수와 확장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성형 토폴로지에서는 중앙 제어 노드를 통해 각 장치들을 연결하고 관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무선 랜의 구성 방식 중 무선 랜카드를 가진 컴퓨터간의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작동하는 방식은?

  1. Infrastructure 방식
  2. AD Hoc 방식
  3. AP 방식
  4. CDMA 방식
(정답률: 56%)
  • AD Hoc 방식은 무선 랜카드를 가진 컴퓨터간의 직접적인 연결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인프라스트럭처나 AP와 같은 중계 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간단하고 빠르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OSI 7 계층 중 비트를 데이터 프레임으로 전환하며, 순환 잉여 검사(CRC)를 수행하는 계층은?

  1. 트랜스포트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데이터링크 계층
  4. 물리적 계층
(정답률: 73%)
  • 데이터링크 계층은 비트를 데이터 프레임으로 전환하고, 프레임에 대한 오류 검사를 수행하는 계층입니다. 이 때 순환 잉여 검사(CRC)를 이용하여 오류를 검사하고 수정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링크 계층이 비트를 프레임으로 전환하며, CRC를 수행하는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NOS

28. Windows 2003 Server에서 프린터를 추가하고 공유하기 위해 사용할 수 없는 계정은?

  1. Administrator
  2. Server Operator
  3. Printer Operator
  4. Replicator
(정답률: 69%)
  • "Replicator" 계정은 파일 및 디렉토리 복제를 위한 서비스 계정으로, 프린터 관리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프린터를 추가하고 공유하기 위해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Replicato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자신의 Linux 서버에 네임서버 운영을 위한 BIND Package가 설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해 보기 위한 명령어는?

  1. #rpm -qa l grep bind
  2. #rpm -ap l grep bind
  3. #rpm -qe l grep bind
  4. #rpm -ql l grep bind
(정답률: 65%)
  • 정답은 "#rpm -qa l grep bind"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rpm -qa: 현재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를 나열하는 명령어이다.
    - l: 나열된 패키지들의 정보를 자세히 보여주는 옵션이다.
    - grep bind: 패키지 이름 중 "bind"라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패키지들만 필터링하여 보여준다.

    따라서,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시스템에 설치된 BIND Package의 정보를 자세히 보여준다. 이를 통해 BIND Package가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Windows 2003 Server의 공유 폴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유 폴더의 권한은 각각의 파일이 아니라 공유 폴더 전체에만 적용 될 수 있다.
  2. 공유 폴더란 시스템 사용자가 네트워크의 다른 사용자가 접근 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한 폴더를 의미한다.
  3. 기본 공유 폴더의 권한은 '모든 권한'이며, 폴더를 공유할 때 'Users' 그룹에 할당 된다.
  4. Admin$는 기본적으로 공유되어 있는 폴더로 운영체제의 기본 폴더이며 관리자 그룹만 접근 할 수 있다.
(정답률: 34%)
  • 정답은 "공유 폴더의 권한은 각각의 파일이 아니라 공유 폴더 전체에만 적용 될 수 있다."이다.

    기본 공유 폴더의 권한은 '모든 권한'이며, 폴더를 공유할 때 'Users' 그룹에 할당 된다. 이는 Windows 2003 Server에서 공유 폴더를 설정할 때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설정이다. 공유 폴더란 시스템 사용자가 네트워크의 다른 사용자가 접근 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한 폴더를 의미한다. Admin$는 기본적으로 공유되어 있는 폴더로 운영체제의 기본 폴더이며 관리자 그룹만 접근 할 수 있다. 하지만 공유 폴더의 권한은 각각의 파일이 아니라 공유 폴더 전체에만 적용 될 수 있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공유 폴더 내의 각 파일에 대한 권한 설정은 파일 자체의 속성에서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DNS의 Zone 파일 내용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1. Serial
  2. Refresh
  3. Retry
  4. Nslookup
(정답률: 75%)
  • DNS의 Zone 파일은 도메인 이름과 해당 도메인에 대한 IP 주소를 매핑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파일에는 일련 번호(Serial), 새로고침(Refresh), 재시도(Retry)와 같은 정보가 포함됩니다. 그러나 Nslookup은 DNS 쿼리 도구로, DNS 서버에 질의하여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 주소를 검색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Nslookup은 Zone 파일 내용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DNS가 URL 'icqa.or.kr'을 IP Address '211.111.144.240'으로 서비스하고 있을 때 DNS 설정 항목을 수정하여 'test.icqa.or.kr'로 외부에 서비스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방법은?

  1. DNS MX 레코드를 추가한다.
  2. DNS A 레코드를 추가한다.
  3. DNS REVERSE 영역을 추가한다.
  4. 서비스 할 수 없다.
(정답률: 65%)
  • 정답은 "DNS A 레코드를 추가한다."입니다.

    DNS A 레코드는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레코드입니다. 따라서 'test.icqa.or.kr' 도메인을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DNS A 레코드를 추가하여 해당 도메인 이름을 '211.111.144.240' IP 주소와 매핑해야 합니다. DNS MX 레코드는 메일 서버를 지정하는 레코드이며, DNS REVERSE 영역은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하는 레코드입니다. 이 경우에는 해당 도메인 이름을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DNS A 레코드를 추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Linux에서 'ifconfig'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동작시키려고 한다. 명령어에 대한 사용이 올바른 것은?

  1. ifconfig 192.168.2.4 down
  2. ifconfig eth0 192.168.2.4 up
  3. ifconfig -up eth0 192.168.2.4
  4. ifconfig up eth0 192.168.2.4
(정답률: 70%)
  • 정답은 "ifconfig eth0 192.168.2.4 up"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ifconfig 192.168.2.4 down": 이 명령어는 인터페이스를 내리는(down) 명령어이다. IP 주소를 설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올바르지 않다.
    - "ifconfig -up eth0 192.168.2.4": 옵션(-up)과 인터페이스 이름(eth0)의 위치가 바뀌어 올바르지 않다.
    - "ifconfig up eth0 192.168.2.4": 옵션(up)과 인터페이스 이름(eth0)의 위치가 바뀌어 올바르지 않다.
    - "ifconfig eth0 192.168.2.4 up": 이 명령어는 eth0 인터페이스에 IP 주소를 설정하고(up) 활성화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올바른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Windows 2003 Server에서 www.icqa.or.kr의 IP Address를 얻기 위한 콘솔 명령어는?

  1. ipconfig www.icqa.or.kr
  2. netstat www.icqa.or.kr
  3. find www.icqa.or.kr
  4. nslookup www.icqa.or.kr
(정답률: 75%)
  • 정답은 "nslookup www.icqa.or.kr"입니다.

    이유는 nslookup은 DNS 서버에 질의하여 도메인 이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아주는 명령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www.icqa.or.kr의 IP 주소를 얻기 위해서는 nslookup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ipconfig은 현재 컴퓨터의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이고, netstat은 현재 열려있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find는 파일 내에서 특정 문자열을 찾는 명령어이므로, www.icqa.or.kr의 IP 주소를 얻기 위해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Linux에서 주어진 명령어의 도움말(매뉴얼)을 출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는?

  1. ps
  2. fine
  3. man
  4. ls
(정답률: 69%)
  • 정답은 "man"이다. "man"은 manual의 약자로, Linux에서 제공하는 명령어들의 도움말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ps"는 프로세스 상태를 출력하는 명령어이고, "find"는 파일을 검색하는 명령어이며, "ls"는 디렉토리 내의 파일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Windows 2003 Server의 그룹 정책을 사용하면 컴퓨터 관리자에 상당한 편리성을 제공하는데, 그룹 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안의 문제로 인해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기본 그룹은 존재치 않으며 사용자가 직접 만들어 사용한다.
  2. 로컬 그룹은 도메인 컨트롤러가 아닌 컴퓨터에서 만들 수 있는 그룹이다.
  3. 도메인 로컬 그룹은 로컬 도메인과 함께 다른 도메인의 사용자도 가입할 수 있다.
  4. 글로벌 그룹은 로컬 도메인의 사용자만 가입할 수 있다.
(정답률: 38%)
  • "보안의 문제로 인해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기본 그룹은 존재치 않으며 사용자가 직접 만들어 사용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기본 그룹을 시스템에서 제공하면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만들어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Linux의 'vi' 명령어 중 변경된 내용을 저장한 후 종료하고자 할 때 사용해야 할 명령어는?

  1. :wq
  2. :q!
  3. :e!
  4. $
(정답률: 75%)
  • 정답은 ":wq"이다. 이 명령어는 현재 편집 중인 파일의 변경된 내용을 저장하고 종료하는 명령어이다. ":"는 명령어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접두사이고, "w"는 저장(save)을 의미하며, "q"는 종료(quit)를 의미한다. 따라서 ":wq"는 저장 후 종료하는 명령어이다. 다른 보기들은 ":q!"는 변경된 내용을 저장하지 않고 강제 종료하는 명령어, ":e!"는 현재 파일을 다시 불러오는 명령어, "$"는 현재 파일의 마지막 라인으로 이동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Windows 2003 Server에서 감사정책을 설정하고 기록을 남길 수 있는 그룹은?

  1. Administrators
  2. Security Operators
  3. Backup Operators
  4. Audit Operators
(정답률: 59%)
  • Windows 2003 Server에서 감사정책을 설정하고 기록을 남길 수 있는 그룹은 "Administrators"입니다. 이는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들이 시스템의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감사정책 설정과 기록 관리도 가능합니다. 다른 그룹들은 보안, 백업, 감사와 같은 특정 작업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만, 시스템 전반적인 관리 권한은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Windows 2003 Server의 Active Directory를 사용할 때 도메인 컨트롤러(서버) 사이에서 복제되는 디렉터리 데이터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Domain Data
  2. Configuration Data
  3. Schema Data
  4. User Data
(정답률: 36%)
  • Active Directory에서 도메인 컨트롤러 사이에서 복제되는 디렉터리 데이터의 범주는 "Domain Data", "Configuration Data", "Schema Data"입니다. 이들은 Active Directory의 구성 정보와 스키마, 도메인 정보 등을 포함합니다. 반면, "User Data"는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이는 도메인 컨트롤러 간에 복제되지 않습니다. 사용자 데이터는 해당 사용자가 로그인하는 도메인 컨트롤러에만 저장되며, 다른 도메인 컨트롤러에서는 액세스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Linux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환경 설정에 필요한 설정 파일들과 'passwd' 파일을 포함하고 있는 디렉터리는?

  1. /bin
  2. /home
  3. /etc
  4. /root
(정답률: 70%)
  • "/etc" 디렉터리는 Linux 시스템에서 시스템 전반적인 설정 파일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Linux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환경 설정에 필요한 설정 파일들과 'passwd' 파일을 포함하고 있는 디렉터리입니다. 이 디렉터리는 시스템 관리자가 시스템 설정을 변경하거나 구성할 때 자주 사용되는 디렉터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네트워크 어댑터가 자신에게 오는 패킷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과하는 모든 패킷을 받아들이는 네트워크 설정 모드는?

  1. Promiscuous 모드
  2. Quick 모드
  3. Standard 모드
  4. Thorough 모드
(정답률: 67%)
  • Promiscuous 모드는 네트워크 어댑터가 자신에게 오는 패킷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과하는 모든 패킷을 받아들이는 모드이다. 이 모드를 사용하면 네트워크 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트래픽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보안 및 문제 해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test.txt’라는 파일에 대해 소유자에게는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부여하고 소유그룹에는 읽기와 실행 권한을 부여하고 타인에게는 아무 권한도 부여하지 않을 때 올바른 명령은?

  1. chmod 450 test.txt
  2. chmod 750 test.txt
  3. chmod 457 test.txt
  4. chmod 470 test.txt
(정답률: 80%)
  • 올바른 명령은 "chmod 750 test.txt"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chmod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숫자를 이용하여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숫자는 3자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자리는 소유자, 소유그룹, 타인의 권한을 나타냅니다. 각 자리는 4, 2, 1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chmod 750 test.txt"는 소유자에게는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부여하고 소유그룹에게는 읽기와 실행 권한을 부여하고 타인에게는 아무 권한도 부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삼바(Samba)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Linux와 이기종간의 파일 시스템이나 프린터를 공유하기 위해 설치하는 서버 및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다.
  2. 삼바에 대한 정보와 다운로드는 'http://www.samba.org'에서 얻을 수 있다.
  3. 삼바의 실행은 '$/etc/rc.d/smb start' 로 한다.
  4. 삼바의 종료는 '$/etc/rc.d/smb exit' 로 한다.
(정답률: 54%)
  • "삼바의 종료는 '$/etc/rc.d/smb exit' 로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는 '$/etc/rc.d/smb stop'으로 종료한다. 이유는 'exit'는 삼바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시키는 것이고, 'stop'은 삼바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종료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Windows 2003 Server의 이벤트 표시기 관리 도구에서 보여주는 이벤트의 형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보(시스템의 일반적 상황 메시지)
  2. 시스템 구성요소에 대한 경고
  3. 시스템 구성요소의 오류
  4. 시스템 장치간의 충돌과 새 하드웨어 추가 메시지
(정답률: 55%)
  • 정답: "시스템 장치간의 충돌과 새 하드웨어 추가 메시지"

    이유: Windows 2003 Server의 이벤트 표시기 관리 도구에서 보여주는 이벤트의 형식은 "정보(시스템의 일반적 상황 메시지)", "시스템 구성요소에 대한 경고", "시스템 구성요소의 오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시스템 장치간의 충돌과 새 하드웨어 추가 메시지"는 이벤트의 형식이 아니라 이벤트의 내용에 해당합니다. 이벤트의 내용은 시스템의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Windows 2003 Server의 IIS(인터넷 정보 서비스)에서 작업할 수 있는 서비스로 옳지 않은 것은?

  1. FTP
  2. DHCP
  3. NNTP
  4. SMTP
(정답률: 33%)
  • DHCP는 IIS와 관련이 없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IIS는 웹 서버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 NNTP는 네트워크 뉴스 전송 프로토콜, SMTP는 간단한 메일 전송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Cisco Router에서는 환경설정을 위한 여러가지 모드를 제공하는데, 모드 프롬프트 중 옳지 않은 것은?

  1. User Mode: Router>
  2. Global Mode: Router#
  3. Interface Mode: Router(config-if)#
  4. Router Mode: Router(config-router)#
(정답률: 54%)
  • Global Mode: Router#은 옳은 모드 프롬프트입니다. 이 모드에서는 라우터의 전반적인 환경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User Mode: Router>은 최소한의 명령어만 사용할 수 있는 모드이며, Interface Mode: Router(config-if)#은 인터페이스에 대한 구체적인 설정을 할 수 있는 모드입니다. Router Mode: Router(config-router)#은 라우팅 프로토콜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는 모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RAID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RAID level 2 : 어레이 안의 모든 드라이브에 비트 수준으로 자료 나누기를 제공한다. 추가 드라이브는 해밍 코드를 저장한다. 미러된 드라이브는 필요없다.
  2. RAID level 3 : 기본적으로 RAID 1+2이다. 이는 다수의 RAID 1 한 쌍에 걸쳐 적용된 것이다. 패리티 정보는 생성되고 단일 패리티 디스크에 작성된다.
  3. RAID level 4 : 데이터가 비트나 바이트보다는 디스크 섹터 단위로 나뉘어 지는 것만 제외하면 RAID level 3과 비슷하다. 패리티 정보도 생성된다.
  4. RAID level 5 : 데이터는 드라이브 어레이의 모든 드라이브에 디스크 섹터 단위로 작성된다. 에러-수정 코드도 모든 드라이브에 작성된다.
(정답률: 53%)
  • RAID level 3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RAID level 3은 다수의 데이터 디스크와 단일 패리티 디스크로 구성되며, 패리티 정보는 모든 데이터 디스크에 걸쳐 분산되어 저장됩니다. RAID level 1+2는 존재하지 않는 레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라우티드(Routed) 프로토콜은?

  1. RIP
  2. TCP/IP
  3. OSPF
  4. IGRP
(정답률: 65%)
  • 라우티드 프로토콜은 라우터 간 경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TCP/IP 프로토콜 스택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TCP/I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스위치의 방식 중 Store and Forward 스위칭 방식에 대한 올바른 설명은?

  1. 스위치가 프레임을 완전히 수신한 후 포워딩한다.
  2. 프레임의 길이에 상관 없이 레이턴시(Latency)가 일정하다.
  3. 스위치가 목적지 주소를 보자마자 전송을 시작하는 방식이다.
  4. 일반적으로 Cut Through 방식에 비해 빠르다.
(정답률: 78%)
  • Store and Forward 스위칭 방식은 스위치가 프레임을 완전히 수신한 후에 포워딩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프레임의 오류를 검사하고 필요한 경우 재전송을 하기 위해 프레임을 완전히 수신한 후에 포워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프레임의 길이에 상관 없이 레이턴시가 일정하며, Cut Through 방식에 비해 느리지만 더 안정적인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두 개 이상의 동일한 LAN 사이를 연결하여 네트워크 범위를 확장하고, 스테이션 간의 거리를 확장해 주는 네트워크 장치는?

  1. Repeater
  2. Bridge
  3. Router
  4. Gateway
(정답률: 64%)
  • Repeater는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려주는 장치로, 두 개 이상의 동일한 LAN 사이를 연결하여 네트워크 범위를 확장하고, 스테이션 간의 거리를 확장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Repeater"입니다. Bridge, Router, Gateway는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정보보호개론

51. 분산 환경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상호 인증기능을 제공하며 DES 암호화 기반의 제3자 인증 프로토콜은?

  1. Kerberos
  2. Digital Signature
  3. PGP
  4. Firewall
(정답률: 57%)
  • Kerberos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상호 인증을 제공하며, DES 암호화를 사용하여 제3자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를 통해 분산 환경에서 안전하게 인증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Kerbero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보안 서비스에 대한 설명 중 내용이 옳지 않은 것은?

  1. 인증(Authentication) - 사용자의 신분 혹은 객체의 내용 등이 타당성을 확인함
  2. 무결성(Integrity) - 정보 시스템이나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손실이나 축소를 방지함
  3. 부인 봉쇄(Non-Repudiation) - 송신자나 수신자가 전송된 메시지를 부인하지 못하도록 함
  4. 기밀성(Confidentiality) - 허락 되지 않은 사용자 또는 객체가 정보의 내용을 알 수 없도록 하는 것
(정답률: 57%)
  • 보기에서 옳지 않은 내용은 없습니다.

    무결성(Integrity)은 정보 시스템이나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손실이나 축소를 방지하는 것이 맞습니다. 이는 데이터가 변조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방화벽 시스템만으로 구성된 것은?

  1. (가), (나), (다)
  2. (나), (라), (마)
  3. (가), (다), (바)
  4. (라), (마), (바)
(정답률: 46%)
  • 이미지에서 보이는 시스템은 방화벽(Firewall) 시스템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나), (라), (마)"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암호 방식 중 블록 암호화 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1. A5/1
  2. AES
  3. RC4
  4. SEAL
(정답률: 65%)
  • 블록 암호화 방식은 평문을 블록 단위로 나누어 암호화하는 방식이다. 이 중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는 대칭키 암호화 방식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암호화 알고리즘이다. AES는 128비트, 192비트, 256비트의 키 길이를 지원하며, 안전성과 속도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또한, 미국 국가안보국(NSA)에서 공인한 암호화 알고리즘이기도 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Linux 시스템에서 아래 내용이 설명하는 것은?

  1. TCP_Wrapper
  2. PAM
  3. SATAN
  4. ISSm
(정답률: 65%)
  • 이 그림은 TCP_Wrapper의 기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TCP_Wrapper는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네트워크로부터 들어오는 접속 요청을 제어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허가되지 않은 접속을 차단하거나, 접속을 허용할 IP 주소나 호스트 이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TCP_Wrapper의 기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LINUX 시스템에서 패스워드의 유효 기간을 정하는데 사용될 수 없는 방법은?

  1. ‘/etc/login.defs’ 의 설정을 사용자 account 생성 시 지정
  2. chown 명령을 활용하여 지정
  3. ‘/etc/default/useradd’ 파일의 설정을 account 생성 시 지정
  4. change 명령을 활용하여 지정
(정답률: 53%)
  • chown 명령은 파일의 소유자나 그룹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므로 패스워드의 유효 기간을 정하는데 사용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chown 명령을 활용하여 패스워드의 유효 기간을 정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Linux 커널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넷필터(Net Filter)를 이용하여 방화벽을 구성할 수 있는 패킷 제어 프로그램은?

  1. iptables
  2. nmap
  3. fcheck
  4. chkrootkit
(정답률: 57%)
  • iptables는 Linux 커널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넷필터(Net Filter)를 이용하여 방화벽을 구성할 수 있는 패킷 제어 프로그램이다. 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특정 포트나 IP 주소를 차단하거나 허용하는 등의 패킷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iptable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침입방지시스템을 비정상적인 침입탐지 기법과 오용침입탐지 기법으로 구분할 때 비정상적인 침입탐지 기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태 전이 분석(State Transition Analysis)
  2. 통계적인 방법(Statistical Approach)
  3. 예측 가능한 패턴 생성(Predictive Pattern Generation)
  4. 행위 측정 방식들의 결합(Anomaly Measures)
(정답률: 32%)
  • "예측 가능한 패턴 생성(Predictive Pattern Generation)"은 비정상적인 침입탐지 기법으로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이 기법은 이전에 발생한 침입 패턴을 기반으로 예측을 수행하기 때문에 새로운 침입 패턴을 탐지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상태 전이 분석(State Transition Analysis)"은 시스템의 상태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이전 상태와 현재 상태 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비정상적인 상황을 탐지하는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침입자가 시스템 내부에서 어떤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전자우편 보안기술 중 PEM(Privacy-enhanced Electronic Mai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를 확장해서 전자 우편 본체에 대한 암호 처리와 전자 우편에 첨부하는 전자 서명을 제공한다.
  2. 프라이버시 향상 이메일이라는 뜻으로,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이메일 보안이다.
  3. 보안 능력이 우수하고, 중앙집중식 인증 체계로 구현된다.
  4. 비밀성, 메시지 무결성, 사용자 인증, 발신자 부인 방지, 수신자 부인 방지, 메시지 반복 공격 방지 등의 기능을 지원한다.
(정답률: 52%)
  • 정답: "보안 능력이 우수하고, 중앙집중식 인증 체계로 구현된다."

    PEM은 MIME을 확장해서 전자 우편 본체에 대한 암호 처리와 전자 우편에 첨부하는 전자 서명을 제공하는 보안기술이다. 또한 비밀성, 메시지 무결성, 사용자 인증, 발신자 부인 방지, 수신자 부인 방지, 메시지 반복 공격 방지 등의 기능을 지원한다. 중앙집중식 인증 체계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SSL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TCP 계층과 IP 계층의 사이에 위치한다.
  2. 크게 3 단계로 나눌 수 있는 핸드 쉐이킹을 수행한다.
  3. 수행 결과 안전한 공개키가 생성된다.
  4. 서버와 클라이언트 각각 인증서가 필요하다.
(정답률: 62%)
  • SSL은 TCP/IP 프로토콜 위에 위치하며, 서버와 클라이언트 각각 인증서가 필요한 이유는 상호간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이다. 인증서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보호하고, 핸드쉐이킹 과정에서 안전한 공개키를 생성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